KR101328390B1 - Vibrative type ear phone - Google Patents

Vibrative type e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390B1
KR101328390B1 KR1020130068422A KR20130068422A KR101328390B1 KR 101328390 B1 KR101328390 B1 KR 101328390B1 KR 1020130068422 A KR1020130068422 A KR 1020130068422A KR 20130068422 A KR20130068422 A KR 20130068422A KR 101328390 B1 KR101328390 B1 KR 101328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vibration
plate
lay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성식
Original Assignee
(주)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텍 filed Critical (주)엔텍
Priority to KR1020130068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3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3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type earphone that generates and outputs variations of sound pressure in the middle-upper register through a sound generation plate in a sound layer after transmitting sounds in the middle-upper register outputted through vibrations of a vibrating member directly to the sound layer through a protruding sound transmission plate that is integrally combined with a unit frame; and generates and outputs variations of the sound pressure in the lower register, which performs a role of a surround sound effect, through a rubber sheet in the sound layer; thereby improving acoustic efficiency of sound output from the earphone to the best performance while outputting high-quality clear sounds in the various register.

Description

진동타입 이어폰{VIBRATIVE TYPE EAR PHONE}Vibration type earphone {VIBRATIVE TYPE EAR PHONE}

본 발명은 진동타입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부재의 진동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유닛 프레임의 소리 전달판을 통해 전달한 후, 사운드 레이어를 통해 소리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중고역대의 소리뿐만 아니라 저역대의 소리를 고음질로 출력하여 음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동타입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type earphone, and more particularly, after transmitting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ember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plate of the unit frame, by generating a sound through the sound layer to output only the mid-high range sound. Ra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type earphone capable of improving sound efficiency by outputting low frequency sound with high sound quality.

일반적으로, 사람이 귀를 통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방법은 크게 공기 전도 방식과 골 전도 방식이 있다.In general, there are two methods of allowing a person to hear sound through the ears: air conduction and bone conduction.

상기 방식 중, 공기 전도 방식은 소리가 고막을 통해 내이로 전달되는 방식으로서, 공기로 전해지는 소리의 진동은 귀속에 고막으로 전달되어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3개의 뼈를 통하여 진동이 달팽이관(와우)에 전달되는데, 이 달팽이관에는 린바액이라는 액체가 차 있고 이 액체의 진동이 전기신호로 바뀌면서 청각 신경에 전달되어 사람의 뇌가 소리를 인식하게 되는 방식이다.Among the above methods, the air conduct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sou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eardrum to the inner ear, and vibrations of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air are transmitted to the eardrum in the ear, and vibr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three bones located in the eardrum. The cochlea is filled with a liquid called linbax and the vibration of the liquid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at is transmitted to the auditory nerve so that the human brain recognizes sound.

한편, 골 전도 방식은 두개골을 통한 소리가 달팽이관에 전달되고, 청각 신경을 거쳐 뇌로 전달되는 방식으로서, 소리 인식 메커니즘에서 진동이 고막과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3개의 뼈를 경유하는 과정을 생략한 방식이다.On the other hand, the bone conduct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sound through the skull is transmitted to the cochlea, and then transmitted to the brain through the auditory nerve. In this method,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three bones located in the eardrum and eardrum to be.

즉, 귀 주변의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음향 진동이 두개골을 통하여 직접 달팽이관에 전달됨으로써 고막이나 이소골(耳小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달팽이관이나 청각 신경이 정상이라면 피부를 통한 골 전도로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even i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has abnormalities in the eardrum or ossicular bone by transmitting the acoustic vibration applied to the skin surface around the ear to the cochlea directly through the skull, if the cochlea or auditory nerve is normal, You can hear the sound.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이 귀를 통해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해주는 기기인 이어폰은 소형의 스피커를 귀에 삽입하여 스피커의 음향이 사용자의 귓속에 직접 방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적은 출력으로도 음의 청취가 가능하고 음을 청취하는 과정에서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휴대전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arphone, which is a device that allows a person to hear sound through the ear, is a small speaker inserted into the ear so that the sound of the speaker can be directly emitted to the user's ear, And it is widely used to listen to sounds output from a portable sound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a cassette tape player, an MP3 player, etc. since there is little chance of damaging people around in the process of listening to the sound.

또한, 최근에는 이어폰의 용도가 일반적인 음악을 청취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고음질의 영화나 게임 등을 현실감 있게 즐기는 추세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진동형 이어폰이나 골전도 이어폰과 같은 체감형 이어폰에 대한 기술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use of earphones is not only listening to general music, but also changing to a trend of realistically enjoying high-quality movies and games, and accordingly, technology for haptic earphones such as vibrating earphones and bone conduction earphones is rapidly increasing. Is spreading.

일예로서, 난청자들을 위한 종래의 골전도 이어폰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122088호(이하, '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a conventional bone conduction earphone for hearing los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22088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골전도 이어폰(100)은, 원판 형태의 하부 커버(110)와, 상기 하부 커버(110)에 결합되며 상하부 방향으로 개방된 원통 형태의 케이스(120)와, 상기 케이스(120) 내측으로서 하부 커버(110) 위에 안착되는 철심(130)과, 상기 철심(130)의 외측에 위치되어 전기 신호를 진동 신호로 변환하는 보이스 코일(140)과, 상기 보이스 코일(140)의 바깥에 결합되어 진동 신호를 증폭하는 마그네트(150)와, 상기 마그네트(150)의 상부로서 상기 보이스 코일(140)의 바깥에 결합되는 진동 금속링(160)과, 상기 보이스 코일(140)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 마스토이드(170)와, 상기 하부 마스토이드(170) 위에 결합되는 진동판(180)과, 상기 하부 마스토이드(170) 및 진동판(180)에 결합되는 상부 마스토이드(190)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conventional bone conduction earphones 100, the lower cover 110 in the form of a disc, the cylindrical case coupled to the lower cover 110 and open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 120, an iron core 130 seated on the lower cover 110 inside the case 120, a voice coil 140 positioned outside the iron core 130 to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a vibration signal, and A magnet 15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voice coil 140 to amplify a vibration signal, a vibration metal ring 16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voice coil 140 as an upper portion of the magnet 150, and A lower mastoid 17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voice coil 140, a vibration plate 180 coupled to the lower mastoid 170, and a coupling to the lower mastoid 170 and the vibration plate 180. Being made up of an upper mastoid 190.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문헌 1의 골전도 이어폰은, 귀에 접촉되는 이어폰의 중앙에서만 마스토이드가 진동하여 고음대역의 음향만을 출력하므로, 귀에 접촉되는 이어폰의 중앙에서는 음향이 잘 들리는 반면, 귀의 외각에서는 음향이 약하게 전달되므로, 사용자는 이어폰을 통해 서라운드 없이 둔탁한 고음의 음향만을 전달받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bone conduction earphones of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stoid vibrates only at the center of the earphone in contact with the ear and outputs only the sound of the high band, the sound is well heard at the center of the earphone in contact with the ear, Since it is weakly transmitted, the user has a problem of receiving only the sound of dull high sound without surround through the earphon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문헌 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발명자는 2009년 06월 10일자로 진동형 이어폰을 개발 및 출원하여, 2009년 12월 18일자로 등록받은 바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vibration type earphone on June 10, 2009, was registered on December 18, 2009.

