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643B1 -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stress signal for ship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stress signal for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643B1
KR101258643B1 KR1020110034837A KR20110034837A KR101258643B1 KR 101258643 B1 KR101258643 B1 KR 101258643B1 KR 1020110034837 A KR1020110034837 A KR 1020110034837A KR 20110034837 A KR20110034837 A KR 20110034837A KR 101258643 B1 KR101258643 B1 KR 101258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uoy
ship
buoy module
waterproof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7611A (en
Inventor
이장수
Original Assignee
이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수 filed Critical 이장수
Publication of KR2011011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6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6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8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having means to release or urge to the surface a buoy on submergence thereof, e.g. to mark location of a sunken objec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2Distress signalling devices, e.g. rescue 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17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는, 선박의 선체에 고정되어 있다가 선박의 침몰시 선체에서 분리되어 수면 위로 뜨는 부이 모듈, 부이 모듈을 선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선체에 설치되는 고정 모듈, 선체와 부이 모듈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부이 모듈은, 와이어와 연결되는 방수 케이스, 방수 케이스가 수면 위로 떠오를 때 조난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방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신호 발생기, 신호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방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는 선박의 침몰시 부이 모듈이 선체로부터 이탈하여 수면 위로 부상하여 조난신호를 관제소, 구조대 또는 다른 선박 등에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ship, which comprises a buoy module which is fixed to a ship and separates from the ship when the ship sinks, And a wire connecting the hull and the buoy module. The buoy module includes a waterproof case connected to the wire, a signal generator installed inside the waterproof case to generate a distress signal when the waterproof case floats above the water surface, and a signal generator And a battery installed inside the waterproof case to supply pow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ship, wherein the buoy module is lifted from the hull and floated above the water surface when the ship sinks, so that the distress signal can be quick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station, the rescue team, or other vessels.

Description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distress signal for ship}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초나 충돌에 의한 선박의 침몰시 선박의 침몰 위치를 알리고 조난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선박의 조난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ship,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tress signal generator for a ship capable of informing a sink position of a ship when the ship sinks due to stranding or collision and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바다를 운항하는 선박은 철재, 비철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어선, 유람선, 운반선, 군함, 여객선 등 그 용도에 맞는 적합한 구조로 건조된다.Generally, ships operating on rivers, lakes and seas are made of steel, non-ferrous metals, wood or plastic, and are dried to a structure suitable for their use, such as fishing vessels, cruise ships, carrier ships,

선박은 변화가 심한 기상조건 아래에서도 운항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고 운항시 갑작스럽게 태풍이나 해일을 만나 고장이 발생되거나 운항의 실수 등으로 인해 침몰할 수도 있다. 또한 암초나 빙산 등에 충돌할 경우 선체 내에 물이 침투하여 수중으로 가라앉을 위험도 가지고 있다.Vessels are often required to operate under severe weather conditions, and may suddenly encounter typhoons or tsunamis during operation, causing malfunctions or sinking due to operational errors. 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water infiltration into the hull and sinking into the water when colliding with a reef or an iceberg.

운항중인 선박이 침몰하게 되면 침몰 선박 자체가 수중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연료 등과 같은 선체내 잔존 유해물질이 유출되어 2차 해양 오염사고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선박의 항로에 인접하여 놓이는 침몰 선박은 다른 선박이나 잠수함의 운행에 위협이 되므로, 신속하게 인양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많은 사람이 승선한 선박이 침몰한 경우나 귀중품을 선적한 선박이 침몰하는 경우에는 인양 시간이 길어질수록 인명피해나 재산피해가 커지게 되므로, 침몰 선박의 위치 파악과 신속한 인양 작업이 중요하다.When a ship in operation sinks, the sinking ship itself not only pollutes the underwater environment, but also discharges the remain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fuel and the like, causing secondary marine pollution accidents. In addition, a sinking ship placed adjacent to a ship 's route is a threat to the operation of other ships or submarines, and needs to be lifted quickly. Furthermore, when a ship on which a ship is aboard is sunk or a ship loaded with valuables is sunk, the longer the lifting time, the greater the damage to the person and the damage to the property.

선박이 침몰하는 경우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인양 작업도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수심이 깊은 곳에 선박이 침몰하는 경우 선박의 침몰 위치를 파악하기가 쉽지가 않고, 인양 작업 또한 어렵다. 더욱이 조류가 센 곳에서는 조류의 영향으로 침몰 선박이 침몰 지점에서 떠내려갈 수 있으므로, 침몰 선박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은 실정이다.When the vessel sinks, it is relatively easy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vessel that is sinking in the shallow water depth, and the work can be carried out smoothly, but it is not easy to grasp the sinking position of the vessel when the vessel sinks deeply It is also difficult to salvage. Furthermore,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locate the sinking vessel because the sinking vessel can be washed away from the sinking point by the influence of algae in the place where the algae are moved.

현재 대부분의 운행 선박이 외부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비를 갖추고 있지만, 선박이 침몰되면 선박 내의 전원이 차단되거나 통신기능이 마비되어 외부에 조난신호를 전송하기가 불가능해진다.
Currently, most of the vessels hav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but when the ship is sunk, the power in the ship is cut off or the communication function becomes paralyzed and it becomes impossible to transmit the distress signal to the outside.

현재 침몰 선박의 위치를 찾아내는 방법으로는 침몰 선박의 부유물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나 음파탐지기(sonar)를 이용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해저에는 금속성 쓰레기나 침몰된 타 선박의 잔해 등이 널리 퍼져있기 때문에 광활한 바다속에서 침몰 선박의 위치를 찾아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Currently, the method of locating the sinking vessel is using the method of observing the floating matter of the sinking ship with the naked eye or the method using the sonar.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the position of a sinking vessel in the vast ocean because metallic wastes or debris from other sinking vessels are spread on the sea bed.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제센터나 구조대가 침몰 선박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선박의 침몰시 선박의 침몰 위치를 알리고 조난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선박의 조난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a ship control system, in which a control center or a rescue team can quickly recognize the position of a sinking vessel, And to provide a distress signal generating device for a ship having a shi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는, 선박의 선체에 고정되어 있다가 상기 선박의 침몰시 상기 선체에서 분리되어 수면 위로 뜨는 부이 모듈, 상기 부이 모듈을 상기 선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고정 모듈, 상기 선체와 상기 부이 모듈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부이 모듈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방수 케이스, 상기 방수 케이스가 수면 위로 떠오를 때 조난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방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신호 발생기, 상기 신호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방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ship, comprising: a buoy module fixed to a hull of a ship and separated from the hull when the ship sinks; And a wire connecting the hull and the buoy module, wherein the buoy module comprises: a waterproof case connected to the wire; and a distress signal when the waterproof case floats above the water surface, A signal generator installed in the waterproof case so as to generate a signal, and a battery installed in the waterproof case to supply power to the signal generator.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선박의 침몰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침몰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침몰감지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이 모듈을 고정 해제시킬 수 있다.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nking detec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when the ship sinks, and the fixing module may receive a signal of the sinking detection device to unfreeze the buoy module .

