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219B1 - Personal computer installed input-output socket for smartphone - Google Patents

Personal computer installed input-output socket for smart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219B1
KR101262219B1 KR1020110075790A KR20110075790A KR101262219B1 KR 101262219 B1 KR101262219 B1 KR 101262219B1 KR 1020110075790 A KR1020110075790 A KR 1020110075790A KR 20110075790 A KR20110075790 A KR 20110075790A KR 101262219 B1 KR101262219 B1 KR 10126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mart phone
desktop computer
main bod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3883A (en
Inventor
오왕군
Original Assignee
오왕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왕군 filed Critical 오왕군
Priority to KR1020110075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219B1/en
Publication of KR2013001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8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가 컴퓨터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없이 스마트폰을 충전하거나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USB연결 케이블 없이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의 스마트폰에 연결 가능한 수 단자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직접 연결하여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어 스마트폰 사용자가 별도의 USB연결 케이블을 휴대할 필요가 없어 사용에 있어서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ntegrally to the computer to charge the smart phone or transmit data to the smartphone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mart phone input / output male terminal without USB connection cable The smartphone terminal can be connected directly to a smartphone using a male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a smartphone to perform charging and data transfer. There is no ne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in use.

Description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 {Personal computer installed input-output socket for smartphone}Personal computer installed input-output socket for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가 컴퓨터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 없이 스마트폰을 충전하거나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input / output male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that can be integrated into the computer integrally coupled to the computer to charge the smartphone or transmit data to the smartphone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cable.

최근 전자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스마트폰이 급격한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2011년 3월 현재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의 수는 1,000만 명에 육박하고 있으며, 이는 2010년 11월 720만 명에서 4개월이라는 단기간에 300만 여명이 증가한 수치이다. 이와 같은 추세는 더욱 가속화되어 2011년 말에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가 2,000만 명이 넘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추산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smart phones are spreading rapidly. As of March 2011, the number of smartphone subscribers in Korea is close to 10 million, an increase of around 3 million in a short period of four months from 7.2 million in November 2010. This trend has accelerated further, experts estimate, by the end of 2011, there will be more than 20 million domestic smartphone subscribers.

스마트폰이 아닌 일반 휴대전화단말기를 통칭하는 피쳐폰과 비교하였을 때 스마트폰의 특징 중의 하나는 컴퓨터의 USB장치를 이용한 충전방식이다. Compared to a feature phone that is not a smart phone but a general mobile phone terminal,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a smart phone is a charging method using a USB device of a computer.

USB(범용 직렬 버스, Universal Serial Bus)는 컴퓨터와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데 쓰이는 입출력 표준 가운데 하나이다. 대표적인 버전으로는 USB 1.0, 1.1, 2.0, 3.0 등이 있다. USB는 다양한 기존의 직렬, 병렬 방식의 연결을 대체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키보드, 마우스, 게임패드, 조이스틱,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PDA, 저장장치와 같은 다양한 기기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 연결의 대부분은 표준 연결 방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USB는 PC를 위하여 개발되었지만 지금은 PDA나 게임콘솔 등에서도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고, USB의 전원 공급 기능을 이용하여 충전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2008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20억 개의 USB 장치가 있다.USB (Universal Serial Bus) is one of the input and output standards used to connect computers and peripherals. Typical versions include USB 1.0, 1.1, 2.0, and 3.0. USB was created to replace a variety of traditional serial and parallel connections. It is used to connect various devices such as keyboards, mice, gamepads, joysticks, scanners, digital cameras, printers, PDAs, and storage devices. Most of these device connections are made using standard connections. USB was developed for PCs, but now it is adopted and used in PDAs and game consoles, and it is also widely used for charging by using the power supply function of USB. In 2008, there are about 2 billion USB devices worldwide.

