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696B1 - Method for providing menu comprising variable menu-set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menu comprising variable menu-set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696B1
KR101326696B1 KR1020060136713A KR20060136713A KR101326696B1 KR 101326696 B1 KR101326696 B1 KR 101326696B1 KR 1020060136713 A KR1020060136713 A KR 1020060136713A KR 20060136713 A KR20060136713 A KR 20060136713A KR 101326696 B1 KR101326696 B1 KR 101326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con
touch screen
displayed
menu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7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61709A (en
Inventor
황호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696B1/en
Priority to US11/849,568 priority patent/US20080163053A1/en
Priority to EP09015870A priority patent/EP2169525A1/en
Priority to EP09015869A priority patent/EP2189885A3/en
Priority to EP07117742A priority patent/EP1942402A1/en
Publication of KR2008006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7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Abstract

표시상태가 변경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한 메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제공된다. 본 메뉴 제공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포함된 메뉴세트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메뉴세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표시상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표시상태가 변경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하여, 비교적 크기가 작은 스크린에 보다 조작이 편리하고 보다 우수한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Provided are a method of providing a menu using a menu set whose display state is changeable, and a multimedia apparatus using the same. The present method of providing a menu includes displaying a menu set including at least one icon on a touch screen, and changing and displaying a display state of at least one icon included in the menu set. Accordingly, by using a menu set whose display state is changea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nu which is more convenient for operation and provides a better visual effect on a relatively small screen.

터치 스크린, 메뉴세트, 메뉴 아이콘, 제어 아이콘, 조작세트 Touch screen, menu set, menu icon, control icon, operation set

Description

표시상태가 변경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한 메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Method for providing menu comprising variable menu-set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Method for providing menu using a menu set whose display state is changeable and a multimedia device applying the same

도 1a 내지 도 1c는 이동가능한 메뉴세트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Figs. 1A to 1C are diagrams provided in a conceptual description of a movable menu set,

도 2a 내지 도 2c는 메뉴세트의 표시상태가 변경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FIGS. 2A to 2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the display state of a menu set,

도 3a 내지 도 3d는 보다 구체적인 메뉴세트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FIGS. 3A through 3D are diagrams provided to explain a more detailed menu set,

도 4a 및 도 4b는 터치 스크린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있는 경우에,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격자들이 변화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FIGS. 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the grating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user's touch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도 5a 내지 도 5d는 메뉴세트를 구성하는 메뉴 아이콘을 이용하여 메뉴를 실행시키는 과정 및 메뉴에 대한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에서 메뉴세트의 표시상태가 변경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5A to 5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xecuting a menu by using a menu icon constituting a menu set and a process of changing a display state of a menu set in a state where an execution screen for the menu is displayed;

도 6a 및 도 6b는 메뉴세트의 표시상태가 변경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6A and 6B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nation of a process of changing the display state of a menu set,

도 7a 및 도 7b는 특정 메뉴가 실행되는 중에 메뉴세트를 이용하여 다른 메뉴로 직접이동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7A and 7B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to a different menu using a menu set while a specific menu is being executed;

도 8a 및 도 8b는 컨텐츠 플레이어와 메뉴세트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경우 메뉴세트를 조작세트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8A and 8B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a set of menus by changing an operation set when a content player and a menu set ar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도 9a 및 도 9b는 메뉴 아이콘이 나타내는 메뉴를 다른 메뉴로 변경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9A and 9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a menu represented by a menu icon to another menu,

도 10a 및 도 10b는 최근에 재생되었던 컨텐츠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FIGS. 10A and 10B are drawings provided for explanation of a process of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that have been recently reproduced,

도 11은 지금까지 설명한 메뉴세트를 이용하여 구현된 GUI를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럭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GUI implemented using the menu set described abov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0 : 멀티미디어 기능블럭210: Multimedia function block

220 : GUI부220: GUI section

100, 230 : 터치 스크린100, 230: Touch screen

240 : 제어부240:

본 발명은 메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provi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roviding a menu through a touch screen of a multimedia device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근자에 이르러 멀티미디어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는,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디지털 기술이 영상기기에 접목되어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In recent years, the functions provided by multimedia devices are increasing. This has enabled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technology, which has achieved remarkable development, in video equipment.

이와 같이 많은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는 제공하는 기능이 많기 때문에, 사용방법이 매우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또한, 제공하는 기능이 많기 때문에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 하는 메뉴는 매우 많다.Since multimedia devices having many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have many functions, the method of use is very complicated. Also, since there are many functions to provide, there are many menus that must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screen.

하지만,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경우 스크린의 크기가 작은 관계로, 복잡하고도 많은 메뉴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고, 우수한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메뉴에 대한 요청도 여전히 중요한 과제이다.However, in the case of portable multimedia devices, since the screen size is small, it is important to provide more complicated and many menus efficiently. Also, a request for a menu that is user-friendly and provides good visual effects is still an important challen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크기가 작은 스크린에 보다 조작이 편리하고 보다 우수한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표시상태가 변경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한 메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nu for providing a menu which is more convenient for operation and provides a better visual effect on a relatively small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nu providing method using a changeable menu set, and a multimedia device apply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제공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포함된 메뉴세트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1 표시단계; 및 상기 메뉴세트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표시상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2 표시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nu providing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menu set including at least one icon on a touch screen; And a second display step of changing and displaying a display state of the at least one icon included in the menu set.

그리고, 상기 제2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에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는, 상기 제1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에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 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of icons included in 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step may be smaller than the number of icons included in 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step.

