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192B1 -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192B1
KR101324192B1 KR1020060091330A KR20060091330A KR101324192B1 KR 101324192 B1 KR101324192 B1 KR 101324192B1 KR 1020060091330 A KR1020060091330 A KR 1020060091330A KR 20060091330 A KR20060091330 A KR 20060091330A KR 101324192 B1 KR101324192 B1 KR 101324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control unit
power suppl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80198A (en
Inventor
박광성
박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657,084 priority Critical patent/US8126348B2/en
Priority to EP07101503.6A priority patent/EP1821190B1/en
Priority to CN2007100034205A priority patent/CN101015999B/en
Publication of KR2007008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1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1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팅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팅장치는, 프린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부와; 디바이스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주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와;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을 수신하는 명령수신부와; 주제어부보다 전력 소모가 작으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명령수신부에 의해 프린팅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주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주전원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며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printing apparatus includes: at least one device unit for performing printing;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unit; A main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A command receiver for receiving a printing command of a user; The power consump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control unit, and when the printing command is received by the command receiving unit while the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is stopped, the main power unit includes a main power supply unit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control unit. This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Description

프린팅장치 및 그 제어방법{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Print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린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스위치부와 스위치상태출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며,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witch unit and a switch state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린팅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분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며,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fferential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린팅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프린팅장치 101 : 디바이스부100: printing apparatus 101: device unit

102a : ASIC 102b : DRAM102a: ASIC 102b: DRAM

102c : ROM 103 : 주전원부102c: ROM 103: main power supply

104 : USB컨트롤러 105 : 보조전원부104: USB controller 105: auxiliary power supply

106 : 마이컴 107 : 전원스위치부106: micom 107: power switch unit

108 : 스위치상태출력부108: switch status output unit

109 : 버퍼부 110 : OPE109: buffer section 110: OPE

111 : 팩스부 112 : LED111: fax unit 112: LED

113 : 미분회로 114 : 논리곱회로113: differential circuit 114: logical product circuit

본 발명은 프린팅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며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린팅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improve reliability of operation.

프린터, 복합기 등과 같은 프린팅장치는 프린팅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에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프린팅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프린팅장치는, 프린팅을 수행하는 모터, LSU(laser scanning unit) 등과 같은 디바이스부와 이들 디바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프린팅 수행에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린팅장치는 디바이스부와 제어부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레벨의 전원을 공급하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와 같은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한다.A printing apparatus such as a printer, a multifunction printer, or the like performs printing by forming an image on a sheet based on the printing data. Typically, the printing apparatus includes a device unit such as a motor for performing printing, a laser scanning unit (LSU), and the lik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units. The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as a CPU that executes a computer program required for printing. In addition, the prin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such as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for supplying power of a level necessary for the device unit and the controller to perform an operation.

프린팅장치는 프린팅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디바이스부에 전력 공급을 중지하는 상태(이하, "대기상태"라고도 한다)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팅장치가 대기상태에 진입하거나 대기상태에서 벗어나 프린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린팅장치의 상태를 파악하고 디바이스부에의 전원 공 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CPU와 전원 공급부는 항상 동작하며 전력을 소모한다.The printing apparatus may have a state of stopping power supply to the device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ndby state”)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while not performing printing. In this case, the CPU and the power supply are always in operation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printing device an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device so that the printing device can enter or exit the standby state. Consumes.

한편, 최근 높은 사양의 프린팅이 요청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CPU의 성능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높은 성능의 CPU는 동작 시 전력 소모가 크다. 프린팅장치가 프린팅 동작을 하는 경우는 물론 대기상태인 경우에도, CPU와 전원 공급부가 소모하는 전력은 수 와트(W)를 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특히 프린팅 동작을 하지 않는 대기상태인 경우, 프린팅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high specification printing has recently been requested, and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CPU is also increasing. These high performance CPUs consume a lot of power during operation. Even when the printing device performs a printing operation as well as in a standby state, the power consumed by the CPU and the power supply often exceeds several watts (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especially in the standby state in which the print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린팅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또한, 본 발명은,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면서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린팅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while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린팅장치에 있어서, 프린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부와; 상기 디바이스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와;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을 수신하는 명령수신부와; 상기 주제어부보다 전력 소모가 작으며,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명령수신부에 의해 상기 프린팅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주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device unit for performing printing; A main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evice unit; A main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A command receiver for receiving a printing command of a user; The power control unit which consumes less power than the main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main power supply unit to supply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when the printing command is received by the command receiving unit while the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is stopped. It provides a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

상기 명령수신부는 USB표준에 따라 소정의 호스트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 기 프린팅명령을 수신하는 USB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and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USB controller that communicates with a predetermined host device according to the USB standard to receive the printing command.

