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576B1 -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576B1
KR101308576B1 KR1020110121419A KR20110121419A KR101308576B1 KR 101308576 B1 KR101308576 B1 KR 101308576B1 KR 1020110121419 A KR1020110121419 A KR 1020110121419A KR 20110121419 A KR20110121419 A KR 20110121419A KR 101308576 B1 KR101308576 B1 KR 101308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protective film
mounting portion
mountin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5803A (en
Inventor
박무균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576B1/en
Publication of KR2013005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8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5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3008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having multiple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301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transpar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시경 관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내시경의 사용시 내시경의 삽입부에 보호막을 장착하는 장착부와 다수의 보호막을 적층하여 보관하는 보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와 보관부는 격벽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보관부는, 각각의 보호막을 상부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승판; 상기 보관부의 내부 저면과 상기 상승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보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승판에 적층된 보호막이 일정 높이까지만 상승하도록 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내시경 관리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내시경의 반복 사용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An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protective film to the insertion end of the endoscope when using the endoscope and a storage portion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stacked,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is divided by a partition wall, the storage portion, each of the protective film upper A lift plate slidably mounted in the storage part to be transferred to the container; A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unit and the lift plate; And a support plat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art to allow the protective film stacked on the rising plate to rise only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using the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nfection by repeated use of the endoscope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내시경 관리장치{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내시경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1회용 보호막을 내시경의 삽입부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하는 내시경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Specifically, It is related with the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which mounts and uses a disposable protective film easily in the insertion part of an endoscope.

즉,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이비인후과 외래에서 진료시 흔히 사용되는 귀 내시경으로 인한 귀의 감염 예방과 귀 내시경 시 소독제 사용으로 인한 귀 내시경의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내시경의 화질을 유지할 수 있는 1회용 비닐형 귀 내시경 보호막을 마련하고, 이를 용이하게 내시경의 삽입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can prevent the infection of the ear due to the ear endoscope commonly used in the treatment of the otolaryngology and prevent the damage of the ear endoscope due to the use of disinfectants during ear endoscopy, disposable disposable that can maintain the quality of the endoscope It provides a vinyl-type endoscope protective film, and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can be easily mounted and used 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endoscope.

일반적으로 내시경기구는 인체의 내부를 진찰하거나 또는 진찰과 동시에 시술까지 할 수 있는 의료기구이다. 이러한 내시경 기구로는 사람의 위나 장을 치료 및 검사하기 위한 소화기 내시경인 위내시경 및 장 내시경이 있으며, 이비인후과 등에서 귀나 코의 치료 및 검사를 위한 코 내시경 및 귀 내시경이 있다.In general, the endoscope is a medical device that can examine the inside of the human body or at the same time the procedure. Such endoscopy apparatuses include gastroscope and gastrointestinal endoscopy, which are digestive endoscopes for treating and examining a stomach or intestine of a person, and nose and ear endoscopes for the treatment and examination of the ear or nose in an otolaryngologist.

예를 들어, 이비인후과 진찰에서 귀의 진찰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소아과, 응급의학과, 일반의들도 흔히 귀를 진찰하고 있다. 현재 귀의 정밀한 진찰을 위해 가장 많이 이용되는 진찰 도구는 귀 내시경이다. 귀 내시경은 외이도 및 고막을 확대하여 보여 주며 동영상 기능 등이 있어 환자상태에 대한 정확한 판단에 도움을 주면, 좋은 의무기록의 역할을 하고 있다. For example, ear examination is an essential element in otolaryngology, and pediatrics, emergency medicine, and general practitioners are often examined. At present, the most widely used diagnostic tool for detailed examination of the ear is an ear endoscope. The ear endoscope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ear canal and tympanum, and has a video function, which helps to make accurate judgments about the patient's condition.

이러한 내시경 기구는 크게 조작부와 삽입부로 구분되며, 내시경의 삽입부는 진료 및 수술 등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소독처리를 한 다음 사용하여야 한다. These endoscope instruments are largely divided into an operation unit and an insertion unit. The endoscope insertion unit must be used after disinfection when used for medical treatment and surgery.

