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632B1 -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632B1
KR101271632B1 KR1020110073221A KR20110073221A KR101271632B1 KR 101271632 B1 KR101271632 B1 KR 101271632B1 KR 1020110073221 A KR1020110073221 A KR 1020110073221A KR 20110073221 A KR20110073221 A KR 20110073221A KR 101271632 B1 KR101271632 B1 KR 101271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authentication code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2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1807A (en
Inventor
이윤근
Original Assignee
이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근 filed Critical 이윤근
Priority to KR1020110073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632B1/en
Publication of KR2013001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8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6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에 마련되고, 인증코드를 무선신호로서 송신하는 송신모듈 및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신호로부터 인증코드를 복조하여 미리 저장된 인증코드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경보하는 회로부와,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분리되면 상기 회로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receives a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code as a wireless signal and the wireless signal, and demodulates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wireless signal and compares the result with a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cod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ircuit unit when the circuit uni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cludes a receiving module configured to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is about.

Description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ss prevention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분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위한 분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ss preven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ss prevention device for applying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USB 메모리, 휴대형 하드 디스크 등의 휴대가 가능한 저장 장치나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MP3 또는 PMP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상화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becoming common to use portable storage devices such as USB memories and portable hard disk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computers, notebook computers, MP3 or PMP players, and digital cameras.

이러한 휴대형 전자기기는 이동의 간편성을 위하여 비교적 크기가 작은 반면, 중요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고가품인 경우도 많으므로 분실하거나 도난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USB 메모리나 디지털카메라 등의 소형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보통 별다른 분실방지 대책이 없는 실정이며, 비교적 부피가 큰 편인 노트북 컴퓨터 같은 경우에는 분실 및 도난의 방지를 위하여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한쪽에 도난방지용 홀(hold)을 마련하고 강도가 높은 강철선 등을 이용하여 주변의 고정된 시설물 등에 고정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 While thes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relatively small in size for simplicity of movement, they can store important information and are often expensive, so they can be lost or stolen. However, in the case of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USB memory or a digital camera, there is usually no loss prevention measures. In the case of a relatively large notebook computer, the anti-theft of on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s used to prevent the loss and theft. A method of providing a hold and fixing it to a nearby fixed facility using a high-strength steel wire is used.

