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921B1 - Goods management method in management system of internet shopping mall - Google Patents

Goods management method in management system of internet shopping m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921B1
KR101322921B1 KR1020120063687A KR20120063687A KR101322921B1 KR 101322921 B1 KR101322921 B1 KR 101322921B1 KR 1020120063687 A KR1020120063687 A KR 1020120063687A KR 20120063687 A KR20120063687 A KR 20120063687A KR 101322921 B1 KR101322921 B1 KR 10132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window
order
shopping 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이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이오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이오토
Priority to KR102012006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9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9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product management method in an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to help a product management process in an internet shopping mall. CONSTITUTION: A product management server displays a stock confirmation window (110), an available delivery window (120), and a delivery completion window (130).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of users is displayed on the stock confirmation window and displays stock information (140) for confirming stock conditions. When a stock exists, an available state message is displayed. When no stock exists, a stock shortage message is displayed.

Description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GOODS MANAGEMENT METHOD IN MANAGEMENT SYSTEM OF INTERNET SHOPPING MALL}Product management metho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GOODS MANAGEMENT METHOD IN MANAGEMENT SYSTEM OF INTERNET SHOPPING MALL}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몰로부터 주문이 들어온 주문상품의 정보를 수집하여 배송처로 전송할 수 있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재고확인에서 출고완료까지 판매자의 출고 업무를 보조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that can collect the information of the order product received from the Internet shopping mall and send it to the shipping destination, the product management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that assists the seller's release from inventory confirmation to the completion of the shipment It is about a method.

인터넷 쇼핑몰은 시/공간적인 제약이 없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인터넷에 개설된 가상상점에서 어디서나 원하는 시간에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운영비가 거의 들지 않고 상권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상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구매자 및 판매자 모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인터넷 쇼핑몰은 그 규모가 매우 빠르게 신장하고 있다. Since Internet shopping malls have no time and space constraints, consumers can purchase products anywhere they want at virtual stores opened on the Internet.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selle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product information that is suitable for the consumer's tast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commercial area without operating cost. As such, Internet shopping malls that provide convenience to both buyers and sellers are growing rapidly.

다만, 인터넷 쇼핑몰에 상품을 공급하는 판매자는 각각의 쇼핑몰에 로그인하여 상품을 일일이 등록하고, 재고나 상품의 가격 등 상품정보가 변경될 경우 상품이 등록된 각각의 쇼핑몰에 로그인하여 일일이 상품의 정보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하루에도 수회씩 쇼핑몰에 로그인하여 자신의 상품에 대한 주문정보를 조회하고, 주문에 맞춰 배송한 후에는 다시 각각의 쇼핑몰에 로그인하여 택배회사와 송장번호를 일일이 하나씩 입력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However, a seller who supplies a product to an Internet shopping mall logs in to each shopping mall and registers the products one by one, and if the product information such as stock or price of the product changes, the seller logs in to each shopping mall where the product is registered and displays the product information. Inconvenient to change, and log in to the shopping mall several times a day to look up the order information for their products, and after delivery according to the order to log in to each shopping mall and enter the courier company and invoice number one by one There is a process that needs to be done.

이렇게, 여러 쇼핑몰에 상품을 공급하는 판매자나 업체는 상품 및 주문관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야만 하며,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정보를 누락시키거나 잘못 입력하여 품절인 상품의 주문, 배송의 지연, 및 오 배송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Thus, sellers or companies that supply goods to various shopping malls must devote a lot of time and effort to managing goods and orders, and delays the ordering and delivery of goods that are out of stock due to missing or incorrect input during the manual process. Many problems can arise, such as errors in delivery, and misdelivery.

한편, 쇼핑몰의 입장에서는 업체가 상품 및 주문관리를 제대로 진행하는지 항상 점검해야 하며, 사고 발생시 고객으로부터의 이의제기로 인하여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지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쇼핑몰의 신뢰도가 하락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or the shopping mall, it is necessary to always check whether the company manages the product and order properly, and in case of an accident, not only have to spend a lot of money to compensate for the objection from the customer, but also reduce the reliability of the shopping mall. There can be.

따라서, 인터넷 쇼핑몰에 입점해 있는 업체들의 상품관리를 하는 전문적인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점차 중요시 되고 있다.Therefore, the necessity of a professional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for product management of companie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주문된 주문상품의 재고확인부터 출고완료까지의 일련의 상품관리를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하게 보조해주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that assists the user to more efficiently manage a series of product management from the inventory confirmation of the ordered goods ordered to the completion of the shipment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주문된 주문상품의 상품관리 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that can confirm at a glance the product management process of the ordered products ordere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 쇼핑몰로부터 주문된 주문상품의 정보를 수집하여 배송처로 주문상품 정보를 전송 가능한 상태로 출력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재고확인에서 출고완료까지 판매자의 출고 업무를 보조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방법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that collects the information of the ordered goods from the Internet shopping mall and outputs the ordered goods information to the delivery destination Applicable, a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that assists the seller's release from inventory confirmation to the release of the goods is disclosed.

본 발명의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방법은, 재고상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상에 재고확인창, 발송가능창, 및 출고완료창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는 단계, 재고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를 상품별로 확인하는 단계,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재고정보와 함께 재고확인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발송가능창으로의 전환을 승인 받는 단계, 발송가능창으로의 전환 승인에 대응하여 재고확인창에서 재고가 확인된 주문상품 정보를 발송가능창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출고완료창으로의 전환을 승인 받는 단계, 및 출고완료창으로의 전환 승인에 대응하여 상기 발송가능창에서 출고가 가능하거나 출고 완료된 주문상품 정보를 상기 출고완료창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maintaining a database for stock product information, arranging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the shipment window, and the finished delivery window on a display in a certain order, inventory product information Confirming whether the collected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in stock by using the product, displaying the inventory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nventory information to confirm whether the collected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in stock, and approving the conversion to the shippable window. Receiving step, in response to the approval of the conversion to the window available for shipment, moving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ordered goods in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to the shipment window, the step of receiving approval to switch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and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In response to the approval for conversion, the ordered goods information that can be released or finished in the shipment possible window is released. The display may include moving to the completion window.