상기 침몰감지장치는 수압센서일 수 있다.The sinking sensing device may be a water pressure sensor.

상기 고정 모듈을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조작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manual operation button for manually operating the fixing module.

상기 고정 모듈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odule may include a battery for power supply.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선체에 고정되고 상기 부이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 및 상기 수용실과 연통하는 개방구를 갖는 보호 케이스,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보호 케이스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덮개를 고정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덮개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부이 모듈은 상기 개방구가 개방될 때 그 자체의 부력에 의해 상기 보호 케이스에서 이탈하여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다.Wherein the fixing module comprises: a protective case fixed to the hull and having a storage room for accommodating the buoy module and an opening for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chamber; a cover coupled to the protective cas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a buoy module for releasably securing the buoy module to the buoy module, wherein the buoy module can be lifted from the protective case by the buoyancy of the buoy module itself when the opening is opened, and floated over the water surface.

상기 와이어는 상기 수용실에 수용되고, 그 일단이 상기 보호 케이스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부이 모듈에 결합될 수 있다.The wir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and one end thereof may be coupled to the protection case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coupled to the buoy module.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덮개 고정장치가 상기 덮개를 고정 해제시킬 때 상기 덮개가 신속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에 대해 열림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lid in the opening direction so that the lid can be opened quickly when the lid fixing device releases the lid.

상기 신호 발생기는 무선통신장치, 적외선통신장치, 사이렌, 비상등, 연막장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signal generator may be selected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 infrared communication device, a siren, an emergency light, and a smoke film device.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부이 모듈을 상기 선체의 외측으로 추진시키기 위한 추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odule may include a propelling device for propelling the buoy module to the outside of the hull.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부이 모듈이 놓이는 추진판, 상기 추진판에 대해 상기 선체의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 상기 추진판을 고정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추진판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pulsion device may include a propelling plate on which the buoy module is placed, a spring for exe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outside of the hull against the propelling plate, and a propelling plate fixing device for releasably fixing the propelling plate.

상기 부이 모듈은 상기 방수 케이스가 수면 위로 떠오를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한 부상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발생기는 상기 부상감지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할 수 있다.The buoy module further includes a float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when the waterproof case rises above the water surface, and the signal generator can operate by receiving a signal of the float detection device.

상기 고정 모듈은 외부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연결단자, 상기 외부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부이 모듈은 상기 내부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odule includes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cable and an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nd the buoy module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able to the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

상기 부이 모듈은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oy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GPS receiver.

상기 방수 케이스는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이 모듈은 상기 방수 케이스를 팽창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방수 케이스 내부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인플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proof case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apable of shrinking and expanding, and the buoy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nflator capable of supplying gas into the waterproof case so as to expand the waterproof case.

상기 와이어는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금속선에 피복이 코팅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wir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metal wire is coated with a coating so as to transmit an electric signal.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는 선박의 침몰시 부이 모듈이 선체로부터 이탈하여 수면 위로 부상하여 조난신호를 관제소, 구조대 또는 다른 선박 등에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크게 줄여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ship, wherein the buoy module is lifted from the hull and floated above the water surface when the ship sinks, so that the distress signal can be quick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station, the rescue team, or other vessels. Therefor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searching the structure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는 수면 위로 부상한 부이 모듈이 와이어를 통해 선체와 연결되므로, 와이어를 통해 침몰 선박에 도달할 수 있어 신속한 인명 구조와 조속한 선박의 인양작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buoy modul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is connected with the hull through the wire,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ch the sinking vessel through the wire, so that the swift lifesaving structure and the salvage operation of the ship can be performed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가 선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의 부이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의 부이 모듈이 고정 모듈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의 부이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의 부이 모듈이 고정 모듈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 shows a state where a ship's distress signal generator is mounted on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ship distress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a configuration of a distress signal generator for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buoy module of a distress signal generator for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buoy module of a distress signal generator for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a fixed module.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buoy module of a distress signal generator for a 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buoy module of a distress signal generator for a 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a fixed modul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가 선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shows a state where a ship's distress signa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hip, FIG. 2 shows a ship's distress signa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distress signal generator for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100)는 선박(10)의 선체(11)에 설치되는 고정 모듈(110), 고정 모듈(110)에 수용되었다가 선박(10)의 침몰시 수면 위로 뜨는 부이 모듈(140), 고정 모듈(110)과 부이 모듈(140)을 연결하는 와이어(160)를 포함한다. 고정 모듈(110)에 수용되는 부이 모듈(140)은 선박(10)의 침몰시 고정 모듈(110)에서 이탈하여 수면 위로 떠올라 침몰한 선박(10)의 위치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1 to 3, an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module 110 installed in a hull 11 of a ship 10, And a wire 160 connecting the buoy module 140 and the buoy module 140 to the fixed module 110 and the buoy module 140 when the ship 10 sinks. The buoy module 140 accommodated in the anchoring module 110 may escape from the anchoring module 110 when sinking the vessel 10 and float over the water surface to inform the outside of the position of the vessel 10 that has sunk.