즉,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다른 진동형 이어폰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51673호(이하, '문헌 2'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That is, a vibration earphon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51673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동형 이어폰(200)은, 페이스 플레이트(211), 보이스 코일(212), 마그네트가 결합된 바스켓(213), 진동용 판 스프링(214), 기판(215), 케이스(216) 및 커버(217)를 포함하여 진동을 통해 고음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는 진동부재(210)와, 상기 진동부재(210)를 내부에 수납하여 귀속의 외벽을 통해 중저음의 진동을 출력하는 중저음 전달부재(220)와, 상기 중저음 전달부재(220)를 관통하면서 상기 진동부재(210)의 페이스 플레이트(211)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 및 결합되는 돌기(231)를 통해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211)로부터 발생된 고음대역의 진동을 출력하는 마스토이드(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onventional vibration type earphone 200 includes a face plate 211, a voice coil 212, a basket in which a magnet is coupled 213, a vibration plate spring 214, and a substrate. 215, the case 216 and the cover 217, including a vibration member 210 for outputting a high-pitched sound through the vibration, and the vibration member 210 is accommodated inside the bass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ear The projection 23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ace plate 211 of the vibration member 210 and penetrates the heavy bass transmission member 220 and outputs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stoid 230 for outputting the vibration of the high band generated from the face plate 211.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문헌 2의 진동형 이어폰은, 마스토이드가 페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돌기를 통해 페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고음대역의 진동을 출력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부재로부터 전달되는 고음대역의 음향이 명확하지 않고 잘 들리지 않으며, 아울러 중저음 전달부재로부터의 중저음대역의 음향도 명확하지 않고 잘 들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vibration type earphone of Document 2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that outputs the vibration of the high frequency band transmitted from the face plate through the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ace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und of the high-pitched band is not clear and can not be heard well, and also the sound of the bass-band from the bass transfer member is not clear and can not be heard well.

즉, 상기와 같은 문헌 2의 진동형 이어폰은, 페이스 플레이트와 마스토이드의 돌기가 일체가 아닌 분리된 상태에서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진동부재로부터 전달되는 고음대역의 진동이 약하게 되고, 이로 인해 중저음 전달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중저음 대역의 진동도 약하게 되어,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 효율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vibration type earphone of Document 2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s of the face plate and the mastoid are inserted in a separated state, and thus the vibration of the high frequency band transmitted from the vibration member is weakened. The vibration of the bass band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member is also weake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verall sound efficiency is not good through the earphone.

문헌 1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122088호(명칭 : 골전도 스피커, 출원인 : 필스전자 주식회사 외 1인, 공개일 : 2007, 12, 28)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22088 (Name: Bone conduction speaker, Applicant: Phils Electronics Co., Ltd. and others, Publication Date: 2007, 12, 28) 문헌 2 :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51673호(명칭 : 진동형 이어폰, 출원인 : (주)바이브비에스, 출원일 : 2009, 06, 10)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51673 (Name: Vibration-type earphone, Applicant: Vibe Vis, Inc., Filed Date: 2009, 06, 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진동부재의 진동을 통해 출력되는 중고역대의 음향을 유닛 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어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의 소리 전달판을 통해 사운드 레이어에 직접 전달한 후, 사운드 레이어의 음향 생성판을 통해 중고역대의 음압 변화를 생성 및 출력하고, 사운드 레이어의 고무 시트를 통해 저역대의 음압 변화를 생성 및 출력함으로써, 저역, 중역 및 고역대의 소리를 고음질로 출력할 수 있는 진동타입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he sound layer through the projection plate-shaped sound transmission plate formed by combining the unit of the high and mid-range sound output through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ember integrally with the unit frame. After passing directly to the sound layer, the sound layer creates and outputs mid-range sound pressure changes, and the sound layer creates and outputs low-range sound pressure changes, thereby producing high-quality sounds for low, mid and high frequencies. It is to provide a vibration type earphone that can outpu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사운드 레이어의 구성, 즉 음향 생성판의 재질 및 형상을 변경하거나 고무 시트의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여러 대역대의 고음질의 음향을 다양한 음압차를 갖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는 진동타입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configuration of the sound layer, that is,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sound generating plate or to modify the shape of the rubber sheet, it is possible to output high-quality sound of various bands as a sound having a variety of sound pressure difference It is to provide a vibration type earphon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닛 프레임에 일체로 구성된 소리 전달판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사운드 레이어의 음향 생성판과 고무 시트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패브릭 필터를 복수의 위치에 추가로 결합시킴으로써, 저역, 중역 및 고역의 여러 대역대의 음향을 고음질로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압차를 갖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는 진동타입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dify the shape of the sound transmission plate integrally formed in the unit frame, to modify the shape of the sound generating plate and the rubber sheet of the sound layer, or to further combine the fabric filter in a plurality of posi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bration type earphone capable of outputting sound of various bands of low, mid and high bands with high sound quality, as well as sound having various sound pressure differentials.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ppended claim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타입 이어폰은, 소리 전달판(301, 401)이 일체로 구비된 유닛 프레임(311)을 포함하여 진동을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진동부재(310); 상기 소리 전달판(301, 401)과 접촉하여 상기 진동부재(310)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을 전달받아 중고역 및 저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사운드 레이어(320); 상기 사운드 레이어(320)를 내부에 수납하고 상기 유닛 프레임(311)의 하부에 안착되어, 상기 사운드 레이어(32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사용자의 귓속으로 내보내는 유닛 캡(330); 및 상기 유닛 캡(330)과 유닛 프레임(311)을 수납하여 귓속의 외벽을 통해 고음질의 음향을 전달하는 이어 캡(340)을 포함하되, 상기 사운드 레이어(320)는 상기 소리 전달판(301, 401)과 접촉하여 진동하면서 중고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생성판(324, 424)과, 중앙부에 상기 음향 생성판을 접착시켜 상기 음향 생성판의 음압 변화를 통해 저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고무 시트(322, 422)를 포함한다.Vibration typ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ing a unit frame 311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ound transmitting plate (301, 401) vibration member 310 for converting the vibration into an acoustic signal and transmitting it. ); A sound layer 320 in contact with the sound transmitting plates 301 and 401 to receive the vibration output from the vibrating member 310 and to output mid-range and low-range sounds; A unit cap (330) accommodating the sound layer (320) therein and se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nit frame (311) to send sound output through the sound layer (320) into a user's ear; And an ear cap 340 for accommodating the unit cap 330 and the unit frame 311 to transmit a high quality sound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ear, wherein the sound layer 320 includes the sound transmission plate 301. Sound generating plates 324 and 424 for outputting mid-range sound while vibrating in contact with 401, and a rubber sheet for attaching the sound generating plate to a central portion to output low-frequency sound through a change in sound pressure of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2, 422.

