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090B1 - Wimax 네트워크들에서 슬립 모드 동안 전송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 Google Patents

Wimax 네트워크들에서 슬립 모드 동안 전송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090B1
KR101284090B1 KR1020117020836A KR20117020836A KR101284090B1 KR 101284090 B1 KR101284090 B1 KR 101284090B1 KR 1020117020836 A KR1020117020836 A KR 1020117020836A KR 20117020836 A KR20117020836 A KR 20117020836A KR 101284090 B1 KR101284090 B1 KR 101284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data associated
utilizing
exchange
instru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282A (ko
Inventor
규천 이
패트릭 임
유 왕
춘 우 이
광밍 칼 시
종 로 박
톰 친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2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제 2 연결이 제 1 연결의 청취 간격과 중첩되는 저전력 상태에 있는 동안 제 2 연결에 대한 데이터가 교환되도록 한다.

Description

WIMAX 네트워크들에서 슬립 모드 동안 전송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TRANSMISSION SCHEDULING DURING SLEEP MODE IN WIMAX NETWORKS}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특히 서빙 기지국과의 다수의 연결들을 유지하는 이동국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제 1 전력 절약 클래스(PSC: power saving class)에 따라 제 1 연결에 대하여 제 1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제 2 PSC에 따라 제 2 연결에 대하여 제 2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제 1 연결의 청취 윈도우 및 제 2 연결의 슬립 윈도우의 중첩 기간(overlapping period) 동안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제 1 전력 절약 클래스(PSC)에 따라 제 1 연결에 대하여 제 1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로직; 제 2 PSC에 따라 제 2 연결에 대하여 제 2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로직; 및 제 1 연결의 청취 윈도우 및 제 2 연결의 슬립 윈도우의 중첩 기간 동안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전력 절약 클래스(PSC)에 따라 제 1 연결에 대하여 제 1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 제 2 PSC에 따라 제 2 연결에 대하여 제 2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 및 제 1 연결의 청취 윈도우 및 제 2 연결의 슬립 윈도우의 중첩 기간 동안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가능하다. 상기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제 1 전력 절약 클래스(PSC)에 따라 제 1 연결에 대하여 제 1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명령들; 제 2 PSC에 따라 제 2 연결에 대하여 제 2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명령들; 및 제 1 연결의 청취 윈도우 및 제 2 연결의 슬립 윈도우의 중첩 기간 동안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 대한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위에서 간략히 요약된 더욱 특별한 설명이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실시예들 중 일부가 첨부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단지 특정한 통상적인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따라서 그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고, 설명을 위해서 다른 동일하게 유효한 실시예들에 허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기술을 활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송신기 및 수신기를 예시한다.
도 4는 다수의 연결들의 활성화(activity)에 기반한 이동국의 유용성(availability)을 예시한다.
도 5는 비활성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에 대하여 활성 연결로부터의 대역폭을 활용하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도 5a은 도 5의 예시적인 동작들에 대응하는 수단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비활성 기간 동안 대역폭을 활용하는 연결을 예시한다.
도 7은 활성 연결로부터의 대역폭을 활용할때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도 7a는 도 7의 예시적인 동작들에 대응하는 수단의 블록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우선순위 비트가 인에이블되지 않을때 비활성 기간 동안 대역폭을 활용하는 연결을 예시한다.
도 8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우선순위 비트가 인에이블될때 비활성 기간 동안 대역폭을 활용하는 연결을 예시한다.
IEEE 802.16 하의 OFDM 및 OFDMA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서브캐리어들의 주파수들의 직교성에 기반하여 시스템들에서 서비스들을 위하여 등록된 무선 디바이스들(즉, 이동국들)과 통신하기 위하여 기지국들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다중경로 페이딩 및 간섭에 대한 저항력(resistance)과 같은, 광대역 무선 통신들에 대한 다수의 기술적 장점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BS)은 이동국들(MS)로 그리고 이동국들(MS)로부터의 데이터를 운반(convey)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들을 방사하고 수신한다.
