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346B1 -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346B1
KR101296346B1 KR1020120029466A KR20120029466A KR101296346B1 KR 101296346 B1 KR101296346 B1 KR 101296346B1 KR 1020120029466 A KR1020120029466 A KR 1020120029466A KR 20120029466 A KR20120029466 A KR 20120029466A KR 101296346 B1 KR101296346 B1 KR 101296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inlay
protective case
mobile device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기
Original Assignee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9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양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와, 상기 겉지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로 구성되어 휴대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전면판과 연결부 및 배면판으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 내측에는 상기 속지 표면과 수납공간부를 형성하는 포켓이 구비되되, 상기 속지는 상기 겉지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서 그 외측에서 상기 포켓의 접착부가 상기 겉지와 고주파 접착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안전하고 간편하게 모바일 휴대기기를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고, 그 내측에 포켓을 구비하여 명함이나, 교통카드 및 신용카드 등을 함께 휴대하고 다니면서도 포켓의 접착부가 두껍지 않고 슬림한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어 제품 디자인 품질이 향상되어 고품격의 보호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 케이스 고주파 접착 제조 과정에서도 포켓 접착부의 접착 불량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제조 원가 및 불량으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내측에 명함이나 신용카드 또는 교통카드 등을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포켓을 구비하면서도 특히, 포켓의 접착 부위가 슬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고, 봉제나 접착제 및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도록 고주파융착을 이용하여 포켓을 접착함에 있어 고주파 접착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전화의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스마트폰이 출시됨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의 일대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전화기능과 인터넷 기능까지 겸하고 있어 종래 핸드폰과 노트북, PDA, PMP 등의 고가의 휴대기기를 통합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에 비례하여 매우 고가의 제품이다.
따라서 파손을 방지하고, 액정 표면이 긁히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능성의 보호 케이스가 많이 출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최근에 출시된 보호케이스는 합성수지 원단을 이용하여 봉제나 접착제 및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고주파 융착에 의해 제조되어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으로 출시되어 많은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선호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고주파 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다이어리 디자인 형태의 종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즉, 종래의 고주파 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는 원단으로 된 겉지(2)와, 상기 겉지(2)에 부착되는 속지(3)의 2겹으로 구성되는 것과, 겉지와 속지의 두께가 얇은 경우 상기 겉지(2)와 속지(3) 사이에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판형의 심재(4)가 추가로 삽입되어 3겹으로 구성되는 보호케이스로 구분된다.
따라서, 종래의 보호케이스(1)는 두께가 두꺼운 겉지(2)와 속지(3)의 2겹의 구성이거나, 또는 그 사이에 심재(4)를 넣고 서로 합지 한 3겹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그 가장자리는 고주파 융착 방식으로 접착된 후 그 외곽 라인을 커팅지그로 절단함으로써 휴대기기의 외부를 감싸는 패드 형태의 보호 케이스(1)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 겉지(2)와 속지(3)는 다양한 원단으로 구성되는데, 보호케이스(1)의 디자인 형태에 따라 합성피혁, 열가소성 필름, 텍스타일류 및 플라스틱 발포시트등 고주파 접착이 가능한 원단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고주파에 반응하는 열가소성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원단들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심재(4)는 대부분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플라스틱이나 두꺼운 종이 소재로 구성되어 고주파 접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겉지(2)와 속지(3)의 크기보다 조금 작은 고주파 접착 라인의 안쪽 크기로 설계되어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보호케이스(1)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휴대기기(H)의 