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040B1 -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040B1
KR101300040B1 KR1020110101353A KR20110101353A KR101300040B1 KR 101300040 B1 KR101300040 B1 KR 101300040B1 KR 1020110101353 A KR1020110101353 A KR 1020110101353A KR 20110101353 A KR20110101353 A KR 20110101353A KR 101300040 B1 KR101300040 B1 KR 101300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ity management
mobile terminal
network
mmaa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034A (ko
Inventor
김영한
전세일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040B1/ko
Priority to US13/304,487 priority patent/US8625476B2/en
Publication of KR20130037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에서 IP 멀티캐스트 지원을 위한 모바일 단말의 초기 접속 및 핸드오프 절차, 앵커 에이전트별 멀티캐스트 데이터 수신을 위한 에이전트 및 네트워크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 송수신기, 안테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단말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고, 모바일 단말이 이동할 때마다 앵커 역할을 담당하는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와, 상기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에서 현재 수신되고 있는 멀티캐스트 채널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및 업데이트하는 이동성 관리 정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Mob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Network}
본 발명은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이동성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에서 IP 멀티캐스트 지원을 위한 모바일 단말의 초기 접속을 위한 에이전트 및 네트워크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인터넷에서는 호스트에게 망 식별자와 호스트 식별자로 구성되는 하나이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할당되는데, 망 식별자는 호스트가 접속되어 있는 망을 유일하게 나타내기 위한 정보이며, 호스트 식별자는 해당 망에서 호스트를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에, 호스트는 상기 IP 주소와 전송 계층의 포스 번호를 이용하여 소켓 주소를 만들고, 이러한 소켓 주소를 이용하여 다른 호스트들과 연결을 설정한다. 그리고 호스트가 다른 호스트와 연결을 설정하면, 연결이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는 동일한 IP 주소가 고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만일 호스트가 하나의 망에서 다른 망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망 식별자가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호스트에 할당된 IP 주소가 변경되어야 한다. IP 주소의 변경은 소켓 주소의 변경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연결은 해지되며 다시 연결을 시도해야 한다.
이와 같이 호스트가 망을 변경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연결 해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Mobile Node : MN)이 자신이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기존 설정되어 있는 연결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IP 기술이 제안되었다. 모바일 IP 프로토콜에서 모바일 단말은 자신이 하나의 망에서 다른 망으로 이동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모바일 IP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동작을 수행한다. 즉, 모바일 IP 프로토콜은 모바일 단말-기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IP 기능을 구현하고 있지 않은 모바일 단말은 하나의 망에서 다른 망으로 이동을 할 때마다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연결을 종료하고 새로 개설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바일 IP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은 모바일 단말이 이동을 하더라도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연결이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액세스 망에서 모바일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기술을 네트워크-기반 이동성 관리 기법이라고 한다.
도 1 은 기존의 네트워크 이동성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중앙 집중식 방식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에서의 이동성 관리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과 같이, 네트워크 이동성 관리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앵커의 일종인 앵커 라우터(10)와, 모바일 단말이 접속 요청을 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일종인 액세스 라우터(20)(30)와, 모바일 단말(40)(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40)(50)은 무선 송수신기, 안테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40)(50)은 중앙 집중식 방식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 내에서 기지국과의 무선 접속을 통해 액세스 라우터(20)(30)에 접속하여 네트워크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기 액세스 라우터(20)(30)는 모바일 단말(40)(50)을 대신하여 모바일 단말(40)(50)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장치로, 모바일 단말(40)(50)의 움직임을 탐지하여 앵커 라우터(10)에 바인딩 메시지를 전송한다. 앵커 라우터(10)는 바인딩 메시지를 처리하고 모바일 단말의 네트워크 등록이 성공적으로 처리되는 경우 액세스 라우터(20)(30)에게 모바일 단말의 네트워크 프리픽스(network prefix)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앵커 라우터(10)는 망 내부에서 모바일 단말(40)(50)을 위한 일종의 홈 에이전트(home agent)로서 동작한다. 홈 에이전트는 모바일 IP 기술에서 이동하는 모바일 단말들의 위치를 임시적으로 대변하는 CoA 주소(Care-of address)와 원래의 주소(HoA, Home Address)를 엮어서 저장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에이전트를 말한다. 앵커 라우터(10)는 액세스 라우터(20)(30)로부터 모바일 단말이 어느 액세스 라우터를 통해 접속 경로가 설정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갖는 바인딩 메시지를 받아서 바인딩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바인딩 정보를 토대로 모바일 단말(50)과 접속 경로를 설정, 유지 및 해지 등을 한다.