고정 모듈(110)은 선박(10)의 선체에 고정되는 보호 케이스(111), 부이 모듈(140)의 이탈을 위해 보호 케이스(111)에 마련되는 개방구(113;도 5참조)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114), 부이 모듈(140)을 보호 케이스(111) 외부로 추진시키기 위한 추진장치(123), 보호 케이스(111)의 외부에 설치되는 수압센서(130), 부이 모듈(140)의 이탈 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31),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32)를 포함한다. 제어장치(131)는 보호 케이스(111)의 내부 공간이나 보호 케이스(111)의 외면, 또는 보호 케이스(111)의 내부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132)는 보호 케이스(111)의 내외부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ecuring module 110 includes a protective case 111 fixed to the hull of the ship 10 and an openable and closable opening 113 (see FIG. 5) provided in the protective case 111 for releasing the buoy module 140 A propulsion unit 123 for propelling the buoy module 140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111, a hydraulic pressure sensor 130 installed outside the protective case 111, a buoy module 140 A control unit 13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and a battery 132 for power supply. The control device 131 may be embed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rotective case 111,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111, or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ase 111. The battery 132 may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111.

보호 케이스(111)는 부이 모듈(140)과 와이어(16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실(112)과 부이 모듈(140)이 빠져나올 수 있는 개방구(113)를 갖는다. 선박(10)의 침몰시 부이 모듈(140)이 보호 케이스(111)에서 원활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111)는 갑판 등 선박(10)의 외면에 고정되는 것이 좋고, 개방구(113)는 보호 케이스(111)의 상면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The protective case 111 has an accommodation chamber 112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uoy module 140 and the wire 160 and an opening 113 through which the buoy module 140 can escape. The protective case 111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hip 10 such as a deck so that the buoy module 140 can be smoothly detached from the protective case 111 when the ship 10 sinks.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case 11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개방구(113)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114)는 힌지 핀(115)에 의해 보호 케이스(111)에 힌지 결합된다. 힌지 핀(115)에는 덮개(114)에 대해 열림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116)이 결합된다. 덮개(114)의 일단에는 보호 케이스(111)에 형성된 삽입홈(117)에 삽입될 수 있는 후크(118)가 구비된다. 후크(118)가 삽입홈(117)에 삽입될 때 후크(118)의 끝단이 보호 케이스(111)에 설치된 덮개 고정장치(119)에 걸림으로써 덮개(114)는 개방구(113)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lid 11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13 is hinged to the protective case 111 by a hinge pin 115. A spring 116 is attached to the hinge pin 115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cover 114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cover 114 is provided at one end thereof with a hook 118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7 formed in the protective case 111. When the hook 118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7, the end of the hook 118 is hooked on the lid fixing device 119 installed in the protective case 111, so that the lid 114 closes the opening 113 State can be maintained.

덮개 고정장치(119)는 몸체(120)와 몸체(120)에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돌기(121)를 갖는다. 고정돌기(121)는 몸체(120) 밖으로 전진하여 후크(118)에 접촉함으로써 후크(118)를 고정하고, 몸체(120) 안으로 후퇴하여 후크(118)로부터 벗어난다. 후크(118)가 덮개 고정장치(119)에서 벗어나 고정 해제되면 덮개(114)는 스프링(116)의 탄성력을 받아 개방구(113)를 개방하게 된다. 덮개 고정장치(119)로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 진퇴 가능한 고정돌기를 갖는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The cover fixing device 119 has a fixing protrusion 121 which is movably coupled to the body 120 and the body 120. The fixing protrusion 121 advances out of the body 120 to contact the hook 118 to fix the hook 118 and retract into the body 120 to escape from the hook 118. When the hook 118 is released from the lid securing device 119 and then released, the lid 114 receiv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16 to open the opening 113. As the lid fixing device 119, various devices having fixing protrusions that can be advanced or retracted, such as solenoid valves, can be used.

추진장치(123)는 부이 모듈(140)이 놓이는 추진판(124), 추진판(124)에 대해 개방구(113)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125), 추진판(124)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추진판 고정장치(126)를 포함한다. 추진판(124)의 하부에는 복수의 후크(127)가 구비되고, 추진판(124)이 스프링(125)을 압축하면서 하강한 상태에서 후크(127)가 추진판 고정장치(126)에 걸림으로써 추진판(124)은 하강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The propelling device 123 includes a propelling plate 124 on which the buoy module 140 rests, a spring 125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opening 113 against the propelling plate 124,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ropulsion plate securing devices 126. A plurality of hooks 127 ar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opelling plate 124 and the hook 127 is engaged with the propelling plate fixing device 126 in a state in which the propelling plate 124 is lowered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125 The propelling plate 124 can be fixed in a lowered state.

추진판 고정장치(126)는 몸체(128)와 몸체(128)에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돌기(129)를 갖는다. 고정돌기(129)는 몸체(128) 밖으로 전진하여 후크(127)에 접촉함으로써 후크(127)를 고정하고, 몸체(128) 안으로 후퇴하여 후크(127)로부터 벗어난다. 후크(127)가 덮개 고정장치(119)에서 벗어나 고정 해제되면 추진판(124)은 스프링(125)의 탄성력을 받아 개방구(113) 쪽으로 추진되어 그 위에 놓인 부이 모듈(140)을 보호 케이스(111)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추진판 고정장치(126)로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 진퇴 가능한 고정돌기를 갖는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The thrust plate fixing device 126 has a fixing protrusion 129 which is movably engaged with the body 128 and the body 128. The fixing protrusion 129 is advanced out of the body 128 and contacts the hook 127 to fix the hook 127 and retract into the body 128 to escape from the hook 127. When the hook 127 is released from the lid securing device 119 and then released from the lid securing device 119, the propelling plate 124 is urged toward the opening 11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5 to move the buoy module 140, 111). As the propelling plate fixing device 126, various devices having fixing protrusions that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such as solenoid valves, may be used.

