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220B1 - A cleaning system - Google Patents

A clea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220B1
KR101306220B1 KR1020100079354A KR20100079354A KR101306220B1 KR 101306220 B1 KR101306220 B1 KR 101306220B1 KR 1020100079354 A KR1020100079354 A KR 1020100079354A KR 20100079354 A KR20100079354 A KR 20100079354A KR 101306220 B1 KR101306220 B1 KR 10130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rea
cleaned
obsta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6859A (en
Inventor
박병권
김혁
Original Assignee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주)로터스지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주)로터스지이오 filed Critical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9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220B1/en
Publication of KR2012001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8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2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청소할 구역 내에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장치와, 청소할 구역 내에서 위치 이동되면서 흡입력 발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통해 청소할 구역 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가지는 가동 흡입유닛과, 흡입력 발생장치와 상기 가동 흡입유닛을 연결하며 유연하게 움직임 가능한 연결덕트와, 가동 흡입유닛을 청소할 구역 내에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청소할 구역 내에서 가동 흡입유닛에 의해 청소된 영역과 비청소영역을 산출하는 영역 산출부와, 청소할 구역 내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센서 및, 영역 산출부에서 산출된 정보 및 장애물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근거로 구동부를 제어하여 청소할 구역을 전체적으로 가동 흡입유닛이 이동하면서 청소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스템이 개시된다.A movable suction unit installed in the area to be cleaned and having a suction force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a suction suction unit which moves in the area to be cleaned and suctions foreign substances in the area to be cleaned through suction force provided from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device, a suction force generating device and the Calculation of the area that calculates the area cleaned by the movable suction unit and the non-cleaning area in the area to be cleaned, the connecting duct connecting the movable suction unit and the movable duct, the drive unit for moving the position within the area to be cleaned. The cleaning unit is operated by moving the suction unit as a whole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unit, an obstacle detecting sensor detecting an obstacle in the area to be cleaned, an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area calculating unit and detecting information of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A cleaning system is disclosed.

Description

청소시스템{A CLEANING SYSTEM}Cleaning system {A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청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석면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있는 작업장 등의 룸 내부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청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cleaning the inside of a room, such as a workplace with harmful substances such as asbestos.

종래에는 석면 등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 등이 나오는 작업장 내부나, 유해 물질 처리장소 등과 같이 사람이 직접 들어가서 청소작업을 하기 힘든 장소를 청소하기 위해서 실내에 집진장치를 위치시키고, 집진장치를 구동시켜서 실내의 이물질이나 석면 등의 유해물질 등이 집진장치로 강제 유입되도록 하고, 집진장치로 흡입되는 흡입물질들은 집진장치와 외부로 연결되는 회수관을 통해 별도의 포집부로 포집하여 처리하였다.Conventionally, a dust collector is placed in a room in order to clean a place in which a hazardous substance such as asbestos, etc.,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or a place tha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enter and clean, such as a hazardous material treatment place, and a dust collector is operated to operate a room. Foreign substances or asbestos such as asbestos were forcibly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and the suction material sucked into the dust collector was collected and disposed of in a separate collecting unit through a collecting pip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or and the outside.

그런데 상기와 같이 집진장치를 청소 대상 건물(룸)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로,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켜서 이물질, 유해물질 등을 흡입하더라도, 공기의 흐름이 룸 내부에 골고루 발생되지 않고, 중간 부분에서만 집중적으로 공기 흐름이 발생됨으로써, 룸의 코너 등과 같은 부분은 효과적으로 청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state where the dust collector i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to be cleaned (room) as described above, even if a strong suction force is generated to inhale foreign substances or harmful substances, air flow does not occur evenly inside the room, By intensively generating air fl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art such as a corner of the room cannot be cleaned effectively.

따라서, 석면 등과 같이 유해물질 등을 나오는 작업장 내부를 사람이 직접 들어가지 않고 원격에서 자동으로 골고루 청소할 수 있는 청소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cleaning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and evenly cleaning the remote workplaces without direct entry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asbesto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청소구역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청소할 수 있는 청소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leaning system capable of uniformly cleaning the cleaning area as a who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소시스템은, 청소할 구역 내에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장치와; 상기 청소할 구역 내에서 위치 이동되면서, 상기 흡입력 발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통해 상기 청소할 구역 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가지는 가동 흡입유닛과; 상기 흡입력 발생장치와 상기 가동 흡입유닛을 연결하며, 유연하게 움직임 가능한 연결덕트와; 상기 가동 흡입유닛을 상기 청소할 구역 내에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청소할 구역 내에서 상기 가동 흡입유닛에 의해 청소된 영역과 비청소영역을 산출하는 영역 산출부와; 상기 청소할 구역 내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센서; 및 상기 영역 산출부에서 산출된 정보 및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청소할 구역을 전체적으로 상기 가동 흡입유닛이 이동하면서 청소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the area to be cleaned,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movable suction unit having a suction port which moves in position in the area to be cleaned and sucks foreign matter in the area to be cleaned by suction power provided from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device; A connection duct connecting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device and the movable suction unit to be flexible; A drive unit for moving the movable suction unit in the area to be cleaned; An area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n area cleaned by the movable suction unit and a non-clean area in the area to be cleaned; An obstacle detecting sensor detecting an obstacle in the area to be cleane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area calculating unit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while the movable suction unit moves as a whole to the area to be cleaned. It is characterized by.

여기서, 상기 가동 흡입유닛은, 전면에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후면에 상기 연결덕트가 연결되는 연결구를 가지는 유닛 박스; 및 상기 유닛 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vable suction unit, the suction box is formed on the front side, the rear side of the unit box hav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duct; And a filter installed inside the unit box.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유닛 박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좌륜 및 우륜과; 상기 좌륜 및 우륜 각각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좌륜구동부 및 우륜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서 장애물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장애물일 감지된 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추도록 상기 좌륜구동부 및 우륜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left wheel and a right wheel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nit box; And a left wheel driving unit and a right wheel driving unit for selectively driving each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wherein the control unit stops the movement in the detected direction when the obstacl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obstacle detecting unit. It is better to control the left wheel drive and the right wheel drive.

