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839B1 - Play back type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Play back type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839B1
KR101283839B1 KR1020130023452A KR20130023452A KR101283839B1 KR 101283839 B1 KR101283839 B1 KR 101283839B1 KR 1020130023452 A KR1020130023452 A KR 1020130023452A KR 20130023452 A KR20130023452 A KR 20130023452A KR 101283839 B1 KR101283839 B1 KR 101283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camera
license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명진
윤영일
Original Assignee
엣파크코리아 유한회사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엣파크코리아 유한회사,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엣파크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8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8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street parking system with a security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recognizing a license plate number using a playback mode are provided to accurately recognize the license plate number of a vehicle by repeating an image where the license plate number is captured in case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vehicle is not successfully recognized. CONSTITUTION: Sensor units (31-3N) sense incoming or outgoing of a first vehicle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Depending on the sensing signal, whether to turn on a visible ray LED module and an infrared ray LED module is determined. Cameras (41-4N) take images of the entire area of a street parking lot, store the images, and photograph the license plate of the first vehicle using the sensing signal and the light from the visible ray LED module. A control unit recognizes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from the photographed license plate image. If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is not successfully recognized, the control unit repeatedly plays the photographed license plate image in order to accurately recognize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Reference numerals] (10)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1) First section management server; (22) Second section management server; (2N) N-th section management server; (31) First sensor; (32) Second sensor; (3N) N-th sensor; (41) First camera; (42) Second camera; (4N) N-th camera; (50) Unmanned charge calculator

Description

보안기능을 구비한 플레이백 방식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PLAY BACK TYPE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PLAY BACK TYPE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보안기능을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실내환경 보다 조명여건이 열악한 실외환경에 설치되어 주간 및 야간 상시 보안영상 및 차량번호인식을 위해 운용이 필수적인 적외선 조명과 가시광선 조명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고, 주차차량 진입상태는 물론 전방의 도로 및 주차장 상황을 사각 없이 촬영하고 그 촬영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보안기능을 구비하며 입차 또는 출차 시 차량번호인식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저장된 영상 중 차량번호가 보이는 구간의 영상을 반복 재생 인식하여 부분인식이나 미인식을 방지하게 하는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roadside parking system having a security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outdoor environment in which lighting conditions are inferior to an indoor environment as needed, and selectively uses infrared light and visible light lighting that are essential for day and night security images and license plate recognition, and parking vehicle. It has a security function to record the road and parking lot in front of the entrance and parking lot without any blind spot and store the recorded video.If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is not completed when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the image of the section where the vehicle number is visible And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roadside parking system for repeatedly recognizing and preventing partial recognition or unrecognition.

차량의 증가 추세에 따라 주차난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증가하는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도 많은 수의 주차장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vehicles, the parking shortage is a serious problem, and it is expected that a large number of parking lots will be created in the future to solve the increasing parking shortage.

이때, 주차장은 도로의 노면 또는 교통광장의 일정한 영역에 설치된 노상 주차장, 도로의 노면 또는 교통광장 외의 장소에 설치된 노외 주차장, 및 건축물 등 주차수요를 유발하는 시설에 부대하여 설치된 부설 주차장 등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이러한 주차장은 유인 또는 무인 운영 방식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arking lot may be classified into a roadside parking lot installed on a road surface or a certain area of a traffic plaza, an off-street parking lot installed on a road surface or a place other than a traffic plaza, and an attached parking lot installed along with a facility that causes parking demand, such as a building. Such parking lots may be classified as either manned or unmanned.

여기서 유인 방식은 요금 정산을 위하여 직원이 배치되어야 하므로 과다한 인건비가 소요되고 유인징수 시 부정의 소지가 있어 요금누수 발생 등이 대두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incentive method requires an employee to be arranged for the settlement of the fee, so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labor costs are requir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incurring charge leakage due to the misuse of the inducement collection.

그리고, 노상 주차장의 경우 주차장 전체를 통제하는 고정된 요금 정산소가 설치될 수 없기 때문에, 직원은 관리 영역이 넓은 경우 주차장 전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울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oadside parking lot, since the fixed fee settlement that controls the entire parking lot cannot be installed, it may be difficult for an employee to efficiently manage the whole parking lot when the management area is large.

한편, 무인 방식의 경우, 노외 주차장 및 부설 주차장은 그 입구와 출구가 제한되어 있어 출입하는 차량을 차단기 등으로 통제하여 무인으로 관리하기가 용이하지만 노상 주차장은 주차구획이 도로의 노면 등에 설치되어 있는 특성 때문에 출입하는 차량을 쉽게 통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unmanned parking lot, the off-road parking lot and the attached parking lot are limited to the entrance and exit, so it is easy to manage the unmanned parking lot by controlling the entering and exiting vehicles with a breaker, etc.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entering and exiting vehicle easily.

이러한 노상 주차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a에 개시된 것과 같이, 무인 운영 노상 주차장은 플랩 제어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roadside parking lot, as disclosed in FIG. 1A, the unmanned roadside parking lot frequently uses a flap control scheme.

여기서, 플랩 제어 방식은 차량이 주차할 때 주차장 바닥으로부터 플랩이 상승하여 차량을 구속함으로써 주차 정산이 완결될 때까지 차량의 무단 출차를 방지하는 방식이다.Here, the flap control method prevents unauthorized vehicle leaving until the parking settlement is completed by restraining the vehicle by raising the flap from the floor of the parking lot when the vehicle is parked.

그러나 이러한 플랩 제어 방식은, 주차장 조성 및 운영 원가 중 플랩의 비용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므로, 주차장 조성 및 운영 원가를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랩 제어 방식은 요금이 자발적이 아니고 강제적으로 징수되어 주차장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However, since the flap control method occupies the largest part of the parking lot creation and operation costs, the flap control method increases the parking lot creation and operation costs. In addition, the flap control scheme may cause a feeling of rejection to the parking lot user because the fee is not voluntarily collected by force.

따라서 최근에는 도 1b에 개시된 것과 같이, 입차에서 출차까지 인력 없이 운영 가능한 차량번호 인식 방식 노상 주차장 무인 정산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Accordingly, as disclosed in FIG. 1B,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type roadside parking lot unmanned settlement system capable of operating without personnel from entering to leaving of the vehicle has been used.

그러나 이러한 노상 주차장 무인 정산 시스템은 각각의 차량 촬영은 용이하나 전체 주차장의 촬영을 위해서는 별도의 CCTV를 이용해야 하고, CCTV가 촬영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존재하며, 쉽게 주차 요금을 정산하기 어렵고, 야간에 조명장치가 없을 경우 보안기능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시 야간에도 보안영상을 동영상 촬영 및 저장하고 차량진입 시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조명장치 등이 필요하다.However, this open parking lot unmanned settlement system is easy to shoot each vehicle, but to shoot the entire parking lot, you need to use a separate CCTV, there is a blind spot that CCTV can not shoot, difficult to settle the parking fee at night, If there is no light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curity function is vulnerable. Therefore,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capturing and storing a video of the security video even at night and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when entering the vehicle is required.

