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410B1 -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410B1
KR101267410B1 KR1020120093780A KR20120093780A KR101267410B1 KR 101267410 B1 KR101267410 B1 KR 101267410B1 KR 1020120093780 A KR1020120093780 A KR 1020120093780A KR 20120093780 A KR20120093780 A KR 20120093780A KR 101267410 B1 KR101267410 B1 KR 101267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ata
wireless terminal
reader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7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9614A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2009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410B1/en
Publication of KR2012009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6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4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따르면,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모듈과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서 실행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활성화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RF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비활성화 정보를 입력받고,상기 활성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활성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근거로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데이터의 타입이 자동으로 감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xecuted in a wireless terminal having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frequency signal to and from the RF device in a proximity position and an input unit for processing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Receive activation information for setting the RF module to be activated or receive deactivation information for setting the RF module to be deactivated, control the RF module to be activated when the activation information is input, and input the deactivation information. If the RF module is activated, the RF module is deactivated, and if the RF module is activated, the type of data to be exchanged with the RF device in the proximity position is automatically detected based on the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F module. It involves doing.

Description

근접 통신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모듈과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서 실행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활성화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RF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비활성화 정보를 입력받고,상기 활성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활성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근거로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데이터의 타입이 자동으로 감지되도록 제어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xecuted in a wireless terminal having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frequency signal with an RF device in a proximity position and an input unit for processing a user input, so that the RF module is activated through the input unit. Receiving activation information to be set or deactivation information for setting the RF module to be deactivated, controlling the RF module to be activated when the activation information is input, and when the deactiv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RF module Is controlled to be deactivated, and when the RF module is activated, the type of data to be exchanged with the RF device in the proximity position is automatically detected based on a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F modul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마이크로 칩을 내장한 Label, Card, Tag 등에 저장된 소정의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Reader와 송수신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자동인식기술을 말하며, 최근에는 비접촉식, 대용량 메모리, 장해물 투과 기능, Read/Write 기능(재사용가능) 이동중 인식 기능, 반영구적 사용, 데이터 처리의 높은 신뢰성 등의 강점을 갖고, 기존의 바코드나 자기 인식 장치의 결함을 제거하고, 사용의 편리상, 생산방식의 변화, 소비자의 의식 변화, 문화 및 기술의 진보에 따라 활용 범위가 비약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In general,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fers to an automatic recognition technology that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redetermined data stored in a label, a card, a tag, etc. with a microchip with a reader using a radio frequency. , Obstacle permeation function, read / write function (reusable) It has strengths such as recognition on the move, semi-permanent use, high reliability of data processing, and eliminates defects of existing barcodes and magnetic recognition devices, and is easy to use. The range of applications is increasing dramatically as the way of change, the change of consumer's consciousness, and the advancement of culture and technology.

이러한 RFID는 배터리 내장 여부에 따라 Passive형과 Active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Passive형은 Tag와 Reader의 한테나 크기 등에 영향을 받으나 일반적으로 2~70cm 정도의 단거리 Read 범위를 가지며 저가격으로 Tag를 생산할 수 있어서, 물류, 제조분야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Such RFID can be classified into Passive type and Active type according to the built-in battery. Passive type is affected by the size and size of Tag and Reader, but generally has a short range read range of 2 ~ 70cm and can produce a tag at low price. It is widely used in logistics, manufacturing, and the like.

또한, Active형은 Tag에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어서 원거리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나 가격이 비싸고 배터리 수명에 따라 사용기간의 제약을 받아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In addition, the active type has a built-in battery in the tag, so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long-distance data, but it is expensive and is limited in use due to the limited use period depending on the battery life.

또한, 상기 RFID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투과력이 높고 비교적 응용 분야가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생산원가가 상대적으로 높고, Tag의 손상, 인식 속도가 늦은 저주파 형(125khz 이하)과, 투과력이 양호하고 소형, 박판형으로 생산이 가능하며 낮은 생산비, 많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주파형(13.56 Mhx 이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the RFID has a high penetration and relatively many application fields, but has a relatively high production cost, a low frequency type (125 kHz or less) with a tag damage and a slow recognition rate, a good penetration and a small size, It can be produced in a thin plate type, and can be classified into a low production cost and a high frequency type (13.56 Mhx or more)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a lot of data.