이처럼, 기존의 네트워크 이동성 관리 기법은 도 1과 같이, 앵커 라우터(10)를 중심으로 모바일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중앙 집중화된 이동성 관리 기법으로서, 모바일 단말이 새로운 액세스 라우터(20)(30)로 이동할 때마다 IP 세션의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액세스 라우터(20)(30)에서 논리적으로 상위에 위치한 라우터인 앵커 라우터(10)에서 앵커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중앙 집중형 이동성 관리 기법에서는 모든 패킷이 하나의 앵커 노드인 앵커 라우터(10)로 집중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의 과부하 및 안정성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에서 IP 멀티캐스트 지원을 위한 모바일 단말의 초기 접속을 위한 에이전트 및 네트워크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이 이동할 때마다 현재 접속된 액세스 라우터가 앵커 역할을 담당하게 하는 분산형 이동성 관리 구조 환경에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IP 멀티캐스팅 기술이 결합된 이동성 관리 지원 방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의 특징은 무선 송수신기, 안테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단말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고, 모바일 단말이 이동할 때마다 앵커 역할을 담당하는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와, 상기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에서 현재 수신되고 있는 멀티캐스트 채널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및 업데이트하는 이동성 관리 정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여러 컨텐츠 소스들을 포함하며 컨텐츠 제공을 위해 멀티캐스트 라우팅 가능한 컨텐츠 제공자 네트워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성 관리 정보서버는 상기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의 현재 해당 채널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컨텐츠 제공 네트워크로 멀티캐스트 채널 수신을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광고 메시지를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의 움직임을 탐지하고, 모바일 단말의 접속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바인딩 메시지를 생성 및 업데이트하고, 바인딩 정보를 토대로 모바일 단말의 접속 경로를 설정, 유지 및 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방법의 특징은 모바일 단말의 초기 접속 시 모바일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와,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에서 현재 수신되고 있는 멀티캐스트 채널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성 관리 정보서버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MMAA)에 의해 접속된 제 1 모바일 단말의 ID를 포함하는 단말 등록 요청 메시지가 이동성 관리 정보 서버(MMIS)에 전달하여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MMAA에 의해 MMIS로부터 등록된 상기 단말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 받고, 등록된 제 1 모바일 단말로 MLD Query 메시지를 전송하여 접속된 제 1 모바일 단말로 수신 가능한 멀티캐스트 채널 정보를 제공하여 멀티캐스트 채널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MMAA는 상기 제 1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MLD Query 메시지에 따른 응답인 MLD Report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을 원하는 멀티캐스트 채널 정보를 전달받고, 종합된 MLD Report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자 네트워크 쪽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MMIS에 의해 상기 제 1 MMAA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 채널 및 송신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MMAA은 IETF RFC 4605에 명시된 MLD 프록시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에서 IP 멀티캐스트 기법을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전송 방안을 제공하여 현재 채널별 멀티캐스트 송신노드 정보를 이용한 적절한 송신노드 정보를 계산하여, 알려주는 절차를 통해 불필요한 패킷의 중복 없이 효과적인 멀티캐스트 전달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전달로 인한 대역폭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이동성 관리 에이전트마다 멀티캐스트 데이터 수신을 위한 상위 송신 에이전트 혹은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중 어디로 수신을 해야 할 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 은 기존의 네트워크 이동성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에 접속한 경우, 초기 접속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핸드오프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핸드오프 절차와 함께 새로운 모바일 단말의 접속 시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바인딩 업데이트 절차에 따른 멀티캐스트 데이터 경로의 변경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와 같이, 이동성 관리 시스템은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100) 내에 모바일 단말(110)(120)과,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130)(140)와, 이동성 관리 정보서버(150)와, 여러 컨텐츠 소스들을 포함하며 컨텐츠 제공을 위해 멀티캐스트 라우팅 가능한 컨텐츠 제공자 네트워크(200)로 구성된 환경을 나타낸다.
상기 모바일 단말(110)(120)은 무선 송수신기, 안테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등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10)(120)은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내에서 기지국과의 무선 접속을 통해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130)(140)에 접속하여 네트워크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모바일 단말(110)(120)은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130)(140)의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신의 IP 주소를 설정한다.
