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504B1 -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504B1
KR101260504B1 KR1020120085704A KR20120085704A KR101260504B1 KR 101260504 B1 KR101260504 B1 KR 101260504B1 KR 1020120085704 A KR1020120085704 A KR 1020120085704A KR 20120085704 A KR20120085704 A KR 20120085704A KR 101260504 B1 KR101260504 B1 KR 101260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cartridge
receiving means
beverage
univer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영
Original Assignee
컨벡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벡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컨벡스코리아(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 특히 커피 파우더가 내장된 카트리지에 고온·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에스프레소 등의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것으로, 특히 제조사별로 크기와 모양이 다른 카트리지와 무관하게 이들을 모두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용수단이 구비된 회전체를 채용한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는 장착부와, 음료수용부와, 상기 음료수용부로 추출 음료를 공급하는 배출 노즐을 구비한 하우징; 복수의 카트리지 수용수단들; 상기 하우징의 장착부에 결합되어 선회되고, 각 카트리지 수용수단을 위한 결합부를 구비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선회를 위한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UNIVERSAL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본 발명은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 특히 커피 파우더가 내장된 카트리지에 고온·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에스프레소 등의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것으로, 특히 제조사별로 크기와 모양이 다른 카트리지와 무관하게 이들을 모두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용수단이 구비된 회전체를 채용한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음료 추출 장치, 특히 분쇄된 커피가 담긴 카트리지에 고안 및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메이커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0236856호(등록일자 1999년10월05일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 및 카트리지 홀더]가 있는데, 상기 등록 특허는 어떠한 에스프레소 기계에도 적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또 특허공개 제10-2010-0113447호(공개일자 2010년10월21일) [캡슐 센터링 기구를 구비한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 또는 기타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1회용 캡슐에 수용된 물질을 추출 혹은 희석함으로써 커피 또는 기타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특허등록 제10-1067540호(등록일자 2011년09월19일)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음료 전구 물질 액체는, 음료 카트리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제조 챔버의 폐쇄의 개시에 기초하여 공급될 수 있다. 뚜껑 제어 기구는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막도록 제 위치에 저장통 뚜껑을 잠글 수 있고, 제조 챔버의 폐쇄에 응답하여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뚜껑을 해제할 수 있고, 저장통 뚜껑은 제조 챔버가 개방될 때 동시에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저장통 뚜껑은 저장통을 공압식으로 밀봉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저장통을 제조 챔버로 수력으로 가압되게 하고, 저장통 내의 물은, 예를 들어 히터로의 전력을 차단하는 열 차단 스위치의 개방에 기초하는, 물이 충분하게 가열되었다는 감지에 응답하여, 제조 챔버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특허공개 제10-2011-0122702호(공개일자 2011년11월10일) [음료 조제 기계]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음료 성분의 사전-포장 용기(prepackaged container)를 이용하는 유형의 음료 조제 기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을 비롯한 종래 음료 메이커, 보다 한정하여 커피 메이커, 보다 더 한정하여 카트리지를 이용한 고온·고압 추출형 커피 메이커는
캡슐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가 제조사 마다 모두 다르고, 이에 따라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용부재(receptacle)의 형상도 모두 달라 소비자가 다양한 커피를 마시려고 하는 경우 커피 메이커를 그에 맞게 다시 구매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과도한 구매 비용이 소요되며, 마음대로 원하는 커피제품을 맛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조사별로 크기와 모양이 다른 카트리지 모두를 원하는 대로 선택하여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이종 카트리지에 맞는 복수의 수용수단이 구비된 회전체를 채용한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회전체의 음료, 특히 커피 카트리지를 넣고 빼는 것이 쉬우면서도, 추출시 열수의 누설 문제 또한 없도록 한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회전수단에 의한 회전체 회전시 카트리지 수용수단이 하우징의 노즐 위치에 정확하게 머물도록 하는 정지수단을 도입한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수단에 의한 회전체 회전 및 진퇴수단에 의한 카트리지 수용수단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파지부와 구속요소를 도입한 진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음료 메이커의 하우징과 힌지 결합하여 상기 회전체를 개폐시키는 커버덮개를 더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는
장착부와, 음료수용부와, 상기 음료수용부로 추출 음료를 공급하는 배출 노즐을 구비한 하우징;
복수의 카트리지 수용수단들;
상기 하우징의 장착부에 결합되어 선회되고, 각 카트리지 수용수단을 위한 결합부를 구비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선회를 위한 회전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에서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카트리지 수용수단을 회전체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진퇴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진퇴수단은 파지부를 구비한 슬라이딩부재이며,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파지부 내측에 상기 수용수단을 구속하는 구속요소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수단에 의한 회전체 회전시 카트리지 수용수단이 하우징의 노즐 위치에 정확하게 머물도록 하는 정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에서
상기 하우징과 힌지 결합하여 상기 회전체를 개폐하는 덮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는 다양한 이종 카트리지에 맞는 복수의 수용수단이 구비된 회전체를 채용하여 제조사별로 크기와 모양이 다른 카트리지 모두를 원하는 대로 선택하여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또 상기 회전체의 음료, 특히 커피 카트리지를 넣고 빼는 것이 쉬우면서도, 추출시 열수의 누설 문제 또한 없도록 하였으며, 나아가 회전수단에 의한 회전체 회전시 카트리지 수용수단이 하우징의 노즐 위치에 정확하게 머물도록 하는 정지수단을 도입하여 추출 실패 가능성이나 열수 누설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은 각각 관찰방향을 달리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의 1차 분해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의 2차 분해 요부 사시도.
도 6은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음료 메이커를 도시한,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의 제2실시의 외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의 제2실시예의 1차 분해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다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의 제2실시예의 1차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의 제3실시예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 및 작동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M)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좌우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M)는 크게 음료수용부(10A)를 구비한 하우징(10), 카트리지(C)를 위한 수용수단(30), 이 복수의 수용수단들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21)를 갖는 회전체(30), 그리고 회전체를 위한 회전수단(R)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1의 전면 위주 관찰 사시도와 같이 음료수용부(10)가 마치 동물이 입을 벌리고 있는 것과 같이 전방으로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저면에는 커피 등의 잔액이 떨어져 수용되는 잔액트레이(19)가 구비되어 있으며, 분리가능한 그릴(19a)이 잔액트레이(19)의 저장 공간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부에는 회전체(20)를 위한 장착부(11)가 구비되어 있고, 도 4에서와 같이, 내장된 회전체(20)는 커버(11A)에 의하여 덮여 있다.
