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638B1 - Hybrid relay and control terminal apparatus - Google Patents

Hybrid relay and control terminal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638B1
KR101249638B1 KR1020117006828A KR20117006828A KR101249638B1 KR 101249638 B1 KR101249638 B1 KR 101249638B1 KR 1020117006828 A KR1020117006828 A KR 1020117006828A KR 20117006828 A KR20117006828 A KR 20117006828A KR 101249638 B1 KR101249638 B1 KR 101249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echanical contact
contact switch
contac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8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8846A (en
Inventor
야스히로 스미노
도모아키 사사키
고우지 야마토
기와무 시바타
기요시 고토
히로유키 구도
스스무 나카노
하지메 야부
게이 미우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43166A external-priority patent/JP5294480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94521A external-priority patent/JP5358348B2/en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claimed from PCT/IB2009/00624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0035082A2/en
Publication of KR2011005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8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6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01H47/32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 H01H47/325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by switching reg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01H9/541Contacts shunted by semiconductor devices
    • H01H9/542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 H01H2009/545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comprising a parallel semiconductor switch being fired optically, e.g. using a photocoup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1H89/06Combination of a manual reset circuit with a contactor, i.e. the same circuit controlled by both a protectiv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 H01H2089/065Coordination between protection and remote control, e.g. protection job repartition, mutual assistance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Actuators to avoid sticking in o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제 1 구동부에 의해 개폐되는 접점부를 갖는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상기 제 1 구동부와는 독립하여 동작하는 제 2 구동부에 의해 개폐되는 접점부를 갖는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직렬로 접속되는 반도체 스위치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는,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급전 경로 상에서,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상기 반도체 스위치에 의한 직렬 회로와 병렬로 접속된다.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는,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가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간에 전환될 때에 상기 제 1 구동부에 전류가 공급되는 래치형의 기계식 접점 스위치이다.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는,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의 개폐의 전환 전에 각기 도통하고,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의 개폐의 전환 후에 각기 비도통이 된다. A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having a contact portion opened and closed by a first drive portion, a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having a contact portion opened and closed by a second drive portion operating independently from the first drive portion, and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 hybrid relay having a semiconductor switch connected in series with is provided.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series circuit by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on a power supply path from a power supply to a load.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a latch-type mechanical contact switch in which current is supplied to the first drive unit wh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switched between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are each turned on before switch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each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is turned off after switch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Figure 112011021689552-pct00001
Figure 112011021689552-pct00001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릴레이 및 제어 단말 장치{HYBRID RELAY AND CONTROL TERMINAL APPARATUS}HYBRID RELAY AND CONTROL TERMINAL APPARATUS

본 발명은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반도체 스위치를 갖는 하이브리드 릴레이 및 그것을 구비한 제어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relay having a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a semiconductor switch, and a control terminal device having the same.

종래부터, 조명 기구 등의 인버터 제어를 실행하는 인버터 회로를 구비한 부하로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전환하기 위해서, 병렬로 접속된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반도체 스위치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인버터 회로를 구비한 부하에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도록 대용량의 평활 콘덴서가 마련되고, 교류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전원 투입시에 이 평활 콘덴서에 대전류가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부하로의 돌입 전류(surge current)가 발생한다. 특히, 전원 전압이 높고, 고부하의 상황하에서는, 부하에 흘러 들어가는 돌입 전류가 커지기 때문에, 부하와 교류 전원의 사이에 접속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도, 이 돌입 전류에 근거하는 대전류가 흐르게 된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switch supply and interruption of electric power to the load provided with the inverter circuit which performs inverter control, such as a lighting fixture, the hybrid relay provided with the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semiconductor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was used. In addition, a large capacity smoothing capacitor is provided in a load having an inverter circuit so as to convert an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and a large current flows into the smoothing capacitor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AC power supply to the load. surge current) occurs. In particular, under the condition of high power supply voltage and high load, the inrush current flowing into the load increases, so that a large current based on this inrush current also flows in the hybrid relay connected between the load and the AC power supply.

이 때문에, 이러한 부하와 접속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는, 우선, 반도체 스위치만을 온(on)(닫은상태)시켜서 돌입 전류를 반도체 스위치로 흘린 후,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가 정상 상태가 되었을 때에, 기계식 접점 스위치를 온시킨다 (특허문헌 1 참조). 이렇게 동작시키므로써, 하이브리드 릴레이내의 기계식 접점 스위치에 대전류가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쌍의 접촉 직전에 아크가 발생하는 것에 기인한 접점 용착(contact fusion)을 회피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in the hybrid relay connected to such a load, first, only the semiconductor switch is turned on (closed), and the inrush current flows through the semiconductor switch, and then the mechanical contact is made when the current supplied to the load is in a normal state. The switch is turned on (refer patent document 1). By operat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large current from flowing through the mechanical contact switch in the hybrid relay, thereby avoiding contact fusion due to the occurrence of an arc immediately before the contact of the contact pair of the mechanical contact switch. can do.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릴레이는, 기계식 접점 스위치에 있어서의 접점 용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도체 스위치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기계식 접점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반도체 스위치를 온시켜서, 부하로의 전력 공급을 시작한다. 또한, 기계식 접점 스위치("제 1 스위치"라고 함)를 온으로 하기 전에, 반도체 스위치를 온으로 하기 위한 기계식 접점 스위치("제 2 스위치"라고 함)를 더 추가한 구성의 하이브리드 릴레이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As described above, the hybrid relay has a structure including a semiconductor switch in order to prevent contact welding in the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urns off the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urns on the semiconductor switch to start supplying power to the load. In addition, before turning on the mechanical contact switch (called "first switch"), a hybrid relay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mechanical contact switch (called "second switch") for turning on the semiconductor switch is further added is proposed. (See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 2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서,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구동되지 않는 한 "오프" 상태인 상시 여자형의 기계식 접점 스위치이고, 또한, 각각에 사용하는 자기 코일이 공통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스위치 각각의 접점간 거리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 1 스위치보다 제 2 스위치가 먼저 온되도록 제 1 및 제 2 스위치 각각의 개폐 타이밍을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스위치 각각의 접점간 거리와 자기 코일의 설계를 정확하게 실행할 필요가 있고, 그 제조 작업도 번잡해진다. In the hybrid relay of Patent Literature 2,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re always-on mechanical contact switches in the " off " state unless they are driven, and the magnetic coils used in each are common. By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the opening and closing timing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is set so that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before the first switch.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nd the design of the magnetic coil need to be executed accurately, and the manufacturing work is complicated.

또한, 제 1 및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가 상시 여자형이므로, 제 1 및 제 2 스위치가 온되어 있는 동안, 자기 코일로의 전류 공급이 항상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2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서처럼, 제 1 및 제 2 스위치로서 상시 여자형의 기계식 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구성은, 부하에 전력 공급시에 제 2 스위치에 계속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력 절약화의 방해가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es are always excited, the current supply to the magnetic coil is always required while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re turned on. Therefore, as in the hybrid relay of Patent Literature 2, the configuration using the mechanical contact switch of the always-excited type as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is required to continuously supply power to the second switch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thereby saving power. Interfere with anger.

또한, 반도체 스위치는, 제 1 스위치의 접점 용착을 일으키는 아크 발생을 방지하도록 제 1 스위치의 개폐시에만 온되면 좋고, 제 1 스위치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바뀐 후에는, 제 2 스위치가 오프되어도 상관없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개폐시키는 자기 코일이 공통이기 때문에, 제 1 스위치가 온되어 있는 동안 제 2 스위치도 온되어 있다. 그리고, 공통의 자기 코일에 의해 제 1 및 제 2 스위치 쌍방의 접점이 자기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스위치 각각의 스프링 부하에 의한 합성 반벌력보다 큰 자기력을 발생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전류량 및 전력 소비량의 증대를 초래한다. In addition, the semiconductor switch may be turned on only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switch so as to prevent arc generation causing contact welding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may be turned off after the first switch is switched from off to on. . However, since the magnetic coil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re common in Patent Document 2, the second switch is also turned on while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Since the contacts of both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re magnetically contacted by a common magnetic coil,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larger than the combined repulsion force caused by the spring loa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nd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11-238441 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23844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05-054772 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05-054772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부하에의 급전 경로상에 설치되는 기계식 접점 스위치를 래치형의 것으로 해서, 이 래치형 기계식 접점 스위치를 개폐할 때에만 직렬 접속된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반도체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릴레이를 제공한다. In view of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tch type mechanical contact switch provided on a power supply path to a load, and the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connected in series only when the latch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opened and closed. By operating, a hybrid relay capable of realizing low power consumption is provided.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제 1 구동부에 의해 개폐되는 접점부를 갖는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상기 제 1 구동부와 독립하여 동작하는 제 2 구동부에 의해 개폐되는 접점부를 갖는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직렬로 접속되는 반도체 스위치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having a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having a contact portion opened and closed by a first drive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opened and closed by a second drive portion operating independently from the first drive portion And a semiconductor switch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는,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급전 경로 상에서,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상기 반도체 스위치에 의한 직렬 회로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가,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의 개폐의 전환시에 상기 제 1 구동부에 전류가 공급되는 래치형의 기계식 접점 스위치이며,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는,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의 개폐의 전환 전에 각기 도통하고,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의 개폐의 전환 후에 각기 비도통이 된다.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series circuit by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on a feed path from a power supply to a load, and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A latch-type mechanical contact switch in which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first drive unit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section of the switch, wherei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are switching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sec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Each conducts before, and becomes non-conductive after switching between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의 각각이 도통될 때,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를 폐쇄한 후에 상기 반도체 스위치가 도통되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 각각이 비도통될 때,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비도통시킨 후에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가 개방되는 것이어도 좋다. When each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is turned on, the semiconductor switch is turned on after clos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each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is turned off. In this case,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may be opened after the semiconductor switch is turned off.

상기 전원이 교류 전원이고, 상기 반도체 스위치는,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중심 전압이 될 때에 도통하는 제로크로스 점호 기능(zero-cross firing function)을 갖춘 반도체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반도체 스위치 도통시,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돌입 전류가 반도체 스위치의 도통 타이밍과 관계없이 항상 제어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power supply is an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y, and the said semiconductor switch is a semiconductor switch with a zero-cross firing function which conducts when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said alternating current power becomes a center voltag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emiconductor switch conducts, the inrush current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can always be controlled regardless of the conduction timing of the semiconductor switch.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 각각이 비도통될 때, 상기 반도체 스위치가 비도통되고나서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의 반주기 이상이 되는 시간의 경과후,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가 개방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반도체 스위치로서 트라이액이 이용된 경우에,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가 상기 트라이액이 확실히 비도통이 된 후에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지 않게 할 수 있다.When each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is non-conductive, after the time when the semiconductor switch becomes non-conducting and becomes equal to or more than half a period of the AC voltage from the AC power supply, the contact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The part may be open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case where the triac is used as the semiconductor switch,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can be opened after the triac is certainly non-conductive. Accordingly, the power suppl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ut off by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를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를 닫은 후에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도통시키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 각각이 도통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을 닫고, 사실상 동시에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을 열고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비도통시키고,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을 개방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을 닫는 것과 사실상 동시에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도통시키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 각각을 도통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을 열고 나서,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비도통시킨 후에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을 여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In the case where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closed, the semiconductor switch is turned on after clos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in the state where each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is in conduction, the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when closing the contact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pening the contact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de-energizing the semiconductor switch, and opening the contact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Conducting the semiconductor switch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as closing the contact point of the contact, opening the contact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with each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conducting, and then turning off the semiconductor switch. After opening the contact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You may.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는,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이 닫혀 있는 동안 항상 상기 제 2 구동부에 전류가 공급되는 상시 여자형의 기계식 접점 스위치이며, 상기 반도체 스위치는, 광 신호를 발생하는 발광 소자를 갖고 상기 발광 소자의 광 신호에 근거하여 도통 및 비도통이 제어되는 포토커플러(photo-coupler)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부와 상기 발광 소자는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 각각을 동시에 도통시킨 상태로 할 때, 공통의 전류에 의해 상기 제 2 구동부와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an always-excited mechanical contact switch in which current is always supplied to the second drive unit while the contact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closed,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is configured to emit light to generate an optical signal. A photo-coupler having a device and controlled to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ased on an optical signal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second driver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may be driven by a common current when the semiconductor switches are brought into conduction at the same time.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 각각을 비도통의 상태로부터 동시에 도통시키는 경우는,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각각에, 제 1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가 도통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 각각을 도통시킬 경우는,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각각에 상기 제 1 전류보다 전류량이 작은 상기 제 2 전류를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are each electrically connected from the non-conductive state at the same time, a first current is supplied to each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second driver, and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conducted. Whe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are electrically conducted while in the state, the second current having a smaller current amount than the first current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second driver. have.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상기 접점을 닫을 때, 상기 제 2 구동부에 제 1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상기 접점을 닫은 후에는, 상기 제 2 구동부에 제 1 전류보다 전류량이 제 2 전류를 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closing the contact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fter supplying a first current to the second drive unit and closing the contact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the amount of current is greater than the first current in the second drive unit. It is preferable to flow a 2nd electric current.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는 래치형 기계식 접점 스위치로서,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상기 접점이 개폐될 때만 상기 제 2 구동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a latch type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preferably supplies current to the second drive unit only when the contact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opened or closed.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 압력이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 접점 압력보다 작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간 거리가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간 거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act pressure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smaller than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contact pressur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s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s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상기 접점이 마련되는 접점 단자에, 상기 접점이 닫혀서 단락 전류가 흘렀을 때에 상기 접점이 닫히는 방향으로 자기 인력을 발생하는 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A magnetic circuit may be formed in a contact terminal provided with the contact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to generate magnetic attra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is closed when the contact is closed and a short circuit current flows.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는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상기 접점과 연동하는 보조 접점을 가지고, 상기 보조 접점의 개폐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에 의한 도통 또는 비도통이 검출되는 것이어도 좋다.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has an auxiliary contact interlocked with the contact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based on opening and closing of the auxiliary contact, conduction or non-conduction by a contact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detected. It may be.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하이브리드 릴레이를 복수 가지고, 복수의 상기 하이브리드 릴레이 각각의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에 있어서의 개폐를 동시에 전환할 경우, 소정수의 하이브리드 릴레이마다,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에 있어서의 개폐의 전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having a plurality of the hybrid relays described above and switching opening and closing at the contacts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ybrid relays simultaneously, A control terminal apparatus for performing switching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at a contact point of a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가 제각기 제 1 및 제 2 구동부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부는 제각기 제 1 및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의 개폐를 실행하고 서로 별개로 마련되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는 래치형으로 구성되므로, 각 구동부는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의 전환시에만 구동될 수 있다. 즉,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반도체 스위치가,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온과 오프간에 전환시에만 때에만 구동되고,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개폐를 전환할 때에만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제 1 구동부에 구동 전류를 공급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each have a first and a second drive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parts resp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ntacts of the first and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since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configured in a latch type, each driving unit can be driven only when the switching of the contact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That is,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are driven only when switching between on and off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only when switch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The driving current may b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따라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반도체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량을 저감할 수 있고,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접점 용착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by providing a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a semiconductor switch, the power consumption in a hybrid relay can be reduced and contact welding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of a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다음과 같은 첨부도면과 함께 주어지는 이후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각부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각부의 상태와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4는 래치형의 기계식 접점 스위치에 있어서의 접점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의 접점부를 도통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6은 상시 여자형의 기계식 접점 스위치에 있어서의 접점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7은 트라이액의 일구성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트라이액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트라이액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회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각부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각부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회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각부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회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각부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회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각부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The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giv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ybrid rel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state transition of each part in the hybrid relay shown in FIG.
FIG. 3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of each part in the hybrid relay shown in FIG. 1 and the AC voltage from the AC power supply.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contact part in a latch type mechanical contact switch.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4 is conducted.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tact portion in a mechanical contact switch of an always-excited type.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e configuration example of a triac.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triac.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triac.
10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ybrid rel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tate transition of each part in the hybrid relay shown in FIG. 10.
It is a timing chart which shows the state transition of each part in the hybrid relay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which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ybrid relay which concerns on 4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14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tate transition of each part in the hybrid relay shown in FIG.
15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ybrid rela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tate transition of each unit in the hybrid relay shown in FIG. 15.
17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ybrid relay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tate transition of each unit in the hybrid relay shown in FIG. 17.