상기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130)(140)는 모바일 단말(110)(120)을 대신하여 모바일 단말(110)(120)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장치로, 모바일 단말(110)(120)이 이동할 때마다 현재 접속된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130)(140)가 앵커 역할을 담당한다. 즉, 모바일 단말(110)(120)에 광고 메시지를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110)(120)의 움직임을 탐지하고, 모바일 단말(110)(120)의 접속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바인딩 메시지를 생성 및 업데이트하고, 바인딩 정보를 토대로 모바일 단말(110)(120)의 접속 경로를 설정, 유지 및 해지 등을 한다.
상기 이동성 관리 정보서버(150)는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130)(140)에서 현재 수신되고 있는 멀티캐스트 채널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및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성 관리 정보서버(150)는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130)(140)의 현재 해당 채널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컨텐츠 제공 네트워크(200)로 멀티캐스트 채널 수신을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에 접속한 경우, 초기 접속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에서 IP 멀티캐스트 기반 스트리밍 수신을 위한 모바일 단말의 초기 접속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모바일 단말(110)이 제 1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MMAA)(130)에 접속할 때, 제 1 MMAA(130)는 제 1 모바일 단말(110)의 ID를 단말 등록 요청 메시지에 싣어 이동성 관리 정보 서버(MMIS)(150)에 전달하고, 이에 따른 단말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참고로 제 1 MMAA(130)과 제 2 MMAA(140)은 IETF RFC 4605에 명시된 MLD 프록시 기능을 가짐을 가정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 1 MMAA(130)은 MMIS(150)에 등록된 제 1 모바일 단말(110)로 MLD Query 메시지(광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 1 MMAA(130)에 접속된 제 1 모바일 단말(110)로 수신 가능한 멀티캐스트 채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멀티캐스트 채널 가입 여부를 확인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모바일 단말(110)은 상기 MLD Query 메시지에 따른 응답인 MLD Report 메시지를 통해 수신을 원하는 멀티캐스트 채널 정보를 상기 제 1 MMAA(130)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 1 MMAA(130)은 종합된 MLD Report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자 네트워크(200)쪽으로 전송한다.
이후, 제 1 MMAA(130)은 MMIS(150)에게 현재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 채널 및 송신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MMIS(150)는 제 1 MMAA(130)로부터 전송된 멀티캐스트 채널 및 송신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 정보를 등록하며, 아울러 미리 등록된 내용과 비교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핸드오프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스트리밍을 수신하는 제 1 모바일 단말(110)이 제 1 MMAA(130)에서 제 2 MMAA(140)으로 핸드오프 하는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모바일 단말(110)이 제 1 MMAA(130)에서 제 2 MMAA(140)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모바일 단말(110)의 접속을 감지한 제 2 MMAA(140)는 제 1 모바일 단말(110)의 ID를 단말 등록 요청 메시지에 싣어 이동성 관리 정보 서버(MMIS)(150)에 단말 등록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
그러면 MMIS(150)은 이전에 제 1 모바일 단말(110)이 등록된 제 1 MMAA(130)에게 바인딩 캐시 업데이트를 요청하여, 제 1 모바일 단말(110)의 캐시 엔트리를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이 과정을 통해 MMIS(150)은 제 1 모바일 단말(110)이 멀티캐스트 수신 노드임을 확인하고, 멀티캐스트 데이터 수신을 위한 상위 접속 에이전트 정보를 단말등록 응답 메시지에 함께 싣어 제 2 MMAA(140)에게 전달된다.
한편, 도 3에서는 제 1 MMAA(130)과 현재 접속된 제 2 MMAA(140)에 채널 “G”에 대해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이 없다고 가정할 때, 상기 제 2 MMAA(140)는 종합된 MLD Report 메시지는 컨텐츠 제공자 네트워크(200)로 전달된다.
