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753B1 - 전자책 상의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책 상의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753B1
KR101261753B1 KR1020110080438A KR20110080438A KR101261753B1 KR 101261753 B1 KR101261753 B1 KR 101261753B1 KR 1020110080438 A KR1020110080438 A KR 1020110080438A KR 20110080438 A KR20110080438 A KR 20110080438A KR 101261753 B1 KR101261753 B1 KR 101261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otation
user
content
layer
digit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797A (ko
Inventor
최준균
양진홍
박효진
송석현
박상민
안나경
김현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80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753B1/ko
Priority to US13/287,445 priority patent/US20130042171A1/en
Publication of KR20130017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전자책 상의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프로그램은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코드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 코드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annotation)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책 상의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NNOTATION ON ELECTRONIC BOO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책 환경에서 사용자가 열람하고 있는 컨텐츠 상에 다양한 애너테이션(annotation)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책이란 문자나 화상과 같은 정보를 전자 매체에 기록하여 서적처럼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서로서, e북(e-book)이라고도 한다. 기존의 종이책 대신 인터넷의 표준언어인 HTML과 XML을 응용해 만든 디지털화된 책을 자신의 PC나 전용 단말기에서 뷰어(Viewer)를 이용해 습득하는 것으로,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이 낳은 디지털콘텐츠 서비스의 한 형태이다. 독자 입장에서 보면 종이책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필요한 부분만 별도구입이 가능하다는 점이 편리하고, 출판사 입장에서도 제작비와 유통비를 절약할 수 있고 책 내용에 대한 업데이트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9638호(공개일 2011년 08월 09일)에는 전자책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책은 단순히 컨텐츠에 대한 뷰잉(viewing) 기능과 북마크(bookmark) 기능의 수준만을 제공하고 있다. 기존에는 전자책 환경이 단순히 컨텐츠를 열람하는 수준에 불과하여, 학습 과정에서 가장 많이 느끼는 전자책의 문제점은 해당 컨텐츠에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애너테이션(annotation)을 생성할 수 없다는 부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책 환경이 단순히 컨텐츠를 읽는 수준에서 벗어나 교과 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애너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안된다.
전자책 환경에서 메모, 밑줄 긋기 등 다양한 기능에 따른 애너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전자책 상에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해당 컨텐츠에 생성된 애너테이션을 한층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프로그램은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코드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 코드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annotation)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는 애너테이션 데이터에 부여된 개별 ID, 객체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 사용자의 식별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어플리케이션 적용 시 발생한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컨텐츠 정보는 디지털 컨텐츠의 ID 및 디지털 컨텐츠의 렌더링에 따른 객체의 위치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시간 정보와 객체의 타입 정보 및 객체에 해당되는 실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로그램은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렌더링 된 애너테이션 레이어를 컨텐츠 레이어 상에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표시하는 애너테이션 표시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로그램은 컨텐츠 레이어 상에 애너테이션 레이어가 오버레이 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터치 입력에 대하여, 애너테이션 레이어의 디스패처(dispatcher)를 먼저 거친 후 컨텐츠 레이어에 전달하는 형태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 처리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 처리 코드는 터치 입력에 대하여 애너테이션 레이어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디스패처가 존재하면 애너테이션 레이어의 디스패처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고, 애너테이션 레이어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디스패처가 존재하지 않고 컨텐츠 레이어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디스패처가 존재하면 컨텐츠 레이어의 디스패처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수 있다.