그러나 이러한 분실, 도난 방지 방법은 의도적인 절도의 경우 강철선 등을 끊고 시설물에 고정된 휴대형 전자기기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고, 절도의 순간을 알 수 없으므로 분실 여부를 수시로 감시, 확인하여야 하며, 사용자가 이동 및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고정/해체의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등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case of intentional theft, it is easy to break the steel wire and remov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ixed to the facility in case of intentional theft, and it is necessary to monitor and confirm the loss from time to time because the moment of theft is unknown.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such as the need to repeat the fixing / disassembly process every time the movement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사용자가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면 경보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prevent the loss and thef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alerting whe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user i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using a wireless sig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a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에 마련되고, 인증코드를 무선신호로서 송신하는 송신모듈 및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신호로부터 인증코드를 복조하여 미리 저장된 인증코드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경보하는 회로부와,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분리되면 상기 회로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수신모듈을 포함한다. Loss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receives the transmission module and the wireless signal fo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code as a wireless signal, and demodulates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wireless signal. And a circuit unit for alerting according to a result compared with a pre-stored authentication code,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ircuit unit when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includes a receiving module.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송신모듈은 상기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상기 코드 생성부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코드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서 송신하는 무선신호 송신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module includes a co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authentication code, a modulation unit for modulating and outputting an authent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code generation unit, and a signal input from the modulation unit. And a radio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s a radio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회로부는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신호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인증코드를 복조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증코드와 미리 저장된 인증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코드 판단부 및 상기 코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복조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증코드가 미리 저장된 인증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보하는 경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it unit may include: a radio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the radio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module; 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n authentication code from a radio signal input from the radio signal receiver; And a code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authentication code matches the pre-stored authentication code, and an alarm unit which alerts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n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does not match the pre-stored authentication code. .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무선신호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이고, 상기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은 RF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각각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o signal i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nd the transmission module and the reception module each include an antenna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n RF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무선신호는 초음파 신호이고, 상기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은 초음파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각각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signal is an ultrasonic signal, and the transmitting module and the receiving module each include an ultrasonic transducer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ultrasonic waves.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송신모듈은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상기 수신모듈이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의 내부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송신모듈이 구동되도록 하는 제1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mission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transmission module supplies internal power to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transmission module is driven.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switch.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전원부와 상기 회로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상기 수신모듈이 분리되는 경우에 도통(CLOSE)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회로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수신모듈이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에 개방(OPEN)되어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부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module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circuit unit, and is closed when the main body and the receiving modul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re separated. And a second switch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second switch is opened when the receiving module is mounted to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uses the internal power suppl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charg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휴대형 전자기기와 사용자가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됨에 따라,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탈착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소지하는 수신모듈에서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에 마련되는 송신모듈이 무선신호로서 송신하는 인증코드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user i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e transmission module is formed to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the receiving module directly carried by the user wireless If the authent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as a signal is not receiv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ss, theft, etc.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prevented by generating an alarm soun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의 제1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의 제2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loss prevention apparatu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first application example of a loss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application example of the loss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Also, the term "part" or the like,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휴대형 HDD(Hard Disk Drive) 등의 휴대 가능한 저장 장치나 스마트폰(smart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개인용 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이 포함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loss prevention apparatu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portable storage device such as a universal serial bus (USB) memory, a portable hard disk drive (HDD), a smartphone, a laptop computer, a tablet computer, or a tablet computer. ),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and the lik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에 마련되는 송신모듈(100)과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수신모듈(2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loss prevention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mission module 100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receiving module 200 is formed to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는, 송신모듈(100)이 2진(binary) 부호의 조합인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코드를 변조하여 무선신호로서 전송한다. 수신모듈(200)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그로부터 인증코드를 복조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모듈(200)은 두 개의 인증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즉, 휴대형 전자기기가 사용자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격리되어 인증코드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보음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송신모듈(100)에서 생성하는 인증코드와 수신모듈(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하, 송신모듈(100)과 수신모듈(2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In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transmission module 100 generates an authentication code that is a combination of binary codes, modulates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as a wireless signal. The receiving module 200 receives the radio signal, demodulates an authentication code therefrom,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matches a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code. The receiving module 200 may prevent the lo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generating an alarm when two authentication codes do not match, that is,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isolated from the us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the authentication code is not detected. have. Therefore, the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module 100 and the authentication code stored in advance in the receiving module 200 should be set identical to each other.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module 100 and the reception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송신모듈(100)은 송신 회로부(110)와 제1 스위치(120)를 포함하고, 송신 회로부(110)는 코드 생성부(111), 변조부(113), 무선신호 송신부(115)를 포함한다. VDC는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 본체의 내부 전원, 또는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 본체가 장착되는 다른 전자기기의 내부 전원을 나타낸다. The transmission module 100 includes a transmission circuit unit 110 and a first switch 120, and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110 includes a code generator 111, a modulator 113, and a wireless signal transmitter 115. . V DC represents an internal power suppl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ody, or an internal power supply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on whic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ody is mounted.

코드 생성부(111)는 2진 부호의 조합인 인증코드를 생성한다. 코드 생성부(111)는 코드 설정 스위치 어레이(array)와 인코더(encod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설정 스위치 어레이를 이용하여 2진 부호 조합을 생성하고, 인코더가 이를 코딩하여 인증코드를 생성한다. The code generator 111 generates an authentication code which is a combination of binary codes. The code generating unit 111 may include a code setting switch array and an encoder, and generates a binary code combination using the code setting switch array, and the encoder codes the code to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do.

변조부(113)는 코드 생성부(111)로부터 수신된 상기 인증코드를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인증코드의 변조 방식으로써 예를 들어, 진폭 변조가 이용될 수 있다. The modulator 113 modulates and outputs the authent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code generator 111. As the modulation scheme of the authentication code, for example, amplitude modulation can be used.

무선신호 송신부(115)는 변조부(1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서 송출한다. 상기 무선신호에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초음파 신호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무선신호 송신부(115)는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무선신호로서 RF 신호가 적용되는 경우, RF 신호를 대기 중으로 송출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RF 신호를 이용한 통신방식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무선신호로서 초음파 신호가 적용되는 경우, 무선신호 송신부(115)는 초음파 발생기를 구비할 수 있고, 초음파 신호를 대기 중으로 송출하기 위한 초음파 트랜스듀서 또는 초음파 스피커를 포함한다. 무선신호 송신부(115)는 그밖에 상기 인증코드를 반송파에 실어서 송출하기 위하여 국부발진기(local oscillator), 믹서(mixer), 대역통과필터(bandpass filter), 증폭기(amplifier)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은 각 통신방식에서 적용되는 하나의 칩셋(chips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radio signal transmitter 115 transmits a signal input from the modulator 113 as a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may correspond to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n ultrasonic signal, or the like, and the radio signal transmitter 115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radio signal.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RF signal is applied as the radio signal, the antenna for transmitting the RF signal to the air. Here, as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n RF signal, Bluetooth, Ultra Wideband (UWB), ZigBe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the like may be applied.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ultrasonic signal is applied as the wireless signal,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115 may include an ultrasonic generator, and includes an ultrasonic transducer or an ultrasonic speaker for transmitting the ultrasonic signal to the air. In addition,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115 may include a local oscillator, a mixer, a bandpass filter, an amplifier, etc. in order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code on a carrier wave. These configura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one chipset applied in each communication method.

