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153B1 - Antenna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iton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tenna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iton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153B1
KR101303153B1 KR1020060107437A KR20060107437A KR101303153B1 KR 101303153 B1 KR101303153 B1 KR 101303153B1 KR 1020060107437 A KR1020060107437 A KR 1020060107437A KR 20060107437 A KR20060107437 A KR 20060107437A KR 101303153 B1 KR101303153 B1 KR 10130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attern
sections
section
antenna device
extens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4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39734A (en
Inventor
권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7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153B1/en
Publication of KR20080039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7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연장하는 복수의 섹션들을 가지는 도전성의 안테나 패턴부; 상기 섹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방사 저항을 저감시키는 저항저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이즈의 최소화하면서도 기대 수준의 방사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comprising: a conductive antenna pattern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ections bent and extend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 radio frequency to transmit and receiv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tions, and configured to include a resistance reducing portion for reducing the radiation resistance of the antenna pattern por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radiation efficiency of the expected level while minimizing the size.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TENNA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ITON TERMINAL HAVING THE SAME}ANTENNA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ITON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a는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ilt-in antenna device,

도 2b는 도 2a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확대 사시도이고,FIG. 2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for explaining the built-in antenna device of FIG. 2A;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반사 손실에 대한 실험 그래프이고,6 is an experimental graph of return loss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도 7은 도 5에 예시된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에 대한 실험 그래프이며,7 is an experimental graph of a radiation pattern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200, 300: 안테나 장치 110,210,310: 안테나 패턴부100, 200, 300: antenna device 110, 210, 310: antenna pattern portion

113', 213, 313, 313': 저항저감부 400: 본체부113 ', 213, 313, and 313': resistance reduction part 400: main body part

500: 폴더부500: folder portion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와 그러한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ntenn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frequency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uch an antenna device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일반적으로 안테나 장치는 무선통신에서 통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간에 효율적으로 전파를 방사하거나, 또는 전파에 의해 효율적으로 기전력을 유기(誘起)시키기 위해 공중에 가설한 도선(導線)이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는 전압/전류로 표현되는 전기적 신호와 전기장/자기장으로 표현되는 전자기파를 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에 따라, 안테나 외부의 전자기장의 변화와 안테나 도선 상의 전기적 신호가 상호 연동함으로써, 대기중에 떠다니는 전자기파 신호를 안테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기기가 감지하여 통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In general, an antenna device is a conducting wire placed in the air to efficiently radiate radio waves into a spa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or to efficiently radiate electromotive force by radio waves. The antenna device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represented by voltage / current and electromagnetic waves represented by an electric field / magnetic field. Accordingly, the chang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outside the antenna and the electrical signal on the antenna lead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whereby an electronic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device detects an electromagnetic wave signal floating in the air and performs communication. The reverse is also possible.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로서 본체(10)가 하나의 바디로 이루어진 바형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하는 윈도우(11)가 구비된 다. 또한, 스피커홀(12)을 통해서는 스피커 모듈(미도시)에 의한 청각 정보가 출력된다.1 illustrates a bar terminal in which a main body 10 is formed of one body as an example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window 11 for viewing the display module (not shown)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auditory information by a speaker module (not shown)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hole 12.

본체(10)의 하부에는 문자,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3)와, 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미도시)와 연통되는 마이크홀(14)이 배열된다. 또한, 배터리(15)는 본체(10)의 다른 면{키패드(13) 등이 배열된 면의 반대 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Below the main body 10, a keypad 13 for inputting letters, numbers, and the like, and a microphone hole 14 communicating with a microphone (not shown) for inputting sound are arranged. In addition, the battery 15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keypad 13 and the like are arranged), and supplies power to the display module and the like.

이러한 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인 무선 통신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테나 장치(16)는 본체(10)의 일 측에서 돌출한 형태로 장착된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16)는 본체(10) 내부의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전파를 송수신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In order to achieve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which is a basic function of the terminal, the antenna device 16 is mounted in a form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antenna device 1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circuit inside the main body 10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waves to achieve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그러나, 위와 같이 본체(10)의 외부로 돌출한 형태의 안테나 장치(16)는 단말기의 휴대나 보관 등의 경우에 주변 환경과 기구적인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그에 따라, 본체(10) 내부에 안테나 장치를 내장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However, the antenna device 16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s described above causes mechanical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e case of carrying or storing the terminal. Accordingl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embed the antenna device inside the main body 10.

