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483B1 - The development of allergy therapeutics targeting histone deacetylase 3 - Google Patents

The development of allergy therapeutics targeting histone deacetylase 3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483B1
KR101302483B1 KR1020110113211A KR20110113211A KR101302483B1 KR 101302483 B1 KR101302483 B1 KR 101302483B1 KR 1020110113211 A KR1020110113211 A KR 1020110113211A KR 20110113211 A KR20110113211 A KR 20110113211A KR 101302483 B1 KR101302483 B1 KR 10130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ression
histone deacetylase
hdac3
expression level
anti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48384A (en
Inventor
정두일
김영미
김경종
박덕범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483B1/en
Publication of KR20130048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3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4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enzymes or iso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34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51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inorgan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Transferases (2.)
    • G01N2333/91005Transferases (2.) transferring one-carbon groups (2.1)
    • G01N2333/91011Methyltransferases (general) (2.1.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4Immunology or allergic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알레르기 치료제를 개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알레르기성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포유동물의 세포시료로부터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 및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와 FcεRIβ의 교차결합을 저해하는 물질을 선별하여 알레르기 치료제를 개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 DNA 메틸 전이효소-1(DNA methyltransferase-1, DNMT-1) 또는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면 효과인 알레르기성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를 타깃으로 하면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제를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agnosis of allergic diseases and a method for developing an allergic agent, and specifically,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agnosis of allergic diseases, histone deacetyl from a mammalian cell sample. Method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oxidase-3 and selecting a substance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histone deacetylase-3 or inhibits the crosslinking of histone deacetylase-3 and FcεRIβ. It is ab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histone deacetylase-3, DNA methyltransferase-1 (DNMT-1) or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 Measurement can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agnosis of effective allergic diseases, and targeting histone deacetylase-3 can effectively develop therapeutics for allergic diseases.

Description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3을 표적으로 하는 알레르기 치료제 개발방법{The development of allergy therapeutics targeting histone deacetylase 3}The development of allergy therapeutics targeting histone deacetylase 3}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알레르기 치료제를 개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알레르기성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포유동물의 세포시료로부터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 및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와 FcεRIβ의 교차결합을 저해하는 물질을 선별하여 알레르기 치료제를 개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agnosis of allergic diseases and a method for developing an allergic agent, and specifically,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agnosis of allergic diseases, histone deacetyl from a mammalian cell sample. Method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oxidase-3 and selecting a substance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histone deacetylase-3 or inhibits the crosslinking of histone deacetylase-3 and FcεRIβ. It is about.

급속한 현대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알레르기성 질환이 계속적인 증가 추세이며, 현재 산업화된 나라 인구의 10 내지 40%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국내의 경우 1980년대 1% 미만이었던 알레르기성 환자는 2000년대 이르러 5% 이상으로 급증하였으며, 잠재적인 환자까지 포함하면 전체 인구의 10%가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인구의 22% 이상이 알레르기성 비염을 앓고 있는 미국의 경우 알레르기성 질환의 경제학상 영향이 초기 90년대에만 $6,400,000,000으로 평가 될 만큼 알레르기는 개인 삶의 질에 깊이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의학계, 경제활동에 대한 직접 및 간접비용이 막대하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y, allergic diseases such as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continue to increase, and currently affect 10 to 40% of the industrialized country population. In Korea, allergic patients, which were less than 1% in the 1980s, surged to more than 5% by the 2000s, and it is estimated that more than 10% of the total population including potential patients was included. In the United States, where more than 22% of the population suffers from allergic rhinitis, allergy affects not only the quality of life but also the medical and economic activities, as the economic impact of allergic diseases is estimated at $ 6,400,000,000 in the early 1990s. The direct and indirect costs for this are enormous.

알레르기(allergy)란 일반적으로 외래물질인 항원, 즉 알레르기원(allergen)이 면역학적 기전을 통해 신체에 해로운 손상을 유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알레르기원에 대한 과민 반응으로 이에 대한 질환으로는 과민증(anaphylaxis), 알레르기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asthma),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곤충 알레르기, 식품 알레르기, 약품 알레르기 및 두드러기(urticaria)등이 있다[Wuthrich B., 1989, Int. Arch. Allergy Appl. Immunol., 90, 3-10].Allergy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foreign antigens, or allergens, generally cause harmful damage to the body through immunological mechanisms. Hypersensitivity reactions to allergens include diseases such as anaphylaxis, allergic rhinitis, asthma, atopic dermatitis, insect allergies, food allergies, drug allergies and urticaria ( urticaria), Wuthrich B., 1989, Int. Arch. Allergy Appl. Immunol., 90, 3-10].

알레르기 반응은 비만세포를 매개로 일어나는데, 비만세포는 피부, 호흡기, 위장관의 점막, 임파관 주위, 혈관 주위, 뇌 등 전신의 장기에 널리 분포하며, 알레르기 반응의 원인 세포로서 알려져 있다. 알레르기 반응은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동물 비듬, 곰팡이, 난알부민, 우유단백질, 땅콩 등의 알레르기원에 대항하기 위하여 생성된 IgE가 비만세포에 작용함으로써 야기된다[Wills-Karp M., et al., 1998, Science, 282, 2258-2261, ; Grunig G., et al., 1998, Science, 282, 2261-2263].Allergic reactions are mediated by mast cells, which are widely distributed in organs of the whole body such as the skin, respiratory tract, mucous membran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ound lymphatic vessels, around blood vessels, and in the brain. Allergic reactions are caused by the action of IgE on mast cells to fight allergens such as house dust mites, pollen, animal dander, mold, egg albumin, milk proteins and peanuts [Wills-Karp M., et al., 1998, Science, 282, 2258-2261,; Grunig G., et al., 1998, Science, 282, 2261-2263.

IgE는 정상적으로는 혈청 중에 아주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 일 부류의 항체이다. 특정 항원에 민감한 알레르기 환자의 혈청 내 특정 항원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갖는 IgE 생성 농도는 정상인의 혈청과 비교하였을 때 높은 수준으로 존재한다. 이렇게 IgE 생성에 이르게 하는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기작은 하기와 같다.IgE is a class of antibodies that normally exist in very low concentrations in serum. IgE production concentrations with binding specificities for specific antigens in serum of allergic patients sensitive to specific antigens are present at high levels when compared to serum of normal individuals. The mechanism of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leading to IgE production is as follows.

일단, 우리의 몸이 항원에 노출되면, 항원은 먼저 항원제시세포(Antigen presenting cells, APC)에 의해 인지되며, 이 항원제시세포는 IL-4 존재 하에서 알레르기원 제시를 통해 Th0를 Th2 세포로 분화시킨다. 이렇게 분화된 Th2 세포는 IL-4, IL-5, IL-13와 같은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데, IL-4, IL-5 는 골수에서 호산성백혈구(eosinophil)의 발달을 촉진시켜 염증 발생 조직으로 호산성 백혈구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B세포에 작용하여 IgE 생성을 유도한다[Wills-Karp M., et al., 1998, Science, 282, 2258-2261].Once our body is exposed to an antigen, the antigen is first recognized by Antigen presenting cells (APCs), which then differentiate Th0 into Th2 cells by presenting an allergen in the presence of IL-4. Let's do it. These differentiated Th2 cells secrete cytokines such as IL-4, IL-5 and IL-13, which promote the development of eosinophils in the bone marrow to inflamed tissue In addition to inducing eosinophilic leukocytes, they act on B cells to induce IgE production (Wills-Karp M., et al., 1998, Science, 282, 2258-2261).

상기 작용 기전으로 생성된 IgE는 Fc 영역을 통해 고 친화성 IgE 수용체(FcεRI)를 매개로 비반 세포에 강하게 결합한다[Ishisaka et al., 1970, Immunochemistry 7,687-702; Metzger et al., 1986, Ann. Rev. Immunol. 4, 419-470; Kinet, 1999, Ann. Rev. Immunol. 17, 931-972]. IgE에 대한 고 친화성 수용체(FcεRI)는 즉각적 알레르기 증상에 대한 주요 매개자이다. FcεRI은 비반 세포 뿐만 아니라 호염기구, 혈소판을 포함한 많은 다른 세포 유형 및 항원제시세포, 예를 들어 단핵구 및 수지상 세포에서 발견된다. 참고로 IgE에 저 친화성 수용체(FcεRII 또는 CD23)는 B 림프구, 대식세포, 혈소판 및 많은 다른 세포 유형, 예를 들어 기도 평활근에서 광범위하게 발현된다. FcεRII는 IgE 발현의 피드백 조절 및 그 결과로서 FcεRII 표면 발현에 역할을 맡을 수 있다.The mechanism of action produced IgE binds strongly to apoptotic cells via the high affinity IgE receptor (FcεRI) via the Fc region [Ishisaka et al., 1970, Immunochemistry 7,687-702; Metzger et al., 1986, Ann. Rev. Immunol. 4, 419-470; Kinet, 1999, Ann. Rev. Immunol. 17, 931-972]. High affinity receptor (FcεRI) for IgE is a major mediator of immediate allergic symptoms. FcεRI is found in astigmatism cells as well as many other cell types, including basophils, platelets, and antigen presenting cells, such as monocytes and dendritic cells. For reference, low affinity receptors (FcεRII or CD23) for IgE are widely expressed in B lymphocytes, macrophages, platelets and many other cell types, such as airway smooth muscle. FcεRII may play a role in feedback regulation of IgE expression and consequently FcεRII surface expression.