MS에서의 전력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으로, IEEE 802.16 표준은 전력 절약 클래스(PSC: power saving class)들을 정의하며, 여기서 MS는 슬립 윈도우들 동안, 또는 더 일반적으로 저전력 윈도우들 동안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파워-다운(power-down)시킬 수 있다. MS는 PSC가 활성화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간헐적인 청취 윈도우들 동안 활성화(activity)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웨이크-업(wake-up)한다. MS는 동일한 기지국과의 상이한 연결들을 위하여 PSC들을 개별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MS는 각각의 연결을 위한 청취 윈도우 동안 컴포넌트들을 파워-업(power-up)시켜야 한다. 하나의 연결을 위한 청취 윈도우가 다른 연결을 위한 슬립 또는 저전력 윈도우와 중첩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절약은 선택적이지 않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제 1연결의 청취 윈도우가 제 2 연결의 저전력 윈도우와 중첩할때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제 1 연결의 대역폭을 이동국이 활용하도록 한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여기에서 제시된 기술들은 직교 멀티플렉싱 방식에 기초하는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C-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OFDM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분할하는 변조 기술인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활용한다. 이들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톤들, 빈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OFDM에 있어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독립적으로 변조될 수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처 분배되는 서브-캐리어들을 통해 전송하는 인터리빙된 FDMA(IFDMA: interleaved FDMA), 인접 서브-캐리어들의 블록을 통해 전송하는 로컬화된 FDMA(LFDMA: localized FDMA), 또는 인접 서브-캐리어들의 다수의 블록들을 통해 전송하는 강화된 FDMA(EFDMA: enhanced FDMA)를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을 사용하여 주파수 도메인으로 전송되며, SC-FDMA를 사용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전송된다.
직교 멀티플렉싱 방식에 기초한 통신 시스템의 하나의 예는 WiMAX 시스템이다.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를 의미하는 WiMAX는 장거리들에 걸쳐 고-스루풋 광대역 연결(connection)들을 제공하는 표준-기반 광대역 무선 기술이다. 오늘날 WiMAX의 두 가지 주요 애플리케이션들, 즉 고정 WiMAX 및 모바일 WiMAX가 존재한다. 고정 WiMAX 애플리케이션들은 예컨대 집들 및 사무실들에 대하여 광대역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포인트-투-멀티포인트이다. 모바일 WiMAX는 OFDM 및 OFDMA에 기반하며, 광대역 속도들로 셀룰러 네트워크들의 최대 이동성을 제공한다.
IEEE 802.16x는 고정 및 모바일 광대역 무선 접속(BWA) 시스템들을 위한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정의하기 위한 최근 생겨난 표준 기구이다. 이러한 표준들은 적어도 4개의 상이한 물리 계층(PHY)들 및 하나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계층을 정의한다. 4개의 물리 계층들 중 OFDM 및 OFDMA 물리 계층은 고정 및 모바일 BWA 영역들에서 각각 가장 대중적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예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다수의 셀들(102)에 대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셀들 각각은 기지국(104)에 의해서 서비스된다. 기지국(104)은 사용자 단말기들(106)과 통신하는 고정국일 수 있다. 기지국(104)은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어떤 다른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시스템(100) 전반에 걸쳐 흩어져 있는 다양한 사용자 단말기들(106)을 도시한다. 사용자 단말기들(106)은 고정(즉, 정지)적이거나 이동적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들(106)은 원격국들, 액세스 단말기들, 단말기들, 가입자 유닛들, 이동국들, 국들, 사용자 장비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들(106)은 셀룰러 전화기들, PDA들(personal digital assistants),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무선 모뎀들, 랩탑 컴퓨터들, 개인용 컴퓨터들 등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다양한 알고리즘들 및 방법들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기지국들(104)과 사용자 단말기들(106) 간의 전송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들이 OFDM/OFDMA 기술들에 따라 기지국들(104)과 사용자 단말기들(106) 사이에서 전송되고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OFDM/OFDMA 시스템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04)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6)로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108)로서 지칭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6)로부터 기지국(104)으로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110)로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운링크(108)는 순방향 링크 또는 순방향 채널로서 지칭될 수 있고, 업링크(110)는 역방향 링크 또는 역방향 채널로서 지칭될 수 있다.