(제 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회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각부에 있어서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A hybrid rel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ybrid relay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2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tate transition in each part of the hybrid relay of FIG. 1.

1. 하이브리드 릴레이의 구성 1. Configuration of Hybrid Relay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은, 직렬 접속된 교류 전원(2) 및 부하(3) 각각의 한쪽 단부에 접속됨으로써, 교류 전원(2) 및 부하(3)와 폐회로를 형성한다. 즉, 교류 전원(2)으로부터 부하(3)로의 전원의 투입 및 차단이 하이브리드 릴레이(1)의 온(on;폐쇄상태)/오프(off;개방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교류 전원(2)은, 예를 들면, 100V의 상용 전원 등이고, 부하(3)는, 예를 들면, 형광등이나 백열전구를 포함하는 조명 기구 또는 환풍기 등이라고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hybrid relay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AC power supply 2 and the load 3 connected in series, whereby the AC power supply 2 and the load 3. And form a closed circuit. That is, the supply and interruption of the power supply from the AC power supply 2 to the load 3 are determined by the on / off state of the hybrid relay 1. The AC power supply 2 is, for example, a commercial power supply of 100 V or the like, and the load 3 is, for example, a lighting device or a fan including a fluorescent lamp or an incandescent lamp.

하이브리드 릴레이(1)는, 부하(3)의 한쪽 단부에 한쪽 단부가 접속된 교류 전원(2)의 다른쪽 단부와 접속되는 터미널(10)과, 부하(3)의 다른쪽 단부에 접속되는 터미널(11)과, 터미널(10, 11)에 양쪽 단부가 접속되는 접점부(S1)를 가지는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와, 터미널(10)과 접점부(S1)의 한쪽 단부와의 접속 노드에 한쪽 단부가 접속된 접점부(S2)를 가지는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와, 접점부(S2)의 다른쪽 단부에 T1전극이 접속되고, 또한, 터미널(11)에 T2전극이 접속된 트라이액(S3)을 가지는 반도체 스위치(14)와, 제 1 및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2, 13)와 반도체 스위치(14)의 각각의 온(ON)/오프(OFF) 제어를 실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16)를 구비한다. The hybrid relay 1 has a terminal 1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C power supply 2 with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ad 3, and a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ad 3. (11),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having a contact portion S1 at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s 10 and 11,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10 and one end of the contact portion S1. A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having a contact portion S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node, a T1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S2, and a T2 electrode connected to the terminal 11. ON / OFF control of each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having the connected triac S3, the first and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es 12 and 13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executed.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is provided.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1)의 회로 구성에 관해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릴레이(1)에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와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에 의해 구성되는 직렬 회로와,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가 터미널(10, 11)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다.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는 래치형의 기계식 접점 스위치이며, 접점부(S1)를 ON(폐)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자력을 발생하는 자기 코일(L1)과, 접점부(S1)를 OFF(개)로 전환하기 위한 전자력을 발생하는 자기 코일(L2)을 구비한다. 한편,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는 상시 여자형의 기계식 접점 스위치로서, 접점부(S2)를 ON(폐)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자력을 발생하는 자기 코일(L3)을 구비한다. 즉, 자기 코일(L1, L2)이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제 1 구동부를 구성하고, 자기 코일(L3)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제 2 구동부를 구성한다.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hybrid rela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the hybrid relay 1, a series circuit constituted by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and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of the The contact portion S1 i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terminals 10 and 11.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a latch-type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magnetic coil L1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for switching the contact portion S1 to ON (closed) and the contact portion S1 are turned OFF ( The magnetic coil L2 which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for switching to the opening) is provid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an always-excite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includes a magnetic coil L3 that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for holding the contact portion S2 ON (closed). That is, the magnetic coils L1 and L2 constitute the first drive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and the magnetic coil L3 constitutes the second drive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그리고,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에 있어서, 자기 코일(L1)의 한쪽 단부가, 애노드 전극이 신호 처리 회로(16)에 접속된 다이오드(D3)의 캐소드 전극에 접속되는 한편, 자기 코일(L2)의 한쪽 단부가, 애노드 전극이 신호 처리 회로(16)에 접속된 다이오드(D4)의 캐소드 전극에 접속된다. 이 자기 코일(L1, L2)의 다른쪽 단부끼리가 접속되고, 이 자기 코일(L1, L2)의 접속 노드는 접지(이하, 본 실시형태를 포함한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의 "접지"는 하이브리드 릴레이내에 있어서의 기준 전압에 접속하는 것을 의미함.)되고, 또한, 다이오드(D1, D2) 각각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D1, D2) 각각의 캐소드 전극은 다이오드(D3, D4)의 캐소드 전극에 각각 접속된다. In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one end of the magnetic coil L1 is connected to the cathode electrode of the diode D3 connected with the anode electrode to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while the magnetic coil ( One end of L2 is connected to the cathode of the diode D4 whose anod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The other ends of the magnetic coils L1 and L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nodes of the magnetic coils L1 and L2 are grounded (hereinafter, "ground" in the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including the present embodiment is Means to be connected to a reference voltage in the hybrid relay.) And to the anode electrodes of the diodes D1 and D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athode electrodes of each of the diodes D1 and D2 are connected to the cathode electrodes of the diodes D3 and D4, respectively.

이와 같이,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는 직렬 접속된 자기 코일(L1, L2)과, 애노드 전극끼리가 접속되는 다이오드(D1, D2)와, 애노드 전극이 신호 처리 회로(16)에 접속된 다이오드(D3, D4)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는, 1개의 자기 코일(L3)과, 이 자기 코일(L3)과 병렬 접속된 다이오드(D5)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자기 코일(L3)의 한쪽 단부와 다이오드(D5)의 애노드 전극의 접속 노드가 접지되고, 자기 코일(L3)의 다른쪽 단부와 다이오드(D5)의 캐소드 전극의 접속 노드가 신호 처리 회로(16)에 접속된다. In this way,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ncludes the magnetic coils L1 and L2 connected in series, the diodes D1 and D2 to which the anode electrodes are connected, and the anod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It is comprised by the diodes D3 and D4. On the other hand, the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comprised by one magnetic coil L3 and the diode D5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is magnetic coil L3. Then, one end of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connection node of the anode electrode of the diode D5 are grounded, and the other end of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connection node of the cathode electrode of the diode D5 are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 16).

또한, 반도체 스위치(14)는, 트라이액(S3)과, 트라이액(S3)의 T2전극과 게이트 전극의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저항(R1) 및 콘덴서(C1)와, 트라이액(S3)의 T1전극에 한쪽 단부가 접속된 저항(R2)과, 저항(R2)의 다른쪽 단부에 T1전극이 접속된 포토 트라이액(S4)을 구비한 포토 트라이액 커플러(15)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포토 트라이액 커플러(15)는, 신호 처리 회로(16)에 대하여 저항(R3)을 거쳐서 애노드 전극이 접속되고, 또한, 캐소드 전극이 접지된 발광 다이오드(LD)를 더 구비하고, T2전극이 트라이액(S3)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된 포토트라이액(S4)에, 발광 다이오드(LD)로부터의 광 신호가 입사되는 구조가 된다. 또한, 포토트라이액(S4)은 제로크로스 점호기능(zero-cross firing function)을 갖춘 반도체 스위칭 소자로서, 발광 다이오드(LD)로부터의 광 신호가 입사되는동안, T2전극측에 교류 전원(2)에 의한 교류 전압의 중심 전압(기준 전압)을 검출하면 도통(ON)하기 시작한다. 트라이액(S4)은 발광 다이오드(LD)가 턴오프된 후 다시 중심전압이 검출되기 전까지 턴온상태를 유지한다.The semiconductor switch 14 also includes a resistor R1 and a capacitor C1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triac S3, the T2 electrode of the triac S3, and the gate electrode, and the triac S3. The phototriac coupler 15 includes a resistor R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1 electrode, and a phototriac S4 having a T1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2. The phototriac coupler 15 further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LD having an an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via a resistor R3 and a cathode electrode grounded thereto, and further comprising a T2 electrode. An optical signal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incident on the phototrial solution S4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triac S3. In addition, the phototriac S4 is a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 having a zero-cross firing function, and while the optical signal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incident, the AC power source 2 is connected to the T2 electrode side. When the center voltage (reference voltage) of the alternating voltage is detected, conduction (ON) starts. The triac S4 remains turned on after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turned off until the center voltage is detected again.

2.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의한 전원 공급 2. Power supply by hybrid relay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1)에 있어서, 교류 전원(2)으로부터 부하(3)로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행할 때의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 도 2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교류 전원(2)으로부터 부하(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신호 처리 회로(16)에 지시되었을 때, 하이브리드 릴레이(1)내 각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의 타이밍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 회로(16)로부터 자기 코일(L3)에 대하여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자기 코일(L3)에 의해 자기 인력(attractive magnetic force)이 발생하고, 이 자기 코일(L3)과 함께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를 구성하는 접점부(S2)가 온된다. 또한,자기 코일(L3)과 병렬 접속된 다이오드(D5)는, 자기 코일(L3)을 흐르는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 다이오드로서 기능한다. In the hybrid relay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ach operation at the time of supplying power to the load 3 from the AC power supply 2 and cutting off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timing chart of FIG. 2. First, when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is instructed to supply power from the AC power supply 2 to the load 3, the operation of each part in the hybrid relay 1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the timing chart of FIG. 2, when a drive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to the magnetic coil L3, an magnetic magnetic force is generated by the magnetic coil L3. The contact portion S2 constituting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together with the magnetic coil L3 is turned on. In addition, the diode D5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magnetic coil L3 functions as a backflow prevention diode for preventing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from flowing back.

이와 같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가 온되면, 신호 처리 회로(16)는, 다음으로, 발광 다이오드(LD)에 대하여 구동 전류를 부여한다. 이에 따라, 포토 트라이액 커플러(15)에서는, 발광 다이오드(LD)가 발광하고, 그 발광에 의한 광 신호를 포토 트라이액(S4)이 수광한다. 이 때, 포토 트라이액(S4)은 제로크로스 점호기능을 갖기 때문에, 도 3의 타이밍 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류 전원(2)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의 중심 전압(기준 전압)을 검출했을 때에, 포토 트라이액(S4)이 도통 상태(ON)로 된다. 또한, 도 3은 교류 전원(2)으로부터의 교류 전압과, 제 1 및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2, 13)와 반도체 스위치(14)에 있어서의 각부의 동작 상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In this way, when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n,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next applies a driving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s a result, in the phototriac coupler 15, the light emitting diode LD emits light, and the phototriac S4 receives the light signal by the light emission. At this time, since the phototriac S4 has a zero cross firing function, as shown in the timing chart of Fig. 3, when the center voltage (reference voltage) of the AC voltage from the AC power source 2 is detected, The photo triac S4 is brought into a conduction state ON. 3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 voltage from the AC power supply 2 and the operating states of the respective parts in the first and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es 12 and 13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

포토 트라이액(S4)의 도통에 의해, 저항(R1) 및 콘덴서(C1)에 의한 병렬 회로에 대하여, 교류 전원(2)으로부터의 교류 전류가 저항(R2) 및 포토 트라이액(S4)을 거쳐서 흐른다. 이에 따라, 저항(R1) 및 콘덴서(C1)에 의한 병렬 회로가 동작하고, 트라이액(S3)의 게이트 전극에 전류를 공급하고, 트라이액(S3)이 도통 상태(ON)로 된다. 이것에 의해, 부하(3)가, 하이브리드 릴레이(1)내의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 및 반도체 스위치(14)를 거쳐 교류 전원(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부하(3)에는 교류 전원(2)에 의한 전원이 공급된다. By the conduction of the phototriac S4, the alternating current from the AC power supply 2 passes through the resistor R2 and the phototriac S4 to the parallel circuit by the resistor R1 and the capacitor C1. Flow. Thereby, the parallel circuit by the resistor R1 and the condenser C1 is operated,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triac S3, and the triac S3 is turned on. As a result, the load 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 power supply 2 via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n the hybrid relay 1, so that the load 3 Power by the power source 2 is supplied.

이 때, 교류 전원(2)으로부터 부하(3)에 대하여 돌입 전류가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도통 상태가 된 트라이액(S3) 및 포토 트라이액(S4)의 각각에서도, 이 돌입 전류에 근거하는 대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돌입 전류는, 포토 트라이액(S4)이 제로크로스 점호기능을 갖추는 것에 의해, 포토 트라이액(S4)이 도통하는 타이밍이, 교류 전원(2)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의 주기에 대하여 편차가 없어지기 때문에, 그 전류량에 있어서의 편차가 억제될 수 있다. 또, 이 돌입 전류가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에 흐르지만, 접점부(S2)에 있어서의 접점이 닫힌 상태에서 흐르기 때문에, 접점의 개폐 전환시에 있어서의 아크의 발생은 없고, 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에 있어서의 접점 용착 등에 의한 접점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inrush current flows from the AC power supply 2 to the load 3, even in each of the triac S3 and the phototriac S4 which are in a conductive state, a large current based on this inrush current Will flow. This inrush current has a zero-cross firing function of the phototriac S4 so that the timing at which the phototriac S4 conducts becomes uneven with respect to the period of the alternating voltage from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y 2. Therefore, the variation in the amount of current can be suppressed. Moreover, although this inrush current flows into the contact part S2 of the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since it flows in the closed state in the contact part S2, the arc at the time of switching of a contact opening and closing of There is no occurrence, and contact consumption by contact welding etc. in this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can be prevented.