IgE가 FcεRI를 매개로 비반 세포에 결합한 이 후 동일한 항원에 재차 노출되면 항원이 비반세포의 FcεRI와 결합된 IgE에 결합하여 이들 수용체간의 교차 결합을 유도하고 일련의 신호전달 반응이 비반 세포를 활성화 한다. 활성화된 비만세포는 히스타민(histamine),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프로테아제(protease), 류코트리엔(leukotrien), 프로스타클라딘(prostaglandin), 사이토카인(cytokine), 활성 산소(ROS)와 같은 자유라디칼(free radical) 등을 탈과립에 의하여 분비, 또는 새로 합성하여 분비함으로써 혈관 확장, 장관 내 및 기관지 평활근 수축, 점액 분비 및 국소 단백질 분비 등 일련의 알레르기 반응을 매개한다. 이처럼 알레르기 반응이 비만세포의 탈과립 등 비만세포의 활성화에 의해 야기되므로, 비만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물질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J. Korean Soc. Appl. Biol. Chem., 2005, 48, 315-321].When IgE binds to the plaque cells via FcεRI and then is exposed again to the same antigen, the antigen binds to the IgE bound with the FcεRI of the plaque, inducing cross-linking between these receptors, and a series of signaling responses activate the plaque. . Activated mast cells are free radicals such as histamine, proteoglycan, protease, leukotrien, prostaglandin, cytokine, and free radicals (ROS). By degranulation or newly synthesized secretion by degranulation, it mediates a series of allergic reactions such as vasodilation, intestinal and bronchial smooth muscle contraction, mucus secretion and local protein secretion. Since the allergic reaction is caused by activation of mast cells such as degranulation of mast cells, a substance that inhibits activation of mast cells can be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allergic diseas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2005, 48, 315-321.

IgE-매개 염증반응은 즉시형 과민 반응으로 항원이 IgE 항체에 결합 한 수분 내에 비반 세포의 탈과립화를 유발하여 히스타민과 같은 수행성 매개자를 방출한다. 이 반응의 최대 강도는 최초 항원 노출 후 15분 내에 나타나며 발진 및 소양증(가려움증) 형태의 홍반, 국소부종등이 수반된다. 과립함유물은 혈관 투과를 돕는 혈관 세포 부착 분자(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 VCAM-1)의 국소적 발현을 유도하며, 백혈구 및 섬유아세포의 주화성 활성을 갖는 기타 케모카인등은 궁극적으로 해당 부위에 염증을 유발한다. IgE-매개 즉시적 염증반응을 특별히 제1형 과민 반응으로 부른다.IgE-mediated inflammatory reactions are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s that cause degranulation of apoptotic cells within minutes of antigen binding to IgE antibodies, releasing a performance mediator such as histamine. The maximum intensity of this reaction occurs within 15 minutes after initial antigen exposure, accompanied by rash and pruritus (itch) erythema, focal edema, etc. Granule content induces local expression of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 (VCAM-1) to assist vascular permeation, and other chemokines with chemotactic activity of leukocytes and fibroblasts ultimately inflame the site Cause. The IgE-mediated immediate inflammatory response is specifically called type 1 hypersensitivity.

이러한 IgE-매개 염증 반응에는 아토피성 알레르기(예, 고초열, 천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전신성 아나필락시스 반응 및 알레르기성 담마진(두드러기)이 있으며,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급속한 혈관확장을 일으키고, 순환하는 가용성 인자 및 세포의 항원 접촉 부위로의 진입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면역 방어의 제1선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비반 세포의 초기 매개 반응 후 약 6 ~ 24시간이 경과되면 산성 백혈과, 염기성 백혈구 및 림프구의 침윤이 발행하며 항원에 노출된 조직의 만성적 염증을 유도한다. 이런 후기 상의 면역 반응을 특별히 제4형 과민 반응이라 불리며 이는 감작 T임파구와 항원이 반응하여 감작 T임파구에서 유리되는 여러 가지 활성 인자에 의해 생긴다. 임상적 특징으로는 홍반, 경화(induration), 온난(warmth), 소양증, 및 감염 부위에서의 작열감(burning sensation)을 들 수 있다.These IgE-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include atopic allergies (eg fever,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systemic anaphylaxis reactions and allergic dimples (ticks), which cause rapid vasodilation and circulate solubility as described above. It can generally play a role as the first line of immune defense because it facilitates entry of factors and cells into antigenic contact sites. Approximately 6 to 24 hours after the initial mediated response of the apoptotic cells, acidic leukemia and infiltration of basic leukocytes and lymphocytes are issued, leading to chronic inflammation of tissues exposed to the antigen. This late phase immune response is specifically called type 4 hypersensitivity and is caused by a number of active factors released from sensitized T lymphocytes by the reaction of sensitized T lymphocytes with antigens. Clinical features include erythema, induration, warmth, pruritus, and burning sensation at the site of infection.

특정 유전자의 발현 조절은 DNA에 접근하는 전사 인자의 능력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때 DNA와 히스톤 사이에 결합이 강할수록 전사 인자에 의한 접근을 제한하고, 따라서 유전자 전사를 억제한다[Morrison et al, 2007, Cell Mol. Life Sci., 64, 22582269]. 메틸기, 인산염기, 또는 아세틸기 공유 부가 등에 의한 히스톤 또는 DNA의 변형은 그들의 결합 강도를 변화시키고, 결과적으로 DNA 전사에 영향을 준다.Regulation of expression of certain genes is regulated by the ability of transcription factors to access DNA, with stronger binding between DNA and histones restricting access by transcription factors and thus inhibiting gene transcription [Morrison et al, 2007, Cell Mol. Life Sci., 64, 22582269. Modification of histones or DNA by methyl group, phosphate group, or acetyl group covalent addition or the like changes their binding strength and consequently affects DNA transcription.

DNA의 메틸화(methylation) 및 히스톤의 아세틸화(acetylation) 현상은 후생유전적 조절의 주된 형태로서, 염색질(chromatin) 구조의 변형을 통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Herman JG., 2003, N. Engl. J. Med., 349, 2042-2054], 이러한 후생유전적 조절 기작이 종양 발생 및 유전자 질환에 직접적인 원인 역할을 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DNA 메틸화 현상이 전신성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자가 면역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밝혀졌으며, 류마티스 관절염 샘플로부터 분리된 T 세포의 게놈 DNA가 저메틸화가 되어 있고, DNA 메틸전이효소(DNMT)의 활성이 감소되었다는 내용이 보고된 바 있으며[Richardson B. et al., 1990, Arthritis Rheum., 33, 1665-1673], 류마티스 관절염이 DNA 메틸화와 연관성이 있다는 내용이 보고된 바 있다[Kim YI. et al., J. Lab. Clin. Med., 1996,128, 165-172].Methylation of DNA and acetylation of histones are the main forms of epigenetic regulation that inhibit gene expression through modification of chromatin structure [Herman JG., 2003, N. Engl. J. Med., 349, 2042-2054],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se epigenetic regulatory mechanisms play a direct role in tumor development and genetic disease. In particular, it has been found that DNA methy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rheumatoid arthritis, an autoimmune disease that causes systemic chronic inflammation.The genomic DNA of T cells isolated from the rheumatoid arthritis sample is hypomethylated and DNA methyltransferase ( DNMT) activity has been reported [Richardson B. et al., 1990, Arthritis Rheum., 33, 1665-1673], and rheumatoid arthritis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DNA methylation [ Kim YI. et al., J. Lab. Clin. Med., 1996,128, 165-172.

DNA 메틸전이효소(DNA methyltransferase, DNMT)는 DNA 분자의 특정 뉴클레오티드 염기에 공유 결합에 의해 메틸기를 부가하는 효소로 포유류에서는 DNMT1, DNMT2, DNMT3A 및 DNMT3B 등 4가지의 활성 DNA 메틸전이효소가 동정되었다.DNA methyltransferase (DNMT) is an enzyme that adds a methyl group by covalent bond to a specific nucleotide base of a DNA molecule. In mammals, four active DNA methyltransferases, DNMT1, DNMT2, DNMT3A and DNMT3B, have been identified.

DNMT1은 가장 흔한 DNA 메틸전이효소로서, 포유류에서 중요한 메틸전이효소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포유류 게놈에서 헤미메틸화된 CpG 디-뉴클레오티드를 메틸화하고, 발생 단계에서 확립된 메틸화 패턴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DNMT3는 헤미-메틸화된 CpG 부위와 메틸화되지 않은 CpG 부분을 동일한 속도로 메틸화할 수 있는 유형의 DNA 메틸전이효소이며 구조적으로 DNMT1과 유사하다. 최근 DNMT3B 유전자의 다형성과 한국인에서의 류마티스 관절염 발생 위험도 및 관절파괴의 진행속도와의 상관 관계가 보고된 바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DNMT3B 유전자 다형성이 류마티스 관절염 질병예후를 진단하는 유전적 인자로 제시된 바 있다[KR 특허 출원 10-2007-0102741].DNMT1 is the most common DNA methyltransferase and is known as an important methyltransferase in mammals, mainly responsible for methylating hemimethylated CpG di-nucleotides in the mammalian genome and maintaining the methylation pattern established at the developmental stage. DNMT3 is a type of DNA methyltransferase capable of methylating the hemi-methylated CpG moiety and the unmethylated CpG moiety at the same rate and is structurally similar to DNMT1. Recent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lymorphism of the DNMT3B gene and the risk of rheumatoid arthritis and the rate of joint destruction in Koreans has been reported.Based on this, the DNMT3B polymorphism has been suggested as a genetic factor for diagnosing the prognosis of rheumatoid arthritis disease. [KR Patent Application 10-2007-0102741].

또한, DNA 메틸전이효소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공지된 단백질들이 많이 알려져 있는데 이는 DNMT 효소가 단독으로 작용하기 보다는, 공지된 단백질들과 큰 복합체를 이루어 전사조절 및 염색질 구조 변형을 유도 하는 구성 성분 효소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질병에서의 DNA 메틸화의 여러 가지 역할들을 이해하고 이러한 결함을 예방하거나 회복시키는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In addition, many proteins are known to interact with DNA methyltransferase, which is a constituent enzyme that forms large complexes with known proteins to induce transcriptional regulation and chromatin structural modifications rather than the DNMT enzyme alone. It can be seen that one. These facts will be of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various roles of DNA methylation in disease and in developing new therapies to prevent or repair these defects.

