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544B1 -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544B1
KR101295544B1 KR1020110007288A KR20110007288A KR101295544B1 KR 101295544 B1 KR101295544 B1 KR 101295544B1 KR 1020110007288 A KR1020110007288 A KR 1020110007288A KR 20110007288 A KR20110007288 A KR 20110007288A KR 101295544 B1 KR101295544 B1 KR 101295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data
information
category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064A (ko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0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544B1/ko
Priority to US13/247,790 priority patent/US20120190346A1/en
Publication of KR20120086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8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a camera
    • A63F2300/109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a camera using 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3Image generating hardwa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8Details of the user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45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mapp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input arrangement into game comm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9Involving elements of the real world in the game world, e.g. measurement in live races, real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객체에 대한 증강 현실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추가 데이터를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객체에 대한 추가 검색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는, 증강 현실 코드를 포함하는 객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와, 증강 현실 코드를 분석하고, 객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 및/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F AUGMENTED REALITY INTEGRATED INFORMATION}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객체에 대한 증강 현실 데이터를 추가 검색 데이터와 함께 제공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제한된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이를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같은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중에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것이 증가하고 있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실세계와 가상 세계를 실시간으로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몰입감과 현실감을 제공하는 기술로써, 실제 관찰하고 있는 사물이나 장소에 대해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기술을 접목시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종래의 스마트폰 단말기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술은, 단말기에 의하여 위치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면, 이후 서버는 부가정보를 파악해 다시 단말기로 증강현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단말기는 전송받은 부가정보를 화면의 카메라 정보에 겹쳐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실세계에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기존의 GPS, 가속도 센서, WIFI 등을 이용하여 구현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서비스는 단말기의 좌표 정보를 서버에 보내주면, 서버로부터 해당 위치의 증강 현실 데이터를 받아 단순히 특정 위치에 보여 주기만 하였다. 즉, 종래 기술은 서버로부터 받은 증강 현실 데이터를 특정 위치에 그대로 표시만 하는 단방향 기능에 한정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증강 현실 데이터 외에 원하는 다른 정보를 보고 싶을 경우에는 기존의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서비스는 어떠한 처리도 지원할 수 없었다.
객체에 대한 증강 현실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추가 데이터를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객체에 대한 추가 검색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는, 증강 현실 코드를 포함하는 객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와, 증강 현실 코드를 분석하고, 객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 및/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방법은, 증강 현실 코드를 포함하는 객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증강 현실 코드를 분석하고, 객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 및/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증강 현실 코드를 포함하는 객체의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으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코드를 분석하고, 객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 및/또는 미리 설정된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증강 현실 코드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추출하여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증강 현실 서버를 포함한다.
객체에 대한 증강 현실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추가 데이터를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객체에 대한 추가 검색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에서 데이터 처리부의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통합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의 가격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통합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의 동영상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통합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반영하여 추가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통합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제품의 관련기사를 검색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 데이터 처리부(130), 통신부(150),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110)는 적어도 1 이상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110)가 획득한 객체의 영상에는 증강 현실 코드가 포함된다. 증강 현실 코드는 증강 현실을 실행시키는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의 코드를 말한다. 영상 획득부(110)는 획득한 증강 현실 코드 정보를 데이터 처리부(130)로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130)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멀티 코어 프로세서가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30)는 영상 획득부(110)로부터 입력된 증강 현실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증강 현실 코드가 포함하는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다. 