상기 프린팅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전원스위치부와; 상기 전원스위치부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상태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상태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스위치상태신호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부가 턴온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주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inting apparatus may include a power switch unit that is turned on or off by a user's operation; And a switch stat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switch state signal corresponding to a turn-on or turn-off state of the power switch unit, wherein the power controller controls the main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switch unit is turned on while the power supply is stopped, the main power unit may be controlled to supply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상기 스위치상태출력부는, 상기 전원스위치부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광의 세기에 따라 상기 스위치상태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state output unit may include a photo coupler for outputting the switch state signal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light corresponding to the turn-on or turn-off state of the power switch unit.

상기 USB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상태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스위치상태신호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부가 턴온되는 경우 리셋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USB컨트롤러가 리셋되고 상기 전원스위치부가 턴온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주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USB controller is reset when the power switch unit is turned on in a state in which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is stopped according to th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returns to the main control unit. When the USB controller is reset and the power switch unit is turned on while the power supply is stopped, the main power unit may be controlled to supply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상기 프린팅장치는, 상기 스위치상태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스위치상태신호를 미분하여 상기 USB컨트롤러에 출력하는 미분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in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fferential circuit for differentiating th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to the USB controll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대기상태임을 나타내는 대기상태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미분회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대기상태신호를 논리곱하여 상기 USB컨트롤러의 리셋 단자에 출력하는 논리곱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outputs a standby state signal indicating a standby state in a state in which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is stopped, and logically multiplies the signal output by the differential circuit and the standby state signal output by the controller. The logic multiplication circuit output to the reset terminal of the controller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프린팅부는, 상기 주제어부와, 상기 전원제어부 및 상기 명령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개재되어 누설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버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in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unit interposed between the main control unit, the power control unit, and the command receiving unit to block the flow of leakage current.

상기 프린팅장치는, 상기 명령수신부 및 상기 전원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in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command receiving unit and the power control unit.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프린팅장치에 있어서, 프린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부와; 상기 디바이스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전원스위치부와; 상기 전원스위치부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상태출력부와; 상기 스위치상태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스위치상태신호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부가 턴온되면,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주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device unit for performing printing; A main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evice unit; A main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A power switch unit turned on or off by a user's operation; A switch stat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switch state signal corresponding to a turn on or turn off state of the power switch unit;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ain power supply unit to supply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when the power switch unit is turned on in a state in which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is stopped according to th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It can also be achieved by a printing device comprising a.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프린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부와, 상기 디바이스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을 수신하는 명령수신부를 구비하는 프린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로부터 프린팅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는 단계와;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 에서 상기 프린팅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device unit for performing printing,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unit, and a command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user's printing command, Supplying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Stopping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ler when there is no printing command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printing command is received while the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is stopped, the method may be achieved by a control method of the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resuming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린팅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프린팅장치(100)는 호스트장치(200)로부터 프린팅 데이터를 전송 받아 이에 기초하여 용지에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프린팅을 수행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in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apparatus 100 receives printing data from the host apparatus 200 and forms printing on the paper based on the printing data.

프린팅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LSU 등을 포함하며 프린팅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부(101)와, 디바이스부(101)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집적회로인 ASIC(102a)과, ASIC(102a)의 동작에 필요한 메모리인 DRAM(102b) 및 ROM(102c)과, 디바이스부(101), ASIC(102a), DRAM(102b) 및 ROM(102c) 등에 전원(3.3V(M))을 공급하는 주전원부(103)와, 주전원부(103)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마이컴(106)을 포함한다. ASIC(102a)과 마이컴(106)은 각각 본 발명의 주제어부 및 전원제어부의 일례이다.As shown in FIG. 1, the print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device unit 101 that includes a motor, an LSU, and the like to perform printing, a microprocessor that executes a computer program to control the device unit 101, and the like. ASIC 102a, which is an integrated circuit, a DRAM 102b and a ROM 102c, which are memorie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ASIC 102a, a device unit 101, an ASIC 102a, a DRAM 102b, and a ROM. A main power supply 103 for supplying the power supply 3.3V (M) to the 102c and the like, and a microcomputer 106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main power supply 103. The ASIC 102a and the microcomputer 106 are examples of the main control part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프린팅장치(100)는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프린팅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 디바이스부(101) 및 다른 구성에 전력 공급을 중지시키는 대기상태를 가진다. ASIC(102a)은 정상상태에서 소정 시간 프린팅명령이 없는 경우 프린팅장치(100)가 대기상태에 진입하도록 동작한다. 즉, ASIC(102a)은 대기상태로의 진입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표시포트를 가지며, 정상상태에서 소정 시간 프린팅명령이 없는 경우 상태표시포트를 활성화시킨다.The printing apparatus 100 has a standby state for stopping power supply to the device unit 101 and other components while not performing a printing operation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he ASIC 102a operates so that the printing device 100 enters the standby state when there is no printing comman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normal state. That is, the ASIC 102a has a status display port indicating whether to enter the standby state, and activates the status display port when there is no printing comman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normal state.