도 2a는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ilt-in antenna device, and FIG. 2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for explaining the built-in antenna device of FIG. 2A.

도 2a를 참조하면, 본체부(20)와 폴더부(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키패드(21), 마이크홀(23), 배터리(25), 윈도우(31) 및 스피커홀(33)에 대한 설명은 앞선 키패드(13), 마이크홀(14), 배터리(15), 윈도우(11) 및 스피커홀(12)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Referring to FIG. 2A, there is disclosed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main body portion 20 and a folder portion 30 are rotatably coupled. Here, descriptions of the keypad 21, the microphone hole 23, the battery 25, the window 31, and the speaker hole 3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keypad 13, the microphone hole 14, the battery 15, and the window. (11) and speaker hole 12 will be replaced by the description.

내장형 안테나 장치(27)는 본체부(20)의 일 측에 내장된 형태를 가진다. 그 에 따라, 외장형 안테나 장치(16, 도 1)와 달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27)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built-in antenna device 27 has a form embedded in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Therefore, unlike the external antenna device 16 (FIG. 1),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specific form of the built-in antenna device 2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B.

도 2b를 참조하면, 내장형 안테나 장치(27)는 유전체인 캐리어(27-1)에 도전성의 안테나 패턴(27-2)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안테나 패턴(27-2)의 길이는 송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파장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나아가, 위와 같은 길이를 확보하면서도 내장형 안테나 장치(27)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안테나 패턴(27-2)은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되어 연장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B, the built-in antenna device 27 has a form in which a conductive antenna pattern 27-2 is formed on a carrier 27-1, which is a dielectric. The length of the antenna pattern 27-2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wavelength of the frequency band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Furthermore, in order to minimize the overall size of the built-in antenna device 27 while securing the length as described above, the antenna pattern 27-2 is bent and extended at least once.

그에 따라, 본 도면에서는 안테나 패턴(27-2)은 절곡된 부분에 의해 구분되는 4 개의 섹션들(각각 I1 내지 I4로 표시된 전류가 흐르는 부분들)로 나뉘어진다. 이때, 서로 인접 섹션들에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들, 특히 전류들(I2 및 I4)는 커플링(coupling) 현상에 의해 상쇄되어 진다. 이는 결과적으로 내장형 안테나 장치(27)의 방사 저항을 증대시켜, 방사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한다.Therefore, in this figure, the antenna pattern 27-2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parts through which currents indicated by I1 to I4 respectively) are divided by bent portions. At this time, the currents flowing in the opposite directions to the adjacent sections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currents I2 and I4, are canceled by a coupling phenomenon. This consequently increases the radiation resistance of the built-in antenna device 27, causing a problem of lowering the radiation efficiency.

이러한 성능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즉 인접한 섹션들 사이의 간섭 회피 간격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장형 안테나 장치(27)의 크기 자체가 커져야 한다. 나아가, 안테나 패턴(27-2)은 방사 효율 저하 방지를 위하여 그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그라운드부(미도시)와도 일정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To compensate for this degradation, that is, the size of the built-in antenna device 27 itself must be increased in order to secure the interference avoidance gap between adjacent sections. Furthermore, the antenna pattern 27-2 should be kep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portion (not shown) to which the antenna pattern 27-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prevent the radiation efficiency from decreasing.

그에 따라, 안테나 장치(27, 도 2b)와 같은 종래의 안테나 장치에는 DCN(Digital Core Networks) 주파수 대역에서의 일정 수준의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2.5 cc(㎤)의 설치 부피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안테나 장치가 접지되는 그라 운드로부터는 최소 7mm 이상 높게 설게되어야 했다. 그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최소 방사 효율은 30% 수준에 불과하였다.Accordingly, a conventional antenna device such as the antenna device 27 (FIG. 2B) required an installation volume of 2.5 cc (cm 3) to ensure a certain level of operation in the Digital Core Networks (DCN) frequency band. In addition, the antenna device had to stand at least 7 mm high from the ground grounded. As a result, the minimum radiation efficiency of the antenna device was only 30%.

