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517B1 - Composite fuctional transmission line - Google Patents

Composite fuctional transmission 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517B1
KR101295517B1 KR1020120091974A KR20120091974A KR101295517B1 KR 101295517 B1 KR101295517 B1 KR 101295517B1 KR 1020120091974 A KR1020120091974 A KR 1020120091974A KR 20120091974 A KR20120091974 A KR 20120091974A KR 101295517 B1 KR101295517 B1 KR 101295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mission
substrate
transmission line
multi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용-치앙 추
Original Assignee
플루이디테크 아이피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루이디테크 아이피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플루이디테크 아이피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2009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5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composite functional transmission line is provided to transmit data bi-directionally among a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or to transmit data bi-directionally by being connected to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CONSTITUTION: Each transmitting unit (14,16) includes two electric connection terminals. The transmission unit is connected to a substrate (12) through one of the two electric connection terminals. The transmission unit is connected to one of electronic devices (2,4) through the other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The transmission unit extends one of a number of transmission ports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An extension unit (18) is installed on the substrate,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through the substrate, and transmits bidirectional data with at least one of the transmission units. [Reference numerals] (12) Substrate; (14,16) Transmitting unit; (18) Extension unit; (2,4) Electronic device; (22,42) Port

Description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COMPOSITE FUCTIONAL TRANSMISSION LINE}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COMPOSITE FUCTIONAL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전자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이들 전자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매체로서 사용되는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used as a medium for transmitting data bidirectionally between these electronic devices.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용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수의 전자장치를 소유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에는 사진, 텍스트, 음악, 영화 등과 같은 데이터가 파일형태로 포함하게 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전자장치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공통파일로서 공유할 필요성이 발생할 수 있다. In general, most users own a larg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and the like. Such electronic devices include data such as photos, texts, music, movies, and the like in a file format, and a user may need to share data included in such electronic devices as a common file.

또한, 사용자는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전자장치에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모듈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유선 통신전송모듈을 사용예로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유선통신모듈에는 피메일(female) 커텍터가 함께 수반되며,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2개의 전자장치 사이에서 파일을 전송하기 전에, 먼저 추가의 메일(male) 커넥터가 설치된 전송 라인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In addition, a user may install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odule in a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a file. Here, for example, when the wired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ule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us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is usually accompanied by a female connector, so that a user can transfer a file between two electronic devices. First, you must have a transmission line with an additional male connector.

그러나, 종래의 전송 라인은 전자장치 사이에서 단지 데이터(또는 전력)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만을 제공하였다. 사용자는 다기능 전송 라인을 원할 수도 있으며(이를테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쉬 메모리 기능 또는 메모리 카드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 리더 기능 등을 갖춘 데이터 전송 라인), 이러한 다기능 전송 라인은 전송 라인의 응용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래쉬 메모리 또는 카드 리더 등을 불편하게 별도로 마련하여 동반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시켜준다.However, conventional transmission lines have only provided the ability to transfer data (or power) between electronics. The user may want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such as a data transmission line with a flash memory function for storing data or a card reader function for reading a memory card), and such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may not be useful for its application and efficiency. Not only can it be improved, it also solves the problem of having to separately prepare a flash memory or a card reader.

