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350B1 - Method of language learning using textbook had code information for interlocking mobile - Google Patents

Method of language learning using textbook had code information for interlocking 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350B1
KR101312350B1 KR1020120068770A KR20120068770A KR101312350B1 KR 101312350 B1 KR101312350 B1 KR 101312350B1 KR 1020120068770 A KR1020120068770 A KR 1020120068770A KR 20120068770 A KR20120068770 A KR 20120068770A KR 101312350 B1 KR101312350 B1 KR 101312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text
learning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남재
Original Assignee
(주)오투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투라인 filed Critical (주)오투라인
Priority to KR102012006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3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3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learning tool including terminal link code information is provided to improve the learning convenience of a learner by learning a learning material by using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without software or an extra learning device. CONSTITUTION: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a content display unit and a terminal link code unit are prepared (S1). A terminal recognizes co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erminal link code unit to access a learning management server (S2).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repetitively outputs digital information through the terminal more than one or two times (S3). The terminal receives a text or a voice of sentences, words, phrases, and spellings corresponding to blanks in the whole paragraph or the whole sentence (S4).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confirms information about the text or the voice and analyzes mismatch information (S5,S6). [Reference numerals] (S1) Learning material preparing step; (S2) Code recognizing step; (S3) Digital information output step; (S4) Text/voice input step; (S5) Confirming step; (S6) Pattern analyzing step; (S61) Similar text/explanation content providing step; (S62) Nonconforming text bundling process providing step

Description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Method of language learning using textbook had code information for interlocking mobile}Method of language learning using textbook had code information for interlocking mobile}

본 발명은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드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단락이나 문장에 대한 콘텐츠의 음성정보나 혹은 일부 텍스트가 블랭크(blank) 처리된 콘텐츠의 음성정보에 대한 디지털정보에 접근하여 음성정보를 청취한 후 해당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는 블랭크(blank)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단어나 어휘 등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특히 외국어의 듣기 능력과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learning textbook provided with code information for terminal connection. More specifically, the voice information or partial text of content for a whole paragraph or sentence is blank using code information. By accessing digital information on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processed content and listening to the voice information, the user can efficiently learn a word or vocabulary by inputting a text or a voice corresponding to a blank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learning textbook equipped with terminal code information for improving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of a foreign language.

일반적으로, 외국어는 교과 특성상 독학 또는 학원 강의 등을 통하여 학습되고 있다. 특히, 영어 등과 같은 외국어는 독학을 통한 학습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주로 학원 강의 등을 통한 학습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현지 연수를 통한 학습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다.In general, foreign languages are being taught through self-taught or institute lectures. In particular, since foreign language such as English is not easy to learn through self-study, learning mainly through institute lectures is mainstream, and learning through local training is also being actively conducted.

최근에는 정보 매체의 발달로 인하여 카세트 테이프(cassette tape) 또는 비디오테이프를 통한 학습을 병행하고 있다. 또한 전화를 통한 어학 강의, 방송 매체를 통한 어학 강의의 제공뿐만 아니라 인터넷 등과 같은 전송망의 발달로 인하여 현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강의 등을 통한 학습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medium, learning through a cassette tape or a video tape is being performed in parallel. In addition, as well as providing language lectures through telephone and language lectures through broadcasting media, learning through lectures provided locally is being progressed active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mission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특히, 외국어는 듣기 훈련을 통해 외국어를 반복해서 듣고 받아쓰는 받아쓰기(dictation) 훈련을 많이 한다. 이러한 받아쓰기는 외국 뉴스나 음악,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며, 보통 일정 구간을 반복하여 청취하면서 받아쓰기 훈련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받아쓰기 훈련시 학습자가 카세트나 MP3 재생기 또는 컴퓨터를 통해 받아쓰기대상 음성파일을 재생하여 받아쓰기 작업을 하는 경우 개인별 어학 능력에 따라 음성재생 반복구간의 반복 횟수가 달라지게 되며, 개인별로 어느 부분이 부족한지 쉽게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foreign language is a lot of dictation training to hear and dictate the foreign language repeatedly through listening training. Such dictation targets content in various fields, such as foreign news, music, and movies. Usually, dictation training is performed while listening to a certain section repeatedly. During the dictation training, if the learner plays the dictation by playing the voice file for the dictation through a cassette, an MP3 player, or a computer,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voice repetition section varies according to the language ability of each pers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s not easily understood.