셀(102)은 다수의 섹터들(112)로 분할될 수 있다. 섹터(112)는 셀(102) 내의 물리적인 커버리지 영역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의 기지국들(104)은 셀(102)의 특정 섹터(112) 내에 전력 흐름을 집중(concentrate)시키는 안테나들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들은 지향성 안테나들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202)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예이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기지국(104) 또는 사용자 단말기(106)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그 무선 디바이스(2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04)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프로세서(204)는 중앙 처리 유닛(CPU)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판독-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206)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프로세서(204)에 제공한다. 메모리(206)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프로세서(204)는 통상적으로 메모리(206)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에 기초하여 논리 및 산술 연산들을 수행한다. 메모리(206) 내의 명령들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202) 및 원격 위치 간에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를 구비할 수 있는 하우징(208)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는 트랜시버(214)로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216)는 하우징(208)에 부착될 수 있으며, 트랜시버(2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미도시된)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다수의 트랜시버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트랜시버(214)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레벨을 검출하여 정량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신호 검출기(218)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기(218)는 총 에너지, 심볼 당 서브캐리어 마다의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로서 이러한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신호들을 처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이 버스 시스템(222)을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그 버스 시스템은 데이터 버스 외에도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OFDM/OFDMA를 활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송신기(302)의 예를 예시한다. 송신기(302)의 부분들은 무선 디바이스(202)의 송신기(2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송신기(302)는 다운링크(108)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106)에 데이터(306)를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104)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송신기(302)는 또한 업링크(110)를 통해서 기지국(104)에 데이터(306)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10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송될 데이터(306)는 직렬-대-병렬(S/P) 변환기(308)로의 입력으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S/P 변환기(308)는 전송 데이터를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로 분할할 수 있다.
이어서,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은 매퍼(312)로의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매퍼(312)는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을 N개의 성상도 포인트들 상에 매핑할 수 있다. 그 매핑은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shift keying), 8PSK(8 phase-shift keying),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과 같은 임의의 변조 성상도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매퍼(312)는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들(316)을 출력할 수 있는데, 각각의 심볼 스트림(316)은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320)의 N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이러한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들(316)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표현되고, IFFT 컴포넌트(320)에 의해서 N개의 병렬 시간 도메인 샘플 스트림들(318)로 변환될 수 있다.
용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이제 제공될 것이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N개의 병렬 변조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N 매핑 및 N-포인트 IFFT와 동일한,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N개의 변조 심볼들과 동일한데, 그것은 시간 도메인에서의 N개의 샘플들과 동일한, 시간 도메인에서의 하나의 (유용한) OFDM 심볼과 동일하다. 시간 도메인에서의 하나의 OFDM 심볼 NS은 NCP(OFDM 심볼마다의 가드(guard) 샘플들의 수)와 N(OFDM 심볼마다의 유용한 샘플들의 수)의 합과 동일하다.
N개의 병렬 시간 도메인 샘플 스트림들(318)은 병렬-대-직렬(P/S) 변환기(324)에 의해 OFDM/OFDMA 심볼 스트림(322)으로 변환될 수 있다. 가드 삽입 컴포넌트(326)는 OFDM/OFDMA 심볼 스트림(322) 내의 연속적인 OFDM/OFDMA 심볼들 사이에 가드 간격을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가드 삽입 컴포넌트(326)의 출력이 무선 주파수(RF) 프론트 엔드(328)에 의해서 원하는 전송 주파수 대역으로 상향변환될 수 있다. 이어서, 안테나(330)는 최종 신호(332)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또한 OFDM/OFDMA를 활용하는 무선 디바이스(202)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수신기(304)의 예를 도시한다. 수신기(304)의 부분들은 무선 디바이스(202)의 수신기(212)에서 구현될 수 있다. 수신기(304)는 다운링크(108)를 통해 기지국(104)으로부터 데이터(306)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10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수신기(304)는 또한 업링크(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6)로부터 데이터(306)를 수신하기 위해 기지국(104)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송된 신호(332)는 무선 채널(334)을 통해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신호(332')가 안테나(330')에 의해 수신될 때, 수신된 신호(332')는 RF 프론트 엔드(328')에 의해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될 수 있다. 이어서, 가드 제거 컴포넌트(326')가 가드 삽입 컴포넌트(326)에 의해 OFDM/OFDMA 심볼들 사이에 삽입되었던 가드 간격을 제거할 수 있다.
