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559B1 - 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 - Google Patents

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559B1
KR101255559B1 KR1020120152918A KR20120152918A KR101255559B1 KR 101255559 B1 KR101255559 B1 KR 101255559B1 KR 1020120152918 A KR1020120152918 A KR 1020120152918A KR 20120152918 A KR20120152918 A KR 20120152918A KR 101255559 B1 KR101255559 B1 KR 10125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mart phone
case
hard case
protecti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휘경
Original Assignee
이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휘경 filed Critical 이휘경
Priority to KR102012015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5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5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protective case for a smart phone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to a smart phone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to enable talking with the smart phone without having to opening the cover of the protective case. CONSTITUTION: A protective case(100) for a smart phone comprises a hard case(120) which has a mounting space for the smart phone, and a cover(110) which has a rotatable structure by connecting to the side of the hard case and protects the front side of the smart phone. The hard case has a storage groove(121) which is formed inside the hard case and stores a card between the back side of the smart phone and the storage groove. The side of the storage groov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hard case is formed with a storing groove(123) for the card to be inserted or pulled out.

Description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스마트폰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of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case of a smart phone to protect the smart phone from an external shock to prevent damage to the smart phone and to use at the same time convenient.

스마트폰은 기존의 기계적 버튼입력방식을 벗어나 터치스크린상의 터치를 통하여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ph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of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on the touch screen beyond the conventional mechanical button input method.

이러한 입력방식의 변화로 인하여 휴대단말기의 기본적인 디자인이 크게 변했고, 그로 인하여 휴대단말기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보호케이스의 필요성이 늘고 있다.Due to the change in the input method, the basic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has been greatly changed, and as a result, the need for a new type of protective case suitable for the mobile terminal is increasing.

또한,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고가이며 고성능 부품이 내장되어 있어서 충격을 받으면 고장나기가 쉽고,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손상을 방지하고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in general, a smartphone is expensive and high-performance components are built in, so it is easy to break when it is shocked, and thus, a user often uses a protective case to prevent damage to the smartphone and protect the smartphone from shock.

종래기술로서, ‘시트형 교통카드’(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2-0001441)에 의하면, 상기 시트형 교통카드는 시트형태이며, 스마트폰의 배면 보호케이스 안쪽에 접착되도록 일면에 접착제로 처리되며, 내장된 루프 안테나는 교통카드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심카드의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 또는 스피커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고 기재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sheet-type traffic card' (Public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Publication No. 20-2012-0001441), the sheet-type traffic card is in the form of a sheet, and treated with an adhesive on one side to be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back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The built-in loop antenna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affic card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SIM card, and the opening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or the speaker formed on the back of the smartphone.

또한,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안쪽에 부착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부품들고 인한 전파 방해가 없게되며, 스마트폰의 카메라나 스피커를 덮지않아 스마트폰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는 시트형 교통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있다.In addition, this configuration can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there is no interference of the radio waves due to the parts of the smartphone, do not cover the camera or speaker of the smartphon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se of the smart card It can be provided.