USB 초기에 저속도(Low speed)로 연결되는 키보드, 마우스 같은 제품들이 있었지만 이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고속도(Full speed)의 USB 1.0도 1.1 규격으로 업데이트된 다음 USB 2.0으로 전환되었다. 2010년 초 USB 3.0을 적용한 제품들이 나왔지만 현재는 대부분 USB 2.0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USB 2.0 제품의 이론상 최대 전송속도는 60MB/s이지만 실제 속도는 절반 정도인 30MB/s라고 알려져 있다. USB 3.0 방식을 사용하는 외장 저장장치 시제품의 속도를 측정해보면 연속 읽기 속도가 120MB/s에 달하고 쓰기 속도도 103MB/s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현재 사용되는 하드디스크의 최대 전송 속도를 초과한다. 그러나 USB의 속도에는 치명적인 제약이 있는데 주 컨트롤러(host controller)에 연결된 기기들 간에는 대역폭을 나누어 쓰게 되므로 장치가 늘어날수록 속도는 현저히 떨어진다. 그러나 더욱 빠른 전송 속도 등으로 고려해볼 때 향후 스마트폰의 데이터 전송 기술로서 USB가 더욱 보편적으로 사용될 것이라는 것은 확실시된다.
In the early days of USB, there were products such as keyboards and mice that connected at low speed, but they are rarely used now. Full speed USB 1.0 was also updated to the 1.1 specification and then switched to USB 2.0. In early 2010, USB 3.0 products were introduced, but now USB 2.0 is most commonly used. The theoretical maximum transfer rate of USB 2.0 products is 60MB / s, but the actual speed is about 30MB / s, which is about half. When measuring the speed of a prototype USB storage device, it is known that the continuous read speed reaches 120MB / s and the write speed reaches 103MB / s. This exceeds the maximum transfer speed of currently used hard disks. However, the speed of USB is a critical limitation, because the bandwidth is divided between devices connected to the host controller, so the speed decreases significantly as the number of devices increases. However, considering faster transmission speeds, it is clear that USB will be used more commonly as a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for smartphones in the future.

USB 방식으로 연결된 주변 기기에는 약간의 전력이 함께 공급된다. 따라서 보통은 외부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도 쉽게 주변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USB 2.0의 정격 전류용량은 5V 500mA 이며, USB3.0의 정격 전류용량은 5V/12V 900mA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충전이 가능한 것이며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USB 2.0보다 향후 범용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USB 3.0의 경우 스마트폰의 충전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전압은 5V로 동일하나, 버스 전류가 900mA(USB 2.0의 경우 500mA)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컴퓨터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충전은 더욱 보편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스마트폰 사용자들 중에 컴퓨터를 이용한 충전보다 전원 콘센트를 이용한 충전을 선호하는 주된 이유 중의 하나가 빠른 충전 시간이기 때문이다.A small amount of power is supplied to peripherals connected via USB. Therefore, it is usually easy to use peripherals without using an external power supply. The rated current capacity of USB 2.0 is 5V 500mA and the rated current capacity of USB3.0 is 5V / 12V 900m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smartphone, and USB 3.0, which is expected to be used in general in the future, is expected to shorten the charging time of the smartphone further than USB 2.0, which is currently used in general use. The voltage is the same at 5V, but the bus current increases to 900mA (500mA for USB 2.0). In this case, the charging of smartphones using computers is expected to become more common. Fast charging time is one of the main reasons among smartphone users who prefer to use the power outlet rather than the computer.

USB에 있어서 주로 사용되는 단자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마이크로 타입, 미니 타입, 일반 타입이다. 상기 USB 단자의 모양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3가지 타입의 단자는 각각 암/수의 형태로 존재하여 결합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일반 A 타입으로 주로 데스크탑 컴퓨터 및 랩탑 컴퓨터 등에 거의 일반적으로 채택되어 있다.
USB is mainly used in three types of terminals. Micro type, mini type, general type. The shape of the USB terminal i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three types of terminals are each present in the form of male and female and are coupled. The most commonly used is the generic A type, which is almost commonly employed in desktop computers and laptop computers.

