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070B1 -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070B1
KR101254070B1 KR1020060071231A KR20060071231A KR101254070B1 KR 101254070 B1 KR101254070 B1 KR 101254070B1 KR 1020060071231 A KR1020060071231 A KR 1020060071231A KR 20060071231 A KR20060071231 A KR 20060071231A KR 101254070 B1 KR101254070 B1 KR 101254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tick
character input
unit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10760A (en
Inventor
오장훈
Original Assignee
오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장훈 filed Critical 오장훈
Priority to KR1020060071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070B1/en
Publication of KR2008001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7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0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은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디스플레이부에의해 출력될 수 있는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패널은 수개의 문자입력부와 한글, 영문, 숫자, 특수기호의 입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변환키가 구비되되, 상기 문자입력부는 각각 전,후,좌,우 4개의 수평방향으로 동작이 가능하고 4개의 방향에 한글, 영문, 숫자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4개의 제1문자부가 형성된 스틱부와 상기 스틱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문자입력패널의 수직방향으로 누름동작이 가능한 스틱부돌기로 구성된 조이스틱형으로 이루어짐을 포함하기에 본 발명은 사용상 편이성의 극대화 및 문자입력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적은 수의 문자입력부를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isclosed are a text input device and a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the disclo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ystick type text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unit through which a signal input by the text input device can be output by a display unit, wherein The character input panel is provided with several character input parts and a conversion key for selecting input modes of Korean, English, numbers, and special symbols. The character input parts can be operated in four horizontal directions, respectively, before, after, left, and right. And a stick part having four first letter parts formed with one or more letters of Korean, English, or numbers in four directions and formed on top of the stick part, and capable of press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panel.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oystick type consisting of the protrusions,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ease of use and minimize the character input time. Said by using a small number of the character input portion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조이스틱, 문자입력 Joystick, character input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haracter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processing an input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bile terminal as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디스플레이부 200... 문자입력패널100 ... Display 200 ... Character input panel

300... 문자입력부 310... 제1문자부300 ... Character input part 310 ... First character part

320... 스틱부 330... 스틱부돌기320 ... Stick Part 330 ... Stick Part

340... 제2문자부 350... 변환키340 ... Second Character 350 ... Conversion Key

400... 제어부 410... 키입력부400 ... control unit 410 ... key input unit

420... 메모리 430... 표시부420 ... Memory 430 ... Display

440... 무선통신부 450... 송수화부440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50 ... Handse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이스틱형으로 문자입력부를 문자입력패널에 구비하고 상기 문자입력부를 사용하여 보다 편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haracter input unit in a character input panel having a joystick type and which can input characters more conveniently using the character input unit. It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일반적으로 문자의 입력이 필요한 휴대용단말기는 휴대폰, 컴퓨터, PDA등이 해당하며 그 사용상의 편이를 위하여 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지는 추세이나 문자입력의 제한으로 인하여 소형화에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 분야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은, 키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써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문자입력판에 문자 조작 정보를 사용자가 일일이 눈으로 확인하면서 해당되는 키패드를 누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키패드를 터치스크린하는 것이다. 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that requires input of a character corresponds to a mobile phone, a computer, a PDA, etc., and has a problem in miniaturization due to a tendency that the size of the terminal decreases for the convenience of use or limitation of character input.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the field of a typical portable terminal uses a keypad, and the user presses the corresponding keypad while checking the character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character input panel provided in the terminal, or the keypa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touch screen.

이러한 문자의 입력방법에 있어서는 예컨대, 사용자가 한글 자음 "ㄱ"을 키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의 화면창에서 제공되는 "ㄱ" 글자에 해당되는 키버튼 숫자를 눈으로 확인하고, 해당되는 키버튼을 누름으로써 "ㄱ" 글자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은 조작의 편리성을 위해 나름대로의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었으나, 기본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문자 조작 정보를 사용자가 일일이 눈으로 확인하면서 해당되는 키패드를 눌러야 한다.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the Korean consonant "ㄱ", the user confirms visually the number of key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letter "a" provided in the screen window of the terminal. You can type in the letter "a" by pressing.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text input method has its own algorithm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but basically the user must press the corresponding keypad while checking the text manipul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근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고 있는 문자 입력 방식으로써, 한글 모음의 입력에 있어서는 기본 필획인 "ㅣ", "ㅡ", "."을 조합하여 해당 한글 모음을 완성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자 입력 방식 또한 기본적으로는, 사용자는 키패드에 인쇄된 해당 기본 필획(즉,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문자 조작 정보)을 눈으로 확인하고 해당 키버튼을 눌러야 한다. In addition, as a character input method provided by recent portable terminals, a method of completing the Hangul vowel by combining the basic strokes "|", "-", "." In the input of the Hangul vowel is known. However, such a text input method also basically, the user must visually check the corresponding basic stroke (ie, character manipul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rminal) printed on the keypad and press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문자입력패널에 구비된 조이스틱형의 스틱부를 형성하는 문자입력부를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상 편이성을 높인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method for inputting the same, which increase convenience in use in a portable terminal by using a character input unit forming a joystick type stick unit provided in the character input panel.

또한 본 발명은 스틱부를 평행 동작시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순차 반복적으로 문자가 표시되고 누름 동작이 더하여져 미리 지정된 다른 문자가 순차 반복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문자입력부를 구비하는 문자입력장치 및 그 문자입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character input unit having a character input unit that can be displayed repeatedly in sequence on the display unit by pressing the stick unit and the pressing operation is added to sequentially display other predetermined characters sequential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수개의 문자입력부를 사용함에 있어 한글의 자음 부분은 왼손이 담당하고 모음부분은 오른손이 담당할 수 있는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를 사용함으로써 문자입력이 빠른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joystick-type character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by using a joystick-type character input unit that the left hand is responsible for the consonant part of the Korean and the vowel part is responsible for the use of several character input uni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n additionally provid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방향이동을 위한 화살표키등의 기능키를 기능입력부에 의해 사용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ore convenient character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unit by using a function key such as an arrow key for directional movement by the function input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자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입력된 문자의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a method of processing the input character using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는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디스플레이부에의해 출력될 수 있는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패널은 수개의 문자입력부와 한글, 영문, 숫자, 특수기호의 입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변환키가 구비되되, 상기 수개의 문자입력부는, 각각 전,후,좌,우 4개의 수평방향으로 동작이 가능하고 4개의 방향에 한글, 영문, 숫자, 특수기호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4개의 제1문자부가 돌출형성된 스틱부와 상기 스틱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문자입력패널의 수직방향으로 누름동작이 가능한 스틱부돌기로 구성된 조이스틱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ystick type character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oystick type character input unit capable of outputting a signal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by a display unit;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function input unit, the character input panel is provided with several character input units and conversion keys for selecting input modes of Korean, English, numbers, and special symbols. The input unit can be operated in four horizontal directions, respectively, before, after, left, and right, and four first character portions protruding one or more characters of Korean, English, numbers, and special symbols are displayed in four directions. A joystick type formed of a formed stick part and a stick part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stick part and capable of press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character input panel. Characterized in that made.

또한 상기 문자입력부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제1문자입력부, 제2문자입력부, 제3문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입력패널에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입력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text input unit may include a first text input part, a second text input part, and a third text input part capable of inputting text, and the text input panel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input part to perform a function on the display.