다른종래기술로서, ‘휴대폰 보호용 하드 케이스’(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445404)에 의하면, 상기 휴대폰 보호용 하드 케이스는 규격이 각기 다른 여러 종류의 휴대폰에 호환할 수 있으며, 기존의 가죽 케이스를 대체하여 휴대폰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표면에 다양한 인쇄를 할 수 있어 장식감을 높일 수 있고, 자체의 탄성에 의해 휴대폰을 보지할 수 있되, 휴대폰의 인출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소재로 사출성형되되 휴대폰의 전면과 배면에 접하는 앞판과 뒷판 및 이 앞판과 뒷팟을 상호 연결해주는 3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휴대폰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하여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휴대폰 보호용 하드 케이스로, 상기 측면은 앞판과 뒷판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앞판과 뒷판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3개의 측면은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여 평상시 앞판과 뒷판이 가깝게 위치하고, 휴대폰이 삽입되면 3개의 측면은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여 평상시 앞판과 뒷판이 가깝게 위치하고, 휴대폰이 삽입되면 3개의 측면이 펴지면서 탄성적으로 휴대폰을 보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에 접한 앞판과 뒷판의 일측 변에는 휴대폰의 인출을 위하여 내측으로 만곡된 파지홈이 형성된다고 기재되어 있다.As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protective hard case'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Registration No. 20-0445404), the mobile phone protective hard case can be compatible with several types of mobile phon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the existing leather case In order to prevent scratching of the mobile phone and to print various surfaces on the surface,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decoration and to hold the mobile phone by its elasticity, but also to facilitate the withdrawal of the mobile phone. It is injection molded with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has three sides that connect the front and back panels and the front panel and back panel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front and back of the mobile phone.It is a hard case for protecting mobile phones with openings on one side for storing and withdrawing the mobile phone. The side surface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U shape to elastically adjust the gap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is formed to a thickness thinner, the three side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is normally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mobile phone is inserted into the three side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is located close to, and when the cell phone is inserted, three sides are open so that the cell phone can be held elastically, and the side of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in contact with the opening portion is curved inward for withdrawal of the mobile phone It is described that a groove is formed.

그러나,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품에서는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서 스마트폰 상면에 덮혀져있는 덮개를 열고 닫아야 하기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스마트폰의 상면을 보호하는 기능이 없는 제품일 경우에는 사용은 편리하지만 스마트폰의 스크린에 스크래치 발생이 잦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oducts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ceive a call, a cover that is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mart phone must be opened and closed, which is cumbersome to use, and a product that does not have a function to protect the upper surface of the smart phone is convenient to use, but smart. There was a problem that scratches occur frequently on the screen of the phon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스마트폰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케이스의 덮개를 개폐하지 않고서도 수신되는 전화를 받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tect the smart phone from external shock not only to prevent damage to the smart phone, but also to receive the phone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of the case protecting the smart phon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rotective case of a smartphone that can be used easily.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100)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드케이스(120)와, 상기 하드케이스(120)의 측면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구조로써 스마트폰의 전면을 보호하는 덮개(110)로 구성되되, 상기 하드케이스(120)의 내면에는 수납홈(121)이 형성되어 스마트폰(10)의 배면과 상기 수납홈(121) 사이에 카드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of a smartphone, in the protective case of a smartphone to protect the smartphone, the protective case 100 of the smartphone is a hard case 120 having a space on which the smartphone is seated, It is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hard case 120 is composed of a cover 110 to protect the front of the smartphone as a rotating structure,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case 120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121 is a smart phone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d is accommodated between the back of the 10 and the receiving groove 121.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스마트폰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케이스의 덮개를 개폐하지 않고서도 수신되는 전화를 받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smart phone from external shocks and prevents damage to the smart phone, and can receive the incoming call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of the case protecting the smart phone. There is a noticeable effect of convenience.

도1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의 실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가 펼쳐진 배면사진
도3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가 접혀진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가 접혀진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의 하드케이스의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의 하드케이스의 배면도
1 is an embodiment of a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hoto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unfold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lded
Figure 4 is a front view folded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hard case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ar view of the hard case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100)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드케이스(120)와, 상기 하드케이스(120)의 측면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구조로써 스마트폰의 전면을 보호하는 덮개(110)로 구성되되, 상기 하드케이스(120)의 내면에는 수납홈(121)이 형성되어 스마트폰(10)의 배면과 상기 수납홈(121) 사이에 카드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of a smartphone, in the protective case of a smartphone to protect the smartphone, the protective case 100 of the smartphone is a hard case 120 having a space on which the smartphone is seated, It is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hard case 120 is composed of a cover 110 to protect the front of the smartphone as a rotating structure,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case 120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121 is a smart phone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d is accommodated between the back of the 10 and the receiving groove 121.