또한, 상기 제1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에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는 복수이며, 상기 제2 표시단계는, 상기 제1 표시단계 수행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메뉴세트에 포함된 아이콘이 하나가 되도록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icons included in 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step is plural, and in the second display step,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performing the first display step, the icons included in the menu set are displayed. It can be changed to display one.

그리고, 상기 제1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 및 상기 메뉴세트의 표시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는, 상기 제1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이 사라진 메뉴세트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step includes at least one menu icon representing at least one menu and a control icon used to input a control command associated with the display of the menu set, wherein the second display is displayed. Preferably, 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step is a menu set in which the at least one menu icon disappears from 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step.

또한, 상기 제2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에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는, 상기 제1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에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icons included in 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step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icons included in 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step.

그리고, 상기 제1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에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는 하나이며, 상기 제2 표시단계는, 상기 제1 표시단계 수행 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의 특정 조작이 있으면, 상기 메뉴세트에 포함된 아이콘이 복수가 되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of icons included in 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step is one, and in the second display step, if a user's specific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fter performing the first display step, the menu set is displayed. It is preferable to change and display the icons included in the plurality.

또한, 상기 제1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는, 상기 메뉴세트의 표시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는, 상기 제1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이 부가된 메뉴세트일 수 있 다.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step may include a control icon used to input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of the menu set, and 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step may include the first display. It may be a menu set to which at least one menu icon representing at least one menu is added in 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step.

그리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의 특정 조작은, 상기 제어 아이콘을 터치하는 조작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ser's specific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is preferably an operation of touching the control icon.

또한, 상기 제2 표시단계는, 상기 제1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메뉴세트를 반투명하게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e second display step, 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step may be changed to be translucent and displayed.

그리고, 상기 제2 표시단계는, 상기 제1 표시단계 수행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display step may be performe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display step is performed.

또한, 본 메뉴 표시방법은, 상기 제2 표시단계에서 반투명하게 변경된 메뉴세트에 포함된 아이콘이 하나가 되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3 표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nu display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isplay step of changing and displaying the icons included in the menu set semi-transparently changed in the second display step so as to become one.

그리고, 본 메뉴 표시방법은, 상기 메뉴세트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어 있는 메뉴블럭을 함께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nu display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appearing the menu set displayed on the menu set and the touch screen together.

또한, 상기 사라지게 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세트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후 또는 상기 메뉴세트 및 상기 메뉴블럭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있으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ppearing may be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a time when there is no user's manipulation using the menu set or when a user's touch manipulation is performed on an area where the menu set and the menu block are not located.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a 내지 도 1c는 이동가능한 메뉴세트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a에는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된 '이동가능한 메뉴세트'(이하, '메뉴세트'로 약칭)가 도시되어 있는데, 메뉴세트는 9개의 아이콘들로 구성되어 있다.1A to 1C are diagrams provided in a conceptual description of a movable menu set. 1A shows a 'movable menu set' (hereinafter abbreviated as 'menu se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The menu set is composed of nine icons.

메뉴세트는 터치 스크린(100) 상에서 이동가능하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 와 같은 사용자(U)의 드래그(Drag) 조작에 의해, 메뉴세트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U)가 '메뉴세트의 중앙에 위치한 아이콘'(이하, '중앙 아이콘'으로 약칭)을 원하는 지점에 드래그하면 메뉴세트는 드래그 궤적에 따라 이동된다.The menu set is movable on the touch screen 100. That is, by the drag operation of the user U as shown in FIG. 1B, the menu set is moved as shown in FIG. 1C.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U drags an icon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enu set (hereinafter, abbreviated as 'center icon') to a desired point, the menu set is moved according to the drag trajectory.

또한, 메뉴세트의 표시상태는 변경가능하며, 이하에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state of the menu set can be changed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C.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 메뉴세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U)에 의해 중앙 아이콘이 터치 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세트를 구성하는 아이콘들 중 중앙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들은 터치 스크린(100)에서 사라진다. 즉, 터치 스크린(100)에는 중앙 아이콘만이 남게 된다. 환언하면, 메뉴세트의 중앙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U)의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개수는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2A, when the center icon is touched by the user U in a state that the menu se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as shown in FIG. 2B, among the icons constituting the menu set, The remaining icons disappear from the touch screen 100. That is, only the center icon is left on the touch screen 100.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ico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is reduced by the user U touching the center icon of the menu set.

위와 다르게, 터치 스크린(100)에 메뉴세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U)의 아무런 조작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 되면, 터치 스크린(100)에는 중앙 아이콘만이 남게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f the menu se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and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without any operation of the user U, only the center icon may be left on the touch screen 100.

또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 중앙 이이콘만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U)에 의해 중앙 아이콘이 다시 터치 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라졌던 아이콘들이 터치 스크린(100)에 다시 나타나게 된다. 즉, 터치 스크린(100)에는 메뉴세트가 다시 표시되게 된다. 환언하면, 남겨진 중앙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U)의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개수는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2C, when the center icon is again touched by the user U in a state where only the center ico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the icons disappear as shown in FIG. 2A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 That is, the menu se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again.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ico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is increased by the touch of the user U with respect to the center icon left.

도 3a 내지 도 3d는 보다 구체적인 메뉴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는 도 1a에 도시된 메뉴세트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a에 도시된 메뉴세트 역시 9개의 아이콘들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9개의 아이콘들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며, 외곽의 형상은 원형으로 모두 동일하다.3A to 3D are diagrams showing a more specific menu set. FIG. 3A shows the menu set shown in FIG. 1A more specifically. The menu set shown in FIG. 3A also has nine icons. As shown, the sizes of the nine icons are all the same, and the shapes of the outlines are all the same in a circular shape.