또한 상기 문자입력부의 스틱부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킴에 의해서 각 해당 제1문자부에 표시된 문자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고 상기 제1문자부에 표시된 문자가 2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순차적으로 사용 자가 지정하거나 일정한 시간적 간격에 의하여 제1문자부에 표시된 문자 상호가 변화하고 상기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문자가 확정되며, 상기 스틱부는 스틱부돌기를 문자입력패널의 수직방향으로 누름과 동시에 스틱부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미리 지정된 다른 문자로 이루어지는 제2문자부를 제1문자부와 병기하여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문자부에 표시된 문자가 2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스틱부돌기의 수직누름 및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순차적으로 일정한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시간적 간격에 의하여 제2문자부에 표시된 문자 상호가 변화하고 상기 스틱부돌기의 수직누름 및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문자가 확정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operating the stick portion of the character input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first character portion are output to the display portion, and when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first character portion are two or more, until the operation of the stick portion is released. Are sequentially designated by the user, or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first character part change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the characters outputted on the display part are determined at the moment when the operation of the stick part is released. A second character part consisting of another predetermined character output to the display part by press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put panel and operating the stick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further inclu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haracter part. If the character is 2 or more, the vertical pressing of the stick protrusion and the action of the stick portion are released. Until the character is displayed in the second character part sequentially by a predetermined user or at a time interval, and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display part are determined at the moment when the vertical pressing of the stick protrusion and the action of the stick part are released.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제1문자입력부 및 제2문자입력부의 스틱부에 형성된 제1문자부는 "ㄱ" 및 "ㄲ"이 표시된 제1자음부, "ㄴ"이 표시된 제2자음부, "ㄷ" 및 "ㄸ"이 표시된 제3자음부, "ㄹ"이 표시된 제4자음부, "ㅁ" 과 "ㅂ" 및 "ㅃ"이 표시된 제5자음부, "ㅅ" 및 "ㅆ"이 표시된 제6자음부, "ㅇ" 및 "ㅎ"이 표시된 제7자음부, "ㅈ" 및 "ㅉ"이 표시된 제8자음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틱부는 제2문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문자부는 상기 제1자음부, 제3자음부, 제5자음부, 제8자음부에 있어서 각각 "ㅋ", "ㅌ", "ㅍ", "ㅊ"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haracter portion formed in the stick portion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unit and the second character input unit, the first consonant part "a" and "ㄲ", the second consonant part "b", "c" and "ㄸ" The third consonant with "", the fourth consonant with "ㄹ", the fifth consonant with "ㅁ" and "ㅂ" and "ㅃ", the sixth consonant with "ㅅ" and "ㅆ", Consisting of the seventh consonant marked "o" and "ㅎ", the eighth consonant labeled "ㅈ" and "ㅉ" and the stick por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character portion, the second character portion is the first consonant portion For example, the third consonant, the fifth consonant, and the eighth consonant may be "ㅋ", "ㅌ", "v", and "ㅊ".

또한 상기 제3문자입력부의 스틱부에 형성되는 제1문자부는 "ㅡ"가 표시되고 상기 스틱부의 전,후 또는 좌,우에 형성되는 제1모음부 및 제2모음부와 "l"가 표시되고 상기 스틱부의 좌,우 또는 전,후에 형성되는 제3모음부 및 제4모음부로 이루 어지ㄱ고 상기 스틱부는 제2문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문자부는 상기 제1모음부, 제2모음부, 제3모음부, 제4모음부에 있어서 각각 "ㅗ" 및 "ㅛ", "ㅜ" 및 "ㅠ", "ㅏ" 및 "ㅑ", "ㅓ" 및 "ㅕ"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haracter portion formed on the stick portion of the third character input portion is displayed with "-" and the first vowel portion and the second vowel portion and "l" formed on the front, rear or left and right of the stick portion is displayed. The stick part may include a third vowel portion and a fourth vowel portion formed on the left, right, front and back sides of the stick portion, and the stick por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character portion, wherein the second character portion is the first vowel portion and the second vowel portion. The third, fourth and fourth vowels may be "ㅗ" and "ㅛ", "TT" and "ㅠ", "및" and "" "," ㅓ "and" ㅕ ", respectively.

또한 상기 기능입력부의 제1문자부는 UP, DOWN, RIGHT, LEFT의 4방향의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기능입력부의 스틱부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킴에 의해서 각 해당 제1문자부에 표시된 기능이 디스플레이부에 수행되고 상기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에 기능이 정지되며, 상기 기능입력부의 스틱부돌기를 문자입력패널의 수직방향으로 누름에 의하여 미리 지정된 기능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에 보여주고 상기 누름동작의 해지후 스틱부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켜 기능항목을 선택한 후 상기 스틱부돌기를 누름에 의해 선택된 기능항목이 수행되는 것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haracter portion of the function input portion is composed of four function keys of UP, DOWN, RIGHT, and LEFT, and the function displayed on each corresponding first character portion is performed on the display portion by operating the stick portion of the function input portion horizontally. And the function is stopped on the display unit at the moment when the operation of the stick unit is released, and a list of predetermined function key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pressing the stick unit protrusion of the function input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panel and pressing the display unit. After the operation is terminated, the stick part may be ope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select a function item, and then pressing the stick part protrusion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the selected function item.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수행되어지는 지정된 기능은 통상적으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것인 페이지업, 페이지다운, 홈(Home), 엔드(End), 엔터(Enter), 스페이스(Space), 인서트(Insert), 백스페이스(back space), 컨트롤(Ctrl), 알트(Alt), 에스케이프(ESC)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signated functions to be performed in the display unit are page up, page down, home, end, enter, space, insert, etc. It may further include a back space, a control (Ctrl), alt (Alt), escape (ESC).

또한 상기 제2문자입력부의 상단 측부는 제1문자입력부의 하단 측부와 근접하여 제1문자입력부 및 제2문자입력부가 종(從)으로 문자입력패널에 구비되며 제3문자입력부는 상기 제1문자입력부 및 제2문자입력부의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능입력부는 제3문자입력부와 종(從)으로 문자입력패널에 구비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haracter input unit is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unit, the first character input unit and the second character input unit are provided in the character input panel vertically, and the third character input unit is provided with the first character. The input unit and the second character input unit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r the left side, and the function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haract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character input pan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은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출력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제1항의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틱부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킴에 의해서 각 해당 제1문자부에 표시된 문자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단계(S1); 상기 제1문자부에 표시된 문자가 2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순차적으로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일정한 시간적 간격에 의하여 제1문자부에 표시된 문자 상호가 변화되는 단계(S2); 상기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문자가 확정되는 단계(S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signal input by a character input apparatus can be output by a display unit, wherein the character of the joystick type of claim 1 is provided. Operating the stick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using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unit to output characters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first character unit to a display unit (S1); When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first character portion is two or more, the steps of changing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first character portion by a user-specified or constant time interval until the operation of the stick portion is released (S2); Characterized in the display unit at the moment when the operation of the stick unit is release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S3).

