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525B1 -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과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과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525B1
KR101262525B1 KR1020110101213A KR20110101213A KR101262525B1 KR 101262525 B1 KR101262525 B1 KR 101262525B1 KR 1020110101213 A KR1020110101213 A KR 1020110101213A KR 20110101213 A KR20110101213 A KR 20110101213A KR 101262525 B1 KR101262525 B1 KR 101262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album
input
files
album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952A (ko
Inventor
강기동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525B1/ko
Priority to US13/313,726 priority patent/US20130091458A1/en
Priority to JP2011270670A priority patent/JP2013084328A/ja
Priority to DE102011089253A priority patent/DE102011089253A1/de
Priority to CN201210003555.2A priority patent/CN103034670B/zh
Publication of KR20130036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입력되는 파일을 음악 파일과 영상 파일로 자동 분류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파일의 색인 및 재생이 간편한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은 외부로부터 파일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파일을 그 형식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파일 분류 저장 단계; 분류된 파일별을 표시할 앨범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단말기에 입력되는 파일을 음악 파일과 영상 파일로 자동 분류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단말기에 수록된 파일을 찾기 쉽게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으며, 운전 또는 이동중인 상황에서도 원하는 음악 또는 영상 파일을 직관적으로 찾아 간단한 조작만으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과 그 시스템{AN ALBUM LIS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HEREIN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 입력되는 파일을 음악 파일과 영상 파일로 자동 분류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파일의 색인 및 재생이 간편한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바이스(device) 혹은 터미널(terminal)로 일컬어지는 단말기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방송 수신이나 통신기기로서의 전통적인 기본 기능에 부가하여 예컨대,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등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왔다.
한편,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와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고,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와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거치형 단말기의 한 형태로서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들 수 있는데, 이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는 기본적으로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운전자에게 안내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최근의 네비게이션 장치들은 단순히 길 안내 기능을 제공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음악/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DMB 방송 수신 기능까지 탑재되고 있으며,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강화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더욱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점차 차량내 장착되는 오디오를 포괄하는 통합 미디어 기기의 중심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그 결과, 단말기내에 수록되는 파일의 수는 많아지고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어서 기존의 방식처럼 파일 리스트를 일차원적인 텍스트 형식으로 관리하게 되면 사용자가 목록으로부터 원하는 파일을 찾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해당 파일을 실행하는데 있어서도 여러번의 조작이 요구되므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중이거나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임을 감안하면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장착되는 기기는 사용자가 운전중인 상황에서도 조작하기 쉽고 간편하여야 하며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바, 이를 위해서는 기기를 설계함에 있어서 버튼의 구조나 배열 등 하드웨어적인 요소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만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함축하여 시퀀스를 최소화하고 시인성을 높이며 사용자인 운전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내용 파악이 가능하도록 파일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단말기에 입력되는 파일을 음악 파일과 영상 파일로 자동 분류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내장된 파일을 직관적으로 선별, 색인할 수 있으며, 파일의 조회 및 재생이 간편한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은 단말기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파일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파일을 그 형식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파일 분류 저장 단계; 분류된 파일별을 표시할 앨범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일 분류 저장 단계는 입력된 파일로부터 영상 파일과 음악 파일을 선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일 분류 저장 단계는 입력된 파일의 확장자 또는 단말기의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된 결과를 근거로 분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앨범 리스트는 해당 앨범의 케이스 이미지로 구현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접촉에 의한 정보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입력장치를 통한 제1 기준점에서 제2 기준점까지의 플릭신호로서 상기 앨범 리스트를 제어하는 플릭 제어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릭 제어 단계는 가로방향의 플릭에 의해 상기 앨범 리스트의 좌우 스크롤이 제어되고, 세로방향의 플릭에 의해 상기 앨범 리스트의 상하 스크롤이 제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릭 제어 단계는 상기 앨범 리스트 상의 임의의 앨범에 대하여 해당 앨범의 표시부를 롱 터치 하는 것으로 해당 앨범의 재생을 실행하도록 된 것을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파일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와; 이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파일을 그 형식별로 분류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또는 음악 파일을 상기 제어부의 통제에 따라 앨범 이미지 형식의 리스트로 정렬시켜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외부 영상 또는 음성 정보를 인가받기 위한 A/V 입력부,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가운데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접촉에 의한 정보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 내부로 입력되는 파일을 대상으로 형식별로 선별해내는 파일 선별 모듈과, 상기 입력장치를 통한 제1 기준점에서 제2 기준점까지의 플릭신호를 근거로 상기 앨범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링을 제어하는 입력 해석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단말기에 입력되는 파일을 음악 파일과 영상 파일로 자동 분류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단말기에 수록된 파일을 찾기 쉽게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운전 또는 이동중인 상황에서도 원하는 음악 또는 영상 파일을 직관적으로 찾아 간단한 조작만으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면 직관적인 디스플레이 표시 및 화면 