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830B1 -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830B1
KR101249830B1 KR1020070080170A KR20070080170A KR101249830B1 KR 101249830 B1 KR101249830 B1 KR 101249830B1 KR 1020070080170 A KR1020070080170 A KR 1020070080170A KR 20070080170 A KR20070080170 A KR 20070080170A KR 101249830 B1 KR101249830 B1 KR 10124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medium
discharge
unit
image form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655A (ko
Inventor
정승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830B1/ko
Priority to US12/099,964 priority patent/US8340566B2/en
Priority to CN2008101354277A priority patent/CN101364062B/zh
Publication of KR2009001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3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2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234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by inverting and refeeding the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an image on one face to the recording member to transfer a second image on its second face, e.g. by using a duplex tray; Details of duplex trays or inver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3Inverting
    • B65H2301/3331Involving forward reverse trans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1Angle
    • B65H2511/212Rotar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65H2513/41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21Discharging tray, e.g. devices stabilising the quality of the copy medium, postfixing-treatment, inverting, s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3Refeeding path
    • G03G2215/00438Inverter of refeeding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75Mechanical copy medium guiding means, e.g. mechanical sw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과; 케이싱에 결합되어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공급유닛과; 인쇄매체공급유닛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화상형성유닛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거나 화상형성유닛로 재이송하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며, 배출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화상형성유닛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인쇄매체의 배출경로 상에 마련되어 인쇄매체를 케이싱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위치와 인쇄매체를 화상형성유닛 측으로 재이송하는 재이송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이동가이드와 배출부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이동가이드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여 이동가이드가 배출위치와 상기 재이송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DISCHAR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인쇄매체의 배출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출유닛은 규격용 인쇄용지, 벽지, 시트지와 같은 다양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닛이다. 이들 배출유닛은 인쇄매체의 표면에 무늬, 텍스트, 이미지 등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결합되어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10)에서 인쇄매체 배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유닛(미도시)에서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는 정착유닛(30)를 경유하여 배출롤러(40)로 이송된다. 여기서, 인쇄매체 이송경로가 급격히 변화되는 영역에서 정착유닛(30)를 경유한 인쇄매체의 후단(Pe)이 점선에 표시된 것처럼 탄성적으로 펴지면서 케이싱 벽면(20)에 부딪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 인쇄매체의 이송로와 케이싱 벽면(20)의 거리(h)가 클경우 인쇄매체의 후단(Pe)이 케이싱 벽면(20)에 부딪치는 충격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송로와 케이싱 벽면(20)과의 거리(h)를 좁게 할 경우 인쇄매체 후단(Pe)의 충격소음을 줄일 수 있으나 양면인쇄를 위해 인쇄매체가 화살표(b) 방향으로 재이송될 때 케이싱 벽면(20)에 인쇄매체의 후단(Pe)이 부딪쳐 인쇄매체의 재진입이 용이하고 않고 인쇄매체걸림이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매체가 외부로 배출될 때 발생되는 충격소음을 줄이며 안정적으로 인쇄매체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면인쇄를 위해 인쇄매체가 재이송 될 때 인쇄매체의 이송을 간섭하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는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어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공급유닛와, 상기 인쇄매체공급유닛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배출유닛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화상형성유닛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인쇄매체의 배출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위치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화상형성유닛 측으로 재이송하는 재이송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이동가이드와; 상기 배출부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이동가이드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여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배출위치와 상기 재이송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여 에 채용되어, 상기 화상형성유닛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화상형성유닛로 재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위치일 때 상기 이동가이드는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재이송위치일 때 상기 이동가이드는 상기 케이싱에 접근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레버가 상기 이동가이드를 접촉할 때 상기 이동가이드는 재이송위치에 있고, 상기 가압레버가 상기 이동가이드와 접촉해제될 때 상기 이동가이드는 배출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출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여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배출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와 상기 가압레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의 회전운동을 상기 