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613B1 -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body area network superframe - Google Patents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body area network super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613B1
KR101309613B1 KR1020100039964A KR20100039964A KR101309613B1 KR 101309613 B1 KR101309613 B1 KR 101309613B1 KR 1020100039964 A KR1020100039964 A KR 1020100039964A KR 20100039964 A KR20100039964 A KR 20100039964A KR 101309613 B1 KR101309613 B1 KR 101309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transmission
section
slot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9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0084A (en
Inventor
신창섭
정운철
주성순
채종석
이명종
윤준승
안강섭
Original Assignee
리서치 파운데이션 오브 더 시티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파운데이션 오브 더 시티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리서치 파운데이션 오브 더 시티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Priority to US12/773,64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00278156A1/en
Publication of KR2010012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0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6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고 구간, 경쟁 매체 접근 구간, 비컨 구간 및 데이터 전송 구간을 포함하는 수퍼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조정자 노드가 상기 광고 구간 동안 기 정해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 노드가 상기 경쟁 매체 접근 구간이 개시되고 기 설정된 백오프 시간이 지난 후 반송파 센싱을 거쳐 비어있는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각 노드가 상기 비컨 구간 동안 주기적인 비컨 신호를 브로트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노드가 상기 데이터 전송 구간 동안 연속 데이터 및 주기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network superframe around a human body, and in the method of transmitting data using a superframe including an advertisement section, a competition medium access section, a beacon section, and a data transmission section, Broadcas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during the advertisement section; Transmitting data only when a node wishing to transmit data is empty through carrier sensing after the contention medium access interval is started and a preset backoff time has passed; Each node broadcasting the periodic beacon signal during the beacon period; And transmitting, by each node, continuous data and periodic data during the data transmission interval.

Figure R1020100039964
Figure R1020100039964

Description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BODY AREA NETWORK SUPERFRAME}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uperframe around the human body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BODY AREA NETWORK SUPERFRAME}

본 발명은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 구간(Advertisement Period), 경쟁 매체 접근 구간(Contention Access Period; CAP), 비컨(Beacon), 데이터 전송 구간(Data Transmit Period; DTP) 및 비활성 구간(Inactive Period)을 포함하여 구성된 인체 주변 네트워크(Body Area Network; BAN) 수퍼 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품질의 데이터 전달을 보장하고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network superframe around a human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dvertisement period, a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a beacon, and a data transmission period (Data).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a Body Area Network (BAN) superframe including a Transmit Period (DTP) and an Inactive Period to ensure data transmission of various quality an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t's about technology.

본 발명은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F-052, 과제명: QoS 및 확장성지원(S-MoRe) 센서네트워크 고도화 기술개발 (표준화연계)].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from the research conducted as part of the IT sourc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Korea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Institute [assignment number: 2008-F-052, title: QoS and scalability support (S-MoRe) Technology development (standardization linkage)].

일반적으로 상용 무선 통신 기기들은 동일한 무선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게 되며, 이로 인한 간섭신호는 수신 신호 품질의 저하를 야기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주된 원인이 된다.In general, commerci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hare the sam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interference signal caused by this causes a degradation of the received signal quality, which is a major cause of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무선 간섭 신호는 동일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무선 기기에 의한 자가 간섭 신호(self-interfering signal)와 동일한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다른 종류의 무선 기기에서 기인되는 상호 간섭 신호(mutual interfering signal)로 구분된다.The radio interference signal is divided into a mutual interfering signal originating from another kind of radio device using the same radio frequency band as a self-interfering signal by a radio device performing the same kind of application. do.

