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922B1 -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922B1
KR101263922B1 KR1020110079487A KR20110079487A KR101263922B1 KR 101263922 B1 KR101263922 B1 KR 101263922B1 KR 1020110079487 A KR1020110079487 A KR 1020110079487A KR 20110079487 A KR20110079487 A KR 20110079487A KR 101263922 B1 KR101263922 B1 KR 101263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recognition code
server
request inform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193A (ko
Inventor
한재철
Original Assignee
한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철 filed Critical 한재철
Priority to KR1020110079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9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아 생성한 인식코드를 촬영에 따라 생성되는 컨텐츠에 삽입시켜 저작물을 생성하는 촬영기기;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구매자서버로부터 저작물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구매자서버로 전송하고,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받은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 리스트를 기 배포된 저작물에 삽입된 인식코드를 토대로 구매자서버로부터 추출하여 카테고리별로 출력하는 저작물 배포서버; 및 구매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저작물 요청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저작물 배포서버로 전송하여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수신하고, 저작물 배포서버로부터 수신한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들의 리스트를 색인하여 저작물 배포서버로 전송하는 구매자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이전에 촬영기기에 개별 인식코드를 설정하여 촬영기기를 통해 촬영되는 컨텐츠에 삽입시켜 저작물을 생성함으로써, 유통되는 저작물에 대한 위변조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컨텐츠에 삽입된 저작물의 개별 인식코드를 통해 저작물의 유통경로를 추적함으로써, 유통된 저작물의 체계적인 관리와 투명한 저작권료 관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NAGING COPYRIGHT USING INDIVIDUAL IDENTIFIER COD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이전에 촬영기기(핸드폰, 캠코더 또는 디지털카메라)에 개별 인식코드를 설정하여 촬영기기를 통해 촬영되는 저작물에 삽입시켜 저작물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와 인터넷, 저장매체 등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각종 문서와 컨텐츠 등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제작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의 특성상 원본과 동일한 복사본 또는 변형본을 쉽게 만들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쉽게 배포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많은 자금과 시간, 창의력, 노동력이 들어가는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저작권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철저한 보호를 원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디지털 컨텐츠의 손쉬운 복제성 및 배포성 때문에 디지털 컨텐츠 시장의 활성화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복제 및 불법배포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온 방법 중의 하나가 스트리밍(streaming) 방법이다.
스트리밍 방법은 사용자의 하드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램메모리 상에서만 일시적으로 저장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지만, 이것은 통신속도 또는 기타 압축 등의 기술적인 문제로 동영상의 끊김, 버퍼링, 엉김 등이 자주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은 저작권이 설정된 정보의 보호를 위해 나온 개념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기존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DRM 시스템은 대부분 컨텐츠를 암호화 하여 사용자 시스템에 컨텐츠 전체를 다운로드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때 메모리상에서 특정 크기의 블록만큼씩 복호화하여 이 복호화된 컨텐츠가 재생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영화와 같은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 대부분 수백 메가 바이트에서 1기가 바이트 이상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컨텐츠 전체를 사용자의 로컬 시스템에 다운로드 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심각한 네트웍 트래픽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VoD 서비스의 경우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전송하여 재생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스트리밍은 전송된 데이터가 로컬에 저장되지 않고 버퍼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방식으로 보안상의 이유로도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는 ID/PW 인증을 통해 인가된 사용자만이 접속하여 컨텐츠를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스트리밍 URL을 캡쳐하여 이 URL을 이용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전송되는 패킷을 저장하는 툴들이 나오면서 더 이상 스트리밍 컨텐츠에 대한 보호 또한 어렵게 되었다. 이렇게 사용자 시스템에 저장된 스트리밍 컨텐츠는 불법으로 복제되고 배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트리밍 컨텐츠를 지원하는 DRM 시스템의 경우, Microsoft의 Windows Media Rights Manager SDK(Software Development Kit), Windows Media Format SDK를 이용하여 Microsoft의 스트리밍 서버인 윈도우즈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포맷인 WMV, WMA, ASF 등의 포맷만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MPEG-4 스트리밍 표준스펙을 따르는 스트리밍 시스템을 지원할 수 없다.