또한, 차량이 진입하고 나면 카메라에 근접하여 주차하므로 차량번호판이 보이지 않게 되는데 진입 시 차량번호인식이 부분인식 되거나 미인식 되었을 경우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the vehicle is parked close to the camera after entering, the license plate becomes invisible. If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is partially recognized or unrecognized at the time of entry, a solution for this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 10-2012-0108837호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10-2012-0108837

본 발명은 보안기능을 구비한 플레이백 기능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with a playback function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having a security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적외선 조명과 가시광선 조명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고, 주차차량 진입상태는 물론 전방의 도로 및 주차장 상황을 사각 없이 촬영하는 보안기능과 그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보안기능을 구비하며 입차 또는 출차시 차량번호인식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저장된 영상 중 차량번호가 보이는 구간의 영상을 반복 재생 인식하여 부분인식이나 미인식을 방지하게 하는 플레이백 기능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uses an infrared light and visible light as needed, and a security function for photographing the road and parking lot in front of the parking vehicle as well as the front road and the parking lot without a blind spot and a security function for storing the captured image. If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is not completed at the time of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the user can use the playback function vehicle number recognition roadside parking system to prevent partial or unrecognized recognition by repeatedly playing and recognizing the image of the section showing the vehicle number among the stored images. Is to provide to.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복수의 주차구획을 관리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주차구획에 대한 제 1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 및 주차상태를 감지하고,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발광여부가 결정되는 가시광선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 및 적외선 LED 모듈, 상기 노상 주차장의 전체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하고, 상기 센싱 신호 및 상기 가시광선 LED의 발광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촬영된 번호판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 1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차량의 번호가 적어도 일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번호판 영상을 반복 재생하여 상기 제 1 차량의 번호가 인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싱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적외선 LED 모듈은 온(on) 되고 상기 가시광선 LED는 오프(off) 되며, 상기 센싱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시광선 LED 모듈은 온(on) 되고 상기 적외선 LED는 오프(off) 될 수 있다.A roadside parking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parking compartments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detects the entry or exit and parking state of the first vehicle for the plurality of parking compartments,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The sensor unit, the visible light LED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the infrared LED module to determine whether the emiss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and photographing and storing the entire image of the street parking lot, the sensing signal and the visible light LED light emission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license plate image of the first vehicle and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th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from the photographed license plate image, wherein th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is not recognized at least partially; The control unit repeatedly reproduces the photographed license plate image to control th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to be recognized, and the sensing signal. If not generated, the infrared LED module is on and the visible light LED is off. When the sensing signal is generated, the visible light LED module is on and the infrared LED is off. can be off.

또한, 상기 가시광선 LED 모듈과 적외선 LED 모듈은 야간에만 동작하고, 상기 가시광선 LED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빛은 눈으로 지각되는 380~780 나노미터(nanometer) 범위의 파장을 가진 가시광선이고, 상기 적외선 LED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빛은 눈으로 지각되지 않는 범위의 파장을 가진 비 가시광선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isible light LED module and the infrared LED module operates only at night, the light output through the visible light LED module is visible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of 380 ~ 780 nanometers (nanometer) perceived by the eyes, The light output through the infrared LED module may be non-visible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invisible to the ey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차량의 입차 시간으로부터 현재 시간까지 계산된 주차 시간, 상기 주차 시간으로부터 주차 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주차 시간, 주차 요금, 노상 주차장의 전체 영상, 번호판 영상 및 제 1 차량의 번호를 저장하는 무인요금정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a parking time calculated from the entrance time of the first vehicle to the current time, the parking fee from the parking time, and the parking time, parking fee, the entire image of the on-street parking lot, the license plate image, and the first.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n unmanned fare checker for storing the number of the vehicle.

또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역관리서버에 저장된 상기 주차 시간, 주차 요금, 노상 주차장의 전체 영상, 번호판 영상 및 제 1 차량의 번호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통합관리센터로 전송되며, 상기 무선통신부와 통합관리센터는 근거리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무선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parking time, parking fee, the entire image of the roadside parking lot, the license plate image, and th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stored in the zone management server ar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communicate using at least on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Wi-Fi (WiFi, Wireless-Fidelity), Bluetooth,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and ZigBee technologies,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an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t least one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nd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may be used.

또한, 상기 구역관리서버에 저장된 상기 주차 시간, 주차 요금, 노상 주차장의 전체 영상, 번호판 영상 및 제 1 차량의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주차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구역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zone management server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one of the parking time, the parking fee, the entire image of the roadside parking lot, the license plate image, and th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stored in the zone management server, and settle the parking fee. Can be.

또한, 상기 카메라는, 외부의 카드를 인식하여 상기 주차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카드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ay further include a card reader for recognizing an external card and calculating the parking fee.

또한, 상기 카메라는, 1대의 카메라 장치 모듈에 2대의 센서모듈을 결합한 1대의 카메라로 2면이 인식 가능한 듀얼 센서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ay further include a dual sensor camera capable of recognizing two surfaces as one camera in which two sensor modules are combined with one camera device module.

또한,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음성을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음향입력 및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of a user and a sound input and output unit for inputting or outputting a voice.

또한, 상기 카메라 상단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광고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dvertisement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amera to display a predetermined advertisement, wherein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and a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or a 3D displa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적외선 조명과 가시광선 조명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주차차량 진입상태는 물론 전방의 도로 및 주차장 상황을 사각 없이 촬영하는 보안기능과 입차 또는 출차시 차량번호인식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저장된 영상 중 차량번호가 보이는 구간의 영상을 반복 재생 인식하여 미인식을 방지하게 하는 플레이백 차량번호인식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n infrared light and visible light selectively, blinding the entrance of the parking vehicle, as well as the road and parking conditions in front of the vehicle. Provides users with a security function of shooting without a license and a playback vehicle number recognition function that prevents unrecognition by repeatedly recognizing the image of the section where the vehicle number is displayed among the stored images when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is not completed when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can do.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a는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플랩 방식 노상 무인 주차장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차량인식 기반 무인 주차장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플레이백 차량번호인식기능을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보안기능을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보안기능을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의 형태와 관련된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의 구성요소 중 적외선 LED 및 가시광선 LED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보안기능을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IP 채널수 절감을 위해 1 CPU-2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네트워크 라인 감소를 위해 데이지 체인 TCP/IP 방식을 이용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광고기능을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FIG. 1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flap type roadside unmanned parking lot used in the prior art, and FIG. 1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vehicle recognition based unmanned parking lot used in the related art.
2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roadside parking system having a playback vehicle number recognition function associated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roadside parking system having a security function associated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having a security func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camer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specific example related to the shape of the camer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specific example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camer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 specific example of the infrared LED and visible light LED of the components of the camer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cific operation of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having a security functi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llustrates a specific example of using one CPU-2 image sensor to reduce the number of IP channel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 specific example of using a daisy chain TCP / IP scheme for network line reductio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llustrates a specific example of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having an advertis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배경기술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노상 주차장은 주차구획이 도로의 노면 등에 설치되어 있는 특성 때문에 출입하는 차량을 쉽게 통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ackground art, the street parking lo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control the entering and exiting vehicl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that the parking section is installed on the road surface.

이를 해결하기 위한 도 1a에 개시된 플랩 제어 방식은, 주차장 조성 및 운영 원가 중 플랩의 비용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므로, 주차장 조성 및 운영 원가를 상승시키고, 요금이 자발적이 아니고 강제적으로 징수되어 주차장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lap control method disclosed in FIG. 1A has the largest portion of the cost of the parking lot creation and operation costs, thereby increasing the parking lot creation and operation costs, and the fee is collected voluntarily and is forcibly collected. The disadvantage is that it may cause a sense of rejection.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 1b에 개시된 일반적인 차량번호 인식기반 노상 주차장 무인 정산 시스템은 각각의 차량 촬영은 용이하나 전체 주차장의 촬영을 위해서는 별도의 CCTV를 이용해야 하고, CCTV가 촬영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존재하며, 보안기능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general vehicle number recognition-based on-street parking lot unmanned settlement system disclosed in Figure 1b for solving the problem is easy to shoot each vehicle, but to shoot the entire parking lot to use a separate CCTV, CCTV can not shoot blind spots Zones exis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security functions are weak.

또한, 차량이 주차구획에 입차 또는 출차시 차량번호인식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차량이 주차한 상태에서는 카메라에 차량번호가 비추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데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number is not completely made when entering or leaving the parking compartment, there is a problem in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in this case because the vehicle number is not reflected on the camera when the vehicle is park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안기능을 구비한 플레이백 방식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yback typ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having a security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백 방식이 적용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to which a playback method is applied is proposed.

