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676B1 -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676B1
KR101320676B1 KR1020110107313A KR20110107313A KR101320676B1 KR 101320676 B1 KR101320676 B1 KR 101320676B1 KR 1020110107313 A KR1020110107313 A KR 1020110107313A KR 20110107313 A KR20110107313 A KR 20110107313A KR 101320676 B1 KR101320676 B1 KR 101320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notification signal
cooperative terminal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1143A (en
Inventor
조희정
이은종
육영수
이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880,69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215860A1/en
Priority to PCT/KR2011/007846 priority patent/WO2012053844A2/en
Publication of KR20120041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1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6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의 존재를 알리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수신한 알림 신호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in a multiple wireless access system.
In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supporting a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which i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communication, from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on terminal for client cooperation (CC) Receiving a notification signal notifying the existence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a first wireless access method and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received notification signal among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And transmitting first data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first data, wherein the first data is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the first wireless access method, and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The base stations may be communicated through a second wireless access scheme.

Description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AND APPARATUS THEREOF}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in a multiple wireless access system.

최근 무선 통신망의 데이터 전송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머신 대 머신(Machine-to-Machine, M2M) 통신 및 높은 데이터 전송량을 요구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의 출현 및 보급 때문이다. 요구되는 높은 데이터 전송량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기술, 인지 무선(cognitive radio) 기술 등과 한정된 주파수 내에서 데이터 용량을 높이기 위해 다중 안테나 기술, 다중 기지국 협력 전송 기술 등이 최근 부각되고 있다.Recently, the data transmission amou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rapidly increasing. This is due to the advent and spread of various devices such as machine-to-machine (M2M) communications and smart phones and tablet PCs that require high data throughput. A carrier aggregation (CA) technique, a cognitive radio technique, and the like that efficiently use more frequency bands in order to satisfy a required high data transmission amount, a multi-antenna technique for increasing data capacity within a limited frequency, And base station cooperative transmission technology.

또한, 유비쿼터스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장비를 이용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as the ubiquitous environment comes into the market,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demand for providing continuous service without regard to time and place by using the equipment.

따라서 무선 통신망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하는 복수의 단말들이 서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통신 환경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들이 협력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terminal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 base station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volves in a direction that at least one terminal cooperates to transmit or receive data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environment.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단말들과의 연결되고 다른 단말들의 도움을 받아 기지국과 통신하고자 하는 주체인 소스 기기(Source Device), 소스 기기(Source Device)가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중계자 역할을 담당하는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 및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 역할을 담당하지 않는 소스 기기(Source Device) 이외의 후보 협력 기기를 포함한다.Here,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connected to other termi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source device and a source device, which are subjects to communicate with a base station with the help of other terminals, Cooperative devices that act as intermediaries to provide feedback and cooperative devices other than Source Devices that do not act as cooperative devices.

높은 밀도의 단말들을 갖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 간의 협력에 의해 더 높은 시스템 성능을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와 함께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전술한 예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훨씬 우수한 시스템 성능을 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협력 체계를 구축한 복수의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Multi Radio Access Technology(RAT) System)이라 칭한다.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high density terminals can exhibit higher system performance by cooperation between terminal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ransmitting predetermined data to a base station, a source device can transmit the data together with a cooperative device. Also, the source device may transmit the data through a cooperative device. The above-described example can be equally applied to a case where a base station transmits data to a terminal, thereby achieving much better system performance. Hereinafte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terminals having a cooperative system is referred to as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RAT) system.

이때,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이동성을 가지므로 자신과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At this time, since a source device has mobility,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updat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existing in a location close to itself, and thus a solution for this is required.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in a multiple wireless access system.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supporting a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performs communication.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후보 협력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at supports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to perform communication.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 base station supporting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to perform communication.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supporting a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Radio Access Technology)).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후보 협력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supporting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se station supporting a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Radio Access Technology)).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의 존재를 알리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수신한 알림 신호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In a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by a terminal supporting a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which i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client cooperation (CC) Receiving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a presence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on terminal from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on terminal through a first wireless access method and receiving the received notification signal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first data to the base station using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first data, wherein the first data is communicat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access schem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may be communicated through a second wireless access scheme. .

또한, 상기 단말이 제 2 데이터를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다이렉트(direct)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directly transmitting second data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second wireless access scheme.

또한,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은 WiFi(Wireless Fidelity) 접속 방식이고,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은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접속 방식일 수 있다.The first wireless access method may be a WiFi Fidelity (WiFi) access method,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method may be a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ccess method.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may be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은, 클라이언트 협력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이동 속도 정보, 위치 정보, 전력 보유량 정보, 채널 상태 정보, 주변 후보 협력 단말의 존재 여부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whether the client cooperative operation can support a client cooperative operation, movement speed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ower reserve information, channel state information, presence and number of neighboring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s, and information. It can be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using one.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각각의 알림 신호는 서로 다른 시간에 수신되어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tification signals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may be received and distinguished at different times.

또한, 상기 알림 신호는 RA(Receiver Address) 필드 및 TA(Transmitter Address) 필드를 포함하는 RTS(Ready To Send) 프레임의 형태로 수신되고, 상기 RA 필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각각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미리 할당된 주소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TA 필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각각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in the form of a ready to send (RTS) frame including a receiver address (RA) field and a transmitter address (TA) field, and the RA field distinguishes each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from each other. The TA field may be set to a pre-allocated address value, and the TA field may be set to a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 valu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또한, 상기 단말이 상기 알림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periodically monitoring whether the notification signal has been received.

또한, 상기 단말이 상기 수신한 알림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신한 알림 신호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대응하여 전송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by the terminal, the received notification signal to the base station, wherein the received notif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periodically or in response to a request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한편,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후보 협력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해 상기 후보 협력 단말의 존재를 알리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한 알림 신호를 통해 연결된 단말로부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제 1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후보 협력 단말 간에는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후보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in a method in which a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for supporting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which i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technical problem, performs communication, client cooperation (Client cooperation: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for notifying the existence of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o a terminal through a first wireless access scheme for receiving a first data from a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transmitted notific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first data to the base station, wherein the first data is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the first wireless access scheme, and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Can be communicated via a second wireless access scheme.

또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n activation request message for cooperating with the client from the base station, and may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request message.

또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 신호는 상기 수신한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time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wherein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또한, 상기 알림 신호는 RA(Receiver Address) 필드 및 TA(Transmitter Address) 필드를 포함하는 RTS(Ready To Send) 프레임의 형태로 전송되고, 상기 RA 필드는 상기 후보 협력 단말과 다른 후보 협력 단말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미리 할당된 주소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TA 필드는 상기 후보 협력 단말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ready to send (RTS) frame including a receiver address (RA) field and a transmitter address (TA) field, and the RA field may be different from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and another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e TA field may be set to a pre-assigned address value for identification, and the TA field may be set to a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 value of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한편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방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통해 단말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Meanwhile, in a method in which a base station supporting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which i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performs communication,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ransmitting an activation request message for client cooperation (CC) through a second wireless access method and a notification signal for client cooperation (CC) among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on terminal; Receiving first data using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data, wherein the first data is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a first wireless access schem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may communicat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access method.

또한, 상기 단말로부터 제 2 데이터를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다이렉트(direct)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rectly receiving second data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wireless access scheme.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은, 클라이언트 협력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이동 속도 정보, 위치 정보, 전력 보유량 정보, 채널 상태 정보, 주변 후보 협력 단말의 존재 여부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whether the client cooperative operation can support a client cooperative operation, movement speed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ower reserve information, channel state information, presence and number of neighboring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s, and information. It can be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using one.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각각의 알림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각각의 알림 신호는 상기 시간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에 전송되어 구분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ime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o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wireless access method. Each notif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distinguished at different times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한편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방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의 존재를 알리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수신한 알림 신호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과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a terminal supporting a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which i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t least one for client cooperation (CC) A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a presence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from a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a first wireless access method, through the received notification signal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A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first data to the base station using at least one connected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first data are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the first wireless access scheme, and the at least one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a second wireless access method It can include documents.