또한, 컨텐츠의 암호화 방법 또한 모든 컨텐츠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적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 시스템에서의 복호화 작업으로 인한 부하를 사용자 시스템 성능에 따라 조절 할 수 없기 때문에 스트리밍 서비스의 QoS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산업계에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43289호(디지털 컨텐츠 보호 장치 및 방법) 외에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선행특허를 살피면, 원본 포맷 파일을 입력받아 암호화하고 메타데이터를 삽입하여 암호화된 포맷 파일을 생성하는 패키저와; 패키저에서 암호화에 사용된 암호화 정보가 담긴 라이센스 정보를 전송하는 라이센스부; 암호화된 포맷 파일에 기초하여 컨텐츠 파일을 암호화하여 스트리밍 암호화 패킷을 전송하는 스트리밍부; 및 암호화된 상태로 전송되는 패킷을 실시간으로 복호화하여 재생하는 사용자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선행문헌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 보호 장치는, 컨텐츠 생성시 마다 메타데이터를 삽입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에 사용된 라이센스 정보를 별도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컨테츠 파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라이센스 정보를 발급받아 복호화를 수행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해킹 또는 크래킹을 통해 암호화된 컨텐츠의 라이센스 정보가 유출되거나 불법적으로 사용되더라도 저작권자가 발견하지 전에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불법적으로 사용된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료 회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이전에 촬영기기(핸드폰, 캠코더 또는 디지털카메라)에 개별 인식코드를 설정하여 촬영기기를 통해 촬영되는 컨텐츠에 삽입시켜 저작물을 생성함으로써, 유통되는 저작물에 대한 위변조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컨텐츠에 삽입된 저작물의 개별 인식코드를 통해 저작물의 유통경로를 추적함으로써, 유통된 저작물의 체계적인 관리를 제공하고, 투명한 저작권료 관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아 생성한 인식코드를 촬영에 따라 생성되는 컨텐츠에 삽입시켜 저작물을 생성하는 촬영기기;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구매자서버로부터 저작물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구매자서버로 전송하고,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받은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 리스트를 기 배포된 저작물에 삽입된 인식코드를 토대로 구매자서버로부터 추출하여 카테고리별로 출력하는 저작물 배포서버; 및 구매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저작물 요청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저작물 배포서버로 전송하여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수신하고, 저작물 배포서버로부터 수신한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들의 리스트를 색인하여 저작물 배포서버로 전송하는 구매자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방법은, 촬영기기가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아 생성한 인식코드를 촬영에 따라 생성되는 컨텐츠에 삽입시켜 저작물을 생성하는 (a) 단계; 저작물 배포서버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구매자서버로부터 저작물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구매자서버로 전송하는 (b) 단계; 및 저작물 배포서버가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받은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 리스트를 기 배포된 저작물에 삽입된 인식코드를 토대로 구매자서버로부터 추출하여 카테고리별로 출력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이전에 촬영기기(핸드폰, 캠코더 또는 디지털카메라)에 개별 인식코드를 설정하여 촬영기기를 통해 촬영되는 컨텐츠에 삽입시켜 저작물을 생성함으로써, 유통되는 저작물에 대한 위변조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컨텐츠에 삽입된 저작물의 개별 인식코드를 통해 저작물의 유통경로를 추적함으로써, 유통된 저작물의 체계적인 관리를 제공하고, 투명한 저작권료 관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컨텐츠 보호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촬영기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저작물 배포서버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구매자서버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방법의 제S1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방법의 제S2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방법의 제S3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촬영기기(1), 저작물 배포서버(2)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저작물 배포서버(2)와 접속되어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수신하는 구매자서버(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S)의 촬영기기(1)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촬영기기(1)는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아 생성한 인식코드를 촬영에 따라 생성되는 컨텐츠에 삽입시켜 저작물을 생성하되, 인식코드 생성모듈(11), 컨텐츠 생성모듈(12) 및 인식코드 삽입모듈(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촬영기기(1)는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핸드폰, 캠코더 또는 디지털카메라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촬영기기(1)의 인식코드 생성모듈(11)은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인식코드 또는 기 설정된 인식코드를 인가받아 촬영기기 식별번호와 대응하는 고유한 인식코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인식코드는 저작권자자 본인인식을 위한 생체인식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저작권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저작권자 이름, 저작권자연락처, 저작권자 홈페이지 주소 또는 저작권자 이메일 주소 중에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이진코드화 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저작권자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생체인식 데이터는 저작권자의 지문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작권의 D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작권자의 홍체인식 데이터 또는 저작권자의 혈액형을 포함하는 데이터 중에 어느 하나의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생성모듈(12)은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기능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촬영한다.
