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200B1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200B1
KR101253200B1 KR1020110076415A KR20110076415A KR101253200B1 KR 101253200 B1 KR101253200 B1 KR 101253200B1 KR 1020110076415 A KR1020110076415 A KR 1020110076415A KR 20110076415 A KR20110076415 A KR 20110076415A KR 101253200 B1 KR101253200 B1 KR 101253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ultimedia device
video data
condition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762A (ko
Inventor
오경윤
한미경
김재한
우정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6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200B1/ko
Priority to EP16000800.9A priority patent/EP3062524A1/en
Priority to EP12000242A priority patent/EP2555541A1/en
Priority to US13/396,458 priority patent/US20130033648A1/en
Priority to CN201210050094.4A priority patent/CN102917190B/zh
Publication of KR2013001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와,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커맨드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메시지가 실행되는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생성된 메시지 및 상기 설정된 실행 조건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현재 상태가 상기 실행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믹싱하는 믹서 및 상기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 및 메시지가 스크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 기능 또는 광고 기능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방송 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에 해당한다.
텔레비전은 현대인들이 각종 정보를 획득하거나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대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기기로 잡아가고 있다. 텔레비전은 단순히 영상 채널만 보여주던 기존의 기능을 넘어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콘텐츠에 대한 검색을 할 수 있거나,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개인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등 그 기능이 확장되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현황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텔레비전에서 방송과 함께 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외부 장비를 이용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대부분의 식당, 매장 등에서는 손님들이 텔레비전을 시청하고 있을 때, 텔레비전을 이용하여 식당이나 매장 홍보를 하고자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도중에 메모, 동영상 등과 같은 다른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없었다. 따라서, 텔레비전(10)에서 방송 중인 화면과 홍보 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외부 장비(20)를 이용하여 화면을 가공하는 과정과 장비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비(20)를 이용하여 방송에 대한 화면과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화면을 함께 제공하는 과정에서 방송 화면(11) 위에 추가 화면(13)을 덮어서 그리게 된다. 따라서, 텔레비전 방송 화면(11)이 추가 화면(13)에 가려져 텔레비전 시청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런 이유로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주로 스크린의 하단 일부분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한편, 최근에서 텔레비전에 메모장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중요 메모를 기록해 둘 수 있고, 이를 통해 텔레비전 사용자 상호 간에 중요 메모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텔레비전의 리모트 컨트롤러만을 이용하여 메모를 전달하거나 메모를 편집하기에는 제한이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메모를 남기기 위하여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 리모트 컨트롤러에 문자 입력 버튼이 없는 경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하나씩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메모를 편집하는 데에도 제한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방송 화면 위에 메모를 덮어서 디스플레이하게 됨으로써 텔레비전 시청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방송 신호와 함께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방송 신호와 함께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템플릿을 정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방송 신호와 함께 제공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쉽게 컨트롤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와,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커맨드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메시지가 실행되는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생성된 메시지 및 상기 설정된 실행 조건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현재 상태가 상기 실행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믹싱하는 믹서 및 상기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 및 메시지가 스크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타입의 메시지 및 상기 제1타입의 메시지가 실행되는 제1조건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타입의 메시지 및 상기 제2타입의 메시지가 실행되는 제2조건을 수신하는 단계와, 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현재 상태가 상기 제1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사이즈를 제1사이즈로 조정하고, 상기 제1타입의 메시지를 상기 스크린의 기설정된 제1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현재 상태가 상기 제2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사이즈를 제2사이즈로 조정하고, 상기 제2타입의 메시지를 상기 스크린의 기설정된 제2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방송 신호 화면을 가리거나 왜곡하지 않고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가족간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매장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시지를 작성함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쉽게 작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종래 텔레비전에서 방송과 함께 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외부 장비를 이용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기능을 선택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생성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메시지를 편집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메시지를 삭제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서 메시지를 삭제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생성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템플릿제공부에서 스크린의 프레임에 관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템플릿제공부에서 스크린의 프레임과 그에 따른 메시지의 구성 요소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템플릿제공부에서 메시지의 내용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템플릿제공부에서 메시지 효과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생성부에서 사진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설정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메시지가 실행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메시지가 실행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설정부에서 메시지 설정을 변경하는 과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설정부에서 메시지 설정을 변경하는 과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설정부에서 설정한 실행 조건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다만,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방송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20), 유저 인터페이스(130), 메모리(140), 생성부(150), 설정부(160), 믹서(170), 템플릿제공부(180), 컨트롤러(190), 디스플레이부(191), 오디오출력부(193) 및 전원공급부(195)를 포함한다.
