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155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155B1
KR101303155B1 KR1020070026324A KR20070026324A KR101303155B1 KR 101303155 B1 KR101303155 B1 KR 101303155B1 KR 1020070026324 A KR1020070026324 A KR 1020070026324A KR 20070026324 A KR20070026324 A KR 20070026324A KR 101303155 B1 KR101303155 B1 KR 101303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over
unit
touch sensing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3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84493A (en
Inventor
임성근
주원석
김영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6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155B1/en
Priority to US11/865,602 priority patent/US7896511B2/en
Priority to EP07019300A priority patent/EP1906632A3/en
Priority to US11/865,566 priority patent/US8035621B2/en
Priority to CN2007101929617A priority patent/CN101540793B/en
Publication of KR2008008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4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1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바디; 및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어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성 영역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감지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에 따라 상기 발광부들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발광부를 점멸하여 식별신호를 제공하는 개별조명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발광부와 그 복수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개별조명부를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발광부는 터치패드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터치패드와 커버 사이에 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를 이루기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terminal body; And a keypad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o input information, the keypad comprising: a cover having at least one light transmissive area formed thereon; A touch sensing unit positioned under the cover and configured to sense a touch applied to the cover;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arts disposed below the touch sensing part; And an individual lighting unit which blinks one or two or more of the light emitting units according to a touch applied to the cover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signal. Accordingly, the user can provide a variety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nd individual lighting units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thereby enhancing convenience. It is easy to achieve a slimming of the mobile terminal as a whole by preventing a gap from occurring.

핸드폰, 휴대폰, 단말기, 조명, 키패드 Cellphone, mobile phone, terminal, lighting, keypad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를 보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keypad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도 4는 도 3의 터치감지부의 배면도,4 is a rear view of the touch sensing unit of FIG. 3;

도 5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A-A선에 따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키조명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식별신호를 제공하는 모습을 각각 보인 개념도,6A to 6D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embodiments of providing an identification signal to a user by key ligh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키패드가 구비된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keypad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8b는 도 7의 키패드를 보인 작동 상태도,8a and 8b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keypad of FIG.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키패드의 제어 블럭도,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keypad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발광부가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배치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around a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200,400: 휴대 단말기 101A,406: 커버100,200,400: Mobile terminal 101A, 406: Cover

102,202,402: 디스플레이 110,210: 키패드102,202,402: Display 110,210: Keypad

120,420: 확산부재 130,430: 터치감지부120,420: diffusion member 130,430: touch sensing unit

131,431: 발광부 132,432: 광가이드131, 431: light emitting unit 132, 432: optical guide

140,440: 지지판140,440: support plat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의 밝히기 위한 조명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that more actively utilizes illumination for illuminating a key.

모바일용 폰이나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이동중에 이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이나 정보를 열람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mobile phones, PDAs, and the like, ar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allow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or information to be viewed or processed on the go.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작고 제한된 장치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편리하도록 충분한 기구적인 뒷받침과 함께 그러한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 환경을 요한다. Such portable terminals require an interface environment tha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used by a user in using such functions with sufficient mechanical support to make it convenient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in a small and limited device.

휴대 단말기는 탑재된 기능의 작동이나 입력을 위하여 조작 가능한 키패드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하거나 조작되어질 키의 표지(標識)가 명확히 드러나도록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조명장치를 사용한다.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keypad device operable for operation or input of a mounted function. Generally, a portable device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is used to clearly display a key of a key to be used or operated in a dark place. use.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키패드 장치(1)는 다수의 키(5)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키(5)는 기판(3)에 장착된 돔스위치(4)와, 돔스위치(4)를 동작시키는 키버튼(6)을 구비하고 있다.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s shown in FIG. 1, the keypad device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5. Each key 5 is provided with a dome switch 4 mounted on the substrate 3 and a key button 6 for operating the dome switch 4.

키버튼(6)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단말기 기구물(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그 하면에는 돔스위치(4)를 누를 수 있도록 누름돌기(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key button 6 is supported by the terminal mechanism 2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outside, and the pressing protrusions 7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so as to press the dome switch 4.