그리고, 인식코드 삽입모듈(13)은 컨텐츠 생성모듈(12)의 촬영과 동시에 기 생성된 인식코드를 촬영중인 컨텐츠에 삽입하여 해당 컨텐츠를 저작물로 생성하되, 인식코드는 난수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난수에 의해 암호화되어 컨텐츠에 삽입된다.
또한, 저작물에 삽입되는 인식코드는, 촬영된 컨텐츠의 특정 영역(컨텐츠 프레임 또는 패킷 헤더)에 이진코드 형태로 삽입되거나, 인식코드에 삽입된 데이터가 촬영된 컨텐츠에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컨텐츠에 삽입되는 인식코드는 저작물의 유효기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효기간 데이터와 부합하는 일자가 도과하는 경우, 해당 저작물을 삭제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S)의 저작물 배포서버(2)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저작물 배포서버(2)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구매자서버(3)로부터 저작물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구매자서버(3)로 전송하고,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받은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 리스트를 기 배포된 저작물에 삽입된 인식코드를 토대로 구매자서버(3)로부터 추출하여 카테고리별로 출력하되, 저작물 배포모듈(21), 저장소(22) 및 저작물 추적모듈(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저작물 배포서버(2)의 저작물 배포모듈(21)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구매자서버(3)로부터 저작물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저장소(22)로부터 색인하여 구매자서버(3)로 전송한다.
또한, 저장소(22)는 촬영기기(1)의 인식코드 삽입모듈(13)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들을 저장·관리하며, 저작물 요청정보과 대응하여 구매자서버(3)로 전송된 저작물 리스트 및 저작물 요청정보에 포함된 구매자서버 식별정보를 저장·관리한다.
그리고, 저작물 추적모듈(23)은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받은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구매자서버 식별정보를 저장소(22)로부터 색인하여 구매자서버(3)로 전송된 저작물 리스트를 카테고리별로 출력한다.
아울러, 저작물 추적모듈(23)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불특정 서버(미도시)들과 접속되어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받은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매칭·대응하는 인식코드가 삽입된 저작물들을 추적·수집하고, 추적·수집된 저작물들의 리스트를 출력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추적모듈(23)은 촬영기기(1)의 인식코드 삽입모듈(13)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들이 저작물 배포모듈(21)에 의해 구매자서버(3)로 배포된 이후, 촬영기기 식별번호와 대응하는 고유한 인식코드 추적을 통해 배포된 저작물들에 대한 온라인 유통경로 관리를 제공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S)의 구매자서버(3)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구매자서버(3)는 구매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저작물 요청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저작물 배포서버(2)로 전송하여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수신하고, 저작물 배포서버(2)로부터 수신한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들의 리스트를 색인하여 저작물 배포서버(2)로 전송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촬영기기(1)가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아 생성한 인식코드를 촬영에 따라 생성되는 컨텐츠에 삽입시켜 저작물을 생성한다(S1).
이어서, 저작물 배포서버(2)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구매자서버(3)로부터 저작물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구매자서버(3)로 전송한다(S2).
그리고, 저작물 배포서버(2)가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받은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 리스트를 기 배포된 저작물에 삽입된 인식코드를 토대로 구매자서버(3)로부터 추출하여 카테고리별로 출력한다(S3).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방법의 제S1단계의 세부과정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촬영기기(1)의 인식코드 생성모듈(11)이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인식코드 또는 기 설정된 인식코드를 인가받아 촬영기기 식별번호와 대응하는 고유한 인식코드를 생성한다(S11).
이어서, 촬영기기(1)의 컨텐츠 생성모듈(12)이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기능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촬영한다(S12).