또한, 상기 영역 산출부는, 상기 좌륜 및 우륜의 구동을 감지하는 좌륜 및 우륜구동 감지부와; 상기 좌륜 및 우륜구동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유닛 박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이동정보 검출부와;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에서 장애물을 감지한 위치 및 방향을 검출하는 장애물 위치 검출부와; 상기 장애물 위치 검출부에서 획득된 장애물 위치 및 감지방향을 근거로 하여 상기 청소할 구역의 평면지도 정보를 예측하여 생성하는 지도정보 생성부와; 상기 이동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유닛 박스 이동거리 및 이동방향을 근거로 상기 청소할 구역에서 상기 유닛박스가 실제 이동한 영역을 산출하는 실제 청소영역 산출부; 및 상기 지도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청소할 구역의 평면지도 정보와 상기 실제 청소영역 산출부에서 산출된 실제 청소영역을 비교하여, 비 청소영역을 산출하는 비청소 영역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area calculator may include: a left wheel and right wheel drive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driving of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A movement information detector for calculating a movement direction and a movement distance of the unit box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eft and right wheel drive detection units; An obstacle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position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obstacle is detected by the obstacle sensor; A ma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predicting and generating planar map information of the area to be cleaned based on the obstacle location and the sensing direction acquired by the obstacle location detection unit; An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n area in which the unit box is actually moved in the area to be cleaned based on the unit box moving distance and the moving direction detected by the moving information detector; And a non-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which calculates a non-cleaning area by comparing the planar map information of the area to be cleaned generated by the ma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with the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ed by the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또한, 상기 청소할 구역의 실제 평면지도 정보를 입력하여 제공하기 위한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비 청소영역 산출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와 상기 실제 청소영역 산출부를 비교하여 비 청소영역을 산출하는 것이 좋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and providing actual planar map information of the area to be cleaned, wherein the non-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compares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with the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to calculate the non-cleaning area. Good to do.

또한,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는, 상기 유닛박스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설치되며, 원격의 리모트콘트롤러로부터 전달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installed at each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nit box and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의 청소시스템에 따르면, 석면 등의 유해물질 또는 이물질 등이 나오는 작업장이나 룸과 같이 일정한 구역으로 설정된 청소할 구역에 가동 흡입유닛을 배치하고, 가동 흡입유닛을 위치 이동시키면서 청소할 구역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suction unit is disposed in the area to be cleaned, such as asbestos or other substances such as asbestos, etc., in a work area or a room to be cleaned. You can clean it.

특히, 청소할 구역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장애물 감지센서에서의 감지정보를 근거로 하여, 청소할 구역에 대한 정보를 스스로 생성하여 이동하면서, 청소된 영역(많이 청소된 영역)과, 비청소된 영역(적게 청소된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비청소된 영역(적게 청소된 영역)을 찾아 이동하면서 청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청소할 구역 전체로 흡입유로가 골고루 발생되도록 하여 균일한 청소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청소할 구역 전체를 균일하게 청소함으로써, 석면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작업장이나 룸 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깨끗하게 청소하여 유해물질로 인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even when the information on the area to be cleaned is not provid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the information about the area to be cleaned is generated and moved by itself, while the cleaned area (a lot of the cleaned areas) and By distinguishing the cleaned area (lightly cleaned area),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find and clean the uncleaned area (lightly cleaned are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niformly generate the suction flow path to the entire area to be cleaned. In this way, by uniformly cleaning the entire area to be clea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harmful substances such as asbestos and the like remaining in the workplace or room, and to clean and prevent human injury due to harmful substanc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이 청소할 구역에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동 흡입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동 흡입유닛의 전면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 각각은 청소할 구역에서 청소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을 이용하여 청소할 구역을 청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region to be cleaned.
2 is a side view of the movable suction unit shown in FIG.
Figure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movable suction unit shown in FIG.
5 and 6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forming a cleaning operation in a region to be cleaned.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leaning an area to be cleaned using a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은, 흡입력 발생장치(10)와, 가동 흡입유닛(20)과, 연결덕트(30), 구동부(40), 영역 산출부(50), 장애물 감지센서(60), 제어유닛(70), 저장부(80)를 구비한다.1, 2, 3 and 4, the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device 10, the movable suction unit 20, the connection duct 30, the driving unit ( 40, an area calculator 50, an obstacle detecting sensor 60, a control unit 70, and a storage 80.

상기 흡입력 발생장치(10)는 청소할 구역(100)의 외부에 또는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부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흡입력 발생장치(10)는 상기 연결덕트(30)에 의해 가동 흡입유닛(20)과 연결된다. 이러한 흡입력 발생장치(10)는 내부에 흡입력 즉, 진공 압력을 상기 가동 흡입유닛(20)으로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흡입유닛(20)을 통해 흡입된 흡입물질들을 별도의 회수부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관(12)이 후방에 연결될 수 있다.The suction force generating device 10 may be located outside or inside the area 100 to be cleaned, preferably, it is preferably located outside. The suction force generator 10 is connected to the movable suction unit 20 by the connection duct (30). The suction force generator 10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fan that generates suction force while being rotated by a drive motor and a drive motor for providing suction force, that is, a vacuum pressure to the movable suction unit 20. And a recovery pipe 12 for recovering the suction material sucked through the movable suction unit 20 to a separate recovery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상기 가동 흡입유닛(20)은 연결덕트(30)를 통해 흡입력 발생장치(10)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가동 흡입유닛(20)은 청소할 구역(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위치 이동되면서 이물질, 유해물질 등을 흡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흡입유닛(20)은 유닛박스(21)와, 유닛박스(21)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23)를 구비한다. 상기 유닛박스(21)의 전방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흡입구(21a)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연결덕트(30)가 연결되는 연결구(21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닛박스(21)는 내부의 필터(23)를 교환하거나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서로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movable suction unit 2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force generator 10 through the connection duct 30 to receive the suction force. The movable suction unit 20 is installed inside the region 10 to be cleaned, and moves foreign substances, harmful substances, etc. while being moved. 2 and 3, the movable suction unit 20 includes a unit box 21 and a filter 23 installed inside the unit box 21. The front of the unit box 21 is formed with a suction port (21a) is introduced into the foreign matter, the rear is formed a connector 21b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duct 30. In this case, the unit box 21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lter 23 inside the filter 23 can be replaced or separated.

