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977B1 - Gesture based collabo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 Google Patents

Gesture based collabo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977B1
KR101255977B1 KR1020110081995A KR20110081995A KR101255977B1 KR 101255977 B1 KR101255977 B1 KR 101255977B1 KR 1020110081995 A KR1020110081995 A KR 1020110081995A KR 20110081995 A KR20110081995 A KR 20110081995A KR 101255977 B1 KR101255977 B1 KR 101255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site
gesture
constructio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9798A (en
Inventor
이강
원종성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977B1/en
Publication of KR20130019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7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9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100)은 건축물에 대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저장되는 설계정보 저장부(110), 설계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의 위치정보에 맵핑된 건설현장정보가 저장되는 건설현장정보 저장부(120), 건설현장정보의 종류에 따른 입력 제스처가 매핑되어 있는 제스처 정의부(130), 설계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원하는 건설현장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50)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한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에 입력한 제스처와 제스처 정의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매핑하여 제스처가 나타내는 건설현장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은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 없이 제스처와 화면의 터치만으로 건설현장의 업무조율회의를 지원할 수 있고, 회의시 토의되었던 지시사항이나 사진, 공정, 담당자 등의 다차원 정보를 자동적으로 관련 도면이나 모델 등에 연동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언어적인 한계점과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해외시장에서의 활용도 가능하다.
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in which a 2D drawing or a 3D model of a building is stored, and a 2D drawing or 3D model stored in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stores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mapped to location information, gesture definition unit 130 to which input gestures are mapp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2D stored in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A drawing or a 3D model is displayed, and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display unit 150 displaying the desired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by receiving one or more of a user's touch input or gesture, and dete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input. The controller 150 maps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to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gesture defining unit 130 to display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gesture on the display unit 150. Includes a controller 140.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work coordination meeting of the construction site only by touching the gesture and the screen without the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such as instructions, photos, processes, personnel in charge during the meeting Can be automatically linked to related drawings or models, saving time and money. It can also be used in foreign markets because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linguistic limitations.

Figure R1020110081995
Figure R1020110081995

Description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GESTURE BASED COLLABO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Gesture 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GESTURE BASED COLLABO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건설현장의 정보 디스플레이하면서 회의를 수행하기 위한 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위치 기반 건설현장정보를 사용자의 제스처를 통해 편리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aboration system for performing a meeting while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at the construction sit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for conveniently displaying the location-based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through the user's gesture.

국내외 건설현장에서 참여주체 간의 업무조율 등의 협업을 위하여 가장 널리 활용되는 방법은 출력된 도면을 중심으로 회의하고, 기록하는 것이다.The most widely used method for the coordination of work among participants in domestic and overseas construction sites is the meeting and recording based on the printed drawings.

서류를 이용한 회의의 불편함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 대형 화면을 이용한 인터액티브 지원 시스템이 개발되었는데, I-Room(interactive room), CAVE(Cave Automatic Virtual Environment), 쌍용건설의 BIM 공사관리 통합시스템, iTWO 등 대표적이다.In order to alleviate the inconvenience of meetings using paper documents, an interactive support system using a large screen was developed. I-Room (interactive room), CAVE (Cave Automatic Virtual Environment), Ssangyong E & C's BIM construction management integrated system, iTWO is representative.

I-Room은 참여주체들이 건축물 모델이나 도면, 변경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지만, 회의 중 도면이나 관련 정보를 확인하려면, 폴더를 찾아 열어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진행이 중단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CAVE는 고가의 장비와 어려운 주변 환경을 필요로 하고, 원활한 협업보다는 몰입환경(emersive environment) 제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쌍용건설에서 개발된 시스템이나 iTWO는 건설현장에서의 협업을 지원하기보다는 시공단계의 공정이나 비용과 관련 있는 BIM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데 불과하다.I-Room allows participants to check and update building models, drawings, and changes in real time, but to check drawings and related information during a meeting, it is necessary to find and open folders to check the process. have. CAVE requires expensive equipment and difficult surroundings, and focuses on providing an immersive environment rather than seamless collaboration. The system or iTWO developed by Ssangyong E & C does not support collaboration on the construction site, but merely stores and manages BIM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struction process or cost.

특히, 공통적으로 회의시 조율된 정보들과 BIM 모델, 기존의 정보들과의 연동이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업무프로세스와 회의, 회의후속조치 등이 별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의 후에 담당자가 별도의 회의록을 정리해야 하는 등 불필요한 업무의 증가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coordinator of the information coordinated during the meeting, BIM model, and existing information does not work quickly and automatically, and since the work process, meeting, and follow-up measures are performed separately, the person in charge after the meeting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unnecessary work increase such as the need to organize meeting minutes.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사용자의 제스처를 터치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하여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현장정보를 이용한 회의를 수행하고자 한다.First, a user's gesture is input to a display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to perform a meeting using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used in the field.

둘째, 2D 도면 또는 3D 모델의 특정 위치를 한 손으로 터치하고, 특정한 제스처를 입력하면 해당 위치에 따른 건설현장정보 중 제스처가 나타내는 건설현장정보를 이용한 회의를 수행하고자 한다.Second, if a user touches a specific location of a 2D drawing or 3D model with one hand and inputs a specific gesture, a meeting using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gesture is performed.