또한, 상기 하드케이스(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수납홈(121)의 측면에는 수납구멍(123)이 형성되어 있어서, 카드를 수납홈(121)에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2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case 120 is formed with a receiving hole 123,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store or withdraw the card in the receiving groove 121.

또한, 상기 하드케이스(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수납홈(121)에는 가이드홀(1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카드를 수납홈(121)에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122 is form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2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case 1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d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groove 121 or withdrawn.

또한, 상기 하드케이스(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수납홈(121)의 측면에는 장공형상의 수납구멍(123)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구멍(123)의 중앙에는 반원형상의 가이드홀(1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카드를 수납홈(121)에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long hole-shaped receiving hole 123 is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2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case 120, and a semi-circular guide hole 1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ceiving hole 123. It is formed integral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store or withdraw the card in the receiving groove 121.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의 실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가 펼쳐진 배면사진, 도3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가 접혀진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가 접혀진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의 하드케이스의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의 하드케이스의 배면도이다.
Figure 1 is an embodiment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hoto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lded, Figure 4 is 5 is a front view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lded,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hard case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rear view of the hard case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드케이스와, 상기 하드케이스의 후면에 접착되어 스마트폰의 전면을 보호하는 덮개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과 대응되는 위치의 덮개에는 발신자표시홀과 잠금해제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is composed of a hard case having a space on which the smartphone is seated, a cover bonded to the rear of the hard case to protect the front of the smartphone,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smartphone. The cover of the caller will be formed with the display hole and the unlocking hole.

즉, 상기 하드케이스의 전면에는 스마트폰이 안착되고 후면에는 덮개가 접착되어지는 것으로, 곧 상기 하드케이스의 전면은 스마트폰의 후면과 마주접촉되고, 하드케이스의 후면에는 덮개가 접착되어지는 것이다.That is, the smartphone is seated on the front of the hard case and the cover is bonded to the rear, that is, the front of the hard case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smartphone, the cover is bonded to the back of the hard case.

즉,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는 하드케이스의 후면에 접착되므로 스마트폰의 전면과 대응되는 덮개는 자유롭게 회동될수 있으며, 상기 덮개는 하드케이스의 측부에 접착되어 질 수도 있고, 하드케이스의 후면 전체에 접착될 수도 있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cover is bonded to the back of the hard case, the cover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smartphone can be freely rotated, the cover may be bonded to the side of the hard case It can also be glued to the entire back of the hard case.

그리고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에 스마트폰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의 덮개에는 전방스피커홀과, 스마트폰 스크린에 표시되는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는 중공형태의 발신자표시홀과, 스마트폰의 잠금해제 기능을 터치할 수 있도록 중공형태로 구성된 잠금해제홀이 형성되는 것이다.And when the smart phone is mounted on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 phone, the front speaker hole, the caller display hole of the hollow type to check the caller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The unlocking hole formed in a hollow form is formed to touch the unlocking function of the smartphone.

즉, 상기 스마트폰의 전방스피커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덮개에는 전방스피커홀이 형성되고, 스마트폰에 전화가 수신될 때, 스마트폰의 화면에 발신자가 표시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덮개에는 발신자표시홀이 형성되며, 스마트폰에 전화가 수신될 때, 사용자가 전화를 받기 위해서 상기 스마트폰의 스크린을 터지하여 잠금을 해제해야 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덮개에는 잠금해제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front speaker hole is formed in the cov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ront speaker of the smartphone is formed, when the call is received on the smartphone, the caller display hole in the cov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call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formed, when the phone is received, the unlock hole is formed in the cov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that the user must unlock the screen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n order to receive the call.

곧, 상기 발신자표시홀과 잠금해제홀이 형성됨으로서 사용자는 전화가 왔을때 덮개를 열지 않고도 발신자를 확인하고 전화를 받을 수있게 되는 것이다.
As soon as the caller display hole and the unlocking hole are formed, the user can check the caller and answer the call without opening the cover when the call is received.