터치스크린 화면을 커버하는 전면판(5)과, 그 후면을 커버하는 배면판(6)으로 그 영역이 구분되고, 보강을 위해 전면판(5)과 배면판(6)에 상기 심재(4)를 각각 추가 삽입하여 스마트폰의 전면유리와 배면의 카메라 등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부위를 보강할 경우에도 상기 심재는 국부적으로 삽입되어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5)과 배면판(6)은 서로 연결부(7)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는데, 이 연결부(7)는 전면판(5)을 열고 닫기 위해 유연해야 하므로 이 연결부(7)에는 심재(4) 없이 겉지(2)와 속지(3)가 단순 합지된 2겹의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면판(6)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제2연결부(7a)에는 체결편(8)이 일체형 또는 별도로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판(5)의 일단부와 상기 체결편(8)의 단부에는 자석(M)등이 상기 겉지(2)와 속지(3) 사이 또는 심재(4)에 함께 삽입되어 상기 전면판(5)과 체결편(8)이 서로 포개어지면서 자석(M)에 서로 부착되어 보호케이스(1)의 열림/닫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판(6)에는 모바일 휴대기기(H)를 부착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있으며, 상기 전면판(5) 및 배면판 그리고 연결부에는 모바일 휴대기기(H)의 외부 기능 부품에 대응되는 위치에 음성 스피커 홀, 카메라 홀 및 음향 스피커 홀과 장식 고리 등을 연결하기 위한 스트랩 홀과 같은 타공홀(9)들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모바일 휴대기기를 안전하게 수납함과 동시에 그 내측에는 명함이나 신용카드 등을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11)를 가진 포켓(10)이구비된 고주파 융착으로 제조된 보호케이스가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판(5)에는 그 폭이 전면판(5)과 동일하거나 그 보다 조금 작은 크기를 갖으며, 고주파 융착이 가능한 합성수지 원단으로 이루어진 포켓(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포켓(10)은 일측의 삽입구(13)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부위(이하 "포켓접착부;12"라함)가 상기 겉지(2) 및 속지(3)와 함께 고주파 융착 처리됨으로써 상기 포켓(10)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포켓(10)이 구비된 종래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는 명함이나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을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편리함은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5) 내측으로 포켓(10) 원단이 한 장 더 겹쳐져서 고주파 접착 처리됨에 따라 그 접착부 두께가 다른 부위(포켓이 없는 부위)보다 두껍게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보호케이스(1) 의 외곽 라인(포켓 있는 부위)이 매우 투박해지는 디자인상의 결함이 내재되어 있었다.
참고적으로, 포켓(10) 가장자리의 고주파 접착 부위는 겉지(2)와 속지(3) 및 포켓(10)의 3겹으로 구성되며, 심재(4)가 삽입된 경우는 4겹의 단면 구조를 이루게 되어 그 접착 단부의 두께 감은 더욱 크게 느껴지게 된다.
특히 모바일 기기를 보호케이스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포켓 접착부(12) 가장자리 부위는 더 두꺼워짐으로써 보호케이스의 전체적인 제품 디자인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 보호케이스(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석(M)에 의해 열림/닫힘 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포켓(10)의 접착 부위가 전면판(5)의 일단 가장자리와 겹치면서 더 두꺼워지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체결편(8)의 단부를 상기 전면판(5)에 부착시킬 때 겹쳐진 두께에 의한 반발력으로 약한 자력에 의해 체결편(8)이 부착되어 있지 못하고 떨어지게 됨으로써 체결편(8)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여 보호케이스(1)가 쉽게 개방되어 휴대기기(H)가 외부 충격에 그대로 노출되어 파손되는 문제도 발생되었다.
그리고, 고주파 융착 제조 과정 상기 심재(4)를 제외한 겉지(2)와 속지(3) 및 포켓(10)을 3겹으로 겹친 상태에서 고주파 융착하게 되는데, 2겹 부위보다 3겹 부위가 완벽하게 접착되지 않고 미성형 되어 융착 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등 제조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래의 포켓부를 구비한 보호케이스 제조 과정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 제10-0936071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제조방법"에 관련된다.
이를 참고하면, 종래의 고주파 융착 방식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주파 접착 과정은 베이스층(이하"겉지"라 함), 표면층(이하"속지"라 함), 보강층(이하"심재"라 함)를 기본 원자재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자재에 핀 홀을 형성하는 준비단계; 상기 원자재를 상부 지그와 하부 지그 사이에 적층하고 고주파 융착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접합된 원자재(이하"합지"라 함)를 상부 지그와 하부 지그 사이에 장착하고 절단하는 커팅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심재로서 플라스틱시트, 메탈시트, 종이 등의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부 지그 위에 먼저 상기 겉지를 적층하고,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처리가 된 심재을 적층 한 다음 그 위에 속지를 적층 한 상태에서 상부 지그로 가압하여 완성된다.
