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059B1 -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059B1
KR101267059B1 KR1020060069983A KR20060069983A KR101267059B1 KR 101267059 B1 KR101267059 B1 KR 101267059B1 KR 1020060069983 A KR1020060069983 A KR 1020060069983A KR 20060069983 A KR20060069983 A KR 20060069983A KR 101267059 B1 KR101267059 B1 KR 101267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size
threshold value
hearing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038A (ko
Inventor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9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059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사운드 크기를 조절함으로 청각 저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와 안전 사운드 크기를 비교 및 상기 출력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운드 관리부와, 상기 사운드 관리부로 하여금 상기 출력 사운드의 크기가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사운드의 크기인지 판단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사운드 관리부로 하여금 청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크기의 사운드로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운드 크기 조절할 때 사용자가 느끼지 못하는 범위의 크기로 상기 사운드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운드 크기 감소에 따른 불편함 없이 청력에 이상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의 사운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청각 저하, 사운드 조절, 청각 보호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ABILITY PROTE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저하를 방지하는 사운드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청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사운드 크기로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조절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중인 사운드 크기를 조절함으로 청각 저하의 문제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및 단말기 제조자는 다른 업체와의 차별 화를 위해 제품(또는 서비스)을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이 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디지털 카메라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여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음악 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종래의 MP3 플레이어나 휴대용 카세트 없이도 휴대용 단말기만을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편리성 때문에 젊은층을 중심으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능은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어폰을 사용하여 상기 음악 청취 기능을 장시간 이용할 경우,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청력 저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청력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예 : 'SONY'사의 ALVS 기능)도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은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고음의 출력을 방지하는 기능으로 임계값 이상의 사운드 출력을 제한하여 상기 청력 저하를 방지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능은 상기 임계값 이상의 사운드 출력이 불가능하여 고음의 사운드를 청취하고자 할 경우마다 상기 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고음의 사운 드를 청취해야 한다는 불편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일정 크기의 사운드 출력을 제한하지 않고도 출력 사운드의 청취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청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사운드를 조절하여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사운드에 대한 사운드 역치 값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사운드를 사운드 역치 값을 적용하여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사운드 조절 장치는 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와 안전 사운드 크기를 비교 및 상기 출력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운드 관리부와, 상기 사운드 관리부로 하여금 상기 출력 사운드의 크기가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사운드의 크기인지 판단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사운드 관리부로 하여금 청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크기의 사운드로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 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사운드 출력 후,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가 상기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가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키는 사운드 크기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가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키는 사운드 크기임을 판단하면, 상기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중인 사운드를 장시간 청취함으로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사용자가 느끼지 못하는 정도의 사운드 크기만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정의하는 안전 사운드는 사용자가 장시간 청취해도 청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의 사운드 크기를 말하며, 사운드 역치 값은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여도 사용자가 상기 사운드의 크기 조절을 감지하지 못하는 범위를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저하를 방지하는 사운드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4세대 광대역 시스템(Broadband system)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입력부(102), 표시부(104), 사운드 관리부(106) 및 사운드 출력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운드 관리부(106)는 사운드 데이터 베이스(10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운드 관리부(106)를 제어하여 출력 사운드의 크기 및 안전 사운드를 확인하여 상기 출력 사운드가 청력에 이상을 일으킬 수 있는 사운드의 크기인지 판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사운드 관리부(106)를 제어하여 청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크기의 사운드로 조절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사운드 관리부(106)는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아 출력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는 안전 사운드 크기를 획득하여 현재 사운드의 크기와 안전 사운드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운드 관리부(106)는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아 상기 사운드 데이터 베이스(108)를 검색하여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역치 값을 획득한다. 이후 상기 역치 값이 적용된 사운드의 크기로 조절하여 상기 사운드 출력부(110)로 제공한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 베이스(108)는 상기 출력 사운드를 장시간 청취하더라도 청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운드의 크기인 안전 사운드 정보,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여도 사용자가 상기 사운드의 크기 조절을 감지하지 못하는 범위 값을 말하는 사운드 역치 값, 상기 역치 값이 적용된 사운드 크기로 변경한 시점의 시간 정보(출력 시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2)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버튼들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하며, 상기 표시부(10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110)는 상기 사운드 관리부(106)에 의하여 조절된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중인 사운드를 장시간 청취함으로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사용자가 느끼지 못하는 정도의 사운드 크기만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사운드의 크기를 상기 청각 저하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관 한 기술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청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사운드 크기로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먼저 201단계에서 사운드 출력부(110)를 통하여 사운드 출력을 제어한 후, 2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운드 관리부(106)로 하여금 출력 시간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사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출력 시간 정보는 청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운드(청력 역치 값이 적용된 사운드) 크기로 조절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로 상기 사운드 관리부(106)가 사운드 데이터 베이스(108)를 검색하여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출력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09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출력 시간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운드 관리부(106)로 하여금 출력 시간 차를 확인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출력 시간 차는 상기 사운드(청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운드) 크기를 조절한 시간과 현재 시간과의 시간 차를 말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출력 시간 차가 미리 정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검사한다. 여기에서, 상기 미리 정한 임계값은 상기 청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운드(청력 역치 값이 적용된 사운드) 크기로 조절하기 위하여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 크기와 안전 사운드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을 일 정 시간 간격으로 수행하도록 설정한 시간 간격이며, 상기 미리 정한 임계값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예 : 빠르게(2분 간격), 중간(5분 간격), 천천히(10분 간격) 등)이 가능하다.
만일, 상기 출력 시간 차가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05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출력 시간 차가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운드 관리부(106)로 하여금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 크기 및 안전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안전 사운드 정보는 상기 출력 사운드를 장시간 청취하더라도 청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운드의 크기를 말하며, 상기 안전 사운드 정보는 상기 사운드 관리부(106)가 상기 사운드 데이터 베이스(108)를 검색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운드 관리부(106)로 하여금 현재 사운드의 크기가 안전 사운드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지시한다. 만일. 상기 211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가 안전 사운드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운드 관리부(106)로 하여금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에 대한 사운드 역치 값을 획득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사운드 역치 값은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여도 사용자가 상기 사운드의 크기 조절에 따른 사운드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는 범위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큰 사운드의 음악 청취 중 어느 정도의 크기로 감소 하여도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운드의 변화를 느끼지 못하고 일정한 사운드 크기로 상기 음악을 청취하는 것처럼 느낀다. 상기와 같이 사운드의 변화를 느끼지 못하는 범위의 크기를 사운드 역치 값이라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운드 관리부(106)로 하여금 상기 역치 값이 적용된 사운드 크기로 변경하도록 지시한 후, 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운드 크기를 변경한 시간 즉, 출력 시간을 갱신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01단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청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 사운드의 크기로 단계별로 조절한다.
만일, 상기 211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가 상기 안전 사운드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운드 크기 조절할 때 사용자가 느끼지 못하는 범위의 크기로 상기 사운드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운드 크기 감소에 따른 불편함 없이 청력에 이상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의 사운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Claims (11)