한편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방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후보 협력 단말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해 상기 후보 협력 단말의 존재를 알리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 모듈, 상기 전송한 알림 신호를 통해 연결된 단말로부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과 상기 수신한 제 1 데이터가 상기 송신 모듈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후보 협력 단말 간에는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며, 상기 후보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a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supporting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which i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for client cooperation (CC) A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for notifying the existence of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o a terminal through a first wireless access method, a reception module for receiving first data from a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transmitted notification signal, and the reception The first data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transmitting module, and the first data is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access method, and between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t may include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o communicate via a second wireless access scheme.

한편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방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통해 단말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과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a base station supporting a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which i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client cooperation with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Client cooperation) A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 activation request message for a CC through a second wireless access method, and connected to a terminal through a notification signal for client cooperation (CC) among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A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first data using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first data are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a first wireless access scheme, and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a processor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second wireless access scheme.

다중 무선 접속(Multi-RAT)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소스 기기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중 무선 접속(Multi-RAT)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는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협력 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 multi-RAT system, a base station can effectively transmit data to a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a multi-RAT system, a source device may effectively transmit data to a base station through a cooperat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3GPP LTE에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3GPP LTE에서 TDD(Time Division Duplex)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는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워드, 레이어 및 안테나의 맵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복수의 기기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 교환 단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알림 신호의 전송주기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알림 신호의 전송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지국 및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ultiple radio access system.
2 illustrates an example of multiple radio access system operations.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radio frame in 3GPP LTE.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me division duplex (TDD) radio frame structure in 3GPP LTE.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resource grid for one downlink slot.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ownlink subframe struct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uplink subframe used in an LTE system.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codewords, layers, and antennas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s in a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formation exchange step requir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devices in a multiple radio access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notificat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example of a transmission frame of a notificat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of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방식(multiple access scheme)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LTE의 진화이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is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used in a variety of multiple access schemes as well. CDMA may be implemented in radio technology such as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or CDMA2000. The TDMA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technology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OFDMA may be implemented in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and Evolved UTRA (E-UTRA). UTRA is part of the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is a part of E-UMTS (Evolved UMTS) using E-UTRA, adopting OFDMA in downlink and SC-FDMA in uplink. LTE-A (Advanced) is the evolution of LTE. IEEE 802.16m is the evolution of IEEE 802.16e.

본 명세서에서 무선 접속(Multi-RAT)이라고 사용하는 용어는 무선통신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용어로 호칭될 수 있다.The term 'multi-RAT' used herein may be referred to as various terms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도 1은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ultiple radio access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은 기지국(100) 및 복수의 통신 기기(110, 120, 130, 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ulti-radio access system includes a base station 100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110, 120, 130, and 140.

도 1에서 통신 기기로 표시된 기기(110, 120, 130, 140)는 다른 통신 기기들과의 연결되고 다른 통신 기기들의 도움을 받아 기지국과 통신하고자 하는 주체인 소스 기기(Source Device), 소스 기기(Source Device)가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중계자 역할을 담당하는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 또는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 역할을 담당하지 않는 소스 기기(Source Device) 이외의 후보 협력 기기가 될 수 있다.In FIG. 1, devices 110, 120, 130 and 140 indicated as communication devices are connected to other communication devices and are connected to a source device, a source device A source device that does not act as a cooperative device or a cooperative device that acts as an intermediary to help the source device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have.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복수의 통신 기기(110, 120, 130, 140)는 서로 협력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협력 체계가 구축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와 함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와 함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In a multiple wireless access system,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110, 120, 130, and 140 may establish cooperation systems with each other. In a multi-radio access system in which a cooperative system is established, a source device can transmit data to a base station together with a cooperative device. Furthermore, the Source Device may receive data from the base station along with a cooperative device.

여기서 복수의 기기들 간의 다이렉트(direct) 무선 통신 방식은 기지국과 복수의 기기들 간의 다이렉트(direct) 무선 통신 방식과 다를 수 있다. 즉, 복수의 기기들 간에는 무선랜 접속 방식(예를 들면, Wi-Fi 등)이 적용되어 데이터가 송수신되고, 기지국과 복수의 기기들 간에는 이동 통신망 접속 방식(예를 들면, IEEE 802.16 (WiMAX) 등)이 적용되어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Here, a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may be different from a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devices. That is,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applying a wireless LAN connection method (e.g., Wi-Fi)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method (e.g., IEEE 802.16 (WiMAX) Etc.) can be appli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예를 들어, 복수의 기기들은 IEEE 802.11 (Wi-Fi) 기술 방식 또는 블루투스 기술 방식에 따라 서로 다이렉트 통신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기기들 각각은 기지국과 IEEE 802.16 (WiMAX) 기술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다이렉트 통신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devices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IEEE 802.11 (Wi-Fi) technology scheme or a Bluetooth technology scheme.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IEEE 802.16 (WiMAX) technology.

단,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같은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기지국, 복수의 기기들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device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am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도 1을 참조하면, 협력 체계가 구축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140)는 협력 기기(130)와 함께 데이터를 기지국(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 기기는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성능이 보장된다. 또한, 협력 체계가 구축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통해 각각의 기기들의 쓰루풋(Throughput)을 강화시킬 수 있고, 협력 체계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보장된다.Referring to FIG. 1, in a multi-radio access system in which a cooperative system is established, a source device 140 can transmit data together with a cooperating device 130 to a base station 100. As a result, the communication device can efficiently transmit data, thereby ensuring excellent performance. In addition, the throughput of each device can be enhanced through the multi-radio access system in which the cooperative system is established,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cooperative system is also guaranteed.

또한, 협력 체계가 구축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를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를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Also, in a multi-radio access system in which a cooperative system is established, a source device can transmit data to a base station through a cooperative device. Furthermore, the Source Device may receive data from the base station via a cooperative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협력 체계가 구축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110)는 협력 기기(120)를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 기기는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in a multi-radio access system in which a cooperative scheme is established, a source device 110 can transmit data to a base station 100 through a cooperative device 120. This allows the communication device to efficiently transmit data,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system performance.

도 1에서는 소스 기기가 협력 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일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기지국이 데이터를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1, an example in which a source device transmits data to a base station via a cooperative device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a base station receives data from a source device.

또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도 1에서의 소스 기기(110, 140)는 협력 기기 또는 데이터의 전송에 참여하지 않는 이웃 기기가 될 수 있고, 협력 기기(120, 130)도 소스 기기 또는 데이터의 전송에 참여하지 않는 이웃 기기가 될 수도 있다.1 may be a cooperating device or a neighboring device not participating in the transmission of data, and the cooperating devices 120 and 130 may also be a source device or data Lt; RTI ID = 0.0 > of < / RTI >

도 2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a multiple radio access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은 기지국(210) 및 복수의 통신 기기들(220, 23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a multi-radio access system includes a base station 210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20 and 230.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복수의 통신 기기들(220, 230)은 802.11 (Wi-Fi)과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서로 협력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In the multiple wireless access system,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20 and 230 can establish cooperative systems with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technology such as 802.11 (Wi-Fi).

일반적으로 복수의 통신 기기들(220, 230) 각각은 기지국(210)과 IEEE 802.16 (WiMAX)과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직접적(direct)으로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20 and 230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directly via the base station 210 and a wireless technology such as IEEE 802.16 (WiMAX).

이때, 소스 기기(220)의 현재 통신 품질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우, 소스 기기(220)는 협력 기기(230)를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210)으로 간접적(indirect)으로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current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source device 220 suddenly drops, the source device 220 can indirectly transmit the data to the base station 210 through the cooperation device 230.