추진장치(123)는 부이 모듈(140)을 보호 케이스(111)의 외측으로 추진시킴으로써 부이 모듈(140)이 더욱 신속하게 부상할 수 있도록 하고, 부이 모듈(140)이 보호 케이스(111)나 그 밖의 선체 고정물에 걸리는 위험을 줄여준다. 추진장치(123)로는 상술한 것 이외에 부이 모듈(140)을 선체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The propulsion unit 123 allows the buoy module 140 to float more quickly by propelling the buoy module 140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111 and allows the buoy module 140 to move to the protective case 111, It reduces the risk of hull fixture outside. As the propulsion unit 123, various devices capable of pushing the buoy module 140 outwardly of the hull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수압센서(130)는 보호 케이스(111)의 외부에 설치되며, 선박(10)이 침몰하여 선체(11)가 수중에 잠길 때 수압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제어장치(131)에 전송한다. 제어장치(131)는 수압센서(130)의 신호를 제공받아 덮개(114)의 개방, 추진판(124)의 추진 동작 등을 제어함으로써, 선박(10)이 침몰할 때 부이 모듈(140)이 보호 케이스(111)로부터 원활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한다. 수압센서(130)는 선박(10)의 침몰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침몰감지장치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침몰감지장치로 수위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ater pressure sensor 130 is installed outside the protective case 111 and detects a water pressure when the ship 10 sinks and the watercraft 11 is locked in water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131. The control unit 131 controls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lid 114 and the propelling operation of the propelling plate 124 by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hydraulic pressure sensor 130 so that the buoy module 140 So that it can be smoothly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case 111. The water pressure sensor 130 may be changed to another sinking sensing device capable of sensing when the ship 10 sinks. Other sinking sensors may be used, such as level sensors.

이 밖에 보호 케이스(111)에는 수동작동버튼(133), 외부 연결단자(134), 내부 연결단자(135)가 설치된다. 수동작동버튼(133)은 덮개 고정장치(119), 추진판 고정장치(126) 등의 동작을 조난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외부 연결단자(134)는 전원공급용 케이블이나 검사용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선을 통해 제어장치(131), 수압센서(130), 내부 연결단자(135), 덮개 고정장치(119), 추진판 고정장치(126), 배터리(132) 등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case 111 is provided with a manual operation button 133,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4, and an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135. The manual operation button 133 is for enabling the victim to manually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lid fixing device 119, the propelling plate fixing device 126, and the like.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4 is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cable or the inspection cable and includes a control device 131, a hydraulic pressure sensor 130, an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135, a lid fixing device 119, A thrust plate fixing device 126, a battery 132, and the like.

외부 연결단자(134)에 전원공급용 케이블을 연결하면 고정 모듈(110)의 배터리(132)나 부이 모듈(140)의 배터리(145)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연결단자(134)에 검사용 케이블을 연결하여 고정 모듈(110)의 배터리(132)나 부이 모듈(140)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배터리(132)(145)가 양호한 충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연결단자(134)를 이용하면 덮개 고정장치(119), 추진판 고정장치(126), 부이 모듈(140) 등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장치가 정상 상태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문제가 생긴 부분에 대한 교체나 수리가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When the power supply cabl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4, the battery 132 of the fixed module 110 and the battery 145 of the buoy module 140 can be charged. The check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4 to check the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132 or the buoy module 140 of the fixing module 110 so that the battery 132 and 145 maintain a good charging state . Als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4 can be used to diagnose conditions of the lid fixing device 119, the propulsion plate fixing device 126, the buoy module 140, and the like. Therefore, it can be easily ascertained whether the various devices are in a normal state or not, and management can be performed so that replacement or repair of a problematic part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내부 연결단자(135)는 부이 모듈(140)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추진판(124)에 놓이는 부이 모듈(140)의 접속단자(155)는 추진판(124)에 형성된 구멍(136)을 통해 내부 연결단자(135)에 연결될 수 있다. 부이 모듈(140)이 내부 연결단자(135)에 연결되면 부이 모듈(140)이 보호 케이스(111)에 수납된 상태에서 부이 모듈(140)의 배터리(145)를 충전할 수 있고, 외부에서 부이 모듈(140)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The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135 is for connection with the buoy module 140. The connection terminal 155 of the buoy module 140 placed on the propelling board 124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135 through the hole 136 formed in the propelling board 124. When the buoy module 140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135, the buoy module 140 can be charged in the buoy module 140 while the buoy module 140 is housed in the protective case 111, The status of the module 140 can be checked.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부이 모듈(140)은 방수 케이스(141), 방수 케이스(141)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상체(142) 및 베이스(143), 베이스(143)에 결합되는 각종 신호 발생기와 GPS 수신기(144) 및 배터리(145), 부이 모듈(1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46), 방수 케이스(141)의 외부에 설치되는 수압센서(147)를 포함한다. 신호 발생기로는 적외선신호장치(148), 무선통신장치(149), 사이렌(150), 비상등(151), 연막장치(152)가 있다. 제어장치(146)는 베이스(143)의 상면이나 베이스(143) 내부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2 to 4, the buoy module 140 includes a waterproof case 141, a floating body 142 disposed inside the waterproof case 141, and a base 143. A control device 146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and the GPS receiver 144 and the battery 145 and the buoy module 140 and a water pressure sensor 147 provided outside the waterproof case 141. The signal generator includes an infrared signal device 148,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49, a siren 150, an emergency light 151, and a smoke filming device 152. The control device 146 may be embed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43 or in the base 143.

방수 케이스(141)는 각종 신호 발생기와 GPS 수신기(144) 및 배터리(145)를 보호한다. 방수 케이스(141)의 외부에는 연결버튼(154)이 설치된다. 연결버튼(154)은 물에 빠진 조난자가 무선통신장치(149)와 연결된 송수화장치(153)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조난자는 연결버튼(154)을 조작하여 송수화장치(153)와 무선통신장치(149)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The waterproof case 141 protects various signal generators, the GPS receiver 144, and the battery 145. A connection button 154 is provided outside the waterproof case 141. The connection button 154 is for allowing a victim who has fallen into the water to use the water supply device 153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49. The distressing person can operate the connection button 154 to operate the water supply device 153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49. [

부상체(142)는 가벼워 수면 위로 뜰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베이스(143)를 떠받친다. 베이스(143)는 GPS 수신기(144), 배터리(145), 적외선신호장치(148), 무선통신장치(149), 사이렌(150), 비상등(151), 연막장치(152), 송수화장치(153)를 지지한다. GPS 수신기(144), 적외선신호장치(148), 무선통신장치(149), 사이렌(150), 비상등(151), 연막장치(152), 송수화장치(153) 각각은 제어장치(146) 및 배터리(1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터리(14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The floating body 142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lighter and can float above the water surface, and supports the base 143. The base 143 includes a GPS receiver 144, a battery 145, an infrared signal device 148,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49, a siren 150, an emergency light 151, a smoke film device 152, 153). The GPS receiver 144, the infrared signal device 148,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49, the siren 150, the emergency light 151, the smoke film device 152, and the wat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45, and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145 and operates.