자가 간섭 신호는 주로 신호의 직교성(orthogonality)을 이용하는 주파수 분할 방식, 시분할 방식, 코드 분할 방식 등의 매체 접근 방식(MAC)을 통해 해결한다. 상호 간섭 신호는 무선 기기간 동일한 매체 접근 방식(MAC)을 사용하여 무선 기기간 경쟁(contention)을 해결한다. The self-interfering signal is mainly solved through a medium approach (MAC) such as frequency division, time division, and code division using the orthogonality of the signal. Mutual interference signals resolve conten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using the same medium approach (MAC) between wireless devices.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MAC 방식은 반송파(carrier)를 센싱하여 충돌을 사전에 방지하는 방식인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인데, 이 방식에 의하면 전송 대역을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The most widely used MAC scheme in wireless networks is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 (CSMA / CD), which detects carriers and prevents collisions. According to this scheme, transmission bandwidth cannot be guaranteed. There are disadvantages.

또 다른 방식으로, 무선 전송 링크를 공유하는 기기들간 점유 시간 할당에 의한 제어 방식인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있는데, 이 방식은 할당 타임 슬롯까지 전송이 지연된다는 단점이 있다.As another method, there is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which is a control method of occupancy time allocation between devices sharing a wireless transmission link, whi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transmission is delayed until an allocation time slot.

한편, 인체 주변 네트워크(Body Area Network; BAN)의 통신은, 비상 경보인 긴급 바이탈(emergency vital sign), 시간 지연에 민감한 데이터인 EEG/ECG/EMG, 일상적인 의료 정보로서 지연보다는 데이터 전달 신뢰성이 중요한 체온, 혈압 등과 같은 정보, 및 비디오 및 오디오와 같은 스트림 데이터 등과 같이 트래픽의 우선순위와 버스트(burst), 주기(periodic), 연속성(continuous) 면에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수용하여야 한다는 요구사항이 있다.
On the other hand, communication of the body area network (BAN) is the emergency vital sign (emergency alert), EEG / ECG / EMG (data sensitive to time delay), and reliability of data transmission rather than delay as daily medical information. The requirement to accommodate various kinds of data in terms of priority, burst, period, and continuity of traffic, such as information such as important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and stream data such as video and audio. hav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고 구간, 경쟁 매체 접근 구간, 비컨, 데이터 전송 구간 및 비활성 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된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 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품질의 데이터 전달을 보장하고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using a super frame around the human body network including the advertising section, competition medium access section, beacon, data transmission section and inactive section. By providing a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network superframe around the human body to ensure the transmission of data of various quality an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은, 광고 구간, 경쟁 매체 접근 구간, 비컨 구간 및 데이터 전송 구간을 포함하는 수퍼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조정자 노드가 상기 광고 구간 동안 기 정해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 노드가 상기 경쟁 매체 접근 구간이 개시되고 기 설정된 백오프 시간이 지난 후 반송파 센싱을 거쳐 비어있는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각 노드가 상기 비컨 구간 동안 주기적인 비컨 신호를 브로트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노드가 상기 데이터 전송 구간 동안 연속 데이터 및 주기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human body network super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ata using a superframe including an advertising section, competition medium access section, beacon section and data transmission section 10. A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the method comprising: a coordinator node broadcas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during the advertisement section; Transmitting data only when a node wishing to transmit data is empty through carrier sensing after the contention medium access interval is started and a preset backoff time has passed; Each node broadcasting the periodic beacon signal during the beacon period; And transmitting, by each node, continuous data and periodic data during the data transmission interval.

본 발명에 의하면, 제한된 링크 자원을 공유하여 다양한 품질의 데이터 전달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드의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limited link resources can be shared, but also various kinds of data can be guaranteed, and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nodes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human body network super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 human body network super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은 인체 주변 네트워크(Body Area Network; BAN)에서 사용되는 수퍼프레임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 주변 네트워크라 함은 인체 내부 및 인체 주변 범위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tructure of a superframe used in a body area network (BAN) and a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wherein the human body surrounding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targets the inside of the human body and a range around the human body. Mean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BAN 수퍼프레임은 광고 구간(Advertisement Period)(10), 경쟁 매체 접근 구간 (Contention Access Period; CAP)(20), 비컨(Beacon)(30), 데이터 전송 구간 (Data Transmit Period; DTP)(40) 및 비활성 구간(Inactive Period)(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network around a human body super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BAN superframe includes an advertisement period (10), a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20, and a beacon. (Beacon) 30, a Data Transmit Period (DTP) 40, and an Inactive Period 50.