바람직하게, 상기 음향 생성판(324, 424)은 원판, 중앙으로부터 외측 가장자리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를 갖는 원형의 볼록 패턴판(325) 및 중앙의 소정 위치로부터 외측 자장자리로 물결 무늬를 이루는 원형의 물결 형상판(326) 중 어느 하나이다.Preferably,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424) is a circular plate, a convex pattern plate 325 having a convex portion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edge and a wave pattern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center to the outer magnetic field It is one of the circular wave-shaped plates 326 which comprise.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음향 생성판(324, 424)은 SUS 강판, 니켈, 퍼멀로이 및 베릴륨동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다.More preferably, the sound generating plates 324 and 424 are selected from any one of SUS steel sheet, nickel, permalloy and beryllium copper.

더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레이어(322)의 고무 시트(322, 422)의 최외측 단부들이 유닛 캡(330)의 내측 하부 모서리의 단턱에 걸려 지지되고, 중앙부 상에 음향 생성판(324, 424)이 탑재되어, 상기 소리 전달판(301, 401)과 상기 음향 생성판(324, 424)을 접촉시켜 음향을 출력한다.More preferably, the outermost ends of the rubber sheets 322, 422 of the sound layer 322 are hung and supported on the step of the inner lower edge of the unit cap 330, and the sound generating plates 324, 424 are formed on the center portion. Is mounted, and the sound transmitting plates 301 and 401 contact the sound generating plates 324 and 424 to output sound.

또한, 상기 사운드 레이어(320)의 고무 시트(322. 422)의 최외측 단부들이 유닛 캡(330)의 내측 하부 모서리의 단턱에 걸려 지지되고, 중앙부에 스페이스(323)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스 상에 음향 생성판(324. 424)이 탑재되어, 상기 소리 전달판(301, 401)과 상기 음향 생성판(324, 424)을 접촉시켜 음향을 출력한다.In addition, the outermost ends of the rubber sheets 322 and 422 of the sound layer 320 are supported by the steps of the inner lower edges of the unit cap 330, and the space 323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 sound generating plate (324. 424) is mounted on the sound transmitting plate (301, 401) and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424) in contact with the sound output.

또한, 상기 유닛 프레임(311)의 소리 전달판(301, 401)과, 사운드 레이어의 음향 생성판(324, 424) 및 고무 시트(322, 422)의 중앙에 관통홀(403)이 형성되어 진동부재(310)를 통해 전달되는 고음질의 음향을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40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ound transmitting plates 301 and 401 of the unit frame 311, the sound generating plates 324 and 424 of the sound layer, and the rubber sheets 322 and 422 to vibrate. High quality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member 310 may be output.

또한, 상기 관통홀(403)이 형성된 상기 소리 전달판(301, 401)의 상부 또는 고무 시트(324, 424)의 하부에 패브릭 필터(402)를 접착하여 고음질의 음향을 출력한다.In addition, the fabric filter 402 is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ound transmission plates 301 and 401 or the lower rubber sheets 324 and 424 having the through hole 403 to output a high quality sound.

또한, 상기 사운드 레이어의 고무 시트(322, 422)의 최외측 단부들이 유닛 캡(330)의 내측 하부 모서리의 단턱에 걸려 지지되고, 중앙부에는 스페이스가 형성된 상태에서 중앙에 관통홀(403)이 형성된 음향 생성판(424)을 상기 스페이스가 형성된 고무 시트(422)의 말단 상에 결합하고 상기 음향 생성판(424)의 하부에 상기 관통홀(403)을 막도록 패브릭 필터(402)를 접착하여 고음질의 음향을 출력한다.In addition, the outermost ends of the rubber sheets 322 and 422 of the sound layer are supported by a step of the inner lower edge of the unit cap 330, and a through hole 403 is formed at the center in a state where a space is formed at the center. The sound generating plate 424 is bonded to the end of the space-formed rubber sheet 422 and the fabric filter 402 is adhered to the lower part of the sound generating plate 424 to block the through hole 403, thereby making high sound quality. Outputs soun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타입 이어폰에 따르면, 진동부재의 진동을 통해 출력되는 중고역대의 음향을 유닛 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어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의 소리 전달판을 통해 사운드 레이어에 직접 전달한 후, 사운드 레이어의 음향 생성판을 통해 중고역대의 음압 변화를 생성 및 출력하고, 사운드 레이어의 고무 시트를 통해 서라운드 역할을 하는 저역대의 음압 변화를 생성 및 출력함으로써, 저역, 중역 및 고역대의 청명한 소리를 고음질로 출력함과 동시에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ibration type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irectly transmitting the sound of the mid and high band output through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ember integrally with the unit frame to the sound layer through the projecting sound transmission plate formed protruding The sound layer of the sound layer generates and outputs sound pressure changes in the mid and high bands, and the sound layer changes the sound pressure changes in the low and mid ranges, creating a surround sound. At the same time as outputting in high quality, the efficiency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earphone can be improved to the maximum.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레이어의 구성, 즉 음향 생성판의 재질 및 형상을 변경하거나 고무 시트의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여러 대역대의 고음질의 음향을 다양한 음압차를 갖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und layer, that is,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sound generating plate or by modifying the shape of the rubber sheet, the sound of high quality bands of various bands are output as sounds having various sound pressure differences can d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닛 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된 소리 전달판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사운드 레이어의 음향 생성판과 고무 시트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패브릭 필터를 복수의 위치에 추가로 결합시킴으로써, 저역, 중역 및 고역의 여러 대역대의 음향을 고음질로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압차를 갖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odify the shape of the sound transmitting plate integrally coupled to the unit frame, to modify the shape of the sound generating plate and the rubber sheet of the sound layer, or to add the fabric filter in a plurality of locations By combining with, it is possible not only to output the sound of the various bands of the low, mid and high bands with high sound quality, but also to output the sound having various sound pressure differences.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예에 따른 골전도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골전도 이어폰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진동형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진동형 이어폰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타입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기 5의 결합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음향 생성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사운드 레이어의 음향 생성판의 재질에 따른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9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소리 전달판과 사운드 레이어의 결합관계 및 사운드 레이어의 여러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1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소리 전달판과 사운드 레이어의 결합관계 및 여러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ne conduction earphon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e conduction earphone of FIG.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earphon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bration-type earphone of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type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5.
7 (a) and 7 (b) are diagrams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ound generating plate applied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show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sound generating plate of the sound layer appli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a) to 9 (d)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forms of a sound layer and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ound transmitting plate and a sound layer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 to (c) are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and various forms of a sound transmitting plate and a sound layer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타입 이어폰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ibration type ear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면들 중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s deemed to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먼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타입 이어폰을 설명한다.First, a vibration type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타입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5의 결합단면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type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5.