이 경우, 증강 현실 코드 정보뿐만 아니라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의 위치 정보, 기울기 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30)는 서버로부터 객체의 증강 현실 코드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된 증강 현실 데이터는 영상에 포함된 객체와 매칭되도록 표시될 위치, 각도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130)는 수신된 증강 현실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한다. 이 경우, 카테고리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증강 현실 데이터 생성시 카테고리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RML(Augmented Reality Markup Language) 형식의 증강 현실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 자체적으로 태그, 설명, URL 주소 등으로 구분되는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130)는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 중 일부를 조합하여 새로운 검색 명령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태그 카테고리에는 "A 커피"라는 내용이, 설명 카테고리에는 "비싸지만 먹을만하다."라는 내용이, URL 주소 카테고리에는 "www.ABC.com/124"이라는 내용이 저장된 경우에, "A 커피"와 "www.ABC.com/124"을 조합하여 추가적인 검색 명령어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검색 명령어는 유무선 인터넷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해당 웹 서버의 정보를 획득하여,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130)는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데이터 처리부(130)에서 검색 명령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증강 현실 코드로부터 추출된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증강 현실 코드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조합된 "A 커피"와 "www.ABC.com/124"의 검색 명령어에 사용자의 관심 정보인 "구매"라는 정보를 추가하여 검색 명령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A 커피"에 대한 구매 정보를 해당 웹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관심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관심 정보는 데이터 처리부(130)가 객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기 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증강 현실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한 후에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증강 현실 서버, 검색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증강 현실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로서,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LAN, 위성 통신 모듈과 같은 장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150)는 영상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영상 또는 데이터 처리부(130)에서 인식된 증강 현실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증강 현실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50)는 데이터 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7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영상 획득부(110)와 데이터 처리부(130)의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영상 획득부(110), 데이터 처리부(13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증강 현실 데이터, 검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추출된 데이터 및/또는 미리 설정된 관심 정보를 리스트 형태 또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출력한 후에 검색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된 스마트 폰에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가 적용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모듈에 3차원적으로 표시되고, 그와 더불어 추가적인 검색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GPS 모듈, 가속도 센서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의 좌표정보와 획득된 객체 영상의 각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데이터 처리부(13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30)는 객체 정보 인식부(131), 객체정보 DB(132), 데이터 분석부(133), 증강 현실 데이터 DB(134), 카테고리 DB(136), 관심정보 DB(137), 검색 요구 데이터 생성부(135)를 포함한다. 객체 정보 인식부(131)는 영상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객체의 증강 현실 코드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인식한다. 객체 정보 인식부(131)는 객체의 영상으로부터 고유한 코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해당 증강 현실 코드의 정보를 증강 현실 서버로 요청하게 된다. 객체 정보 인식부(131)는 인식된 객체 정보를 객체 정보 DB에 저장한다. 따라서, 이후에 동일한 객체 정보가 인식되는 경우에는 객체 정보 DB를 참조하여, 그에 해당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33)는 통신부(150)를 통해 증강 현실 서버로부터 수신된 객체 정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증강 현실 데이터 DB(134)에 저장한다. 데이터 분석부(133)는 증강 현실 데이터 DB(134)에 저장된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를 분석한다. 데이터 분석부(133)는 분석된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를 카테고리 DB(136)에 저장하거나, 통신부(150)를 통해 서버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부(133)는 카테고리 정보 판단부(도시되지 않음)와 카테고리 매칭 판단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카테고리 정보 판단부는 수신된 증강 현실 데이터가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데이터는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카테고리 매칭 판단부는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가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에 설정된 카테고리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내부적으로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신된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와 내부의 카테고리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내부의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매칭할 수도 있다.
검색 요구 데이터 생성부(135)는 증강 현실 데이터 중 일부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추출하여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한다. 검색 요구 데이터는 객체와 관련된 인터넷 검색 정보를 뜻한다. 일반적으로는 객체에 대한 1차적인 정보 제공으로 증강 현실 데이터를 제공하지만, 본 발명의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증강 현실 데이터뿐만 아니라 2차적인 정보로 객체와 관련된 인터넷 검색 정보를 추가로 제공한다.
검색 요구 데이터 생성부(135)는 카테고리 정보 판단부의 판단 결과,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증강 현실 데이터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내의 중복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카테고리로부터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증강 현실 데이터가 1) A-105 TV, 2) Korea-Seoul, 3) 2010년 상반기 출시 모델, 4) www.A-105.com와 같은 정보가 추출되고, 내부의 카테고리가 "모델명", "제조사", "제품설명", "홈페이지 주소"와 같다면, 모델명 카테고리에는 1) 정보가, 제품설명 카테고리에는 3) 정보가, 홈페이지 주소 카테고리에는 4) 정보로 분류된다. 이 경우, 검색 요구 데이터 생성부(135)는 각 카테고리의 정보를 사용자 관심정보 카테고리와 조합하여 새로운 검색 명령어를 생성한다.