결과적으로, 내장형 안테나 장치(27)의 사이즈를 줄여서 단말기 전체적인 슬림화를 구현하려면 무선 통신 성능의 저하를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As a result,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built-in antenna device 27 and to realize overall slimming of th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must be reduc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의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원하는 통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improve the desired communication performance while reducing the size of the antenna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림화 및 무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limm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ntenna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연장하는 복수의 섹션들을 가지는 도전성의 안테나 패턴부; 상기 섹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방사 저항을 저감시키는 저항저감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ductive antenna pattern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ections that are bent and extend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radio frequency to transmit and receive; And a resistance redu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tions to reduce radiation resistance of the antenna pattern par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연장하는 복수의 섹션들을 가지는 도전성의 안테나 패턴부; 및 상기 섹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 의 방사 저항을 저감시키는 저항저감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on which at least one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to the main body to electrically control the electronic component; A conductive antenna patter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tions extending and bent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 radio frequency to transmit and receive; And a resistance redu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tions to reduce radiation resistance of the antenna pattern part.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무선 통신 기능을 기본으로 하여 제작된 단말기뿐만 아니라, 기본 기능(무선 통신과 직접 관련없는 기능)에 별도의 안테나 장치와 통신 모듈에 의해 무선 통신 기능을 부가시킨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not only a terminal manufactured based on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ut also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i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added to a basic function (a function not directly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by a separate antenna devi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 Is also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ntenna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0)는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에 따라 결정된 길이를 가지는 도전성의 안테나 패턴부(110)를 포함한다. 안테나 패턴부(110)의 길이는 안테나 장치의 구조에 따라 다르나, 통상적으로는 송수신하고자 하는 무선 주파수의 파장의 1/2 또는 1/4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나아가, 안테나 패턴부(110)에는 급전부(120)와 그라운드부(130)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안테나 패턴부(110)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안테나 패턴부(110)를 접지시킨다.Referring to FIG. 3, the antenna device 100 includes a conductive antenna pattern unit 110 having a length determined according to a radio frequency to transmit and receive. The length of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depends on the structure of the antenna device, but typically has a length of about 1/2 or 1/4 of the wavelength of the radio frequency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ddition, the power feeding part 120 and the ground part 130 may be formed separately in the antenna pattern part 110. They supply current to the antenna pattern portion 110 or ground the antenna pattern portion 110.

안테나 패턴부(110)는 일 직선으로 연장하지 않고 절곡되어 연장된 형태를 취한다. 이는 안테나 패턴부(110)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위와 같은 절곡에 의해 안테나 패턴부(110)는 복수의 섹션들(111 내지 115)로 구분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부(110)는 오픈 루프(open-loop) 방식으로서, 제1 섹션(111)과 제5 섹션(115)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The antenna pattern part 110 may be bent and extended without extending in one straight line. This is to minimize the area occupied by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In addition,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111 to 115 by bending as described above.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is an open-loop method, and the first section 111 and the fifth section 115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복수의 섹션들(111 내지 115)들 각각에는 급전부(120)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가 흐르고, 그 전류의 흐름 방향은 각각 화살표들(I1 내지 I5)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공진 길이는 복수의 섹션들(111 내지 115)의 전체 길이를 더한 길이가 된다.A current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20 flow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111 through 115, and a flow direction of the current may be indicated by arrows I1 through I5,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sonance length is a length obtained by adding the entir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111 to 115.

이러한 안테나 패턴부(110)에는 방사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저항저감부(11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저항저감부(113')는 복수의 섹션들(111 내지 115) 중 어느 하나인 제3 섹션(113)에 인접하는 섹션들(112 및 114)를 연결하는 연결 섹션이다.The antenna pattern portion 110 is formed with a resistance reducing portion 113 ′ for reducing radiation resistance. Specifically, the resistance reducing unit 113 ′ is a connecting section connecting the sections 112 and 114 adjacent to the third section 113,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111 to 115.

위의 연결 섹션(113')은 제3 섹션(113)과 이격된 채로 그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에 따라, 연결 섹션(113')을 따라 흐르는 전류(I3')는 제3 섹션(113)을 따라 흐르는 전류(I3)와 평행하게 흐르게 된다.The connecting section 113 ′ above is arranged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section 113. Accordingly, the current I3 ′ flowing along the connection section 113 ′ flows in parallel with the current I 3 flowing along the third section 113.

이와 같이, 저항저감부로서 연결 섹션(113')이 형성됨에 따라, 제2 섹션(112)을 거친 전류는 제3 섹션(113) 또는 연결 섹션(113')에 의한 2 개의 경로를 통해 흐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3 섹션(113) 및 그와 평행한 연결 섹션(113')이 형성된 부분에서, 전류는 저항이 보다 작은 상태로 흐르면서 전자기파를 방사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로, 안테나 패턴부(110)의 방사 효율이 향상된다. As such, as the connection section 113 ′ is formed as the resistance reduction portion, current passing through the second section 112 can flow through two paths by the third section 113 or the connection section 113 ′. Will be. Therefore, in the portion where the third section 113 and the connecting section 113 'parallel to it are formed, the electric current can emit electromagnetic waves while the resistance flows in a smaller state. As a result, the radiation efficiency of the antenna pattern portion 110 is improved.