주문상품의 재고확인, 발송가능, 및 출고완료를 포함하는 일련의 처리 과정이 디스플레이 상에서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품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전문적인 운영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직접 운영자가 될 수도 있으며, 상품관리방법을 운영 및 사용하는 주체에 따라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ince a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checking the stock of an order, sending out, and completing the shipment can be displayed at a glance on the display, a user who uses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can manage the product management. You can proceed efficiently. Here, the user may include a professional operator who operates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the seller who sells the product may be the direct operator,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according to the subject operating and using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no.

또한,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방법은 자료를 보관하거나 서로 간에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인 구성, 하드웨어 간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적인 구성, 및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을 포함하는 시스템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은 상품관리 서버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품관리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서 인터넷 쇼핑몰에서 이루어지는 상품 등록이나 판매 및 판매에 따른 재고변동 등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품관리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도 있고, 상품관리를 위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상품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can be implemented on a system including a hardware configuration that can store data or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between each other, a network configuration that can interconnect the hardware, and a software configuration. have. For example,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a product management server, and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may interwork with a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on product registration, sale, and stock fluctuation due to sale and sale made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is recorded through the Internet. Information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may provide a web site through a network, or may provide a product management service to a user in conjunction with a program for product management.

상품관리 서버 혹은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서 판매자가 팔기 위해서 올려 놓은 상품의 재고 물량에 대한 정보 즉, 재고상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서 유지할 수 있다.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may maintain the information on the stock quantity of the goods placed for sale by the seller through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at is, the stock product information as a database.

그리고, 상품관리 서버 혹은 사용자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에서 재고확인창, 발송가능창, 및 출고완료창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되는 상기 여러 창들이 상품관리방법을 운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여진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may arrange and display the stock confirmation window, the shipment possible window, and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in a predetermined order on a displa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In this case, the various window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are meaningful to the user operating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보여지는 상기 여러 창들은 일정한 순서로 표시되는데, 여기서 “일정한 순서”라 함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배열되는 여러 가지 방향이나 순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아래로 상기 여러 창들을 표시할 수도 있고, 혹은 좌에서 우로 상기 여러 창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등 다양하게 그 배열 방향이나 순서를 정할 수 있다. The windows shown through the display are displayed in a certain order. Here, the term "constant order" may mean various directions or orders arrang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For example, the various windows may be display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r the various windows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from left to right.

또한, 여러 창들을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하지는 않더라도, 시각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일정한 방향성 및 순서를 가지고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기둥 형상의 디스플레이가 돌아가면서 각각의 창들을 보여주는 방법으로도 표시할 수 있으며, 메인 윈도우가 전면으로 돌출되면서 각 창을 확대 표시하는 방법으로도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all windows are displayed on one screen, they may be displayed visually or logically with a certain direction and order. For example, each pillar-shaped display may be displayed by displaying each window as it rotates, or may be displayed by enlarging and displaying each window as the main window protrudes to the front.

또한, 여러 창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에 한 눈에 보이도록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여러 창들에서 이루어지는 순차적인 상품관리 단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displaying several windows at a glance on a displa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with an intuitive view of the sequential merchandise management step performed in the various windows.

또한, 상품관리 서버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서 수집되는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를 상품별로 확인할 수 있다.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는 이미 상품관리 서버에서 유지하고 있는 재고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may check whether the stock of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shopping mall for each product. The availability of the ordered goods information can be checked using the stocked goods information already maintained in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이러한 확인 과정에서는 먼저,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가 기존의 주문상품 정보와 중복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고, 그 후에, 기존의 주문상품 정보와 중복되지 않는 새로운 주문상품 정보를 재고상품 정보와 매핑(mapping)시켜 확인할 수 있다. 매핑하는 과정에 대해서 조금 더 부연 설명하자면, 주문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주문상품과 재고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재고상품을 일대일로 매핑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상품에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고유한 코드가 부여되어 있고, 재고상품에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고유한 코드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상품을 매핑하는 과정은 결국 상기한 고유 코드를 서로 매핑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onfirmation process, first,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collected order product information overlaps with the existing order product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and then, new order product informa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existing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mapped to the inventory product information. It can be confirmed by mapping. To further explain the mapping process, the ordered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and the stocked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stocked product information may be mapped one-to-one. In this case, a unique code used in an internet shopping mall may be assigned to an order product, and a unique code used in an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may be assigned to an inventory product. Thus, the mapping of each product may eventually include mapping the unique codes to each other.

그 다음으로 상품관리 서버나 사용자 단말기는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를 재고확인창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주문상품 정보와 함께 재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재고정보를 표시한다. 재고정보는 재고가 있는 상태에서는 “발송 가능”으로 표시될 수 있고, 그렇지 못한 상태에서는 “재고 부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남아 있는 재고 수량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Next,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collected order product information in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At this time, the inventory information to check the availability of stock along with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inventory information may be marked as "available" if it is in stock, otherwise it may be marked as "out of stock", and the remaining stock may be displayed together.

따라서,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주문상품에 대한 주문상품 정보와 함께 주문상품의 재고가 있는지 없는지를 한눈에 재고확인창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재고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재고 부족”과 같은 특정 키워드를 제시할 수 있으며, 글자 색깔, 특정 도형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using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can check through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at a glance whether there is stock of the ordered product together with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on the ordered product which the consumer wants to purchase. As a way to check inventory, you can present specific keywords, such as “out of stock,” and express them in a variety of ways using text color and specific shapes.

또한, 주문상품 정보를 재고확인창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에서, 상품관리 서버 혹은 사용자 단말기는 매핑이 완료된 주문상품에 대응하는 주문상품 정보를 특정한 기준으로 그룹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in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may be displayed by grouping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ed product is mapped to a specific reference.

여기서, “특정한 기준”이라 함은, 주문상품 정보에 포함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품명칭이라든가 판매자, 제조회사, 제품의 색깔, 또는 구매자의 이름, 주소, 구매 수량, 및 본 상품에 딸려 가는 옵션 상품 등 매우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다. Here, the "specific criteria"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for example, a product name, a seller, a manufacturer, a color of a product, or a buyer's name, address, purchase quantity, And an optional product accompanying the present product.