상기 연결덕트(30)는 흡입력 발생장치(10)의 흡입력을 가동 흡입유닛(20)으로 전달하고, 가동 흡입유닛(20)으로 흡입된 이물질 등을 흡입력 발생장치(10)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덕트(30)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주름진 구조 즉, 소위 자바라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길이 조정은 물론 자유롭게 변형됨으로써 청소할 구역(100) 내에서 가동 흡입유닛(20)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connection duct 30 transfers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force generator 10 to the movable suction unit 20, and moves the foreign matter sucked by the movable suction unit 20 to the suction force generator 10. The connection duct 3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has a corrugated structure, that is, a so-called bellows structure, so that the movable suction unit 20 can be freely moved within the region 100 to be cleaned by being freely modified as well as its length adjustment. Make it possible to clean while movin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40)는 가동 흡입유닛(20)을 청소할 구역(100) 내에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유닛 박스(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좌륜(41)과 우륜(42), 상기 좌륜(41)과 우륜(42) 각각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좌륜구동부(43)와 우륜구동부(44)를 구비한다.3 and 4, the driving unit 40 is for moving the movable suction unit 20 in the area 100 to be cleaned, and includes a left wheel 41 installed below the unit box 21. A right wheel 42, a left wheel driving part 43 and a right wheel driving part 44 for independently driving each of the left wheel 41 and the right wheel 42 are provided.

상기 좌륜(41) 및 우륜(42) 각각은 유닛 박스(21)의 하부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회전구동에 의해 유닛 박스(21)가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좌륜(41) 및 우륜(42) 각각은 청소할 구역(100)의 바닥의 재질에 상관없이 큰 마찰력을 가질 수 있는 고무바퀴인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바퀴 이외에 무한궤도일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박스(21)의 후방으로 보조바퀴(45)가 더 설치되어 가동 흡입유닛(20)이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Each of the left wheel 41 and the right wheel 42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unit box 21, and the unit box 21 is moved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by a respective rotational drive. Each of the left wheel 41 and the right wheel 42 is preferably a rubber wheel capable of having a large friction force regardless of the material of the bottom of the area 100 to be cleaned, and may be an endless track in addition to the rubber wheel.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n auxiliary wheel 45 may be further installed to the rear of the unit box 21 to support the movable suction unit 20 to be stably moved.

상기 좌륜구동부(43)는 좌륜(41)을 독립적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양방향 회전모터인 것이 좋다. 이 좌륜구동부(43)는 제어유닛(70)에 의해 구동 제어됨으로써, 좌륜(41)을 정회전, 역회전 구동시킬 수 있으며, 회전속도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좌륜구동부(43)는 유닛 박스(21)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유닛박스(21)의 하측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left wheel drive part 43 is to drive the left wheel 41 independently of the rotation, preferably a bidirectional rotation motor. The left wheel drive unit 43 is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 thereby driving the left wheel 41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rotation speed. The left wheel driving unit 43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nit box 21 or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lower side of the unit box 21.

상기 우륜구동부(44)는 우륜(42)을 독립적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양방향 회전모터인 것이 좋다. 이 우륜구동부(44)는 제어유닛(70)에 의해 구동 제어됨으로써, 우륜(41)을 정회전, 역회전 구동시킬 수 있으며, 회전속도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우륜구동부(44)도 유닛 박스(21)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유닛박스(21)의 하측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right wheel drive unit 44 is to independently drive the right wheel 42 to rotate, preferably a two-way rotary motor. The right wheel driving unit 44 is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 thereby driving the right wheel 41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also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The right wheel driving unit 44 may also be installed inside the unit box 21 or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lower side of the unit box 21.

상기 영역 산출부(50)는 청소할 구역(100) 내에서 가동 흡입유닛(20)에 의해 청소된 영역과 비청소 영역을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영역 산출부(50)는 좌륜 및 우륜구동 감지부(51)와, 이동정보 검출부(52)와, 장애물위치 검출부(53)와, 지도정보 생성부(54)와, 실제 청소영역 산출부(55) 및 비청소 영역 산출부(56)를 구비한다.The area calculator 50 calculates the area cleaned by the movable suction unit 20 and the non-clean area in the area 100 to be cleaned. The area calculator 50 includes a left and right wheel drive detection unit 51, a movement information detector 52, an obstacle position detector 53, a map information generator 54, and an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or ( 55) and a non-clean region calculation unit 56.

상기 좌륜 및 우륜구동 감지부(51)는 제어유닛(70)에서 좌륜구동부(43) 및 우륜구동부(44) 각각으로 전달되는 구동제어신호를 근거로 하여 좌륜(41) 및 우륜(42) 각각의 구동을 감지한다.The left wheel and right wheel drive detection unit 51 is based on the driv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70 to the left wheel drive unit 43 and the right wheel drive unit 44, respectively, the left wheel 41 and the right wheel 42. Detect each drive.