방송수신부(110)는 복조부(111), 디멀티플렉서(113), 오디오 디코더(115), 비디오 디코더(11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9)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복조부(111)와 디멀티플렉서(113)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9)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9)를 구비하면서 복조부(111)와 디멀티플렉서(113)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9)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튜너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9)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9)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1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9) 또는 튜너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113)는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한다.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디코더(115)에서 디코딩하고,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117)에서 디코딩한다.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되고, 상기 컨트롤러(190)는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한 후에 디스플레이부(191)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출력부(193)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2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2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BD(Blu-ray Disc,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20)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90) 또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190)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9)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9)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9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9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200)로부터 전원 온(on)/오프(off),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19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1)는 컨트롤러(19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2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91)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193)는 컨트롤러(19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출력부(193)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5)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컨트롤러(19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91),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출력부(19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사용자 입력을 유저 인터페이스(13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대해서는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생성부(15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입력된 커맨드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고, 설정부(160)는 상기 메시지가 실행되는 조건을 설정한다. 상기 생성된 메시지 및 메시지의 실행 조건은 메모리(140)에 저장된다.
상기 커맨드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메시지 생성에 관한 명령 신호로, 메시지 작성, 메시지 편집, 메시지 삭제 등에 관한 명령 신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맨드는 메모 기능 또는 광고 기능을 포함한 메시지 기능을 선택하는 커맨드를 포함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기능을 선택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족들에게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 메모 기능(151)과 매장(식당, 가게, 상점 등)에서 상기 매장을 홍보할 수 있는 광고 기능(153)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먼저, 메모 기능(151)은 가족들간 또 하나의 의사소통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가족간 집에서 공유하는 시간이 작은 경우에, 집안의 경조사, 부모님의 자녀 시간 관리, 중요한 약속 시간 및 내용 등을 메모 기능을 통하여 알림으로써 효율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족간에 휴대 단말 등을 통하여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가 많은데,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람이 밖에 있는 경우 막상 집에 와서는 메시지 내용을 잊어버리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의 메모 기능(151)을 이용하면, 집에 와서 텔레비전을 켰을 때, 또는 텔레비전을 보다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어 메모 전달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고 기능(153)은 손님들에게 자연스럽게 가게를 홍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매장은 밖에 지나가는 사람들 또는 가게 안에 머무르는 손님들에게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식당 같은 경우에, 밥을 먹으면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손님이 많고, 편의점이나 식당의 테라스와 같이 밖에서 음료를 마시거나 밥을 먹으면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손님도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고 기능(153)을 이용하면 텔레비전 시청을 하면서 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광고 메시지를 함께 보게 되어 홍보 효과가 극대화되고, 그 거부감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3의 (a)에서 메모 기능(151)을 선택하는 경우에, 도 3의 (b)와 같이 메모 기능(151) 탭이 포커스되면서 메모 기능에 대한 설명(151a)이 나타나고, 도 3의 (a)에서 광고 기능(153)을 선택하는 경우에, 도 3의 (c)와 같이 광고 기능(153) 탭이 포커스되면서 광고 기능에 대한 설명(153a)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두 가지의 기능 중에서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는 것을 실시 예로서 도시하였지만, 복수 개의 기능 중에서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템플릿제공부(18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메시지의 생성 또는 메시지의 실행 조건의 설정과 관련한 템플릿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템플릿(template)은 무엇인가를 만들 때 안내역할을 하는데 사용되는 형식(꼴), 틀 또는 모형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템플릿은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본적인 양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템플릿제공부(180)는 메시지의 내용, 상기 메시지의 구성 요소,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사이즈,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의 배치에 관한 스크린 내 프레임 및 상기 메시지의 효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메시지의 기능을 별도로 선택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기능별로 템플릿을 달리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의 (a)에서 메모 기능(151)을 선택하였을 때를 제1실시예로 보아 본 발명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생성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a)에서 메시지의 기능으로 메모 기능(151)을 선택하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메모 작성 메뉴(300)와 기존에 작성된 메모들(400)이 함께 도시된다.
메모 작성(300) 메뉴를 클릭하여 메시지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메시지는 텍스트, 사운드, 그림, 사진, 동영상 및 멀티미디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기존에 작성된 메모들(400)은 이전에 작성되어 저장된 메시지들로, 메시지 타입, 메시지 내용, 메시지 생성 날짜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아직 사용자가 읽지 않은 메모는 별도로 표시(410)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작성된 메모가 한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경우에는 화살표(420)를 표시하여 페이지를 넘겨볼 수 있도록 하고, 작성된 메모가 너무 많거나 다 확인한 경우에는 삭제할 수 있도록 삭제하는 메뉴(500)를 둘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의 메시지를 편집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메시지를 편집하여 편집된 메시지를 다시 다른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하거나, 선택된 메시지만 삭제할 수 있다.