특히, 매핑이 완료된 주문상품이 상위상품 및 하위상품으로 분류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품관리 서버 혹은 사용자 단말기는 상위상품을 기준으로 상위상품 및 하위상품을 트리 형태로 정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위상품은 본 상품을 의미할 수 있고, 하위상품은 본 상품에 딸려 판매되는 옵션 상품이나, 판촉 상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상품으로 텔레비전을 판매하는 경우, 옵션 상품으로 텔레비전을 벽에 걸기 위한 고정부재를 옵션 상품으로 판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텔레비전에 대응하는 상위상품의 주문상품 정보 밑으로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하위상품의 주문상품 정보를 배치하여, 주문상품 정보들을 마치 트리 형태로 그룹 지어 정리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mapped ordered product may be classified into a higher product and a lower product,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may arrange the upper product and the lower product in a tree form based on the upper product. Specifically, the upper product may mean the present product, and the lower product may mean an option product sold with the present product or a promotional product. For example, when the television is sold as the present product, the optional product As a result, a fixing member for hanging the television on the wall can be sold as an optional product. In this case,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of the lower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mber may be arranged under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of the upper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television, and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may be grouped in a tree form.

또한, 특정한 기준으로서 구매자를 선정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구매자 별로 주문상품을 확인할 수 있어서, 배송 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rchaser may be selected as a specific criterion. In this case, the user may check the ordered product for each purchaser, which may be useful for delivery.

또한, 이미 그룹화된 주문상품 정보들일지라도 사용자의 의도대로 각각의 주문상품 정보로 해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그룹화된 주문상품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재고부족으로 발송이 불가한 경우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재고가 부족한 주문상품 정보를 따로 분리하여, 그룹내의 다른 상품들은 발송가능창으로 옮겨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ven the already ordered group item information can be released with each order ite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In this case, one of the grouped ordered product information may not be dispatched due to lack of stock. In such a case,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lacking in stock may be separated and other items in the group may be transferred to the dispatchable window .

상술한 바와 같이, 주문상품 정보를 재고정보와 함께 재고확인창에 디스플레이하고 나면, 상품관리 서버 혹은 사용자 단말기는 주문상품 정보를 발송가능창으로 옮길 수 있도록 승인 받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together with the inventory information,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may perform an approval step to move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to the dispatch window.

상기 승인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서 직접 이루어지거나 상품관리 서버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상품 정보에 대해서 재고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해당하는 주문상품 정보를 마우스의 드래그(drag) 동작이나 키보드의 키 입력을 통한 선택을 하여 발송가능창으로 옮길 수 있다. The approval process may be performed directly by the user or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the goods management server. For exampl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n inventory item for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the user can directly move the corresponding order product information to the dispatchable window by selecting a drag operation of the mouse or key input of the keyboard .

참고로, 주문상품에 대한 재고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주문상품의 재고가 확인되기 전에는 재고가 부족한 재고부족 상태 외에도 여러 상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문상품 및 재고상품이 상호 매핑이 되지 않은 미매핑 상태, 매핑이 완료는 되었으나 실시간 재고가 확인되지 않은 재고미확인 상태, 혹은 소비자의 요청으로 주문이 취소되어 있는 주문취소 상태, 혹은 여타 다른 이유로 인한 보류 상태 등이 있을 수 있다. For reference, i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inventory of the ordered goods, the inventory of the ordered goods may have various states in addition to the shortage of the stock shortages, for example, the ordered goods and the inventoryed goods are not mapped to each other. Un-mapped status, un-mapped status where mapping is completed but real-time inventory has not been confirmed, or an order canceled status where an order is canceled at the request of a consumer or a pending status for other reasons.

각각의 주문상품 정보에 대한 발송가능창으로의 전환을 승인 받고 나서 상품관리 서버나 사용자 단말기는 발송가능창으로의 전환 승인에 대응하여 주문상품 정보를 발송가능창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fter the conversion to the sendable window for each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approved,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may move and display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to the sendable window in response to the approval of switching to the sendable window.

이 단계에서는 재고가 존재하여 발송이 가능한 주문상품 정보들을 송장 출력하여 배송처에 제공하거나, 주문서 인쇄, 및 엑셀로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는 등 배송처리를 위한 특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주문을 1건씩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고, 사용자는 이를 토대로 화면에 나타난 주문의 상품을 박스 포장하여 출고를 확정할 수 있다. At this st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functions for delivery processing such as outputting invoice order product information that exists in stock and delivering it to a delivery destination, printing an order form and downloading it to Excel, One item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r the user may box the products of the order displayed on the screen based on the items and confirm the goods issue.

또한, 재고가 존재하여 발송이 가능한 상태는 재고 조사 결과 재고가 존재하는 발송가능 상태 외에도 원래 주문한 물품은 재고가 없으나, 고객의 요청으로 다른 상품으로 대신 보낼 수 있는 대체발송가능 상태도 해당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ate in which the stock exists and can be sent out may be the alternative dispatchable state in which the original order is not in stock, but can be sent to another product at the request of the customer. .

따라서, 매핑이 완료된 주문상품이라도 경우에 따라서 주문상품 외의 다른 상품으로 대체하거나, 새로운 주문상품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user to freely replace the ordered product, or add or delete a new ordered product, if necessary, even if the ordered product has been mapped.

상술한 바와 같이, 주문상품 정보가 발송가능창에 디스플레이된 이후, 다시 상품관리 서버는 주문상품 정보를 발송가능창에서 출고완료창으로 옮길 수 있도록 승인 받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shippable window,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may perform an approval step to move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shippable window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이때에도 상기 승인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서 직접 이루어지거나 상품관리 서버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제품이 실제 발송이 완료된 상태인 출고완료 상태이면, 사용자가 직접 해당하는 주문상품 정보를 마우스의 드래그 동작이나 키보드의 키 입력을 통한 선택을 하여 출고완료창으로 옮길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pproval process may be performed directly by the user or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For example, if th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in the shipment completion state in which the actual shipment is completed, the user directly selects the corresponding order product information by dragging the mouse or pressing a key on the keyboard to the shipment completion window. I can move it.