광고 구간(10)은, 인체 주변 네트워크 조정자(BAN Coordinator; BC)가 자신이 유지하는 동기화 정보, BC의 주소, CAP(20)의 길이, 광고 인터벌 (Advertisement Interval; A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broadcast)하는 구간이다. 이때, 광고 인터벌은 하나의 수퍼프레임의 광고 구간(10)으로부터 다음 수퍼프레임의 광고 구간(10')이 될 때까지의 간격을 의미한다. 인체 주변 네트워크에 새로 접속한 노드들은 광고 구간(10)동안 BC가 브로드캐스트한 정보를 이용하여 클록을 조정하고, BC와 BAN-SF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The advertisement section 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ynchronization information maintained by a human body network coordinator (BC), an address of BC, a length of the CAP 20, and an advertisement interval (AI). It is a section that broadcasts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advertisement interval means an interval from the advertisement section 10 of one superframe to the advertisement section 10 'of the next superframe. Nodes newly connected to the network around the human body adjust the clock by using the information broadcast by the BC during the advertisement period 10 and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BC and the BAN-SF.

종래의 일반적인 비컨 기반의 수퍼프레임은 '비컨/경쟁 매체 접근 구간/타임 슬롯'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모든 노드는 비컨 신호를 수신하여 동기 및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기준으로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인체통신이 적용될 수 있는 서비스에서는 새로운 장치가 네트워크에 빠르게 접속하면서 바로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비컨 신호를 듣고, 경쟁 매체 접근 구간에서 접속을 요구하고, 다음 비컨 신호를 들은 후에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어, 수퍼프레임의 길이만큼의 최소 지연시간이 생기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 구간(10)에서 정보를 획득한 후 경쟁 매체 접근 구간 (20)에서 바로 접속 요청 및 슬롯 할당을 요청하여 바로 이어지는 데이터 전송 구간(40)에서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광고 구간(10)을 수퍼프레임의 맨 앞에 위치시킨 것이다.Conventional beacon-based superframes have a structure of 'beacon / competition medium access section / time slot', and all nodes receive beacon signals to acquire synchronization and network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 and receive data based on the beacon signals. Was performed. However, in a service to which human body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a new device may quickly request data transmission while quickly accessing a network.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fter receiving the beacon signal, requesting the connection in the contention medium access interval, and after receiving the next beacon signal,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resulting in a minimum delay time as long as the superframe length. there was.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cquiring information in the advertisement section 10, a request for access and a slot allocation can be requested immediately in the content access section 20, and the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normally in the subsequent data transmission section 4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ertisement section 10 is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superframe in order to satisfy such requirements.

경쟁 매체 접근 구간(20)은, 인체 주변 네트워크에 속한 노드들 중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 노드들이 전송시 충돌을 피하기 위해 기 설정된 백오프(backoff) 시간을 기다린 후 반송파 에너지를 센싱하여 비어있는 경우 전송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운용되는 구간이다. The contention medium access section 20 senses carrier energy after waiting for a preset backoff time in order to avoid collision during transmission among nodes belonging to the periphery network. It is a section operated in an attempted manner.

이때, 각 노드들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우선 순위 등급에 따라 백오프 시간이 상이하게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가 먼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data having high priority to be transmitted first by setting the backoff tim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iority level of data to be transmitted by each node.

또한, 경쟁 매체 접근 구간(2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로는 데이터 전송 구간(40)의 데이터 전송 슬롯의 점유를 위해 교환되는 커맨드 프레임(command frame), 경보 등과 같은 비주기적 데이터, 데이터 전송 슬롯에서 전송 실패한 데이터의 재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type of data transmitted in the contention access period 20, aperiodic data such as command frames and alerts exchanged for the occupancy of data transmission slots in the data transmission interval 40, data transmission slots, and the like. May include retransmission of failed data.