도 5의 (a)에서 기존의 작성된 메시지(400) 중 편집하고자 하는 메시지(430)를 클릭하면, 도 5의 (b)와 같이 선택한 메시지(430)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440)할지 삭제(450)할지 선택한다. 도 5의 (b)에서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440)을 클릭하면 메시지 내용이 편집될 수 있도록 메시지 내용에 커서(460)가 깜박거리고 가상 키보드(480)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480)를 이용하여 메시지 내용을 추가 또는 재작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480)를 이용할 때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다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가족들 간에 간단한 메모를 주고받기 위한 것이므로 메시지 사이즈를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편집 화면에서 현재 입력된 글자수/ 최대 입력 글자수(470)를 표시할 수 있고, 메시지가 텍스트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된 메모리 크기/ 사용가능한 메모리 크기를 대신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서의 메시지를 삭제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작성된 메시지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편집 또는 삭제할 수도 있지만, 작성된 메시지를 전부 삭제하는 경우에 개별적으로 삭제하는 것을 불편하므로 도 6에서는 작성된 메시지 전체를 일괄적으로 삭제하고자 한다.
도 6의 (a)에서 전부 삭제 메뉴(500)를 클릭하면, 도 6의 (b)와 같이 받은 메모를 전부 삭제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메뉴(510)가 나온다. 전부 삭제를 선택하면 도 6의 (c)와 같이 메시지는 전부 삭제되고, 삭제하였다는 안내 메시지가 나온다. 전부 삭제를 선택하지 않으면 다시 도 6의 (a)로 돌아가게 된다.
도 7은 도 4에서의 메시지를 삭제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사용자가 삭제하지 않고 계속해서 메시지를 생성만 하는 경우에 메모리(140)의 용량이 모자라거나 시스템에 부하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 개수를 미리 설정해두고,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메시지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메모함이 꽉 차서 새로운 메시지 생성시 가장 오래된 메시지가 자동 삭제됨을 팝업 메시지 형태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새로운 메시지 생성이 완료되면 가장 오래된 메시지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저장할 수 있는 메시지의 개수를 설정해둠으로써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서 광고 기능(153)을 선택하였을 때를 제2실시예로 보아 본 발명을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생성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a)에서 메시지의 기능으로 광고 기능(153)을 선택하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광고 제작 메뉴(600)와 기존에 작성된 메시지들(1 내지 7)이 함께 도시된다.
광고 제작 메뉴(600)를 클릭하여 메시지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메시지는 텍스트, 사운드, 그림, 사진, 동영상 및 멀티미디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특히, 기존에 작성된 메시지들(1 내지 7) 중에서 현재 광고 화면으로 설정되어 실행되고 있는 메시지(700)는 별도로 표시할 수 있으며, 현재 광고 화면으로 설정된 광고 메시지는 항상 1번 자리로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현재 실행되는 광고 메시지를 바로 알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외 페이지 표시(710)를 할 수 있으며, 작성된 메시지가 많은 경우에 페이지를 이동할 수 이동할 수 있는 화살표(720)를 표시하여 페이지를 넘겨볼 수 있다. 또한, 작성된 광고 메시지가 너무 많거나 실행되지 않는 광고 메시지가 많은 경우에는 메시지 전부를 삭제할 수 있도록 삭제 메뉴(800)를 둘 수 있다.
상기 광고 작성 메뉴(600)를 통해 새로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템플릿제공부에서 스크린의 프레임에 관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사용자가 광고 제작 메뉴(600)를 선택한 경우에, 생성된 메시지가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영역을 먼저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템플릿제공부(180)는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메시지의 배치에 관한 스크린의 프레임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리스트(610)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리스트(610)는 실시 예들이므로, 다른 형태의 프레임 리스트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9에 도시된 스크린의 프레임에 관한 템플릿 이외에, 상기 템플릿제공부(180)에서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상기 스크린의 프레임을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템플릿제공부에서 스크린의 프레임과 그에 따른 메시지의 구성 요소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9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프레임(611)에 대하여 메시지 구성 요소를 배치하는 템플릿을 제공하는 일실시예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고 제작 영역 내에서 다양한 레이아웃을 제공받아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레이아웃 안에서 메시지 구성요소를 삽입하여 광고를 제작할 수 있다.