상기 이동정보 검출부(52)는 좌륜 및 우륜구동 감지부(51)에서 감지된 정보를 근거로 유닛 박스(21)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산출한다. 즉, 이동정보 검출부(52)는 좌륜(41) 및 우륜(42) 각각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전달되는 제어신호로부터 좌륜(41) 및 우륜(42)의 회전방향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유닛 박스(21)의 이동 방향으로 알 수 있으며, 좌륜(41) 및 우륜(42)의 회전수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유닛 박스(21)의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The movement information detector 52 calculates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unit box 21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eft and right wheel drive detectors 51. That is, since the movement information detection unit 52 can know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left wheel 41 and the right wheel 42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drive the left wheel 41 and the right wheel 42, respectively, the unit box ( It can be known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21, and since the rotation speed of the left wheel 41 and the right wheel 42 can be know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unit box 21 can be calculated.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할 구역(100)을 한쪽 구석(모서리)을 가상의 x,y 좌표축의 기준으로 하여 유닛 박스(21)의 이동위치 및 방향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moving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unit box 21 can be calculated based on one corner (edge) of the area 100 to be cleaned as a reference of the virtual x, y coordinate axis.

예를 들어, 유닛 박스(21)는 초기위치(x1,y5)에서 청소작업을 수행한다고 할 때, 직진 방향을 x축으로 하고, 초기위치에서 우측으로 90도 각도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y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위치(x1,y5)에서 유닛 박스(21)가 일정거리 이동될 때마다 이동위치 및 이동방향을 좌표값으로 환산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유닛 박스(21)가 이동한 좌표값들에 대한 정보는 제어유닛(70)으로 전달된다.For example, when the unit box 21 is to be cleaned at the initial positions (x1, y5), the straight direction is set as the x-axis, and the y-axis is moved in the 90 degree angle direction to the right from the initial position. You can do Therefore, each time the unit box 21 is mov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x1, y5) it can be calculated by converting the movement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to the coordinate value, and thus the coordinate values that the unit box 21 has moved Information abou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0.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어유닛(70)은 적어도 청소동작이 마무리되기 전까지 이동정보 검출부(52)에서 검출된 이동 좌표값들을 저장부(80)에 누적하여 저장관리할 수 있게 된다.
Preferably, the control unit 70 may accumulate and manage the movement coordinate values detected by the movement information detector 52 in the storage unit 80 until at least the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상기 장애물 위치 검출부(53)는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60)에서 청소할 구역(100) 내에서 장애물을 감지한 위치 및 방향으로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장애물 위치 검출부(53)는 장애물 감지센서(60)에서 제어유닛(70)으로 제공된 장애물 감지정보를 근거로 하여 청소할 구역(100) 내에서 장애물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The obstacle position detection unit 53 is for detecting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obstacle is detected in the area 100 to be cleaned by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60. That is, the obstacle position detection unit 53 may calculat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obstacle in the area 100 to be cleaned based on the obstacl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60 to the control unit 70. do.

여기서, 장애물 감지센서(60)에서 감지하는 장애물은 실질적으로 청소할 구역(100)을 결정하는 작업장이나 룸 등의 벽에 해당되는 것이다. 따라서 장애물 위치 검출부(53)에서 검출하는 장애물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청소할 구역(100)을 결정하는 벽면의 위치 및 방향정보에 해당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청소할 구역(100)에 대한 정확한 정보, 예를 들어 전체 넓이, 평면 구조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더라도, 가동 흡입유닛(20)을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장애물 감지센서(60)에서 장애물(벽면)을 감지할 때까지 이동시키면서 청소작업을 하면서, 청소할 구역(100)에 대한 정보를 스스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장애물 위치 검출부(53)에서 검출된 정보는 상기 지도정보 생성부(54)로 제공된다.
Here, the obstacle detected by the obstacle sensor 60 corresponds to a wall of a workplace or a room that determines the area 100 to be cleaned substantially.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detected by the obstacle position detection unit 53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wall surface that determines the area 100 to be cleaned.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if accurate information on the area 100 to be cleaned, for example, the overall width and the planar structure, is not given, the movable suction unit 20 is free from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60 regardless of the direction. While moving until the obstacle (wall surface) is detected while cleaning,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area 100 to be cleaned by itself.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position detector 53 is provided to the map information generator 54.

여기서,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60)는 유닛 박스(21)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방센서(61),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센서(62) 및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센서(6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61,62,63)은 접촉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저센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센서일 경우, 레이저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는 구성이 가능하며, 레이저 발광부에서 레이저를 출사하고, 출사된 뒤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량 또는 시간을 산출하여 장애물이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60 may include a front sensor 61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unit box 21, a left sensor 62 installed on the left side, and a right sensor 63 installed on the right side. . The sensors 61, 62, and 63 may be at least one of a contact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a laser senso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ser sensor, it is possible to have a laser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laser emitting unit emits the laser, the position after which the obstacle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light or time that is reflected back You will be able to see if you are at.