또한, 종래에는 카세트나 PC, MP3 재생기 등 여러 외국어 학습장치 혹은 소프트웨어 등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특히 의도적으로 상기 장치나 소프트웨어 등을 휴대하지 않으면 학습을 할 수 없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various foreign language learning apparatuses or software such as a cassette, a PC, and an MP3 player must be separately provided,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inconvenience that learning cannot be performed without intentionally carrying the apparatus or softwa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학습을 요하는 전체 텍스트 혹은 일부 텍스트가 블랭크(blank) 처리된 콘텐츠 표시부와 콘텐츠 표시부의 음성정보에 대한 디지털정보로 접근가능한 코드정보를 구비하는 학습교재가 준비되고, 단말기로 코드정보를 인식하여 디지털정보의 음성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출력한 후 전체 텍스트 혹은 블랭크(blank)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음성을 입력하여 정답이거나 오답 또는 디지털정보에 적절히 응답하는지에 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자주 틀리는 유형의 패턴분석을 통해 문항별 해설콘텐츠를 제공하는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de that can be accessed as digital information for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content display unit and the content display unit (blank) the entire text or part of the text requiring learning (blank) A learning textbook with information is prepared, the code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erminal,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digital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terminal, and the correct or incorrect answer is input by inputting a text corresponding to the entire text or a blank or a voi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learning materials equipped with terminal information and code information for linking terminals that provide commentary content for each item through frequently analyzed pattern analysis. It is don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100)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기재지(11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면서 전체 텍스트를 블랭크(blank) 처리하거나 혹은 일부 텍스트를 블랭크(blank) 처리하고 나머지 텍스트를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부(120)와, 상기 콘텐츠 표시부(30)에 인접하는 위치이거나 동일한 콘텐츠 기재지(110) 내에 형성되면서 단말기(200)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콘텐츠 표시부(120)의 음성정보에 대한 디지털정보(I)가 저장된 네트워크상의 위치로 접근할 수 있는 상기 코드정보를 형성하는 단말기연계 코드부(130)를 구비하는 학습교재가 준비되는 단계(S1);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코드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디지털정보(I)가 저장된 네트워크상의 위치인 학습관리서버(300)로 접근하는 코드 인식단계(S2); 상기 학습관리서버(300)가 상기 디지털정보(I)를 상기 단말기(2)를 통해 1회 또는 2회 이상 반복 출력하는 디지털정보 출력단계(S3); 상기 디지털정보(I)가 출력되는 동안 또는 출력된 후,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블랭크(blank)에 대응하는 텍스트 또는 음성을 입력받는 텍스트 혹은 음성 입력단계(S4); 및 상기 학습관리서버(300)는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텍스트 혹은 음성에 대한 정보(I1)를 인가받아,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의 상기 디지털정보(I)에 대응하는지 확인하여, 대응 여부에 대한 정보(I2)를 상기 단말기(200)로 인가하는 확인단계(S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the learning material 100 provided with the code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connection, while being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content sheet 110 In the content display unit 120 blanking the entire text or blanking some text and displaying the remaining text, and in the content description sheet 110 adjacent to or identical to the content display unit 30. The terminal connection code unit 130 is formed to be recognized through the terminal 200 to form the code information for accessing a location on the network where digital information I for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content display unit 120 is stored. A step of preparing a learning teaching material is provided (S1); A code recognition step (S2) in which the terminal 200 recognizes the code information and approaches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which is a location on the network where the digital information I is stored; A digital information output step (S3) of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repeatedly outputting the digital information (I) once or twice or more through the terminal (2); During or after the digital information (I) is output, the terminal 200 receives a text or voice input step (S4) for receiving a text or voice corresponding to the blank; And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information I1 about the input text or voice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 and checks whether the text corresponds to the digital information I of the blanked tex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confirmation step (S5) for applying the information (I2) on the correspondence to the terminal 200.

또한, 상기 학습관리서버(300)는 상기 입력 텍스트 혹은 음성이 상기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에 대응하지 않는 불일치 패턴을 연음, 어휘 또는 문법사항 중 하나 이상의 정보로 분석하는 패턴 분석단계(S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analyzes the inconsistency pattern that the input text or voice does not correspond to the blanked text into one or more information of a consonant, vocabulary, or grammar. Pattern analysis step (S6);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학습관리서버(300)는 상기 불일치 패턴에 대한 유사 정보를 포함하는 유사 텍스트 또는 상기 불일치 패턴의 정보에 대한 이론을 포함하는 해설 콘텐츠를 형성하여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단계(S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forms the commentary content including the similarity text including the similar information on the disagreement pattern or the theory of the information of the disagreement pattern to provide the terminal 200 to the terminal (S61)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학습관리서버(300)는 상기 입력 텍스트 혹은 음성이 불일치되는 상기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를 적어도 2 이상 묶음 처리하여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단계(S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is a step (S62) of processing the at least two or more blank (blank) processed text that the input text or voice is inconsistent and provide to the terminal 200 (S62); Can b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은 별도의 학습장치 혹은 소프트웨어 등을 구비할 필요 없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어 학습자의 학습편의성이 제고될 수 있다. The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the teaching material provided with the code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linka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learned using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hat is always carri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learning device or software, etc. Learner's learning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외국어 등의 발음이나 억양이 어려운 단어나 어휘, 연음 등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특히 외국어의 듣기 능력이나 말하기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어학학습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learn words, vocabulary, and consonants that are difficult to pronounce or accent in foreign language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of foreign languages. .

더불어, 본 발명은 학습 결과를 통해 개인별로 어느 부분이 부족한지 여부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추가적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여 동일유형의 콘텐츠를 반복하여 학습하게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ouble the learning effect by analyzing the pattern of which part is lacking for each individual through the learning result to provide additional customized content to repeatedly learn the same type of content.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가 사용되는 교육정보제공 시스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의 절차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du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learning textbook having code information for terminal lin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a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learning textbook provided with code information for terminal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learning textbook provided with code information for terminal connec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any way, and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may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교재를 사용한 교육정보제공 시스템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a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learning textbook equipped with terminal code information for lin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du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learning text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가 사용되는 교육정보제공 시스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du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learning textbook having code information for terminal lin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교육정보제공 시스템은, 코드발행서버(500), 학습관리서버(300), 단말기(2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코드발행서버(500), 학습관리서버(300) 및 단말기(200)는 네트워크로서의 인터넷을 매개로 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로서는 인터넷에 한정되지 않아 전용회선 등이어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 1, the education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cludes a code issuing server 500, a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and a terminal 200. The code issuing server 500,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terminal 2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Internet as a network. Here, the network is not limited to the Internet, and may be a dedicated line or the like.