가드 제거 컴포넌트(326')의 출력이 S/P 변환기(324')에 제공될 수 있다. S/P 변환기(324')는 OFDM/OFDMA 심볼 스트림(322')을 N개의 병렬 시간-도메인 심볼 스트림들(318')로 분할할 수 있는데, 그 N개의 병렬 시간-도메인 심볼 스트림들(318') 각각은 N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고속 푸리에 변환(FFT) 컴포넌트(320')가 N개의 병렬 시간-도메인 심볼 스트림들(318')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고, N개의 병렬 주파수-도메인 심볼 스트림들(316')을 출력할 수 있다.
디매퍼(demapper)(312')는 매퍼(312)에 의해 수행되었던 심볼 매핑 동작의 역(inverse)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을 출력할 수 있다. P/S 변환기(308')는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을 단일 데이터 스트림(306')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이러한 데이터 스트림(306')은 송신기(302)로의 입력으로서 제공되었던 데이터(306)에 대응한다. 엘리먼트들(308', 310', 312', 316', 320', 318', 324')이 모두 기저대역 프로세서에서 발견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WiMAX 시스템들의 슬립 모드 동작에서 다수의 전력 절약 클래스들의 예시적인 전송 스케줄링
상이한 타입들의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지원은 WiMAX 표준(들)의 부분이다. 강한 QoS 지원은 연결-지향(connection-oriented) MAC 아키텍처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QoS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임의의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기전에, BS 및 MS는 2개의 MAC-계층 피어(peer)들 간의 연결로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단방향성 논리 링크를 설정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MS 및 BS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여러 연결들을 설정할 수 있다. 각각의 연결은 특정 링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들을 위한 일시적 어드레스로서 사용되는 연결 식별자(CID)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상이한 데이터 전달 요구들을 가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WiMAX 표준은 연결을 통한 데이터 이송을 위하여 BS의 MAC 스케줄러에 의하여 지원되어야 하는 다양한 상이한 스케줄링 또는 데이터 전달 서비스들을 정의한다. 이들 스케줄링 또는 데이터 전달 서비스들은 원하지 않은 승인 서비스(UGS: unsolicited grant service), 실시간 가변 레이트(RT-VR), 확장 실시간 가변 레이트(ERT-VR), 비실시간 가변 레이트(NRT-VR) 및 BE(best effort)를 포함한다. BS 및 MS 간의 각각의 연결이 CID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식별가능하기 때문에, 각각의 연결은 BS 및 MS 간의 모든 다른 연결들로부터 어느 정도 독립적일 수 있으며, 상이한 연결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서비스들을 가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MS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절약 클래스(PSC)가 청취 윈도우에 있는 경우에 이용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2개의 PSC들(예컨대, PSC1 및 PSC2)의 활성화에 기반한 MS(400)의 유용성(410)을 예시한다. 예컨대, PSC1은 청취 윈도우(420)가 지속기간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안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슬립 윈도우(422)를 가질 수 있다. 대조적으로, PSC2는 지속기간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청취 윈도우(430) 및 슬립 윈도우(43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결과는 MS(400)가 비주기적 슬립 사이클을 가진다는 것이며, 이 비주기적 슬립 사이클에서 MS는 PSC1의 청취 윈도우(420) 및 PSC2의 청취 윈도우(430) 중 한 윈도우 동안 서빙 BS에 대하여 이용가능하다.