그러나 제 2 MMAA(140)에 이미 제 1 MMAA(130)과 현재 접속된 해당 채널에 대해 수신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이 있는 경우, 또는 제 1 모바일 단말(110)이 핸드오프 이후에도 제 1 MMAA(130)에 수신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이 있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중복 전송을 막기 위해 MMIS(150)는 컨텐츠 제공자 네트워크(200)에게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에이전트 주소를 알려준다. 따라서 기존에 컨텐츠 제공자 네트워크(200)로부터 수신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130)(140)간의 터널을 형성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포워딩하게 한다. 그리고 제 2 MMAA(140)은 현재 수신되고 있는 멀티캐스트 채널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MMIS (150)에게 등록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핸드오프 절차와 함께 새로운 모바일 단말의 접속 시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에서 제 1 모바일 단말(110)이 핸드오프 절차와 함께 새로운 제 2 모바일 단말(160)이 접속할 때 IP 멀티캐스트 지원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MMAA(130)에 제 1 모바일 단말(110)이 수신하던 멀티캐스트 채널 “G"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들이 있음이 가정되었다. 이에 따라, 제 1 모바일 단말(110)이 제 2 MMAA(140)으로 핸드오프 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 수신을 할 때, MMIS(150)의 정책 결정에 의해 제 2 MMAA(140)는 컨텐츠 제공자 네트워크(200)가 아닌 제 1 MMAA(130)에게 종합된 MLD Report 메시지를 전달하여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130)(140)간의 터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터널을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후, 새로운 제 2 모바일 단말(120)이 제 2 MMAA(140)에 접속하였을 때, 제 2 MMAA(140)은 MMIS(150)에게 단말 등록 요청을 수행하여 단말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 2 MMAA(140)는 제 1 모바일 단말(110)과 같은 멀티캐스트 채널 요청 수신을 받고 있으므로, 현재 MLD 프록시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종합된 MLD Report 메시지를 제 1 MMAA(13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멀티캐스트 데이터는 제 1 MMAA(130)으로부터 터널을 이용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MLD Report 메시지를 받은 제 2 MMAA(140)은 MMIS(150)에게 채널별로 종합하여 수신하고 있는 채널 정보와 해당 채널에 대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하는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 정보를 등록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바인딩 업데이트 절차에 따른 멀티캐스트 데이터 경로의 변경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단말 바인딩 업데이트 절차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데이터 경로 전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2 모바일 단말(120)은 MLD 프록시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MMAA(140)으로부터 MLD Query 메시지를 수신하면 MLD Report 메시지로 응답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MMAA(140)은 채널 별로 종합하여 현재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 채널과 해당 채널에 대해 송신하고 있는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 정보를 MMIS(150)에게 수시로 업데이트 한다.
또한 제 1 MMAA(130)는 해당 채널에 대해 수신하고 있는 모든 모바일 단말이 탈퇴되는 이벤트가 발생되게 되면, MMIS(150)로 MLD Report 탈퇴 메시지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MMIS(150)은 현재 제 1 MMAA(130)에서 해당 채널의 수신 여부를 확인 후, 더 이상 제 1 MMAA(130)이 해당 채널을 수신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이후 MMIS(150)는 바뀌어진 상위 접속 멀티캐스트 에이전트 정보를 수신채널 등록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제 2 MMAA(140)으로 전달하며, 제 2 MMAA(140)는 컨텐츠 제공자 네트워크(200)로 상기 수신채널 등록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종합된 MLD Report 메시지를 전송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제 2 MMAA(140)이 제 1 MMAA(130)을 거치지 않고, 직접 수신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 2 MMAA(140)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제 1 MMAA(130) 간의 터널 없이 제 2 MMAA(140)와 컨텐츠 제공자 네트워크(200)간에 수신하게 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터널링 오버헤드와 데이터 우회로 인한 전달 지연 시간을 줄이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제 2 MMAA(140)은 MMIS(150)에게 채널별로 종합하여 수신하고 있는 채널 정보와 해당 채널에 대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하는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 정보를 등록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무선 송수신기, 안테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단말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고, 모바일 단말이 이동할 때마다 앵커 역할을 담당하는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와,
    상기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에서 현재 수신되고 있는 멀티캐스트 채널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및 업데이트하는 이동성 관리 정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여러 컨텐츠 소스들을 포함하며 컨텐츠 제공을 위해 멀티캐스트 라우팅 가능한 컨텐츠 제공자 네트워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정보서버는
    상기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의 현재 해당 채널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컨텐츠 제공자 네트워크로 멀티캐스트 채널 수신을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광고 메시지를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의 움직임을 탐지하고, 모바일 단말의 접속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바인딩 메시지를 생성 및 업데이트하고, 바인딩 정보를 토대로 모바일 단말의 접속 경로를 설정, 유지 및 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5. 모바일 단말의 초기 접속 시 모바일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와,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에서 현재 수신되고 있는 멀티캐스트 채널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성 관리 정보서버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이동성 관리 앵커 에이전트(MMAA)에 의해 접속된 제 1 모바일 단말의 ID를 포함하는 단말 등록 요청 메시지가 이동성 관리 정보 서버(MMIS)에 전달하여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MMAA에 의해 MMIS로부터 등록된 상기 단말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 받고, 등록된 제 1 모바일 단말로 MLD Query 메시지를 전송하여 접속된 제 1 모바일 단말로 수신 가능한 멀티캐스트 채널 정보를 제공하여 멀티캐스트 채널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MMAA는 상기 제 1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MLD Query 메시지에 따른 응답인 MLD Report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을 원하는 멀티캐스트 채널 정보를 전달받고, 종합된 MLD Report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자 네트워크 쪽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MMIS에 의해 상기 제 1 MMAA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 채널 및 송신 에이전트 혹은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MAA은 IETF RFC 4605에 명시된 MLD 프록시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방법.