이러한 RFID는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RF Reader와 연계하여 동작을 실시한다. 그러나, 상기 RFID를 처리하기 위한 RF Reader는 해당 RFID 사용 가맹점이나, 물류센터 등에 보급되어 있어, 그 저변확대가 사용자에게까지 미치지는 못한 실정이다.
Such RFID performs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various types of RF readers for processing predetermined data. However, since the RF reader for processing the RFID is spread in the RFID-enabled merchant store or the distribution center, the spread of the RF reader has not reached the user.

따라서, 사용자에게 RF관련 제품들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소정의 보급화된 RF Reader 단말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redetermined RF reader terminal device to enable users to use RF related products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본 발명의 목적은,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모듈과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서 실행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활성화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RF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비활성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활성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근거로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데이터의 타입이 자동으로 감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xecuted in a wireless terminal having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frequency signal to and from an RF device in a proximity position and an input unit for processing a user input. Receiving activation information for setting to be activated or inputting deactivation information for setting the RF module to be deactivated; and controlling the RF module to be activated when the activation information is input, and when the deactivation information is inputted. And controlling the RF module to be deactivated, so that when the RF module is activated, the type of data to be exchanged with the RF device in the proximity position is automatically detected based on a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F module. To provide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have.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 제어 방법은,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모듈과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서 실행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활성화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RF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비활성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활성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근거로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데이터의 타입이 자동으로 감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xecuted in a wireless terminal having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frequency signal to and from the RF device in the proximity position and an input unit for processing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Receiving activation information for setting the RF module to be activated or receiving deactivation information for setting the RF module to be deactivated; and controlling the RF module to be activated when the activation information is input, and deactivation information is And controlling the RF module to be deactivated when the RF module is activated. When the RF module is activated, the type of data to be exchanged with the RF device in the proximate position is based on a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F module. And further comprising controlling to be automatically detected. .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된 경우에 각 타입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RF모듈을 통해 각 타입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이 교대로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tect each type when the RF module is activated, the step of controlling to repeatedly transmit and receive radio frequency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type through the RF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데이터 타입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RF장치와 상기 감지된 타입의 데이터를 교환 가능한지 확인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ata type to be exchanged with the RF device of the proximity location is detect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o check whether the data of the RF device and the sensed type can be exchanged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데이터 타입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RF장치와 상기 감지된 타입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ata type to be exchanged with the RF device of the proximity location is detected, controlling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 of the RF device and the sensed type through the RF module is performed.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동작은,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RF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RF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RF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RF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조합한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 receiving data from the RF device through the RF module, transmitting data to the RF device through the RF module, the RF modu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of combining the operation of receiving data from the RF device and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data to the RF device through.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은, 13.56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RF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frequency signals of 13.56MHz band.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RF장치는, RF카드 또는 RF태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RF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RF card or RF tag.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은, 상기 무선단말에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F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implemented in th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에 제어부(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 등)와 소정의 버스(BUS)를 통해 통신하며, 외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 또는 RF 태그와 연동하는 RF Reader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기존 무선 단말기 내의 복잡한 하드웨어의 추가없이 RF Reader 기능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communicates with a control unit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etc.) via a predetermined bus (BUS) and has an RF Reader function interlocked with at least one RF card or RF tag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trol the RF Reader function without adding complicated hardware in the wireless terminal.