또 약간 저면에서 관찰한 사시도인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음료수용부(10A) 상부 위치에 해당하는 장착부(11)의 하면에는 추출 음료 배출 노즐(13)이 구비되어 있다.
후면에서 관찰한 사시도인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열수 공급을 위하여, 또 휴대성을 위하여 물탱크(15)가 후면에 장착된다.
물탱크의 본질은 '추출용매 공급수단'이며, 음료의 본질상 수도시설에서 공급되는 물이나 생수 등 자연상태에서 획득할 수 있는 100% 물이거나, 음용 가능한 다양한 성분을 혼합한 물일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징(10)에 장착되는 물탱크 뿐 아니라 수도꼭지, 정수기, 냉온수기 등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모든 물 함유 용매 공급수단일 수 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측면에는 조작부(17)가 구비되며, 이는 on/off 버튼(17a), 스팀다이얼(17b)(스팀 또는 희석을 위한 열수 배출 노즐은 편의상 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메뉴선택버튼(17c)(음료 추출량 조절, 스팀 또는 열수 배출 선택 등)로 구성되는데, 스팀다이얼은 희석, 설거지 등을 위한 열수 배출이나 스팀 배출 및 배출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통상의 커피 머신과 대동소이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하우징(10)의 기둥부(잔액트레이(19)가 구비된 베이스와 장착부(11)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통상의 커피 메이커와 같이 고온·고압의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보일러 및 펌프, 이의 제어 및 안전성 보장을 위한 각종 센서 및 컨트롤러 역할을 하는 마이컴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핵심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시된 형태는 음료 메이커 중 커피 추출형 커피 메이커이나, 본 발명의 개념은 다양한 용기형 캡슐(capsule)(또는 용기(pod))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 형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카트리제에 포장 제공될 수 있는 추출대상체는 커피뿐 아니라 홍차, 녹차 등일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음료 제공을 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까지 보호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 상기 하우징의 '음료수용부'는 컵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 개구된 형태를 갖는데, 이는 단지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부분을 대표하여 도시한 것으로, 단순히(또는 악위적으로) 통상의 컵 외에 병이나 다른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의 것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음료수용부'는 추출 음료를 공급하는 배출 노즐(13)(도시된 구조 외에 비노출형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로부터 호스나 튜브를 통하여 다른 장소로 추출된 음료를 이송하여 컵, 병, 보온용기 등 다양한 용기에 담는 방식을 취하는 것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음료수용부'는 단순히 임의의 '추출된 음료 수용수단'을 대표하여 지칭한 것이고, 또 그 중 일례인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회전체(20)는 회전축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M)인데, 도 6에는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유니버설 음료 메이크(M1)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커피 카트리지, 특히 작은 용기에 로스팅된 커피 분말을 내장하고 상부에 커버시트(C1)(도 5 참조)를 융착한 형태의 카트리지(또는 캡슐)에 대하여 커버시트가 상부(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커버시트와 용기 본체 저면을 천공하고 고온·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나,
카트리지(또는 캡슐)의 커버시트와 용기 본체 저면이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천공을 거처 커피를 추출하는 형태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커피 메이커에 채용된 방식이며,
후자의 것은 커버시트와 용기 본체 저면을 천공하여도 추출 후 카트리지(또는 캡슐)에 남아 있는 액체가 그대로 용기에 머물러 있게 되어 제거시 잔액이 떨어지지 않아 상대적으로 깔끔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상대적으로 구체화하여 도시한 회전체 및 수용수단 등의 개념은 도 6과 같이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턴터이블을 채용한 음료 메이커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 역시 각각 회전체(20m), 회전체가 결합되는 하우징(10)의 장착부(11m), 카트리지 수용수단(21m)들, 그리고 카트리지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진퇴수단(23m)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당연히 회전체 회전축이 중력방향과 일치하거나 어긋난 방향으로 배열된 음료메이커에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하우징(10)의 장착부(11)에 축회전 가능하게 배열되는 회전체(20)는 회전수단(R)에 의하여 선회되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회전수단(R)은 회전체의 중앙축부(20x) 역할을 드럼에 볼트로 3점 결합되는 다이얼이며, 이 다이얼 타입 회전수단은 커버(11A) 상부 중앙에 노출된다.
원활한 회전 보장을 위하여 다이얼 타입 회전수단(R)의 하면은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된다.
필요에 따라 회전체의 회전은 기어비를 변화시켜 최적의 형태로 구성하여 회전에 소요되는 힘을 최소화시켜 좀 더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회전체 지지 지점에 베어링 등의 구름수단을 도입할 수도 있으며, 디스크 타입 회전체의 외곽에서 힘을 가하여 선회시킬 수도 있고, 자동화하여 전동모터의 힘에 의하여 선회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을 구성하는 회전체(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축부(20x) 외곽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도면에서는 5개)의 카트리지(C) 수용수단(30)의 결합부(21)를 갖는다.
도시된 형상은 일종의 턴테이블 구조이나, 동일한 기능을 하는 형태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전거 바퀴와 같이, 중앙 회전축과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수용수단(일종의 홀더(holder))을 도입하고, 회전축과 각 홀더는 스포크(spokes)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체(20)에는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0)을 회전체 외부로 노출시키고 다시 수납하기 위한 진퇴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진퇴수단은 특히 서랍식으로 열리고 닫혀 원하는 카트리지 종류에 맞게 선택된 수용수단(30)을 넣고 빼내기 위한 슬라이딩부재(23)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부(21)는 트임부(21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23)로 구성된 진퇴수단은 전면에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손가락 투입홈(도 2 및 도 5의 하단 좌측 일점 쇄선 원 내 참조)을 갖는다.