가압레버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운동변환부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가압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웜기어와;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가압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웜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재이송위치에 대응하는 제1위치와 상기 배출위치에 대응하는 제2위치 간을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웜기어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레버본체와; 상기 레버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웜기어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슬라이더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본체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회전축의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이동가이드를 가압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회전축의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이동가이드를 가압해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는,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본체와; 상기 가이드본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접촉가압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접촉해지되는 레버접촉부재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레버접촉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출유닛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배출하거나,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 재이송하는 롤러와; 상기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제1방향과, 상기 인쇄매체를 재이송하는 제2방향으로 상기 롤러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운동하는 운동변환부와; 상기 인쇄매체의 공급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상기 운동변환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인쇄매체를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배출위치와 상기 회전축이 제2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 상기 인쇄매체를 재이송하는 재이송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동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위치는 상기 재이송위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공급경로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어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공급유닛과; 상기 인쇄매체공급유닛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화상형성유닛로 재이송하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배출위치와 인쇄매체를 양면이송가이드로 재이송하는 재이송위치 간을 이동하는 이동가이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배출위치에서 배출롤러와 이동가이드의 거리를 종래에 비해 크게 좁혀 인쇄매체 배출시 발생하는 충격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재이송위치에서 이동가이드는 케이싱 측으로 이동하여 인쇄매체가 재이송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므로 종래 재이송시 발생하던 인쇄매체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부의 이송가이드의 이동이 배출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루어지므로 간단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케이싱(110)과, 인쇄매체공급유닛(200)와, 화상형성유닛(300)와, 정착유닛(400)과, 배출유닛(500)과, 양면인쇄의 경우 인쇄매체를 화상형성유닛(300)로 재이송하기 위한 양면이송유닛(600)을 포함한다.
인쇄매체공급유닛(200)은 케이싱(11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상측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인쇄신호에 따라 화상형성유닛(300) 측으로 공급한다. 인쇄매체공급유닛(200)은 케이싱(11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카세트본체(미도시)와, 카세트본체에 마련되어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210)와, 녹업플레이트(210)의 인쇄매체를 녹업플레이트(210) 외부로 픽업하는 픽업롤러(240)와, 녹업플레이트(210)를 픽업롤러(240) 방향으로 탄성부세시키는 탄성부재(220)를 포함한다.
또한, 인쇄매체공급유닛(200)은 급지경로의 길이와 형상에 따라 픽업롤러(240)로부터 픽업된 인쇄매체를 화상형성유닛(300)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한 쌍의 이송롤러(250)와, 화상형성유닛(300)으로 진입하기 전에 인쇄매체의 선단을 정렬하는 정렬롤러(2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쇄매체공급유닛(200)은 케이싱(110)의 외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급지카세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보조급지카세트는 인쇄용량이 많을 경우 급지카세트(210)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거나, 급지카세트(210)에 적재된 인쇄매체와 특성이 상이한 특수 인쇄매체가 적재될 수 있다. 특수 인쇄매체의 일례는 이면지, OHP, 엽서, 봉투 등일 수 있다.
화상형성유닛(300)는 인쇄매체공급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현상제를 도포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유닛(300)은 인쇄매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유닛(310)과, 현상유닛(310)의 현상제를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유닛(330)과, 현상유닛(310)의 상담지체(311)에 화상데이타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320)을 포함한다.
현상유닛(310)은 인쇄매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상담지체(311)와, 상담지체(311)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부재(313)와, 상담지체(311)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제이송체(315)와,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저장부(317)를 포함한다.
전사유닛(330)은 상담지체(311)와 대향되게 마련되어 인쇄매체의 배면에 전사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전사유닛(330)은 상담지체(311) 표면의 현상제를 인쇄매체로 전사한다. 전사유닛(330)은 인쇄매체의 두께와 저항특성 등을 파악하여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최적의 전사전압을 공급받아 인쇄매체의 배면에 인가한다. 통상 전사유닛(330)은 현상제의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사전압을 인가하여 상담지체(311) 표면의 현상제가 인쇄매체로 전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전사유닛(330)은 상담지체(311)의 노광영역이 갖는 전압보다 높은 값의 전압을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받는다. 
노광유닛(320)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미도시)과, 폴리곤미러(321)와, 반사미러(325)와 같은 다수의 광학구를 포함한다. 폴리곤미러(321)는 다수의 반사면을 구비하여 광원(미도시)에서 발생된 광을 상담지체(311)의 부주사방향으로 스캐닝한다.