상기 지도정보 생성부(54)는 장애물 위치 검출부(53)에서 획득된 장애물 위치 및 감지방향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청소할 구역의 평면지도(구조) 정보를 예측하여 생성한다. 즉, 지도정보 생성부(5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소작업을 위해 가동 흡입유닛(20)을 청소할 구역(100) 내에서 이동시키는 동안에, 이동 방향별로 일정 거리 이동된 이격거리 마다 검출되는 장애물 감지위치정보 또는 무작위로 이동되면서 감지한 장애물 감지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청소할 구역(100)에 대한 평면지도를 예측하여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청소할 구역(100)이 도 5와 같이 직사각형의 평면구조를 가질 경우, 가동 흡입유닛(2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금친 영역(A)을 이동하여 청소할 경우, 지도정보 생성부(54)는 빗금친 영역(A)을 이동하면서 장애물 위치 검출부(53)에서 제공되는 장애물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청소할 구역(100)이 대략 직사각형 평면 구조를 가지며, 그 면적은 x,y 좌표축을 기준으로 하여 최대 (x7,y7)의 좌표값을 가질 수 있는 면적이라는 것을 예측하여 평면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ma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4 predicts and generates the planar map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area to be clea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obstacle location and the detection direction obtained by the obstacle location detection unit 53. That is, the ma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4, as described above, while moving the movable suction unit 20 for the cleaning operation in the area 100 to be cleaned, obstacles detected for every distance moved by a certain distance for each moving direction The planar map for the area 100 to be cleaned can be predicted and generated based on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r the obstacl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at random. For example, when the area to be cleaned 100 has a rectangular planar structure as shown in FIG. 5, when the movable suction unit 20 moves and cleans the hatched area A as shown in FIG. 6, map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part 54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nar structure in which the area to be cleaned 100 is based on the obstacl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bstacle location detector 53 while moving the hatched area A, and the area thereof is the x, y coordinate axis. The planar map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estimating that the area may have a coordinate value of the maximum (x7, y7) based on.

이때, 상기 지도정보 생성부(54)에서 생성되는 청소할 구역(100)에 대한 평면지도 정보는 가동 흡입유닛(20)이 청소할 구역(100)에서 청소하면서 이동하는 시간 및 이동거리 각각에 비례하여 보다 정확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청소작업의 진행률에 비례하여 그 평면지도 정보는 갱신되어 생성되어 저장부(80)에 저장된다.At this time, the planar map information for the area to be cleaned 100 generated by the ma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4 is more proportional to the time and the moving distance that the movable suction unit 20 moves while cleaning in the area 100 to be cleaned. It can be accurate, and thus the planar map information is updated and generated in proportion to the progress of the cleaning operation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80.

상기 실제 청소영역 산출부(55)는 상기 이동정보 검출부(52)에서 검출된 유닛 박스(21)의 이동거리 및 이동방향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청소할 구역(100) 즉, 지도정보 생성부(54)에서 생성된 평면지도상에서 유닛박스(21)가 실제 이동한 영역을 산출하게 된다. 즉, 실제 청소영역 산출부(55)에서는 도 5의 빗금친 영역(A)을 유닛 박스(21)가 이동했을 경우, 그 빗금친 영역(A)을 실제로 청소한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실제 청소영역 산출부(55)는 유닛박스(21)가 이동하면서 청소작업을 하는 동안 유닛 박스(21)의 이동위치 및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이동정보 검출부(52)로부터 전달받고, 전달받은 정보를 근거로 하여 실제 청소한 영역을 갱신하여 산출하게 된다.The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or 55 is the area 100 to be cleaned, that is, the map information generator 54 based on the movement distance and the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unit box 21 detected by the movement information detector 52. The area where the unit box 21 is actually moved is calculated on the plane map generated in the. In other words, when the unit box 21 moves the hatched area A shown in Fig. 5 in the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or 55, the hatched area A can be calculated as the area actually cleaned. As such, the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or 55 receives th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posi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nit box 21 from the movement information detector 52 in real time while the unit box 21 moves while th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actual cleaned area is updated and calculated.

상기 비청소 영역 산출부(56)는 상기 지도정보 생성부(55)에서 생성된 청소할 구역(100)의 평면지도 정보와 상기 실제 청소영역 산출부(55)에서 산출된 실제 청소영역(A)을 을 비교하여, 비청소영역(B)을 산출한다. 따라서 상기 비청소 영역 산출부(56)에서는 청소할 구역(100)을 유닛 박스(21)가 이동되면서 청소하는 동안 생성되는 평면지도 정보와 청소영역 산출부(55)에서 제공되는 실제 청소영역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고, 실시간으로 전달받은 정보들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비 청소영역(B)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어유닛(70)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non-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56 may determine the planar map information of the area 100 to be cleaned generated by the ma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5 and the actual cleaning area A calculated by the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55. Are compared to calculate the non-cleaning area B. Therefore, the non-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56 includes planar map information generated while the unit box 21 is cleaned while the area 100 to be cleaned is moved and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cleaning area provided by the 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55. Received in real time,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received in real time can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 non-cleaning area (B) to the control unit 70 in real time.

그러면, 제어유닛(70)은 실시간으로 비청소 영역 산출부(56)에서 제공되는 정보 즉, 비청소 영역(B)에 대한 정보(좌표값들)를 근거로 하여 유닛 박스(21)가 비청소 영역(B)으로 이동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40)를 구동제어한다. 따라서 청소할 구역(100)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유닛 박스(21)가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청소할 구역(100)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공기 흐름 즉, 흡입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부유중의 유해물질이나 이물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Then, the control unit 70 performs the non-cleaning of the unit box 21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non-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56, that is, the information (coordinate values) for the non-cleaning area B. The driving unit 40 is controlled to move to the area B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Therefore, the entire area 100 to be cleaned is uniformly controlled to move the unit box 21 so that the overall clea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uniformly, and the air flow, that is, the suction force is transmitted uniformly throughout the entire area 100 to be cleaned. It can also effectively remove harmful substances and foreign substances.

상기 저장부(80)에는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60)에서 감지된 장애물 감지정보와, 상기 영역 산출부(50)에서 산출된 각종 정보들이 저장되어 관리된다. 특히 저장부(80)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특정 청소할 구역(100)을 청소하기 시작하여 종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갱신되어 저장되며, 청소 종료 후에는 제어유닛(70)에 의해 선택적으로 삭제되거나 계속 저장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추후에 청소할 구역(100)을 다시 청소할 경우, 미리 저장부(80)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청소작업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storage unit 80 stores and manages obstacl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60 and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area calculator 50.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80 is continuously updated and stored until the end to start cleaning the specific area 100 to be cleaned, and after the cleaning is selectively deleted or continuously stored by the control unit 70 Can be managed. Therefore, when cleaning the area 100 to be cleaned late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more effectively based on th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80.