키버튼(6)과 기판(3)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갭)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공간에 발광 다이오드(LED)(8)가 장착되어 있다. A constant space (gap) is formed between the key button 6 and the substrate 3,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8 is mounted in the spac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각 키버튼(6)을 눌러줌으로써 해당되는 돔스위치(4)를 동작시켜 입력을 한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8)에서 발생되는 빛은 모든 키버튼(6)을 조명시킴으로써 각 키(5)의 해당위치와 그 키버튼(6)의 표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키(5)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By this configuration, the user inputs by operating the corresponding dome switch 4 by pressing each key button (6). In addition,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8 illuminates all the key buttons 6 so as to inform the user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each key 5 and the cover of the key button 6 so that the key 5 may be dark. ) Can be identifi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키패드 장치(1)에서는 발광 다이오드(8)가 오로지 키(6)의 백라이팅(back lighting)을 위한 것이어서 그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keypad device 1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light emitting diode 8 is only for the back lighting of the key 6 and its utility is low.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단순한 키의 조명에서 나아가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신호를 줄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giving a meaningful signal to a user in addition to the illumination of a simple ke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 및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어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성 영역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감지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에 따라 상기 발광부들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발광부를 점멸하여 식별신호를 제공하는 개별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erminal body; And a keypad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o input information, the keypad comprising: a cover having at least one light transmissive area formed thereon; A touch sensing unit positioned under the cover and configured to sense a touch applied to the cover;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arts disposed below the touch sensing part; And an individual lighting unit which blinks one or two or more light emitting units of the light emitting units according to a touch applied to the cover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발광부들은 상기 터치감지부의 하면에 실장되며, 상기 터치감지부에는 상기 발광부에 대응되는 광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s may be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unit, and the touch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n optical guide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발광부마다 관통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각 발광부는 상기 각 관통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guide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hrough hole for each of the light emitting parts, and each of the light emitting parts may be arrang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each of the through hole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감지부의 하부에는 그 상면에 상기 발광부들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홀이 형성된 지지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side of the touch s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on which an accommodation hole is formed to partially accommodate the light emitting unit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와 터치감지부의 사이에는 상기 광가이드를 통과한 빛이 확산되어 상기 커버에 진입될 수 있게 확산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ffusion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ver and the touch sensing unit so that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guide is diffused to enter the cov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커버와 터치감지부를 접 착시키는 양면테입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usion member may be formed in a double-sided tape type to adhere the cover and the touch sens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와 확산부재의 사이에는 입력키를 인식시킬 수 있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가 더 형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etter, a number, or a symbol for recognizing an input key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cover and the diffusion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문자, 숫자 또는 기호는 투광성 수지시트에 인쇄처리 형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tters, numbers or symbols may be formed on a light-transmissive resin sheet by printing treatmen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문자, 숫자 또는 기호는 상기 커버의 하면 또는 상면에 음각 또는 양각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tters, numbers or symbols may be formed by engraving or embossing on the low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개별조명부는, 상기 터치감지부의 신호를 받아 해당 위치와 인식값을 불러들이는 터치신호 수용부; 상기 터치신호 수용부에 의하여 불러들인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발광부의 점멸 패턴을 불러들이는 점멸패턴 검색부; 및 상기 발광부들중 상기 점멸패턴에 해당되는 발광부들의 점멸신호를 인가하는 점멸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dividual lighting unit may include: a touch signal receiving unit receiving a signal of the touch sensing unit and importing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a recognition value; A flashing pattern search unit for importing a flashing pattern of the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signal imported by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And a flashing signal controller for applying a flashing signal of the light emitting units corresponding to the blinking pattern among the light emitting unit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식별신호는 상기 선택된 발광부들의 위치, 점멸시간 또는 밝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y any one or a combination of positions, flashing times or brightness of the selected light emitting unit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각 발광부는 다색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식별신호는 상기 선택된 발광부의 색 또는 상기 발광부의 색과 상기 위치, 점멸시간 또는 밝기의 조합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s is formed in a form capable of realizing multiple colors, and the iden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by a color of the selected light emitting unit or a combination of the color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position, flashing time or brightness. Can b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발광부는 발광 다이오드(LED)로 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감지부는 기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 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ing un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ubstrat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발광부들은 M×N(M,N은 2 이상의 자연수)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parts may be arranged in an M × N (M, N is two or more natural numbers) matrix form.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식별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 모드(MODE)에 따라 변화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signal may be form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age mod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음성신호를 받을 수 있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개별조명부는 상기 마이크가 받는 음성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발광부들을 점멸시키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capable of receiving a voice signal, and the individual lighting unit may flicker the light emitting units selected according to the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microphon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광신호를 받을 수 있는 광센서 또는 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개별조명부는 상기 광센서 또는 카메라가 받는 광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발광부들을 점멸시키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optical sensor or a camera capable of receiving an optical signal, wherein the individual lighting unit flashes the light emitting units selected according to the optical signal received by the optical sensor or the camera. Can b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전파신호를 받을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개별조명부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받는 전파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발광부들을 점멸시키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the individual lighting unit may flicker the light emitting units selected according to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본 발명은 또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 바디;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위에 배치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성 영역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감지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에 따라 상기 발광부들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발광부를 점멸하여 식별신호를 제공하는 개별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도 개시한 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erminal body with a display; And an input device disposed around the display, the input device comprising: a cover in which at least one light transmissive area is formed; A touch sensing unit positioned under the cover and configured to sense a touch applied to the cover;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arts disposed below the touch sensing part; And a separate lighting unit which blinks one or two or more of the light emitting units according to a touch applied to the cover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발광부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parts may be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display.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keypad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101)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 바디(101)의 하측 정면에는 키패드(110)가 배치되어 있다. 키패드(110)의 상측에는 시각정보를 보다 집중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02)가 설치되고 있다. 디스플레이(102)는 키패드(110)를 통하여 입력된 번호, 문자 또는 커서나 포인터의 이동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다만, 키패드(110)와 디스플레이(102)는 상호 근접되어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휴대 단말기의 형상과 구조에 따라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terminal body 101, and a keypad 110 is disposed on a lower front side of the terminal body 101. The display 102 is installed above the keypad 110 to show the visual information more intensively. The display 102 visually shows the number, letters or movement of the cursor or pointer entered through the keypad 110. However, the keypad 110 and the display 102 do not need to be disposed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and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according to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키패드(110)는 가변될 수 있는 위치 또는 영역에 조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신호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도 2에 의하면 키패드(110)의 일측 위치에 마치 반딧불 형태의 키조명(B)이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키패드(110)의 구현 형태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keypad 110 may give a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by illumination at a position or area that may be changed. For example, according to FIG. 2, a key light B having a firefly shape is implemented at one side of the keypad 110.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keypad 110 will be described later.