즉, 차량이 주차를 완료한 경우, 차량번호판이 뒤로 오기 때문에 번호인식이 안되면 다시 인식하기가 불가능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vehicle has completed parking, it may frequently occur that if the number is not recognized because the license plate comes back, it is impossible to recognize the vehicle agai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가 입차할 때의 영상을 다시 플레이 백하여 영상의 상태를 변화시키면서 번호를 인식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recognizing a number while changing the state of the image by playing back the image when the car arrives may be used.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플레이백 차량번호인식기능을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2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roadside parking system having a playback vehicle number recognition function associated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의 (a) 내지 (f)에 따르면 순차적으로 차량이 주차를 완료해 감에 따라 차량번호판이 뒤로 오기 때문에 번호인식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According to (a) to (f) of FIG. 2A, the number plate is difficult to recognize because the license plate comes back as the vehicle sequentially completes parking.

더 나아가 도 2a의 (f) 단계에 이르면 번호 인식이 완전히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된다.Furthermore, when the step (f) of FIG. 2A is reached, a case in which number recognition is completely impossible occur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 백 방식을 이용하여 (f)에서 (a) 단계로 순차적으로 영상을 플레이 백함으로써, 번호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laying back images sequentially from the steps (f) to (a) using a playback method, information without number recognition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적외선 조명과 가시광선 조명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고, 주차차량 진입상태는 물론 전방의 도로 및 주차장 상황을 사각 없이 촬영하는 보안기능을 구비하고 입차 또는 출차시 차량번호인식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저장된 영상 중 차량번호가 보이는 구간의 영상을 반복 재생 인식하여 부분인식 및 미인식을 방지하게 하는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uses an infrared light and visible light as needed, and equipped with a security function for photographing the road and the parking lot situation in front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parking vehicle entrance state without a blind spot, and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when entering or leaving In case it is not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roadside parking system that prevents partial recognition and unrecognition by repeatedly reproducing and recognizing an image of a section showing a vehicle number among stored image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노상주차 시스템에 대해 도 2a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eet park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3.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보안기능을 구비한 플레이백 방식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2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layback typ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having a security func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를 참조하면, 보안기능을 구비한 플레이백 방식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1)은 통합관리센터(10), 복수의 구역관리서버(21, 22, … , 2N)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a playback typ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1 having a security function may include an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and a plurality of zone management servers 21, 22,..., 2N. .

단,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주차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B are not essential, a parking system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먼저, 통합관리센터(10)는 각 주차장에 설치된 무인 정산 시스템과 연결되어 각 시스템을 통합하여 관리한다. First,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is connected to the unmanned settlement system installed in each parking lot to integrate and manage each system.

통합관리센터(10)는 후술하는 복수의 구역관리서버(21, 22, … , 2N)로부터 갱신된 사항을 수신하고, 미납 차량에 대한 데이터에 대한 갱신 사항만을 각 주차장의 구역관리서버(21, 22, … , 2N)로 전송한다.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receives the updated items from the plurality of zone management servers 21, 22, ..., 2N to be described later, and updates only the data on the unpaid vehicle data of the zone management server 21 of each parking lot. 22, ..., 2N).

이러한 데이타의 교환은 실시간으로 되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되거나 또는 통합관리센터(10)의 지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is exchange of data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repea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or may be performed under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통합관리센터(10)는 각 주차장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각 주차장을 통합하여 관리한다.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collects data received from each parking lot and integrates and manages each parking lot.

통합관리센터(10)의 관리자는 복수의 구역관리서버(21, 22, … , 2N)로부터 전송된 각 주차장의 동영상 및 데이타를 확인하고 각 주차장을 통제할 수 있다. The manager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can check the video and data of each parking lot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zone management servers 21, 22,..., 2N and control each parking lot.

또한, 주차장 사용자가 인터넷폰을 통해 관리자와 연결하는 경우, 통합관리센터(10)의 관리자는 사용자와 대화하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rking lot user connects to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Internet phone, the administrator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can solve the problem while talking to the user.

통합관리센터(10) 에 취합된 정보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 인터넷 또는 PDA 등에 제공되어 주차장을 사용하려는 자에게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formation collected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may be provided to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 the Internet, or a PDA to provide parking information to a person who wants to use the parking lot.

또한, 통합관리센터(10)는 각 주차장의 주차 요금 미납 차량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주차 요금 미납 차량의 주소지로 미납된 주차 요금에 대한 고지서를 발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may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unpaid parking fee of each parking lot and issue a bill for unpaid parking fee to the address of the unpaid parking fee.

통합관리센터(10)는 ITS 연계, PDA 연계, Internet 연계 등을 이용하여 외부(예를 들면,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에 주차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may provide parking related information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homepage of a local government) by using an ITS linkage, a PDA linkage, and an Internet linkage.

또한, 통합관리센터(1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각 노상주차장을 관리하는 복수의 구역관리서버(21, 22, … , 2N)와 통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may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zone management servers 21, 22,..., 2N managing each street parking lot using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복수의 구역관리서버(21, 22, … , 2N)는 검지된 각 주차면의 입차 및 출차 시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원거리 또는 근거리 동영상,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영상,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차량의 번호, 무인 요금 정산기를 통해 주차요금이 정산되었는지 여부, 주차 요금 미납 차량에 대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zone management server (21, 22, ..., 2N) is the entrance and exit time of each detected parking surface, the long-distance or near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the image including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from the captured image Data such as the number of the extracted vehicle, whether the parking fee is settled through the unmanned fare checker, and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that has not paid the parking fee can be stored.

또한, 복수의 구역관리서버(21, 22, … , 2N)는 저장된 데이터를 통합관리센터(1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zone management servers 21, 22,..., 2N may transmit the stored data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복수의 구역관리서버(21, 22, … , 2N)가 각각의 할당된 주차장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a method of managing a plurality of assigned parking lots by the plurality of zone management servers 21, 22,..., 2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보안기능을 구비한 플레이백 방식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playback typ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having a security func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보안기능을 구비한 플레이백 방식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1)은 통합관리센터(10), 복수의 구역관리서버(21, 22, … , 2N), 복수의 센서부(31, … , 3N), 복수의 카메라(41, … , 4N) 및 무인요금정산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주차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a playback typ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1 having a security function includes an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a plurality of zone management servers 21, 22,..., 2N, and a plurality of sensor units. 3,..., 3N, a plurality of cameras 41,..., 4N, and an unmanned rate calculator 50. However,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a parking system having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 설명한 노상주차 시스템(1)의 통합관리센터(10) 및 복수의 구역관리서버(21, 22, … , 2N)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and the plurality of zone management servers 21, 22,..., 2N of the roadside parking system 1 described in FIG. 2 will be omitted.

또한, 복수의 구역관리서버(21, 22, … , 2N) 중 제 1 구역관리서버(21)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단, 제 1 구역관리서버(21)에서 설명된 구성 및 효과는 다른 구역관리서버(22, … , 2N)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entering on the first zone management server 21 among the plurality of zone management servers 21, 22,..., 2N.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described in the first zone management server 21 can be applied to other zone management servers 22, ..., 2N.

제 1 구역관리서버(21)는 제 1 센서부(31)와 제 1 카메라(41) 및 무인요금 정산기(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zone management server 21 may include a first sensor unit 31, a first camera 41, and an unmanned fare calculator 50.

먼저, 제 1 센서부(31)는 입차 차량과 출차 차량을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First, the first sensor unit 31 provides a function of detecting an entering vehicle and an exiting vehicle.

제 1 센서부(31)는 제 1 주차장 내의 차량의 입차/출차 상태, 차량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차량의 방위, 차량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제 1 주차장 내의 차량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노상주차 시스템(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first sensor unit 31 det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in the first parking lot such as the entry / exit state of the vehicle in the first parking lo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vehicle,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ike.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system 1 is generated.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여부 등을 센싱할 수 있고, 상기 제 1 센싱부(31)는 근접 센서나 이미지분석 센서 등을 각각의 개별적 기능을 하거나 각각의 기능을 포함하는 모듈단위의 기능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etc., the first sensing unit 31, each of the proximity sensor, image analysis sensor, etc., each of the individual functions or includes a module unit including each function Can function.

한편, 제 1 카메라(41)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camera 4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shooting mode.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노상주차 시스템(1)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treet parking system 1 although not shown.