나아가 상기 회전수단(R)에 의한 회전체(20) 회전시 카트리지(C) 수용수단(30)이 하우징(10)의 노즐(13) 위치에 정확하게 머물도록 하는 정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회전체(20)의 각 결합부(21)에는 상기 하우징의 추출 음료 배출 노즐(13)에 상응하는 노즐연통공(20n)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정지수단은 특히 상기 슬라이딩부재(23)를 구성하는 파지부(23A)와 장착패널(23B) 중 장착패널 상부에 구비된 정지스프링(25)으로 구성되며, 판스프링 타입의 정지스프링 돌출부(25a)와, 이 돌출부가 탄지 결합하는 수용부재(30) 정면의 멈춤부(31a)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정지수단을 구성하는 정지스프링 돌출부(25a)와 멈춤부(31a)는 다양한 기계식 또는 전자식 스토퍼로 변형 채용될 수 있다.
서랍식으로 안정적으로 출몰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체(20) 결합부(21)의 트임부(21A) 양측에는 안내부, 특히 직선형 안내부(27)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수단(30) 역시 이에 상응하는 피안내부(33)를 양면에 갖는다.
상기 수용수단(30)에 수용되는 카트리지(C)는 기본적으로 크기와 형상이 다른 이종 카트리지를 대상으로 하여 모두 다른 끼움부(31A)를 가질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 복수의 동종 카트리지를 내장하고 연속적으로 회전체(20)를 돌려 가며 음료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서 각 수용수단(30) 본체(31)의 일부 또는 모두는 동일(크기 및 모양)한 끼움부(31A)를 가질 수 있다.
서로 크기와 형상이 같거나 다른 카트리지 각각이 알맞게 결합되도록 수용수단(30)은 본체(31)에 구비된 카트리지(C) 끼움부(31A)의 형상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조 용이성과 호환성 보장을 위하여 상기 회전체(20)의 결합부(21)는 공통된 형상과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맞게 상기 각 수용수단은 끼움부(31A) 외의 다른 부분, 특히 전후, 양측면, 하면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품 구매 후 사용자가 하우징(10)의 커버(11A)를 열고, 수용수단(30)(홀더(holder) 트레이(tray))을 교체하거나, 진퇴수단을 이용하여 수용수단(30)을 완전히 인출 분리하고 교체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수단 본체는 상기 피안내부(33) 하부 양측에 걸림부(31b)를 갖고, 상기 회전체 결합부(21)에는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는 스토퍼(21a)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스토퍼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볼(또는 탄환)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용수단에서 카트리지(C)를 분리하기 위하여 수용수단을 회전체(20)에서 노출시킬 경우 상기 수용수단(30)이 회전체(20)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체류부재가 걸림턱, 걸림 판스프링 등 가구, 장난감 등에서 공지된 서랍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체류부재는 필요에 따라 수용수단이 회전체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거나, 별도의 체류부재 해제수단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부재(23)를 이루는 파지부(23A)와 장착패널(23B)은 상호 각자의 결합공(23h)(23h')에 끼워진 볼트(미도시됨)에 의하여 결합되고,
도 5 및 도 5의 하단 좌측 일점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착패널(23B)은 상면에 레일부(23a)를 갖고, 상기 수용수단(30)은 하면에 안내홈(31B)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결합되고,
상기 파지부(23A)는 상부 일측에 하향 형성된 엇물림부(23p)를 갖고, 상기 수용수단의 본체(31)는 이에 맞게 상향 형성된 대응 엇물림돌기(31p)를 갖는다.
이들 상하 구속요소들(23p,31p)(23a,31B)은
안정된 회전체의 회전과, 상기 정지수단인 정지스프링(24)의 돌출부(25a)와 수용수단 본체의 멈춤부(31a)의 결합으로
카트리지 수용수단(30)(즉 회전체의 노즐연통공(20n))이 하우징의 노즐(13) 위치에 정확하게 머물게 된 상태에서
카트리지(C) 투입을 위하여 슬라이딩부재(23)를 당기면 정확하게 세팅된 수용수단(30)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판스프링 타입의 정지스프링(25)은 양단이 장착패널(23B)의 노출홈(23b)에 돌출부(25a)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노출홈 양측의 레일부(23a)와 두 고정돌기(23c)에 의하여 구속 고정된다.
진퇴수단과 수용수단(30)의 구속요소들, 즉 엇물림부(23p) 및 엇물림돌기(31p)와 레일부(23a) 및 안내홈(31B)은 다양한 엇물림 형태 또는 암수 결합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를 대표하여 파지수단 및 수용수단 사이에 구비된 상부 및 하부 '레일' 구조체라고 지칭할 수 있고,
기본적으로 원운동을 하는 회전체(20) 및 수용수단(30)들의 궤적에 맞게 원호(圓弧)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 진퇴수단인 슬라이딩부재(23)는 상시적으로 회전체(20)에 구속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한데,
도시된 형태는 중심축부(20x)를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체(20)에 대하여 각 수용수단(30)의 멈춤부(31a) 상부의 엇물림돌기(31p)와 안내홈(31B)이 형성된 원호(圓弧) 형상의 플렌지가 움직이는 궤적은 원을 이루게 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즉 수용수단 본체(31)의 엇물림돌기(31p)에 대응되는 파지부(23A)의 엇물림부(23p)와 수용수단 본체(31)의 안내홈(31B)에 대응되는 장착패널(23B)의 레일부(23a)를 갖는 진퇴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엇물림부(23p)와 레일부(23a)를 '제1구속요소'라고 지칭하고,
엇물림돌기(31p)와 안내홈(31B)을 '제2구속요소'라고 지칭할 경우,
제1구속요소의 구간 길이는 제2구속요소와 제2구속요소 사이의 이격거리, 즉 수용수단과 수용수단(30) 사이의 간격 보다 길어야 한다
(도 5에서는 두 부재(30) 사이에 구비된 삼각형 부재를 확인할 수 있고,
회전체에 대한 간섭방지를 위하여 이 삼각형 부재 외곽에서 중심축부(20x)은 중앙까지의 거리(즉 반지름)는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수단(30)의 제2구속요소 외곽에서 중심축부 중앙까지의 거리보다 짧아야 한다).