제1 스위치(120)는 송신 회로부(11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1 스위치(120)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가 적용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구체적인 스위치의 종류, 다른 구성과의 전기적 결합관계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송신 회로부(11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송신 회로부(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공통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가 적용되는 휴대형 전자기기가 USB 메모리인 경우, 제1 스위치(120)는 생략되거나, 또는 제1 스위치(120)는 상기 USB 메모리가 PC(personal computer) 등에 삽입, 장착되는 경우에 커넥터 접속으로 PC의 내부 전원을 송신 회로부(110)로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가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되는 경우, 제1 스위치(120)는 상기 노트북 컴퓨터(즉,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로부터 수신모듈(200)이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노트북 컴퓨터의 내부 전원을 송신 회로부(110)로 공급하여 송신모듈(100)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switch 120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transmitting circuit unit 110. The first switch 120 may have various electrical coupling relationships with specific types of switches and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loss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furnace performs a common function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11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anti-lo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USB memory, the first switch 120 is omitted, or the first switch 120 is the personal computer (PC). In the case of being inserted and mounted on the back, the internal power of the PC is supplied to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110 by the connector connection. In addition, when the anti-lo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notebook computer, the first switch 120 is the notebook when the receiving module 200 is separated from the notebook computer (ie,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notebook The internal power of the computer may be supplied to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110 to control the transmission module 100 to operate.

수신모듈(200)은 무선신호 수신부(211), 복조부(213), 코드 판단부(215), 래치(217) 및 경보부(219)를 구비하는 수신 회로부(210)와, 타이머(220), 전원부(230) 및 제2 스위치(240)를 포함한다. The reception module 200 includes a reception circuit unit 210 including a wireless signal reception unit 211, a demodulation unit 213, a code determination unit 215, a latch 217, and an alarm unit 219, a timer 220, The power supply unit 230 and the second switch 240 are included.

무선신호 수신부(211)는 송신모듈(10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신호에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초음파 신호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무선신호 수신부(211)는 무선신호 송신부(115)에서 채택된 무선통신 방식에 대응되도록 수신회로를 갖추어야 한다. 즉, 예를 들어, 무선신호 송신부(115)에서 RF 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무선신호 수신부(211)는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포함하고, 무선신호 송신부(115)에서 초음파 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무선신호 수신부(211)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한다. 무선신호 수신부(211)는 그밖에 반송파의 수신 및 변환을 위하여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대역통과필터, 믹서, 국부발진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radio signal receiver 211 receives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module 100. As described above, the radio signal may correspond to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n ultrasonic signal, or the like, and the radio signal receiver 211 uses a reception circuit to correspond to a radio communication method adopted by the radio signal transmitter 115. Must have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RF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115, the wireless signal receiver 211 includes an antenna to receive the RF signal, the ultrasonic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115 In this case, the wireless signal receiver 211 includes an ultrasonic transducer for receiving an ultrasonic signal. The wireless signal receiver 211 may further include a low noise amplifier, a band pass filter, a mixer, a local oscillator, and the like for receiving and converting a carrier wave.

복조부(213)는 무선신호 수신부(21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인증코드(이하, 코드 생성부(111)에서 출력되는 인증코드와 구별하기 위하여 수신 인증코드라 함)를 출력한다. The demodulator 213 demodulat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wireless signal receiver 211 and outputs an authentication c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ception authentication code to distinguish it from the authentication code output from the code generator 111).