마이컴(106)은 ASIC(102a)의 상태표시포트를 모니터링하며, 상태표시포트가 활성화된 경우, 주전원부(103)에 전원 오프 신호를 전송한다. 주전원부(103)는 마이컴(106)으로부터 전원 오프 신호가 전송되면, 동작을 멈춘다. 이에 의해, 프린팅장치(100)가 대기상태인 경우, 디바이스부(101), ASIC(102a), DRAM(102b) 및 ROM(102c) 등에 전원 공급이 중지되며, 주전원부(103)도 동작을 중지하므로, 전력 소모가 크게 감소한다.The microcomputer 106 monitors the status display port of the ASIC 102a and transmits a power off signal to the main power supply 103 when the status display port is activated. The main power supply 103 stops the operation when the power-off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icrocomputer 106. As a result, when the printing apparatus 100 is in the standby state, power supply to the device unit 101, the ASIC 102a, the DRAM 102b, the ROM 102c, and the like are stopped, and the main power supply unit 103 also stops operating. Therefore, power consumption is greatly reduced.

한편, 프린팅장치(100)는 주전원부(103)가 동작을 중지한 경우, 마이컴(106) 등에 전원(3.3VS)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105)를 더 포함한다. 보조전원부(105)는 대기상태에서도 동작을 수행하여 전원(3.3VS)을 공급한다. 주전원부(103) 및 보조전원부(105)는 각각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nting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power supply 105 for supplying power 3.3VS to the microcomputer 106 or the like when the main power supply 103 has stopped operating. The auxiliary power supply 105 performs an operation even in the standby state to supply the power 3.3VS. The main power supply 103 and the sub power supply 105 may be implemented by 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respectively.

프린팅장치(1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에 따라 호스트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며, 호스트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USB컨트롤러(104)를 더 포함한다. USB컨트롤러(104)는 보조전원부(105)로부터 전원(3.3VS)을 공급받아 대기상태에서도 감시 동작을 수행한다. USB컨트롤러(104)는 본 발명의 명령수신부의 일례이다.The printing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the hos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universal serial bus (USB) standard, and further includes a USB controller 104 for monitoring whether there is a user's printing command from the host device 200. Include. The USB controller 104 receives the power (3.3VS) from the auxiliary power supply 105 and performs the monitoring operation even in the standby state. The USB controller 104 is an example of the command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마이컴(106)은 ASIC(102a)의 상태표시포트가 활성화되어 프린팅장치(100)가 대기상태로 진입하면, USB컨트롤러(104)에 리셋신호를 전송하고 USB컨트롤러(104)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을 기다린다.When the status display port of the ASIC 102a is activated and the printing apparatus 100 enters the standby state, the microcomputer 106 transmits a reset signal to the USB controller 104 and receives the user's data through the USB controller 104. Wait for the printing command.

USB컨트롤러(104)는 마이컴(106)으로부터 리셋신호를 전송받으면, 리셋동작을 수행하고 호스트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감시한 다. USB컨트롤러(104)는 호스트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이 수신되면, 호스트장치(200)에 대기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된 프린팅명령을 마이컴(106)에 전달한다.When the USB controller 104 receives a reset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106, the USB controller 104 performs a reset operation and monitors whether a user's printing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host device 200. When the user's printing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host device 200, the USB controller 104 transmits a standby signal to the host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printing command to the microcomputer 106.

마이컴(106)은 대기상태에서 USB컨트롤러(104)를 통해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이 전달되면, 프린팅장치(100)를 대기상태로부터 벗어나 정상적인 프린팅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마이컴(106)은 USB컨트롤러(104)를 통해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이 전달되면, 주전원부(103)에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하여 주전원부(103)가 ASIC(102a) 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ASIC(102a)이 리셋되면서 프린팅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When the printing command of the us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USB controller 104 in the standby state, the microcomputer 106 moves the printing apparatus 100 out of the standby state to perform a normal printing operation. That is, when the user's printing comma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USB controller 104, the microcomputer 106 transmits a power-on signal to the main power supply 103 so that the main power supply 103 supplies power to the ASIC 102a. The ASIC 102a is reset to perform a printing operation.

마이컴(106)은 ASIC(102a) 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적은 회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대기상태에서, 전력 소모가 큰 ASIC(102a)이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작은 마이컴(106)이 프린팅장치(100)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microcomputer 106 may be implemented as a circuit having a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the ASIC 102a or the like. As a result, in the standby state, the ASIC 102a with high power consumption does not operate, but the microcomputer 106 having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controls the state of the printing apparatus 100,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have.

