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712B1 -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712B1
KR101268712B1 KR1020110098828A KR20110098828A KR101268712B1 KR 101268712 B1 KR101268712 B1 KR 101268712B1 KR 1020110098828 A KR1020110098828 A KR 1020110098828A KR 20110098828 A KR20110098828 A KR 20110098828A KR 101268712 B1 KR101268712 B1 KR 101268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orm
voltage
power distribution
current
distribu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772A (ko
Inventor
이성우
하복남
서인용
서동완
장문종
남궁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10098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712B1/ko
Priority to US14/348,327 priority patent/US9885744B2/en
Priority to PCT/KR2011/007256 priority patent/WO2013047928A1/ko
Publication of KR20130034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1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 or a data transmission b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4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an electric power subs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30State monitoring, e.g. fault, temperature monitoring, insulator monitoring, corona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40Display of information, e.g. of data or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4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s or data transmission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데이터의 용량에 따라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대용량의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도록 한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은 배전계통에 분산 설치되어 이상 파형 계측을 위한 파형 계측신호를 수신하면 이상 파형을 계측하고, 이상 파형의 용량을 근거로 설정하는 프로토콜을 따라 이상 파형을 전송하는 복수의 RTU들; 복수의 RTU들 중에서 고장구간에 설치된 RTU에게로 파형 계측신호를 전송하고, RTU로부터 이상 파형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FEP; 및 FEP를 통해 파형 계측신호를 고장구간에 설치된 RTU에게로 전송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서 발생하는 이상 파형을 계측하도록 제어하고, 파형 계측신호에 따른 이상 파형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WER QUALITY ABNORMAL WAVEFORM OF THE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서 발생하는 전압 파형 및 전류 파형과, 전기품질의 이상 파형을 온라인에서 계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력품질은 공급하는 전압과 전류가 이상적인 정현파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의미하며 이에 영향을 주는 것은 순간적으로 전압이나 전류가 변동하는 것과 비교적 긴 시간 동안에 전압이나 전류의 파형에 변동이 발생하거나 고조파 혹은 저주파의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순시 전압 변동(sag, swell, interruption) 및 과도상태 전압(transient)은 전자에, 고조파(harmonics) 및 과전압(overvoltage)과 저전압(undervoltage) 등은 후자에 속한다.
전기품질을 분석하여 그 안정도를 판단하고 예측하는 전기품질 진단 분야는 80년대 후반부터 각광을 받기 시작한 매우 흥미롭고 중요한 분야로서, 특히, 이 시기에 국외에서는 전력산업의 규제가 해제되고 고성능의 장비와 정밀도가 높은 시스템이 개발됨으로써 전력에너지를 사용하는 수요자는 그들의 설비나 기기가 지속적으로 안정하게 동작할 수 있는 고품질의 전력공급을 요구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90년대에 이르러서는 고효율의 전력 전자 소자, 고 정밀 특수 모터, 응용 반도체 장치 등이 개발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화 설비, 사무실용기기, 정보통신기기 등이 급속하게 발전함으로써 전력에너지를 사용하는 모든 분야에서 전기품질 문제가 새롭게 관심을 끌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동업계에서는 전기품질을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진단분석할 수 있는 진단분석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배전계통에서는 변전소에서 수용가까지의 전기품질검사가 필수적이며, 그 품질감시 위치의 선정도 매우 중요하다. 배전계통만을 국한하면, 변전소로부터 출력되는 특고압의 전기품질, 지상변압기 및 주상변압기 2차측의 전기품질 및 고압 수용가측이나 저압 수용가측의 전기품질은 중요하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배전계통 단말장치나 주장치도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정보의 빠른 처리와 빠른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배전계통의 고장 발생시 고장구간에서의 전압 파형, 전류 파형 및 전기품질 이상 파형을 온라인에서 계측하여 사용자가 빠르게 직접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상 파형 감시 시스템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의 이상 파형 감시 시스템에서 파일 계측시 사용되는 DNP(Distribution Network Protocol) 프로토콜은 대용량 데이터 파일 전송에 취약하기 때문에, 파형 데이터와 같은 용량이 큰 데이터 파일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이상 파형 감시 시스템에 사용되는 DNP 프로토콜은 전압 파형, 전류 파형, 이상 파형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려 이상 파형의 분석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이상 파형(즉, 배전계통의 고장)에 대한 빠른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데이터의 용량에 따라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대용량의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도록 한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 단말 장치에 저장된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사용자가 온라인 상으로 신속하게 전달하여, 온라인 상에서 배전계통의 고장 시 고장구간에서의 전압 파형, 전류 파형 및 전기품질 이상 파형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모니터하고 이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은, 배전계통의 고장발생시 파형 계측신호를 발생하고,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서 계측된 이상 파형 또는 배전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수신하여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메인서버; 메인서버에서 발생한 계측신호를 고장구간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RTU에게로 전송하고, 하나 이상의 RTU들로부터 이상 파형 또는 배전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수신하여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FEP; 및 FEP로부터 파형 계측신호를 수신하면 배전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여 이상 파형을 생성하고, 계측한 전압 및 전류 또는 이상 파형을 파형 계측신호에 포함되는 요청 데이터를 근거로 설정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RTU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RTU들은, 배전계통에서 계측된 전류 및 전압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값을 전송하면 DNP 프로토콜로 설정하고, 이상 파형을 전송하면 FTP 프로토콜로 설정한다.