따라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통신 기기는 기지국과 직접적(direct)으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 품질이 우수한 협력 기기의 도움을 받아 간접적(indirect)으로도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in a multi-radio access system, a communication device can directly communicate data directly with a base station, in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help of a cooperative device having excellent communication quality, Deterioration can be prevented and efficient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복수의 통신 기기들이 협력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선결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사전 절차가 요구된다.In a multi-radio access system, in order fo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 preliminary procedure for exchanging information in advance is required.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복수의 통신 기기 간에 수행되어야 할 정보교환단계는 크게 네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 복수의 기기들이 협력하기 위한 협상 단계, 소스 기기의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multi-radio access system, information exchange steps to be performe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four steps. That is, it may include a general network entry step, a negotiation step for cooperation of a plurality of devices, a search for a neighboring device of the source device, a selection of a cooperating device among the discovered neighboring devices, and a connection to the selected cooperating device .

다음으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한다.Next, a structure of a radio fram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설명의 편의를 위해 3GPP LTE에서 적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무선 프레임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tructure of a radio frame applied in 3GPP LT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radio frames may be applied.

도 3은 3GPP LTE에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러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프레임 구조 타입 1이라 칭한다. 3 shows a structure of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radio frame in 3GPP LTE. This radio frame structure is referred to as frame structure type 1.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연속하는 슬롯(slot)으로 정의된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한다. 무선 프레임의 시간 길이 Tf=307200*Ts=10ms이며, 20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슬롯의 시간 길이 Tslot=15360*Ts=0.5ms이며 0에서 19로 넘버링된다. 각 노드 또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하향링크와 단말이 각 노드 또는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상향링크는 주파수 영역에서 구분된다.Referring to FIG. 3, a radio frame consists of 10 subframes, and one subframe is defined as two consecutive slots. The time taken for one subframe to be transmitted is called a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The length of time of the radio frame is T f = 307 200 * T s = 10 ms and consists of 20 slots. The length of time of the slot T slot = 15360 * T s = 0.5ms, numbered from 0 to 19. Downlink, where each node or base station transmits a signal to a terminal, and uplink, which a terminal transmits a signal to each node or base station, are distinguished in a frequency domain.

도 4는 3GPP LTE에서 TDD(Time Division Duplex)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낸다. 이러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프레임 구조 타입 2라 칭한다.4 shows a time division duplex (TDD) radio frame structure in 3GPP LTE. This radio frame structure is referred to as frame structure type 2.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 ms의 길이를 가지며 5 ms의 길이를 가지는 두 개의 반프레임(half-frame)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반프레임은 1 ms의 길이를 가지는 5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L subframe),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L subframe), 특수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된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연속하는 슬롯(slot)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one radio frame is composed of two half-frames having a length of 10 ms and a length of 5 ms. One half frame also consists of five subframes having a length of 1 ms. One subframe is designated as one of an uplink subframe (UL subframe), a downlink subframe (DL subframe), and a special subframe. One radio frame includes at least one uplink subframe and at least one downlink subframe. One subframe is defined by two consecutive slots. For example, one subframe may have a length of 1 ms, and one slot may have a length of 0.5 ms.

특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를 분리시키는 특정 구간(period)이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며, 특수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 구간(Guard Period), UpPTS(Uplink Pilot Time Slot)를 포함한다. DwPTS는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 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The special subframe is a specific period for separating the uplink and the downlink between the uplink subframe and the downlink subframe. At least one special subframe exists in one radio frame, and the special subframe includes a 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a guard period, and an uplink pilot time slot (UpPTS). DwPTS is used for initial cell search, synchronization or channel estimation. UpPTS is used to match the channel estimation at the base station and the uplink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of the terminal. The guard interval is a period for eliminating the interference occurring in the uplink due to the multi-path delay of the downlink signal between the uplink and the downlink.

FDD 및 TDD 무선 프레임에서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SC-FDMA 심벌과 같이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자원블록은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한다.One slot in the FDD and TDD radio frames includes a plurality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mbols in the time domai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esource blocks (RBs) in the frequency domain. The OFDM symbol is used to represent one symbol period since 3GPP LTE uses OFDMA in downlink, and may be called another term such as an SC-FDMA symbol according to a multiple access scheme. The RB includes a plurality of consecutive subcarriers in one slot in resource allocation unit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3GPP TS 36.211 V8.3.0 (2008-05)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의 4.1절 및 4. 2절을 참조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radio fram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is 3GPP TS 36.211 V8.3.0 (2008-05)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 "and sections 4.1 and 4.2.

전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radio frame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subframes included in the radio frame or the number of slots included in the subframe and the number of OFDM symbols included in the slot may be variously changed.

도 5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source grid for one downlink slot.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 심벌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7 OFDMA 심벌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5, one downlink slot includes a plurality of OFDM symbols in a time domain. Here, one downlink slot includes 7 OFDMA symbols, and one resource block (RB) is exemplarily described as including 12 subcarriers in a frequency doma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를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하며, 하나의 자원블록(RB)은 12×7개의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 NDL은 셀에서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상술한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는 상향링크 슬롯에도 적용될 수 있다. Each element on the resource grid is called a resource element, and one resource block RB includes 12 × 7 resource elements. The number N DL of resource blocks included in the downlink slot is dependent on the downlink transmission bandwidth set in the cell. The resource grid for the downlink slot described above may also be applied to the uplink slot.

도 6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6 shows an example of a downlink subframe structure.

도 6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은 연속하는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내의 첫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 OFDM 심벌들이 하향링크 제어채널들이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subframe includes two consecutive slots. Up to three OFDM symbols of the first slot in the subframe may be a control region to which downlink control channels are allocated, and the remaining OFDM symbols may be a data region to which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is allocated.

하향링크 제어채널에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이 포함된다.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OFDM 심벌에서 전송되는 PCFICH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채널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즉, 제어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DCI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및 임의의 UE 그룹들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파워 제어 명령(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등을 가리킨다. PHICH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신호를 나른다. 즉,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된다.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includes a 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a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The PCFICH transmitted in the first OFDM symbol of the subframe carri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OFDM symbols (that is, the size of the control region) used for transmission of control channels in the subframe.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PDCCH is referred to as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DCI indicates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down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and 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for certain UE groups. The PHICH carries an ACK (Acknowledgement) / NACK (Not-Acknowledgement) signal for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of uplink data. That is, the ACK / NACK signal for the uplink data transmitted by the UE is transmitted on the PHICH.

PDSCH는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이다. 단말은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디코딩하여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PDSCH is a channel through which control information and / or data is transmitted. The UE may read down th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PDSCH by decoding th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PDCCH.

도 7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L subframe used in an LTE system.

도 7을 참조하면, LTE 상향링크 전송의 기본 단위인 1ms 길이의 서브프레임(700)은 두 개의 0.5ms 슬롯(701)으로 구성된다. 일반(Normal)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의 길이를 가정할 때, 각 슬롯은 7개의 심볼(702)로 구성되며 하나의 심볼은 하나의 SC-FDMA 심볼에 대응된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703)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 그리고 시간영역에서 한 슬롯에 해당되는 자원 할당 단위이다. LTE의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는 크게 데이터 영역(704)과 제어 영역(705)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데이터 영역은 각 단말로 전송되는 음성, 패킷 등의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 사용되는 일련의 통신 자원을 의미하며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에 해당된다. 제어 영역은 각 단말로부터의 하향 링크 채널 품질보고, 하향 링크 신호에 대한 수신 ACK/NACK, 상향링크 스케줄링 요청 등을 송신함에 있어 사용되는 일련의 통신 자원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7, a subframe 700 having a length of 1 ms, which is a basic unit of LTE uplink transmission, is composed of two 0.5 ms slots 701. Assuming the length of a normal cyclic prefix (CP), each slot is composed of seven symbols 702 and one symbol corresponds to one SC-FDMA symbol. The resource block 703 is a resource allocation unit corresponding to 12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and one slot in the time domain. The structure of the uplink subframe of LTE is largely divided into a data region 704 and a control region 705. Here, the data area means a series of communication resources used in transmitting data such as voice and packet transmitted to each terminal, and corresponds to the remaining resources except for the control area in the subframe. The control region means a series of communication resources used for transmitting downlink channel quality reports from each terminal, reception ACK / NACK for downlink signals, and uplink scheduling requests.