상기 소화기 내시경인 위 내시경 또는 장 내시경은 내시경 몸체 내에 구멍이 있는 개방형으로 비교적 큰 크기의 세척기와 소독기를 이용하여 세척 및 소독을 수행하고 있다. 즉 몸체 내의 구멍에 있는 불순물의 청소 및 세척이 필수적이어서, 좀 더 세밀한 소독 및 세척 작업이 필요하다.The gastroscope or gastroscope, which is an endoscope of the fire extinguisher, is cleaned and disinfected using a relatively large sized washer and sterilizer with an opening in the endoscope body. That is, the cleaning and cleaning of impurities in the holes in the body is essential, so more detailed disinfection and cleaning operations are required.

그러나 상기 귀 내시경 및 코 내시경의 경우에는, 몸체가 폐쇄형이어서 내시경 삽입부와 렌즈를 소독하면 되므로 비교적 소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ear endoscope and the nose endoscope, since the body is closed to disinfect the endoscope insert and the lens, there is an advantage of relatively easy disinfection.

예를 들어 귀 내시경은 길이 6㎝ 정도, 직경이 4㎜ 정도로 구성되며, 코 내시경의 경우에는 길이 18㎝ 정도이고, 직경이 4㎜ 정도로 구성된다. 이러한 내시경은 수술 등의 경우에는 멸균 가압 가열 소독을 하며, 통상 외래진료의 경우에는 소독액에 일정 시간 동안 담가 소독하는 담금 소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내시경 소독을 위해 사용되는 대부분의 물질은 내시경을 부식시키며 또한 내시경의 적절한 소독을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For example, the ear endoscope is about 6 cm long and 4 mm in diameter. In the case of a nasal endoscope, it is about 18 cm in length and about 4 mm in diameter. Such endoscopes are sterilized under pressure and heat disinfection in the case of surgery, and in the case of an outpatient clinic, immersion disinfection is generally performed by soaking in a disinfecting solu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However, most of the materials used for endoscope disinfection corrode the endoscope and also require considerable time for proper disinfection of the endoscope.

종래의 담금 소독의 경우에 소독액이 담긴 일반용기에 코 내시경 및 귀 내시경을 담가 소독을 하고 있으며, 전용소독장치가 없어 체계적이고 완전한 소독이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mmersion disinfection, the nose endoscope and ear endoscopes are sterilized in a general container containing disinfectant solu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systematic and complete disinfection is not performed because there is no dedicated disinfection devi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도 1은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의료용 소형 내시경 소독장치에서 소독액에 담겨져 소독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is sterilized in a disinfecting solution in a medical small endoscope disinfection device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내시경 소독장치(100)는 몸체(150), 상부스토퍼(130), 하부스토퍼(120)를 구비하고, 몸체(150)가 받침대(160)에 의해 지지된다. 또 몸체(150)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연장되어 상부까지 일정각도로 이어지는 경사면 및 측면들을 의해 내부공간(170)이 마련되고, 의료용 내시경(200) 소독용으로 사용되는 소독액이 일정높이로 채워진다.As shown in FIG. 1, the small endoscope disinfection device 100 includes a body 150, an upper stopper 130, and a lower stopper 120, and the body 150 is supported by the pedestal 160. In addition, the body 150 is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170 by the inclined surface and side surfaces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disinfectant used for disinfecting the medical endoscope 200 to a predetermined height. Is filled.

상기 하부스토퍼(120)에는 연질의 끼움 돌기(125)가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의료용 내시경(200)의 말단부분이 끼움 돌기(125)들 사이에 끼워져(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스토퍼(130)에는 의료용 내시경(200)의 손잡이 부분을 거치하게 거치 홈(132)이 마련된다.The lower stopper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oft fitting protrusions 125 at regular intervals, and end portions of the medical endoscope 200 are fitted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s 125, and an upper stopper 13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132 to mount the handle portion of the medical endoscope 200.

또한 몸체(150)에는 터치 스위치(110), 상기 터치 스위치(110)에 의해 발생되는 소독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점등되는 개시 점등램프(112), 점등 램프(112) 점등 이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점등되는 종료 점등램프(114)가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body 150 is turned 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tart-up lamp 112, the lighting lamp 112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touch switch 110, the disinfection start signal generated by the touch switch 110. An end lighting lamp 114 is provided.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내시경 커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즉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내시경의 몸체를 감싸는 커버에 귀금속을 나노 입자화 하여 코팅한것으로서 감염을 예방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n endoscope cover. That is,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technique for preventing infection by coating nanoparticles with a noble metal on a cover surrounding the body of an endoscop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2213호(2011.03.07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0002213 (2011.03.07 publish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12571호(2008.02.12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8-0012571 (2008.02.12 published)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서는 내부공간에 마련된 소독액의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고, 장기간 사용시 소독액의 오염 등의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Patent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state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nd there is a problem such as contamin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for a long time use.