이를 통하여 각 수용수단(30)은 항상 진퇴수단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진퇴수단이 임의 분리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필요에 따라 대안적으로 이러한 진퇴수단의 임의 분리 방지 구조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진퇴수단, 즉 슬라이딩부재(23)가 상기 회전체(20)의 하부 플렌지(20f)에 파지부(23A)의 하면부가 구속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플렌지(20f)는 트임부(21A) 부위에서는 없으며,
수용수단(30)이 결합된 상태에서 평면에서 관찰했을 때 플렌지(20f)와 상기 제2구속요소는 간극이 없어(단, 수용수단의 진퇴를 위한 미세 유격은 보장되어야 한다)
진퇴수단의 제1구속요소는 회전체(20) 선회시 수용수단(30)의 제2구속요소와 상하 레일 구조체(23p,31p)(23a,31B)를 이루며 만나다가, 수용수단(30) 구간이 끝나면
수용수단과 수용수단 사이에 간극이 있어도
곧바로 (유의미한)중단 없이 회전체(20) 하부의 플렌지(20f)에 다시 구속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진퇴수단의 임의 분리 방지 구조는 진퇴수단인 슬라이딩부재(23)는 자기가 결합되는 하우징(10)의 장착부(11) 커버(11A)에 형성된 진퇴 투입부(미지칭됨)의 외벽에 의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온·고압의 물이 카트리지(C)로 투입되고 음료를 추출 후 배출되도록 카트리지에 두 구멍을 형성하는 파괴수단(50)과, 추출시 고온·고압의 물이 카트리지가 위치한 수용수단 밖으로, 즉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하고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락킹부재(40)를 살펴본다.
상기 파괴수단(50)은 회전체의 수직 중앙축부(20x)에 맞게 상부 및 하부 파괴수단(50A)(50B)로 구성된다. 또 각 수용수단(30) 마다 상부 또는 하부 파괴수단이 각각 구비될 수 있으나, 제조 용이성과 단가 경쟁력 등을 고려하여 모든 수용수단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하나의 상부 및 하부 파괴수단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는 편의상 하부 파괴수단(50B)이 회전체 상부에 배열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분해의 순서를 고려하면 하부 파괴수단(50B)은 회전체 하부에 배열되어야 한다(이러한 변칙은 도 4에서도 커버(11A)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적절한 회준수단(R)을 편의상 회전체와 인접한 위치에 배열, 도시하고 있다).
'음료 추출'을 위하여 본질이 되는 것은 파괴수단뿐 아니라, 추출용 용매, 즉 물이 카트리지의 추출원료(커피 분말(P)(도 5 참조))를 거치지 않고 무단 방류되어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추출용 용매가 수용수단(30) 본체(31)의 끼움부(31A)에 투입된 카트리지를 거쳐 추출을 행한 후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락킹부재 및 밀폐수단을 구비하여야하며, 밀폐수단은 커피 분말(P) 등의 추출대상체가 내장된 캡슐(또는 용기(pod))이나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과 같은 다양한 카트리지를 무단 통과하지 임의의 수단을 의미한다.
하부가 개구된 수용수단(30)으로 침투하여 카트리지(C) 하부를 천공하는 천공돌기(55a)는 천공디스크(55)에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크 중앙을 절개하여 천공돌기 부분을 상향 절곡한 형태로 제조되어 있고, 추출된 음료의 배출을 위하여 천공돌기 주변에는 추출 음료 통과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캡슐(또는 용기(pod))형 카트리지(C)에는 용기본체에 먼저 하부 메쉬디스크(57)가 내장되고, 이어 추출대상체, 즉 커피분말(P)이 내장되며, 그 위에 상부 메쉬디스크(53B)가 덮이며, 이어 용기본체의 개구부는 가능한 진공포장 상태에서 커버필름(C1)이 덮여 용기본체 상부 플렌지에 부착된다. 이는 카트리지의 일례를 의미한다.
이러한 캡슐(또는 용기(pod)) 타입 카트리지를 위한 파괴수단의 본질적 기능은 상부 및 하부 파괴수단(50A)(50B), 즉 천공핀(53a)과 천공돌기(55a)가 수행하게 된다.
먼저 상부 파괴수단(50A)은 기본적으로 천공핀(53a)으로 구성되며 락킹부재(40)와 연계된다.
락킹부재(40)는 레버(L), 다축링크(41,43,45), 그리고 장착드럼(47)을 포함한다.
추출을 위한 고온·고압의 물 누설 방지를 위하여 하우징 커버(11A) 전면 중앙에는 레버(L)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레버는 장착드럼(47)의 제1축부(47a)에 결합되는 고정축(La)과 스윙축(Lb)을 갖는다.
레버(L) 및 다축링크(41,43,45)의 연계동작은 반찬용기 등에 많이 사용되는 속칭 매미고리 또는 캠록(cam lock)의 원리와 유사하다. 이 레버의 가압력은 또한 [슬라이딩부재(23) 및 수용수단(30) 결합체]의 열림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도 5 및 도 5 상부 우측 첫 번째 및 두 번째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레버(L), 다축링크(41,43,45), 장착드럼(47), 승강드럼(51)의 상호 연결을 위한 축핀은 편의상 생략함),
레버(L)의 스윙축(Lb)은 제1다축링크(41)의 제1축(41a)과 결합되고, 제1다축링크(41)의 제2축(41b)은 제2다축링크(43)의 연결축(43b)에 제3다축링크(45)의 상부축(45a)과 함께 결합되며,
제2다축링크(43)의 고정축(43a)은 장착드럼(47)의 제2축부(47b)에 결합되고,
제3다축링크(45)의 하부축(45b)은 승강드럼(51)의 축설부(51a)에 결합된다.
하우징(10)의 커버(11A) 전방의 상향 돌출부에 고정된 장착드럼(47)은 레버(L)를 움직임에 따라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후단 스윙축(Lb)이 움직여 제1, 제2 및 제3 다축링크(41,43,45)를 연속으로 움직이게 되고,
최종적으로 제3다축링크(45)의 하부축(45b)의 승하강에 의하여 승강드럼(51)이 위아래로 움직이게 된다.
또 레버(L)를 아래로 내려 커버(11A) 전방의 상향 돌출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하면 레버(L)와 다축링크(41,43,45) 특유의 힘 작용지점 다원화로 캠록의 원리와 같이 수용수단(30) 내에서의 추출용 열수의 압력에 의하여 레버(L) 및 그 연계부재의 해제나 요동이 방지된다.