또한, 검색 요구 데이터 생성부(135)는 카테고리 정보 판단부의 판단 결과,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통신부(150)를 통해 서버에 저장된 해당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카테고리 정보 판단부의 판단 결과,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미리 저장된 증강 현실 데이터와 중복되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부가하여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카테고리 설정과 그에 따른 검색 데이터 생성에 대한 실시예는 도 3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품의 가격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조립형 장난감 박스에는 해당 제품의 증강 현실 코드가 표기되어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코드(500)를 인식하면, 완제품 형태의 가상 비행기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해당 제품의 증강 현실 코드(500)를 분석하여 생성된 카테고리 정보가 제공된다.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상에는 1차적으로 증강 현실 데이터인 완제품 형태의 가상 비행기 이미지가 제공된다. 또한, 추출된 카테고리(510)는 제조사, 제품명, 제품설명과 같은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제조사 카테고리에는 "(주)ABC", 제품명 카테고리에는 "Airplane-159", 제품설명 카테고리에는 "조립형 비행기"라는 정보가 리스트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사용자가 해당 제품의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추가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모델의 가격을 알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카테고리에서 모델명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530)에서는 가격이라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는(530)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제품 카테고리를 선택할 때마다 그와 연동되어 관심 카테고리(530)가 생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검색 요구 데이터는 "Airplane-159"라는 정보와 "가격"이라는 정보가 조합되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검색 요구 데이터를 통신부(150)를 통해 웹 서버로 전송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요구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데이터를 검색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검색 요구 데이터에 대응되는 검색 데이터(550)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해당 제품에 대한 가격을 온라인 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가격 비교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에 더 나아가, 해당 검색 데이터(550)에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온/오프라인 쇼핑몰의 홈페이지 링크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제품을 가장 싼 가격으로 실시간으로 구매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추가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품의 동영상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증강 현실 코드(500)의 영상을 획득한다. 이 경우,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에는 해당 증강 현실 코드(500)에 대응하는 가상의 자동차 모델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 경우, 해당 제조사의 모델은 시기에 따라 다르게 표시될 수 있으며,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의 좌우, 상하 회전에 따라 가상의 자동차 모델의 전후, 좌우, 상하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에는 1차적 정보인 증강 현실 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530)로 검색을 원하는 웹 사이트의 정보가 아이콘 형태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각 아이콘은 인터넷 검색엔진 사이트, 동영상 제공 사이트,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등에 대한 링크를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아이콘의 모양, 순서, 위치, 링크된 웹 페이지 주소 등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단어가 "신차", "ABS사 자동차", "광고"인 경우, 사용자는 "광고"를 제외한 "신차", "ABS사 자동차"라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추가 정보로 "동영상 제공 사이트"를 선택함으로써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검색 요구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데이터(550)인 해당 동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검색 요구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해당 동영상 검색 사이트의 서버로 보냄으로써 검색 데이터(550)를 획득한다. 사용자는 해당 영상을 통해 ABS사의 새로운 자동차 모델이 도로주행 영상이나 모터쇼 영상과 같은 실제 영상을 제공받는다. 따라서, 종래의 증강 현실 데이터처럼 현실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정보를 얻는 것외에, 추가적인 현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반영하여 추가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현재 날씨에 관한 증강 현실 코드(500)를 획득한다.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는 현재 위치 정보와 증강 현실 코드(500)를 이용한 날씨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주도에 있는 사람은 신문에 있는 날씨 관련 증강 현실 코드를 이용하여 제주도의 날씨 정보를 제공받는다.
도 5b를 참조하면,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추가로 요구하는 검색 정보인 관심 카테고리(530)로써, "바다날씨", "산악날씨", "주말날씨", "공항날씨"를 검색할 수 있는 아이콘 형태의 관심 카테고리(530)가 표시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바다 낚시를 가기 위해 바다의 날씨 상태를 알기 위해서 "바다날씨"라는 카테고리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바다날씨"에 대한 추가 정보를 선택하면, "제주도, 날씨, 바다"라는 정보를 조합하여 검색 요구 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검색 요구 데이터는 검색 서버로 전송되고,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데이터(550)를 수신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가 검색 서버로부터 "제주도, 날씨, 바다"와 관련된 검색 데이터(550)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검색 데이터(550)는 기존의 증강 현실 데이터를 대체하거나 증강 현실 데이터에 팝업된 형태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위치한 지역의 날씨 정보 외에 자신의 관심 분야를 검색 요구 데이터에 추가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증강 현실 코드가 제공하는 정보의 제한을 보완하여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제품의 관련기사를 검색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특정 게임에 관한 증강 현실 코드(500)를 획득한다. 이러한 증강 현실 코드(500)는 문자나, 이미지와 같은 형태로 암호화된 정보이다.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는 해당 게임에 관한 증강 현실 데이터가 생성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증강 현실 서버로부터 수신한 증강 현실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분석한 추출된 카테고리(510)가 디스플레이에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starcraft"라는 게임의 증강 현실 데이터를 분석하면 "게임" "블리자드", "관련링크"라는 카테고리 정보가 추출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게임"이라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추가로 게임과 관련된 관심정보 카테고리가 연동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관심 카테고리(530)를 미리 게임과 관련된 관심 카테고리(530) 정보를 우선순위에 따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관심정보로 "서든어택", "스타크래프트", "피파2010"의 순서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관심 카테고리(530)에는 "서든어택"이라는 게임이 최상단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관심 카테고리(530)에서 "스타크래프트"를 선택하면, 추가 정보 리스트로 "관련기사", "가격", "판매점" 등과 같은 리스트가 표시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관련기사"라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그와 관련된 검색 요구 데이터가 생성되어 검색 서버로 전송된다.