광고 수단 즉, 상기 메시지 구성요소는 텍스트, 사운드, 그림, 사진, 동영상 및 멀티미디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다. 도 9에서는 텍스트 또는 사진만을 메시지 구성요소로 도시하였으나, 그 외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는 요소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템플릿제공부에서 메시지의 내용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에서 메시지 구성요소가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레이아웃(613)을 선택한 경우를 일실시예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템플릿제공부(190)는 메시지의 내용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템플릿제공부(190)에서 제공하는 메시지의 내용이 사용자가 기존에 썼던 내용을 히스토리(History)로 저장해뒀다가 다시 제공하는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사용자가 기존에 작성한 메시지가 없더라도 템플릿제공부(190)에서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한 메시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광고 메시지의 경우에 식당, 가게 등의 매장에서 길거리에 다니는 사람들이 매장 안으로 들어오도록 유인하기 위하여 할인 행사 내용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방송과 함께 디스플레이하고자 할 때 사용 가능하다. 또한, 매장 내의 손님들이 텔레비전 시청을 하면서 오늘의 할인 행사 안내를 받도록 하거나, 손님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이처럼, 자주 쓰는 문구들이 정해져 있으므로, 메시지 내용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빠른 시간 내에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고 메시지에 대해서도 기존의 작성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편집할 수도 있다. 따라서, 템플릿제공부(190)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내용을 선택한 후에, 그 내용을 바탕으로 상황에 맞게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템플릿제공부에서 메시지 효과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메시지의 구성 요소 중 텍스트에 대하여 효과를 내기 위한 템플릿의 일실시예이다. 같은 내용의 메시지라 할지라도, 크기나 색깔 등에 의해서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는 내용이나 느낌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자 색(620), 글자 크기(630), 슬라이드 효과(640) 및 배경색(650)을 설정할 수 있는 템플릿을 제공하여 메시지의 효율적인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림 메시지 또는 사진 메시지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효과, 반전 효과, 흑백 효과 등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동영상 메시지에 대해서도 흑백 효과, 그림 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를 낼 수 낼 수 있는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생성부에서 사진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3의 (a)는 도 10에서 메시지 구성요소가 사진만으로 구성된 레이아웃(615)을 선택한 경우로, 사진에 대한 기본 옵션 메뉴(617)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옵션 메뉴(617)는 사진 삽입시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선택하는 옵션 사항들에 대한 메뉴이다. 예를 들어, 삽입되는 사진은 사이즈가 조정되고, 그때 생기는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한 색이 필요하므로 사진의 배경색에 대한 옵션 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되는 사진의 위치를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만 삽입되도록 할 것인지, 삽입되는 순서대로 기설정된 위치에 삽입되도록 할 것인지 등의 삽입되는 사진의 위치, 정렬 여부 등에 대한 옵션 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삽입할 사진을 가져올 공간을 선택하는 옵션 사항도 제공할 수 있는데, 도 13의 (b)에서는 USB에 저장된 사진 중에서 사진을 선택하는 것을 실시 예로 들었다. USB 이외에 기설정된 폴더에서 사진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주변 장치를 포함한 모든 곳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3의 (c)에서는 도 13의 (b)의 여러 사진들 중에서 특정 사진(619)이 선택되어 삽입된 실시 예를 도시하였다. 모든 사진들이 다 삽입되면, 그 위치에 고정되어 보이도록 할 수 있고, 슬라이드 효과를 이용하여 삽입된 사진들이 왼쪽에서 오른쪽에서 움직이도록 하여 반복적으로 보여주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설정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에서 메모 기능(151)을 선택하였을 때의 설정부(160)를 일실시예로서 도시하였다. 설정부(160)는 메시지가 실행되는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메시지가 실행되는 조건은 메시지가 실행되는 날짜(162), 실행되는 시간(162), 반복 실행되는 횟수(164), 반복 실행되는 주기(163)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전원 상태에 따른 메시지의 실행 여부(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실행 조건 이외에 메시지 실행과 관련하여 설정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모든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전원 상태에 따른 메시지의 실행 여부(161)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 예를 들어, TV의 전원이 켜질 때 메시지가 실행되도록 하는 조건이다. 따라서, TV의 전원이 켜질 때 메시지가 실행되도록 설정해두었다면, 메시지가 실행되는 시간(162) 및 반복 실행되는 주기(164) 예를 들어, 요일 반복에 관한 조건은 설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 14에서 TV ON했을 때 메모 알림을 'ON' 상태로 설정하였다면 메모 알림 시간(162) 및 요일 반복(163) 항목이 비활성화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TV ON했을 때 메모 알림을 'OFF'상태로 설정하였다면 메모 알림 시간(162) 및 요일 반복(163) 항목이 활성화되어 메시지가 실행되는 요일 및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믹서(170)는 현재 상태가 설정된 실행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및 저장된 메시지를 믹싱하고, 컨트롤러(190)는 상기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 및 데이터가 스크린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실행 조건에 따라 메시지를 실행시키고자 할 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원이 꺼져 있을 수 있으며, 이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원을 켜면서 메시지를 실행하고자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전원 상태에 따라 메시지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가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미도시)와 상기 타이머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는 현재의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예컨대, 실시간 클럭(RTC:Real-Time Clock)이 사용되며, 스크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도 정확한 시간 정보를 유지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내장되거나,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믹서(170)는 상기 타이머로부터 얻은 현재 실시간 정보가 실행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및 저장된 메시지를 믹싱하고, 상기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 및 메시지는 컨트롤러(190)에 의해 스크린에 출력된다.
