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413B1 - Touch stamp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uch stamp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413B1
KR101305413B1 KR1020130061152A KR20130061152A KR101305413B1 KR 101305413 B1 KR101305413 B1 KR 101305413B1 KR 1020130061152 A KR1020130061152 A KR 1020130061152A KR 20130061152 A KR20130061152 A KR 20130061152A KR 101305413 B1 KR101305413 B1 KR 101305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ttern
stamp
present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1681A (en
Inventor
최영우
Original Assignee
최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우 filed Critical 최영우
Priority to KR1020130061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413B1/en
Publication of KR20130081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6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사람이 직접 입력하기 어려운 패턴의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탬프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평하고,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일단면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패턴 및 위치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터치패턴에 따라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일단면으로부터 상기 몸체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밀한 패턴의 터치입력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using a touch stamp that can perform a touch input of a pattern that is difficult for a human to directly input to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multi-touch. The present invention is flat and has a body having one end surface through which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And one or more touch protrusions stored inside the body and selectively protruding from the one end surface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rough the through hole according to a touch pattern having at least one of a preset time pattern and a posi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ouch input of a precise pattern to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ossible.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TOUCH STAMP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TOUCH STAMP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위한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사람이 직접 입력하기 어려운 패턴의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탬프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tamp for a mobile terminal, and a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tamp for performing a touch input of a pattern that is difficult for a human to directly input to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multi-touch. It is about how to perform authentication.

최근 들어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다양한 휴대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들은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형화, 경량화 및 단순화된 디자인을 갖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소형화, 경량화 및 단순화된 디자인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단말기 전면에 드러나는 하드웨어 구성을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는 최대화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전면에 터치패널을 입력수단으로서 채용하여, 터치스크린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서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버튼 등의 하드웨어적 입력수단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휴대 단말기가 일반화되었다.Recently, various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re widely used. Such portable terminals are often miniaturized, lightweight, and simplified in order to increase portability. As described above,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mall size, a light weight, and a simplified design, a touch screen is often configured by using a touch panel as an input means on the front of the display in order to minimize the hardware configuration exposed to the front of the terminal and maximize the display. I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such a touch screen, since a hardware input means such as a button for user input is minimized, a portable terminal employing the touch screen has become common in recent years.

한편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 단말기에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화상 출력 및 사용자 입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멀티터치의 인식이 가능한 터치패널을 채용하는 것이 최근의 경향인데, 여기서 멀티터치 기술은 동시에 여러 개의 터치 포인트를 인식하는 기술로, 일반적인 하나의 터치 포인트만 인식을 하는 것보다 더 다양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such a touch screen type mobile terminal, a recent trend is to adopt a touch panel capable of recognizing multi-touch in order to optimize image output and user input by using a small size display. The technology of recognizing multiple touch points enables more various operations than recognizing only one general touch point.

그러나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의 멀티터치 기술을 이용한 응용 기술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멀티터치 기술은 일반적으로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한 기술로만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멀티터치 기술이 널리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사람이 손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패턴의 정밀성에 제한이 있을 뿐 아니라, 손으로 입력되는 패턴은 매번 동일하기 어렵고 임의적이기 때문이다. However, the application technology using the multi-touch technology of the mobile terminal adopting such a touch screen is not fully utilized. In particular, multi-touch technology is generally used only as a technology for enlarging or reducing a screen. The reason why the multi-touch technology is not widely used is not only because there is a limitation on the precision of touch patterns that a human can input by using a hand, but also the patterns input by a hand are difficult and arbitrary each time.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의 멀티터치 기술의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는 터치입력 수단으로서, 터치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tamp as a touch input means that can expand the utility of the multi-touch technology of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바에 따라 정밀한 패턴의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tamp that can perform a touch input of a precise patter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bar with respect to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속적으로 동일한 패턴의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tamp capable of continuously performing touch input of the same patter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잡한 패턴에 따른 터치입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응용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tamp that enables various application functions in a portable terminal by enabling a touch input according to a complex patter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람의 손으로 하기 어려운 정밀한 터치패턴의 터치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이를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각종 인증절차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tamp that can be utilized in various authentication procedures performed in a portable terminal by performing a touch input of a precise touch pattern that is difficult to be performed by a human ha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평평하고,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일단면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패턴 및 위치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터치패턴에 따라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일단면으로부터 상기 몸체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lat and has a body having one end surface through which one or more through holes are formed; And one or more touch protrusions stored inside the body and selectively protruding from the one end surface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rough the through hole according to a touch pattern having at least one of a preset time pattern and a position pattern.

그리고 상기 터치스탬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돌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touch stamp may further include dri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one or more touch protrusions to protrude out of the body.

또한 상기 터치스탬프는 하나의 터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나의 터치돌기를 미리 정해진 시간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stamp may include one touch protrusion, and the driving means may control the one touch protrusion to selectively protru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pattern.

나아가 상기 터치스탬프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는 둘 이상의 터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둘 이상의 터치돌기를 동시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touch stamp may include two or more touch protrusions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respectively, and the driving means may control the two or more touch protrusions to protrude selectively at the same time.

이때 상기 터치스탬프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는 둘 이상의 터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둘 이상의 터치돌기를 각각 서로 다른 시간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each of the touch stamps may include two or more touch protrusions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the driving means may control the two or more touch protrusions to protrude selectively according to different time pattern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평평하고,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일단면을 갖는 몸체와; 미리 설정된 시간패턴 및 위치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터치패턴에 따라 상기 일단면으로부터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며,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터치단자; 그리고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고, 그 일단이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단자에 연결되어, 전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flat, having one end surface through which one or more through-holes; At least one touch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rough the through hole from the one end surface according to a touch pattern having at least one of a preset time pattern and a position pattern;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bod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touch terminals to form a charge transfer path.