고정 모듈(110)의 내부 연결단자(135)와 연결되는 접속단자(155)는 베이스(143)의 하면에 결합되고 부상체(142)를 관통하여 방수 케이스(14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접속단자(155)는 내부 연결단자(135)로부터 분리될 때 그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자동으로 닫힐 수 있는 방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The connection terminal 155 connected to the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135 of the fixing module 11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43 and protrude outside the waterproof case 141 through the floating body 142 . The connection terminal 155 may have a waterproof structure that can be closed automatically to prevent water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155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155 is separated from the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135.

제어장치(146)는 수압센서(147)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를 통해 부이 모듈(140)의 위치를 판단하고, 적외선신호장치(148), 무선통신장치(149), 사이렌(150), 비상등(151), 연막장치(152)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부이 모듈(140)의 접속단자(155)가 고정 모듈(110)의 내부 연결단자(135)에 연결될 때, 부이 모듈(140)의 제어장치(146)와 고정 모듈(110)의 제어장치(131)는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부이 모듈(140)의 제어장치(146)는 고정 모듈(110)의 제어장치(131)로부터 고정 모듈(110)의 작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46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buoy module 140 through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water pressure sensor 147 and controls the infrared signal device 148,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49, the siren 150, 151, the smoke filming device 152, and the like.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155 of the buoy module 140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135 of the fixing module 110, the control unit 146 of the buoy module 140 and the control unit 131 of the fixing module 110 And the control unit 146 of the buoy module 14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stationary module 110 from the control unit 131 of the stationary module 110. [

보호 케이스(111)에 수납된 상태로 수중에 잠겼던 부이 모듈(140)이 보호 케이스(111)에서 이탈하여 수면 위로 떠오를 때, 수압센서(147)의 압력 변화가 발생하게 되며, 제어장치(146)는 수압센서(147)의 압력 변화로부터 부이 모듈(140)이 수면 위로 떠올랐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146)는 GPS 수신기(144)로부터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적외선신호장치(148), 무선통신장치(149), 사이렌(150), 비상등(151), 연막장치(152)를 작동시킨다. 수압센서(147)는 부이 모듈(140)이 수면 위로 떠오를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 부상감지장치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부상감지장치로는 수위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A pressure change of the water pressure sensor 147 occurs when the buoy module 140 that has been stored in the protective case 111 is lifted from the protective case 111 and floated over the water surfa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uoy module 140 has floated above the water surface from the pressure change of the water pressure sensor 147. The control device 146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receiver 144 and operates the infrared signal device 148,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49, the siren 150, the emergency light 151, and the smoke film device 152 . The water pressure sensor 147 may be changed to another float detec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when the buoy module 140 floats above the water surface. A water level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as other float detection devices.

부이 모듈(140)이 보호 케이스(111)에서 이탈하더라도 부이 모듈(140)과 고정 모듈(110)은 와이어(160)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와이어(160)의 일단은 방수 케이스(141)의 외면 일측에 구비된 와이어 고정부재(161)에 결합되고, 와이어(160)의 타단은 보호 케이스(111)의 내면에 구비되는 와이어 고정부재(162)에 결합된다. 와이어(160)는 보호 케이스(111) 내부의 부이 모듈(140) 둘레 또는 부이 모듈(140) 옆쪽에 말려 보관될 수 있다. 와이어(160)를 금속선에 피복이 코팅된 구조로 할 경우, 와이어(160)를 전원선이나 통신선 등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The buoy module 140 and the fixed module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wire 160 even if the buoy module 140 is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case 111. [ One end of the wire 160 is coupled to a wire fixing member 16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proof case 141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160 is connected to a wire fixing member 162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111 ). The wire 160 may be held around the buoy module 140 inside the protective case 111 or on the side of the buoy module 140. When the wire 160 is coated with a coating of a metal wire, the wire 160 may be used as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an electric signal such as a power line or a communication line.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hip's distress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선박(10)이 침몰하여 수중에 잠길 때, 보호 케이스(111)에 설치된 수압센서(130)는 검출한 압력을 제어장치(131)로 전송한다. 제어장치(131)는 수압센서(130)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으면서 수압센서(130)의 압력이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선박(10)이 침몰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덮개 고정장치(119)를 작동시켜 덮개(114)를 고정 해제시키고 추진판 고정장치(126)를 작동시켜 추진판(124)을 고정 해제시킨다.The water pressure sensor 130 provided in the protective case 111 transmits the detected pressure to the control device 131 when the ship 10 sinks and is submerged. The control device 131 determines that the ship 10 is sinking when the pressure of the hydraulic pressure sensor 130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while receiving a signal from the hydraulic pressure sensor 130 and operates the lid fixing device 119, (114) and actuates the thrust plate securing device (126) to release the thrust plate (124).