비컨(30)은 네트워크의 주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주기적인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으로, 프레임 동기, 비컨의 간격, 데이터 전송 구간 (40)의 길이, 데이터 전송 구간(40) 내 슬롯의 점유 상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비컨은 데이터 전송 구간(40) 이전에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노드로 브로드캐스트되며, 데이터 전송 슬롯을 점유한 노드들은 매 광고 인터벌마다 비컨 내의 슬롯 점유 상태 정보에 따라 슬롯의 점유 상태를 수정한다.Beacon 30 is a section for transmitting a periodic communication signal that is a reference for transmitting the main information of the network, frame synchronization, beacon interval, the length of the data transmission section 40, the slot in the data transmission section 40 Occupancy status information and the like can be provided. The beacon is broadcasted to all nodes in the network before the data transmission interval 40, and the nodes occupying the data transmission slot modify the occupancy state of the slot according to the slot occupancy state information in the beacon at every advertisement interval.

데이터 전송 구간(40)은 TDMA 방식에 따라 운용되며, 지연에 민감한 연속 데이터와 주기적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구간이다. 데이터 전송 구간(40)은 일정 시간 크기의 슬롯으로 나누어지는데, 데이터 전송 슬롯(data transmit slot; DTS)(41)과 긴급 전송 슬롯(emergency transmit slot; ETS)(42)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data transmission section 40 operates according to the TDMA scheme and is used for delay sensitive continuous data and periodic data transmission. The data transmission interval 40 is divided into slots having a predetermined time size, and may be divided into a data transmit slot (DTS) 41 and an emergency transmit slot (ETS) 42.

데이터 전송 슬롯(41)은 주기적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전에 할당된 후 사용된다. 데이터 전송 슬롯(41)은 데이터 우선 순위 등급에 따라 할당될 수 있으며, 높은 순위 등급이 우선적으로 데이터 전송 슬롯(41)을 할당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 transmission slot 41 is used after being allocated in advance for periodic data transmission. The data transmission slot 41 may be assigned according to the data priority clas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igh priority class is assigned the data transmission slot 41 first.

긴급 전송 슬롯(42)은 노드들간 경쟁에 의해 획득된 후 비상 데이터 또는 일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긴급 전송 슬롯(42)은 반송파의 센싱을 통해 다른 노드에 의한 긴급 전송 슬롯의 사용을 확인한 후, 비상 데이터 또는 비상 데이터가 없는 경우 일반 데이터의 전송을 함으로써 데이터간의 충돌을 방지한다. 긴급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노드는 데이터 전송 구간(40)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긴급 전송 슬롯(42)에서 긴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구간(40)이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슬롯(41)만으로 구성될 경우 자신의 할당 슬롯까지 기다려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긴급히, 바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긴급 전송 슬롯(42)에서 전송이 가능하여 전송 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emergency transmission slot 42 is used for transmission of emergency data or general data after it is obtained by contention between nodes. The emergency transmission slot 42 checks the use of the emergency transmission slot by another node through sensing of a carrier, and then prevents collision between data by transmitting general data when there is no emergency data or emergency data. The node in need of emergency data transmission may transmit emergency data in an emergency transmission slot 42 which is periodically repeated in the data transmission interval 40. When the data transmission section 40 is composed of only the general data transmission slot 41, it is possible to transmit data by waiting until its assigned slo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ase of urgent need to transmit data immediately, the emergency transmission slot 42 In this case, transmission delay can be minimized.