달리 설명하자면, 제3 섹션(113)에 흐르는 전류(I3)와 제5 섹션(115)에서 흐르는 전류(I5)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기에 커플링에 의해 전체적인 전계 강도가 상쇄된다고 하더라도, 전류(I3)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연결 섹션(113')의 전류(I3')에 의해 전류(I3')의 흐름에 의해 전체적으로는 그 방향으로 전류의 편파 특성을 가지게 된다. 그에 따라, 연결 섹션(113') 또는 제3 섹션(113)에서 효 과적인 전자기파의 방사가 가능해진다. In other words, the current I3 flowing in the third section 113 and the current I5 flowing in the fifth section 115 flow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even if the overall electric field strength is canceled by the coupling, the current ( The current I3 'by the current I3' of the connection section 113 'flow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3) has a polarization characteristic of the current in that direction as a whole. Thus, effective 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connecting section 113 ′ or in the third section 113 is possible.

나아가, 연결 섹션(113')이 인근에 형성되는 섹션으로서 제3 섹션(113)은 그라운드부(130)가 접속되며 회로기판(미도시) 등에 형성된 그라운드(미도시)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섹션일수록 방사 효율이 효과적으로 개선되는 점에서 선택된다.Furthermore, as the s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section 113 'is formed in the vicinity, the third section 113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rtion 130 and radiates as far as the section farthest from the ground (not shown) formed on a circuit board (not shown). The efficiency is effectively select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200) 역시 앞선 안테나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안테나 패턴부(210)와, 급전부(220) 및 그라운드부(230)를 가진다. 또한, 안테나 패턴부(210)는 제1 내지 제5 섹션들(211 내지 215)를 가지고, 각 섹션들(211 내지 215)에 흐르는 전류(I1' 내지 I5')는 화살표로 그 흐름 방향이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4, the antenna device 200 also has an antenna pattern part 210, a power feeding part 220, and a ground part 230, like the antenna device 100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antenna pattern part 210 has first to fifth sections 211 to 215, and the currents I1 ′ to I5 ′ flowing through the sections 211 to 215 are indicated by arrows indicating the flow direction thereof. do.

그러나, 본 안테나 패턴부(210)에서는 저항저감부로서 기능하기 위하여 제3 섹션(113)이 다른 섹션들(111,112,114 및 115)에 비하여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저항저감부 또는 제3 섹션(113)을 흐르는 전류(I3)는 다른 섹션들(111,112,114 및 115)을 흐르는 전류들(I1,I2,I4 및 I5)에 비하여 작은 저항을 받게 된다. 그에 따라, 전류의 흐름이 개선되어 보다 강한 편파 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됨에 따라, 안테나 패턴부(210)의 방사 효율이 개선되게 한다.However, in the antenna pattern part 210, the third section 113 has a wider width than the other sections 111, 112, 114, and 115 in order to function as a resistance reducing part. The current I3 flowing through the resistance reducing unit or the third section 113 is subjected to a smaller resistance than the currents I1, I2, I4 and I5 flowing through the other sections 111, 112, 114 and 115. Accordingly, as the flow of current is improved to have a stronger polarization characteristic, the radiation efficiency of the antenna pattern portion 210 is improved.

나아가, 확장섹션(213)으로서 제3 섹션의 선택은 앞서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 제3 섹션(113) 인근에 연결 섹션(113')을 형성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이루어진다.Further, the selection of the third section as the extension section 213 is made for the same reason as the connection section 113 ′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third section 113 in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ntenna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300)는 안테나 패턴부(310)와, 급전부(320)와, 접지부(330) 나아가 캐리어(3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antenna device 300 includes an antenna pattern part 310, a power feeding part 320, a grounding part 330, and a carrier 340.