또한, 호스트장치(200)와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USB컨트롤러(104)를 구비함으로써, 대기상태에서 호스트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이 있는지를 감시하고, 마이컴(106)과 호스트장치(2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USB controller 104 which enable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host apparatus 200, the host apparatus 200 monitors whether there is a user's printing command from the host apparatus 200, and the microcomputer 106 and the host apparatus ( Enable interface between 200).

한편, 주전원부(103)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전원스위치부(107)와, 전원스위치부(107)의 상태를 나타내는 스위치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상태출력부(108)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전원스위치부(107)와 스위 치상태출력부(108)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power supply 103 is a power switch unit 107 that is turned on or off by the user's operation and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108 for outputting a switch state signal indicating the state of the power switch unit 107 Include.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switch unit 107 and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108 of this embodiment.

전원스위치부(107)는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를 가지는 기계적인 스위치로서, 교류 전원과 스위치상태출력부(108) 사이에 개재되어, 스위치상태출력부(108)로의 교류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한다. 스위치상태출력부(10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다이오드(108a)와, 커패시터(108b)와, 댐핑 저항(108c)과, 포토커플러(108d)를 포함한다. 2개의 다이오드(108a)는 교류 전류를 정류한다. 커패시터(108b)는 정류된 전류를 평활한다. 포토커플러(108d)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가지며, 발광 소자는 댐핑 저항(108c)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광을 발생하며, 수광 소자는 발생된 광이 소정 이상인 경우 턴온된다. 포토커플러(108d)의 수광 소자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 따라 스위치상태신호가 출력된다. The power switch unit 107 is a mechanical switch having a turn-on or turn-off state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AC power source and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108 to switch the supply of AC power to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108.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108 includes two diodes 108a, a capacitor 108b, a damping resistor 108c, and a photocoupler 108d, as shown in FIG. Two diodes 108a rectify the alternating current. Capacitor 108b smoothes the rectified current. The photocoupler 108d has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generates light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amping resistor 108c,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turned on when the generated light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switch state signal is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turn-on or turn-off stat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of the photocoupler 108d.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전원스위치부(107)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경우, 댐핑 저항(108c)에 전류가 흐르게 되며, 포토커플러(108d)의 수광 소자는 턴온되어 스위치상태신호는 "로우(low)"가 된다.For example, when the power switch 107 is closed by the user, a current flows in the damping resistor 108c,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of the photocoupler 108d is turned on so that the switch state signal is low. Becomes

마이컴(106)은 포토커플러(108d)에 의해 출력되는 스위치상태신호를 모니터링하며, 대기상태에서 전원스위치부(107)가 열렸다가(턴오프 상태) 닫힌(턴온 상태) 것으로 판단하면, 주전원부(103)에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하여 주전원부(103)가 ASIC(102a) 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마이컴(106)은 스위치상태신호로부터 전원스위치부(107)가 열렸는지 또는 닫혔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현재의 전원스위치부(107)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crocomputer 106 monitors th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photocoupler 108d. When the microcomputer 106 determines that the power switch unit 107 is open (turned off) and closed (turned on) in the standby state, the main power supply unit ( The power-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103 so that the main power supply 103 supplies power to the ASIC 102a or the like. The microcomputer 106 preferably stor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urrent power switch unit 107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 switch unit 107 is opened or closed from the switch state signal.

이하, 스위치상태출력부(108)에 의해 대기상태에서 마이컴(106)의 오동작이 방지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주전원부(103)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 동작에 필요한 대용량의 커패시터(도시 안됨)를 구비한다. 스위치상태출력부(108)가 없다면, 대기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원스위치부(107)가 열린 경우, 주전원부(103)의 커패시터에 충전된 잔류 전원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마이컴(106)이 소정 시간 동안 동작하는 경우가 있다.Hereinafter, the principle that the malfunction of the microcomputer 106 in the standby state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108 will be described. The main power supply 103 has a large capacity capacitor (not shown) required for a stable power supply operation. If there is no switch state output unit 108, when the power switch unit 107 is opened by the user in the standby state, the microcomputer 106 operates at a relatively low power by the residual power charged in the capacitor of the main power source 103 It may operate for this predetermined time.

이 경우, 마이컴(106)은 전원스위치부(107)에 의해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인지 아니면 대기상태로 인하여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인지를 구분하지 못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에 의해 전원스위치부(107)가 다시 닫히더라도, 마이컴(106)은 계속해서 대기상태인 것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프린팅장치(100)가 정상적인 프린팅 동작으로 복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microcomputer 106 may not distinguish whether the power supply is stopped by the power switch unit 107 or the power supply is stopped due to the standby state. As a result, even if the power switch unit 107 is closed again by the user, since the microcomputer 106 continues to operate in the standby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nting apparatus 100 cannot return to the normal printing operation.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작 신뢰성이 높은 스위치상태출력부(108)에 의해 전원스위치부(107)의 기계적인 상태를 전기적인 스위치상태신호로 출력함으로써, 대기상태에서 마이컴(106)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면서 프린팅장치(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crocomputer 106 malfunctions in the standby state by outputt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power switch unit 107 as an electrical switch state signal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108 having high operational reliability. By preventing the power consumption, the reliability of the printing apparatus 100 is improved.