또한, 상기한 포켓을 추가로 부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준비단계(심재를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 상기 속지 위에 포켓 원단을 적층 한 후 포켓의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세 면의 접착 부위를 상기 상부 지그로 함께 가압함으로써 포켓부가 마련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가 완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포켓(10)이 구비된 종래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상기 포켓(10) 원단을 속지 위에 한 겹 더 포갠 상태에서 고주파 융착 성형을 하게 되므로 포켓 접착부(12)를 제외한 다른 융착 부위는 2겹의 구성이므로 고주파 융착이 완벽하게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포켓(10) 원단이 겹쳐진 접착 부위는 겉지(2)와 속지(3) 및 포켓(10)의 3겹 구성이므로 동일한 출력으로 고주파 접착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기 때문에 보호케이스 사용 중 포켓 접착부(12)가 쉽게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또한, 고주파 접착 과정에서 출력이 다소 불안한 경우에는 특히 3겹의 두꺼운 포켓 접착부(12)가 미 성형 되는 등 양산 불량이 자주 발생하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고, 접착 불량으로 인한 원자재의 손실을 야기하는 등 고품질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생산하는데 많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내측에 포켓을 구비하면서도 고주파 접착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포켓 접착부의 가장자리의 고주파 융착 부위도 두껍지 않고 슬림한 형태의 보호케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형태의 포켓 원단 적층 구조를 갖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안전하게 수납함과 동시에 그 내측에는 명함이나 신용카드 등을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포켓을 구비하면서도 특히, 포켓의 접착 부위가 슬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고, 봉제나 접착제 및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도록 고주파융착을 이용하여 포켓을 접착함에 있어 고주파 접착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목적에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겉지와 속지 사이의 심재 삽입 유,무에 따른 구성으로 대별될 수 있는데,
심재가 있는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다양한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와, 상기 겉지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로 구성되어 휴대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전면판과 연결부 및 배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겉지와 속지 사이에는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을 보강하는 심재가 삽입되어 있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 내측에는 상기 속지 표면과 수납공간부를 형성하는 포켓이 구비되되, 상기 심재 및 상기 속지는 상기 겉지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서 그 외측에서 상기 포켓의 접착부가 상기 겉지와 고주파 융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포켓은 가로 방향으로 삽입구가 형성되도록 3개의 면이 상기 겉지와 고주파 융착 된다.
상기 포켓은 가로 방향으로 삽입구가 형성되도록 3개의 면이 상기 겉지와 고주파 접착되고, 상기 포켓의 표면에는 복수의 슬롯이 수직으로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은 표면에 복수의 삽입구가 수직으로 배열 형성되고, 4개의 면이 상기 겉지와 고주파 융착 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는 다이어리형 또는 폴더형 디자인의 보호케이스 등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포켓의 표면에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됨으로써 반 지갑이나 카드지갑과 같은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심재가 없는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다양한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와, 상기 겉지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로 구성되어 휴대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전면판과 연결부 및 배면판으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 내측에는 상기 속지 표면과 수납공간부를 형성하는 포켓이 구비되되, 상기 속지는 상기 겉지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서 그 외측에서 상기 포켓의 접착부가 상기 겉지와 고주파 융착으로 접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포켓은 가로 방향으로 삽입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착부 3개의 면이 상기 겉지와 고주파 융착으로 접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포켓은 가로 방향으로 삽입구가 형성되도록 접착부 3개의 면이 상기 겉지와 고주파 접착되고, 상기 포켓의 표면에는 복수의 슬롯이 추가로 수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어 포켓의 삽입구 및 슬롯에 명함이나 신용카드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꽂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켓은 표면에는 복수의 삽입구가 수직으로 배열 형성되고, 4개의 면이 상기 겉지와 고주파 융착으로 접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통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심재의 삽입 유,무에 상관없이 상기 보호케이스의 전면판과 배면판 및 그 연결부에 복수의 타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기기의 외관에 구비된 음성 및 음향 스피커, 카메라가 보호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장식 고리 등을 매달 수 있도록 추가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판 일측단부에는 제2연결부가 구비되고, 이 2연결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의 일단부와 겹쳐지는 체결편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편과 상기 전면판은 상기 겉지와 속지 사이에 수납되는 자석에 의해 서로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하고 간편하게 모바일 휴대기기를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고, 그 내측에 포켓을 구비하여 명함이나, 교통카드 및 신용카드 등을 함께 휴대하고 다니면서도 포켓의 접착부가 두껍지 않고 슬림한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어 제품 디자인 품질이 향상되어 고품격의 보호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 케이스를 고주파 융착 방식으로 제조 과정에서도 포켓 접착부의 고주파 융착 불량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제조 원가 및 불량으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포켓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 는 종래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포켓 접착부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 2의 가-가'선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포켓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심재가 있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및 포켓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심재가 있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횡단면도,