출력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빠른 파일 검색이 가능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색인 또는 재생을 실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동 또는 운전중에 사용자의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한 기기 사용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파일 분류 방법 중 하나를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인덱스 항목 검색(index item search)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연속 항목 검색(Sequenced Item Search)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앨범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 및 도 5의 방법들을 함께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인덱스 항목 검색(Index Item Search)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파일이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되어 자동 분류되고 재생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설명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차량용 이동 단말기의 블럭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된 사례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구현 사례를 설명하는 것일 뿐, 차량에 거치되는 형태이거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휴대 또는 다른 이용수단에 이동되어 설치될 수 있는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휴대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 단말기는 무선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공급부(190)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에 제공되는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안테나를 통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별도의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교통정보(예를 들어, TPEG 정보) 등의 데이터 방송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신호에 데이터 방송신호가 결합된 형태의 방송신호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고,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해 IP 컨텐츠의 형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T(Digital Video Broadcast-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아날로그 방송을 포함하여 상술한 예시에서 제시되지 않은 다른 형식의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필요에 따라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구성으로서, 이동 단말기(100)내에 내장되거나 외장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대표적인 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이용된다. 이 위치 정보 모듈(115)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종합적으로 연산하여 현재의 위치를 산출하고 이를 이후에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지도상에 표시해주거나, 주행방향, 주행속도, 경로 안내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 상기 A/V 입력부(120)는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서,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차량용 블랙박스(black box) 녹화 모드(Rec. mode)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21)에서 생성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되어 예컨대 전,후 두 방향 이상의 영상을 동시에 촬영하는 멀티 채널(multi-channel) 블랙박스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녹음모드 또는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 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한다. 변환된 음성 신호는 통화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처리되어 안테나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경로 탐색을 위해 목적지나 출발지 등을 음성을 통해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이동 단말기(100)가 약정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오감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신호로서 결과를 표출하도록 된 수단으로서, 대표적인 출력장치인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2)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시각적인 정보로서 화면상에 출력하게 되는데 예컨대 이동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모드인 경우, 차량운행과 관련한 현재의 위치, 목적지, 경로 등의 정보와 지도, 속도, 방향, 거리 지시 등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이와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블랙박스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된 영상 또는 UI(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랙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영상이 표시되는 듀얼 디스플레이(예컨대,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운전석에서 보면 지도가 보이고, 조수석에서 보면 방송 화면이 보이는 출력장치)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 가운데 일부는 외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OLED(Transparant OLED)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뒷면 즉,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몸체(body)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복수의 디스플레이 수단이 하나의 면에 이격된 형태로 또는 일체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서로 다른 면에 나뉘어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레이어(layer)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는 예컨대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된 것이다. 이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접촉에 대응되는 신호가 발생되어 터치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 전송되게 되며, 터치 제어기는 이를 처리한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게 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를 인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는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스크린에 근접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지정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은 동시에 두 지점 이상에 가해진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는데 이를 '멀티 터치(multi-touch)'라 한다.
한편, 음향 출력 모듈(152)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한 음성정보(예컨대, 경고음, 알림음, 경로 안내 음성 등)를 출력하게 되는데,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으로 구성된다.
메모리(160)는 상기 제어부(180)의 데이터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전화번호부, 지도 정보, 오디오 및 영상정보 등과 같은 컨텐츠 자료를 데이터로 보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출력부(15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메모리(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빈도(예컨대, 자주 가는 목적지, 각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SD 또는 XD와 같은 카드 타입, 램(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가운데 어느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 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데이터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기도 하며, 이동 단말기(100) 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창구(device)이기도 하다.