다만,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라면, 상기 컨트롤러(190)는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상기 메모리(140)를 참조하여 저장된 메시지가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스크린의 전원은 꺼진 상태이나,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컨트롤러(190)에는 소정의 동작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상기 메모리(140)를 확인한 결과, 저장된 메시지가 있을 경우, 저장된 메시지의 실행 시간과 현재의 시간 정보를 비교한다. 체크된 메시지의 실행 시간과 현재 시간이 같을 경우, 상기 컨트롤러(190)는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스크린의 전원을 온(on) 상태로 전환한다. 믹서(170)는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해당 메시지를 믹싱하고, 컨트롤러(190)는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 및 메시지가 상기 스크린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전원이 꺼져있더라도, 메시지의 실행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전원이 온(on)되면서 메시지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게나 매장 같은 경우에 오픈 시간에 맞추어 자동으로 메시지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오프(off)되어 있으면, 전원을 온(on)시키면서 메시지를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메시지를 놓칠 확률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메시지가 실행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에서 메모 기능(151)을 선택하였을 때의 제1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메시지가 실행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도 15에 도시된, 메모에서 "확인" 버튼(520)을 누르면, 메시지는 사라진다. 다만, 사용자가 "확인"버튼(520)을 누르지 않을 경우, 기설정된 시간 동안(예를 들어, 40초)만 보이다가 메시지는 사라져버리고,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5분)이 흐른 후 다시 보인다. 이러한 과정을 실행 조건으로 설정된 반복 시행되는 횟수(예를 들어, 5회)만큼 반복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라면, 전원이 온(on)되면서 도 15와 유사한 형태로 메시지가 실행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메시지가 실행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에서 광고 기능(153)을 선택하였을 때의 제2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메시지가 실행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제2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는 제1실시예에 따라 집 안에서 가족들 간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사용되는 메시지처럼 1회성으로 끝나는 경우보다, 설정된 기간 동안 계속적으로 보여지는 경우가 훨씬 많다. 또한, 특정 대상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고, 가게 손님이나 길거리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고, 일방적으로 전하는 메시지이기 때문에 제1실시예처럼 "확인"버튼(520)이 별도로 필요하지는 않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설정부에서 메시지 설정을 변경하는 과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에서 도시한 생성부의 제2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메시지의 설정을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광고 화면으로 설정된 광고 메시지는 항상 1번 자리로 배치되도록 하여 현재 광고 화면으로 설정되어 실행되고 있는 메시지라는 별도의 표시(700)를 한다.
그런데, 새롭게 생성한 메시지 또는 기존의 저장된 메시지를 현재 광고 화면으로 재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템플릿(900)을 제공한다.
상기 템플릿(900)에서 현재 광고 화면으로 재설정하고자 하는 메시지(2번 메시지)에 대해서 '실행' 메뉴를 선택하면 도 17의 (b)와 같이 새로운 광고 적용을 수행할지 확인하는 팝업창(910)이 나타나며, '확인'을 선택하면 선택된 광고 메시지가 1번 자리로 배치되면서 현재 광고 화면으로 설정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설정부에서 메시지 설정을 변경하는 과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7과는 달리, 현재 광고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메시지에 대해서 현재 광고 화면으로의 설정을 중단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현재 광고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메시지는 설정되어 있다는 표시(700)가 되어 있고,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템플릿(920)을 제공한다.
상기 템플릿(920)에서 현재 광고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메시지(1번 메시지)에 대해서 '중단' 메뉴를 선택하면 도 18의 (b)와 같이 메시지 설정이 변경되어 홍보가 중단된다는 팝업창(930)이 나타난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설정부에서 설정한 실행 조건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오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5분 간격으로 광고 기능의 메시지(940)가 실행되도록 설정부(160)에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여 도 19를 설명한다.
오후 7시가 되기 이전까지는 도 19의 (a)처럼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오후 7시가 되면 상기 설정된 메시지(940)가 실행된다. 실행되는 시간을 1분으로 설정해 둔 경우, 1분이 지나면 상기 메시지(940)는 실행되지 않다가, 5분 간격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해두었으므로, 다시 7시 5분이 되면 상기 메시지(940)가 실행된다.