도 8은 도 7의 나-나'선 요부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심재가 없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및 포켓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심재가 없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다-다'선 요부 확대단면도,
도 12 (a),(b),(c)는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의 여러 가지 디자인 형태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고주파 융착을 이용한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일 예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가 수납되는 다이어리 디자인 형태 즉, 가로 방향으로 개폐되는 보호케이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 휴대기기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보호케이스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 1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포켓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심재가 있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및 포켓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심재가 있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나-나'선 요부 확대단면도이고, 도 12 (a),(b),(c)는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의 여러 가지 디자인 형태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심재가 있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기본 구성으로서, 다양한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20)와, 상기 겉지(20)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30)로 구성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H)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전면판(50)과 연결부(70) 및 배면판(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겉지(20)와 속지(30)는 다양한 원단으로 구성되는데, 보호케이스(100)의 디자인 형태에 따라 합성피혁, 열가소성 필름, 텍스타일류 및 플라스틱 발포시트등 고주파 접착이 가능한 원단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고주파에 반응하는 열가소성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원단들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보호케이스(100)는 상기 전면판(50) 내측에 상기 속지(30) 표면과 수납공간부(111)를 형성하기 위한 포켓(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포켓(110)에는 두께가 얇은 명함이나 교통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을 한장 또는 두 장 정도 끼워 휴대기기(H)와 함께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켓(110)의 구성 설명을 위하여 그 가장자리의 고주파 접착 영역이 되는 4개의 면을 "포켓 접착부(112)"라 호칭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심재가 있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다양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20)와, 상기 겉지(20)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30)로 구성되어 휴대기기(H)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전면판(50)과 연결부(70) 및 배면판(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겉지(20)와 속지(30) 사이에는 상기 전면판(50)과 배면판(60)을 보강하는 심재(40)가 추가로 삽입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겉지(20)와 속지(30)의 원단 두께가 얇아서 보호케이스(100)의 형태를 이룰 수 없는 경우 심재(40)를 추가로 삽입하여 그 형태를 유지함은 물론,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휴대기기(H)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겉지(20)는 속지(30)는 다양한 원단으로 구성되는데, 보호케이스(100)의 디자인 형태에 따라 합성피혁, 열가소성 필름, 텍스타일류 및 플라스틱 발포시트등 고주파 접착이 가능한원단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고주파에 반응하는 열가소성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원단들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본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심재가 있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는 상기 전면판(50) 내측에 상기 속지(30) 표면과 포켓(110)를 형성하기 위한 포켓(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켓(110)은 상기 심재(40) 및 속지(30) 표면에 접착되지 않고, 포켓 접착부(112)가 상기 겉지(20)에 직접적으로 고주파 융착으로 접착되는 것이 큰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포켓(110) 원단은 상기 겉지(20) 또는 속지(30)와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로 구성되며, 보호케이스(100) 외부 또는 내부 디자인에 따라 원단 소재 및 색상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고주파 융착으로 제조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심재(40)가 구비되는 보호케이스(100)에 있어서는 상기 심재(40)는 고주파 융착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포켓(110)원단은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융착 가능한 합성수지 원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포켓(110)의 접합부(112)가 겉지(20),심재(40), 속지(30) 및 포켓(110)의 4겹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겉지(20)와 포켓(110)의 2겹으로 구성되며, 포켓 접착부(112) 영역 내측 라인으로 심재(40)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포켓 접착부(112)의 두께가 기존 두께보다 현저히 얇아져 보호케이스(100)의 외곽 라인이 슬림한 형태를 이루게 되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켓(110)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카드 등을 가로 방향으로 끼워 넣을 수 있는 삽입구(113)를 형성하도록 포켓 접착부(112)의 3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와 직접적으로 고주파 융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포켓(110)이 상기 겉지(20)에 직접 고주파 융착되기 위해서는 포켓접착부(112) 3개의 면 부위에 접착 영역이 확보되야 한다.
