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599B1 -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 Google Patents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599B1
KR101314599B1 KR1020060085187A KR20060085187A KR101314599B1 KR 101314599 B1 KR101314599 B1 KR 101314599B1 KR 1020060085187 A KR1020060085187 A KR 1020060085187A KR 20060085187 A KR20060085187 A KR 20060085187A KR 101314599 B1 KR101314599 B1 KR 10131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undry
main
auxiliar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21938A (en
Inventor
박상호
이팔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5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599B1/en
Priority to DE102007041875A priority patent/DE102007041875A1/en
Priority to CNA2007101497280A priority patent/CN101139791A/en
Priority to US11/896,773 priority patent/US20080053163A1/en
Publication of KR20080021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9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5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대 역할의 보조공간을 이용하여 건조기능, 리프레쉬 기능 등을 부가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 세탁공간을 가진 복합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럼의 회전운동에 의한 각종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주 세탁부와 상기 주 세탁부와 분리된 별도의 공간으로 순환공기 또는 스팀을 이용한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보조 세탁부로 이루어진 세탁장치;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주 세탁부와 보조 세탁부의 동작을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로 구성되는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60085187

세탁, 건조, 스팀, 세탁장치, 보조 세탁장치, 복합 세탁장치, 모니터 장치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laundry machine having a separate auxiliary laundry space that can add a drying function, a refresh function, etc. using the auxiliary space of the pedestal role,

A washing apparatus including a main washing unit performing various washing strokes by a rotational motion of a drum and an auxiliary washing unit performing washing stroke using circulation air or steam as a separate space separated from the main washing uni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lex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monitor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nd monitoring operations of the main laundry unit and the auxiliary laundry unit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laundry machine.

Figure R1020060085187

Laundry, drying, steam, laundry, auxiliary laundry, combined laundry, monitor

Description

복합 세탁장치{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도 1은 받침대를 구비한 종래의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aundry machine having a pedest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lex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와 이를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mplex washing machine and a monitor device for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세탁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공기 공급 장치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장치를 예로 하여 주 세탁부와 보조 세탁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세탁장치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washing unit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taking an example of a condensation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n air supply device;

도 6은 공기 공급 장치 및 스팀 공급 장치를 구비한 배기식 세탁장치를 예로 하여 주 세탁부와 보조 세탁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세탁장치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apparatu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washing unit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taking an exhaust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n air supply unit and a steam supply unit as an example;

도 7은 스팀 공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eam supply devi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0: 세탁장치100: washing machine

210: 주 세탁부 220: 조작부210: main laundry 220: operation unit

230: 통신부 240: 표시부230: communication unit 240: display unit

250: 제 1 구동수단 260: 본체 제어부250: first driving means 260: main body control unit

40: 드럼 40: drum

310: 보조 세탁부 320: 제 2 구동수단310: auxiliary washing unit 320: second driving means

121: 의류 수용부 140: 공기 공급 장치121: clothing receiving portion 140: air supply device

150: 스팀 발생 장치 180: 감지수단150: steam generator 180: detection means

500: 모니터 장치 510: 영상 출력부500: monitor device 510: video output unit

520: 조작부 530: 음성 출력부520: operation unit 530: audio output unit

540: 통신부 550: 모니터 제어부540: communication unit 550: monitor control uni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모니터 및 제어를 위한 모니터 장치를 구비한 복합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lex laundry machine having a monitor device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세탁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In general, the laundry machine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washing, drying or washing or drying clothes. Here, one washing apparatus may perform only washing or drying functions, or both washing and drying. In addition, recently, a steam supply device is provided, and a washing device having a refresh function such as wrinkle removal, odor removal, and static electricity removal of clothes, etc., has been widely used.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이나 탑 로딩(top loading) 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es are classified into a front loading type or a top loading type according to a drawing direction of clothes. In addition, there is a vertical shaft type in which a pulsator or a washing tank is rotated and a horizontal type in which a drum is rotated according to the washing method.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horizontal type are drum washing machines or drum dryers.

이러한 세탁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장치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These washing machine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in size in response to recent user acceptance. That is, the external size of washing machines used for domestic use is becoming larger and larger.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들 중 세탁기인 경우에는 건조 기능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건조 기능을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건조기를 구비하여야 하거나, 건조 기능을 겸비한 세탁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소비자가 부담하여야 하는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of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s may not have a drying function. Therefore, if the user wants a drying function, a separate dryer must be provided or a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must be provided.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both washing and drying, the cost that a consumer has to bear has increased.

또한, 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장치들에 있어서 이러한 세탁장치들이 점차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소량의 의류 건조를 위해서 대형화된 건조기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드럼 타입의 건조기인 경우에는 신발이나 모자 등의 건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물론, 드럼 내부에 랙(rack)을 설치하여 신발 등이 상기 랙에 안착되고, 드럼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랙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여 신발 등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랙을 필요에 따라 탈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laundry machines having a drying function, as these laundry machines become larger in siz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erms of energy saving because they have to drive a large sized dryer for drying a small amount of clothes. And in the case of a drum type drye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ry shoes or hats. Of course, by installing a rack (rack) in the drum, such as shoes are seated on the rack, so that the rack is horizontally maintained irrespective of the rotation of the drum may be made to dry shoes or the like. In this case, however, there was a hassle for the user to detach the rack as needed.

도 1은 종래의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탁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이나 상면에 위치하는 컨트롤 패널(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 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세탁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 패널을 조작함으로써 세탁이나 건조 등과 같은 의류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laundry machine 10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n appearance and a control panel 11 positioned at the front or the top of the main body. Here,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ly, the user operates the control panel to perform the garment processing such as washing or drying.

여기서, 상기 세탁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세탁기 겸 건조기일 수 있다.Here, the washing apparatus may be a washing machine,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는 상기 세탁장치(10)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탁장치(10)는 상기 받침대(20) 상부에 놓여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may comprise a pedestal 20 for supporting the washing machine 10 against the floor. Here, the washing apparatus 10 is placed on the pedestal 20.

