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292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area for an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area for an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292B1
KR101287292B1 KR1020120001444A KR20120001444A KR101287292B1 KR 101287292 B1 KR101287292 B1 KR 101287292B1 KR 1020120001444 A KR1020120001444 A KR 1020120001444A KR 20120001444 A KR20120001444 A KR 20120001444A KR 101287292 B1 KR101287292 B1 KR 101287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harging
electric vehicle
electric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9828A (en
Inventor
김세호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2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292B1/en
Publication of KR2013008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8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a method of managing a charging zone of an electric vehicle are provided to maintain the charging zone in an unmanned state by collecting a charging fee through an electric power corporation. CONSTITUTION: A recognition part recognizes a license plate and the existence of a vehicle. A charging part charges the vehicle. A calculation part (130) calculates a charging fee. A display part (140) guides a driver through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control part (150) controls the display content of the display part. [Reference numerals] (110) Recognition part; (120) Charging part; (130) Calculation part; (140) Display part; (150) Control part; (20) Vehicle; (30) Electric power corporation; (40) Police agency; (AA) Fine imposition; (BB) Fee collection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area for an electric vehicle}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area for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구역을 관리하기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area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전기자동차는 전기에너지로 충전되는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이다. 상기 전기자동차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 전기자동차는 공공주차장이나 별도의 공간에 마련된 충전 구역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기술이 포함된 선행문헌으로는 한국공개특허 2011-0110997호(공개일 2011.10.10)가 있다. An electric vehicle is a vehicle that uses a battery charged with electric energy as a power source. In order to use the electric vehicle, it is necessary to charge the battery. The electric vehicle may charge the battery in a charging area provided in a public parking lot or a separate space. As a prior document including the above technology, there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110997 (published 2011.10.10).

그러나, 상기 충전 구역에 전기자동차가 아닌 비 전기자동차가 주차되어 있거나, 전기자동차가 주차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충전이 필요한 전기자동차가 상기 충전 구역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충전 구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구역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However, even if the non-electric vehicle other than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the charging zone or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the electric vehicle may not be charged. In this case, the electric vehicle requiring the charging cannot use the charging zone. Therefore, since it is difficult to use the charging zone efficiently, effective management of the charging zone of the electric vehicle is required.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구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for effectively managing a charging zon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구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method for effectively managing a charging zon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에 주차되는 자동차의 존재 여부 및 번호판을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에서 사용한 전기량에 따른 충전 요금을 산정하는 연산부와, 상기 자동차가 전기 자동차이면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충전할 것을 안내하고, 상기 자동차가 비전기 자동차이면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 결과 상기 자동차가 전기 자동차인지 비전기 자동차인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presence and license plate of a car park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vehicle, and a charging fee according to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in the charging unit.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nd a display unit for guiding the vehicle driver to charge the vehicle if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and for guiding the vehicle driver to move the vehicle to another place if the vehicle is a non-electric vehicl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display contents of the display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or a non-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가 충전되면 전력공사로 상기 충전 요금을 징수를 요청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request to collect the charging fee to the power construction when the vehicle is char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를 충전하지 않거나 상기 자동차를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 경찰청으로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를 요청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request the police to impose a penalty on the motor vehicle driver when the vehicle is not charged or the vehicle is not moved.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방법은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에 주차되는 자동차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차의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가 전기 자동차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차가 전기 자동차이면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충전할 것을 안내하고, 상기 자동차가 비전기 자동차이면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ognizing a license plate of a vehicle park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number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And if the vehicle is a vehicle, instructing the driver to charge the vehicle, and if the vehicle is a non-electric vehicle, instructing the automobile driver to move the vehicle to another pl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방법은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충전할 것을 안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자동차가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차가 충전된 경우 전력공사로 상기 자동차의 충전 요금의 징수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method after the step of instructing the vehicle driver to charge the vehicle,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is charged and the vehicle is charged In this case, the power construc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questing collection of the charging fe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방법은 상기 자동차가 충전되지 않은 경우, 경찰청으로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method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requesting the police charge imposed on the motor vehicle, when the vehicle is not char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방법은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자동차가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차가 이동되지 않은 경우, 경찰청으로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method, after the step of instructing the car driver to move the car to another place,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car is moved and the car is If it is not moved,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questing the police to impose a penalty on the motor vehicle driver.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충전 구역에 비전기자동차가 주차되는 경우 상기 비전기자동차를 이동하도록 알리고, 상기 충전 구역에 전기자동차가 주차되더라도 충전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전기자동차가 충전하도록 알린다. 상기 비전기자동차의 이동과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행되지 않는 경우 경찰청을 통해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으므로, 상기 비전기자동차의 이동과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on-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the charging zone, the non-electric vehicle is notified to move, and even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the charging zone, the electric vehicle is not charged. Inform to charge. When the movement of the non-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are not performed, a fine may be imposed through the police agency, so that the movement of the non-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요금을 전력공사를 통해 징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을 무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harging fee of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ollected through electric power construction, th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can be maintained unattended.