스마트폰은 상기와 같은 USB연결 충전 방식 이외에 일반 전원콘센트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식도 가능하지만 이도 역시 USB단자를 이용하여 전원 콘센트와 연결되는 방식이다. 상기 전원 콘센트와 연결되는 장치에 대하여 도 3 내지 4에 도시하였다. 이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는 기능이 필수적인 스마트폰에 있어서 하나의 케이블로 데이터 전송과 충전을 동시에 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In addition to the USB connection charg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a smartphone can be charged using a general power outlet, but this is also connected to a power outlet using a USB terminal. 3 to 4 show a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outlet. This seems to be for data transmission and charging at the same time with a single cable in a smartphone that requires a function of data transmission by connecting to a computer.

이러한 스마트폰의 특징으로 인하여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충전 또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컴퓨터와 연결할 수 있는 별도의 케이블을 사용한다. 이는 일 측 말단은 컴퓨터의 USB입력 단자에 삽입할 수 있는 수 단자이고 타 측 말단은 스마트폰에 삽입할 수 있는 수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USB연결 케이블의 예시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였다.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martphones, smartphone users use a separate cable that can be connected to a computer for charging or transmitting data. One end is a male terminal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USB input terminal of the computer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male terminal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Examples of the USB connection cable are shown in FIGS. 5 to 7.

상기 케이블은 현재 각 스마트폰의 제조사 또는 운영체계 공급자별로 스마트폰 연결 단자의 형태가 달라 여러 형태가 존재하고 있지만 국제전기통신연합(ITU)를 비롯한 각종 국제기구의 노력으로 인하여 수년 내에 하나의 단자로 통합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로서는 2014년에 통합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다.The cable has different types of smartphone connection terminals for each smartphone manufacturer or operating system supplier. However, various cables exist in one year due to the efforts of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It is likely to be integrated. It is currently expected to be integrated in 2014.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의 충전 방식은 상기 USB 연결 케이블만 있으면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 없이 컴퓨터에 연결하여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USB연결 케이블은 부피와 무게가 일반 휴대전화 충전장치에 비하면 작고 가볍기 때문에 충전장치와 함께 휴대하는 것보다 휴대성이 우수하다.Charging method of the smart phone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charged by connecting to a computer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charging device only if the USB connection cable. Since the USB connection cable is smaller and lighter tha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the USB connection cable is more portable than the portable device.

상기 USB연결 케이블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는 스마트폰의 연결 소켓과 컴퓨터의 USB 단자 소켓을 연결하는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지원하는 표준 USB단자는 돌출형(수단자)으로 컴퓨터의 USB 소켓(암단자)에 삽입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표준 USB 입력 수 단자를 스마트폰에 적용할 경우 돌출적인 구조로 인하여 집적하여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별도의 고유한 형태의 삽입용 소켓(암단자)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삽입용 소켓(암단자)은 컴퓨터의 USB 소켓(암단자)과의 연결이 호환되지 않아 이를 위한 별도의 두개의 양측 수 단자로 구성된 연결 케이블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 상기 USB연결 케이블이다. The USB connection cable performs the following functions. The first is to connect the connection socket of the smartphone and the USB terminal socket of the computer. In general, the standard USB terminal supported by the computer is a protruding type (means) and inserted into the USB socket (female terminal) of the computer. However, when the standard USB input ma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a smartphone, it is not easy to integrate and design due to the protruding structure. Therefore, most smartphones adopt a separate type of insertion socket (female terminal). However, the above-mentioned insertion socket (female terminal) is not compatible with the connection of the USB socket (female terminal) of the computer requires a connection cable consisting of two separate male terminals for this purpose. The USB connection cable that performs a function to solve this problem.

상기 USB연결 케이블의 두 번째 기능은 컴퓨터의 USB 소켓으로부터 일정한 범위 내에서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즉, 컴퓨터의 USB 소켓과 연결되는 일 측과 스마트폰의 외부 소켓과 연결되는 타 측을 연결하는 일정한 길이의 연결선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컴퓨터와 연결한 경우에도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컴퓨터와 연결하는 도중에도 사용자가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The second function of the USB connection cable is to freely move the smartphone within a certain range from the USB socket of the computer. That is, even when the user connects the smartphone to the computer, the user can freely operate the smartphone within a certain range due to a certain length of connection line connect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USB socket of the compute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external socket of the smartphone. Make it move. This provide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freely use the smartphone while connecting with the computer.