상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상기 겉지(20)와 속지(30)가 합지되면서 그 위로 배치되는 포켓(110)의 접착부(112) 영역에 해당되는 부위만큼 상기 속지(30)의 크기가 상기 겉지(20)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겉지(20)의 내측면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심재(40)는 상기 속지(30)와 그 외형을 동일하게 구성하여 상기 속지(30)와 심재(40)가 먼저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으로 먼저 합지된 후 상기 겉지(20)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겉지(20)는 보호케이스(100)의 외형 라인으로 형성되며, 상기 속지(30)는 포켓(110)의 접착부(112)의 3개의 면에 해당되는 위치의 단부가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겉지(20)와 상기 속지(30) 및 심재(40)가 서로 합지 되었을 때 겉지(20)의 내측면이 상기 포켓 접착부(112)에 대응되도록 노출됨으로써, 상기 속지(30)와 포켓(110)이 겹쳐지면 속지(30) 표면과 포켓(110) 사이에 수납공간부(111)가 형성되록 구성된다.
또한, 그 접착부(112)의 3개의 면은 겉지(20)와 함께 고주파 접착됨으로써 그 일측으로 상기 삽입구(113)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접착 부위가 겉지(20), 속지(30) 및 포켓(110)의 3겹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겉지(20)와 포켓(110)의 2겹으로 구성됨으로써, 접착부(112)의 두께가 기존 보다 현저히 얇아져 보호케이스(100)의 외곽 라인이 슬림한 형태를 이루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제1실시예의 다른 구성으로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110)은 가로 방향으로 삽입구(113)가 형성되도록 접착부(112) 3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접착되고, 상기 포켓(110)의 표면에는 포켓(110) 원단 표면을 일자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슬롯(114)이 수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명함이나 교통카드를 가로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도 슬롯(114)에 끼워 넣어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실시예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켓(110)은 포켓 접착부(112)의 4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와 직접적으로 고주파 접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포켓(110)의 표면에는 슬롯 형태의 복수의 삽입구(113)가 수직으로 배열 형성되어 상기와 같이 삽입구(113)에 명함이나 신용카드를 세로 방향으로 꽂아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포켓 접착부(112)의 4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에 접착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포켓(110)이 부착되는 영역의 속지(30)의 일부는 제거됨으로써 상기 겉지(20)와 상기 포켓(110)이 직접적으로 고주파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포켓(110)과 상기 겉지(20) 사이에는 수납공간부(111)가 형성된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포켓 접착부(112) 라인에 해당되는 속지(30)를 "ㅁ" 형태로 재단하여 제거함으로써 상기 포켓(110)은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접착되면서 상기 속지(30)는 상기 겉지(20)와 미리 합지된 상태에서 상기 포켓(110)과 상기 속지(30) 사이에 수납공간부(111)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심재가 있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다이어리형 또는 폴더형 디자인의 보호케이스(100)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모바일 휴대기기(H)를 수납하여 휴대함과 동시에 포켓(110)의 표면에 복수의 삽입구(113) 또는 슬롯(114)이 형성됨으로써 반지갑이나 카드 지갑과 같은 용도로 대체하여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 제 2 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심재가 없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및 포켓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심재가 없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횡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다-다'선 요부 확대단면도이고, 도 12 (a),(b),(c)는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의 여러 가지 디자인 형태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대부분의 구성이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으로서, 동일 명칭과 부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즉, 기본 구성으로서, 다양한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20)와, 상기 겉지(20)와 서로 2겹으로 합지되는 속지(30)로 구성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H)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전면판(50)과 연결부(70) 및 배면판(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겉지(20)와 속지(30)는 다양한 원단으로 구성되는데, 보호케이스(100)의 디자인 형태에 따라 합성피혁, 열가소성 필름, 텍스타일류 및 플라스틱 발포시트등 고주파 접착이 가능한 원단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고주파에 반응하는 열가소성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원단들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심재가 없는 보호케이스(100)는 상기 전면판(50) 내측에 상기 속지(30) 표면과 수납공간부(111)를 형성하기 위한 포켓(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포켓(110)에는 두께가 얇은 명함이나 교통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을 한장 또는 두 장 정도 끼워 휴대기기(H)와 함께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포켓(110)은 종래와 같이 상기 속지(30) 표면에 접착되지 않고, 포켓 접착부(112)가 상기 겉지(20)에 직접적으로 고주파 접착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따라서, 상기 포켓(110)은 그 원단이 상기 겉지(20) 또는 속지(30)와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로 구성되며, 보호케이스(100) 외부 또는 내부 디자인에 따라 원단 소재 및 색상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110)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카드 등을 가로 방향으로 끼워 넣을 수 있는 삽입구(113)를 형성하도록 포켓 접착부(112)의 3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와 직접적으로 고주파 접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포켓(110)이 상기 겉지(20)에 직접 고주파 접착되기 위해서는 포켓 접착부(112)의 3개의 면에 해당되는 위치에 접착 영역이 확보되야 한다.