도 7에 보인 예와 같이 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영역(706)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시간 축 상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SC-FDMA 심볼이 있는 구간이며, 주파수 상으로는 데이터 전송 대역을 통하여 전송된다.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SC-FDMA로 전송되는 여러 단말의 사운딩 참조 신호들은 순환 이동 값에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한 서브프레임에서 DM(Demodulation)-참조 신호(Reference Signal)이 전송되는 영역은 하나의 슬롯에서 가운데 SC-FDMA 심볼 즉, 네 번째 SC-FDMA 심볼과 열 한번째 SC-FDMA 심볼이 있는 구간이며, 주파수 상으로는 데이터 전송 대역을 통하여 전송된다.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7, an area 706 in which a sounding reference signal can be transmitted in one subframe is an interval in which one SC-FDMA symbol is located last on the time axis in one subframe.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band. Sounding reference signals of various terminals transmitted in the last SC-FDMA of the same subframe can be distinguished from cyclic shift values. In addition, an area in which a DM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in one subframe is a section including a center SC-FDMA symbol, that is, a fourth SC-FDMA symbol and an eleventh SC-FDMA symbol in one slot.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band on the frequency.

도 8은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워드, 레이어 및 안테나의 맵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codewords, layers, and antennas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s in a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 정보와 전송 심볼 사이에는 복잡한 맵핑 관계가 존재한다. 우선 데이터 정보로서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은 물리 계층으로 NC개의 전송 블록을 전달하고, 물리 계층에서 전송 블록들은 채널 코딩 과정을 거쳐 코드워드로 변환되며 펑처링(Puncturing) 또는 반복(Repetition) 과정과 같은 레이트 매칭을 수행한다. 여기서 채널 코딩은 터보 인코더 또는 테일 비트 컨볼루션 인코더와 같은 채널 코더에서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8, there is a complex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data information and transmitted symbols. First, as the data information, the MAC layer transmits N C transport blocks to the physical layer, and the transport blocks in the physical layer are converted into codewords through a channel coding process, and are puncturing or repetition. The same rate matching as the procedure is performed. The channel coding is performed here in a channel coder such as a turbo encoder or tail bit convolutional encoder.

채널 코딩 과정과 레이트 매칭 과정을 거친 후, NC개의 코드워드는 NL개의 레이어로 맵핑된다. 여기서 레이어란 다중안테나 기술을 사용해서 보내는 서로 다른 정보 각각을 지칭하며, 레이어의 개수는 서로 다른 정보를 보낼 수 있는 최대 수인 랭크 보다는 클 수 없다. 이는 수식적으로

Figure 112011082024608-pat00001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H는 채널 행렬을 의미한다.After channel coding and rate matching, N C codewords are mapped to N L layers. In this case, the layers refer to different pieces of information sent by using a multi-antenna technology, and the number of layers cannot be greater than the rank, which is the maximum number of different pieces of information. This is a formula
Figure 112011082024608-pat00001
Can be expressed as H means a channel matrix.

참고적으로, 일반적인 하향 링크 전송 방식인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과 달리,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전송되는 상향 링크 신호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영향을 일정 부분 상쇄하여 송신 신호가 단일 반송파 특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각 레이어마다 DFT 과정이 수행된다. For reference, unlik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transmission, which is a general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in 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method is processed with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In order to partially offset the influence so that the transmission signal has a single carrier characteristic, a DFT process is performed for each layer.

각 레이어에서 DFT 변환된 신호는 프리코딩 행렬이 곱해져 NT개의 송신 안테나로 맵핑되며, IFFT 과정을 거쳐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In each layer, the DFT-converted signal is multiplied by a precoding matrix and mapped to N T transmit antennas, and then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n IFFT process.

일반적으로, 하향링크 참조 신호에는 공용 참조 신호와 단말 특정(UE specific) 참조 신호가 존재하며, 공용 참조 신호는 프리코딩이 적용되지 않는다. 즉, 한편, 단말 특정 참조 신호는 일반적인 데이터와 동일하게, 프리코딩 전단에서 삽입되어, 프리코딩 되어 단말 측으로 송신된다.In general, a common reference signal and a UE specific reference signal exist in the downlink reference signal, and precoding is not applied to the common reference signal. That is,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specific reference signal is inserted at the front end of the precoding, precod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ide in the same manner as general data.

단말 특정(UE specific) 참조 신호 즉, 전용(dedicated)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비 의존적 공간 다중화 전송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몇 가지 제약 조건이 존재한다. 우선, 참조 신호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송 참조 신호는 변조된 데이터 심볼과 동일한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하여 프리코딩 되어야 한다. 또한, 공간적 채널 다이버시티를 획득하기 위하여, 프리코딩 행렬은 안테나 간에 스위칭 되어야 한다. 다만, 전용 참조 신호는 전제 전송 자원 영역 전반에 걸쳐 특정 규칙 혹은 임의적으로 전송되므로 상기 제약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채널 측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특정 개수의 자원 요소 단위로 채널 측정이 이루어 지므로, 전용 참조 신호를 프리코딩하는 프리코딩 행렬은 자원 요소 단위로 변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There are some constraints for implementing channel-independent spatial multiplexing transmission using UE specific reference signals, that is, dedicated reference signals. First, in order to reduce the signaling overhead of the reference signal, the transmission reference signal should be precoded using the same precoding matrix as the modulated data symbol. In addition, to obtain spatial channel diversity, the precoding matrix must be switched between antennas. However, since the dedicated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in a specific rule or arbitrarily over the entire transmission resource region, it is not easy to satisfy the constraint. This is because the channel measurement is performed in units of a certain number of resource elements for the efficiency of channel measurement. Thus, the precoding matrix for precoding a dedicated reference signal cannot be changed in units of resource elements.

한편,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복수의 통신 기기들이 협력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선결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사전 절차가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in a multiple wireless access system,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cooperate in advance and require a preliminary procedure of exchanging information in advance.

상기 정보 교환 사전 절차의 각 단계에서 각각의 통신 기기들은 세 가지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즉, 서로 연결되지 않은 제 1 상태, 상대 통신 기기를 인식하고 인증하는 제 2 상태 및 상대 통신 기기와 결합하는 제 3 상태에 놓일 수 있다.At each step of the information exchange pre procedure each communication device may be in three states. That is, it may be placed in a first stat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 second state in which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is recognized and authenticated, and a third state in combination with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이를 표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able 1.

인증(certification( AuthenticationAuthentication )) 결합(Combination( AssociationAssociation )) 상태 1State 1 XX XX 상태 2State 2 OO XX 상태 3State 3 OO OO

먼저, 제 1 상태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통신 기기들이 전혀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 1 상태에서는 각각의 소스 기기들은 기지국과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통신해야 한다.First, the first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are not connected at all in the multiple radio access system. Therefore, in the first state, each source device must communicate data directly with the base station.

다음으로, 제 2 상태는 상대 통신 기기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대 통신기기를 인증한 상태를 의미한다.Next, the second state means a state of acquiring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and authenticating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상대 통신 기기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예로는 비콘(beacon) 메시지를 통해 상대 통신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동적인 방법 또는 프로브(prob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프로브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된 프로브(probe)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대 통신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능동적인 방법 등을 들 수 있다.An example of a method of acquiring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is a passive method of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beacon message or a probe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probe request message. An active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probe response message may be used.