각각의 주문상품 정보에 대한 출고완료창으로의 전환을 승인 받고 나서 상품관리 서버는 출고완료창으로의 전환 승인에 대응하여 주문상품 정보를 출고완료창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fter the conversion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for each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approved,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may move and display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in response to the conversion approval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이 단계에서는 상품관리 서버에서 유지하고 있는 재고상품 정보의 재고를 주문 수량만큼 차감하거나, 문제가 발생하면 다시 재고 확인 단계로 돌리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st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of subtracting the inventory of the inventory item information held by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by the order quantity, or to return to the inventory confirmation stage when a problem occurs.

본 발명의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방법에서는 주문상품의 재고확인, 발송가능, 및 출고완료를 포함하는 일련의 처리 과정을 디스플레이 상에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품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In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checking the stock of the ordered product, sending out possible, and completing the release of the produc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so that the user can manage the product more efficiently. You can proceed.

특히, 재고확인창, 발송가능창, 및 출고완료창의 그 순서 및 방향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장 편안하게 상품의 처리과정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In particular, by allowing the user to freely set the order and direction of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the shippable window, and the shipping completion window, the user can conveniently view the processing of the goods.

또한, 상기 여러 창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에 온전하게 표시되게 하여, 사용자가 순차적인 상품관리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various windows are displayed intact on one display, thereby providing a convenience for the user to view the sequential merchandise management process at a glance.

또한, 주문상품 정보를 특정한 기준으로 그룹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가 상기 기준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상품관리를 사용자에 맞게 조정할 수 있고, 특히, 구매자를 기준으로 상품정보를 정렬하는 경우, 사용자가 구매자 별로 주문상품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인쇄하거나, 송장 출력, 혹은 엑셀 파일 등으로 출력하여 배송 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can be grouped and displayed by a specific criterion, wherein the user can freely change the criterion to adjust the product management to the user, and in particular, when sorting the product information by the buyer, Buyer can check the ordered goods by buyer, print them out, print out the invoice, or print them in an Excel file, so that they can be useful when shipping.

도 1은 본 발명의 상품관리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에 따라서 상품관리 서버가 디스플레이 상에 주문상품 정보 및 재고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한 상태도로서, 특히, 주문상품 정보를 상위상품 및 하위상품으로 구분하여 트리 형태로 정리하여 디스플레이한 상태도이다.
도 3은 트리 형태로 정리된 주문상품 정보를 다시 같은 수령인끼리 그룹화하여 디스플레이한 상태도이다.
도 4는 주문상품의 재고확인, 발송가능, 및 출고완료까지의 일련의 출고 업무를 사용자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각각의 창을 하나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displays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and the inventory information together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tate diagram that is divided and displayed in tree form.
3 is a state diagram in which ordered goods information arranged in a tree form is grouped and displayed again among the same recipients.
4 is a state diagram of each window displayed on one monitor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at a glance a series of release tasks until the inventory confirmation, shipping possible, and release of the ordered goods.
5 is a flow chart of a product management metho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the same numbers in this description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other drawings under these rules, and the contents which are judged to be obvious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can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관리방법은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은 상품관리 서버(10)를 구비하며, 상품관리 서버(10)는 인터넷을 통해서 인터넷 쇼핑몰에서 이루어지는 상품 등록이나 판매 및 판매에 따른 재고변동 등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12)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Produc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1,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goods management server 10, and the goods management server 10 records information on inventory changes due to product registration, sale, and sale made at an Internet shopping mall via the Internet And can store and manage the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database 12.

마찬가지로, 인터넷 쇼핑몰에서도 별도의 쇼핑몰 서버(14)를 가지며, 쇼핑몰 서버(14)에는 판매자가 팔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가 수집 관리되며, 이 정보는 인터넷으로 상품관리 서버(10)와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다. Likewise, the Internet shopping mall also has a separate shopping mall server 14, and the shopping mall server 14 collects and manages information on the goods to be sold by the seller. The information is connected to the goods management server 10 via the Internet, .

한편, 상품관리 서버(10) 및 쇼핑몰 서버(14) 모두 인터넷을 통해서 상품관리 서버 및 쇼핑몰 서버의 관리자, 판매자, 또는 구매자의 단말기(16)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판매자, 및 구매자는 상호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며, 이들 중 중복되는 자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사용자”는 상품관리 서버나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상품관리방법을 운용하는 자를 지칭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관리자, 판매자, 구매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both the goods management server 10 and the shopping mall server 14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6 of the goods management server and the shopping mall server administrator, seller, or purchaser through the Internet. Here, the manager, the seller, and the buyer are not mutually exclusive, and any of them may overlap. For reference, as used herein, a "user" may refer to a person who operates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product management server or a user terminal, and the user may include an administrator, a seller, and a buyer.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에 따라서 상품관리 서버가 디스플레이 상에 주문상품 정보 및 재고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한 상태도로서, 특히, 주문상품 정보를 상위상품 및 하위상품으로 구분하여 트리 형태로 정리하여 디스플레이한 상태도이며, 도 3은 트리 형태로 정리된 주문상품 정보를 다시 같은 수령인끼리 그룹화하여 디스플레이한 상태도이며, 도 4는 주문상품의 재고확인, 발송가능, 및 출고완료까지의 일련의 출고 업무를 사용자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각각의 창을 하나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2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displays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and the inventory information together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tate diagram that is divided and displayed in a tree form, and FIG. 3 is a state diagram in which ordered product information, arranged in a tree form, is displayed by grouping the same recipients again, and FIG. FIG. 5 is a state diagram displaying each window on one monitor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at a glance a series of shipping tasks, and FIG. 5 is a flowchart of a product management method in an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방법은 인터넷 쇼핑몰로부터 주문된 주문상품의 정보를 수집하여 배송처로 주문상품 정보를 전송 가능한 상태로 출력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재고확인에서 출고완료까지 판매자의 출고 업무를 보조할 수 있다. 2 to 5,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information of the ordered goods from the Internet shopping mall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for outputting the order goods information to the delivery destination It can be applied at, and can assist the seller's release from checking the inventory to the completion of issue.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방법은, 재고상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상에 재고확인창, 발송가능창, 및 출고완료창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는 단계, 재고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를 상품별로 확인하는 단계,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재고정보와 함께 재고확인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발송가능창으로의 전환을 승인 받는 단계, 발송가능창으로의 전환 승인에 대응하여 재고확인창에서 재고가 확인된 주문상품 정보를 발송가능창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출고완료창으로의 전환을 승인 받는 단계, 및 출고완료창으로의 전환 승인에 대응하여 상기 발송가능창에서 출고가 가능하거나 출고 완료된 주문상품 정보를 상기 출고완료창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includes maintaining a database of stock product information, arranging a stock confirmation window, a shippable window, and a delivery completion window on a display in a certain order, using the stock product information. Confirming whether the collected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in stock, displaying the collected order product information in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together with the inventory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inventory is available, and obtaining approval for the conversion to the shippable window; In response to the approval of the conversion to the window available for shipment, moving and displaying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whose inventory is confirmed from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to the shipment available window, acquiring the conversion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and switching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In response to the approval, the order completion information can be released from the dispatchable window or the completed order information can be sent to the shipment completion window. It may include a step of moving the display.