복수의 RTU들은,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 계측한 전류 파형, 전압 파형 및 고장 파형의 고조파, 순시전압저하와 순시전압상승 및 순시정전을 포함하는 전기품질 중에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이상 파형을 생성한다.
복수의 RTU들은, 배전계통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에 설치되어 전압 및 전류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계측한다.
복수의 RTU들 각각은, 파형 계측신호를 수신하면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서 고장 파형의 고조파, 순시전압저하와 순시전압상승 및 순시정전을 포함하는 전기품질과, 전류 파형, 및 전압 파형을 계측하여 이상 파형을 생성하는 계측부; 파형 계측신호에 포함된 요청 데이터의 용량을 근거로 FEP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프로토콜 설정부; 및 설정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계측한 전압 및 전류, 또는 이상 파형을 FEP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계측 제어부를 포함한다.
FEP는, 복수의 RTU들로부터 수신한 이상 파형을 근거로 지능형 배전기기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평균부하를 산출하여 저장하고, 산출한 평균부하를 메인서버로 전송한다.
메인서버는, FEP로부터 수신한 지능형 배전기기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평균부하를 디스플레이한다.
메인서버는, 이상 파형에 포함된 복수의 상(Ph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메인서버는, 기저장된 이상 파형 및 기저장된 배전계통의 전압 및 전류 중에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방법은, RTU에 의해, 파형 계측신호를 수신하면 고장발생 구간에서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여 이상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 RTU에 의해, 파형 계측신호에 포함되는 요청 데이터를 근거로 FEP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 RTU에 의해,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한 이상 파형 또는 계측한 전압 및 전류를 FEP를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메인서버에 의해, 수신한 이상 파형 또는 수신한 전압 및 전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파형을 계측하는 단계에서는, RTU에 의해,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 계측한 전류 파형, 전압 파형 및 고장 파형의 고조파, 순시전압저하와 순시전압상승 및 순시정전을 포함하는 전기품질 중에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이상 파형을 생성한다.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RTU에 의해, 배전계통에서 계측된 전류 및 전압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값을 전송하면 DNP 프로토콜로 설정하고, 이상 파형을 전송하면 FTP 프로토콜로 설정한다.
FEP에 의해, 지능형 배전기기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평균부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메인서버에 의해, 산출한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평균부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메인서버에 의해, 전송된 이상 파형 또는 계측한 전압 및 전류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는, 메인서버에 의해, 기저장된 이상 파형 또는 기저장된 배전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전송할 데이터의 용량에 따라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변환함으로써, 전압 파형, 전류 파형 및 전기품질 이상 파형 등과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전압 파형, 전류 파형 및 전기품질 이상 파형 등과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함으로써,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빠르게 복구하여 전기품질의 공급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고장 발생 시 이상 파형을 온라인 상태로 단말장치에서 검출하여 관리함으로써, 고장유형이나 고장예측에 관하여 분석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차단기 자동 재폐로, 대형 모터 기동에 의한 순시전압강하(Sag), 비접지 계통의 1선 지락사고에 의한 건전상의 순간적인 전압상승, 대용량 커패시터 뱅크의 계통 투입시 순시전압상승(Swell) 등 계통 및 기기사고, 기기 오동작시 순시정전(Interruption)이 발생한 상태에서도 배전계통에 설치된 단말장치로부터 이상 파형 정보를 취득하여 상위의 메인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고장의 유형 및 예측에 관한 분석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기준의 공급신뢰도 지수는 정전과 관련된 것인데, 기존에는 호당 정전시간(SAIDI) 및 호당 정전회수(SAIFI)만을 관리함으로써, 관리기준의 공급신뢰도 지수가 정확하게 부여되지 않았다. 그러나,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정전고객 평균 정전시간(CAIDI)과 호당 평균 순간 정전회수(MAIFI)도 추가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관리기준의 공급신뢰도 지수가 보다 정확하게 부여됨으로 인해, 이를 전기료의 부과 기준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RTU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메인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5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설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도 5의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 송수신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RTU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메인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은 변전소(10), 무효전력 제어장치(20), 전압 제어장치(30), 지능형 배전기기(40), 주상용 변압기(50), 분산전원(60), 고압 전력량계(70), 저압 전력량계(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전소(10)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선로나 배전선로를 통하여 수요자에게 보내는 과정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성질을 변환한다.