특히 내시경에 이물질이 묻어있는 경우, 이를 소독용 거즈 등으로 세척하고, 소독액에 담가야하는 번잡함이 있고, 소독액이 묻어있는 내시경을 사용하는 경우, 그 소독액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또한 소독액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소독 냄새의 불쾌감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particular, when the endoscope is foreign matter, it is washed with a disinfecting gauze, etc., there is the complexity to be immersed in the disinfectant solution, when using the endoscope with the disinfectant solution, there is also the inconvenience to remove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addition, since the disinfectan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can cause discomfort of disinfecting smell.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은 귀금속 코팅하므로 내시경 커버의 제조 공정이 번잡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여 커버 자체가 고가로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내시경 커버를 소독하여 재사용하는 것은 내시경 자체의 소독과 별반 다르지 않다. 또한 상기 내시경 커버는 사용시 시술자가 내시경에 수동으로 장착해야 하며, 이러한 경우 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조작 및 소요 시간에 문제가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ndoscope cover is complicated because the precious metal coating,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cover itself becomes expensive. Accordingly, disinfecting and reusing the endoscope cover is not much different from disinfecting the endoscope itself. In addition, the endoscope cover has to be manually mounted on the endoscope by the operator when used,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in the operation and time required for mounting the cover.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시경의 반복 사용에 의한 감염 예방과 반복적인 내시경의 소독에 의한 내시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시경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n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that can prevent the infection by the repeated use of the endoscope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endoscope by repeated disinfection of the endoscop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시경에 보호막을 장착하는 것에 의한 화질의 저하를 방지하고, 보호막을 무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내시경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which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by attaching a protective film to an endoscope and maintain the protective film in a sterile st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관리장치는 내시경의 사용시 내시경의 삽입부에 보호막을 장착하는 장착부와 다수의 보호막을 적층하여 보관하는 보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와 보관부는 격벽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보관부는, 각각의 보호막을 상부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승판; 상기 보관부의 내부 저면과 상기 상승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보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승판에 적층된 보호막이 일정 높이까지만 상승하도록 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막은, 내시경 삽입부의 앞면에 대응하여 마련된 투명부; 상기 내시경 삽입부의 끝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보호막이 상기 내시경 삽입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밴드부; 및 상기 투명부와 상기 밴드부에 연결된 중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에는 보호막을 장착부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부의 지지판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호막을 배출구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구와 동일 평면상에 유지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유지판의 중앙 부분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는 제1 및 제2 장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관부는 제1 및 제2 보관부로 구분하여 마련하며, 상기 제1 장착부는 표준 성인용 내시경에 성인용 보호막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장착부는 소아용 내시경에 소아용 보호막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는 상기 투명부의 습기 서림을 방지하는 습기 방지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protective film and a storage portion for stack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o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endoscope when the endoscope is used, and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are divided by partition walls. ,
The storage unit, the lifting plate slidably mounted inside the storage unit for transferring the respective protective film to the top; A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unit and the lift plate; And a support plat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art to allow the protective film stacked on the rising plate to rise only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protective film, the transparent portion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ndoscope insertion portion; A band portion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endoscope insertion portion to prevent the protective film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ndoscope insertion portion; And an intermediate part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part and the band part.

A discharge port for supplying a protective film to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and a discharge member for discharg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discharge por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storage plate.

The hold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on the same plane as the discharge port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lding plate.

The mounting portion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the storage portion is provided by dividing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porti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is used to mount the adult protective film on the standard adult endoscope, the second moun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to mount a pediatric protective film on a pediatric endoscope.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isture prevention unit is further installed to prevent the moisture frost of the transparent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관리장치에 의하면, 내시경의 반복 사용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effect that infection by the repeated use of an endoscope can be prevented is acquired.

또,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관리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내시경의 반복 소독에 의한 내시경의 손상을 방지할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Moreover, according to the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an endoscope by repeated disinfection of the conventional endoscope is acquir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관리장치에 의하면, 내시경의 사용 후 소독을 하지 않으며, 보호막을 내시경에 장착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내시경의 사용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doscope is not disinfected after use and the time for attach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endoscope can be shortened, an effect of shortening the preparation time for the endoscope can also be obtained.