이때 상기 터치스탬프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어 사람의 신체와 접촉하면 사람의 신체와 함께 전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touch stamp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to contact the human body to form a charge transfer path together with the human body.

나아가 상기 터치스탬프는 하나의 터치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형성하는 전하 이동경로를 미리 정해진 시간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단락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Further, the touch stamp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including one touch terminal and selectively opening or shorting the charge transfer path formed by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pattern.

또한 상기 터치스탬프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는 둘 이상의 터치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둘 이상의 터치단자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전하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가 형성하는 둘 이상의 전하 이동경로를 각각 서로 다른 시간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단락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stamps may include two or more touch terminals, each of which is arranged at a different position, and the connection unit forms a different charge transfer path for each of the two or more touch terminals, and the two or more charge transfer paths formed by the connection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opening or shorting each according to a different time patter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의 멀티터치 기술의 활용성을 확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서의 다양한 응용 기술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application technologies in the portable terminal by expanding the utilization of the multi-touch technology of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밀한 패턴의 터치입력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ouch input of a precise pattern i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에 의하면 지속적으로 동일한 패턴의 터치입력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ouch input of the same pattern can be repeatedly performed.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에 의하면, 복잡한 패턴에 따른 터치입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응용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utilize various application functions in the portable terminal by enabling a touch input according to a complicated patter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에 의하면 사람의 손으로 하기 어려운 정밀한 터치패턴의 터치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이를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각종 인증절차에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a touch input of a precise touch pattern that is difficult to be performed by a human h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authentication procedures performed in a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럭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럭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터치돌기 및 터치단자의 형태 및 동작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망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를 이용한 인증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 stam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functional block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 stam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functional block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to 5c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shap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touch projection and the touch terminal of the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networ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thentication system using a touch st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touch st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탬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럭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럭도이다. 또한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터치돌기 및 터치단자의 형태 및 동작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and 4B are functions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5A to 5C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the shap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touch projection and the touch terminal of the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스탬프'는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상에 미리 정해진 일정한 패턴의 터치입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의미한다.Before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uch stamp' means a device configured to apply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employing the touch screen.

이와 같은 터치스탬프가 터치스크린에 가하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패턴을 이하에서 '터치패턴'이라고 표현하기로 하며, 터치패턴은 상기 터치스탬프에 의하여 가해지는 터치입력의 시간패턴 및/또는 터치입력의 위치패턴을 포함한다. A predetermined constant pattern applied to the touch screen by the touch stamp will be referred to as a touch pattern hereinafter, and the touch pattern indicates a time pattern of the touch input applied by the touch stamp and / or a position pattern of the touch input. Include.

터치스탬프는 터치입력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의 터치입력 감지방식이 압력식인 경우와 접촉식인 경우 그 구성이 상이한데, 압력식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를 이하에서 제1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접촉식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를 이하에서 제2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The touch stamp has a different configuration when the touch input has a touch input sensing method of a touch screen of a mobile terminal and a touch type. The touch stamp for a portable terminal employing a pressure type touch screen is described below in the first embodiment. A touch stamp for a portable terminal employing a touch touch screen will be described below as a second embodiment.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를 도 1 및 도 2a 내지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A to 2B.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100)는 상기 터치스탬프(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고, 내부 구성을 포함하는 몸체(10)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 the touch stamp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overall shape of the touch stamp 100 and includes a body 10 includ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일단면(11)에는 구동버튼(12)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버튼(12)은 상기 일단면(1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일정구간을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구동버튼(12)이 외력에 의하여 상기 몸체(10)를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터치스탬프(100)가 미리 정해진 터치패턴으로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도록 하고, 상기 구동버튼(12)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몸체(10) 반대방향으로 상기 구동버튼(12)이 복귀하면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이 중단되도록 한다. 즉, 상기 구동버튼(12)은 선택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구동버튼(12)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이면 어디라도 될 수 있다.One end surface 11 of 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 driving button 12. The drive button 12 may be installed to reciprocate a predetermined s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ne end surface 11, for example, the drive button 12 is the body 10 by the external force Towards the touch stamp 100, the touch stamp 100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predetermined touch pattern, a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button 12 is removed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ody 10. When the driving button 12 returns,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is stopped. That is, the driving button 12 is a means for selectively applying a touch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a part operated by the user.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driving button 12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shown in the figure, it may be anywhere on one side of the body 10.

한편 상기 일단면(11)의 타단에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타단면(13)이 형성된다. 상기 타단면(13)은 상기 터치스탬프(10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을 가할 때,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스크린에 밀착되는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surface 13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one end surface (11). The other end surface 13 is a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by the user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touch stamp 100.

상기 타단면(13)에는 하나 이상의 터치돌기(15)가 상기 타단면(13)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터치돌기(15)는 상기 터치스탬프(100)에 대하여 미리 결정되는 터치패턴이 어떤 패턴인지에 따라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더 많이 구비될 수도 있다. One or more touch protrusions 15 are installed on the other end surface 13 so as to be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other end surface 13. The touch protrusion 15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depending on which pattern the touch pattern is pre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touch stamp 100.