또한, 무선 단말기내의 협소한 공간에서 RF Reader 기능을 구비하기 위한 배치 공간 확보가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a layout space for providing an RF reader function in a narrow space in a wireless termina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 및/또는 RFID 카드 수신기능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에 포함되는 RF Reader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단한 흐름도이다.
1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n RFID tag and / or an RFID card recei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n RF reader included in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mplified flow diagr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우선 각 도면 상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에 대해 소정의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다만, 다른 도면상에 도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을 명기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predetermined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ele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shown in the different drawings.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면1은 본 발명에 따른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 수신기능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1000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FIG. 1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1000 including an RF tag and / or RF card recei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소정의 무선 통신 기능을 위한 무선 단말기(100)는 바람직하게, 제어부(105), 화면 출력부(130), 키 입력부(135), 무선 처리부(115), 및/또는 음성 처리부(120)를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라, 도면1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100)는 외부로부터 접근하는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와 연동하는 RF Reader(145)를 더 구비한다.
The wireless terminal 100 for a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n the wireless network preferably includes a control unit 105, a screen output unit 130, a key input unit 135, a wireless processing unit 115, and / or a voice process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100 shown in FIG. 1 further includes an RF reader 145 interlocked with an RF card and / or an RF tag that is accessed from the outside.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05)는 무선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예컨대, 무선통화, 무선 데이터 송수신, 키입력, 화면 출력, 음성 출력 기능 등)을 제어하고 관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무선 단말기(100)의 부팅 및 OS(Operating Systerm) 제어 관리 프로그램과 무선 단말기(100)에 탑재된 소정의 에이전트 또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0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controls and manages various functions performed by the wireless terminal 100 (e.g.,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key input, screen output, . The control unit 105 includes a boot and OS (Operating System) control management program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predetermined agents or application programs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05)는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145)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RF Reader 제어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RF Reader 제어부(110)는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145)와 버스(BUS)를 통해 통신하며, 상기 RF Reader(145)를 제어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 RF Reader 제어부(110)는 상기 RF Reader(145)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예컨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을 전달하고, 상기 RF Reader(145)가 외부로부터(예컨대, RF 카드 또는 RF 태그 등) 수신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처리한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further includes an RF reader control unit 110 for activating the RF reader 145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RF Reader control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RF Reader 14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via a bus and controls and manages the RF Reader 145. For example, the RF Reader control unit 110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command (e.g., activation or deactivation) for controlling the RF Reader 145, RF tag, etc.) and processes the received data.

상기 RF Reader 제어부(110)는 RF Reader(145)에 구비된 RF Reader 인터페이스(200)를 제어 및 관리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110)를 통해 RF Reader(14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쓰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RF Reader control unit 110 controls and manages the RF Reader interface 200 provided in the RF Reader 145 and the RF Reader 145 controls at least one RF card and / Or reads or writes information from an RF tag.

무선 단말기(100) 내 무선 처리부(115)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소정의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하여, 제어부(105)에서 생성되는 코드(Code)를 음성 채널 및/또는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서버 또는 장치와 무선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처리부(115)는 상기 RF Reader(145)가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처리된 소정의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 상의 관련 서버 또는 장치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processing unit 115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transmits a code generated in the control unit 105 to a voice channel and / or a data channel in order to perform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on the wireless network by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nd from a server or a device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o processor 11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F reader 145 receives predetermined data, which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processed, to an associated server or device 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예컨대, 상기 무선 처리부(115)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RF(Radio Frequency)처리부, IF(Intermediate Frequency) 처리부, 및 기저대역(Baseband) 처리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처리부(115)에서 처리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는 무선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유선 구간을 통해 연결되는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BSC)과, 상기 제어국과 유선 구간을 통해 연결되며 CDMA 스택에 기반하는 호처리를 수행하는 무선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을 통해 다른 무선 단말기(100)와 음성 채널이 연결되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radio processing unit 115 may be a Radio Frequency (RF) processor, an IF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or, and a baseband processor based o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 Includes at least one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 on a wireless network,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connected to at least one base station through a wire section, And a voice channel is connected to another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that performs call processing based on the CDMA stack.

상기 데이터 채널이 연결되는 과정은 이동 통신 특유의 호처리 절차에 따라 통신 세션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된 통신 세션을 통해 서버 또는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data channel, a communication session is connected according to a call processing procedure specific to mobile communication, and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 server or a device through the connected communication session.