히스톤의 가역적 아세틸화는 DNA에 대한 전사 인자(transcriptional factor)의 접근성을 변화시키는 유전자 발현의 주된 제어인자이다. 정상 세포에서, 히스톤 디아세틸라제(HDACs) 및 히스톤 아세틸트랜스퍼라제(HATs)는 유전자 발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히스톤의 아세틸화 수준을 함께 조절한다. HATs가 전사 활성화 인자인 반면, HDACs는 전사 억제 및 유전자의 사일런싱에 대응된다[Kouzarides, 1999, Curr. Opin. Genet. Dev., 9, 40-48; Johnstone RW, 2002, Nat. Rev. Drug Discov., 1, 287-299].Reversible acetylation of histones is a major control factor for gene expression that changes the accessibility of transcriptional factors to DNA. In normal cells, histone deacetylases (HDACs) and histone acetyltransferases (HATs) together regulate the acetylation levels of histones to balance gene expression. While HATs are transcription activators, HDACs correspond to transcription inhibition and gene silencing [Kouzarides, 1999, Curr. Opin. Genet. Dev., 9, 40-48; Johnstone RW, 2002, Nat. Rev. Drug Discov., 1, 287-299].

인간 HDACs는 상동성(homology)에 기초하여 클래스 I, II, III로 구분한다. 고전적 HDACs로 간주되는 클래스 I(HDAC1, 2, 3 및 8), II(HDAC4, 5, 6, 7, 9 및 10)는 트리코스타틴 A(TSA)에 의해 그 활성이 공통적으로 저해된다. 보편적으로 발현되는 클래스 I에 비해 클래스 II는 조직 제한적이며 특히 심장, 골격, 뇌에서 발현 수준이 높다. 클래스 III HDACs는 TSA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NAD+ 의존적 단백질 부류이다.Human HDACs are divided into classes I, II, and III based on homology. Class I (HDAC1, 2, 3 and 8), II (HDAC4, 5, 6, 7, 9 and 10), which are considered classical HDACs, are commonly inhibited by trichostatin A (TSA). Compared to the universally expressed class I, class II is tissue limited and has high expression levels, especially in the heart, skeleton and brain. Class III HDACs are a class of NAD + dependent proteins that are not affected by TSA.

HDACs는 그 아세탈화 수준을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비-히스톤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들은, 에스트로겐 및 안드로겐 수용체와 같은 스테로이드 수용체들[Wang et al, 2001, J. Biol. Chem., 276, 18375-18383; Gaughan et al, 2002, J. Biol. Chem., 277, 25904-25913], p53, E2F와 같은 전사 인자들[Luo et al, 2000, Nature, 408, 377-381; Ito et al, 2001, EMBO J., 19, 1176-1179; Sartorelli et al, 1999, Mol. Cell, 4, 725-734] 및 α-튜불린과 같은 세포질 단백질들[Hubbert et al, 2002, Nature, 417, 455-458]을 포함한다.HDACs have been known to modulate the activity of non-histone proteins by modifying their acetalization levels. These include steroid receptors such as estrogen and androgen receptors [Wang et al, 2001, J. Biol. Chem., 276, 18375-18383; Gaughan et al, 2002, J. Biol. Chem., 277, 25904-25913], p53,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E2F [Luo et al, 2000, Nature, 408, 377-381; Ito et al, 2001, EMBO J., 19, 1176-1179; Sartorelli et al, 1999, Mol. Cell, 4, 725-734] and cytoplasmic proteins such as α-tubulin (Hubbert et al, 2002, Nature, 417, 455-458).

상기와 같은 후생적 조절의 변형은 암을 포함한 많은 질환의 징표이다. 그러므로 이들 질환의 치료제로 제공되는 약물 개발에 있어서 후생적 조절의 근본적인 기전 연구는 집중적인 관심 분야이며 후생적 조절인자에 대한 탐색은 약물 발견을 위한 매우 유망한 분야가 되고 있다.Such variations in epigenetic regulation are signs of many diseases, including cancer. Therefore, the fundamental mechanisms of epigenetic control in the development of drugs provided as therapeutic agents for these diseases are intensive areas of interest, and the search for epigenetic regulators has become a very promising field for drug discovery.

케모카인은 분자량이 낮으며(8-10 kDa), 유발성, 분비성, 전염증성, 화학유인 사이토카인으로, 이는 조직 손상의 부위에서 백혈구의 특정 부분 집단의 혈관주위 이동 및 축적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여진다.Chemokines are low molecular weight (8-10 kDa) and are inducible, secretory, proinflammatory, chemoattractant cytokines that play a pivotal role in the perivascular migration and accumulation of certain subpopulations of white blood cells at the site of tissue damage. Seems to do.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 MCP1(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혹은 CCL2로 칭함)은 모든 공지된 케모카인들 중에서, 단핵구와 대식세포에 대해 최고 특이성을 나타내는 케모카인의 β 아과에 속하는 단백질로 T 림프구, 비만세포 및 호염기성 백혈구에 대해 강력한 화학주성 작용을 가진다[Rollins B.J., 1997, Blood 90, 909-928; M. Baggiolini M., 1998, Nature 392, 565-568].The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MCP1 (called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or CCL2), belongs to the β subfamily of chemokines, which shows the highest specificity for monocytes and macrophages, among all known chemokines, T lymphocytes, mast cells and neutrophils. Has a strong chemotactic effect on basic leukocytes [Rollins BJ, 1997, Blood 90, 909-928; M. Baggiolini M., 1998, Nature 392, 565-568].

MCP1은 케모카인 수용체 CCR2를 통하여 결합하고 신호를 전달한다. CCR2는 단핵구, T-세포, B-세포 및 호염구를 포함하는 많은 세포들에서 발현되며 결과적으로 여러 염증성 인자들(활성산소, 아라키돈산 및 유도체, 사이토카인/케모카인)을 생산하고 식균작용을 증가시킨다.MCP1 binds and signals through the chemokine receptor CCR2. CCR2 is expressed in many cells, including monocytes, T-cells, B-cells and basophils, resulting in the production of several inflammatory factors (active oxygen, arachidonic acid and derivatives, cytokines / chemokines) and increased phagocytosis .

MCP1이 염증성 반응 동안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병변들에서 새로운 표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MCP1의 상당한 생리병리학적 기여의 증거는 관절 및 신장 염증성 질환들(류마티스 관절염, 낭창성신염, 당뇨성 신장병증 및 이식 후 거부반응)을 가진 환자들의 경우에서 보고되고 있다.MCP1 plays an important role dur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and has been demonstrated as a new target in various lesions. Evidence of significant physiological contributions of MCP1 has been reported in patients with joint and kidney inflammatory diseases (rheumatic arthritis, lupus nephritis, diabetic nephropathy and post-transplant rejection).

최근에, MCP1은 CNS(다발성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HIV-관련 치매)의 염증성 이상 및 명백한 염증성 성분들을 갖거나 갖지 않은, 아토피 피부병, 대장염, 간질성 폐 이상, 재협착, 죽상경화증, 수술 치료(예를 들어, 혈관형성, 동맥절제술, 이식, 기관 및/또는 조직 교체, 보철 임플란트), 암(선종, 암종 및 전이) 및 인슐린 저항성과 비만과 같은 신진대사 질환들을 포함하는 다른 이상 및 통증에 관여하는 인자들 중에서 지정되었다.Recently, MCP1 has been treated with atopic dermatosis, colitis, interstitial lung disorders, restenosis, atherosclerosis, surgical treatment (with or without inflammatory abnormalities and obvious inflammatory components of the CNS (Multiple Sclerosis, Alzheimer's Disease, HIV-related dementia)). For example, they are involved in pain and other abnormalities and pains, including angiogenesis, arterectomy, transplantation, organ and / or tissue replacement, prosthetic implants, cancer (adenoma, carcinoma and metastasis) and metabolic diseases such as insulin resistance and obesity Among the arguments.

현재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대표적인 알레르기 치료제로는 항히스타민, 스테로이드성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용 의약품등이 있는데, 이들은 주로 증후성에 치료 효과가 있고, 과도한 체액성 면역을 완화하거나 IgE 생성을 억제시키는 알레르기의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IgE 항체(CGP-51901)와 재조합 인간화 단일 클론항체의 임상 실험을 통하여 IgE 생산 억제가 알레르기의 증상을 개선시킴이 증명되었고[Fahy JV. et al.,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 155, 1828-1834], IgE 합성 및 분비억제자로 디아실 벤지미다졸 동족체[US 특허 6,369,091호]와 세균성 폴리사카라이드[US 특허출원공개 20020041885호]가 밝혀졌다.Representative allergic agents currently commonly used include antihistamines, steroidal or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which are primarily for the treatment of symptoms, and are fundamental to allergies that alleviate excessive humoral immunity or inhibit IgE production. There has been no effect on treating the cause. On the other hand, clinical trials of IgE antibody (CGP-51901) and recombinant humanized monoclonal antibody demonstrated that suppression of IgE production improved the symptoms of allergy [Fahy JV. et al.,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 155, 1828-1834], diacyl benzimidazole homologues (US Pat. No. 6,369,091) and bacterial polysaccharides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0041885) have been identified as inhibitors of IgE synthesis and secre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알레르기 치료에 대한 통상적인 방법은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한 전신적인 치료와 환자의 민감성을 완화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들 연구는 기초적인 IgE-비만세포/호염기성 세포 상호작용이나 FcRI 작용 기작에 근거하는 것은 아니다.
As mentioned above, conventional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llergies include systemic treatment with anti-histamines and methods for alleviating patient sensitivity, and these studies have demonstrated basic IgE-mast / Basic cell interactions or FcRI interactions. It is not based on mechanism.