셋째,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표시되는 건설현장정보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의 담당자 등이 회의를 원활하게 진행하여 효율적인 건설현장 관리 및 시공을 수행하고자 한다.Third, by using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site proceeds smoothly to perform efficient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and construction.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은 건축물에 대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저장되는 설계정보 저장부, 설계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의 위치정보에 맵핑된 건설현장정보가 저장되는 건설현장정보 저장부, 설계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원하는 건설현장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건설현장정보의 종류에 따른 입력 제스처가 저장되어 있는 제스처 정의부 및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한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입력한 제스처와 제스처 정의부에 저장된 정보를 매핑하여 제스처가 나타내는 건설현장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includes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mapped to location information in a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2D drawings or 3D models of buildings, 2D drawings or 3D models stored in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s, and the like. 2D drawings or 3D models stored in the stored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is displayed,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sired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by receiving one or more of a user's touch input or gesture, types of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The gesture definition unit in which the input gesture is stored and the display unit detect the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input, and the gesture indicated by mapping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to the display unit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gesture defini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sit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정보는 현장 사진, 도면, 담당자 메모 텍스트, 자재 정보, 공사일정, 공사비용 또는 담당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site photo, drawings, staff memo text, material information, construction schedule, construction cost or personnel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 특정 위치를 터치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input by touching a specific position in the 2D drawing or 3D model displayed on the display.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정보는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특정 제스처를 입력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selected by inputting a specific gesture to the display unit in a state of touching a specific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가 나타내는 건설현장정보를 건설현장 담당자의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건설현장정보 및 회의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mee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dicated by a gesture input by a user to a terminal of a construction site manager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은 사용자가 회의정보를 입력하는 회의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회의정보를 위치정보에 연동하여 회의정보를 건설현장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eeting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meeting information by the user, and the controller stores the meeting information 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by interlocking the meeting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do.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은 건축물에 대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저장되는 설계정보 저장부, 시공 중인 건축물의 각 공사위치에 배치되며, 각 공사위치의 위치정보가 저장된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 공사위치의 건설현장정보 및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의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무선 단말기, 무선 단말기에 입력된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의 위치정보와 설계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 공사위치의 위치 값이 매핑되는 공사위치 매핑부, 공사위치 매핑부에서 매핑된 위치에 무선 단말기에 입력된 건설현장정보가 연동되어 저장되는 건설현장정보 저장부, 설계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원하는 건설현장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건설현장정보의 종류에 따른 입력 제스처가 저장되어 있는 제스처 정의부 및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한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입력한 제스처와 제스처 정의부에 저장된 정보를 매핑하여 제스처가 나타내는 건설현장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2D drawings or 3D models for the building, is disposed at each construction location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construction location 2D drawing or 3D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esign information storage of the location code storage means,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age mean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esign information storage means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age means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where the location value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is mapped in the model,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is stored in the location mapped by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and 2D stored in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A drawing or 3D model is displayed and receives the desired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by receiving one or more of a user's touch input or gesture. The display unit det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input, and the gesture definition unit in which the input ges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gesture and gesture definition unit input by the user to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map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isplay to display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gesture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른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은 공사위치의 좌표값을 저장하는 출력물 형태의 공사위치 좌표 태그 또는 공사위치의 좌표값을 저장하는 전자소자 형태의 센서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sensor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device for storing the coordinates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coordinate tag of the output form for stor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키패드, 터치 패널,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고, 장치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정보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및 카메라, 스캐너, RFID 수신기 또는 NFC 수신기 중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는 공사위치코드 인식부를 포함한다.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device of a keypad, a touch panel, a microphone, or a camera, and a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using the device and at least one device of a camera, a scanner, an RFID receiver, or an NFC receiver. It includes a construction location code recogni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은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 없이 제스처와 화면의 터치만으로 건설현장의 업무조율회의를 지원할 수 있고, 회의시 토의되었던 지시사항이나 사진, 공정, 담당자 등의 다차원 정보를 자동적으로 관련 도면이나 모델 등에 연동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언어적인 한계점과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해외시장에서의 활용도 가능하다.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work coordination meeting of the construction site only by touching the gesture and the screen without the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such as instructions, photos, processes, personnel in charge during the meeting Can be automatically linked to related drawings or models, saving time and money. It can also be used in foreign markets because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linguistic limitations.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은 1) 시각적/직관적 정보표현으로 건설현장에서 참여자 간의 의사소통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2) 회의시 조율된 내용(지시사항, 공정 자재정보 등)과 건축물 도면이나 모델 간의 자동 연동 저장을 통해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되며, 3) 노무자에게 업무 전달 회의시에 사용 가능한 교육 시스템으로의 활용할 수 있고, 나아가 4) 발주처나 입주자에게 이미지 마케팅을 위한 홍보시스템으로의 활용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ncreases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between participants in the construction site by visual / intuitive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and 2) coordinated content (instructions, process materials information, etc.) Work process is improved through automatic linkage between building drawings and models. 3) It can be used as a training system that can be used at work delivery meetings to laborers, and 4) as a promotional system for image marketing to clients or tenants. It can also be us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의 일 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3D 모델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하고 제스처를 입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스처 정의부부에 매핑되는 건설현장정보와 제스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스처 및 제스처에 대응되는 건설현장정보를 표시한 일 예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위치기반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 및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의 다른 일 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위치기반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에서 건설현장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a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n example of selecting a specific position and inputting a gesture in the 3D mode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example of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a gesture mapped to the gesture defin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displaying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and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and data flow of the location-based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FIG.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a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llecting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 the location-based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but merely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Only used a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an," and "the" ar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there is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100, 2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100, 200).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100)에 따른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도 1과는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o be clear that the division of the compon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divided by the main function of each component.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provided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func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of the components,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of the components are different. Of course, it may be carried out exclusively by. Therefo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component describ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functionally, and for this reas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lear that it may be different from FIG. 1 to the extent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100)의 일 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100)은 건축물에 대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저장되는 설계정보 저장부(110), 설계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의 위치정보에 맵핑된 건설현장정보가 저장되는 건설현장정보 저장부(120), 건설현장정보의 종류에 따른 입력 제스처가 매핑되어 있는 제스처 정의부(130), 설계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원하는 건설현장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50)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한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에 입력한 제스처와 제스처 정의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매핑하여 제스처가 나타내는 건설현장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in which a 2D drawing or a 3D model of a building is stored, and a 2D drawing or 3D model stored in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stores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mapped to location information, gesture definition unit 130 to which input gestures are mapp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2D stored in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A drawing or a 3D model is displayed, and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display unit 150 displaying the desired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by receiving one or more of a user's touch input or gesture, and dete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input. The controller 150 maps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to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gesture defining unit 130 to display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gesture on the display unit 150. Includes a controller 14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설계정보 저장부(110) 및 건설현장정보 저장부(120)는 하나의 서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설계정보 저장부(110) 및 건설현장정보 저장부(120)가 포함된 블록은 건설현장관리 서버라고 명명하였다.As shown in FIG. 1,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and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are preferably included in one server. In FIG. 1, a block including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and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is named a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erver.