무효전력 제어장치(20)는 분로 콘덴서(SC; Shunt Capacitor)로 부족한 무효전력을 보상하여 전압을 회복시키는 장치이다. 즉, 무효전력 제어장치(20)는 중부하시 무효전력(유도성)의 소비가 과다하여 전압강하가 심할 때 뱅크별로 단계적으로 전력을 투입하여 부족한 무효전력을 보상함으로써 전압을 회복시킨다.
전압 제어장치(30)는 자동 전압 조정기(AVR; Automatic Voltage Regulator)의 일종으로 배전선로 중간에 설치되어, 전압의 변화에 따라 가변 저항(SVR)의 탭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지능형 배전기기(40)는 I-RTU(Intelligence Remote Terminal Unit) 및 통신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I-RTU는 배전계통의 고장을 검출하여 고장구간을 차단 및 재폐로한다. I-RTU는 배전계통의 고장 발생시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분리한 후 건전구간을 수지상의 타 선로로 전환하여 역송함으로써 정전을 최소화한다.
주상용 변압기(50)는 전압을 고압에서 저압으로 변환하여 저압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한다.
분산전원(60)은 전력의 수직적이고 일방적인 공급방식에서 수평적 양방향 공급방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형 열병합 발전으로부터 얻어진 전원과 신 재생에너지 전원 등이 있다.
고압 전력량계(70)는 고압 수용가의 사용전력을 검출한다. 이때, 고압 전력량계(70)는 무선통신을 통해 이용해 메인서버(400)로 검출한 사용전력을 전송한다.
저압 전력량계(80)는 주상용 변압기(5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를 소비하는 수용가의 소비전력을 검출한다. 이때, 저압 전력량계(80)는 무선통신을 통해 이용해 메인서버(400)로 검출한 사용전력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RTU(100), 통합 게이트웨이(200), FEP(300), 메인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TU(100)는 배전계통에 분산 설치되어 해당 구간에서 고장구간에 계측한 전류 파형, 전압 파형 및 전기품질을 계측한다. 이때, RTU(100)는 고장 파형의 고조파, 순시전압저하, 순시전압상승, 순시정전 등을 포함하는 전기품질을 계측한다.
RTU(100)는 FEP(300)를 통해 메인서버(400)에서 발생한 파형 계측신호를 수신하면 배전계통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 측에서 관련 값을 계측한다. 물론, RTU(100)는 배전계통의 변전소(10), 무효전력 제어장치(20), 전압 제어장치(30), 지능형 배전기기(40), 주상용 변압기(50), 분산전원(60), 고압 전력량계(70), 저압 전력량계(80) 등과 같은 전력설비들의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서 관련 값을 계측한다.
RTU(100)는 고장구간에 계측한 전류 파형, 전압 파형 및 전기품질을 이용하여 이상 파형을 생성한다. 즉, RTU(100)는 계측한 전압을 이용하여 전압 파형을 생성하고, 계측한 전류를 이용하여 전류 파형을 생성한다. RTU(100)는 기생성한 전압 파형, 전류 파형, 고장 파형의 고조파, 순시전압저하, 순시전압상승, 순시정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상 파형을 생성한다.