또한 상기 단계S1에 있어서 스틱부의 스틱부돌기를 문자입력패널의 수직방향으로 누름을 동시에 행하여 미리 지정된 다른 문자인 제2문자부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단계(T1); 상기 제2문자부에 표시된 문자가 2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스틱부돌기의 수직누름 및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순차적으로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일정한 시간적 간격에 의하여 제2문자부에 표시된 문자 상호가 변화되는 단계(T2); 상기 스틱부돌기의 수직누름 및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문자가 확정되는 단계(T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tep S1, pressing the stick part protrusion of the stick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panel at the same time to output the second character part, which is another predetermined character, to the display part (T1); If there are two or mor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second character portion,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second character portion are sequentially changed by a user-specified or constant time interval until the vertical pressing of the stick protrusion and the action of the stick portion are released. Step T2;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T3 of deciding a character output on the display unit at the moment when the vertical pressing of the stick protrusion and the action of the stick unit are released.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은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출력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제1항의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기능입력부의 상기 스틱부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킴에 의해서 UP, DOWN, RIGHT, LEFT의 4방향의 위치이동기능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디스플레이부에 수행되는 단계(U1); 상기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위치이동기능이 디스플레이부에 정지되는 단계(U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is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signal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device can be output by the display unit, the joystick of claim 1 Any one of the four position movement functions of UP, DOWN, RIGHT, and LEFT by operating the stick part of the function input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using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letter type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unit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U1); And a step (U2) of stopping the position movement function at the moment of releasing the action of the stick unit.

또한 상기 단계 U1에 있어서 상기 기능입력부의 스틱부돌기를 문자입력패널의 수직방향으로 누름을 동시에 행하여 미리 지정된 기능항목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단계(V1); 상기 누름동작을 해지후 스틱부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켜 기능항목을 선택하는 단계(V2); 상기 선택된 기능항목을 스틱부돌기를 문자입력패널의 수직방향으로 누름동작으로 실행시키는 단계(V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tep U1, simultaneously pressing the stick projection of the function input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panel to output a predetermined function item to the display unit (V1); Selecting a function item by operating the stick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fter releasing the pressing operation (V2);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ecuting the selected function item by pressing the stick part protrusion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panel (V3).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가능한 기능항목은 통상적으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것인 페이지업, 페이지다운, 홈(Home), 엔드(End), 엔터(Enter), 스페이스(Space), 인서트(Insert), 백스페이스(back space), 컨트롤(Ctrl), 알트(Alt), 에스케이프(ESC)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unction items that can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are page-up, page-down, home, end, enter, space, insert, and back that are commonly used in a computer. It may further include a back space, a control, a control, alt, and an escap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처리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방향들에 각각 복수의 문자부들을 구비하고, 각 문자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들이 매핑되는 문자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문자입력부는 스틱부돌기를 구비하여 문자부 및 문자부 내의 문자를 선택하는 휴대단말기의 문자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틱부돌기의 눌림 여부에 따라 문자부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스틱부의 슬라이딩 방향 및 슬라이딩 지속시간에 따라 매핑된 문자데이타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문자데이타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문자입력처리 방법.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haracter input process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haracter parts in at least two directions, and each character part includes a character input part to which at least one character is mapped. In the character process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character input unit is provided with a stick projection to select the character portion and the characters in the character portion, the process of setting the character por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stick projection is pressed,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tick portion and And setting the mapped character data according to the sliding duration, and displaying the set character data.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입력패널(200)은 수개의 문자입력부(300)가 구비되며 변환키(350)가 구비되어 한글, 영문, 숫자, 특수기호의 입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수개의 문자입력부(300)는 각각 문자입력패녈에 평행하게 전,후,좌,우 4개의 방향으로 동작이 가능하며 또한 4개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져 상기 4방향이 대응되도록 눌림에 의해 동작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character input panel 200 includes several character input units 300 and a conversion key 350 to select input modes of Korean, English, numbers, and special symbols. The plurality of character input units 300 may be operated in four directions before, after, left, and right in parallel to the character input pattern, respectively, and are operated by pressing the four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four direction buttons. Can be.

상기 문자입력부(300)는 스틱부(320)와 스틱부(320)의 중앙지점에서 돌출된 형상인 스틱부돌기(33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의 형상은 조이스틱형일 수 있다.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may be formed of a stick unit protrusion 330 which protrudes from the stick portion 320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stick portion 320, and the shape thereof may be a joystick type.

상기 문자입력부(300)의 스틱부(320)의 4개의 방향에는 한글, 영문, 숫자, 특수기호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4개의 제1문자부(3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Four first letters 310 may be formed in four directions of the stick part 320 of the letter input part 300, which is one or more characters of Korean, English, numbers, and special symbols. have.

상기 문자입력부(300)의 스틱부(320)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킴에 의해서 각 해당 제1문자부(310)에 표시된 문자가 디스플레이부(100)에 출력될 수 있으며 제1 문자부(310)에 표시된 문자가 2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스틱부(320)의 동작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순차적으로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또는 일정한 시간적 간격에 의하여 제1문자부(310)에 표시된 문자 상호가 변화할 수 있고 상기 스틱부(320)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100)에 출력된 문자가 확정될 수 있다. 이러한 문자의 표시에 대한 일실시예는 후술되어 있는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다. By operating the stick unit 320 of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first character unit 310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first character unit 310 In the case where two or more characters are displayed on the first character unit 310, the characters may be sequentially designated by the user or may be changed by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until the operation of the stick unit 320 is released. When the operation of the stick unit 320 is released, the character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0 may be determined. One embodiment of the display of such characters can be found in Table 1 described below.

또한 상기 스틱부(320)는 스틱부돌기(330)를 문자입력패널(200)의 수직방향으로 누름과 동시에 스틱부(320)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00)로 출력되는 미리 지정된 다른 문자로 이루어지는 제2문자부(340)를 제1문자부(310)와 병기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ick unit 320 is previously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0 by pressing the stick protrusion 33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panel 200 and operating the stick unit 3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character part 340 including other designated characters may be further inclu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haracter part 310.

상기 제2문자부(340)에 표시된 문자가 2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스틱부돌기(330)의 수직누름 및 스틱부(320)의 동작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순차반복적으로 일정한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또는 시간적 간격에 의하여 제2문자부(340)에 표시된 문자 상호가 변화하고 상기 스틱부돌기(330)의 수직누름 및 스틱부(320)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100)에 출력된 문자가 확정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f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second character portion 340 is two or more, the user repeatedly designates or temporally spaces until the vertical pressing of the stick protrusion 330 and the operation of the stick portion 320 are released.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second character unit 340 are changed to each other and the character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0 are determined at the moment when the vertical pressing of the stick unit protrusion 330 and the operation of the stick unit 320 are released. It may further include being.

이러한 문자입력부(300)는 제1문자입력부(300a), 제2문자입력부(300b), 제3문자입력부(300c)와 디스플레이부(100) 상에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입력부(300d)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글문자의 입력을 위하여는 제1문자입력부(300a)와 제2문자입력부(300b) 및 제3문자입력부(300c)를 사용할 수 있으며 2개의 문자입력부(300)는 한글자음을 입력시 사용하고 하나는 한글모음을 입 력시 사용할 수 있다. The text input unit 300 may include a first text input unit 300a, a second text input unit 300b, a third text input unit 300c, and a function input unit 300d to perform a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100. hav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the first character input unit 300a, the second character input unit 300b, and the third character input unit 300c may be used, and the two character input units 300 may be used to input Korean consonants. Can be used to input Korean vowels.