무선 단말기(100)의 음성 처리부(12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제어부(105)를 통해 무선 처리부(115)로 전달하고, 무선 처리부(115)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제어부(105)를 통해 스피커에 음성 신호로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음성 처리부(120)는 본 발명에 따라 RF Reader(145)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알리는 소정의 음성 또는 음향 출력을 실시할 수 있다.
The voice processing unit 120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encodes a voice signal input from a microphone and transmits the encoded voice signal to the wireless processing unit 115 through the control unit 105 and output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processing unit 115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to the speaker through the control unit 105 as a voice signal. In particular, the voice processing unit 120 may output a predetermined voice or sound signal indicating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of the RF reader 14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상기 음성 처리부(120)는 상기 RF Reader(145)가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로부터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 및 기록 종료시, 소정의 음향 또는 음성을 출력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F reader 145 receives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data) from the RF tag and / or the RF card, the voice processing unit 120 transmits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data) to the RF tag and / Data) can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110 to output a predetermined sound or voice upon completion of the reception and recording.

무선 단말기(100)의 메모리부(125)는 무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력 및/또는 출력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공간 및/또는 저장 영역으로써, 예컨대, ROM(Read Only memory)과 같은 읽기 전용 메모리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이나 FM(Flash Memory) 등의 읽기/쓰기 메모리 등의 형태로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12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program code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information and / or data to be input and / or output when the operation by the program code is performed. A read only memory such as a ROM (Read Only Memory), a read / write memory such as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or an F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상기 메모리부(125)에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와 통신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unit 125 may include predetermined information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RF card and / or an RF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화면 출력부(130)는 키 입력부(135)에서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 및/또는 제어부(105)의 제어 과정에서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각종 정보와 신호 등을 입력받아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화면(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라, RF Reader(145)가 수행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원활하게 한다.
The screen output unit 130 receives at least one key data generated in the key input unit 135 and / or various information and signals extracted and / or generated in the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 unit 105, (E.g.,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provided in the RF reader 14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ries of processes performed by the RF reader 145 are output to a screen to smooth the user interface .

예컨대, 상기 화면 출력부(130)는 상기 RF Reader(145)가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로부터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 및 기록 과정을 상기 무선 단말기(100) 화면상에 출력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F reader 145 receives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data) from the RF tag and / or the RF card, the screen output unit 130 outputs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data) to the RF tag 145 and / Or outputting the reception and recording process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n cooperation with the control unit 110 when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ords the data.

키 입력부(135)는 다수의 숫자키(Number Key)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Character Key),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Function Key)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 데이터(Key Data)를 발생하여 제어부(105)로 제공한다.
The key input unit 135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 character key for inputting characters, at least one function key, and the like. Key data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05 when the key is pressed.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145)는 접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에 포함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예컨대, 제어부 내의 RF Reader제어부)로 전달한다.
The RF reader 14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ognizes at least one or more RF cards and / or RF tags to access and obtains predetermined data included in the RF card and / or the RF tag, , An RF Reader control section in the control section).

도면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RF Reader(145)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2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n RF reader 145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은 무선 단말기(100)가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와 연동하기 위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 내부에 포함되는 RF Reader(145)를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RF Reader(145)는 RF 송신부(205), RF 수신부(210) 및 RF 인터페이스(20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This figure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RF Reader 145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for interoperating with the RF tag and / or the RF card. The RF reader 145 includes an RF transmitter 205, an RF receiver 210, and an RF interface 200.

RF Reader(145)의 RF 송신부(205)는 근접하여 무선 주파수(RF) 동작 범위안에 존재하는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예컨대, 별도의 전원을 내장하지 않은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 등)를 구동하기 위해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안테나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며,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에 상기 RF Reader(145)와 동기화된 신호(예컨대, 시계 신호 등)를 전송하여 동기화를 실시하는 등, 하기의 RF Reader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변조 또는 복조된 신호(주파수)를 상기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로 송신한다.
The RF transmitter 205 of the RF reader 145 may be an RF tag and / or an RF card (e.g., an RF tag and / or an RF card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power source) existing in a radio frequency (RF) (For example, a clock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RF reader 145 to the RF card and / or the RF tag to perform synchronization, and the like , And transmits the modulated or demodulated signal (frequency) to the RF card and / or the RF tag via the following RF Reader interface 200.