이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데이터 통신, 경로 검색, 블랙박스 녹화 등을 위한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에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110)나 A/V 입력부(120) 또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입력된 파일이 어떤 형식의 파일인지를 선별하여 해당 파일을 형식별로 분류된 앨범(Album)의 형태로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하는 파일 선별 모듈(182)과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약정된 기준에 따라 해석하여 상응하는 명령어로 변환하는 입력 해석모듈(18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 파일 선별 모듈(182), 입력 해석모듈(183)은 반드시 제어부(180)내에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 등의 다양한 입력 패턴을 상기 입력 해석 모듈(183)을 통해 분석하여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장치 전반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는 바 형태의 몸체를 구비한 것이 예시된 것이지만, 2 이상의 몸체가 결합된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몸체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하고, 이 케이스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하거나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몸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인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에는 음향출력모듈(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입력 버튼(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되며, 사용자 입력부(130)의 다른 입력수단과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 및/또는 리어 케이스의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 복수의 조작 유닛(unit)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되는데, 사용자의 촉감에 의해 조작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조작 유닛은 시작, 종료 및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은 음향출력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는데,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들은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키패드의 형태로 표시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자형을 선택하여 터치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를 이른바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한다.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전면 창에 구비된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배치되고, 입력창(151b)에는 주소/번지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지점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의 일측 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 레이어 구조로 구현된 터치 패드는 스크롤(scroll)에 의한 터치 입력을 인지하고 그에 상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상기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예컨대,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51)는 상술한 기능이 구비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것으로 한다.
이어, 도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파일 분류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즉 상기 무선통신부(110), A/V 입력부(120) 또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파일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술한 입력 채널 가운데 어느 하나로부터 파일 입력이 감지되게 되면(S310), 제어부(180)내의 상기 파일 선별 모듈(182)은 입력된 파일의 확장자 및/또는 파일 내에 저장된 제어정보를 근거로 해당 파일이 음악파일인지, 영상파일인지 또는 기타 일반 파일인지를 구분하여 선별해낸다.(S320)
선별결과, 해당 파일이 음악 파일로 확인되면, 상기 파일 선별 모듈(182)은 해당 파일에 저장된 앨범(Album)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파일을 앨범 별로 분류하게 된다.(S331) 이때, 만일 파일 내에 앨범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서버 또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해당 음악 파일에 대한 앨범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앨범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제어부(180)가 해당 파일의 파일명 등의 정보를 근거로 검색을 실행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으며 그 밖에 이 분야에서 제시된 다양한 방식과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음악 파일이 앨범 별로 분류된 이후, 제어부(180)의 파일 선별 모듈(182)은 각 앨범의 이름을 기준으로 A-Z 형식 또는 가-하 순서로 파일을 정렬하여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S333)
한편, 상기 파일 선별 단계(S320)에서 입력 파일이 동영상파일로 확인된 경우, 파일 선별 모듈(182)은 해당 동영상파일에 포함된 동영상 정보를 근거로 해당 파일이 영화인지 개인 동영상 파일인지를 구분해내게 된다.(S341) 이때, 만일 해당 파일이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80)가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입력 파일이 영화 파일로 분류되게 되면, 상기 파일 선별 모듈(182)은 해당 파일을 제목별, 주연배우별, 또는 감독별로 분류하게 되며(S343), 각 항목의 이름을 기준으로 A-Z 형식 또는 가-하 순서로 정렬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앨범의 형태로 관리한다.(S345)
한편, 상기 파일 선별 단계(S320)에서 입력 파일이 음악 파일도 동영상 파일도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파일 선별 모듈(182)은 해당 파일을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 또는 단말기 내부의 기설정된 위치에 저장하게 된다.(S350)
상술한 과정은 파일이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될 때, 상기 제어부(180)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제어부(180)를 통해 상기 메모리(160)의 소정 영역에 수동으로 분류하고 정렬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 상술한 과정에 의해 정렬되어 관리되는 파일의 재생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인덱스 항목 검색(index item search)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정렬된 앨범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명칭 순서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 스크린이 레이어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앨범 리스트 가운데 원하는 파일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플릭(flick) 또는 플릭킹(flicking) 할 수 있다. 플릭 또는 플릭킹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 입력을 포인터로서 튕기는 동작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앨범 리스트는 앨범 명칭을 기준으로 A-Z 또는 가-하 순으로 앨범이 정렬되어 있다. 즉, 앨범 리스트는 열을 기준으로 정렬되며, A열에는 A로 시작되는 앨범들이, B열에는 B로 시작되는 앨범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이웃한 앨범은 일부분이 겹치는 형태로 표현된다.
앨범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좌우로 플릭(flick) 함으로써 앨범 리스트의 열(row)을 선택할 수 있다.
