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720B1 -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via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via terminal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720B1
KR101291720B1 KR1020120049493A KR20120049493A KR101291720B1 KR 101291720 B1 KR101291720 B1 KR 101291720B1 KR 1020120049493 A KR1020120049493 A KR 1020120049493A KR 20120049493 A KR20120049493 A KR 20120049493A KR 101291720 B1 KR101291720 B1 KR 101291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user terminal
based service
identification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우정
김순연
원영진
Original Assignee
(주)헤르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헤르메시스 filed Critical (주)헤르메시스
Priority to KR102012004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7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7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a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through a terminal, and a supply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manag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n identifying ID which is not the individual information of an actual user and which a user arbitrarily designates. CONSTITUTION: A first user terminal (10) generates an identifying ID which represents the first user terminal. The first user terminal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identifying ID. A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20) stores and manag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ying ID. A second user terminal (30) requests a location based service to the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based on the identifying ID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he location based service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Description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VIA TERMINAL AND METHOD THEREOF}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VIA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의 위치정보 보호에 충실한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rver, a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hrough a terminal faithful to the protec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dividu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최근에 휴대폰, PDA 등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화와 함께 이를 통한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LBS)의 제공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위치기반 서비스란,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획득한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위치추적서비스, 내 위치 조회, 안전 및 보완 서비스, 주변지역 정보 제공서비스, 교통 및 항법 응용 서비스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Recently, with the evolution of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the provision of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LBS) through them is increasing. Location-based service is a service system that provides various services to user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GPS, etc. Location tracking service, my location inquiry, safety and complementary service, For example, local information services, traffic and navigation applications.

위치기반 서비스의 발달에 힘입어 이와 관련한 기술도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등록번호 제10-0837758호는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바 있고, 해외에서는 위치기반 SNS인 포스퀘어(Foursquare), 실시간 위치추적 모바일서비스인 구글 래티튜드(Google latitude) 등 개인의 위치와 연계된 각종 서비스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location-based services, various related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Registration No. 10-0837758 has proposed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method based on an electronic map, and overseas, Foursquare, a location-based SNS, Google Latitude, a real-time location tracking mobile service, and the like. Various services related to individual's location are actively progressing.

이와 같은 위치기반 서비스는 유비쿼터스를 실현하기 위한 기본적인 공간 서비스로서 높게 평가받고 있으나,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소지 또한 많다. 즉, 위치정보의 충실한 보호를 위해서는 서비스 수요자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에게도 개인의 위치정보가 노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히, 각종 보안범죄가 난무하는 현실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대부분 별도의 회원가입, 본인 인증 등의 절차가 추가로 필요하고,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개인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저장관리하기 때문에 개인의 위치정보가 타인에게 비의도적으로 노출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위치정보 보호법 등을 제정하여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각종 법적 제한을 가하고 있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Such a location-based service is highly regarded as a basic space service for realizing ubiquitous, but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of violating personal privacy. That is, in order to faithfully protect the location information, it is not desirable to expo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not only to the service consumer but also to the service provider.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realities of various security crimes. However, in order to receive location-based services, in most cases, additional procedures such as membership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are additionally require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dividual is stored becaus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nd managed using unique information of an individual who can identify an individual. Risks of unintentional exposure to others. In order to prevent this, in Korea, a variety of legal restrictions are imposed on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by ena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protection law, etc., the situation is difficult to provide location-based services.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치정보를 이용한 서비스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도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의 제공시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여 서비스 수요자의 기대에 부응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Nevertheless, the demand for services using location information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Therefor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meet the expectations of service consumers by finding ways to protect personal privacy when providing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개인의 위치정보의 보호에 충실한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hrough a terminal faithful to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location information.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를 대표하는 식별ID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식별ID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ID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제2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ID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식별ID를 기초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식별ID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by a first user terminal, an identification ID representing the first user terminal;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transmitting, by the first user terminal, the identification ID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to a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Storing, by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ID; Receiving, by a second user terminal, information regarding the identification I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or a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Requesting, by the second user terminal, a predetermined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from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And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by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Can be.

또한, 제3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식별ID와 동일한 식별ID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사용자단말기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식별ID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3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ID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식별ID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식별ID를 가지는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제3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by a third user terminal, an identification ID that is the same as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first user terminal;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transmitting, by the third user terminal, the identification ID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And storing, by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hird user terminal in correspondence with the identification ID, wherein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The providing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may include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third user terminal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D.