그러나 상기 USB연결 케이블의 두 번째 기능을 포기한다면 USB연결 케이블은 단지 변환 잭의 형태로만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언급한 USB연결 케이블의 두 번째 기능은 USB연결 케이블의 본연의 기능인 충전 및 데이터 전송과는 무관하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약간의 불편을 감수한다면 포기할 수 있는 기능이다.However, if the second function of the USB connection cable is abandoned, the USB connection cable may exist only in the form of a conversion jack. In particular, the second function of the above-mentioned USB connection cable is irrelevant to charging and data transfer, which is a function of the USB connection cable, and can be given up if the user takes some inconvenience.

또한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경우 사용자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사용 시간이 많을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도 피쳐폰에 비하여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충전 빈도가 높아 항상 USB연결 케이블을 휴대하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in general, smartphones have a high charging frequency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users use them for various purposes and have a lot of time, and consume more power than feature phones.

따라서 사용자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USB연결 케이블의 휴대가 불필요하면서도 컴퓨터만 있다면 어디에서나 유용하게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user,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charging and transferring data usefully wherever a computer is required without carrying a USB connection cabl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USB연결 케이블이 없이 스마트폰의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capable of charging and data transmission of the smart phone without a separate USB connection cabl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가장 사용하기 편리한 형태의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of the type that is most convenient for the user of the smart phone to perform the charging and data transmission of the smart phone using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본 발명은 상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컴퓨터 메인보드의 USB연결 소켓에 직접 스마트폰에 연결 가능한 수 단자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mart phone input / output male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made of an integral type by connecting a male terminal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 smartphone to a USB connection socket of a computer main boar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에 있어서 스마트폰에 연결 가능한 수 단자의 위치를 컴퓨터의 상부 또는 전면부에 위치하여 지지대가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 형태를 제안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support coupled to the position of the male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in 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male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in order to achie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 a form.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USB연결 케이블 없이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의 스마트폰에 연결 가능한 수 단자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직접 연결하여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어 스마트폰 사용자가 별도의 USB연결 케이블을 휴대할 필요가 없어 사용에 있어서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phone user can perform a separate USB charging and data transfer by directly connecting a smartphone using a male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a smartphone input / output male terminal smartphone without a separate USB connection cable. There is no need to carry a connecting cable, there is an effect to increase the convenience in use.

도 1은 다양한 형태의 USB 소켓을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2는 다양한 형태의 USB 소켓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애플사의 아이폰 전용 충전 케이블과 전원용 어댑터의 사진이다.
도 4는 스마트폰용 전원 어댑터의 사진이다.
도 5는 애플사의 아이폰 전용 USB연결 케이블의 양 말단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애플사의 아이폰 전용 USB연결 케이블의 사진이다.
도 7은 삼성사의 갤럭시S 전용 USB연결 케이블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부분을 확대한 것을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various types of USB sockets.
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ppearance of various types of USB sockets.
3 is a picture of Apple's iPhone charging cable and power adapter.
4 is a photograph of a power adapter for a smartphone.
Figure 5 is a plan view of both ends of Apple's iPhone-only USB connection cable.
6 is a picture of Apple's iPhone-only USB connection cable.
7 is a picture of Samsung's Galaxy S dedicated USB connection cabl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view of the smartphone input / output male terminal portion of FIG. 13.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일체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ntegrated computer.