주문상품의 재고확인, 발송가능, 및 출고완료를 포함하는 일련의 처리 과정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상에서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품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As a series of processing processes including inventory confirmation, ordering possible, and completion of the ordered goods can be displayed at a glance on the display, as shown in FIG. 4,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user can more efficiently manage the product.

본 실시예에서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은 상품관리 서버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품관리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서 인터넷 쇼핑몰에서 이루어지는 상품 등록이나 판매 및 판매에 따른 재고변동 등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a product management server, and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may be linked with a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product registration, sale, and stock fluctuation due to sale and sale made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is recorded. Information can be stored and managed.

또한, 상품관리 서버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관리를 위한 고유한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상품관리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도 2 내지 4에 도시되는 화면들은 배송처에 그대로 전송될 수도 있고, 별도의 송장이나 엑셀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서 출력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as shown in Figures 2 to 4, to display a program for the product management to the user by driving a unique program for product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screens shown in Figs. 2 to 4 may be transmitted to the delivery address as it is, or may be output through a separate invoice or a program such as Exce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each step of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상품관리 서버는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서 판매자가 팔기 위해서 올려 놓은 상품의 재고 물량에 대한 정보 즉, 재고상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서 유지할 수 있다. First,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may maintain the information on the stock quantity of the goods put up for sale by the seller through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at is, the stock product information as a database.

참고로, 재고상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서 수집하는 과정은, 판매자가 인터넷 쇼핑몰에 올려 놓은 재고상품 정보를 상품관리 서버로 가져오거나, 쇼핑몰을 통하지 않고도 판매자가 상품관리 서버를 운용하는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할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 별도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여 판매자가 재고상품 정보를 직접 상품관리 서버에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reference, the process of collecting inventory product information as a database may be carried out by bringing the inventory product information placed by the seller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 to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or by providing the product directly to the user who operates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It is also possible that a separate web page is provided on the network so that the seller can directly upload the inventory item information to the goods management server.

상품관리 서버는 상품관리 서버에 직접 연결된 디스플레이 혹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는 여타의 디스플레이에서 재고확인창(110), 발송가능창(120), 및 출고완료창(130)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The merchandise management server may arrange and display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110, the shipment enablement window 120, and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130 in a predetermined order on a display directly connected to the merchandise management server or another displa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Can be.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보여지는 여러 창들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다양한 방향이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좌에서 우로 상기 창들을 배열함으로써, 사용자가 상품처리 과정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여러 창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에 다 들어오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순차적인 상품관리 단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The windows shown through the display may be arranged in various directions or in order for the user's convenie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dows are arranged from left to right,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product processing process from left to right at a glance. have. In particular, by displaying all of these windows on one display, the user can conveniently understand the sequential merchandise management steps.

여러 창들을 디스플레이 해놓고, 상품관리 서버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서 수집되는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를 상품별로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는 이미 상품관리 서버에서 유지하고 있는 재고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여기서, 재고상품 정보는 판매자가 팔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예를 들면, 제품명, 제품 색상, 보유한 재고 수량, 판매 기간, 색상, 옵션 상품, 판촉 상품, 오프라인 상점의 위치, 판매자 상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merchandise management server, a plurality of windows are displayed. In the merchandise management server, whether or not the order merchandis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shopping mall is purchased is checked for each merchandise. Can be confirmed. Herein, the inventory item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a product name, a product color, a stock quantity, a sales period, a color, an optional item, a promotional item, a location of an offline store, Information).

상품관리 서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재고상품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서 주문되는 다양한 제품의 주문상품 정보를 수집(201)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주문된 상품의 재고를 확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may collect 201 order product information of various products ordered through the Internet shopping mall while maintaining the information of the stock product. The stock of the ordered product can then be checked.

이러한 재고 확인 과정에서는 먼저,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가 기존의 주문상품 정보와 중복되는지 확인(202)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는데, 이때, 중복되는 주문상품 정보가 들어오면 다음 주문상품 정보를 확인(203)하고, 중복되지 않는 새로운 주문상품 정보로 확인되면 새로운 주문상품 정보를 재고상품 정보와 매핑시킬 수 있다. In the inventory confirmation process, first,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collected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overlapped with the existing order product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202). In this case, when the duplicate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received, the next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checked (203). If the new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not duplicated, the new order product information can be mapped to the inventory product information.

한편, 주문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주문상품(예를 들면, 본 상품, 옵션상품, 및 추가구매 상품 등)에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상품의 고유한 코드가 부여되어 있고, 재고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재고상품에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상품의 고유한 코드가 부여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rder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resent product, option product, and additional purchase product, etc.) is assigned a unique code of the product use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e inventory corresponding to the inventory product information The product is given a unique code of the product use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따라서, 매핑 과정은 주문상품 정보에서 본 상품, 옵션 상품, 및 추가구매 상품으로부터 각각의 고유한 코드를 추출(204)하고, 이를 재고상품 정보에서 추출된 재고상품의 고유한 코드와 자동으로 매핑(205)시켜 이루어진다. 참고로, 매핑이 이뤄지지 않은 주문상품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매핑(206)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apping process extracts each unique code from the product, the option product, and the additional purchase product viewed in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204), and automatically maps the unique code of the inventory product extracted from the inventory product information ( 205). For reference, the user may manually map 206 the ordered product that is not mapped.