RTU(100)는 생성한 이상 파형을 통합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FEP(300)로 전송한다. 즉, RTU(100)는 파형 계측신호에 포함된 요청 데이터의 용량을 근거로 FEP(3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설정한다. 이때, RTU(100)는 고장발생시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서 발생하는 고장 전류 및 고장 전압을 FEP(300)로 전송하면 DNP 프로토콜로 설정한다. RTU(100)는 생성한 이상 파형을 전송하면 FTP 프로토콜로 설정한다. 즉, RTU(100)는 계측값(즉, 고장 전류, 고장 전압)과 같은 소용량의 데이터 전송시 DNP 프로토콜을 설정한다. RTU(100)는 이상 파형(즉, 고장 전류 파형, 고장 전압 파형, 전기품질 등)과 같이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시 TCP 프로토콜을 설정한다. 이처럼, RTU(100)는 FEP(300)로 전송할 데이터의 용량을 근거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설정한다.
RTU(100)는 정상운영되는 배전계통의 각 기기(즉, 변전소(10), 무효전력 제어장치(20), 전압 제어장치(30), 지능형 배전기기(40), 주상용 변압기(50), 분산전원(60), 고압 전력량계(70), 저압 전력량계(80) 등)의 입력측 및 출력측에서 전압 또는 전류를 계측한다. 이때, RTU(100)는 정장운영 상태에서 계측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파형을 순시 파형으로 하여 FEP(3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TU(100)는 FEP(300)로부터 파형 계측신호를 수신하면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서 고장 파형의 고조파, 순시전압저하와 순시전압상승 및 순시정전을 포함하는 전기품질과, 전류 파형, 및 전압 파형을 계측하여 이상 파형을 생성하는 계측부(120)와, 파형 계측신호에 포함된 요청 데이터의 용량을 근거로 FEP(300)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프로토콜 설정부(140), 및 설정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계측한 전압 및 전류, 또는 이상 파형을 FEP(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계측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RTU(100)는 후술할 메인서버(400)에서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경우 프로토콜 설정부(140)가 구성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통합 게이트웨이(200)는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RTU(100)와 FEP(3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한다. 통합 게이트웨이(200)는 DNP 프로토콜(Distribution Network Protocol) 및 FTP(File Transfer Protocol)을 통해 RTU(100)와 FEP(3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를 위해, 통합 게이트웨이(200)는
FEP(300)는 통합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복수의 RTU(100)들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FEP(300)는 메인서버(400)로부터 수신한 파형 계측신호를 RTU(100)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FEP(300)는 복수의 RTU(100)들 중에서 고장구간에 설치된 RTU(100)에게로 파형 계측신호를 전송한다.
FEP(300)는 파형 계측신호를 수신한 RTU(100)로부터 이상 파형을 수신한다. 즉, FEP(300)는 고장구간에 설치된 RTU(100)로부터 전류 파형 또는 전압 파형을 포함하는 이상 파형을 수신한다. 이때, FEP(300)는 수신항 이상 파형을 저장한 후에 메인서버(400)로 전송한다.
FEP(300)는 RTU(100)들로부터 순시 파형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즉, FEP(300)는 정상운영되는 배전계통의 측정된 전압 파형 또는 전류 파형으로 구성되는 순시 파형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물론, FEP(300)는 메인서버(400)로부터의 요청시 순시 파형을 메인서버(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FEP(300)는 복수의 RTU(100)들로부터 수신한 이상 파형을 근거로 지능형 배전기기(40)의 평균부하를 산출한다. 즉, FEP(300)는 이상 파형을 근거로 지능형 배전기기(40)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평균부하를 산출한다. FEP(300)는 산출한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평균부하를 저장한 후에 메인서버(400)로 전송한다.
메인서버(400)는 FEP(300)로부터 수신한 이상 파형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메인서버(400)는 이상 파형의 계측 및 송신을 파형 계측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메인서버(400)는 전압 및 전류 또는 이상 파형을 요청 데이터로 하는 파형 계측신호를 생성한다. 즉, 메인서버(400)는 배전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전압 및 전류를 요청 데이터로 포함하는 파형 계측신호를 생성한다. 메인서버(400)는 배전계통의 이상 파형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이상 파형을 요청 데이터로 포함하는 파형 계측신호를 생성한다. 메인서버(400)는 고장구간에 설치된 RTU(100)로 생성한 파형 계측신호를 FEP(300)로 전송하여 고장구간에 설치된 RTU(100)로 이상 파형의 계측 및 송신을 요청한다.