이하에서 설명되는 추가적인 개선점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만 간주되어야 하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further refinements described below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only and do not limit the scope protected by the clai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데스크탑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 본체의 메인보드의 유에스비 소켓(100)에 일 측의 말단이 연결된 연결선(200), 상기 연결선(200)의 타 측 말단에 결합된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로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일체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ktop computer, a connection line 200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100 of the main board of the desktop computer main body, and a smartphone input / output male terminal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200. Comprising 300,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relates to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ntegrated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일체형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상단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일체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ntegrated computer,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s integrated with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characterized in that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It's about compute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일체형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전면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전면부에는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를 내부에 수납하고, 폐쇄상태에서는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전면부의 일 외부측면 일부로 결합되어 있고 개방상태에서는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전면부와 수직이면서 지면과 평행한 위치로 변경되어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와 결합된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대 겸 개폐부(400)를 포함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일체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the integrated computer,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the front of the desktop computer the smartphone input and output The male terminal 300 is housed therein, and in a closed state, it is coupled to a portion of one outer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and in an open state, the male terminal 300 is changed to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and parallel to the ground. To the smart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ntegrated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rage space including a suppo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that serves to support the smartphone coupled to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t is abou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일체형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회전축에 탄성 재질의 걸쇠가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복귀회전레일(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200)은 상기 복귀회전레일(500)의 표면에 권취되어 상기 연결선(200)의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측에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 외부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면 상기 연결선(200)이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장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일체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 input and output male terminal 300 integrated computer,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the elastic shaf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fter the return rotation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 rail 500 is further included, and the connection line 200 is wound on the surface of the return rotation rail 50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on the smartphone input / output male terminal 300 side of the connection line 200. When the tension acts as the connection line 200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and when the tension is removed relates to a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integrated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riginal st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일체형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 후면 방향으로 5° 내지 20°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일체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the integrated computer,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s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characterized in that inclined 5 ° to 20 °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The male terminal 300 relates to an integrated computer.

본 발명의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일체형 컴퓨터는 데스크탑 컴퓨터에 있어서 메인보드의 유에스비 소켓(100)에 일 측의 말단이 연결된 연결선(200)을 포함한다.Smart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ntegrated compu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ktop computer includes a connection line 20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SB socket 100 of the motherboard.

일반적으로 데스크탑 컴퓨터는 메인보드라는 구성품을 포함하고 있다. 메인보드(mainboard)는 컴퓨터가 작동되기 위한 주요 부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한 인쇄회로기판(PCB)이다. 마더보드(motherboard)나 주기판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상기 주요 부품은 램(RAM), 하드디스크, 중앙처리장치(CPU) 등 이외에도 USB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소켓이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메인보드에는 한쪽 측면에 2개 내지 4개의 USB 소켓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보드의 USB 소켓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하나의 소켓에 127개의 외부기기를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Desktop computers typically contain a component called a motherboard. Mainboards are printed circuit boards (PCBs) designed to enable the use of the main components for the computer. Sometimes called a motherboard or motherboard. The main components include a RAM, a hard disk,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socket for connecting a USB external device. Generally, motherboards have two to four USB sockets on one side. One or more cables may be connected to the USB socket of the motherboard to be used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eoretically, 127 external devices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to one socket.

일반적인 데스크탑 컴퓨터에서는 상기 메인보드의 USB 소켓에 연결선(200)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선(200)의 타 측 말단에 타입 A의 암 소켓을 연결하여 외부로 노출시키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타입 A 암 소켓은 일반적으로 데스크탑 컴퓨터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1개 내지 3개의 개수로 설치된다.In a typical desktop computer, the connection line 200 is connected to the USB socket of the mainboard, and the female socket of type A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20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type A female socket is generally installed in a number of one to three at the front or rear of the desktop computer.

본 발명은 상기 메인보드의 USB소켓에 연결선(200)의 일 측 말단을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form of connecting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e 200 to the USB socket of the motherboard.