휴대 단말기(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이동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내부 의 무선통신모듈(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는 리시버 또는 스피커(103) 및 마이크(104)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을 인식할 수 있는 광센서(10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110)를 발전시킨 형태로서, 이와 같은 마이크(104) 또는 광센서(105)는 키패드(110)가 입력을 위한 조작 외에도 외부의 음성신호 또는 광신호에 감응하여 사용자에게 광에 의하여 식별신호를 줄 수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Receivers or speakers 103 and microphones 104 connected to an in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allow a call while moving. In additi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n optical sensor 105 that can recognize the light from the outside. In the form of the development of the keypad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hone 104 or the optical sensor 105 such that the keypad 110 in response to an external voice signal or an optical signal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for input to the user to the optical It is also possible to give the identification signal by the form.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키패드의 구조를 도 3 내지 도 5에서 보였다.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터치감지부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is shown in Figs.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the keypad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2, FIG. 4 is a rear view of the touch sensing unit of FIG. 3,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2.

이들 도면에 의하면 키패드(110)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성 영역을 갖는 커버(101A)와, 커버(101A)의 하부에 위치되며 커버(101A)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130) 및 터치감지부(130)의 하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발광부들(131)을 구비하고 있다.According to these drawings, the keypad 110 includes a cover 101A having at least one light transmissive area, a touch sensing unit 130 and a touch positioned under the cover 101A to sense a touch applied to the cover 101A. The light emitting units 131 are disposed under the sensing unit 130.

커버(101A)는 하부커버(101A)와 함께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투광성 영역은 하부의 발광부(131)로부터 발생된 빛을 통과시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커버(101A)는 반복적인 터치에 의하여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물이나 유리 또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02)의 외관을 이루는 창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ver 101A forms a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gether with the lower cover 101A, and the light transmissive region passes through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ower light emitting unit 131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cover 101A. It is. The cover 101A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resin, glass, or ceramic material that can maintain durability by repetitive touch. In addition, the display 10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window form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display 102.

터치감지부(130)는 입력 작용을 담당할 수 있게 커버(101A)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The touch sensing unit 130 may sense a touch applied to the cover 101A to perform an input action.

본 실시예의 터치감지부(130)는 커버(101A)에 가해지는 터치가 있는 부위의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하기 적합한 형태로 되어 있다. 나아가 터치감지부(130)은 압력(pressure)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touch sens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form suitable for detecting and operating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touched portion applied to the cover 101A. Furthermore, the touch sensing unit 130 may be implemented to operate by sensing a change in pressure.

터치감지부(130)는 기하학적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터치영역(135)을 포함하고 있다. 어떤 하나의 터치영역(135) 내에서 감지된 터치신호는 동일한 신호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터치 영역(135)들 사이의 간격은 조절될 수 있다.The touch sensing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regions 135 geometrically partitioned. The touch signal sensed in any one touch region 135 may be recognized as the same signal. The spacing between the touch regions 135 may be adjusted.

발광부들(131)은 터치감지부(130)의 하면에 실장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터치감지부(130)는 발광부들(131)과 함께 모듈화되어 하나의 연결장치(133)를 통해 제어할 수 있게 되어 부품을 감소시키고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연결장치(133)는 연성 회로기판(Flexible PCB: FPCB)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s 131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unit 130. In this way, the touch sensing unit 130 may be modularized together with the light emitting units 131 to be controlled through one connection device 133. This can reduce parts and reduce the overall volume. The connection device 13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lexible PCB (FPCB).