상기 받침대(20)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소정 공간은 서랍(21) 형태로 이루어져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세탁장치(10)를 지지함과 아울러 세제, 의류 등을 보관하는 보관함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pedestal 20 generally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drawer 21 to be pulled forward. The pedestal supports the washing apparatus 10 and also functions as a storage box for storing detergent, clothes, and the like.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받침대(20)가 의류 처리를 위한 어떠한 기능을 갖지 못하였다.Therefore, conventionally, the pedestal 20 did not have any function for clothes processing.

그리고, 최근 주택 생활공간이 커짐에 따라 세탁기나 건조기 등의 세탁장치를 가옥 외 또는 가옥의 지하 등과 같이 생활공간과 떨어진 별도의 장소에 설치하기 때문에 세탁장치의 현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없었다.In addition, as the living space of a house grows in recent years, a washing machine such as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is installed in a separate place away from the living space such as a house or a basement of a house, and thus the user cannot easily recognize the current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

즉, 세탁기가 설치된 장소를 사용자가 수시로 방문하여 세탁기의 동작상태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사용자 불편을 초래하였다.That is, the user often visits the place where the washing machine is installed, which causes the user inconvenience of check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one by one.

또한, 세탁장치 본체는 행정 중에 에러가 발생하거나 행정이 완료되면 부저음 등을 출력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현 상태를 알리는 부저음을 듣지 못해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 상태에서 장시간 세탁물을 방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outputs a buzzer sound or the like when an error occurs during the stroke or the stroke is complet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does not hear the buzzer sound informing the current state so that the laundry is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세탁장치의 받침대 역할의 보조공간을 이용하여 건조기능, 리프레쉬 기능 등을 부가할 수 있는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lex washing apparatus that can add a drying function, a refresh function and the like by using the auxiliary space of the role of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그리고, 종래의 세탁장치를 통해서 건조 내지 세탁이 어려웠던 신발이나 모자 등의 소형 의류에 대한 건조를 별도의 공간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lex laundry apparatus that can perform drying for small clothes such as shoes or hats that were difficult to dry or wash through a conventional laundry apparatus through a separate space.

더 나아가, 보조 세탁부를 구비한 복합 세탁장치에 있어서 행정 중 에러 발생이나 행정 완료 등 세탁장치의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또한 세탁장치의 사용자 이용이 보다 편리할 수 있는 모니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nitor apparatus in which a washing machine including an auxiliary washing unit actively informs a user of an operation state of a washing machine, such as an error occurring during a stroke or completion of a stroke, and which can be more conveniently used by a user. There is another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운동에 의한 각종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주 세탁부와 상기 주 세탁부와 분리된 별도의 공간으로 순환공기 또는 스팀을 이용한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보조 세탁부로 이루어진 세탁장치;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주 세탁부와 보조 세탁부의 동작을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로 구성되는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main washing unit for performing various washing administration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um and an auxiliary washing unit for performing the washing stroke using the circulating air or steam to a separate space separate from the main washing unit. Washing machin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lex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monitor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nd monitoring operations of the main laundry unit and the auxiliary laundry unit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laundry machine.

여기서, 상기 모니터 장치는; 상기 세탁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에 대한 제어명령을 송신하거나 상기 세탁장치로부터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영상 출력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의 상태정보에 상응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세탁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상기 세탁장치로부터 수신된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의 상태정보를 상기 영상 출력부 또는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모니터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onitor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main laundry unit or the auxiliary laundry unit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washing machine or rece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laundry unit or the auxiliary laundry unit from the washing machine, and a main laundry uni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An image output unit displaying state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an audio output unit outputting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laundry unit 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main uni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washing machine; And a moni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washing unit 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or controlling to outpu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washing unit 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received from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or the audio output unit.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주 세탁부의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드럼과, 상기 보조 세탁부의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의류 수용부와, 상기 드럼의 회전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수단과, 상기 의류 수용부에 순환공기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제 2 구동수단과, 상기 모니터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주 세탁부 및 보조 세탁부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모니터 장치로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모니터 장치 또는 조작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 1 구동수단 또는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washing apparatus; A drum forming a laundry space of the main laundry unit, a clothes accommodating part forming a laundry space of the auxiliary laundry part, first driving means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um, and circulating air in the clothes accommodating part Or a second driving means for supplying steam,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 device,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to the main laundry unit and the auxiliary laundry unit, and a main laundry unit or the monitor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main body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transmi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or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or the second driving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monitor device or the operation unit.

여기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cond drive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supply device for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또는,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second driving means; An air supply device for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device.

또는,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의류 수용부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second driving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am supply device for supplying hot steam 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이때,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드럼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주 유입유로와, 상기 주 유입유로로부터 분지되어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의류 수용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 유입유로와, 상기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로의 순환공기 유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제어부의 제어 하에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주 유입유로와 보조 유입유로에 각각 설치되는 댐퍼와, 상기 보조 유입유로가 분지되기 전의 주 유입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 및 의류 수용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driving means; An air supply unit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drum or the clothes container, a main in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unit flows into the drum, and a branch branched from the main inflow passage and supplied by the air supply apparatus An auxiliary inflow passage allowing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and a main inflow passage and the auxiliary inflow passage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control unit to selectively control the inflow of circulating air into the drum or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And damper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main inflow passage before the auxiliary inflow passage is branched, and a heater for heating air introduced into the drum and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드럼 및 의류 수용부 내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공간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와, 드럼 및 의류 수용부 내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공간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cond drive means; It includes a steam supply device for supplying high-temperature steam to the drum or clothes receiving unit,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drum and the clothes receiving unit,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pac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drum and the clothes receiving unit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humidity sensor for sensing the humidity of the space.

이때, 상기 스팀 공급 장치는; 세탁수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와, 상기 탱크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세탁수를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로 각각 안내하는 주 호스 및 보조 호스와, 상기 주 호스와 보조 호스 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세탁수를 스팀 형태로 분사하는 스팀 분사 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team supply device; A tank for storing the wash water, a heater for heat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ank, a main hose and an auxiliary hose for guiding the wash water heated by the heater to the drum or the clothes receiving unit, respectively; Each of the auxiliary hose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am injection port for spraying the heated wash water in the form of steam.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and wireless communication.