한편,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위치정보의 공개를 위한 조건과 관련된 공개옵션을 제공하고, 상기 공개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개조건정보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식별ID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공개조건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ID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개옵션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를 공개하는 시간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옵션 및 위치정보를 공개하기 위한 위치정보의 범위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옵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해 줄 수 있다.The first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a user with a disclosure option related to a condition for relea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receiving selection of at least one disclosure condition information from among the disclosure options. The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D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disclosure condition information. Respect an individual's privac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first option for receiving a time to release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a second option for receiving a rang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publish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 can do it.

그리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위치정보 검색옵션을 제공하고, 상기 검색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요청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식별ID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입력받은 상기 검색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위치정보 검색옵션은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요청하는 위치정보의 시간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옵션 및 요청하는 위치정보의 범위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옵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불필요한 위치정보를 필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arch op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t least one search request information among the search options, wherein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identifies the identification ID. The providing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terminal may include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arch request information. At least one of a first option for receiving the tim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 second option for receiving the range of the requested location information to filter unnecessary location information. Can be.

또한,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는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식별ID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의 식별ID 중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ID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개인의 위치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The first user terminal generates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Ds determined according to time, and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corresponding to time among the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Ds. Characterized by managing the information can be more effectively protec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한편,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자신을 대표하는 식별ID를 생성하고,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ID를 전송하는 제1 사용자단말기;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ID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ID를 기초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2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식별ID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user terminal for generating an identification ID representing itself, an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transmits it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D; A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in correspondence with the identification ID; And a second user terminal for request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he server may also be achieved by a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through a terminal, wherein the server provides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한편,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동일한 상기 식별ID를 갖는 복수의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user terminal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이때,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는 위치정보의 공개를 위한 조건과 관련된 공개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공개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개조건정보를 선택받고, 상기 공개조건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ID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es a disclosure option related to a condition for the disclosure of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selects at least one disclosure condition information among the disclosure options, and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ID and the disclosure con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그리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위치정보 검색옵션을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검색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요청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검색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provides a location information search op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to receive at least one search request information among the search options, and the loca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earch request information. It may be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base service.

또한,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대표하는 식별ID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ID와 대응하여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부; 및 상기 식별ID를 기초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단말기에 상기 식별ID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의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D representing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from one or more user terminals;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to a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Can be.

상기한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단말기에 위치정보 검색옵션을 제공하고, 상기 검색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요청정보를 입력받는 검색옵션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검색요청정보에 대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provides a location information search option to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and further comprises a search option providing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search request information of the search options, wherein the service provider It may be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earch request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동일한 상기 식별ID를 갖는 복수의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식별ID를 기초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er may provide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D to a user terminal requesting location-based service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아닌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식별ID를 통해 위치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시 별도의 회원가입, 본인인증 등의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아 개인의 위치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nag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n identification ID that is arbitrarily designated by the user rather than the actual user's personal information, a separate member registration, identity verification, etc. are not required when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tec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별ID를 수시로 변경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개인의 위치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identification ID from time to tim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exposure of individual locatio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및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단말기에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4 to 6 are examples of screens provided to a user terminal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hrough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사용자단말기(10),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 및 제2 사용자단말기(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user terminal 10, a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20, and a second user terminal 30.

제1 사용자단말기(1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Cellular폰, PCS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단말기(10)는 식별ID를 생성하고, 식별ID와 위치정보를 외부에 전송한다. 식별ID는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다른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식별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일종의 기호로서, 문자, 숫자, 특수기호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이때, 식별ID는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생성되거나, 제1 사용자단말기(10) 자체에 내장된 ID 생성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식별ID 생성시에는 중복 여부를 체크하지 않아 제1 사용자단말기(10)간 동일한 복수의 식별ID의 사용을 허용하고, 별도의 회원가입이나 본인 인증절차를 거치지 않는다.The first user terminal 10 is a terminal that provides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may include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a smartphone, a tablet PC, a PDA, a cellular phone, a PCS phone, and the like. . The first user terminal 10 generates an identification ID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e identification ID is a kind of symbol used as a reference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nother user terminal, and may be combined in various ways using letters, numbers, special symbols,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D may be generated by being directly input from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 or may be generated through an ID generation program embedd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10 itself. When generating the ID, it is not checked whether the ID is duplicated so that the use of the same plurality of IDs between the first user terminals 10 is allowed, and no separate member registration or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is performed.