또한,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음향 생성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사운드 레이어의 음향 생성판의 재질에 따른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9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소리 전달판과 사운드 레이어의 결합관계 및 사운드 레이어의 여러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In addition, (a) and (b) of Figure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ound generating plate appli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ound generation of the sound layer appli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D are graphs illustrating characteristics of a plate, and FIGS. 9A to 9D illustrate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ound transmitting plate and a sound layer and various types of sound layers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타입 이어폰은, 진동부재(310), 사운드 레이어(320), 하부 유닛 캡(330) 및 이어 캡(340)을 포함한다.5 and 6, the vibration type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on member 310, a sound layer 320, a lower unit cap 330, and an ear cap 340. do.

상기 진동부재(310)는 전기적인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원통형의 진동자로서, 유닛 프레임(311), 보이스 코일(312), 마그네트가 결합된 바스켓(313), 진동용 스프링(314), PCT 기판(315), 케이스(316), 케이블 홀더(317) 및 상부 커버(318)로 구성된다.The vibrating member 310 is a cylindrical vibrator that outputs sound through electrical vibration, the unit frame 311, the voice coil 312, the basket is coupled to the magnet 313, the vibration spring 314, PCT It consists of a substrate 315, a case 316, a cable holder 317 and a top cover 318.

구체적으로, 상기 유닛 프레임(311)은 실리콘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 중앙부에 돌기가 돌출된 원판형으로 구성된 소리 전달판(301)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진동부재(310)로부터의 전기적인 진동에 따른 음향을 전달하는 수단이다.Specifically, the unit frame 311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 the sound transmission plate 301 composed of a disk-like protrusion projecting on the lower central portion is integrally provided, from the vibration member 310 It is a means for transmitting sound according to electric vibration.

이때, 상기 유닛 프레임(311)은 후술하는 원통형의 케이스(316)와는 상관없이 상기 진동부재(310)의 전체 몸통이 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unit frame 311 may be the entire body of the vibration member 310 irrespective of the cylindrical case 316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보이스 코일(312)은 상기 유닛 프레임(311) 내부에 안착된 후 내열성 강력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PCB 기판(315)의 +, - 인출선(도시 생략)을 통해 전달되는 음향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받아 진동부재(310)를 구동시킨다. 즉, 상기 보이스 코일(312)은 전류의 세기 및 마그네트의 자성에 의해 소정의 주파수 대역으로 진동하는 역할을 한다.The voice coil 312 is seated inside the unit frame 311, and is then attached by a heat resistant strong adhesive to electrical signals for sound transmitted through +,-leader lines (not shown) of the PCB substrate 315. Receives to drive the vibration member 310. That is, the voice coil 312 vibrates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by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nd the magnetism of the magnet.

상기 바스켓(313)은 상기 보이스 코일(312) 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마그네트(도시 생략)를 내장하여 음의 일차적인 감쇄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기의 흐름을 한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즉, 상기 바스켓(313)은 내부가 함몰된 함 형태로 구성되어 마그네트를 수납하고 있으며, 상기 바스켓과 마그네트는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있는데, 이 이격된 바스켓과 마그네트의 사이에 상기 보이스 코일(312)이 위치된다.The basket 313 is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voice coil 312 and has a magnet (not shown) therein to prevent negative primary attenuation and at the same time convert the air flow in one direction. That is, the basket 313 has a recessed shape in which the inside of the basket 313 is accommodated, and the basket and the magne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voice coil 312 is spaced between the spaced basket and the magnet. Is located.

이때, 상기 마그네트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있는 형상으로서 자성을 가지며, 금속 재질의 바스켓(313)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거나 본딩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되, 본 명세서에서는 마그네트의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홀이 형성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magnet has a magnetic shape as a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is attached to the metal basket 313 by magnetic force or fixed by bonding by bond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gnet Although described as being presen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hole is not necessarily formed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상기 진동용 스프링(314)은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바스켓(313)과 결합되되, 판 또는 상기 판에 여러 가지 패턴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이스 코일(312)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부드러운 진동으로 변환시킨다.The vibration spring 314 is coupled to the basket 313 through a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has a shape in which various patterns are formed on the plate or the plate, and smoothly vibrates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voice coil 312. To.

상기 PCB 기판(315)은 진동부재(310)를 통해 음향이 출력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전자부품이 실장되며, +, - 인출선(도시 생략)을 통해 상기 보이스 코일(312)과 연결되어 있다. The PCB substrate 315 is mount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so that sound can be output through the vibration member 310, and is connected to the voice coil 312 through +,-leader lines (not shown).