코드발행서버(500)는 학습교재 발행자가 운영하는 학습관리서버(300)의 의뢰에 따라 코드정보로서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코드 또는 비트맵 이미지 등을 발행할 수 있다. 코드발행서버(500)는 발행된 2차원 코드 또는 비트맵 이미지의 관리를 행하는 동시에, 단말기(200) 에 탑재되어 2차원 코드 또는 비트맵 이미지를 디코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de issuing server 500 may issue a two-dimensional code or a bitmap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ode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operated by a learning material issuer. The code issuing server 500 may manage the issued two-dimensional code or bitmap image, and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200 to provide an application for decoding the two-dimensional code or bitmap image.

학습관리서버(300)는 코드발행서버(500)에 의해 발행된 2차원 코드 또는 비트맵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단말기(200)를 통한 2차원 코드 또는 비트맵 이미지를 사용한 액세스에 따라 각종 디지털정보(I)를 단말기(200)에 제공한다.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manages the information on the two-dimensional code or bitmap image issued by the code issuing server 500, and according to the access using the two-dimensional code or bitmap image through the terminal 200 The digital information I is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발행된 2차원 코드 또는 비트맵 이미지는 본 발명의 학습교재(100)의 콘텐츠 기재지(110)에 단말기연계 코드부(130)로 인쇄되어 배포된다. 학습교재(100)에 2차원 코드 또는 비트맵 이미지를 인쇄해 놓음으로써, 학습자는 단말기(200)를 통해 학습관리서버(300)가 운영하는 교육 사이트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The issued two-dimensional code or bitmap image is printed and distributed on the content base sheet 110 of the teaching materi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terminal connection code unit 130. By printing a two-dimensional code or a bitmap image on the teaching material 100, the learner can access the training site operated by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terminal 200.

즉, 2차원 코드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2차원 코드에 부수하는 콘텐츠의 식별표식을 아이콘화한 비트맵정보를 더 포함하고, 비트맵정보에 따라, 단말기(200)를 통한 2차원 코드가 인식될 때 또는 인식 후, 단말기(2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동작이 바뀌거나, 콘텐츠에 관한 디지털정보(I)에 접근할 수 있다. That is,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bitmap information that is located adjacent to the two-dimensional code and iconizes an identification mark of the content accompanying the two-dimensional code, and the two-dimensional code through the terminal 200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bitmap information. When or after recognition, the operation of an application mounted on the terminal 200 may be changed, or digital information I about content may be accessed.

단말기(200)는 촬상소자인 CCD를 탑재한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어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코드 또는 비트맵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terminal 200 has a built-in camera equipped with a CCD as an imaging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200 can capture a two-dimensional code or a bitmap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단말기(200)는 CCD독취부, 디코드부, 브라우저폰 기능부, 제어부, 이미지 리더부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erminal 200 preferably includes a CCD reader, a decoder, a browser phone function, a controller, an image reader, and the like.

CCD 독취부는 CCD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정보를 독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상정보로서는, 촬상소자로 촬영 가능하다면 정지화상이나 동화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학습교재(100)에 인쇄되어 있는 2차원 코드의 일 예인 QR코드를 추출하여 독취할 수 있다. The CCD reading unit may read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CD camera. Here, as the image information, either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picked up by the image pickup device. That is, the QR code, which is an example of the two-dimensional code printed on the textboo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tracted and read.

디코드부는 CCD독취부에 의해 독취된 2차원 코드 또는 비트맵 이미지를 디코드(decode)할 수 있다.The decoder may decode a two-dimensional code or a bitmap image read by the CCD reader.

2차원 코드 또는 비트맵 이미지를 디코드할 때는 해독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코드발행서버(500)로 액세스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200)에 격납된다. Decoding software applications are used to decode two-dimensional code or bitmap images. This application can be downloaded by accessing the code issuing server 500. The downloaded application is stored in the terminal 200.

상술한 바와 달리, 디코드해야 할 2차원 코드 또는 비트맵 이미지를 예를 들면 코드발행서버(500)로 송신하여 코드발행서버(500)에서 디코드한 2차원 코드 또는 비트맵 이미지의 정보를 수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단말기(200)에는 디코드부가 불필요하게 된다.Unlike the above, the two-dimensional code or bitmap image to be decoded is transmitted to, for example, the code issuing server 500 so that the code issuing server 5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decoded two-dimensional code or bitmap image. It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the decode unit is unnecessary in the terminal 200.