본 발명의 주목적은 다수의 전자장치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매체로서 사용되어 전자장치들과 직접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that is used as a medium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can perform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directly with the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장형 확장부가 설치되어 이 확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상기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in which a built-in expansion unit is installed to transmit data stored in the expansion unit to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데이터를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카드 리더와 같이 메모리 카드 판독 기능을 갖는 확장부가 설치된 상기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provided with an extension having a memory card reading function, such as a card reader that reads data from the memory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고, NAND 플래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와 같은 내장형 메모리로서의 확장부에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직접 얻을 수 있어, 온-더-고우 효과(on-the-go effect)를 달성할 수 있는 상기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trieve data from an electronic device, back up data to an extension as an internal memory such as a NAND flash, a solid state drive (SSD), and any of the electronic devices. It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that can obtain data directly from one, and achieve an on-the-go effec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속부를 사용하여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고리형 구조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송 라인의 운반 편의성을 제공하는 상기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which provides a user with convenience of transporting a transmission line by forming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in an annular structure using a binding portion.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전자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이들 전자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매체로서 사용되는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제공하며, 상기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은 기판과, 다수의 전송부 및 확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전송부는 2개의 전기접속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2개의 전기접속단자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전송부가 상기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전기접속단자 중 나머지 다른 하나를 통해 상기 전송부가 상기 전자장치 중 하나에 연결되며, 다수의 전송 포트 중 하나를 기판의 외측으로 연장시키도록 기능한다. 상기 확장부는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을 통해 상기 전송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송부 중 최소한 하나와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To achieve the above and other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used as a medium for transmitting data bidirectionally between these electronic devices. The rhomboid transmission line includes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transmissions and extensions. Wherein each transmission unit has two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the transmis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via one of the two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and the transmis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other of the two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And to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ports outward of the substrate. The expansion unit is installed on the substrate,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through the substrate, and performs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ransmission units.

종래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은 다수의 전자장치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전자장치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Compared with the prior art,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transmit data bidirectionally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or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to transmit data bidirectionally.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위해 선택되는 확장부(예를 들면, 외부 포트, 내장형 메모리 또는 메모리 카드 액세서 등)를 기반으로 하여, 전송 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 또는 검색하는 기능은 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storing or retrieving data via the transmission line is based on an extension selected for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e.g., external port, internal memory or memory card accessor, etc.). Can be.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송 포트들 사이에서 순차적, 연속적인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ata can be transmitted in sequential and continuous form between transmission port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송 포트들 사이에서의 접속통로를 전환시키는 스위칭부와, 루트 스위칭 테이블을 제공하여, 이 루트 스위칭 테이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전송 포트들 사이에서의 접속통로를 전환시킬 수 있으며, 루트 스위칭 테이블은 전송 포트들 사이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결정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s, and a route switching tabl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witch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s in accordance with this route switching table The root switching table may also be used to determine data to be transmitted between transmission por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예시한 개략적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예시한 개략적 블럭도;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스위칭부의 일 스위치를 예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스위칭부의 또 다른 스위치를 예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예시한 개략적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예시한 개략적 사시도.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one switch of the switching unit illustrated in FIG. 2;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switch of the switching unit illustrated in FIG. 2;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구성적 특징 및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이 관련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다.The objects, structural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예시한 개략적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10)은 다수의 전자장치(2,4)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매체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10)은 전자장치(2,4)에 대해 직접적으로 데이터DA의 양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자장치(2,4)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실시예에서 바람직한 것은, 그 중에서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파이어와이어(FireWire: IEEE 1394), 범용직렬버스(USB:Universal Serial Bus), 마이크로 범용직렬버스(Micro USB), 미니 범용직렬버스(Mini USB) 및 애플 30-핀의 사양과 같은 통신 포트(22, 42)에 전자장치(2,4)가 연결가능한 것(또는 적용가능한것)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10 is used as a medium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 and 4.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10 performs bidirectional transmission of the data DA directly to the electronic devices 2 and 4. Here,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a desktop computer may be used as the electronic devices 2 and 4, and in this embodiment, a preferred one is a smart phone, and on the other hand, FireWire (IEEE 1394). ), Communication devices (22, 42) such as the Universal Serial Bus (USB), Micro USB, Mini USB, and Apple 30-pin specifications. 2,4) are connectable (or applicable).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10)은 기판(12), 다수의 전송부(14, 16) 및 확장부(18)를 포함한다.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10 includes a substrate 12, a plurality of transmissions 14, 16 and an expansion 18.