그리고, 촬영기기(1)의 인식코드 삽입모듈(13)이 컨텐츠 생성모듈(12)의 촬영과 동시에 기 생성된 인식코드를 촬영중인 컨텐츠에 삽입하여 해당 컨텐츠를 저작물로 생성한다(S13).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방법의 제S2단계의 세부과정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저작물 배포서버(2)의 저작물 배포모듈(21)이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구매자서버(3)로부터 저작물 요청정보를 수신한다(S21).
이어서, 저작물 배포서버(2)의 저작물 배포모듈(21)이 수신한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저장소(22)로부터 색인한다(S22).
그리고, 저작물 배포서버(2)의 저작물 배포모듈(21)이 색인한 저작물을 저작물 요청정보를 구매자서버(3)로 전송한다(S23).
그리고,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방법의 제S3단계의 세부과정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저작물 배포서버(2)의 저작물 추적모듈(23)이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받은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구매자서버 식별정보를 저장소(22)로부터 색인한다(S31).
이어서, 구매자서버(3)가 저작물 배포서버(2)로부터 수신한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들의 리스트를 색인하여 저작물 배포서버(2)로 전송한다(S32).
그리고, 저작물 배포서버(2)의 저작물 추적모듈(23)이 구매자서버(3)로부터 수신한 저작물 리스트를 카테고리별로 출력한다(S33).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1: 촬영기기 11: 인식코드 생성모듈
12: 컨텐츠 생성모듈 13: 인식코드 삽입모듈
2: 저작물 배포서버 21: 저작물 배포모듈
22: 저장소 23: 저작물 추적모듈
3: 구매자서버

Claims (11)

  1.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아 생성한 인식코드를 촬영에 따라 생성되는 컨텐츠에 삽입시켜 저작물을 생성하는 촬영기기;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구매자서버로부터 저작물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상기 구매자서버로 전송하고,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받은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 리스트를 기 배포된 저작물에 삽입된 인식코드를 토대로 구매자서버로부터 추출하여 카테고리별로 출력하는 저작물 배포서버; 및
    구매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저작물 요청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저작물 배포서버로 전송하여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수신하고, 상기 저작물 배포서버로부터 수신한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들의 리스트를 색인하여 상기 저작물 배포서버로 전송하는 구매자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기기는,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인식코드 또는 기 설정된 인식코드를 인가받아 촬영기기 식별번호와 대응하는 고유한 인식코드를 생성하는 인식코드 생성모듈;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기능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촬영하는 컨텐츠 생성모듈; 및 상기 컨텐츠 생성모듈의 촬영과 동시에 기 생성된 인식코드를 촬영중인 컨텐츠에 삽입하여 해당 컨텐츠를 저작물로 생성하는 인식코드 삽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식코드는, 난수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난수에 의해 암호화되어 컨텐츠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는 저작권자자 본인인식을 위한 생체인식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저작권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저작권자 이름, 저작권자연락처, 저작권자 홈페이지 주소 또는 저작권자 이메일 주소 중에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이진코드화 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생체인식 데이터는 저작권자의 지문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작권의 D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작권자의 홍체인식 데이터 또는 저작권자의 혈액형을 포함하는 데이터 중에 어느 하나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는,
    상기 인식코드 삽입모듈에 의해 상기 저작물에 삽입되되,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프레임 또는 패킷 헤더에 이진코드 형태로 삽입되거나, 상기 인식코드에 삽입된 데이터가 촬영된 컨텐츠에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컨텐츠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는,
    상기 저작물의 유효기간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유효기간 데이터와 부합하는 일자가 도과하는 경우, 상기 저작물을 삭제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배포서버는,
    상기 구매자서버로부터 저작물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저장소로부터 색인하여 상기 구매자서버로 전송하는 저작물 배포모듈;
    상기 촬영기기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들을 저장·관리하며, 상기 저작물 요청정보과 대응하여 상기 구매자서버로 전송된 저작물 리스트 및 저작물 요청정보에 포함된 구매자서버 식별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저장소; 및
    상기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구매자서버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소로부터 색인하여 상기 구매자서버로 전송된 저작물 리스트를 카테고리별로 출력하는 저작물 추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추적모듈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불특정 서버들과 접속되어 상기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받은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매칭·대응하는 인식코드가 삽입된 저작물들을 추적·수집하고, 추적·수집된 저작물들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8.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촬영기기가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아 생성한 인식코드를 촬영에 따라 생성되는 컨텐츠에 삽입시켜 저작물을 생성하는 단계;