코드 판단부(215)는 복조부(213)에서 출력된 수신 인증코드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비교한다. 상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는, 코드 생성부(111)에서 생성되는 인증코드와 동일한 코드이다. 코드 판단부(215)는 비교 결과, 두 개의 인증코드가 일치하면 제1 데이터값을 출력하고, 두 개의 인증코드가 상이하면 제2 데이터값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값과 제2 데이터값은 디지털 신호로서, 각각 '0'과 '1', 또는 '1'과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값이 출력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송신모듈(100)과 수신모듈(200)이 분리되어 소정 거리를 벗어나게 됨으로써 수신 인증코드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즉, 송신모듈(100)과 수신모듈(200)이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면 수신모듈(200)이 수신하는 무선신호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데이터 에러율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무선신호를 복조한 상기 수신 인증코드와 상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가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The code determining unit 215 compares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output from the demodulator 213 with the authentication code stored in advance. The authentication code stored in advance is the same code as the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1.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code determining unit 215 may output a first data value if the two authentication codes match, and output a second data value if the two authentication codes are different. The first data value and the second data value are digital signals and may be set to '0' and '1' or '1' and '0', respectively. When the second data value is output, for example, when the transmission module 100 and the reception module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eception authentication code does not match the authentication code stored in advance. . That is, when the transmitting module 100 and the receiving module 200 are separated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module 200 is weakened, so that the data error rate is increased, and the reception authentication that demodulates the wireless signal. The code and the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code do not match each other.

래치(217)에는 코드 판단부(215)의 판단 결과, 즉, 제1 데이터값 또는 제2 데이터값이 저장된다.The latch 217 store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de determining unit 215, that is, the first data value or the second data value.

경보부(219)는 래치(217)에 저장되는 코드 판단부(215)의 판단 결과값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한다. 즉, 코드 판단부(215)에서 두 개의 인증코드가 일치하여 제1 데이터값을 출력하여 래치(217)에 저장된 경우에는 경보부(219)는 경보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코드 판단부(215)에서 두 개의 인증코드가 일치하지 않아서 제2 데이터값을 출력하여 래치(217)에 저장된 경우에는 경보부(219)는 경보음을 발생하는데, 이것은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도난, 소정 거리 이상의 이탈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한편, 경보부(219)는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치(217)에 저장되는 데이터값에 따라 경보음의 발생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나, 코드 판단부(215)가 판단 결과에 따라 직접 경보부(219)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경보부(219)는 소형, 저전력의 세라믹 압전 부저(buzz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alarm unit 219 generates an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de determination unit 215 stored in the latch 217. That is, when two authentication codes are matched by the code determining unit 215 to output the first data value and stored in the latch 217, the alarm unit 219 does not generate an alarm sound. In addition, when two authentication codes are not matched by the code determining unit 215 and the second data value is output and stored in the latch 217, the alarm unit 219 generates an alarm sound, which is a lo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is is to inform the user of the theft, departure state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alarm unit 219 may determine whether to generate an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data value stored in the latch 217, but the code determiner 215 directly controls the alarm unit 219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t may be set to. The alarm unit 219 may be implemented as a small, low power ceramic piezoelectric buzzer.

타이머(220)는 수신 회로부(2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타이머(220)를 이용하여 소정 주기마다 일정한 시간동안 수신 회로부(210)로 전원이 공곱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초를 주기로 하여, 매 주기마다 2~3초 동안만 수신 회로부(21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간헐적으로 분실 여부를 점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타이머(220)는 수신 회로부(210)의 일부 구성에 대해서만 전원 공급 시간을 제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래치(217)와 경보부(219)로는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고, 무선신호 수신부(211), 복조부(213), 코드 판단부(215)로는 전원 공급 시간을 제한하여 간헐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신모듈(200)은 송신모듈(10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소정 주기마다 수신하고, 상기 무선신호로부터 복조된 수신 인증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경보음을 계속적으로 발생하도록 한다. 한편, 특정 주기에 수신모듈(200)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등에 의해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와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수신 인증코드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상이하여 경보부(219)가 경보음을 울렸는데, 다음 주기에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를 되찾아서 상기 수신 인증코드가 미리 저장된 인증코드와 일치하게 되면 경보부(219)는 계속적으로 울리던 경보음을 멈추도록 설정된다. The timer 220 adjusts the time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ceiver circuit 210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he timer 220 may be set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for a predetermined time every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may be set only for 2 to 3 seconds every 30 cycles. It can be checked to see if power is lost intermittently. Meanwhile, the timer 220 may be set to limit the power supply time only for some components of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For example, the latch 217 and the alarm unit 219 continuously supply power, and the radio signal receiver 211, the demodulator 213, and the code determination unit 215 limit the power supply time and intermittently supply the power. Can be supplied. In this case, the reception module 200 receives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module 1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determines whether the reception authentication code demodulated from the radio signal matches, and does not match the authentication code. The alarm sounds continuously. On the other hand, the user having the receiving module 200 in a certain period is different from the authentication code tha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stored in advance by being separat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a lo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etc. in advance, the alarm unit 219 Alarm sounded, the alarm unit 219 is set to stop the alarm sound that is continuously ringing in the next cycle when the user recover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matches the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code.