이때,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덮개(114)가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보호 케이스(111)의 개방구(113)가 개방되고, 추진판(124)이 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구(113) 쪽으로 움직이면서 부이 모듈(140)을 개방구(113) 쪽으로 추진시킨다. 부이 모듈(140)은 그 접속단자(155)가 내부 연결단자(135)로부터 분리되고 개방구(113)를 통해 보호 케이스(111)를 벗어나 수면 위로 부상한다.5, the cover 114 is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16 so that the opening 113 of the protective case 111 is opened and the propelling plate 124 is rotated by the spring 125. As a result, So that the buoy module 140 is propelled toward the opening 113 by moving toward the opening 11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uoy module 140. The connection terminal 155 of the buoy module 140 is separated from the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135 and is lifted from the protection case 111 through the opening 113 out of the protective case 111 to the surface of the water.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면 위로 부상한 부이 모듈(140)은 적외선신호장치(148), 무선통신장치(149), 사이렌(150), 비상등(151), 연막장치(152)를 작동시킴으로써 조난신호를 발생한다. 조난자는 수면 위로 떠오른 부이 모듈(140)에 매달려 몸을 지탱할 수 있고, 방수 케이스(141) 외부로 노출된 연결버튼(154)을 조작하여 송수화장치(153)를 이용할 수 있다.6, the buoy module 140 floated above the water surface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infrared signal device 148,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49, the siren 150, the emergency light 151, and the smoke film device 152 Generate a distress signal. The victim can stand on the buoy module 140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nd can use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153 by operating the connection button 154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proof case 141.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의 부이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distress signal generator for a 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distress signal generator for a 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uoy module of a distress signal generator for a 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에 도시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2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100)와 대부분의 구성이 같고, 다만 부이 모듈(210)의 구조가 다소 변경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hip's distress signal generator 200 shown in FIG. 7 has most of the same structure as the ship's distress signal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structure of the buoy module 210 is somewhat changed will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ship's distress signal generato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ship's distress signal generator 100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200)의 부이 모듈(210)은 가요성 방수 케이스(211), 가요성 방수 케이스(211) 내부에 수용되는 베이스(143), GPS 수신기(144), 배터리(145), 적외선신호장치(148), 무선통신장치(149), 사이렌(150), 비상등(151), 인플레이터(213), 부이 모듈(210)의 전반적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46), 가요성 방수 케이스(211)의 외부에 설치되는 수압센서(147)를 포함한다. 베이스(143)는 가요성 방수 케이스(211)의 하부쪽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The buoy module 210 of the apparatus 200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waterproof case 211, a base 143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waterproof case 211, a GPS receiver 144, the battery 145, the infrared signal device 148,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49, the siren 150, the emergency light 151, the inflator 213, the buoy module 210, An apparatus 146, and a water pressure sensor 147 installed outside the flexible waterproof case 211. [ The base 143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waterproof case 211.

가요성 방수 케이스(211)는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호 케이스(111)에 수용될 때는 수축하여 있다가, 보호 케이스(111)의 개방구(113)가 개방되면 팽창한다. 이러한 가요성 방수 케이스(211)의 팽창은 그 내부에 설치된 인플레이터(213)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flexible waterproof case 211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apable of shrinking and expanding and is contracted when it is accommodated in the protective case 111 and expanded when the opening 113 of the protective case 111 is opened. The flexible waterproof case 211 is inflated by the inflator 213 installed therein.

인플레이터(213)는 가스를 발생하여 가요성 방수 케이스(211)를 팽창시킨다. 인플레이터(213)로는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에 사용되는 것처럼 전기 신호에 의해 점화장치가 작동하여 화학 추진체가 폭발함으로써 가스를 발생할 수 있는 장치 등 가스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The inflator 213 generates gas to inflate the flexible waterproof case 211. As the inflator 213, various devices capable of generating a gas such as a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gas by exploding a chemical propellant by operating an ignition device by an electric signal as used in an airbag module of an automobile can be used.

인플레이터(213)는 덮개(114)가 회전하여 보호 케이스(111)의 개방구(113)를 개방할 때 작동한다. 내부 연결단자(135)와 접속단자(155)의 연결을 통해 고정 모듈(110)의 제어장치(131)와 부이 모듈(210)의 제어장치(146)는 서로 연결되므로, 보호 케이스(111)의 개방구(113)가 개방될 때의 신호가 부이 모듈(210)의 제어장치(146)로 전송될 수 있다. 부이 모듈(210)의 제어장치(146)는 접속단자(155)가 내부 연결단자(135)에서 분리되기 전에 이 신호를 수신하여 인플레이터(213)를 작동시킴으로써, 보호 케이스(111)가 개방됨과 동시에 가요성 방수 케이스(211)를 팽창시킬 수 있다.The inflator 213 operates when the lid 114 rotates to open the opening 113 of the protective case 111. The control unit 131 of the fixing module 110 and the control unit 146 of the buoy module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135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55, A signal when the opening 113 is opened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46 of the buoy module 210. [ The control device 146 of the buoy module 210 receives the signal before activating the inflator 213 before the connection terminal 155 is disconnected from the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135 so that the protection case 111 is opened The flexible waterproof case 211 can be inflated.

선박(10)의 침몰시 가요성 방수 케이스(211)는 보호 케이스(111)에서 이탈하여 수면 위로 떠오르는 동안 완전히 팽창할 수 있다. 가요성 방수 케이스(211)가 수면 위에 떠오르면, 제어장치(146)는 적외선신호장치(148), 무선통신장치(149), 사이렌(150), 비상등(151), 송수화장치(153)를 작동시켜 조난신호를 발생시킨다.When the ship 10 sinks, the flexible waterproof case 211 can be completely inflated while being lifted from the protective case 111 and rising above the water surface. When the flexible waterproof case 211 floats on the water surface, the control device 146 operates the infrared signal device 148,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49, the siren 150, the emergency light 151, and the transmitter / To generate a distress signal.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200)는 부이 모듈(210)의 부피를 줄여 보호 케이스(111)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보호 케이스(111) 내에서의 와이어 수납공간 확보에 유리하고, 보호 케이스(111)의 크기를 줄여 선체(11)에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200)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Since the ship's distress signal generato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volume of the buoy module 210 and store the buoy module 210 in the protective case 111, And the size of the protective case 111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ship's distress signal generator 200 in the ship 11.