정착유닛(400)은 현상제가 도포된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현상제를 인쇄매체 표면에 정착시킨다. 정착유닛(400)은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재(420)와, 가열부재(420)와 대향되게 마련되어 인쇄매체에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롤러(410)를 포함한다. 가압롤러(410)는 가열롤러(420)와의 닙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복수개가 사용될 수 있다.
양면이송유닛(600)은 제1면에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화상형성유닛(300)로 재이송하여 제2면에도 화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양면이송유닛(600)은 후술하는 배출유닛(500)의 배출부(520)로 이송된 인쇄매체를 화상형성유닛(300)로 재이송안내하는 양면이송가이드(620)와, 사용자가 양면인쇄를 선택한 경우 배출부(520)로 이송되던 인쇄매체가 양면이송가이드(620)로 이송되도록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을 절환하는 이송방향절환레버(610)를 포함한다.
배출유닛(500)은 화상형성유닛(300)에서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케이싱(110) 외부로 배출하거나 양면인쇄를 위해 양면이송가이드(620)에 의해 화상형성부(300)로 재이송한다. 배출유닛(500)은 도 3c, 도 3d,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510)와, 정착유닛(400)를 통해 이송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520)와, 이송방향절환레버(610)와 배출부(520) 사이에 마련되어 배출위치와 재이송위치 간을 이동하며 인쇄매체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550)와, 배출부(520)와 이동가이드(550) 사이에 마련되어 배출부(520)의 회전방향에 연동하여 이동가이드(550)가 배출위치와 재이송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이동가이드(550)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가압레버(540)와, 배출부(520)의 회전운동을 가압레버(54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부(530)를 포함한다.
배출부(520)는 정착유닛(400)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케이싱(110)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배출부(520)는 양면인쇄가 선택된 경우 배출부(520)로 이송된 인쇄매체를 양면이송가이드(620) 측으로 재이송한다. 배출부(520)는 한 쌍의 롤러로 마련되어 마찰력에 의해 인쇄매체를 이송하거나, 정전기력에 의해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벨트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520)는 도3a 내지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400)를 경유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롤러(510)와, 이송롤러(510)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배출부(520)를 포함한다. 배출부(520)는 도 3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521)과, 회전축(521)에 결합된 배출롤러(522)와, 배출롤러(522)와 대향되게 마련되어 배출롤러(522)에 종동하여 회전하여 종동롤러(523)를 포함한다. 또한, 배출부(523)는 종동롤러(523)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24)과. 회전축(521)의 일단부 마련되어 구동부(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527)를 포함한다.
운동변환부(530)는 도5a와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21)의 회전운동을 가압레버(54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운동변환부(530)는 회전축(521)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웜기어(531)와, 웜기어(531)의 나선형 기어홈(532)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더(535)를 포함한다. 웜기어(531)는 회전축(521)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521)의 회전운동을 가압레버(54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슬라이더(535)는 기어홈(532)에 수용되어 회전축(521)이 회전할 경우 기어홈(532)을 따라 이동한다. 즉, 슬라이더(535)는 회전축(521)이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21)의 내측방향의 제1위치로 이동하고, 회전축(521)이 인쇄매체를 재이송하는 방향으로 역회전할 경우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로부터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한 제2위치로 이동한다.
슬라이더(535)는 기어홈(532)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더본체(535a)와, 후술할 회전규제탄성부재(547)에 결합하는 탄성부재결합돌기(535b)를 포함한다. 슬라이더본체(535a)는 기어홈(532)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기어홈(532)의 양단부에는 슬라이더(535)의 회전과 이동시점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돌기(533a, 533b)가 각각 마련된다. 이동제한돌기(533a, 533b)는 회전축(521)의 회전이 연속될 경우 제1위치 및 제2위치에 위치한 슬라이더(535)의 회전방향과 방향전환시점을 제한한다. 이동제한돌기(533a, 533b)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으나 그 단면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535)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회전축(521)이 계속 회전할 경우 슬라이더(535)는 경사면을 타고 제자리에서 연속하여 슬라이딩하게 된다. 반면, 회전축(521)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슬라이더(535)는 이동제한돌기(533a, 533b)의 경사면의 단차에 접촉하며 제자리에서 정지하고 기어홈(532)을 따라 제2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동제한돌기(533a, 533b)는 슬라이더(535)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또는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가압레버(540)는 운동변환부(530)에 의해 회전축(521)을 따라 제1위치와 제2위치 간을 왕복이동하며 이동가이드(550)가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배출위치와 인쇄매체를 재이송하는 재이송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한다. 가압레버(540)는 도3a 내지 도4d에 도는 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535)를 수용하고 이동가이드(550)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레버본체(541)와, 슬라이더(535)와 레버본체(541) 사이에 마련되어 슬라이더(535)를 기어홈(532) 측으로 탄성가압하여 레버본체(541)의 회전을 방지하 는 회전규제탄성부재(547)를 포함한다.