앨범 리스트 상에서의 열은 같은 인덱스(예컨대, 머릿 글자가 A로 시작하는 앨범들은 동일한 열에 정렬된다)로서 정렬되는 앨범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이때, 각각의 앨범 리스트는 단순한 텍스트 형태가 아니라 앨범 케이스의 이미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앨범에 대한 텍스트 형식의 정보가 아닌 앨범 케이스 형식의 이미지 정보로 리스트를 확인함으로써, 선택하고자 하는 앨범이 포함된 앨범 리스트의 열을 빠르고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연속 항목 검색(Sequenced Item Search)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앨범이 포함된 앨범 리스트의 열을 좌우 플릭의 방법으로 선택한 후에, 해당 앨범 리스트 열에서 자신이 원하는 앨범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B열에 사용자가 듣고자 하는 앨범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B열에서 상하 방향으로 터치 스크린을 플릭함으로써 앨범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B열 상에서 포인터(손가락 등)로 B열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 또는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플릭하면, B열에 순차적으로 정렬된 앨범들이 하나씩 상단 또는 하단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사용자가 원하는 앨범의 케이스 이미지가 전면에 나타나는 시점에 해당 앨범을 선택함으로써 리스트 상에서 원하는 앨범을 색인하고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5의 방법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방법과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상술한 과정에 의해 특정 앨범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영역은 앨범의 케이스 이미지 또는 앨범의 CD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영역은 앨범 리스트를 보여줄 수 있다. 즉, 현재 사용자가 선택하여 재생(플레이)되고 있는 앨범은 제1 영역에 표시되어 현재의 재생상태를 보여줄 수 있고, 나머지 재생 상태가 아닌 앨범의 리스트들은 제2 영역에 앨범의 명칭 순으로 정렬하여 보여주게 된다.
사용자가 앨범 리스트를 상하 방향으로 플릭하게 되면, 앨범 리스트는 상단에서 하단 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넘어가면서 해당 앨범의 케이스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앨범의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동안에도 제2 영역에 구현되는 앨범 리스트를 상하 방향으로 플릭함으로써 다른 앨범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방법은 도 4 및 도 5에 개시된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좌우 플릭 또는 상하 플릭을 통해 원하는 특정 앨범을 색인(검색)한 후에 해당 앨범 상에서 포인터로 긴 터치 입력(이른바, 롱 터치)을 실행하게 되면, 도 4 또는 도 5에 예시된 화면은 도 6에 예시된 화면으로 전환되게 된다.
물론, 사용자는 도 4 및 도 5의 과정없이 도 6의 화면만으로도 앨범 리스트에서 원하는 앨범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도 4 및 도 5의 방법들을 함께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좌우 플릭을 통해 앨범 리스트의 열을 색인하고, 상하 플릭으로서 해당 열에서 특정 앨범을 찾을 수 있다. 특정 앨범이 검색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롱 터치 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에 가함으로써 해당 앨범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은 도 6에 도시된 화면으로 전환되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인덱스 항목 검색(Index Item Search)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 리스트의 열은 2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각 앨범 리스트의 열이 A-Z 또는 가-하의 순으로 정렬된 경우를 나타내지만, 도 8에서는 각 앨범의 케이스 이미지 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도 8(a)에서 좌우 방향으로 터치 스크린을 플릭하면, 해당 이미지들은 도 8(b)와 같이 변화하면서, 도 8(c) 화면으로 전환되게 된다.
또한, 도 8의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각 앨범 리스트의 열이 상하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제3 영역(810)과 이 제3 영역(810)의 중심 위치에 있는 앨범 케이스를 기준으로 나머지 앨범 리스트를 보여주는 제4 영역(820)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사용자가 제3 영역의 상단 부분에서 하단 부분으로 또는 하단 부분에서 상단 부분으로 플릭하면, 앨범 리스트 내에 수록된 앨범 케이스 이미지들이 플릭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3 영역의 중심 위치에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앨범 케이스 이미지가 정렬되면, 상기 특정 앨범 케이스를 기준으로 나머지 앨범 케이스 이미지가 제4 영역에 나타나게 된다.