도 6c는 검색서버로부터 전송된 검색 데이터를 나타낸다. 검색 요구 데이터는 "게임, 스타크래프트, 관련기사"라는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었고, 그에 대응한 검색 데이터(550)는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과 관련된 기사를 검색한 결과를 포함한다. 이 경우, 관련기사는 최신순으로 표시되며, 각 관련기사에 대한 링크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기사를 선택하고,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관련 기사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타크래프트의 증강 현실 코드를 통해 제공되는 제한적인 정보 외에 자신이 원하는 맞춤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방법은 먼저 증강 현실 코드를 포함하는 객체의 영상을 획득한다(810). 증강 현실 코드는 막대형 바코드, QR(Quick Response) 코드 등을 포함하며, 문자, 기호, 이미지를 이용하여 고유의 정보를 암호화한 것이다. 다음으로, 객체 영상으로부터 증강 현실 코드를 인식한다(820). 객체 영상에 포함된 증강 현실 코드를 파악하여 해당 정보를 증강 현실 서버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증강 현실 서버로부터 객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추출한다(830). 이 경우, 수신된 증강 현실 데이터는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추출된 데이터에 대해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추출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한다(840). 이 경우, 추출된 데이터 중 일부 데이터만을 조합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정보를 추가하여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생성된 검색 요구 데이터는 검색 서버로 전송되고, 그에 대응하는 검색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검색 서버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서버 외에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된 웹 서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증강 현실 서버로부터 수신된 증강 현실 데이터와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된 검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850). 이 경우, 증강 현실 데이터를 먼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그와 함께 추가 검색 정보에 대응한 검색 데이터를 이후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증강 현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전에 검색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증강 현실 데이터와 검색 데이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시스템은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와 증강 현실 서버(200), 검색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한 휴대폰, 태블릿 PC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다. 한편, 증강 현실 서버(200)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증강 현실 코드를 수신하여, 그와 대응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증강 현실 서버(200)는 제공하는 서비스마다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검색 서버(300)는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된 서버로써, 일반적으로 검색 엔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증강 현실 통합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한 서버도 포함한다. 검색 서버(300)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검색 요구 데이터를 분석하여 내부 DB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다른 웹 서버의 DB로부터 대응하는 검색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 추출된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110 : 영상 획득부
130 : 데이터 처리부
131 : 객체 정보 인식부
132 : 객체정보 DB
133 : 데이터 분석부
134 : 증강 현실 데이터 DB
135 : 검색 요구 데이터 생성부
136 : 카테고리 DB
137 : 관심정보 DB
150 : 통신부
170 : 디스플레이부
300 : 검색 서버
500 : 증강 현실 코드
510 : 추출된 카테고리
530 : 관심 카테고리
550 : 검색 데이터

Claims (20)

  1. 증강 현실 코드를 포함하는 객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및
    상기 증강 현실 코드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 및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검색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는,
    증강 현실 서버, 검색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정보는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추출하기 전에 미리 설정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정보는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추출한 후에 설정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실시간으로 추가 검색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 및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함께 이용하여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증강 현실 데이터, 검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객체의 증강 현실 코드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인식하는 객체 정보 인식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증강 현실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객체 정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 중 일부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색 요구 데이터 생성부;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 및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리스트 형태 또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한 후, 상기 검색 데이터를 출력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분석된 증강현실 데이터의 카데고리 정보를 카테고리 DB에 저장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저장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카테고리 정보 판단부; 및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가 상기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에 설정된 카테고리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카테고리 매칭 판단부;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구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내에 미리 저장된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와 중복되는 데이터가 포함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구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와 중복되는 데이터가 포함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구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내에 미리 저장된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와 중복되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부가하여, 상기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15. 증강 현실 코드를 포함하는 객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 현실 코드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 및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검색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하는 단계에서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객체의 증강 현실 코드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통신부를 통해 증강 현실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객체 정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 중 일부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가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코드, 상기 검색 요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 및 검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방법.