이경우 그 문자입력부(300)의 배치는 상기 제2문자입력부(300b)의 상단 측부가 제1문자입력부(300a)의 하단 측부와 근접하여 제1문자입력부(300a) 및 제2문자입력부(300b)가 종(從)으로 문자입력패널(200)에 구비된다. 또한 제3문자입력부(300c)는 상기 제1문자입력부(300a) 및 제2문자입력부(300b)의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기능입력부(300d)는 제3문자입력부(300c)와 종(從)으로 문자입력패널(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를 고려하여 상호 대칭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rrangement of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is such that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haracter input unit 300b is closer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unit 300a and the first character input unit 300a and the second character input unit 300b. It is provided in the character input panel 200 as a kind. In addition, the third character input unit 300c may be located at the right side or the left side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unit 300a and the second character input unit 300b, and the function input unit 300d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character input unit 300c. (I) may be provided in the character input panel 200. This arrangement can be chang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right or left handedness.

하기 표 1은 한글자음의 제1문자부(310)와 제2문자부(340)를 나타낸것으로서 제1자음부 내지 제8자음부는 제1문자입력부(300a)의 상하좌우 네방향과 제2문자입력부(300b)의 상하좌우 네방향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표 2는 한글모음의 제1문자부(310)와 제2문자부(340)를 나타낸것으로서 제1모음부 내지 제4모음부는 제3문자입력부(300c)의 상하좌우 네방향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able 1 shows the first character portion 310 and the second character portion 340 of the Korean consonants, the first consonant portion to the eight consonant portion of the first letter input unit 300a four directions and the second letter The input unit 300b may be selectively provided in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able 2 shows the first character part 310 and the second character part 340 of the Korean vowel. The three-character input unit 300c may be selectively provided in four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The following specific examples further illustrate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but these examples are only intended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문자부First character part 제2문자부Second character part 제1자음부First consonant ㄱ ㄲA Lol 제2자음부Second consonant N 제3자음부Third consonant ㄷ ㄸㄷ ㄸ I 제4자음부4th consonant D 제5자음부Fifth consonant ㅁ ㅂ ㅃㅁ ㅂ ㅃ 제6자음부6th consonant ㅅ ㅆㅅ ㅆ 제7자음부7th consonant ㅇ ㅎㅇ ㅎ 제8자음부8th consonant ㅈ ㅉ The

제1문자부First character part 제2문자부Second character part 제1모음부First collection ㅗ ㅛㅗ ㅛ 제2모음부2nd collection ㅜ ㅠㅜ ㅠ 제3모음부3rd collection ㅏ ㅑㅏ ㅑ 제4모음부4th collection ㅓ ㅕㅓ ㅕ

예컨대 "배"를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문자입력패널(200)에 구비되어 있는 변환키(350)를 사용하여 한글입력모드로 전환한 후 제5자음부가 형성된 스틱부(320)를 해당방향으로 동작시키게 되면 순차반복적으로 일정한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또는 시간적 간격에 의하여 "ㅁ→ㅂ→ㅃ"이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double", after switching to the Hangul input mode using the conversion key 350 provided in the character input panel 200, the stick part 320 formed with the fifth consonant is opera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 this case, "ㅁ → ㅂ → ㅃ"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by a predetermined user repeatedly or at a time interval.

상기 반복도중 ㅂ이 디스플레이되는 순간에 스틱부(320)의 동작을 해제하면 디스플레이부(100)에 ㅂ이 표기되고 제3모음부가 형성된 스틱부(320)를 수평으로 미는 동작과 동시에 스틱부돌기(330) 누름동작에 의해서 "바→뱌"가 순차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는 "바"가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3모음부가 형성된 스틱부돌기(330)의 누름동작을 해제하고 제3모음부가 형성된 스틱부(320)의 수평동작을 유지함으로써 "배"를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토록 하거나 제3모음부가 형성된 스틱부돌기(330)의 누름동작을 해제하고 제4모음부가 형성된 스틱부(320)의 수평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배"를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stick unit 320 is released at the time of the display during the repeating operation, the display unit 100 displays the letter 되고 and pushes the stick unit 320 at the same time as the stick unit 320 formed with the third collection unit. 330 “B → 뱌” is repeated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by the pressing operation. Thereafter, the user releases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tick part protrusion 330 on which the third vowel is formed while the “ba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and maintains the horizontal operation of the stick part 320 on which the third vowel is formed. Display the "pear" by displaying the "pear" on the display unit 100 or by releas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tick unit protrusion 330 on which the third collection portion is formed and performing the horizontal operation of the stick portion 320 on which the fourth collection portion is formed. It may be displayed on the unit 100.

사용자가 문자입력패널(200)에 구비되어 있는 변환키(350)를 사용하여 영문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1문자부(310)는 영문의 대문자를 표시하고 제2문자부(340)는 영문의 소문자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When the user switches to the English input mode using the conversion key 350 provided in the character input panel 200, the first character part 310 displays the capital letters of English and the second character part 34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lowercase English letters.

이 경우 제1문자입력부(300a), 제2문자입력부(300b), 제3문자입력부(300c)에 총12개의 제1문자부(310)가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알파벳대문자는 2개, 3개, 4개중 어느 하나의 묶음으로 제1문자부(310)에 표기될 수 있으며 제2문자부(340)의 경우에도 2개, 3개, 4개중 어느 하나의 묶음으로 표시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case where a total of twelve first character portions 310 are formed in the first character input portion 300a, the second character input portion 300b, and the third character input portion 300c, two or three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are formed. , Any one of four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character unit 310,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character unit 340 may be displayed in any one of two, three, four.

이처럼 영문자의 디스플레이부(100)에의 문자입력방법은 문자입력부(300)의 스틱부(320)의 평행동작시 영문알파벳대문자가 한글 입력시와 동일하게 순차 반복적으로 변화하고 스틱부(320)의 평행동작과 스틱부돌기(330)의 누름동작이 동시에 행하여짐에 의해 영문알파벳소문자가 순차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0)에서 변환할 수 있다. 하기 표 3은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의 영문의 제1문자부(310)와 제2문자부(340)를 나타낸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English alphabet to the display unit 100, the alphabetic uppercase letters ar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changed as in the case of Korean input during parallel operation of the stick unit 320 of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and the parallelism of the stick unit 320 is performed. Since the operation and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tick projection 330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alphabetic alphabet lowercase letters can b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converted in the display unit 100. Table 3 below shows the first letter portion 310 and the second letter portion 340 of the English as a preferred embodiment.

제1문자부First character part 제2문자부Second character part A B CA B C a b c a b c D E FD E F d e fd e f G H IG H I g h ig h i J K LJ K L j k lj k l M N O M N O m n om n o P Q RP Q R p q rp q r S T US T U s t us t u V W XV W X v w xv w x Y ZY Z y zy z

사용자가 특수기능을 디스플레이부(100)상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능입력부(300d)의 제1문자부(310)는 바람직하게는 UP, DOWN, RIGHT, LEFT의 4방향의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기능입력부(300d)의 스틱부(320)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킴에 의해서 각 해당 제1문자부(310)에 표시된 기능이 디스플레이부(100)에 수행된다. When the user wants to execute a special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100, the first character unit 310 of the function input unit 300d is preferably composed of four function keys of UP, DOWN, RIGHT, and LEFT. By operating the stick unit 320 of the input unit 300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unction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first character unit 310 is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100.