따라서, 상기 충전 구역에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충전 구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n the charging zone can be made quickly, and the charging zone can be managed more eff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100)은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10)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부(110), 충전부(120), 연산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100 is for effectively manag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10 and includes a recognition unit 110, a charging unit 120, an operation unit 130, a display unit 140, and a controller 150. ).

상기 인식부(110)는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되는 자동차(20)의 존재 여부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인식부(110)는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된 자동차(20)의 번호판을 인식한다. 상기 인식부(11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presence of the car 20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In addition, the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20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The recognition unit 110 may include a camera.

상기 충전부(120)는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된 자동차(20)를 충전한다. 일 예로, 상기 충전부(120)는 케이블을 통해 상기 자동차(20)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자동차(20)를 충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충전부(120)는 상기 충전 구역(10)의 지하에 인덕션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인덕션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20)를 충전할 수도 있다. The charging unit 120 charges the car 20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For example, the charging unit 1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vehicle 20 through a cable to charge the vehicle 20. As another example, the charging unit 120 may include an induction coil in the basement of the charging zone 10 and charge the vehicle 20 by using an induction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induction coil.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충전부(120)에서 상기 자동차(20)의 충전을 위해 사용한 전기량을 확인하고, 상기 전기량에 따른 충전 요금을 산정한다. The calculating unit 130 checks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by the charging unit 120 to charge the vehicle 20, and calculates a charging fee according to the amount of electricity.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자동차가 전기자동차인 경우 상기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충전할 것을 알린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황을 알릴 수도 있다. 상기 충전 상황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정도,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완료시 충전 요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자동차가 비전기자동차인 경우 상기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것을 알릴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The display unit 140 notifies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charge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The display unit 140 may notify the charging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The charging situation may include a charging degree of the electric vehicle, a charging fee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a non-electric vehicle, the display unit 140 may notify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move the vehicle to another place.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인식부(110)에서 인식된 자동차(20)의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20)가 전기자동차인지 비전기자동차인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50)는 미리 저장된 차량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경찰청(40)의 차량 정보 데이터를 조회하여 상기 자동차(2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차량 정보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상기 경찰청(40)과 전력선 통신 또는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0 checks whether the vehicle 20 is an electric vehicle or a non-electric vehicle using the number of the vehicle 20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11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check the type of the vehicle 20 by using previously stored vehicle information data or querying vehicle information data of the police agency 40. The controller 150 may be connected to the police station 40 by power line communication 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inquire the vehicle information data.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자동차(20)의 종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한다. 상기 자동차가 전기자동차인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상기 자동차(20)를 충전하라는 내용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가 비전기자동차인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상기 자동차(20)를 다른 장소로 이동하라는 내용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자동차(20)의 충전 상태 및 충전 요금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20. When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a content of charging the vehicle 20 on the display unit 140.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a non-electric vehicl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a content of moving the vehicle 20 to another place on the display unit 14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the charging state and the charging fee of the vehicle 20.

상기 전기자동차가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된 상태로 충전을 하지 않거나 상기 비전기 자동차가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된 상태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전기자동차가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된 상태로 충전을 하지 않는 경우 경찰청(40)으로 상기 전기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비전기 자동차가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된 상태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도 경찰청(40)으로 상기 비전기자동차 운전자에게 과태료 부과를 요청할 수 있다.When the electric vehicle is not charged while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or the non-electric vehicle does not move while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electric vehicle. When charging is not performed while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the police agency 40 may request a penalty charge for the electric vehicle driver.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request the non-motor vehicle driver to impose a penalty even when the non-electric vehicle does not move in a state in which the non-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한편, 상기 전기자동차가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된 상태로 충전을 하지 않거나 상기 비전기 자동차가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된 상태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자동차(20)의 견인을 요청하거나, 상기 자동차(20)의 운전자에 대해 상기 충전 구역(10)에 대한 사용 불허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not charged while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or the non-electric vehicle does not move while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vehicle. It may be possible to request towing of 20 or disallow use of the charging zone 10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20.