인터넷 통신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 모듈과,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과,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 및 유지하는 애너테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고,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애너테이션 데이터에 부여된 개별 ID, 객체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 사용자의 식별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어플리케이션 적용 시 발생한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애너테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컨텐츠 정보는 디지털 컨텐츠의 ID 및 디지털 컨텐츠의 렌더링에 따른 객체의 위치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시간 정보와 객체의 타입 정보 및 객체에 해당되는 실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컨텐츠 레이어 상에 오버레이 되는 애너테이션 레이어에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렌더링 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는 컨텐츠 레이어 상에 애너테이션 레이어가 오버레이 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터치 입력에 대하여, 애너테이션 레이어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디스패처가 존재하면 애너테이션 레이어의 디스패처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고, 애너테이션 레이어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디스패처가 존재하지 않고 컨텐츠 레이어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디스패처가 존재하면 컨텐츠 레이어의 디스패처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와 연관된 애너테이션 데이터 및 다른 사용자와 연관되어 공개가 허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애너테이션 관리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렌더링 된 애너테이션 레이어를 컨텐츠 레이어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통신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렌더링 되어 컨텐츠 레이어 상에 오버레이 되는 애너테이션 레이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는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코드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 코드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와,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렌더링 된 애너테이션 레이어를 컨텐츠 레이어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하는 애너테이션 표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책 환경에서 애너테이션 기능을 제공하여 전자책 컨텐츠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의 애너테이션을 부가할 수 있다.
전자책 상에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해당 컨텐츠에 생성된 애너테이션을 더욱 용이하게 표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애너테이션 생성이 가능한 전자책 환경을 기반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보급되는 경우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통해 컨텐츠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에서 애너테이션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애너테이션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애너테이션 데이터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애너테이션을 활용한 토론 기능을 활성화할 경우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애너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는 인터넷의 표준언어인 HTML과 XML을 응용해 만든 디지털화된 문서를 총칭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컨텐츠는 전자책 기반의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책 기반의 서비스 모델을 구현하고 사용자 단말에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애너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시스템은 인터넷 통신, 모바일 통신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의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온라인 서비스 형태로 사용자 단말에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와 아울러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애너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은 전자책 전용 단말기, PC, 태블릿, 휴대 단말기(스마트 폰 등) 등 다양한 플랫폼에 동일한 기능의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본 발명에서는 전자책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의 로컬 환경을 위해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은 물론,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애너테이션 기능 등을 포함하는 전자책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전자책 앱'이라 칭함)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책 앱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로컬 상태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고, 소비하는 등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자책 앱은 사용자 단말과 서버 시스템 간의 상호 연동을 통해 서버 시스템 상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고, 소비하고, 타인과 공유하는 등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 애너테이션 기능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자책 전용 단말기, PC, 태블릿, 휴대 단말기(스마트 폰 등)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전자책 앱의 설치가 가능하고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접속이 가능한 모든 통신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일 예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간의 접촉 포인트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에 대응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기술 또는 LPD(발광 폴리머 디스플레이) 기술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한 근접 센서 어레이들 또는 다른 소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포함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같은 UI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는 전자책 뷰어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디지털 컨텐츠에 적용된 애너테이션 내용을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GUI는 제스처, 아이콘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접촉 포인트에 따른 UX(User Experience)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GUI에서는 각각의 제스처 모션이나 아이콘 별로 각기 다른 기능이 사전에 정의되어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GUI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인식하고, 인식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에 표시된 디지털 컨텐츠에서 일부 객체를 선택하는 기능(이하, '객체 선택 기능'이라 칭함) 및 선택된 객체에 대해 애너테이션을 적용하는 애너테이션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객체 선택 기능에 대하여,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터치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1초 이상 정지한 상태로 유지하거나, <, >, {, }, (, ), [, ], 「, 」 등과 같이 사전에 정의된 소정의 제스처 모션이 입력되는 경우 인식될 수 있다. 