다양한 PSC들의 슬립 윈도우 기간의 결과가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이기 때문에, MS(400)는 최적의 효율적인 방식보다 덜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MS(400)는 제 1 PSC(예컨대, PSC1)에 따라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청취 윈도우 동안 이용가능한 비활용(un-utilized) BW를 가질 수 있으나, 제 2 연결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은 제 2 PSC(예컨대, PSC2)에 따라 제 2 연결에 할당되는 청취 윈도우까지 불필요하게 연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슬립 윈도우의 제 2 PSC와 관련있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청취 윈도우의 제 1 PSC의 대역폭을 MS(400)가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슬립 윈도우의 제 2 PSC와 관련있는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청취 윈도우의 제 1 PSC의 대역폭을 MS(400)가 활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특정 실시예들은 PSC의 정의(definition)에 하나 이상의 새로운 파라미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실시예들은 슬립 윈도우의 PSC가 다른 PSC들의 청취 윈도우 동안 데이터를 전송/수신하도록 허용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대역폭 활용 플래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0의 값을 가진(예컨대, 세팅되지 않은) 대역폭 활용 플래그(들)는 슬립 윈도우의 PSC가 다른 PSC들의 청취 윈도우 동안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반면에, 1의 값을 가진 (예컨대 세팅된) 대역폭 활용 플래그(들)는 슬립 윈도우의 PSC가 다른 PSC들의 청취 윈도우 동안 데이터를 전송/수신하도록 허용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청취 윈도우의 PSC가 슬립 윈도우의 다른 PSC들 보다 높은 우선권(priority)을 가지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우선순위 플래그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0의 값을 가진 우선순위 플래그는 청취 윈도우의 PSC가 슬립 윈도우의 다른 PSC들와 동일한 우선권을 가진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는 반면에, 1의 값을 가진 우선순위 플래그는 청취 윈도우의 PSC가 슬립 윈도우의 PSC들 보다 높은 우선권을 가진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우선순위 플래그 및 대역폭 활용 플래그는 WiMAX PSC 활성화 절차를 통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우선순위 플래그 및 대역폭 활용 플래그는 PSC 활성화 전에 MS 및 BS 간에 교환되는 MOB_SLP-REQ 또는 MOB_SLP-RSP MAC 관리 메시지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도 5는 슬립 윈도우의 제 1 PSC와 관련있는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청취 윈도우의 제 2 PSC의 대역폭을 활용할때 MS(400)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동작들(500)은 예컨대 MS가 이용가능한 대역폭(BW)을 보다 양호하게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노력으로 MS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동작들은 단계(50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MS(400)는 제 1 연결을 위한 제 1 PSC를 선택하고 제 1 연결에 대하여 저전력 상태로 진입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같이, 저전력 상태는 하나 이상의 슬립 윈도우들, 또는 하나 이상의 저전력 윈도우들 뿐만아니라 하나 이상의 청취 윈도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윈도우들의 기간 및 주파수는 선택된 PSC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할 수 있다. 예컨대, 타입 1의 PSC는 지속기간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청취 윈도우를 가질 수 있는 반면에, 각각의 후속 슬립 윈도우는 이전 슬립 윈도우의 크기의 2배이나 가장 큰 특정 슬립 윈도우 보다 크지 않다. 대조적으로, 타입 2의 PSC는 지속기간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청취 윈도우를 가질 수 있는 반면에, 슬립 윈도우 또한 지속기간에 일정하게 유지된다.
단계(504)에서, MS는 제 2 연결을 위한 제 2 PSC를 선택하고 제 2 연결에 대하여 저전력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같이, 저전력 상태는 하나 이상의 슬립 윈도우들, 또는 하나 이상의 저전력 윈도우들 뿐만아니라 하나 이상의 청취 윈도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506)에서, 제 1 연결에 할당된 슬립 윈도우 및 제 2 연결에 할당된 청취 윈도우 동안, MS(400)는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제 2 연결에 할당된 BW를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동작들(500)의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MS(400)는 제 1 연결 및 제 2 연결을 가진다. 일부 경우들에서, MS(400)는 제 1 PSC에 따라 제 1 연결에 대하여 저전력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예컨대, MS(400)는 제 1 연결이 BE 또는 NRT-VR 서비스 품질(QoS)을 가진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고, 제 1 저전력 상태로 진입할때 타입 I의 PSC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연결에 대하여 저전력 상태에 있는 동안, MS(400)는 제 2 PSC에 따라 제 2 연결에 대하여 저전력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예컨대, MS(400)는 제 2 연결이 UGS 또는 RT-VR QoS를 가진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으며, 제 2 저전력 상태로 진입할때 타입 II의 PSC를 선택할 수 있다.