기판(12)으로는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인쇄회로기판에는 확장부(18)가 그 위에 설치되는 동시에, 전송부(14, 16)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10)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기판(12), 전송부(14, 16) 및 확장부(18)가 수용된다.A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used as the substrate 12, in which an expansion unit 18 is mounted thereon, and the transmission units 14 and 16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10 includes a housing (not shown) in which an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and the substrate 12, the transmitting units 14 and 16, and the expansion unit 18 are inclu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housing. Is accepted.

각각의 전송부(14, 16)는 전기접속단자(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이 전기접속단자 중 하나를 통해 전송부(14, 16)가 기판(12)에 연결되고, 전기접속단자 중 나머지 다른 하나를 통해 전송부(14, 16)가 전자장치(2,4)에 연결된다. 전송부(14, 16)는 파이어와이어(FireWire: IEEE 1394), 범용직렬버스(USB:Universal Serial Bus), 마이크로 범용직렬버스(Micro USB), 미니 범용직렬버스(Mini USB) 및 애플 30-핀의 사양 등과 같은 통신 포트 사양에 적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전자장치(2,4)에서의 그 포트(22, 42)의 컨피규레이션에 대해 전송부(14, 16)가 적용가능하도록 맞추어져 있다.Each transmission unit 14, 16 has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The transmission units 14 and 16 are connected to the substrate 12 through on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and the transmission units 14 and 16 ar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s 2 and 4 through the other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do. Transmitters 14 and 16 include FireWire (IEEE 1394), Universal Serial Bus (USB), Micro Universal Serial Bus (Micro USB), Mini Universal Serial Bus (Mini USB), and Apple 30-pin. It is configured to be applicable to a communication port specification, such as the specification of the specification, so that the transmission unit 14, 16 is adapted to be applicabl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 22, 42 in the electronic device (2, 4) have.

확장부(18)는 기판(12) 상에 설치되는 한편 이 기판(12)을 통해 전송부(14, 16)에 연결된다. 여기서 확장부(18)로는 외부 포트, 내장형 메모리 및/또는 메모리 카드 액세서(accessor)가 사용될 수 있다. The extension 18 is mounted on the substrate 12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s 14, 16 via the substrate 12. The expansion unit 18 may be an external port, a built-in memory and / or a memory card accessor (accessor).

예를 들어, 확장부(18)가 외부 포트이면, 카드 리더 또는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확장부(18)가 외부 포트를 통해 접속될 수 있고; 확장부(18)가 내장형 메모리이면, 이 확장부(18)는 데이터DA를 직접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장형 메모리로는 NAND 플래쉬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State Driv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확장부(18)가 메모리 카드 액세서(메모리 카드 액세서는 또한 카드 리더로도 알려져 있다)이면,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10)은 메모리 카드 액세서에 의해 직접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다.For example, if expansion 18 is an external port, expansion 18, such as a card reader or flash memory,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external port; If the expansion unit 18 is a built-in memory, this expansion unit 18 can directly store the data DA. For example, the internal memory may be a NAND flash or a solid-state drive (SSD) or the like; Or if the expansion unit 18 is a memory card accessor (a memory card accessor is also known as a card reader),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10 can access data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directly by the memory card accessor.

따라서, 데이터DA는 확장부(18) 및/또는 전송부(14, 16)를 통해 양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ata DA may be transmitted in both directions through the expansion unit 18 and / or the transmission units 14 and 16.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복합기능형 전송라인을 예시한 개략적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10')은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판(12), 전송부(14,16), 확장부(18) 외에도 추가로 스위칭부(20)를 더 포함한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10 ′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20 in addition to the substrate 12, the transmission units 14 and 16, and the expansion unit 18 as described in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It further includes.

이 스위칭부(20)는 기판(12) 상에 설치되는 한편 전송부(14, 16) 및 확장부(18)에 연결된다. 또한, 스위칭부(20)는 다수의 전송 포트(202)를 가진다. This switching section 20 is installed on the substrate 12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sections 14, 16 and the expansion section 18. 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20 ha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orts 202.