또한 상기 스틱부(320)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100)에 기능이 정지되며, 상기 기능입력부(300d)의 스틱부돌기(330)를 문자입력패널(200)의 수직방향으로 누름에 의하여 미리 지정된 기능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00)에 보여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100 is stopped at the moment when the operation of the stick unit 320 is released, and the stick protrusion 330 of the function input unit 300d is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panel 200. The list of function keys previously designated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수행되어지는 지정된 기능은 통상적으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것인 페이지업, 페이지다운, 홈(Home), 엔드(End), 엔터(Enter), 스페이스(Space), 인서트(Insert), 백스페이스(back space), 컨트롤(Ctrl), 알트(Alt), 에스케이프(ESC)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esignated function to be performed in the display unit 100 is a page up, page down, home, end, enter, space, and insert that are normally used in a computer. (Insert), back space, control (Ctrl), Alt (Alt), escape (ESC).

이후 상기 누름동작의 해지후 스틱부(320)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켜 기능항목을 선택한 후 상기 스틱부돌기(330)를 누름에 의해서 선택된 기능항목이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reafter, after releasing the pressing operation, the stick unit 320 may be ope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select a function item, and then the selected function item may be performed by the display unit 100 by pressing the stick protrusion 33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휴대전화기의 구성이 될 수 있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be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lephone.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 440은 상기 통신단말기의 송신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부440은 공중 무선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망과 연결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40 converts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 wireless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and converts a received wireless signal into a reception sig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40 may be connected to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may be connected to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메모리420은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용 단말기의 호 처리 등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이스틱형 문자입력부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타들을 처리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420은 사용자가 설정한 문자입력모드의 문자들에 대한 폰트 데이터들을 구비한다.The memory 420 may be composed of a program memory and a data memory. The program memory stores programs for processing a call processing of a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s for processing key data generated in a joystick type character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emory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while executing the programs. The memory 420 includes font data for characters in a character input mode set by a user.

제어부400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은 신호를 변복조하는 모뎀 및 부호/복호화하는 코덱을 구비하여 송신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며, 또한 수신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은 MSM 칩이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에서 상기 모뎀 및 코덱을 분리시킨 데이터 처리부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부440과 제어부400 사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modem for modulating and demodulating a signal, a codec for decoding / decoding, and encodes and modulates a transmission signal, and performs a function of demodulating and decoding a received signal. The control unit 400 may be an MSM chip. The controller 400 may independently configure a data processor that separates the modem and the codec, and the data processo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40 and the controller 400.

키입력부410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표시부430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메뉴들을 표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 입력 데이타를 표시한다. 송수화부450는 통신모드시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통신모드에서 발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한다.The key input unit 410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 display unit 430 may display menu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0, and display text input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set 450 processes an audio signal generated in a communication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0 in a communication mode.

여기서 상기 키입력부4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부300을 포함한다. 즉, 상기 키입력부410은 문자입력모드를 설정하는 변환키350 및 적어도 조이스틱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입력부30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문자입력부3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방향으로 분할되며, 각 방향들은 적어도 하나의 문자부를 구비하고, 각 문자부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데이터가 매칭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문자입력부300이 4개의 방향으로 분할되며, 이들 4방향은 좌우, 그리고 상하 방향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문자입력부300의 각 4방향들은 두 개의 제1 및 제2문자부 310 및 340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문자부310에는 기본자음 및 경음들을 배치하고, 제2문자부340에는 상기 제1문자부340의 격음들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문자입력부300의 중앙부에는 스틱부돌기330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스틱부돌기330은 상기 제1 또는 제2문자부310 또는 340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조이스틱과 같은 방법으로 문자입력부들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문자입력부300을 통해 문자를 입력할 때, 먼저 상기 스틱부돌기330을 온/오프(누름/안누름)하여 제1문자부310 또는 제2문자부320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스틱부돌기330을 슬라이딩시켜 문자입력부300의 방향 및 입력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입력부300의 좌측 방향의 제1문자부310에 “ㄱ”및 “ㄲ”이 배치되고 제2문자부340에 “ㅋ”을 배치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ㄱ”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스틱부돌기330을 오프(누르지 않은 상태)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틱부돌기330을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된다. 그리고 그리고 상기 “ㅋ”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스틱부돌기330을 온(누른 상태)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틱부돌기330을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된다.Here, the key input unit 410 includes a character input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key input unit 410 includes at least one character input unit 300 including a conversion key 350 for setting a character input mode and at least a joystick switch.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each direction includes at least one character unit, and each character unit is configured to match at least one character dat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is divided into four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and these four directions ar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In addition, each of the four directions of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includes two first and second character units 310 and 340, and a basic consonant and a hard sound are disposed in the first character unit 310, and the first character unit in the second character unit 340. Arrange the sound of the character unit 340. In addition, a stick protrusion 330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Here, the stick protrusion 330 performs a function for selecting the first or second character portion 310 or 340, and may select the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portions in the same manner as a joystick. Therefore, when a user inputs a character through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the user can first select the first character unit 310 or the second character unit 320 by turning on / off (pressing / not pressing) the stick protrusion 330. By sliding the stick protrusion 330, th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times of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may be set. Therefore, as shown in FIG. 1, it is assumed that “a” and “ㄲ” are disposed in the first character unit 310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and “ㅋ” is disposed in the second character unit 340. In this case, in the case of inputting “a”, the stick protrusion 330 may be slid to the left in a state in which the stick protrusion 330 is turned off (not press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putting “ㅋ”, the stick protrusion 330 may be slid leftward while the stick protrusion 330 is turned on.

상기 키입력부410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문자입력부300을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4개의 문자입력부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입력부300들은 한글 및 영문자 입력을 할 수 있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문자입력부300은 자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두 개의 문자입력부를 사용하며, 모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하나의 문자입력부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The key input unit 410 may configure a plurality of character input units 3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four character input units ar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Here, the character input units 300 may input Korean and English characters, and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for Korean input uses two character input units for inputting consonant characters and one character input unit for inputting vowel characters. Assume

이를 위하여 제어부400은 상기 키입력부410의 문자입력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즉, 변환키350의 신호 S1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400은 상기 신호 S1의 발생 횟수(변환키의 350의 눌림 횟수)를 분석하여 문자입력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입력모드는 한글, 영문 및/또는 숫자 입력모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은 키입렵부410에서 문자가 입력되면, 해당하는 키입력부410에 매칭되는 문자데이타들을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400은 상기 각 키입력부410들의 방향, 각 방향의 문자부들, 그리고 각 문자부들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자데이타들에 대한 테이블을 구비한다. 상기 문자데이타들에 대한 테이블은 스틱부320의 슬라이딩 지속시간에 문자테이타 및 스틱부돌기330를 온(누름상태)시킨 상태에서의 스틱부320의 슬라이딩 지속시간에 따른 문자데이타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400 has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character input data of the key input unit 410. That is, when the signal S1 of the conversion key 350 is generated,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e character input mode by analyz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signal S1 (the number of presses of the conversion key 350). The character input mode may be a Korean, English and / or numeric input mode. In addition, when a character is input from the key fitting unit 410,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character data matching the corresponding key input unit 410.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table for the direction of each key input unit 410, the character units in each direction, and the character data that may be generated in each character unit. The table for the character data may include the character data according to the sliding duration of the stick portion 320 in a state in which the character data and the stick protrusion 330 are turned on (pressed state) in the sliding duration of the stick portion 320.