    (b) 저작물 배포서버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구매자서버로부터 저작물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구매자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저작물 배포서버가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받은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 리스트를 기 배포된 저작물에 삽입된 인식코드를 토대로 상기 구매자서버로부터 추출하여 카테고리별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저작물 배포서버가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받은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구매자서버 식별정보를 저장소로부터 색인하는 (c-1) 단계; 상기 구매자서버가 저작물 배포서버로부터 수신한 저작권 추적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들의 리스트를 색인하여 상기 저작물 배포서버로 전송하는 (c-2) 단계; 및 상기 저작물 배포서버가 상기 구매자서버로부터 수신한 저작물 리스트를 카테고리별로 출력하는 (c-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촬영기기가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인식코드 또는 기 설정된 인식코드를 인가받아 촬영기기 식별번호와 대응하는 고유한 인식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a-2) 상기 촬영기기가 저작권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기능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촬영하는 단계; 및
    (a-3) 상기 촬영기기가 상기 인식코드를 촬영중인 컨텐츠에 삽입하여 상기 촬영중인 컨텐츠를 저작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저작물 배포서버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구매자서버로부터 저작물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2) 상기 저작물 배포서버가 수신한 저작물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저작물을 저장소로부터 색인하는 단계; 및
    (b-3) 상기 저작물 배포서버가 색인한 저작물을 저작물 요청정보를 상기 구매자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방법.
  11. 삭제
KR1020110079487A 2011-08-10 2011-08-10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3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487A KR101263922B1 (ko) 2011-08-10 2011-08-10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487A KR101263922B1 (ko) 2011-08-10 2011-08-10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193A KR20130017193A (ko) 2013-02-20
KR101263922B1 true KR101263922B1 (ko) 2013-05-13

Family

ID=4789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487A KR101263922B1 (ko) 2011-08-10 2011-08-10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448B1 (ko) 2020-11-11 2021-04-13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인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058A1 (ko) * 2017-10-23 2019-05-02 권택준 네일 아티스트 매칭 및 수익 지급 방법과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2253A (ja) * 2002-12-25 2004-08-05 Nikon Corp 電子透かし機能を有する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0970909B1 (ko) * 2009-12-28 2010-07-16 김정명 컨텐츠의 정식 유통 확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2253A (ja) * 2002-12-25 2004-08-05 Nikon Corp 電子透かし機能を有する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0970909B1 (ko) * 2009-12-28 2010-07-16 김정명 컨텐츠의 정식 유통 확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448B1 (ko) 2020-11-11 2021-04-13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인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193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7376B2 (en) Use of media storage structure with multiple pieces of content in a content-distribution system
US107692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marking of digital content, method for extracting information
US20080229099A1 (en) Method for generating standard file based on steganography technolog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validating integrity of metadata in the standard file
JP2009533908A (ja) 符号化されたコンテンツを配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
Augot et al. Secure delivery of images over open networks
CN110619197B (zh) 一种数字资产确权登记信息处理系统及方法
KR101263922B1 (ko) 개별 인식코드를 활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12227266B2 (en) Use of media storage structure with multiple pieces of content in a content-distribution system
JP4080700B2 (ja) データ運用方法および装置
KR100635128B1 (ko) 아이에스오 베이스 미디어 파일 형식의 암호화된 동영상파일 생성 장치 및 암호화된 동영상 복원 장치와, 그 복원방법
KR102186901B1 (ko) 데이터 변조를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암호화 장치 및 방법
JP2006237687A (ja) プログラムおよび利用者追跡装置
KR100827301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디지털 콘텐츠 보호 방법 및장치
CN115272040A (zh) 一种基于区块链和数字水印技术的视频版权保护方法
CN117555484A (zh) 一种基于强加密的多通道数据销毁方法及系统
Schmucker Possibilities, Limitations, and the Future of Audiovisual Content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