한편,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부(150)로 커맨드를 입력한다. 특히,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200)가 키 입력 버튼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가상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움직임만으로도 메시지를 생성 및 편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1)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나아가, 도 2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91)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상하, 좌우(도 20의 (b)), 앞뒤(도 20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91)에 표시된 포인터(201)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1)가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20의 (b)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외쪽으로 이동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91)에 표시된 포인터(201)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로 전송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의 (c)는, 리모트 컨트롤러(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디스플레이부(191)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91)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 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디스플레이부(191)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91)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 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이용할 경우 도 3, 도 4 내지 도 6,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화면에서 메뉴 선택, 메시지 작성 및 편집 등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210), 사용자입력부(220), 센서부(230), 출력부(240), 저장부(250), 전원공급부(260), 제어부(270)를 포함하고, 무선통신부(21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 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1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1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로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1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1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13)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로 전원 온(on)/오프(off),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2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220)를 조작하여 리모트 컨트롤러(200)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30)는 자이로센서(231) 또는 가속도센서(23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센서(231)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233)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사용자입력부(22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4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220)의 조작 여부 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240)는 사용자입력부(220)가 조작되거나 무선통신부(210)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4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4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4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47)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리모트 컨트롤러(200)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 RF 모듈(21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200)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원공급부(26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사용자입력부(22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30)에서 센싱한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통신부(210)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270)는, RF 모듈(211) 또는 IR 모듈(213) 등을 제어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91)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와 관련한 입력 신호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움직임에 따른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정확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 특유의 장점이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로, 도 22를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타입의 메시지 및 상기 제1타입의 메시지가 실행되는 제1조건을 수신하고(S1000),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타입의 메시지 및 상기 제2타입의 메시지가 실행되는 제2조건을 수신한다(S1100). 또한, 스크린 전체 영역에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1200).
상기 제1조건 또는 제2조건은 메시지가 실행되는 날짜, 실행되는 시간, 반복 실행되는 횟수, 반복 실행되는 주기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에 따른 상기 메시지의 실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타입 또는 상기 제2타입은 텍스트, 사운드, 그림, 사진, 동영상 및 멀티미디어 타입 중 하나이다.
현재 상태가 상기 제1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S1300),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사이즈를 제1사이즈로 조정하고(S1400), 상기 제1타입의 메시지를 상기 스크린의 기설정된 제1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1500).
또한, 현재 상태가 상기 제2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S1600),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사이즈를 제2사이즈로 조정하고(S1700), 상기 제2타입의 메시지를 상기 스크린의 기설정된 제2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1800).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도면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950) 및 제2영역(960)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 영역(970)이 가려지는 부분이 없이 함께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도 23에 도시된 상기 제1영역(950) 및 상기 제2영역(960)이 스크린에서 차지하는 위치 및 크기는 일실시예이고, 미리 설정하는 바에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메시지와 함께 보여줌으로써, 비디오 데이터가 가려지는 부분이 없어 방송 시청에 방해기 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사이즈 또는 제2사이즈로 조정을 하는 경우에 비디오 데이터의 왜곡이 생기지 않도록 시청 화면의 비율이 유지되도록 조정할 수 있는데, 왜곡 없이 정비율로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조정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이때 상기 제1조건 또는 제2조건이 시간 정보와 관련이 있는 경우, 상기 방법은 타이머로부터 실시간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조건 또는 제2조건이 상기 실시간 정보에 해당하는지 메모리를 참조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상기의 방법은 타이머로부터 실시간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조건 또는 제2조건이 상기 실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에 메모리를 참조하여, 해당하면 상기 디스프레이부의 전원을 온(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로, 도 24를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저장해둔 메시지를 실행하고자 하는 것인지, 새로운 메시지를 생성하고자 하는 것인지에 대한 선택 신호를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한다(S2000). 사용자가 새로운 메시지를 생성하고자 하는 것이라면(S2000-No), 메시지의 내용, 상기 메시지의 구성 요소,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사이즈 및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의 배치에 관한 스크린의 프레임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한다(S2100).
상기 템플릿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구성 요소 및 내용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메시지를 생성하고(S2200), 상기 생성된 메시지가 실행되는 조건을 설정한다(S2300).
또한, 상기 사용자가 저장해둔 메시지를 실행하고자 하는 것이라면(S2000-Yes), 저장된 메시지가 실행되는 조건을 다시 설정할 수 있다(S2300). 이때,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및 디코딩한다.