  19. 증강 현실 코드를 포함하는 객체의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증강 현실 코드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 및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검색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증강 현실 코드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증강 현실 서버;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검색 요구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검색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검색 서버;
    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20110007288A 2011-01-25 2011-01-25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295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288A KR101295544B1 (ko) 2011-01-25 2011-01-25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13/247,790 US20120190346A1 (en) 2011-01-25 2011-09-28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ntegrated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288A KR101295544B1 (ko) 2011-01-25 2011-01-25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064A KR20120086064A (ko) 2012-08-02
KR101295544B1 true KR101295544B1 (ko) 2013-08-16

Family

ID=4654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288A KR101295544B1 (ko) 2011-01-25 2011-01-25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90346A1 (ko)
KR (1) KR101295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12136A1 (en) * 2013-03-07 2016-01-14 Eyeducation A.Y. LTD Simultaneous Local and Cloud Searching System and Method
US9547917B2 (en) 2013-03-14 2017-01-17 Paypay, Inc. Using augmented reality to determine information
KR101380854B1 (ko) * 2013-03-21 2014-04-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웹 정보구조에 기반한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CN104252428B (zh) * 2013-06-28 2017-12-29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设备识别方法及设备
KR101440766B1 (ko) * 2013-08-09 2014-09-18 디에스글로벌 (주)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KR101452359B1 (ko) * 2014-02-21 2014-10-23 주식회사 베이스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KR101561267B1 (ko) * 2014-12-10 2015-10-26 (주)한스 증강현실을 접목한 제품과 다양한 추가기능이 탑재된 통합 애플리케이션시스템
CN106210790A (zh) * 2015-04-29 2016-12-07 上海璇音实业有限公司 增强实景影像信息播放方法及系统
DE102016118647B4 (de) * 2016-09-30 2018-12-06 Deutsche Telekom Ag Augmented-Reality-Kommunikationssystem und Augmented-Reality-Interaktionsvorrichtung
KR102418992B1 (ko) * 2017-11-23 2022-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428A (ko) * 2008-08-19 2010-03-02 광주과학기술원 혼합 공간에 공존하는 마커들을 관리하는 마커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0120901A1 (en) * 2009-04-14 2010-10-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recognition using mobile devices
KR20110012510A (ko) * 2009-07-30 2011-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301197A (ja) * 2008-06-11 2009-12-24 Fujifilm Corp プレビュー提供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付対象物提供装置
US20100257252A1 (en) * 2009-04-01 2010-10-07 Microsoft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 Cloud Computing
US8682879B2 (en) * 2010-04-16 2014-03-25 Bizmodeline Co., Ltd. Marker search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service
US20120092329A1 (en) * 2010-10-13 2012-04-19 Qualcomm Incorporated Text-based 3d augmented reality
KR101343609B1 (ko) * 2011-08-24 2014-02-07 주식회사 팬택 증강 현실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자동 추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428A (ko) * 2008-08-19 2010-03-02 광주과학기술원 혼합 공간에 공존하는 마커들을 관리하는 마커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0120901A1 (en) * 2009-04-14 2010-10-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recognition using mobile devices
KR20110012510A (ko) * 2009-07-30 2011-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90346A1 (en) 2012-07-26
KR20120086064A (ko)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544B1 (ko)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11127210B2 (en) Touch and social cues as inputs into a computer
US201702017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363559B1 (ko)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증강 현실 제공 방법
JP2020513620A (ja) 拡張現実ベースのオフライン対話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30174213A1 (en) Implicit sharing and privacy control through physical behaviors using sensor-rich devices
KR102014761B1 (ko) 공간객체 검색결과 정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독취가능 저장장치
US20190012717A1 (en) App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sales information of offline product in augmented reality
US110235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ap information and storage medium
CN111768479B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20087024A (ko) 증강 현실 편집 장치
KR101545138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단말기
KR102125314B1 (ko)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JP6600674B2 (ja) 移動オブジェクト仮想情報遠隔管理方法及び移動オブジェクト仮想情報遠隔管理システム
US20170034586A1 (en) System for content matching and triggering for reality-virtuality continuum-based environment and methods thereof
CN113867875A (zh) 标记对象的编辑及显示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
CN110889006A (zh) 推荐方法及装置
KR20190058999A (ko) 증강현실 기반의 프로모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8290A (ko) 의류 착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20376B1 (ko) 고도별 드론데이터 활용 및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93263A (ko) 개인 컨텐츠에 기반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개인 컨텐츠에 기반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0733491B2 (en) Fingerprint-based experience generation
JP7281012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21090715A1 (ja) 情報提供サービス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サービス用情報配信装置
CN113570729B (zh) 标记生成方法及装置、对象展示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