그리고, 상기 모니터 장치는; 사용자가 주 세탁부의 동작 및 모니터링을 제어하고자 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 1 조작부와, 사용자가 보조 세탁부의 동작 및 모니터링을 제어하고자 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 2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monitor device; And a second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command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and monitoring of the main laundry unit, and a second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command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and monitoring of the secondary laundry unit. .

그리고, 상기 영상 출력부는; 주 세탁부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표시부와, 보조 세탁부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output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laundr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state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laundry unit.

따라서, 본 발명은 소형의 세탁 대상물에 대한 건조 기능 또는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 세탁장치를 구비한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하고 이러한 복합 세탁장치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 장치를 포함한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bined laundry device having a secondary laundr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drying function or a refreshing function on a small laundry object, and a combined laundry including a monitor device for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complex laundry device. Provide a device.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를 구비한 복합 세탁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a complex laundry device having a moni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세탁장치는 드럼의 회전운동에 의 한 각종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주 세탁부(210)와 상기 주 세탁부(210)와 분리된 별도의 공간으로 순환공기 또는 스팀을 이용한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보조 세탁부(310)로 이루어진 세탁장치(100);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100)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주 세탁부(210)와 보조 세탁부(310)의 동작을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5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complex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washing unit 210 and a separate space separated from the main washing unit 210 to perform various washing administrations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um. Washing apparatus 100 consisting of an auxiliary washing unit 310 for performing a washing operation using steam; The monitor apparatus 500 remotely controls and monitors operations of the main laundry unit 210 and 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washing apparatus 100.

세탁장치(100)의 경우 가옥 외 또는 가옥의 지하 등 사용자의 생활공간과 떨어진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 입장에서 세탁장치(100)의 제어나 모니터가 용이하도록 모니터 장치(500)를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wash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in a separate space away from the living space of the user, such as the outside of the house or the basement of the house,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device 500 to facilitate the control or monitoring of the washing apparatus 100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t is desirable to install in the space where the user lives.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100)와 모니터 장치(5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apparatus 100 and the monitor devic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500)는 상기 세탁장치(1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주 세탁부(210) 또는 보조 세탁부(310)에 대한 제어명령을 송신하거나 상기 세탁장치(100)로부터 주 세탁부(210) 또는 보조 세탁부(31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540)와, 상기 통신부(540)를 통해 수신된 주 세탁부(210) 또는 보조 세탁부(310)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영상 출력부(510)와, 상기 통신부(540)를 통해 수신된 주 세탁부(210) 또는 보조 세탁부(310)의 상태정보에 상응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530)와, 상기 세탁장치(10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주 세탁부(210) 또는 보조 세탁부(310)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상기 세탁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주 세탁부(210) 또는 보조 세탁부(310)의 상태정보를 상기 영상 출력부(510) 또는 음성 출력부(5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모니터 제어부(550)로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monitor apparatus 500 communicates with the washing apparatus 100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main washing unit 210 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or the washing apparatus ( Communication unit 540 for receiv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washing unit 210 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from the 100,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washing unit 210 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40 An image output unit 510 for displaying the voice output unit 530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laundry unit 210 or 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4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ain washing unit 210 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washing machine 100 or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washing unit 210 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received from the washing unit 100.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510 or the audio output unit 530 It consists of the monitor control unit 550 that controls to.

그리고, 상기 모니터 장치(500)는 사용자가 주 세탁부(210)의 동작 및 모니터링을 제어하고자 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제 1 조작부와, 보조 세탁부(310)의 동작 및 모니터링을 제어하고자 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nitor apparatus 500 may include a first operation unit for a user to input a command to control the operation and monitoring of the main laundry unit 210, and a command to control the operation and monitoring of 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2nd operation part.

또한, 상기 모니터 장치(500)의 영상 출력부(510)는 세탁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메뉴 등의 제어환경을 표시하여 안내하고, 세탁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 즉, 남은 행정시간, 현재 진행 중인 행정 정보, 행정 에러, 세탁완료 상태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mage output unit 510 of the monitor apparatus 500 displays and guides a control environment such as a user menu for controlling the washing apparatus 100, and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shing apparatus 100, that is, remaining It displays the administrative time, current administrative information, administrative error, and laundry completion status.

여기서, 상기 영상 출력부(5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표시 소자를 이용하며, 주 세탁부(210)에 대한 사용자 메뉴 및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표시부와 보조 세탁부(310)에 대한 사용자 메뉴 및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Here, the image output unit 510 uses a display element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the like, and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user menu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main laundry unit 210.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user menu and status information on 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상기 영상 출력부(510)의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는 하나의 표시 소자를 이용하여 기능적으로 표시 영역을 구분하거나 독립적으로 각각의 표시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of the image output unit 510 may use one display element to functionally divide the display area or independently configure each display element.

그리고, 상기 통신부(540)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통신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인터넷과 같은 별도의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도 세탁장치(100)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540 is composed of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power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by configuring such a communication module separat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data with the washing apparatus 100 without using.

이와 같이 구성된 모니터 장치(500)의 모니터 제어부(550)는 세탁장치(100)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를 수행할 수 있는 운영체제 하에 시스템 제어가 이루어진다.The monitor control unit 550 of the monitor apparatus 5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system control under an operat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laundry apparatus 100.

한편, 본 발명의 복합 세탁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0)가 구비된 형태의 세탁장치와 동일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가 단순히 받침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보조 세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종래와 상이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세탁부(310)가 주 세탁부(210)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13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mplex laundry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may have the same appearance as the laundry machine of the type provided with a pedestal 2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pedestal differs from the conventional one in that it performs not only a function as a pedestal but also an auxiliary washing function. In addition,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130 to be stably coupled with the main washing unit 210.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조 세탁부(310)는 주 세탁부(2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세탁부(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주 세탁부(210)의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auxiliary laundry part 3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laundry part 210. That is, as shown in Figure 2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laundry (210). Alternatively, the main laundry unit 210 may be provided above.

즉, 본 발명은 주 세탁부(210) 만을 갖는 기존의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나 리프레쉬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 세탁부(310)를 추가 구성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configures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capable of performing a drying function or a refreshing function on the existing washing apparatus 100 having only the main washing unit 210.