전원부(230)는 수신 회로부(2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30)는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가 적용되는 휴대형 전자기기가 USB 메모리인 경우, 전원부(230)는 소형의 코인 전지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가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되는 경우, 충전용 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30 supplies power to the reception circuit unit 210. The power supply unit 230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anti-lo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USB memory, the power supply unit 230 may be implemented as a small coin battery, and the anti-lo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notebook computer. If so, it may be implemented as a rechargeable battery.

제2 스위치(240)는 전원부(230)와 타이머(2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수신모듈(200)의 탈착 여부에 따라 수신 회로부(21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수신모듈(200)에 타이머(22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스위치(240)는 전원부(230)와 수신 회로부(21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스위치(240)는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수신모듈(200)이 분리되는 경우에는 도통(close, 즉 스위치가 닫힘)되어 수신 회로부(210)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에 수신모듈(200)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개방(open)되어 수신 회로부(210)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때, 전원부(230)가 충전이 가능한 전지인 경우에는, 제2 스위치(240)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부(230)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switch 240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230 and the timer 220 to control the supply of power to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according to whether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receiving module 200 are attached or detached. . When the timer 220 is not included in the receiving module 200, the second switch 24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230 and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Whe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receiving module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econd switch 240 is closed (that is, the switch is closed) to supply power to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and When the receiving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it is opened and does not supply power to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In this case, when the power source 230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the second switch 240 may be opened to allow the power source 230 to be charged using the internal pow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한편, 도 1에서는 하나의 송신모듈(100)과 대응되는 하나의 수신모듈(200)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는 다수의 송신모듈(100)과 하나의 수신모듈(20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다수의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에 각각 마련되는 송신모듈에서 동일한 인증코드를 송신하도록 하면, 사용자는 하나의 수신모듈(200)만을 소지함으로써 다수의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도난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송신모듈(100)에 구비되는 제1 스위치(120)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외부에 형성하여, 사용자가 송신모듈(100)로의 전원공급 및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FIG. 1 illustrates one receiving module 200 corresponding to one transmitting module 100 by way of example, a loss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tting modules 100 and one. It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receiving module of the. That is, if the transmission module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pluralit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o transmit the same authentication code,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pluralit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lost or stolen by carrying only one receiving module 200. have. In this case, the first switch 120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module 100 may be formed out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power supply and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module 100.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loss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가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된 제1 적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2A and 2B illustrate a first application in which a loss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notebook computer.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는, 휴대형 전자기기인 노트북 컴퓨터(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송신모듈(100)과 노트북 컴퓨터(10)에 탈착되는 수신모듈(200)을 포함한다. 수신모듈(200)은 휴대형 전자기기인 노트북 컴퓨터(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돌출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손에 쥘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2a에 도시된 수신모듈(2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Referring to FIG. 2A, a loss prevention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from a transmission module 100 and a laptop computer 10 provided inside a laptop computer 10 that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includes a receiving module 200. The receiving module 200 includes a connector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the notebook computer 10 which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ay be implement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o as to be held by a user. The receiving module shown in FIG. It is apparent that the shape of the 200 may be variously modified since it is merely exemplary.

상기 분실 방지 장치의 송신모듈(100)과 수신모듈(200)은, 평상시에는 한 쌍의 암수 커넥터(도 2b의 접속 단자)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는 수신모듈(200)이 노트북 컴퓨터(10)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로서, 제1 스위치(120)와 제2 스위치(240)는 각각 송신 회로부(110)와 수신 회로부(21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즉, 송신 회로부(110)와 수신 회로부(210)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에 대하여 도 2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스위치(120)와 제2 스위치(240)는 상기 커넥터와 연동하여 구동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모듈(200)이 노트북 컴퓨터(10)에 삽입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눌리게 되면, 제1 스위치(120)와 제2 스위치(240)는 개방된다. 이때, 제2 스위치(240)는 노트북 컴퓨터(10)의 내부 전원(VDC)을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한 전지인 전원부(230)를 충전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module 100 and the reception module 200 of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are us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air of male and female connectors (connection terminals of FIG. 2B). In this case, the receiving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notebook computer 10. The first switch 120 and the second switch 240 are powered by the transmitting circuit unit 110 and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respectively. Do not supply. That is, the transmitting circuit unit 110 and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are in a non-operating state. Referring to this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2b, the first switch 120 and the second switch 240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 switch driven in conjunction with the connector. When the receiving module 200 is inserted into the notebook computer 10 and the micro switch is pressed, the first switch 120 and the second switch 240 are opened. In this case, the second switch 240 may charge the power unit 230, which is a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internal power supply V DC of the notebook computer 10.