한편, 상기 잠금해제홀에는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의 볼록렌즈가 부착되어질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볼록렌즈는 작은 물체를 크게 확대하여 볼 수 있어 일반적으로 돋보기, 현미경 등에 널리 사용된다. 즉, 노안이나 시력감퇴에 의해 문자 및 숫자의 식별능력이 떨어져서 돋보기가 필요한 사람에게는 필수적인 것이므로 상기 볼록렌즈가 잠금해제홀에 부착됨으로써 돋보기의 휴대가 간편해 지는 것이다.
Meanwhile, a glass or plastic convex lens may be attached to the unlocking hole, and the convex lens is widely used to magnify and view a small object. That is, since the ability to distinguish letters and numbers due to presbyopia or deterioration of vision is indispensable to the person who needs the magnifying glass, the convex lens is attached to the unlocking hol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carry the magnifying glass.

또한, 사용자는 상기 잠금해제홀에 볼록렌즈가 부착되어도 덮개를 열지않고 볼록렌즈 위에 터치를 하여전화를 받을 수있는 것으로, 상기 볼록렌즈의 전, 후면 및 측면에는 투명전도성필름인 ITO(indum tin oxide)필름등을 코팅하여 투명한 전극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스마트폰 스크린 상부에 볼록렌즈가 안착되어도 터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ser can receive a phone call by touching the convex lens without opening the cover even if the convex lens is attached to the unlocking hole, ITO (indum tin oxide) which is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n the front, rear and side of the convex lens By coating a film or the like to form a transparent electrode film, the touch is enabled even when the convex lens is seated on the smartphone screen.

그리고 상기 ITO필름은 인듐(indum)에 주석(tin)을 첨가하여 도전성을 높힌 필름으로서, 액정판넬, 투명스위치, 면발열체 등에 사용되며, 상기 ITO필름은 이미 널리 알려진 관용기술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ITO필름과 같은 관용의 투명전도성 필름을 볼록렌즈에 채택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nd the ITO film is added to the indium (tin) tin (tin) to increase the conductivity, is used in liquid crystal panels, transparent switches, surface heating elements, etc. The ITO film is a well known conventional technology, the present invention is Since a conventional transparent conductive film such as ITO film may be used for the convex len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발명의 볼록렌즈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프레넬 렌즈는 렌즈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서 수개 또는 여러개의 원환상의 띠로 나누어 중심주변의 부분을 얇게한 렌즈로서, 상기 프레넬렌즈는 이미 널리 알려진 관용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convex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 Fresnel lens (Fresnel lens), which is divided into several or several annular bands in ord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lens as a thin lens around the center, Since the Fresnel lens is a well known conventional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즉,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스마트폰의 화면이 외부에서 그대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덮개를 열지않고 볼록렌즈 전면에 터치를 하면 볼록렌즈 후면에 위치하는 스마트폰스크린에 터치가되어 전화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accommodated inside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s the user touches the front of the convex lens without opening the cover to the smart phone screen located on the rear of the convex lens Touch will be able to answer the call.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의 내면에는 눌림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눌림방지홈은 스마트폰의 전면에 형성되어있는 버튼이 눌려지지않도록 하는 것으로 곧, 상기 눌림방지홈은 스마트폰 전면에 덮개가 덮혀짐으로서, 스마트폰의 버튼이 눌려져서 발생되어질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s formed with a pressing preventing groove, the pressing preventing groove is to prevent the button formed on the front of the smartphone is not pressed, the pressing preventing groove is a smartphone As the cover is covered on the front, it serves to prevent accidents that may be caused by pressing the button of the smartphone.

즉, 상기 눌림방지홈은 스마트폰의 스크린보다 돌출되게 형성된 버튼이 눌려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뜻하지 않게 스마트폰의 버튼을 누르게됨으로써 제3자에게 전화가 수신이 되는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pressing preventing groove is to prevent the button i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not pressed, the user can accidentally press the button of the smartphon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a call received by a third party. will be.