  1.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사운드 조절 장치에 있어서,
    현재 출력 사운드의 크기에 대한 사운드 역치 값을 획득하여 출력 중인 사운드를 상기 사운드 역치 값만큼 조절하는 사운드 관리부와,
    상기 역치 값을 이용하여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청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 사운드 크기까지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관리부는,
    상기 안전 사운드 정보, 사운드 역치 값, 출력 시간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관리부는,
    상기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가 안전 사운드 크기보다 크거나 같을 경 우,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키는 사운드 크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관리부는,
    상기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키는 사운드 크기로 판단할 경우, 현재 사운드에 대한 역치 값을 획득하여 상기 역치 값이 적용된 사운드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운드 출력 후,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가 상기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가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키는 사운드 크기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가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키는 사운드 크기임을 판단하면, 상기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에 대한 사운드 역치 값을 획득하는 과정과,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상기 사운드 역치 값만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의 크기 조절 후, 상기 사운드 크기 조절에 대한 출력 시간 정보 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키는 사운드 크기인지 판단하는 과정은,
    미리 정한 일정 시간 주기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키는 사운드 크기인지 판단하는 과정은,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 정보 및 안전 사운드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사운드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사운드 정보의 비교 결과, 상기 안전 사운드 크기보다 상기 현 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가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 크기는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상기 사운드 역치 값만큼 조절하는 과정은,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를 청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 사운드 크기까지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역치 값은 현재 출력 중인 사운드의 크기 조절시 사용자가 상기 사운드의 크기 조절을 감지하지 못하는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69983A 2006-07-25 2006-07-25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1267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983A KR101267059B1 (ko) 2006-07-25 2006-07-25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983A KR101267059B1 (ko) 2006-07-25 2006-07-25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038A KR20080010038A (ko) 2008-01-30
KR101267059B1 true KR101267059B1 (ko) 2013-05-23

Family

ID=3922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983A KR101267059B1 (ko) 2006-07-25 2006-07-25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4136A (ko) *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CN106502618B (zh) * 2016-10-21 2020-10-13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听力保护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038A (ko)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7907B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udio
US8654993B2 (en) Portable audio device providing automated control of audio volume parameters for hearing protection
US95253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apting playback device volume on an electronic device
CN107493500B (zh) 多媒体资源播放方法及装置
JP2002244686A (ja) 音声加工方法、これを用いた電話機及び中継局
US20090176540A1 (en) Audio selection control for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s
EP3038255B1 (en) An intelligent volume control interface
CN105262887B (zh) 移动终端及其音频设置方法
CN105848037A (zh) 头戴式耳机及控制终端设备的方法
CN111083289A (zh) 音频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20210182016A1 (en) Audio output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0700247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output volume of audio signal to prevent acoustic shock in mobile terminal
TW201901411A (zh) 智慧型耳機裝置個人化系統及其使用方法
KR10126705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CN113362839A (zh) 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1398466B1 (ko) 음향조절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단말
CN111552452A (zh) 匹配音频输出参数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1051036B1 (ko) 사용자 개개인의 청력에 맞추어 오디오 기기의 음질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0113525A1 (zh) 播放控制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WO2018166089A1 (zh) 一种控制声音的方法及移动终端
CN106293607B (zh) 自动切换音频输出模式的方法及系统
CN115038009A (zh) 音频控制方法、可穿戴设备以及电子设备
WO2018058331A1 (zh) 控制音量的方法及装置
CN113407147A (zh) 音频播放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324331A (zh) 交互消息提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