임의의 시점에서, MS(400)는 전송 또는 수신되려고 하는,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 예컨대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 1 연결은 슬립 윈도우에 있을 수 있다. 만일 선택된 PSC(예컨대, PSC1)가 슬립 윈도우들(422) 동안 MPDU들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다른 활성 PSC의 BW를 활용하도록 정의되었다면, MS(400)는 MPDU1으로 예시된 MPDU을 전송 또는 수신할때 청취 윈도우(420) 때까지 대기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MS(400)는 슬립 윈도우들 동안 MPDU들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다른 활성 PSC의 BW를 활용하도록 PSC를 정의할때 대역폭 활용 플래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선택된 PSC(예컨대, PSC2)가 슬립 윈도우들(432) 동안 MPDU들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다른 활성 PSC의 BW를 활용하도록 정의되지 않았다면, MS(400)는 MPDU2로 예시된 MPDU를 전송 또는 수신하기전에 후속 청취 윈도우(430) 때까지 대기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일부의 경우들에서, 제 1 PSC는 슬립 윈도우들 동안 MPDU들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제 2 연결의 BW를 활용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나, 제 2 연결은 자기 자신의 MPDU들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자신에 할당된 BW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또한 하나의 PSC를 가진 연결과 관련있는 MPDU들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다른 PSC을 가진 연결에 할당된 BW를 활용할때 상이한 PSC들을 사용하는, 연결들 간의 절차를 결정하기 위하여 PSC 정의에 추가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하나의 PSC을 가진 연결과 관련있는 MPDU들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다른 PSC을 가진 연결에 할당된 BW를 활용할때 상이한 PSC들을 사용하는, 연결들 간의 절차를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동작들(700)은 예컨대 2개 이상의 상이한 PSC들 ― 적어도 제 1 PSC는 MS가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제 2 연결에 할당된 BW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의됨―을 가진 적어도 2개의 연결들을 사용하는 MS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동작들은 단계(70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MS는 제 1 PSC을 가진 제 1 연결이 슬립 윈도우에 있는지 그리고 제 2 PSC을 가진 제 2 연결이 청취 윈도우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제 1 연결이 슬립 윈도우에 있지 않거나 또는 제 2 연결이 청취 윈도우에 있지 않으면, 단계(704)에 예시된 바와같이 MS는 적절한 때에 MPDU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만일 제 1 연결 및 제 2 연결 모두가 청취 윈도우들에 있으면, MS는 선착순 방식(first come first served basis)으로 MPDU들을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MS는 제 1 및 제 2 연결들의 QoS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MPDU들의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제 1 연결이 슬립 윈도우에 있고 제 2 연결이 청취 윈도우에 있으면, MS는 우선순위 플래그가 인에이블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706). 일부 실시예들에서, MS는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가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에 비하여 우선권을 가지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제 2 연결의 우선순위 플래그를 검사할 수 있다.
만일 제 2 연결을 위한 우선순위 플래그가 인에이블되지 않으면, MS는 적절한때에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MPDU들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제 2 연결에 할당된 BW를 활용할 수 있다(단계 708).
예컨대, 도 8a는 MS가 2개의 상이한 PSC들을 가진 2개의 연결들을 가지는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제 1 연결은 타입 I의 PSC에 따라 저전력 상태에 있다. 대조적으로, 제 2 연결은 타입 II의 PSC에 따라 저전력 상태에 있다. 본 예에서, 제 1 연결의 PSC는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MPDU들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제 2 연결에 할당된 BW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의된다. 더욱이, 제 2 연결의 PSC는 비록 제 2 연결이 청취 윈도우에 있을지라도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MPDU들이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MPDU들에 비하여 우선순위를 가지지 않도록 정의된다. 따라서, MS가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MPDU 및 전송 또는 수신되려 하는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MPDU(예컨대, MPDU1 및 MPDU2)를 가질때, MS는 선착순 방식으로 MPDU들을 처리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만일 제 2 연결을 위한 우선순위 플래그가 인에이블되면, MS는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MPDU들의 전송 또는 수신 이후에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MPDU들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제 2 연결에 할당된 BW를 활용할 수 있다(단계 710).