한편, 프린팅장치(100)는, ASIC(102a)과 마이컴(106) 및 USB컨트롤러(104) 사이에 개재하는 버퍼부(109)를 더 포함한다. 버퍼부(109)는 대기상태에서 마이컴(106) 및 USB컨트롤러(104)로부터 ASIC(102a)으로 흐르는 누설 전류를 차단한다. 이에 의해, 프린팅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한층 더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inting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buffer unit 109 interposed between the ASIC 102a, the microcomputer 106, and the USB controller 104. The buffer unit 109 blocks leakage current flowing from the microcomputer 106 and the USB controller 104 to the ASIC 102a in the standby state. Thereby,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100 can be further reduced.

프린팅장치(100)는, 대기상태에서 동작 재개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OPE(operating panel, 110), 대기상태에서 팩스를 수신하는 팩스부(111) 등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컴(106)은 대기상태에서 OPE(110) 및 팩스부(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동작 재개 요청이 있으면, 전원 온 신호를 주전원부(103)에 전송하여 프린팅장치(100)를 정상상태로 복귀시킨다. 또한, 프린팅장치(100)는, 마이컴(106)의 제어에 따라 프린팅장치(100)가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대기상태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LED(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기상태의 경우, 마이컴(106)은 대기상태에 대응하는 대기상태신호를 LED(112)에 전송한다.The print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OPE (operating panel 110) for receiving a command of a user corresponding to resuming operation in the standby state, a fax unit 111 for receiving a fax in the standby state, and the like. In this case, when the microcomputer 106 requests to resume operation by at least one of the OPE 110 and the fax unit 111 in the standby state, the microcomputer 106 transmits a power-on signal to the main power supply 103 to print the apparatus 100. Return to normal state. In addition, the print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LED 112 indicating whether the printing apparatus 100 is in a normal state or a standby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06. In the standby state, the microcomputer 106 transmits a standby stat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state to the LED 112.

다른 실시예로서, 마이컴(106)은 스위칭상태신호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를 더 이용하여 주전원부(103)를 제어함으로써 동작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USB컨트롤러(104)는, 스위치상태출력부(108)에 의해 출력된 스위치상태신호에 따라, 대기상태에서 전원스위치부(107)가 턴온되는 경우 리셋될 수 있다. 마이컴(106)은 대기상태에서 전원스위치부(107)가 턴온되었을 뿐만 아니라 USB컨트롤러(104)가 리셋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ASIC(102a) 등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주전원부(103)를 제어한다. 마이컴(106)은 인터럽트신호를 이용하여 USB컨트롤러(104)가 리셋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스위치부(107)가 반복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마이컴(106)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동작을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icrocomputer 106 may further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by controlling the main power supply 103 using not only the switching state signal but also other information. To this end, the USB controller 104 may be reset when the power switch unit 107 is turned on in the standby state according to th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108. The microcomputer 106 controls the main power supply 103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ASIC 102a and the like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switch unit 107 is turned on in the standby state and that the USB controller 104 is reset. do. The microcomputer 106 may check whether the USB controller 104 is reset by using the interrupt signal. As a result, malfunction of the microcomputer 106, which may occur when the power switch 107 is repeatedly turned on and off, may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프린팅장치(100)는 스위치상태출력부(108)에 의해 출력된 스위치상태신호를 미분하여 USB컨트롤러(104)의 리셋신호입력포트(도시 안됨)에 출력하는 미분회로(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미분회로(113)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미분회로(113)는 캐패시터(113a)와 저항(113b)으로 이루어진 RC회로이다. 미분회 로(113)의 출력신호(Vo)는 입력신호(Vs)의 파형을 미분한 형태를 가진다. 입력신호(Vs)는 스위치상태출력부(108)에 의해 출력된 스텝형태의 스위치상태신호이다. 즉, 미분회로(113)는 스위치상태신호가 로우에서 하이로 변하는 경우, R*C만큼의 과도응답시간 동안 활성상태를 가지는 단펄스 형태의 출력신호(Vo)를 출력한다. USB컨트롤러(104)는 리셋신호입력포트에 임펄스형태의 출력신호(Vo)가 입력되면, 리셋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리셋동작을 수행한다. 미분회로(113)에 의해, USB컨트롤러(104)가 계속적으로 리셋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int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differential circuit 113 for differentiating th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108 to the reset signal input port (not shown) of the USB controller 104. have.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fferential circuit 113. The differential circuit 113 is an RC circuit composed of a capacitor 113a and a resistor 113b. The output signal Vo of the differential circuit 113 has a form in which the waveform of the input signal Vs is differentiated. The input signal Vs is a step stat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108. That is, when the switch state signal changes from low to high, the differential circuit 113 outputs a short pulse type output signal Vo having an active state for a transient response time of R * C. When the output signal Vo having an impulse type is input to the reset signal input port, the USB controller 104 determines that the reset signal is input and performs a reset operation. By the differential circuit 113, the USB controller 104 can be prevented from continuously performing a reset operation.