그리고 문자입력부에서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400은 어떤 문자입력부인가를 확인한 후, 스틱부돌기330에서 발생되는 눌림여부와 슬라이딩되는 방향 및 슬라이딩 지속시간을 확인하여 해당 문자입력부에 매칭되는 해당 문자데이타를 생성한다.When an input is generated from the character input unit, the controller 400 checks which character input unit is used, and then checks whether the pressing unit and the sliding direction and sliding duration generated by the stick unit protrusion 330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 dat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unit. Create

이때 상기 키입력부410에서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400은 상기 스틱부돌기330의 신호 S2(눌림 여부)를 감지하여 문자부(제1 또는 제2문자부)를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400은 상기 스틱부돌기330의 신호 S3을 참조하여 방향 및 문자데이타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S3은 사용자가 슬라이딩시키는 방향 및 슬라이딩 지속시간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0은 상기 변환키350의 신호 S1에 의해 문자입력모드를 결정하며, 상기 스틱부돌기330의 눌림 여부에 따라 문자부를 선택하고, 상기 스틱부320의 슬라이딩 및 슬라이딩 지속시간에 따라 선택된 방향의 문자부의 문자데이타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스틱부돌기330을 중립에 위치시키면 상기 제어부400은 입력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430에 표시한다. At this time, when an input occurs in the key input unit 410, the control unit 400 detects the signal S2 (whether pressed) of the stick protrusion 330 and sets the character unit (first or second character unit).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e direction and the text data with reference to the signal S3 of the stick protrusion 330. In this case, S3 includes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slides and a sliding duration. Accordingly,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e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 to the signal S1 of the conversion key 350, selects a character part according to whether the stick part protrusion 330 is pressed, and selects a direction according to the sliding and sliding duration of the stick part 320. Detect character data of character part of. When the stick protrusion 330 is positioned at the neutral position, the controller 400 displays the input character on the display unit 430.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사용자는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은 입력되는 문자들에 대응되는 폰트데이타를 상기 메모리420에서 엑세스(access)하여 상기 표시부4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은 상기 변환키350에 의해 한글 입력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입력되는 한글 자소(자음 및 모음)들을 조합하여 한글 문자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한글 문자를 상기 폰트메모리에서 엑세스(access)하여 표시한다.The user may input characters while repeating the above operation, and the controller 400 accesses font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s from the memory 420 and displays them on the display unit 430. In this case, when the Hangul input mode is set by the conversion key 350,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Hangul characters by combining the input Hangul characters (consonants and vowels), and accesses the generated Hangul characters from the font memory. To display.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하나의 문자입력부300에서 발생되는 문자데이타의 처리 절차를 살펴본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processing of the character data generated by one character input unit 300 will be described.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0은 변환키350의 입력이 감지되면, 511단계에서 상기 변환키350의 입력에 따라 문자입력모드를 설정한다. 여기서 문자입력모드는 한글 또는 영문자 입력모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자입력모드가 한글 입력모드라고 가정한다. Referring to FIG. 3, when the input of the conversion key 350 is detected, the controller 400 sets a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onversion key 350 in step 511. Herein, the character input mode may be a Korean or English character input mod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haracter input mode is a Korean input mode.

상기와 같이 문자입력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문자입력부300의 스틱부돌기330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400은 513단계에서 해당 문자입력부300의 스틱부돌기330이 눌림 여부를 확인하여 문자부를 결정하며, 515단계에서 해당 스틱부돌기330의 접촉을 확인하여 문자입력부330 상의 방향을 확인하 하고, 517단계에서 해당 스틱부320의 슬라이딩 지속시간을 검사하여 문자데이타를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300은 문자입력부300에서 입력이 발생되면, 해당 문자입력부300의 스틱부돌기330이 눌림 여부를 검사하여 제1문자부 또는 제2문자부를 결정하고, 상기 스틱부320의 슬라이딩 방향 및 슬라이딩 지속시간을 검사하여 해당 방향의 제1문자부 또는 제2문자부의 매핑된 문자데이타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스틱부돌기330이 중립에 위치되면, 상기 제어부300은 521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문자데이타의 폰트를 상기 메모리420에서 엑세스(access)한 후 이를 상기 표시부519에 표시한다. When the input of the stick protrusion 330 of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is generated while the character input mode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400 determines whether the stick unit protrusion 330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unit 300 is pressed in step 513. In step 515, the contact of the stick protrusion 330 is checked to determine the direction on the character input unit 330. In step 517, the character duration is determined by checking the sliding duration of the stick 320. That is, when an input is generated by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the controll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stick unit protrusion 330 of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is pressed to determine the first character unit or the second character unit, and the sliding direction and The sliding duration is examined to determine mapped character data of the first character portion or the second character portion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f the stick protrusion 330 is located in the neutral position, the controller 300 accesses the font of the checked character data in the memory 420 in step 521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519.

상기와 같은 문자입력부300을 통한 문자 입력은 반복되며, 상기 제어부400은 상기 513단계 - 519단계를 반복 수행하면서 이렇게 발생되는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문자데이타를 상기 표시부4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문자데이타를 처리하는 상태에서 종료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400은 5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문자 입력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Character input through the character input unit 300 is repeated, and the control unit 400 displays the character data generated by combin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while repeating steps 513 to 519 on the display unit 420. If a termination command is generated in the state of processing the input text data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400 detects it in step 521 and terminates the text input processing procedure.

본 발명은 문자입력패널에 구비된 조이스틱형의 스틱부를 형성하는 문자입력부를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상 편이성의 극대화 및 문자입력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aximizing ease of use and minimizing character input time in a portable terminal by using a character input unit forming a joystick type stick unit provided in the character input panel.