본 발명은 상기 연결선(200)의 타 측 말단에 결합된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는 스마트폰의 암 단자 소켓과 결합할 수 있는 단자를 의미한다. 상기 단자는 현재 스마트폰 제조사 별로 다르나 상기 단자가 연결되는 USB연결 케이블의 내부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USB연결 케이블의 내부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USB 케이블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를 상기 연결선(200)의 타 측 말단에 연결하는 것에 기술적 난해함은 존재하지 않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200.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refers to a terminal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female terminal socket of the smartphone. The terminal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urrent smartphone manufacturers, but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SB connection cable to which the terminal is connected is the same. Since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SB connection cable is the same as the USB cable generally used, there is no technical difficulty in connecting the smartphone input / output male terminal 300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200.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외부에서 바로 스마트폰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This is to allow the user of the smartphone to connect the smartphone directly outside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실시예는 다수 존재할 수 있다.Exemplary embodiments of exposing 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to the outside may exist.

본 발명에서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는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따른 두 가지 실시예와 노출시키는 방법에 따른 한 가지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Embodiment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wo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xposure method.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따른 한 가지 실시예는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상단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스크탑 컴퓨터 본체의 상단부의 특정부에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천공을 형성하고 상기 천공을 관통하는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가 결합되는 것으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공과 이를 관통하는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는 본체의 상단부 중에서 전면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exposed to the out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s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As shown in FIG. 8, 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is formed to form a perforation through which 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desktop computer main body. It is installed to be combined. Preferably, the perforation and 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passing therethrough are preferably located near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is is because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또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은 상기 수 단자와 결합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스마트폰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천공 주변에 스마트폰의 하단부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스마트폰이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음각의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when the user is combined with the male terminal, the smartphone has a shape similar to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around the perforation so that the smartphone is stably coupled and fixed. It is desirable to have an intaglio shape that can be stably fixed.

또한, 도 13 내지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을 수 단자와 결합한 경우에도 이상적인 각도에서 스마트폰의 액정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5°내지 20°의 각도로 본체의 후면부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있도록 결합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와 상기 천공 주변의 음각의 형상이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3 to 14, even when the user combines the smart phone with the ma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check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smart phone at an ideal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at an angle of 5 ° to 20 °.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intaglio around 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and the perfora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coupled so as to be inclined.

데스크탑 컴퓨터 상부면에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가 위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가 가장 이상적이나 반드시 전면부에 가까운 위치의 상부면에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가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부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스마트폰 결합을 위한 음각의 형상 또는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가 후면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는 것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Ideal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deally located in the case where the smart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top computer, but the smart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 close to the front part. It is also possible to be located elsewhere. In a preferred embodiment 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Even in this case, the intaglio shape for the smartphone coupling or the inclination of the smart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rear surface may be equally appli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발명의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를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따른 다른 한 가지 실시예는 도 9, 11 및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전면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전면부에는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를 내부에 수납하고, 폐쇄상태에서는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전면부의 일 외부측면 일부로 결합되어 있고 개방상태에서는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전면부와 수직이면서 지면과 평행한 위치로 변경되어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와 결합된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대 겸 개폐부(400)를 포함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exposed to the outside is shown in Figures 9, 11 and 12,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s a desktop computer It is exposed to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the front part of the desktop computer accommodates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therein, in the closed state is coupled to a part of one outer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and open state In the storage unit including a suppo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is changed to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and parallel to the ground to support the smart phone coupled to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male terminal 300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pace.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방식은 상기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천공과 천공을 관통하는 수 단자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위해서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는 본체 전면부의 절반 이상의 윗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는 본 다만 상기 수 단자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수 단자를 비 사용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의 수납공간을 더 구비한다. The method of exposing 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to the outside is formed of a male terminal penetrating and puncturing similarly to the above. Preferably,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may be located at an upper half or mor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male terminal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storage space in order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male terminal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male terminal and not in use.

싱기 수납공간은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전면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를 내부에 수납하고, 지지대 겸 개폐부(400)를 포함한다. A singer compartment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desktop computer. In addition, 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is accommodated therein, and includes a suppo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상기 지지대 겸 개폐부(400)는 폐쇄상태에서는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전면부의 일 외부측면 일부로 결합되어 있고 개방상태에서는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전면부와 수직이면서 지면과 평행한 위치로 변경되어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와 결합된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suppo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is coupled to a portion of one outer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in the closed state and is changed to a posi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perpendicular to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in the smart state. It serves to support the smartphone coupled with the phone input and output male terminal (300).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 겸 개폐부(400)는 사용자가 폐쇄상태의 지지대 겸 개폐부(400)에 누르는 힘을 가하면 개방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화하는 과정이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대 겸 개폐부(400)와 데스크탑 컴퓨터 본체의 전면부와 결합하는 힌지 부분에 별도의 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suppo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changed to the open state when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the suppo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in a closed state. More preferably, a separate device may be installed at the hinge portion coupled with the suppo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desktop computer main body so that the changing process smoothly moves.