이렇게 하여, 반도체 스위치(14)내의 트라이액(S3)을 온시켜서 교류 전원(2)으로부터의 전원이 부하(3)에 투입된 후, 신호 처리 회로(16)는 구동 전류가 되는 펄스 전류를 다이오드(D3)를 거쳐서 자기 코일(L1)에 부여한다. 이 때,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에서는, 다이오드(D1)가 자기 코일(L1)에 흐르는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 역류 방지 다이오드로서 기능하고, 자기 코일(L2)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다이오드(D4)가 방지한다. 이에 따라, 자기 코일(L1)에 펄스 전류가 흘러서, 일시적으로 자기 인력이 작용하고,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에 있어서의 접점부(S1)가 온된다. 또한,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는 래치형이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 코일(L1)에의 전류 공급이 없어진 후에도, 접점부(S1)는 온인 상태로 유지된다. In this way, after the triac S3 in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n and the power from the AC power supply 2 is supplied to the load 3,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receives a pulse current that becomes a driving current. It is given to the magnetic coil L1 via D3). At this time, in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the diode D1 functions as a backflow prevention diode that prevent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1 from flowing back, and the diod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2). D4) prevent. Thereby, a pulse electric current flows into the magnetic coil L1, magnetic attraction acts temporarily, and the contact part S1 in the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turned on. In addition, since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of a latch type, as shown in FIG. 2, the contact portion S1 remains on even after the current supply to the magnetic coil L1 is lost.

이와 같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 및 반도체 스위치(14)에 의해, 교류 전원(2)로부터 부하(3)로의 급전 경로가 확보된 후에,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가 온되기 때문에, 그 접점부(S1)에 돌입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에 있어서, 접점 용착의 요인이 되는, 돌입 전류에 근거하는 접점 바운즈(contact bounce)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거친 교류 전원(2)에 의한 부하(3)로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면, 반도체 스위치(14)에 있어서의 급전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서, 신호 처리 회로(16)는, 발광 다이오드(LD)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LD)의 발광 동작이 정지하고, 포토 트라이액(S4)으로의 광 신호의 조사가 정지되기 때문에, 포토 트라이액(S4)은 교류 전원(2)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이 중심 전압(기준 전압)이 되었을 때에 동작을 정지하고, 비도통 상태(OFF)로 된다. In this way, after the power supply path from the AC power supply 2 to the load 3 is secured by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turned on. Inrush curren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ontact portion S1. Therefore, in the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contact bounce based on inrush current which becomes a factor of contact welding can be prevented. Then,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3 by the AC power supply 2 via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started, the power supply path in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cut off. In order to do this,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stops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For this reason, since the light emission operation | movemen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D stops and irradiation of the optical signal to the phototriac S4 is stopped, the alternating voltage from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2 is centered on the phototriac S4. When the voltage (reference voltage) is reached, the operation is stopped, and the state is turned off (OFF).

그리고, 포토 트라이액(S4)이 오프되면, 트라이액(S3)의 게이트 전극에 전류 공급이 없어지기 때문에, 트라이액(S3)이 비도통 상태가 되고, 반도체 스위치(14)가 오프된다. 이 반도체 스위치(14)가 오프된 후, 신호 처리 회로(16)는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자기 코일(L3)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한다. 즉, 자기 코일(L3)로의 전류 공급이 정지되기 때문에, 상시 여자형의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은 자기 코일(L3)에 의한 자기 인력이 없어지고, 접점부(S2)가 오프된다. 이에 따라, 반도체 스위치(14)가 오프한 후에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가 오프되기 때문에,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은 전류가 흐르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접점부(S2)의 접점을 개방한다. 따라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를 오프시킬 때에, 접점부(S2)의 접점간에 있어서의 아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에 있어서의 접점 용착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phototriac S4 is turned off, since the current supply is lost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triac S3, the triac S3 is in a non-conductive state,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ff. After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ff,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stops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That is, since the current supply to the magnetic coil L3 is stopped, the always-excited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loses magnetic attraction by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contact portion S2 is turned off. Accordingly, since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ff after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f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opens the contact of the contact portion S2 in a state where no current is flowing. do. Therefore, whe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ff, generation of an arc between the contacts of the contact portion S2 can be prevented, and contact welding i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can be prevented. Can be.

이렇게 하여, 교류 전원(2)으로부터 부하(3)로의 전원공급이 행해질 때, 신호 처리 회로(16)는, 자기 코일(L3) 및 발광 다이오드(LD)의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각 타이밍을 도 3과 같이 행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에 있어서의 접점 용착 등에 의한 접점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주기가 T인 교류 전압이 교류 전원(2)로부터 공급될 때, 발광 다이오드(LD)에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고 나서 자기 코일(L3)에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t2을, 교류 전압의 반주기 T/2보다 긴 시간으로 한다. In this way,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AC power supply 2 to the load 3 is performed,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shows each timing for supplying driving currents of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By performing in this manner, as described above, contact consumption due to contact welding i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can be prevented. In other words, when an AC voltage having a period T is supplied from the AC power supply 2, the time from when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stopped and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is stopped. Let t2 be a time longer than half period T / 2 of an alternating voltage.

이에 따라, 포토 트라이액 커플러(15)의 포토 트라이액(S4)을 오프로 함으로써, 트라이액(S3)을 완전히 오프시킨 후에,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를 오프로 할 수 있다. 또한, 포토 트라이액 커플러(15)에 있어서의 포토 트라이액(S4)이 제로크로스 점호기능을 갖는 것에 의해, 트라이액(S3)을 온으로 했을 때의 돌입 전류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지만, 자기 코일(L3)에 구동 전류의 공급을 시작하고 나서 발광 다이오드(LD)에 구동 전류의 공급을 시작하기 까지의 시간t1을, 교류 전압의 반주기 T/2보다 긴 시간으로 해서, 돌입 전류의 편차를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Thereby, by turning off the photo triac S4 of the photo triac coupler 15, after turning off triac S3 completely, the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can be turned off. In addition, since the phototriac S4 in the phototriac coupler 15 has a zero-cross firing function, the variation of the inrush current when the triac S3 is turned on can be suppressed. The time t1 from the start of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coil L3 and the start of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a time longer than the half period T / 2 of the AC voltage, whereby the deviation of the inrush current is determined. You may be able to suppress more reliably.

3.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의한 전원 차단3. Power off by hybrid relay

한편,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가 온되어, 교류 전원(2)으로부터 부하(3)에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에, 신호 처리 회로(16)에 대하여 부하(3)로의 전원의 차단이 지시되면, 도 2의 타이밍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 회로(16)는 자기 코일(L3)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부하(3)로의 전원 공급시와 마찬가지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에 있어서의 접점부(S2)가 온된다. 그 후, 시간t1이 경과하면, 신호 처리 회로(16)는 발광 다이오드(LD)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이 발광 다이오드(LD)가 발광해서 광 신호를 포토 트라이액(S4)에 조사하기 때문에, 포토 트라이액(S4)은 교류 전원(2)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이 중심 전압(기준 전압)이 되었을 때에 도통하고, 트라이액(S3)이 도통하여 반도체 스위치(14)가 온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turned on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AC power supply 2 to the load 3, the load 3 is applied to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When the power supply to () is instructed,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supplies a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as shown in the timing chart of FIG. As a result, the contact portion S2 i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n as in the case of supplying power to the load 3. After that, when time t1 elapses,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supplies a driving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Since the light emitting diode LD emits light and irradiates an optical signal to the phototriac S4, the phototriac S4 conducts when the alternating voltage from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2 becomes the center voltage (reference voltage). Then, the triac S3 conducts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n.

이에 따라, 교류 전원(2)으로부터 부하(3)로의 급전 경로로서,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을 거친 급전로와,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 및 반도체 스위치(14)을 거친 급전 경로가, 하이브리드 릴레이(1)내에 형성된다. 즉,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 및 반도체 스위치(14)를 거친 급전 경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부하(3)에 흐르는 전류의 일부가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 및 반도체 스위치(14)로 흘러서,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에 흐르는 전류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를 온시키고 나서 반도체 스위치(14)를 온으로 하기 때문에, 접점부(S2)에 있어서 아크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에 있어서의 접점 용착 등에 의한 접점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ower supply path via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and the power supply path via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as the power supply path from the AC power supply 2 to the load 3. Is formed in the hybrid relay 1. That is, since the feed path through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secured, a part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load 3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can be reduced. Further, since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n after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n, generation of an arc in the contact portion S2 can be avoided, whereby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 Contact consumption by contact welding in 13) can be prevented.

그 후, 신호 처리 회로(16)는 구동 전류가 되는 펄스 전류를, 다이오드(D4)를 거쳐서 자기 코일(L2)에 부여하고, 자기 코일(L2)을 일시적으로 여자시킴으로써, 접점부(S1)를 오프로 전환한다. 이 때, 접점부(S1)는, 전류량이 작아진 상태에서 접점을 개방하기 때문에, 아크의 발생을 억제 할 수 있고,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에 있어서의 접점 용착 등에 의한 접점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에서는, 다이오드(D2)가 자기 코일(L2)에 흐르는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다이오드로서 기능하고, 자기 코일(L1)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다이오드(D3)가 방지한다. Thereafter,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applies the pulse current which becomes the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2 via the diode D4, and temporarily excites the magnetic coil L2 to thereby close the contact portion S1. Switch off. At this time, since the contact portion S1 opens the contact in a state where the amount of current decreases, the generation of the arc can be suppressed and the contact consumption in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can be prevented due to contact welding or the like. can do. In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the diode D2 functions as a backflow prevention diode that prevent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2 from flowing back. D3) prevent.

이렇게 하여,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에 있어서의 접점부(S1)가 오프되면, 우선, 신호 처리 회로(16)는, 발광 다이오드(LD)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포토 트라이액(S4)으로 발광 다이오드(LD)로부터의 광 신호의 조사가 없어지기 때문에, 교류 전원(2)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이 중심 전압(기준 전압)이 되었을 때에, 포토 트라이액(S4)이 오프된다. 이 포토 트라이액(S4)의 비도통에 연동하여 트라이액(S3)이 비도통이 되기 때문에, 반도체 스위치(14)가 오프된다. 따라서, 교류 전원(2)으로부터 부하(3)로의 급전 경로가 차단되기 때문에, 교류 전원(2)에 의한 부하(3)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다. In this way, when the contact portion S1 in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turned off, first,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stops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s a result, since the irradiation of the optical signal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eliminated by the phototriac S4, when the alternating voltage from the AC power supply 2 becomes the center voltage (reference voltage), the phototriac ( S4) is turned off. Since the triac S3 becomes nonconductive in conjunction with the nonconductivity of the phototriac S4,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ff. Therefore, since the power supply path from the AC power supply 2 to the load 3 is interrupted,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3 by the AC power supply 2 is stopped.

또한, 신호 처리 회로(16)는, 발광 다이오드(LD)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고 나서 시간t2이 경과하면, 자기 코일(L3)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한다. 즉, 반도체 스위치(14)가 오프된 후에, 자기 코일(L3)에 의한 여자가 정지되어 접점부(S2)의 접점이 개방되는 것에 의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가 오프된다. 이 때, 이미 반도체 스위치(14)가 오프로 되어 있고,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에 전류가 흐르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접점부(S2)의 접점을 열어도, 아크의 발생이 없고, 그 접점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stops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when time t2 elapses after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stopped. That is, after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ff, the excitation by the magnetic coil L3 is stopped and the contact of the contact portion S2 is opened, whereby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ff. At this time, since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already off and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no arc is generated even if the contact of the contact portion S2 is opened. Contact consumption can be prevented.

4.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에 있어서의 접점부(S1)의 구성예4. Configuration example of contact portion S1 in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상술한 바와 같은 하이브리드 릴레이(1)에 구비되는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점부(S1)는, 한쪽 단부가 고정된 고정 접점 터미널(101)과, 한쪽 단부가 고정됨과 아울러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에 의해 다른쪽 단부가 변위하는 가동 접점 터미널(102)에 의해 구성된다. 이 고정 접점 터미널(101) 및 가동 접점 터미널(102)의 각각은 도체 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또한, 가동 접점 터미널(102)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에 의해 눌려졌을 때에 다른쪽 단부가 변위하도록 가요성을 구비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 접점 터미널(101)의 다른쪽 단부에는, 가동 접점 터미널(102)에 마주하는 면위에, 고정 접점(103)이 볼록하게 마련되며, 가동 접점 터미널(102)의 다른쪽 단부에는 고정 접점 터미널(101)에 마주하는 면위에, 가동 접점(104)이 볼록하게 마련된다.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ncluded in the hybrid relay 1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s shown in FIG. 4, the contact portion S1 has a fixed contact terminal 101 having one end fixed thereto, and one end fixed thereto, and a movable contact terminal whose other end is displaced by a driving member (not shown). It is comprised by 102. Each of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and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is formed of a conductor material, and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also allows the other end to be displaced when pressed by a driving member (not shown). It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properties. At the other end of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the fixed contact 103 is convexly provided on the surface facing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and the fixed contac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On the surface facing the terminal 101, the movable contact 104 is provided convexly.