그리고 상기 덮개는 플라스틱, 수지재질, 고무, 가죽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질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전면과 마주 닿는 부분은 부드러운 천을 덧대어 스마트폰 화면의 스크래치를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And the cover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resin, rubber, leather, the part facing the front of the smartphone is preferably padded with a soft cloth to prevent scratching the smartphone screen.

한편, 하드케이스는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며, 상기 하드케이스에는 스마트폰의 안테나, 후방스피커, 후방카메라, 플래시등이 형성된 위치에 홈이나 홀이 형성되되, 상기 하드케이스의 측면부에는 수납구멍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구멍을 통해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이 하드케이스에 수납되어 지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ard case is made of plastic, etc., the hard case is a groove or a hole is formed in the position where the antenna, the rear speaker, the rear camera, the flash, etc. of the smartphone is formed, the storage hole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hard case The credit card, traffic card, etc. are stored in the hard case through the storage hole.

그리고 상기 수납구멍을 통해 삽입된 카드는 하드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수납홈에 안착되어지는 것이다.And the card inserted through the receiving hole is to be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case.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드케이스 내부에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므로 상기 카드는 상기 하드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수납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하드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수납홈에 안착되되, 상기 카드는 스마트폰 배면과 하드케이스의 내면 사이에 끼움 고정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since the smartphone is seated inside the hard case, the card is inserted through the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side of the hard case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case, the card is It is fitted between the back of the smartphone and the inside of the hard case.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구멍은 장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카드가 용이하게 삽입되게 하되, 상기 장공형상의 일측에는 반원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홀은 하드케이스에 수납된 카드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receiving hole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so that the card is easily inserted, a semi-circular guide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ng hole shape, the guide hole is stored in the hard case It is to serve to facilitate the contact of the card with the user's finger.

즉, 상기 수납구멍의 일측에 반원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하드케이스의 수납홈에 안착된 카드 등의 수납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구멍에 카드를 삽입하거나 빼내기가 용이해지는 것이다.That is, as the semi-circular guide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hole,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storage state of the card seated in the storage groove of the hard case, and also easily insert or remove the card into the storage hole. It will be lost.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은 수납구멍의 일측 뿐만 아니라 수납홈이 형성되어있는 하드케이스에 관통홀 형상으로 단독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가이드홀을 통하여 카드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카드의 인출 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uide hole may be formed solely in the shape of a through hole in a hard case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as well as one side of the receiving hole. As the guide hole is formed, the user contacts the finger with the card through the guide hole. It is easy to withdraw the card.

또한, 상기 가이드홀의 모양은 사각형 또는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guide hole is formed in a square or circular shape.

그리고 상기 하드케이스에 접착되는 덮개에도 홈이나 홀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에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In addition, a groove or a hole is formed in the cover bonded to the hard case, so that the user may use the smartphone in a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using it.

곧,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는 기술의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어떠한 한 기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이나 전자기기에 적용 될수 있도록, 상기 하드케이스 및 덮개는 스마트폰의 기종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지는 것이다.
As soon as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technology, the hard case and the cover to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smart phones or electronic devices without being limited to any one type of the smart phone, It will be produced in various shapes.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스마트폰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케이스의 덮개를 개폐하지 않고서도 수신되는 전화를 받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smart phone from external shocks and prevents damage to the smart phone, and can receive the incoming call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of the case protecting the smart phone. There is a noticeable effect of convenience.