본 실시예에서의 안테나 패턴부(310)는 앞선 두 가지 실시예들에서의 안테나 패턴부들(110 및 210)이 조합된 형태를 가진다. 다시 말해서, 안테나 패턴부(3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섹션들(311 내지 315) 외에 연결 섹션(313')이 섹션들(312 및 314)를 연결하도록 추가로 배치된다. 나아가, 제3 섹션(313)은 다른 섹션들(311 등)에 비하여 확장된 너비를 가지는 확장 섹션으로 형성된다.The antenna pattern portion 310 in this embodiment has a form in which the antenna pattern portions 110 and 210 in the above two embodiments are combined. In other words, in addition to the plurality of sections 311 to 315 constituting the antenna pattern portion 310, the connecting section 313 ′ is further disposed to connect the sections 312 and 314. Further, the third section 313 is formed of an expanded section having an expanded width compared to the other sections 311 and the like.

이러한 구성에 따라, 확장 섹션인 제3 섹션(313)을 흐르는 전류(I3) 및 연결 섹션(313')을 흐르는 전류(I3')는 보다 작은 저항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강한 편파 특성을 갖게 되어 안테나 패턴부(310)의 방사 효율을 증대시킨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urrent I3 flowing through the third section 313, which is the extended section, and the current I3 'flowing through the connecting section 313' are subjected to less resistance, and thus have a stro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 The radiation efficiency of the antenna pattern portion 310 is increased.

나아가, 확장 섹션(313)에는 절곡 라인(313-1)이 형성된다. 절곡 라인(313-1)은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확장 섹션(313)이 그를 기준으로 절곡되도록 표시된 부분이다. 이와 같이 절곡 라인(313-1)이 형성됨에 따라, 안테나 패턴부(310)를 캐리어(340)에 장착시에, 확장 섹션(313)이 캐리어(340)의 인접하는 2개의 면들에 걸쳐 장착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절곡 라인(313-1)이 확장 섹션(313)의 절곡을 위한 기준이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확장 섹션(313)이 용이하게 절곡 되어 캐리어(340)의 인접하는 면에 밀착되기에, 확장 섹션(313)의 넓은 너비에 의해 추가적인 배치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Further, a bending line 313-1 is formed in the expansion section 313. The bending line 313-1 is a portion indicated such that the expanded section 313 is bent based on the press working or the like. As the bending line 313-1 is thus formed, when the antenna pattern portion 310 is mounted to the carrier 340, the extension section 313 is mounted over two adjacent surfaces of the carrier 340. can do. In other words, the bending line 313-1 serves as a reference for bending the expansion section 313. As such, since the expansion section 313 is easily bent and adhered to the adjacent face of the carrier 340, the wide width of the expansion section 313 has the advantage that no additional placement space is required.

이러한 안테나 장치(300)에 대하여, DCN(Digital Core Networks) 대역(주파 수 대역: 824~894 MHz, 대역폭: 70 MHz)의 주파수 송수신 특성의 개선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의 결과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For the antenna device 300, the results of experiments to confirm the improvement of the frequency transmission and reception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core network (DCN) band (frequency band: 824 ~ 894 MHz, bandwidth: 70 MHz) is shown in Figs. When introduced with reference to:

먼저, 제 3 섹션(313)의 길이는 41mm로, 제2 섹션(312)의 길이는 7mm로, 또한 안테나 패턴부(310)와 그라운드의 간격은 5mm로 설정되었다. 그에 따른 안테나 패턴부(310)가 차지하는 부피는 1.5 cc이다. 나아가, 확장 섹션인 제3 섹션(313)과 연결 섹션(313') 사이의 간격은 약 1 mm이다.First, the length of the third section 313 is set to 41 mm, the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312 is set to 7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nna pattern portion 310 and the ground is set to 5 mm. The volume occupied by the antenna pattern part 310 is 1.5 cc. Furthermore, the distance between the expansion section third section 313 and the connection section 313 'is about 1 mm.

도 6은 안테나 장치(300)의 반사 손실(Return Loss)을 실험한 결과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results of experiments on return loss of the antenna device 300.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300)의 S-파라미터 또는 반사 손실 그래프(S1)는 약 0.97 GHz 정도에서 최소값을 가진다. 나아가,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 전압정재파비) 2.5 기준, 다시 말해서 반사 손실이 약 -7 dB인 기준에서 대역폭은 71 MHz가 된다. 이러한 대역폭(71 MHz)은 DCN 대역의 대역폭(70 MHz)를 만족시킨다.Referring to FIG. 6, the S-parameter or return loss graph S1 of the antenna device 300 has a minimum value at about 0.97 GHz. Furthermore, the bandwidth is 71 MHz at 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 2.5, that is, at a return loss of about -7 dB. This bandwidth (71 MHz) satisfies the bandwidth of the DCN band (70 MHz).