제 1 카메라(4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기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first camera 41 may be stored in a memory inside the controller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또한, 제 1 카메라(4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first cameras 4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기존의 번호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은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루프 코일과, 하나의 원거리 카메라를 이용하였다.Existing numbered roadside parking system uses a plurality of loop coils and one remote camera install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즉, 주차장의 각 주차면 중앙부에는 루프 코일이 배치되고, 루프 코일은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각 주차면에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검지할 수 있었다.That is, a loop coil is arranged in the center of each parking surface of the parking lot, and the roof coil can detect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on each parking surface based on the change of the magnetic field.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루프 코일을 반드시 구비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제 1 센서부(31)는 입차 및 출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loop coil is not necessarily provided, the above-described first sensor unit 31 may detect whether the vehicle is in or out.

또한, 기존의 번호인식 노상주차시스템은 감시 카메라로서의 원거리 카메라를 주차장(100) 전체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였고, 이러한 원거리 카메라는 평소에는 고정식으로 사용되어 주차장 전체를 촬영 및 녹화할 수 있었다.In addition, the existing number recognition roadside parking system installed a remote camera as a surveillance camera at a location where the entire parking lot 100 can be photographed, and such a remote camera was usually used as a fixed type to record and record the entire parking lot.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노상주차장의 차량번호인식카메라에 주차차량 진입상태의 촬영은 물론 전방의 도로 및 주차장 상황을 사각이 없이 촬영이 가능하도록 광각카메라(41)를 적용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e-angle camera 41 may be applied to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camera of the street parking lot so that not only the shooting of the parking vehicle entering state but also the road and the parking lot in front of the vehicle can be taken without blind spots.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각카메라(41)는 촬영되는 동영상을 저장하여 별도의 CCTV 카메라를 설치 하지 않아도 보안기능이 가능하므로, 종래 시스템과 달리 원거리 카메라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ide-angle camera 41 t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urity function is possibl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CCTV camera by storing the video to be photograph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need a remote camera unlike the conventional system.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각카메라(41)는 광각 렌즈를 이용하는 카메라로 광각 렌즈는 카메라 렌즈의 일종으로 초점거리가 화면 대각선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말한다.The wide-angle camera 41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mera using a wide-angle lens. The wide-angle lens is a kind of camera lens, which means that the focal length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creen diagonal.

광각 렌즈는 표준 렌즈에 비해 넓은 시야를 제공하므로 원경에서부터 근경에 이르기까지의 넓은 시야의 풍경 등의 촬영에 주로 사용된다. Wide-angle lenses provide a wider field of view than standard lenses, so they are mainly used for shooting landscapes with a wide field of view from far-field to near-field.

또한, 광각 렌즈는 좁은 공간을 확대시키고 원근감을 과장시키며 움직이는 피사체가 카메라에 다가올수록 더 빨리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the wide-angle lens is characterized by enlarging a narrow space, exaggerating perspective and making a moving subject appear to move faster as it approaches the camera.

이때를 특별히 광각효과라고도 하며 이처럼 광각렌즈를 사용한 화면을 광각화면이라고 한다.This is particularly called a wide-angle effect, and the screen using the wide-angle lens is called a wide-angle screen.

또한 기존의 번호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은 차량이 주차구획에 입차 또는 출차시 차량번호인식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차량이 주차한 상태에서는 카메라에 차량번호가 비추어지지 않기 때문에 차량번호를 인식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existing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has a problem in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because the vehicle number is not reflected on the camera when the vehicle is parked when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is not completed when the vehicle enters or leaves the parking compartment.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입차 또는 출차시 부분인식이나 미인식등 차량번호인식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저장된 영상 중 차량번호가 보이는 구간의 영상을 반복 재생 인식하여 미인식을 방지하게 하는 보안기능을 구비한 플레이백 방식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을 적용하였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uch as partial recognition or unrecognition, is not completed when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play with a security function that prevents unrecognition by repeatedly replaying and recognizing the image of the section where the vehicle number is visible among stored images. A bag typ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is applied.

다시 도 3으로 복귀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보안기능을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1)은 무인요금정산기(50)를 포함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again,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1 having the security functi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nmanned fare checker 50.

여기서 무인요금정산기(50)는 정산기 내부에 제어기를 포함 하거나 제어기로 부터의 인식자료등을 연계하여 주차장 내의 모든 주차면에 대한 주차 요금을 통합하여 정산할 수 있게 한다. Here, the unmanned tariff setter 50 may include a controller inside the setter or link the recognition data from the controller to integrate the parking fee for all parking surfaces in the parking lot.

무인요금정산기(50)는 해당구역의 구역관리서버와 연결되며 복수의 구역관리서버 (21, 22, … , 2N)와 연결되어 있다.The unmanned fare calculator 50 is connected to the zone management server of the corresponding zone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zone management servers 21, 22, ..., 2N.

주차장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무인 요금 정산기 (50)는 연결된 주차구획내의 검지된 차량의 입차 시간, 입차 시간으로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주차 시간, 주차 시간으로부터 계산된 차량의 주차 요금, 입차시 촬영된 영상,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차량 번호 등을 출력할수 있다. 또한, 주차요금 미납금액등 별도의 알려줄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해당 차량일 경우에는 복수의 구역관리서버(21, 22, … , 2N)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주차장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 번호 4자리를 입력할 수 있다. When the parking lot user enters the vehicle number in which his vehicle is parked, the unmanned fare checker 50 calculates the entrance time of the detected vehicle in the connected parking compartment, the parking time from the entrance time to the current time, and the vehicle time calculated from the parking time. The parking fee, the image taken when entering the vehicle, the vehicle number extracted from the image of the vehicle, etc. can be output. In addition, if there is additional data such as the parking fee unpaid amount, if the vehicle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zone management server (21, 22, ..., 2N)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parking lot user can enter their own four-digit vehicle number.

사용자가 차량 번호를 입력하면, 무인 요금 정산기(50)는 주차된 차량 중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 센서부(31)에 의해 검지된 차량의 입차시간, 입차 시간으로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주차 시간, 주차 시간으로부터 계산된 차량의 주차 요금, 입차시 카메라(41)에 의해 촬영된 영상,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차량 번호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When the user inputs the vehicle number, the unmanned fare checker 50 is currently parked from the parking surface on which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of the parked vehicles is parked, the entrance time of the vehicl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31, and the entrance time. The parking time until the time, the parking fee of the vehicle calculated from the parking time,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41 at the time of arrival, the vehicle number extracted from the image of the vehicle and the lik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입력된 번호를 가진 차량이 복수 주차되어 있는 경우, 무인 요금 정산기(50)는 입력된 번호를 가진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 중에서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vehicles having an input number are parked, the unmanned fare calculator 50 may select a parking surface on which the user's vehicle is parked from among parking surfaces on which the vehicle having the input number is parked.

이 때, 무인 요금 정산기(50)는 각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의 사진이나 입차 시간, 주차 시간, 영상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nmanned fare checker 50 may display a picture, a parking time, a parking time, an image, etc. of the vehicle parked on each parking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it.

또한, 무인 요금 정산기(50)는 이전 사용자에 해당되는 차량에 미정산 주차 요금이 있는 경우, 구역관리서버(21, 22, … , 2N)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합산하여 요금을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unmanned parking fee is in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 user, the unmanned fee checker 50 may receive the fee from the zone management servers 21, 22,.

또한,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확인한 후, 현금,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의 상용화된 수단을 사용하여 주차 요금을 정산한다.In addition, after checking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pays the parking fee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means such as cash, credit card, and traffic card.

무인 요금 정산기(50)는 인터넷폰을 더 포함하여 주차장 사용자와 통합관리센터(10)의 관리자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unmanned fare checker 5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et phone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parking lot user and the manager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10.

주차 요금 정산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때, 사용자는 인터넷폰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When a problem occurs in the parking fee settlement process, the user can solve the problem using an Internet phone.