또한, 고정 접점 터미널(101)의 한쪽 단부와 고정 접점(103)의 사이에, 고정 접점(103)이 설치된 면의 반대쪽 면과 고정 접점 터미널(101)의 양측면을 덮는 U자형 단면을 갖는 고정 철편(105)이 장착된다. 가동 접점 터미널(102)의 가동 접점(104)이 설치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가압부(107)가 마련된다. 가압부(107)는 고정 접점 터미널(101)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라서 가동 접점 터미널(102)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고정 접점 터미널(101)의 한 단부를 향해 연장한다. 또한, 고정 접점 터미널(101)과 가동 접점 터미널(102)의 가압부(107)의 사이에서, 고정 철편(105)의 양쪽 단부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상기 가압부(107)상에 가동 철편(106)이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 철편(105)의 양쪽 단부는, 고정 접점 터미널(101)의 가동 접점 터미널(102)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가동 철편(106)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 고정 철편(105) 및 가동 철편(106)의 각각은 자성체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In addition, between one end of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and the fixed contact 103, a fixed iron piece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covering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ixed contact 103 is provided and both sides of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105 is mounted. The pressing part 107 is provided in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in which the movable contact 104 of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was provided. The pressing portion 107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toward one end of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along the extending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Further, between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and the pressing portion 107 of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the movable iron piece 106 is placed on the pressing portion 107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fixed iron piece 105. ) Is installed. And both ends of the fixed iron piece 105 protrude toward the movable iron piece 106 from the surface which faces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of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In addition, each of the fixed iron piece 105 and the movable iron piece 106 is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이렇게 구성되는 접점부(S1)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에 의해 가동 접점 터미널(102)이 눌려지면, 가동 접점 터미널(102)의 다른쪽 단부가 고정 접점 터미널(101)의 다른쪽 단부를 향해서 변위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104)이 고정 접점(103)에 접촉함으로써 도통한다. 이 때, 가동 접점 터미널(102)의 가압부(107)에 의해 가동 철편(106)이 눌려지기 때문에, 가동 접점 터미널(102)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104)과 함께, 가동 철편(106)이 고정 접점 터미널(101)을 향해서 변위한다. As for the contact part S1 comprised in this way, when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is pressed by the drive membe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is direct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FIG. 5, the movable contact 10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103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since the movable iron piece 106 is pressed by the pressing section 107 of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the movable iron piece 106 is moved together with the movable contact 104 in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Displace toward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따라서, 고정 접점(103)과 가동 접점(104)이 접촉하여 접점부(S1)가 도통하면, 고정 철편(105)과 가동 철편(106)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그 외주측을 주회하는 자성체가 고정 접점 터미널(101)의 주위에 형성된다. 즉, 고정 철편(105) 및 가동 철편(106)에 의한 링형상의 자성체가 고정 접점 터미널(101)을 흐르는 전류를 주회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고정 철편(105) 및 가동 철편(106)에, 고정 접점 터미널(101)을 흐르는 전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형상의 유도 자속이 발생한다. 이 유도 자속의 발생에 의해, 고정 철편(105)과 가동 철편(106)은 서로 흡인한다. Therefore, when the fixed contact 103 and the movable contact 104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ontact portion S1 conducts, the fixed iron piece 105 and the movable iron piece 106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by a magnetic body that turn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is formed. It is formed around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That is, a ring-shaped magnetic body formed by the fixed iron piece 105 and the movable iron piece 106 is formed so as to wi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For this reason, concentric inductive magnetic flux centering on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fixed iron piece 105 and the movable iron piece 106. As shown in FIG. By the generation of the induced magnetic flux, the fixed iron piece 105 and the movable iron piece 106 are attracted to each other.

또한, 접점부(S1)에서 고정 접점(103)과 가동 접점(104)을 접촉시켜 도통시켰을 때에, 고정 접점(103) 및 가동 접점(104) 각각을 흐르는 전류가 역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고정 접점 터미널(101)과 가동 접점 터미널(102)의 사이에는, 자기 척력(repulsive magnetic force)이 발생한다. 이것에 대하여,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철편(105) 및 가동 철편(106)을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정 철편(105)과 가동 철편(106)에 의한 자기 인력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고정 접점(103) 및 가동 접점(104)을 흐르는 역평행 전류에 의한 자기 척력이 상쇄된다. 이에 따라, 접점부(S1)에 있어서의 접점 바운즈를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기 코일(L1, L2)을 포함하는 가동 접점 터미널(102)을 변위시키는 제 1 구동부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 자체도 소형화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fixed contact 103 and the movable contact 104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contact portion S1, the current flowing through each of the fixed contact 103 and the movable contact 104 becomes parallel in the reverse direction. Between the fixed contact terminal 101 and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a repulsive magnetic force is generated. On the other hand, by setting i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fixed iron piece 105 and the movable iron piece 106 as shown in FIG. 4, magnetic attraction by the fixed iron piece 105 and the movable iron piece 106 generate | occur | produces, The magnetic repulsion by the antiparalle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xed contact 103 and the movable contact 104 is canceled out. Thereby, not only the contact bounce in the contact part S1 can be suppressed, but the 1st drive part which displaces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102 containing magnetic coils L1 and L2 can be made small, The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tself can also be miniaturized.

5.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에 있어서의 접점부(S2)의 구성예5. Configuration example of contact portion S2 i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다음으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는, 접점간 거리가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의 접점간 거리보다 짧고, 또, 접점 압력이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의 접점압력보다 작다. 이에 따라,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자기 코일(L3)의 코일 권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자기 코일(L3)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접점부(S2)를 본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166523호에 나타내는 각 구성으로 함으로써, 접점부(S2)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Next, the structural example of the contact part S2 of the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As for the contact part S2 of this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the distance between contacts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s of the contact parts S1 of the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and a contact pressure is 1st mechanical type. It is smaller than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contact switch 12. As a result, the number of coils of the magnetic coil L3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can be reduced, and the magnetic coil L3 can be miniaturized. Moreover, since the contact part S2 can also be miniaturized by setting the contact part S2 to each structure shown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7-166523 by this applicant, the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tself can be miniaturized. Can be.

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의 구성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예를 이하에서 설명하지만, 소형화 가능하면,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제2007-166523호에서의 제 2 구동부를 압전 소자나 형상 기억 합금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자기 코일(L3)을 생략할 수 있는 구성 등의 다른 구성으로 해도 좋다. 우선, 도 6에 도시되는 접점부(S2)의 구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접점부(S2)는 도체 재료로 형성되는 2개의 고정 접점 단자(201, 202)와, 이 2개의 고정 접점 단자(201, 202)에 걸쳐 접촉가능한 도체 재료로 이루어진 가동 접점 부재(203)와, 가동 접점 부재(203)를 고정 접점 단자(201, 202)측으로 누르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구동 부재(204)를 구비한다. The example of a structure of the contact part S2 of this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shown in FIG. In addition, although the example shown in FIG. 6 is demonstrated below, if it can be miniaturized, the magnetic coil L3 is formed, for example by forming the 2nd drive part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7-166523 by a piezoelectric element or a shape memory alloy. It is good also as another structure, such as the structure which can abbreviate | omit. First, the structure of the contact part S2 shown in FIG. 6 is demonstrated below. The contact portion S2 shown in FIG. 6 includes two fixed contact terminals 201 and 202 formed of a conductor material and a movable contact member made of a conductor material that can be contacted over the two fixed contact terminals 201 and 202. 203 and a drive member 204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at presses the movable contact member 203 toward the fixed contact terminals 201 and 202.

고정 접점 단자(201, 202) 및 가동 접점 부재(203)의 각각은 도체판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고정 접점 단자(201, 202)는 하우징(205)의 저면측에 각각이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또, 가동 접점 부재(203)는 4코너에 마련된 대략 역U자 형상의 굴곡부(206)의 일단에 의해 하우징(205)에 지지되고, 구동 부재(204)에 의한 가압이 없을 때는, 하우징(205) 내부의 중공에서, 고정 접점 단자(201, 202)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205)이 절연 재료로 형성됨으로써, 구동 부재(204)에 의한 가압이 없을 때는, 고정 접점 단자(201, 202) 및 가동 접점 부재(203) 각각의 사이는 절연된 상태가 된다. Each of the fixed contact terminals 201 and 202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203 is formed by a conductor plate, and the fixed contact terminals 201 and 202 are arranged so that the bottom of the housing 205 does not contact each other. . In addition, the movable contact member 203 is supported by the housing 205 by one end of the substantially inverted U-shaped bent portion 206 provided in the four corners, and when there is no pressure by the drive member 204, the housing 205. In the hollow inside,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terminals 201 and 202. In addition, since the housing 205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when there is no pressurization by the drive member 204, the fixed contact terminals 201 and 202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203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이렇게 구성되는 접점부(S2)는, 구동 부재(204)에 의해 가동 접점 부재(203)가 눌려지면, 가동 접점 부재(203)는 굴곡부(206)의 가요성에 의해, 그 중심 부분이 고정 접점 단자(201, 202)를 향해 변위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 부재(203)가 고정 접점 단자(201, 202)와 접촉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 부재(203)가 고정 접점 단자(201, 202)에 걸쳐진다. 따라서, 고정 접점 단자(201)는 가동 접점 부재(203)를 거쳐 고정 접점 단자(202)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접점부(S2)가 도통 상태가 된다. As for the contact part S2 comprised in this way, when the movable contact member 203 is pressed by the drive member 204, the movable contact member 203 will be fixed by the flexible part of the bending part 206, and the center part will be a fixed contact terminal. Displace toward 201 and 202. As a result, since the movable contact member 203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terminals 201 and 202, the movable contact member 203 spans the fixed contact terminals 201 and 202. Therefore, since the fixed contact terminal 20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terminal 202 via the movable contact member 203, the contact portion S2 is in a conductive state.

6. 트라이액(S3) 및 포토 트라이액(S4)의 구성예 6. Structure example of triac (S3) and phototriac (S4)

또한, 트라이액(S3) 및 포토 트라이액(S4)의 구성에 대해서, 도 7∼도 9를 참조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7∼도 9에 나타낸 트라이액(S3)의 내부 구조에 근거하여, 트라이액(S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게이트 전극의 구성 이외에 대해서는, 포토 트라이액(S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해서 실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riac S3 and phototriac S4 is demonstrat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In addition, below, although the structure of the triac S3 is demonstrated based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riac S3 shown to FIGS. 7-9, about the phototriac S4 except the structure of a gate electrode. The same configuration can be realized.

우선, 도 7에 도시된 트라이액(S3)은, 표면층에 T1전극(301)과 게이트 전극(302)이 마련됨과 아울러, 이면층에 T2전극(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된, 쌍방향 제어 정류형의 반도체칩(300)을 구비한다. 이 반도체칩(300)은 제 2 리드 단자(304a)를 일부로 가지는 리드프레임(304)의 표면상에 T2전극을 구성하는 이면측 전체가 접촉하도록 해서, 리드프레임(304)에 땜납 접속된다. 그리고, 그 표면상에 반도체칩(300)의 이면측의 T2전극이 접속된 리드프레임(304)은, 방열부(303a)를 겸한 스테이(stay)(303) 위에 땜납에 의해 접합되어, 전류 도통시의 반도체칩(300) 이면(T2 전극)측에서의 열이 방열된다. First, the triac S3 shown in FIG. 7 is a bidirectional controlled rectification type in which a T1 electrode 301 and a gate electrode 302 are provided on a surface layer, and a T2 electrode (not shown) is provided on a back layer. A semiconductor chip 300 is provided. The semiconductor chip 300 is solder-connected to the lead frame 304 so that the entire back surface side constituting the T2 electrod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lead frame 304 having the second lead terminal 304a as a part. The lead frame 304 in which the T2 electrode on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semiconductor chip 300 is connected on the surface thereof is joined to the stay 303 serving as the heat dissipation portion 303a by solder, and the current is conducted. The heat on the back surface (T2 electrode) side of the semiconductor chip 300 at the time of heat dissipates.

또한, 반도체칩(300)은, 그 표면측에 있어서, T1 전극(301)에는, 각각의 다른쪽 단부가 제 1 리드 단자(301a)에 초음파 접속된 2개의 선상 와이어(linear wire)(30lb) 각각의 한쪽 단부가 초음파 접속된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302)에는, 다른쪽 단부가 게이트 리드 단자(302a)에 초음파 접속된 선상 와이어(302b)의 한쪽 단부가 초음파 접속된다. 또한, 반도체칩(300)의 표면측에서, T1 전극(301)이 하나의 모서리를 제거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제거한 모서리에, T1 전극(301)과의 경계로서 T1 전극(301)과 절연된 외주 부분을 갖는 게이트 전극(30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emiconductor chip 300 has two linear wires (30 lb), each of which has the other end thereof ultrason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ead terminal 301a, to the T1 electrode 301 on the surface side thereof. One end of each is ultrasonically connected. One end of the linear wire 302b whose other end is ultrasonically connected to the gate lead terminal 302a is ultrason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302. In addition, on the surface side of the semiconductor chip 300, the T1 electrode 30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one corner removed, and at the removed corner, the T1 electrode 301 as a boundary with the T1 electrode 301. A gate electrode 302 having an outer peripheral portion insulated from the gate electrode 302 is formed.

이와 같이, 게이트 전극(302)이 1개의 선상 와이어(302b)에 의해 접속되고 T1 전극(301)이 2개의 선상 와이어(30lb)로 접속되기 때문에, 그 T1 전극(301)에서의 접속 면적이 게이트 전극(302)에서의 접속 면적보다 넓다. 이 때, 2개의 선상 와이어(30lb) 각각에 대해서, 초음파 접속에 의한 T1 전극(301)과의 접속 개소를 복수 개소로 함으로써, 그 접속 면적을 더욱 넓게 할 수 있다. 또, 반도체칩(300)의 후측이 리드프레임(304)과 면접속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T2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의 리드프레임(304)과의 접속 면적에 관해서도, 게이트 전극(302)에 있어서의 선상 와이어(302b)와의 접속 면적에 비교해서 넓다. Thus, since the gate electrode 302 is connected by one linear wire 302b, and the T1 electrode 301 is connected by two linear wires 30lb, the connection area in the T1 electrode 301 is gated. It is larger than the connection area in the electrode 302. At this time, the connection area can be further widened by making two or more connection points with the T1 electrode 301 by ultrasonic connection into each of the two linear wires 30lb. In addition, since the rear side of the semiconductor chip 300 is in surface-connected state with the lead frame 304, the gate electrode 302 also relates to the connection area with the lead frame 304 in the T2 electrode (not shown). It is wide compared with the connection area with the linear wire 302b in the process.

이 때문에, 돌입 전류가 트라이액(S3)에 흘렀을 경우에도, 트라이액(S3)의 T1 전극(301) 및 T2 전극(302)에서는 그 접합 부분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이 접합 부분에서 전류가 분산된다. 이에 따라, 트라이액(S3)에서는, 국부적인 전류 집중에 의한 절연 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트라이액(S3)의 돌입 전류에 관한 내성(dur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국부적인 전류 집중에 의한 절연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T1 전극(301)이 3개 이상의 선상 와이어(30lb)이 접속되는 것으로 해도 좋고, 그 단면적이 선상 와이어(30lb)보다 넓은 리본 형상 와이어에 의해 접속되는 것으로 헤도 좋다. Therefore, even when the inrush current flows through the triac S3, the area of the junction portion is large in the T1 electrode 301 and the T2 electrode 302 of the triac S3, so that the current is dispersed in the junction portion. do. Accordingly, in the triac S3, dielectric breakdown due to local current concentration can be prevented, and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the inrush current of the triac S3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dielectric breakdown by this local current concentration, three or more linear wires 30lb may be connected to the T1 electrode 301, and the ribbon-shaped wire whose cross section is larger than the linear wires 30lb. It may be connected by connecting.