브라우저폰 기능부는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디코드부에 의해 디코드된 웹어드레스를 근거로 웹 페이지로의 액세스를 행하는 동시에 액세스처로부터 상세정보를 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브라우저폰 기능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The browser phone function unit performs access to a web page based on the web address decoded by the decode unit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program, and display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200 from the access destination. In addition, the browser phone function unit is configured to download the application.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CCD 카메라를 사용한 촬영기능이 있는 단말기(200)에 의해 2차원 코드 또는 비트맵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예에 한정하지 않고,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이 무선으로 코드정보를 해독하는 기능을 단말기(200)에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단말기(200)에 CCD카메라의 탑재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case where a two-dimensional code or a bitmap image is taken by the terminal 200 having a shooting function using a CCD camera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terminal 200 with a function of decoding code information. In this case, mounting of the CCD camera on the terminal 200 may not be necessary.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의 절차 흐름도이다.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a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learning textbook with termi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erminal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earning textbook with the termi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low chart of the language learning method.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will be described a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learning material equipped with code information for terminal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기재지(11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면서 전체 텍스트를 블랭크(blank) 처리하거나 혹은 일부 텍스트를 블랭크(blank) 처리하고 나머지 텍스트를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부(120)와, 상기 콘텐츠 표시부(30)에 인접하는 위치이거나 동일한 콘텐츠 기재지(110) 내에 형성되면서 단말기(200)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콘텐츠 표시부(120)의 음성정보에 대한 디지털정보(I)가 저장된 네트워크상의 위치로 접근할 수 있는 상기 코드정보를 형성하는 단말기연계 코드부(130)를 구비하는 학습교재가 준비되는 단계(S1);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코드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디지털정보(I)가 저장된 네트워크상의 위치인 학습관리서버(300)로 접근하는 코드 인식단계(S2); 상기 학습관리서버(300)가 상기 디지털정보(I)를 상기 단말기(2)를 통해 1회 또는 2회 이상 반복 출력하는 디지털정보 출력단계(S3); 상기 디지털정보(I)가 출력되는 동안 또는 출력된 후,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블랭크(blank)에 대응하는 텍스트 또는 음성을 입력받는 텍스트 혹은 음성 입력단계(S4); 및 상기 학습관리서버(300)는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텍스트 혹은 음성에 대한 정보(I1)를 인가받아,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의 상기 디지털정보(I)에 대응하는지 확인하여, 대응 여부에 대한 정보(I2)를 상기 단말기(200)로 인가하는 확인단계(S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t least one content sheet 110 to blank entire text or blank some text. The content display unit 120 to display the remaining text and the content display unit 120, the content display unit 120 is formed at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content display unit 30 or in the same content base sheet 110, and is recognized by the terminal 200. Preparing a learning text having a terminal-associated code part 130 for forming the code information for accessing a location on a network where digital information I for voice information is stored (S1); A code recognition step (S2) in which the terminal 200 recognizes the code information and approaches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which is a location on the network where the digital information I is stored; A digital information output step (S3) of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repeatedly outputting the digital information (I) once or twice or more through the terminal (2); During or after the digital information (I) is output, the terminal 200 receives a text or voice input step (S4) for receiving a text or voice corresponding to the blank; And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information I1 about the input text or voice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 and checks whether the text corresponds to the digital information I of the blanked tex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confirmation step (S5) for applying the information (I2) on the correspondence to the terminal 20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학습장치 혹은 소프트웨어 등을 구비할 필요 없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어 학습자의 학습편의성이 제고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learned using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hat is always carried without having to provide a separate learning device or software, etc. can improve the learning convenience of the learn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교재는 콘텐츠 기재지(110)의 상단, 중단, 하단 또는 좌단이나 우단 등 일정 위치에 형성되면서 전체단락 혹은 전체 문장(full sentence) 혹은 전체문장 중 일부 단어, 어구 또는 문구, 일부 철자(spelling), 일부 문장이 블랭크(blank), 즉 공란이나 빈칸 처리되고 나머지 텍스트가 표시되는 콘텐츠 표시부(120)와, 콘텐츠 표시부(120)의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거나 동일한 콘텐츠 기재지(110) 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코드정보를 형성하는 단말기연계 코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랭크(blank)는 적어도 1 이상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learn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uch as the top, middle, bottom or left or right end of the content sheet 110, the entire paragraph or full sentence (full sentence) or all Some words, phrases or phrases in the sentence, some spelling, some sentences are blank, i.e., the content display unit 120 in which blanks or blanks are processed and the rest of the text is displayed, and adjacent positions of the content display unit 120. It may include a terminal-associated code unit 130 formed in or in the same content base 110 to form the code information. At least one blank may be included.

단말기연계 코드부(130)는 각각의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의 인접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개별 문제 표시 옆에 형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 connection code unit 130 may be formed at adjacent positions of the respective blanked texts. Thus it can be formed next to each individual problem indication.

또한, 단말기연계 코드부(130)는 학습교재의 해당 페이지별 즉, 콘텐츠 기재지(110) 별로 특정 위치(예: 우측 상단이나 하단 등)에 하나가 형성되면서 해당 페이지의 모든 문제와 관련된 디지털 정보에 단말기(200)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connection code unit 130 is formed at a specific position (eg, the upper right or lower right) for each page of the learning material, that is, the content sheet 110, digital information related to all problems of the page. It may be formed to be accessible through the terminal 200.

단말기연계 코드부(130)에 형성된 상기 코드정보는 단말기(200)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콘텐츠 표시부(120)에 기재되는 전체 단락 혹은 전체 문장(full sentence)의 음성정보에 대한 디지털정보(I)가 저장된 학습관리서버로(300)로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The code information formed in the terminal connection code unit 130 is recognized through the terminal 200, so that digital information (I) of voice information of the entire paragraph or the full sentence described in the content display unit 120 is stored. Allows access to the stored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코드 인식부(210)가 상기 코드정보를 인식하여 학습관리서버(300)로 접근함으로써 코드 인식단계(S2)를 수행한다. The code recognition unit 210 provided in the terminal 200 recognizes the code information and approaches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to perform a code recognition step (S2).

학습관리서버(300)의 디지털정보 출력모듈(310)은 디지털정보(I)를 단말기(200)의 음성 출력부(220)를 통해 1회 또는 2회 이상 반복출력할 수 있다. The digital information output module 310 of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may repeatedly output the digital information I one or more times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220 of the terminal 200.