이러한 보조 세탁부(310)는 단순 세탁기 뿐 아니라 건조 기능 및 스팀 공급 기능을 가진 어떠한 세탁장치라도 그 조합이 가능하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may be a combination of any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and a steam supply function as well as a simple washing machine.

상기 모니터 장치(500)를 이용한 제어대상인 세탁장치(100)는 상기 주 세탁부(210)의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드럼과, 상기 보조 세탁부(310)의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의류 수용부(121)와, 상기 드럼의 회전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수단(250)과, 상기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121)에 순환공기 또는 스팀을 공급 하는 제 2 구동수단(320)과, 상기 모니터 장치(5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30)와, 상기 주 세탁부(210) 및 보조 세탁부(310)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220)와, 상기 통신부(230)를 통해 모니터 장치(500)로 주 세탁부(210) 또는 보조 세탁부(310)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모니터 장치(500) 또는 조작부(220)의 제어 하에 상기 제 1 구동수단(250) 또는 제 2 구동수단(320)을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260)로 구성된다.Washing apparatus 100 to be controlled using the monitor device 500 is a drum for forming a laundry space of the main laundry unit 210, and a clothes receiving unit 121 to form a laundry space of 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and The first driving means 25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um, the second driving means 320 for supplying circulating air or steam to the drum or clothes receiving portion 121, and the monitor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230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500, the operation unit 220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for the main laundry unit 210 and 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and the monitor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The control unit 500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washing unit 210 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to the 500, or under the control of the monitor apparatus 500 or the operation unit 220, the first driving unit 250 or the second driving unit. And a main body controller 260 for controlling 320.

여기서, 제 1 구동수단(250)은 모터를 포함한 구동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driving means 25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drive device including a motor.

그리고, 상기 통신부(230)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 중 모니터 장치(500)의 통신부(540)와 동일한 통신 방식을 가진 통신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configured as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as the communication unit 540 of the monitor apparatus 500 dur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그리고, 상기 조작부(220)는 주 세탁부(21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패널과 보조 세탁부(31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패널을 함께 구성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220 constitutes an operation panel for controlling the main laundry unit 210 and an operation panel for controlling 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그리고, 주 세탁부(210) 뿐 아니라 보조 세탁부(310)의 상태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splay unit 240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240 for display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as well as the main laundry unit 210.

특히, 본 발명의 세탁장치(100)는 상기 제 2 구동수단(320)이 보조 세탁부(310) 전용으로 구성되어 순환공기 또는 스팀을 보조 세탁부(310)에만 공급하도록 하거나(제 1 예), 순환공기 또는 스팀을 주 세탁부(210)와 보조 세탁부(310)에서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제 2 예).In particular, the wash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ly the circulating air or steam only to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by the second driving means 320 is dedicated to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first example), circul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share air or steam in the main washing unit 2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second example).

제 1 예Example 1

도 4를 참조하여, 보조 세탁부(310) 전용으로 구성된 제 2 구동수단(32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driving means 320 configured exclusively f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보조 세탁부(310)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인 의류 수용부(1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의류 수용부(12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보조 세탁부(31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 형태로 형성한다.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is provided with a clothing receiving portion 121 which is a space in which clothing is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clothing receiving portion 121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but preferably in the form of a drawer that can be pulled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그리고, 보조 세탁부(310)에는 의류 수용부(121)에 수용된 의류나 신발 등을 건조 또는 리프레쉬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driving means for drying or refreshing the clothes or shoes accommodated in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상기 제 2 구동수단(320)으로서, 의류 수용부(121)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장치(140) 또는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장치(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As the second driving unit 320, at least one of the air supply unit 140 for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or the steam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high temperature steam may be configured. have.

이때, 상기 공기 공급장치(140)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141)과 송풍팬(141)에 의해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air supply device 140 includes a blowing fan 141 for blowing air and a heater 142 for heating the air circulated by the blowing fan 141.

상기 송풍팬(141)에 의해 외부 공기가 히터(142)를 통해 가열된 후 의류 수용부(121) 내부로 유입되어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The external air is heated by the blower fan 141 through the heater 142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clothes accommodating part 121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gain.

여기서, 보조 세탁부(310) 및 의류 수용부(121)의 후벽 상부에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71)를 형성하고 후벽 하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7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let 171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rear wall of 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and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and an outlet 172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below the rear wall.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보조 세탁부(310)는 송풍팬(141)만을 구동하여 세탁물의 탈취 기능을 수행하거나 히터(142)와 함께 송풍팬(141)을 구동하여 건 조 및 구김 및 냄새 제거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by such a configuration,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drives only the blower fan 141 to perform a deodorization function of laundry, or drives the blower fan 141 together with the heater 142 to dry, wrinkle, and remove odors. Can be performed.

그리고, 상기 스팀 공급장치(150)는 의류 수용부(121)의 상부 내지 후방에 설치된 것으로, 세부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는 탱크와 탱크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세탁수를 이용하여 스팀을 의류 수용부(121) 내로 분사하는 분사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eam supply device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or rear of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121, the detailed configuration is not shown, but the heater and the heater for heat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ank and the tank that can store the wash water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spray means for injecting steam in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121 by using the wash water heated by.

즉, 의류 수용부(121)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살균 등의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by spraying a high temperature steam to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may perform a refresh function such as sterilization.

상기에 설명한 공기 공급장치(140) 또는/및 스팀 공급장치(150)를 구비한 보조 세탁부(310)는 의류 수용부(121) 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 센서 등 감지수단(1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보조 세탁부(310)를 이용한 건조 기능이나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할 경우 감지수단(180)을 통해 의류 수용부(121) 내부의 온도나 습도를 감지하여 행정 조건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including the air supply unit 140 and / or the steam supply unit 150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in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and a humidity sensor for sensing humidit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ack sensing means 180. That is, when performing the drying function or the refresh function using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the sensing condition 180 may detect the temperature or humidity inside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to control the administrative conditions appropriately.

이러한 구성의 보조 세탁부(310)에 있어, 세탁물(162)을 안착하고 의류 수용부(121)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되 상기 구획된 공간이 서로 연통하도록 하는 선반(1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160)은 세탁물(162)로 공급된 공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helf 160 may be provided to seat the laundry 162 and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garment accommodating part 121 up and down while allowing the divided spac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shelf 160 is for allowing the air supplied to the laundry 162 to be discharged smoothly.