KR1020110101353A 2011-10-05 2011-10-05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00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353A KR101300040B1 (ko) 2011-10-05 2011-10-05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3/304,487 US8625476B2 (en) 2011-10-05 2011-11-25 Mob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353A KR101300040B1 (ko) 2011-10-05 2011-10-05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034A KR20130037034A (ko) 2013-04-15
KR101300040B1 true KR101300040B1 (ko) 2013-08-29

Family

ID=4843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353A KR101300040B1 (ko) 2011-10-05 2011-10-05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765B1 (ko) * 2008-06-25 2014-08-18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기의 초기접속경로 우회 시스템
KR102148705B1 (ko) 2013-09-25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91948B1 (ko) * 2014-01-22 2015-02-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성 관리 기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754A (ko) * 2001-10-26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프 방법
KR100660312B1 (ko) 2001-10-02 2006-12-22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모빌리티 제어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하는 이동 노드, 모빌리티 제어 방법, 모빌리티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모빌리티 제어 노드
JP2009218972A (ja) 2008-03-12 2009-09-24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割当処理サーバ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移動管理サーバ割当て方法
KR20110071442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 관리 기능이 분산된 무선 네트워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312B1 (ko) 2001-10-02 2006-12-22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모빌리티 제어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하는 이동 노드, 모빌리티 제어 방법, 모빌리티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모빌리티 제어 노드
KR20030034754A (ko) * 2001-10-26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프 방법
JP2009218972A (ja) 2008-03-12 2009-09-24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割当処理サーバ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移動管理サーバ割当て方法
KR20110071442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 관리 기능이 분산된 무선 네트워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034A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2903B2 (en) Communications methods, system and apparatus
US9014136B2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fast wide-area mobile IP handoffs
US8625476B2 (en) Mob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network
JP4980468B2 (ja) トンネリング基盤の移動性支援装置及び方法
US9094223B2 (en) Predictive caching and tunneling for time-sensitive data delivery to roaming client devices
KR101023063B1 (ko)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을 지원하는 모바일 멀티캐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
JP4968328B2 (ja) モバイルip通信システム、モバイルip通信装置およびモバイルip通信方法
US8774130B2 (en) Access point, L2 switch and method of supporting multicast handover using the access point and L2 switch
KR101561108B1 (ko)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에 기반한 프록시 모바일 IPv6환경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핸드오버 방법
KR101300040B1 (ko)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8177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izing multiple terminals
US20140112307A1 (en) 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interuption of communication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and method thereof
CN100596229C (zh) 告知目标网络地址绑定结果的方法及移动用户终端
KR101248954B1 (ko)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멀티캐스트 지원방법
CN101031133B (zh) 一种确定移动节点归属的家乡代理的方法及装置
US9160547B2 (en) Method and devices for managing a data flow transfer
US7631099B2 (en) Proxy support of mobile IP
KR20030050897A (ko) 인터넷프로토콜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방법
US97630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obility of terminal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230823B1 (ko) 상황인지 기반 트래픽 경로최적화 관리 방법
KR20110071442A (ko) 위치 관리 기능이 분산된 무선 네트워크 방법 및 시스템
KR101077596B1 (ko) 프록시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ssm을 위한 컨텍스트 프로필을 이용하는 멀티캐스트 스트림 제공 시스템, 멀티캐스트 접속 게이트웨이 및 모바일 노드 접속 처리 방법
KR101200407B1 (ko) 멀티캐스트 방법 및 억세스 게이트웨이
KR20130037349A (ko) 모바일 라우터, 액세스 라우터 및 이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 방법
Jung et al. On multicasting-based global mobility management in proxy mobile ipv6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