도 3은 도 2에 예시한 스위칭부(20)에서 그 스위치를 나타낸 개략적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본 실시예로서의 스위칭부(20)는 3개의 전송 포트(202a, 202b, 202c)를 가진다. 여기서, 스위칭부(20)는 이들 전송 포트(202a, 202b, 202c) 사이에 연결되는 접속통로CP를 가지고 있어, 이 접속통로CP를 따라서 전송 포트(202a, 202b, 202c) 사이를 양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데이터DA가 전송될 수 있다. 접촉통로CP는 제1접속통로CP1와 제2접속통로CP2로 구성된다.FIG.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switch in the switching unit 20 illustrated in FIG. 2. Referring to Fig. 3, the switching unit 20 as the present preferred embodiment has three transmission ports 202a, 202b, and 202c. Here, the switching unit 20 has a connection path CP connected between these transmission ports 202a, 202b, and 202c, and moves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s 202a, 202b, and 202c in both directions along this connection path CP. Data DA can be transmitted. The contact path CP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ion path CP1 and a second connection path CP2.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송 포트(202a)는 전송부(14)에 연결되고, 다른 전송 포트(202b)는 전송부(16)에 연결되며, 나머지 다른 전송 포트(202c)는 확장부(18)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전송부(14, 16)에 접속할 필요가 있을 경우, 스위칭부(20)는 제1접속통로CP1를 전송포트(202a)에, 제2접속통로CP2를 전송 포트(202b)에 지정하며, 그 결과 전송부(14, 16)가 전기접속용 접속통로CP를 이용하여 데이터DA를 양방향으로 전송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port 202a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14, the other transmission port 202b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16, the other other transmission port 202c is the expansion unit 18 Is connected to.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connect to the transmission units 14 and 16, the switching unit 20 designates the first connection path CP1 to the transmission port 20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h CP2 to the transmission port 202b. As a result, the transmission units 14 and 16 can transmit the data DA in both directions by using the connection passage CP for electrical connection.

도 4는 도 2에 예시한 스위칭부(20)에서 또 다른 스위치를 나타낸 개략적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송부(14)를 확장부(18)에 접속할 필요가 있을 경우, 스위칭부(20)는 제1접속통로CP1를 전송 포트(202a)에, 제3접속통로CP3를 전송 포트(202c)에 지정하며, 그 결과 전송부(14)와 확장부(18)가 전기적 접속통로CP를 이용하여 데이터DA를 양방향으로 전송시킬 수 있다.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switch in the switching unit 20 illustrated in FIG. 2. Referring to FIG. 4, when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transmission unit 14 to the expansion unit 18, the switching unit 20 transmits the first connection path CP1 to the transmission port 202a and the third connection path CP3. Port 202c, and as a result, the transmission unit 14 and the expansion unit 18 can transmit the data DA in both directions us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ssage CP.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복합기능형 전송라인을 나타낸 개략적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본실시예의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10")은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판(12), 전송부(14,16), 확장부(18) 및 스위칭부(20) 외에도, 추가로 제어부(24), 트리거부(26) 및 표시부(28)를 더 포함한다.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10 " of the present preferred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12, a transfer unit 14, 16, an expansion unit 18, and a switching unit (as described in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In addition to 20),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24, a trigger unit 26, and a display unit 28.