또한, 도 8과 같이, 2개의 선상 와이어(30lb)가 접속된 T1 전극(301)에 또한, 단면형상이 거의 사다리꼴 형상이 되는 블럭 형상의 방열 블럭(310)을 접합함으로써, 트라이액(S3)의 T1 전극에 있어서의 방열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돌입 전류가 트라이액(S3)에 흘렀을 경우에, 그 돌입 전류에 의한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트라이액(S3)의 돌입 전류에 관한 내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T1 전극(301)에서의 접합 면적을 넓히는 동시에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선상 와이어(30lb)의 대신에 제 1 리드 단자(301a)를 가지는 리드프레임(301c)을 T1 전극(301)에 땜납 접속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triac S3 is bonded to the T1 electrode 301 to which two linear wires 30lb are connected, and the block-shaped heat dissipation block 310 whose cross-sectional shape is almost trapezoidal is joined. The heat radiation efficiency of the T1 electrode can be improved. Therefore, when the inrush current flows through the triac S3, the temperature rise due to the inrush current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the resistance regarding the inrush current of the triac S3 can be improv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in order to increase the junction area at the T1 electrode 301 and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the lead frame 301c having the first lead terminal 301a instead of the linear wire 30lb is T1. It is good also as a solder connection to the electrode 301.

(제 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회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각부에 있어서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다. 또한,도 10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 도 1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 hybrid rel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0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ybrid relay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11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tate transition in each part of the hybrid relay of FIG. 10. In addition, in the hybrid relay of FIG. 10,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part same as the structure in the hybrid relay of FIG. 1,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a)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자기 코일(L3)과, 반도체 스위치(14)의 일부가 되는 포토 트라이액 커플러(15)의 발광 다이오드(LD)를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제 1 실시 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도 1 참조)와 비교해서, 구동 전류량을 저감한 구성으로 한다. 즉, 하이브리드 릴레이(1)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 회로(16)의 대신에 신호 처리 회로(16a)를 구비하고, 이 신호 처리 회로(16a)에 한쪽 단부가 접속된 저항(R3)의 다른쪽 단부에 자기 코일(L3)의 한쪽 단부가 접속되고, 이 자기 코일(L3)의 다른쪽 단부에 발광 다이오드(LD)의 애노드 전극이 접속된다. As shown in FIG. 10, the hybrid relay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magnetic coil L3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phototriac coupler 15 serving as part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By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diodes LD in series, the amount of driving current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hybrid relay 1 (see Fig. 1) of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words,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is provided in place of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 in the hybrid relay 1, and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One end of the magnetic coil L3 is connected to the anode, and the anode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gnetic coil L3.

또한, 자기 코일(L3)의 양쪽 단부에 접속되어 자기 코일(L3)의 역류 방지 기능을 하는 다이오드(D5)는 캐소드 전극이 저항(R3)과 접속되는 동시에, 애노드 전극이 발광 다이오드(LD)의 애노드 전극과 접속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릴레이(1a)는, 발광 다이오드(LD)의 애노드 전극과 자기 코일(L3)의 접속 노드에 한쪽 단부가 접속된 저항(R4)과, 발광 다이오드(LD)의 캐소드 전극에 한쪽 단부가 접속된 저항(R5)과, 저항(R4, R5) 각각의 다른쪽 단부에 콜렉터 전극이 접속됨과 아울러, 에미터 전극이 접지된 npn형의 트랜지스터(Tr1, Tr2)가 추가된 구성이 된다. 또, 트랜지스터(Tr1, Tr2)의 베이스 전극에는, 신호 처리 회로(16a)로부터 제어 신호가 인가된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와 같은 구성이므로, 그 상세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diode D5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gnetic coil L3 to prevent the reverse flow of the magnetic coil L3 has a cath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resistor R3, and an anode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t is connected with the anode electrode. The hybrid relay 1a has a resistor R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anode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nd a connection node of the magnetic coil L3, and one end thereof to a cathode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D. The collector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ed resistor R5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resistors R4 and R5, and npn transistors Tr1 and Tr2 of which the emitter electrode is grounded are added. In addition, a control signal is appli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to the base electrodes of the transistors Tr1 and Tr2. Since it is the same structure as the hybrid relay 1 of 1st Embodiment about other structure, the detail is abbreviate | omitted.

이렇게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1a)의 동작에 대해서, 도 2 및 도 11에 나타내는 타이밍차트를 참조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릴레이(1a)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와 마찬가지로, 자기 코일(L1∼L3) 및 발광 다이오드(LD)에 구동 전류의 공급 타이밍, 접점부(S1, S2) 각각의 ON/OFF 타이밍, 및 트라이액(S3)과 포토 트라이액(S4) 각각의 ON/OFF 타이밍의 각각이 도 2의 타이밍차트에 있어서의 타이밍이 된다. The operation of the hybrid relay 1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timing charts shown in FIGS. 2 and 11. The hybrid relay 1a is similar to the hybrid relay 1 in the first embodiment, and supplies timings of driving currents to the magnetic coils L1 to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nd the contact portions S1 and S2, respectively. Of the ON / OFF timing and the ON / OFF timing of each of the triac S3 and the phototriac S4 become timings in the timing chart of FIG. 2.

즉, 교류 전원(2)에 의해 부하(3)에 전원 공급시, 자기 코일(L3)에 구동 전류를 부여하고,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를 ON시킨 후에, 발광 다이오드(LD)를 발광시켜서 포토 트라이액(S4)과 트라이액(S3)을 도통시켜서 반도체 스위치(14)를 ON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 및 반도체 스위치(14)를 ON으로 한 상태에서, 펄스 전류가 되는 구동 전류를 자기 코일(L1)에 부여하는 것에 의해,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ON으로 전환한다. 그 후, 발광 다이오드(LD)로의 구동 전류를 정지하고, 포토 트라이액(S4)과 트라이액(S3)을 비도통으로 해서 반도체 스위치(14)을 OFF로 한 후에, 자기 코일(L3)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고,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를 OFF로 한다. That is,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3 by the AC power supply 2, a driv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magnetic coil L3, and after turning ON the contact part S2 of the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light emission is performed. The diode LD is made to emit light to conduct the phototriac S4 and the triac S3 to turn on the semiconductor switch 14. Thus, in the state which turned on the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ON, the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provided by giving the magnetic coil L1 the drive current which becomes a pulse current. Turn on contact S1. Thereafter, the drive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stopped, the photoelectric switch S4 and the triac S3 are turned off,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ff, and then the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Is stopped, and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FF.

한편, 교류 전원(2)에 의한 부하(3)로의 전력 공급 차단시는, 마찬가지로, 자기 코일(L3)에 구동 전류를 부여하고,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를 ON시킨 후에, 발광 다이오드(LD)를 발광시켜서 반도체 스위치(14)를 ON으로 한다. 그리고, 펄스 전류가 되는 구동 전류를 자기 코일(L2)에 부여하는 것에 의해,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OFF로 전환한다. 그 후, 발광 다이오드(LD)로의 구동 전류를 정지하고, 반도체 스위치(14)를 OFF시킨 후에, 자기 코일(L3)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고,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를 OFF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interruption of power supply to the load 3 by the AC power supply 2, after the driv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N, the light emitting diode ( LD) is made to emit light,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N. And the contact part S1 of the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switched OFF by giving the drive coil which becomes a pulse electric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2. After that, the drive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stoppe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ff,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is stopped, and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ff. do.

이 때,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a)는, 도 11의 타이밍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Tr1, Tr2)의 베이스 전극에 제어 신호를 부여하는 타이밍을 결정함으로써, 자기 코일(L3) 및 발광 다이오드(LD)의 각각 구동 전류를 부여하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신호 처리 회로(16a)에 의한, 트랜지스터(Tr1, Tr2)의 베이스 전극에 부여하는 제어 신호의 출력 타이밍과, 자기 코일(L2) 및 발광 다이오드(LD)에 구동 전류의 발생 타이밍의 관계에 대해서, 도 11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timing chart of FIG. 11, the hybrid relay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the timing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electrodes of the transistors Tr1 and Tr2, thereby providing the magnetic coil L3. And timings for providing driving currents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LD, respectively. Therefore, hereinafter, the output timing of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base electrodes of the transistors Tr1 and Tr2 by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and the timing of generation of the drive current in the magnetic coil L2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re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timing chart of FIG.

도 11의 타이밍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 회로(16a)는, 우선,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전극에 제어 신호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트랜지스터(Tr1)를 도통 상태(ON)로 해서 저항(R3, R4)과 자기 코일(L3)에 의한 직렬 회로를 구동시킨다. 즉, 신호 처리 회로(16a)는, 트랜지스터(Tr1)를 ON시킴으로써, 자기 코일(L3)에만 구동 전류를 부여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을 ON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timing chart of FIG. 11,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first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base electrode of the transistor Tr1 to turn the transistor Tr1 into a conductive state ON. The series circuit driven by (R3, R4) and the magnetic coil L3 is driven. That is,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supplies the drive current only to the magnetic coil L3 by turning on the transistor Tr1. 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N.

그리고, 트랜지스터(Tr1)을 ON으로 하고나서 시간t1이 경과하면, 신호 처리 회로(16a)는, 트랜지스터(Tr1)의 게이트 전극에 관한 제어 신호의 공급을 정지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에 관한 제어 신호의 공급을 시작한다. 즉, 트랜지스터(Tr1)를 OFF로 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Tr2)를 ON으로 해서, 저항(R3, R5)과 자기 코일(L3)과 발광 다이오드(LD)에 의한 직렬 회로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회로(16a)로부터, 직렬접속된 자기 코일(L3) 및 발광 다이오드(LD)의 각각에 대하여 구동 전류가 공급되기 때문에,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가 ON인 상태인 채로,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을 ON으로 할 수 있다. When time t1 elapses after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n,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stops the supply of the control signal for the gate electrode of the transistor Tr1 and the gate of the transistor Tr2. Supply of control signals to the electrodes is started. That is,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FF, and the transistor Tr2 is turned ON to drive a series circuit by the resistors R3 and R5,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s a result, the drive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to each of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connected in series, so that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provided.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can be turned ON while the state is ON.

또한, 제 1 실시 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와 달리, 자기 코일(L3)과 발광 다이오드(LD)가 직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제각기를 흐르는 구동 전류가 공통인 것이 된다. 따라서, 자기 코일(L3)과 발광 다이오드(LD)를 병렬 접속한 제 1 실시 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와 비교해서, 자기 코일(L3)과 발광 다이오드(LD)를 동시에 구동할 때의 구동 전류량을 저감할 수 있고, 이것은 전력소비를 억제한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LD)에 구동 전류를 부여하여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을 ON으로 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이,신호 처리 회로(16a)는, 자기 코일(L1, L2)의 어느 하나에 펄스 전류가 되는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즉, 부하(3)에 전원 공급시는, 자기 코일(L1)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ON으로 전환하는 한편, 부하(3)로의 전원 차단시는, 자기 코일(L2)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OFF으로 전환한다.In addition, unlike the hybrid relay 1 of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re connected in series, the driving currents flowing through them are common. Therefore, compared with the hybrid relay 1 of 1st Embodiment which connected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n parallel, the drive current amount at the time of driving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simultaneously. Can be reduced, which suppresses power consumption. Then, after the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n, and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uses the magnetic coils L1 and L2. The driving current which becomes a pulse current is supplied to any one of them. That is, at the time of supplying power to the load 3, the drive current is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 L1,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turned ON, and the load 3 is supplied to the load 3.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the drive current is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 L2, and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turned OFF.

이렇게 해서,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ON/OFF를 전환하면, 신호 처리 회로(16a)는,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에 관한 제어 신호의 공급을 정지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Tr1)의 게이트 전극에 관한 제어 신호의 공급을 시작한다. 즉, 트랜지스터(Tr2)를 OFF로 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Tr1)을 ON으로 해서, 발광 다이오드(LD)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고,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을 OFF로 한다. 이 때, 트랜지스터(Tr1)가 ON인 것으로부터, 자기 코일(L3)에 대하여는, 구동 전류가 계속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는 ON인 상태이다. 그리고, 트랜지스터(Tr2)를 OFF로 하고나서 시간t2가 경과하면, 신호 처리 회로(16a)는 트랜지스터(Tr1)의 게이트 전극에 관한 제어 신호의 공급을 정지한다. 즉, 트랜지스터(Tr1)을 OFF로 해서, 자기 코일(L3)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고,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을 OFF로 한다. In this way, when the ON / OFF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switched,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stops the supply of the control signal with respect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transistor Tr2, and the transistor Tr1. Supply of the control signal with respect to the gate electrode is started. That is, the transistor Tr2 is turned OFF,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N,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stopped, and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FF. do. At this time, since the drive 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 L3 because the transistor Tr1 is ON,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in an ON state. When time t2 elapses after the transistor Tr2 is turned off,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stops supplying the control signal for the gate electrode of the transistor Tr1. That is,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ff,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is stopped, and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ff.

본 실시형태와 같이, 자기 코일(L3)과 발광 다이오드(LD)를 직렬 접속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 및 반도체 스위치(14)를 동시에 ON으로 할 경우에, 자기 코일(L3) 및 발광 다이오드(LD)에 대하여 공통의 구동 전류를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자기 코일(L3)과 발광 다이오드(LD)를 병렬에 접속했을 경우와 비교해서, 신호 처리 회로(16a)로부터 공급하는 구동 전류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릴레이(1a)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re connected in series, whe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magnetic coil ( A common driving current can flow through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amount of drive current suppli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can be reduced, so that the power in the hybrid relay 1a is reduced.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랜지스터(Tr2)를 ON으로 했을 때에 자기 코일(L3)에 흐르는 전류치를, 트랜지스터(Tr1)을 ON으로 했을 때에 자기 코일(L3)에 흐르는 전류치보다 작게 되도록, 저항(R4, R5)의 저항치를 설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저항(R4, R5) 각각의 저항치가 Rr4, Rr5이고, 발광 다이오드(D5)의 강하 전압이 Vd이며, 트랜지스터(Tr1)를 ON시켰을 때 자기 코일(L3)에 흐르는 전류가 I1일 때, 저항(R5)의 저항치(Rr5)가, Rr4-Vd/I1보다 커지도록 설정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istance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when the transistor Tr2 is turned ON is smaller than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when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N. The resistance values of R4 and R5 may be set. That is, when the resistances of the resistors R4 and R5 are Rr4 and Rr5, the drop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D5 is Vd,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when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n is I1. The resistance value Rr5 of the resistor R5 is set to be larger than Rr4-DD / I1.