레버본체(541)는 도3b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21)을 수용하며 이동가이드(550)의 레버접촉부재(553)를 가압 및 가압해지한다. 레버본체(541)는 회전축(521)을 수용하는 회전축수용공(542)과, 회전규제탄성부재(547)가 결합되는 탄성부재결합공(543)이 형성된다. 또한, 레버본체(541)는 회전축(521)이 회전할 때 레버본체(541)가 함께 회전하지 않고 회전축(52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레버본체(541)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방지리브(546)가 마련된다.
회전축수용공(542)은 회전축(521)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마련되며 기어홈(532)에 수용된 슬라이더(535)를 수용지지한다. 탄성부재결합공(543)은 회전축수용공(542)과 상호 연통되게 마련되어 슬라이더(535)의 탄성부재결합돌기(535b)를 수용하고, 탄성부재결합돌기(535b)가 회전규제탄성부재(547)와 결합되게 한다.
회전방지리브(546)는 도3b와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본체(541)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회전축(521)이 회전하여 레버본체(5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프레임(120)에 접촉되며 레버본체(541)의 회동을 저지한다. 이에 의해 레버본체(541)는 회전축(521)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슬라이더(535)의 이동시 함께 제1위치 및 제2위치 간을 직선이동하게 된다.
한편, 레버본체(5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레버본체(541)가 프레임(120)에 직접 접촉되므로 레버본체(541)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본체(541)는 배출롤러(522)로부터 이동가이드(550) 측으로 절곡형성되어 레버본체(541)의 좌우 이동시 제1위치에서 레버접촉부재(553)를 접촉하는 가압면(544)을 포함한다. 가압면(544)은 레버접촉부재(553)와 접촉하며 이동가이드(550)를 가압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규제탄성부재(547)는 레버본체(541)의 탄성부재수용공(543)에 수용되어 슬라이더(535)가 기어홈(532)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회전규제탄성부재(547)는 슬라이더(535)에 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레버본체(541)가 회전축(521)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회전축(521)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동가이드(550)는 가압레버(540)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따라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배출위치(도3c)와 인쇄매체를 양면인쇄가이드(620) 측으로 재이송하는 재이송위치(도4c) 간을 이동한다. 이동가이드(550)는 케이싱(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레버(540)의 가압여부에 따라 이동한다.
이동가이드(550)는 가압레버(540)에 접촉 및 접촉해지되는 가이드본체(551)와, 가이드본체(551)의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어 가압레버(540)의 가압면(544)과 접촉하는 레버접촉부재(553)를 포함한다. 가이드본체(551)는 배출위치에서 인쇄매체를 배출부(520)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의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레버접촉부재(553)는 도3a 및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면(544)의 접촉에 의한 가압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압면(544)의 형상에 대응하는 경사면(553a)을 갖는다. 이 때 경사면의 각도가 적을수록 이동가이드(550)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이동가이드(550)는 재이송위치로 이동한 가이드본체(551)가 배출위치 로 탄성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회전축(521) 상에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이송과정을 도2 내지 도5b를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단면인쇄를 선택한 경우 배출유닛(500)의 인쇄매체 이송과정을 살펴본다.
현상유닛(310)에서 현상제가 도포된 인쇄매체는 정착유닛(400)를 경유하여 도2의 A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 때 이송방향절환레버(6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쇄매체가 배출부(520)로 가는 경로를 개방한다.