발광부들(131)은 일정한 배열을 이룰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3×5 행렬(matrix) 형태의 예를 들고 있다. 나아가 발광부들(131)은 M×N(M,N은 2 이상의 자연수)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발광부(131)의 수와 그 배치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둥근 모양, 십자(+)형태, 또는 고리 형태 등 기하학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게 조정이 가능하다.The light emitting units 131 may form a constant array, and an example of a 3 × 5 matrix form is illustrated in FIG. 3. Furthermore, the light emitters 131 may be arranged in an M × N (M, N is two or more natural numbers) matrix form. However,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31 may be adjusted to form a geometric shape such as a triangle, a round shape, a cross shape, or a ring shape as a whole.

발광부들(131)이 배치된 각 부위에는 그 각 발광부(131)에 대응되는 광가이 드(132)가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의하면, 광가이드(132)는 발광부(131)마다 관통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발광부(131)는 각 관통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광가이드(132)는 관통홀에 투광성 재질로 된 충전물에 의하여 채워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Light guides 132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ers 131 are provided at respective portions where the light emitters 131 are disposed. Referring to FIG. 5, the light guide 1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hrough hole for each light emitting part 131, and the light emitting part 131 may be dispos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each light emitting part. However, the light guide 132 may be formed in a form filled in the through hole by a filler made of a light-transmissive material.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발광부들(131)은 터치감지부(130)의 하부에 위치되면서도 광가이드(132)에 그 일부가 수용된 리버스(reverse)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발광부(131)는 저전력을 소모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light emitters 131 may be mounted in a reverse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light emitters 131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ouch sensing unit 130. The light emitting unit 131 may be suitably used as a light emitting diode that consumes low power.

터치감지부(130)는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판(1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지지판(140)의 상면에는 터치감지부(130)의 하부에 장착된 각 발광부들(131)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The touch sensing unit 13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140 disposed below. An accommodation hole 141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40 to partially accommodate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31 mounted below the touch sensing unit 130 (see FIG. 3).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커버(101A)와 터치감지부(130)의 사이에는 광가이드(132)를 통과한 빛이 확산되어 커버(101A)에 진입될 수 있게 확산부재(120)가 구비된다. 확산부재(120)는 시트 형태의 모재(base material)에 빛의 확산작용을 일으키는 입자나 패턴이 첨가된 형태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확산부재(120)는 커버(101A)와 터치감지부(130)을 접착시키는 양면테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5,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guide 132 is diffused between the cover 101A and the touch sensing unit 130 so that the diffusion member 120 can enter the cover 101A. Is provided. The diffusion member 120 may have a form in which particles or patterns causing light diffusion effect are added to a sheet-shaped base material. Preferably, the diffusion member 120 may be formed of a double-sided tape for adhering the cover 101A to the touch sensing unit 130.

이에 의하여 확산부재(120)는 발광부(131)가 커버(101A)에 근접됨에 따라 특정 부위만이 지나치게 밝고 다른 부위는 상대적으로 어두워서 밝은 점처럼 보이는 현상을 개선하고, 빛을 고르게 분포시켜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조명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the light emitting part 131 approaches the cover 101A, the diffusion member 120 improves a phenomenon in which only a specific part is too bright and other parts are relatively dark, so that the appearance of bright spots is improved, and the light is evenly distributed so that the overall softness is achieved. Lighting effect can be realized.

또한, 확산부재(120)는 적어도 터치감지부(130)를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터치감지부(130) 또는 발광부(131)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usion member 120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covering at least the touch sensing unit 130, in which case the touch sensing unit 130 or the light emitting unit 131 may not be visible from the outside. .

커버(101A)를 통하여 입력 키(key)를 식별할 수 있도록 커버(101A)와 확산부재(120)의 사이에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가 새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새김 방법은 커버(101A)와 확산부재(120) 사이에 투광성 수지시트(도시되지 않음)을 배치하고 그 투광성 수지시트에 인쇄처리하거나, 커버(101A)의 하면 또는 상면에 음각 또는 양각 형태로 식각 또는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확산부재(120) 자체가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확산부재(120)의 모양에 의하여 식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Letters, numbers, or symbols may be engraved between the cover 101A and the diffusion member 120 to identify an input key through the cover 101A. Such a method of writing letters, numbers, or symbol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ver 101A and the diffusion member 120 and printed on the transparent resin sheet, or may be printed on the transparent resin sheet,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101A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etch or shape the upper surface in an intaglio or embossed form. In addition, the diffusion member 120 itself can be identified by the shape of the diffusion member 120 by being formed in the form of letters, numbers or symbols.

이와 같이, 키패드(110)는 터치에 의하여 입력작용을 하면서도 복수로 배치된 발광부들(131)로부터 하나 또는 2 이상의 발광부를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식별신호를 제공하는 개별조명부를 갖는다. 개별조명부는 도 9의 제어 블럭도에서 301로 표시되어 있다.As such, the keypad 110 has an individual lighting unit which provides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user by blinking one or more light emitting units from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131 arranged while inputting by touch. The individual lighting unit is indicated by 301 in the control block diagram of FIG.