한편, 사용자는 노트북 컴퓨터(10)의 분실, 도난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수신모듈(200)을 노트북 컴퓨터(10)로부터 분리하여 직접 소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신모듈(200)이 노트북 컴퓨터(1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눌리지 않게 되면, 제1 스위치(120)와 제2 스위치(240)는 도통되고, 송신 회로부(110)와 수신 회로부(210)는 동작을 시작한다. 즉, 송신 회로부(110)는 인증코드를 변조하여 무선신호로서 송출하고, 수신 회로부(210)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수신 인증코드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경보음을 발생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사용자가 노트북 컴퓨터(10)의 회수를 망각한 경우, 노트북 컴퓨터(10)가 분실, 도난된 경우 등에, 노트북 컴퓨터(10)의 내부에 마련된 송신모듈(100)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수신모듈(200)의 거리가 멀어져서, 수신 인증코드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신모듈(200)의 경보부(219)는 경보음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노트북 컴퓨터(10)의 분리 상태를 알릴 수 있고, 따라서 분실, 도난을 예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needs to prevent the loss or theft of the notebook computer 10, the user to separate the receiving module 200 from the notebook computer 10 and carry it directly. As such, when the receiving module 200 is separated from the notebook computer 10 and the micro switch is not pressed, the first switch 120 and the second switch 240 are turned on, and the transmitting circuit unit 110 and the receiving circuit unit are connected. 210 begins the operation. That is, the transmitting circuit unit 110 modulates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ransmits it as a wireless signal, and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generates an alarm sound by compar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that has been received and demodulated with the wireless authentication code. The decision is made. If the user forgets the number of times the notebook computer 10 is lost, the notebook computer 10 is lost or stolen, the transmission module 100 provided inside the notebook computer 10 and the reception module possessed by the user ( If the distance 200 is far from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does not match the pre-stored authentication code, the alarm unit 219 of the receiving module 200 generates an alarm sound, so that the user of the notebook computer 10 The status of separation can be reported, thus preventing theft and thef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가 USB 메모리에 적용된 제2 적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3 illustrates a second application example in which a loss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USB memory.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는, 휴대형 전자기기인 USB 메모리(20)의 본체에 마련되는 송신모듈과 USB 메모리(20)의 본체에 탈착되는 덮개에 형성되는 수신모듈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an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detached from a transmission module provided in a main body of a USB memory 20, which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ain body of the USB memory 20. It includes a receiving module formed on the cover.

USB 메모리(20)는 일반적으로 메모리 모듈(21), USB 접속 커넥터(23), 덮개에 마련되는 USB 접속 커넥터의 수납공간(25) 등으로 이루어진다. The USB memory 20 generally includes a memory module 21, a USB connection connector 23, and a storage space 25 of a USB connection connector provided on a cover.

메모리 모듈(21)은 고정장치인 PC 등에 접속되어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 동작을 수행하는데, USB 접속 커넥터(23)를 통하여 PC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쓰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PC 등으로 전송하기 위한 저장 영역이다. The memory module 21 is connected to a PC, which is a fixed device, to perform data reading and writing operations. Area.

USB 접속 커넥터(23)는 고정장치인 PC 등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써, USB 메모리(20)와 상기 PC를 접속시켜 상기 PC로부터의 제어신호 및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The USB connection connector 23 is inserted into a PC, which is a fixed device, and serves as a path for connecting the USB memory 20 and the PC to read and write control signals and data from the PC.

USB 접속 커넥터의 수납공간(25)은 USB 메모리(20) 본체와 탈착되는 뚜껑에 마련되며, 본체와 덮개가 상호 접속되는 경우 USB 접속 커넥터(23)가 수납되는 공간이다. The storage space 25 of the USB connection connector is provided in a li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of the USB memory 20, and is a space in which the USB connection connector 23 is accommodated wh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는 이와 같은 USB 메모리(20)의 일반적인 구성 외에, 송신 회로부(110)가 USB 메모리(20)의 본체에 마련되고, 수신 회로부(210)는 USB 메모리(20)의 덮개에 형성된다. USB 메모리(20)의 덮개에는 전원부(230)와 제2 스위치(240)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loss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USB memory 20, a transmitting circuit unit 11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USB memory 20, and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is a cover of the USB memory 20. Is formed. The power supply 230 and the second switch 240 may be formed on a cover of the USB memory 20.