상기 지지대 겸 개폐부(400)는 도 12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결합한 경우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결합시 스마트폰의 후면부가 지지대에 접착하여 무게를 의지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 겸 개폐부(400)는 스마트폰 전면부의 크기보다 크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The suppo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should be installed in a form that can be relied on the weight by bonding the back portion of the smart phone to the support when combined in order to support stably when the user combines the smart phon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uppo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should be install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martphone front portion.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가 데스크탑 컴퓨터 본체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의 위치뿐만 아니라 전면부의 상부, 중앙부 또는 하단부에도 설치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예와 구조적인 내용은 동일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where 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is located in the front part of the desktop computer main body, 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the center part, or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rt as well as the posi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ven when provided in a different part from the above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uctural details of the above embodiment be the same.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를 노출시키는 방법에 따른 한 가지 실시예는 도 15와 같이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회전축에 탄성 재질의 걸쇠가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복귀회전레일(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200)은 상기 복귀회전레일(500)의 표면에 권취되어 상기 연결선(200)의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측에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 외부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면 상기 연결선(200)이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장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method for exposing 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as shown in Figure 15, the elastic latch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rotating in one direction It further includes a return rotary rail 500, the connection line 200 is wound on the surface of the return rotation rail 500 is the desktop on the smart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side of the connection line 200 When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compu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line 200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and when the tension is removed, it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이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 일체형 컴퓨터에 있어서 USB연결 케이블을 생략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컴퓨터와 연결한 후 일정 반경 내에서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반경인 20cm 내지 150cm의 연결선(200)을 추가로 구비하여야 한다.This is to allow the user to freely move the smart phone within a certain radius after connecting the smart phone to the computer despite the omission of the USB connection cable in the smart phone input / output terminal 300 integrated compu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above embodiment should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line 200 having a radius of 20 cm to 150 cm that the user can freely move.

상기 추가로 구비된 연결선(200)은 복귀회전레일(500)에 권취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노출되고 다시 내부로 권취되는 것을 반복한다. 필요에 따라서 외부로 노출된 연결선(200)이 자동으로 다시 내부로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귀회전레일(500)의 탄성 재질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별도의 고정쇠가 설치될 수도 있다.The additionally provided connection line 200 is wound on the return rotation rail 500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is repeatedly wound inside. If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the connection line 200 exposed to the outside is automatically wound back to the inside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lamp that serves to fix the elastic material of the return rotary rail 500.

상기 복귀회전레일(500)은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가 노출되는 위치에 따라 천공의 바로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안정적인 연결선(200)의 움직임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이를 위해서 상기 천공은 연결선(200)이 큰 마찰없이 움직일 수 있도록 그 크기가 연결선(200)의 단면보다 큰 형태로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연결선(200)이 모두 내부로 권취된 경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천공에 결합할 수 있도록 천공과 크기와 형태가 유사하여 삽입하여 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300)의 하단부가 형성되어야 한다.
The return rotation rail 500 is preferably installed for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line 200, which is installed just inside the perfo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s exposed. In addition, for this purpose, the perforation should be installed in a size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line 200 so that the connection line 200 can move without great friction. 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line 200 is all wound inside,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300 is similar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erforation so as to be firmly and stably coupled to the perforation of the smart phone in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The lower end of the input / output male terminal 300 should be formed.