한편 위와 같은 터치스탬프(100)는 둘 이상의 실시예로 다시 구분될 수 있는데, 전원이 구비되는 경우와 구비되지 않는 경우를 나누어 설명한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위와 같은 터치스탬프(100)의 구성을 기능적인 요소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구동부(110)가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10)는 외력을 받거나 또는 상기 터치스탬프(100) 내에 구성되는 전원부(130)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후술할 터치돌기(15)를 동작시키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상기 터치스탬프(100) 내에 전원이 구성되지 않는 경우, 도 1의 터치버튼(12)과 같이 외력을 받아 이동하는 수단이 상기 구동부(110)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b와 같이 상기 터치스탬프(100) 내에 전원부(13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110)는 전동모터 등 전기적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전환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130)는 배터리나 외부전원을 수신받는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touch stamp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embodiments, which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a case where a power source is provided and a case where a power source is not provided. 2A and 2B,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touch stamp 100 as described above is divided into functional elements, the driving unit 110 is configured first. The driving unit 110 is a means for operating the touch protrusion 15 to be described later by receiving an external force or a driving force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0 configured in the touch stamp 100, for example, the touch stamp as shown in FIG. When the power is not configured in the 100, means for moving under external force, such as the touch button 12 of FIG. 1, may correspond to the driving unit 110. When the power supply unit 130 is provided in the touch stamp 100 as shown in FIG. 2B, the driving unit 110 may be provided as a means f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such as an electric motor into mechanical energy.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be configured as a means for receiving a battery or external power.

그리고 상기 구동부(11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터치돌기(15)에 동력이 전달되는데, 이를 위항 상기 구동부(110)와 상기 터치돌기(15) 사이에는 동력전달부(1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상기 터치스탬프(100) 내에 별도의 구동원이 없는 경우, 상기 구동부(110)로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110)가 움직이면 그에 따른 힘을 상기 터치돌기(1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상기 터치스탬프(100)의 몸체(10) 내에서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로드(rod)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치버튼(12)이 상기 몸체(10)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터치버튼(12)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120)의 일단이 상기 터치돌기(15)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터치돌기(15)를 상기 타단면(13)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터치버튼(12)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터치버튼(12)과 로드 형상의 상기 동력전달부(120)가 원래의 자리로 복귀하면서 상기 터치돌기(15)도 상기 몸체(10) 내부로 다시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power is transmitted to the touch protrusion 15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10.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0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driving unit 110 and the touch protrusion 15. When there is no separate driving source in the touch stamp 100,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0 moves the corresponding force to the touch protrusion 15 when the driving unit 110 is mov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10. It can play a role.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0 extends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in the body 10 of the touch stamp 100. When the touch button 12 is moved toward the body 10, one end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0 is pushed toward the touch protrusion 15 by the touch button 12. Meanwhile, the touch protrusion 15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other end surface 13. In this case,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touch button 12 is removed, the touch button 12 and the rod-shaped power transmission unit 120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the touch protrusion 15 also includes the body ( 10) can be received back inside.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110)가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전동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터치돌기(15)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나, 렉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조합 등 일반적으로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B, when the power supply unit 130 is provided and the driving unit 110 is configured by an electric motor operated by a power sourc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0 converts a rotational movement into a linear movement. It can serve to deliver to the touch projection (15). For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0 may include a connecting rod or a means for converting a rotational motion into a horizontal motion, such as a combination of a lag gear and a pinion gear.

이때, 특히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터치스탬프(100)의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돌기(15)를 각각 미리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일정한 터치패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터치돌기(15)가 외부로 노출되는 시간과 다시 내부로 수용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시간패턴(모스 부호(Morse Code)와 같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부(11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5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150)는 인버터(Inverter)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110)의 구동속도와 구동방향, 구동여부 등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스탬프(100)에서 상기 터치버튼(12)을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정해진 터치패턴에 따라 상기 터치돌기(15)를 구동시킨 후 터치패턴에 따른 구동이 완료되면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touch stamp 100 that operates using an internal power source as shown in FIG. 2B, one or more touch protrusions 15 are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respectively, over time. It is possible to form a constant touch pattern according to, for example, by adjusting the time that one touch projection 15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time is accommodated again inside the time pattern (such as Morse code (Morse Code)) Can be formed. For this purpose, a control unit 150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10 may be provided. The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an inverter, and the driving speed and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110 may be provided. And so on. In addition, when a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touch button 12 in the touch stamp 100 as shown in FIG. 1, the controller 150 drives the touch protrusion 15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ouch pattern, and then touch pattern. It may also serve to stop when the driving according to the.

여기서 또한 상기 터치돌기(15)가 여러 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터치돌기(15)를 따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110)나 동력전달부(120)가 각각 별개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구동부(110)의 구동방향에 따라 구동되는 터치돌기(15)가 서로 달리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touch protrusion 15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ses.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driving unit 110 or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0 may be provided separately to control each touch protrusion 15 separately. Alternatively, the touch protrusions 15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110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한편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를 설명하면,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두 개의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touch stam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touch stamp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ivided into two embodiments again as shown in the drawing. Can be.

먼저 상기 터치스탬프(200) 내에 전원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터치스탬프(200)는 몸체(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0)는 상기 터치스탬프(20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고, 내부 구성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First, a case in which power is not provided in the touch stamp 200 will be described. The touch stamp 200 includes a body 20. The body 20 forms the overall shape of the touch stamp 200, and serves to surround the internal configuration.

그리고 상기 몸체(20)의 일측에는 접촉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24)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고 후술할 터치단자(25)와 전하의 이동이 가능한 경로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접촉부(24)에 사람의 인체가 선택적으로 닿으면 휴대 단말기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으로서, 상기 터치단자(25)를 전도성 있고 접지와 연결되는 외부 구성(인체)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부분이고,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접촉부(24)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몸체(20)의 일측이면 어디라도 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물질은, 금속이나 액체 또는 고체전해질 등을 포함함으로써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And one side of the body 20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24. The contact part 24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forms a path through which a charge can move with the touch terminal 25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a switching means for applying a touch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human body selectively touches the contact portion 24, and the touch terminal 2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an external component (human body). It is a part to be connected and a part operated by a user.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ortion 24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shown in the figure, it may be anywhere on one side of the body 20. Here, the conductive material means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by including a metal, a liquid, or a solid electrolyte.