여기서, 제어부(24)는 스위칭부(2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어부(24)가 제어 신호CS를 발생시켜서 스위칭부(20)의 전송 포트(202)들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통로(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결정한다.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4)는 루트 스위칭 테이블(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미리 저장할 수 있어 전송부(14, 16)와 확장부(18)의 접속상태가 동시에 발생할 때, 루트 스위칭 테이블에 따라서 제어부(24)는 전송 포트(202) 사이의 접속통로CP를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부(14, 16)와 확장부(18)가 동시에 접속될 때, 루트 스위칭 테이블은 제어부(24)가 접속통로의 우선권을 가지고 제어신호CS를 어떻게 제어하는가를 기록한다. Here, the control unit 24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20, the control unit 24 generates a control signal CS to connect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 202 of the switching unit 20 (in the drawing) Not shown). In the present preferred embodiment, the control section 24 can store the route switching table (not shown) in advance so that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transmission units 14 and 16 and the expansion unit 18 occur at the same time, the route switch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able, the control unit 24 can automatically switch the connection path CP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s 202. In this case, when the transmission units 14 and 16 and the expansion unit 18 are connected at the same time, the route switching table records how the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control signal CS with priority of the connection passage.

제어부(24)에는 트리거부(26)가 연결되고, 이 트리거부(26)는 트리거 신호TS를 생성하여 제어부(24)를 구동하며, 이에 따라서 스위칭부(20)의 전송 포트(202) 사이에서 접속통로CP의 전환이 실행된다. 예를 들면, 트리거부(26)로는 프레스 버튼, 스위치 노브(switch knob) 또는 터치 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트리거부(26)로부터 트리거 신호TS를 발생시킨 이후에 제어부(24)는 트리거 신호TS에 따라서 접속통로의 전환을 실행한다. The trigger unit 26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4, which generates the trigger signal TS to drive the control unit 24, and thus,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s 202 of the switching unit 20. Switching of the access path CP is executed. For example, a press button, a switch knob or a touch switch may be used as the trigger unit 26. After the user generates the trigger signal TS from the trigger section 26, the control section 24 executes switching of the connection path in accordance with the trigger signal TS.

제어부(24)에는 또한 표시부(28)가 연결되며, 이 표시부(28)는 확장부(18), 스위칭부(14) 및 전송부(14, 16) 사이에서 접속통로CP를 따라서 실행되는 동작을 표시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표시부(28)는 기판(12) 및/또는 전송부(14, 16) 상에 설치되어 전송부(14, 16)와 확장부(18) 사이의 접속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4 is also connected with a display unit 28, which displays the operation performed along the connection path CP between the expansion unit 18, the switching unit 14, and the transmission units 14, 16. Display. A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display unit 28 is installed on the substrate 12 and / or the transfer unit 14, 16 to display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transfer unit 14, 16 and the expansion unit 18. It may be.

도 6은 바람직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10''')은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판(12), 전송부(14,16), 확장부(18) 및 스위칭부(20) 외에도 추가로 다수의 결속부(30)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2), 확장부(18) 및 스위칭부(20)는 하우징(32)의 수용공간 내에 설치된다.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10 ′ ″ includes a substrate 12, a transmission unit 14, 16, an expansion unit 18, and a switching unit 20 as described in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binding unit (30).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 substrate 12, the expansion portion 18 and the switching portion 20 ar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32.