각 통신 기기들은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대 통신 기기의 정보를 획득한 후, 상대 통신 기기와 인증 프레임을 교환(예를 들면, 인증(authentication) 요청 및 인증(authentication) 응답)하여 인증 확인 작업을 완료한다.Each communication device acquires the information of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then exchanges an authentication frame with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an authentication request and an authentication response) to perform an authentication check operation. To complete.

인증 확인 작업이 완료되면 각각의 통신 기기는 제 2 상태가 된다.Each communication device enters a second state when the authentication check operation is completed.

마지막으로 제 3 상태는 인증한 상대 통신 기기와 결합된 상태를 의미한다.Finally, the third state means a state combined with an authenticated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즉, 각각의 통신 기기는 상대 통신 기기와 결합 프레임을 교환(예를 들면, 결합(association) 요청 및 결합(association) 응답)하여 결합 작업(예를 들면, AID 할당 등)을 완료한다.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복수의 통신 기기들의 결합 작업이 완료되면, 이들 통신 기기는 서로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at is, each communication device exchanges an association frame with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eg, an association request and an association response) to complete an association operation (eg, AID assignment, etc.). When the combining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in the wireless access system is completed, these communication devices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each other.

상기에서는 정보 교환 사전 절차의 각 단계에서의 통신 기기들에 대한 상태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지국을 포함한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의 정보 교환 사전 절차의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above, the state of the communication devices in each step of the information exchange preliminary procedure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ep of the information exchange pre procedure in the radio access system including the base st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기본적으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복수의 통신 기기 간에 수행되어야 할 정보교환단계는 크게 네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 복수의 기기들이 협력하기 위한 협상 단계, 소스 기기의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Basically, in the multi-radio access system, the information exchange step to be perform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can be largely composed of four steps. That is, it may include a general network entry step, a negotiation step for cooperation of a plurality of devices, a search for a neighboring device of the source device, a selection of a cooperating device among the discovered neighboring devices, and a connection to the selected cooperating device .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보 교환 사전 절차의 각 단계별 주체는 소스 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단계별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기, 협력 기기 및 후보 협력 기기 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each step subject of the information exchange pre- procedure is a source device. Howev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devices, cooperative devices,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and the like, which support multiple radio access systems in each step.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복수의 기기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 교환 단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formation exchange step requir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devices in a multi-radio access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일단, 소스 기기는 기지국과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S1000)를 거친다. 즉,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S1000)를 통해 소스 기기는 기지국과 연결되어 직접적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S1000)는 이하 제 1 단계라고 칭한다. First, the source device goes through the base station and the general network entry step (S1000). That is, through the general network entry step (S1000), the source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to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data.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general network entry step S1000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step.

다음으로, 기지국과 제 1 단계를 거친 소스 기기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기기들이 협력하기 위한 협상 단계(S2000)를 거친다. 협상 단계(S2000)에서 소스 기기는 협력 동작을 위한 능력(capability)에 대해 기지국과 협의한다.Next, the source device, which has undergone the first step with the base station, goes through a negotiation step (S2000) for cooperating a plurality of devices in the multiple radio access system. In the negotiation step S2000, the source device negotiates with the base station about the capability for cooperative operation.

이때, 기지국과 소스 기기 사이에 송수신될 수 있는 정보는 연결 RAT 타입 정보, 시스템 타입 정보, 시스템 버전 정보, 위치 정보, 협력 기기 역할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ource device may include connection RAT type information, system type information, system vers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role of the cooperative device can perform.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협상 단계(S2000)는 이하 제 2 단계라고 칭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negotiation step S2000 is referred to as a second step hereinafter.

다음으로, 제 2 단계를 거친 기지국, 소스 기기 및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들은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S3000)를 거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S3000)는 이하 제 3 단계라고 칭한다.Next, the base station, the source device, and the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which have passed through the second step, search for neighboring devices and select a cooperative device among the discovered neighboring devices (S300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tep of searching for a neighboring device and selecting a cooperative device among the found neighboring devices (S3000)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step.

제 3 단계에서 기지국, 소스 기기 및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들은 서로의 위치 정보를 교환하고, 이를 기초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 통신에 참여할 협력 기기를 선택한다. In the third step, the base station, the source device and the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exchange location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select a cooperative device to participate in data communication in the multiple radio access system based on this.

제 3 단계를 거친 소스 기기는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S4000)를 거친다.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S4000)가 완료되면, 연결된 소스 기기 및 협력 기기는 서로 협동하여 기지국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ource device having passed through the third step is connected to the selected cooperative device (S4000). When the step (S4000) of connecting with the selected cooperative device is completed, the connected source device and the cooperative device may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base sta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S4000)를 제 4 단계라고 칭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tep S4000 of connecting with the selected cooperative device will be referred to as a fourth step.

이때, 정보 교환 사전 절차의 각 단계는 모든 통신 기기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this case, each step of the information exchange pre procedure may not be applied to all communication devices in common.

즉,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지원하는 복수의 통신 기기들이 공통으로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는 소스 기기, 협력 기기 또는 후보 협력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수행할 수 있으며 모든 통신 기기들이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를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That is,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should be performed in common by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supporting the multiple radio access system. However, the third and fourth steps may be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the source device, the cooperative device, or the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and not all communication devices need to perform the third and fourth steps.

단, 제 3 단계의 일부 과정(예를 들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지원하는 복수의 통신 기기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모든 통신 기기들이 공통으로 수행해야 할 수도 있다.However, some processes of the third step (for example,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supporting the multi-radio access system) may need to be performed by all communication devices in common.

따라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지원하는 모든 통신 기기들은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를 거친 통신 기기들은 서로 구분되지 않은 상태에 놓인다. 그리고 제 3 단계를 거치면서 예비 소스 기기 및 예비 협력 기기로 취급되고, 제 4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는 소스 기기 및 협력 기기가 정해져 서로 협력하여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Therefore, all communication devices supporting the multi-radio access system must go through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so that the communication devices that have passed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are not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fter the third step, the device is treated as a preliminary source device and a preliminary cooperative device. After the fourth step is completed, the source device and the cooperative device may be determin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base station.

한편, 소스 기기는 기지국과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를 검색하고, 검색한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협력 기기를 선택하여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동작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source device searches for a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ng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client cooperation in order to perform efficient data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selects at least one cooperating device from the found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ng devices. Perform a Client Cooperation operation.

이때, 소스 기기는 이동성을 가지므로 자신과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이는 소스 기기 혹은 협력 기기의 위치가 변경되면, 이전에 소스 기기가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도 함께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since the source device has mobility,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updat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existing in a location close to the source device. This is because when the location of the source device or the cooperative device is changed, a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client cooperation with the source device may also be chang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가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소스 기기가 수신한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통해 현재 위치와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notification signal for notifying a presence of a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on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client cooperation, and the source device receiv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identifying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existing at a location close to a current location through a notification signal received by the controlle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의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혹은 향상된 테더링 (Enhanced tethering) 동작을 CC 동작이라고 호칭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lient cooperation or enhanced tethering operation in a multiple wireless access system is referred to as CC oper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가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소스 기기와 C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가 결정되는 방법을 설명한다.Prior to describing a specific method of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for notifying a presence of a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a method of determining a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 CC operation with a source device is described. do.

소스 기기와 C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는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CC operation with the source device may be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기지국은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 CC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지원(support) 정보), 이동속도 정보(예를 들면, 부동, 낮은 속도로 이동 등), 위치 정보, 근방의 후보 협력 기기의 존재 여부 및 개수 정보, 전력 보유량 정보, 채널 상태 정보(예를 들면, 높은 품질(high quality) 상태) 등을 고려하여 해당기기가 소스 기기와 C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The base st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CC can support CC operation in a multiple radio access system (eg, support information), movement speed information (eg, floating, moving at low speed), location information, Whether the device can perform CC operation with the source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existence and number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in the vicinity, power reserve information,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for example, high quality state). Judge for.