본 발명자는 종래에 알려진 IgE-매개 알레르기 및 피부 아나필락시스 유도 기작을 바탕으로 IgE 고 친화성 수용체 FcεRI에 결합하는 단백질 복합체를 연구한 결과, 단백질의 후생 유전적 조절자인 HDAC3이 항원 자극 시 FcεRIβ에 결합하여 일련의 신호전달을 통해 염증성 반응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DNMT1의 반응을 음성적으로 조절하는 등 알레르기 질환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HDAC3를 포함하여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 수준 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알레르기 질환을 비교적 손쉽고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 인자들의 발현 또는 활성에 영향을 미치거나 인자들간의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선별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효과적으로 새로운 알레르기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ors studied a protein complex that binds to the IgE high affinity receptor FcεRI based on the known mechanisms of IgE-mediated allergy and cutaneous anaphylaxis induction mechanism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ammatory response is mediated through a series of signals and deeply involved in allergic diseases such as negatively regulating the response of DNMT1.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for relatively easy and accurate diagnosis of allergic diseases by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 of related factors, including the HDAC3, and affect the expression or activity of these factors, Using methods of screening for affected substances can effectively develop new allergy medica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알레르기성 질환을 효율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efficiently diagnosing an allergic disea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 즉,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타깃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eveloping a therapeutic agent for an allergic disease, that is, a new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agent for an allergic disease.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포유동물의 세포시료로부터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histone deacetylase-3, HDAC3), DNA 메틸 전이효소-1(DNA methyltransferase-1, DNMT-1) 또는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istone deacetylase-3 (HDAC3), DNA methyl transferase- from mammalian cellular sample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agnosis of allergic diseases. A method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1 (DNA methyltransferase-1, DNMT-1) or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 is provided.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는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열번호 1은 생쥐(Mus musculus)의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의 아미노산 서열이며, 서열번호 3은 인간(Homo sapiens)의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또한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열번호 2는 생쥐(Mus musculus)의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 유전자의 염기서열이며, 서열번호 4는 인간(Homo sapiens)의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 유전자의 염기서열이다.Histone deacetylase-3 may consist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r SEQ ID NO: 3. SEQ ID NO: 1 is the amino acid sequence of histone deacetylase-3 of mouse (Mus musculus), SEQ ID NO: 3 is the amino acid sequence of histone deacetylase-3 of human (Homo sapiens). In addition, the gene encoding histone deacetylase-3 may consist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or SEQ ID NO: 4. SEQ ID NO: 2 is a nucleotide sequence of histone deacetylase-3 gene of mouse (Mus musculus), SEQ ID NO: 4 is a nucleotide sequence of histone deacetylase-3 gene of human (Homo sapiens).

DNA 메틸 전이효소-1는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열번호 5는 생쥐(Mus musculus)의 DNA 메틸 전이효소-1의 아미노산 서열이며, 서열번호 7은 인간(Homo sapiens)의 DNA 메틸 전이효소-1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또한 DNA 메틸 전이효소-1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열번호 6은 생쥐(Mus musculus)의 DNA 메틸 전이효소-1 유전자의 염기서열이며, 서열번호 8은 인간(Homo sapiens)의 DNA 메틸 전이효소-1 유전자의 염기서열이다.DNA methyl transferase-1 may consist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or SEQ ID NO: 7. SEQ ID NO: 5 is the amino acid sequence of DNA methyl transferase-1 of mouse (Mus musculus), SEQ ID NO: 7 is the amino acid sequence of DNA methyl transferase-1 of human (Homo sapiens). In addition, the gene encoding DNA methyl transferase-1 may 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 or SEQ ID NO: 8. SEQ ID NO: 6 is a nucleotide sequence of a DNA methyl transferase-1 gene of a mouse (Mus musculus), SEQ ID NO: 8 is a nucleotide sequence of a DNA methyl transferase-1 gene of a human (Homo sapiens).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은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열번호 9는 생쥐(Mus musculus)의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의 아미노산 서열이며, 서열번호 11은 인간(Homo sapiens)의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또한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10 또는 서열번호 1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열번호 10은 생쥐(Mus musculus)의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 유전자의 염기서열이며, 서열번호 12는 인간(Homo sapiens)의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 유전자의 염기서열이다.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ay consist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9 or SEQ ID NO: 11. SEQ ID NO: 9 is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of mouse (Mus musculus), SEQ ID NO: 11 is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of human (Homo sapiens). In addition, the gene encoding the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ay 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0 or SEQ ID NO: 12. SEQ ID NO: 10 is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gene of mouse (Mus musculus), SEQ ID NO: 12 is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gene of human (Homo sapiens).

본 발명의 방법에서, 알레르기성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발현 수준의 측정 대상으로 상기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histone deacetylase-3, HDAC3), DNA 메틸 전이효소-1(DNA methyltransferase-1, DNMT-1) 또는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의 세 가지 효소(단백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해서 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세 가지 모두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stone deacetylase-3 (HDAC3), DNA methyl transferase-1 (DNA methyltransferase) as a target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for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agnosis of allergic disease -1, DNMT-1) or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 one of three enzymes (protein) can be selected, and more than one to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select all three, most preferably.

본 발명은 피부 아나필락시스 모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에 따른 것이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알레르기성 질환 중에서도 피부 아나필락시스의 예후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비롯해 이와 유사한 기관지 천식, 두드러기 및 화분증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후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study of the skin anaphylaxis model,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preferably used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gnostic diagnosis of skin anaphylaxis among allergic diseases. It can also be used to provide anaphylactic shock and similar information for the prognosis of allergic diseases such as bronchial asthma, urticaria and hay fever.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세포시료는 조직, 혈청, 혈장 및 객당 중에서 선택된 세포시료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 sample is preferably a cell sample selected from tissue, serum, plasma and sugar.

본 발명의 방법에서,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효소의 발현 여부를 직접 확인하거나, 상기 효소의 유전자에 대한 mRNA의 발현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 can be used to directly determine whether the expression of the enzyme, or a method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mRNA for the gene of the enzyme.

효소의 발현 여부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서는 효소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DNA 메틸 전이효소-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directly confirm the expression of the enzyme,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enzyme may be u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ody specifically binds to histone deacetylase-3, DNA methyl transferase-1. Antibodies that bind specifically, and antibodies that specifically bind to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can be used.

효소의 유전자에 대한 mRNA의 발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효소의 유전자 염기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 DNA 메틸 전이효소-1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confirm the expression of mRNA for the gene of the enzyme, a primer set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gene sequence of the enzyme can be u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to the base sequence of the histone deacetylase-3 gene. Primer set specifically binding to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DNA methyl transferase-1 gene, and primer set specifically binding to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gene.

발현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항체를 이용한 웨스턴 블롯, ELISA, 방사선면역분석, 방사면역 확산법, 전기영동, 조직면역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보체 고정 분석법, FACS 또는 단백질 칩 분석법을 사용할 수 있다.Western blot, ELISA, radioimmunoassay, radioimmunoassay, electrophoresis, tissue immunostaining, immunoprecipitation assay, complement fixation assay, FACS or protein chip assay using each antibody may be used to measure expression levels.

또한, 상기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의 발현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표면에 HDAC3에 대한 앱타머(aptamer)가 코팅된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지지체로는 막, 슬라이드 글라스 또는 금속체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 of the histone deacetylase-3, an aptamer coated with HDAC3 may be used on the surface, and as the support, a membrane, a slide glass, or a metal body may be used. Can be.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3을 표적으로 하여 알레르기 치료 물질을 선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creening an allergic agent by targeting histone deacetylase 3.

수많은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마땅한 원인을 알 수 없어 이러한 시도조차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질병 또는 질환의 원인을 분석해야 하며, 여기에 관여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관련된 인자를 찾을 경우, 이를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타깃(target) 인자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것이다.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 cure for a number of diseases or conditions, but many of these attempts cannot be made because the cause is unknown.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a therapeutic agent, it is necessary to first analyze the cause of the disease or disease, and research on the factors involved therein is required. When finding a related factor, various attempts can be made to develop a new therapeutic agent for this, and therefore, it is very meaningful to provide a new target factor in developing a therapeutic agent for a disease or disorder.

본 발명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알레르기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를 제공하는 것으로,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3을 표적으로 하여 이의 발현, 활성 또는 다른 인자와의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진다면 효과적으로 새로운 알레르기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factor involved in allergy not known so far, and an attempt has been made to select a substance that targets histone deacetylase 3 to affect its expression, activity or binding to other factors. If so, new allergy medications can be developed effectively.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증가시키는 물질,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활성화시키는 물질 또는 단백질 사이의 결합이나 단백질과 DNA, RNA와의 결합을 방해하는 물질 등을 선별하는 것은 기존에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으므로, 이들 중 선택하여 치료제의 개발에 적용할 수 있다.Since there are a variety of known methods for screening for substances that inhibit or increase the expression of specific proteins, substances that inhibit or activate the activity of enzymes, or substances that interfere with the binding of proteins to DNA, RNA, etc. These may b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agents.

본 발명은 피부 아나필락시스 모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에 따른 것이므로, 알레르기성 질환 중에서도 피부 아나필락시스에 대한 치료 물질을 선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비롯해 이와 유사한 기관지 천식, 두드러기 및 화분증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치료 물질을 선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고, 이 외의 다른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치료 물질을 선별하는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skin anaphylaxis model,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the screening agent for screening anaphylaxis among allergic diseas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used to screen for therapeutic agents for allergic diseases such as anaphylaxis shock and similar bronchial asthma, urticaria and hay fever, and can also be used for screening for other allergic diseases.

치료 물질의 선별을 위해 화합물 또는 생물학적 분자를 대상으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물학적 분자는 핵산 또는 단백질일 수 있고, 상기 핵산은 앱타머 또는 간섭 RNA일 수 있으며, 상기 단백질은 HDAC3의 프로모터 서열에 결합하여 HDAC3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 전사인자일 수 있다.It is desirable to target compounds or biological molecules for the selection of therapeutic substances. The biological molecule may be a nucleic acid or a protein, the nucleic acid may be an aptamer or an interfering RNA, and the protein may be a transcription factor that binds to the promoter sequence of HDAC3 to reduce the expression level of HDAC3.

치료 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일례로, 화합물 또는 생물학적 분자 중에서 HDAC3의 발현수준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선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for selecting therapeutic substances, a method of selecting a substance that reduces the expression level of HDAC3 among compounds or biological molecules can be us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histone deacetylase-3, HDAC3)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마커를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lergic disease, comprising a marker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histone deacetylase-3 (HDAC3).