따라서, 상기 겉지(20)와 속지(30)가 합지되면서 그 위로 배치되는 포켓 접착부(112) 영역에 해당되는 부위만큼 상기 속지(30)의 크기가 상기 겉지(20)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겉지(20)의 내측면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겉지(20)는 보호케이스(100)의 전개상의 외형 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속지(30)는 포켓 접착부(112)의 3개의 면에 해당되는 부위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융착 통과 영역 만큼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겉지(20)와 합지되었을 때 겉지(20)의 내측면과 상기 포켓 접착부(112)가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속지(30)와 포켓(110)이 겹쳐지면 속지(30) 표면과 포켓(110) 사이에 수납공간부(111)가 형성되고, 그 접착부(112)의 3개의 면은 상기 겉지(20)와 함께 고주파 접착됨으로써 그 일측으로 상기 삽입구(113)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포켓(110)의 접착부(112)가 겉지(20), 속지(30) 및 포켓(110)의 3겹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겉지(20)와 포켓(110)의 2겹으로 구성됨으로써, 접착부(112)의 두께가 기존 보다 현저히 얇아져 보호케이스(100)의 포켓 접착부(112)의 외곽 라인이 슬림한 형태를 이루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제2실시예의 다른 구성으로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켓(110)은 일측 방향으로 삽입구(113)가 형성되도록 접착부(112) 3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접착되고, 상기 포켓(110)의 표면에는 포켓(110) 원단 표면을 일자형태로 절개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114)이 수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명함이나 교통카드를 가로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도 슬롯(114)에 끼워 넣을 수 있어 명함이나 신용카드 또는 교통카드 등을 선택적으로 꽂아 휴대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켓(110)은 포켓 접착부(112)의 4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와 직접적으로 고주파 접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포켓(110)의 표면에는 슬롯 형태의 복수의 삽입구(113)가 수직으로 배열 형성되어 상기와 같이 삽입구(113)에 명함이나 신용카드를 세로로 꽂아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포켓 접착부(112)의 4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에 접착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포켓 접착부(112)에 해당되는 영역의 속지(30)의 가장자리는 제거됨으로써 표면으로 노출된 상기 겉지(20)와 상기 포켓(110)이 직접적으로 고주파 접착되어 상기 포켓(110)과 상기 겉지(20) 사이에 수납공간부(111)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포켓 접착부(112) 라인에 해당되는 속지(30)를 "ㅁ" 형태로 제거함으로써 상기 포켓(110)은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접착되면서 상기 속지(30)는 상기 겉지(20)와 합지된 상태에서 상기 포켓(110)과 상기 속지(30) 사이에 수납공간부(111)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다이어리형 또는 폴더형 디자인의 보호케이스(100)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모바일 휴대기기(H)를 수납하여 휴대함과 동시에 포켓(110)의 표면에 복수의 삽입구(113) 또는 슬롯(114)이 형성됨으로써 반지갑이나 카드 지갑과 같은 용도로 대체하여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는 상기 제 1 및 제2 실시예에 모두 적용 가능한 공통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심재(40)의 삽입 유,무와 관계없이 상기 보호케이스(100)의 전면판(50)과 배면판(60) 및 그 연결부(70)에 복수의 타공홀(9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공홀(90)은 상기 휴대기기(H)의 외관에 구비된 음성 및 음향 스피커, 카메라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보호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장식 고리 등을 매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면판(60) 일측단부에는 제2연결부(71)가 구비되고, 이 제2연결부(7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50)과 일단부와 겹쳐지는 체결편(8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체결편(80)과 상기 전면판(50)은 상기 겉지(20)와 속지(30) 사이에 수납되는 자석(M)에 의해 서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를 제조하기 위한 고주파 융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고주파 융착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심재가 있는 경우와 심재가 없는 보호케이스의 제조 과정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의 고주파 접착 제조 과정은 통상 심재(40)를 제외한 겉지(20)와 속지(30) 및 포켓(110) 원단을 3겹으로 겹친 상태에서 고주파 융착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2겹 부위보다 3겹 부위가 완벽하게 접착되지 않게 됨으로써 접착 불량이 자주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00)의 구성에 의한 고주파 접착 제조 과정에서 불량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종래의 고주파 융착 방식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제조 방법에 있어서, 특히 고주파 융착을 이용한 접착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고주파 접착 성형 지그 및 커팅 지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1단계(S1)
고주파 융착을 위한 하부 지그는 상면에 특정된 형상의 성형면과 다수의 핀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성형면의 특정된 형상은 적용될 휴대기기(H)의 크기와 모양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1단계에서는 우선 겉지(20)에 핀 홀을 형성하는 준비단계이며, 사전 준비 작업으로서 보호케이스(100)의 디자인 형태에 따라 속지(30)와 심재(40) 및 포켓(110)을 임의의 형상대로 절단하는 커팅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2단계(S2)
핀 홀이 형성된 상기 겉지(20)를 상기 하부지그의 핀에 일치시켜 안착하는 단계이다.