한편 상기 일단면(21)의 타단에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타단면(23)이 형성된다. 상기 타단면(23)은 상기 터치스탬프(20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을 가할 때,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스크린에 밀착되는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surface 23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one end surface 21 is a plane. The other end surface 23 is a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by the user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touch stamp 200.

상기 타단면(23)에는 하나 이상의 터치단자(25)가 상기 타단면(23)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터치단자(25)는 상기 타단면(23)에 평평하게 또는 외부로 소정높이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단자(25)는 상기 터치스탬프(200)에 대하여 미리 결정되는 터치패턴이 어떤 패턴인지에 따라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더 많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터치단자(25)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One or more touch terminals 25 are installed on the other end surface 23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ther end surface 23. The touch terminal 25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end surface 23 to be expo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flat or outward. The touch terminal 25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depending on which pattern the touch pattern is pre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touch stamp 200. In this case, the touch terminal 25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그에 따라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 등 접촉식 터치패널에 상기 터치단자(25)가 밀착되고 상기 접촉부(24)에 사람의 손이 닿으면, 전하의 이동 경로가 형성되면서 전하의 이동이 발생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패널에 대한 상기 터치단자(25)들의 터치패턴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touch terminal 25 is in close contact with a touch type touch panel such as a capacitive touch panel and a human hand touches the contact portion 24, a movement path of the charge is formed while the charge is generated and is carried. The terminal may detect the touch pattern of the touch terminals 25 with respect to the touch panel.

이와 같은 터치스탬프(200)의 기능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10)가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210)는 상기 터치단자(25)를 상기 접촉부(24)와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역시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다. Looking at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such a touch stamp 200, as shown in Figure 4a is a connecting portion 210 is configured. The connection portion 210 is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touch terminal 25 to the contact portion 24, also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스탬프(200) 내에 전원이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B, power may be provided in the touch stamp 200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몸체(20)의 일단면(21)에는 구동버튼(22)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버튼(22)은 상기 일단면(2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일정구간을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구동버튼(22)이 외력에 의하여 상기 몸체(20)를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터치스탬프(200)가 미리 정해진 터치패턴으로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버튼(22)은 선택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으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구동버튼(22)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몸체(20)의 일측이면 어디라도 될 수 있다.One end surface 21 of the body 20 is provided with a driving button 22. The drive button 22 may be installed to reciprocate a predetermined s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ne end surface 21, for example, the drive button 22 is to the body 20 by an external force When moving toward the touch stamp 200, the touch stamp 200 may apply a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touch pattern. That is, the driving button 22 is a switching means for selectively applying a touch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a part operated by a user.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drive button 22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shown in the figure, it may be anywhere on one side of the body 20.

한편 상기 일단면(21)의 타단에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타단면(23)이 형성된다. 상기 타단면(23)은 상기 터치스탬프(20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을 가할 때,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스크린에 밀착되는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surface 23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one end surface 21 is a plane. The other end surface 23 is a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by the user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touch stamp 200.

상기 타단면(23)에는 하나 이상의 터치단자(25)가 상기 타단면(23)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터치단자(25)는 상기 타단면(23)에 평평하게 또는 외부로 소정높이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단자(25)는 상기 터치스탬프(200)에 대하여 미리 결정되는 터치패턴이 어떤 패턴인지에 따라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더 많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터치단자(25)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One or more touch terminals 25 are installed on the other end surface 23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ther end surface 23. The touch terminal 25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end surface 23 to be expo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flat or outward. The touch terminal 25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depending on which pattern the touch pattern is pre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touch stamp 200. In this case, the touch terminal 25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나아가 상기 터치스탬프(200)의 일측에 상기 터치단자(25)를 전도성 있고 접지와 연결되는 외부 구성(예를 들어, 인체)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접촉부(24)가 구비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다. Further, as a part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touch terminal 25 to one side of the touch stamp 200 with an external configuration (eg, a human body) that is conductive and connected to the ground, the contact part 24 may be provided. Same as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터치스탬프(200)의 구성을 기능적 요소로 나누어 설명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10)에 스위칭소자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소자는 상기 연결부(210)와 상기 접촉부(24)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ouch stamp 200 divided into functional elements as shown in Figure 4b, the connection portion 210 is provided with a switching element. The switching element switch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part 210 and the contact part 24.

그리고 상기 연결부(21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50)는 전원부(2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스위칭소자를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개방 또는 단락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접촉부(24)와 상기 터치단자(25) 사이의 연결 경로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한다. And the control unit 250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unit 210 is configured. The control unit 25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30 and opens or shorts the switching device as previously set. Accordingly,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4 and the touch terminal 25 is selectively connected or blocked.