본 발명의 진단용 조성물은 DNA 메틸 전이효소-1(DNA methyltransferase-1, DNMT-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마커; 및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마커; 중에서 선택된 마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gnos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rker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DNA methyltransferase-1 (DNA methyltransferase-1, DNMT-1); And markers for measuring expression levels o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marker selected from among.

상기 각 효소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마커는 각 효소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각 효소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일 수 있다.The marker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each enzyme may be an antibody specifically binding to each enzyme or a primer set specifically binding to the nucleotide sequence of each enzyme gene.

본 발명의 진단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마커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DNA 메틸 전이효소-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마커는 DNA 메틸 전이효소-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마커는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agnos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er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histone deacetylase-3 is preferably an antibody specifically binding to histone deacetylase-3, and the DNA methyl transferase-1 The marker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is preferably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DNA methyl transferase-1, and the marker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is specific for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n antibody couple | bonded with.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 for diagnosing allergic diseases compri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의 진단용 키트는 상기 마커와 효소 또는 mRNA의 반응을 위한 완충용액이나 각 효소 또는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iagnostic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uffer for reacting the marker with an enzyme or mRNA, or a tool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each enzyme or mRNA.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 DNA 메틸 전이효소-1 또는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면 효과적인 알레르기성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를 타깃으로 하면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제를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histone deacetylase-3, DNA methyl transferase-1 or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agnosis of effective allergic diseases. Targeting histone deacetylase-3 can effectively develop therapeutics for allergic diseases.

도 1의 A는 IgE 감작 후 항원(DNFB) 자극에 의해 TpCR(Triphasic passive cutaneous reaction;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유도되며 그에 따른 시간대별 귀 두께의 증가가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1의 B는 도 1 A의 귀 조직에서 시간대별 HDAC3, DNMT1의 발현 변화를 보여준다.
도 1의 C는 IgE-DNFB 매개 아나필락시스 반응에서 HDAC3이 음성적 조절자임을 보여준다.
도 1의 D는 상기 귀 조직에서 HDAC3 발현에 따른 DNMT1 발현의 감소가 일어나며 HDAC3이 FcεRIβ와 복합체를 이루는 것을 보여준다.
도 2는 도 1 C의 귀 조직에서 항원 자극에 의해 HDAC3 발현 유도 및 DNMT1의 발현 억제가 유도되며 비반세포의 표지 단백질인 c-Kit과 Tryptase의 발현증가가 일어남을 보여준다.
도 3의 A는 RBL2H3와 BMMCs 세포 주에서 항원(DNP-HSA) 자극에 의해 HDAC3이 FcεRIβ와 복합체를 이루는 것을 보여준다.
도 3의 B는 RBL2H3에서 항원 자극에 의해 FcεRIβ-HDAC3 복합체 형성을 IF(immunofluorescence)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의 C는 IgE-DNFB 매개 귀 조직에서 상기와 동일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의 A 내지 E는 항원 자극에 의해 HDAC3-Rac1 복합체가 DNMT1 티로신 잔기의 니트르화(nitration)을 유발하여 프로테아좀 의존적으로 DNMT1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4의 F는 HDAC3의 발현이 DNMT1에 의해 교차 조절 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5의 A는 IgE-DNFB 매개 아나필락시스에서 케모카인 MCP1 분비가 HDAC3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5의 B는 도 5 A의 귀 조직에서 MCP1의 단백질 발현이 HDAC3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5의 C는 IgE-DNFB 매개 TpCR이 MCP1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5의 D는 비반 세포 주에서 항원 자극에 의한 탈 과립화가 MCP1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6의 A 내지 C는 DNMT1에 의해 MCP1이 조절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6의 D, E는 재조합 MCP1 단백질에 의해 비반 세포가 탈 과립화 및 활성화 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의 A, B는 비반 세포 주에서 항원 자극에 의한 HDAC3, DNMT1, MCP1의 발현이 아스피린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의 C 내지 E는 IgE-DNFB 매개 TpCR 반응에서 상기와 동일한 결과를 보여 준다.
도 8의 A는 DNMT1 발현 억제가 귀 두께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여준다.
도 8의 B는 상기 귀 조직에서 DNMT1에 의해서 HDAC2, HDAC3와 혈관 형성 관련 단백질의 발현이 조절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8의 C, D는 DNMT1에 의해 염증성 면역 반응이 유도되어 귀 조직으로 염증성 세포들이 이동 및 침윤된 것을 보여주며, 이때 DNMT1과 HDAC2의 발현 억제와 HDAC3의 발현 증가를 보여준다.
도 8의 E는 상기와 동일한 쥐 폐 조직에서 HDAC3과 FcεRIβ가 복합체를 이루는 것을 보여준다.
도 8의 F는 상기와 동일한 폐 조직에서 DNMT1에 의해 HDAC3, MCP1, tryptase, c-Kit의 발현이 조절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9의 A는 상기와 동일한 귀 조직에서 DNMT1에 발현 억제가 혈관 투과성을 증가 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도 9의 B는 항원 자극에 의한 혈관 투과성이 MCP1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9의 C는 항원 자극에 의해 귀 조직에서 PECAM-1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9의 D는 DNMT1의 발현 억제가 귀 조직에서 PECAM-1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의 A 내지 C는 DNMT1의 발현이 억제된 비반 세포주의 적응용배지를 처리한 경우 RAEC가 혈관 형성력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의 D, E는 상기의 혈관 형성 인자인 VEGF가 DNMT1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보여준다.
A of FIG. 1 shows that after IgE sensitization, a TpCR (Triphasic passive cutaneous reaction) is induced by antigen (DNFB) stimulatio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ear thickness over time.
FIG. 1B shows changes in expression of HDAC3 and DNMT1 at different times in the ear tissue of FIG. 1A.
1C shows that HDAC3 is a negative regulator in the IgE-DNFB mediated anaphylaxis reaction.
1D shows that a decrease in DNMT1 expression occurs due to HDAC3 expression in the ear tissue, and HDAC3 complexes with FcεRIβ.
FIG. 2 shows that HDAC3 expression and DNMT1 expression are induced by antigen stimulation in the ear tissue of FIG. 1C, and expression of c-Kit and Tryptase, which are marker proteins of apoptotic cells, occurs.
3A shows that HDAC3 complexes with FcεRIβ by antigen (DNP-HSA) stimulation in RBL2H3 and BMMCs cell lines.
FIG. 3B shows the results of FcεRIβ-HDAC3 complex formation by IF (immunofluorescence) by antigen stimulation in RBL2H3.
3C shows the same result as above in IgE-DNFB mediated ear tissue.
4A to 4 show that HDAC3-Rac1 complex causes nitration of DNMT1 tyrosine residues by antigen stimulation, thereby inhibiting proteasome-dependent expression of DNMT1.
4F shows that expression of HDAC3 is cross-regulated by DNMT1.
5A shows that chemokine MCP1 secretion in IgE-DNFB mediated anaphylaxis is regulated by HDAC3.
5B shows that protein expression of MCP1 is regulated by HDAC3 in the ear tissue of FIG. 5A.
5C shows that IgE-DNFB mediated TpCR is regulated by MCP1.
5D shows that degranulation by antigen stimulation in control cell lines is regulated by MCP1.
6A to 6C show that MCP1 is regulated by DNMT1.
6, D and E show that apoptotic cells are degranulated and activated by recombinant MCP1 protein.
A and B of Figure 7 shows that the expression of HDAC3, DNMT1, MCP1 by antigen stimulation in apoptotic cell lines is regulated by aspirin.
7C to E show the same results as above in the IgE-DNFB mediated TpCR reaction.
8A shows that inhibition of DNMT1 expression increases ear thickness.
8B shows that expression of HDAC2, HDAC3 and angiogenesis-related proteins is regulated by DNMT1 in the ear tissue.
8, C and D show that the inflammatory immune response is induced by DNMT1, and the inflammatory cells migrate and infiltrate into the ear tissues. In this case, the expression of DNMT1 and HDAC2 is suppressed and the expression of HDAC3 is increased.
8E shows that HDAC3 and FcεRIβ are complexed in the same rat lung tissue.
8 F shows that the expression of HDAC3, MCP1, tryptase, c-Kit is regulated by DNMT1 in the same lung tissue.
9A shows that inhibition of expression on DNMT1 in the same ear tissue increases vascular permeability.
9B shows that vascular permeability by antigen stimulation is regulated by MCP1.
9C shows that expression of PECAM-1 in ear tissues is increased by antigen stimulation.
9D shows that inhibition of expression of DNMT1 induces expression of PECAM-1 in ear tissue.
10A to 10C show that RAECs increase angiogenesis when treated with the adaptation medium of the apoptotic cell line in which the expression of DNMT1 is suppressed.
10, D and E show that the angiogenic factor VEGF is regulated by DNMT1.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Since these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 1. 피부 아나필락시스에서 HDAC3의 역할 및 조절 기작Example 1 Role and Regulatory Mechanisms of HDAC3 in Skin Anaphylaxis

본 실시예에서는 Balb/C 종 마우스의 IgE-DNFB 피부 아나필락시스 모델을 이용하여 HDAC3의 역할 및 조절 기작을 확인하였다.In this example, the role and regulation mechanism of HDAC3 was confirmed using IgE-DNFB dermal anaphylaxis model of Balb / C species mice.

피부 아나필락시스 반응은 anti-DNP IgE(10㎍)를 Balb/C 마우스의 꼬리 정맥으로 주입하여 피부를 감작시킨 후 24시간 후 아세톤-올리브 오일 혼합액(3:1)에 0.15% 농도로 DNFB 항원이 포함되어 있는 DNFB 항원 용액 25㎕를 쥐의 양쪽 귀에 도포하였다. 도포 30분 후부터 도 1의 A에 나타난 시간 간격대로 귀 두께를 측정하고 귀 조직을 분리하여 웨스턴 블롯을 실시하였다.Dermal anaphylaxis reaction was performed by injecting anti-DNP IgE (10 ㎍) into the tail vein of Balb / C mice, sensitizing the skin, and containing DNFB antigen in 0.15% concentration in acetone-olive oil mixture (3: 1) 24 hours later. 25 µl of the prepared DNFB antigen solution was applied to both ears of the rat. 30 minutes after application, ear thicknesses were measured at time intervals shown in FIG.