즉, 단말기(200)의 코드 인식부(210)를 통해 상기 코드정보를 스캔하면, 학습관리서버(300)의 디지털정보(I)로부터 콘텐츠 표시부(120)에 표시된 전체 문장(full sentence)의 음성정보 또는 음원을 단말기(200)의 음성 출력부(220)에서 출력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de information is scanned through the code recognition unit 210 of the terminal 200, the full sentence voice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unit 120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I of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Information or sound source may be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unit 220 of the terminal 200.

따라서 학습자는 단말기(200)의 음성 출력부(220)를 통하여 전체 단락 혹은 전체 문장(full sentence)을 읽어 주는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교재(100)에는 블랭크(blank)가 있지만, 단말기(200)가 코드정보를 스캔하면 블랭크(blank) 부분의 단어나 문구 등도 들을 수 있다.Therefore, the learner may listen to the voice reading the entire paragraph or the full sentence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220 of the terminal 200. In other words, there is a blank in the learning material 100, but when the terminal 200 scans the code information, the words or phrases of the blank may be heard.

따라서 학습관리서버(300)의 디지털정보 출력모듈(310)과 단말기(200)의 음성 출력부(220)가 동원되어 디지털정보 출력단계(S3)를 수행한다.Therefore, the digital information output module 310 of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voice output unit 220 of the terminal 200 are mobilized to perform the digital information output step S3.

음성 출력부(220)를 통해 디지털정보(I)가 출력되는 동안 또는 디지털정보(I)가 출력 완료된 후,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텍스트 입력부(230) 또는 음성 입력부(232)는 블랭크(blank)에 대응하는 텍스트 또는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블랭크(blank)에 대응하는 텍스트나 음성은 단어나 문구, 일부 문장, 일부 철자(spelling) 등일 수 있으며, 특히 일부 철자(spelling)의 경우 알파벳은 영어에 국한될 수 있다.While the digital information I is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220 or after the digital information I is output, the text input unit 230 or the voice input unit 232 provided in the terminal 200 is blank. Text or voice corresponding to) may be input. The text or voice corresponding to the blank may be a word or phrase, some sentences, some spelling, or the like. In particular, in some spelling, the alphabet may be limited to English.

따라서 단말기(200)의 텍스트 입력부(230) 혹은 음성 입력부(232)를 통해 텍스트 또는 음성 입력단계(S4)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음원을 듣고 학습교재(100)의 블랭크(blank)에 해당하는 적합한 단어나 문장 등을 단말기(200)에 입력할 수 있다. Therefore, the text or voice input step S4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text input unit 230 or the voice input unit 232 of the terminal 200. Listening to the sound source through the above process can be input to the terminal 200, a suitable word or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blank (blank) of the learning material (100).

텍스트 입력부(230)에서 입력받은 입력 텍스트 정보(I1-1) 혹은 음성 입력 정보(I1-2)는 학습관리서버(300) 내에 구비된 확인모듈(320)의 입력정보 수신부(321)로 수신될 수 있다.The input text information I1-1 or voice input information I1-2 received from the text input unit 230 may be received by the input information receiver 321 of the confirmation module 320 provid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Can be.

입력 텍스트 정보(I1-1) 혹은 음성 입력 정보(I1-2)는 확인모듈(320) 내의 대응여부 확인부(322)에서 콘텐츠 표시부(120)의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의 디지털정보(I)에 대응하는지 확인하여, 대응 여부에 대한 정보(I2)를 확인모듈(320) 내의 대응정보 발송부(323)에서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로 발송한다. The input text information I1-1 or the voice input information I1-2 is digital information I of the blanked text of the content display unit 120 in the correspondence checker 322 in the confirmation module 320. ), And transmits information I2 on whether or not the response corresponds to the display unit 240 of the terminal 200 from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sending unit 323 in the identification module 320.

즉, 대응여부 확인부(322)는 입력 텍스트 정보(I1-1) 혹은 음성 입력 정보(I1-2)가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의 디지털정보(I)에 일치하는지 즉, 정답인지 오답인지 혹은 얼마만큼 적절한지 즉, 정답에 어느 정도의 근사치에 가까운지 여부를 체크한다.That is, the correspondence confirming unit 322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text information I1-1 or the voice input information I1-2 correspond to the digital information I of the blanked text, that is,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or incorrect. Or how appropriate is it, ie, how close to the correct answer it is.

디스플레이부(240)는 정답에의 일치 여부와 관련된 대응 여부에 대한 정보(I2)를 단말기(200)에 화면 현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information (I2) on the terminal 200 on whether the correspondence is related to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or not, so that the learner can check the learning result.

상기와 같은 구성과 과정을 통해 확인단계(S5)가 수행될 수 있다. Confirmation step (S5)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nfiguration and process as described abov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학습관리서버(300)는 상기 입력 텍스트 혹은 음성이 상기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에 대응하지 않는 불일치 패턴을 연음, 어휘 또는 문법사항 중 하나 이상의 정보로 분석하는 패턴 분석단계(S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3,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consistency pattern in which the input text or voice does not correspond to the blanked text, among the phonetic, vocabulary, or grammar details. Pattern analysis step (S6) for analyzing with one or more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학습관리서버(300) 내에 구비된 패턴 분석 모듈(330)이 패턴 분석단계(S6)를 수행한다. 패턴 분석 모듈(330)은 상기 입력 텍스트가 상기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에 대응하지 않는 불일치 패턴을 연음, 어휘 또는 문법사항 중 하나 이상의 정보로 분석할 수 있다. The pattern analysis module 330 provid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performs a pattern analysis step S6. The pattern analysis module 330 may analyze a mismatch pattern in which the input text does not correspond to the blanked text, us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such as a consonant, a vocabulary, or a grammar.