다만, DCN 대역은 주파수 대역이 824~894 MHz이나, 반사 손실 그래프(S1) 의 공진 주파수 범위는 그 범위에 있지 않다. 이는 안테나 장치(300)가 단말기에 채용된 경우에 단말기의 케이스나 캐리어 등의 유전율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것이다.In the DCN band, however, the frequency band is 824 to 894 MHz, but the resonance frequency range of the reflection loss graph S1 is not in the range.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case or carrier of the terminal when the antenna device 300 is employed in the terminal.

따라서, 실제 단말기에 안테나 장치(300)가 채용된 경우에 대해서는, 공진 주파수의 이동에 따라 반사 손실 그래프(S1)를 좌측으로 이동(튜닝 과정에 의해 달성됨)시킨 새로운 반사 손실 그래프(S2)를 참고하면 된다. Therefore, when the antenna device 300 is employed in the actual terminal, a new reflection loss graph S2 obtained by shifting the reflection loss graph S1 to the left (achieved by the tu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hift of the resonance frequency is obtained. See also.

새로운 반사 손실 그래프(S2)에 따르면, 단말기에 장착된 안테나 장치(300) 는 VSWR 2.5 기준시 71 MHz의 대역폭을 가지고 또한 824 ~ 894 MHz 대역의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DCN 대역의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종래 안테나 장치(27, 도 2b)가 2.5 cc의 부피를 가질 때 1.5 cc의 부피만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new return loss graph (S2), the antenna device 300 mounted on the terminal has a bandwidth of 71 MHz based on VSWR 2.5 and can also transmit and receive frequencies in the 824 to 894 MHz ban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frequency of the DCN band. Still, when the conventional antenna device 27 (FIG. 2B) has a volume of 2.5 cc, it only has a volume of 1.5 cc.

위의 DCN 대역에서의 이득 및 방사 효율에 대해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following table shows the gain and emission efficiency in the above DCN band.

주파수(MHz)Frequency (MHz) 824824 849849 869869 894894 이득 평균값(dB)Gain average (dB) -2.13-2.13 -0.95-0.95 -2.08-2.08 -3.44-3.44 방사 효율(%)Emission Efficiency (%) 61.2061.20 80.4480.44 61.9661.96 45.2745.27

여기서, 이득은 각 방사 각도에 대한 평균인 이득 평균값으로 표시된다. 또한, 안테나 장치(300)를 단말기에 채용함에 따라, DCN 대역에서 방사 효율은 최소 45%(주파수가 약 894 MHz인 경우) 이상이다. 이는 종래 안테나 장치(27)의 방사 효율의 최소값이 30%임을 감안한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300)는 방사 효율을 종래 대비 50% 이상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Here, the gain is expressed as a gain average value which is an average for each emission angle. In addition, as the antenna device 300 is employed in the terminal, the radiation efficiency in the DCN band is at least 45% (when the frequency is about 894 MHz). Considering that the minimum value of the radiation efficiency of the conventional antenna device 27 is 30%, it can be seen that the antenna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radiation efficiency by 50% or more.

나아가, 안테나 장치(300)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실험 결과 그래프인 도 7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300)는 전 방향의 방사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장치(300)는 무 지향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득(Gain)의 최대 값은 1.3 dB 정도이다.Furthermore, referring to FIG. 7, which is an experimental result graph illustrating a radiation pattern of the antenna device 300, it can be seen that the antenna device 300 has radiation characteristics in all direction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antenna device 300 has no directivity. In addition, the maximum value of gain is about 1.3 dB.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체가 본체부(400)와 폴더부(500)가 힌지부(45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형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폴더부(500)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전자부품들이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8, there is illustrated a foldable terminal in which a main body is rotatably coupled to a main body 400 and a folder 500 by a hinge 450. The folder unit 500 includes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display module (not shown)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nd a speaker module (not shown) for outputting auditory information.

본체부(400)는 상부 커버(410)와 하부 커버(420)가 결합된 형태를 가지며, 상부 커버(410)의 폴더부(500)와 마주하는 면 측에는 키패드(미도시) 등과 같이 사용자의 누름 조작 등에 의해 숫자나, 문자 등을 입력하는 입력유닛이 구비된다.The main body 400 has a form in which the upper cover 410 and the lower cover 4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user's push on the surface side of the upper cover 410 facing the folder part 500 such as a keypad (not shown). An input unit for inputting numbers, characters, and the like by an operation is provided.