이렇게 저항(R4, R5)의 저항치가 설정됨으로써, 트랜지스터(Tr1)를 ON시켰을 때, 자기 코일(L3)에 충분히 큰 전류를 흘려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를 ON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를 ON인 상태에서, 반도체 스위치(14)를 ON시키면, 트랜지스터(Tr2)가,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를 ON으로 전환할 때보다 적은 전류로 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의 타이밍차트에서, 트랜지스터(Tr1, Tr2)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의 총량을 억제할 수 있고,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By setting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resistors R4 and R5 in this manner, when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n, a sufficiently large current can flow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to turn o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When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n while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in the ON state, the transistor Tr2 is turned on with less current than whe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N. Can be. As a result, in the timing chart of FIG. 11, the total amount of the drive current for operating the transistors Tr1 and Tr2 can be suppressed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제 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의 내부구성은,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이 된다. 또,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각부에 있어서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a)를 이용하지만, 제 2 실시 형태와 달리,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ON 전환시 및 OFF 전환시 각각에 있어서 다른 타이밍으로, 트랜지스터(Tr1, Tr2) 각각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2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A hybrid rela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ybrid relay of this embodiment becomes the structure shown in FIG. 10 similarly to 2nd Embodiment. 12 is a timing chart which shows the state transition in each part in the hybrid relay of this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ybrid relay 1a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is used. However,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different timings are used at the time of ON switching and OFF switching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Thus, each of the transistors Tr1 and Tr2 is driven. Therefore, below, with reference to the timing chart of FIG. 12, operation | movement of the hybrid relay 1a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 12의 타이밍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하(3)에 전원 공급시는, 제 2 실시 형태와 같이, 우선, 신호 처리 회로(16a)가 트랜지스터(Tr1)를 ON으로 해서, 자기 코일(L3)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를 ON으로 한다. 그 후, 신호 처리 회로(16a)는, 트랜지스터(Tr1)를 OFF로 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Tr2)를 ON으로 해서 자기 코일(L3)과 발광 다이오드(LD)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가 ON상태인 채로,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이 ON된다. 이와 같이, 반도체 스위치(14)내의 트라이액(S3)을 ON으로 해서, 교류 전원(2)로부터의 전원이 부하(3)에 공급되면, 신호 처리 회로(16a)는, 자기 코일(L1)에 펄스 전류가 되는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ON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timing chart of FIG. 12,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3, first,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turns on the transistor Tr1 and turns on the magnetic coil L3. The drive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N. Thereafter,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turns off the transistor Tr1 and turns on the transistor Tr2 to supply the driving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s a result,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N while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ON. In this way, when the triac S3 in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N and the power from the AC power supply 2 is supplied to the load 3,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supplies the magnetic coil L1 to the load 3. The drive current which becomes a pulse current is supplied, and the contact part S1 of the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turned ON.

그리고,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거쳐 교류 전원(2)에 의해 부하(3)로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면, 반도체 스위치(14)에 있어서의 급전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서, 신호 처리 회로(16a)는, 트랜지스터(Tr2)를 OFF로 해서, 자기 코일(L3) 및 발광 다이오드(LD)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하(3)에 전원 공급시에 있어서,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를 ON으로 한 후에는, 제 2 실시 형태와 달리, 트랜지스터(Tr1)를 ON으로 해서 자기 코일(L3)에만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기간을 제외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전원 공급 동작에 의하면, 제 2 실시 형태의 동작과 비교해서,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을 ON으로 한 후에 트랜지스터(Tr1)을 ON으로 함으로써, 자기 코일(L3)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양만큼, 그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Then,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3 is started by the AC power supply 2 via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n order to interrupt the power supply path in the semiconductor switch 14.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turns off the transistor Tr2 and stops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That is, in this embodiment, after turning on the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at the time of supplying power to the load 3, unlike the 2nd embodiment, it turns ON the transistor Tr1 and turns on a magnetic coil. The period of supplying the drive current to only L3 is exclude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gnetic coil L3 is turned on by turning on the transistor Tr1 after turning on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as compared wit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rive current supplied to the.

한편, 교류 전원(2)에 의한 부하(3)로의 전력 공급 차단시는, 제 2 실시 형태와 달리, 신호 처리 회로(16a)는, 우선, 트랜지스터(Tr2)를 ON으로 해서, 자기 코일(L3) 및 발광 다이오드(LD)의 각각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 및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을 ON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 및 반도체 스위치(14)내의 트라이액(S3)을 거친 급전 경로가 확립되면, 신호 처리 회로(16a)는, 펄스 전류로 이루어지는 구동 전류를 자기 코일(L2)에 공급하여,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을 OFF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interrupting power supply to the load 3 by the AC power supply 2,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first turns on the transistor Tr2 and turns on the magnetic coil L3. ) And the light-emitting diode LD are supplied with driving currents to turn on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n this way, when the power supply path passing through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triac S3 in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established,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drives the pulse current.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 L2 to turn off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이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거친 급전 경로를 차단하면, 제 2 실시 형태와 같이 신호 처리부(16a)는, 트랜지스터(Tr2)를 OFF로 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Tr1)를 ON으로 해서, 발광 다이오드(LD)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고,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을 OFF로 한다. 이에 따라, 교류 전원(2)에 의한 부하(3)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그 후, 신호 처리 회로(16a)는, 트랜지스터(Tr1)를 OFF로 해서 자기 코일(L3)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고,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를 OFF로 한다. When the power supply path passing through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interrupted, the signal processing unit 16a turns off the transistor Tr2 and turns off the transistor Tr1 as in the second embodiment. ) Is turned ON,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stopped, and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FF. Thereby, the electric power supply to the load 3 by the AC power supply 2 is interrupted | blocked. Thereafter,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turns off the transistor Tr1, stops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and turns off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do.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하(3)로의 전력 공급 차단시에 있어서, 제 2 실시 형태와 달리, 반도체 스위치(14)를 ON으로 하기 전의,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2)만을 ON으로 하는 기간을 제외하는 것이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전원차단시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 제 2 실시 형태의 동작과 비교해서, 반도체 스위치(14)를 ON으로 하기 전에 트랜지스터(Tr1)를 ON으로 함으로써, 자기 코일(L3)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양만큼, 그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at the time of interrupting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3,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period during which only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turned on before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n. Will be excluded. As a result,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erformed. Compare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N before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N.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rive current supplied to the circuit.

(제 4 실시 형태)(Four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회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각부에 있어서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또한, 도 13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 도 10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 hybrid rela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3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ybrid relay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14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tate transition in each part of the hybrid relay of FIG. In addition, in the hybrid relay of FIG. 13,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part same as the structure in the hybrid relay of FIG. 10,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b)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릴레이(1a)(도 10 참조)의 구성에, 저항(R5a) 및 트랜지스터(Tr2a)로 이루어지는 직렬 회로를, 발광 다이오드(LD)의 캐소드 전극에 더 접속한 구성으로 된다. 즉, 발광 다이오드(LD)의 캐소드 전극과 저항(R5)와의 접속 노드에 일단이 접속된 저항(R5a)의 타단에, 에미터 전극이 접지된 npn형의 트랜지스터(Tr2a)의 콜렉터가 접속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릴레이(1b)는, 신호 처리 회로(16a)의 대신에, 트랜지스터(Tr1, Tr2, Tr2a)의 게이트 전극, 및 자기 코일(L1, L2) 각각에 전류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처리 회로(16b)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3, the hybrid relay 1b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ries circuit including a resistor R5a and a transistor Tr2a in the configuration of the hybrid relay 1a (see FIG. 10). It becomes the structure further connected to the cathode electrode of (LD). That is, the collector of the npn type transistor Tr2a with the emitter electrode grounde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5a,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nd the resistor R5. In addition, the hybrid relay 1b is a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pplying a current signal to each of the gate electrodes of the transistors Tr1, Tr2, and Tr2a and the magnetic coils L1 and L2 instead of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a ( 16b).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1b)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LD)에 직렬로 접속되는 저항(R5, R5a) 각각의 저항치(Rr5, Rr5a)의 관계는, Rr5<Rr5a가 된다. 또, 저항(R4)의 저항치가 Rr4이고, 발광 다이오드(D5)의 강하 전압이 Vd이며, 트랜지스터(Tr1)을 ON으로 했을 때에 자기 코일(L3)에 흐르는 전류가 I1일 때, 저항(R5)의 저항치(Rr5)는 Rr4-Vd/I1이 된다. 이와 같이 저항(R5, R5a)의 저항치(Rr5, Rr5a)를 설정함으로써, 트랜지스터(Tr1)를 ON으로 했을 때에 자기 코일(L3)에 흐르는 전류치와, 트랜지스터(Tr2)를 ON으로 했을 때에 자기 코일(L3)에 흐르는 전류치를 동일하게 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Tr2a)를 ON으로 했을 때에 자기 코일(L3)에 흐르는 전류치를 작게 할 수 있다. In the hybrid relay 1b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stance values Rr5 and Rr5a of the resistors R5 and R5a connected in series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Rr5 <Rr5a.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4 is Rr4, the drop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D5 is Vd,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is I1 when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N, the resistor R5 The resistance value Rr5 is Rr4-Vd / I1. By setting the resistance values Rr5 and Rr5a of the resistors R5 and R5a in this manner,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when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N and the magnetic coil (when the transistor Tr2 is turned ON)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L3 can be made the same, and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can be reduced when the transistor Tr2a is turned ON.

이하에서는, 도 14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b)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의 타이밍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하(3)에 전원 공급시는, 제 3 실시 형태와 같이, 우선, 신호 처리 회로(16b)가 트랜지스터(Tr1)를 ON으로 해서 자기 코일(L3)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를 ON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자기 코일(L3)에 충분한 구동 전류를 부여해서 접점부(S2)를 ON시킨 후에는, 접점부(S2)를 ON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류량의 구동 전류를 자기 코일(L3)에 흘리면 되므로, 그 전류량을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실시 형태와 달리, 신호 처리 회로(16b)는, 트랜지스터(Tr1)를 OFF로 하는 것과 사실상 동시에 트랜지스터(Tr2a)를 ON으로 해서, 트랜지스터(Tr1)를 ON으로 했을 때보다 전류량이 작은 구동 전류를 자기 코일(L3) 및 발광 다이오드(LD)에 공급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timing chart of FIG. 14, operation | movement of the hybrid relay 1b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As shown in the timing chart of FIG. 14,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3, first,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b turns on the transistor Tr1 and turns on the magnetic coil L3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drive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turned ON. In this way, after giving sufficient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and turning on the contact part S2, the drive current of the amount of electric current required in order to hold | maintain the contact part S2 in an ON state is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 L3. Since it can flow, the amount of current can be made low. Therefore, unlike the third embodiment,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b turns off the transistor Tr1 and, at the same time, turns the transistor Tr2a ON and has a smaller current amount than when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N. The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이에 따라,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가 ON상태인 채로,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이 ON된다. 이렇게 하여, 교류 전원(2)로부터의 전원이 부하(3)에 공급되면, 신호 처리 회로(16b)는, 제 3 실시 형태와 같이 자기 코일(L1)에 펄스 전류로 이루어지는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ON시킨다. 그 후, 반도체 스위치(14)에 있어서의 급전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서, 신호 처리 회로(16b)는 트랜지스터(Tr2a)를 OFF로 해서, 자기 코일(L3) 및 발광 다이오드(LD)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한다. As a result,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N while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ON. In this way,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AC power supply 2 is supplied to the load 3,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b supplies the drive current which consists of a pulse electric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1 like 3rd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turned on. Thereafter, in order to interrupt the power supply path in the semiconductor switch 14,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b turns off the transistor Tr2a and supplies the driving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Stop.

한편, 교류 전원(2)에 의한 부하(3)로의 전력 차단시는, 제 3 실시 형태와 같이 신호 처리 회로(16b)는, 우선, 트랜지스터(Tr2)를 ON시켜서, 자기 코일(L3) 및 발광 다이오드(LD)의 각각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 및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이 ON되면, 자기 코일(L3)에 흘리는 구동 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처리부(16b)는 트랜지스터(Tr2)를 OFF로 하는 것과 사실상 동시에, 트랜지스터(Tr2a)를 ON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 및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이 ON인 상태에서, 자기 코일(L3) 및 발광 다이오드(LD)의 각각에 보다 작은 구동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신호 처리 회로(16b)는 펄스 전류로 이루어지는 구동 전류를 자기 코일(L2)에 공급하여,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OFF시킨다.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power interruption to the load 3 by the AC power supply 2,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b first turns on the transistor Tr2 to turn on the magnetic coil L3 and light emission. The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each of the diodes LD. In this way, when the contact part S2 of the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turn ON, the drive current which flows into the magnetic coil L3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signal processing unit 16b turns on the transistor Tr2a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as turning off the transistor Tr2. In this way, in the state where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are turned ON,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re each better. Small drive currents can be supplied. Then,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b supplies a drive current consisting of a puls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2 to turn off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거친 급전 경로를 차단하면, 신호 처리부(16b)는, 사실상 동시에 트랜지스터(Tr2a)를 OFF하고 트랜지스터(Tr1)를 ON시킴으로써, 발광 다이오드(LD)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고,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을 OFF로 한다. 이에 따라, 제 3 실시 형태와 같이 교류 전원(2)에 의한 부하(3)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그 후, 신호 처리 회로(16b)는, 제 3 실시 형태와 같이 트랜지스터(Tr1)를 OFF로 해서, 자기 코일(L3)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여,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를 OFF로 한다. When the power supply path passing through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interrupted, the signal processing unit 16b turns off the transistor Tr2a and turns on the transistor Tr1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whereby the light emitting diode LD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 is stopped, and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FF. As a result,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3 by the AC power supply 2 is cut off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reafter,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b turns off the transistor Tr1 as in the third embodiment, stops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and contacts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Turn OFF (S2).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가 ON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제 2 기계식 설정 스위치(13)의 접점부(S2)가 ON될 때 자기 코일(L3)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양에 비교해서, 자기 코일(L3)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의 전류량을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b)를 이용함으로써, 제 3 실시 형태의 경우와 비교해서,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gnetic coil when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setting switch 13 is turned on while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kept in the ON state.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drive current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 L3 can be made low compared with the amount of the drive current supplied to L3. Therefore, by using the hybrid relay 1b of this embodiment, power consumption can be further reduced compared with the case of 3rd embodiment.