나아가, 프린팅장치(100)는, 미분회로(113)에 의해 출력된 출력신호(Vo)와 마이컴(106)에 의해 출력되는 대기상태신호를 논리곱하여 USB컨트롤러(104)에 출력하는 논리곱회로(113, AND g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USB컨트롤러(104)는 대기상태인 경우에만 리셋되므로, 만일의 사태에서 USB컨트롤러(104)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inting apparatus 100 may logically multiply the output signal Vo output by the differential circuit 113 and the standby state signal output by the microcomputer 106 and output the result to the USB controller 104. 113, AND gate) may be further included. As a result, since the USB controller 104 is reset only in the standby state, the USB controller 104 can be prevented from malfunctioning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프린팅장치(100)는, USB컨트롤러(104)를 제외하고, 디바이스부(101)와, ASIC(102a) 등과, 주전원부(103)와, 마이컴(106)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the printing apparatus 100 is composed of only the device unit 101, ASIC (102a), etc., the main power supply unit 103, and the microcomputer 106, except for the USB controller 104. May be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프린팅장치(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마이컴(106)은 ASIC(102a)의 상태표시포트를 모니터링하여 프린팅장치(100)가 대기상태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1). 확인 결과, 프린팅장치(100)가 대기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마이컴(106)은 전원 오프 신호를 주전원부(103)에 전송하여, 디바이스부(101), ASIC(102a) 등에 전원 공급을 중지시킨 다(S102). 또한, 마이컴(106)은 USB컨트롤러(104)를 통해 호스트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감시하도록 한다(S103).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prin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the microcomputer 106 monitors the status display port of the ASIC 102a to check whether the printing apparatus 100 enters the standby state (S101). 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printing apparatus 100 enters the standby state, the microcomputer 106 transmits a power-off signal to the main power supply 103 to stop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101 and the ASIC 102a. (S102).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06 monitors whether a user's printing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host device 200 through the USB controller 104 (S103).

다음으로, 마이컴(106)은 USB컨트롤러(104)를 통해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전원스위치부(107)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4). 전원스위치부(107)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되지 않았으면, 단계 S103이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 S103과 단계 S104는 순서가 서로 바뀌어 수행될 수 있다.Next, if the user's printing command is not received through the USB controller 104, the microcomputer 106 checks whether the power switch unit 107 is turned on in the turn-off state by the user (S104). If the power switch unit 107 is not turned on in the turn-off state, step S103 is performed. In another embodiment, steps S103 and S104 may be performed in a reversed order.

한편, USB컨트롤러(104)를 통해 호스트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이 수신되어 수신된 프린팅명령이 마이컴(106)에 전달되거나, 또는 전원스위치부(107)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되었으면, 마이컴(106)은 전원 온 신호를 주전원부(103)에 전송하여 ASIC(102a) 등에 전원 공급을 재개한다(S105).On the other hand, if a user's printing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host device 200 through the USB controller 104 and the received printing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106 or if the power switch unit 107 is turned on in the turn-off state, The microcomputer 106 sends a power-on signal to the main power supply 103 to resume power supply to the ASIC 102a or the like (S105).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103에서 USB컨트롤러(104)를 통해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106)은 USB컨트롤러(104)가 리셋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4). 만일, 단계S204에서 USB컨트롤러(104)가 리셋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103이 수행된다. 반면, 단계S204에서 USB컨트롤러(104)가 리셋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104가 수행된다.As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5,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3 that a user's printing command is not received through the USB controller 104, the microcomputer 106 checks whether the USB controller 104 is reset. (S20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4 that the USB controller 104 has not been reset, step S103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4 that the USB controller 104 is reset, step S104 is performed.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 및 5에서 단계S103이 생략될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step S103 may be omitted in FIGS. 3 and 5.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상태에서, ASIC과 같이 전력 소모가 큰 회로가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작은 마이컴이 프린팅장치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ndby state, a large power consumption circuit, such as an ASIC, does not operate, but rather a microcomputer with a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controls the state of the printing apparatus,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Can b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트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USB컨트롤러를 구비함으로써, 대기상태에서 호스트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이 있는지를 감시하고, 마이컴과 호스트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USB controller that enable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host device, it monitors whether there is a user's printing command from the host device in the standby state, and enables an interface between the microcomputer and the host de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토커플러와 같은 동작 신뢰성이 높은 소자에 의해 전원스위치부의 기계적인 상태를 전기적인 스위치상태신호로 출력함으로써, 대기상태에서 마이컴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면서 프린팅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utputt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power switch unit as an electrical switch state signal by a device having a high operation reliability such as a photocoupler, it prevents the microcomputer from malfunctioning in the standby state,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in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버퍼와 같은 회로 소자에 의해 대기상태에서 마이컴 및 USB컨트롤러로부터 ASIC으로 흐를 수 있는 누설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프린팅장치의 전력 소모를 한층 더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off the leakage current that can flow from the microcomputer and the USB controller to the ASIC in the standby state by a circuit element such as a buffer,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또한, 대기상태에서 전원스위치부가 턴온되었을 뿐만 아니라 USB컨트롤러가 리셋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ASIC 등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원스위치부가 반복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마이컴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동작을 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switch unit is turned on in the standby state and the USB controller is determined to be reset, power is supplied to the ASIC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microcomputer, which may occur when the power switch unit is repeatedly turned on and off. The operation can further improve the reliability.