메인서버(400)는 FEP(300)를 통해 고장구간의 RTU(100)로부터 수신한 이상 파형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메인서버(400)는 FEP(300)를 통해 수신한 이상 파형 또는 전압 및 전류를 디스플레이한다. 메인서버(400)는 FEP(300)로 기수신하여 저장된 이상 파형 또는 전압 및 전류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메인서버(400)는 이상 파형에 포함된 복수의 상(Ph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메인서버(400)는 이상 파형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메인서버(400)는 복수의 RTU(100)에서 계측된 순시 파형을 FEP(300)를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즉, 메인서버(400)는 배전계통의 정상운영시에 일정간격으로 계측된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인 순시 파형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메인서버(400)는 순시 파형에 포함된 복수의 상(Ph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메인서버(400)는 순시 파형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메인서버(400)는 FEP(300)로부터 수신한 지능형 배전기기(40)의 평균부하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메인서버(400)는 FEP(300)로부터 지능형 배전기기(40)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평균부하를 수신한다. 메인서버(400)는 수신한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평균부하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메인서버(400)는 수신한 평균부하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서버(400)는 배전계통의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발생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410)와, 복수의 RTU(100)들과 FEP(300) 사이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프로토콜 생성부와, FEP(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430)와, 입력(또는 저장)된 제어정보에 따라 배전계통을 제어하고 이상 파형의 계측 요청을 위한 파형 계측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440)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450), 및 배전계통의 제어정보와 이상 파형과 순시 파형 등을 포함하는 배전계통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450)는 상부에 전류에 대한 이상 파형(즉, 고장 파형)을 디스플레이하고, 하부에 전압에 대한 이상 파형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출력부(4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파형의 상(phase)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고장 전류의 값 및 고장 전압의 크기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서버(400)는 전술한 RTU(100)에서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경우 프로토콜 설정부(420)가 구성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설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5의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 송수신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메인서버(400)는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서 이상 파형을 계측하기 위한 파형 계측신호를 발생한다. 메인서버(400)는 생성한 파형 계측신호를 FEP(300)로 전송한다, FEP(300)는 수신한 파형 계측신호를 통합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고장구간에 설치된 RTU(100)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FEP(300)는 파형 계측신호를 DNP 프로토콜 형태로 변환하여 RTU(1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파형 계측신호를 수신한 RTU(100)는 해당 구간에서 전압 및 전류를 포함하는 이상 파형을 계측한다(S100).
RTU(100)를 계측한 이상 파형을 FEP(300)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설정한다(S200). 이때, RTU(100)는 이상 파형을 요청한 파형 계측신호를 수신한 경우 TCP 프로토콜로 설정한다. RTU(100)는 전압 또는 전류 계측값을 요청한 파형 계측신호를 수신한 경우 DNP 프로토콜로 설정한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RTU(100)는 FEP(300)으로부터 수신한 파형 계측신호에 포함된 요청 데이터의 용량을 검출한다(S220). 이때, RTU(100)는 이상 파형을 요청한 파형 계측신호의 경우 대용량으로 검출한다. RTU(100)는 계측값을 요청한 파형 계측신호의 경우 소용량으로 검출한다.
검출한 요청 데이터의 용량이 대용량이면(S240; 예), RTU(100)는 FTP 프로토콜을 설정한다(S260). 즉, RTU(100)는 이상 파형과 같이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F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RTU(100)는 검출한 요청 데이터의 용량이 소용량이면 기존에 계측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DNP 프로토콜을 설정한다(S280). 즉, RTU(100)는 전압 및 전류 계측값과 같이 소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DN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RTU(100)를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토콜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메인서버(400)를 통해 FTP 프로토콜 및 DNP 프로토콜 중 하나를 선택한다. 메인서버(4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토콜을 FEP(300)를 통해 RTU(100)들에게로 전송하여 프로토콜을 설정한다.