현재 상태가 상기 메시지의 실행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S2400), 실행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메시지를 믹싱하여(S2500)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와 메시지를 출력한다(S2600).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10 방송수신부 111 튜너
113 디멀티플렉서 115 오디오 디코더
117 비디오 디코더 119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 130 유저 인터페이스
140 메모리 150 생성부
160 설정부 170 믹서
180 템플릿제공부 190 컨트롤러
191 디스플레이부 193 오디오 출력부
195 전원공급부
200 리모트 컨트롤러

Claims (15)

  1.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는 디멀티플렉서;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커맨드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메시지가 실행되는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생성된 메시지 및 상기 설정된 실행 조건을 저장하는 메모리;
    현재 상태가 상기 실행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믹싱하는 믹서;
    상기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 및 메시지가 스크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메시지의 생성 또는 상기 실행 조건의 설정과 관련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템플릿제공부는, 상기 스크린의 프레임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크린의 프레임을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템플릿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는, 메모 기능 또는 광고 기능을 포함한 메시지 기능을 선택하는 커맨드를 포함하고,
    상기 템플릿제공부는, 상기 선택한 메시지의 기능별로 템플릿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제공부는,
    상기 메시지의 내용, 상기 메시지의 구성 요소,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사이즈,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의 배치에 관한 스크린의 프레임 및 상기 메시지의 효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구성 요소는,
    텍스트, 사운드, 그림, 사진, 동영상 및 멀티미디어 중 적어도 하나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실시간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믹서는, 현재 실시간 시간 정보가 상기 실행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믹싱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조건은,
    상기 메시지가 실행되는 날짜, 실행되는 시간, 반복 실행되는 횟수, 반복 실행되는 주기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에 따른 상기 메시지의 실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부로 커맨드를 입력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0.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타입의 메시지 및 상기 제1타입의 메시지가 실행되는 제1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타입의 메시지 및 상기 제2타입의 메시지가 실행되는 제2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현재 상태가 상기 제1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사이즈를 제1사이즈로 조정하고, 상기 제1타입의 메시지를 상기 스크린의 기설정된 제1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현재 상태가 상기 제2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사이즈를 제2사이즈로 조정하고, 상기 제2타입의 메시지를 상기 스크린의 기설정된 제2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타이머로부터 실시간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조건 또는 상기 제2조건이 상기 실시간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지 메모리를 참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건 또는 제2조건은,
    메시지가 실행되는 날짜, 실행되는 시간, 반복 실행되는 횟수, 반복 실행되는 주기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에 따른 상기 메시지의 실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타이머로부터 실시간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조건 또는 상기 제2조건이 상기 실시간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지 메모리를 참조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입 또는 상기 제2타입은,
    텍스트, 사운드, 그림, 사진, 동영상 및 멀티미디어 타입 중 하나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5. 제 10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76415A 2011-08-01 2011-08-0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KR101253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415A KR101253200B1 (ko) 2011-08-01 2011-08-0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EP16000800.9A EP3062524A1 (en) 2011-08-01 2012-01-1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nformation on a television
EP12000242A EP2555541A1 (en) 2011-08-01 2012-01-1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nformation on a television
US13/396,458 US20130033648A1 (en) 2011-08-01 2012-02-14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nformation on a television
CN201210050094.4A CN102917190B (zh) 2011-08-01 2012-02-29 用于控制在电视机上的信息的显示的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415A KR101253200B1 (ko) 2011-08-01 2011-08-0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62A KR20130014762A (ko) 2013-02-12
KR101253200B1 true KR101253200B1 (ko) 2013-04-10

Family

ID=4552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415A KR101253200B1 (ko) 2011-08-01 2011-08-0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033648A1 (ko)
EP (2) EP2555541A1 (ko)
KR (1) KR101253200B1 (ko)
CN (1) CN1029171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206B1 (ko) * 2011-04-06 201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40062799A (ko) * 2012-11-15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메시지 전달 방법
KR20140082298A (ko) * 2012-12-24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메세지 표시 방법
USD767606S1 (en) * 2014-02-11 2016-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127907B2 (en) * 2014-05-13 2018-11-13 Sharp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and message output control system
TWI574518B (zh) * 2015-01-08 2017-03-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低耗電藍牙傳送設備和低耗電藍牙接收設備以及其方法
ITUB20155934A1 (it) * 2015-11-26 2017-05-26 Joshua Mendella sistema e metodo interattivo per la diffusione di messaggi pubblicitari in televisione
CN105979328A (zh) * 2016-06-27 2016-09-28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具有备忘提醒的电视及电视备忘提醒方法
US10728623B2 (en) * 2018-06-06 2020-07-28 Home Box Office, Inc. Editing timed-text elements
CN114866636B (zh) * 2021-02-04 2023-05-05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留言显示方法、终端设备、智能设备及服务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4183A (ja) * 2002-09-03 2004-03-25 Rising System Management Kk 画像広告システム
JP2004282577A (ja) * 2003-03-18 2004-10-07 Seiko Epson Corp テレビジ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0555B1 (en) * 1996-03-29 2001-05-29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entertainment system for presenting supplemental interactive content together with continuous video programs
KR100200625B1 (ko) * 1996-09-30 1999-06-15 윤종용 텔레비젼을 이용한 음성 및 문자 사서함 열람장치 및 방법
TW447221B (en) * 1998-08-26 2001-07-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Television message system