RF Reader(145)의 RF 수신부(210)는 외부의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로부터 응답되는 소정의 데이터(주파수)를 수신하여 필터링함으로써, 하기의 RF 인터페이스(200)가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도록 돕는다.
The RF receiver 210 of the RF reader 145 receives and filters predetermined data (frequency) responded from an external RF card and / or an RF tag, and the following RF interface 200 processes the data, 0.0 > 110 < / RTI >

RF 인터페이스(200)는 외부의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한 주파수 변조 및 복조를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RF 인터페이스(200)는 지정된 반송파(예컨대, 125Khz 또는 16.58Mhz 등)에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다양한 변조 방식에 맞추어 데이터를 반송파에 싣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RF interface 200 processes frequency modulation and demodul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n external RF card and / or RF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F interface 200 encodes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10 to a designated carrier wave (for example, 125 KHz or 16.58 MHz), and loads data on a carrier wave in accordance with various modulation schemes . In addition, it decodes data received from an external RF card and / or an RF tag and transmits the decoded data to the controller 110.

RF Reader(145)의 인터페이스(215)는 RF 송신부(205) 및 RF 수신부(210)와 루프 안테나를 연결하며, 또한, 상기 루프 안테나에 최대 전력을 위한 임피던스 정합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단말기(RF Reader)와 외부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를 연결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상호 임피던스차에 의한 반사를 줄임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기(RF Reader)와 외부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를 보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The interface 215 of the RF reader 145 connects the RF transmitting unit 205 and the RF receiving unit 210 to the loop antenna and may include an impedance matching circuit for maximum power to the loop antenna. For example, by reducing the reflection due to the mutual impedance difference in connection between the RF reader and the external RF card and / or the RF tag, it is possible to prevent reflection between the RF reader and the external RF card and / To compensate for the impedance difference between the two.

도면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단한 흐름도이다.
3 is a simple flowch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 단말기(100)의 키입력부(또는, 음성 처리부 등)를 통해, 무선 단말기(100)내 RF Reader 기능 활성화 개시 명령을 제어부(110)로 전송하면(300), 상기 제어부(110)는 무선 단말기(100) 내의 RF Reader기능의 활성화를 위해 RF Reader 기능 초기화를 실시한다(305).
The control unit 110 transmits an RF Reader function activation start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10 through the key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or the voice processing unit 300, The RF Reader function is initialized 305 for activating the RF Reader function in the server 100 (305).

무선 단말기(100) 내 RF Reader 기능이 초기화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RF 인터페이스(200)로 근접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 감지 및 활성화를 위한 무선장(RF Field) 형성 명령을 전달하고(310), 상기 RF 인터페이스(200)는 RF 송신부(205)를 통해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장을 형성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RF 카드와 결합하는 무선장은 무선 단말기(100)와 RF 카드간의 통신을 위해 변조되며, 또한, 상기 RF 카드로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When the RF reader function is initializ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a RF field forming command for sensing and activating at least one RF card in proximity to the RF interface 200 The RF interface 200 forms a wireless field for communicating with the RF card and / or the RF tag through the RF transmitter 205. For example, the wireless field associated with the RF card is modulat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RF card, and may also serve as an energy source for supplying predetermined power to the RF card.

만약, 상기 과정을 통해 RF Reader 기능이 활성화된 무선 단말기(10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또는 RF 태그 등) 접근하면(315), 상기 RF 카드는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 무선주파수(RF) 동작범위(Operating Field) 내에서 활성화를 개시한다(320).
If at least one RF card (or an RF tag) is accessed (step 315) by the wireless terminal 100 having the RF reader function activ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RF card transmits an RF Reader radio frequency (320) within the radio frequency (RF) operating field.