이때, 나열한 복수의 정보 중 일부 정보가 소스 기기와 C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기지국은 해당 기기에 나머지 정보에 대한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may request transmission of the remaining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device only when some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isted information satisfies the condition for performing the CC operation with the source device.

예를 들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 CC 동작을 지원하는 해당기기의 채널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만, 기지국은 나머지 정보인 이동속도 정보, 위치 정보, 근방의 후보 협력 기기의 존재 여부 및 개수 정보, 전력 보유량 정보 등을 상기 해당 기기가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For example, only when the channel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supporting CC operation in a multi-radio access system is good, the base station can determine the remaining information such as moving speed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existence and number of neighboring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and power. The corresponding device may request to transmit the reserve information.

이때, 기지국은 해당 기기가 소스 기기와 C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고, CC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기기에 후보 협력 기기로서의 역할 수행을 요청한다.In this case, when the base station satisfies a condition for performing the CC operation with the source device and determines that the CC operation is necessary, the base station requests the corresponding device to perform a role as a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기지국으로부터 후보 협력 기기로서의 역할 수행 요청을 수신한 해당기기는 이를 승인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The corresponding device that receives the request to perform a role as a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from the base station may approve or reject it.

해당기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후보 협력 기기로서의 역할 수행 요청을 승인한 경우, 해당 기기는 CC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예를 들어,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IEEE 802.11n 무선 기술에서의 시스템 타입, 시스템 버전, MAC 어드레스(address), 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If the device approves the request to perform the role of a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e device may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eg,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IEEE 802.11) to perform the CC operation. n information about the system type, system version, MAC address, WiFi, or Bluetooth in the wireless technology)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이후, CC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가 기지국으로 전송되면, 해당 기기는 후보 협력 기기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specific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CC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e corresponding device may serve as a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이하에서는, 기지국에 의해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가 결정된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가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소스 기기로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ssuming that a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have been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a specific method of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source device for notifying the presence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will be described.

먼저,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 각각은 인근 후보 협력 기기들과 동일한 시점에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전송함으로써 전송된 알림 신호들이 중첩되는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기지국과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의 전송 주기, 전송 offset 등에 대해 협의할 수 있다. 이러한 협의는 각각의 기기가 후보 협력 기기로 결정되기 위한 요청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First, each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transmits a notification signal at the same time point as neighboring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so as to avoid the overlapping of the transmitted notification signals,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base station and the notification signal. , Transmission offset, etc. can be negotiated. Such negotiation may also take place in the request process for each device to be determined as a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또한,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 전송주기의 시작점은 협의가 완료된 시점 등의 특정 시점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art point of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ssion period may be defined as a specific point in time such as when the negotiation is completed.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알림 신호의 전송주기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a transmission period of a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먼저, 도 10a에서는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에 따른 알림 신호의 전송 주기를 나타낸다.First, FIG. 10A illustrates a transmission period of a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a point coordination function (PCF).

도 10a를 참조하면, 전체 PCF는 복수의 전송 주기들로 구성되고, 각각의 전송 주기는 복수의 컨텐션 구간(Contention Period) 및 컨텐션 프리 구간(Contention-Free Period)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A, the entire PCF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eriods, and each transmission period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ion periods and contention-free periods.

컨텐션 구간(Contention Period)에서는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 각각이 자유롭게 자신의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외부로 전송한다.In the contention period, each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freely transmits its own notification signal to the outside.

단, 컨텐션 프리 구간(Contention-Free Period)에서는 기지국과 합의하여 컨텐션 프리 구간(Contention-Free Period)에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전송하도록 지정된 후보 협력 기기만 자신의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외부로 전송한다.However, in the contention-free period, only a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designated to transmit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contention-free period in agreement with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its own notification signal. Send to outside.

따라서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에서는 컨텐션 구간(Contention Period)을 기본으로 하되, 컨텐션 프리 구간(Contention-Free Period)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전송된 알림 신호들이 중첩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the point coordination function (PCF) is based on a contention period, but by using a contention-free period togethe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overlapping the transmitted notification signals.

또한, 컨텐션 구간(Contention Period)만으로 구성된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에 따라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가 전송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notif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DCF) configured only with a contention period.

도 10b를 참조하면, 전체 DCF는 복수의 전송 주기들로 구성되고, 각각의 전송 주기는 복수의 컨텐션 구간(Contention Period)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B, the entire DCF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eriods, and each transmission period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ion periods.

컨텐션 구간(Contention Period)에서는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 각각이 자유롭게 자신의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외부로 전송한다.In the contention period, each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freely transmits its own notification signal to the outside.

따라서 DCF(Point Coordination Function)에서는 컨텐션 구간(Contention Period)을 기본으로 하여, 각각의 후보 협력 기기가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기회를 빈번하게 부여함으로써 전송된 알림 신호들이 소스 기기로 효율적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refore, in the point coordination function (DCF), based on the contention period, each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frequently gives an opportunity to transmit a notification signal so that the transmitted notification signals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source device. You may.

이하에서는,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들 각각이 전송하는 알림 신호의 구체적인 프레임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frame of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will be described.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들 각각은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다른 이웃 기기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주기적으로 알린다.Each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periodically announces its presence to other neighboring devices in a multicast manner.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 WiFi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는 RTS(Ready To Send) 프레임일 수 있다.When WiFi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multiple wireless access system, a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may be a ready to send (RTS) frame.

이때, 전술한 것과 같이, 인근 후보 협력 기기와의 충돌(collision) 또는 간섭(interference)을 방지하기 위해,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후보 협력 기기는 기지국과 협의된 주기 및 시점에 해당 RTS를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collision or interference with neighboring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the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RTS at a period and a time point negotiated with the base station. .

또한, 해당 후보 협력 기기는 기존의 컨텐션 리솔루션 방법(contention resolution method)에 의해 RTS의 전송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may determine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TS by a conventional contention resolution method.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 WiFi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알림 신호에 대한 RTS 전송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RTS transmission frame for a notification signal when WiFi technology is applied to a multiple wireless acces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알림 신호에 대한 RTS 전송 프레임은 프레임 콘트롤(Frame Control) 필드, 듀레이션(Duration) 필드, RA(Receiver Address) 필드, TA(Transmitter Address) 필드, FCS(Frame Check Sum)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TS transmission frame for the notification signal may include a frame control field, a duration field, a receiver address field, a transmitter address field, a frame check sum (FCS) field, and the like.

이때, RTS 전송 프레임 내의 각 필드는 아래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field in the RTS transmission frame may be set as follows.

먼저, RA(Receiver Address) 필드는 다른 기기들이 후보 협력 기기의 존재를 파악하기 위해 멀티 캐스트 그룹 어드레스(Multicast-group address)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First, the RA (Receiver Address) field may be set to a value of a multicast-group address in order for other devices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해당 용도의 멀티 캐스트 그룹 어드레스 값은 미리 점유되고, CC 동작을 지원하는 모든 기기들은 해당 멀티 캐스트 그룹 어드레스(Multicast-group address) 값을 이미 알고 있으므로, RTS 전송 프레임 내의 RA(Receiver Address) 필드를 통해 해당 프레임이 후보 협력 기기들의 정보 (e.g., MAC address)가 포함된 프레임임을 알 수 있다.The multicast group address value for the purpose is occupied in advance, and all devices supporting the CC operation already know the multicast-group address value. Therefore, through the RA (Receiver Address) field in the RTS transmission frame, It can be seen that the frame includes a frame including information (eg, MAC address)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다음으로, TA(Transmitter Address) 필드는 후보 협력 기기 자신의 MAC 주소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Next, the TA (Transmitter Address) field may be set to the MAC address value of the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itself.