또한, 데이터 전송 구간(40)의 마지막 슬롯(43)은 데이터 전송 구간(40) 내의 전송에 대한 배치 ACK(Batch ACK)를 전송하는데 할당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구간(40)에서 동일 소스로부터 연속된 멀티 슬롯(multi-slot)을 사용한 데이터 전송의 경우, 멀티 슬롯을 전송한 슬롯의 바로 다음 슬롯을 딜레이드 ACK(delayed ACK)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ast slot 43 of the data transmission interval 40 may be allocated to transmit a batch ACK for transmission in the data transmission interval 40. In addition, in the case of data transmission using consecutive multi-slots from the same source in the data transmission section 40, the next slot after the slot in which the multi-slot is transmitted may be used for the delayed ACK. have.

마지막으로, 비활성 구간(50)은 노드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 등의 활동을 하지 않는 비활성 구간이다. 다만, 에너지 공급이 충분한 BC의 경우, 비활성 구간(50)을 확장된 CAP (Extended CAP; ECAP)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든 종류의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Finally, the inactive section 50 is an inactive section in which no activity such as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in order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of the node. However, in case of sufficient energy supply BC, the inactive section 50 may be used as an extended CAP (ECAP), in which case all kinds of data may be transmit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 주변 네트워크의 데이터 우선 순위 등급은 5개 등급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등급 0은 비상 경보로 긴급 바이탈(emergency vital sign), 배터리 소진 등의 정보에 할당될 수 있다. 등급 1은 의료 정보 중 시간 지연에 민감한 데이터인 EEG/ECG/EMG 등의 정보에 할당될 수 있다. 등급 2는 일상적인 의료 정보로 지연보다는 데이터 전달 신뢰성이 중요한 체온, 혈압과 같은 정보에 할당될 수 있다. 등급 3은 비디오, 오디오와 같은 비의료 연속 데이터에 할당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등급 4는 기타 일반 데이터에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우선 순위 등급은 데이터의 종류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할당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priority level of the network around the human body is divided into five classes. For example, grade 0 may be assigned to information such as emergency vital sign, battery exhaustion as an emergency alert. Class 1 may be assigned to information such as EEG / ECG / EMG, which is sensitive to time delay among medical information. Grade 2 is routine medical information that can be assigned to information such as body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where reliability of data transfer is important rather than delayed. Class 3 may be assigned to non-medical continuous data such as video and audio. Finally, class 4 can be assigned to other general data. Such a data priority level may be variously assigned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and a required condition.

위와 같이 할당된 데이터 우선 순위 등급은 데이터 전송시 처리 순서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긴급 전송 슬롯에서는,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노드가 기존의 슬롯 점유 노드보다 더 짧은 백오프 및 반송파 센싱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우선적으로 긴급 전송 슬롯을 점유하도록 할 수 있다.
The data priority class allocated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applied in the order of processing during data transmission. In addition, in an emergency transmission slot, a node transmitting high-priority data may perform a shorter backoff and carrier sensing than an existing slot occupancy node, thereby preferentially occupying an emergency transmission slot.

한편, 에너지의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BAN 조정자와 각 노드들은 비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AN 조정자는 경쟁 매체 접근 구간 또는 데이터 전송 구간 후 다른 활동이 없으면 비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속 데이터를 전송하는 노드는 데이터 전송 슬롯의 점유가 완료되면 비컨과 점유된 타임 슬롯 이외에는 비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일상적 데이터를 전송하는 노드는 먼저 도달하는 경쟁 매체 접근 구간 또는 확장된 경쟁 매체 접근 구간에서만 보고를 위해 활성 상태가 될 수 있으며, 경보를 전송하는 노드는 경쟁 매체 접근 구간, 긴급 전송 슬롯 및 확장된 경쟁 매체 접근 구간 중 가장 먼저 도달하는 구간에서 보고를 위해 활성 상태가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the BAN coordinator and each node may remain inactive. For example, the BAN coordinator may remain inactive if there is no other activity after the contention medium access period or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In addition, the node transmitting the continuous data may remain inactive except for the beacon and the occupied time slot when the occupancy of the data transmission slot is completed. In addition, the node transmitting the routine data may be active for reporting only in the first competing medium access section or the extended competing medium access section, and the node transmitting the alert may be a contention medium access section, an emergency transmission slot and an extension. It may be active for reporting in the first reach of the competition medium access interval.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 human body network super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 및 (b)는 데이터 우선 순위 등급이 서로 다른 노드들 간의 데이터 전송 슬롯 점유 차이점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높은 우선 순위 등급을 갖는 노드가 우선적으로 데이터 전송 슬롯을 점유함을 알 수 있다.(A) and (b) of FIG. 2 show differences in data transmission slot occupancy between nodes having different data priority classes, and it is understood that a node having a high priority class preferentially occupies a data transmission slot. Can be.