또한, 사용자가 청소할 구역(100)에 대한 정보 즉, 실제 평면지도 정보를 입력하여 제공하기 위한 정보 입력부(9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입력부(91)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다수의 선택버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formation input unit 91 may be further provided to input 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area 100 to be cleaned by the user, that is, actual planar map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nput unit 9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or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election buttons.

또한, 가동 흡입유닛(20)에는 송/수신부(92)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suction unit 20 may be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92.

따라서 원격의 리모트콘트롤러(110)의 송/수신부(113)와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리모트콘트롤러(110)에 구비된 입력부(115)를 통해 가동 흡입유닛(2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원격 제어부(111)는 입력부(115)를 통해 입력된 작동신호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가동 흡입유닛(20)의 구동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utually transmit / receive control signals and data signals with the transmitter / receiver 113 of the remote controller 110. Therefore, the user can input a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suction unit 20 through the input unit 115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110, the remote control 111 is an oper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5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vable suction unit 20 by generating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따라서 유해물질이 발생되었거나 위험한 영역과 같은 장소를 청소할 경우, 사람이 직접 청소할 구역(100)으로 들어가지 않고, 원격에서 리모트콘트롤러(110)를 작동시켜 청소작업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cleaning a place such as a hazardous material or dangerous area, the person does not go directly into the area to be cleaned 100, it is possible to perform a remote operation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ler 110 from the remote.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을 이용하여 소정의 장소 즉, 청소할 구역(100)에 대해 청소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 to clean a predetermined place, that is, the area 100 to be cleaned using a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청소할 구역(100) 내에 가동 흡입유닛(20)을 위치시키고 흡입력 발생장치(10)를 구동시켜서 청소할 구역(100)에 대한 청소동작을 수행한다(S10).1 to 7, the movable suction unit 20 is positioned in the zone 100 to be cleaned and the suction force generator 10 is driven to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on the zone 100 to be cleaned (S10).

청소동작이 수행되면 제어유닛(70)은 구동부(40)를 구동제어하여 가동 흡입유닛(20)을 청소할 구역(100) 내에서 이동하면서 청소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1). 즉, 제어유닛(70)은 장애물 감지센서(60)에서 장애물(청소할 구역의 벽)을 감지하기 전까지 어느 한쪽으로 직진 이동 또는 방향전환 후 직진 이동되도록 좌륜구동부(43)와 우륜구동부(44)를 각각 구동제어하여 유닛 박스(21)가 이동 되도록 한다.When th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driving unit 40 to move in the area 100 to clean the movable suction unit 20 so as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S11). That is, the control unit 70 moves the left wheel drive unit 43 and the right wheel drive unit 44 so as to go straight after moving or changing direction to either side until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60 detects an obstacle (wall of the area to be cleaned). Drive control so that the unit box 21 is moved.

상기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유닛 박스(21)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이동정보 검출부(52)에서는 유닛 박스(21)의 이동위치 및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이동정보를 검출한다(S12). 상기 이동정보는 앞서 도 5 및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위치(x1,y5)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 이동거리를 기준거리(x2-x1, y2-y1)로 하는 x,y 좌표축을 설정하여 이동위치 및 이동거리를 x,y 좌표값에 대응하여 검출할 수 있다.As the position of the unit box 21 is moved by the driving of the drive unit 40, the movement information detector 52 detects mov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movem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unit box 21 (S12). ).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the movement information sets an x, y coordinate axis based on an initial position (x1, y5) and a predetermined movement distance as a reference distance (x2-x1, y2-y1). The moving position and the moving distance can be detected corresponding to the x and y coordinate values.

이와 함께, 박스 유닛(21)이 이동하면서 장애물 감지센서(60)에서 감지되는 장애물(청소할 구역의 벽) 감지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장애물 위치 검출부(53)에서는 장애물 위치정보를 검출한다(S13). 즉, 상기 장애물 위치 검출부(53)는 유닛 박스(21)가 청소를 위해 위치이동되는 동안 장애물 감지센서(60)에서 감지되는 장애물 감지정보를 지속적으로 전달받아서 장애물의 위치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또한 보다 많이 검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ased on the obstacle (wall of the area to be cleaned)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60 while the box unit 21 moves, the obstacle location detecting unit 53 detects obstacle location information (S13). ). That is, the obstacle position detection unit 53 receives the obstacle detection information continuously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60 while the unit box 21 is moved for cleaning, so tha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is more accurate and more accurate. It can be detected a lot.

그러면, 지도정보 생성부(54)에서는 장애물 위치 검출부(53)에서 검출된 장애물 위치정보로부터 청소할 구역(100)에 대한 평면지도 정보를 예측하여 생성한다(S14). 즉, 지도정보 생성부(54)는 장애물(청소할 구역의 벽)을 감지한 위치정보들을 근거로 하여 x,y 좌표축 상에서 청소할 구역(100)에 대한 평면 형상 즉 평면모양을 예측하여 생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에서 유닛 박스(21)가 빗금친 부분(A)을 무작위로 이동하면서 청소할 수 있으며, 이때, 청소할 구역(100)의 경계(벽)에 인접해서는 장애물 감지센서(60)에서 벽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장애물 감지센서(60)에서 감지한 대표적인 좌표값이 (0,y5),(x1,y6),(x6,y6),(x7,y5),(x7,y1),(x6,0),(x1,0),(0,y1)일 수 있다.Then, the map information generator 54 predicts and generates plane map information on the area 100 to be cleaned from the obstacle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location detector 53 (S14). That is, the map information generator 54 predicts and generates a planar shape, that is, a planar shape, for the area 100 to be cleaned on the x, y coordinate axi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obstacle (the wall of the area to be cleaned) is detected. More specifically, in FIG. 6, the unit box 21 may be cleaned while randomly moving the hatched portion A. In this case,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60 may be adjacent to the boundary (wall) of the area 100 to be cleaned. ), The wall can be detected. Typical coordinate values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60 are (0, y5), (x1, y6), (x6, y6), (x7, y5), (x7, y1), (x6,0), ( x1,0), (0, y1).