상기 전기자동차가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된 상태로 충전을 하지 않거나 상기 비전기 자동차가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된 상태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자동차(20)의 운전자에게 상기와 같은 패널티를 부과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ic vehicle does not charge while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or the non-electric vehicle does not move while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vehicle 20. The above penalty can be imposed on the driver.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연산부(130)에서 연산된 충전 요금을 전력공사(30)로 통보하고 상기 충전 요금의 징수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충전 요금의 징수를 요청하기 위해 상기 전력공사(30)와 전력선 통신 또는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50 may notify the power corporation 30 of the charging fe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130 and request the collection of the charging fee. The controller 15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corporation 30 by power line communication 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request the collection of the charging fee.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연산부(130)에서 연산된 충전 요금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동차(20)의 운전자가 상기 충전 요금을 카드 단말기 등의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결제할 수 있다.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50 may guide the charging fee calculated by the calculator 130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In this case, the driver of the vehicle 20 may directly pay the charge using a payment means such as a card terminal.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충전 구역(10)에 비전기자동차가 주차되는 경우 상기 비전기자동차를 이동하도록 알리고, 상기 충전 구역(10)에 전기자동차가 주차되더라도 충전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전기자동차가 충전하도록 알린다. 상기 비전기자동차를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전기자동차를 충전하지 않는 경우, 경찰청을 통해 상기 자동차(20)의 운전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으므로, 상기 비전기자동차의 이동과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 구역(10)에서 상기 전기자동차를 효과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100 notifies the moving of the non-electric vehicle when the non-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and does not charge even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Inform the electric vehicle to charge. When the non-electric vehicle is not moved and the electric vehicle is not charged, a fine may be imposed on the driver of the vehicle 20 through the polic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non-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are easy. Can be done. Therefore, the electric vehicle can be effectively charged in the charging zone 10.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요금을 전력공사를 통해 징수하거나 운전자가 직접 결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100)을 무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harging fee of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ollected through a power construction or directly paid by the driver, th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100 can be maintained unattend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agement cos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1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10)에 주차되는 자동차(20)의 번호판을 인식한다(S110).Referring to FIG. 2, first, a license plate of a vehicle 20 park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10 is recognized (S110).

인식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구역(10)에 자동차(2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충전 구역(10)에 자동차(20)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자동차(20)의 번호판을 인식한다. Check whether the vehicle 20 exists in the charging zone 10 by using the recognition unit 110, and if the vehicle 20 exists in the charging zone 10,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20 Recognize.

상기 자동차(20)의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20)가 전기 자동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The number of the vehicle 20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20 is an electric vehicle (S120).

상기 인식부(110)가 번호판 인식 결과에 따라 자동차(20)의 번호를 확인하면, 제어부(150)는 상기 자동차(20)의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20)가 전기자동차인지 비전기자동차인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50)는 미리 저장된 차량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경찰청(40)의 차량 정보 데이터를 조회하여 상기 자동차(2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차량 정보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상기 경찰청(40)과 전력선 통신 또는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recognition unit 110 confirms the number of the vehicle 20 according to 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result, the controller 150 uses the number of the vehicle 20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20 is an electric vehicle or a non-electric vehicle. Check i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check the type of the vehicle 20 by using previously stored vehicle information data or querying vehicle information data of the police agency 40. The controller 150 may be connected to the police station 40 by power line communication 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inquire the vehicle information data.

상기 자동차(20)가 전기 자동차이면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20)를 충전할 것을 안내한다(S130). If the vehicle 20 is an electric vehicle, the vehicle driver is guided to charge the vehicle 20 (S130).

상기 제어부(150)에서 상기 자동차(20)가 전기자동차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상기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20)를 충전할 것을 안내한다.When the vehicle 20 is identified as the electric vehicle by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ler 150 guides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charge the vehicle 20 through the display 140.

이후, 상기 자동차가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40).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vehicle is charged (S140).

상기 자동차(2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120)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연산부(130)의 충전 요금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자동차(20)의 충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20)가 작동하여 충전 요금이 발생하였으면 상기 자동차(20)가 충전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충전부(120)가 작동하지 않아 충전 요금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상기 자동차(20)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By checking whether the charging unit 120 for charging the vehicle 20 is operated or by checking the charge rate of the operation unit 130,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vehicle 20 is charged. If the charging unit 120 operates to determine that the charging fee has occurred,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20 is charged, and if the charging unit 120 does not operate and the charging fee does not occur, the charging of the vehicle 20 is performed. You can judge that it is not.