도 1의 A 및 B에서 볼 수 있듯이, 아나필락시스 유발 60분 후 귀 두께가 초기의 IgE-매개에 의한 즉시형 과민반응의 결과로 증가한 후 만성 염증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동일한 시간대에 HDAC3의 발현이 증가하면서 동시에 DNMT1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피부 아나필락시스에서 DNMT1과 HDAC3이 서로 음성적 조절자로서의 역할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As can be seen in Figures A and B, after 60 minutes of anaphylaxis induction, the ear thickness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initial IgE-mediated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 and chronic inflammation progressed. It was confirmed that expression of DNMT1 was suppressed while expression increased. This indicates that in skin anaphylaxis, DNMT1 and HDAC3 act as negative regulators of each other.

상기 조건에서 HDAC3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모델에서 HDAC3 특이적 siRNA를 IgE 감작 하루 전에 꼬리 정맥으로 투여하였고, 투여 후 24시간 동안 귀 두께 측정 및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도 1의 C 및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원 자극 1시간 후 즉시형 과민반응에 의한 귀 두께 증가 및 DNMT1의 발현 감소가 siHDAC3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원 자극에 의한 FcεRIβ의 활성이 HDAC3에 의해 조절되며 서로 복합체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role of HDAC3 under these conditions, HDAC3-specific siRNA was administered to the tail vein one day before IgE sensitization in the same model, and ear thickness measurements and western blots were performed for 24 hours after administration. As shown in C and D of FIG. 1, it was confirmed that siHDAC3 was inhibited by an increase in ear thickness and a decrease in expression of DNMT1 by immediate hypersensitivity after 1 hour of antigen stimula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FcεRIβ activity by antigen stimulation is regulated by HDAC3 and complexed with each other.

상기 귀 조직을 파라핀 포매 후 4㎛ 두께로 절편을 제작하여 HDAC3, DNMT1, c-Kit, Tryptase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조직면역 염색법을 수행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1의 D와 동일한 패턴의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비반세포 징표인 Tryptase의 발현이 HDAC3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After embedding the paraffin in the ear tissues, sections were prepared to a thickness of 4 μm, and tissue immunostaining was performed using antibodies to HDAC3, DNMT1, c-Kit, and Tryptase. As shown in FIG. 2, the results of the same pattern as in FIG. 1 D were confirm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Tryptase, which is a marker of the non-blast cells, was controlled by HDAC3.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를 통해 IgE-매개 비반세포 의존적 아나필락시스 반응에서 HDAC3이 필수 조절자임을 확인하였다.
As described above, it was confirmed that HDAC3 is an essential regulator in the IgE-mediated apoptotic cell dependent anaphylaxis reaction.

실시예 2. HDAC3은 FcεRIβ와 복합체를 이루어 피부 아나필락시스를 매개한다.Example 2 HDAC3 Complexes with FcεRIβ to Mediate Skin Anaphylaxis

도 1을 통한 HDAC3과 FcεRIβ의 복합체 형성 결과를 바탕으로, RBL2H3와 BMMCs 비반세포주에서 항원 자극에 의한 복합체 형성을 면역형광염색과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하였다. 비반세포주에 IgE 감작 24시간 후 1 시간동안 항원 자극을 실시하였고, 이후 웨스턴 블롯(도 3의 A 참조)과 면역 형광법(도 3의 B 참조)으로 HDAC3-FcεRIβ 복합체 형성을 확인하였으며, 도 1의 피부 아나필락시스 모델 귀 조직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도 3의 C 참조).Based on the results of complex formation of HDAC3 and FcεRIβ through FIG. 1, the complex formation by antigen stimulation in RBL2H3 and BMMCs apoptotic cell lines was confirmed by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nd Western blot. Antigen stimulation was performed for 1 hour after IgE sensitization to the apoptotic cell lines, followed by Western blot (see FIG. 3A) and immunofluorescence (see FIG. 3B) to confirm HDAC3-FcεRIβ complex formation. The same results were confirmed in cutaneous anaphylaxis model ear tissue (see FIG. 3C).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를 통해 HDAC3이 FcεRIβ와 복합체를 이루어 IgE-매개 알레르기 및 피부 아나필락시스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it was confirmed that HDAC3 complexed with FcεRIβ to mediate IgE-mediated allergy and skin anaphylaxis.

실시예 3. HDAC3은 DNMT1과 교차 음성적 조절자로서 MCP1의 발현을 유도한다.Example 3 HDAC3 Induces Expression of MCP1 as a Cross-Negative Regulator with DNMT1

항원 자극에 의한 DNMT1의 발현 조절 기작을 확인하기 위해, 프로테아좀 저해제인 MG132의 1μM 용액으로 항원 자극 전 12시간 동안 전처리 한 비반 세포주에 항원 자극 1시간 후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여 HDAC3, DNMT1, HDAC2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원 자극에 의해 DNMT1, HDAC2는 프로테아좀 의존적으로 분해되며 이에 따라 HDAC3 발현이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regulation mechanism of DNMT1 expression by antigen stimulation, Western blot was performed for 1 hour after antigen stimulation to a control cell line pretreated with 1 μM solution of MG132, a proteasome inhibitor, for 12 hours before antigen stimulation, to perform HDAC3, DNMT1, HDAC2. Expression was confirmed. As shown in FIG. 4A, DNMT1 and HDAC2 are proteasome-dependently degraded by antigen stimulation, thereby regulating HDAC3 expression.

HDCA3에 의한 DNMT1 발현 조절 기작을 확인하기 위해 항원 자극 후 GTP-Rac1 활성을 확인한 결과, 항원 자극에 의해 HDAC3-Rac1의 결합이 이루어졌으며(도 4의 B, C), Rac1의 dominant negative 플라스미드로 Rac1의 활성을 억제한 비반 세포주에 항원 자극을 실시한 결과, HDAC3의 발현이 억제되고 DNMT1 발현 억제가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의 D). 또한 항원 자극에 의한 DNMT1의 발현 억제는 HDAC3-Rac1 결합체에 의한 Rac1의 활성화가 DNMT1 Tyr 잔기의 nitration과 같은 후생유전적 변형을 유도하여 유비퀴티네이션에 의한 프로테아좀 의존적 분해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도 4의 D). DNMT1 저해제인 5-aza-2-deoxycytidine을 농도별로 24시간 처리 한 비반세포주에서 DNMT1 저해에 따른 HDCA3의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도 4의 F), si DNMT에 의한 저해 역시 동일한 패턴의 결과를 보여주었다(도 4의 G). 항원 자극에 의한 HDAC3의 발현에서 DNMT1이 음성적 조절자임을 ChIP assay를 통해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도 4의 F).As a result of confirming GTP-Rac1 activity after antigen stimulation to confirm the regulation mechanism of DNMT1 expression by HDCA3, binding of HDAC3-Rac1 was achieved by antigen stimulation (B, C in FIG. 4), and Rac1 was a dominant negative plasmid of Rac1. As a result of antigen stimulation on the apoptotic cell lines which inhibited the activity of, it was confirmed that HDAC3 expression was suppressed and DNMT1 expression inhibition was inhibited (FIG. 4D). In addition, inhibition of expression of DNMT1 by antigen stimulation was confirmed that Rac1 activation by HDAC3-Rac1 conjugates was induced by proteasome dependent degradation by ubiquitation, inducing epigenetic modifications such as nitration of DNMT1 Tyr residues. 4D). Expression of HDCA3 by DNMT1 inhibition was induced in apoptotic cell lines treated with 5-aza-2-deoxycytidine, a DNMT1 inhibitor, by concentration for 24 hours (FIG. 4F), and inhibition by si DNMT also showed the same pattern. (G in Fig. 4). In the expression of HDAC3 by antigen stimulation, it was confirmed once again by ChIP assay that DNMT1 is a negative regulator (FIG. 4F).

본 실시예를 통해 HDAC3과 DNMT1이 서로 음성적 조절자 역할을 통해 MCP1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example confirmed that HDAC3 and DNMT1 regulate the expression of MCP1 through the role of negative regulators.

실시예 4. HDAC3과 DNMT1에 의한 MCP1의 발현 기작 및 역할Example 4 Expression Mechanism and Role of MCP1 by HDAC3 and DNMT1

본 실시예에서는 IgE-매개 알레르기 및 피부 아나필락시스에서 HDAC3/DNMT1에 의해 조절되는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의 피부 아나필락시스 모델 쥐의 혈청으로 사이토카인 어레이(Profiler Mouse Cytokine Array Kit, R&D)를 실시하였다. 사이토카인 항체 혼합액과 1시간 반응시킨 혈청을 40여종의 마우스 사이토카인 항체가 집적된 멤브레인에 4℃에서 12시간 동안 배양 후 HRP-conjugated streptavidin 2차 항체와 1시간 반응시켜서 ECL 웨스턴 블롯 용액으로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5의 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원 자극에 의해 케모카인 MCP1과 혈관 형성 관련 단백질 sICAM의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HDAC3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케모카인 MCP1이 피부 아나필락시스를 조절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MCP1을 중화시키는 항 MCP1 중화 항체 nMCP1을 IgE와 함께 꼬리 정맥으로 투여하고 24시간 경과 후 DNFB로 자극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귀 두께의 증가 측정 및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도 5의 C와 같이 MCP1이 피부 아나필락시스에서 중요한 조절자임을 확인하였으며, 비반세포주에서도 탈과립화 반응을 통하여 동일한 패턴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도 5의 D 참조).In the present example, to determine the cytokines and chemokines regulated by HDAC3 / DNMT1 in IgE-mediated allergy and cutaneous anaphylaxis, the cytokine array (Profiler Mouse Cytokine Array Kit, R & D) of serum of the skin anaphylaxis model rats of Example 1 was used. Was carried out. Serum reacted for 1 hour with the cytokine antibody mixture was incubated for 12 hours at 4 ° C. in a membrane in which 40 kinds of mouse cytokine antibodies were integrated, and then reacted with HRP-conjugated streptavidin secondary antibody for 1 hour. And chemokine expression was confirmed. As shown in A and B of FIG. 5, the expression of chemokine MCP1 and angiogenesis related protein sICAM was induced by antigen stimulation, and they were respectively regulated by HDAC3. To determine whether chemokine MCP1 regulates skin anaphylaxis, anti-MCP1 neutralizing antibody nMCP1, which neutralizes MCP1, was administered to the tail vein with IgE and stimulated with DNFB 24 hours later to measure the increase in ear thicknes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estern blot was performed. It was confirmed that MCP1 is an important regulator in skin anaphylaxis as shown in C of FIG. 5, and the same pattern of results was obtained through degranulation reaction in the apoptotic cell line (see FIG. 5D).