또한, 제1 사용자단말기(1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공하여, 이를 기초로 위치기반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는 이동통신망이나 GPS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각종 무선측위기술(Posi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PDT)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무선측위기술에 관해서는 예컨대, AOA(Angle of Arrival), TOA(Timing of Arrival),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E-OTD(Enhanced Oberserved Time Difference) 방식 등 그 다양한 방법이 이미 공지되거나 공연히 실시되고 있으므로 이와 관련한 자세한 설명은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user terminal 10 provides its location information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so that location-based services can be performed based on th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 may be obtained through various Posi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PDT)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GPS. As for the radio positioning technology, various methods such as Angle of Arrival (AOA), Timing of Arrival (TOA),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and Enhanced Oberserved Time Difference (E-OTD) are already known or performed in advance.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는 제1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식별ID와 대응시켜 저장하고, 이를 기초로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치기반 서비스란,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서비스로서, 위치정보의 제공 그 자체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치기반 서비스의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stores location information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10 in association with an identification ID, and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 based on the location ID. Provide various location based services.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a service utili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 and is a concept of not only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tself but also covering various services provid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제2 사용자단말기(30)는 제1 사용자단말기(10) 또는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식별ID를 이용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한다. 제2 사용자단말기(20)는 통신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로서,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Cellular폰, PCS폰 등이 가능하다.The second user terminal 30 requests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using the identification ID provid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10 or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 The second user terminal 20 is a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means, and may be a desktop, a notebook, a smartphone, a tablet PC, a PDA, a cellular phone, a PCS phone, or the like.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the configuration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의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는 정보수신부(21), 위치정보저장부(23), 서비스제공부(25) 및 검색옵션제공부(2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includes an information receiver 21,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3, a service provider 25, and a search option provider 27.

정보수신부(21)는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식별ID와 위치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한다.The information receiver 21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one or more first user terminals 10.

위치정보저장부(23)는 정보수신부(21)에서 수신한 위치정보를 식별ID와 대응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사용자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개인 고유정보의 저장을 배제하고 중복 여부와 상관없이 임의로 생성되는 식별ID와 위치정보만 저장함으로써 개인의 위치정보의 효과적인 보호를 달성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3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receiver 21 in correspondence with the identification I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of the individual by excluding the storage of the personal uniqu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user individual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 and storing only the identification I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which are arbitrarily genera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information is duplicated or not. Effective protection of information can be achieved.

서비스제공부(25)는 식별ID를 기초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2 사용자단말기(30)에 식별ID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제2 사용자단말기(30)가 식별ID를 전송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면, 위치정보저장부(23)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송된 식별ID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만약, 동일한 식별ID를 가지는 제1 사용자단말기(10)가 다수 존재한다면, 다수의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모두 제공하게 될 것이다.The service provider 25 provides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 requesting a servic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That is,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30 requests the service by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D, the second user terminal 30 provides the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transmitted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3. do. If there are a plurality of first user terminals 10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user terminals 10 will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2 사용자단말기(30)에 위치정보 검색옵션을 제공하여 검색요청정보를 입력받는 검색옵션제공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색요청정보란, 제2 사용자단말기(30)가 검색을 요청하는 위치정보의 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말한다. 예컨대, 검색을 원하는 시간대 또는 특정지역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 option search op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 requesting a location-based service to provide a search option providing unit 27 to receive search request information. It may further include. The search request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related to a condi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which the second user terminal 30 requests a search. For example, th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garding a time zone or a specific region to be searched.

정보수신부(21)는 식별ID를 수신할 때, 식별ID의 중복체크를 배제하므로 동일한 식별ID를 갖는 복수의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존재로 인해 각각 다른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가 혼재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단말기(30)가 검색을 원하는 조건을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제3의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가 필터링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검색을 원하는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사용자가 서울을 활동의 주기점으로 삼고 있다면, 제주도에 존재하는 위치정보는 검색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를 검색옵션을 통해 제외시킴으로써 검색의 대상이 되는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다. Since the information receiver 21 excludes duplicate checks of the identification IDs whe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Ds, the positions of the first user terminals 10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e existence of the plurality of first user terminals 10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Ds. Information can be mixed and stored. Thus, by allowing the second user terminal 30 to input a condition for searching, unnecessary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user terminal can be filtered. For example, if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 who wants to search uses Seoul as the main point of the activity,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existing in Jeju Island does not need to be searched, the search target is excluded by the search option. 1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can be found effectively.