결속부(30)는 전송부(14,16)에 각각 설치되며, 전자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접속단자(142, 162)가 결속부(30)와 함께 결속되어 결과적으로 전송부(14, 16)를 고정하면서 고리형 바디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전송 라인을 편리하게 착용 또는 지니고 다니면서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속부(30)로는 자석, 버클, 또는 슬롯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binding unit 30 is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unit 14 and 16,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142 and 162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are bound together with the binding unit 30, resulting in the transmission unit 14 and 16. While forming the annular body while fixing, the user can conveniently carry or carry the transmission line. For example, the binding unit 30 may be a magnet, buckle, slot or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은 다수의 전자장치들 간에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전자장치들 중 어느 하나와 접속하여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can also perform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y connecting to any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을 위해 선택되는 확장부(외부 포트, 내장형 메모리 또는 메모리 카드 액세서 등과 같은 장치)를 기반으로 하여, 이러한 전송 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 또는 검색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Based on extensions (devices such as external ports, internal memory or memory card accessors, etc.) selected for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s, the ability to store or retrieve data via these transmission lines can be achiev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순차적으로 연속되는 형태로 전송 포트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data is transmitted between transmission ports in a sequential form.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칭부는 전송 포트들 간의 접속통로를 전환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루트 스위칭 테이블이 제공되므로, 이러한 루트 스위칭 테이블에 따라서,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은 전송 포트들 사이의 접속통로를 자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루트 스위칭 테이블은 전송포트들 간에 전송될 데이터를 결정 또는 판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paths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s, and since the route switching table is provided,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paths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s according to the route switching table. You can switch automatically. The route switching table can also be used to determine or determine data to be transmitted between transport por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특정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그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도 당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2, 4. 전자장치,
10. 10', 10", 10'''.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12. 기판, 14, 16. 전송부, 18. 확장부,
20. 스위칭부, 22. 포트, 24. 제어부,
26. 트리거부, 28. 표시부, 30. 결속부
32. 하우징, 42. 포트, 142, 146. 접속단자,
202. 202a, 202b, 202c. 전송 포트,
CP. 접속통로, CP1. 제1접속통로, CP2. 제2접속통로
2, 4. electronics,
10. 10 ', 10'',10'''.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12. substrate, 14, 16. transmission, 18. extension,
20. Switch, 22. Port, 24. Control,
26.Trigger, 28.Display, 30.Binding
32. Housing, 42. Port, 142, 146. Connection terminal,
202. 202a, 202b, 202c. Transmission port,
CP. Access passage, CP1. First access passage, CP2. Second access passage

Claims (13)

다수의 전자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이들 전자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매체로서 사용되는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으로서, 상기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은, 기판과, 다수의 전송부와,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전송부에서 각각의 전송부는 2개의 전기접속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2개의 전기접속단자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전송부가 상기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전기접속단자 중 나머지 다른 하나를 통해 상기 전송부가 상기 전자장치 중 하나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전송부는 다수의 전송 포트 중 하나를 기판의 외측으로 연장시키도록 기능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을 통해 상기 전송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송부 중 최소한 하나와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connected directly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used as a medium for bidirectionally transferring data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th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includes a substrate, a plurality of transmission units, and an expansion unit. And:
In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units, each transmission unit has two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and the transmis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through one of the two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and through the other of the two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The transmission unit is connected to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and the transmission unit functions to extend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ports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The expansion unit is installed on the substrate,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through the substrate, and performs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ransmission units;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전송부 및 상기 확장부에 연결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다수의 전송 포트를 포함하는 동시에 이들 전송 포드들 사이에 형성된 접속통로를 포함하여, 상기 접속통로를 따라서, 데이터가 상기 전송 포트들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는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witching part installed on the substrate and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part and the expansion part, wherein the switch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orts and a connection path formed between these transmission pods. Along the path a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in which data can be transferred in both directions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스위칭부의 전송 포트들 사이에서 접속통로를 결정하는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The method of claim 2,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determine a connection path between transmission ports of the switching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부와 상기 확장부 사이의 접속상태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전송 포트들 사이의 접속통로를 전환시키는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control unit switches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s by automaticall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a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transmission unit and the expans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저장된 루트 스위칭 테이블(route switching tab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와 확장부의 접속 상태가 동시에 발생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루트 스위칭 테이블에 따라서 상기 전송 포트들 사이에서의 접속통로를 전환시키는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ler further includes a route switching table stored in the controller, and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transmitter and the expansion unit occurs simultaneously, the controller switches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s according to the route switching table.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트리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부는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하여금 상기 전송 포트들 사이에서의 접속 통로를 전환시키는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The method of claim 3,
And a trigger unit coupled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trigger unit generates a trigger signal to drive the control unit, thereby causing the switching unit to switch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는 프레스 버튼, 스위치 노브(knob) 및 터치 스위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rigger un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press button, a switch knob, and a touch switc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접속통로를 따라서 상기 확장부,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전송부 사이에서 실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an operation executed between the expansion unit, the switching unit, and the transmission unit along the connection pat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판과 상기 전송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에 설치되는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substrate and the transf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외부 포트, 내장형 메모리, 메모리 카드 엑세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expansion unit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external port, internal memory, memory card accessor.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파이어와이어(FireWire: IEEE 1394), 범용직렬버스(USB:Universal Serial Bus), 마이크로 범용직렬버스(Micro USB), 미니 범용직렬버스(Mini USB) 및 애플 30-핀의 사양 중에서 선택되는 통신 포트 사양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mission unit is selected from the specifications of FireWire (IEEE 1394), Universal Serial Bus (USB), Micro Universal Serial Bus (Micro USB), Mini Universal Serial Bus (Mini USB), and Apple 30-pin.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line configured to adapt to communication port specifica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결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가 상기 전자장치에 연결된 전기접속단자를 결속하는 것에 의하여 고리형 바디가 형성되는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lurality of coupling unit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unit, wherein the annular body is formed by bin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자석, 버클, 슬롯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복합기능형 전송 라인.
The method of claim 12,
The binding unit is any one of a magnet, buckle, slot selected from the multi-function transmission line.
KR1020120091974A 2012-08-22 2012-08-22 Composite fuctional transmission line KR101295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974A KR101295517B1 (en) 2012-08-22 2012-08-22 Composite fuctional transmission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974A KR101295517B1 (en) 2012-08-22 2012-08-22 Composite fuctional transmission 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517B1 true KR101295517B1 (en) 2013-08-09