한편, 전술한 무인요금정산기(50)의 기능은 동일하게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 1 카메라(41)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unmanned tariff 50 may be provided through the first camera 41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way.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를 별도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ler 180 may be further provided separately.

여기서,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보안기능을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Her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1 having a security function.

여기에 설명되는 제어부(controller, 180)의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controller 180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제어부(controller, 18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또한,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어부(controller, 180)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the controller 180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amer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제 1 구역관리서버(21) 내지 제 N 구역관리서버(2N)에 적용될 수 있는 카메라는 제 1 카메라(41) 내지 제 N 카메라(4N)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카메라(41) 내지 제 N 카메라(4N)를 통칭하여 스마트 카메라(40)라고 호칭한다.Cameras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rst zone management server 21 to the N-th zone management server 2N are the first camera 41 to the Nth camera 4N,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camera 41 to the N-th zone management server 2N. The N-th camera 4N is collectively called the smart camera 40.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camer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 카메라는 제 1 카메라 조명부(100), 제 2 카메라 조명부(200), 음향출력 및 입력부(300), 호출버튼부(400), 사용자 입력부(500), 카드 리더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Referring to Figure 4 (a), the smart camer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camera lighting unit 100, the second camera lighting unit 200, sound output and input unit 300, call button unit 400, the user The input unit 500 may include a card reader 60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또한, 도 4의 (b) 및 (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 카메라의 제 1 카메라 조명부(100) 및 제 2 카메라 조명부(200)를 확대하여 표시한 것이다.In addition, (b) and (c) of Figure 4 is an enlarged display of the first camera illumination unit 100 and the second camera illumination unit 200 of the smart camer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의 형태와 관련된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ure 5 shows a specific example related to the shape of the camer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 카메라(40)는 다양한 형태의 제 1 카메라 조명부(100) 및 제 2 카메라 조명부(200)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5, the smart camera 4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amera lighting unit 100 and a second camera lighting unit 200 in various forms. .

또한,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된 구성이 결합된 전체 스마트 카메라(4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ure 5 (b) shows an example of the entire smart camera 40 combined with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 5 (a).

단,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스마트 카메라(40)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다른 형태의 스마트 카메라(40)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However, the smart camera 40 shown in (a) and (b) of FIG. 5 is merely an exampl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other types of smart cameras 40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Do.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 카메라(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6, the smart camera 4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 shows a specific example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camer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 카메라는 제 1 카메라 조명부(100), 제 2 카메라 조명부(200), 음향출력 및 입력부(300), 호출버튼부(400), 사용자 입력부(500), 카드 리더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smart camer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mera lighting unit 100, a second camera lighting unit 200, an audio output and input unit 300, a call button unit 400, and a user input unit 500. It may include a card reader 600.

먼저, 제 1 카메라 조명부(100)와 제 2 카메라 조명부(200)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first camera lighting unit 100 and the second camera light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제 1 카메라 조명부(100)와 제 2 카메라 조명부(200)는 각각 카메라와 조명부로 구성된다.The first camera lighting unit 100 and the second camera lighting unit 200 are composed of a camera and a lighting unit, respectively.

여기서 조명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ing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고, 조명부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may include a transparant OLED (TOLED), and the rear structure of the lighting unit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 transmissive structure.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마트 카메라(40)에 적용되는 조명부는 발광 다이오드(LED) 인 것으로 가정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lighting unit applied to the smart camera 40 is a light emitting diode (LED).

이때, 제 1 카메라 조명부(100)와 제 2 카메라 조명부(200)에 적용되는 조명부는 복수의 조명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ing unit applied to the first camera lighting unit 100 and the second camera lighting uni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s.

즉, 본 발명은 상시 거부감 없고 번호인식이 가능한 촬영이 가능 하도록 특수 2WAY 대역 LED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 조명부(100) 및 제 2 카메라 조명부(200)의 좌 우측 부분은 적외선 LED이고 나머지 중앙 부분은 가시광선 LED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pecial 2WAY band LED to enable shooting without a sense of rejection at all times. For example,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first camera lighting unit 100 and the second camera lighting unit 200 may be infrared LEDs, and the remaining center portions may be visible light LEDs.

보안영상 촬영과 차량번호인식이 야간에도 상시 가능 하도록 하려면 LED조명 장치를 사용 하여야 한다. LED lighting device should be used to make security video recording and license plate recognition possible at night.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730나노 대역의 LED를 사용하여 야간에 상시 조명을 가동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LEDs in the 730-nm band can usually be used to operate the lights at night.

그러나730나노대의 LED는 붉은 색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사람이 지나가거나 차량이 지나갈 때 불쾌감, 불안감, 불화감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the LEDs of the 730-nano beam emit red light, which can cause discomfort, anxiety, and discomfort when a person passes by or when a vehicle passes by.

따라서 본 발명은 CCTV에서 보안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LED조명인 850나노대의 눈에 안보이는 적외선 LED조명을 항시 조명으로 발광시켜 보안감시하고 필요할 때에만(차량이 진입 또는 출차) 730나노 대의 가시광선 LED를 동시에 발광시키는 2WAY 방식 LED조장 장치를 구비하여 번호인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nitor the visible light of the 850nm invisible infrared LED light which is widely used for CCTV security in CCTV at all times to monitor the security and when necessary (vehicle entry or exit) 730nm visible light LED At the same time, it is equipped with a 2-way LED control device that emits light so that number recognition is possible.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 조명부(100) 및 제 2 카메라 조명부(200)의 각각의 좌 우측 부분은 적외선 LED이고 나머지 중앙 부분은 가시광선 LED인 것으로 가정한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each of the first camera lighting unit 100 and the second camera lighting unit 200 are infrared LEDs and the remaining center portions are visible LEDs.

이 경우, 야간에는 적외선 LED 조명을 구비한 제 1 카메라 조명부(100) 및 제 2 카메라 조명부(200)의 각각의 좌 우측 적외선 LED가 항시 이용되다가 차량이 진입하거나 출차하는 경우에는 중앙부의 가시광선 LED가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ft and right infrared LEDs of the first camera lighting unit 100 and the second camera lighting unit 200 each having an infrared LED light are used at night, and when the vehicle enters or leaves the center, the visible light LED in the center May optionally be used.

본 발명의 이러한 제 1 카메라 조명부(100)와 제 2 카메라 조명부(200)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전력의 효율적인 감소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거부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보장된다.When the first camera lighting unit 100 and the second camera lighting unit 200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powe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user's rejection.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의 구성요소 중 적외선 LED 및 가시광선 LED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7 shows a specific example of the infrared LED and visible light LED of the components of the camer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제 1 카메라 조명부(100) 및 제 2 카메라 조명부(200)의 각각의 좌 우측 부분은 적외선 LED이고 나머지 중앙 부분은 가시광선 LED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A and 7B, left and right portions of each of the first camera lighting unit 100 and the second camera lighting unit 200, which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frared LEDs and the remaining center portions are visible. You can see that it consists of a light-emitting LED.

다시 도 6으로 복귀하여, 음향출력 및 입력부(300), 호출버튼부(400), 사용자 입력부(500), 카드 리더기(600)에 대해 설명한다.6, the sound output and input unit 300, the call button unit 400, the user input unit 500, and the card reader 600 will be described.

먼저, 음향출력 및 입력부(300)는 스마트 카메라(4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및 입력부 모듈(30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First, the sound output and input unit 300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performed by the smart camera 40. The sound output and input module 300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또한, 호출버튼부(400)는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400)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all button unit 400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Examples of generated events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The alarm unit 400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by vibration, in addition to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또한, 사용자 입력부(500)는 사용자가 카드에 의한 정산 시 좌 우측의 주차구획 선택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50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500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parking compartment sele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 when the user pays by the card. The user input unit 50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카드리더기(600)는 사용자가 스마트카메라(40)에서 주차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The card reader 600 provides a function for the user to set the parking fee in the smart camera 40.