2 단계에서는 상기 겉지(20)에 심재(40)가 있는 보호케이스(100)의 경우에는 별도로 재단된 심재(40)를 양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겉지(20)에 부착시켜 놓는 단계(S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3단계(S3)
상기 1단계에서 미리 별도로 재단된 속지(30)를 상기 겉지(20)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즉, 포켓(110)의 접착부(112)가 상기 겉지(20)와 직접 고주파 접착되기 위해 그 접착부(112)에 대응되는 속지(30)의 일단부가 제거된 모양의 속지(30)를 별도로 부착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 상기 심재(40)가 있는 보호케이스 제조 과정에서는 상기 2단계의 심재(40) 배치단계(S20)에서 심재(40)의 일단부에 자석(M)을 장착한 후 별도로 제작된 속지(30)를 상기 심재(40) 위에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미리 부착하는 단계(S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4단계(S4)
상기 겉지(20)에 속지(30)를 배치하는 단계(S3) 또는 상기 겉지(20)에 심재(40)와 속지(30)를 부착하는 단계(S30)를 거쳐 하나로 합지되는 단계이다.
5단계(S5)
상기 4단계(S4)를 거쳐 합지된 상태에서 상기 속지(30) 위에 별도 제작된 포켓(110) 원단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포켓(110)과 상기 속지(30) 사이는 접착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그 사이에 수납공간부(111)가 형성되며, 포켓 접착부(112)의 3개의 면 또는 4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와 직접 접착 될 수 있는 상태이다.
6단계(S6)
상기와 같이 상기 겉지(20)와 속지(30) 및 포켓(110)이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겉지(20)와 심재(40)속지(30) 및 포켓(110)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지그가 하강하여 하부지그와 함께 상기 겉지(20)와 포켓 접착부(112)를 고주파 융착하게 된다.
7단계(S7)
상기와 같이 고주파 접착이 된 후 보호케이스(100)의 외곽 라인 또는 복수의 타공홀(90) 라인을 따라 커팅 지그에 의하여 커팅되어 보호케이스(100)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 및 이를 위한 고주파 융착 제조 과정은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의 기본 형태를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며, 폴더형 또는 다이어리 형태 등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의 다양한 디자인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제조 과정이다.