이때, 상기 선반(160)에는 복수 개의 통공(16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공(160a)들을 통해서 의류 수용부(121) 내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진 다.At this time, the shelf 16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0a), the air circulation in the clothing receiving portion 121 is smoothly made through the through holes (160a).

그리고, 상기 의류 수용부(121)의 후벽 상부에는 공기 가이드(16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가이드(161)는 의류 수용부(121)의 전방까지 공기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ir guide 161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per rear wall of the garment accommodating part 121. The air guide 161 serves to smoothly supply the air to the front of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and at the same time divides the flow path of the inflowed air and the discharged air.

제 2 예Example 2

본 실시예는 주 세탁부(210)가 공기 공급장치 및/또는 스팀 공급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주 세탁부(210)의 공기 공급장치 및/또는 스팀 공급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순환공기 또는 스팀을 보조 세탁부(310)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laundry unit 210 constitutes an air supply device and / or a steam supply device, and the circulated air or steam generated through the air supply device and / or the steam supply device of the main laundry unit 210 is constructed. Auxiliary laundry unit 310 is to be shared.

도 5는 공기 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장치에 있어 응축식 모델을 예로 한 것이고 도 6은 공기 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장치에 있어 배기식 모델을 예로 한 것으로, 도 5 및 도 6은 하나의 공기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주 세탁부(210) 및 보조 세탁부(310)에 순환공기를 공급하는 복합 세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입니다.5 shows an example of a condensation type model in a washing apparatus having an air supply unit, and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exhaust type model in a washing apparatus having an air supply unit, and FIGS. 5 and 6 show one air. Reference drawing for explaining a complex washing machine for supplying circulating air to the main washing unit 2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by using a supply device.

또한, 도 6은 스팀 공급장치를 더 포함한 복합 세탁장치로 이 또한 하나의 스팀 공급장치를 구성하여 주 세탁부(210) 뿐 아니라 보조 세탁부(310)에 각각 스팀을 공급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 6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supplying steam to the secondary laundry unit 310 as well as the main laundry unit 210 by configuring a single steam supply device as a complex laundry device further including a steam supply device.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식 건조방식에 따는 세탁장치(100)의 경우, 유입유로(44, 45)와 배기유로(80, 81)로 구성된 공기 순환유로; 상기 공기 순환유 로 내의 공기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송풍팬(60); 상기 송풍팬(60)에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90); 그리고,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기유로(80, 81)에 이어 형성된 응축유로(290)와 응축기(291)로 구성된 응축장치(29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in the case of the wa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condensation type drying method, an air circulation passage consisting of inflow passages 44 and 45 and exhaust passages 80 and 81; A blowing fan 60 to enable air circulation in the air circulation path; A heater (90) for heating air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60); A condenser 292 including a condensation passage 290 formed after the exhaust passages 80 and 81 and a condenser 291 to remove moisture in the air is included.

이때, 상기 유입유로는 드럼(40)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주 유입유로(44)와, 상기 주 유입유로(44)에서 분지되어 의류 수용부(121)로 공기를 안내하는 보조 유입유로(45)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기유로는 드럼(40)에서 배출된 공기를 응축유로(290)로 안내하는 주 배기유로(80)와 의류 수용부(121)에서 배출된 공기를 응축유로(290)로 안내하는 보조 배기유로(81)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inflow passage is a main inflow passage 44 for guiding air to the drum 40, and the auxiliary inflow passage 45 is branched from the main inflow passage 44 to guide the air 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121. The exhaust passage is configured to guid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40 to the condensation passage 290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to the main exhaust passage 80 to the condensation passage 290. It consists of an auxiliary exhaust flow path (81).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유입유로(45)와 보조 배기유로(81)를 통해 주 세탁부(210)와 보조 세탁부(310)가 연통되기 위하여 의류 수용부(121)에 유입구(129)와 배기구(128)가 형성되고 상기 주 세탁부(210)의 베이스에는 유입구(129)와 배기구(128)와 각각 연통되기 위한 관통홀(272, 271)이 형성된다.And, as shown, the inlet 129 and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washing unit 2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through the auxiliary inflow passage 45 and the auxiliary exhaust passage 81. An exhaust port 128 is formed, and through holes 272 and 271 are formed in the base of the main washing unit 210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129 and the exhaust port 128, respectively.

이는 주 세탁부(210)와 보조 세탁부(310)에 있어서 순환 공기가 서로 공유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주 세탁부(210)와 보조 세탁부(310)의 결합시 상기 유입구(129)와 관통홀(272), 상기 배기구(128)와 관통홀(271)이 서로 얼라인 되어야 한다.The main washing unit 2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irculating air can be shared with each other, the inlet 129 and the through hole 272 when the main washing unit 2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are combined. ), The exhaust port 128 and the through hole 271 should be aligned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주 유입유로(44)와 보조 유입유로(45), 그리고 상기 주 배기유로(80)와 보조 배기유로(81)에는 본체 제어부(260)의 제어 하에 각각 선택적으로 이들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인 댐퍼(280, 281)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ain inflow passage 44 and the auxiliary inflow passage 45, and the main exhaust passage 80 and the auxiliary exhaust passage 81 may be selectively opened or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controller 260. Mean dampers 280 and 281 are provide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세탁장치(100) 내의 공기 순환유로(44, 45, 80, 81)를 통해 공기 공급 장치(140)에서 공급된 순환 공기를 주 세탁부(210)와 보조 세탁부(310)에서 공유할 수 있다. 즉, 본체 제어부(260)의 제어 하에 댐퍼(280, 281)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드럼(40) 또는 의류 수용부(121)로 선택적으로 순환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ain washing unit 2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to the circulat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140 through the air circulation passages 44, 45, 80, 81 in the washing apparatus 100. You can share at That is,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s 280 and 281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control unit 26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provide the circulating air to the drum 40 or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한편, 도 6에 도시한 배기식 건조 방식을 따르는 세탁장치의 경우 외부 공기가 드럼(40) 및 의류 수용부(121)로 유입된 후 순환공기를 외부로 다시 배출하도록 공기 순환유로(44, 45, 80, 81) 중 주 배기유로와 보조 배기유로(80, 81)를 외부로 연결시켜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haust type drying method shown in Figure 6 after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drum 40 and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121, the air circulation passage 44, 45 to discharge the circulating air back to the outside It is formed by connecting the main exhaust passage and the auxiliary exhaust passage (80, 81) of the, 80, 81 to the outside.