도 9는 이제까지 설명한 과정을 종합하여 파일이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되어 자동 분류되고 재생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3의 파일 입력 단계(S310)에서와 같이 무선통신부(110), A/V 입력부(120), 또는 인터페이스부(170) 등을 통하여 파일을 입력받을 수 있다.(S910)
제어부(180)의 파일 선별 모듈(182)은 입력된 파일을 분석하여 음악 파일, 영상 파일(정지영상/동영상), 기타 일반 파일로 구분하고, 상기 영상 파일은 다시 영화 파일과 개인제작 동영상 파일로 분류하여, 약정된 기준에 따라 파일을 앨범 리스트의 형태로 정렬시켜 메모리(160)에 저장하게 된다.(S920)
이후,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80)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정렬된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어 사용자가 앨범 리스트에서 특정 앨범을 선택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릭 등의 방법으로 제어정보를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180)의 입력해석 모듈(183)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플릭 등의 동작을 근거로 제어정보를 획득하게 된다.(S930)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정보를 해석하여 이를 근거로 앨범 리스트를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 하거나 재생(플레이)을 실행하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S940)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파일을 그 형식에 맞게 자동으로 분류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렬시켜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시 수록중인 파일을 직관적인 내용 파악이 가능한 앨범 리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파일을 쉽고 빠르게 찾고 재생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 또는 운전중에도 사고 발생의 우려없이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으며,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는 예컨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내에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11 : 방송 수신 모듈 112 : 이동통신 모듈
113 : 무선 인터넷 모듈 114 : 근거리 통신 모듈
115 : 위치 정보 모듈 120 : A/V 입력부
121 : 카메라 122 : 마이크
130 : 사용자 입력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52 : 음향 출력 모듈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81 : 멀티미디어 모듈
182 : 파일 선별 모듈 183 : 입력 해석 모듈
190 : 전원 공급부

Claims (11)

  1. 이동 단말기에서 앨범 리스트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파일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파일을 그 형식에 따라 영상 파일과 음악파일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영상 파일 및 음악 파일에 포함된 정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된 파일 정보를 근거로 상기 분류된 영상 파일 및 음악 파일을 소분류하여 앨범 형태로 저장하는 파일 분류 저장 단계;
    분류된 파일별로 표시할 앨범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일 분류 저장 단계는 입력된 파일의 확장자 또는 단말기의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된 결과를 근거로 분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앨범 리스트는 해당 앨범의 케이스 이미지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접촉에 의한 정보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입력장치를 통한 제1 기준점에서 제2 기준점까지의 플릭신호로서 상기 앨범 리스트를 제어하는 플릭 제어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릭 제어 단계는 가로방향의 플릭에 의해 상기 앨범 리스트의 좌우 스크롤이 제어되고,
    세로방향의 플릭에 의해 상기 앨범 리스트의 상하 스크롤이 제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릭 제어 단계는 상기 앨범 리스트 상의 임의의 앨범에 대하여 해당 앨범의 표시부를 롱 터치 하는 것으로 해당 앨범의 재생을 실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
  8. 외부로부터 파일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와;
    이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파일을 그 형식에 따라 영상 파일과 음악파일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영상 파일 및 음악 파일에 포함된 정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된 파일 정보를 근거로 상기 분류된 영상 파일 및 음악 파일을 소분류하여 상기 메모리에 앨범 형태로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또는 음악 파일을 상기 제어부의 통제에 따라 앨범 이미지 형식의 리스트로 정렬시켜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외부 영상 또는 음성 정보를 인가받기 위한 A/V 입력부,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가운데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접촉에 의한 정보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 내부로 입력되는 파일을 대상으로 형식별로 선별해내는 파일 선별 모듈과
    상기 입력장치를 통한 제1 기준점에서 제2 기준점까지의 플릭신호를 근거로 상기 앨범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링을 제어하는 입력 해석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시스템.