상기 케이스(316)는 상기 유닛 프레임(311), 보이스 코일(312), 바스켓(313), 진동용 스프링(314) 및 PCB 기판(315)을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원통형의 외관으로서, 일측에 케이블 홀더를 취부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case 316 is a cylindrical exterior that accommodates and protects the unit frame 311, the voice coil 312, the basket 313, the vibration spring 314, and the PCB substrate 315 therein. The groove is formed to mount the cable holder.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케이스(316)가 상기 진동부재(31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유닛 프레임(311)이 상기 진동부재(310) 내의 구성요소를 수용하여 보호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ase 316 is described as receiving and protecting the vibration member 310, the unit frame 311 may receive and protect the components in the vibration member 310. .

상기 케이블 홀더(317)는 상기 케이스(316)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취부되며, 일단에는 +, - 인출선이 결합되어 상기 PCB 기판(315)과 연결되고, 타단에는 이어폰 연결선이 길게 연장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의 잭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부착되어 있다.The cable holder 317 is mounted in a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316, and one end of the cable holder 317 is coupled to the PCB board 315 by being coupled with a lead line, and the other end of the earphone connection line is extended to be smart. There is a connector attached to the jack of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phone.

상기 상부 커버(318)는 상기 케이스(316) 또는 유닛 프레임(311)의 후면에 부착되어 음향이 상기 유닛 프레임(311)의 소리 전달판(301)을 통해서만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cover 318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case 316 or the unit frame 311 so that the sound can be output only through the sound transfer plate 301 of the unit frame 311.

한편, 상기 사운드 레이어(320)는 상기 진동부재(310)의 하부, 즉 상기 유닛 프레임(311)의 하부에 구비된 소리 전달판(301)과 접촉하여, 상기 진동부재(31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전달받아 중고역 및 저역대의 음향을 고음질로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음향 생성판(324) 및 고무 시트(322)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ound layer 320 is in contact with the sound transmitting plate 301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vibration member 310, that is, the unit frame 311, the sound output from the vibration member 310 As a means for outputting the mid- and low-range sound at high quality,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and the rubber sheet 322 are configured.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생성판(324)은 기본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유닛 프레임(311)의 소리 전달판(301)의 돌기와 접촉하여 진동하면서 음압 변화를 통해 중고역대의 음향을 생성 및 출력한다.In detail,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basically has a disk shape and vibrate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f the sound transmitting plate 301 of the unit frame 311 to generate and output mid-high range sounds through a change in sound pressure. .

이때, 상기 음향 생성판(324)은 원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중고역대의 음압의 변화를 통해 고음질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기만 하면,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부터 외측 가장자리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볼록 패턴판(325) 또는 중앙의 소정 위치로부터 외측 자장자리로 물결 무늬를 이루는 원형의 물결 형상판(326)을 사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is preferably in the shape of a disk, but as long as it can output a high quality sound through the change in the sound pressure of the mid-high range, as shown in (a) and (b) of FIG. The circular convex pattern plate 325 which protrudes radially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edge, or the circular wavy plate 326 which makes a wave pattern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center to the outer magnetic field may be used.

또한, 상기 음향 생성판(324)은 SUS 강판(메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B과 공진주파수(Hz)에 미차가 있기는 하지만 저역 및 중고역대에서 그래프 특성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는 니켈, 퍼멀로이 및 베릴륨동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is preferably a SUS steel sheet (metal), as shown in FIG. 8, although the difference in dB and the resonant frequency (Hz) is different, the graph characteristics are almost similar in low and mid-range. Of course, any one of nickel, permalloy and beryllium copper may be selected.

이어서, 상기 고무 시트(322)는 중앙부에 본딩에 의해 상기 원형의 음향 생성판(324)을 접착시키고, 상기 음향 생성판(324)을 통한 음압 변화를 통해 서라운드의 역할을 하는 저역대의 음향을 생성 및 출력한다.Subsequently, the rubber sheet 322 bonds the circular sound generating plate 324 by bonding to a central portion, and generates a low frequency sound serving as a surround through a change in sound pressure through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And output.

한편, 상기 하부 유닛 캡(330)은 상기 사운드 레이어(320)를 내부에 수납하는 'U'자 형상의 커버로서, 상기 유닛 프레임(311)의 하부에 안착 및 결합되며, 상기 사운드 레이어(320)를 통해 출력되는 고음질의 저역, 중역 및 고역대의 음향을 사용자의 귓속으로 내보낼 수 있도록 하부면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unit cap 330 is a 'U'-shaped cover for accommodating the sound layer 320 therein. The lower unit cap 330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it frame 311 and the sound layer 320.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so that high-quality low-, mid- and high-frequency sound output through the user's ear.

이어서, 상기 이어 캡(340)은 중간에 홀이 형성되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사운드 레이어(320)를 내장하고 있는 하부 유닛 캡(330)과 유닛 프레임(311)을 감싸아 수납하거나, 상기 하부 유닛 캡(330)과 유닛 프레임(311)이 안착된 케이스(316)의 중간부 까지를 감싸아 수납하여, 사용자의 귓속의 외벽을 통해 고음질의 음향을 전달한다.Subsequently, the ear cap 340 has a hole formed in the middle thereof, and has a cylindrical shape to enclose and store the lower unit cap 330 and the unit frame 311 in which the sound layer 320 is embedded, or the lower unit. The cap 330 and the unit frame 311 are wrapped around and accommodated up to the middle of the case 316 on which the unit frame 311 is seated, thereby delivering high quality sound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user's ear.

이때, 상기 유닛 프레임(311)에 일체로 구비된 소리 전달판(301)과 사운드 레이어(320)의 접촉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레이어(320)는 도 9의 (a) 내지 (d)의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가능하다.At this time, in the contact between the sound transmitting plate 301 integrally provided in the unit frame 311 and the sound layer 320, the sound layer 320 is a variety of (a) to (d) of FIG. It is deformable in form.

즉,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레이어(322)의 고무 시트(322)의 최외측 단부들이 하부 유닛 캡(330)의 내측 하부 모서리에 안착되어 있고, 에지부는 상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는 평평한 상태로 음향 생성판(324)을 탑재하여, 상기 소리 전달판(301)과 상기 음향 생성판(324)을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고무 시트(322)의 형상에 따른 음압 차이로 인해 다양한 저역대의 음향을 출력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9A, the outermost ends of the rubber sheet 322 of the sound layer 322 are seated at the inner lower edge of the lower unit cap 330, and the edge portion is directed upward. It is formed convexly, the center portion is mounted in the flat state,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the sound transmitting plate 301 and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by contacting the shape of the rubber sheet 322 Due to the sound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arious low-frequency sounds are output.