한편, 배출유닛(500)은 종동기어(527)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5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웜기어(531)의 기어홈(532)에 수용된 슬라이더(535)는 도5a에 도시된 제1위치에서 도5b에 도시된 제2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함께 슬라이더(535)와 결합된 레버본체(541)는 도3a과 같이 회전축(521)을 따라 제2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레버본체(541)의 가압면(544)은 레버접촉부재(553)와 이격되고 이동가이드(550)는 도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 벽면(111)으로부터 배출경로로 돌출된 배출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이송롤러(510)와 이동가이드(550) 사이의 거리(l1)는 이송롤러(510)와 케이싱 벽면(111) 사이의 거리(l2)에 비해 훨씬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송롤러(510)를 경유한 인쇄매체가 탄성적으로 이송가이드(550)에 부딪치게 되는 거리가 좁아지므로 충격소음이 덜 발생하게 되고 이송가이드(550)의 안내에 의해 안정적으로 배출부(520)로 이송할 수 있다.
반면, 양면이송을 위해 배출부(520)로 진입한 인쇄매체가 양면이송가이드(620) 측으로 재이송되어야 할 경우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한 채로 슬라이딩하던 슬라이더(535)는 회전축(521)의 역회전에 따라 이동제한돌기(533b)에 접촉하며 기어홈(532)을 따라 제1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ㅂ보본체(541)도 제1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레버본체(541)의 가압면(544)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접촉부재(553)를 가압하며 이동하게 되고, 가압면(544)의 가압에 따라 레버접촉부재(553)는 케이싱 벽면(111)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레버접촉부재(553)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본체(551)도 도4c 및 도4d와 같이 이동한다. 제1면이 인쇄된 상태로 배출부(520)에 진입되어 있던 인쇄매체의 후단은 배출부(520)의 역회전에 의해 도4d와 같이 양면이송가이드(620) 측으로 이송된다. 이 때, 이동가이드(550)는 케이싱 벽면(111) 측으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이송롤러(510)와 이동가이드(550) 사이에는 이격공간(l3)이 발생하고 이 이격공간을 통해 인쇄매체는 안정적으로 양면이송가이드(620)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매체 배출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배출유닛의 배출위치에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및 사시도,
도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배출유닛의 재이송위치에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및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변환부의 제1위치 및 제2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케이싱
200 : 급지유닛 300 : 화상형성유닛
400 : 정착유닛 500 : 배출유닛
510 : 이송롤러 520 : 배출부
530 : 운동변환부 540 : 가압레버
550 : 이동가이드 600 : 양면이송부

Claims (13)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어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공급유닛과, 상기 인쇄매체공급유닛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는 화상형성장치용 배출유닛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화상형성유닛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인쇄매체의 배출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위치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화상형성유닛 측으로 재이송하는 재이송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이동가이드와;
    상기 배출부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이동가이드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여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배출위치와 상기 재이송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화상형성유닛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 재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배출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위치일 때 상기 이동가이드는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재이송위치일 때 상기 이동가이드는 상기 케이싱에 접근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배출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버가 상기 이동가이드를 접촉할 때 상기 이동가이드는 재이송위치에 있고, 상기 가압레버가 상기 이동가이드와 접촉해제될 때 상기 이동가이드는 배출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배출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여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배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배출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와 상기 가압레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의 회전운동을 상기 가압레버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배출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부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가압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웜기어와;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가압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웜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재이송위치에 대응하는 제1위치와 상기 배출위치에 대응하는 제2위치 간을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배출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웜기어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배출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레버본체와;
    상기 레버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웜기어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슬라이더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배출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본체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회전축의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이동가이드를 가압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회전축의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이동가이드를 가압해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배출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는,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본체와;
    상기 가이드본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접촉가압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접촉해지되는 레버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배출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레버접촉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배출유닛.
  12.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출유닛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배출하거나,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 재이송하는 롤러와;
    상기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제1방향과, 상기 인쇄매체를 재이송하는 제2방향으로 상기 롤러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운동하는 운동변환부와;
    상기 인쇄매체의 공급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상기 운동변환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인쇄매체를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배출위치와 상기 회전축이 제2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 상기 인쇄매체를 재이송하는 재이송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동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위치는 상기 재이송위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공급경로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출유닛.