이하에서는,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이상에서 설명한 시스템의 각 구성 간 정보교류의 모습을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s at in detail the state of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described abov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단말기(10)는 임의의 식별ID를 생성한다(S10). 이때, 제1 사용자단말기(10)는 단수의 식별ID 뿐만 아니라, 복수의 식별ID를 생성할 수 있다. 일정한 시간 주기로 지속적으로 식별ID가 변경되도록 하거나, 또는 시간대별로 서로 다른 식별ID가 적용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13시에서 14시에는 'fox356', 14시에서 15시 사이에는 'fox567'를 식별ID로 지정하여 타인에게 식별ID가 비의도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식별ID의 생성시 중복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없어 동일한 식별ID를 가지는 다수의 제1 사용자단말기(10)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식별ID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식별ID를 적절하게 조합하여야 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user terminal 10 generates an arbitrary identification ID (S10). In this case, the first user terminal 10 may generate not only a single identification ID but also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Ds. The identification ID may be continuously changed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or may be generated so that different identification IDs are applied to each time zone. For example, 'fox356' between 13:00 and 14:00 and 'fox567' between 14:00 and 15:00 may be prevented from unintentionally exposing the ID to others. 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is no procedure for checking whether there is a duplicate when generating an ID, there may be a plurality of first user terminals 10 having the same ID. It should be combined properly.

제1 사용자단말기(10)는 사용자에게 위치정보 공개옵션을 제공하여 공개조건정보를 입력받는다(S11). 공개조건정보란,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다른 사용자단말기에 공개하기 위한 공개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말한다. The first user terminal 10 receives the disclosure condition information by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option to the user (S11). The disclosure condition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related to disclosure conditions for relea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 to other user terminals.

제1 사용자단말기(10)는 입력받은 공개조건정보에 대응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인 위치정보와 식별ID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에 전송하여, 이를 기준으로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가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S13). 예컨대, 시간대별로 다른 식별ID가 적용되도록 생성하였다면, 제1 사용자단말기(10)는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시간대에 대응되는 식별ID와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전송하게 될 것이다.The first user terminal 10 transmits the periodic or aperiodic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isclosure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and based on this,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is provided. 1 to manag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S13). For example, if it is generated to apply a different identification ID for each time zone, the first user terminal 10 will match and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zone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도 4 및 도 5는 제1 사용자단말기(10)에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이다.4 and 5 are examples of screens provid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

먼저, 도 4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단말기(1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위치정보 공개옵션은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를 공개 또는 비공개하는 시간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옵션 및 위치정보를 공개 또는 비공개하기 위한 위치정보의 범위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옵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4, the lo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option provided to the user by the first user terminal 10 is to disclose or hide the first op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or receiving a time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or disclosure from the us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option for receiving a range of location information for.

위치정보의 공개조건을 입력한 후, 제1 사용자단말기(10)는 도 5와 같이 제공되는 화면을 통해 생성된 식별ID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용자단말기(10)가 사용자로부터 '2012-03-13 12:30'부터 '2012-03-13 17:30'까지만 위치정보가 공개되도록 공개조건정보를 입력받았다면, 제1 사용자단말기(10)는 위의 시간에만 식별ID와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에 전송할 것이다.After inputting the disclosure condi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first user terminal 10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D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creen provided as shown in Figure 5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For example, if the first user terminal 10 receives the disclosure condition information so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isclosed only from '2012-03-13 12:30' to '2012-03-13 17:30' from the user, the first user The terminal 10 will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only at the above tim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사용자로부터 직접 위치정보를 공개하기 위한 조건을 지정받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만 외부에 공개함으로써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해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privacy can be respected by receiving a condition for directly releas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 and only releasing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utside.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는 제1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식별ID와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식별ID와 대응시켜 수신한 위치정보를 저장한다(S15).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10, and store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identification ID (S15).

제1 사용자단말기(10)는 생성된 식별ID를 제2 사용자단말기(30)에 전송하여 제2 사용자단말기(30)가 이를 기초로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S17). 예컨대, 제1 사용자단말기(10)는 자신의 위치정보의 공개를 허용하는 제2 사용자단말기(30)에 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해 놓고, 식별ID가 새로이 생성될 때마다 저장된 제2 사용자단말기(20)에 자동으로 식별ID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user terminal 10 transmits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I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 so that the second user terminal 30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 based on this. To be provided (S17). For example, the first user terminal 10 stores in advance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user terminal 30 that allows disclosure of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second user terminal 20 stored whenever a new ID is newly generated. ) Will be able to automatically send information about the ID.

제2 사용자단말기(30)가 식별ID를 입력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에 서비스를 요청하면(S19),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는 제2 사용자단말기(30)에 위치정보 검색옵션을 제공하여 검색요청정보를 입력받는다(S21,S23).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30 requests a service from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by inputting an identification ID (S19),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provides a location information search op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 Provide and receive the search request information (S21, S23).