상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덮개(114)의 개폐 구조 등 고정 모듈(110)의 구체적인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부이 모듈(140)(210)의 구체적인 구조나, 부이 모듈(140)(210)이 선체(11)에 이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부이 모듈(140)(210)은 보호 케이스(111)의 내부에 수용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선체(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이 모듈(2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선체(11)로부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탈할 수 있도록 선체(11)에 결합될 수 있다.In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for 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fixing module 110, such as the opening / closing structure of the cover 114, may be variously changed.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buoy modules 140 and 210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buoy modules 140 and 210 are detachably fixed to the hull 11 may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the buoy modules 140 and 210 may be fixed to the hull 11 without being accommodated in the protective case 111 and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buoy module 210 can be coupled to the hull 11 so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removed from the hull 11 in a variety of ways.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100, 200 : 조난신호 발생장치 110 : 고정 모듈
111 : 보호 케이스 112 : 수용실
113 : 개방구 114 : 덮개
116, 125 : 스프링 118, 127 : 후크
119 : 덮개 고정장치 123 : 추진장치
124 : 추진판 126 : 추진판 고정장치
130, 147 : 수압센서 131, 146 : 제어장치
132, 145 : 배터리 133 : 수동작동버튼
134 : 외부 연결단자 135 : 내부 연결단자
140, 210 : 부이 모듈 141 : 방수 케이스
142 : 부상체 143 : 베이스
144 : GPS 수신기 148 : 적외선신호장치
149 : 무선통신장치 150 : 사이렌
151 : 비상등 152 : 연막장치
153 : 송수화장치 160 : 와이어
211 : 가요성 방수 케이스 213 : 인플레이터
100, 200: distress signal generator 110: fixed module
111: Protective case 112: Storage room
113: opening 114: cover
116, 125: spring 118, 127: hook
119: lid fixing device 123: propulsion device
124: propelling plate 126: propelling plate fixing device
130, 147: hydraulic pressure sensor 131, 146: control device
132, 145: Battery 133: Manual operation button
134: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5: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140, 210: Buoy module 141: Waterproof case
142: floating body 143: base
144: GPS receiver 148: Infrared signal device
14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50: Siren
151: Emergency light 152: Smoke film device
153: a transmitter / receiver 160: a wire
211: flexible waterproof case 213: inflator

Claims (16)

선박의 선체에 고정되어 있다가 상기 선박의 침몰시 상기 선체에서 분리되어 수면 위로 뜨는 부이 모듈;
상기 선체에 고정되고 상기 부이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 및 상기 수용실과 연통하는 개방구를 갖는 보호 케이스,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보호 케이스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덮개를 고정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덮개 고정장치, 상기 덮개 고정장치가 상기 덮개를 고정 해제시킬 때 상기 덮개가 신속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에 대해 열림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을 갖는 고정 모듈; 및
상기 고정 모듈과 상기 부이 모듈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부이 모듈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방수 케이스,
상기 방수 케이스가 수면 위로 떠오를 때 조난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방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신호 발생기, 및
상기 신호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방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A buoy module fixed to the hull of the ship, separated from the hull when the ship sinks, and rising above the water surface;
A protection case fixed to the hull and having a storage chamber for accommodating the buoy module and an opening for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chamber, a cover coupled to the protection cas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 fixing module having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an opening direction to the lid so that the lid can be opened quickly when the lid fixing device releases the lid; And
And a wire connecting the fixed module and the buoy module,
The buoy module comprises:
A waterproof case connected to the wire,
A signal generator installed in the waterproof case so as to generate a distress signal when the waterproof case floats above the water surface,
And a battery installed in the waterproof case to supply power to the signal gener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침몰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침몰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침몰감지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이 모듈을 고정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inking sensing device capable of sensing when the ship sinks, wherein the sinking module receives the signal of the sinking sensing device and releases the sinking modu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침몰감지장치는 수압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inking detection device is a water pressur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을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조작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anual operation button for manually operating the fixing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tionary module comprises a battery for power supp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 모듈은 상기 개방구가 개방될 때 그 자체의 부력에 의해 상기 보호 케이스에서 이탈하여 수면 위로 떠오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oy module is detached from the protective case by the buoyancy of the buoy module when the opening is opened, and floats above the water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수용실에 수용되고, 그 일단이 상기 보호 케이스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부이 모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and 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protection case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buoy modul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기는 무선통신장치, 적외선통신장치, 사이렌, 비상등, 연막장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generator is selected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 infrared communication device, a siren, an emergency light, and a smoke film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부이 모듈을 상기 선체의 외측으로 추진시키기 위한 추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module comprises a propulsion device for propelling the buoy module to the outside of the hull.
선박의 선체에 고정되어 있다가 상기 선박의 침몰시 상기 선체에서 분리되어 수면 위로 뜨는 부이 모듈;
상기 선체에 고정되고 상기 부이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 및 상기 수용실과 연통하는 개방구를 갖는 보호 케이스,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보호 케이스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덮개를 고정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덮개 고정장치, 상기 부이 모듈을 상기 보호 케이스의 외측으로 추진시키기 위해 상기 수용실에 설치되는 추진장치를 갖는 고정 모듈; 및
상기 고정 모듈과 상기 부이 모듈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부이 모듈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방수 케이스,
상기 방수 케이스가 수면 위로 떠오를 때 조난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방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신호 발생기, 및
상기 신호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방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부이 모듈이 놓이는 추진판,
상기 추진판에 대해 상기 보호 케이스의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추진판을 고정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추진판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A buoy module fixed to the hull of the ship, separated from the hull when the ship sinks, and rising above the water surface;
A protection case fixed to the hull and having a storage chamber for accommodating the buoy module and an opening for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chamber, a cover coupled to the protection cas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a propulsion device installed in the containing chamber for propelling the buoy module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And
And a wire connecting the fixed module and the buoy module,
The buoy module comprises:
A waterproof case connected to the wire,
A signal generator installed in the waterproof case so as to generate a distress signal when the waterproof case floats above the water surface,
And a battery installed in the waterproof case to supply power to the signal generator,
The propulsion device comprises:
A propelling plate on which the buoy module is placed,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with respect to the propelling plate, and
And a propelling plat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propelling plate in a detachable man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 모듈은 상기 방수 케이스가 수면 위로 떠오를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한 부상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발생기는 상기 부상감지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oy module further comprises a float sensing device for sensing when the waterproof case rises above the water surface, and wherein the signal generator operates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float sen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외부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연결단자, 상기 외부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부이 모듈은 상기 내부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odule includes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cable, and an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Wherein the buoy module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terminal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 모듈은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oy module further comprises a GPS recei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케이스는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이 모듈은 상기 방수 케이스를 팽창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방수 케이스 내부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인플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proof cas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apable of shrinking and expanding,
Wherein the buoy module further comprises an inflator capable of supplying gas into the waterproof case so as to inflate the waterproof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금속선에 피복이 코팅된 구조로 이루어져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 has a structure in which a metal wire is coated with a coating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KR1020110034837A 2010-04-21 2011-04-14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stress signal for ship KR10125864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6853 2010-04-21
KR1020100036853 2010-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611A KR20110117611A (en) 2011-10-27
KR101258643B1 true KR101258643B1 (en) 2013-04-26