나아가, 본체부(400)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430)에는 디스플레이 모듈 등의 전자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이 실장 된다. Further, various components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display module ar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30 embedded in the main body 400.

또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300)는 인쇄회로기판의 일 측에 결합 된다. 이때, 전원공급부(320)는 인쇄회로기판(430)에 실장된 통신 모듈(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부(431)와 연결되고, 그라운드부(330)는 인쇄회로기판(430)에 형성된 그라운드(433)와 연결된다. 그에 따라, 제3 또는 확장 섹션(313) 및 연결 섹션(313')는 그라운드(433)에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embedded antenna device 3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320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431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30, and the ground unit 330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430. It is connected to the ground 433 formed. Accordingly, the third or extended section 313 and the connecting section 313 ′ are disposed at the furthest position from the ground 433.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 중에 내장형 안테나 장치(300)를 통해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때, 내장형 안테나 장치(300)의 안테나 패턴부(310)에 저항저감부(313,313')가 형성됨에 따라, 안테나 장치(300)의 방사 효율이 개선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frequency through the built-in antenna device 300 dur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as the resistance reduction parts 313 and 313 ′ are formed in the antenna pattern part 310 of the embedded antenna device 300, the radiation efficiency of the antenna device 300 is improved.

이러한 효율 개선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내장형 안테나 장치(300)의 전체 사이즈는 종래 보다 줄어, 단말기를 슬림화할 수 있게 된다.In spite of such an improvement in efficiency, the overall size of the built-in antenna device 300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lim the terminal.

다시 말해서, 단말기의 슬림화를 위한 안테나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무선 통신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나, 저항저감부(313,313')에 의해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통신 성능이 개선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may be degraded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antenna device for the slimming of the terminal, but the resistance reduction parts 313 and 313 'may not only cause such a problem but also may improv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안테나 장치(300)를 예로 들었으나, 다른 안테나 장치(100,200)을 인쇄회로기판(430)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는 별도로 캐리어(미도시)를 구비하여, 안테나 장치(100,200)를 인쇄회로기판(430)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8, the antenna device 300 is taken as an example, but other antenna devices 100 and 200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30. In this case, a carrier (not shown) may be separately provided to support the antenna devices 100 and 200 with respect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430.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로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플립형, 슬라이드형, 스윙형 등 그 형태에 무관하게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ip type, a slide type, a swing type, etc. Applicability to any form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상에서는 DCN 대역에서의 실험 결과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다른 주파수 대역들(PCS 대역 등)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experimental result in the DCN ban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other frequency bands (PCS band, etc.).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패턴부에 저항저감부를 구비함에 따라, 안테나 패턴부의 각 섹션들을 조밀하게 배치하면서도 방사 효율은 종래 보다 높일 수 있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sistance reduction portion in the antenna pattern portion, thereby densely arranging sections of the antenna pattern portion, thereby enabling radiation efficiency to be higher than bef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위와 같은 안테나 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단말기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슬림하게 되면서도 무선 통신 성능이 향상되게 한다.In addition,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ntenna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while reducing the overall size of the terminal.