도 1은 종래의 내시경 소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내시경 보호막이 내시경 삽입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ndoscope disinfection device,
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doscope protective film mounted on the endoscope inser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귀 내시경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크기 및 길이에 따라 코 내시경, 소아용 내시경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ar endosco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내시경 보호막이 내시경 삽입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doscope protective film is mounted on the endoscope inser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관리 장치(10)는 내시경(20)의 사용시 내시경의 삽입부에 보호막(3)을 장착하는 장착부(1) 및 다수의 내시경 보호막을 적층하여 보관하는 보관부(2)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관부(2)는 멸균 상태로 유지된다.As shown in FIG. 2, the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cks and mounts a mounting portion 1 for mounting the protective film 3 o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endoscope and a plurality of endoscope protective films when the endoscope 20 is used. It is made of a storage unit 2, the storage unit 2 is maintained in a sterile state.

이러한 상기 내시경 보호막(3)은 내시경의 사용시 내시경의 삽입부를 덮는 커버로서 기능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20) 삽입부의 앞면에 대응하여 마련된 투명부(35), 상기 내시경(20) 삽입부의 끝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내시경 보호막(3) 전체가 상기 내시경(20)의 삽입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밴드부(32) 및 상기 투명부(35)와 상기 밴드부(32)에 연결된 중간부(33)로 이루어진다.The endoscope protective film 3 functions as a cover covering the 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when the endoscope is used, and as shown in FIG. 3, the transparent part 35 and the endoscope 20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20. A band portion 32 provid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to prevent the entire endoscope protective film 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endoscope 20, and an intermediate portion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portion 35 and the band portion 32. It consists of 33.

이러한 구조의 내시경 보호막(3)의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the endoscope protective film 3 of such a structure is demonstrated concretely l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관리장치(10)의 장착부(1)의 하부에는 상기 내시경 삽입부의 하단에 마련된 렌즈 및 보호막(3)의 투명부(35) 부분에서 습기 서림을 방지하는 습기 방지부(11)가 마련된다. 이 습기 방지부(11)는 상용의 습기 방지제 또는 습기 방지 용액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 of the endoscope management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prevention part 11 to prevent moisture frost in the transparent portion 35 of the lens and the protective film 3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endoscope insertion portion ) Is provided. This moisture prevention part 11 is equipp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moisture inhibitor or a moisture prevention solution.

상기 보관부(2)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100~200 매의 보호막(3)이 적층되며, 각각의 보호막(3)을 상부로 이송하기 위한 상승판(4)이 보관부(2)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승판(4)과 보관부(2)의 내부 저면 사이에는 상승판(4)을 상승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마련된다. 이러한 스프링(5)의 작용에 의해 상기 상승판(4)는 도 2에 도시된 구조에서 항상 위쪽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For example, 100 to 200 protective films 3 are stacked in the storage part 2, and a rising plate 4 for transferring the respective protective films 3 to the upper part is provided inside the storage part 2. Is mounted slidably from, and a spring for raising the rise plate 4 is provided between the rise plate 4 and the inner bottom of the storage portion (2). By the action of this spring 5 the lift plate 4 is always forced upward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한편 상기 보관부(2)의 상부에는 지지판(6)이 마련되어 상기 상승판(4) 상에 적층된 보호막(3)이 일정 높이까지만 상승하도록 저지한다. 이러한 지지판(6)은 보관부(2)에 보호막(3)을 내장하기 위한 뚜껑으로서도 기능을 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호막(3)은 상승판(4)와 지지판(6) 사이에 적층되며, 각각의 보호막(3)은 밴드부(32) 측이 개구된 상태에서 투명부(35)를 향해 눌려진 상태로 적층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는 설명의 편의상 일 예로서 설명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보호막(3)의 감겨진 상태는 내시경(20)의 삽입이 용이한 방법이 적용되면,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구조에서는 상하로 적층한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죄우로 적층된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support plate 6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art 2 to prevent the protective film 3 laminated on the lift plate 4 to rise only up to a certain height. The support plate 6 is preferably provided to function as a lid for embedding the protective film 3 in the storage portion (2). Accordingly, the protective film 3 is laminated between the rising plate 4 and the supporting plate 6, and each of the protective films 3 is laminated in the pressed state toward the transparent part 35 with the band part 32 side open. . However, this state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wound state of the protective film 3 can be realized by various methods, if the method of inserting the endoscope 20 is applied easily. For example, although the structure of FIG. 2 was demonstrated as the structure laminated up and down, the structure laminated | stacked by the rain can also be taken.