이 9개의 아이콘들 중 메뉴세트의 외곽에 위치하는 8개의 아이콘들은 '메뉴 아이콘'들이며, 메뉴세트의 중앙에 위치하는 아이콘은 '제어 아이콘'이다. 제어 아이콘은 도 1a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중앙 아이콘에 해당한다.Among these nine icons, eight icons located outside the menu set are 'menu icons', and the icon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enu set is the 'control icon'. The control icons correspond to the center icon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1A.

'메뉴 아이콘'은 메뉴를 나타내는 아이콘(즉,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으로, 도 3a에 도시된 메뉴 아이콘들은 각각 탐색-메뉴, 게임-메뉴, 녹음-메뉴, 음악-메뉴, 영화-메뉴, 사진-메뉴, 문서-메뉴, DMB-메뉴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이다.The menu icons shown in FIG. 3A correspond to the navigation-menu, the game-menu, the recording-menu, the music-menu, and the music- Menus, movie-menus, photo-menus, document-menus, and DMB-menus.

'제어 아이콘'은 '메뉴세트의 표시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이다.The 'control icon' is an icon used to input the 'control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of the menu set'.

'메뉴세트의 표시와 관련된 제어명령'이란, '메뉴세트를 이동시키 위한 명령', '메뉴세트의 표시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 등을 말한다. 제어 아이콘(중앙 아이콘)을 원하는 지점에 드래그하는 사용자(U)의 조작은 '메뉴세트를 이동시키 위한 명령'의 일종이다.The control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of the menu set refers to a command for moving the menu set, a command for changing the display state of the menu set, and the like. The operation of the user (U) dragging the control icon (center icon) to a desired point is a kind of 'command for moving the menu set'.

또한, 메뉴세트의 제어 아이콘(중앙 아이콘)을 터치하여 터치 스크린(100)에서 메뉴 아이콘들을 사라지게 하는 조작이나, 남겨진 제어 아이콘을 터치하여 사라 진 메뉴 아이콘들이 터치 스크린(100)에 다시 나타나게 하는 조작은 '메뉴세트의 표시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에 해당한다. 이에 따르면, 메뉴세트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것은, 메뉴세트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일부에 대한 표시상태(표시/미표시)를 변경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ration of touching the control icon (center icon) of the menu set to dismiss the menu icons on the touch screen 100 or an operation of touching the left control icon to display the disappeared menu icons on the touch screen 100 Quot; command for changing the display state of the menu set ". According to this, changing the display state of the menu set can be interpreted as changing the display state (displayed / not displayed) of some of the icons included in the menu set.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격자들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격자들은 메뉴세트를 구성하는 아이콘들이 위치할 수 있는 지점들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A, grid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FIG. These grids represent points where the icons that make up the menu set can be located.

따라서, i) 사용자(U)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를 시작하고, ii)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를 종료하면, iii)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아이콘은 드래그 종료된 지점에 위치하는 격자로 이동하고, 메뉴 아이콘들은 제어 아이콘의 주변에 위치하는 격자들로 이동하여, 메뉴세트가 이동하게 된다.Thus, i) when the user U starts dragging on the control icon as shown in Fig. 3B, ii) ends dragging on the control icon as shown in Fig. 3C, iii) As shown, the control icon moves to a grid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dragging is ended, and the menu icons move to the grids located around the control icon, and the menu set is moved.

드래그 종료된 지점에 격자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어 아이콘은 드래그 종료된 지점에서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격자로 이동하고, 메뉴 아이콘들은 제어 아이콘의 주변에 위치하는 격자들로 이동하여, 메뉴세트가 이동하게 된다.If there is no grid at the end point of the dragging, the control icon moves to the grid closest to the point where the dragging is completed, and the menu icons move to the grids located around the control icon, do.

한편, 사용자(U)의 드래그 종료 전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종료가 있게 되면 메뉴 아이콘들이 위치할 격자들에 메뉴 아이콘들이 희미하게 표시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C, when dragging is terminated, the menu icons are dimly displayed on the grids where the menu icons are positioned before the end of the drag of the user U.

지금까지, 사용자(U)의 드래그 조작에 의해 메뉴세트가 이동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메뉴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U)의 조작은 드래그 조작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조작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Up to now, the process of moving the menu set by the drag operation of the user U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operation of the user U for moving the menu set is not limited to only the drag operation, and other operation methods can be applied.

예를 들어, i) 사용자(U)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아이콘을 터치한 후, ii)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아이콘이 위치하지 않은 다른 격자를 터치하면, iii)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아이콘은 터치된 다른 격자로 이동하고, 메뉴 아이콘들은 제어 아이콘의 주변에 위치하는 격자들로 이동하여, 메뉴세트가 이동하는 방식도 가능하다.For example, if i) the user U touches the control icon as shown in FIG. 3B, and then ii) touches another grid where the control icon is not located as shown in FIG. 3C, iii) The control icon moves to another touched grid, and the menu icons move to the grids located around the control icon, so that the menu set moves.

다른 예로, i) 사용자(U)가 제어 아이콘을 터치한 후 ii) 특정 방향으로 짧게 드래그 하면, iii) 제어 아이콘에 인접한 격자들 중 특정 방향에 위치한 격자로 제어 아이콘이 이동하고, 메뉴 아이콘들은 제어 아이콘의 주변에 위치하는 격자들로 이동하여, 메뉴세트가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도 가능하다.In another example, i) a control icon is moved to a grid located in a specific direction among grids adjacent to the control icon, and the menu icons are controlled by a control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o the grids located around the icon to cause the menu set to move.