자동이나 수동으로 주문상품에 대한 코드가 매핑되면, 보유하고 있는 재고상품의 재고를 확인(207)한다. 이때, 재고가 존재하는지 하지 않는지를 확인(208)하며, 재고가 존재하면 해당 주문상품은 발송할 수 있는 상태로 취급되어 서버에 저장(209)된다. 한편, 재고가 없는 경우에는 추후에 해당 상품이 입고(210)되어 재고 보유상태가 되면, 해당 상품은 다시 재고확인을 하는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그 후, 다른 주문을 더 확인(211)할 수 있다. When the code for the ordered product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mapped, the inventory of the held stock is checked (207). At this time, it is checked whether the stock exists or not (208). If the stock exists, the ordered product is treated as being able to be shipped and stored in the server (209).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stock in the future, when the product is received (210) in the inventory holding state, the product can go back to the step of checking the inventory again. Thereafter, other orders may be further confirmed 211.

재고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를 상품별로 확인하는 단계에 대해서 조금 부연 설명하면, 주문상품 정보가 모니터에 표시되면, 작업자는 리더기를 통해서 대상상품 정보를 읽고, 이 정보가 서버로 전달되어 재고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이때, 재고상품을 리더기로 읽어 모든 주문상품을 확인하고 나면, 출고완료 상태로 주문상품 정보를 넘길 수 있도록 서버에 주문상품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When explaining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collected using the inventory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is explained in a little detail, when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onitor, the operator reads the target product information through the reader and the information is It can be delivered to the server to check availability. At this time, after reading the inventory product with the reader to confirm all the ordered product,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erver so as to pass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in the finished delivery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가 확인되면, 상품관리 서버는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를 재고확인창(110)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주문상품 정보와 함께 재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재고정보(140)를 표시한다. 재고정보는 재고가 있는 상태에서는 “발송 가능”으로 표시될 수 있고, 그렇지 못한 상태에서는 “재고 부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남아 있는 재고 수량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vailability of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displays the collected order product information on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110). At this time, the stock information 140 to check the availability of stock along with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inventory information may be marked as "available" if it is in stock, otherwise it may be marked as "out of stock", and the remaining stock may be displayed together.

따라서,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주문상품에 대한 주문상품 정보와 함께 주문상품의 재고가 있는지 없는지를 한눈에 재고확인창(110)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using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can check through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110 at a glance whether there is stock of the ordered product together with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on the ordered product which the buyer wants to purchase.

또한, 주문상품 정보를 재고확인창(110)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에서, 상품관리 서버는 매핑이 완료된 주문상품에 대응하는 주문상품 정보를 특정한 기준으로 그룹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on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110,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may be displayed by grouping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ed product is mapped to a specific reference.

여기서, “특정한 기준”이라 함은, 주문상품 정보에 포함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품명칭이라든가 판매자, 제조회사, 제품의 색깔, 또는 구매자의 이름, 주소, 구매 수량, 및 본 상품에 딸려 가는 옵션 상품 등 매우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pecific criteria"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for example, a product name, a seller, a manufacturer, a color of a product, or a buyer's name, address, purchase quantity, And it may include a wide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optional products that accompany the product.

특히, 매핑이 완료된 주문상품이 상위상품 및 하위상품으로 분류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품관리 서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상품을 기준으로 상위상품(151) 및 하위상품(152)을 트리 형태로 정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위상품은 본 상품을 의미할 수 있고, 하위상품은 본 상품에 딸려 판매되는 옵션 상품이나, 판촉 상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상품은 도 2에서 ‘슈렉 3’에 해당하며, 옵션 상품은 도 2에서 ‘안경테’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상품 정보 밑으로 하위상품 정보를 배치하여, 상위 및 하위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그룹 즉, 주문상품 정보들을 마치 트리 형태로 그룹 지어 정리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mapped ordered product may be classified into a higher product and a lower product, the merchandise management server may display the upper product 151 and the lower product 152 based on the upper product as shown in FIG. 2. Can be organized into a tree. Specifically, the upper product may mean the present product, and the lower product may mean an option product or a promotional product sold with the present product. For example, the present product may be referred to as 'Shrek 3' in FIG. 2. Correspondingly, the option product corresponds to 'glasses frame' in FIG. In this case, as shown, by placing the lower product information under the upper product information, the order group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product information, that is,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can be grouped in a tree form.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기준으로서 구매자를 선정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구매자 별로 주문상품을 확인할 수 있어서, 배송 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purchaser may be selected as a specific criterion. In this case, the user may check the ordered product for each buyer, which may be useful for delivery.

여기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주문상품 정보를 상하관계나 구매자를 기준으로 묶어 내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을 부가하면, 먼저, 주문상품 정보에서 상하관계를 알 수 있는 정보 및 구매자 정보를 걸러내고, 걸러진 정보를 일방향적인 함수로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정렬기준을 통해서 주문상품 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암호화는 불가역적인 함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불가역적인 일방향함수로서 해시(Hash) 알고리즘, 수학계산 또는 원문 일부를 사용할 수 있다.Here, if the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tying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vertical relationship or the buyer, as shown in Figures 2 and 3, first, the information to know the vertical relationship and the buyer information in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The filtered information can be encrypted by a one-way function, and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can be sorted through the encrypted sorting criteria. Encryption may use irreversible functions, for example, using a hash algorithm, mathematical calculation, or a part of the text as an irreversible one-way function.