전원부(230)는 USB 메모리(20)의 크기 및 형상을 고려하여 코인 전지 또는 충전식 전지를 적용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30 may apply a coin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USB memory 20.

제2 스위치(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온/오프할 수 있도록 USB 메모리(20) 덮개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치(240)는 도 2b에서와 유사하게 USB 메모리(20)의 본체와 덮개가 접속되어 눌려지는 경우에는 개방되어 수신 회로부(210)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상기 본체와 덮개가 분리되어 눌려지지 않으면 도통되어 수신 회로부(21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USB 접속 커넥터의 수납공간(25) 주변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3, the second switch 240 may be formed outside the cover of the USB memory 20 so that the user can turn on / off. In addition, the second switch 240 is opened wh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of the USB memory 20 are pressed and connected similarly to that of FIG. It may also include a micro switch that is conductive when not pressed to supply power to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the micro switch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ound the storage space 25 of the USB connection connector.

상기 USB 메모리(20)의 본체와 덮개는 미사용시에는 상호간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USB 메모리(20)의 본체에 마련되는 송신 회로부(110), USB 메모리(20)의 덮개에 형성되는 수신 회로부(21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동작하지 않는다. The main body and the cover of the USB memory 20 are mechanical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not in use.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110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USB memory 20 and the reception circuit unit 210 formed in the cover of the USB memory 20 do not operate because power is not supplied.

한편, 사용자가 고정장치인 PC 등에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가 적용된 USB 메모리를 장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USB 메모리(20)의 본체는 상기 PC 등에 장착하고, 덮개는 직접 소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USB 메모리(20)의 본체가 덮개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제2 스위치(24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상기 본체와의 분리에 의해 도통되어 수신 회로부(210)가 구동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송신 회로부(110)는 PC 등의 내부 전원과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되므로 구동을 시작한다. 즉, 송신 회로부(110)는 인증코드를 변조하여 무선신호로서 송출하고, 수신 회로부(210)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수신 인증코드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경보음을 발생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사용자가 USB 메모리(20)의 회수를 망각한 경우, USB 메모리(20)가 분실, 도난된 경우 등에, USB 메모리(20)의 본체에 마련된 송신 회로부(110)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USB 메모리(20) 덮개에 마련된 수신 회로부(210)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세기가 미약하여 수신 회로부(210)가 무선신호로부터 복조한 수신 인증코드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일치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수신 회로부(210)의 경보부(219)는 경보음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USB 메모리(20)와의 분리 상태를 알릴 수 있고, 분실,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tends to mount and use the USB memory to which the loss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C which is a fixed device, the main body of the USB memory 20 is mounted on the PC or the like, and the cover is directly carri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in body of the USB memory 20 is separated from the cover, the second switch 240 is turned on by a user's operation or separation from the main body to drive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In addition, since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110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an internal power source such as a PC, power is supplied to start driving. That is, the transmitting circuit unit 110 modulates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ransmits it as a wireless signal, and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generates an alarm sound by compar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that has been received and demodulated with the wireless authentication code. The decision is made. When the user forgets the number of times the USB memory 20 is lost, or when the USB memory 20 is lost or stolen,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110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USB memory 20 and the USB memory possessed by the user ( 20) the distance of the receiving circuit unit 210 provided in the cover is far. In this case,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 signal is so weak that the reception authentication code demodulated by the reception circuit unit 210 does not coincide with the authentication code stored in advance. 219 generates an alarm sound to inform the user of the disconnection state from the USB memory 20 and prevent loss, theft, and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s well as equivalents thereof.

100 : 송신 모듈 110 : 송신 회로부
120 : 제1 스위치 200 : 수신 모듈
210 : 수신 회로부 220 : 타이머
230 : 전원부 240 : 제2 스위치
10 : 노트북 컴퓨터 20 : USB 메모리
100: transmitting module 110: transmitting circuit unit
120: first switch 200: receiving module
210: receiving circuit 220: timer
230: power supply unit 240: second switch
10: notebook computer 20: USB memory