한편 여기서 상기 구동버튼(22)이 구동되면, 상기 제어부(250)로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를 제어하라는 명령이 전달된다. Meanwhile, when the driving button 22 is driven, a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50 to control th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또한 위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210)에 포함되는 스위칭소자를 중심으로 도면 좌측 부분에서, 상기 접촉부(24) 대신에 전기용량을 갖는 소자(예를 들어, 캐패시터)와 접지(미도시)가 연결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left part of the figure centering on the switching element included in the connection part 210, an element having a capacitance (for example, a capacitor) and a ground (not shown) may be connected instead of the contact part 24. It may b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100, 200)에 의한 터치패턴을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터치돌기(15) 또는 상기 터치단자(25)는 하나만 구성되고, 상기 터치돌기(15) 또는 상기 터치단자(25)가 미리 정해진 복수의 단위시간 내에 터치 또는 비터치 동작함으로써 패턴을 이룬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스탬프(100)나 도 4b에 도시된 터치스탬프(200)에서 상기 터치돌기(15)와 상기 터치단자(25)를 미리 정해진 시간패턴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상에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이와 같은 시간패턴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If the touch pattern by the touch stamp (100,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5a to 5c, first, the touch projection 15 or the touch terminal 25 is configured only one The touch protrusion 15 or the touch terminal 25 forms a pattern by touch or non-touch operation withi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unit times. That is, by operating the touch protrusion 15 and the touch terminal 25 in a predetermined time pattern in the touch stamp 100 or the touch stamp 200 shown in FIG. When operating on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he portable terminal can recognize such a time pattern.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돌기(15)나 터치단자(25)가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터치돌기(15)나 터치단자(25)를 따로 동작시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의 터치돌기(15)나 터치단자(25)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을 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B, when at least two or more touch protrusions 15 or touch terminals 25 are provided, each of the touch protrusions 15 and the touch terminals 25 may be operated separately to each other as time passes. The touch protrusion 15 or the touch terminal 25 at another position may apply a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나아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100)는 복수의 터치돌기(15)나 터치단자(25)를 구비하되, 이와 같은 복수의 터치돌기(15)나 터치단자(25)는 일정한 패턴에 따라 배열되고, 터치스크린에 동시에 터치입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urthermore, as illustrated in FIG. 5C, the touch stamp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protrusions 15 or touch terminals 25, but such a plurality of touch protrusions 15 or touch terminals are provided. 25 is arr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and may be configured to apply a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터치스탬프(100)를 이용하면 휴대 단말기 터치스크린 상에 정해진 패턴에 따른 터치입력을 가함으로써 다양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단순히 휴대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오프라인상에서 발급되는 쿠폰이나 스탬프 카드 등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구현함에 있어서, 쿠폰 또는 스탬프 카드 발급 주체를 인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스탬프(100)를 사용할 수 있다.Using the touch stamp 100 as described above, various authentications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 touch in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 touch stamp 100 may perform a function of unlocking the portable terminal. In implementing the coupon or stamp card, etc. issued on-lin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touch stamp 100 may be used as a method of authenticating the coupon or stamp card issuer.

이와 같은 터치스탬프(100)를 이용한 인증방법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망구성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를 이용한 인증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An embodiment of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such a touch stamp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6 is a networ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thentication system using a touch st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step by step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touch st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증시스템에는 복수의 휴대 단말기(2000)와, 이들과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하는 인증서버(1000)가 포함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2000)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2000 and an authentication server 1000 that communicates with them through a network N. The portable terminal 200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그리고 상기 인증서버(1000)는 각각의 터치스탬프(100, 200)의 터치패턴정보와, 각각의 터치스탬프(100, 200)에 대응하는 제휴사의 가맹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00)를 구비한다. 이때 터치패턴정보는 제휴사 또는 가맹점마다 서로 달리 정해진 고유의 패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server 1000 includes a database 1100 for storing touch pattern information of each touch stamp 100 and 200 and affiliated store information of affiliates corresponding to the touch stamps 100 and 200. In this case, the touch pattern information may include unique pattern information determined differently for each affiliate or affiliated store.

그에 따라 상기 인증서버(100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서 상기 터치스탬프(100, 200)에 의한 일정한 터치패턴이 인식되면, 이와 같이 인식된 터치패턴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200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터치패턴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00)에 저장된 복수의 터치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터치패턴정보를 검색한다. 그리하여 일치하는 터치패턴정보가 있으면, 그에 대응하는 제휴사의 가맹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 대한 터치패턴 입력이 해당 가맹점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인증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 해당 가맹점 정보 및 인증성공신호를 전송한다. Accordingly, when the mobile terminal 2000 recognizes a predetermined touch pattern by the touch stamps 100 and 200, the authentication server 1000 receives the recognized touch patter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2000. . The received touch pattern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a plurality of touch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100 to search for matching touch pattern information. Thus, if there is matching touch pattern information, the affiliate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ffiliated company is checked to confirm that the touch pattern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2000 is performed at the affiliated store, and the merchant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s performed on the mobile terminal 2000. Send a success signal.

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서는 상기 인증서버(1000)로부터 수신된 가맹점 정보 및 인증성공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2000 performs a preset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affiliate store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1000.

이와 같은 인증시스템(1000)에 의한 인증과정의 일실시예로서, 온라인 스탬프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서 스탬프카드 앱이 실행되는 단계(S100)가 수행된다.As an embodiment of the authentication process by the authentication system 1000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providing an online stamp card ser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First, a step of executing a stamp card app in the mobile terminal 2000 ( S100) is performed.

상기 스탬프카드 앱은 상기 인증서버(1000)와 연동하는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가맹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터치패턴을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입력받으면 상품이나 서비스와 교환 가능한 쿠폰을 지급하는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The stamp card app is an application for a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authentication server 1000. For example, when the stamp card app receives a preset touch pattern for a predetermined merchant, the coupon is exchanged with a product or a service. It can be an application.

그리고 상기 스탬프카드 앱이 실행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 상기 인증서버(1000)의 운영주체와 미리 계약된 복수의 가맹점의 리스트가 제공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예를 들면, 커피전문점이나 식당 등의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2000)는 상기 리스트에서 하나의 가맹점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S110).When the stamp card app is executed, a step of providing the portable terminal 2000 with a list of a plurality of affiliated shops contracted with an operating entity of the authentication server 1000 is performed. For example, a list of coffee shops or restaurants may be provided.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2000 receives one affiliated store from the list by the user (S110).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2000)는 선택받은 가맹점에 대응하는 스탬프카드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커피전문점 '커피빈'에 대한 스탬프카드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고, 이미 받은 스탬프의 갯수와 쿠폰을 받기 위해 앞으로 받아야할 스탬프의 갯수가 함께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2000 displays a stamp car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ffiliated store. For example, a stamp card for a coffee shop 'coffee bean'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number of stamps already received and the number of stamps to be received in order to receive a coupon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또한 상기 터치스탬프(100, 200)를 이용한 터치입력을 받기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2000)의 터치스크린에 스탬프영역이 표시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스탬프영역은 스탬프카드의 구획된 복수의 영역 중 스탬프를 받지 않은 영역이 될 수도 있고, 별개의 영역이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tep (S120) of displaying a stamp area on a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2000 is performed in order to receive a touch input using the touch stamps 100 and 200. In this case, the stamp area may be an un stamped area or a separate area among a plurality of partitioned areas of the stamp card.