KR1020110101213A 2011-10-05 2011-10-05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262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13A KR101262525B1 (ko) 2011-10-05 2011-10-05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과 그 시스템
US13/313,726 US20130091458A1 (en) 2011-10-05 2011-12-07 Album lis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mobile device
JP2011270670A JP2013084328A (ja) 2011-10-05 2011-12-09 移動端末機のアルバムリスト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DE102011089253A DE102011089253A1 (de) 2011-10-05 2011-12-20 Albenlistenverwaltungssystem und -verfahren für mobile Geräte
CN201210003555.2A CN103034670B (zh) 2011-10-05 2012-01-06 移动设备中的专集列表管理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13A KR101262525B1 (ko) 2011-10-05 2011-10-05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과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952A KR20130036952A (ko) 2013-04-15
KR101262525B1 true KR101262525B1 (ko) 2013-05-08

Family

ID=4790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213A KR101262525B1 (ko) 2011-10-05 2011-10-05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과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091458A1 (ko)
JP (1) JP2013084328A (ko)
KR (1) KR101262525B1 (ko)
CN (1) CN103034670B (ko)
DE (1) DE1020110892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3155B2 (ja) * 2012-02-08 2017-05-10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D712426S1 (en) 2012-09-13 2014-09-02 Sony Computer Enertainment,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6004868B2 (ja) * 2012-09-27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111940A (zh) * 2013-04-18 2014-10-22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文件存储方法
USD741350S1 (en) * 2013-06-10 2015-10-2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8406S1 (en) * 2014-07-02 2016-06-07 Aliphcom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298449A (zh) * 2014-10-21 2015-01-21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调整智能移动终端拍摄按键的方法和智能移动终端
CN104933205A (zh) * 2015-07-15 2015-09-23 太原理工大学 土地利用空间数据处理中基于地理本体的属性匹配方法
USD784368S1 (en) * 2015-10-17 2017-04-18 General Electric Company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7033S1 (en) 2017-11-07 2019-08-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189292A (zh) * 2018-08-10 2019-01-11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拍摄视频时的音乐选取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0096155A1 (ko) * 2018-11-09 2020-05-14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정품 인증 및 차트 생성 시스템 및 방법
US11709740B2 (en) * 2019-07-18 2023-07-25 EMC IP Holding Company LLC Automatically determining optimal storage medium based on source data characteristic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775B1 (ko) * 2006-12-20 2008-04-14 주식회사 휴맥스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분할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1799A (ja) * 1996-05-21 1997-12-02 Sony Corp 検索装置及び記録媒体再生装置
JP4149767B2 (ja) * 2002-08-30 2008-09-17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提示装置、コンテンツ提示方法及びコンテンツ提示プログラム
JP2004117618A (ja) * 2002-09-25 2004-04-1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転送方法、および音楽再生装置
JP4423550B2 (ja) * 2004-05-19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タイトル表示方法及びコンテンツタイトル表示プログラム
JP2006277307A (ja) * 2005-03-29 2006-10-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6106631A1 (ja) * 2005-03-31 2006-10-12 Pioneer Corporation 再生順変更支援ユニット、楽曲情報再生装置及び再生順変更支援方法
JP2007089020A (ja) * 2005-09-26 2007-04-05 Orion Denki Kk 記録再生装置及び該装置の録画タイトル編集方法
JP2007257494A (ja) * 2006-03-24 2007-10-04 Sony Corp データ記録装置、接続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JP2009181464A (ja) * 2008-01-31 2009-08-13 Hitachi Ltd 情報端末装置、情報端末装置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470543B1 (ko) * 2008-02-15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8095566B2 (en) * 2008-05-12 2012-01-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anaging media files from multiple sources
KR101019039B1 (ko) * 2008-05-22 201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데이터 검색 방법.
KR100950177B1 (ko) * 2008-10-31 2010-03-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외부입력에 대한 카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JP4752897B2 (ja) * 2008-10-31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1608532B1 (ko) * 2009-08-11 2016-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CN102111680A (zh) * 2009-12-25 2011-06-29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机顶盒的歌曲分类管理方法
JP5636678B2 (ja) * 2010-01-19 2014-12-1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A2881448C (en) * 2010-01-26 2017-09-05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684704B1 (ko) * 2010-02-12 201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
US9122709B2 (en) * 2010-06-25 2015-09-01 Blackberry Limited Management of media fi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775B1 (ko) * 2006-12-20 2008-04-14 주식회사 휴맥스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분할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84328A (ja) 2013-05-09
DE102011089253A1 (de) 2013-04-11
KR20130036952A (ko) 2013-04-15
US20130091458A1 (en) 2013-04-11
CN103034670A (zh) 2013-04-10
CN103034670B (zh)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525B1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338825B1 (ko) 다이나믹 터치 인터렉션을 이용한 선택영역 상세 정보 표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326994B1 (ko)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30145309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division screen interlocking display using dynamic touch interaction
CN103916535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201400132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in mobile device
EP3232307A1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providing recommended items based on context awareness
KR10219196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841574B1 (ko) 동영상 장면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110022310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14033779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13144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324745A (zh) 电子装置和在电子装置中执行对象的方法
CN103823627A (zh) 在移动终端中的屏幕显示方法和使用该方法的移动终端
KR2014001866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212347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表示方法
KR101745002B1 (ko)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9314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차량 제어방법
KR2014000324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405566B1 (ko) 다이나믹 터치 인터렉션을 이용한 순차적 화면 전환 표시방법 및 그 장치
KR10172187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56258B1 (ko) 다이나믹 터치 인터렉션을 이용한 화면 분할 방법
KR20130031112A (ko) 홈 메뉴 세팅 장치 및 그 방법
KR10154945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맵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