상기 자동차(20)의 충전 여부 확인은 상기 자동차(20)의 충전을 안내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이루어지거나, 상기 자동차(20)의 충전 안내를 일정 회수를 반복한 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 및 일정 회수는 조절될 수 있다.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20 is charged may be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guiding the charging of the vehicle 20, or after repea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charge guidance of the vehicle 20. The predetermined time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may be adjusted.

한편, 상기 충전부(120)는 케이블을 통해 상기 자동차(20)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자동차(20)를 충전하거나, 인덕션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20)를 충전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harging unit 1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vehicle 20 through a cable to charge the vehicle 20 or to charge the vehicle 20 using an induction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induction coil.

상기 자동차(20)가 충전된 경우 상기 자동차(20)의 충전 요금을 징수한다(S150). When the vehicle 20 is charged, the charging fee of the vehicle 20 is collected (S150).

상기 자동차(20)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충전부(120)에서 상기 자동차(20)의 충전을 위해 사용한 전기량을 확인하고, 상기 전기량에 따른 충전 요금을 산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연산부(130)에서 연산된 충전 요금을 전력공사(30)로 통보함으로써 상기 충전 요금의 징수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요금의 징수 요청은 상기 제어부(150)와 상기 전력공사(30) 사이의 전력선 통신 또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charging of the vehicle 20 is completed, the operation unit 130 checks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by the charging unit 120 to charge the vehicle 20, and calculates a charging fee according to the amount of electricity. Thereafter, the controller 150 may request collection of the charge fee by notifying the power corporation 30 of the charge fee calculated by the calculator 130. The request for collecting the charge fee may be made by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power construction 30.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연산부(130)에서 연산된 충전 요금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안내하고, 상기 자동차(20)의 운전자가 상기 충전 요금을 카드 단말기 등의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결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50 guides the charging fe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130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 the driver of the vehicle 20 charges the charging fee. Can be directly paid using a payment method such as a card terminal.

따라서, 상기 충전 요금을 즉시 징수하거나 전력공사(30)를 통해 징수를 요청하여 추후 징수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charging fee may be collected immediately or may be collected later by requesting the collection through the power corporation 30.

상기 자동차가 충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경찰청으로 과태료 부과를 요청한다(S160). If the vehicle is not charged, a request for imposing a penalty to the police agency for the motor vehicle driver (S160).

상기 자동차(20)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자동차(20)는 충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150)는 경찰청(40)으로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경찰청(40)은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20 is not charged, since the vehicle 20 is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without charging,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vehicle driver by the police officer 40. You may request a penalty for. The police agency 40 may impose a penalty on the motor vehicle driver.

한편, 상기 자동차(20)가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된 상태로 충전을 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견인 회사로 상기 자동차(20)의 견인을 요청하거나, 이후 상기 자동차(20)의 운전자에 대해 상기 충전 구역(10)에 대한 사용 불허할 수도 있다. 상기 견인회사는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해 견인료 등을 청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20 is not charged while being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the controller 150 requests towing of the vehicle 20 to a towing company, or after the vehicle 20 May be disabled for the charging zone 10 for the driver. The towing company may charge a towing fee for the motor vehicle driver.

한편, 상기 자동차가 비전기 자동차이면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것을 안내한다(S170). On the other hand, if the vehicle is a non-electric vehicle, the vehicle driver is guided to move the vehicle to another place (S170).

상기 제어부(150)에서 상기 자동차(20)가 비전기자동차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상기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20)를 상기 충전 구역(10)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한다.When the vehicle 20 is identified as the non-electric vehicle in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ler 150 transmits the vehicle 20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in the charging zone 10. Guide them to move elsewhere.

상기 자동차가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80).It is checked whether the vehicle is moved (S180).

상기 인식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구역(10)에 자동차(2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자동차(20)의 이동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인식부(110)가 상기 충전 구역(10)에서 자동차(20)를 인식하면 상기 자동차(20)가 이동되지 않은 것이고, 상기 인식부(110)가 상기 충전 구역(10)에서 자동차(20)를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자동차(20)가 이동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By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20 exists in the charging zone 10 by using the recognition unit 1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20 is moved. That is, when the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vehicle 20 in the charging zone 10, the vehicle 20 is not moved, and the recognition unit 110 performs the vehicle (in the charging zone 10). If it is not recognized 20,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ehicle 20 has moved.