도 6은 제2 사용자단말기(30)에 제공되는 위치정보 검색화면의 일 예이다.6 is an example of a location information search screen provid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

도 6을 참조하면,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 검색옵션은 제2 사용자단말기(30)로부터 요청하는 위치정보의 시간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옵션 및 요청하는 위치정보의 범위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옵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사용자단말기(30)는 예컨대, '2012-03-13 13:00'부터 '2012-03-13 17:00'까지의 특정 시간대의 위치정보만 검색할 수도 있고, 검색을 원하는 지역을 한정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location information search option provided from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may include a first option for receiving a tim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 and a range of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option for receiving the input. Through this, the second user terminal 30 may search on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time zone, for example, from '2012-03-13 13:00' to '2012-03-13 17:00'. You can also define a region.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는 제2 사용자단말기(30)로부터 입력받은 식별ID와 검색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2 사용자단말기(30)에 제공한다(S25). 예컨대, 제2 사용자단말기(30)가 식별ID 'fox33'의 위치정보를 요청하였다면,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는 입력받은 검색시간 및 검색장소에 대응하는 'fox33'의 위치정보를 제2 사용자단말기(30)에 제공할 것이다. 이때, 제3의 사용자단말기가 제1 사용자단말기(10)와 동일한 식별ID를 생성했다고 가정하면,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는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와 제3의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모두 제공하게 될 것이다.The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20 provides a location based servic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D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request informa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 (S25). For example, if the second user terminal 30 reques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ID 'fox33',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fox33'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arch time and the search location. Will be provided to the terminal 30. In this case, assuming that the third user terminal generates the same ID as the first user terminal 10,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may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 and the third user terminal. It will provide all th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는 시간에 따른 위치정보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동일한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궤적으로 예상되는 위치정보를 그룹핑하고, 이를 전자지도상에 각각 표시하여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may group the location information expected by the trajectory of the same first user terminal 10 in consideration of a change in location information over time, and display the same on an electronic map. Could be

한편, 이상의 단계는 필요에 따라 추가, 변경 및 생략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제1 사용자단말기(10)가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 공개옵션을 입력받는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는,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20)가 제1 사용자단말기(30)의 위치정보를 시간순서대로 전자지도기반에서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제2 사용자단말기(30)가 제1 사용자단말기(10)의 이동궤적을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steps may be added, changed and omitted as necessary. For example, the step of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option from the user by the first user terminal 10 may be omitted. Alternatively,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0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30 in electronic order based on the time sequence, the second user terminal 30 is the first user terminal It may be easy to identify the movement trajectory of (10).

지금까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예컨대, 사용자단말기에 제공되는 위치정보 공개옵션 또는 검색옵션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추가/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option or the search op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may be provided as appropriately added / modified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제1 사용자단말기 20 :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
21 : 정보수신부 23 : 위치정보저장부
25 : 서비스제공부 27 : 검색옵션제공부
30 : 제2 사용자단말기
10: first user terminal 20: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21: information receiver 23: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25: service provider 27: search option provider
30: second user terminal