한편 본 발명에서 건설현장의 정보를 바탕으로 건설현장 회의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을 협업시스템이라고 명명하였다. 제스처 정의부(130), 디스플레이부(150), 제어부(140), 회의정보 입력부(170)는 협업시스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used at the construction site meeting based o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s called a collaboration system. The gesture defining unit 130, the display unit 150,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meeting information input unit 170 may be included in the collaboration system.

설계정보 저장부(110)(130)는 기본적으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3D 모델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 정보와 같은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건설현장정보 저장부(120)에는 각 공사위치 또는 부재별로 건설현장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된다.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and 130 basically stores a 2D drawing or a 3D model. The 3D mode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data such as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location or member.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사위치란 명칭은 시공 중인 건출물 또는 기타 시설물의 특정 위치를 말한다. 예들 들어, 건물 5층 10호의 화장실의 좌측벽 등 구체적인 위치를 의미한다.The construction loca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pecific location of a building or other facility under construction. For example, it means a specific position such as the left wall of the toilet of the fifth floor 10 of the building.

공사위치는 특정한 넓이의 구역이 될 수도 있지만, 건축물에서 시공되는 구역이 기능적 역할이 다르다면, 각 구역의 기능에 따라 공사위치를 분할할 수도 있다. 또는 시공되는 자재의 동일성 내지 연관성 여부에 따라 공사위치를 나눌 수도 있다. 예컨대, 아파트 1층 현관, 1층 로비, 1층 내벽 A구역 등 다양한 공사위치로 나눌 수 있다.The construction location may be a certain area of area, but if the area constructed in the building has a different functional role, it may be divid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each area. Alternatively, the construction location may be divided according to the identity or relevance of the materials to be constructed. For example, it can be divided into various construction locations such as the entrance of the first floor of the apartment, the lobby of the first floor, and the inner wall A zone of the first floor.

건설현장정보는 현장 사진, 도면, 담당자 메모 텍스트, 자재 정보, 공사일정, 공사비용 또는 담당자 정보 등이 포함된다. 즉 공사위치별로 현장 사진, 도면, 자재 정보 등이 사전에 건설현장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cludes site photos, drawings, staff memo texts, material information, construction schedules, construction costs or staff information. That is, the site photos, drawings, material information, etc. for each construction location are stored 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in advance.

위치정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에서 표시되는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 특정 위치를 터치하여 입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50)에서 표시되는 3D 모델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하고 제스처를 입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by a user touching a specific location in the 2D drawing or 3D mode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2 illustrates an example of selecting a specific position and inputting a gesture in the 3D mode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현장에서 담당자들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사항 및 3D 도면을 보고 회의를 진행하던 중(도 2 좌측) 현장을 설명하던 담당자가 3D 도면에서 특정 벽면을 왼손으로 터치하여 위치정보를 입력하고, 오른손으로 삼각형 모양의 제스처를 입력하면(도 2 우측) 제스처가 지정하는 건설현장정보가 표시된다. 도 2에서는 건설현장정보가 표시되는 장면까지 도시하지는 않았고, 특정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화면 및 제스처를 입력하는 화면만 도시한다.As shown in FIG. 2, the person in charge at the construction site, while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site during the meeting while viewing the matter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3D drawing (left of FIG. 2), touches a specific wall surface with the left hand in the 3D drawing. Input the location information by touching, and input the triangle-shaped gesture with the right hand (right side of Fig. 2),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gesture is displayed. In FIG. 2, not even a scene in which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s displayed, only a screen for inputting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and a screen for inputting a gesture are shown.

도 3은 본 발명의 제스처 정의부(130)부에 매핑되는 건설현장정보와 제스처의 일 예를 도시한다.3 illustrates an example of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a gesture mapped to the gesture defining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테이블은 본 발명의 일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삼각형(△) 제스처는 도면을 나타내고, 원형 제스처(○)는 사진을 나타내며, 사각형 제스처(□)는 담당자가 기재한 메모를 나타낸다. 기타 자재 정보, 공사일정, 공사비용 및 담당자 정보를 나타내는 제스처가 각각 다르다. 물론 도 3에 도시한 건설현장정보 외에 다른 정보들도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고, 각 정보에 별도의 제스처를 지정할 수 있다.The table shown in FIG. 3 corresponds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iangle (△) gesture indicates a drawing, a circular gesture (○) indicates a picture, and a square gesture (□) indicates a memo described by a person in charge. . Gestures representing other material information, construction schedule, construction cost, and person in charge are different.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hown in Figure 3 other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table, each gesture can be assigned a separate gesture.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멀티 터치 기술을 사용하여 한 손으로 특정 위치를 선택하고, 다른 손으로 제스처를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건설현장정보는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0)에 특정 제스처를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Although various methods are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uses a multi-touch technique to select a specific position with one hand and input a gesture with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may be selected by inputting a specific gesture to the display unit 150 while the user touches a specific location.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스처 및 제스처에 대응되는 건설현장정보를 표시한 일 예이다. 도 4(a)부터 도 4(d)는 각각의 제스처에 다른 건설현장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4(a)부터 도 4(d)는 차례대로 삼각형 제스처에 따른 도면, 원형 제스처에 따른 사진, 사각형 제스처에 따른 메모 및 S형 제스처에 따른 공정 정보를 도시한다.4 is an example of displaying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and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4 (a) to 4 (d) show screens on which different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s displayed for each gesture. 4 (a) to 4 (d) sequentially show a drawing according to a triangular gesture, a picture according to a circular gesture, a memo according to a square gesture, and pro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S-shaped gesture.