  13.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어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공급유닛과;
    상기 인쇄매체공급유닛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화상형성유닛로 재이송하는 것으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80170A 2007-08-09 2007-08-09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24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170A KR101249830B1 (ko) 2007-08-09 2007-08-09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2/099,964 US8340566B2 (en) 2007-08-09 2008-04-09 Discharge unit including feeding guid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8101354277A CN101364062B (zh) 2007-08-09 2008-08-07 输出单元和具有该输出单元的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170A KR101249830B1 (ko) 2007-08-09 2007-08-09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655A KR20090015655A (ko) 2009-02-12
KR101249830B1 true KR101249830B1 (ko) 2013-04-02

Family

ID=4034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170A KR101249830B1 (ko) 2007-08-09 2007-08-09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40566B2 (ko)
KR (1) KR101249830B1 (ko)
CN (1) CN1013640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5383B2 (ja) * 2014-02-27 2017-08-02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92461B2 (ja) * 2014-08-29 2019-04-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435265B2 (en) 2015-12-09 2019-10-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inisher output bin assembly
JP2019148650A (ja) * 2018-02-26 2019-09-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206755B2 (ja) * 2018-09-28 2023-01-1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媒体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4197A (ja) * 1992-03-10 1993-10-05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の排紙構造
KR20030048978A (ko) * 2001-12-13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장치
KR20040012526A (ko) * 2002-07-31 2004-02-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시트 이송 장치와, 시트 후처리 장치와, 시트 이송 장치및 시트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1165A (en) * 1986-04-25 1988-05-03 Kobus John R Twin engine Synchronizer
US5921687A (en) * 1991-05-24 1999-07-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JPH05147771A (ja) * 1991-11-28 1993-06-15 Fujitsu Ltd カード発券機
DE69837128T2 (de) * 1997-07-14 2007-12-13 Seiko Epson Corp. Bilderzeugungsgerät
EP0911700B1 (en) * 1997-10-24 2003-07-23 Oki Data Corporation Image recording device
US5937702A (en) * 1998-04-14 1999-08-17 Kerk Motion Products, Inc. Spring bias wedge in reinforcing rail
US6862428B2 (en) * 2001-06-04 2005-03-01 Seiko Epson Corporaton Printer with sheet reversal mechanism
DE10203385A1 (de) * 2002-01-29 2003-08-07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Baugruppe aus Spindel und Bewegungsmutter
JP4260059B2 (ja) * 2004-05-11 2009-04-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TWI252837B (en) * 2005-03-11 2006-04-11 Lite On Technology Corp Paper feeding device and method for flipping paper for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4197A (ja) * 1992-03-10 1993-10-05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の排紙構造
KR20030048978A (ko) * 2001-12-13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장치
KR20040012526A (ko) * 2002-07-31 2004-02-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시트 이송 장치와, 시트 후처리 장치와, 시트 이송 장치및 시트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39584A1 (en) 2009-02-12
US8340566B2 (en) 2012-12-25
KR20090015655A (ko) 2009-02-12
CN101364062B (zh) 2012-09-12
CN101364062A (zh)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2883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249830B1 (ko)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07099524A (ja) 用紙供給装置および用紙供給方法
US10662014B2 (en) Imaging apparatus and double-sided printing paper conveying unit thereof
JP2012254833A (ja) 画像形成装置
JP450878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30049293A1 (en) Media Actuated Media Diverter for an Imaging Device
JP3742997B2 (ja) 像形成装置
JP2008024396A (ja) 手差しト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US7185887B2 (en) Apparatus for switching paper feed direction of image forming device
US2006028590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both-sides printing function
JP2007062849A (ja) 排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069437A (en) Duplex printing apparatus
KR100362386B1 (ko)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US83155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prevents a guide member from interfering with the discharge of a recording media
JP2006056672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案内装置
KR100449092B1 (ko) 용지 중간계류/반전부를 갖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JP2009227375A (ja)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85873B2 (ja) 給紙装置
US20100156031A1 (en)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6298589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1066560A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53786A (ko) 화상형성장치
JP2007055789A (ja) 用紙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3272499B2 (ja) シート記録装置の再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