또한, 이미 그룹화된 주문상품 정보들일지라도 사용자의 의도대로 각각의 주문상품 정보로 해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그룹화된 주문상품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재고부족과 같이 발송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재고가 부족한 주문상품 정보를 따로 분리하여, 그룹내의 다른 상품들은 발송가능창으로 옮겨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ven the already ordered group item information can be released with each order ite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is is because there may be a situation where one of the grouped order information cannot be shipped, such as a lack of stock. In such a case,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that is out of stock may be separated and other products in the group may be moved to the dispatch window. To do so.

상술한 바와 같이, 주문상품 정보를 재고정보와 함께 재고확인창(110)에 디스플레이하고 나면, 상품관리 서버는 주문상품 정보를 발송가능창(120)으로 옮길 수 있도록 승인 받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tock confirmation window 110 together with the inventory information,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may perform a step of receiving approval to move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to the shippable window 120. .

상기 승인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서 직접 이루어지거나 상품관리 서버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상품 정보에 대해서 재고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해당하는 주문상품 정보를 마우스의 드래그 동작이나 키보드의 키 입력을 통한 선택을 하여 발송가능창으로 옮길 수 있다. The approval process may be performed directly by the user or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the goods management server.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in stock, the user may directly move the corresponding order product information to a shipment enable window by selecting a drag operation of a mouse or a key input of a keyboard.

참고로, 주문상품에 대한 재고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주문상품의 재고가 확인되기 전에는 재고가 부족한 재고부족 상태 외에도 여러 상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문상품 및 재고상품이 상호 매핑이 되지 않은 미매핑 상태, 매핑이 완료는 되었으나 실시간 재고가 확인되지 않은 재고미확인 상태, 혹은 소비자의 요청으로 주문이 취소되어 있는 주문취소 상태, 혹은 여타 다른 이유로 인한 보류 상태 등이 있을 수 있다. For reference, i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inventory of the ordered goods, the inventory of the ordered goods may have various states in addition to the shortage of the stock shortages, for example, the ordered goods and the inventoryed goods are not mapped to each other. Un-mapped status, un-mapped status where mapping is completed but real-time inventory has not been confirmed, or an order canceled status where an order is canceled at the request of a consumer or a pending status for other reasons.

각각의 주문상품 정보에 대한 발송가능창(120)으로의 전환을 승인 받고 나서 상품관리 서버는 발송가능창(120)으로의 전환 승인에 대응하여 주문상품 정보를 발송가능창(120)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fter receiving the approval of the conversion to the shipment possible window 120 for each order product information,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moves the order goods information to the shipment possibility window 120 in response to the conversion approval to the shipment possible window 120. Can be displayed.

이 단계에서는 재고가 존재하여 발송이 가능한 주문상품 정보들을 송장 출력하여 배송처에 제공하거나, 주문서 인쇄, 및 엑셀로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하는 등 배송처리를 위한 특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주문을 1건씩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In this step, you can provide customized functions for the delivery process such as invoice output and delivery to the shipping address, order sheet printing, and download to Excel. You can also display one by one on the screen.

또한, 재고가 존재하여 발송이 가능한 상태는 재고 조사 결과 재고가 존재하는 발송가능 상태 외에도 원래 주문한 물품은 재고가 없으나, 고객의 요청으로 다른 상품으로 대신 보낼 수 있는 대체발송가능 상태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ce of the inventory can be sent out, in addition to the shipment status of the inventories as a result of the inventory, the original ordered goods are not in stock, but there is also an alternative sendable state that can be sent instead of other goods at the request of the customer.

따라서, 매핑이 완료된 주문상품이라도 경우에 따라서 주문상품 외의 다른 상품으로 대체하거나, 새로운 주문상품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user to freely replace the ordered product, or add or delete a new ordered product, if necessary, even if the ordered product has been mapped.

상술한 바와 같이, 주문상품 정보가 발송가능창(120)에 디스플레이된 이후, 다시 상품관리 서버는 주문상품 정보를 발송가능창(120)에서 출고완료창(130)으로 옮길 수 있도록 승인 받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shippable window 120,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is again approved to move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shippable window 120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130 Can be done.

이때에도 상기 승인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서 직접 이루어지거나 상품관리 서버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제품이 실제 발송이 완료된 상태인 출고완료 상태이면, 사용자가 직접 해당하는 주문상품 정보를 마우스의 드래그 동작이나 키보드의 키 입력을 통한 선택을 하여 출고완료창(130)으로 옮길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pproval process may be performed directly by the user or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For example, if a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in a shipment completion state in which the actual shipment is completed, the user directly selects the corresponding order product information by dragging the mouse or pressing a key on the keyboard. 130).

각각의 주문상품 정보에 대한 출고완료창(130)으로의 전환을 승인 받고 나서 상품관리 서버는 출고완료창(130)으로의 전환 승인에 대응하여 주문상품 정보를 출고완료창(130)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fter receiving the approval of the conversion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130 for each order product information,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moves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130 in response to the conversion approval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130 Can be displayed.

이 단계에서는 상품관리 서버에서 유지하고 있는 재고상품 정보의 재고를 주문 수량만큼 차감하거나, 문제가 발생하면 다시 재고 확인 단계로 돌리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st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of subtracting the inventory of the inventory item information held by the product management server by the order quantity, or to return to the inventory confirmation stage when a problem occu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110:재고확인창 120:발송가능창
130:출고완료창 140:재고정보
110 : Stock confirmation window 120 : Shipping window
130 : Finished Goods Window 140 : Stock Information

Claims (8)