본 발명의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에 입력한 위치정보에 추가적인 건설현장정보를 자동으로 연동하여 건설현장정보 저장부(120)에 전송하는 회의정보 입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erence information input unit for automatically linking additional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display unit 150 to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 170) may be further included.

회의정보란 건설현장에서 담당자(사용자) 간에 수행된 회의에서 도출된 자료를 말한다. 특정 구역에 대한 일정 변경, 담당자 지정 또는 자재 변경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회의정보 또한 위치기반 정보에 해당한다. 즉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의 특정 공사위치 또는 특정 공사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이다. 따라서 설계정보 저장부(110)와 연동되어 해당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건설현장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eting information refers to data derived from meetings conducted between personnel (users) at the construction site. Includes information about schedule changes, assignees, or material changes for specific areas. Conference information also corresponds to location-based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on a region including a specific construction position or a specific construction position in the 2D drawing or 3D mode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be stored 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that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본 발명의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가 나타내는 건설현장정보 및/또는 회의정보를 건설현장 담당자의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건설현장정보 및 회의정보 전송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meeting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 or meeting information indicated by a gesture input by a user to a terminal of a construction site person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즉 건설현장정보 및 회의정보 전송부(160)를 통해 담당자 간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특정 현장에 배치되어 있는 담당자에게 회의시간에 논의된 자료를 송부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the mee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60 to share the necessary information between the person in charge, or to send the data discussed in the meeting time to the person in charge assigned to a specific site.

도 2에 도시된 상황을 예로 설명해본다. 현재 특정 건축구조물의 벽면에 대하여 담당자 간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해당 공사위치에 대하여 담당자 간 협의 된 내용을 메모로 기재하거나, 별도의 사진 또는 도면을 추가적으로 제출할 수도 있고, 해당 구역에 대한 담당자를 추가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때 회의정보 입력부(170)를 통해 메모, 사진, 도면 또는 담당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새롭게 입력하거나 업데이트하면, 현재의 특정 위치인 벽면에 자동으로 연동되어 건설현장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다.The situation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meeting between persons in charge on the wall of a specific build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contents of discussions between the person in charge as a memo, to submit additional pictures or drawings, or to add a person in charge for the area. In this case, when one or more of a memo, a photo, a drawing, or a person's information is newly inputted or updated through the meeting information input unit 170,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is automatically linked to the current wall.

회의정보 입력부(170)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100)에 연동되는 컴퓨터 장치로서,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가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회의정보 입력부(170) 및 건설현장정보 및 회의정보 전송부(160)에 연결되어 전체적인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eting information input unit 170 is a computer device linked to 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100, and preferably includes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 mouse, or a touch panel. Furthermore, as shown in FIG. 1, the controller 140 is connected to the conference information input unit 170 and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conference information transmitter 160 to control the overall data flow.

도 5는 도 1에 따른 위치기반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 및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구조도이다.5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and data flow of the location-based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FIG.

건설현장관리서버에 포함된 설계정보 저장부(110)에서 2D 도면 또는 3D 모델 정보가 제어부(140)로 전달되면 제어부(140)는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하고, 제스처를 입력한다. 제어부(140)는 입력된 제스처를 제스처 정의부(130)을 이용하여 어떤 건설현장 정보에 대한 제스처 인지 파악하고, 해당 위치에 대한 건설현장정보 중 제스처가 나타내는 정보를 건설현장정보 저장부(120)에서 가져와 디스플레이부(150)에 전송한다. 한편 건설현장정보를 건설현장정보 및 회의정보 전송부(160)를 통해 현장 담당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고, 회의 중 추가되는 건설현장정보를 회의정보 입력부(170)를 통해 건설현장정보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도 있다.When the 2D drawing or 3D model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erver to the control unit 140, the control unit 14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50. The user selects a specific position in the 2D drawing or 3D mode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inputs a gesture. The control unit 140 identifies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using the gesture defining unit 130 as a gesture for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displays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gesture among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position. Get from and send to display unit 150. Meanwhile,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ite through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the meeting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60, and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may be added to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dded during the meeting through the meeting information input unit 170. You can also save to).