그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스탬프영역에는 상기 터치스탬프(100, 200)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2000)가 상기 스탬프영역 내에 터치입력을 감지(S130)하면, 감지된 터치입력의 터치패턴을 상기 S110단계에서 선택받은 가맹점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터치패턴과 비교하여 미리 저장된 터치패턴과 동일한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는 각각의 가맹점에 대응하는 터치패턴이 미리 저장되고, 입력받은 터치패턴을 이와 비교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0)가 입력받은 터치패턴의 정보를 상기 인증서버(1000)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상기 인증서버(1000)가 전송받은 터치패턴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00)에 저장된 터치패턴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a touch input from the touch stamps 100 and 200 may be applied to the stamp area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mobile terminal 2000 detects a touch input in the stamp area (S130), the touch pattern of the detected touch input is compared with the touch pattern stored in advan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affiliate store selected in step S1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ttern is the same as (S140). In this case, the touch pattern corresponding to each affiliated store is stored in advance in the mobile terminal 2000, and the input touch pattern may be compared with this, or the information of the touch pattern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2000 is authenticate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0 and, accordingly, authentication of the touch pattern receiv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1000 may be compared with the touch pattern stored in the database 1100.

그리고 동일한 패턴에 해당하면, 상기 스탬프카드에 하나의 스탬프를 더 추가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S150). 그에 따라 추가된 스탬프의 갯수가 미리 설정된 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60), 미리 정해진 수만큼 누적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증서버(1000)가 이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2000)로 전자 쿠폰을 발급하는 단계(S170)가 수행된다.If it corresponds to the same pattern, one more stamp is added to the stamp car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S150). According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added stamps reaches a preset number (S160),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ccumulated number is accumulated by the predetermined number, the authentication server 1000 checks this and electronic coupon is sent to the mobile terminal 2000. Issuing step (S170) is performed.

즉, 가맹점에서는 각각 고유한 터치패턴을 갖는 터치스탬프(100, 200)를 구비하고, 사용자들은 자신의 휴대 단말기(200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터치스탬프(100, 200)로부터 터치입력을 받아, 미리 저장된 각 가맹점에 대한 터치패턴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통해 실제 가맹점으로부터 터치입력을 받은 것인지 여부를 인증하게 된다. That is, the affiliated stores are provided with touch stamps 100 and 200 each having a unique touch pattern, and users receive a touch input from the touch stamps 100 and 200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ir portable terminal 2000. It is authenticated whether or not a touch input is received from an actual affiliate store through whether the corresponding touch pattern for each affiliate store is stored in advance.

이로써, 손으로 입력받기 어려운 터치패턴을 갖는 터치입력을 상기 터치스탬프(100, 200)로부터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도장을 이용한 인증방법과 같은 인증방법을 온라인 상에서 구현할 수 있다. Thus, by receiving a touch input having a touch pattern that is hard to be input by hand from the touch stamps 100 and 200, an authentication method such as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general seal can be implemented online.

당업자는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을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대체 가능성을 분명히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단계들을 주로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상술하였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될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들에 의존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reciate that various example logic blocks and algorithm step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electronic hardware, computer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To clearly illustrate this possibility of replacing hardware and software, various illustrative steps have been described above primarily in terms of their functionality. Whether such functionality is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depends up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and design constraints imposed on the overall system.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는 않아야 한다.Skilled artisans may implement the described functionality in varying ways for each particular application, but should not interpret it as causing a decision of such implementation to fall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 예는 본원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ddition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othe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but is limited only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200: 터치스탬프 1000: 인증서버
2000: 휴대 단말기 N: 네트워크
100, 200: Touch stamp 1000: Certificate server
2000: mobile terminal N: network

Claims (4)

인증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고,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수행되고,
미리 등록된 복수의 가맹점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시간패턴 및 위치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터치패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로 터치입력을 가하는 터치스탬프로부터 터치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스탬프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스탬프 영역에 상기 터치스탬프로부터 상기 터치패턴에 따른 터치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터치패턴을 선택된 가맹점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설정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터치패턴이 상기 선택된 가맹점의 상기 설정패턴과 대응하면, 상기 가맹점에 대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획득 포인트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인증방법.
It is performed by a mobile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authentication server through a network, and receiving a user's touch input,
Receiv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registered merchants;
Displaying a stamp area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touch stamp applying a touch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ouch pattern having at least one of a preset time pattern and a position pattern;
Comparing the touch pattern with a preset pattern corresponding to a selected affiliate store when a touch input according to the touch pattern is generated from the touch stamp in the stamp area; And
If the touch pattern corresponds to the set pattern of the selected affiliated store, increasing the acquisition point of the mobile terminal for the affiliated st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방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획득 포인트가 미리 정해진 설정 포인트에 도달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대한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증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uthentication method,
If the acquisition point of the portable terminal reaches a predetermined set point,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 reward for the portable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방법은,
상기 선택된 가맹점에 대응하여 이미 획득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획득 포인트와, 상기 설정 포인트, 그리고 상기 설정 포인트에 도달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제공되는 리워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증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an acquisition point of the mobile terminal, the set point, and a reward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set point is reache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ffiliated sto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는,
상기 선택된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교환쿠폰인, 인증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reward is,
Authentication method for the exchange coupon for goods or services provided by the selected merchant.
KR1020130061152A 2013-05-29 2013-05-29 Touch stamp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KR1013054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152A KR101305413B1 (en) 2013-05-29 2013-05-29 Touch stamp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152A KR101305413B1 (en) 2013-05-29 2013-05-29 Touch stamp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607A Division KR101305412B1 (en) 2012-01-09 2012-01-09 Touch stamp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681A KR20130081681A (en) 2013-07-17
KR101305413B1 true KR101305413B1 (en) 2013-09-06