RTU(100)는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즉, 이상 파형, 계측값)를 기설정한 프로토콜의 형태로 변환한다. RTU(100)는 변환한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한다. 통합 게이트웨이(200)는 수신한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FEP(300)로 전송한다. FEP(300)는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RTU(100)들로부터 수신한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메인 서버로 전송한다(S300). 배전계통의 고장(즉, 이상 파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원격지에 있는 RTU(100)들로부터 고장 혹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이상 파형(즉, 고장 파형), 순시 파형 등을 수신해야 한다. 이때, 현재 배전계통에서 사용 중인 DNP 프로토콜(Distribution Protocol)을 이용하여도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하지만, DNP 프로토콜은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DNP 프로토콜은 하나의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려 고장 분석에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신속한 데이터 파일 취득을 위해 기존 DNP 통신 프로토콜에 FTP을 접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파형 데이터 전송 방식을 이용한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FTP 프로토콜이 설정되면(S310; 예), 메인서버(400)는 해당 RTU(100)로 데이터 전송 명령을 발생한다(S320). 그에 따라, RTU(100)와 FEP(300)는 FTP 서버에 접속하여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330). FEP(300)를 FTP 서버를 통해 수신한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메인서버(400)로 전송한다. 물론, FEP(300)를 대신하여 RTU(100)와 메인서버(400)가 FTP 서버에 접속하여 직접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메인서버(400)에서 데이터 수신이 완료되면(S340; 예), RTU(100)와 FEP(300)는 FTP 서버와의 접속을 해제한다(S350). RTU(100)와 메인서버(400)가 FTP 서버에 접속한 경우에는 RTU(100)와 메인서버(400)가 FTP 서버와의 접속을 해제한다.
메인서버(400)는 완료응답 메시지를 통해 해당 RTU(100)에게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S360).
DNP프로토콜이 설정되면, 메인서버(400)는 해당 RTU(100)로 데이터 전송 명령을 발생한다(S370). 그에 따라, RTU(100)와 FEP(300)는 DNP 프로토콜을 통해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데이터 수신이 완료되면(S380; 예), 메인서버(400)는 완료응답 메시지를 통해 해당 RTU(100)에게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S390).
FEP(300)는 하나 이상의 RTU(100)들로부터 수신한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인서버(400)는 FEP(300)를 통해 수신한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S400). 메인서버(400)는 수신한 이상 파형 관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500).
상술한 바와 같이,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전송할 데이터의 용량에 따라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변환함으로써, 전압 파형, 전류 파형 및 전기품질 이상 파형 등과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전압 파형, 전류 파형 및 전기품질 이상 파형 등과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함으로써,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빠르게 복구하여 전기품질의 공급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고장 발생 시 이상 파형을 온라인 상태로 단말장치에서 검출하여 관리함으로써, 고장유형이나 고장예측에 관하여 분석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차단기 자동 재폐로, 대형 모터 기동에 의한 순시전압강하(Sag), 비접지 계통의 1선 지락사고에 의한 건전상의 순간적인 전압상승, 대용량 커패시터 뱅크의 계통 투입시 순시전압상승(Swell) 등 계통 및 기기사고, 기기 오동작시 순시정전(Interruption)이 발생한 상태에서도 배전계통에 설치된 단말장치로부터 이상 파형 정보를 취득하여 상위의 메인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고장의 유형 및 예측에 관한 분석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기준의 공급신뢰도 지수는 정전과 관련된 것인데, 기존에는 호당 정전시간(SAIDI) 및 호당 정전회수(SAIFI)만을 관리함으로써, 관리기준의 공급신뢰도 지수가 정확하게 부여되지 않았다. 그러나,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정전고객 평균 정전시간(CAIDI)과 호당 평균 순간 정전회수(MAIFI)도 추가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관리기준의 공급신뢰도 지수가 보다 정확하게 부여됨으로 인해, 이를 전기료의 부과 기준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변전소 20: 무효전력 제어장치
30: 전압 제어장치 40: 지능형 배전기기
50: 주상용 변압기 60: 분산전원
70: 고압 전력량계 80: 저압 전력량계
100: RTU 120: 계측부
140: 프로토콜 설정부 160: 통신부
180: 계측 제어부 200: 통합 게이트웨이
300: FEP 400: 메인서버
410: 입력부 420: 프로토콜 설정부
430: 통신부 440: 제어부
450: 출력부 460: 저장부

Claims (15)

  1. 배전계통의 고장발생시 파형 계측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서 계측된 이상 파형 또는 상기 배전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수신하여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메인서버;
    상기 메인서버에서 발생한 파형 계측신호를 고장구간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RTU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RTU들로부터 이상 파형 또는 상기 배전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FEP; 및
    상기 FEP로부터 파형 계측신호를 수신하면 배전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여 이상 파형을 생성하고, 상기 계측한 전압 및 전류 또는 상기 이상 파형을 상기 파형 계측신호에 포함되는 요청 데이터를 근거로 설정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RTU들을 포함하되,
    상기 FEP는,