제스처 정의부(130)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50)에 연동하여 특정 제스처가 입력되면 특정 제스처를 곧바로 특정 건설현장정보라고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도 있다. The gesture definition unit 13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hen a specific gesture is input in conjunction with the display unit 150, the specific gesture may b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40 as specific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 240)에 연동된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50, 250)에 특정 제스처가 입력되면 해당 제스처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140, 240)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제스처 정의부(130, 230)를 이용하여 제스처가 의미하는 특정 건설현장정보를 매핑하며, 이를통하여 여 건설현장정보 저장부(120, 220)로부터 해당 건설현장정보를 불러온다.As shown in Figure 1 and 5,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in the form linked to the control unit (140, 240). In this case, when a specific gesture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150 or 250,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gestur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40 or 240, and the control unit uses a gesture definition unit 130 or 230 to construct a specific construction. Maps the site information, and loads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from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220 through thi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200)의 다른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전술한 시스템에서는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에 사전에 건설현장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이하 설명할 시스템은 건설현장정보가 자동으로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 연동되어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되는 시스템이다. 결국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건설현장 정보가 수집되고 이를 현장에서 제스처 기반으로 표시하는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200)이다. 전술한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100)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another example of 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system described above, it is assumed that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in advance. The system to be described below is a system in which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tored 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linked to a 2D drawing or 3D model. Finally,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200 for collecting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displaying it on the basis of a gesture. The overlapping content with the above-described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100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200)의 다른 일 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200)의 다른 일 예는 건축물에 대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저장되는 설계정보 저장부(210), 시공 중인 건축물의 각 공사위치에 배치되며, 각 공사위치의 위치정보가 저장된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280), 공사위치의 건설현장정보 및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280)의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무선 단말기(290), 무선 단말기(290)에 입력된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280)의 위치정보와 설계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 공사위치의 위치 값이 매핑되는 공사위치 매핑부(215), 공사위치 매핑부(215)에서 매핑된 위치에 무선 단말기(290)에 입력된 건설현장정보가 연동되어 저장되는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 건설현장정보의 종류에 따른 입력 제스처가 매핑되어 있는 제스처 정의부(230), 설계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원하는 건설현장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0) 및 디스플레이부(250)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한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50)에 입력한 제스처와 제스처 정의부(230)에 저장된 정보를 매핑하여 제스처가 나타내는 건설현장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Another example of 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2D drawing or 3D model for the building is stored in each construction location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each construction location 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age means 280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age means 280 is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90, the construction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90 In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and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where the location value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is mapped in the 2D drawing or 3D model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of the location code storage unit 280.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in which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90 is stored in the mapped position, the gesture definition unit 230 is mapped to the input ges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design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Stored 2D drawings or 3D models are displayed, and the display unit 250 and the display unit 250 display the desired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by receiving one or more of a user's touch input or gesture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input And a controller 240 for mapping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to the display unit 250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gesture definer 230 to display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gesture on the display unit 250. .

기본적으로 설계정보 저장부(210), 공사위치 매핑부(215) 및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는 하나의 통합된 서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asically,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and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re preferably included in one integrated server.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280)(110)은 각 공사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공사위치를 구분하기 위한 위치 정보인 고유 코드가 저장되는 수단이다.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280)(110)은 공사위치의 좌표값을 저장하는 출력물 형태의 공사위치 좌표 태그 또는 공사위치의 좌표값을 저장하는 전자소자 형태의 센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age means (280, 110) is disposed at each construction location, the means for storing the unique code that is lo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the construction location. 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age means 280, 110 may be one or more of a construction location coordinate tag of the output form for stor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or an electronic device type sensor for stor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공사위치 좌표 태그는 QR코드, 바코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센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또는 RFID 태그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RFID 태그는 액티브 RFID 태그 및 비액티브 RFID 태그가 있고, RFID 수신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액티브 RFID 태그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struction location coordinate tag may be a QR code, a barcode, etc., and the sensor may be one or more of a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or an RFID tag. The RFID tag includes an active RFID tag and an inactive RFID tag,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n active RFID tag that automatically recognizes an RFID receiver and transmits information.

공사위치 좌표 태그 또는 센서는 공사위치의 고유 코드를 저장하고 있고, 이를 통해 설계정보 저장부(210)(130)에 저장된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The construction location coordinate tag or sensor stores a unique code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and through this, the location in the 2D drawing or 3D model stored in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or 130 can be detected.

한편, 본 발명의 공사위치 좌표 태그 또는 센서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식이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공사위치 좌표 태그 또는 센서는 공사위치마다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construction location coordinate tag or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 variety of markers or devices that can be repla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t least one construction position coordinate tag or sensor is preferably disposed at each construction position.

공사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예컨대, 건물의 5층 10호의 화장실에 방향까지 파악할 수 있는 공사위치코드가 저장된 공사위치 좌표 태그 또는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고 가정한다.Various methods are available for detecting construction location.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construction location coordinate tag or sensor in which a construction location code that can grasp directions can be attached to a toilet on a fifth floor 10 of a building.

첫째, 4개의 벽에 각각 좌표 태그 또는 센서가 모두 배치되어 각 벽면의 공사위치코드를 무선단말기로 전송하여 현장정보를 건설현장관리 시스템(10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첫째 방식은 다수의 좌표 태그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First, all the coordinate tags or sensors are disposed on each of the four walls to transmit the construction location code of each wall to the wireless terminal to store the site information in the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ystem (100). However, the first method costs more because a plurality of coordinate tags are required.

둘째, 방향 정보까지 포함된 공사위치코드가 저장된 공사위치 좌표 태그 또는 센서를 하나의 벽면에만 배치하고, 무선 단말기(290)의 방향 센서를 통해 벽면의 방향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따라서 둘째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하겠다.Second,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construction location coordinate tag or sensor stored in the construction location code includ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nly on one wall, and to check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wall through the direction sensor of the wireless terminal 290. Therefore, the second method is more preferable.

즉 건물의 5층 10호의 화장실의 좌측벽에 공사위치 좌표 태그를 배치하였다고 가정하면, 현재 좌표 태그가 배치된 위치가 화장실의 좌측벽이라는 정보가 공사위치 좌표 태그에 포함되어 있다. 좌표 태그가 배치된 방향을 기준으로 공사현장 담당자가 무선 단말기(290)를 좌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무선 단말기(290)에 내장된 방향 감지 센서가 현재 무선 단말기(290)의 전면부가 어떤 방향인지 확인이 가능하다.That is, assuming that the construction position coordinate tag is disposed on the left wall of the bathroom on the fifth floor 10 of the building, the construction position coordinate tag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current coordinate tag is located on the left wall of the toilet. When the construction site manager rotates the wireless terminal 290 to the left or the right direction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ordinate tag is arranged, the direction sensor built into the wireless terminal 290 indicates which direction the front part of the wireless terminal 290 is currently. You can check it.