콘텐츠 표시부(120)에 표시된 '블랭크(blank) 포함한 문제'는 그 문제 자체의 속성으로서 연음, 어휘 또는 문법사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형으로 미리 분류되어 설정될 수 있다. The "blank" problem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unit 120 may be pre-categorized and set as at least one type of consonant, vocabulary, or grammar as an attribute of the problem itself.

즉, 단말기(200)로부터 블랭크(blank)에 정답이 아닌 오답이 입력되어 틀리면, 패턴 분석 모듈(330)은 상기 틀린 문제에 설정되어 있는 미리 분류된 속성을 분석한다. In other words, if an incorrect answer is inputted from the terminal 200 into a blank and is incorrect, the pattern analysis module 330 analyzes a pre-classified attribute set in the wrong problem.

따라서, 패턴 분석 모듈(330)은 학습자가 다수의 문제를 학습하여 여러 문제에 걸쳐 다수의 오답을 제시할 경우 틀린 횟수가 많은 문제들의 속성 패턴이 분석된다. Accordingly, the pattern analysis module 330 analyzes the attribute pattern of the wrong number of problems when the learner learns a plurality of problems and presents a plurality of incorrect answers over the various problems.

상기와 같은 분석을 통해 외국어 등의 발음이나 억양이 어려운 단어나 어휘, 연음 등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특히 외국어의 듣기 능력이나 말하기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어학학습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rough the above analysi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learn words, vocabulary, and consonants that are difficult to pronounce or accent in foreign languages, and especially improve the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of foreign languages,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efficiency of language learning. It has an effect.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학습관리서버(300)는 상기 불일치 패턴에 대한 유사 정보를 포함하는 유사 텍스트 또는 상기 불일치 패턴의 정보에 대한 이론을 포함하는 해설 콘텐츠를 형성하여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단계(S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commentary content including a similar text including the similar information on the inconsistency pattern or a theory about the information of the inconsistency pattern. Providing to the terminal 200 (S61); may further include.

학습관리서버(300) 내에 구비된 유사콘텐츠 제공모듈(340)이 유사 텍스트/해설 콘텐츠 제공단계(S61)를 수행한다.Similar content providing module 340 provid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performs a similar text / commentary content providing step (S61).

유사콘텐츠 제공모듈(340)에 구비되는 유사텍스트 독출부(341)는 학습관리서버(300) 내에 위치하거나 외부에 별도로 형성된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상기 불일치 패턴에 대한 유사 정보를 포함하는 유사 텍스트를 독출한다.The similar text reading unit 341 provided in the similar content providing module 340 reads similar text including similar information on the mismatch pattern in the database 400 locat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or separately formed outside. do.

데이터베이스(400)는 문제 유형상 연음, 어휘 또는 문법사항 중 하나 이상의 속성으로 분류되어 있는 학습교재(100)의 콘텐츠 표시부(120)에 기재된 블랭크(blank) 처리된 문제를 포함하여 다수의 문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블랭크(blank) 처리된 문제와 유사한 문제 콘텐츠 및 그와 관련된 해설이나 이론 등의 콘텐츠를 구비한다. The database 400 has a plurality of problems, including the blanked problems described in the content display unit 120 of the teaching material 100 classified into one or more attributes of the consonants, vocabulary, or grammatical matters. And a problem content similar to the blanked problem and a content such as commentary or theory related thereto.

예를 들어 불일치 패턴 분석결과 학습자가 연음과 관련된 속성의 문제를 다수 반복해서 틀릴 경우 상기 유사 텍스트는 연음과 관련된 유사 콘텐츠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earner mismatches the problem of the property related to the sound, repeatedly, as a result of the mismatch pattern analysis, the similar text may be similar content related to the sound.

또한, 유사콘텐츠 제공모듈(340)에 구비되는 해설 콘텐츠 독출부(342)는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상기 불일치 패턴의 정보에 대한 이론을 포함하는 해설 콘텐츠를 독출한다. In addition, the commentary content reading unit 342 included in the similar content providing module 340 reads the commentary content including the theory of the information of the mismatch pattern from the database 400.

상기 불일치 패턴의 정보에 대한 이론은 블랭크 포함한 문제와 관련하여 해설 콘텐츠 등의 부가학습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theory of the information of the mismatch pattern may be provided as additional learning such as commentary content in relation to the problem including the blank.

유사콘텐츠 제공모듈(340)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유사 텍스트 또는 해설 콘텐츠를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로 제공한다. The similar content providing module 340 provides the similar text or commentary content formed as described above to the display unit 240 of the terminal 200.

따라서, 본 발명의 학습시스템은 학습자가 자주 틀리는 연음이나 어휘 또는 문법사항에 대해서 분석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제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lear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sent customized content by analyzing learners' frequently-misundered words, vocabulary, or grammar.

따라서,본 발명은 학습 결과를 통해 개인별로 어느 부분이 부족한지 여부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추가적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여 동일유형의 콘텐츠를 반복하여 학습하게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double the learning effect by analyzing the pattern of which part is insufficient for each individual through the learning result and additionally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to repeatedly learn the same type of content.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학습관리서버(300)는 상기 입력 텍스트 혹은 음성이 불일치되는 상기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를 적어도 2 이상 묶음 처리하여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단계(S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ndles at least two blanked texts in which the input text or voice is inconsistent and the terminal 200. Providing step (S62); may further include.