    상기 복수의 RTU들로부터 수신한 이상 파형을 근거로 지능형 배전기기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평균부하를 산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산출한 평균부하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RTU들은
    상기 배전계통에서 계측된 전류 및 전압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값을 전송하면 DNP 프로토콜로 설정하고, 상기 이상 파형을 전송하면 FTP 프로토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RTU들은,
    상기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 계측한 전류 파형, 전압 파형 및 고장 파형의 고조파, 순시전압저하와 순시전압상승 및 순시정전을 포함하는 전기품질 중에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이상 파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RTU들은,
    상기 배전계통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에 설치되어 전압 및 전류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RTU들 각각은,
    상기 파형 계측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서 고장 파형의 고조파, 순시전압저하와 순시전압상승 및 순시정전을 포함하는 전기품질과, 전류 파형, 및 전압 파형을 계측하여 이상 파형을 생성하는 계측부;
    상기 파형 계측신호에 포함된 요청 데이터의 용량을 근거로 상기 FEP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프로토콜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계측한 전압 및 전류, 또는 상기 이상 파형을 상기 FEP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계측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FEP로부터 수신한 상기 지능형 배전기기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평균부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이상 파형에 포함된 복수의 상(Ph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기저장된 이상 파형 및 기저장된 상기 배전계통의 전압 및 전류 중에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10. RTU에 의해, 파형 계측신호를 수신하면 고장발생 구간에서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여 이상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RTU에 의해, 상기 파형 계측신호에 포함되는 요청 데이터를 근거로 FEP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RTU에 의해, 상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생성한 이상 파형 또는 상기 계측한 전압 및 전류를 FEP를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서버에 의해, 상기 수신한 이상 파형 또는 상기 수신한 전압 및 전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FEP에 의해, 상기 생성된 이상 파형을 근거로 지능형 배전기기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평균부하를 산출하여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상 파형을 계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RTU에 의해, 상기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에 계측한 전류 파형, 전압 파형 및 고장 파형의 고조파, 순시전압저하와 순시전압상승 및 순시정전을 포함하는 전기품질 중에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이상 파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RTU에 의해, 상기 배전계통에서 계측된 전류 및 전압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값을 전송하면 DNP 프로토콜로 설정하고, 상기 이상 파형을 전송하면 FTP 프로토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방법.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에 의해, 상기 산출한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평균부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에 의해, 상기 전송된 이상 파형 또는 상기 계측한 전압 및 전류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메인서버에 의해, 기저장된 이상 파형 또는 기저장된 상기 배전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방법.
KR1020110098828A 2011-09-29 2011-09-29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268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28A KR101268712B1 (ko) 2011-09-29 2011-09-29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
US14/348,327 US9885744B2 (en) 2011-09-29 2011-09-30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 waveform in a power distribution system
PCT/KR2011/007256 WO2013047928A1 (ko) 2011-09-29 2011-09-30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28A KR101268712B1 (ko) 2011-09-29 2011-09-29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772A KR20130034772A (ko) 2013-04-08
KR101268712B1 true KR101268712B1 (ko) 2013-05-28

Family

ID=4799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828A KR101268712B1 (ko) 2011-09-29 2011-09-29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85744B2 (ko)
KR (1) KR101268712B1 (ko)
WO (1) WO2013047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0428B2 (ja) * 2012-09-13 2016-04-27 オムロン株式会社 監視装置、監視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3595134B (zh) * 2013-11-20 2015-11-18 国网浙江台州市黄岩区供电公司 一体化智能电源监控方法
CN104297631B (zh) * 2014-09-28 2016-11-30 上海金智晟东电力科技有限公司 用于环网柜配电终端的故障诊断设备及其诊断维修方法
CN104330704B (zh) * 2014-11-13 2017-02-22 上海萌烨电力科技有限公司 输配电网故障定位系统
CN104360235B (zh) * 2014-11-19 2017-04-19 南京工程学院 含dg复杂配电网的电压暂降源定位方法
KR101952129B1 (ko) * 2015-09-03 2019-02-28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Ied 테스트 장치 및 방법