이하에서는, 터치 스크린(100) 상에서 사용자(U)의 터치 조작이 있는 경우에,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된 격자들이 변화하는 과정에 대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changing the gri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when the user U touches the touch screen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에 의해 터치된 격자의 크기는 다른 격자들의 크기보다 크게 변경된다. 또한, 터치된 격자에 가장 인접한 격자들(터치된 격자의 상/하/좌/우에 위치한 격자들)의 크기는, 터치된 격자의 크기보다는 작지만, 터치된 격자를 제외한 다른 격자들의 크기보다 크게 변경된다.As shown in FIG. 4A, the size of the grid touched by the user U is changed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grids. In addition, the size of the gratings closest to the touched grating (grids located at the top / bottom / left / right of the touched grating)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touched grating, do.

즉, 터치 스크린(100)에 대한 사용자(U)의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100)에 나타나는 격자들의 크기는 변경되며, 변경된 크기는 1) 터치된 격자, 2) 터치된 격자에 가장 인접한 격자들, 3) 가장 인접한 격자들에 인접한 격자들 순이다.That is, by the touch of the user U to the touch screen 100, the sizes of the grids appearing on the touch screen 100 are changed, and the changed sizes are 1) a touched grid, 2) , And 3) the grids adjacent to the closest grids.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에 의해 메뉴 아이콘이 터치 되면 메뉴세트에 인접한 격자들의 크기가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메뉴세트에 가장 인접한 격자들(메뉴세트의 상/하/좌/우에 위치한 격자들)의 크기가 커지며, 메뉴세트에 가장 인접한 격자들에 인접한 격자들(메뉴세트에 가장 인접한 격자들의 상/하/좌/우에 위치한 격자들)은 메뉴세트에 가장 인접한 격자들 보다 조금 작게 커진다.In addition, when the menu icon is touched by the user U as shown in FIG. 4B, the sizes of the grids adjacent to the menu set are changed. Specifically, the size of the grids closest to the menu set (the grids located at the top / bottom / left / right of the menu set) increases, and the grids adjacent to the grids closest to the menu set / Lower / left / right grids) are slightly smaller than the grids closest to the menu set.

이하에서는, 메뉴세트를 구성하는 메뉴 아이콘을 이용하여 메뉴 아이콘이 나타내는 메뉴를 실행시키는 과정 및 메뉴에 대한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에서 메뉴세트의 표시상태가 변경되는 과정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5A to 5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menu represented by the menu icon using the menu icon constituting the menu set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display state of the menu set in the state where the execution screen for the menu is display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메뉴 아이콘이 사용자(U)에 의해 터치 되면, 그 메뉴 아이콘이 나타내는 메뉴가 실행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에 의해 영화-메뉴 아이콘이 터치 되면 영화-메뉴가 실행되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는 영화-메뉴에 대한 실행화면으로 동영상 플레이어가 표시된다. 그리고, 메뉴세트는 반투명하게 변경되어, 동영상 플레이어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방해를 방지한다.When the menu icon is touched by the user U, the menu represented by the menu icon is executed. 5A, when the movie-menu icon is touched by the user U, the movie-menu is executed, and as shown in FIG. 5B, the execution screen for the movie-menu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The video player is displayed. Then, the menu set is changed in a translucent manner, thereby preventing the user's viewing of the video player from being disturbed.

또한, 동영상 플레이어가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U)의 조작이 없으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는 반투명한 제어 아이콘만이 남게 된다. 즉, 반투명한 메뉴 아이콘들은 터치 스크린(100)에서 사라진다.Also, if the user U is not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video player is displayed, only the semi-transparent control icon remains on the touch screen 100 as shown in FIG. 5C. That is, the translucent menu icons disappear from the touch screen 100.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 동영상 플레이어와 함께 반투명한 메뉴세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U)에 의해 반투명한 중앙 아이콘 이 터치 된 경우에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는 반투명한 제어 아이콘만이 남게 된다.5B, even when a semitransparent center icon is touched by the user U while a semi-transparent menu set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oving picture player on the touch screen 100, as shown in FIG. 5C Only a translucent control icon is left on the touch screen 100. [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 동영상 플레이어와 함께 반투명한 제어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에 의해 반투명한 제어 아이콘이 터치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는 반투명한 메뉴세트가 다시 나타나게 된다.5C, when a semitransparent control ico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together with the moving picture player and the semi-transparent control icon is touched by the user U as shown in FIG. 5D, The translucent menu set is displayed again on the touch screen 100 as shown in FIG. 5B.

이하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메뉴세트의 표시상태가 변경되는 과정에 대해,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changing the display state of the menu set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이 다른 방식은, 터치 스크린(100)에 메뉴세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U)의 조작이 없는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세트가 반투명하게(또는, 흐리게) 변경되는 방식이다.This other method is a method in which when the menu se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and the user U does not oper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menu set is changed to be translucent (or blurred) to be.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 반투명한 메뉴세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U)에 의해 반투명한 제어 아이콘이 터치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는 불투명한(또는, 진한) 메뉴세트가 다시 나타나게 된다.6A, when a semitransparent control icon is touched by the user U in a state that a semi-transparent menu se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a touch screen 100 The opaque (or darker) menu set will reappear.

한편,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 반투명한 메뉴세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U)의 조작이 없는 경우, 터치 스크린(100)에는 반투명한 제어 아이콘만이 남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a semi-transparent menu se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as shown in FIG. 6A, and there is no manipulation of the user U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nly a semi-transparent control icon remains on the touch screen 100 .