또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레이어(320)의 고무 시트(322)의 최외측 단부들이 하부 유닛 캡(330)의 내측 하부 모서리에 안착되어 있고, 에지부는 하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는 평평한 상태로 음향 생성판(324)을 탑재하여, 상기 소리 전달판(301)과 상기 음향 생성판(324)을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고무 시트(322)의 형상에 따른 음압 차이로 인해 다양한 저역대의 음향을 출력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B, the outermost ends of the rubber sheet 322 of the sound layer 320 are seated at the inner lower edge of the lower unit cap 330, and the edge portion faces downward. It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the center portion is mounted in the flat state,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the sound transmitting plate 301 and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by contacting the shape of the rubber sheet 322 Due to the sound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arious low-frequency sounds are output.

또한,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레이어(320)의 고무 시트(322)의 최외측 단부들이 하부 유닛 캡(330)의 내측 하부 모서리에 안착되어 있고, 에지부는 상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스페이스(323)가 형성된 상태에서 음향 생성판(324)을 상기 볼록 형성된 고무 시트(322)의 말단 상에 결합하여, 상기 소리 전달판(301)과 상기 음향 생성판(324)을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고무 시트의 스페이스(323) 상에 탑재된 음향 생성판(324)을 통해 중고역대의 음향을 보다 청명하게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고무 시트(322)의 형상에 따른 음압 차이로 인해 다양한 저역대의 음향을 출력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C, the outermost ends of the rubber sheet 322 of the sound layer 320 are seated at the inner lower edge of the lower unit cap 330, and the edge portion is directed upward. It is formed convexly,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vex rubber sheet 322 in the state where the space 323 is formed, the sound transmitting plate 301 and the sound generating plate By making the 324 contact,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mounted on the space 323 of the rubber sheet activates the mid-to-high range sound more clearly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of the rubber sheet 322. Due to the sound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arious low-frequency sounds are output.

또한,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레이어(320)의 고무 시트(322)의 최외측 단부들이 하부 유닛 캡(330)의 내측 하부 모서리에 안착되어 있고, 에지부는 하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스페이스(323)가 형성된 상태에서 음향 생성판(324)을 상기 오목 형성된 고무 시트(322)의 말단 상에 결합하여, 상기 소리 전달판(301)과 상기 음향 생성판(324)을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고무 시트의 스페이스(323) 상에 탑재된 음향 생성판(324)을 통해 중고역대의 음향을 보다 청명하게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고무 시트(322)의 형상에 따른 음압 차이로 인해 다양한 저역대의 음향을 출력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D, the outermost ends of the rubber sheet 322 of the sound layer 320 are seated at the inner lower edge of the lower unit cap 330, and the edge portion faces downward. It is formed concave,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and the sound generating plate 301 by coupling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on the end of the concave formed rubber sheet 322 in the state where the space 323 is formed, By making the 324 contact,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mounted on the space 323 of the rubber sheet activates the mid-to-high range sound more clearly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of the rubber sheet 322. Due to the sound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arious low-frequency sounds are output.

여기서, 상기 하부 유닛 캡(330)의 내측 모서리의 단턱의 높이는 상기 고무 시트(322)의 에지부의 볼록 또는 오목 형상에 따라 변형되는 바, 상기 에지부가 볼록하게 형성될 때 상기 하부 유닛 캡(330)의 내측 모서리의 단턱의 높이는 낮게 형성되며, 상기 에지부가 오목하게 형성될 때 상기 하부 유닛 캡(330)의 내측 모서리의 단턱의 높이는 높게 형성된다.Here, the height of the step of the inner edge of the lower unit cap 330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convex or concave shape of the edge portion of the rubber sheet 322, the lower unit cap 330 when the edge portion is formed convex The height of the step of the inner edge of the lower step is formed, the height of the step of the inner edge of the lower unit cap 330 is formed when the edge portion is formed concave.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도 5와 도 6, 그리고 도 10의 (a) 내지 (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타입 이어폰을 설명한다.Meanwhile, the vibration type earphon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and FIGS. 10A to 10D.

도 1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소리 전달판과 사운드 레이어의 결합관계 및 여러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10 (a) to (c) are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and various forms of a sound transmitting plate and a sound layer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타입 이어폰은, 유닛 프레임에 일체로 구성된 소리 전달판 및 사운드 레이어의 구조와, 패브릭 필터가 복수의 위치에 추가로 결합되는 구성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실시예의 진동타입 이어폰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vibration type ear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sound transmission plate and the sound layer integrally configured in the unit frame, and the fabric filter is different only in the configuration that is further coupled to a plurality of positions,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ereinafter,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e vibration type earphon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타입 이어폰은,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프레임(311)의 소리 전달판(401)과, 사운드 레이어의 음향 생성판(424) 및 고무 시트(422)의 중앙에 관통홀(403)이 형성되어 진동부재(310)를 통해 밀폐된 음향이 아닌 개방되어 청명한 고음질의 중고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고, 천과 같은 패브릭 필터(402)를 상기 소리 전달판(401)의 상부 또는 고무 시트(424)의 하부에 본딩을 통해 접착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보다 청명한 저역대의 음향을 출력한다.That is, the vibration-type ear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9, the sound transmission plate 401 of the unit frame 311, and the sound generation of the sound layer A through hole 40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ate 424 and the rubber sheet 422 to output an open, clear, high-quality mid-range sound instead of a closed sound through the vibration member 310, and fabric such as cloth By bonding the filter 402 to the upper part of the sound transmitting plate 401 or the lower part of the rubber sheet 424 by controlling the flow of air, a clearer low frequency sound is output.