CN106787162A (zh) * 2015-11-23 2017-05-31 天津鼎电气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组合式变电站
CN106053960A (zh) * 2016-07-07 2016-10-26 南京大贺电力科技有限公司 电力自动化网络分析装置
CN108957228A (zh) * 2018-06-29 2018-12-07 宁波三星智能电气有限公司 一种对电网供电电压进行实时监控的方法
KR101994828B1 (ko) * 2018-07-17 2019-07-01 전자부품연구원 전력계통 고장기록시스템
CN109672269B (zh) * 2018-12-25 2022-06-28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铁路电能质量综合监控系统及方法
CN110763943B (zh) * 2019-11-20 2022-09-23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 电流电能质量数据的获取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1007353A (zh) * 2019-11-21 2020-04-14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基于北斗授时与电力配网相结合的故障检测方法
CN111505445B (zh) * 2020-05-25 2022-07-26 广州市奔流电力科技有限公司 台区相户关系的可信度检测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2180197B (zh) * 2020-10-12 2023-01-03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 一种辩识中压配网线路非正常运行方式的波形分析方法
CN113376559B (zh) * 2021-04-25 2022-08-26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营销服务中心 数字化计量系统异常现场快速诊断方法及其诊断系统
CN113282594B (zh) * 2021-07-26 2021-12-1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佛山供电局 一种配变基础数据自动提取分析方法和系统
CN113985210B (zh) * 2021-11-01 2023-12-05 南京工程学院 一种考虑电压暂降幅值与持续时间的电压暂降域计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7511A (en) * 1990-10-29 1993-08-17 Westronic, Inc. Distribution automation smart remote terminal unit
US6792337B2 (en) * 1994-12-30 2004-09-14 Power Measurement Ltd. Method and system for master slave protocol communication in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KR100516273B1 (ko) * 2002-02-22 2005-09-20 한국전력공사 주파수공용통신망을 이용한 전력자동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7446673B2 (en) * 2002-10-30 2008-11-04 Ch2M Hill, Inc. Intelligent wireless multicast network
US20050005093A1 (en) * 2003-07-01 2005-01-06 Andrew Bartels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securin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communications
US7363525B2 (en) * 2004-10-07 2008-04-22 Cisco Technology, Inc. Bidirectional inline power port
US7616656B2 (en) * 2004-10-20 2009-11-10 Electron Industries / Gauge Tech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betwee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via an open channel
US7304586B2 (en) * 2004-10-20 2007-12-04 Electro Industries / Gauge Tech On-line web accessed energy meter
US8930153B2 (en) * 2005-01-27 2015-01-06 Electro Industries/Gauge Tech Metering device with control functionality and method thereof
US7698582B2 (en) * 2005-12-23 2010-04-13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igital input delays in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KR20070074867A (ko) 2006-01-10 2007-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분산환경의 망 감시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85744B2 (en) 2018-02-06
WO2013047928A1 (ko) 2013-04-04
KR20130034772A (ko) 2013-04-08
US20140247055A1 (en)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712B1 (ko)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220773B1 (ko)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에너지 관리기능을 갖는 지능형 분전반
KR101825225B1 (ko) 지능형 전력망 운영 시스템
AU2021204455B2 (en) Utility meter for use with distributed generation device
KR101109187B1 (ko) 실시간 전력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운영방법
US11605974B2 (en) On-line power measurement
KR20120070903A (ko) 스마트그리드 전력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법
KR101318891B1 (ko)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P2009050064A (ja) 配電系統状態推定装置
CN202929124U (zh) 变电站高压并联电容器智能在线监测系统
US20170271915A1 (en) Energy Demand Monitoring System and Smart micro-Grid Controller
JP2012105463A (ja) 異常判定システム
US97780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ing and controlling power usage
Uvais Controller based power theft location detection system
CN105098754A (zh) 保护能量公用事业计量器免于过电压事件的系统和方法
EP2765679B1 (en) Intelligent electrical power network device
CN103163409B (zh) 用于现场电力仪表电流接线接反的校正方法及装置
KR101028795B1 (ko) 역률 보상 시스템
CN102624091B (zh) 一种交流配电多回路监控系统
CN109655681A (zh) 一种变电站及开关站二次测量回路异常检测方法及系统
CN108429243A (zh) 解列装置和水电系统
JP2015130768A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2016046872A (ja) バッテリ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386899B1 (ko) 직류 전력량계 및 태양광 발전의 mppt 제어 방법
CN115833055A (zh) 一种基于5g的配电网差动保护的数据展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