예컨대, 도 8b는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MPDU들이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MPDU들에 비하여 우선순위를 가지도록(즉, PSC2의 우선순위 플래그가 인에이블되도록) 제 2 연결의 PSC가 정의된 것을 제외하고, 도 8a에 예시된 시나리오와 유사한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MS가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MPDU 및 전송 또는 수신되려 하는,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MPDU(예컨대, MPDU 1/2) 모두를 가질때 PSC2의 우선순위 플래그가 인에이블되기 때문에, MS는 MS가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MPDU(MPDU2)를 처리한 후에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MPDU(MPDU1)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은 도면들에 예시된 수단+기능 블록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상대 수단+기능 도면들을 가진 도면들에 예시된 방법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동작 블록들은 유사한 부호를 가진 수단+기능 블록들에 대응한다. 예컨대, 도 5에 예시된 블록들(502-506)은 도 5a에 예시된 수단+기능 블록들(502a-506a)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도 7에 예시된 블록들(702-710)은 도 7a에 예시된 수단+기능 블록들(702a-710a)에 대응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 "결정하는"은 다양한 동작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결정하는"은 계산하는, 컴퓨팅하는, 처리하는, 유도하는, 조사하는, 찾는(look up)(예컨대,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찾는), 확인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수신하는(예컨대, 정보를 수신하는), 액세스하는(예컨대, 메모리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해결하는, 선택하는, 고르는, 설정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및 신호들은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앞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령, 명령, 정보, 신호 등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기장 또는 입자, 광 필드 또는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진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의 조합과 같이 계산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진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둘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해당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들의 일부 예들은 RAM(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제거가능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하나의 명령 또는 많은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고, 수 개의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을 통해,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 그리고 다수의 저장 매체들에 걸쳐 분배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그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그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그 방법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즉,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 순서들이 규정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그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일예일뿐 비제한적으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disk 및 disc는 CD(compact disc), 레이저 disc, 광학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disk, 및 Blu-ray
Figure 112011069663916-pct00001
disc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disk는 일반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는데 반해, disc는 레이저들을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도 또한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만약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예시된 것과 같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들이 다운로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적용가능할 때 이동국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이러한 디바이스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들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이 저장 수단(예컨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 저장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이동국 및/또는 기지국이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연결하거나 혹은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제공하였을 때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다. 게다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이 위에서 설명된 바로 그 구성 및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어레인지먼트, 동작 및 세부내용들에 있어 다양한 변경들, 변화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것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과 관련되는 반면에, 개시내용의 다른 및 추가 실시예들이 개시내용의 기본적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고안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는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하여 결정된다.

Claims (28)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 1 전력 절약 클래스(PSC: power saving class)에 따라 제 1 연결(connection)에 대하여 제 1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제 2 PSC에 따라 제 2 연결에 대하여 제 2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연결의 청취 윈도우 및 상기 제 2 연결의 슬립 윈도우의 중첩 기간(overlapping period) 동안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연결의 청취 윈도우 동안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하나 이상의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의 대역폭을 활용하는 것이 허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플래그들을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플래그들이 세팅되었다는 것을 결정한 후에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된 데이터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플래그들을 세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의 대역폭을 활용하는 것이 허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MOB_SLP-REQ 또는 MOB_SLP-RSP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이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에 비하여 우선권을 가지는지를 먼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이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에 비하여 우선권을 가진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가 교환된 후에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전력 절약 클래스(PSC)에 따라 제 1 연결에 대하여 제 1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로직;
    제 2 PSC에 따라 제 2 연결에 대하여 제 2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제 1 연결의 청취 윈도우 및 상기 제 2 연결의 슬립 윈도우의 중첩 기간 동안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제 1 연결의 청취 윈도우 동안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하나 이상의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전송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의 대역폭을 활용하는 것이 허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플래그들을 세팅하기 위한 로직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플래그들이 세팅되었다는 것을 결정한 후에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플래그들을 세팅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제 2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의 대역폭을 활용하는 것이 허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MOB_SLP-REQ 또는 MOB_SLP-RSP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이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에 비하여 우선권을 가지는지를 먼저 결정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이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에 비하여 우선권을 가진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가 교환된 후에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전력 절약 클래스(PSC)에 따라 제 1 연결에 대하여 제 1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