그러면, 상기와 같이 장애물이 발견된 좌표값들(0,y5)(x1,y6),(x6,y6),(x7,y5),(x7,y1),(x6,0),(x1,0),(0,y1)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가상의 청소할 구역에 대한 평면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coordinate values (0, y5) (x1, y6), (x6, y6), (x7, y5), (x7, y1), (x6,0), (x1, By connecting 0) and (0, y1) in a straight line,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planar map information for the virtual area to be cleaned.

이와 함께 유닛 박스(21)가 청소를 위해 이동하는 동안 실제 청소영역 산출부(55)에서는 이동정보 검출부(52)에서 검출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실제로 청소한 영역을 산출한다(S15).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박스(21)가 이동하면서 청소한 영역을 빗금친 영역(A)으로 하여 산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ile the unit box 21 moves for cleaning, the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55 calculates the area that has actually been cleaned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ving information detecting unit 52 (S15).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area cleaned while the unit box 21 is moved can be calculated as the hatched area A. FIG.

다음으로 비청소 영역 산출부(56)에서는 지도정보 생성부(54)에서 생성된 청소할 구역(100)과 상기 단계(S15)에서 검출된 실제 청소영역(A)을 비교하여, 비 청소영역(B)을 산출한다(S16).Next, the non-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56 compares the area to be cleaned 100 generated by the ma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4 with the actual cleaning area A detected in the step S15, and determines the non-cleaning area B. ) Is calculated (S16).

상기 단계(S16)에서 비 청소영역(B)이 발견될 경우(S17), 제어유닛(60)은 구동부(40)를 구동제어하여 유닛 박스(21)를 비청소 영역(B)으로 이동시킨다(S18).When the non-cleaning area B is found in the step S16 (S17), the control unit 60 drives the drive unit 40 to move the unit box 21 to the non-cleaning area B ( S18).

따라서 상기 단계(S16)에서 비 청소영역(B)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될 때까지 제어유닛(70)은 구동부(40)를 구동제어하여 비청소영역(B)을 찾아서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청소할 구역(100)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driving unit 40 to move to find and move the non-cleaning area B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non-cleaning area B does not exist in step S16. It becomes possible to clean the entire 100 uniformly.

상기와 같은 청소동작은 제어유닛(70)이 종료 신호를 입력받은 것이 확인될 때(S19)까지 계속해서 진행될 수 있다.The clean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tinued until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rol unit 70 receives the end signal (S19).

또한, 제어유닛(70)은 청소한 영역(A)과 비 청소영역(B)을 구분함에 있어서, 유닛 박스(21)가 이동한 횟수 즉, 청소를 위해 이동한 횟수 또는 머물렀던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하고, 구분 결과에 따라서 유닛 박스(21)가 이동한 횟수 또는 머물렀던 시간이 청소할 구역(100)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동부(40)를 구동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 in distinguishing the cleaned area A and the non-cleaned area B, is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unit box 21 has moved, that is, the number of times that it has moved for cleaning or stayed there. The driving unit 40 may be driven and controlled so that the number of times the unit box 21 moves or the time that the unit has been stayed may be made uniform throughout the area 100 to be cleaned.

따라서, 청소할 구역(100) 전체적으로 유닛 박스(21)가 동일한 시간, 동일한 횟수만큼 경유하도록 제어하여 균일한 청소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unit box 21 to pass through the same time and the same number of times to the entire area 100 to be cleaned so that uniform clea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흡입력 발생장치 20..가동 흡입유닛
21..유닛 박스 23..필터
40..구동부 41..좌륜
42..우륜 43..좌륜구동부
44..우륜구동부 50..영역 산출부
51..좌륜 및 우륜구동 감지부 52..이동정보 검출부
53..장애물 위치 검출부 54..지도정보 생성부
55..실제 청소영역 산출부 56..비청소 영역 산출부
60..장애물 감지센서 70..제어유닛
80..저장부 91..정보 입력부
92,113..송/수신부 100..청소할 구역
110..리모트콘트롤러
10. suction input generator 20. movable suction unit
21. Unit box 23. Filter
40. Driving part 41. Left wheel
42. right wheel 43. left wheel drive
44. Right wheel drive unit 50. Area calculation unit
51 .. Left and right wheel drive detection unit 52. Movement information detector
53. obstacle location detection unit 54. ma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5.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or 56. Non-clean area calculator
60. Obstacle detection sensor 70. Control unit
80. Storage 91. Information input
92,113..Transmission / reception department 100..Area to clean
110. Remote controller

Claims (6)