학습관리서버(300) 내에 구비된 묶음처리 제공 모듈(350)이 불일치 텍스트 묶음처리 제공단계(S62)를 수행한다.Bundling processing providing module 350 provid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performs a mismatch text bundle processing providing step (S62).

묶음처리 제공 모듈(350)에 구비되는 불일치 텍스트 수집부(351)는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입력 텍스트가 불일치되는 상기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를 적어도 2 이상 수집한다. The disparity text collecting unit 351 included in the bundle providing module 350 collects at least two blanked texts in which the input text is inconsistent in the database 400.

이후, 묶음처리 제공 모듈(350)에 구비되는 패키지부(352)는 상기 수집된 블랭크(blank) 처리된 문제를 패키징(packaging)해 일종의 맞춤형 단어장을 제작한다. Then, the package unit 352 provided in the bundle providing module 350 packages the collected blanked problems to produce a kind of customized wordbook.

묶음처리 제공 모듈(350)은 상기와 같이 패키징(packaging)된 맞춤형 단어장을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40)로 제공한다. The bundle processing providing module 350 provides the customized wordbook packaged as described above to the display unit 240 of the terminal 200.

학습자는 단말기(200)와 무선 혹은 유선으로 연동된 프린터를 통해서, 맞춤형 단어장 혹은 부가학습을 위한 맞춤형 콘텐츠를 종이로 인쇄할 수 있다.The learner may print a customized wordbook or customized content for additional learning through paper through a printer linked with the terminal 200 by wireless or wir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학습교재 110 : 콘텐츠 기재지
120 : 콘텐츠 표시부 130 : 단말기연계 코드부
200 : 단말기 210 : 코드 인식부
220 : 음성 출력부 230 : 텍스트 입력부
232 : 음성 입력부 240 : 디스플레이부
300 : 학습관리서버 310 : 디지털 정보 출력 모듈
320 : 확인 모듈 321 : 입력 정보 수신부
322 : 대응 여부 화인부 323 : 대응 정보 발송부
330 : 패턴 분석 모듈 340 : 유사 콘텐츠 제공 모듈
341 : 유사 텍스트 독출부 342 : 해설 콘텐츠 독출부
350 : 묶음처리 제공 모듈 351 : 불일치 텍스트 수집부
352 : 패키지부 400 : 데이터베이스
500 : 코드발행서버
100: learning materials 110: content sheet
120: content display unit 130: terminal connection code unit
200: terminal 210: code recognition unit
220: audio output unit 230: text input unit
232: voice input unit 240: display unit
300: learning management server 310: digital information output module
320: check module 321: input information receiving unit
322: Response whether or not fine 323: Response information sending unit
330: pattern analysis module 340: module providing variations
341: Similar text reader 342: Commentary content reader
350: bundle processing module 351: inconsistent text collection unit
352: package 400: database
500: code issuing server