상기 자동차(20)의 이동 여부 확인은 상기 자동차(20)의 이동을 안내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이루어지거나, 상기 자동차(20)의 이동 안내를 일정 회수 반복한 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 및 일정 회수는 조절될 수 있다.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20 is moved may be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20 or after repeating the movement guidance of the vehicle 20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predetermined time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may be adjusted.

상기 자동차가 이동되지 않은 경우, 경찰청으로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를 요청한다(S190).If the vehicle is not moved, the police requests a penalty charge for the motor vehicle driver (S190).

상기 자동차(20)를 이동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자동차(20)는 충전을 할 수 없으면서 상기 충전 구역(10)에 주차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150)는 경찰청(40)으로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경찰청(40)은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20 is not moved, the vehicle 20 is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without being able to charge, and thus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police driver 40 with the motor vehicle driver. You may be asked to pay a fine. The police agency 40 may impose a penalty on the motor vehicle driver.

한편, 상기 자동차(20)를 상기 충전 구역(10)으로부터 이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견인 회사로 상기 자동차(20)의 견인을 요청하거나, 이후 상기 자동차(20)의 운전자에 대해 상기 충전 구역(10)에 대한 사용 불허할 수도 있다. 상기 견인회사는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해 견인료 등을 청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20 does not move from the charging zone 10, the controller 150 requests a towing company towing the vehicle 20, or after the driver of the vehicle 20 It may be unusable for the charging zone 10. The towing company may charge a towing fee for the motor vehicle driver.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방법에 따르면, 상기 충전 구역(10)에 비전기자동차가 주차되는 경우 상기 비전기자동차를 이동하도록 알리고, 상기 충전 구역(10)에 전기자동차가 주차되더라도 충전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전기자동차가 충전하도록 알린다. 상기 비전기자동차가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전기자동차가 충전하지 않는 경우, 경찰청을 통해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으므로, 상기 비전기자동차의 이동과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 구역(10)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method, when the non-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to inform the movement of the non-electric vehicle, even if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the charging zone 10, even if not charged Inform the electric vehicle to charge. When the non-electric vehicle does not move and the electric vehicle is not charged, a fine may be imposed through the police, and thus, the movement of the non-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 easily performed. Thus, the filling zone 10 can be effectively managed.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요금을 전력공사를 통해 징수하거나 운전자가 직접 결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충전 구역(10)을 무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 구역(10)의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harging fee of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ollected through a power construction or directly paid by the driver, the charging zone 10 can be kept unattended. Therefore, the management cost of the charging zone 10 can be reduc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충전 구역에 비전기자동차가 주차되는 경우 상기 비전기자동차를 이동하도록 알리고, 상기 충전 구역에 전기자동차가 주차되더라도 충전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전기자동차가 충전하도록 알린다. 따라서, 상기 충전 구역에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충전 구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hen the non-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the charging zone, the non-electric vehicle is notified to move, and even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the charging zone, the charge is not performed. Inform the electric vehicle to charge. Therefore,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n the charging zone can be made quickly, and the charging zone can be managed more effective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0 :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 110 : 인식부
120 : 충전부 130 : 연산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제어부
10 : 충전 구역 20 : 자동차
30 : 전력공사 40 : 경찰청
100: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110: recognition unit
120: charging unit 130: computing unit
140: display unit 150: control unit
10: charging zone 20: car
30: Electric Power Corporation 40: Police Agency