또한, 도 2의 (c)는 연속된 멀티 슬롯을 사용한 데이터 전송의 경우 바로 다음 슬롯을 딜레이드 ACK(delayed ACK)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c) of FIG. 2 illustrates that the next slot is used for a delayed ACK in the case of data transmission using consecutive multi-slots.

또한, 도 2의 (d)는 긴급 전송 슬롯을 활용하여 경보 데이터를 전송한 후 즉각적인 ACK(Immediate ACK)를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d) of FIG. 2 illustrates transmitting an immediate ACK after transmitting alarm data by using an emergency transmission slot.

또한, 도 2의 (e)는 경쟁 매체 접근 구간에서 전송 실패한 데이터를 확장된 경쟁 매체 접근 구간에서 재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In addition, (e) of FIG. 2 illustrates retransmission of data that failed to be transmitted in the contention access medium section in the extended content access medium section.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광고 구간(Advertisement Period)
20: 경쟁 매체 접근 구간(Contention Access Period; CAP)
30: 비컨(Beacon)
40: 데이터 전송 구간(Data Transmit Period; DTP)
41: 데이터 전송 슬롯(Data Transmit Slot; DTS)
42: 긴급 전송 슬롯(Emergency Transmit Slot; ETS)
43: 배치 ACK(Batch ACK)
50: 비활성 구간(Inactive Period)
10: Advertisement Period
20: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30: Beacon
40: Data Transmit Period (DTP)
41: Data Transmit Slot (DTS)
42: Emergency Transmit Slot (ETS)
43: Batch ACK
50: Inactive Period

Claims (11)