MCP1의 발현 기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DNMT1을 siRNA를 이용하여 발현 억제시시킨 비반 세포주의 적응용 배지와 동일한 조건의 피부 아나필락시스를 유발시킨 쥐의 혈청으로 상기와 같은 사이토카인 어레이를 수행하였다. 도 6의 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DNMT1의 발현 억제가 MCP1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을 바탕으로 MCP1 프로모터로 ChIP assay를 수행하였다. 항원 자극한 비반 세포주에서 DNA를 분리하여 항 HDAC3 항체, 항 DNMT1 항체, 항 HDAC2 항체, 항 Ac-H3, -H4 항체로 각각 IP를 수행한 후 MCP1 프로모터가 포함된 프라이머로 RT-PCR를 수행하였다. MCP1 프로모터에 전사 억제조절자로 결합되어 있던 DNMT1, HDAC2가 항원 자극에 의해 MCP1 프로모터에서 떨어지면서 HDAC3이 전사 활성 인자로 작용하여 히스톤의 아세틸레이션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아세틸레이션과 같은 히스톤의 후생유전적 변형은 히스톤과 DNA의 결합력을 변화시켜 전사인자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6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HDCA3-DNMT1에 의한 MCP1의 발현 조절에 후생유전적 변형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반세포의 활성화에 MCP1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비반 세포주에 재조합 MCP1을 처리한 결과 도 6의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반 세포 활성화의 징표인 탈과립이 유도되었으며 MCP1의 수용체인 CCR2의 활성을 IP로 확인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expression mechanism of MCP1, the cytokine arrays were performed with the serum of mice that induced dermal anaphylaxi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adaptation medium of the apoptotic cell line in which DNMT1 was suppressed by siRNA. As shown in A and B of FIG. 6, ChIP assay was performed with the MCP1 promoter based on the expression inhibition of DNMT1 inducing the expression of MCP1. DNA was isolated from the antigen-stimulated plaque cell line, followed by IP with anti-HDAC3 antibody, anti-DNMT1 antibody, anti-HDAC2 antibody, anti-Ac-H3, -H4 antibody, respectively, and RT-PCR was performed with primers containing MCP1 promoter. . It was confirmed that DNMT1 and HDAC2, which were bound to the MCP1 promoter as transcription repression regulators, were released from the MCP1 promoter by antigen stimulation, thereby inducing histone acetylation by acting as a transcriptional activator. Epigenetic modifications of histones, such as acetylation, are known to modulate the activity of transcription factors by altering the binding force between histones and DNA. As shown in C of Figure 6 it can be seen that epigenetic modifi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MCP1 by HDCA3-DNMT1.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MCP1 on the activation of apoptotic cells, the treatment of recombinant MCP1 on apoptotic cell lines induced degranulation, which is a marker of apoptotic cell activation, as shown in D of FIG. 6, and confirmed the activity of CCR2, a receptor of MCP1, by IP. It was.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후생 유전적 조절 인자인 HDAC3, DNMT1에 의해 IgE-매개 알레르기 반응을 매개하는 MCP1의 발현 및 역할을 확인하였다.
Thus, in this example, the expression and role of MCP1 mediating the IgE-mediated allergic reaction by HDAC3 and DNMT1, which are epigenetic genetic regulators, were confirmed.

실시예 5. 항알레르기 치료제 개발 연구에 있어서 HDCA3, DNMT1, MCP1의 타당성 여부Example 5 Validity of HDCA3, DNMT1, MCP1 in Anti-allergic Drug Development

아스피린은 염증 반응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효소 PGES의 저해제로 항 류마티스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항원 자극 비반 세포주에서 PGES 발현 증가에 따른 프로스타글란딘 분비가 이미 보고되었기에 본 실시예에서는 아스피린에 의한 HDAC3과 DNMT1, MCP1의 발현 조절을 확인함으로써 항 알레르기 치료제 개발에 있어서 세 단백질들의 표적으로서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Aspirin is used as an anti-rheumatic agent as an inhibitor of the prostaglandin synthase PGES, an inflammatory mediator. In addition, since prostaglandin secretion has been reported in response to increased expression of PGES in antigen-stimulated apoptotic cell lines, this example confirms the regulation of expression of HDAC3, DNMT1, and MCP1 by aspirin, thereby confirming the feasibility of targeting three proteins in the development of anti-allergic agents. Was intended.

이를 위해 0.1mM 아스피린을 30분 동안 전 처리한 비반 세포주에서 항원 자극에 의한 탈과립과 세 단백질들의 발현이 아스피린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도 7의 A와 B에서 확인하였다. 동일한 조건 하의 피부 아나필락시스 동물 모델에서도 항원 자극에 의한 귀 두께 증가가 감소하였으며, 웨스턴 블롯과 조직면역 염색을 실시한 결과 상기와 동일한 패턴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For this purpose, it was confirmed in A and B of FIG. 7 that degranulation by antigen stimulation and expression of three proteins are regulated by aspirin in apoptotic cell lines pretreated with 0.1 mM aspirin for 30 minutes. In the animal model of skin anaphylaxis under the same conditions, an increase in ear thickness due to antigen stimulation was reduced, and Western blot and tissue immunity staining resulted in the same pattern.

이로써 알레르기 증상 완화제 및 치료제 개발에 있어서 세 단백질들이 중요한 표적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confirms that the three proteins may be important targets in the development of allergy symptomatics and therapeutics.

실시예 6. DNMT1은 아나필락시스에 의한 혈관 형성을 조절한다.Example 6 DNMT1 Regulates Blood Vessel Formation by Anaphylaxis

IgE-매개 탈과립화된 히스타민과 같은 과립 함유물에 의해 세포 부착 단백질인 VCAM-1의 발현 및 혈관 투과력이 증가하여 MCP1과 같은 화학주성 케모카인에 의한 염증을 유발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DNMT1의 혈관 투과력 및 혈관 형성력의 기능을 조사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100nM의 siDNMT를 주기적으로 꼬리 정맥 투여한 쥐의 귀 두께를 일정 시간동안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귀 조직으로 조직염색과 면역 염색 및 웨스턴 블롯을 통해 단백질들의 발현 및 복합체 형성을 확인하였다.Based on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granules such as IgE-mediated degranulated histamine increase the expression of VCAM-1, a cell adhesion protein, and vascular permeability, resulting in inflammation by chemotactic chemokines such as MCP1, DNMT1 We investigated the function of vascular permeability and vascular formation. In order to confirm this, the ear thickness of the rats that were periodically tail vein administered with 100nM siDNMT was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expression and complex formation of proteins were confirmed through tissue staining, immunostaining, and Western blot in the same ear tissue.

도 8의 A에서 DNMT1 저해에 따른 귀 두께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HDAC3, HDAC2 발현 조절과 함께 세포 부착 및 혈관 형성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이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의 B 및 D 참조). DNMT1의 저해에 따른 귀 두께의 증가가 염증성 세포들의 이동과 침윤에 의한 것임을 도 8의 C에서 확인하였으며, 폐 조직에서도 동일한 패턴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도 8의 E 및 F 참조).In A of FIG. 8, the increase in ear thickness according to DNMT1 inhibition was confirmed, and expression of proteins related to cell adhesion and angiogenesis was regulated along with HDAC3 and HDAC2 expression control (see FIGS. 8B and D). It was confirmed in FIG. 8C that the increase in ear thickness due to the inhibition of DNMT1 was caused by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the same pattern was obtained in the lung tissue (see E and F of FIG. 8).

본 실시예에서는 DNMT1의 발현 억제가 초기 즉시형 과민 반응 뿐 아니라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폐와 같은 다른 장기로의 염증 세포들의 이동 및 침윤에 의한 만성 염증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In this exampl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hibition of expression of DNMT1 causes chronic inflammation due to migration and invasion of inflammatory cells to other organs such as the lungs as well as the initial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

2% Evans blue 용액을 꼬리 정맥으로 투여하여 DNMT1에 의한 혈관 투과력이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항원 자극에 의한 혈관 투과력 증가가 MCP1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을 도 9의 A 및 B에서 확인하였다. 항원 자극에 의한 혈관 내피 세포 인자 PECAM-1의 발현을 항원 자극된 귀 조직에서 전 조직 고정 염색법(whole-mount)으로 확인하였으며 DNMT1의 발현 억제에 의해서 동일한 패턴의 결과를 얻었다(도 9의 C 및 D 참조).It was confirmed that the vascular permeability by DNMT1 was controlled by administering 2% Evans blue solution to the tail vein, and the increase in vascular permeability by antigen stimulation was controlled by MCP1 in A and B of FIG. 9.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cell factor PECAM-1 by antigen stimulation was confirmed by whole-mounted staining (whole-mount) in antigen-stimulated ear tissues, and the same pattern of results was obtained by inhibition of expression of DNMT1 (Fig. 9C and See D).