인터넷 쇼핑몰로부터 주문된 주문상품의 정보를 수집하여 배송처로 상기 주문상품 정보를 전송 가능한 상태로 출력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재고확인에서 출고완료까지 판매자의 출고 업무를 보조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방법에 있어서,
재고상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상에 재고확인창, 발송가능창, 및 출고완료창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는 단계;
상기 재고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를 상품별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재고정보와 함께 상기 재고확인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발송가능창으로의 전환을 승인 받는 단계;
상기 발송가능창으로의 전환 승인에 대응하여 상기 재고확인창에서 재고가 확인된 주문상품 정보를 상기 발송가능창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출고완료창으로의 전환을 승인 받는 단계; 및
상기 출고완료창으로의 전환 승인에 대응하여 상기 발송가능창에서 출고가 가능하거나 출고 완료된 주문상품 정보를 상기 출고완료창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
It can be applie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that collects the information of the ordered goods ordered from the Internet shopping mall and outputs the ordered goods information to the delivery address, and manages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at assists the seller's release from inventory confirmation to the completion of delivery. In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system,
Maintaining a database of inventory product information;
Arranging a stock confirmation window, a shippable window, and a shipment completion window on a display in a certain order;
Confirming whether the collected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in stock by using the stock product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Displaying the inventory information on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together with inventory information to confirm whether the collected order product information is in stock;
Approving the switchover to the dispatchable window;
In response to the conversion approval to the shippable window, displaying and moving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of which the stock is confirmed in the stock confirmation window to the shippable window;
Approving the switch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And
In response to the approval for switching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moving and displaying the order goods information that is available for shipment or finished in the shipping possible window to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Product management metho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확인창, 발송가능창, 및 출고완료창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the shippable window, and the delivery completion window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를 상품별로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가 기존의 주문상품 정보와 중복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비 중복되는 새로운 주문상품 정보 및 상기 재고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주문상품 및 상기 재고상품 각각을 매핑(mapping)시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inventory of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collected by using the stock product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Confirming whether the collected order product information overlaps with existing order product information; And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mapping the new order information and non-overlapping new order product information and each of the order product and the inventory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inventory (mapp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주문상품 정보의 재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재고정보와 함께 상기 재고확인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매핑이 완료된 상기 주문상품에 대응하는 상기 주문상품 정보를 특정한 기준으로 그룹화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displaying on the inventory confirmation window with the inventory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collected order product information,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ed product to which the mapping is completed by grouping.
제4항에 있어서,
매핑이 완료된 상기 주문상품이 상위상품 및 하위상품으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상위상품을 기준으로 상기 상위상품 및 상기 하위상품을 트리 형태로 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ordered product that has been mapped is classified as a parent product and a child product,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arrange the upper product and the lower product in the form of a tree based on the upper produc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기준은 각 구매자 별로 주문상품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pecific criterion is a product management metho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the order for each buyer.
제4항에 있어서,
그룹화된 상기 주문상품 정보를 각각의 상기 주문상품 정보로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can be released to each of the ordered product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매핑이 완료된 상기 주문상품을 상기 주문상품 외의 다른 상품으로 대체하거나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pping is completed, the order product can be replaced or added and deleted with other products other than the order product.
KR1020120063687A 2012-06-14 2012-06-14 Goods management method in management system of internet shopping mall KR1013229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687A KR101322921B1 (en) 2012-06-14 2012-06-14 Goods management method in management system of internet shopping m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687A KR101322921B1 (en) 2012-06-14 2012-06-14 Goods management method in management system of internet shopping m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921B1 true KR101322921B1 (en) 2013-10-29

Family

ID=4963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687A KR101322921B1 (en) 2012-06-14 2012-06-14 Goods management method in management system of internet shopping m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92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110A (en)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비주얼넷 Online franchise sales agency commerce seller system
KR20220114120A (en)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비주얼넷 Online resale commerce reseller system
KR20230163633A (en) 2022-05-23 2023-12-01 주식회사 비주얼넷 Online franchise sales agency commerce seller system using AI
KR20230163632A (en) 2022-05-23 2023-12-01 주식회사 비주얼넷 Online resale commerce reseller system using metaver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574A (en) * 2001-06-23 2003-02-05 김준태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managing sales and inventory
KR20030012161A (en) * 2001-07-30 2003-02-12 (주)이엠피지 system for providing online commerce agential service and integrated commerce service
KR20100114438A (en) * 2009-04-15 2010-10-25 이기설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ordering on-line shopping mall order commodities
KR20100127504A (en) * 2009-05-26 2010-12-06 이기설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livery of on-line shopping mall order commodit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574A (en) * 2001-06-23 2003-02-05 김준태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managing sales and inventory
KR20030012161A (en) * 2001-07-30 2003-02-12 (주)이엠피지 system for providing online commerce agential service and integrated commerce service
KR20100114438A (en) * 2009-04-15 2010-10-25 이기설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ordering on-line shopping mall order commodities
KR20100127504A (en) * 2009-05-26 2010-12-06 이기설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livery of on-line shopping mall order commoditi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110A (en)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비주얼넷 Online franchise sales agency commerce seller system
KR20220114120A (en)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비주얼넷 Online resale commerce reseller system
KR20230163633A (en) 2022-05-23 2023-12-01 주식회사 비주얼넷 Online franchise sales agency commerce seller system using AI
KR20230163632A (en) 2022-05-23 2023-12-01 주식회사 비주얼넷 Online resale commerce reseller system using metaver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2168B2 (en) Purchasing management system, purchasing management method, and purchasing management program
CN108898200B (en) Intelligent sheet splitting system, production progress management system, realization method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045587B1 (en) Stock management system and stock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JP6006856B1 (en) Product sales management server, product sales management system, and product sales management method
JP2000242721A (en) Acceptance and ordering entrusted management system
KR101322921B1 (en) Goods management method in management system of internet shopping mall
JP2020129389A (en) Transaction support system
JP6424311B2 (en) Supply chai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system and program therefor
KR101477662B1 (en) Ordering goods information arranging method in management system of internet shopping mall
KR101431428B1 (en) Horizontal order locking system between wholesaler and consumer
JP2003157377A (en) Network system, purchase history presenting method, server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855326B2 (en) Code management system and code management method
JP2007334547A (en) Distribution system
US20160104230A1 (en) Cooperation server,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operation program, and ec system
US201900803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acquisitions
US20160253729A1 (en) Cooperation server, cooperation program, and ec system
CN105590248B (en) Intelligent business operation system
JP5108360B2 (en) Code management system and code management method
KR20210017594A (en) System and method of integrated management for e-Commerce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JP5898711B2 (en) Raw material management device and prepared meal support system
KR101607397B1 (en) Method and system for order management in social platform
JP2004234690A (en) Circulation support facility
JP74916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02005162A1 (en) Commodity selling apparatus
US20160253730A1 (en) Cooperation server, cooperation program, and ec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