US7694319B1 (en) * 1998-11-02 2010-04-06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program guide with continuous data stream and client-server data supplementation
US20060242665A1 (en) * 1999-07-20 2006-10-26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s with initial channel tuning
EP1079619B1 (en) * 1999-08-26 2006-10-18 Sony Service Centre (Europe) N.V. Televis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television system
US6681396B1 (en) * 2000-02-11 2004-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detection/resumption of interrupted television programs
FR2824223A1 (fr) * 2001-04-25 2002-10-31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de controle de la visualisation d'emissions audiovisuelles, et recepteur apte a les visualiser
US20030028884A1 (en) * 2001-08-03 2003-02-06 Swart William D. Video and digital multimedia aggregator content availabilit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8365230B2 (en) * 2001-09-19 2013-01-29 Tvworks, Llc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applications
US20030140343A1 (en) * 2002-01-18 2003-07-2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Remote wireless device with EPG display, intercom and emulated control buttons
US20050179702A1 (en) * 2004-02-13 2005-08-18 Video Delta, Inc. Embedded video processing system
CN1961572B (zh) * 2004-05-26 2012-12-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广播系统、广播台装置、接收装置及广播方法
WO2006038195A1 (en) * 2004-10-05 2006-04-13 Beko Elektronik Anonim Sirketi A method for reminding programs in televisions
US20060085819A1 (en) * 2004-10-14 2006-04-20 Timo Bruck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metadata search
US20070266406A1 (en) * 2004-11-09 2007-11-15 Murali Aravamuda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ctions using a non-intrusive television with reduced text input
US9189793B2 (en) * 2005-04-15 2015-11-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and displaying messages
CN1856047A (zh) * 2005-04-28 2006-11-0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显示系统及其定时提醒方法
US20090144626A1 (en) * 2005-10-11 2009-06-04 Barry Appelman Enabling and exercising control over selected sounds associated with incoming communications
MX2008009118A (es) * 2006-01-17 2009-01-29 Send M Ltd Sistema y metodo de mensajes moviles entre multiples origenes y multiples destinos.
US8516398B2 (en) * 2006-05-08 2013-08-2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raphically delimiting text message content for a mobile radio terminal
JP4763020B2 (ja) * 2007-12-27 2011-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表示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8312486B1 (en) * 2008-01-30 2012-11-13 Cinsay, Inc. Interactive product plac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WO2010018421A1 (en) * 2008-08-14 2010-02-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xtended television reminders
US8789113B2 (en) * 2008-08-29 2014-07-22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eminder notification for a set-top box
US20100225815A1 (en) * 2009-03-05 2010-09-09 Vishal Vincent Khatri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ndering user customizable multimedia signals on a display device
US8849097B2 (en) * 2009-12-21 2014-09-3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nergy-efficient media equipment device
KR20110076415A (ko) 2009-12-29 2011-07-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네가티브형 액상 포토레지스트용 조성물
KR20120028030A (ko) * 2010-09-14 2012-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US9269047B2 (en) * 2010-12-09 2016-02-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ule-based selection of content
US20120249596A1 (en) * 2011-03-31 2012-10-04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ynamically scaling a touch display user interface
US20120260283A1 (en) * 2011-04-11 2012-10-11 Echostar Technologies L.L.C. Associating Interactive Notes with Program Con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4183A (ja) * 2002-09-03 2004-03-25 Rising System Management Kk 画像広告システム
JP2004282577A (ja) * 2003-03-18 2004-10-07 Seiko Epson Corp テレビジ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2524A1 (en) 2016-08-31
EP2555541A1 (en) 2013-02-06
US20130033648A1 (en) 2013-02-07
CN102917190A (zh) 2013-02-06
KR20130014762A (ko) 2013-02-12
CN102917190B (zh)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200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KR1026437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50074603A1 (en) Menu display device, menu display method, menu display program, television receiver provided with menu display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20160343345A1 (en)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686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137476B2 (en) User-defined home screen for ultra high definition (UHD) TV
CN102469373A (zh)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KR20150057277A (ko)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05592342A (zh) 显示设备和显示方法
US9986294B2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server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ratings of contents, and methods thereof
KR20150092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40144559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11249B1 (ko) 컴퓨팅 디바이스 및 ui 제공 방법
US2015008224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1556165B1 (ko)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4027635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7248862A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表示制御装置および映像システム
JP5913688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表示装置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記録媒体
JP5668013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KR2010008368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방송예약방법
JP2013223045A (ja) 携帯端末装置、情報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230036884A1 (en) Display device
KR1025784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093490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CN107636747A (zh) 显示系统、显示装置、遥控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