도 5 및 도 5의 좌측 첫 번째 및 두 번째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드럼(51)은 물탱크(15), 보일러 및 펌프와 연결된 관체(미도시 됨)가 통과하는 절곡형 열수통로(51A)를 갖고(도 5의 우측 첫 번째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승강드럼(51)의 반복된 움직임에도 관체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장착드럼(47)의 후면 일측에는 관체가 통과하는 장공(47A)이 형성되어 있어, 승강드럼의 승하강에 따른 관체의 변위 공간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다),
그 하면에는 가압디스크(53A)가 나사돌기(53p)를 통하여 대응되는 승강드럼(51)의 나사공(51b) 각각에 끼워지고, 이어 볼트가 세 나사돌기에 끼워져 확고한 고정을 보장한다.
또 상기 가압디스크(53A)는 승강드럼에 결합되기 전에 중앙 장착공(53h)에 천공핀(53a)이 그 걸림턱(53a')에 의하여 구속 결합되며, 수밀성은 걸림턱 상부에 결합된 오링(53b)을 통하여 보장하게 된다.
다음으로 레버(L)의 하강에 의하여 승강드럼(51)이 연동 하강하는 경우, 가압디스크(53A)에 의하여 눌려 카트리지(C)의 용기본체 개구부 둘레 플렌지와 밀착하여 천공핀(53a)을 통하여 배출되는 열수가 카트리지 내부로만 통과하고 카트리지를 거치지 않고 카트리지 용기 본체 외면과 수용수단(30) 끼움부(31A) 사이의 틈새를 거쳐 무단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밀폐수단의 본질을 구성하는 캡(53)은 중앙에 천공핀(53a)이 관통하는 중공(h)이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밀폐수단 또는 보조 밀폐수단으로 열수가 음료 케이커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부재는 수용수단(30) 본체(31) 끼움부(31A) 외주면의 환형 턱 부우와 이에 엇물림 또는 맞물림 형태로 결합되는 승강드럼((51) 하단의 원형 테두리부이다.
상기 밀폐수단을 구성하는 캡(53)은 실리콘 또는 연질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디스크(A)에 억지끼움 또는 접착 형태로 고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하부 파괴수단(50B)을 살펴보면, 상기 천공디스크(55) 중앙에는 천공돌기(55a)가 구비되어 있어 이에 의하여 카트리지(C) 하부가 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락킹부재, 밀폐수단, 락킹부재의 연계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레버(L)의 하강에 의하여 승강드럼(51)이 연동 하강하고, 가압디스크(53A)가 변형 가능한 캡(53)을 누르면, 캡이 수축, 특히 가압디스크(53A)와 주되게 접촉하고 있던 상향 돌출 구조의 테두리(이로 인하여 가압디스크와 캡 사이의 이격 공간부가 발생한다)가 수축, 변형, 하강하면서 카트리지(C) 용기본체의 개구부 주변 테두리를 가압하여 용기본체 상면을 밀폐 차단하고,
승강드럼(51) 하부 플렌지는 수용수단 본체(31) 끼움부(31A) 둘레의 환턱에 결합하여 2차 밀폐 및 고압의 열수 누출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보장한다.
또 캡(53)이 수축하면서 가압디스크(53A)와 캡 사이의 이격 공간부가 없어지면서 가압디스크 하면에 돌출되어 있던 천공핀(53a)의 하단부(첨단부임)는 캡의 중공(h)을 관통하여 카트리지(C)의 필름커버(C1)를 뚫게 된다.
이어 천공핀(53a) 하단부는 카트리지 용기 본체 내의 메쉬디스크(53B) 중앙과 만나게 되고,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다.
도 5 및 도 5의 우측 세 번째 및 네 번째 일점 쇄선 원 내에 평면도 및 저면 사시도로 나란히 도시한 바와 같이, 캡(53) 하면에는 메쉬디스크(53B)가 배열되어 있어 특유의 동심원 구조의 분산홈(53g)들을 갖고, 이 분산홈에는 또 열수 통과공(53w)이 형성되어 있으며, 메쉬디스크(53B)의 하면 중앙에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중앙돌기(53n)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어서 고온·고압의 물이 펌프에 의하여 공급되면 천공핀(53a) 단부 구멍에서 뿜어져 나온 열수가
메쉬디스크(53B)의 분산홈(53g)들과 열수 통과공(53w)에 의하여 넓게 퍼져 추출대상체, 즉 커피분말(P)과 만나게 되고 추출을 시작한다.
메쉬디스크(53B) 하면에 형성된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중앙돌기(53n)는 메쉬디스크의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상부에 중앙에 요홈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이 요홈부에는 천공핀 단부가 수용되고 고압의 열수는 이 요홈부 벽면에 부딪혀 넓게 퍼져 고른 추출을 보장하게 된다.
한편, 최초 상부 캡(53)과 용기본체 사이의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천공핀(53a)과 캡(53) 중공(h) 사이로 유출될 수 있는 열수는 밀폐 캡(53)과 가압디스크(53A) 접촉 밀폐 구조에 의하여 수밀성이 유지되며,
또 가압디스크(53A) 상부 장착공(53h)에는 오링(53b)이 구비되어 있어 밀폐성이 보장된다.
완벽한 밀폐상태에 의하여 카트리지 용기본체 내부를 채운 열수는 소정 정도 변형 가능한 카트리지 용기본체 하면을 가압하여 하강시키게 되고,
이에 의하여 용기본체 하면이 천공디스크(55)의 천공돌기(55a)와 만나 뚫리게 된다.
카트리지(C) 내부를 원활하게 통과하는 고온·고압의 물은 추출을 행하는데,
하부 메쉬디스크(57) 추출 액체만 배출되고 찌꺼기는 그 위에 체류하는 기능을 하며, 필요에 따라 하부 메쉬디스크에는 필요에 따라 필터를 더 안치할 수 있다.