다른 한편으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 반투명한 메뉴세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U)의 조작이 없는 경우, 터치 스 크린(100)에서 반투명한 메뉴세트가 사라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user U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translucent menu se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as shown in FIG. 6A, the translucent menu se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It can be implemented to disappear.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은 반투명한 메뉴세트와 특정 메뉴에 대한 실행화면이 터치 스크린(100)에 함께 표시된 경우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스크린(100)에 실행화면과 반투명한 메뉴세트가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U)의 조작이 없는 경우, 실행화면에 나타난 메뉴블럭과 메뉴세트가 함께 사라지도록 구현하는 것이다.Such a method can be applied even when a semi-transparent menu set and an execution screen for a specific menu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touch screen 100. [ Specifically, when the user U is not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the execution screen and the translucent menu set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the menu block and the menu set displayed on the execution screen disappear together will be.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화-메뉴의 실행화면인 동영상 플레이어와 반투명한 메뉴세트가 터치 스크린(100)에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U)의 조작이 없으면, 도 5b의 하단에 도시된 동영상 플레이어의 재생에 필요한 메뉴블럭과 반투명한 메뉴세트가 함께 사라지는 것을 들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B, if there is no operation of the user U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the movie player, which is the execution screen of the movie-menu, and the translucent menu set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touch screen 100, The menu block necessary for the reproduction of the moving picture player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6 and the semi-transparent menu set disappear together.

이 밖에도, 메뉴블럭과 메뉴세트가 나타나지 않은 터치 스크린(100)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U)의 터치가 있으면, 메뉴블럭과 메뉴세트가 함께 사라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there is a menu block and a touch of the user U on the area of the touch screen 100 where the menu set is not displayed, the menu block and the menu set disappear together.

이하에서는, 특정 메뉴가 실행되는 중에, 메뉴세트를 이용하여 다른 메뉴로 직접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directly moving to another menu using a menu set while a specific menu is being execu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도 7a에는 영화-메뉴가 실행되어, 영화-메뉴에 대한 실행화면으로 동영상 플레이어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100)을 도시하였다. 메뉴세트는 터치 스크린(100)에 반투명하게 표시되어 있다. 즉, 메뉴세트는 동영상 플레이어에 오버랩되어 있다.7A shows a touch screen 100 in which a movie-menu is executed and a video player is displayed as an execution screen for a movie-menu. The menu set is displayed in a translucent manner on the touch screen 100. That is, the menu set overlaps the video player.

메뉴세트는 제어 아이콘과 최상위 메뉴들을 나타내는 메뉴 아이콘들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메뉴세트에 구성된 메뉴 아이콘들이 나타내는 메뉴들인 탐색-메 뉴, 게임-메뉴, 녹음-메뉴, 음악-메뉴, 영화-메뉴, 사진-메뉴, 문서-메뉴, DMB-메뉴는 최상위 메뉴일 수 있다.The menu set can consist of control icons and menu icons representing the top level menus. That is, the menus represented by the menu icons set in the menu set may be the top menu such as the navigation menu, the game menu, the recording menu, the music menu, the movie menu, the photo menu, the document menu and the DMB menu .

이때,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된 실행화면의 종류와 관계없이,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되는 메뉴세트를 구성하는 메뉴 아이콘들이 동일하다면, 사용자는 수 차례에 걸친 메뉴탐색을 거치지 않고서도, 현재 실행화면이 소속된 최상위 메뉴와 다른 최상위 메뉴를 실행시켜 최상위 메뉴의 실행화면이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menu icons constituting the menu se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are the same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execution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The execution screen of the top level menu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by executing the top level menu different from the top level menu to which the execution screen belongs.

즉, 메뉴세트에 나타난 메뉴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U)의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100)에는 터치된 메뉴 아이콘이 지시하는 최상위 메뉴에 대한 실행화면이 표시되는 것이다.That is, the touch screen 100 displays an execution screen for the top level menu indicated by the touched menu icon by touching the menu icon displayed on the menu set.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플레이어와 메뉴세트가 터치 스크린(100)에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음악-메뉴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U)의 터치가 있으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는 음악-메뉴에 대한 실행화면인 오디오 플레이어가 표시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user U touches the music-menu icon while the video player and the menu set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touch screen 100 as shown in FIG. 7A, The screen 100 displays an audio player which is an execution screen for the music-menu.

마찬가지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플레이어와 메뉴세트가 터치 스크린(100)에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영화-메뉴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U)의 터치가 있으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는 영화-메뉴에 대한 실행화면인 동영상 플레이어가 표시되게 된다.Similarly, if there is a touch of the user U on the movie-menu icon while the audio player and the menu set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touch screen 100 as shown in Fig. 7B, 100), a video player, which is an execution screen for the movie-menu, is displayed.

한편, 사용자(U)에 의해 터치된 메뉴 아이콘이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메뉴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면, 그 메뉴에 대한 실행화면인 컨텐츠 플레이어를 통해 최종적 으로 재생되었던 컨텐츠의 최종재생시점을 재생하는 컨텐츠 플레이어나, 그 최종재생시점에 대한 재생을 준비하고 있는 컨텐츠 플레이어가 터치 스크린(100)에 바로 표시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menu icon touched by the user U is an icon representing a menu related to content playback, a content player that plays the final playback point of the content that was ultimately played back through the content player,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such that a content player preparing for reproduction at the final playback point is direct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

이 밖에도, 사용자(U)에 의해 터치된 메뉴 아이콘이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메뉴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면, 컨텐츠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가능한 컨텐츠들의 리스트가 터치 스크린(100)에 바로 표시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f the menu icon touched by the user U is an icon representing a menu related to content reproduction, a list of contents reproducible through the content player may be displayed directly on the touch screen 100. [

여기서, 컨텐츠는 음악, 영화와 같은 동영상, 사진과 같은 정지영상일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컨텐츠들에 대한 메뉴 아이콘은 음악-메뉴 아이콘, 영화-메뉴 아이콘, 사진-메뉴 아이콘이다.Here, the content may be a music, a motion picture such as a movie, or a still image such as a photograph. In this case, the menu icons for the respective contents are a music-menu icon, a movie-menu icon, and a photo-menu icon.