Claims (12)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를 대표하는 식별ID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식별ID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ID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제2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 또는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ID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식별ID를 기초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식별ID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hrough the terminal,
Generating, by a first user terminal, an identification ID representing the first user terminal;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transmitting, by the first user terminal, the identification ID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to a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Storing, by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ID;
Receiving, by a second user terminal, information regarding the identification I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or a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Requesting, by the second user terminal, a predetermined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from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And
And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by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제1항에 있어서,
제3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식별ID와 동일한 식별ID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사용자단말기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식별ID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3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ID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식별ID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식별ID를 가지는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제3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enerating, by a third user terminal, an identification ID that is the same as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first user terminal;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transmitting, by the third user terminal, the identification ID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And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hird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ID,
The providing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by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may include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third user terminal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D.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through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위치정보의 공개를 위한 조건과 관련된 공개옵션을 제공하고, 상기 공개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개조건정보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식별ID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공개조건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ID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개옵션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를 공개하는 시간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옵션 및 위치정보를 공개하기 위한 위치정보의 범위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옵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user terminal further includes providing a user with a disclosure option related to a condition for disclosure of location information, and receiving at least one disclosure condition information from among the disclosure option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D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by the first user terminal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disclosure condition information. ,
The disclosure op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option for receiving a time for releas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a second option for receiving a range of location information for releasing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based service through the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위치정보 검색옵션을 제공하고, 상기 검색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요청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식별ID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입력받은 상기 검색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위치정보 검색옵션은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요청하는 위치정보의 시간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옵션 및 요청하는 위치정보의 범위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옵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arch op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ing the search reques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earch options,
The providing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by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may include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arch request information. ,
The location information search op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option for receiving a time of location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 second option for receiving a range of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based service through a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는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식별ID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의 식별ID 중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ID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user terminal generates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Ds determined over time,
And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manag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corresponding to time of the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Ds.
자신을 대표하는 식별ID를 생성하고,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ID를 전송하는 제1 사용자단말기;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ID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ID를 기초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2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식별ID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A first user terminal which generates an identification ID representing itself and transmits it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A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in correspondence with the identification ID; And
A second user terminal for request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provides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동일한 상기 식별ID를 갖는 복수의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provides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user terminals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단말기는 위치정보의 공개를 위한 조건과 관련된 공개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공개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개조건정보를 선택받고, 상기 공개조건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ID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user terminal provides a user with a disclosure option related to a condition for disclosure of location information, selects at least one disclosure condition information among the disclosure options, and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I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disclosure condition information.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through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는 위치정보 검색옵션을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검색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요청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검색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사용자단말기에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provides a location information search op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to receive at least one search request information among the search options, and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earch request information.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through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위치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대표하는 식별ID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ID와 대응하여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부; 및
상기 식별ID를 기초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단말기에 상기 식별ID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server performing a location-based service,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receiving an identification ID representing the user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And
And a service provider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to a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단말기에 위치정보 검색옵션을 제공하고, 상기 검색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요청정보를 입력받는 검색옵션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검색요청정보에 대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search op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arch option to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and receives at least one search request information of the search options,
The service provider provides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earch request inform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동일한 상기 식별ID를 갖는 복수의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식별ID를 기초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rvice providing unit provides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D to a user terminal requesting location-based service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KR1020120049493A 2012-05-10 2012-05-10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via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2917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493A KR101291720B1 (en) 2012-05-10 2012-05-10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via termina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493A KR101291720B1 (en) 2012-05-10 2012-05-10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via terminal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720B1 true KR101291720B1 (en) 2013-07-31

Family

ID=4899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493A KR101291720B1 (en) 2012-05-10 2012-05-10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via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72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280A (en) * 2006-01-23 2007-07-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additional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767419B1 (en) * 2005-04-30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user's loc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074485A (en) * 2008-12-24 2010-07-02 김병직 System for providing mobile services using temporary identific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10018022A (en) * 2009-08-17 2011-02-23 (주)유비몰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suing temporary identification number, method of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and system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419B1 (en) * 2005-04-30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user's loc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70077280A (en) * 2006-01-23 2007-07-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additional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20100074485A (en) * 2008-12-24 2010-07-02 김병직 System for providing mobile services using temporary identific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10018022A (en) * 2009-08-17 2011-02-23 (주)유비몰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suing temporary identification number, method of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and system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54930B (en) Identity Management via cloud
CA284908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location capable two-way radio transceivers as geo-fence posts
US94185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ople
US89661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ivacy and limited exposure services for location based services
JP5723052B2 (en) POSI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POSITION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ELECTRONIC TAG,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TERMINAL PROGRAM
JP2017514328A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automatic switching of mode and mode control capabi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30214909A1 (en) Airplane mode for wireless transmitter device and system using short-range wireless broadcasts
US9867028B2 (en) Electronically binding to a lost mobile device
KR20150110919A (en) Method for reinforcing security of beacon device,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10638270B2 (en) Location-based wireless tracking
CN115443460A (en) Registered applications for electronic devices
Damiani et al. Privacy challenges in third-party location services
KR101291720B1 (en) Location based service server,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via terminal and method thereof
JP2014006764A (en) Data management system
JP2012147398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609571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device equipped with position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Nadler Mobile Location Tracking: Indoor and Outdoor Location Tracking
US20140282865A1 (en) Dynamic h-slp allocation for set initiated supl services
EP3040918A1 (en) System for locating of lost items
WO2011149014A1 (en)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P2017049893A (e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ccess poi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shar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information sharing program
Khodabacchas et al. Donor Tracker: An Innovative Real-Time Tracking System for Blood Donors in Mauritius
JP2019053493A (en) Credit card, usage-enabling method and program
KR20150026193A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question and answering based on the user's location
JP2013211806A (e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device,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