하부 메쉬디스크(57)는 또 상부에 상향돌기(57n)를 갖는데, 이 상향돌기는 특유의 상협하광(上狹下廣)형상으로 인하여 카트리지를 통과하여 추출 기능을 수행한 열수가 음료로 바뀐 후 이 상향돌기를 타고 넓게 퍼지면서 메쉬디스크(57)의 구멍들을 통과하여 아래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천공디스크(55) 하부에는 거품디스크(59)가 배열되는데, 이는 열에 강하고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이 적은 실리콘 소재나 기타 안전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천공디스크(55) 중앙에 치우친 추출 음료 통과부(55b)를 통하여 배출되는 추출음료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안내로(59b)를 따라 거품디스크(59) 외곽으로 퍼진 후, 각 안내로 끝의 통공(59a)을 통과하면서 체류시간의 증대로 커피, 특히 에스프레스 특유의 풍미를 향상시키는 거품 또는 크레마(Crema, 조밀한 황금빛 갈색의 거품으로 에스프레소(Espresso) 샷을 덮는다)를 증가시킨다.
이상과 같이, 카트리지 상하면 천공 후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물은 원활하게 카트리지를 통과하며 하부로만 배출되므로 회전체(20) 결합부(21) 중앙위치의 노즐연통공(20n)과 하우징의 노즐(13)을 거쳐 음료수용부(10A)에 위치한 컵으로 추출액을 담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또는 카트리지의 종류 및 구조에 따라), 상부 파괴수단 또는 하부 파괴수단, 또는 이들 모두가 생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부 파괴수단은 단순히 상부파괴수단에 의하여 카트리지 용기본체 내부를 채운 추출용매의 압력에 의하여 파괴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개구부 외의 구비된 하부 구멍을 막는 필름부재(합성수지 필름 또는 금속(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박판(foil))로 대체될 수 있다.
추출이 끝나면 레버(L)를 열고 진퇴수단인 슬라이딩부재(23)를 당겨 개방하고, 노출된 수용수단(30)의 끼움부(31A)에서 추출 후 찌꺼기만 남은 카트리지(C)를 제거하면 된다.
또 그 대신에 회전수단(R)을 돌려 바로 다른 수용수단(30)에 구비된 카트리지에 대한 추출을 행할 수 있다.
이후 필요에 따라서 수용수단(30)은 회전체(20)의 결합부(21)에서 완전히 불리하여 세척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체, 수용수단(30), 락킹부재(40), 파괴수단(50)의 개념은 도 6과 같은 수평 선회축 구비형 회전체를 구비한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에도 알맞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변형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1차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2차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회전체(20)를 내장하는 장착부(22)와, 장착부(22)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제2진퇴수단 그리고 상기 장착부(22)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장착부(22)에 형성된 노즐 연통공(21n)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장착부를 구성하는 장착부재(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장착드럼(47)을 일체화시킨 중간패널(11Ab)을 도입하여, 파괴수단을 구비한 승강드럼(51) 등을 내장하고 이를 커버패널(11Aa)로 밀폐시킴으로써, 음료 추출 시 발생할 수 있는 열수나 음료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커버와 회전체(20) 및 회전체(20)를 둘러싼 하우징의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7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은 기능과 구조 등을 갖는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상술한 설명에서 충분히 유추 가능하므로 편의상 생략하도록 한다.
우선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는 음료 추출을 위한 파괴수단과 이를 위한 레버(L:L1,L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레버에 연동되는 가압수단과 이와 연결된 승강드럼(51) 및 장착드럼(47) 등의 구조 및 동작 등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알 수 있음으로 편의상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회전수단(R)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커버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체(2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체(20)의 중심축부와 회전축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장착부(22)의 회전중심부(22x)에 결합되어 회전하는데 회전체(20)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와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도시된 진퇴수단과 다른 형태의 진퇴수단(이하에서는 제2진퇴수단이라 통칭함)을 갖는다. 제2실시예에서의 제2진퇴수단은 제2슬라이딩부재(124)로 구성되는데,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사용자가 서랍처럼 여닫을 수 있는 파지부를 갖고, 상기 파지부 내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124A)를 갖고 이 날개부(124A)는 저면에 슬라이딩 결합을 위한 슬라이딩홈(124c)을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가 안치되는 장착부(22)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이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2c)이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124A)가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24)의 날개부(124A)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이 안착되는 안착부(124b)를 형성한다. 상기 안착부(124b)의 너비는 상기 회전체(20)의 중심축부(20x)가 결합하는 회전중심부(22x)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때 날개부(124A)의 양 말단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전중심부(22x)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부(124b)의 너비를 D1, 상기 장착부(22)의 회전중심부(22x)의 너비를 D2, 상기 날개부(124A)의 말단의 최내측 이격너비를 D3라 할 때,
이 셋은 D1 ≥ D2 > D3 의 크기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24)는 상기 장착부(22)를 슬라이딩 결합하되,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24)를 완전 개방하여도 상기 날개부(124A)의 말단이 상기 장착부(22)의 회전중심부와 접촉되어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24)에 형성된 안착부(124b)에 안착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24)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20)의 결합부(21)로 삽입 안내된다. 이 때 상기 회전체(20)의 결합부(21)는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의 삽입을 위하여 트임부를 갖는데 이 트임부는 상기 제2진퇴수단에 의해 안내되어 삽입되는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이 상기 회전체(20)의 결합부(21)에 안착될 수 있도록 회전체(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도를 갖는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삽입 후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이 위치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전체(20)의 상측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진퇴수단을 개방 시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이 같이 배출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24)의 안착부(124b) 내측 일부에는 상기 결합부(21)의 탄성력을 하부로 강제하는 해제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진퇴수단의 후퇴 시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이 같이 배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슬라이딩부재(124)의 파지부 내측면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속요소(124a)를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이 안내되어 삽입될 때, 상기 수용수단(31)이 상기 회전체(20)의 결합부(21)에 정확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파지부 내측면에 형성된 구속요소(124a)를 갖고, 이 구속요소(124a)는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의 안내부(31C)를 밀어 상기 결합부(21)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구속요소(124a)는 말단에 걸림턱(124d)을 더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걸림부(31d)를 형성하여 상기 제2진퇴수단의 삽입 시 위치의 변동이 없게 할 뿐만 아니라, 수용수단(31) 배출 시에도 상기 회전체(20)의 결합부(21)가 갖는 탄성력을 강제로 해제하면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속요소(124a)는 슬라이딩부재의 완전 삽입 시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을 상기 회전체(20)의 결합부(21)에 강제 안착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체(20)의 회전 시 회전체(20)에 삽입된 복수개의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부(22)의 측벽부(22a)로서 기능을 갖는다. 상기 구속요소(124a)가 상기 장착부(22)의 측벽부로서의 기능을 하기 위해선 상기 구속요소(124a)는 상기 측벽부(22a)가 갖는 원의 형태와 같게 형성되게 하고, 상기 카트리지 수용수단의 안내부(31C)도 상기 측벽부 내시 상기 구속요소와 대응되어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히다.