이하에서는, 컨텐츠 플레이어와 메뉴세트가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된 경우 메뉴세트를 조작세트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조작세트란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명령들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아이콘들의 세트(집합)이다.Hereinafter, a process of changing a set of menus and displaying an operation set when the set of content players and menus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A and 8B. Here, the operation set is a set (set) of operation icons for inputting commands related to content reproduction.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플레이어와 메뉴세트가 터치 스크린(100)에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U)의 '긴-터치'가 있으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세트는 오디오 플레이어에 대한 조작세트로 변경된다. 여기서, '긴-터치'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터치를 말한다.8A, when the audio player and the menu set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touch screen 100, if there is a 'long-touch' of the user U with respect to the control icon, as shown in FIG. 8B, The operation set for the audio player is changed. Here, 'long-touch' refers to a touch that is maintained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플레이어와 조작세트가 터치 스크린(100)에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조작세트의 중앙에 위치한 조작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U)의 긴-터치가 있으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세트는 메뉴세트로 복 원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long-touch of the user U to the operation icon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peration set while the audio player and the operation set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touch screen 100 as shown in Fig. 8B, As described, the operation set is restored to the menu set.

도 8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오디오 플레이어에 대한 조작세트는 5개의 조작 아이콘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5개의 조작 아이콘들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며, 외곽의 형상 역시 원형으로 모두 동일하다.As shown in FIG. 8A, the operation set for the audio player is composed of five operation icons. The sizes of the five operation icons are all the same, and the shape of the outline is also the same in the circular shape.

또한, 조작 아이콘의 크기와 외곽의 형상은 메뉴 아이콘(또는 제어 아이콘)의 크기와 외곽의 형상은 동일하다. 필요에 따라, 조작 아이콘의 크기와 외곽의 형상은 메뉴 아이콘(또는 제어 아이콘)의 크기와 외곽의 형상과 다르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operation icon and the shape of the outline ar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menu icon (or control icon) and the shape of the outline. Needless to say, the size of the operation icon and the shape of the outline may be different from the size of the menu icon (or control icon) and the shape of the outline.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플레이에 대한 조작세트는 음악 재생/정지 명령, 빨리감기 명령, 되감기 명령, 볼륨-업 명령 및 볼륨-다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아이콘들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B, the operation set for the audio play consists of operation icons for inputting a music play / stop command, a fast forward command, a rewind command, a volume-up command, and a volume-down command.

하지만, 조작세트는 컨텐츠 플레이어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조작 아이콘들로 구성할 수 있다. 즉, DMB 플레이어에 대한 조작세트는 볼륨-업 명령, 볼륨-다운 명령, 채널-업 명령 및 채널-다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아이콘들로 구성할 수 있다.However, the operation set can be composed of different kinds of operation icons according to the content player. That is, the operation set for the DMB player may comprise operation icons for inputting a volume-up command, a volume-down command, a channel-up command, and a channel-down command.

또한, 동영상 플레이어에 대한 조작세트는 오디오 플레이에 대한 조작세트와 동일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t for the video player may be the same as the operation set for the audio play.

이하에서는, 메뉴 아이콘이 나타내는 메뉴를 다른 메뉴로 변경하는 과정에 대해,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enu represented by the menu icon to another menu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A and 9B.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세트가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된 상태에서 메뉴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U)의 긴-터치가 있으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된 메뉴 아이콘의 주변 영역에 메뉴 리스트가 표시된다. 이때, 메뉴 리스트를 구성하는 메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U)의 터치가 있으면, 메뉴 아이콘은 터치된 메뉴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변경되게 된다.9A, if there is a long-touch of the user U with respect to the menu icon in a state that the menu se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as shown in FIG. 9B, A list is displayed. At this time, if there is a touch of the user U with respect to any of the menus constituting the menu list, the menu icon is changed to an icon representing the touched menu.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메뉴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U)의 긴-터치가 있은 후에 표시된 메뉴 리스트를 구성하는 메뉴들 중 라디오-메뉴에 대한 사용자(U)의 터치가 있으면, 음악-메뉴 아이콘은 라디오 메뉴를 나타내는 라디오-메뉴 아이콘으로 변경되게 된다.For example, if there is a touch of the user U to the radio-menu among the menus constituting the displayed menu list after the long-touch of the user U with respect to the music-menu icon as shown in FIG. 9B , The music-menu icon is changed to a radio-menu icon representing the radio menu.