100 : 메인보드의 유에스비 소켓
200 : 연결선
300 :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400 : 지지대 겸 개폐부
500 : 복귀회전레일
100: USB socket of the motherboard
200: connecting line
300: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400: support and opening portion
500: return rotation rail

Claims (5)

데스크탑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 본체의 메인보드의 유에스비 소켓에 일 측의 말단이 연결된 연결선,
상기 연결선의 타 측 말단에 결합된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상단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전면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전면부에는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를 내부에 수납하고, 폐쇄상태에서는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전면부의 일 외부측면 일부로 결합되어 있고 개방상태에서는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의 전면부와 수직이면서 지면과 평행한 위치로 변경되어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와 결합된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대 겸 개폐부를 포함하는 수납공간이 포함되고,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회전축에 탄성 재질의 걸쇠가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복귀회전레일이 포함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복귀회전레일의 표면에 권취되어 상기 연결선의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측에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 외부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면 상기 연결선이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장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되며,
상기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 후면 방향으로 5° 내지 20°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입출력 수 단자 일체형 컴퓨터.

In a desktop computer,
A connection line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a USB socket of the mainboard of the desktop computer main body,
It consists of a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s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The smart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desktop computer accommodate the smart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s therein, and in a closed state are coupled to a portion of one outer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and in the open state perpendicular to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And it is changed to a position parallel to the ground includes a storage space including a support a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at serves to support the smartphone coupled to the smartphone input and output male terminal,
It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and includes a return rotary rail tha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rotating in one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latch of the elastic material,
The connecting wire is wound on the surface of the return rotation rail, and when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smartphone input / output male terminal side of the connecting wire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the connecting line extends outside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and the tension is remove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e smart 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5 ° to 20 °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of the desktop computer
Smartphone input and output terminal integrated compu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75790A 2011-07-29 2011-07-29 Personal computer installed input-output socket for smartphone KR101262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790A KR101262219B1 (en) 2011-07-29 2011-07-29 Personal computer installed input-output socket for smart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790A KR101262219B1 (en) 2011-07-29 2011-07-29 Personal computer installed input-output socket for smart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883A KR20130013883A (en) 2013-02-06
KR101262219B1 true KR101262219B1 (en) 2013-05-15

Family

ID=4789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790A KR101262219B1 (en) 2011-07-29 2011-07-29 Personal computer installed input-output socket for smart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2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492B1 (en) 2021-08-10 2022-01-24 위더스컴퓨터(주) Computer case structure for fast battery charg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492B1 (en) 2021-08-10 2022-01-24 위더스컴퓨터(주) Computer case structure for fast battery char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883A (en)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9792B1 (en) Detachable adapter and handheld device
US8886864B1 (en) Interface card apparatus
US20060161716A1 (en) Adapter for connecting a portable memory unit to a host, and a memory device having the adapter
WO2009042771A2 (en) High speed connector and receptacle with backward compatibility to usb 2.0
US9609098B2 (en) Button-type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315431A1 (en) Combination USB Connector and MicroSD Flash Card Connector
US2007003212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USB storage card
US20120039051A1 (en) Wireless network adapter
US8111207B2 (en) Antenna structure and related expansion card and computer apparatus
WO2012044268A1 (en) Electrical connector
TWM328091U (en) Transmission cable capable of transmitting E-SATA signals and electricity
KR101394027B1 (en) USB dual cable device
US10044207B2 (en) Universal power delivery cable, power delivery controller applied to a universal serial bus cable, and universal serial bus cable
US20090131036A1 (en) Providing a High-Speed Connection Between a Memory Medium of a Mobile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KR101262219B1 (en) Personal computer installed input-output socket for smartphone
KR101107247B1 (en) gender changer Apparatus with USB storage.
CN203616991U (en) Multifunctional mobile hard disk
CN101409734A (en) Electronic device
CN103680572A (en) Multifunctional mobile hard disk
KR20150072248A (en) USB OTG memory device
US20160334839A1 (en) Electronic device
US8029304B1 (en) Portable storage device
US20120293950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ersonal system 2 (ps/2) port
KR200329834Y1 (en) USB drive equipping multi-plugs
CN219020426U (en) Mobile terminal protective housing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