배기식 세탁장치의 경우 외부 공기가 드럼(40)의 후방으로 안내되도록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유입유로(44)를 형성하고 상기 주 유입유로(44)에서 분지하여 유입구(129)를 거쳐 의류 수용부(121)로 유입되도록 보조 유입유로(45)를 형성한다.In the case of the exhaust type washing machine, as shown in order to guide the outside air to the rear of the drum 40, the main inflow passage 44 is formed, branched from the main inflow passage 44, and through the inlet 129 through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An auxiliary inflow passage 45 is formed to flow into the 121.

그리고, 드럼(4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도시한 바와 같이 주 배기유로(80)를 형성하고 상기 의류 수용부(121)를 거쳐 배출된 공기 또한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보조 배기유로(81)를 배출구(128)에 이어 상기 주 배기유로(80)에 연결하여 형성한다.And, as shown to discharg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40 to the outside to form a main exhaust flow path (80) and the auxiliary exhaust flow path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121 also exits to the outside ( 81 is formed by connecting the outlet 128 to the main exhaust passage 80.

더 나아가, 스팀 발생장치(150)에서 발생하는 스팀을 드럼(40)과 의류 수용부(121)에서 공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150 may be configured to be shared by the drum 40 and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팀 발생장치(150)는 급수호스(155)로부터 공급받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탱크(156)와, 상기 탱크(156)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57)와, 상기 히터(57)에 의해 가열된 세탁수를 드럼(40)과 의류 수용부(121) 내로 각각 안내하는 주 호스(51) 및 보조 호스(53)와, 상기 주 호스(51)와 보조 호스(53) 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세탁수를 스팀으로 분사는 스팀 분사구(152, 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6 and 7, first, the steam generator 150 is a tank 156 for storing the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hose 155, and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tank 156 A heater 57, a main hose 51 and an auxiliary hose 53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heated by the heater 57 into the drum 40 and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121, respectively; 51 and steam hoses 152 and 154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auxiliary hose 53 to spray the heated washing water into steam, respectively.

그리고, 탱크(156)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159)와, 히터(57)에 의해 가열된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158)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ter level sensor 159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ank 156, and a temperature sensor 158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heated by the heater (57).

따라서, 드럼(40)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주 호스(51) 이외에 의류 수용부(121)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보조 호스(53)를 더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스팀 발생 장치(150)를 이용하여 주 세탁부(210) 뿐 아니라 보조 세탁부(310)에서 스팀을 이용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by further configuring an auxiliary hose 53 for injecting steam into the clothes accommodating part 121 in addition to the main hose 51 for injecting steam into the drum 40, one steam generator 150 is used. In addition to the main washing unit 210,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may perform washing using steam.

상기 보조 세탁부(310)에서 스팀을 이용한 세탁을 할 경우 구김제거, 살균, 정전기 방지, 냄새 제거 등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When washing using steam in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may perform a refresh function such as wrinkle removal, sterilization, antistatic, odor removal.

상기에 기술한 제 1 및 제 2 예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는 본체 제어부(260)의 제어 하에 주 세탁부(210) 및 보조 세탁부(31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combined laund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xamples described above may selectively control operations of the main laundry unit 210 and 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controller 260.

특히, 상기 본체 제어부(260)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모니터 장치(500)로 주 세탁부(210)와 보조 세탁부(310)의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 장치(5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모니터 장치(500)로부터 주 세탁부(210) 또는 보조 세탁부(310)에 대한 제어명령이 존재하면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세탁장치(100)의 제 1 구동수단(250) 또 는 제 2 구동수단(320)을 제어한다.In particular, the main body controller 260 periodically transmits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laundry unit 210 and the auxiliary laundry unit 310 to the monitor device 500 through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monitor device 500, and if a control command from the monitor device 500 to the main washing unit 210 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is present,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is performed. To control the first driving means 250 or the second driving means 320 of the washing apparatus 100 to be made.

한편, 모니터 장치(500)의 동작에 있어, 사용자가 조작부(520)를 통해 주 세탁부(210) 또는 보조 세탁부(310)의 동작 제어에 대한 명령을 입력할 경우 모니터 제어부(550)에서 조작부(250)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을 세탁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operation of the monitor device 500,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for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main washing unit 210 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through the operation unit 520, the operation unit 250 in the monitor control unit 550 The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is transmitted to the washing apparatus 100.

한편, 사용자가 조작부(520)를 통해 세탁장치(100)에 대한 모니터 명령을 입력하면 이를 모니터 제어부(550)에서 인식하여 통신부(540)를 통해 수신된 세탁장치(100)의 상태정보를 영상 출력부(51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Meanwhile, when the user inputs a monitor command for the wash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operation unit 520, the monitor controller 550 recognizes the monitor command and outputs image information of the state of the washing apparatus 100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40. The display through the unit 510 is performed.

이때, 상기 세탁장치(100)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 중 주 세탁부(210)에 해당하는 상태정보는 제 1 표시부에 표시하고 보조 세탁부(310)에 해당하는 상태정보는 제 2 표시부에 표시한다.At this time, the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washing unit 210 of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shing apparatus 100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따라서, 상기 모니터 장치(500)는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소정 거리의 세탁장치(100) 즉, 주 세탁부(210)의 동작 또는 보조 세탁부(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100)의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남은 행정시간, 세탁완료 여부, 행정 에러 상태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nitor device 500 may be installed in a living space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100, that is, the main washing unit 210 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3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by periodically receiv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with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remaining stroke time, whether the washing is completed, the stroke error status.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는 소량의 의류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보조 세탁부를 세탁장치 본체에 추가 구성하여 세탁장치의 활용도를 높이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The complex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configure an auxiliary laundry unit capable of processing a small amount of clothes on the washing machine body to increase utilization of the washing machine and reduce energy.