한편 상기 장착부(1)와 보관부(2) 사이에는 보관부(2)를 최대한 멸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격벽(30)이 마련된다. 즉 격벽(30)은 멸균 상태로 제조된 보호막(3)을 외기와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장착부(1), 보관부(2) 및 격벽(30) 등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partition 30 is provided between the mounting unit 1 and the storage unit 2 to maintain the storage unit 2 in the sterilized state as much as possible. That is, the partition 30 has a function of blocking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film 3 manufactured in a sterile stat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orm such a mounting part 1, the storage part 2, the partition 30, etc., for example with stainless steel material.

또 격벽(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막(3)을 장착부(1)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31)가 마련되고, 보관부(2)의 지지판(6)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31)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호막(3)을 배출구(31)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재(7)가 마련된다. 이러한 배출부재(7)는 리턴 스프링을 마련하고 보관부(2)의 외부에 조작버튼을 마련하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에 의해, 사용시 조작 버튼을 조작하여 보호막(3)을 배출구(31)로 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partition wall 3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31 for supplying the protective film 3 to the mounting unit 1, and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below the support plate 6 of the storage unit 2. A discharge member 7 for discharging the protective film 3 to the discharge port 31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31. The discharge member 7 adopts a structure in which a return spring is provided and an operation button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2 so that the protective film 3 can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31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during use. Can be.

한편, 장착부(1)의 상부에는 배출구(31)와 동일 평면상에 유지판(12)이 마련되고, 유지판(12)의 중앙 부분에는 관통 구멍(14)이 형성된다. 또 관통 구멍(14)의 주변, 즉 배출구(31)에 대항하는 부분에는 배출구(31)에서 배출된 보호막(3)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턱(13)이 마련된다. 이 관통 구멍(14)의 지름은 내시경(20)의 삽입부의 지름과 거의 동일 크기로 형성되고, 보호막(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holding plate 12 is provided on the same plane as the discharge port 31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 the through hole 14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lding plate (12). In addition, at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4, that is, the portion opposed to the discharge port 31, a stopping jaw 13 for preventing excessive movement of the protective film 3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1 is provided.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4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s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endoscope 20, and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ective film (3).

따라서, 배출구(31)에서 배출된 보호막(3)의 이동은 정지턱(13)에 의해 관통 구멍(14)의 주변에 정지되고, 내시경(20)의 삽입부를 관통 구멍(14)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막(3)이 내시경(20)의 삽입부에 삽입된다.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protective film 3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1 is stopped around the through hole 14 by the stop jaw 13, and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endoscope 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4. 3, the protective film 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endoscope 20.

다음에 보호막(3)의 사이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size of the protective film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의 사이즈 설명에서는 예시적으로 성인용 귀 내시경의 구조에 적용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 내시경 또는 소아용 내시경의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변경 가능하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size, it will be described as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adult ear endoscope by way of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be changed to suit the size of the nose endoscope or pediatric endoscope.

보호막(3)의 투명부(35)는 투명 PMP 재질(PP stopper)의 단단한 플라스틱 또는 투명 비닐(LDPE) 재질로 형성되고, 그 두께는 PMP 재질시 0.5㎜로 하고, 투명 비닐 재질 시 0.02㎜로 하며, 지름은 성인용, 표준 내시경 지름 4㎜ 또는 소아용 내시경 지름 보다 0.05~0.1㎜ 크게 형성되며, 보호막(3)의 길이는 약 10㎝로 형성된다. The transparent part 35 of the protective film 3 is formed of a hard plastic or transparent vinyl (LDPE) material of a transparent PMP material (PP stopper), and the thickness thereof is 0.5 mm in PMP material and 0.02 mm in transparent vinyl material. The diameter of the protective film 3 is about 0.05 to 0.1 mm larger than that of an adult, standard endoscope diameter 4 mm or pediatric endoscope diameter, the length of the protective film 3 is formed to about 10 cm.