또한,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레이어의 고무 시트(422)의 최외측 단부들이 하부 유닛 캡(330)의 내측 하부 모서리에 안착되어 있고, 에지부는 상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스페이스가 형성된 상태에서 중앙에 관통홀(403)이 형성되어 마치 CD 형상을 하고 있는 음향 생성판(324)을 상기 볼록 형성된 고무 시트(422)의 말단 상에 결합하고, 상기 패브릭 필터(402)를 상기 음향 생성판(324)의 하부에 상기 관통홀(403)을 막도록 접착함으로써 보다 청명한 중고역 및 저역대의 음향을 출력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C, the outermost ends of the rubber sheet 422 of the sound layer are seated at the inner lower edge of the lower unit cap 330, and the edge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The through hole 403 is formed at the center in the state where the space is formed, and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having a CD shape is coupled on the end of the convex rubber sheet 422, and the fabric The filter 402 is adhe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to block the through hole 403, thereby outputting clearer mid and low frequencies.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타입 이어폰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typ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케이블 홀더(317)와 연결된 이어폰 연결선과 PCB 기판(315)의 +, - 인출선을 통해 스마트폰과 같은 음원 출력수단으로부터 전기적인 음향신호가 보이스 코일(312)에 인가된다.First, an electric sound signal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312 from a sound source output means such as a smartphone through the earphone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cable holder 317 and the + and − lead lines of the PCB substrate 315.

그러면, 상기 보이스 코일(312)에서 발생되는 자력과 바스켓(213) 내의 마그네트에서의 자계가 상호작용하여 흡입 및 반발하는 물리적인 진동력이 발생함에 따라 보이스 코일(312)과 마그네트가 상하 진동하게 된다.Then, the voice coil 312 and the magnet vibrates up and down as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voice coil 312 and the magnetic field in the magnet in the basket 213 interact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 physical vibration force inhaling and repelling. .

이때, 보이스 코일(312)에서는 음향과 진동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는데, 이 음향 및 진동이 유닛 프레임(311)에 전달된다.At this time, in the voice coil 312, sound and vibration are generated at the same time, and the sound and vibration are transmitted to the unit frame 311.

아울러, 진동용 스프링(314)은 상기 보이스 코일(312)과 연동하여 마그네트의 움직임을 부드러운 진동으로 변환시킨다.In addition, the vibration spring 314 in conjunction with the voice coil 312 converts the movement of the magnet into a gentle vibration.

이후, 상기 유닛 프레임(311)에 전달된 진동은 소리 전달판(301, 401)을 통해 사운드 레이어(320)의 음향 생성판(324, 424)과 고무 시트(322, 422)를 통해 중고역 및 저역대의 고음질의 음향을 생성하여 출력한다.Subsequently,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unit frame 311 is mid and low band through the sound generating plates 324 and 424 of the sound layer 320 and the rubber sheets 322 and 422 through the sound transmitting plates 301 and 401. Produces and outputs high quality sound.

또한, 관통홀(403)을 통해 상기 소리 전달판(301, 401)과, 사운드 레이어의 구성, 즉 음향 생성판(324, 424)의 재질 및 형상을 변경하거나 고무 시트(322, 422)의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여러 대역대의 고음질의 음향을 다양한 음압차를 갖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패브릭 필터(402)를 복수의 위치에 추가로 결합시킴으로써, 여러 대역대의 음향을 고음질로 청명하게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압차를 갖는 음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ugh hole 403 changes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sound transmission plates 301 and 401 and the sound layer, that is, the sound generating plates 324 and 424, or the shape of the rubber sheets 322 and 422. By modifying the sound quality, sound of various bands can be output as sound having various sound pressure differences, and by further combining the fabric filter 402 to a plurality of positions, the sound of various bands can be clearly output at high quality. In addition, it can be adjusted to sound having various sound pressure differential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course.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진동타입 이어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스피커, 골전도 스피커 및 전자제품들의 다양한 이어폰 및 스피커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ut for example, the vibration type earphon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earphones and speakers of speakers, bone conduction speakers and electronic products.

301, 401 : 소리 전달판 310 : 진동부재
311 : 유닛 프레임 320 : 사운드 레이어
322, 422 : 고무 시트 324, 424 : 음향 생성판
323 : 스페이스 330 : 하부 유닛 캡
340 : 이어 캡 402 : 패브릭 필터
403 : 관통홀
301, 401: sound transmission plate 310: vibration member
311: unit frame 320: sound layer
322, 422: rubber sheet 324, 424: sound generating plate
323: space 330: lower unit cap
340: Ear Cap 402: Fabric Filter
403: through hole

Claims (8)