Family

ID=4503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837A KR101258643B1 (en) 2010-04-21 2011-04-14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stress signal for s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643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082B1 (en) 2015-02-27 2015-10-19 (주)금하네이벌텍 RCS reflector operating device for emergency indicating
KR101740139B1 (en) * 2015-09-17 2017-05-2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 Releasing New Danger Mark Buoy
KR101803814B1 (en) * 2016-10-27 2017-12-01 대한민국 An apparatus for location indictcating distress
WO2020182604A1 (en) * 2019-03-12 2020-09-17 Tecknisolar-Seni Device for detecting and geolocating a container that has fallen overboard
KR20220003838A (en) 2020-07-02 2022-01-11 전성호 Distress position delivery system for marine vehicles using a trolling motor as a propulsion device
KR20220007926A (en) 2020-07-13 2022-01-20 김동윤 A device that identifies the location of a sunken sh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959B1 (en) * 2013-11-11 2014-06-25 이주환 Assembling mechanism and the waterproofing structure of communication devices for maritime guarding, safety and security
CN205221033U (en) 2015-11-25 2016-05-11 杨庆勇 Automatic lay emergent sunken ship and show temperature scale
CN110494354B (en) * 2017-03-02 2021-11-26 韩国海洋大学产学合作基金会 Automatic disengaging danger marking buoy
CN108597188B (en) * 2018-06-25 2023-06-27 张雪琪 Automatic distress device for ship distress
KR102028521B1 (en) * 2019-07-09 2019-10-04 (주)한국해양기술안전 A Buoy Device for Probing Location of a Sunken Ship
KR102291522B1 (en) * 2019-09-17 2021-08-20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Ship Distress Position Notice Apparatus
KR102114276B1 (en) * 2019-10-18 2020-05-22 대한민국 led ball for life rescue
KR102537636B1 (en) * 2020-03-03 2023-05-30 미노언 주식회사 notify device of victim location with search easy
KR102576830B1 (en) * 2021-10-19 2023-09-07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for ship
KR102518792B1 (en) * 2021-10-21 2023-04-06 주식회사 공신 Emergency floating apparatus for cabin of ship
NO347359B1 (en) * 2021-12-16 2023-09-25 Resqunit As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 release of underwater equipment
KR102646169B1 (en) * 2022-02-25 2024-03-11 주식회사 오션플래닛 Location identification apparatus for sunken vessel using underwater and surface floats
CN116946307B (en) * 2023-09-21 2024-03-19 青岛国数信息科技有限公司 Automatic floating Beidou communication alarm device of sunken ship and working method of automatic floating Beidou communication alarm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3391A (en) * 1998-09-29 2000-04-11 Hitachi Zosen Corp Lifesaving buoy
KR200299797Y1 (en) * 2002-09-26 2003-01-06 김명각 A verify device sunken ship location
KR20050013463A (en) * 2003-07-28 2005-02-04 송유천 An equipment confirming final position and slaving of sunken vessel
KR20090100941A (en)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엘아이에스 An intelligent beac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3391A (en) * 1998-09-29 2000-04-11 Hitachi Zosen Corp Lifesaving buoy
KR200299797Y1 (en) * 2002-09-26 2003-01-06 김명각 A verify device sunken ship location
KR20050013463A (en) * 2003-07-28 2005-02-04 송유천 An equipment confirming final position and slaving of sunken vessel
KR20090100941A (en)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엘아이에스 An intelligent beac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082B1 (en) 2015-02-27 2015-10-19 (주)금하네이벌텍 RCS reflector operating device for emergency indicating
KR101740139B1 (en) * 2015-09-17 2017-05-2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 Releasing New Danger Mark Buoy
KR101803814B1 (en) * 2016-10-27 2017-12-01 대한민국 An apparatus for location indictcating distress
WO2020182604A1 (en) * 2019-03-12 2020-09-17 Tecknisolar-Seni Device for detecting and geolocating a container that has fallen overboard
FR3093818A1 (en) * 2019-03-12 2020-09-18 Tecknisolar-Seni device for the detection and geolocation of a container passed overboard
CN113711253A (en) * 2019-03-12 2021-11-26 海洋追踪器公司 Device for detecting and geographically locating containers that have fallen out of a ship
KR20220003838A (en) 2020-07-02 2022-01-11 전성호 Distress position delivery system for marine vehicles using a trolling motor as a propulsion device
KR20220007926A (en) 2020-07-13 2022-01-20 김동윤 A device that identifies the location of a sunken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611A (en)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643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stress signal for ship
EP2138395B1 (en) Assembly for deploying a payload from a submarine
RU2525248C2 (en) Flotation system
AU20082299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AUVs)
JP5923169B2 (en) Communication buoy and deployment method
ES2896337T3 (en) Battery pack for marine subsurface
KR101140163B1 (en) Location confirmation system for Sinking vessel
CN106114778A (en) A kind of sonar array recovery system and method
US4281427A (en) Warning and signalling device, especially for maritime purposes
EP4048584A1 (en) A system for retrieval of objects lost in water
KR100509182B1 (en) An equipment confirming final position and slaving of sunken vessel
KR101035834B1 (en) Voyage Data Recorder System for Marine
RU2309871C2 (en) Two-module submarine with emergency and rescue system and operational-tactical complex
KR102576830B1 (en)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for ship
US6968802B1 (en) Buoyant retrieval of unmanned seawater vehicles
RU11533U1 (en) UNIVERSAL RESCUE MODULE
KR20110010104U (en) apparatus of auto buoy in ship
KR20170077477A (en) Apparatus of distress cognition for ship
KR20150125363A (en) live type air pocket line system
RU2235039C2 (en) Method of rescue of crew from sunken ship and hoisting and towing this ship
Waniek Cruise report RV Poseidon Cruise No. 459 [POS459], from 18.09. 2013 to 02.10. 2013, Vigo (Spain)-Funchal (Portug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