예컨대, 무선주파수 동작범위의 주파수(fc)는 13.56MHz ± 7KHz가 바람직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RF Reader)는 제조자가 규정한 위치(동작범위, Operating Volume)에서 최소 Hmin값 이상, 최대 Hmax를 초과하지 않는 필드를 발생시키며, 또한 규정된 위치에서 RF 카드에 전원공급이 가능하여야 함은 명백하다.
For example, the frequency fc of the radio frequency operating range is preferably 13.56 MHz ± 7 KHz, and the RF reader is allowed to have a minimum Hmin value and a maximum Hmax in a position (operating range, operating volume) specified by the manufacturer It is obvious that the RF card should be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RF card at a prescribed position.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접근하는 RF 카드의 타입(예컨대, Type A 혹은 Type B 등)을 감지하기 위해, 변조방식을 교대로 동작시킬 수 있다.
Preferably,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alternately operate the modulation scheme to detect the type of the RF card to be accessed (e.g., Type A or Type B).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 무선주파수(RF) 동작범위(Operating Field) 내에서 상기 접근한 RF 카드의 활성화가 개시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근접한 RF 카드의 활성화를 검색하기 위해 소정의 요청명령(Request Commands)을 전송하고(325),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내 RF Reader(145)의 RF 수신부(21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카드로부터 소정의 응답(Answer To Request)이 수신되는 지 확인한다(330).
The control unit 110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RF card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in the vicinity of the radio frequency (RF) The control unit 110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ransmits a predetermined request command to retrieve the activation from the RF receiving unit 210 of the RF reader 145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swer To Request)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RF card (330).

만약, 둘 이상의 RF 카드(또는 RF 태그)로부터 응답이 있다면(335),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145)는 다수의 RF 카드에 대한 충돌방지 처리를 실시함이 바람직하다(340)(예컨대, ISO/IEC 14443-3에 근거한 충돌방지 처리 등).
If there is a response from two or more RF cards (or RF tags) (335), the RF Reader 14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preferably performs a collision avoidance process for the plurality of RF cards (340) (For example, collision avoidance processing based on ISO / IEC 14443-3).

예컨대, 상기 충돌방지 처리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10)에서 실행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충돌방지 루프를 적용하여 충돌방지 처리를 실시한다.
For example, the collision avoidance process is preferably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10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control unit 110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pplies the collision avoidance loop to perform the collision avoidance process.

일례로,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선택된 충돌방지 형태와 CLn(Cascade level)에 대한 코드를 SEL(Select Command)에 할당하고, NVB(Number of Valid Bits)에 '20'을 할당하고, 상기 값이 할당된 SEL과 NVB를 RF Reader(145)의 RF 송신부(205)를 통해 무선장으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145)의 무선장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가 완전한 UID CLn을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응답된 UID CLn의 값을 근거로 충돌을 확인하고, 충돌이전에 수신된 UID CLn의 유효한 bit 값을 NVB에 재할당하여 다시 전송함으로써, 상기 유효한 bit값을 가진 RF 카드만이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충돌이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반복 수행, 예컨대, 32회정도 까지)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llocates a code for a selected collision avoidance type and a CLn (Cascade level) to a SEL (Select Command) and adds '20' to the NVB (Number of Valid Bits) And transmits the SEL and the NVB having the assigned values to the wireless field through the RF transmitter 205 of the RF reader 145 so that at least one of the SEL and the NVB in the wireless field of the RF reader 14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above RF card responds to the complete UID CLn so as to confirm the collision on the basis of the value of the responded UID CLn and re-allocate the valid bit value of the received UID CLn to the NVB before the collision, bit value of the RF card. (Repeat until no collision occurs, eg up to 32 times)

반면에, 하나의 RF 카드로부터 응답이 있거나, 충돌방지 루프를 통해 하나의 RF 카드가 선택되었다면(345),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RF Reader(145)의 RF 송신부(205)를 통해 상기 RF 카드와 형성된 무선장(RF Field)을 경유하여 SELECT 명령을 상기 RF 카드로 전달하고(350),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RF 카드 간에 상호 인증을 실시함으로써(355), RF 카드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근거를 마련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response from one RF card, or if one RF card is selected through the anti-collision loop 345, the control unit 110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ransmits the RF signal to the RF transmitter 145 (355) a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RF card by transmitting a SELECT command to the RF card via an RF field formed with the RF card through the RF card Provide a basis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RF card.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RF 카드간의 인증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무선장(RF Field)을 통해, 상기 RF 카드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RF 카드에 데이터 기록한다(360).
Upon completion of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RF card,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eives predetermined data from the RF card through the wireless field and / (360).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100)와 RF 카드간의 일련의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RF 카드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어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RF 카드를 HALT 상태로 전환시킨다(365).
When a series of operations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RF card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terminal 100 switches the RF card to the HALT state b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command for deactivating the RF card 365).