(제 5 실시 형태)(Fif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회로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각부에 있어서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또한, 도 15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 도 13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 hybrid rela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5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ybrid relay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16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tate transition in each part of the hybrid relay of FIG. 15. In addition, in the hybrid relay of FIG. 15,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part same as the structure in the hybrid relay of FIG. 13,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c)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릴레이(1b) (도 13 참조)의 구성에, 저항(R4a) 및 트랜지스터(Tr1a)로 이루어지는 직렬 회로를, 자기 코일(L3)과 저항(R4)의 접속 노드에 더욱 접속한 구성이 된다. 즉, 자기 코일(L3)과 저항(R4)의 접속 노드에 저항(R4a)의 한쪽 단부가 접속되고, 저항(R4a)의 다른쪽 단부에 에미터 전극이 접지된 npn형 트랜지스터(Tr1a)의 콜렉터가 접속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릴레이(1c)는 신호 처리 회로(16b)의 대신에, 트랜지스터(Tr1, Tr1a, Tr2, Tr2a)의 게이트 전극, 및, 자기 코일(L1, L2) 각각에 전류 신호를 부여하는 신호 처리 회로(16c)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5, the hybrid relay 1c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ries circuit including a resistor R4a and a transistor Tr1a in the configuration of the hybrid relay 1b (see FIG. 13). The configuration is furthe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L3 and the resistor R4. That is, one end of the resistor R4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resistor R4, and the collector of the npn type transistor Tr1a having the emitter electrode grounded at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4a. Is connected. In addition, instead of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b, the hybrid relay 1c is a signal processing for providing a current signal to each of the gate electrodes of the transistors Tr1, Tr1a, Tr2, and Tr2a, and the magnetic coils L1 and L2. The circuit 16c is provided.

또한, 저항(R4, R4a) 각각의 저항치(Rr4, Rr4a)는, 저항(R5, R5a)의 저항치(Rr5, Rr5a)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Rr4<Rr4a가 된다. 즉, 트랜지스터(Tr1)를 ON으로 했을 때에 자기 코일(L3)에 흐르는 전류치와, 트랜지스터(Tr2)를 ON으로 했을 때에 자기 코일(L3)에 흐르는 전류치를 같게 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Tr1a)를 ON으로 했을 때에 자기 코일(L3)에 흐르는 전류치와, 트랜지스터(Tr2a)를 ON으로 했을 때에 자기 코일(L3)에 흐르는 전류치를 같게 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Tr1, Tr2) 중 어느것을 ON으로 했을 때에 자기 코일(L3)에 흐르는 전류치에 비교해서, 트랜지스터(Tr1a, Tr2a) 중 어느것을 ON으로 했을 때에 자기 코일(L3)에 흐르는 전류치를 작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istance values Rr4 and Rr4a of the resistors R4 and R4a become Rr4 <Rr4a similarly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stance values Rr5 and Rr5a of the resistors R5 and R5a. That is,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when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N and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when the transistor Tr2 is turned ON are made the same, and the transistor Tr1a is turned ON.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is equal to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when the transistor Tr2a is turned ON.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when the transistors Tr1 and Tr2 are turned ON is smaller tha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coil L3 when the transistors Tr1 and Tr2 are turned ON. can do.

이러한 하이브리드 릴레이(1c)의 동작에 관해 도 16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6의 타이밍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하(3)에 전원 공급시는, 제 4 실시 형태와 같이, 우선, 신호 처리 회로(16c)가 트랜지스터(Tr1)를 ON시켜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를 ON으로 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 회로(16c)는, 트랜지스터(Tr1)이 ON될 때 공급되는 양보다 작은 전류량을 갖는 구동 전류를 공급하도록, 트랜지스터(Tr1)를 OFF하는 것과 사실상 동시에 트랜지스터(Tr2a)를 ON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가 ON인 상태에서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이 ON된다. The operation of the hybrid relay 1c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timing chart of FIG. As shown in the timing chart of FIG. 16, at the time of supplying power to the load 3, first, as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c turns on the transistor Tr1, and thereby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Turn on the contact portion S2 of (13). Then,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c turns on the transistor Tr2a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as turning off the transistor Tr1 so as to supply a drive current having a current amount smaller than the amount supplied when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n. . As a result,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N while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s ON.

이렇게 하여, 교류 전원(2)으로부터 전원이 부하(3)에 공급되면, 신호 처리 회로(16c)는, 자기 코일(L1)에 펄스 전류로 이루어지는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ON시킨 후, 트랜지스터(Tr2a)를 OFF로 해서, 자기 코일(L3) 및 발광 다이오드(LD)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한다. In this way, when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from the AC power supply 2 to the load 3,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c supplies the drive current which consists of a puls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1, and the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After turning ON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transistor S1, the transistor Tr2a is turned OFF to stop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한편, 교류 전원(2)에 의한 부하(3)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신호 처리 회로(16c)는, 우선, 트랜지스터(Tr2)를 ON시켜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 및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을 ON으로 한다. 그 후, 신호 처리 회로(16c)는 트랜지스터(Tr2)를 OFF로 하는 것과 사실상 동시에, 트랜지스터(Tr2a)를 ON으로 한다. 또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 및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이 ON되어 있는 동안에, 신호 처리 회로(16c)는, 펄스 전류로 이루어지는 구동 전류를 자기 코일(L2)에 공급하여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OFF로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3 by the AC power supply 2 is cut off,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c first turns on the transistor Tr2 and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 And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are turned ON. Thereafter,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c turns on the transistor Tr2a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as turning off the transistor Tr2. In addition, while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and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are turned on,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c self-holds a drive current consisting of a pulse current. It supplies to the coil L2, and turns off the contact part S1 of the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FIG.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거친 급전로가 차단되면, 제 4 실시 형태와 달리, 신호 처리 회로(16c)는 사실상 동시에, 트랜지스터(Tr2a)를 OFF로 하고 트랜지스터(Tr1a)를 ON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D)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하고,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이 OFF된다. When the feed path passing through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cut off, unlike the fourth embodiment,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c turns off the transistor Tr2a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and turns off the transistor Tr1a. To ON. As a result, the supply of the driving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stopped, and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ff.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교류 전원(2)에 의한 부하(3)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트랜지스터(Tr2a)가 ON된 경우에서처럼 자기 코일(L3)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4 실시 형태와 비교해서,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그 후, 신호 처리 회로(16c)는, 트랜지스터(Tr1a)를 OFF로 해서 자기 코일(L3)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여,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접점부(S2)를 OFF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3 by the AC power supply 2 is cut off, the driving current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 L3 can be reduced as in the case where the transistor Tr2a is turned on. Therefore, compared with the fourth embodiment, power consumption can be further reduced. Thereafter,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c turns off the transistor Tr1a, stops the supply of the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L3, and turns off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do.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c)의 구성으로부터, 저항(R5a), 및 트랜지스터(Tr2a)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를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구성했을 경우, 부하(3)에 전원 공급시는, 제 3 실시 형태와 같이 트랜지스터(Tr1)를 OFF로 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Tr2)를 ON으로 한다. 한편, 부하(3)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는, 제 3 실시 형태와 같이 트랜지스터(Tr2)를 ON으로 한 상태에서, 자기 코일(L2)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In addition,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omitted the series circuit which consists of the resistor R5a and the transistor Tr2a from the structure of the hybrid relay 1c of this embodiment.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3,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FF and the transistor Tr2 is turned ON as in the third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3 is interrupted, the drive current is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 L2 in the state where the transistor Tr2 is turned on as in the third embodiment.

상술한 제 2∼제 5 실시 형태 각각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의하면, 발광 다이오드(LD)와 자기 코일(L3)에 구동 전류를 흘리고 있는 동안 자기 코일(L1, L2)의 어느 하나에 구동 전류를 흘렸을 때, 그 구동 전류의 총량이 커진다. 즉, 자기 코일(L1, L2)의 어느 하나에 구동 전류를 흘렸을 때, 하이브리드 릴레이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가 일시적으로 피크가 된다. 이 때문에, 전원선에 의해 전송 제어 장치와 통신을 실행하는 제어 단말 장치가, 상술한 하이브리드 릴레이를 복수 구비하고, 복수의 하이브리드 릴레이가 모두 동시에 전원공급 또는 전원차단을 실행할 경우, 이 피크시의 구동 전류가 제어 단말 장치에 공급되는 것이 된다. According to the hybrid relay in each of the second to fif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current is applied to either of the magnetic coils L1 and L2 while the driving current is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nd the magnetic coil L3. When it flows, the total amount of the drive current becomes large. That is, when the drive current flows to either of the magnetic coils L1 and L2, the drive current supplied to the drive circuit of the hybrid relay peaks temporarily. For this reason, when the control terminal apparatus which communicates with a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by a power supply lin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ybrid relays mentioned above, and a plurality of hybrid relays all perform power supply or power cutoff simultaneously, the drive at this peak time The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ntrol terminal device.

따라서, 전원공급 또는 전원차단이, 일부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대해서만, 예컨대, 정수개(예를 들면, 2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마다 동일 타이밍에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피크가 되는 구동 전류를 분산되게 할 수 있고, 제어 단말 장치로의 공급 전압의 극단적인 전압강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에서, 자기 코일(L1~L3)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magnetic force)은 척력(repulsive force) 또는 인력(attractive force)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력일 수 있다.Therefore, the power supply or the power cut-off can be driven at the same timing only for some hybrid relays, for example, for every integer number (e.g., two) hybrid relays, so that the driving current peaked can be dispersed. The extreme voltage drop of the supply voltage to the control terminal device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in the hybrid rela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magnetic coils L1 to L3 may be repulsive force or attractive force, and preferably may be attractive force. have.

(제 6 실시 형태)(Six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회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각부에 있어서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또한, 도 17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 도 1의 하이브리드 릴레이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 hybrid relay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7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ybrid relay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18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tate transition in each part of the hybrid relay of FIG. 17. 17,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part same as the structure in the hybrid relay of FIG. 1,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d)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릴레이(1)(도 1 참조)에 있어서의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의 대신에,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와 같은 래치형으로 되는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를 구비한다. 즉,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는 접점부(S2)를 ON으로 전환하기 위한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 코일(L3a)과, 접점부(S2)를 OFF로 전환하기 위한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 코일(L3b)을 구비한다. 이 자기 코일(L3a, L3b)은 직렬로 접속되고 그 접속 노드는 접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기 코일(L3a, L3b)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의 제 2 구동부를 구성한다. As shown in FIG. 17, the hybrid relay 1d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nstead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in the hybrid relay 1 (see FIG. 1)). A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of the latch type as shown in 12) is provided. That is,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includes a magnetic coil L3a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for turning on the contact portion S2 and a magnetic coil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for turning off the contact portion S2. (L3b) is provided. These magnetic coils L3a and L3b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ir connection nodes are grounded.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magnetic coils L3a and L3b constitute the second drive part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또한, 자기 코일(L3a, L3b)을 구비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는,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에 있어서의 다이오드(D1∼D4)에 상당하는 다이오드(D6∼D9)를 구비한다. 즉, 그 애노드 전극이 접지된 다이오드(D6, D7)의 각각이 자기 코일(L3a, L3b) 각각에 병렬로 접속됨과 아울러, 그 애노드 전극이 신호 처리 회로(16d)에 접속된 다이오드(D8, D9) 각각의 캐소드 전극이, 다이오드(D6, D7) 각각의 캐소드 전극에 접속된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와 같은 구성이 되므로, 그 상세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including the magnetic coils L3a and L3b includes diodes D6 to D9 corresponding to the diodes D1 to D4 in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do. That is, each of the diodes D6 and D7 having the anode electrode grounded is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f the magnetic coils L3a and L3b, and the diodes D8 and D9 having the an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d. Each cathode electrode is connected to a cathode electrode of each of the diodes D6 and D7. Since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hybrid relay 1 of 1st Embodiment, the detail is abbreviate | omitted.

하이브리드 릴레이(1d)에서,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의 접점부(S2), 및,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 각각에 있어서의 ON/OFF의 전환 타이밍이, 제 1 실시 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와 마찬가지로 된다. 즉, 제 1 실시 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와 동일한 구성이 되는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 및 반도체 스위치(14) 각각에 있어서의, 자기 코일(L1, L2) 및 발광 다이오드(LD)에 대해서는, 신호 처리 회로(16d)로부터 구동 전류가 공급되는 타이밍이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하이브리드 릴레이(1d)의 동작에 대해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의 ON/OFF를 중심으로, 도 18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In the hybrid relay 1d,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and the triac S3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The switching timing of ON / OFF in each is the same as that of the hybrid relay 1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o the magnetic coils L1 and L2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n each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hybrid relay 1 of the first embodiment. As for the timing, the drive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below, the operation | movement of hybrid relay 1d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the timing chart of FIG. 18 centering on ON / OFF of the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도 18의 타이밍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하(3)에 전원 공급시,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의 접점부(S2)를 ON으로 하기 위해서, 신호 처리 회로(16d)로부터 자기 코일(L3a)에 펄스 전류로 이루어지는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의 접점부(S2)가 ON으로 바뀌면, 자기 코일(L3a)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나서 시간t1이 경과했을 때에, 신호 처리 회로(16d)로부터 발광 다이오드(LD)에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제 1 실시 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와 같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가 ON된 후에, 교류 전원(2)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이 중심 전압(기준 전압)이 되었을 때에, 반도체 스위치(14)내에서, 포토트라이액(S4)의 도통에 연동하여, 트라이액(S3)이 ON되어, 반도체 스위치가 ON된다. As shown in the timing chart of FIG. 18,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3, the magnetic coil L3a from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d is turned on to turn on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 Is supplied with a drive current consisting of a pulse current. As a result, when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is turned ON, when the time t1 elapses after the drive current is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 L3a, the light-emitting diode 16d is releas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d. The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LD. Therefore, after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is turned on like the hybrid relay 1 of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AC voltage from the AC power supply 2 becomes the center voltage (reference voltage), the semiconductor switch ( In 14), in conjunction with the conduction of the phototriac S4, the triac S3 is turned on,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is turned on.

이와 같이 하여,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와 반도체 스위치(14)가 ON되고, 교류 전원(2)에 의한 부하(3)로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면, 신호 처리 회로(16d)가 자기 코일(L1)에, 펄스 전류로 이루어지는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ON으로 한다. 그리고,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가 ON으로 바뀌면, 신호 처리 회로(16d)는 발광 다이오드(LD)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반도체 스위치(14)에서는, 교류 전원(2)로부터의 교류 전압이 중심 전압(기준 전압)이 되었을 때, 트라이액(S3) 및 포토 트라이액(S4)의 각각이 비도통이 되고, 반도체 스위치(14)가 OFF된다. In this way, whe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14 are turned on, and power supply to the load 3 by the AC power supply 2 is started,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d starts the magnetic coil ( The drive current which consists of a pulse current is supplied to L1), and the contact part S1 of the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turned ON. When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turned ON,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d stops supplying the driving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Accordingly, in the semiconductor switch 14, when the AC voltage from the AC power supply 2 becomes the center voltage (reference voltage), each of the triac S3 and the phototriac S4 becomes non-conductive. The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ff.