상술한 제2진퇴수단(24)에 의한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의 삽입과 회전체(20)에 의한 회전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은 제2슬라이딩부재(124)로 구성되는 제2진퇴수단의 안착부(124b)에 안착되어 상기 제2진퇴수단의 삽입에 의해 안내되고 회전체(20) 결합부(21)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2진퇴수단은 상기 장착부(22)과 상기 회전체(20)의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은 상기 회전체(20)의 결합부(21)를 타고 삽입결합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2진퇴수단은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을 상기 회전체(20)의 결합부(21)로 삽입시킬 수 있는 구속요소(124a)를 형성하여 삽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속요소(124a)는 정확한 결합과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속요소(124a) 말단에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에 이와 대응되는 걸림부를 더 구비하여 안착 시 상기 걸림턱과 걸림부의 결합으로 상기 제2진퇴수단에 의한 결합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20)의 결합부(21)의 트임부는 수용수단(31) 결합을 위한 경사를 갖되, 삽입 후 위치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전체(20) 상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체(20) 상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은 상술한 음료 추출 시 음료 추출 수단 구성부분간의 수밀성 확보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는 평평히 형성된 상기 제2진퇴수단(제2슬라이딩부재(124))의 상면을 접촉하면서 회전되어, 상기 회전체(20)의 결합부(21)에 결합된 수용수단(31)의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회전체(20)의 결합부(21)에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은 상기 제2진퇴수단의 후퇴 시 상기 회전체(20)의 결합부(21)에서 탈락되어 상기 제2진퇴수단의 안착부(124b)에 다시 안착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 밖의 상기 결합부(21)에 형성된 상기 수용수단(31)이 하우징의 노즐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정지수단 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4)가 상시적으로 회전체(20)에 구속되기 위한 구조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의 그것과 같으므로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는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이 회전체(20)에 결합되어 회전됨으로써, 여러 종류의 카트리지(C)를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추출 음료 배출 노즐에 위치하는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의 종류를 직접 알 수 없기 때문에 원하는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을 선택하여 음료 추출을 하기 위해서는 회전체(20)를 선회시킨 후 진퇴수단을 통하여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C) 추출용 유니버셜 음료 메이커는 도 10에서와 같이 변형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의 제3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힌지 결합하고, 상기 회전체(20)를 개폐시키는 커버덮개(11B)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도 1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상기 커버덮개(11B)는 상술한 음료 추출을 위한 상술한 파괴수단을 구비한 승강드럼(51)과 장착드럼(47) 및 레버 등을 구비하여 상술한 음료 추출 목적을 달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의 일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20)를 선회시키기 위한 회전수단(R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덮개(11B)를 개방하고,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의 종류를 직접 보고 회전체(20)를 선회시켜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R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개략도인 도 10에서와 같이 회전체(20)의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덮개(11B)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수단(R1)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내장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R1)은 회전체(20)의 외주면부 상부에 다수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변형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카트리지(C) 수용수단(31)의 진퇴에 방해하지 않는 회전체(20)의 일부(즉, 수용수단(31) 사이에 형성된 회전체(20)의 삼각형부재)에 상향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는 위치에 하향 오목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회전체(20)의 회전 동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등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을 용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R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의 시실예(도1 내지 도5참조)와 같이 상기 회전수단(R1)이 커버덮개(11B)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커버덮개(11B)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20)의 중심축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이 결합부재가 상기 커버덮개(11B)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회전체(20)의 중심축부와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중심축부와 일종의 래칫수단(일측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타측이 일방향 회전하고, 일측의 타방향 회전에 의해서는 타측이 회전하지 않고 공회전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수단(R1)의 일방향 회전 시 상기 결합부재와 중심축부는 나사 결합하고, 나사 결합 후 계속된 일방향 회전에 의해서만 상기 회전체(20)가 회전토록 하고, 타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회전체(20)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결합부재와 회전축부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는 커버덮개(11B)와 상기 회전체(20) 및 이를 내장한 하우징간의 수밀성을 확보하여, 음료 추출시 열수나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덮개(11B)를 닫고 음료 추출 과정을 행함에 있어, 상기 커버덮개(11B)와 회전체(20) 및 회전체(20)를 내장한 하우징 사이의 수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커버덮개(11B) 또는 회전체(20)를 둘러싼 하우징 또는 이들 모두에는 별도의 결합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고정부재는 상기 회전체(20)를 둘러싼 하우징에 상향 돌출되어 말단이 절곡 형성되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와 대응하여 결합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가 상기 커버덮개(11B)에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결합고정부재는 덮개와 본체를 결합시키고 밀폐시키는 종래의 여러 결합수단(예를 들어 전기 밥솥에서의 결합 수단 또는 방법과 같이)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덮개(11B)와 회전체(20) 및 회전체(20)를 둘러싼 하우징을 결합시키고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결합고정부재외에 상기 커버덮개(11B)와 하우징의 접촉면에 별도의 패킹수단(예를 들어 오링)을 구비하여 수밀성을 보장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마이컴에 의한 음료 메이커의 제어방법, 보일러, 펌프, 사용모드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음료 메이커 및 회전체와 수용수단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음료메이커 C: 카트리지
R: 회전수단
10: 하우징 10A: 음료수용부
11: 장착부 13: 노즐
15: 물탱크 17: 조작부
19: 잔액트레이 19a: 그릴
20: 회전체 21: 결합부
21A: 트임부 21a: 스토퍼
22 : 장착부
23: 슬라이딩부재 23A: 파지부
23B: 장착패널
24a : 구속부 24b : 안착부
24A : 날개부 24c : 슬라이딩홈
25: 정지수단
30: 수용수단 31: 본체
31A: 끼움부 31B: 안내홈
31C : 안내부
31a: 멈춤부 33: 피안내부
40: 락킹부재 41,43,45: 다축링크
L , L1, L2: 레버 47: 장착드럼
50,50A,50B: 파괴수단 51: 승강드럼
53: 캡 53a: 천공핀
55: 천공디스크 55a: 천공돌기
57: 메쉬디스크 59: 거품디스크
124 : 제2슬라이딩부재

Claims (6)

  1. 장착부(11)와, 음료수용부(10A)와, 상기 음료수용부(10A)로 추출 음료를 공급하는 배출 노즐(13)을 구비한 하우징(10);
    복수의 카트리지 수용수단(30)들;