100 : 무선 단말기 105 : 제어부
110 : RF Reader제어부 115 : 무선 처리부
120 : 음성 처리부 125 : 메모리부
130 : 화면 출력부 135 : 키입력부
140 : 전원 공급부 145 : RF Reader
100: wireless terminal 105:
110: RF Reader control unit 115:
120: audio processing unit 125: memory unit
130: Screen output unit 135: Key input unit
140: Power supply 145: RF Reader

Claims (8)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모듈과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서 실행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활성화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RF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비활성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활성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근거로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데이터의 타입이 자동으로 감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
I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xecuted in a wireless terminal having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frequency signal to and from an RF device in a proximity position and an input unit for processing a user input,
Receiving activation information for setting the RF module to be activated or inputting deactivation information for setting the RF module to be deactivat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And controlling the RF module to be activated when the activation information is input, and controlling the RF module to be deactivated when the deactivation information is input.
And when the RF module is activated, controlling to automatically detect a type of data to be exchanged with an RF device at a proximate location based on a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F modul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된 경우에 각 타입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RF모듈을 통해 각 타입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이 교대로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adio frequency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type alternately through the RF module to detect each type when the RF module is activated.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데이터 타입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RF장치와 상기 감지된 타입의 데이터를 교환 가능한지 확인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the data type to be exchanged with the RF device in the proximity location is detected, controlling to check whether the data of the sensed type can be exchanged with the RF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데이터 타입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RF장치와 상기 감지된 타입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the data type to be exchanged with the RF device in the proximity location is detected, controlling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with the RF device through the RF module to be performed. Control metho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동작은,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RF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RF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RF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RF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조합한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
Receiving data from the RF device through the RF module;
Transmitting data to the RF device through the RF module;
And at least one of a combination of an operation of receiving data from the RF device through the RF module and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data to the RF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은,
13.56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F module,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frequency signals in a 13.56 MHz ba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장치는,
RF카드 또는 RF태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F device,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an RF card or an RF ta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은,
상기 무선단말에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F module,
Proximity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implemented in the wireless terminal.
KR1020120093780A 2012-08-27 2012-08-27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2674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780A KR101267410B1 (en) 2012-08-27 2012-08-27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780A KR101267410B1 (en) 2012-08-27 2012-08-27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869A Division KR101354997B1 (en) 2011-08-26 2011-08-26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340A Division KR101413687B1 (en) 2013-01-04 2013-01-04 Mobile Device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614A KR20120099614A (en) 2012-09-11
KR101267410B1 true KR101267410B1 (en) 2013-05-30

Family

ID=4710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780A KR101267410B1 (en) 2012-08-27 2012-08-27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4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8695B (en) * 2020-12-18 2024-03-15 北京元心科技有限公司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614A (en) 201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41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617880B1 (en) Handheld Phone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413687B1 (en) Mobile Device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354997B1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1489445B1 (en) RF Module for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of Mobile Device
KR100836015B1 (en) RF Reader Controll- typed Mobile Phone
KR101477146B1 (en) Method for Proces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0446778Y1 (en) RF Reader-typed Mobile Devices
KR20050081778A (en) Rf reader-typed mobile devices
KR200446779Y1 (en) RF Reader-typed Mobile Devices
KR200446777Y1 (en) RF Reader-typed Mobile Devices
KR100836012B1 (en) RF Reader-typed Mobile Telephone
KR100836014B1 (en) RF Reader-typed Mobile Telephone
KR200446780Y1 (en) RF Reader Controll- typed Mobile Phone
KR200447134Y1 (en) RF Reader Controll- typed Mobile Phone
KR200446783Y1 (en) RF Reader Controll- typed Mobile Phone
KR200446782Y1 (en) RF Reader Controll- typed Mobile Phone
KR200446781Y1 (en) RF Reader Controll- typed Mobile Phone
KR20150064715A (en) Handheld Phone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050081789A (en) Rf reader controll- typed mobile devices
KR20130009725A (en) Mobile device
KR20110089244A (en) Mobile device
KR20120081059A (en) Mobile device
KR20110100610A (en) Radio frequency module
KR20080027303A (en) Rf r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