    제 2 PSC에 따라 제 2 연결에 대하여 제 2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연결의 청취 윈도우 및 상기 제 2 연결의 슬립 윈도우의 중첩 기간 동안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연결의 청취 윈도우 동안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하나 이상의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의 대역폭을 활용하는 것이 허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플래그들을 세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플래그들이 세팅되었다는 것을 결정한 후에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플래그들을 세팅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2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의 대역폭을 활용하는 것이 허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MOB_SLP-REQ 또는 MOB_SLP-RSP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이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에 비하여 우선권을 가지는지를 먼저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이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에 비하여 우선권을 가진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가 교환된 후에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2.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명령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하여 실행가능하며,
    상기 명령들은,
    제 1 전력 절약 클래스(PSC)에 따라 제 1 연결에 대하여 제 1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명령들;
    제 2 PSC에 따라 제 2 연결에 대하여 제 2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제 1 연결의 청취 윈도우 및 상기 제 2 연결의 슬립 윈도우의 중첩 기간 동안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제 1 연결의 청취 윈도우 동안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하나 이상의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의 대역폭을 활용하는 것이 허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플래그들을 세팅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플래그들이 세팅되었다는 것을 결정한 후에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플래그들을 세팅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제 2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의 대역폭을 활용하는 것이 허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MOB_SLP-REQ 또는 MOB_SLP-RSP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이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에 비하여 우선권을 가지는지를 먼저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활용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이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의 교환에 비하여 우선권을 가진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제 1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가 교환된 후에 상기 제 2 연결과 관련있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17020836A 2009-02-06 2010-02-05 Wimax 네트워크들에서 슬립 모드 동안 전송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101284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67,492 2009-02-06
US12/367,492 US8238280B2 (en) 2009-02-06 2009-02-06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ssion scheduling during sleep mode in WIMAX networks
PCT/US2010/023346 WO2010091270A1 (en) 2009-02-06 2010-02-05 Transmission scheduling during sleep mode in wimax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282A KR20110124282A (ko) 2011-11-16
KR101284090B1 true KR101284090B1 (ko) 2013-07-10

Family

ID=4210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836A KR101284090B1 (ko) 2009-02-06 2010-02-05 Wimax 네트워크들에서 슬립 모드 동안 전송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38280B2 (ko)
EP (1) EP2394470B1 (ko)
JP (1) JP5318970B2 (ko)
KR (1) KR101284090B1 (ko)
CN (1) CN102308639B (ko)
TW (1) TW201108834A (ko)
WO (1) WO2010091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4978B2 (en) 2011-09-27 2017-10-17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radio resources in sleep mode
TWI474740B (zh) 2012-12-04 2015-02-21 Univ Nat Taiwan Science Tech 資料叢發排程方法
KR101941848B1 (ko) 2013-08-12 2019-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노드의 에너지 소비 감소를 위한 전송 노드, 수신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0642A1 (en) 2006-09-18 2008-03-20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solidating power saving class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64576A (en) 2004-10-14 2006-10-05 Alvar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wireless systems
KR100913087B1 (ko) 2005-06-09 200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소모 방지 모드에서 핸드오버 제어 방법
KR100725406B1 (ko) * 2005-09-26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전력 절약 모드를 가지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리스닝 구간을 조절하여 전력을 절약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9010529A (ja) * 2007-06-26 2009-01-15 Kyocera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7826459B2 (en) * 2007-08-10 2010-11-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existence of different network technolog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0642A1 (en) 2006-09-18 2008-03-20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solidating power saving cla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17739A (ja) 2012-08-02
WO2010091270A1 (en) 2010-08-12
KR20110124282A (ko) 2011-11-16
JP5318970B2 (ja) 2013-10-16
EP2394470B1 (en) 2014-03-19
TW201108834A (en) 2011-03-01
CN102308639B (zh) 2014-08-13
CN102308639A (zh) 2012-01-04
EP2394470A1 (en) 2011-12-14
US8238280B2 (en) 2012-08-07
US20100202333A1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298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ation and activation of power saving classes by a mobile station in a sleep mode
EP2356867B1 (en) Power saving paging in a mobile wimax system
US8634879B2 (en) Methods and systems to prolong mobile station operation during low battery power
US879792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power savings mode dur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US825501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ate-driven power savings for WiMAX
US20100118797A1 (en) Methods and systems using fast dl / ul synchronization for mobile systems
KR101182875B1 (ko) 무선 통신을 위해 보안 키들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JP5420681B2 (ja) アラートおよび同期をブロードキャス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654737B2 (en) Methods and systems using fast connection setup procedure for WiMAX networks
KR101284090B1 (ko) Wimax 네트워크들에서 슬립 모드 동안 전송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87978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 savings in FDD or H-FDD networks
EP2442615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program product for extending an operational time of a mobil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