또 밴드부(32)는 신축성 있는 고무 밴드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내시경(20)의 삽입부에 형성된 테이퍼 부분까지 삽입되는 경우, 내시경 사용시 보호막(3)이 내시경의 삽입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nd portion 32 is formed of an elastic rubber band, and inserted into the tapered portion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endoscope 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protective film 3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endoscope when the endoscope is used. It can surely be prevented.

상술한 바와 같은 보호막(3)은 예를 들어 100매 또는 200매 단위로 하여 보관부(2)에 적층된다.
The protective film 3 as described above is laminated on the storage part 2 in units of 100 or 200 sheets, for example.

또 상기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성인용 귀 내시경에만 적용한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소아용 내시경에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 the structure is applied only to the adult ear endoscope, but it may b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pediatric endoscope.

즉, 상기 장착부를 제1 및 제2 장착부로 구분하여 마련하고, 상기 보관부(2)도 제1 및 제2 보관부로 구분하여 마련하며, 상기 제1 장착부는 표준 성인용 내시경에 성인용 보호막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장착부는 소아용 내시경에 소아용 보호막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That is, the mounting unit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mounting units, and the storage unit 2 is also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storage units, and the first mounting unit is used to mount an adult protective film on a standard adult endoscope. The second mount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used to mount a pediatric protective film on the pediatric endoscop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내시경 관리장치는 예를 들어 길이 15㎝ × 폭 5㎝ × 높이 15㎝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has a size of 15 cm in length x 5 cm in width x 15 cm in height, for example.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관리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투명부(35), 밴드부(32) 및 중간부(33)로 이루어진 보호막(3)을 접어 적층하여 보관부(2)의 상승판(4) 상에 내장한다.First, the protective film 3 composed of the transparent part 35, the band part 32, and the intermediate part 33 is folded and stacked to be embedded on the rising plate 4 of the storage part 2.

이후 내시경(20)을 사용하는 경우, 배출부재(7)의 조작에 의해 보관부(2) 상의 보호막(3)을 배출구(31)로 배출한다.Since the endoscope 20 is used, the protective film 3 on the storage unit 2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31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member (7).

배출구(31)를 통과한 보호막(3)은 정지턱(13)에 걸리고, 사용자가 내시경(20)의 삽입구를 관통 구멍(14)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보호막(3)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20)의 삽입구에 장착된다.The protective film 3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31 is caught by the stop jaw 13, and the protective film 3 is shown in FIG. 3 by the user inserting the insertion hole of the endoscope 20 into the through hole 14. Likewise, it is attached to the insertion hole of the endoscope 20.

이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진찰을 하고, 진찰이 완료된 후, 밴드부(32)를 내시경(20)의 삽입부에서 투명부(35) 쪽으로 밀어내어 보호막(3)을 분리한다. 분리된 보호막(3)은 의료용 소독통에 보관한다.Thereafter, the examination is performed in a state as shown in FIG. 3, and after the examination is completed, the band part 32 is pushed toward the transparent part 35 from the 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20 to separate the protective film 3. The separated protective film 3 is stored in a medical sterilization container.

이후 새로운 환자를 진찰하는 경우,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내시경의 반복 사용에 의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If a new patient is subsequently examined, infection by the repeated use of the endoscope can be prevented by repeating the above procedur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관리장치는 내시경의 반복 사용에 의한 감염 방지에 적용된다.
The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prevention of infection by repeated use of the endoscope.

1 : 장착부
2 : 보관부
3 : 보호막
4 : 상승판
6 : 지지판
7 : 배출부재
12 : 유지판
35 : 투명부
32 : 밴드부
1: mounting part
2: storage
3: protective film
4: rising plate
6: support plate
7: discharge member
12: holding plate
35: transparent part
32: band section

Claims (6)