좌측벽에 배치된 공사위치 좌표 태그에 저장된 공사위치 및 방향(기준 방향)을 기준으로 현재 무선 단말기(290)(120) 전면부가 향하는 방향(상대 방향)을 파악하고, 공사위치 좌표 태그에 저장된 공사위치 코드와 함께 상대 방향을 공사위치 매핑부(215)(140)에 전달한다. 이를 통해 공사위치에서의 특정 방향까지 파악한 정보가 공사위치 매핑부(215)에 전달된다.Based on the construction location and the direction (reference direction) stored in the construction location coordinate tag disposed on the left wall, grasp the direction (relative direction) facing the front part of the wireless terminal 290 (120), and the construction stored in the construction location coordinate tag The relative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and 140 together with the location code. Through this, information grasped up to a specific direction from the construction loc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무선 단말기(290)(120)는 키패드, 터치 패널,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고, 장치를 이용하여 현장정보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292)(125) 및 카메라, 스캐너, RFID 수신기 또는 NFC 수신기 중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는 공사위치코드 인식부(291)(121)를 포함한다.The wireless terminals 290 and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pad, a touch panel, a microphone, and a camera, and may include a data input unit 292 and 125 and a camera, a scanner, an RFID receiver, or the like, which receive field information using the device. Construction location code recognition unit 291 and 121 including one or more devices of the NFC receiver.

공사현장 담당자가 현장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292)는 무선 단말기(290)(120)에 포함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리적으로 무선 단말기(290)(120)와는 독립된 형태의 입력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ata input unit 292 in which the construction site manager inputs site information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s 290 and 1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s physically independent of the wireless terminals 290 and 120.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input means of the type.

공사위치코드 인식부(291)(121)는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280)(110)에 저장된 코드를 입력받는 구성이고, 데이터 입력부(292)(125)는 공사위치의 현장정보가 입력되는 구성이다.Construction location code recognition unit 291, 121 i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the code stored in the 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age means 280, 110, data input unit 292, 125 is a configuration that the site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is input to be.

QR 코드나 바코드 등은 출력된 인쇄물 형태로 공사위치의 특정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QR 코드나 바코드에 저장된 현재 공사위치의 좌표정보는 공사위치 코드 인식부(121)에 포함된 카메라 또는 스캐너를 통해 무선 단말기(290)(120)로 입력된다.QR codes or barcodes can be attached to specific locations at construction sites in the form of printed outpu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urrent construction location stored in the QR code or barcode is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s 290 and 120 through a camera or scanner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location code recognition unit 121.

액티브 RFID는 공사위치코드 인식부(291)(121)에 포함된 RFID 수신기가 액티브 RFID 태그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공사위치가 RFID 수신기로 전송된다. The active RFID automatically transmits the construction location to the RFID receiver when the RFID receiver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location code recognition unit 291 and 121 approaches the active RFID tag.

본 발명에서 무선 단말기(290)(120)는 다양한 형태의 무선 단말기(290)(12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무선 단말기(290)(120)는 공사위치코드 인식부(291)(121)를 통해 공사위치 좌표 태그 또는 센서의 정보를 공사위치 매핑부(215)(140)에 전송하고, 공사위치의 현장정보를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150)에 전송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s 290 and 120 may use various types of wireless terminals 290 and 120, and the wireless terminals 290 and 120 may use construction location code recognition units 291 and 121. The construction location coordinate tag or senso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and 140, and the site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nd 150.

본 발명의 무선 단말기(290)(120)는 개인별로 보급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QR 코드 등을 촬영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RFID 수신기를 사용하여 공사위치코드를 입력받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키패드, 터치패널 또는 마이크 등을 사용하여 현장에 대한 이미지 정보, 동영상 정보, 텍스트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wireless terminals 290 and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distributed for each individual. For example, a QR code may b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construction location code may be input using an RFID receiver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amera, keypad, touch panel, or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used. It can be used to receive image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text information or audio information about the site.

구체적인 현장정보는 공사위치의 사진, 공사위치의 현장자재정보, 공사위치의 담당자 정보, 공사위치의 현장공사일정, 공사위치의 공사비용, 공사위치 점검 여부 정보 또는 공사위치의 시공상태를 설명하는 메모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Specific site information is a photograph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site material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construction site schedule of the construction site, construction cost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construction location check information or memo explaining the construction status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It may be any one or more of.

설계정보 저장부(210),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 및 공사위치 매핑부(215)는 기능이 상이하여 별도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건설현장관리 서버에 위치한다. 물론 서로 상이한 서버에 위치할 수도 있고, 공사위치 매핑부(215)가 무선 단말기(29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공사위치 매핑부(215)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 공사위치 매핑부(215)가 위치하는 컴퓨터는 일종의 클라우딩 컴퓨터가 된다.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nd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has a different configuration because of their different functions, as shown in Figure 6, basically the same construction site It is located on the management server. Of course, they may be located in different servers, or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driven in the wireless terminal 290. When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is configured separately, the computer on which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is located becomes a kind of clouding computer.

공사위치 매핑부(215)는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280)에 저장되어 있는 공사위치 정보인 공사위치코드를 무선 단말기(290)로부터 전달받아 설계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의 정확한 공사위치의 위치값(좌표 정보 등)을 매핑한다.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receives a construction location code, which is construction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age unit 280, from the wireless terminal 290, or a 2D drawing stored in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or Map the position value (coordinate information, etc.) of the exact construction position in the 3D model.