Claims (8)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에 마련되고, 인증코드를 무선신호로서 송신하며,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수신모듈이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의 내부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되도록 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송신모듈; 및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신호로부터 인증코드를 복조하여 미리 저장된 인증코드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경보하는 회로부와,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분리되면 상기 회로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
A first device provided in a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code as a wireless signal, and supplying internal power to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n the main body and the receiving modul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re separated; A transmission module including a switch; And
A circuit unit for receiving the wireless signal, demodulating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wireless signal, and alarming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authentication code with a pre-stored authentication code; And a receiving modul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상기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상기 코드 생성부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코드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서 송신하는 무선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mission module,
Co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authentication code;
A modulator for modulating and outputting an authent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code generator; And
Loss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radio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input from the modulator as a radio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신호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인증코드를 복조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증코드와 미리 저장된 인증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코드 판단부; 및
상기 코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복조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증코드가 미리 저장된 인증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보하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ircuit unit includes:
A radio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the radio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module;
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n authentication code from a radio signal input from the radio signal receiver;
A cod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uthentication code inputted from the demodulator matches a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code;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de determination unit, the loss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alarm unit for alarming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n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does not match the pre-stored authentication c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이고,
상기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은,
RF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각각 포함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adio signal is,
RF (radio frequency) signal,
The transmitting module and the receiving module,
Loss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ach comprising an antenna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n RF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는,
초음파 신호이고,
상기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은,
초음파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각각 포함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adio signal is,
Ultrasonic signal,
The transmitting module and the receiving module,
Loss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ach comprising an ultrasonic transducer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ultrasonic waves.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전원부와 상기 회로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와 상기 수신모듈이 분리되는 경우에 도통(CLOSE)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회로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ceiving module,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second switch provid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circuit unit, the second switch being closed whe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receiving module are separated to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circuit unit. Loss prevention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수신모듈이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에 개방(OPEN)되어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부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실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switch,
When the receiving module is mounted to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opened (OPEN), the loss prevention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rging the power supply using the internal pow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0110073221A 2011-07-22 2011-07-22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2716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221A KR101271632B1 (en) 2011-07-22 2011-07-22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221A KR101271632B1 (en) 2011-07-22 2011-07-22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807A KR20130011807A (en) 2013-01-30
KR101271632B1 true KR101271632B1 (en) 2013-06-11

Family

ID=4784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221A KR101271632B1 (en) 2011-07-22 2011-07-22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6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9032A (en) * 2014-09-26 2015-01-07 苏州卫生职业技术学院 Personal article beep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0274B2 (en) 2014-04-10 2021-09-14 Sensormatic Electronic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analytics for security surveillance in operation areas
US10057546B2 (en) 2014-04-10 2018-08-21 Sensormatic Electronic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for security and/or surveill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306A (en) * 2002-02-09 2002-04-09 (주)휴먼텍트로닉스 Device for detecting the distance between RF tag and signal receive and alarm display unit
KR20040104071A (en) * 2003-06-03 2004-12-10 주식회사 성일텔레콤 Loss prevention system of mobile-phone to use bluetooth
JP2008077477A (en) 2006-09-22 2008-04-03 Mitsuyoshi Nagasaki Carrying article loss prevention system
KR20100003665U (en) * 2008-09-29 2010-04-07 양원동 portable machinery secession preven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306A (en) * 2002-02-09 2002-04-09 (주)휴먼텍트로닉스 Device for detecting the distance between RF tag and signal receive and alarm display unit
KR20040104071A (en) * 2003-06-03 2004-12-10 주식회사 성일텔레콤 Loss prevention system of mobile-phone to use bluetooth
JP2008077477A (en) 2006-09-22 2008-04-03 Mitsuyoshi Nagasaki Carrying article loss prevention system
KR20100003665U (en) * 2008-09-29 2010-04-07 양원동 portable machinery secession preven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9032A (en) * 2014-09-26 2015-01-07 苏州卫生职业技术学院 Personal article bee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807A (en)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4468B2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coupling an energy storage device
EP3393052B1 (en) Communications apparatus
US9953190B2 (en) System including a portabl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a user proximity detector and method of preventing the loss thereof
US20130225127A1 (en) Proximity tag
EP3185431B1 (en) Polling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JP2007272879A5 (en)
EP2076867A1 (en) Near field rf communicators and near field rf communications enabled devices
US20100127856A1 (en) Flash drive locator
WO2005041119A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9014627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KR101271632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015465A1 (en) System comprising controlled-supply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radio communication assembly, methods and readers
KR101465750B1 (en) Wireless mouse system being supplied with power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charging method thereof
JP2003309490A (en) Rfid device
KR20070121265A (en) Burglar and loss protecting system for usb memory
WO2011153314A1 (en) Portable computer readable medium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0130045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203774823U (en) Multifunctional portable electric energy supplementing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258643B2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N104814586A (en) Trackable wallet
US20210133402A1 (en) Identification device and identification setting system
JP5034721B2 (en) Storage device
JP2006072678A (en) Contactless electronic device
US20160286020A1 (en) System for detecting that a user has gone away from his or her own mobile device
CN201773468U (en) USB type handheld alarm device for burglary prevention of lap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