애너테이션 기능에 대하여, 객체 선택 기능을 통하여 소정의 객체가 선택된 후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메뉴가 선택되거나,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메뉴가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객체에 드래그앤드랍(drag and drop)되는 경우 인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책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에서 선택한 객체에 대해 애너테이션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UI 화면은 디지털 컨텐츠의 서비스 형태, 시스템의 운영 체제 또는 UI 환경 등에 따라 화면의 구성이나 기능이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UI 화면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의 일반적인 뷰어 화면을 일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UI 화면의 구성이나 기능 등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에서 애너테이션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애너테이션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에서 선택된 소정의 객체에 대해 애너테이션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는 전자책 앱의 컨텐츠 표시 코드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가 표시된다(11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로컬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직접 전자책 앱을 실행하거나, 서버 시스템과의 접속을 통한 온라인 서비스 형태로 전자책 앱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책 앱은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 내부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거나, 서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뷰어 환경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전자책 앱은 컨텐츠 표시 코드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며, 이때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전자책 앱의 객체 인식 코드에 의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120). 본 발명에 있어서, 객체는 단어, 문장, 단락 중 적어도 하나를 단위로 하는 텍스트는 물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모든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디지털 컨텐츠에서 소정의 객체에 대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객체 선택 기능이 인식되면 객체 선택 기능이 인식된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를 객체 선택 기능에 따른 선택 대상으로 인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책 앱의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에 의해 객체 선택 기능을 통해 선택된 객체에 사용자가 요청한 애너테이션을 적용하여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한다(130). 본 발명에 있어서, 애너테이션 기능은 디지털 컨텐츠에 사용자가 추가적인 정보를 표현하는 모든 방법을 총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책갈피 기능, 밑줄, 중요 표시, 메모 추가, 토론 기능 등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원 컨텐츠에 부가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이 모든 데이터가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에 대해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별 ID(Annotation_id)(201)와, 해당 객체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Annotation_content_info)(202)와, 애너테이션을 생성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Annotation_owner_info)(203)와, 객체에 적용된 애너테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Annotation_application_info)(204)와, 객체에 대한 애너테이션을 생성 시 발생한 데이터 정보(Annotation_info)(205)를 포함하는 구조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별 ID(201)는 생성 시 부여되는 고유 값으로, 개별 애너테이션이 어떠한 컨텐츠, 그리고 컨텐츠의 어디에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202)는 객체가 선택된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ID 값(Content_id)과, 디지털 컨텐츠에서 객체의 위치 값(Content_locator)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의 위치 값은 디지털 컨텐츠의 렌더링 시 저장된 포지션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렌더링 시 컨텐츠 전체의 x축 크기(content rendering width)와 y축 크기(content rendering height)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203)는 개별 애너테이션이 어떤 유저에 의해 생성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자책 앱에 사전에 등록된 닉네임, 아이디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정보(204)는 책갈피, 밑줄, 강조 표시, 토론 기능 등과 같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사전에 부여된 고유 값(Annotation_application_i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정보(205)는 객체에 애너테이션이 생성 시 발생한 데이터 정보로, 애너테이션의 생성 시간(Annotation_date)과, 객체의 타입을 구별하는 타입 정보(Annotation_object_type)와, 객체에 해당되는 실제 데이터(Annotation_object_data)를 포함할 수 있다. 애너테이션의 생성 시간(Annotation_date)을 활용하는 경우, 동일 컨텐츠의 동일 객체에 대하여 애너테이션의 중복 생성이 가능하다. 객체의 타입 정보는 예를 들어 오디오,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객체의 실제 데이터는 <content1.xml의 23345byte부터 23450byte까지의 데이터 값>과 같은 형태로 로우 데이터(low data)의 파일 상 링크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객체 선택 기능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에서 원하는 객체를 선택한 후, 애너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선택된 객체에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애너테이션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표현하는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와 도 5는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에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 및 그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디지털 컨텐츠에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렌더링 된 컨텐츠에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별도의 레이어를 추가하는 형태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310). 전자책 앱은 애너테이션 표시 코드에 의해 애너테이션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렌더링 된 애너테이션 레이어를 컨텐츠 레이어에 오버레이 하여 사용자 단말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410)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애너테이션 레이어(420)를 추가하는 형태로 컨텐츠에 대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애너테이션 레이어(420)에는 컨텐츠의 소정 객체에 대해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를 통해 생성 및 저장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바탕으로 렌더링이 수행될 수 있다.