최종적으로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에 현장정보가 입력되는 경로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첫째, 공사위치 매핑부(215)가 공사위치 위치값에 무선 단말기(290)로부터 전달된 현장정보를 2D 도면 또는 3D 모델의 해당위치와 연동하여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둘째, 무선 단말기(290)는 현장정보를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에 전달하고, 공사위치 매핑부(215)의 공사위치 위치값에 연동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Finally, the path in which the site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may be in various forms. First,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may store the si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290 to the construction location location value 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location of the 2D drawing or the 3D model. Second, the wireless terminal 290 may transmit the site information to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nd may be stor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struction location location value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한편 공사현장 담당자가 현장정보가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공사위치를 점검하면서, 종래 기록했던 공사정보 관련 메모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종래 현장정보를 입력한 이후 현장에 발생한 문제 등이 개선되었는지 점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는 공사위치의 담당자나 공사위치의 도면을 확인해야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site needs to check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related memo that was recorded in the past while checking the construction location where the sit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problems occurred in the field have been improved after inputting the conventional site information. Or you may need to check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site or the drawing of the construction site.

이를 위해 무선단말기는 설계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2D 도면 또는 3D 모델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거나,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현장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서 건설현장관리 서버로부터 무선 단말기(290)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이에 해당한다.To this end, the wireless terminal may receive and display 2D drawings or 3D model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or may receive and display sit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In FIG. 6,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erver to the wireless terminal 290 corresponds to this.

도 7은 도 6에 따른 위치기반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에서 건설현장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조도이다.7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llecting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 the location-based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FIG.

도 7의 공사위치 좌표 태그는 QR태그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고, 시공 현장 담당자의 무선 단말기(290)를 통해 QR태그를 촬영하여 공사위치 매핑부(215)에 전달하면, 공사위치 매핑부(215)는 QR 태그에 저장된 공사위치코드를 이용하여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 공사위치 위치값을 매핑한다. 매핑된 공사위치 위치값 별로 현장정보가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다.The construction location coordinate tag of FIG. 7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a QR tag, and when a QR tag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a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through a wireless terminal 290 of a construction site representative,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Maps the construction location position value in the 2D drawing or 3D model using the 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ed in the QR tag. Sit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for each mapped construction location location value.

한편 시공 현장 담당자는 무선 단말기(290)의 데이터 입력부(292)를 통해 공사위치 현장정보를 수집한다. 도 2에서는 공사위치의 특정 사진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예를 들었다. 이렇게 수집된 공사위치 현장정보는 공사위치 매핑부(215)에서 검출된 공사위치의 위치값에 연동되어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다. 결국 수집된 현장정보가 2D 도면이나 3D 모델 내에서의 해당위치에 실시간으로 자동연동되므로, 이를 이용한 건설 현장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Meanwhile, the construction site manager collects construction location site information through the data input unit 292 of the wireless terminal 290. In Figure 2 has been taken an example of taking a specific picture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with a camera.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collected in this way is stored 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in conjunction with the position value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detected by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215. Eventually, the collected sit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link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2D drawing or 3D model in real time, so that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using this is possible.

전술한 구성을 통하여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에 건설현장정보가 저장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50)에 제스처 입력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e user can confirm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a gesture input on the display unit 250.

건설현장정보는 현장 사진, 도면, 담당자 메모 텍스트, 자재 정보, 공사일정, 공사비용 또는 담당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가 나타내는 건설현장정보를 무선 단말기(290)에 전송하는 건설현장정보 및 회의정보 전송부(260)를 더 포함하거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50)에 입력한 위치정보에 추가적인 건설현장정보를 자동으로 연동하여 건설현장정보 저장부(220)에 전송하는 회의정보 입력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현장건설정보를 수집하는 구성만 추가된 것이며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100)과 동일하다.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s one or more of site photos, drawings, staff memo text, material information, construction schedule, construction cost or staff information. 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mee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260 for transmitting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represented by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to the wireless terminal 290, or the user to the display unit 250 It may further include a meeting information input unit 270 for automatically linking the additional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to the inpu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That is, only the configuration for collecting the site construction information is added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100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to clearly show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nfer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that can be made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hat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110, 210 : 설계정보 저장부 215 : 공사위치 매핑부
120, 220 : 건설현장정보 저장부 130, 230 : 제스처 정의부
140, 240 : 제어부 150, 250 : 디스플레이부
160, 260 : 건설현장정보 및 회의정보 전송부
170, 270 : 회의정보 입력부
280 :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 290 : 무선 단말기
291 : 공사위치코드 인식부 292 : 데이터 입력부
100, 200: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110, 210: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215: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120, 220: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230: gesture definition unit
140, 240: control unit 150, 250: display unit
160, 260: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mee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70, 270: Meeting information input unit
280: 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age means 290: wireless terminal
291: construction location code recognition unit 292: data input unit

Claims (14)