도 9에서 보는 것과 같이, 커버(101A)의 임의 위치에 복수의 키(311)가 배치(키1 내지 키k)되는 것과 별도로, 발광부(331)은 키(311)와 같은 수(number)로 배치되거나(발광부1 내지 발광부k) 그보다 많은 수(발광부1 내지 발광부ℓ)로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light emitting part 331 has the same number as the key 311, apart from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keys 311 at any position of the cover 101A (keys 1 to k). (Light emitting part 1 to light emitting part k) or a larger number (light emitting part 1 to light emitting part L).

개별조명부(301)는 터치감지부(130)의 신호를 받아 해당 위치와 인식값을 불 러들이는 터치신호 수용부(307)와, 터치신호 수용부(307)에 의하여 불러들인 신호에 대응되는 발광부(331)의 점멸 패턴을 불러들이는 점멸패턴 검색부(308) 및, 발광부들(331) 중 점멸패턴에 해당되는 발광부들(331)의 점멸신호를 인가하는 점멸신호 제어부(309)를 포함한다.The individual lighting unit 301 corresponds to a signal received by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307 and a touch signal receiving unit 307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touch sensing unit 130 and retrieves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recognition value. The flashing pattern search unit 308, which recalls the flashing pattern of the light emitting unit 331, and the flashing signal control unit 309, which applies a flashing signal of the light emitting units 331 corresponding to the flashing pattern of the light emitting units 331, Include.

터치신호 수용부(309)는 각 키(311)와 연결되어 있으며, 임의의 키(311)에 대한 터치가 있었을 때 그 신호를 점멸패턴 검색부(308)에 인가한다.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309 is connected to each key 311, and when there is a touch on an arbitrary key 311,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309 applies the signal to the blinking pattern search unit 308.

점멸패턴 검색부(308)에 의하여 불러들일 점멸패턴은 기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생성 또는 변경이 가능한 형태로 되는 것일 수 있다.The blinking pattern to be loaded by the blinking pattern search unit 308 may be preset or may be generated or changed by a user.

점멸패턴은 선택된 발광부들(331)의 위치, 점멸시간 또는 밝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어떤 위치에 있는 발광부를 점멸할 것인지, 어떠한 세기로 할 것인지, 어떠한 시간 동안 비출 것인지(이 경우 깜빡임, 점진적으로 밝게 하거나 어둡게 하는 등의 조명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에 대한 것을 특정 컨셉트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The blinking pattern may be generated by any one or a combination of positions, blinking times, or brightnesses of the selected light emitting units 331. In other words, whether or not the light emitting part at which position is to be blinked, at what intensity, or at what time is illuminated (in this case, lighting effects such as flickering, gradually brightening or darkening, etc. can be expected) can be tailored to a specific concept. Can be set.

각 발광부(331)은 다색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식별신호는 선택된 발광부(331)의 색 또는 발광부(331)의 색과 위치, 점멸시간 또는 밝기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Each light emitting unit 331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implement a multi-color,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signal provided to the user is the color of the selected light emitting unit 331 or the color, position, and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unit 331 It can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time or brightness.

또한, 점멸패턴은 휴대 단말기(100)의 통화시, 음악재생기능을 갖춘 경우 음악 재생시, 카메라를 갖춘 경우 촬영시,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동영상 재생시, 방송수신기능을 갖춘 경우 방송시청시 등의 사용 모드(MODE)에 따라 변화될 수 있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점멸패턴은 해당 모드에 사용될 수 있는 키 들을 조명하여 안내하도록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동작가능한 키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lashing pattern is a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 music playback function when playing music, when equipped with a camera when shooting, when playing a video when playing video, when watching a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etc. It is also possible to be set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 mode (MODE) of. In this case, the blinking pattern may be set to illuminate and guide keys that can be used in the corresponding mode. In other words, it activates an operable key.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점멸패턴 검색부(308)는 터치신호 수용부(307) 외에도 마이크(304)로 입력되는 음성신호, 광센서 또는 카메라(305)에 입력되는 광신호, 또는 전화가 걸려오거나 메시지의 수신 등을 담당하는 무선통신모듈이 받는 전파신호에 따라 기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점멸패턴에 의하여 선택된 발광부들을 점멸시킬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shing pattern search unit 308 is a voice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304 in addition to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307, an optical signal input to the optical sensor or the camera 305, or telephone The light emitting units may be blinked by a flashing pattern preset or set by a user according to a radio signal receiv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responsible for receiving a message or receiving a message.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키조명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식별신호를 제공하는 모습을 각각 보인 개념도이다.6A through 6D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providing an identification signal to a user by key ligh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키패드(110)는 특정 부위를 조명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이 켜져 있고 디스플레이(102)는 꺼져 있는 상태임을 특정 부위의 불빛(B)이 알려 준다.As shown in FIG. 6A, the keypad 110 may be set to show a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user by illuminating a specific portion. For example, the light B of a specific part indicates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turned on and the display 102 is turned off.