또한, 알림 신호를 위해 RTS 전송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CTS 등의 다른 동작(operation)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듀레이션(Duration) 필드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TS transmission frame is transmitted for the notification signal, another operation such as CTS is not required, so the duration field may be set to zero.

단,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RTS 전송 프레임은 알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의 일례에 불과하고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However, the RTS transmission fram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is merely an example of a frame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and may have another form.

예를 들어, 알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은 프레임 콘트롤(Frame Control) 필드, RA(Receiver Address) 필드, TA(Transmitter Address) 필드, FCS(Frame Check Sum) 필드만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ame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may include only a frame control field, a receiver address field, a transmitter address field, and a frame check sum (FCS) field.

또한, RTS 전송 프레임은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 WiFi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를 가정한 경우 활용되는 것이고,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다른 형태의 알림 신호 전송 프레임이 활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TS transmission frame is utilized when a WiFi technology is applied to a multiple wireless access system, and when a wireless technology such as IEEE 802.16 (WiMAX), IEEE 802.20, and E-UTRA (Evolved UTRA) is applied. Other types of notification signal transmission frames may be utilized.

이하에서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다른 기기가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method of monitoring a notification signal by another device will be described.

CC 동작을 지원하는 일반 기기(예를 들어, 소스 기기)는 주변 후보 협력 기기로부터 전송될 수 있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모니터링(Monitoring) 한다.A general device (eg, a source device) supporting the CC operation monitors a notification signal that can be transmitted from neighboring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이때, 소스 기기는 최신의 후보 협력 기기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보유하기 위해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ource device may periodically perform an operation of monitoring a notification signal to maintain a list of information on the latest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만약,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 WiFi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소스 기기는 알림 신호와 관련하여 RA(Receiver Address) 필드에 멀티 캐스트 그룹 어드레스(Multicast-group address) 값이 설정된 RTS 전송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If the WiFi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multi-radio access system, the source device may receive an RTS transmission frame in which a multicast-group address value is set in a receiver address field in association with a notification signal. .

알림 신호가 RTS 전송 프레임을 통해 수신된 경우, 소스 기기는 RTS 전송 프레임 내의 TA(Transmitter Address) 필드를 갖는 기기들로 CTS를 전송하지 않는다.When the no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RTS transmission frame, the source device does not transmit the CTS to devices having a transmitter address (TA) field in the RTS transmission frame.

이때, 소스 기기는 수신한 RTS 전송 프레임 내의 TA(Transmitter Address) 필드를 이용하여 CC 동작 수행을 위한 후보 협력 기기 정보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At this time, the source device updates the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information list for performing the CC operation by using a TA (Transmitter Address) field in the received RTS transmission frame.

만약, 기존의 후보 협력 기기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협력 기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알림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소스 기기는 상기 리스트에서 알림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후보 협력 기기를 제외시킬 수도 있다. If the notific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andidate cooperation device included in the existing candidate cooperation device information list for a preset period, the source device may exclude the candidate cooperation device from which the notific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list.

소스 기기는 최신의 후보 협력 기기 정보 리스트를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보고하거나 기지국의 요청에 대응하여 보고할 수 있다.The source device may periodically report the latest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information list to the base station or report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base station.

또한, 기지국은 수신한 정보 리스트 내에서 변동 사항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변동 사항을 해당 소스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received information list,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the change to the corresponding source device.

따라서 이동성을 가지는 소스 기기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통해 자신과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으므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a mobile source device can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updat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that are located close to its own through a notification signal, thereby smoothing client cooperation. Can be done.

한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210) 및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122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에서는 단말, 통신 기기 및 통신 장치에 대한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하에서는 혼동을 막기 위해 단말 장치로 호칭하여 설명한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ase station apparatus 1210 and a communication apparatus 1220 supporting a multiple radio acces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erms used for a terminal,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are used interchangeably, but hereinafter, a terminal device will be described to prevent confus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210)는, 수신모듈(1211), 전송모듈(1212), 프로세서(1213), 메모리(1214) 및 복수개의 안테나(12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21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211)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2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3)는 기지국 장치(19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base station apparatus 1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iving module 1211, a transmitting module 1212, a processor 1213, a memory 1214, and a plurality of antennas 1215. . The plurality of antennas 1215 refers to a base station apparatus supporting MIMO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receiving module 1211 can receive various signals, data, and information on the uplink from the terminal. The transmission module 1212 can transmit various signals, data, and information on the downlink to the terminal. The processor 1213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1910.

기지국 장치(1210)의 프로세서(1213)는 소스 기기와 C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 장치(1210)의 프로세서(1213)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 CC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지원(support) 정보), 이동속도 정보(예를 들면, 부동, 낮은 속도로 이동 등), 위치 정보, 근방의 후보 협력 기기의 존재 여부 및 개수 정보, 전력 보유량 정보, 채널 상태 정보(예를 들면, 높은 품질(high quality) 상태) 등을 고려하여 해당기기가 소스 기기와 C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The processor 1213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1210 may determine a plurality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CC operation with the source device. That is, the processor 1213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1210 can provide information on whether CC operation can be supported in a multiple radio access system (eg, support information), and movement speed information (eg, floating). , Low speed, etc.), location information, presence and number of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in the vicinity, power reserve information, channel state information (for example, high quality state), etc.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C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source device.

기지국 장치(1210)의 프로세서(1213)는 그 외에도 기지국 장치(12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2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213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1210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apparatus 1210,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the memory 1214. And may be replaced by a component such as a buffer (not show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220)는, 수신모듈(1221), 전송모듈(1222), 프로세서(1223), 메모리(1224) 및 복수개의 안테나(12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22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22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모듈(1222)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3)는 단말 장치(12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terminal device 1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iving module 1221, a transmitting module 1222, a processor 1223, a memory 1224, and a plurality of antennas 1225. The plurality of antennas 1225 refers to a terminal device that supports MIMO transmission / reception. The receiving module 1221 can receive various signals, data, and information on the downlink from the base station. The receiving module 1222 may transmit various signals, data, and information on the uplink to the base station. The processor 1223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ntire terminal device 1220. [

단말 장치(1220)의 프로세서(1223)는, 인근 후보 협력 기기와의 충돌(collision) 또는 간섭(interference)을 방지하기 위해, 기지국과 협의된 주기 및 시점에 해당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223 of the terminal device 1220 transmits a corresponding notification signal at a period and a time point negotiated with a base station to prevent collision or interference with a neighboring candidate cooperative device. Can be controlled.

또한, 단말 장치(1220)의 프로세서(1223)는, 주변 후보 협력 기기로부터 전송될 수 있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모니터링(Monitoring) 한다. 이때, 최신의 후보 협력 기기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보유하기 위해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23 of the terminal device 1220 monitors a notification signal that may be transmitted from neighboring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In this case, in order to maintain a list of information on the latest candidate cooperative devices, the controller may periodically perform an operation of monitoring a notification signal.

단말 장치(1220)의 프로세서(1223)는 그 외에도 단말 장치(122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2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The processor 1223 of the terminal device 1220 also performs a function of calculat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rminal device 1220 an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the memory 1224 stores the processed information and the like at a predetermined time And may be replaced by a component such as a buffer (not shown).

위와 같은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and the terminal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independently or two or more embodiments may be simultaneously applied. For the sake of clarity, It is omitted.

또한, 도 12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2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 장치(12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FIG. 12, the description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1210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a relay apparatus as a downlink transmitting entity or an uplink receiving entity, and the description of the terminal device 1220 may be used for downlink reception.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relay apparatus as a subject or an uplink transmission subject.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For implementation in hardware, a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and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It may be implemented by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an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a procedure or a functi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can be stored in a memory unit and driven by the processor.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by various well-known means.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has been present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tilize each of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manner of mutually combining the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in the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included as a new claim by amendment after the application.