DNMT1에 의한 혈관 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쥐의 대동맥에서 얻은 혈관 내피 세포 RAEC에 DNMT1 발현을 억제 시킨 RBL2H3 비반 세포주의 적응용 배지를 처리하여 내피 세포관 형성(Endothelilal cell Tube formation)과 대동맥 고리 스프라우팅기법(Aortic ring sprouting assay)을 수행하였다. 또한 Transwell을 이용한 인베이젼 기법을 통해 항원 자극에 의한 비반 세포주와 혈관 내피세포주와의 상호 작용을 확인하였다. 비반 세포주 RBL2H3에 10nM의 siDNMT를 트랜스팩션하고 48시간 후에 트립신 처리한 2 x 104개의 비반세포주를 transwell의 upper chamber에서, RAEC 세포를 20% FBS가 포함된 M199 배지로 lower chamber에 넣어 세포의 이동 및 침윤정도를 확인하였다. 14시간 경과 후 침윤 된 세포를 메탄올로 고정한 후 H&E 염색하여 침윤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10의 A 내지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DNMT1의 발현이 억제된 비반 세포주의 적응용 배지에 의해 쥐 혈관 내피 세포의 혈관 형성력이 증가하였으며, 침윤 정도 역시 증가하였다. 이는 DNMT1 발현 억제에 의해 분비되는 케모카인 또는 사이토카인에 의한 것이며 MCP1이 그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 된다. DNMT1의 억제에 의한 혈관 형성력이 VEGF 생성 및 그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한 것임을 도 10의 D 및 E에서 웨스턴 블롯과 RT-PCR로 확인하였다.Endothelilal cell tube formation and aortic ring spouting technique were performed by treating the vascular endothelial cell RAEC obtained from the rat aorta with the adaptation medium of the RBL2H3 squamous cell line which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DNMT1. (Aortic ring sprouting assay) was performed. The invasion technique using transwell confirmed the interactions of apoptotic cell lines with vascular endothelial cell lines by antigen stimulation. Translocation of 10 nM siDNMT to RBL2H3, and 48 h later, trypsinized 2 x 10 4 cell lines in the upper chamber of the transwell, RAEC cells in the lower chamber with M199 medium containing 20% FBS And the degree of infiltration was confirmed. After 14 hours, the infiltrated cells were fixed with methanol and H & E stained to check the degree of infiltration. As shown in Figs. 10A to 10C, angiogenesis of rat vascular endothelial cells was increased, and the degree of infiltration was also increased by the adaptation medium of the apoptotic cell line in which the expression of DNMT1 was suppressed. This may be due to chemokines or cytokines secreted by DNMT1 expression inhibition and MCP1 may play a role. It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d RT-PCR in D and E of FIG. 10 that angiogenesis by inhibition of DNMT1 was due to VEGF production and activation of its receptor.

본 실시예에서는 DNMT1이 알레르기 및 아나필락시스의 음성적 조절자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example, it was confirmed that DNMT1 is a negative regulator of allergy and anaphylaxis.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Attach an electronic file to a sequence list

Claims (22)

알레르기성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포유동물의 세포시료로부터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histone deacetylase-3, HDAC3)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A method of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histone deacetylase-3 (HDAC3) from mammalian cell sample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agnosis of allergic diseases. 제 1항에 있어서,
알레르기성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포유동물의 세포시료로부터 DNA 메틸 전이효소-1(DNA methyltransferase-1, DNMT-1) 또는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의 발현 수준을 더 측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NA methyltransferase-1 (DNMT-1) or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 from mammalian cell sample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agnosis of allergic diseases. The method of furthe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아나필락시스 쇼크, 기관지 천식, 두드러기 및 화분증 중에서 선택된 알레르기성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llergic disease
Anaphylactic shock, bronchial asthma, urticaria and hay fe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시료는
조직, 혈청, 혈장 및 객당 중에서 선택된 세포시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ell sample
And a cell sample selected from tissues, serum, plasma and sug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histone deacetylase-3, HDAC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 of the histone deacetylase-3
A method characterized by using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histone deacetylase-3 (HDAC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NA 메틸 전이효소-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DNA 메틸 전이효소-1(DNA methyltransferase-1, DNMT-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사용하고,
상기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 of the DNA methyl transferase-1
Using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DNA methyltransferase-1 (DNMT-1),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 of the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ethod for using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은 항체를 이용한 웨스턴 블롯, ELISA, 방사선면역분석, 방사면역 확산법, 전기영동, 조직면역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보체 고정 분석법, FACS 및 단백질 칩 분석법 중에서 선택된 분석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measur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analysis method selected from Western blot, ELISA, radioimmunoassay, radioimmunoassay, electrophoresis, tissue immunostaining, immunoprecipitation assay, complement fixation assay, FACS and protein chip analysis using the antibody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histone deacetylase-3, HDAC3)의 발현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표면에 HDAC3에 대한 앱타머(aptamer)가 코팅된 지지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 of the histone deacetylase-3 (HDAC3),
Using a support coated with an aptamer for HDAC3 on the surfa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막, 슬라이드 글라스 및 금속체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support is selected from a membrane, a slide glass, and a metal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histone deacetylase-3, HDAC3)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마커를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진단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lergic diseases, comprising a marke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histone deacetylase-3 (HDAC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DNA 메틸 전이효소-1(DNA methyltransferase-1, DNMT-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마커; 및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마커; 중에서 선택된 마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The composition of claim 17, wherein the composition is
Markers for measuring expression levels of DNA methyltransferase-1 (DNMT-1); And
Markers for measuring expression levels o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 The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rker selected from.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마커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18. The composition of claim 17, wherein the marke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histone deacetylase-3 is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histone deacetylase-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DNA 메틸 전이효소-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마커는 DNA 메틸 전이효소-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8, wherein the marke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DNA methyl transferase-1 is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DNA methyl transferase-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마커는 단핵구 화학주성단백질-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19. The composition of claim 18, wherein the marke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is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제 17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진단용 키트.
22. An allergic disease diagnostic kit comprising the composition of any one of claims 17-21.
KR1020110113211A 2011-11-02 2011-11-02 The development of allergy therapeutics targeting histone deacetylase 3 KR1013024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211A KR101302483B1 (en) 2011-11-02 2011-11-02 The development of allergy therapeutics targeting histone deacetylase 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211A KR101302483B1 (en) 2011-11-02 2011-11-02 The development of allergy therapeutics targeting histone deacetylase 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384A KR20130048384A (en) 2013-05-10
KR101302483B1 true KR101302483B1 (en) 2013-09-02

Family

ID=4865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211A KR101302483B1 (en) 2011-11-02 2011-11-02 The development of allergy therapeutics targeting histone deacetylase 3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48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289B1 (en) * 2018-09-06 2019-10-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Low-dose radiation-specific biomarkers involved in the improvement of allergic diseas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6096A1 (en) 2008-12-02 2010-06-03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Systems for modulating inflammation
WO2011109440A1 (en) 2010-03-01 2011-09-09 Caris Life Sciences Luxembourg Holdings Biomarkers for theranostic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6096A1 (en) 2008-12-02 2010-06-03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Systems for modulating inflammation
WO2011109440A1 (en) 2010-03-01 2011-09-09 Caris Life Sciences Luxembourg Holdings Biomarkers for theranostic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llergy Clin Immunol Vol.121(3):580-584(Epub. 2008. 01. 30.) *
학회자료:HEA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384A (en)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lk et al. The Th17 cytokine IL‐22 induces IL‐20 production in keratinocytes: a novel immunological cascade with potential relevance in psoriasis
Khandpur et al. NETs are a source of citrullinated autoantigens and stimulate inflammatory responses in rheumatoid arthritis
Wolk et al. IL‐22 regulates the expression of genes responsible for antimicrobial defense, cellular differentiation, and mobility in keratinocytes: a potential role in psoriasis
Klune et al. HMGB1: endogenous danger signaling
Rocha et al. Obesity, inflammation, and atherosclerosis
Bandara et al. Activated mast cells synthesize and release soluble ST2‐a decoy receptor for IL‐33
Luo et al. A novel disease-modifying antirheumatic drug, iguratimod, ameliorates murine arthritis by blocking IL-17 signaling, distinct from methotrexate and leflunomide
Morand et al. MIF: a new cytokine link between rheumatoid arthritis and atherosclerosis
Kunz et al. Interleukin (IL)‐19, IL‐20 and IL‐24 are produced by and act on keratinocytes and are distinct from classical ILs
Yang et al. The cytokine activity of HMGB1
Yagami et al. IL-33 mediates inflammatory responses in human lung tissue cells
Zaiss et al. IL-33 shifts the balance from osteoclast to alternatively activated macrophage differentiation and protects from TNF-α–mediated bone loss
Patil et al. p38 MAPK signaling in oral-related diseases
Browning et al. Autocrine regulation of interleukin-8 production in human monocytes
Georgakis et al. NETs decorated with bioactive IL-33 infiltrate inflamed tissues and induce IFN-α production in patients with SLE
Shakerian et al. IL-33/ST2 axis in autoimmune disease
Audu et al. Macrophage-specific inhibition of the histone demethylase JMJD3 decreases STING and pathologic inflammation in diabetic wound repair
Zhou et al. The role of CXCL family members in different diseases
Luo et al. Krüppel‐like factor 4 is a regulator of proinflammatory signaling in fibroblast‐like synoviocytes through increased IL‐6 expression
Cai et al. MicroRNA-141 is involved in ulcerative colitis pathogenesis via aiming at CXCL5
Hasan et al. Association between Adipose Tissue Interleukin‐33 and Immunometabolic Markers in Individuals with Varying Degrees of Glycemia
Tsuchiya et al. EGF receptor activation during allergic sensitization affects IL‐6‐induced T‐cell influx to airways in a rat model of asthma
Li et al. Interleukin-20 targets renal mesangial cells and is associated with lupus nephritis
Zhang et al. The contradictory role of interleukin-33 in immune cells and tumor immunity
Yuan IL-33 in autoimmunity; possible therapeutic targ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