이 경우 불빛(B)은 숨을 쉬듯 주기적으로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는 효과를 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친밀한 감성제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대기상태를 알려주는 불빛(B)은 불필요한 디스플레이(102)의 구동시간을 줄여주어 소모되는 전력도 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B) has a brighter or darker effect periodically, as if breathing, the user can expect a more intimate emotion providing effect. In addition, the light (B) indicating the standby state can reduce the unnecessary driving time of the display 102 can als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도 6b는 사용자가 키패드(110)의 특정 위치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를 하는 경우 그 특정 위치에 있는 발광부들로부터 특정 위치에서 멀리 있는 발광부들이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하여 물결 모양을 구현한 것을 시각적으로 보인 것이다. 6B visually shows that when a user touches a specific position of the keypad 110 by using a finger, the light emitting portions far away from the specific positions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s at the specific position sequentially flash to realize a wavy shape. It is seen.

도 6c는 특정 사용모드에서 키패드(110)는 사용 가능한 키만을 조명한 것을 보인 것이다. 즉 조명된 C1 내지 C4는 포인터의 상하좌우 이동을 위한 키(방향탐색키)로 배정되어 있음을 안내하고, C5는 확인키로 배정되어 있음을 안내한다. C1 내지 C5는 전체적인 위치와 간격은 달리 설정될 수 있다.6C shows that the keypad 110 illuminates only the available keys in a particular mode of use. In other words, the illuminated C1 to C4 are assigned as keys (direction navigation keys) for moving the pointer up, down, left, and right, and C5 is assigned to the confirmation key. C1 to C5 may be set differently in overall position and spacing.

C1 내지 C5의 터치에 의한 효과는 여러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C1 내지 C5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그 키는 다른 키와는 다른 형태(색의 변화, 깜빡임, 더 밝아짐 등)로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Effects of the touch of C1 to C5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when any one of C1 to C5 is touched, the key may be recognized by the user in a form different from other keys (change of color, flicker, brighter, etc.).

도 6d는 사용자의 터치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해당되는 발광부는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설정된 것을 보인 것이다. 이 경우, 점멸되는 D1 내지 D5에 서서히 꺼지도록 하여 자취(trace) 효과를 얻을 수 있다.FIG. 6D shows that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ers are sequentially flashed when the user's touch is moved in a specific direction. In this case, the trace effect can be obtained by gradually turning off the flashing D1 to D5.

특히, 그러한 방향성을 가진 터치의 이동은 커서나 포인터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스크롤(scroll) 기능과 연계함으로써 조명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movement of the touch with such a direction can maximize the lighting effect by linking with a scroll function that can quickly move the cursor or pointer.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키패드가 구비된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8a 및 8b는 도 7의 키패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key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keypad of FIG. 7.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키패드(210)는 종래방식의 키패드(261)가 설치되는 제1바디(260)과 제1바디(26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270)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적용되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keypad 210 has a first body 260, which is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keypad 261, and a second body 270 that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260.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having a.

키패드(210)는 특정 표지(211)가 표시된 키들을 구비하고 있다. 각 표지(211)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인쇄의 방법 또는 양·음각에 의한 방법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각 키의 내부에는 대응되는 발광부들을 구비한다. 발광부의 배치와 그의 작동을 위한 개별조명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keypad 210 is provided with keys marked with a specific mark 211. Each cover 211 may be implemented by a print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or a positive or negative method. Each key is provided with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uni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individual lighting unit for its operation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키패드(210)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설정될 수 있다.The keypad 210 may be set to at least partially implement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그리고, 도 8a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대기 상태에서 모든 키(E1)들은 조명이 켜진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도 8b에서처럼 특정 키에 대한 터치가 있는 경우 그 키(E2)만이 조명되어 반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A, in the standby state, all the keys E1 are set to be turned on, and when there is a touch on a specific key as shown in FIG. 8B, only the keys E2 are illuminated and reacted. Can be.

나아가, 표지(211)가 없는 부위의 내부에도 발광부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키의 안내와는 다른 역할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disposed inside a portion without the cover 211, and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set to play a role different from that of the key.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발광부가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배치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400)은 전면에 디스플레이(402)가 구비된 단말기 바디(402)를 구비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402)의 주변에는 위에서 설명한 개별 조명 기능을 갖는 입력장치(410)가 설치되어 있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around a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the portable terminal 400 includes a terminal body 402 having a display 402 on the front side, and an input device 410 having an individual lighting function described above is provided around the display 402. It is installed.

발광부들(431)은 디스플레이(402)의 테두리를 따라 하나의 라인 또는 복수의 라인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The light emitters 431 are arranged in a line or a plurality of lines along the edge of the display 402.

입력장치(410)는 디스플레이(402)의 외측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402)를 보호하는 투광성의 형성되는 커버(406)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406)는 단말기 바디(401)와 지지판(440)에 의하여 안착되어 있다.The input device 410 has a transmissive cover 406 positioned outside the display 402 to protect the display 402. The cover 406 is seated by the terminal body 401 and the support plate 440.