Claims (4)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100)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기재지(11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면서 전체 단락 또는 전체 문장(full sentence)의 전체 텍스트를 블랭크(blank) 처리하거나 혹은 상기 전체 문장(full sentence) 중 일부 단어, 일부 문구 또는 일부 철자(spelling)의 텍스트를 적어도 1 이상 블랭크(blank) 처리하고 나머지 텍스트를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부(120)와, 각각의 상기 콘텐츠 표시부(120) 별로 상기 전체 텍스트를 포함하여 각각의 상기 콘텐츠 표시부(120)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거나, 동일한 콘텐츠 기재지(110) 내의 모든 콘텐츠 표시부(120)의 상기 전체 텍스트를 포함하여 상기 동일한 콘텐츠 기재지(110) 내의 특정 위치에 형성되면서, 단말기(200)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콘텐츠 표시부(120)의 상기 전체 텍스트의 음성정보에 대한 디지털정보(I)가 저장된 네트워크상의 위치로 접근할 수 있는 상기 코드정보를 형성하는 단말기연계 코드부(130)를 구비하는 학습교재가 준비되어,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코드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디지털정보(I)가 저장된 네트워크상의 위치인 학습관리서버(300)로 접근하는 코드 인식단계(S2);
상기 학습관리서버(300)가 상기 디지털정보(I)를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1회 또는 2회 이상 반복 출력하는 디지털정보 출력단계(S3);
상기 디지털정보(I)가 출력되는 동안 또는 출력된 후,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블랭크(blank)에 대응하는 문장, 단어, 문구 또는 철자(spelling)의 텍스트 또는 음성을 입력받는 텍스트 혹은 음성 입력단계(S4);
상기 학습관리서버(300)가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텍스트 혹은 음성에 대한 정보(I1)를 인가받아,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의 상기 디지털정보(I)에 대응하는지 확인하여, 대응 여부에 대한 정보(I2)를 상기 단말기(200)로 인가하는 확인단계(S5); 및
상기 학습관리서버(300)가 상기 입력 텍스트 혹은 음성이 상기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에 대응하지 않는 불일치 패턴을 상기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의 미리 분류된 속성에 따라 연음, 어휘 또는 문법사항 중 하나 이상의 정보로 분석하는 패턴 분석단계(S6);를 포함하되,
상기 코드정보는 2차원 코드로 형성되거나, 상기 2차원 코드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2차원 코드에 부수하는 상기 콘텐츠의 식별표식을 아이콘화한 비트맵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200)를 통한 상기 2차원 코드가 인식될 때 또는 인식 후, 상기 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바뀌거나, 상기 전체텍스트의 음성정보에 대한 디지털정보(I)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패턴 분석단계(S6)는,
상기 학습관리서버(300)가 상기 학습관리서버(300) 내에 위치하거나 외부에 별도로 형성된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상기 불일치 패턴에 대한 유사 정보를 포함하는 유사 텍스트 또는 상기 불일치 패턴의 정보에 대한 이론을 포함하는 해설 콘텐츠를 형성하여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단계(S61); 및/또는
상기 학습관리서버(300)가 상기 입력 텍스트 혹은 음성이 불일치되는 상기 블랭크(blank) 처리된 텍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적어도 2 이상 수집해 묶음 처리(packaging)하여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단계(S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
In the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the learning material 100 provided with the code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connection,
Blank the entire text of the entire paragraph or the full sentence or form some words, some phrases, or the lik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content description sheet 110. A content display unit 120 for blanking at least one spelling text and displaying the remaining text, and each of the content display units including the entire text for each of the content display units 120; The terminal 20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120 or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same content sheet 110 including the entire text of all content display units 120 in the same content sheet 110. Recognized through, to a location on the network where the digital information (I) for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full text of the content display unit 120 is stored A learning textbook having a terminal connection code unit 130 for forming the accessible code information is prepared, and the terminal 200 recognizes the code information and is a location on the network where the digital information I is stored. Code recognition step (S2) to approach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A digital information output step (S3) in which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repeatedly outputs the digital information (I) once or twice or more through the terminal (200);
During or after the digital information I is outputted, a text or voice input through which the terminal 200 receives text or voice of a sentence, word, phrase, or spelling corresponding to the blank. Step S4;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the information (I1) for the input text or voice input from the terminal 200, checks whether the blank corresponds to the digital information (I) of the blanked text, Confirming step (S5) of applying the information (I2) on the correspondence to the terminal 200; And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that the input text or voice does not correspond to the blanked text according to a pre-classified attribute of the blanked text, based on a pre-classified attribute of the blanked text. Including; pattern analysis step (S6) of analyzing with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d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bitmap information that is formed of a two-dimensional code or is located adjacent to the two-dimensional code and iconizes an identification mark of the content accompanying the two-dimensional code, and in accordance with the bitmap information. When the two-dimensional code through the terminal 200 is recognized or after recognition,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mounted on the terminal 200 is changed, or the digital information I for accessing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entire text is acces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tern analysis step (S6),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theory of similar text or information of the inconsistency pattern including similar information about the inconsistency pattern from the database 400 locat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or separately formed externally. Forming commentary content to provide to the terminal 200 (S61); And / or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0 collects at least two or more blank processed texts from the database 400 and bundles the input texts or voices to provide the terminal 200 to the terminal 200. Step (S62);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learning textbook is provided with the code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conn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68770A 2012-06-26 2012-06-26 Method of language learning using textbook had code information for interlocking mobile KR1013123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770A KR101312350B1 (en) 2012-06-26 2012-06-26 Method of language learning using textbook had code information for interlocking 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770A KR101312350B1 (en) 2012-06-26 2012-06-26 Method of language learning using textbook had code information for interlocking 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350B1 true KR101312350B1 (en) 2013-09-27

Family

ID=4945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770A KR101312350B1 (en) 2012-06-26 2012-06-26 Method of language learning using textbook had code information for interlocking 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35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940A (en) * 2005-10-17 2007-04-20 김병호 Many languages studying system and operation process of including teaching material by paper
KR101001645B1 (en) * 2010-02-24 2010-12-17 (주)오투라인 Automatic mermoriaing method of a foreign language and a subject needing memorizing
KR20120026287A (en) * 2010-09-09 2012-03-19 (주)스마트쌤 System and method of incorrect answer management
KR20120027647A (en) * 2010-09-13 2012-03-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Learning contents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940A (en) * 2005-10-17 2007-04-20 김병호 Many languages studying system and operation process of including teaching material by paper
KR101001645B1 (en) * 2010-02-24 2010-12-17 (주)오투라인 Automatic mermoriaing method of a foreign language and a subject needing memorizing
KR20120026287A (en) * 2010-09-09 2012-03-19 (주)스마트쌤 System and method of incorrect answer management
KR20120027647A (en) * 2010-09-13 2012-03-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Learning contents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5693A (en) Digital media content extraction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ystem
CN102346731B (en) File processing method and file processing device
KR102043419B1 (en) Speech recognition based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child language learning
CN112053595B (en) Computer-implemented training system
CN109255130A (en) A kind of method, system and the equipment of language translation and stud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102959601A (en) System for conditioning a child to learn any language without an accent
KR101227131B1 (en) Interactive language education system
JP2014085998A (en) Electronic note creation support device and program for electronic note creation support device
CN117252259A (en) Deep learning-based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method and AI teaching aid system
TW201816636A (en) Digitized book content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adding digitized values to physical texts and providing teachers with effective digitized assistance in teaching
KR201400879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phonics by using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data and word and sentence and image data
KR101312350B1 (en) Method of language learning using textbook had code information for interlocking mobile
KR101911735B1 (en)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education serivce based on korean language
KR102282307B1 (en) System for learning English and method thereof
KR20160106363A (en) Smart lecture system and method
KR20110024880A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a sentence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KR102098377B1 (en)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service learning grammar using puzzle game
CN115273057A (en) Text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dictation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400759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nguage education by using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data and thought unit
KR201401070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word by using native speakerpronunciation data and image data
KR101011773B1 (en) An education management system by ability using education-content development and classification and a method thereof
KR20200062910A (en) Improved learning providing system for french pronunciation
CN1924996B (en) System and method of utilizing sound recognition to select sound content
KR102566696B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english study
WO2019087064A1 (e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