청소할 구역 내에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장치와;
상기 청소할 구역 내에서 위치 이동되면서, 상기 흡입력 발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통해 상기 청소할 구역 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가지는 가동 흡입유닛과;
상기 흡입력 발생장치와 상기 가동 흡입유닛을 연결하며, 유연하게 움직임 가능한 연결덕트와;
상기 가동 흡입유닛을 상기 청소할 구역 내에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되는 좌륜 및 우륜을 가지는 구동부와;
상기 청소할 구역 내에서 상기 가동 흡입유닛에 의해 청소된 영역과 비청소영역을 산출하는 영역 산출부와;
상기 청소할 구역 내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센서; 및
상기 영역 산출부에서 산출된 정보 및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청소할 구역을 전체적으로 상기 가동 흡입유닛이 이동하면서 청소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흡입유닛은,
전면에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후면에 상기 연결덕트가 연결되는 연결구를 가지는 유닛 박스; 및
상기 유닛 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 산출부는,
상기 좌륜 및 우륜의 구동을 감지하는 좌륜 및 우륜구동 감지부와;
상기 좌륜 및 우륜구동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유닛 박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이동정보 검출부와;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에서 장애물을 감지한 위치 및 방향을 검출하는 장애물 위치 검출부와;
상기 장애물 위치 검출부에서 획득된 장애물 위치 및 감지방향을 근거로 하여 상기 청소할 구역의 평면지도 정보를 예측하여 생성하는 지도정보 생성부와;
상기 이동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유닛 박스 이동거리 및 이동방향을 근거로 상기 청소할 구역에서 상기 유닛박스가 실제 이동한 영역을 산출하는 실제 청소영역 산출부; 및
상기 지도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청소할 구역의 평면지도 정보와 상기 실제 청소영역 산출부에서 산출된 실제 청소영역을 비교하여, 비 청소영역을 산출하는 비청소 영역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할 구역의 실제 평면지도 정보를 입력하여 제공하기 위한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비 청소영역 산출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와 상기 실제 청소영역 산출부를 비교하여 비 청소영역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스템.
A suction force generator installed in the area to be cleaned and generating suction force;
A movable suction unit having a suction port which moves in position in the area to be cleaned and sucks foreign matter in the area to be cleaned by suction power provided from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device;
A connection duct connecting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device and the movable suction unit to be flexible;
A drive unit having a left wheel and a right wheel driven to move the movable suction unit in the area to be cleaned;
An area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n area cleaned by the movable suction unit and a non-clean area in the area to be cleaned;
An obstacle detecting sensor detecting an obstacle in the area to be cleaned; An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area calculating unit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while the movable suction unit moves as a whole to the area to be cleaned.
The movable suction unit,
A unit box having a suction port formed at a front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uct at a rear surface thereof; And
And a filter installed inside the unit box.
The area calculator,
A left wheel and right wheel drive detector for detecting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A movement information detector for calculating a movement direction and a movement distance of the unit box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eft and right wheel drive detection units;
An obstacle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position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obstacle is detected by the obstacle sensor;
A ma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predicting and generating planar map information of the area to be cleaned based on the obstacle location and the sensing direction acquired by the obstacle location detection unit;
An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n area in which the unit box is actually moved in the area to be cleaned based on the unit box moving distance and the moving direction detected by the moving information detector; And
And a non-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for comparing the planar map information of the area to be cleaned generated by the ma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with the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ed by the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to calculate a non-cleaning area.
Further comprising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and providing the actual plane map information of the area to be cleaned,
And the non-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calculates the non-cleaning area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with the actual cleaning area calculating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유닛 박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좌륜 및 우륜과;
상기 좌륜 및 우륜 각각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좌륜구동부 및 우륜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서 장애물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장애물일 감지된 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추도록 상기 좌륜구동부 및 우륜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스템.
Th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left wheel and a right wheel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nit box;
And a left wheel driving unit and a right wheel driving unit for selectively driving each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ft wheel drive unit and the right wheel drive unit to stop the movement in the detected direction when the obstacl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obstacle detection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는,
상기 유닛박스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설치되며,
원격의 리모트콘트롤러로부터 전달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It is installed in each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unit box,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remote controller.
KR1020100079354A 2010-08-17 2010-08-17 A cleaning system KR1013062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354A KR101306220B1 (en) 2010-08-17 2010-08-17 A clea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354A KR101306220B1 (en) 2010-08-17 2010-08-17 A clean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859A KR20120016859A (en) 2012-02-27
KR101306220B1 true KR101306220B1 (en) 2013-09-09

Family

ID=4583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354A KR101306220B1 (en) 2010-08-17 2010-08-17 A clean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22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285B1 (en) * 2017-09-26 2019-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497A (en) 1999-06-09 2000-12-1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Cleaning robot
JP2005211366A (en)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Autonomous traveling robot cleaner
KR20060087062A (en) * 2005-01-28 2006-08-02 황일규 Cleaning robot using vacuum suction from the another vacuum cleaner
KR20070109748A (en) * 2006-05-12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indoor map building of mobile robot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497A (en) 1999-06-09 2000-12-1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Cleaning robot
JP2005211366A (en)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Autonomous traveling robot cleaner
KR20060087062A (en) * 2005-01-28 2006-08-02 황일규 Cleaning robot using vacuum suction from the another vacuum cleaner
KR20070109748A (en) * 2006-05-12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indoor map building of mobile robot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859A (en) 201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084B1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229654B1 (en) Debris evacuation for cleaning robots
EP3230814B1 (en) Using laser sensor for floor type detection
JP6396475B2 (en) Robot vacuum cleaner
KR101055124B1 (en) Robot cleaner system and robot cleaner control method
EP1502533B1 (en) A control system of a robot cleaner
CN109152501B (en) Adjusting height of robotic cleaning device
CN105744872A (en) Adaptive speed control of rotating side brush
JP2005211365A (en) Autonomous traveling robot cleaner
KR101324166B1 (en) Robot cleaner and self testing method of the same
JP2020116380A (en) System composed of floor processor to be guided only manually and floor processor that travels only automatically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ystem
KR101938703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05211367A (en) Autonomous traveling robot cleaner
KR101492069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03159B1 (en) Robot cleaner and self testing method of the same
KR101303158B1 (en) Robot cleaner and self testing method of the same
WO2007083459A1 (en) Self-propelled mobile body
KR101371036B1 (en) Robot cleaner and self testing method of the same
KR101306220B1 (en) A cleaning system
KR20090033782A (en) Ultrasonic waves distance sensor and robot cleaner using the same of
KR102016993B1 (en) Robot cleaner and apparatus for managing cleaning of robot cleaner
KR102122237B1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863248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of
KR101479238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of
JP2020518062A (en)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