커버(406)의 하부에는 확산부재(420)과 터치감지부(430)이 차례로 위치될 수 있으며, 터치감지부(430)의 하부에는 복수의 발광부(431)가 장착된다.The diffusion member 420 and the touch sensing unit 430 may be sequentially positioned below the cover 406,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431 may be mounted below the touch sensing unit 430.

발광부(431)는 터치감지부(430)에 형성되는 광가이드(432)에 적어도 그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431 is dispos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guide 432 formed in the touch sensing unit 430.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위에서 설명한 개별조명부에 의하여 발광부(431)는 터치에 감응하거나 다른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에 의하여 조명위치, 색깔, 시간(깜빡임) 등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어 보다 능동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게 된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light emitting unit 431 is provided by the individual lighting unit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user with a signal such as an illumination position, color, and time (blinking) in response to a touch or in response to another input signal. You can create an environm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복수의 발광부와 그 복수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개별조명부를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 user can provide vario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nd individual lighting units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hav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부는 터치패드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터치패드와 커버 사이에 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를 이루기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unit is located under the touch pad, a gap between the touch pad and the cover is prevented from occurring, thereby making it easy to slim the portable terminal as a who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ing a keypad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21)

단말기 바디; 및Terminal body; And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어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는,A keypad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o input information, wherein the keypad includes: 적어도 하나의 투광성 영역이 형성되는 커버;A cover in which at least one translucent region is formed;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A touch sensing unit positioned under the cover and configured to sense a touch applied to the cover; 상기 터치감지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발광부; 및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arts disposed below the touch sensing part; And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에 따라 상기 발광부들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발광부를 점멸하여 식별신호를 제공하는 개별조명부를 포함하며,Including a separate lighting unit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signal by flashing one or two or more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touch applied to the cover, 상기 발광부들은 상기 터치감지부의 하면에 장착되며, The light emitting units ar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unit, 상기 터치감지부에는 상기 발광부에 대응되는 광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ouch sensing unit is provided with a light guide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발광부마다 관통홀 형태로 형성되고,The light guid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hrough hole for each light emitting portion, 상기 각 발광부는 상기 각 관통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each of the light emitting parts is arrang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each of the through hole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터치감지부의 하부에는 그 상면에 상기 발광부들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홀이 형성된 지지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upport plate having a receiving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ouch sensing unit to partially accommodate the light emitting unit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커버와 터치감지부의 사이에는 상기 광가이드를 통과한 빛이 확산되어 상기 커버에 진입될 수 있게 확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diffusion member between the cover and the touch sensing unit so that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guide is diffused to enter the cove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커버와 터치감지부를 접착시키는 양면테입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diffusion member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double-sided tape to adhere the cover and the touch sensing uni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커버와 확산부재의 사이에는 입력키를 인식시킬 수 있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letters, numbers or symbols are further formed between the cover and the diffusion member to recognize the input key.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문자, 숫자 또는 기호는 투광성 수지시트에 인쇄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letter, number or symbol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light-transmissive resin shee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문자, 숫자 또는 기호는 상기 커버의 하면 또는 상면에 음각 또는 양각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letter, number or symbol is embossed or embossed on the low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조명부는,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vidual lighting unit, 상기 터치감지부의 신호를 받아 해당 위치와 인식값을 불러들이는 터치신호 수용부;A touch signal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signal of the touch sensing unit and importing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a recognition value; 상기 터치신호 수용부에 의하여 불러들인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발광부의 점멸 패턴을 불러들이는 점멸패턴 검색부; 및A flashing pattern search unit for importing a flashing pattern of the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signal imported by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And 상기 발광부들중 상기 점멸패턴에 해당되는 발광부들의 점멸신호를 인가하는 점멸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And a flashing signal controller configured to apply a flashing signal of the light emitting units corresponding to the blinking pattern among the light emitting uni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식별신호는 상기 하나 또는 2 이상의 발광부의 위치, 점멸시간 또는 밝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identification signal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ed by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he position, the flashing time or the brightness of the one or more light emitting units.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각 발광부는 다색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Each of the light emitting parts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implement a multicolor, 상기 식별신호는 상기 하나 또는 2 이상의 발광부의 색 또는 상기 발광부의 색과 상기 위치, 점멸시간 또는 밝기의 조합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iden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by a color of the one or more light emitting units or a combination of the color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position, flashing time or brightnes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광부는 발광 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light emitting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터치감지부는 기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ouch sensing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광부들은 M×N(M,N은 2 이상의 자연수) 행렬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light emitting unit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form of M × N (M, N is two or more natural numbers) matrix.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식별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 모드(MODE)에 따라 변화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identification signal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de of us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6항에 있어서,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단말기 바디는 음성신호를 받을 수 있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고,The terminal body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상기 개별조명부는 상기 마이크가 받는 음성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상기 발광부들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individual lighting unit flashes the light emitting units selected according to the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microphone. 제17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단말기 바디는 광신호를 받을 수 있는 광센서 또는 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The terminal body further includes an optical sensor or a camera capable of receiving an optical signal, 상기 개별조명부는 상기 광센서 또는 카메라가 받는 광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발광부들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individual ligh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flashing the light emitting unit selected according to the optical signal received by the optical sensor or the camera. 제18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단말기 바디는 전파신호를 받을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구비하고, The terminal body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receive a radio signal, 상기 개별조명부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받는 전파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발광부들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individual ligh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flashing the light emitting unit selected according to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 바디; 및A terminal body provided with a display; And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위에 배치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는,An input device disposed around the display, the input device comprising: 적어도 하나의 투광성 영역이 형성되는 커버;A cover in which at least one translucent region is formed;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A touch sensing unit positioned under the cover and configured to sense a touch applied to the cover; 상기 터치감지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발광부; 및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arts disposed below the touch sensing part; And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에 따라 상기 발광부들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발광부를 점멸하여 식별신호를 제공하는 개별조명부를 포함하며,Including a separate lighting unit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signal by flashing one or two or more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touch applied to the cover, 상기 발광부들은 상기 터치감지부의 하면에 장착되며, The light emitting units ar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unit, 상기 터치감지부에는 상기 발광부에 대응되는 광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ouch sensing unit is provided with a light guide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unit.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 바디; 및A terminal body provided with a display; And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위에 배치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는,An input device disposed around the display, the input device comprising: 적어도 하나의 투광성 영역이 형성되는 커버;A cover in which at least one translucent region is formed;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A touch sensing unit positioned under the cover and configured to sense a touch applied to the cover; 상기 터치감지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발광부; 및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arts disposed below the touch sensing part; And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에 따라 상기 발광부들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발광부를 점멸하여 식별신호를 제공하는 개별조명부를 포함하며,Including a separate lighting unit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signal by flashing one or two or more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touch applied to the cover, 상기 발광부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light emitting units are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display.
KR1020070026324A 2006-09-29 2007-03-16 Mobile terminal KR1013031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324A KR101303155B1 (en) 2007-03-16 2007-03-16 Mobile terminal
US11/865,602 US7896511B2 (en) 2006-09-29 2007-10-01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EP07019300A EP1906632A3 (en) 2006-09-29 2007-10-01 Mobile phone with illuminated touch screen
US11/865,566 US8035621B2 (en) 2006-09-29 2007-10-01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CN2007101929617A CN101540793B (en) 2006-09-29 2007-10-08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324A KR101303155B1 (en) 2007-03-16 2007-03-16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493A KR20080084493A (en) 2008-09-19
KR101303155B1 true KR101303155B1 (en) 2013-09-09