광고 구간, 경쟁 매체 접근 구간, 비컨 구간 및 데이터 전송 구간을 포함하는 수퍼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조정자 노드가 상기 광고 구간 동안 기 정해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 노드가 상기 경쟁 매체 접근 구간이 개시되고 기 설정된 백오프 시간이 지난 후 반송파 센싱을 거쳐 비어있는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각 노드가 상기 비컨 구간 동안 주기적인 비컨 신호를 브로트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노드가 상기 데이터 전송 구간 동안 연속 데이터 및 주기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 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In the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superframe including an advertising section, competition medium access section, beacon section and data transmission section,
A coordinator node broadcas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during the advertisement section;
Transmitting data only when a node wishing to transmit data is empty through carrier sensing after the contention medium access interval is started and a preset backoff time has passed;
Each node broadcasting the periodic beacon signal during the beacon period; And
And transmitting, by the respective nodes, continuous data and periodic data during the data transmission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해진 정보는, 상기 조정자 노드가 유지하는 동기화 정보, 상기 조정자 노드의 주소, 상기 경쟁 매체 접근 구간의 길이, 및 광고 인터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 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synchronization information maintained by the coordinator node, an address of the coordinator node, a length of the contention access period, and an advertisement interval. Transmission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시간은 상기 데이터의 우선 순위 등급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 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backoff time is differently set according to the priority level of the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쟁 매체 접근 구간에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는, 데이터 전송 슬롯의 점유를 위해 교환되는 커맨드 프레임, 비주기적 데이터 및 전송 실패하여 재전송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 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in the contention access period includes a command frame exchanged for the occupancy of a data transmission slot, aperiodic data, and data that fails to be retransmitted.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간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 따라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 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is a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a human body network supe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간은 일정 시간 크기의 슬롯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슬롯은 데이터 전송 슬롯 및 긴급 전송 슬롯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 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ata transmission section is divided into slots having a predetermined time size, and the slots are divided into data transmission slots and emergency transmission slot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은 주기적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의 우선 순위 등급에 따라 상기 각 노드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 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ata transmission slot is allocated to each node according to a priority level of data for periodic data transmiss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전송 슬롯은 노드들간의 경쟁에 의해 임의의 노드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 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mergency transmission slot is allocated to any node by a competition between nodes,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a human body peripheral network super fram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간의 마지막 슬롯은 배치 ACK(Batch ACK)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 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ast slot of the data transmission interval is a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a human body network supe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llocated for transmitting a batch ACK (Batch ACK).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간의 슬롯에서 연속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 슬롯 직후의 슬롯은 딜레이드 ACK(delayed ACK)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 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lot immediately after the multi-slot for transmitting continuous data in the slot of the data transmission interval is allocated for transmitting a delayed A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퍼프레임은 에너지 절약을 위해 활동을 하지 않는 비활성 구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정자 노드는 에너지 공급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비활성 구간을 확장된 경쟁 매체 접근 구간으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주변 네트워크 수퍼 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erframe further includes an inactive section that is inactive for energy saving,
The coordinator node uses the inactive section as an extended content access medium access section when the energy suppl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KR1020100039964A 2009-05-04 2010-04-29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body area network superframe KR1013096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73,646 US20100278156A1 (en) 2009-05-04 2010-05-04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body area network super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22 2009-05-04
KR20090039022 2009-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84A KR20100120084A (en) 2010-11-12
KR101309613B1 true KR101309613B1 (en) 2013-09-23

Family

ID=4340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964A KR101309613B1 (en) 2009-05-04 2010-04-29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body area network super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6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783A (en) 2019-07-09 2021-01-19 국방과학연구소 Wireless body area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using super fr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989B1 (en) * 2014-04-22 2015-04-17 (주)누리텔레콤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System Using Backoff Number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561A (en) * 2006-05-03 2007-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nder the wireless network
WO2008075239A2 (en) 2006-12-18 2008-06-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Qos sceduling method for wlans with heterogenous applications
KR20080092774A (en) * 2007-04-13 2008-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chanism for sending and/or receiving a beacon frame in coordinator-based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561A (en) * 2006-05-03 2007-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nder the wireless network
WO2008075239A2 (en) 2006-12-18 2008-06-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Qos sceduling method for wlans with heterogenous applications
KR20080092774A (en) * 2007-04-13 2008-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chanism for sending and/or receiving a beacon frame in coordinator-based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783A (en) 2019-07-09 2021-01-19 국방과학연구소 Wireless body area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using super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84A (en) 201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30852B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0099447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09618415B (en) D2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100278156A1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body area network superframe
JP2004350168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7787049B (en) Method, access point and station for transmitting service data
US20150009814A1 (en) Method, apparatus and network system for controlling network congestion
US11265845B2 (en) Backup paging opportunities in new radio unlicensed
JP20005117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spectrum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159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grating a cellular network and a ubiquitous network
US20070280156A1 (en) Data structure, data slot allocation method for transmission of uncompressed AV data and transmission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EP3036848B1 (en) Vehicular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150043566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ssociation between station and access point, and device
WO2020199734A1 (en) Random access signal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random access signal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20248466A1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US201302357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US9628249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communic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Bouani et al. A comprehensive survey of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s for wireless body area networks
KR101309613B1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body area network superframe
EP4117360A1 (en)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CN111757286B (en) Body area network emergency data time slot distribution method based on interception mechanism
CN109644502A (en) A kind of point-to-multipoint method for channel allocation, apparatus and system
EP2048902A2 (en) Method for contention-free NPD periodic updating
Paso et al. An overview of ETSI TC SmartBAN MAC protocol
KR1021055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direct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