Claims (7)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에 주차되는 자동차의 존재 여부 및 번호판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서 사용한 전기량에 따른 충전 요금을 산정하는 연산부;
상기 자동차가 전기 자동차이면 상기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충전할 것을 안내하고, 상기 자동차가 비전기 자동차이면 상기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 결과 상기 자동차가 전기 자동차인지 비전기 자동차인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presence and license plate of the car park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vehicle;
A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charging fee according to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in the charging unit;
A display unit for guiding a driver of the vehicle to charge the vehicle if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and guiding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move the vehicle to another place if the vehicle is a non-electric vehicle;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contents of the display depending on whether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or a non-electric vehicle as a result of the recognition by the recogni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가 충전되면 전력공사로 상기 충전 요금을 징수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requests the electric power corporation to collect the charging fee when the vehicle is char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를 충전하지 않거나 상기 자동차를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 경찰청으로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requests a police agency to charge a fine when the vehicle is not charged or the vehicle is not moved.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에 주차되는 자동차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의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가 전기 자동차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차가 전기 자동차이면 상기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충전할 것을 안내하고, 상기 자동차가 비전기 자동차이면 상기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방법.
Recognizing a license plate of a car park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number of the vehicle; And
If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instructing a driver of the vehicle to charge the vehicle, and if the vehicle is a non-electric vehicle, instructing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move the vehicle to another place. How to care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re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충전할 것을 안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자동차가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차가 충전된 경우 전력공사로 상기 자동차의 충전 요금의 징수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fter the step of instructing the motor vehicle driver to charge the vehicle,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is charged;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questing the charge of the charge charge of the vehicle to the electric power construction when the vehicle is charg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가 충전되지 않은 경우, 경찰청으로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방법.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requesting a police officer to impose a penalty on the motor vehicle driver when the vehicle is not charg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게 상기 자동차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자동차가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차가 이동되지 않은 경우, 경찰청으로 상기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fter the step of instructing the motorist to move the motor vehicle to another location,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has been moved; And
If the vehicle is not moved, the step of requesting the imposition of a fine for the motor vehicle drive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120001444A 2012-01-05 2012-01-0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area for an electric vehicle KR1012872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444A KR101287292B1 (en) 2012-01-05 2012-01-0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area for an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444A KR101287292B1 (en) 2012-01-05 2012-01-0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area for an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292B1 true KR101287292B1 (en) 2013-08-13
KR20130089828A KR20130089828A (en) 2013-08-13

Family

ID=49219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444A KR101287292B1 (en) 2012-01-05 2012-01-0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area for an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2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153B1 (en) * 2016-02-22 2019-04-11 한찬희 Fare calculating and imposition system based on parking and electric charging informations
KR102116964B1 (en) * 2018-07-24 2020-06-01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charging and payment of electric vehicles
CN111223303B (en) * 2018-11-27 2021-06-29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Charging pile parking spac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1098732B (en) * 2019-12-19 2021-12-03 杨静 Electric automobile charging device with automatic identification function
KR102539349B1 (en) * 2020-08-13 2023-06-02 주식회사 지니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vehicle disturbance char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211A (en) * 1996-02-02 1997-08-15 Sumitomo Wiring Syst Ltd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KR20110011893A (en) * 2009-07-29 2011-02-09 (주)에코맥스 Parking management and moving guide system for specified parking space
KR20110110997A (en) * 2010-04-02 2011-10-10 이흥기 Recharging device for electric cars
EP2385349A1 (en) * 2010-05-06 2011-11-09 Leica Geosystems AG Method and guidance unit for guiding battery-operated transportation means to reconditioning st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211A (en) * 1996-02-02 1997-08-15 Sumitomo Wiring Syst Ltd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KR20110011893A (en) * 2009-07-29 2011-02-09 (주)에코맥스 Parking management and moving guide system for specified parking space
KR20110110997A (en) * 2010-04-02 2011-10-10 이흥기 Recharging device for electric cars
EP2385349A1 (en) * 2010-05-06 2011-11-09 Leica Geosystems AG Method and guidance unit for guiding battery-operated transportation means to reconditioning 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28A (en)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76420B (en) Non-contact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station
KR102181154B1 (en) Mobile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EP3597475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structure
KR1012872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area for an electric vehicle
KR102470999B1 (en) Charge management server and charge management server control method
JP6380768B2 (en) Charging stand
KR10162333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ity thef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20160352113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N104423526A (en) Method for assisting with inductive battery charging of a motor vehicle
JP2013225969A (en) Non-contact charging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for the same
KR20170099504A (en) Intelligent Electric Charge Control system of Electric Vehicle
US8483901B2 (en) Power charging station administration device
JP6982521B2 (en) Charge management system, parking lot, and program
KR20170133958A (en) Power charging and billing system for moving electric vehicle
KR20180071150A (en) Electrical charging station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by using traffic information
JP2019096104A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KR1013391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intelligent parking lot using cart system
CN112406615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210760290U (en)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electric automobile
KR20170112403A (en) Method for automated management of electric charging station
KR101810325B1 (en) System for roaming charge of electric vehicle, charger capable of roaming charge of electric vehicle, and server for roaming charge of electric vehicle
CN116176334A (en) Charging method, system, device and storage medium based on self-mobile charging device
KR20100071026A (en) Wireless charge parking system
KR20150118611A (en) Intelligent Electric Charge Control system of Electric Vehicle
KR20150033789A (en) Parking and charging service system for electric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