여기에 상기 포켓(110)을 추가로 구성하기 위해 상기 속지(30) 위에 포켓(110) 원단을 적층 한 후 포켓(110)의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면과 겉지(20)를 상기 상부 지그로 함께 가압함으로써 슬림한 접착부(112)를 갖는 포켓(110)이 마련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가 완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고주파 융착 제조 과정에서 포켓(110) 원단을 속지(30) 위에 한 겹 더 포갠 상태에서 고주파 융착 성형을 하더라도 포켓 접착부(112)와 상기 겉지(20)가 2겹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고주파 융착이 되는 것이므로 접착 불량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 내측에 포켓(110)을 구비하면서도 고주파 융착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포켓 접착부(112)의 고주파 융착 부위가 두껍지 않고 슬림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보호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 겉지 30 : 속지
40 : 심재 50 : 전면판
60 : 배면판 70,71 : 연결부,제2연결부
80 : 체결편 90 : 타공홀
100 : 보호케이스 110 : 포켓
111: 수납공간부 112 : 접착부
113 : 삽입구 114 : 슬롯
H : 휴대기기 M : 자석

Claims (8)

  1. 삭제
  2. 다양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와, 상기 겉지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로 구성되어 휴대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전면판과 연결부 및 배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겉지와 속지 사이에는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을 보강하는 심재가 삽입되어 있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50) 내측에는 상기 속지(30) 표면과 수납공간부(111)를 형성하는 포켓(110)이 구비되되, 상기 심재(40) 및 상기 속지(30)는 상기 겉지(20)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서 그 외측에서 상기 포켓(110)의 접착부(112)가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융착으로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포켓(110)은 가로 방향으로 삽입구(113)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착부(112)의 3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융착으로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3. 다양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와, 상기 겉지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로 구성되어 휴대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전면판과 연결부 및 배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겉지와 속지 사이에는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을 보강하는 심재가 삽입되어 있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50) 내측에는 상기 속지(30) 표면과 수납공간부(111)를 형성하는 포켓(110)이 구비되되, 상기 심재(40) 및 상기 속지(30)는 상기 겉지(20)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서 그 외측에서 상기 포켓(110)의 접착부(112)가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융착으로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포켓(110)은 가로 방향으로 삽입구(113)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착부(112)의 3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융착되고, 상기 포켓(110)의 표면에는 복수의 슬롯(114)이 수직으로 배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4. 다양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와, 상기 겉지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로 구성되어 휴대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전면판과 연결부 및 배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겉지와 속지 사이에는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을 보강하는 심재가 삽입되어 있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50) 내측에는 상기 속지(30) 표면과 수납공간부(111)를 형성하는 포켓(110)이 구비되되, 상기 심재(40) 및 상기 속지(30)는 상기 겉지(20)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서 그 외측에서 상기 포켓(110)의 접착부(112)가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융착으로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포켓(110)은 표면에 복수의 삽입구(113)가 수직으로 배열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112)의 4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융착으로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5. 다양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와, 상기 겉지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로 구성되어 휴대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전면판과 연결부 및 배면판으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50) 내측에는 상기 속지(30) 표면과 수납공간부(111)를 형성하는 포켓(110)이 구비되되, 상기 속지(30)는 상기 겉지(20)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서 그 외측에서 상기 포켓(110)의 접착부(112)가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융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110)은 가로 방향으로 삽입구(113)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착부(112)의 3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융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110)은 가로 방향으로 삽입구(113)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착부(112)의 3개의 면이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융착되고, 상기 포켓(110)의 표면에는 복수의 슬롯(114)이 배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110)은 표면에는 복수의 삽입구(113)가 수직으로 배열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112) 4개의 면은 상기 겉지(20)와 고주파 융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20120029466A 2012-03-22 2012-03-22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296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466A KR101296346B1 (ko) 2012-03-22 2012-03-22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466A KR101296346B1 (ko) 2012-03-22 2012-03-22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346B1 true KR101296346B1 (ko) 2013-08-14

Family

ID=4922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466A KR101296346B1 (ko) 2012-03-22 2012-03-22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3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777Y1 (ko) * 1999-04-24 2002-03-06 현 섭 신 분리 지갑
KR20110045972A (ko) * 2009-10-28 2011-05-04 윤 호 김 휴대용통신기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777Y1 (ko) * 1999-04-24 2002-03-06 현 섭 신 분리 지갑
KR20110045972A (ko) * 2009-10-28 2011-05-04 윤 호 김 휴대용통신기기 보호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3669B2 (en) Accessory units for consumer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EP2823370B1 (en) Accessory units for consumer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KR20140143119A (ko) ?지가 봉합된 휴대단말기용 nfc 안테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52648B1 (ko) 휴대폰 케이스
JP2008043424A (ja) ケースおよびその製法
CN213877365U (zh) 一种便携式卷曲屏显示器
KR101296346B1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499381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1553023B1 (ko) 방수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방수 케이스
US20220382332A1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368626B1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제조금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KR101431767B1 (ko) 봉투형 카드 꽂이가 구성된 커버 및 그 제조방법
CN207835825U (zh) 磁路组装工装
KR101556062B1 (ko) 지갑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140137491A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647611B1 (ko) 지갑형 스마트폰 멀티케이스
CN215826304U (zh) 一种无痕外壳
CN217065604U (zh) 一种手机防护袋
CN216685005U (zh) 一种手机屏幕贴膜定位器
CN212126062U (zh) 一种新型纸板封套
JP2010099908A (ja) ブック型携帯品の製造方法
WO2020154887A1 (zh) 萤幕保护屏
JP3331849B2 (ja) 電子機器の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