Claims (16)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연장하는 복수의 섹션들을 가지는 도전성의 안테나 패턴부; 및A conductive antenna pattern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ections bent and extend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 radio frequency to transmit and receive; And 상기 섹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방사 저항을 저감시키는 저항저감부를 포함하고,A resistance redu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tions to reduce radiation resistance of the antenna pattern part; 상기 저항저감부는,The resistance reduction unit, 상기 섹션들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전류를 배출시키는 그라운드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편파 특성을 형성하도록 상기 그라운드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어 다른 섹션들에 비해 확장된 폭을 가지는 확장 섹션; 및Any one of said sections, an extension section disposed at a position farthest from said ground to have a polarization characteristic at a position farthest from a ground for discharging current of said antenna pattern portion, said extension section having an expanded width relative to other sections; And 상기 확장 섹션과 같은 방향의 전류를 형성하여 커플링에 의한 전계 강도 상쇄를 제한하도록, 상기 확장 섹션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확장 섹션과 인접한 섹션들을 연결하는 연결 섹션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And a connection section arranged in parallel with said extension section and connecting adjacent sections with said extension section to form a current in the same direction as said extension section to limit field strength cancellation by coupl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 섹션은 상기 어느 하나의 섹션과 이격된 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And said connecting section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said one s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확장 섹션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확장 섹션을 절곡시키는 기준선이 되는 절곡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And a bending line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extension section and serving as a reference line for bending the extension s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급전부; 및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류를 그라운드로 배출시키는 접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A feeding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pattern part to supply a current to the antenna pattern part; And a ground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pattern part to discharge the current to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유전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장착되는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The antenna device is formed of a dielectric,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carrier on which the antenna pattern portion is mounted.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본체;A body on which at least one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to the main body to electrically control the electronic component;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연장하는 복수의 섹션들을 가지는 도전성의 안테나 패턴부; 및A conductive antenna patter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tions extending and bent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 radio frequency to transmit and receive; And 상기 섹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방사 저항을 저감시키는 저항저감부를 포함하고,A resistance redu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tions to reduce radiation resistance of the antenna pattern part; 상기 저항저감부는,The resistance reduction unit, 상기 섹션들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전류를 배출시키는 그라운드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편파 특성을 형성하도록 상기 그라운드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어 다른 섹션들에 비해 확장된 폭을 가지는 확장 섹션; 및Any one of said sections, an extension section disposed at a position farthest from said ground to have a polarization characteristic at a position farthest from a ground for discharging current of said antenna pattern portion, said extension section having an expanded width relative to other sections; And 상기 확장 섹션과 같은 방향의 전류를 형성하여 커플링에 의한 전계 강도 상쇄를 제한하도록, 상기 확장 섹션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확장 섹션과 인접한 섹션들을 연결하는 연결 섹션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nection section arranged in parallel with said expansion section and connecting adjacent sections with said expansion section to form a current in the same direction as said expansion section to limit field strength cancellation by coupl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연결 섹션은 상기 어느 하나의 섹션과 이격된 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connection section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any one of the sections.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확장 섹션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확장 섹션을 절곡시키는 기준선이 되는 절곡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bending line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extension section and serving as a reference line for bending the extension section.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grou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pattern part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시키는 유전체인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arrier disposed between the antenna pattern par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carrier being a dielectric that couples the antenna pattern part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KR1020060107437A 2006-11-01 2006-11-01 Antenna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it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303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437A KR101303153B1 (en) 2006-11-01 2006-11-01 Antenna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iton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437A KR101303153B1 (en) 2006-11-01 2006-11-01 Antenna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iton terminal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734A KR20080039734A (en) 2008-05-07
KR101303153B1 true KR101303153B1 (en) 2013-09-09

Family

ID=3964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437A KR101303153B1 (en) 2006-11-01 2006-11-01 Antenna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iton terminal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1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593A1 (en) * 2022-05-02 2023-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earbud comprising antenn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317B1 (en) * 2009-03-26 2013-04-25 쿄세라 코포레이션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5360A (en) * 1996-04-05 1997-10-21 Omron Corp Transmitter-receiver
JP2002290138A (en) 2001-03-26 2002-10-04 Kyocera Corp Antenna device
JP2004260343A (en) * 2003-02-24 2004-09-16 Sony Corp Small antenna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5360A (en) * 1996-04-05 1997-10-21 Omron Corp Transmitter-receiver
JP2002290138A (en) 2001-03-26 2002-10-04 Kyocera Corp Antenna device
JP2004260343A (en) * 2003-02-24 2004-09-16 Sony Corp Small antenna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593A1 (en) * 2022-05-02 2023-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earbud comprising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734A (en)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6478B2 (en) Wireless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JP4868128B2 (en) ANTENNA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6670925B2 (en) Inverted F-type antenna apparatus an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he inverted F-type antenna apparatus
US7755545B2 (en) Antenn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ing the same
EP1202382B1 (en) Antenna
JP4197734B2 (en) Wireless module
CN100499262C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WO2010073421A1 (en) Portable wireless device
US7764246B2 (en) Wireless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antenna characteristic of the wireless device
JPWO2009019782A1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RADIO DEVICE
US7659866B1 (en) Multiple frequency band antenna
JP2007221288A (en) Antenna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7642966B2 (en) Carrier and device
WO2005114778A1 (en) Portable telephone device
JP2007089123A (en) Portable wireless device
US6697023B1 (en) Built-in multi-band mobile phone antenna with meandering conductive portions
WO2004025781A1 (en) Loop antenna
JP4189433B1 (en) Portable radio
US7398113B2 (en) Portable wireless apparatus
KR101303153B1 (en) Antenna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iton terminal having the same
US7236141B2 (en) Antenna system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H09232854A (en) Small planar antenna system for mobile radio equipment
JP4060220B2 (en) ANTENNA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004120519A (en) Antenna for portable radio equipment
KR101218675B1 (en) Inte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