카드리더기(600)를 통해 카드를 통한 주차 요금 정산이 가능하고, 할인권이 있는 경우에도 동시에 이용 가능할 수 있다.Through the card reader 600, the parking fee can be settled through the card, and even if there is a discount ticket, it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기초로 보안기능을 구비한 플레이백 방식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operation of the playback typ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having a security function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보안기능을 구비한 플레이백 방식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operation of a playback typ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having a security functi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스마트 카메라(40)를 이용하여 주차장 전체영역 및 전방 도로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S100).Referring to FIG. 8, first, the entire parking lot area and the front road area may be photographed using the smart camera 40 (S100).

전술한 것과 같이, 기존의 시스템은 원거리 카메라를 고정 설치하여 주차장 전체 영역 및 전방 도로영역을 촬영하였으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 카메라(40)를 통해 입/출차 차량뿐만이 아니라 주차장 전체 영역 및 전방 도로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system is fixed to the remote camera to shoot the entire parking lot area and the front road area, but the parking lot area and the front road area as well as the incoming / outgoing vehicle through the smart camera 4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shoot.

다음으로, 야간에 카메라의 적외선 LED 조명이 발광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10).Next, an infrared LED light of the camera emits light at night (S110).

전술한 것과 같이, 제 1 카메라 조명부(100) 및 제 2 카메라 조명부(200)에서 적외선 LED로 구비된 부분만이 발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ly the portion of the first camera lighting unit 100 and the second camera lighting unit 200 provided with the infrared LED may emit light.

이후, 센서를 통해 입차가 감지될 수 있다(S120).Thereafter, the entrance may be detected through the sensor (S120).

이 경우, 카메라의 적외선 LED 조명이 오프되고, 카메라의 가시광선 LED 조명이 발광할 수 있다(S130).In this case, the infrared LED light of the camera is turned off, and the visible light LED light of the camera may emit light (S130).

즉, 제 1 카메라 조명부(100) 및 제 2 카메라 조명부(200)에서 적외선 LED 부분이 오프되고, 나머지 가시광선 LED 조명이 발광함으로써, 야간의 차량번호 인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infrared LED portion of the first camera lighting unit 100 and the second camera lighting unit 200 is turned off, and the remaining visible LED light emits light, thereby enabling nighttime vehicle number recognition.

이후, 가시광선 LED 조명의 발광과 광각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차되는 차량번호를 인지될 수 있다(S140).Subsequently, the vehicle number which is stored using the emission of the visible light LED light and the wide angle camera may be recognized (S140).

S140 단계에서는 도 2a를 참조하여 전술한 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In operation S140, the play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A may be applied.

즉, 차량이 주차를 완료하여 번호 인식이 어려운 경우, 차가 입차할 때의 영상을 다시 플레이 백하여 영상의 상태를 변화시키면서 번호를 인식 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vehicle has completed parking and the number recognition is difficult, the number can be recognized while changing the state of the image by playing back the imag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vehicle.

이후, 입차 차량번호가 인지되면, 입차시간, 입차시 영상, 차량번호를 저장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S150).Thereafter, if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the step of storing the entrance time, the image at the time of arrival, the vehicle number may be performed (S150).

상기 저장단계와 완료되면, 다시 카메라의 가시광선 LED 조명이 오프되고, 카메라의 적외선 LED 조명이 발광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60).Upon completion of the storing step, the visible LED light of the camera is turned off again, and the infrared LED light of the camera emits light (S160).

이후, 사용자는 카메라 또는 무인요금 정산기를 이용하여 주차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S170).Thereafter, the user may set the parking fee by using the camera or the unmanned fee setter (S170).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는 무인요금정산기(50)를 이용하여 요금 정산이 가능하고, 스마트 카메라(40)의 카드리더기(600)를 이용하여 요금 정산을 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settle the bill using the unmanned bill setter 50 and may settle the bill using the card reader 600 of the smart camera 40.

이후, 센서를 통해 출차가 감지될 수 있다(S180).Thereafter, the departure and departure may be detected through the sensor (S180).

이 경우에는 카메라의 적외선 LED 조명이 오프되고, 카메라의 가시광선 LED 조명이 발광할 수 있다(S190).In this case, the infrared LED light of the camera may be turned off, and the visible light LED light of the camera may emit light (S190).

또한, S140 단계와 마찬가지로 출차되는 차량번호를 인지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200).In additio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is discharged as in step S140 (S200).

S200 단계에서는 도 2a를 참조하여 전술한 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In operation S200, the play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A may be applied.

즉, 차량이 주차를 완료하여 번호 인식이 어려운 경우, 차가 입차할 때의 영상을 다시 플레이 백하여 영상의 상태를 변화시키면서 번호를 인식 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vehicle has completed parking and the number recognition is difficult, the number can be recognized while changing the state of the image by playing back the imag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vehicle.

이후, 출차시간, 출차시 영상, 차량번호, 주차요금정산여부를 저장될 수 있다(S210).Thereafter, the departure time, the image at the time of leaving, vehicle number, whether parking fee settlement can be stored (S210).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전체 주차장의 촬영을 위해서는 별도의 CCTV를 이용해야 하고, CCTV가 촬영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존재하며, 쉽게 주차 요금을 정산하기 어렵고, 보안기능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separate CCTV must be used for shooting the entire parking lot, and a blind spot cannot be photographed by the CCTV, and it is difficult to easily set the parking fee, and the security function is weak.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전력의 효율적인 감소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거부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보장된다.In addition,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power and to ensure that the user's rejection can be solved.

또한, 기존의 번호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은 차량이 주차구획에 입차 또는 출차시 차량번호인식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차량이 주차한 상태에서는 카메라에 차량번호가 비추어지지 않기 때문에 차량번호를 인식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existing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has a problem in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because the vehicle number is not reflected on the camera when the vehicle is parked if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is not completed when the vehicle enters or leaves the parking compartment. there was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입차 또는 출차시 부분인식이나 미인식등 차량번호인식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저장된 영상 중 차량번호가 보이는 구간의 영상을 반복 재생 인식하여 부분인식이나 미인식을 방지하게 하는 보안기능을 구비한 플레이백 방식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을 적용하여 번호인식이 안될 시의 문제점을 해결 하였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such as partial recognition or unrecognition, is not completed when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a security function for repeatedly detecting and recognizing the image of the section where the vehicle number is visible among the stored images prevents partial recognition or unrecognition. It solved the problem of not recognizing the number by applying the playback type vehicle number recognition roadside parking system.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례에 따르면, IP 채널수 절감을 위해 1 CPU-2 이미지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CPU-2 image sensor may be used to reduce the number of IP channels.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IP 채널수 절감을 위해 1 CPU-2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 9 illustrates a specific example of using one CPU-2 image sensor to reduce the number of IP channel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는 종래 노상 번호인식 카메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9 (a)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roadside number recognition camera.

도 9의 (a)에서는 1대의 노상카메라장치가 1면을 관리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2면을 감시하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때, 2채널의 IP가 필요하여 네트워크가 2라인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 of FIG. 9, a system for monitoring two surfaces may be configured in a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one road camera apparatus manages one surface. In this case, two channels of IP are required so that the network takes two lines. There is a problem.

즉, 도 9의 (a)의 경우에는 네트워크의 증가로 네트워크 구성비용이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FIG. 9A, the network configuration cost is complicated and the installation cost may be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network.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9의 (b)에 개시된 것과 같이, 1채널 1 CPU메인 카메라 장치에 2이미지 센서 모듈을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B, a method of providing a two-image sensor module to a one-channel one CPU main camera device is provided.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카메라에 2채널의 네트워크가 필요한 것을 1채널로 감소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eed for two-channel network to two cameras to one channel.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례에 따르면, 네트워크 라인 감소를 위해 데이지 체인 TCP/IP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isy chain TCP / IP scheme may be used for network line reduction.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네트워크 라인 감소를 위해 데이지 체인 TCP/IP 방식을 이용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10 illustrates a specific example of using a daisy chain TCP / IP scheme for network line reductio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의 (a)에 도시된 종래의 TCP/IP방식의 네트워크 구성은 병렬식으로 HUB에 연결되는 방식을 이용한다.The network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TCP / IP scheme shown in FIG. 10 (a) uses a scheme connected to the HUB in parallel.