    상기 하우징(10)의 장착부(11)에 결합되어 선회되고, 각 카트리지 수용수단(30)을 위한 결합부(21)를 구비한 회전체(20);
    상기 회전체(20)의 선회를 위한 회전수단(R);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체(20)에는 상기 카트리지 수용수단(30)을 회전체(20)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진퇴수단으로 파지부(23A)를 구비한 슬라이딩부재(23)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부재(23)는 파지부(23A) 내측에 상기 수용수단(30)을 구속하는 구속요소들(23p,31p)(23a,31B)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R)에 의한 회전체(20) 회전시 카트리지 수용수단(30)이 하우징(10)의 노즐(13) 위치에 정확하게 머물도록 하는 정지수단(25)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재(23)를 구성하는 파지부(23A)와 장착패널(23B) 중 장착패널 상부에 구비된 정지스프링(25)으로 구성되며, 판스프링 타입의 정지스프링 돌출부(25a)와, 이 돌출부가 탄지 결합하는 수용부재(30) 정면의 멈춤부(3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요소들(23p,31p)(23a,31B)은
    상기 장착패널(23B)의 상면에 레일부(23a)와, 상기 레일부와 결합하고 상기 수용수단(30)의 하면에 형성되는 안내홈(31B)과,
    상기 파지부(23A)의 상부 일측에 하향 형성된 엇물림부(23p)와, 상기 수용수단의 본체(31)에 상기 엇물림부(23p)와 맞게 상향 형성된 대응 엇물림돌기(31p)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수단은
    전면에 사용자가 서랍처럼 여닫을 수 있는 파지부를 갖고, 상기 파지부 내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124A)를 갖고 이 날개부(124A)는 저면에 슬라이딩 결합을 위한 슬라이딩홈(124c)을 각각 구비고, 상기 회전체(20)가 안치되는 장착부(22)에 상기 슬라이딩홈이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2c)로 구성되는 제2슬라이딩부재(1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과 힌지 결합하여 상기 회전체(20)를 개폐하는 커버덮개(11B)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KR1020120085704A 2011-12-13 2012-08-06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KR101260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3343 2011-12-13
KR1020110133343 2011-1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504B1 true KR101260504B1 (ko) 2013-05-06

Family

ID=4866544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586A KR101351782B1 (ko) 2011-12-13 2012-01-16 거품발생수단이 구비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KR1020120085704A KR101260504B1 (ko) 2011-12-13 2012-08-06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KR1020120086967A KR20130067206A (ko) 2011-08-26 2012-08-08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586A KR101351782B1 (ko) 2011-12-13 2012-01-16 거품발생수단이 구비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967A KR20130067206A (ko) 2011-08-26 2012-08-08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35178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551A (ko) * 2013-12-24 2015-07-02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
KR101572956B1 (ko) * 2013-08-07 2015-11-30 컨벡스코리아(주)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KR101582351B1 (ko) * 2014-07-21 2016-01-11 주식회사 대화디지탈 캡슐커피머신용 커피 추출장치
KR20230168029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28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33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168032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168030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31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40020576A (ko)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80630T3 (es) * 2014-01-03 2018-09-10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Envase de suministro intercambiable para una máquina dispensadora de bebidas, dosificador, unidad de bomba y método de fabricació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5859A2 (en) 2002-02-07 2003-08-14 The Coca-Cola Company Coffee and tea dispenser
US20040112222A1 (en) 2001-03-31 2004-06-17 Daniel Fischer Espresso brew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3480B (en) * 2004-02-17 2006-08-30 Kraft Foods R & D Inc An insert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20070259092A1 (en) * 2005-08-02 2007-11-08 Chen Yee M Brewing apparatus for preparing foam, froth, or crema under low pressure
KR200440656Y1 (ko) * 2007-03-02 2008-06-24 정우영 기호음료 제조장치
KR101228579B1 (ko) * 2010-07-21 2013-01-31 컨벡스코리아(주) 커피머신의 거품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2222A1 (en) 2001-03-31 2004-06-17 Daniel Fischer Espresso brewing device
WO2003065859A2 (en) 2002-02-07 2003-08-14 The Coca-Cola Company Coffee and tea dispenser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956B1 (ko) * 2013-08-07 2015-11-30 컨벡스코리아(주)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KR20150074551A (ko) * 2013-12-24 2015-07-02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
KR102213440B1 (ko) * 2013-12-24 2021-02-08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
KR101582351B1 (ko) * 2014-07-21 2016-01-11 주식회사 대화디지탈 캡슐커피머신용 커피 추출장치
KR20230168029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28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33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168032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168030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31A (ko)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40020576A (ko)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782B1 (ko) 2014-01-15
KR20130067197A (ko) 2013-06-21
KR20130067206A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504B1 (ko)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EP2731478B1 (en) Pivotally closing beverage ingredient holder with a lock
RU255562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даптации капсулы с пищевым продуктом к держателю капсулы
US9675202B2 (en) Pivotally closing beverage ingredient holder with piercer
EP1867585B1 (en) Capsules container
KR101572956B1 (ko)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EP2440092B1 (en) Brewing head of a hot beverage dispenser based on dimensionally stable beverage capsules
AU2012282514A1 (en) Actuator for closing a beverage ingredient holder
CN109561780A (zh) 用于制备饮料的系统、装置、方法、胶囊和胶囊试剂盒
KR101323361B1 (ko)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KR20160127011A (ko) 식품 제조 기계를 위한 브루잉 유닛
CN109561778A (zh) 用于制备饮料的系统、装置、方法、胶囊和胶囊试剂盒
KR101326682B1 (ko)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KR101600563B1 (ko) 리셉터클 보관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KR20150072417A (ko) 식품 제조 시스템
KR20150066189A (ko)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CN103860020A (zh) 具备料盒分离装置的饮料机
KR101581930B1 (ko)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