진동을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진동타입 이어폰으로서,
소리 전달판(301, 401)이 일체로 구비된 유닛 프레임(311)을 포함하여 진동을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진동부재(310);
상기 소리 전달판(301, 401)과 접촉하여 상기 진동부재(310)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을 전달받아 중고역 및 저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사운드 레이어(320);
상기 사운드 레이어(320)를 내부에 수납하고 상기 유닛 프레임(311)의 하부에 안착되어, 상기 사운드 레이어(32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사용자의 귓속으로 내보내는 유닛 캡(330); 및
상기 유닛 캡(330)과 유닛 프레임(311)을 수납하여 귓속의 외벽을 통해 고음질의 음향을 전달하는 이어 캡(340)을 포함하되,
상기 사운드 레이어(320)는 상기 소리 전달판(301, 401)과 접촉하여 진동하면서 중고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생성판(324, 424)과, 중앙부에 상기 음향 생성판을 접착시켜 상기 음향 생성판의 음압 변화를 통해 저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고무 시트(322, 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타입 이어폰.
Vibration type earphone which converts vibration into sound and outputs it.
A vibration member 310 including a unit frame 311 having integrally provided sound transmission plates 301 and 401 to convert vibration into an acoustic signal and to transmit the vibration signal;
A sound layer 320 in contact with the sound transmitting plates 301 and 401 to receive the vibration output from the vibrating member 310 and to output mid-range and low-range sounds;
A unit cap (330) accommodating the sound layer (320) therein and se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nit frame (311) to send sound output through the sound layer (320) into a user's ear; And
Ear cap 340 for receiving the unit cap 330 and the unit frame 311 to deliver a high-quality sound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ear,
The sound layer 320 generates sound by adhering the sound generating plates 324 and 424 to output the mid-to-high range sounds while vibrating in contact with the sound transmitting plates 301 and 401. Vibration-typ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ubber sheet (322, 422) for outputting low-frequency sound through the change in the sound pressure of the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생성판(324, 424)은 원판, 중앙으로부터 외측 가장자리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를 갖는 원형의 볼록 패턴판(325) 및 중앙의 소정 위치로부터 외측 자장자리로 물결 무늬를 이루는 원형의 물결 형상판(326)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타입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The sound generating plates 324, 424 are circular, convex pattern plate 325 having a disc, a convex portion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edge, and a circular wave pattern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center to the outer magnetic field. Vibration typ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wave plate (32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생성판(324, 424)은 SUS 강판, 니켈, 퍼멀로이 및 베릴륨동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타입 이어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424) is a vibration typ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SUS steel plate, nickel, permalloy and beryllium copp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레이어(322)의 고무 시트(322, 422)의 최외측 단부들이 유닛 캡(330)의 내측 하부 모서리의 단턱에 걸려 지지되고, 중앙부 상에 음향 생성판(324, 424)이 탑재되어, 상기 소리 전달판(301, 401)과 상기 음향 생성판(324, 424)을 접촉시켜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타입 이어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utermost ends of the rubber sheets 322, 422 of the sound layer 322 are supported by the steps of the inner lower edges of the unit cap 330, and sound generating plates 324, 424 are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Vibration typ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sound by contacting the sound transmitting plate (301, 401) and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42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레이어(320)의 고무 시트(322. 422)의 최외측 단부들이 유닛 캡(330)의 내측 하부 모서리의 단턱에 걸려 지지되고, 중앙부에 스페이스(323)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스 상에 음향 생성판(324. 424)이 탑재되어, 상기 소리 전달판(301, 401)과 상기 음향 생성판(324, 424)을 접촉시켜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타입 이어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utermost ends of the rubber sheets 322 and 422 of the sound layer 320 are supported on the stepped portions of the inner lower edges of the unit cap 330, and the sound is formed on the space with the space 323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Vibration typ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ion plate (324. 424) is mounted, the sound transmitting plate (301, 401) and the sound generating plate (324, 424) in contact with the out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프레임(311)의 소리 전달판(301, 401)과, 사운드 레이어의 음향 생성판(324, 424) 및 고무 시트(322, 422)의 중앙에 관통홀(403)이 형성되어 진동부재(310)를 통해 전달되는 고음질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타입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Through-holes 403 are formed in the centers of the sound transmitting plates 301 and 401 of the unit frame 311, the sound generating plates 324 and 424 of the sound layer, and the rubber sheets 322 and 422. Vibration typ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high-quality sound transmitted through 3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403)이 형성된 상기 소리 전달판(301, 401)의 상부 또는 고무 시트(324, 424)의 하부에 패브릭 필터(402)를 접착하여 고음질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타입 이어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Vibration type, characterized in that by adhering the fabric filter 402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ound transmitting plate (301, 401) or the lower portion of the rubber sheet (324, 424) formed with the through hole (403) earphon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레이어의 고무 시트(322, 422)의 최외측 단부들이 유닛 캡(330)의 내측 하부 모서리의 단턱에 걸려 지지되고, 중앙부에는 스페이스가 형성된 상태에서 중앙에 관통홀(403)이 형성된 음향 생성판(424)을 상기 스페이스가 형성된 고무 시트(422)의 말단 상에 결합하고 상기 음향 생성판(424)의 하부에 상기 관통홀(403)을 막도록 패브릭 필터(402)를 접착하여 고음질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타입 이어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utermost ends of the rubber sheets 322 and 422 of the sound layer are supported by the stepped portions of the inner lower edges of the unit cap 330, and a sound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with a through hole 403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Bonding the plate 424 on the end of the space-formed rubber sheet 422 and attaching the fabric filter 402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plate 424 to block the through hole 403, the sound of high quality Vibration typ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KR1020130068422A 2013-06-14 2013-06-14 Vibrative type ear phone KR1013283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422A KR101328390B1 (en) 2013-06-14 2013-06-14 Vibrative type e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422A KR101328390B1 (en) 2013-06-14 2013-06-14 Vibrative type ear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390B1 true KR101328390B1 (en) 2013-11-13

Family

ID=4985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422A KR101328390B1 (en) 2013-06-14 2013-06-14 Vibrative type e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39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491B1 (en) * 2013-12-02 2014-07-14 주식회사 브이디텍 Vibrative type ear phone for outputting sound in multiple chann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273B1 (en) 2009-06-10 2009-12-28 (주)바이브비에스 Vibrative type ear phone
KR101123864B1 (en) 2010-12-13 2012-03-16 최성식 Piezoelectric element type bone conduction earphone supported by bobbin
KR101122126B1 (en) 2010-10-25 2012-03-16 주식회사 에코쉘 Kernel type ear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273B1 (en) 2009-06-10 2009-12-28 (주)바이브비에스 Vibrative type ear phone
KR101122126B1 (en) 2010-10-25 2012-03-16 주식회사 에코쉘 Kernel type earphone
KR101123864B1 (en) 2010-12-13 2012-03-16 최성식 Piezoelectric element type bone conduction earphone supported by bobb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491B1 (en) * 2013-12-02 2014-07-14 주식회사 브이디텍 Vibrative type ear phone for outputting sound in multiple chan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7061B2 (en) Dual earphone using both bone conduction and air conduction
KR101176827B1 (en) Audio apparatus
EP2991376B1 (en) Acoustic reproduction apparatus and sound-collecting acoustic reproduction apparatus
CN114175673B (en) Acoustic output device
KR100934273B1 (en) Vibrative type ear phone
WO2015198683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KR101039090B1 (en) speaker apparatus
JP6100730B2 (en) earphone
JP6515392B2 (en) Voice vibration generator
WO2021063113A1 (en) Bone conduction loudspeaker, bone conduction earphone, and bone conduction hearing aid
KR20080003627A (en) Multi-function micro speaker
JP2004507951A (en) Bone conduction oscillator
JP7101030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adapter and acoustic equipment
JP2010087810A (en) Ear canal type bone conduction receiver
JP2017188885A (en) Bluetooth neck band headset including vibration speaker
JP2008270879A (en) Receiver
JP2011119913A (en) Hybrid type speaker unit and hybrid type speaker
JP2018093516A (en) Listening device utilizing bone conduction
TWI503007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volume and earphone using the same
JP2015109589A (en) Earphone
KR101328390B1 (en) Vibrative type ear phone
EP2991377A1 (en) Acoustic apparatus
JP2016012768A (en) Earphone
US20100232629A1 (en) Sound vibrator having tuning fork
WO2014061646A1 (en)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