Family

ID=4899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152A KR101305413B1 (en) 2013-05-29 2013-05-29 Touch stamp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413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905A1 (en) * 2014-12-23 2016-06-30 주식회사 투게더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KR20160091149A (en) 2015-01-23 2016-08-02 주식회사 비디 COMPUTER-EXECUTABLE METHOD OF paying electron stamp,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KR101653683B1 (en) 2015-04-29 2016-09-02 주식회사 비디 Mobile stamping apparatus
KR20160113336A (en) 2015-02-17 2016-09-29 주식회사 비디 Computer-executable method of paying for mutual cooperation of seller and buyer, server performing the same,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KR20160113556A (en) 2016-09-19 2016-09-30 주식회사 비디 COMPUTER-EXECUTABLE METHOD OF paying electron stamp,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KR20160128979A (en) 2016-10-31 2016-11-08 주식회사 비디 Computer-executable method of paying for mutual cooperation of seller and buyer, server performing the same,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964B1 (en) * 2013-07-30 2014-12-03 주식회사 케이티 Mobile stamp apparatus
KR102139833B1 (en) * 2013-09-09 2020-07-30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Handstamp for Including Alien Touch Part
KR102139835B1 (en) * 2013-09-09 2020-07-30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Handstamp for Synchronous Touch
KR102139834B1 (en) * 2013-09-09 2020-07-30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Handstamp for Providing Synchronous Touch by using Alien Touch Part
KR102149551B1 (en) * 2013-09-09 2020-08-2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Handstamp for Synchronous Touch including Multiple Guide Part
KR102139832B1 (en) * 2013-09-09 2020-07-30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Handstamp for Providing Exact Synchronous Touch
KR102137683B1 (en) * 2013-09-09 2020-07-24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Handstamp for Providing Touch Certification between Alien Device
KR102139831B1 (en) * 2013-09-09 2020-07-30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Handstamp for Including Alien Contact Area
KR102139830B1 (en) * 2013-09-09 2020-07-30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Handstamp for Providing Synchronous Touch
KR102149555B1 (en) * 2013-10-21 2020-08-2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Handstamp for Including Insertion type Touch Part
KR102149553B1 (en) * 2013-10-21 2020-08-2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Handstamp for Providing Certification Touch
KR102149556B1 (en) * 2013-10-21 2020-08-2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Handstamp for Providing a Seal type Touch by using Insertion type Touch Part
KR102149552B1 (en) * 2013-10-21 2020-08-2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Handstamp for Providing a Seal type Touch Certification between Alien Device
KR102159406B1 (en) * 2013-11-23 2020-09-23 원투씨엠 주식회사 Touch Stamp for Rolling type Touch
KR102166058B1 (en) * 2013-11-23 2020-10-15 원투씨엠 주식회사 Roller type Touch Stamp
KR102159405B1 (en) * 2013-11-23 2020-09-23 원투씨엠 주식회사 A Handstamp for Touch
KR102165144B1 (en) * 2014-01-28 2020-10-13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Service by using Stamp Touch
KR102150129B1 (en) * 2014-01-28 2020-08-31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Web Access Service by using Stamp Touch
KR102151276B1 (en) * 2014-01-28 2020-09-02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for Exhibition Center by using Stamp Touch
KR102238932B1 (en) * 2014-01-29 2021-04-09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Authenticating Stamp Touch a Coupled Sound Signal
KR102165145B1 (en) * 2014-01-29 2020-10-13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Authenticating Stamp Touch a Coupled Sound Signal
KR102149560B1 (en) * 2014-01-29 2020-08-28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Selecting Optimized Card by using Stamp Touch
KR102150130B1 (en) * 2014-01-29 2020-08-31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Authenticating Stamp Touch a Coupled Sound Signal
KR102151277B1 (en) * 2014-01-29 2020-09-02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Authenticating Stamp Touch a Coupled Sound Signal
KR102298352B1 (en) * 2014-01-29 2021-09-06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tamp Service by using Stamp Touch
WO2015119339A1 (en) * 2014-02-05 2015-08-13 모비두 주식회사 Electronic stamp
KR102244305B1 (en) * 2014-03-03 2021-04-23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Executing or Enabling Application by using Stamp Touch
KR102244308B1 (en) * 2014-03-22 2021-04-23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Executing or Enabling Application by using Touch Characteristic Authentication
KR102217358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KR102217368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Processing Touch Part Including Alien Contact Area
KR102217352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Prefabricated Touch Unit
KR102217353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Cutting type Touch Unit
KR102217360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Providing Touch Certification between Alien Device
KR102250544B1 (en) * 2014-05-21 2021-05-10 원투씨엠 주식회사 Touch Unit Including Bluetooth Broadcasting Function
KR102217362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Providing Free-Style Synchronous Touch Certification
KR102217369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Providing Free-Style Touch Certification
KR102217365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Providing a Seal type Touch Certification between Alien Device
KR102221354B1 (en) * 2014-05-21 2021-02-26 원투씨엠 주식회사 Electronic Touch Unit
KR102217370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Providing Exact a Seal type Touch
KR102217371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Including Insertion type Touch Part
KR102217361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for Providing Synchronous Touch Certification
KR102217372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Providing a Seal type Touch by using Insertion type Touch Part
KR102217366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Providing Touch Certification
KR102238934B1 (en) * 2014-05-21 2021-04-09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Providing Synchronous Touch
KR102217376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Touch Unit
KR102217375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Roller type Touch Unit
KR102217373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Unit for Touch
KR102217367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Providing Certification Touch
KR102217374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Touch Unit for Rolling type Touch