이 경우, 스텝형태의 스위치상태신호를 미분하여 USB컨트롤러에 공급함으로써, USB컨트롤러가 계속적으로 리셋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상태신호와 대기상태신호를 논리곱하여 USB컨트롤러에 공급하여 USB컨트롤러 가 대기상태인 경우에만 리셋되도록 함으로써, 만일의 사태에서 USB컨트롤러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B controller from continuously performing a reset operation by supplying the step state switch state signal to the USB controller. In addition, by multiplying the switch state signal and the standby state signal by the logic controller and supplying them to the USB controller so as to be reset only when the USB controller is in the standby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B controller from malfunctioning.

Claims (17)

프린팅장치에 있어서,In the printing apparatus, 프린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부와;At least one device unit for performing printing; 상기 디바이스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와;A main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evice unit;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와;A main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USB표준에 따라 소정의 호스트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을 수신하는 USB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명령수신부와;A command receiving unit including a USB controller that communicates with a predetermined host device according to the USB standard and receives a user's printing command; 상기 주제어부보다 전력 소모가 작으며,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명령수신부에 의해 상기 프린팅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주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The power control unit which consumes less power than the main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main power supply unit to supply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when the printing command is received by the command receiving unit while the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is stopped.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전원스위치부와;A power switch unit turned on or off by a user's operation; 상기 전원스위치부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상태출력부를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 switch stat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witch stat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urn on or turn off state of the power switch unit,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상태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스위치상태신호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부가 턴온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주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The power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switch unit is turned on in a state in which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is stopped according to th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Pri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main power supply.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스위치상태출력부는, 상기 전원스위치부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광의 세기에 따라 상기 스위치상태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And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comprises a photo coupler for outputting the switch state signal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light corresponding to a turn-on or turn-off state of the power switch uni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USB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상태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스위치상태신호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부가 턴온되는 경우 리셋되며,The USB controller is reset when the power switch unit is turned on while the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ler unit is stopped according to th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USB컨트롤러가 리셋되고 상기 전원스위치부가 턴온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주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The power controller controls the main power supply unit to supply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B controller is reset and the power switch unit is turned on while the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is stopped. Print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스위치상태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스위치상태신호를 미분하여 상기 USB컨트롤러에 출력하는 미분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And a derivative circuit for differentiating th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and outputting the derivative to the USB controll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대기상태임을 나타내는 대기상태신호를 출력하며,The power control unit outputs a standby state signal indicating a standby state in a state in which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ler is stopped, 상기 미분회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전원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대기상태신호를 논리곱하여 상기 USB컨트롤러의 리셋단자에 출력하는 논리곱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And a logical AND circuit for performing an AND operation on the signal output by the differential circuit and the standby state signal output by the power supply controller to output to the reset terminal of the USB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제어부와, 상기 전원제어부 및 상기 명령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개재되어 누설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버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And a buffer unit interposed between the main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power control unit and the command receiving unit to block a flow of leakage curr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명령수신부 및 상기 전원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mmand receiving unit and the power control unit. 프린팅장치에 있어서,In the printing apparatus, 프린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부와;At least one device unit for performing printing; 상기 디바이스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와;A main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evice unit;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와;A main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전원스위치부와;A power switch unit turned on or off by a user's operation; 상기 전원스위치부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광의 세기에 따라 스위치상태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를 포함하는 스위치상태출력부와;A switch state output unit including a photo coupler for outputting a switch state signal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light corresponding to a turn-on or turn-off state of the power switch unit; 상기 스위치상태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스위치상태신호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부가 턴온되면,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주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ain power supply unit to supply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when the power switch unit is turned on in a state in which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is stopped according to th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주제어부와 상기 전원제어부 사이에 개재되어 누설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버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And a buffer unit interposed between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power control unit to block the flow of leakage current. 프린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부와, 상기 디바이스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USB표준에 따라 소정의 호스트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프린팅명령을 수신하는 USB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명령수신부를 구비하는 프린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At least one device unit for printing,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unit, and a command receiving unit including a USB controller for receiving a user's printing command by communicating with a predetermined host device according to the USB standard;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printing apparatus,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Supplying power to the main control unit;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로부터 프린팅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는 단계와;Stopping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ler when there is no printing command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프린팅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의 제어방법.And if the printing command is received while the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is stopped, resuming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프린팅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전원스위치부와; 상기 전원스위치부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상태출력부를 더 포함하며,The printing apparatus may include a power switch unit that is turned on or off by a user's operation; Further comprising a switch stat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witch stat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urn on or turn off state of the power switch unit, 상기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상태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스위치상태신호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부가 턴온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의 제어방법.The resuming of the power supply may be performed when the power switch unit is turned on in a state in which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is stopped according to th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Control method of a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resume the power supply.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스위치상태출력부는, 상기 전원스위치부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광의 세기에 따라 상기 스위치상태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의 제어방법.And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comprises a photocoupler for outputting the switch state signal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light corresponding to a turn-on or turn-off state of the power switch unit.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USB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상태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스위치상태신호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부가 턴온되는 경우 리셋되며,The USB controller is reset when the power switch unit is turned on while the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ler unit is stopped according to the switch state signal output by the switch state output unit. 상기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USB컨트롤러가 리셋되고 상기 전원스위치부가 턴온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의 제어방법.The resuming of the power supply may include: resuming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B controller is reset and the power switch unit is turned on while power supply to the main control unit is stopped.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KR1020060091330A 2006-02-06 2006-09-20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241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57,084 US8126348B2 (en) 2006-02-06 2007-01-24 Printing apparatu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7101503.6A EP1821190B1 (en) 2006-02-06 2007-01-31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2007100034205A CN101015999B (en) 2006-02-06 2007-02-06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1275 2006-02-06
KR1020060011275 2006-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198A KR20070080198A (en) 2007-08-09
KR101324192B1 true KR101324192B1 (en) 2013-11-06