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렌더링에 있어,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Annotation_id : 1, Content_id : wikipedia.org/항성, Annotation_owner : sunupnet, Annotation_application_id : basic_02, Annotation_info : Ddf#gweD>의 애너테이션 데이터에 대해 해당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의 애너테이션 레이어(520) 상에 밑줄 표시(521)가 표현되고, <Annotation_id : 2, Content_id : wikipedia.org/항성, Annotation_owner : sunupnet, Annotation_application_id : basic_12, Annotation_info : JFH3lk$%>의 애너테이션 데이터에 대해 해당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의 애너테이션 레이어(520) 상에 중요 표시(522)가 표현되며, <Annotation_id : 3, Content_id : wikipedia.org/항성, Annotation_owner : sunupnet, Annotation_application_id : basic_05, Annotation_info : KLJE8#CK>의 애너테이션 데이터에 대해 해당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의 애너테이션 레이어(520) 상에 박스 표시(523)가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들이 선택 객체에 대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공유 설정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의 친구 등)에게 공개하거나 공유하는 경우, 서버 시스템은 외부 검색엔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등을 통하여 사용자 간에 공개가 허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전자책 앱의 입력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시 입력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컨텐츠 레이어 상에 애너테이션 레이어가 오버레이 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하여, 전자책 앱의 입력 처리 코드에 의해 애너테이션 레이어의 디스패처를 먼저 거친 후 컨텐츠 레이어에 전달하는 형태로 터치 입력이 처리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시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610). 이때,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대하여 우선 애너테이션 레이어에 UX 디스패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620), 애너테이션 레이어의 UX 디스패처가 존재하면 그에 해당되는 애너테이션 UX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한다(630). 한편, 터치 입력에 대하여 애너테이션 레이어의 UX 디스패처가 존재하지 않으면 컨텐츠 레이어에 UX 디스패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640) 컨텐츠 레이어의 UX 디스패처가 존재하면 그에 해당되는 컨텐츠 UX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한다(65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애너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서버 시스템은 기존의 디지털 컨텐츠의 형태를 별도로 수정하지 않고도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애너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컨텐츠를 단순히 읽는 수준에서 벗어나 다양한 애너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읽고 있는 컨텐츠에 대하여 자신이 원하는 수준의 애너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책 앱은 애너테이션 기능을 확대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객체에 대하여 제2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의 친구 등)와 토론할 수 있는 토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론 기능이 활성화 되어 다른 사용자들이 토론 기능을 사용한 경우 토론 대상의 내용 앞에 사용자 별로 토론 내용을 기재한 회수를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책의 GUI를 통하여 제2 사용자를 선택함으로써 토론하고자 하는 사람을 초대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검색엔진을 통하여 토론 내용을 공개하거나 및 API 형태 등을 통하여 토론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들과 토론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토론 기능이 활성화되면 토론 기능과 관련된 코드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UI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해당 UI 화면에는 복수개의 윈도우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윈도우(701)에는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 이미지 등의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제1 윈도우(701)의 일 측에는 해당 객체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들이 토론 기능을 사용한 경우 각각의 사용자 별로 토론 내용을 기재한 회수(702)가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토론 내용을 기재한 횟수(702)는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윈도우(703)에는 특정 객체에 대한 토론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윈도우(703)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토론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항목이 표시될 수 있으며, 토론에 참가하고 있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항목이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 객체에 대하여 토론 내용을 공유 설정 기능을 이용하여 공개하거나 공유하는 경우, 서버 시스템은 외부 검색엔진, API 등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의 토론 내용을 수집하여 이를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서버 시스템은 애너테이션 기능을 확장하여 선택 객체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와의 토론이 가능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위키 등과 같은 별도의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토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애너테이션을 생성, 관리, 표현하는 방법은 보다 단축된 동작들 또는 추가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동작이 조합될 수 있고,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 그리고 표현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장치들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즉, 서버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은 인증 관리 모듈(810),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811), 컨텐츠 관리 모듈(820), 컨텐츠 데이터베이스(821), 주석 관리 모듈(830), 주석 정보 데이터베이스(831), 토론 관리 모듈(840), 토론 정보 데이터베이스(841), 오디언스 측정 모듈(850), 오디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851)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관리 모듈(810), 컨텐츠 관리 모듈(820), 주석 관리 모듈(830), 토론 관리 모듈(840) 및 오디언스 측정 모듈(850)은 개별 구성으로 이루어지거나 통합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듈이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듈과 상호 간에 종속적인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811), 컨텐츠 데이터베이스(821), 주석 정보 데이터베이스(831), 토론 정보 데이터베이스(841), 오디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851)는 개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거나,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인증 관리 모듈(authentication manager)(810)은 사용자와 관련된 개인 정보 전반을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811)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개인 정보에는 전자책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와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관리 모듈(810)은 사용자의 본인 확인이 필요할 경우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본인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 및 편집 가능하다.