KR102217357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KR102217359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Touch Unit by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217363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Including Alien Touch Part
KR102238933B1 (en) * 2014-05-21 2021-04-09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Including Alien Contact Area
KR102217356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Inserting type Touch Unit
KR102217364B1 (en) * 2014-05-21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A Touch Unit for Providing Synchronous Touch by using Alien Touch Part
KR102217377B1 (en) * 2014-05-29 2021-02-18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Calibrating Module Touch
KR101516640B1 (en) * 2014-06-25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stamp, stamp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20160017675A (en) * 2014-07-31 2016-02-17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Exchanging Right by using Touch Module
KR101593955B1 (en) 2014-08-04 2016-02-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tamper, and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570114B1 (en) * 2014-08-07 2015-11-19 (주)인터랙티비 Electronic Stamp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Stamp Ser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for
KR101538694B1 (en) * 2014-08-11 2015-07-28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Value by using Touch Device
KR101538697B1 (en) * 2014-08-11 2015-07-28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Value by using Touch Device
KR102173389B1 (en) * 2014-08-28 2020-11-04 원투씨엠 주식회사 Touch Device Including Bluetooth Function
KR102272770B1 (en) * 2014-10-08 2021-07-05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Webpage
KR101628149B1 (en) * 2014-10-10 2016-06-09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Applying Value by using Touch Module
KR102284272B1 (en) * 2014-10-10 2021-08-02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Applying Value by using Capacitive Touch
KR101654347B1 (en) * 2014-12-26 2016-09-06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Data by using Touch Module
KR101995018B1 (en) * 2015-06-25 2019-07-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Apparatus for stamp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WO2017007057A1 (en) * 2015-07-07 2017-01-12 (주)디에스피코리아커뮤니케이션 Electronic stamp, electronic stamp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same, and method therefor
KR101922918B1 (en) * 2017-03-10 2019-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Apparatus for stamp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102468183B1 (en) * 2017-09-07 2022-11-1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Gam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working system between online and offline
KR102497559B1 (en) 2021-12-29 2023-02-10 원투씨엠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tamp service using stamp tou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220A (en) * 1991-09-30 1993-04-09 Nkk Corp Electronic imprinter
JP2011134298A (en) 2009-11-30 2011-07-07 Takashi Yamamoto Drive unit for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multi-touch function
JP2012118637A (en) 2010-11-29 2012-06-21 Nissha Printing Co Ltd Authentication system, input device, and authentication pr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220A (en) * 1991-09-30 1993-04-09 Nkk Corp Electronic imprinter
JP2011134298A (en) 2009-11-30 2011-07-07 Takashi Yamamoto Drive unit for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multi-touch function
JP2012118637A (en) 2010-11-29 2012-06-21 Nissha Printing Co Ltd Authentication system, input device, and authentication progra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905A1 (en) * 2014-12-23 2016-06-30 주식회사 투게더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KR20160076863A (en)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투게더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KR101683144B1 (en) 2014-12-23 2016-12-06 주식회사 투게더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10209795B2 (en) 2014-12-23 2019-02-19 2Gather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KR20160091149A (en) 2015-01-23 2016-08-02 주식회사 비디 COMPUTER-EXECUTABLE METHOD OF paying electron stamp,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KR20160113336A (en) 2015-02-17 2016-09-29 주식회사 비디 Computer-executable method of paying for mutual cooperation of seller and buyer, server performing the same,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KR101653683B1 (en) 2015-04-29 2016-09-02 주식회사 비디 Mobile stamping apparatus
KR20160113556A (en) 2016-09-19 2016-09-30 주식회사 비디 COMPUTER-EXECUTABLE METHOD OF paying electron stamp,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KR20160128979A (en) 2016-10-31 2016-11-08 주식회사 비디 Computer-executable method of paying for mutual cooperation of seller and buyer, server performing the same,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681A (en)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413B1 (en) Touch stamp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KR101305412B1 (en) Touch stamp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KR20130081680A (en) Touch stamp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KR102628092B1 (en) Skin care device
CN113268172A (en) Touch control pen and electronic equipment assembly
CN105518580B (en) Touch-control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relative motion detection method
EP2724222B1 (en) Mobile touch-generating device and communication with a touchscreen
CN106055127A (en) Active pen wit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N105389102A (en) Control method for home key of electronic equipment
CN108845724A (en) Capacitive key module with function of preventing mistaken touch
US20140043264A1 (en) Touchscreen authentication unit with dynamic touch locations
CN107943304B (en) Keyboard and intelligent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EP2502129A1 (en) Hand-held input device, system comprising the input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049052A1 (en) Wireless Device With Touch-Based Stylus
EP2991000A1 (en)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US20160231835A1 (en) To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4508605A (en) Improvements in devices for use with computers
CN106062676B (en) Electronic equipment
US20140078095A1 (e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touch screen display
JP2014182429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5094218B (en) A kind of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5404459A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orking mode startup method therefor
KR102217353B1 (en) Cutting type Touch Unit
CN103338033A (en) Capacitance-type touch keys applied to cell phones and a design method thereof
JP2013140502A (en) Ic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