Family

ID=4922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974A KR101295517B1 (en) 2012-08-22 2012-08-22 Composite fuctional transmission 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51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303A (en) * 2005-05-19 2006-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necting mobile phone and peripheral unit
JP2007294208A (en) * 2006-04-25 2007-11-08 Victor Co Of Japan Ltd Cable connection system between electronic equipment
KR20080109263A (en) * 2007-06-12 2008-12-17 하나 마이크론(주)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303A (en) * 2005-05-19 2006-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necting mobile phone and peripheral unit
JP2007294208A (en) * 2006-04-25 2007-11-08 Victor Co Of Japan Ltd Cable connection system between electronic equipment
KR20080109263A (en) * 2007-06-12 2008-12-17 하나 마이크론(주)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3420B1 (en) Adapter for exchanging data and transmitting power between PC and portable device
JP2008546066A (en) Audio / USB signal multiplex cable, play / storage device and multiplex transmission play / storage system
WO2015106470A1 (en) Mobile power supply that can carry charging conversion adapter and supports two-dimensional bar code identification
US8621258B2 (en) Device for operating two memory cards in two sockets with different pin arrangements
US20090137137A1 (en) Portable memory device supporting a plurality of interfaces
US20130175859A1 (en) Network apparatus with common power interface
US7066392B1 (en) Multimedia connector reader device
CN204155267U (en) A kind of OTG usb circuit
US8463978B2 (en) Computer with ability to charge electronic device in power off state and USB interface module thereof
CN103455465A (en) USB (universal serial bus) device
WO2005031583A1 (en) Dual digital data connector
CN109478174B (en) Switch for reversible interface
KR101295517B1 (en) Composite fuctional transmission line
US20140152102A1 (en) Switching device
US8601180B1 (en) Composite functional transmission line
EP2383860A2 (en) Rapid charging apparatus
EP2687939A1 (en) Composite functional transmission line
TWM572498U (en) Wireless storage device of short distance, high speed transmission
CN103778094A (en) Data transmission device for use between mobile storage devices
US20120071086A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separable communications elements and electronic system having the same
KR20150069659A (en) Usb gender
CN103531978A (en) Composite functional transmission line
US9465765B2 (en) All-in-one SATA interface storage device
EP2790353A1 (en) Switching Device
JP2014021560A (en) Cable having composite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