컨텐츠 관리 모듈(content manager)(820)은 전자책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821)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모듈(820)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821)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유지하고, 업데이트 등의 지속적인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모듈(820)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821)를 통해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모듈(820)은 사용자 단말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관리 모듈(820)은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모듈(820)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821)는 물론, 인터넷 상의 모든 정보에 대한 검색 엔진을 제공하는 검색 서버와 상호 연동하여 인터넷 상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관리 모듈(820)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한 후, 인식된 객체를 키워드로 하여 인터넷 상의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주석 관리 모듈(annotation manager)(830)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애너테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애너테이션 기능은 디지털 컨텐츠에 사용자가 추가적인 정보를 표현하는 모든 방법을 총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책갈피 기능, 밑줄, 중요 표시, 메모 추가 등 다양한 응용 부가 기능을 원 컨텐츠에 부가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이 모든 데이터가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주석 관리 모듈(830)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객체에 애너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주석 정보 데이터베이스(831)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주석 관리 모듈(830)은 컨텐츠 레이어 상에 오버레이 되는 애너테이션 레이어에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렌더링 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용 중인 디지털 컨텐츠에서 객체 선택 기능을 통해 소정 객체를 선택한 후, 해당 객체에 대하여 책갈피, 밑줄, 중요 표시, 메모 추가 등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토론 관리 모듈(discussion manager)(840)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토론 기능(즉, 공유 기능)을 제공하고 토론 정보 데이터베이스(841)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토론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토론 기능은 디지털 컨텐츠를 매개로 하여 복수의 사용자 간에 상호 의견을 공유하는 모든 커뮤니티 방법을 총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토론 기능을 통하여 이용중인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나 질의를 토론 정보 데이터베이스(841)에 등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토론 관리 모듈(840)을 통하여 친구나 기타 타인과 의견을 공유하거나 질의에 대한 응답을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토론 관리 모듈(84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객체에 대한 토론 내용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토론 내용을 인증 관리 모듈(810)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오디언스 측정 모듈(audience measurement)(850)은 모든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오디언스 측정을 수행하고, 오디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851)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오디언스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언스 측정 모듈(850)은 전자책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이용 규모 내지 이용 행태 등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를 컨텐츠의 인기 순위, 이용 지수 등 각종 통계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직접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의 장치 구성은 미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애너테이션 기능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CDMA, Wi-Fi,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서버 시스템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신을 허가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의 다양한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에 고유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코드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 코드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와,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렌더링 된 애너테이션 레이어를 컨텐츠 레이어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하는 애너테이션 표시 코드와, 컨텐츠 레이어 상에 애너테이션 레이어가 오버레이 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터치 입력에 대하여, 애너테이션 레이어의 디스패처를 먼저 거친 후 컨텐츠 레이어에 전달하는 형태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 처리 코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피쳐폰 VM(virtual machine) 등의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코드와,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 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에 애너테이션(annotation)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와,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렌더링 된 애너테이션 레이어를 상기 컨텐츠 레이어 상에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표시하는 애너테이션 표시 코드와,
    상기 컨텐츠 레이어 상에 상기 애너테이션 레이어가 오버레이 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하여, 상기 애너테이션 레이어의 디스패처(dispatcher)를 먼저 거친 후 상기 컨텐츠 레이어에 전달하는 형태로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 처리 코드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는,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에 부여된 개별 ID, 상기 객체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적용 시 발생한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ID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렌더링에 따른 상기 객체의 위치 값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시간 정보와 상기 객체의 타입 정보 및 상기 객체에 해당되는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처리 코드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하여 상기 애너테이션 레이어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디스패처가 존재하면 상기 애너테이션 레이어의 디스패처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고,
    상기 애너테이션 레이어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디스패처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컨텐츠 레이어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디스패처가 존재하면 상기 컨텐츠 레이어의 디스패처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7. 인터넷 통신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 모듈과,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에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과,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 및 유지하는 애너테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객체를 인식하며,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애너테이션 데이터 및 다른 사용자와 연관되어 공개가 허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에 부여된 개별 ID, 상기 객체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적용 시 발생한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애너테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ID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렌더링에 따른 상기 객체의 위치 값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시간 정보와 상기 객체의 타입 정보 및 상기 객체에 해당되는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상기 컨텐츠 레이어 상에 오버레이 되는 애너테이션 레이어에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렌더링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는,
    상기 컨텐츠 레이어 상에 상기 애너테이션 레이어가 오버레이 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하여, 상기 애너테이션 레이어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디스패처가 존재하면 상기 애너테이션 레이어의 디스패처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고,
    상기 애너테이션 레이어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디스패처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컨텐츠 레이어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디스패처가 존재하면 상기 컨텐츠 레이어의 디스패처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삭제
  13.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애너테이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에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렌더링 된 애너테이션 레이어를 상기 컨텐츠 레이어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레이어 상에 상기 애너테이션 레이어가 오버레이 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하여, 상기 애너테이션 레이어의 디스패처를 먼저 거친 후 상기 컨텐츠 레이어에 전달하는 형태로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애너테이션 관리 방법.