내시경의 사용시 내시경의 삽입부에 보호막을 장착하는 장착부와 다수의 보호막을 적층하여 보관하는 보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와 보관부는 격벽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보관부는,
각각의 보호막을 상부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승판;
상기 보관부의 내부 저면과 상기 상승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보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승판에 적층된 보호막이 일정 높이까지만 상승하도록 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리장치.
When using the endoscope, there is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protective film on the insertion end of the endoscope and a storage portion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stacked,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is divided by a partition wall,
Wherein,
A lift plate slidably mounted inside the storage part to transfer the respective protective films to the upper portion;
A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unit and the lift plate; And
And a support plat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to allow the protective film stacked on the rising plate to rise only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내시경 삽입부의 앞면에 대응하여 마련된 투명부;
상기 내시경 삽입부의 끝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보호막이 상기 내시경 삽입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밴드부; 및
상기 투명부와 상기 밴드부에 연결된 중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ective film
A transparent part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ndoscope insertion part;
A band portion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endoscope insertion portion to prevent the protective film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ndoscope insertion portion; And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termediate portion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portion and the ban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보호막을 장착부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부의 지지판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호막을 배출구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rrier rib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supply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mounting portion, the endoscope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member for discharg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discharge por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of the storage unit is further install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구와 동일 평면상에 유지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유지판의 중앙 부분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holding plate on the same plane as the discharge port, endoscope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ld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제1 및 제2 장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관부는 제1 및 제2 보관부로 구분하여 마련하며,
상기 제1 장착부는 표준 성인용 내시경에 성인용 보호막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장착부는 소아용 내시경에 소아용 보호막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is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
The storage unit is provided by dividing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unit,
The first mounting portion is used to mount the adult protective film on the standard adult endoscope, the second mounting portion endoscope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used to mount the pediatric protective film on the pediatric endosco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는 상기 투명부의 습기 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습기 방지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 endoscope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moisture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moisture frost on the transparent portion.
KR1020110121419A 2011-11-21 2011-11-21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KR1013085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419A KR101308576B1 (en) 2011-11-21 2011-11-21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419A KR101308576B1 (en) 2011-11-21 2011-11-21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803A KR20130055803A (en) 2013-05-29
KR101308576B1 true KR101308576B1 (en) 2013-09-13

Family

ID=4866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419A KR101308576B1 (en) 2011-11-21 2011-11-21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5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633A (en) 2019-07-17 2021-01-27 (주)넥스빈 Endoscop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138A (en) * 2001-03-30 2001-08-04 김명수 Disposable prophylactic endoscopic sheath(Endoscopic condom, Endotex)
KR101011747B1 (en) 2008-11-24 2011-02-07 김학승 Apparatus for covering protect cover of insertion tube in endoscopic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138A (en) * 2001-03-30 2001-08-04 김명수 Disposable prophylactic endoscopic sheath(Endoscopic condom, Endotex)
KR101011747B1 (en) 2008-11-24 2011-02-07 김학승 Apparatus for covering protect cover of insertion tube in endoscopic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633A (en) 2019-07-17 2021-01-27 (주)넥스빈 Endoscop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803A (en)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1189B2 (en) Multifunctional enclosure for medical probes
JP5457458B2 (en) Kit for storage and transfer of medical instruments
US9802019B2 (en) Storage device for a ventilation mask
EP3492112B1 (en) Sterilization tray
US20130341223A1 (en) Disposable cover for stethoscope
US9907460B2 (en) Endoscope cleaning brush apparatus
KR101628351B1 (en) Endoscope tube disposable cover
KR101308576B1 (en) Endoscope management apparatus
KR19980025075U (en) Disposable medical endoscope infection prevention device
US10864288B2 (en) Disinfect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medical sensor
JPH05337081A (en) Endoscope sterilizing case
KR101753878B1 (en) Suction device for dental treatment
KR101762916B1 (en) Portable Endoscope Storage Device
KR101641675B1 (en) Instrument holder system with sterilization light source and sanitary cover used in the same
KR101881226B1 (en) Catheter Assembly for Endoscope
JP5289525B2 (en) Endoscope and endoscope sterilization method
KR101982397B1 (en) Disposable hygienic mat for endoscope inspection
KR200458517Y1 (en) Endoscope cleaning/disinfecting apparatus
US20240148922A1 (en) Automated Device for Disinfection of Stethoscope Head Piece Using Dual Means Simultaneously
CN108283734A (en) Easy cleaning antibacterial type upper respiratory tract sputum absorption plant
CN210811535U (en) Special receiver of electron nasopharyngoscope
JP5747169B2 (en) Portable endoscope disinfection device at home visit
KR20240013451A (en) Medical telescope disinfecting apparatus
KR101743037B1 (en) Apparatus for covering endoscope cover along tube of endoscope
EP1989991A1 (en) Protective device for endoscop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