단, 도 10의 (a)에 개시된 방법이 적용되면 장비 1대마다 1 라인(LINE)을 구성하여야 하므로, 만약 10대의 장비가 이용되면 맨 마지막 배관에는 10 라인(LINE)의 UTP 네트워크 라인(LINE)이 구성되어야 하므로, 라인(LINE)의 비용이나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method disclosed in FIG. 10 (a) is applied, one line should be configured for each equipment. If 10 equipments are used, the last pipe is 10 lines of UTP network lines (LINE). ) Should be configur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st of the line (LINE) or installation cost is high.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10의 (b)에 개시된 것과 같이, 데이지 체인 방식을 적용하여 직렬 연결함으로써 배관의 슬림함과 배선의 간소화, 공사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b), by applying a daisy chain method in series connection, slimness of pipes, simplified wiring, and simplified construction can be realiz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례에 따르면, 광고기능을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이 제공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having an advertisement function may be provided.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광고기능을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 11 illustrates a specific example of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having an advertis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는 전술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일반적인 스마트 카메라(4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FIG. 11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general smart camera 4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또한, 도 11의 (b)는 광고기능을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 카메라(40)에 접목한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ure 11 (b) shows a specific example in which the advertising function is combined with the smart camera 4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즉, 스마트 카메라(40)는 도로가의 보도블록 가장자리나 보행자가 보기 쉬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스마트 카메라(40) 상단부에 광고를 볼수 있는 광고용 보드를 구비하여 설치한다면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광고수익을 얻을 수 있다.That is, since the smart camera 40 can be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side of the road block or easy to see pedestrians, if the smart camera 40 is provided with an advertising board that can see the advertisement on the upper end of each smart camera 40 to obtain the advertising effect. So you can get advertising revenue.

구체적으로 광고용 보드 또는 광고 디스플레이부는 아크릴의 재질로 구성된 원기둥, 삼각기둥 또는 사각기둥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advertisement board or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may be made of a cylinder, a triangular prism or a square prism made of acrylic material.

또한,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내부는 형광등 및 LED 조명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외부에 포함된 정보가 형광등 및 LED 조명등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광되는 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luorescent lamp and an LED lamp, an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utside of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may be displayed using light e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fluorescent lamp and the LED lamp.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면, 입차되는 차량이 주차요금 미납차량인지 여부, 세금 또는 과태료 체납차량인지 여부 및 기소수배차량인지 여부를 관리자에게 손쉽게 알려주는 방법도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easily informing the administrator whether the vehicle is a parking fee unpaid vehicle, a tax or penalty arrears, and prosecution vehicle.

구체적으로 입차되는 차량의 번호가 외부의 통합관리센터로 전송되면, 외부의 통합관리센터로부터 차량의 번호를 이용하여 입차 차량이 주차요금 미납차량인지 여부, 세금 또는 과태료 체납차량인지 여부 및 기소수배차량인지 여부 등에 대해 판단한다.Specifically, when the number of the vehicle to be received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whether the vehicle is a parking fee unpaid vehicle, a tax or penalty arrears vehicle, and a prosecution vehicle using the vehicle number from the external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Determine whether or not.

또한, 통합관리센터는 상기 판단 결과를 다시 무선통신부를 통해 노상 주차 시스템에 알려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may inform the roadside parking system agai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이때, 입차 차량이 주차요금 미납차량, 세금 또는 과태료 체납차량 또는 기소수배차량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알람신호가 음향입력 및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occupant vehicle is a parking fee unpaid vehicle, a tax or penalty unpaid vehicle, or a prosecution vehicle, an alarm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sound input and output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더 나아가, 통합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입차 차량이 해당 주차구획에 정해진 기간 내에 주차 가능한 정기차량인지 여부, 거주자우선주차구역에 주차하는 거주자우선등록 주차차량인지 여부 및 무단주차차량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occupant vehicle is a regular vehicle that can park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he parking zone, a resident-first registered parking vehicle parked in the resident-first parking zone, and whether the vehicle is an unauthorized parking vehicle. It may also include.

또한, 통합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입차 차량이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하는 장애인 등록차량인지 여부 및 무단주차차량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occupant vehicle is a disabled registered vehicle parked in the disabled parking area and the unauthorized parking vehicle.

또한, 통합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입차 차량이 별도 관리구획으로 지정된 구역에 주차하는 별도관리 등록차량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별도 관리구획으로 지정된 구역은 카쉐어링 구간 및 VIP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occupant vehicle is a separate management registered vehicle parked in the area designated as a separate management section. In this case, the zone designated as the separate management section may include a car sharing section and a VIP sec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입차 차량의 번호, 주차위치 및 판단결과 정보가 무선통신부를 통해 입차 차량의 주차위치에 배정된 관리자의 단말로 자동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number of the parking vehicle, the parking position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administrator assigned to the parking position of the parking vehicle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추가적으로 제어부는 주차된 입차 차량의 번호, 주차위치 및 판단결과 정보가 무선통신부를 통해 입차 차량의 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소유자의 단말로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number of the parked vehicle to be parked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nformation to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vehicle owner parked at the parking position of the parking veh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i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the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보안기능을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roadside parking system having the security function described abov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optionally combined.

Claims (17)