더 나아가, 보조 세탁부를 구비한 복합 세탁장치에 있어서 소정 거리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모니터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주 세탁부와 보조 세탁부에 대한 원격 제어 뿐 아니라 모니터가 가능하다.Furthermore, by configuring a monitor device that can communic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omplex laundry machine having an auxiliary laundry unit, it is possible to monitor as well as remote control of the main laundry unit and the auxiliary laundry unit.

따라서, 모니터 장치가 사용자의 생활공간에 설치 가능하므로 세탁장치의 제어 및 상태 확인에 있어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빨리 세탁 상태를 인식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monitor device can be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of the user,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in controlling and checking the washing machine, and the user can recognize the washing state more quickly and respond quickly.

Claims (24)

드럼의 회전운동에 의한 각종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주 세탁부와 상기 주 세탁부와 분리된 별도의 공간으로 순환공기 또는 스팀을 이용한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보조 세탁부로 이루어진 세탁장치; 그리고,A washing apparatus including a main washing unit performing various washing strokes by a rotational motion of a drum and an auxiliary washing unit performing washing stroke using circulation air or steam as a separate space separated from the main washing unit; And, 상기 세탁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주 세탁부와 보조 세탁부의 동작을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에 있어서,In the multiple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monitor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laundry and the auxiliary laundry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washing machine, 상기 모니터 장치는;The monitor device; 상기 세탁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에 대한 제어명령을 송신하거나 상기 세탁장치로부터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main laundry unit or the auxiliary laundry unit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washing machine or rece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laundry unit or the auxiliary laundry unit from the washing machine;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영상 출력부와,An image output unit displaying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laundry unit or the auxiliary laundry uni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의 상태정보에 상응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laundry unit or the auxiliary laundry uni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세탁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상기 세탁장치로부터 수신된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의 상태정보를 상기 영상 출력부 또는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모니터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A monitor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ain laundry unit or the auxiliary laundry uni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washing machine or controlling to outpu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laundry unit or the auxiliary laundry unit received from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or the audio output unit; Composite laundry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는;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apparatus; 상기 주 세탁부의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드럼과,A drum forming a washing space of the main laundry unit; 상기 보조 세탁부의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의류 수용부와,A clothes accommodation unit forming a laundry space of the auxiliary laundry unit; 상기 드럼의 회전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수단과,First driving means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um; 상기 의류 수용부에 순환공기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제 2 구동수단과,Second driving means for supplying circulating air or steam to the garment container; 상기 모니터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 device; 상기 주 세탁부 및 보조 세탁부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for the main laundry unit and the auxiliary laundry unit; 상기 통신부를 통해 모니터 장치로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모니터 장치 또는 조작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 1 구동수단 또는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And a main body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transmi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laundry unit or the subsidiary laundry unit to the monitor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or the second driving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monitor device or the operation unit. Complex laundry machin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drive means; Complex laundry machine comprising an air supply for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 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drive means;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device, the air supply device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의류 수용부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drive means; Composite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steam supply for supplying a high temperature steam to the clothes receiving.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의류 수용부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의류 수용부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drive means; The laundry machin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in the clothes receiving unit, and a humidity sensor for sensing the humidity in the clothing receiving unit.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의류 수용부 내로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하기 위한 송풍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complex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air supply device is a blower fan for forcibly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clothes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는;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apparatus; 상기 주 세탁부의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드럼과,A drum forming a washing space of the main laundry unit; 상기 보조 세탁부의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의류 수용부와,A clothes accommodation unit forming a laundry space of the auxiliary laundry unit; 상기 드럼의 회전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수단과,First driving means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um; 상기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에 순환공기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제 2 구동수단과,Second driving means for supplying circulating air or steam to the drum or the clothes container; 상기 모니터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 device; 상기 주 세탁부 및 보조 세탁부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 와,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for the main laundry unit and the auxiliary laundry unit; 상기 통신부를 통해 모니터 장치로 주 세탁부 또는 보조 세탁부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모니터 장치 또는 조작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 1 구동수단 또는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And a main body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transmi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laundry unit or the subsidiary laundry unit to the monitor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or the second driving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monitor device or the operation unit. Complex laundry machin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drive means; Combination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n air supply for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drum or the clothing contain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drive means;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device, the air supply device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drum or the clothing container.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드럼 및 의류 수용부 내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공간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와, 드럼 및 의류 수용부 내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공간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method of claim 10 or 11, wherein the second drive mean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drum and the clothes receiving unit, respectively, to detec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pace, and a humidity sensor installed in the drum and the clothes receiving unit, respectively, to detect the humidity of the space. Composite laundry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 내로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하기 위한 송풍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complex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air supply device is a blower fan for forcibly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drum or the clothing container. 제 10 항 또는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순환공기가 드럼과 의류 수용부로 각각 유입되도록 주 유입유로와 보조 유입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combined laundr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second driving means includes a main inflow passage and an auxiliary inflow passage so that the circulating air flows into the drum and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respectivel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유입유로는 상기 주 유입유로로부터 분지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complex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auxiliary inflow passage is branched from the main inflow passag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로의 순환공기 유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주 유입유로와 보조 유입유로에는 본체 제어부의 제어 하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댐퍼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15. The complex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main inflow passage and the auxiliary inflow passage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dampers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controller in order to selectively control the inflow of the circulating air to the drum or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Laundry machin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drive means;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와,An air supply unit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drum or the clothing container; 상기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드럼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주 유입유로와,A main inflow passage allowing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device to flow into the drum; 상기 주 유입유로로부터 분지되어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의류 수용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 유입유로와,An auxiliary inflow passage branched from the main inflow passage so that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device is introduced in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상기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로의 순환공기 유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제어부의 제어 하에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주 유입유로와 보조 유입유로에 각각 설치되는 댐퍼와,A damper installed in each of the main inflow passage and the auxiliary inflow passage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control unit to selectively control the inflow of the circulating air into the drum or the clothing accommodation unit; 상기 보조 유입유로가 분지되기 전의 주 유입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 및 의류 수용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And a heater installed on the main inflow passage before the auxiliary inflow passage is branched to heat the air flowing into the drum and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drive means; And a steam supply device for supplying hot steam to the drum or the clothing container. 제 17 항 또는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or 18,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드럼 및 의류 수용부 내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공간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와, 드럼 및 의류 수용부 내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공간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second drive mean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drum and the clothes receiving unit, respectively, to detec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pace, and a humidity sensor installed in the drum and the clothes receiving unit, respectively, to detect the humidity of the space. Composite laundry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공급 장치는;19. The apparatus of claim 18, wherein the steam supply device; 세탁수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와,A tank for storing wash water, 상기 탱크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A heater for heat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ank;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세탁수를 드럼 또는 의류 수용부로 각각 안내하는 주 호스 및 보조 호스와,A main hose and an auxiliary hose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heated by the heater to a drum or a clothing container, respectively; 상기 주 호스와 보조 호스 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세탁수를 스팀 형태로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And a steam injection hole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main hose and the auxiliary hose, respectively, to spray the heated washing water in the form of stea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세탁부는 주 세탁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체적과 높이가 상기 주 세탁부보다 각각 작고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complex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laundry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laundry unit, and its volume and height are smaller and lower than those of the main laundry unit, respectively. 제 1 항, 제 3 항,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9, 상기 통신부는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communication unit is a complex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nitor device comprises: 사용자가 주 세탁부의 동작 및 모니터링을 제어하고자 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 1 조작부와,A first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command by the user to control operation and monitoring of the main laundry unit; 사용자가 보조 세탁부의 동작 및 모니터링을 제어하고자 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 2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And a second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command by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and monitoring of the auxiliary washing mach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부는;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output unit; 주 세탁부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표시부와,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laundry unit; 보조 세탁부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KR1020060085187A 2006-09-05 2006-09-05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3145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187A KR101314599B1 (en) 2006-09-05 2006-09-05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DE102007041875A DE102007041875A1 (en) 2006-09-05 2007-09-04 Laundry treatment machine combination
CNA2007101497280A CN101139791A (en) 2006-09-05 2007-09-05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US11/896,773 US20080053163A1 (en) 2006-09-05 2007-09-05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187A KR101314599B1 (en) 2006-09-05 2006-09-05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938A KR20080021938A (en) 2008-03-10
KR101314599B1 true KR101314599B1 (en) 2013-10-04