또한 본 발명은 문자입력부의 사용에 있어서 스틱부를 평행 동작시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순차 반복적으로 문자가 표시되고 누름 동작이 더하여져 미리 지정된 다른 문자가 순차 반복적으로 표시됨으로써 적은 수의 문자입력부를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character input unit by the parallel operation of the stick portion by the character is repeatedly displayed on the display sequentially and the pressing operation is added to another predetermined character is displayed repeatedly repeatedly by using a small number of character input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자음은 2개의 문자입력부를 사용하고 모음은 하나의 문자입력부를 사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왼손잡이의 경우에도 반대로 구비가 가능하나 오른손 잡이에 있어 자음부분은 왼손이 담당하고 모음부분은 오른손이 담당할 수 있는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를 사용함으로써 문자의 입력이 용이하고 빠른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sonant uses two character inputs and the vowel can use one character input, so the left hand can be equipped with the opposite. However, the consonant part is the left hand and the vowel part is the right hand. By using a joystick type character input unit, the character can be input easily and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방향이동을 위한 화살표키등의 기능키를 기능입력부에 의해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패널의 디자인을 간소화 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design of the character input panel of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a function key, such as an arrow key for direction movement by the function input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Claims (14)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로 이루어진 문자입력패널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디스플레이 의해 출력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utput a signal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panel consisting of a joystick type character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unit by the display, 상기 문자입력패널은 수개의 문자입력부와 한글, 영문, 숫자, 특수기호의 입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변환키가 구비되되,The character input panel is provided with several character input units and conversion keys for selecting input modes of Korean, English, numbers and special symbols. 상기 문자입력부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제1문자입력부, 제2문자입력부, 제3문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입력패널에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입력부를 더 포함시킨 다음The character input unit may include a first character input unit, a second character input unit, and a third character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a character, and further including a function input unit to perform a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상기 문자입력부는 각각 전,후,좌,우 4개의 수평방향으로 동작이 가능하고 4개의 방향에 한글, 영문, 숫자, 특수기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4개의 제1문자부가 형성된 스틱부와 상기 스틱부의 상부에 돌출형성되어 문자입력패널의 수직방향으로 누름동작이 가능한 스틱부돌기로 구성된 조이스틱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The character input unit may be operated in four horizontal directions, respectively, before, after, left, and right, and the first four character parts in which one or more characters of Korean, English, numbers, and special symbols are displayed in four direction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ystick type character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unit formed of a joystick type comprising a formed stick unit and a stick uni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tick unit and capable of press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panel. Character input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입력부의 스틱부를 수평동작시킴에 의해서 각 해당 제1문자부에 표시된 문자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고 상기 제1문자부에 표시된 문자가 2이상인 경우 상기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기 전까지 순차반복적으로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또는 일정한 시간적 간격에 의하여 제1문자부에 표시된 문자 상호가 변화하고 상기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문자가 확정되며,By horizontally operating the stick unit of the character input unit,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first character unit are output to the display unit, and if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first character unit are two or more, the user is repeatedly repeatedly until the operation of the stick unit is released. Or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first character part is changed by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 character output on the display part is determined at the moment when the operation of the stick part is released. 상기 스틱부는 스틱부돌기를 문자입력패널의 수직방향으로 누름과 동시에 스틱부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미리 지정된 다른 문자로 이루어지는 제2문자부를 제1문자부와 병기하여 더 포함하되,The stick par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etter part consisting of another predetermined character output to the display part by pressing the stick part protrusion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panel and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stick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 상기 제2문자부에 표시된 문자가 2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스틱부돌기의 수직누름 및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순차반복적으로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또는 일정한 시간적 간격에 의하여 제2문자부에 표시된 문자 상호가 변화하고 상기 스틱부돌기의 수직누름 및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문자가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If there are two or mor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second character portion,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second character portion are repeatedly designated by the user repeatedly or at regular time intervals until the vertical pressing of the stick protrusion and the action of the stick portion are released.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character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unit of a joystick type, characterized in that a character outputted on the display unit is determined at a moment when the vertical change of the stick protrusion and the action of the stick unit is released. .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문자입력부 및 제2문자입력부의 스틱부에 형성된 제1문자부는 "ㄱ" 및 "ㄲ"이 표시된 제1자음부, "ㄴ"이 표시된 제2자음부, "ㄷ" 및 "ㄸ"이 표시된 제3자음부, "ㄹ"이 표시된 제4자음부, "ㅁ" 과 "ㅂ" 및 "ㅃ"이 표시된 제5자음부, "ㅅ" 및 "ㅆ"이 표시된 제6자음부, "ㅇ" 및 "ㅎ"이 표시된 제7자음부, "ㅈ" 및 "ㅉ"이 표시된 제8자음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틱부는 제2문자부를 더 포함하되,The first character portion formed in the stick portion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portion and the second character input portion includes a first consonant portion marked with "a" and "ㄲ", a second consonant portion marked with "b", "c" and "ㄸ" 3rd consonant marked "," 4th consonant marked "", 5th consonant marked "ㅁ" and "ㅂ", 6th consonant marked "ㅅ" and "ㅆ", " The seventh consonant marked "o" and "ㅎ", the eighth consonant marked "ㅈ" and "ㅉ" and the stick part further includes a second character part, 상기 제2문자부는 상기 제1자음부, 제3자음부, 제5자음부, 제8자음부에 있어서 각각 "ㅋ", "ㅌ", "ㅍ", "ㅊ"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The second character portion of the first consonant part, the third consonant part, the fifth consonant part, and the eighth consonant part of the joystick type, characterized in that "ㅋ", "ㅌ", "Po", "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haracter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uni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3문자입력부의 스틱부에 형성되는 제1문자부는 "ㅡ"가 표시되고 상기 스틱부의 전,후 또는 좌,우에 형성되는 제1모음부 및 제2모음부와 "l"가 표시되고 상기 스틱부의 좌,우 또는 전,후에 형성되는 제3모음부 및 제4모음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틱부는 제2문자부를 더 포함하되,The first character portion formed on the stick portion of the third character input portion is displayed with "-" and the first vowel portion and the second vowel portion and "l" form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ick portion are displayed. It consists of a third vowel portion and a fourth vowel portion formed on the left, right or before, after the stick portion and the stick por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character portion, 상기 제2문자부는 상기 제1모음부, 제2모음부, 제3모음부, 제4모음부에 있어서 각각 "ㅗ" 및 "ㅛ", "ㅜ" 및 "ㅠ", "ㅏ" 및 "ㅑ", "ㅓ" 및 "ㅕ"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The second character portion includes "ㅗ" and "ㅛ", "TT" and "ㅠ", "ㅏ" and "ㅑ" in the first vowel, the second vowel, the third vowel, and the fourth vowel, respectively.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ystick type character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 "" and "ㅕ".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능입력부의 스틱부에 형성되는 제1문자부는 UP, DOWN, RIGHT, LEFT의 4방향의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기능입력부의 스틱부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킴에 의해서 각 해당 제1문자부에 표시된 기능이 디스플레이부에 수행되고 상기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에 기능이 정지되며, 상기 기능입력부의 스틱부돌기를 문자입력패널의 수직방향으로 누름에 의하여 미리 지정된 기능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에 보여주고 상기 누름동작의 해지후 스틱부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켜 기능항목을 선택한 후 상기 스틱부돌기를 누름에 의해 선택된 기능항목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The first character portion formed on the stick portion of the function input portion is composed of four function keys of UP, DOWN, RIGHT, and LEFT, and the function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first character portion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stick portion of the function input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unction is stopped on the display unit at the moment when the operation of the stick unit is released and the stick unit protrusion of the function input unit is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panel to display a list of predetermined function keys on the display unit. A movement provided with a character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unit of a joystick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ed function item is performed by selecting the function item by operating the stick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fter the release of the pressing operation. Character input device of communication terminal.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수행되어지는 지정된 기능은 통상적으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것인 페이지업, 페이지다운, 홈(Home), 엔드(End), 엔터(Enter), 스페이스(Space), 인서트(Insert), 백스페이스(back space), 컨트롤(Ctrl), 알트(Alt), 에스케이프(ESC)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The designated functions to be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are page up, page down, home, end, enter, space, insert, and back which are commonly used in a computer.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ystick type character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back space), control (Ctrl), Alt, escape (ESC).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문자입력부의 상단 측부는 제1문자입력부의 하단 측부와 근접하여 제1문자입력부 및 제2문자입력부가 종(從)으로 문자입력패널에 구비되며 제3문자입력부는 상기 제1문자입력부 및 제2문자입력부의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능입력부는 제3문자입력부와 종(從)으로 문자입력패널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haracter input unit is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unit, and the first character input unit and the second character input unit are provided in the character input panel vertically, and the third character input unit is provided in the first character input unit. And a character input unit and a function input unit of a joystick type, wherein the function input un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r the left side of the second character input unit, and is provided on the character input panel in the same manner as the third character input unit. Character input device.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출력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he signal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device can be output by the display unit, 제1항의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입력부의 스틱부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킴에 의해서 각 해당 제1문자부에 표시된 문자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단계(S1);By using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he joystick type character input unit and the function input unit of claim 1,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respective first character unit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operating the stick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 output step S1; 상기 제1문자부에 표시된 문자가 2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순차반복적으로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또는 일정한 시간적 간격에 의하여 제1문자부에 표시된 문자 상호가 변화되는 단계(S2);If the number of characters displayed in the first character portion is two or more, the character mutually displayed in the first character portion is sequentially changed by a user or fix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until the operation of the stick portion is released (S2). ; 상기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문자가 확정되는 단계(S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Character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haracter output to the display unit at the moment when the operation of the stick unit is released (S3).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단계S1에 있어서 스틱부의 스틱부돌기를 문자입력패널의 수직방향으로 누름을 동시에 행하여 미리 지정된 다른 문자인 제2문자부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단계(T1);In step S1, simultaneously pressing the stick part protrusion of the stick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panel to output a second character part, which is another predetermined character, to the display part (T1); 상기 제2문자부에 표시된 문자가 2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스틱부돌기의 수직누름 및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순차반복적으로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또는 일정한 시간적 간격에 의하여 제2문자부에 표시된 문자 상호가 변화되는 단계(T2);If there are two or mor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second character portion,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second character portion are repeatedly designated by the user repeatedly or at regular time intervals until the vertical pressing of the stick protrusion and the action of the stick portion are released. Is changed (T2); 상기 스틱부돌기의 수직누름 및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문자가 확정되는 단계(T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Characteriza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T3) of the character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is determined at the moment the vertical pressing of the stick projec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stick portion.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출력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he signal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device can be output by the display unit, 제1항의 조이스틱형의 문자입력부와 기능입력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기능입력부의 상기 스틱부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킴에 의해서 UP, DOWN, RIGHT, LEFT의 4방향의 위치이동기능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디스플레이부에 수행되는 단계(U1);Move the position of four directions of UP, DOWN, RIGHT, and LEFT by operating the stick part of the function input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using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joystick type character input unit and the function input unit of claim 1 Performing any one of functions (U1) on the display unit; 상기 스틱부의 동작이 해제되는 순간에 위치이동기능이 디스플레이부에 정지되는 단계(U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And a step (U2) of stopping the position movement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at the moment when the operation of the stick unit is released. 제 11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단계 U1에 있어서 상기 기능입력부의 스틱부돌기를 문자입력패널의 수직방향으로 누름을 동시에 행하여 미리 지정된 기능항목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단계(V1);(V1) output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item to the display unit by simultaneously pressing the stick projection of the function input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panel in step U1; 상기 누름동작을 해지후 스틱부를 수평방향으로 동작시켜 기능항목을 선택하는 단계(V2);Selecting a function item by operating the stick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fter releasing the pressing operation (V2); 상기 선택된 기능항목을 스틱부돌기를 문자입력패널의 수직방향으로 누름동작으로 실행시키는 단계(V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And (V3) executing the selected function item by pressing a stick proj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text input panel. 제 12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가능한 기능항목은 통상적으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것인 페이지업, 페이지다운, 홈(Home), 엔드(End), 엔터(Enter), 스페이스(Space), 인서트(Insert), 백스페이스(back space), 컨트롤(Ctrl), 알트(Alt), 에스케이프(ESC)임을 특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Function items that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are page-up, page-down, home, end, enter, space, insert, and backspace that are commonly used in a computer. (back space), control (Ctrl), Alt (Alt), escape (ESC)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적어도 두 개의 방향들에 각각 복수의 문자부들을 구비하고, 각 문자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들이 매핑되는 문자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문자입력부는 스틱부돌기를 구비하여 문자부 및 문자부 내의 문자를 선택하는 휴대단말기의 문자처리 방법에 있어서, A plurality of character portions are provid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respectively, and each character portion includes a character input portion to which at least one character is mapped. The character input portion includes a stick portion protrusion to characterize the character portion and the characters in the character portion. In the character processing method of the selected mobile terminal, 상기 스틱부돌기의 눌림 여부에 따라 문자부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스틱부의 슬라이딩 방향 및 슬라이딩 지속시간에 따라 매핑된 문자데이타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문자데이타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처리방법.And a process of setting a character part according to whether the stick part protrusion is pressed, setting a character data mapped according to a sliding direction and a sliding duration of the stick part, and displaying the set character data. Character input process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60071231A 2006-07-28 2006-07-28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KR1012540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231A KR101254070B1 (en) 2006-07-28 2006-07-28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231A KR101254070B1 (en) 2006-07-28 2006-07-28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760A KR20080010760A (en) 2008-01-31
KR101254070B1 true KR101254070B1 (en) 2013-04-12