  14. 인터넷 통신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에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애너테이션 데이터 및 다른 사용자와 연관되어 공개가 허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방법.
  15.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코드와,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 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에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와,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렌더링 된 애너테이션 레이어를 상기 컨텐츠 레이어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하는 애너테이션 표시 코드와,
    상기 컨텐츠 레이어 상에 상기 애너테이션 레이어가 오버레이 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하여, 상기 애너테이션 레이어의 디스패처를 먼저 거친 후 상기 컨텐츠 레이어에 전달하는 형태로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 처리 코드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80438A 2011-08-12 2011-08-12 전자책 상의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61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438A KR101261753B1 (ko) 2011-08-12 2011-08-12 전자책 상의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13/287,445 US20130042171A1 (en) 2011-08-12 2011-11-02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nnotation in electronic boo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438A KR101261753B1 (ko) 2011-08-12 2011-08-12 전자책 상의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797A KR20130017797A (ko) 2013-02-20
KR101261753B1 true KR101261753B1 (ko) 2013-05-07

Family

ID=4789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438A KR101261753B1 (ko) 2011-08-12 2011-08-12 전자책 상의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582B1 (ko) * 2014-01-10 2016-08-12 주식회사 비상교육 자기 주도 학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2604055B1 (ko) * 2021-10-28 2023-11-21 주식회사 메타소프트 전자책의 탐색적 읽기를 지원하기 위한 지능형 정보 추적 제시 시스템
CN114861613A (zh) * 2022-05-31 2022-08-0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用于管理电子书籍中的注释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797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6851B2 (en) Electronic publishing mechanisms
US201300421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nnotation in electronic book
US110689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ing services
US9871903B2 (en) Mobile computing terminal with more than one lock scre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875805B1 (ko) 애플리케이션의 제시 및 설치를 위한 장치,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8826169B1 (en) Hiding content of a digital content item
US10282386B1 (en) Sampling a part of a content item
US20150134687A1 (e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profile image card for communication
US20130268826A1 (en) Synchronizing progress in audio and text versions of electronic books
JP6617179B2 (ja) コンテンツ内のハイライトコメント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017052B1 (en) Electronic forms interaction framework for a consistent user experience
KR20130113894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97488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CN112230909A (zh) 小程序的数据绑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4346037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WO2017139178A1 (en) Effecting multi-step operations in an application in response to direct manipulation of a selected object
US20180024976A1 (en) Annotation providing method and device
US20200050906A1 (en) Dynamic contextual data capture
CN110462615A (zh) 增强的粘贴板使用的技术
CN110990700A (zh) 评论信息显示方法、装置、客户端、服务器和系统
US8898587B2 (en) Electronic book inscription system
KR101261753B1 (ko) 전자책 상의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42878B1 (ko) 전자책 상에서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 및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7862728B (zh) 图片标签的添加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60080386A (ko) 메모지와 스티커 기반 스마트 단말의 앱화면 구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