Family

ID=3914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187A KR101314599B1 (en) 2006-09-05 2006-09-05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53163A1 (en)
KR (1) KR101314599B1 (en)
CN (1) CN101139791A (en)
DE (1) DE10200704187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350A1 (en) * 2017-03-17 2018-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0792A1 (en) * 2005-01-25 2006-08-03 Lg Electronics Inc.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US7913419B2 (en) * 2005-12-30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Non-tumble clothes dryer
KR101435810B1 (en) * 2007-11-16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55995B1 (en) 2008-04-02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uxiliary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mplex tre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608760B1 (en) 2008-04-30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ES2374767T3 (en) * 2008-04-30 2012-02-2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TE533881T1 (en) * 2008-04-30 2011-12-1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20090115015A (en) * 2008-04-30 200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 treating apparatus
US8955232B2 (en) * 2008-06-27 2015-02-17 Cube Investments Limited Laundry dryer/venting system interlock
EP2196573B1 (en) * 2008-12-12 2013-04-2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usehold appliance with surface for steam treating laundry
KR101542389B1 (en) 2009-02-05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 Heat Pump Module and A Drying Machine having the heat pump module
US8490438B2 (en) 2009-02-05 2013-07-2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device
CN102292490B (en) 2009-02-23 2013-09-25 Lg电子株式会社 Washing machine
KR101603106B1 (en) 2009-03-03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101563487B1 (en) * 2009-05-11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controlling home appliance
US9109317B2 (en) 2009-08-21 2015-08-18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led moisture removal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JP6089202B2 (en) * 2012-09-20 2017-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ehumidifier
DE102014203071B4 (en) 2013-02-28 2018-11-2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device
US9765469B2 (en) 2013-07-10 2017-09-1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remotely controlled airfl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70002891A (en)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70002888A (en)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6480659B (en) * 2015-08-26 2020-05-0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35209A (en) * 2016-05-30 2017-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040187A1 (en) * 2016-08-31 2018-03-0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Laundry treating device
KR102431501B1 (en) * 2017-03-17 2022-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102469104B1 (en) * 2017-09-27 2022-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Dryer
CN109797530B (en) * 2017-11-17 2022-08-09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Drying structure and clothes dryer adopting same
KR102494999B1 (en) * 2018-01-23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10924051A (en) * 2018-09-19 2020-03-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Pulsator washing machine and steriliz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03632A (en) * 2022-07-01 202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es car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5970A (en)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Stand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apparatus
KR20060031088A (en) *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larm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5701A (en) * 1969-05-15 1971-01-19 Philco Ford Corp Laundry apparatus
US7005618B2 (en) * 2003-06-27 2006-02-28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dryer apparatus and method
US20050140506A1 (en) * 2003-12-26 2005-06-30 Oh Min J.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placed within certain distance
KR100672502B1 (en) * 2004-12-0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washing device
JP2006202435A (en) 2005-01-21 2006-08-03 Fujitsu Ten Ltd Disk chang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5970A (en)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Stand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apparatus
KR20060031088A (en) *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larm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350A1 (en) * 2017-03-17 2018-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80106036A (en) * 2017-03-17 201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treating laund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73022B1 (en) * 2017-03-17 2022-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treating laund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41875A1 (en) 2008-07-24
US20080053163A1 (en) 2008-03-06
CN101139791A (en) 2008-03-12
KR20080021938A (en) 200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599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US9745682B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EP1895039B1 (en) Auxiliary dryer and complex laundry machine including the same
EP2118358B1 (en)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8438755B2 (en) Laundry machine
US7814770B2 (en) Multi-functional laundr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EP1895041B1 (en) Pedestal dryer for laundry machine and combined laundry machine
EP2064383B1 (en) Multiple laundry machine
AU2007277599C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282568A1 (en) Dryer
KR20110099917A (en) Laundry machine
KR20100023316A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treating clothing
KR20080060706A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774213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100023318A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treating clothing
KR100774212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774211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873129B1 (en) laundry device
CN214193805U (en) Washing machine
KR100767696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180102791A (en)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