Family

ID=3922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231A KR101254070B1 (en) 2006-07-28 2006-07-28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0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24B1 (en) * 2010-06-16 2012-04-20 (주)아이티버스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476A (en) * 2001-08-20 200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stick type pad of mobile phone
KR20040089437A (en) * 2003-04-14 2004-10-21 톤스텝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key input for portable terminals
KR20060069165A (en) * 2004-12-17 200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joystick and terminal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476A (en) * 2001-08-20 200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stick type pad of mobile phone
KR20040089437A (en) * 2003-04-14 2004-10-21 톤스텝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key input for portable terminals
KR20060069165A (en) * 2004-12-17 200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joystick and terminal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760A (en)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6258B1 (en) Keypad
KR100652725B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a terminal
KR100750120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circular key arrangement
KR20040088060A (en) Input device, mobi1e te1ephone, and mobi1e information device
WO20100899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rogram
US20030030573A1 (en) Morphology-based text entry system
KR20060101367A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number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KR101808774B1 (en)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101254070B1 (en)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WO2003107632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4220536A (en) Input device for information processor
KR20080097563A (en) Keyboard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071597A (en) Device for data execution
KR10027137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with restricted keys, method and telephone terminal using same
US20030202650A1 (en) Input method for characters and the like
KR101261227B1 (en) Virtual keyboard input device, and data input method thereof
KR100557139B1 (en) Key array of keyboard
KR2006010957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verting its qwerty keypad character input mode
KR19990007518A (en) Character input method of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15728B1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specific key-buttons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JP2001356872A (en) Device for inputting key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1223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terminal
JP2003209607A (en) Portable terminal
CN101021761B (en) Screen keyboard inputting method
KR102307004B1 (en) Korean alphabet keyboard with common vowel buttons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vowel us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