이하에서는, 최근에 재생되었던 컨텐츠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displaying a list of recently played cont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A and 10B.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들이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된 상태에서, 메뉴세트가 위치하지 않은 격자에 대한 사용자(U)의 긴-터치가 있으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된 격자의 인접영역에 '최근에 재생되었던 컨텐츠들에 대한 리스트'(이하, '컨텐츠 리스트'로 약칭)가 표시된다. 이때, 컨텐츠 리스트를 구성하는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U)의 터치가 있으면, 터치된 컨텐츠가 재생되게 된다.10A, if there is a long-touch of the user U for a grid where the menu set is not located, the screen of the touch grid 100, as shown in FIG. 10B, (Hereinafter abbreviated as " content list ") is displayed in the adjacent area. At this time, if the user U touches any one of the contents constituting the contents list, the touched contents are reproduced.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0)에 나타난 격자들 중 임의의 격자에 대한 사용자(U)의 긴-터치가 있은 후에 표시된 컨텐츠 리스트를 구성하는 컨텐츠들 중 "Superman.avi"에 대한 사용자(U)의 터치가 있으면, 터치 스크린(100)에는 "Superman.avi"를 재생하는 동영상 플레이어가 표시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B, among the contents constituting the displayed content list after the long-touch of the user U for any of the grid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Superman.avi Quot ;, a moving picture player for playing "Superman.avi"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

한편,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에 의해 긴-터치된 격자의 크기는 다른 격자들의 크기보다 크게 변경된다. 또한, 긴-터치된 격자에 가장 인접한 격자들(긴-터치된 격자의 상/하/좌/우에 위치한 격자들)의 크기는 긴-터치된 격자의 크기보다는 작지만, 긴-터치된 격자를 제외한 다른 격자들의 크기보다 크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B, the size of the long-touched lattice by the user U is chang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other lattices. Also, the size of the gratings closest to the long-touched grating (grids located at the top / bottom / left / right of the long-touched grating)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long-touched grating,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other gratings.

즉, 터치 스크린(100)에 대한 사용자(U)의 긴-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100)에 나타나는 격자들의 크기는 변경되며, 변경된 크기는 1) 긴-터치된 격자, 2) 긴-터치된 격자에 가장 인접한 격자들, 3) 가장 인접한 격자들에 인접한 격자들 순이다.That is, by the long-touch of the user U on the touch screen 100, the sizes of the grids appearing on the touch screen 100 are changed and the changed sizes are 1) long-touch lattice, 2) The closest lattice to the closest lattice, and 3) the closest lattice to the closest lattice.

한편, 최근에 재생되었던 컨텐츠들에 대한 리스트 이외에 새로이 획득된 컨텐츠들에 대한 리스트나 사용빈도수가 높은 컨텐츠들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메뉴세트가 위치하지 않은 격자에 대한 사용자(U)의 긴-터치가 있는 경우에 표시되는 리스트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a list of newly acquired contents or contents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in addition to the list of contents that have been recently played back. Of course, The type of the list displayed when there is a long-touch of the user U can be set by the user.

뿐만 아니라, 메뉴세트가 위치하지 않은 격자에 대한 사용자(U)의 긴-터치가 있으면, 터치 스크린(100)에는 최근에 접속하였었던 인터넷 사이트들에 대한 리스트난 접속 빈도수가 인터넷 사이트들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there is a long-touch of the user U with respect to the grid where the menu set is not located, the list screen access frequency for the Internet sites that have recently been connected to the touch screen 100 May be displayed.

도 11은 지금까지 설명한 메뉴세트를 이용하여 구현된 GUI를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럭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는 멀티미디어 기능블럭(210), GUI(Graphical User Interface)부(220), 터치 스크 린(230) 및 제어부(240)를 구비한다.1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GUI implemented using the menu set described above. 11, the multimedia device includes a multimedia function block 210,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unit 220, a touch screen 230, and a control unit 240.

멀티미디어 기능블럭(210)은 파일탐색기능, 게임기능, 녹음기능, 음악재생기능, 영화재생기능, 사진재생기능, 문서작성기능, DMB재생기능 등 본 멀티미디어 기기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210 performs functions of the present multimedia devices such as a file search function, a game function, a recording function, a music playback function, a movie playback function, a photo playback function, a document creation function, and a DMB playback function.

GUI부(220)는 멀티미디어 기능블럭(210)에서 생성되는 영상에 메뉴세트를 이용하여 구현된 GUI를 부가한다.The GUI unit 220 adds a GUI implemented using a menu set to an image generated by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210. [

터치 스크린(230)에는 GUI부(220)에서 출력되는 메뉴세트를 이용하여 구현된 GUI가 부가된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터치 스크린(230)은 사용자(U)의 터치, 긴-터치, 드래그 조작 등을 입력받는 수단이다.The touch screen 230 displays an image added with a GUI implemented using the menu set outputted from the GUI unit 220. [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230 is a means for receiving touch, long-touch, drag operation, etc. of the user U.

제어부(240)는 터치 스크린(230) 또는 조작수단(미도시)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능블럭(210)의 기능수행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functioning of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210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nputted through the touch screen 230 or the operation means (not shown).

또한,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부합하는 GUI가 터치 스크린(230)에 표시되도록 GUI부(22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GUI unit 220 to display a GUI corresponding to a user's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230.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2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뉴세트를 이동시키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메뉴세트가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GUI부(220)를 제어한다.Specifically, when a command for moving a menu set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230, 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GUI unit 220 to move the menu set according to the inputted command and display the menu set.

또한, 터치 스크린(2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뉴세트의 표시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메뉴세트의 표시상태가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GUI부(220)를 제어한다.When a command for changing the display state of the menu set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230, the controller 240 controls the GUI unit 220 to change the display state of the menu set according to the inputted command, .

또한,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스크린(230)을 통해 사용자의 아무런 조작도 입 력되지 않은 경우에도, 제어부(240)는 메뉴세트의 표시상태가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GUI부(220)를 제어한다.Also, even if no operation of the user is inputted through the touch screen 23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GUI unit 220 so that the display state of the menu set is changed and displayed.