또한, 발광 다이오드(LD)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고 나서 시간t2가 경과하면, 신호 처리 회로(16d)는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의 자기 코일(L3b)에 대하여 펄스 전류로 이루어지는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에서는 접점부(S2)가 OFF로 바뀐다.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를 ON시키고 나서 OFF시키기까지의 사이에, 반도체 스위치(14)를 ON으로 할 수 있다. 또, 신호 처리 회로(16d)는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의 ON/OFF를 전환할 때만, 자기 코일(L3a, L3b)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즉, 반도체 스위치(14)의 발광 다이오드(LD)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타이밍과, 자기 코일(L3a, L3b)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타이밍을 다른 타이밍으로 하고 있다. In addition, when time t2 has elapsed since the supply of the driving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stopped,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d is driven by a pulse current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coil L3b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Supply the current. As a result, i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the contact portion S2 is turned OFF. By operating in this way, the semiconductor switch 14 can be turned ON between turning on and turning of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d supplies the driv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s L3a and L3b only whe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is switched ON / OFF. In other words, the timing at which the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of the semiconductor switch 14 and the timing at which the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s L3a and L3b are set to different timings.

그리고, 부하(3)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때에 있어서도, 신호 처리 회로(16d)는,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의 ON/OFF를 전환할 때만, 자기 코일(L3a, L3b)에, 펄스 전류가 되는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즉, 우선, 자기 코일(L3a)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의 접점부(S2)를 ON시킨 후, 발광 다이오드(LD)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을 ON으로 한다. 그 후, 자기 코일(L2)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의 접점부(S1)를 OFF로 하면, 우선, 발광 다이오드(LD)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하고, 반도체 스위치(14)의 트라이액(S3)이 OFF된다. 그리고, 자기 코일(L3b)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의 접점부(S2)를 OFF로 한다. And also when interrupting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3,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d will pulse pulse current to the magnetic coils L3a and L3b only when switching ON / OFF of the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Supply the drive current to be. That is, first, the drive current is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 L3a,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is turned on, and then the drive current is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thereby providing a semiconductor switch ( Turn on the triac S3 of 14). After that, when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 L2 and the contact portion S1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is turned OFF, first, supply of the driving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D is stopped, Triac S3 of semiconductor switch 14 is turned OFF. Then, the drive current is supplied to the magnetic coil L3b to turn off the contact portion S2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a)를 래치형의 기계식 접점 스위치로 함으로써, 자기 코일(L3a, L3b)에 펄스 전류로 이루어지는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것만으로, 접점부(S2)의 ON/OFF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코일(L3a, L3b) 및 발광 다이오드(LD)의 각각에 대하여, 신호 처리 회로(16d)로부터 동시에 구동 전류가 흐르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시 여자형의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를 구비한 제 1 실시 형태의 하이브리드 릴레이(1)와 비교해서, 소형화하기 어려운 점은 있지만, 신호 처리 회로(16d)로부터 공급하는 구동 전류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릴레이(1d)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도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making the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a into a latch type mechanical contact switch, only the drive current which consists of pulse current is supplied to magnetic coils L3a and L3b, You can switch ON / OFF. Therefore, the drive current does not flow simultaneously from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d to each of the magnetic coils L3a and L3b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D. Therefore, compared with the hybrid relay 1 of the first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of the always-excited typ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amount of drive current suppli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6d is reduced. Since i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hybrid relay 1d can also be reduced.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가, 주접점이 되는 접점부(S1)와 연동해서 개폐 동작을 실행하는 용량이 작은 보조 접점을 갖는 것으로 하고, 보조 접점의 개폐를 신호 처리 회로(16, 16a∼16d) 각각이 체크하여 접점부(S1)의 도통/비도통을 검지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보조 접점을 가지는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1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접점부(S1)의 도통/비도통을 확실하게 검출하고,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13, 13a)의 접점부(S2) 및 반도체 스위치(15, 15a) 각각의 차단 동작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Moreover, in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suppose that the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has an auxiliary contact with a small capacity which performs opening / closing operation | work in connection with the contact part S1 used as a main contact, and opens and closes an auxiliary contact. May be checked by each of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s 16, 16a to 16d to detect conduction / non-conduction of the contact portion S1. Thus, by setting i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2 which has an auxiliary contact, the conduction / non-conduction of the contact part S1 is detected reliably, and the contact part of the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es 13 and 13a is made. (S2) and the semiconductor switches 15 and 15a can be shifted to the blocking operation.

이상 본 발명이 실시형태로서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s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1, 1a∼1d : 하이브리드 릴레이 2 : 교류 전원
3 : 부하 10, 11 : 단자
12 :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 13, 13a :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14, 14a : 반도체 스위치 15, 15a : 포토트라이액 커플러
16, 16a∼16d : 신호 처리 회로 C1 : 콘덴서
D1∼D9 : 다이오드 L1∼L3 : 자기 코일
L3a, L3b : 자기 코일 LD : 발광 다이오드
R1∼R5, R4a, R5a : 저항 S1, S2 : 접점부
S3 : 트라이액 S4 : 포토 트라이액
Tr1, Tr2, Tr1a, Tr2a : 트랜지스터
1, 1a to 1d: hybrid relay 2: AC power supply
3: load 10, 11: terminal
12: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13, 13a: 2nd mechanical contact switch
14, 14a: semiconductor switch 15, 15a: phototriac coupler
16, 16a-16d: signal processing circuit C1: capacitor
D1 to D9: diodes L1 to L3: magnetic coils
L3a, L3b: magnetic coil LD: light emitting diode
R1 to R5, R4a, R5a: resistors S1, S2: contact portion
S3: Triac S4: Photo Triac
Tr1, Tr2, Tr1a, Tr2a: transistor

Claims (13)

제 1 구동부에 의해 개폐되는 접점부를 갖는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상기 제 1 구동부와는 독립하여 동작하는 제 2 구동부에 의해 개폐되는 접점부를 갖는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직렬로 접속되는 반도체 스위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는,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급전 경로 상에서,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와 상기 반도체 스위치에 의한 직렬 회로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는,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가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간에 전환될 때에 상기 제 1 구동부에 전류가 공급되는 래치형의 기계식 접점 스위치이며,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는,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의 개폐의 전환 전에 각기 도통하고,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의 개폐의 전환 후에 각기 비도통이 되고,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를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를 닫은 후에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도통시키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 각각이 도통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를 닫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를 여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비도통시키고,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를 개방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를 닫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도통시키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 각각이 도통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를 열고,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비도통시킨 후에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를 여는
하이브리드 릴레이.
A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having a contact portion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drive portion,
A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having a contact portion opened and closed by a second drive portion operating independently from the first drive portion,
A semiconductor switch connected in series with said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series circuit by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on a feed path from a power supply to a load,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a latch-type mechanical contact switch in which current is supplied to the first drive unit wh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switched between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are each turned on before switch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are respectively non-conductive after switch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n the case where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closed, the semiconductor switch is turned on after clos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in the state where each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is in conduction, the Clos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open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simultaneously conducting the semiconductor switch,
In the case where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opened, the semiconductor switch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as clos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in the state where each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is conductive, Open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open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fter non-conducting the semiconductor switch.
Hybrid relay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이 교류 전원이고,
상기 반도체 스위치는,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중심 전압이 될 때에 도통하는 제로크로스 점호 기능(zero-cross firing function)을 갖춘 반도체 스위치인
하이브리드 릴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ource is AC power,
The semiconductor switch is a semiconductor switch having a zero-cross firing function that conducts when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AC power becomes a center voltage.
Hybrid relay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비도통시킨 후에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를 열 때, 상기 반도체 스위치가 비도통되고나서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의 반주기 이상이 되는 시간의 경과후,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가 개방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opened after the semiconductor switch is non-conductive, after the elapse of time when the semiconductor switch is non-conducting and becomes equal to or more than half a cycle of an AC voltage from the AC power supply,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is performed. Hybrid relay that opens the contact of the switch.
삭제delete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는,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가 닫혀 있는 동안 항상 상기 제 2 구동부에 전류가 공급되는 상시 여자형의 기계식 접점 스위치(normal exicitation type mechanical contact switch)이며,
상기 반도체 스위치는, 광 신호를 발생하는 발광 소자를 갖고 상기 발광 소자의 광 신호에 근거하여 도통 및 비도통으로 제어되는 포토커플러(photo-coupler)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부와 상기 발광 소자는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동시에 도통시킬 때, 공통의 전류에 의해 상기 제 2 구동부와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하이브리드 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a normal exicitation type mechanical contact switch in which current is always supplied to the second drive while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closed,
The semiconductor switch includes a photo-coupler having a light emitting element for generating an optical signal and controlled to be conductive and non-conductive based on the optical signal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e second driver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are connected in series, and whe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he second driver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are driven by a common current.
Hybrid relay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비도통의 상태로부터 동시에 도통시키는 경우는,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각각에, 제 1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가 도통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도통시킬 경우는,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제 2 구동부에 상기 제 1 전류보다 전류량이 작은 제 2 전류를 공급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simultaneously conducting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from the non-conductive state, a first current is supplied to each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second driver,
When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the semiconductor switch are conducted while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in a conducting state, a second current having a smaller current amount than the first current is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second driver. Supplied
Hybrid relay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상기 접점부를 닫을 때, 상기 제 2 구동부에 제 1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상기 접점부를 닫은 후에는, 상기 제 2 구동부에 상기 제 1 전류보다 전류량이 작은 제 2 전류를 공급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clos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after supplying a first current to the second drive portion and clos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the current amount is greater than the first current in the second drive portion. Hybrid relay that supplies this small second current.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는 래치형 기계식 접점 스위치로서,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상기 접점부가 개폐될 때만 상기 제 2 구동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And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a latch type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supplies a current to the second drive unit only wh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opened and closed.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 압력이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 접점 압력보다 작고, 상기 제 2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간 거리가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간 거리보다 짧은 하이브리드 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And a contact pressure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less than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contact pressure, and a distance between the contacts of the second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shor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contacts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상기 접점부는 접점과, 상기 접점이 연결되어 단락 전류가 흘렀을 때에 상기 접점이 닫히는 방향으로 자기 인력을 발생하는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ncludes a contact point and a magnetic circuit which generates magnetic attra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closes when the short circuit current flows through the contact point.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는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상기 접점부와 연동하는 보조 접점을 가지고, 상기 보조 접점의 개폐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의 도통 또는 비도통이 검출되는 하이브리드 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has an auxiliary contact that interlocks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and on the basis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auxiliary contact, conduction or non-conduction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is detected. Hybrid relays.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이브리드 릴레이를 복수 가지고, 복수의 상기 하이브리드 릴레이 각각의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에 있어서의 개폐를 동시에 전환할 경우, 소정수의 하이브리드 릴레이마다, 상기 제 1 기계식 접점 스위치의 접점부의 개폐의 전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 단말 장치. A predetermined number of hybrids are provided when a plurality of hybrid relay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are switched, and switching the opening and closing 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mechanical contact switc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ybrid relays is simultaneously switched. The control terminal apparatus which performs switching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part of a said 1st mechanical contact switch for every relay.
KR1020117006828A 2008-09-25 2009-09-23 Hybrid relay and control terminal apparatus KR10124963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45387 2008-09-25
JPJP-P-2008-245387 2008-09-25
JPJP-P-2009-143166 2009-06-16
JP2009143166A JP5294480B2 (en) 2009-06-16 2009-06-16 Hybrid relay
JP2009194521A JP5358348B2 (en) 2008-09-25 2009-08-25 Hybrid relay
JPJP-P-2009-194521 2009-08-25
PCT/IB2009/006248 WO2010035082A2 (en) 2008-09-25 2009-09-23 Hybrid relay and control terminal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846A KR20110058846A (en) 2011-06-01
KR101249638B1 true KR101249638B1 (en) 2013-04-01

Family

ID=4439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828A KR101249638B1 (en) 2008-09-25 2009-09-23 Hybrid relay and control terminal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49638B1 (en)
CN (1) CN102165555B (en)
TW (1) TWI404101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122A (en)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액트로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cleaning apparatus using CO2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977B1 (en) * 2014-10-08 2017-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solated switch
KR102010167B1 (en) * 2015-09-16 2019-08-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ircuit breaker
JP6708137B2 (en) * 2017-01-13 2020-06-10 オムロン株式会社 DC switch arc erasing device
CN108233348B (en) * 2018-01-23 2020-03-31 深圳市新国都技术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switch surge suppress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CN108270209A (en) * 2018-01-23 2018-07-10 深圳市新国都技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switch Surge suppression method and system
US11349296B2 (en) 2018-10-01 2022-05-31 Intelesol, Llc Solid-state circuit interrupters
US11170964B2 (en) 2019-05-18 2021-11-09 Amber Solutions, Inc. Intelligent circuit breakers with detection circuitry configured to detect fault condi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525A (en) * 1981-01-05 1982-10-2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circuit for controlling a hybrid contactor
JP2005347186A (en) * 2004-06-07 2005-12-15 Jamco Corp Hybrid relay
JP2008123719A (en) * 2006-11-08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ybrid rela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890A (en) * 1993-06-30 1995-01-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tact switching device
US5633540A (en) * 1996-06-25 1997-05-27 Lutron Electronics Co., Inc. Surge-resistant relay switching circuit
JP4241607B2 (en) * 2004-12-22 2009-03-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Electromagnetic re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525A (en) * 1981-01-05 1982-10-2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circuit for controlling a hybrid contactor
JP2005347186A (en) * 2004-06-07 2005-12-15 Jamco Corp Hybrid relay
JP2008123719A (en) * 2006-11-08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ybrid re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122A (en)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액트로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cleaning apparatus using CO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15606A (en) 2010-04-16
TWI404101B (en) 2013-08-01
CN102165555A (en) 2011-08-24
CN102165555B (en) 2014-01-15
KR20110058846A (en)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638B1 (en) Hybrid relay and control terminal apparatus
WO2010035082A2 (en) Hybrid relay and control terminal apparatus
KR100505438B1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US8130482B2 (en) Electromagnetic actuating device being actuated by AC power and held by DC power
JP5216103B2 (en) Buck converter for supplying current to at least one LED
WO2010018803A1 (en) Inductive load drive circuit
JP5358348B2 (en) Hybrid relay
JP4950625B2 (en) Hybrid relay
KR102117719B1 (en) Power semiconductor circuit
KR101393818B1 (en) Hybrid relay
CN110350896A (en) Low-voltage protection device
TWI491174B (en) Load control apparatus
JP5337685B2 (en) Heat suppression circuit for relay excitation coil
JP2014230138A (en) Semiconductor module and device for driving switching element
JP2008160347A (en) Semiconductor relay device
CN102810991A (en) Rectifier for synchronous rectifier driving circuit
EP2127486B1 (en) Driving a lighting device
JP2007087828A (en) Hybrid relay
JP5511062B2 (en) Hybrid relay
JP2004063687A5 (en)
JP4401084B2 (en) Actuator drive
TWI664656B (en) Re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WO2021111656A1 (en) Electromagnetic coil drive circuit
US20090261930A1 (en) Electromagnetic actuating device capable of partially holding electrification after being actuated in parallel connection
CN212625390U (en) Relay switch circuit and motor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