건축물에 대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저장되는 설계정보 저장부;
상기 설계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의 위치정보에 맵핑된 건설현장정보가 저장되는 건설현장정보 저장부;
상기 설계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원하는 건설현장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건설현장정보의 종류에 따른 입력 제스처가 저장되어 있는 제스처 정의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한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한 제스처와 상기 제스처 정의부에 저장된 정보를 매핑하여 제스처가 나타내는 건설현장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A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a 2D drawing or a 3D model of a building;
A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mapped to location information in a 2D drawing or 3D model stored in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2D drawing or a 3D model stored in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displaying desired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by receiving one or more of a user's touch input or gesture;
A gesture defining unit storing an input ges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detects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a touch input, and maps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to the display defining unit 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gesture defining unit to display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gesture on the display unit.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정보는 현장 사진, 도면, 담당자 메모 텍스트, 자재 정보, 공사일정, 공사비용 또는 담당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s a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site photo, drawings, staff memo text, material information, construction schedule, construction cost or personnel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 특정 위치를 터치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input by touching a specific position in the 2D drawing or 3D model displayed on the displa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위치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특정 제스처를 입력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s selected by inputting a specific gesture to the display unit while the user touches the specific lo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가 나타내는 건설현장정보를 건설현장 담당자의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건설현장정보 및 회의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mee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represented by the user input gesture to the terminal of the construction site manager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회의정보를 입력하는 회의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에 연동하여 회의정보를 상기 건설현장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meeting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meeting information by the user, wherein the control unit stores the meeting information 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by interworking the meeting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system.
건축물에 대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저장되는 설계정보 저장부;
시공 중인 상기 건축물의 각 공사위치에 배치되며, 각 공사위치의 위치정보가 저장된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
상기 공사위치의 건설현장정보 및 상기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의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무선 단말기;
상기 무선 단말기에 입력된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의 위치정보와 상기 설계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 상기 공사위치의 위치 값이 매핑되는 공사위치 매핑부;
상기 공사위치 매핑부에서 매핑된 위치에 상기 무선 단말기에 입력된 건설현장정보가 연동되어 저장되는 건설현장정보 저장부;
상기 설계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2D 도면 또는 3D 모델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원하는 건설현장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건설현장정보의 종류에 따른 입력 제스처가 저장되어 있는 제스처 정의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한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한 제스처와 상기 제스처 정의부에 저장된 정보를 매핑하여 제스처가 나타내는 건설현장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A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a 2D drawing or a 3D model of a building;
A 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age means disposed at each construction location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and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construction location;
A wireless terminal to which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age unit are input;
A construction position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position code storage means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with the position value of the construction position in a 2D drawing or 3D model stored in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A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at a location mapped by the construction location mapping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2D drawing or a 3D model stored in the design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displaying desired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by receiving one or more of a user's touch input or gesture;
A gesture defining unit storing an input ges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detects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a touch input, and maps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to the display defining unit 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gesture defining unit to display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gesture on the display unit.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위치코드 저장수단은 공사위치의 좌표값을 저장하는 출력물 형태의 공사위치 좌표 태그 또는 공사위치의 좌표값을 저장하는 전자소자 형태의 센서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struction location code storage means is a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output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coordinate tag for stor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or the sensor of the electronic device type to stor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onstruction loc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키패드, 터치 패널,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건설현장정보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및
카메라, 스캐너, RFID 수신기 또는 NFC 수신기 중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는 공사위치코드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A data input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keypad, a touch panel, a microphone, and a camera, and receiving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using the device; And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comprising a construction location code recognition unit including at least one device of a camera, scanner, RFID receiver or NFC receiv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정보는 현장 사진, 도면, 담당자 메모 텍스트, 자재 정보, 공사일정, 공사비용 또는 담당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s a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site photo, drawings, staff memo text, material information, construction schedule, construction cost or personnel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2D 도면 또는 3D 모델에서 특정 위치를 터치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input by touching a specific position in the 2D drawing or 3D model displayed on the displa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위치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특정 제스처를 입력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is selected by inputting a specific gesture to the display unit while the user touches the specific loc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가 나타내는 건설현장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건설현장정보 및 회의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Gesture-based construction site collabor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mee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represented by the user input gesture to the wireless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회의정보를 입력하는 회의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에 연동하여 회의정보를 상기 건설현장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건설현장 협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meeting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meeting information by the user, wherein the control unit stores the meeting information i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by interworking the meeting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system.
KR1020110081995A 2011-08-18 2011-08-18 Gesture based collabo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KR1012559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995A KR101255977B1 (en) 2011-08-18 2011-08-18 Gesture based collabo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995A KR101255977B1 (en) 2011-08-18 2011-08-18 Gesture based collabo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798A KR20130019798A (en) 2013-02-27
KR101255977B1 true KR101255977B1 (en) 2013-04-23

Family

ID=4789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995A KR101255977B1 (en) 2011-08-18 2011-08-18 Gesture based collabo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97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5738A (en) 1999-09-21 2001-05-11 Seiko Epson Corp Present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588042B1 (en) 2004-01-14 2006-06-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Interactive presentation system
KR20090027437A (en)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Multimedia terminal and broadcast terminal
KR20100125784A (en) * 2009-05-21 2010-12-01 주식회사 아이리버 Touch input type electronic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5738A (en) 1999-09-21 2001-05-11 Seiko Epson Corp Present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588042B1 (en) 2004-01-14 2006-06-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Interactive presentation system
KR20090027437A (en)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Multimedia terminal and broadcast terminal
KR20100125784A (en) * 2009-05-21 2010-12-01 주식회사 아이리버 Touch input type electronic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798A (en)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6694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s including touchpad driving interfaces for telemedicine devices
KR101255950B1 (en) Location-based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N107358401B (en)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method for building project, readabl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US20130198653A1 (en) Method of displaying input during a collaboration session and interactive board employing same
US202000963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building resources
CN105009062A (en) Browsing electronic messages displayed as tiles
US20140372907A1 (en) Gesture-based construction project collaboration system
CN104137044A (en) Displaying and interacting with touch contextual user interface
US11561679B2 (en) Display control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page arrangement of information items
CN112364217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0609654B (en) Data synchronous display method, device and equipment and teleconferencing system
CN104704486A (en) User interface elements for content selection and extended content selection
JP2018180760A (en)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mmunication slave unit
JP2011120098A (en) Intercom system
JP6465277B2 (en) Electronic devic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Broll et al. Exploring multi-user interactions with dynamic NFC-displays
KR101255977B1 (en) Gesture based collabo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KR20180036205A (en) Smart table apparatus for simulation
CN110221741A (en) Icon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WO201602433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Ballendat Visualization of and interaction with digital devices around large surfaces as a function of proximity
CN111161037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020376B1 (en)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Providing the Method and the Server
Seifert Mobile mediated interaction with pervasive displays
KR20140002868A (en) Smart board system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