Family

ID=3860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330A KR101324192B1 (en) 2006-02-06 2006-09-20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4192B1 (en)
CN (1) CN10101599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182B1 (en) * 2013-04-03 2014-09-26 (주)아이디온 Self reset device
CN103226719B (en) * 2013-05-07 2016-05-04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ertificate duplicator, copy system and copy method
JP6609944B2 (en) * 2015-03-13 2019-1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720A (en) * 1992-12-14 1999-02-02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f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for
JP2004334793A (en) * 2003-05-12 2004-11-25 Canon Inc Peripheral device, server system, client device, network device system, device searching method, storing medium for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and program
US20050108584A1 (en) 2003-11-13 2005-05-1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20050138447A1 (en) 2003-12-09 2005-06-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720A (en) * 1992-12-14 1999-02-02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f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for
JP2004334793A (en) * 2003-05-12 2004-11-25 Canon Inc Peripheral device, server system, client device, network device system, device searching method, storing medium for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and program
US20050108584A1 (en) 2003-11-13 2005-05-1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20050138447A1 (en) 2003-12-09 2005-06-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15999B (en) 2013-05-08
CN101015999A (en) 2007-08-15
KR20070080198A (en)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1190B1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100393062B1 (en) Double control unit capable of saving power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CN101387843B (en) Power control system
US7523335B2 (en) Job processing apparatus with power sequence responsive to detecting external job data signal
US9208981B2 (en) Information device
KR10165361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t controlling power of thereof
US7203432B2 (en) Job processing apparatus
KR20000013613A (en) Power consumption reduction device and method for power supply device
US6804482B2 (en) Printer to control power supply via a host
JP2014153451A (en) Power source system
KR101324192B1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76245A (en) Power supply device, image formation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KR20050050222A (en) Power supply with power control managing function in image forming device
KR100721530B1 (en) Switching power supply having mean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t stand-by mode
JP3744304B2 (en) Power supply
US20040139360A1 (en) Off mode for device
JP2012018233A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249695B2 (en) Image recording device
KR100710086B1 (en) Switch mode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of
KR200341479Y1 (en) Backup battery switching system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JPH08187920A (en) Printer controller
KR0135742Y1 (en) Power saving device for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8054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display device
JP2000312437A (en) Power device
JP2008260130A (en) Print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