복수의 주차구획을 관리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차구획에 대한 제 1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 및 주차상태를 감지하고,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발광여부가 결정되는 가시광선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 및 적외선 LED 모듈;
상기 노상 주차장의 전체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하고, 상기 센싱 신호 및 상기 가시광선 LED의 발광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촬영된 번호판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 1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차량의 번호가 적어도 일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번호판 영상을 반복 재생하여 상기 제 1 차량의 번호가 인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싱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적외선 LED 모듈은 온(on) 되고 상기 가시광선 LED는 오프(off) 되며,
상기 센싱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시광선 LED 모듈은 온(on) 되고 상기 적외선 LED는 오프(off) 되며,
상기 가시광선 LED 모듈과 적외선 LED 모듈은 야간에만 동작하고,
상기 가시광선 LED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빛은 눈으로 지각되는 380~780 나노미터(nanometer) 범위의 파장을 가진 가시광선이고, 상기 적외선 LED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빛은 눈으로 지각되지 않는 범위의 파장을 가진 비 가시광선이며,
상기 가시광선 LED 모듈, 적외선 LED 모듈 및 카메라는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배치되어 단위 촬영모듈을 구성하고,
상기 단위 촬영모듈은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In the roadside parking system that manages a plurality of parking compartments,
A sensor unit configured to detect entry or exit and parking conditions of the first vehicle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parking compartments and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A visible light LED (LED) module and an infrared LED module configured to emit light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A camera for capturing and storing the entire image of the roadside parking lot and photographing the license plate image of the first vehicle using the sensing signal and the emission of the visible light LED;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ognize th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from the photographed license plate image.
If at least a part of th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is not recognized, the control unit repeatedly controls to reproduce the photographed license plate image so that th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is recognized.
When the sensing signal is not generated, the infrared LED module is turned on and the visible light LED is turned off.
When the sensing signal is generated, the visible light LED module is turned on and the infrared LED is turned off.
The visible light LED module and the infrared LED module operates only at night,
The light output through the visible light LED module is visible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the range of 380 to 780 nanometers (nanometer) perceived by the eye, and the light output through the infrared LED module is a wavelength in the range not perceived by the eye. Is non-visible light with
The visible light LED module, the infrared LED module and the camera are arranged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to form a unit photographing module,
The unit park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road parking syste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량의 번호를 외부의 통합관리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의 통합관리센터로부터 상기 제 1 차량과 관련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입력 및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to an external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and receiving fir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vehicle from the external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And
The on-vehicle park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ound input a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차량이 주차요금 미납차량인지 여부, 세금 또는 과태료 체납차량인지 여부 및 기소수배차량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first vehicle is an unpaid vehicle, a tax or penalty arrears, and a prosecution vehic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정보는, 상기 제 1 차량이 해당 주차구획에 정해진 기간 내에 주차 가능한 정기차량인지 여부, 거주자우선주차구역에 주차하는 거주자우선등록 주차차량인지 여부 및 무단주차차량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first vehicle is a regular vehicle that can be park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he parking section, a resident-first registered parking vehicle that parks in the resident-first parking zone, and whether or not an unauthorized parking vehicle. Street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차량이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하는 장애인 등록차량인지 여부 및 무단주차차량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first vehicle is a disabled registered vehicle parked in a disabled parking zone and whether or not an unauthorized parking vehic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차량이 별도 관리구획으로 지정된 구역에 주차하는 별도관리 등록차량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별도 관리구획으로 지정된 구역은 카쉐어링 구간 및 VIP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first vehicle is a separate management registered vehicle parked in an area designated as a separate management section,
The on-site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designated as the separate management section includes a car sharing section and a VIP sec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차량의 번호, 주차위치 및 제 1 정보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차량의 주차위치에 배정된 관리자의 단말로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road park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administrator assigned to the parking position of the first veh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first information. syste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차량의 번호, 주차위치 및 제 1 정보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차량의 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 소유자의 단말로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road control, so that the number, the parking position and the first information of the first vehicle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vehicle owner parked at the parking position of the first veh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arking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차량의 입차 시간으로부터 현재 시간까지 계산된 주차 시간, 상기 주차 시간으로부터 주차 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주차 시간, 주차 요금, 노상 주차장의 전체 영상, 번호판 영상 및 제 1 차량의 번호를 저장하는 구역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parking time calculated from the entrance time of the first vehicle to the current time, the parking fee from the parking time,
The on-site park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zone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the parking time, parking fee, the entire image of the roadside parking lot, license plate image and th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제 10항에 있어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역관리서버에 저장된 상기 주차 시간, 주차 요금, 노상 주차장의 전체 영상, 번호판 영상 및 제 1 차량의 번호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통합관리센터로 전송되며,
상기 무선통신부와 통합관리센터는 근거리 무선통신 및 원거리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It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parking time, the parking fee, the entire image of the roadside parking lot, the license plate image and th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stored in the zone management server ar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communicates using at least one of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long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es at least one of Wi-Fi, Wireless-Fidelit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and ZigBee technologies. ,
The long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nd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echnology. Street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t least one of.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관리서버에 저장된 상기 주차 시간, 주차 요금, 노상 주차장의 전체 영상, 번호판 영상 및 제 1 차량의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주차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무인요금정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And an unmanned fee setter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parking time, the parking fee, the entire image of the roadside parking lot, the license plate image, and the number of the first vehicle stored in the zone management server, and calculating the parking fee. Street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외부의 카드를 인식하여 상기 주차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카드 리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amera further comprises a; card reader for recognizing an external card for calculating the parking fee, road park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1대의 카메라 장치 모듈에 2대의 센서모듈을 결합한 1대의 카메라로 2면이 인식 가능한 듀얼 센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era is a roadside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ual-sensor camera that can recognize two surfaces as one camera that combines two sensor modules in one camera device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음성을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음향입력 및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era comprises: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And
The on-vehicle park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sound input and output unit for inputting or outputting vo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상단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광고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 advertisement display unit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amera to display a preset advertisement;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is a roadside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는 아크릴의 재질로 구성된 원기둥, 삼각기둥 또는 사각기둥으로 제작되고,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내부는 형광등 및 LED 조명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외부에 포함된 정보가 상기 형광등 및 LED 조명등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광되는 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주차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advertising display unit is made of a cylinder, a triangular column or a square column made of acrylic material,
The interior of the advertising display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fluorescent and LED lighting,
On-street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outside of the advertising display unit is displayed using the light e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fluorescent lamp and the LED lamp.
KR1020130023452A 2013-03-05 2013-03-05 Play back type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2838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452A KR101283839B1 (en) 2013-03-05 2013-03-05 Play back type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452A KR101283839B1 (en) 2013-03-05 2013-03-05 Play back type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839B1 true KR101283839B1 (en) 2013-07-08

Family

ID=4899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452A KR101283839B1 (en) 2013-03-05 2013-03-05 Play back type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839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364B1 (en) * 2014-12-12 2015-06-03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using omnidirectional camera
CN106710230A (en) * 2017-01-24 2017-05-24 杨茂君 Automatic identifying system and identifying method thereof for motor vehicle model classification
KR101777008B1 (en) * 2015-09-16 2017-09-19 김용묵 parking guidance image camera, system for parking guidan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arking guidance by parking guidance system
KR101833721B1 (en) * 2017-03-16 2018-02-28 주식회사 플랜비 Momitoring managment device of a handcapped person's parking zone
CN111373099A (en) * 2017-10-26 2020-07-03 市政停车服务公司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parking in a no-parking area
KR102531875B1 (en) 2022-11-25 2023-05-11 권용찬 Camera bracket for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camera assembly, and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the same
CN116137100A (en) * 2021-11-17 2023-05-19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or unmanned vehicle to enter and exit parking lo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438B1 (en) * 2001-12-24 2003-05-22 Zeon Systems Inc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040085259A (en) * 2003-03-31 2004-10-08 이상재 A tax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for employing thereof
KR20110011893A (en) * 2009-07-29 2011-02-09 (주)에코맥스 Parking management and moving guide system for specified parking space
KR20110068501A (en) * 2009-12-16 2011-06-22 박근섭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position information of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438B1 (en) * 2001-12-24 2003-05-22 Zeon Systems Inc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040085259A (en) * 2003-03-31 2004-10-08 이상재 A tax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for employing thereof
KR20110011893A (en) * 2009-07-29 2011-02-09 (주)에코맥스 Parking management and moving guide system for specified parking space
KR20110068501A (en) * 2009-12-16 2011-06-22 박근섭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position information of vehicl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364B1 (en) * 2014-12-12 2015-06-03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using omnidirectional camera
KR101777008B1 (en) * 2015-09-16 2017-09-19 김용묵 parking guidance image camera, system for parking guidan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arking guidance by parking guidance system
CN106710230A (en) * 2017-01-24 2017-05-24 杨茂君 Automatic identifying system and identifying method thereof for motor vehicle model classification
KR101833721B1 (en) * 2017-03-16 2018-02-28 주식회사 플랜비 Momitoring managment device of a handcapped person's parking zone
CN111373099A (en) * 2017-10-26 2020-07-03 市政停车服务公司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parking in a no-parking area
EP3701479A4 (en) * 2017-10-26 2021-08-04 Municipal Parking Services, Inc.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parking in a no parking area
CN116137100A (en) * 2021-11-17 2023-05-19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or unmanned vehicle to enter and exit parking lot
KR102531875B1 (en) 2022-11-25 2023-05-11 권용찬 Camera bracket for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camera assembly, and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839B1 (en) Play back type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25364B1 (en)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using omnidirectional camera
US10424125B2 (en) Parking meter system
KR100794513B1 (en) System for Parking Management
KR101146583B1 (en) Smart computer camera for identifying vehicles in parking area
US20170323227A1 (en) System for managing parking spac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mputer vision
KR102296004B1 (en)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Management System
SA515360480B1 (en) Controlling use of a single multi-vehicle parking space using multiple cameras
US10643471B2 (en) Method for detecting parked vehicles
KR101624986B1 (en) Integration management apparatus
US20080258935A1 (en) Park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624983B1 (en) Integration management apparatus
KR101624991B1 (en) Smart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1639729B1 (en) Smart parking management system
JP2007317098A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KR101624997B1 (en) Smart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130090207A (en) Method for parking preengagement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its preengagement system
KR100970278B1 (en) An integrated system for parking guide and security
TWM495593U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Buntić et al. ITS supported parking lot management
KR100839590B1 (en) System of parking control and computation method
KR1010723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unmanned parking use parking card
KR20010088909A (en)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and Manless Parking Control Method
KR102260534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I
KR100846206B1 (en) Vehicle unmanned control system with closed-circuite television and license plate number recogni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