Family

ID=4002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324A KR101303155B1 (en) 2006-09-29 2007-03-16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1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43B1 (en) * 2008-10-17 2010-05-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Touch 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31907B1 (en) * 2009-08-26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649626B1 (en) 2009-08-27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075U (en) * 1998-05-21 1998-08-17 김승현 Touch system text input
KR20050026741A (en) * 2003-09-06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Keypad back ligh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JP2006260971A (en) 2005-03-17 2006-09-28 Alps Electric Co Ltd Input device
KR20060125468A (en) * 2005-06-02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command 3-dimensional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075U (en) * 1998-05-21 1998-08-17 김승현 Touch system text input
KR20050026741A (en) * 2003-09-06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Keypad back ligh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JP2006260971A (en) 2005-03-17 2006-09-28 Alps Electric Co Ltd Input device
KR20060125468A (en) * 2005-06-02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command 3-dimensional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493A (en) 200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6511B2 (en)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228452B1 (en) Keypad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JP4716956B2 (en) Touch key assembl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CN1738328B (en) Keyboard of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1240265B1 (en) Key interface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KR100652755B1 (en) Portable phone of a touching and pushing type able to be backlighted
KR20080021442A (en) A working mode conversion device,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working mode conversion device and operating mode conversion method
JP2001167655A (en) Push button switch illumination apparatus
US8403508B2 (en) Keypad with a light guide pad
US20110050582A1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US20120014130A1 (en) Light filtered key top bezel
KR101303155B1 (en) Mobile terminal
TWI459789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ymbols on a terminal input area
JP3746985B2 (en) Key lighting structure of portable equipment
KR101231042B1 (en) Key illumina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KR20070112956A (en) Apparatus for inputting key
CN101540793B (en)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WO2008033614A1 (en) Electronic device with keypad and illumination system
KR101119474B1 (en) Keypa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400532Y1 (en) keypad of mobile phone
JP2005235671A (en) Key button and portable radio with the same
KR20070094390A (en) Personal porable device having luminous key-pad part and illumination controll method thereof
JP4242980B2 (en) Operation key lighting structure
KR200235509Y1 (en) A mobile phone
KR20080084495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