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230)에 표시된 격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있는 경우, 제어부(240)는 격자들의 표시상태를 변경하거나, 터치된 격자의 주변영역에 메뉴 리스트 또는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GUI부(220)를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user's touch operation on the gri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30, the control unit 240 changes the display state of the grids or displays the menu list or the content list in the peripheral area of the touched grid (220).

또한, 제어부(240)는 메뉴세트가 조작세트로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GUI부(220)를 제어하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메뉴가 실행되되도록 멀티미디어 기능블럭(210)을 기능수행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GUI unit 220 to display a menu set changed to an operation set, and controls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210 so that a menu touched by the user is execu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상태가 변경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하여, 비교적 크기가 작은 스크린에 보다 조작이 편리하고 보다 우수한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menu set whose display state is changea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nu which is more convenient for operation and provides a better visual effect on a relatively small scree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포함된 메뉴세트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1 표시단계; 및A first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menu set including at least one icon on a touch screen; And 상기 메뉴세트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표시상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2 표시단계;를 포함하며,And a second display step of changing and displaying a display state of the at least one icon included in the menu set. 상기 메뉴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 및 상기 메뉴 세트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며, The menu set includes at least one menu icon and a control icon for controlling a display state of the menu set. 상기 제2 표시단계는,Wherein the second display step comprises: 상기 제1 표시단계 수행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을 제거하고, 상기 제어 아이콘만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며,If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performing the first display step, the at least one menu icon is removed, and only the control ico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상기 제어 아이콘만이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을 다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방법.And if the control icon is selected while only the control ico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displaying the at least one menu icon agai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에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는, 상기 제1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세트에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 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방법.The number of icons included in 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step is less than the number of icons included in the menu set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ste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using a touch screen, 메뉴를 나타내는 메뉴 아이콘과 상기 메뉴 아이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하여 메뉴 세트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menu set including at least two icons including a menu icon representing a menu and a control icon for controlling the menu icon; 상기 터치 스크린이 터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Detecting whether the touch screen is touched;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제어 아이콘이 터치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메뉴 아이콘을 감추는 단계; 및Hiding the menu ic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ontrol icon i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And 상기 메뉴 아이콘을 감춘 후, 다시 제어 아이콘이 터치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메뉴 아이콘을 다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Hiding the menu icon, and if it is detected that the control icon is touched again, displaying the menu icon aga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using a touch screen, 메뉴를 나타내는 메뉴 아이콘과 상기 메뉴 아이콘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하여 메뉴 세트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menu set including at least two icons including a menu icon representing a menu and a control icon for controlling a display state of the menu icon; 소정 시간 동안 메뉴 세트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메뉴 아이콘을 반투명으로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If the touch on the menu set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processing and displaying the menu icon as translucent; 상기 메뉴 아이콘이 반투명으로 처리된 후, 소정 시간 동안 메뉴 세트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 아이콘을 반투명으로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And after the menu icon is processed as translucent, if the touch on the menu set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processing and displaying the control icon as translucent. 제 18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메뉴 아이콘 또는 제어 아이콘이 반투명으로 처리되어 표시된 후,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And after the menu icon or the control icon is processed and displayed as semi-transparent, when a touch on the touch screen is detected,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KR1020060136713A 2006-12-28 2006-12-28 Method for providing menu comprising variable menu-set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KR101326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713A KR101326696B1 (en) 2006-12-28 2006-12-28 Method for providing menu comprising variable menu-set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US11/849,568 US20080163053A1 (en) 2006-12-28 2007-09-04 Method to provide menu, using menu set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EP09015870A EP2169525A1 (en) 2006-12-28 2007-10-02 Method to provide menu, using menu set and multimedia device the same
EP09015869A EP2189885A3 (en) 2006-12-28 2007-10-02 Method to provide menu, using menu set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EP07117742A EP1942402A1 (en) 2006-12-28 2007-10-02 Method to provide menu, using menu set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713A KR101326696B1 (en) 2006-12-28 2006-12-28 Method for providing menu comprising variable menu-set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709A KR20080061709A (en) 2008-07-03
KR101326696B1 true KR101326696B1 (en) 2013-12-19

Family

ID=3981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713A KR101326696B1 (en) 2006-12-28 2006-12-28 Method for providing menu comprising variable menu-set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6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117B1 (en) * 2008-08-08 2015-04-30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dia play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2619A (en) 2004-06-09 2005-12-22 Fujitsu Ten Ltd Function sel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2619A (en) 2004-06-09 2005-12-22 Fujitsu Ten Ltd Function se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709A (en)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689B1 (en) Method for providing menu comprising movable menu-set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KR101326697B1 (en) Method for providing menu comprising menu-set varying operation set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EP2189885A2 (en) Method to provide menu, using menu set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EP2191358B1 (en) Method for providing gui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CA2799440C (en) Content gestures
KR101580259B1 (en) Method for providing GUI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411491B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7853895B2 (en) Control of background media when foreground graphical user interface is invoked
EP1939719A2 (en) Method for Providing Menu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KR1013509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D polyhedron user interface
JP4792366B2 (en) Screen display method
US8605219B2 (en) 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cursor for televisions
KR20090065919A (en) Menu-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090005680A (en) Method for providing gui to offer a cylinderical menu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US20130127731A1 (en)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267872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s of a video search by utilizing thumbnail images
KR101371417B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list by touch on touch screen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KR101326696B1 (en) Method for providing menu comprising variable menu-set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KR101371420B1 (en) Method for providing menu comprising menu-set for direct access among the main menus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KR20080061712A (en) Method for providing menu comprising menu-set varying comprising menu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JP4749303B2 (en) Screen operation method
KR100655928B1 (en) Navigation graphic user interface system and the graphic user interface embody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