Claims (20)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의 존재를 알리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수신한 알림 신호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In a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by a terminal supporting a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Receiving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a presence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ng terminal from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ng terminal through a first wireless access scheme for client cooperation (CC); And
Transmitting first data to a base station by using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received notification signal among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e first data is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access method, and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re communicated through a second radio access method. How to perform commun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제 2 데이터를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다이렉트(direct)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ransmitting, by the terminal, the second data directly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second wireless access sche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은 WiFi(Wireless Fidelity) 접속 방식이고,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은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접속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wireless access method is a WiFi Fidelity (WiFi) connection method,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method is a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onnection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is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은,
클라이언트 협력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이동 속도 정보, 위치 정보, 전력 보유량 정보, 채널 상태 정보, 주변 후보 협력 단말의 존재 여부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What is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u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whether the client cooperation operation can be supported, moving speed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ower reserve information, channel state information, the presence and number of neighboring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각각의 알림 신호는 서로 다른 시간에 수신되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notification signal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is received and distinguished at different tim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신호는 RA(Receiver Address) 필드 및 TA(Transmitter Address) 필드를 포함하는 RTS(Ready To Send) 프레임의 형태로 수신되고,
상기 RA 필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각각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미리 할당된 주소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TA 필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각각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no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in the form of a ready to send (RTS) frame including a receiver address (RA) field and a transmitter address (TA) field.
The RA field is set to a pre-assigned address value to distinguish each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from each other, and the TA field is set to a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 valu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알림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monitoring, by the terminal, periodically whether the notification signal has been receiv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수신한 알림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신한 알림 신호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erminal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notification signal to the base station,
The received notification signal is periodically transmitted or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후보 협력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해 상기 후보 협력 단말의 존재를 알리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한 알림 신호를 통해 연결된 단말로부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 1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후보 협력 단말 간에는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후보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In the method for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at supports a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to perform communication,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notifying the existence of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o a terminal through a first wireless access method for client cooperation (CC);
Receiving first data from a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transmitted notific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first data to a base station;
And the first data is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access method, and is communicated between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a second radio access metho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Receiving an activation request message for client cooperation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request messag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 신호는 상기 수신한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Receiving time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신호는 RA(Receiver Address) 필드 및 TA(Transmitter Address) 필드를 포함하는 RTS(Ready To Send) 프레임의 형태로 전송되고,
상기 RA 필드는 상기 후보 협력 단말과 다른 후보 협력 단말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미리 할당된 주소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TA 필드는 상기 후보 협력 단말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ready to send (RTS) frame including a receiver address (RA) field and a transmitter address (TA) field.
The RA field is set to an address value pre-assigned to distinguish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from another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TA field is set to a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 value of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How to perform communication.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통해 단말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In a method for communication by a base station supporting a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Transmitting an activation request message for client cooperation (CC) to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a second wireless access method; And
Receiving first data using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a notification signal for client cooperation (CC) among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e first data is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a first radio access method, and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re communicated through the second radio access method. How to perform communicat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제 2 데이터를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다이렉트(direct)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And directly receiving second data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wireless access schem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은,
클라이언트 협력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이동 속도 정보, 위치 정보, 전력 보유량 정보, 채널 상태 정보, 주변 후보 협력 단말의 존재 여부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What is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u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whether the client cooperation operation can be supported, moving speed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ower reserve information, channel state information, the presence and number of neighboring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각각의 알림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각각의 알림 신호는 상기 시간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에 전송되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ransmitting the time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o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wireless access method,
And a notification signal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is transmitted and distinguished at different times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의 존재를 알리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수신한 알림 신호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 및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In a terminal supporting a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A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a presence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from a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a first wireless access scheme for client cooperation (CC);
A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first data to a base station by using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received notification signal among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And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data to be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access method, and to communicate between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a second radio access method. Terminal.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후보 협력 단말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해 상기 후보 협력 단말의 존재를 알리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 모듈;
상기 전송한 알림 신호를 통해 연결된 단말로부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수신한 제 1 데이터가 상기 송신 모듈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후보 협력 단말 간에는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며, 상기 후보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후보 협력 단말.
In a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supporting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Multi-RAT (Radio Access Technology)),
A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notifying the existence of the candidate cooperation terminal to a terminal through a first wireless access method for client cooperation (CC);
A receiving module which receives first data from a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transmitted notification signal; And
The received first data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through the transmitting module, and the first data is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access method, and th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to be communicated via a second wireless access scheme.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통해 단말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지국.
In the base station supporting a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A transmitting module for transmitting an activation request message for client cooperation (CC) to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a second wireless access scheme;
A receiv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first data using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a notification signal for client cooperation (CC) among the at least one candidate cooperative terminal; And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data to be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through a first wireless access scheme, and to communicate between the at least one cooperativ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second wireless access scheme. Base station.
KR1020110107313A 2010-10-20 2011-10-20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1013206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80,692 US20130215860A1 (en) 2010-10-20 2011-10-20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PCT/KR2011/007846 WO2012053844A2 (en) 2010-10-20 2011-10-20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477910P 2010-10-20 2010-10-20
US61/394,779 2010-10-20
US41841010P 2010-12-01 2010-12-01
US61/418,410 2010-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143A KR20120041143A (en) 2012-04-30
KR101320676B1 true KR101320676B1 (en) 2013-10-18

Family

ID=461408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313A KR101320676B1 (en) 2010-10-20 2011-10-20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1020110107314A KR101377967B1 (en) 2010-10-20 2011-10-20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using access point and apparatus thereof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314A KR101377967B1 (en) 2010-10-20 2011-10-20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using access point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3206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6462B2 (en) 2012-06-19 2016-12-06 Lg Electronics Inc. Location update method for terminal supporting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WO2014027732A1 (en) * 2012-08-13 2014-0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igger condition for client co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30887A1 (en) * 2012-08-22 2014-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client co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959852B (en) * 2012-11-27 2018-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uplink, retransmission method, method of reseptance, apparatus and system
US10341918B2 (en) 2013-04-10 2019-07-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AU2014353789B2 (en) * 2013-11-25 2017-10-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frame in wireless LAN
US10104617B2 (en) 2014-02-04 2018-10-16 Lg Electronics Inc. Power save mode-based operating method and device in WLAN
US9439176B2 (en) 2014-02-10 2016-09-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multi-point transceivers
US9974016B2 (en) 2014-02-11 2018-05-15 Lg Electronics Inc. Power save mode-based operat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LA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0451A1 (en) 2008-01-10 2009-07-16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ordin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portunities in a communications device incorporating multiple radios
US20100011214A1 (en) 2008-02-19 2010-01-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trusted time techniqu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0451A1 (en) 2008-01-10 2009-07-16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ordin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portunities in a communications device incorporating multiple radios
US20100011214A1 (en) 2008-02-19 2010-01-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trusted time tech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967B1 (en) 2014-03-25
KR20120041143A (en) 2012-04-30
KR20120041144A (en)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5909B2 (en) Small data transfer over configured grants for asynchronous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CN11022633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capability exchange
US10931407B2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7534966B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320676B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JP6093827B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6779212B2 (en)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16182052A1 (en)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3788727A1 (en) Dynamic beam-switching latency for beam refinement procedures
CN105934992B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9078186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using an access point and apparatus therefor
EP3879905B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WO2017078128A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302019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system
US2018004904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ignalling support for reduced latency operation
US20130215860A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11989879A (en)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time-domain bundling and multi-codeword transmission and processing
JPWO2017130990A1 (en) User terminal
JPWO2017110956A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6117645A1 (en)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220070913A1 (en) Terminal, radio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7926010B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9224876A1 (en) Transmission device and receiving device
JP6290458B2 (en)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22079876A1 (e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