10:스마트폰 11:버튼
100: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110:덮개 111:전방스피커홀
112:발신자표시홀 113:잠금해제홀
114:눌림방지홈 120:하드케이스
121:수납홈 122:가이드홀
123:수납구멍
10: Smartphone 11: button
100: smartphone protective case
110: cover 111: front speaker hole
112: caller ID hole 113: unlocking hole
114: anti-pressed groove 120: hard case
121: storage groove 122: guide hole
123: a storage hole

Claims (4)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100)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드케이스(120)와, 상기 하드케이스(120)의 측면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구조로써 스마트폰의 전면을 보호하는 덮개(110)로 구성되되, 상기 하드케이스(120)의 내면에는 수납홈(121)이 형성되어 스마트폰(10)의 배면과 상기 수납홈(121) 사이에 카드를 수납하는 것으로,
상기 하드케이스(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수납홈(121)의 측면에는 수납구멍(123)이 형성되어 있어서, 카드를 수납홈(121)에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In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to protect the smartphone, the protective case 100 of the smartphone is coupled to the hard case 120 having a space on which the smartphone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hard case 120 Consists of a cover 110 to protect the front of the smartphone as a structure,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case 120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121 between the back of the smartphone 10 and the receiving groove 121 In storing a card to
Th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2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case 120 is formed with a receiving hole 123, it is possible to store or withdraw the card in the receiving groove 121 of the smart phone, characterized in that Protective cas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케이스(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수납홈(121)에는 가이드홀(1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카드를 수납홈(121)에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groove 122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12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case 120, it is possible to receive or withdraw the card in the storage groove 121. Protective case of smartph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케이스(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수납홈(121)의 측면에는 장공형상의 수납구멍(123)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구멍(123)의 중앙에는 반원형상의 가이드홀(1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카드를 수납홈(121)에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2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case 120 is formed with a long hole-shaped receiving hole 123, the center of the receiving hole 123 is a semi-circular guide hole 122 is formed integrally,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store or withdraw the card in the storage groove 121
KR1020120152918A 2012-12-26 2012-12-26 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 KR1012555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918A KR101255559B1 (en) 2012-12-26 2012-12-26 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918A KR101255559B1 (en) 2012-12-26 2012-12-26 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559B1 true KR101255559B1 (en) 2013-04-17

Family

ID=4844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918A KR101255559B1 (en) 2012-12-26 2012-12-26 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55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923B1 (en) 2014-08-14 2016-01-18 고영봉 Protctive case for mobile phone
KR101620781B1 (en) * 2015-01-09 2016-05-13 (주)서원인텍 flip type protective cover smartphones having a secret window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257U (en) * 2011-07-12 2011-12-06 손정호 Case for Mobile Handset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KR20120091869A (en) * 2011-02-10 2012-08-20 이노인트 주식회사 Cellphone c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869A (en) * 2011-02-10 2012-08-20 이노인트 주식회사 Cellphone case
KR20110011257U (en) * 2011-07-12 2011-12-06 손정호 Case for Mobile Handset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923B1 (en) 2014-08-14 2016-01-18 고영봉 Protctive case for mobile phone
KR101620781B1 (en) * 2015-01-09 2016-05-13 (주)서원인텍 flip type protective cover smartphones having a secret wind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1553B1 (en) Method for protecting a touch-screen display
US9232674B2 (en) Cover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476916Y1 (en) Protecto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9979429B2 (en) Mobile phone case with enhanced grip area and reduced grip area
EP2728762A2 (en) Protection cover for mobile device
KR20160061078A (en) Protecto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246026B1 (en) 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
KR20160088067A (en) Protecto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285669B1 (en) Cover case for portable terminal
JP5689520B1 (en) Back cover for mobile phone
US20160254835A1 (en) Integrated screen and perimeter prot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255559B1 (en) 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
KR101348712B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KR101510586B1 (en) Protection cover clip for smart phone
KR200474129Y1 (en) A protective case of a mobile phone
KR20130071929A (en) A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telephone
KR200472146Y1 (en) Protecting Case with Application which Capable of being Attached and Detached
JP2018026664A (en) Case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1465421B1 (en) Wallet type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telephone
KR200467722Y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130087954A (en) The cellular phone case
KR101546867B1 (en) Jelly type surface protection case for mobile phone
KR20150000209U (en) Cover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150015894A (en) Case for mobile terminal
KR20130002185U (en) A mobile phon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