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266B1 - Vehicle guard system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 Google Patents

Vehicle guard system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266B1
KR101247266B1 KR1020110059952A KR20110059952A KR101247266B1 KR 101247266 B1 KR101247266 B1 KR 101247266B1 KR 1020110059952 A KR1020110059952 A KR 1020110059952A KR 20110059952 A KR20110059952 A KR 20110059952A KR 101247266 B1 KR101247266 B1 KR 101247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de
vehicle protection
frequency
prot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40310A (en
Inventor
황현창
Original Assignee
황현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창 filed Critical 황현창
Priority to KR1020110059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266B1/en
Publication of KR2012014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3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2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29Guidance using speech or audio output, e.g. text-to-spee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2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within the own vehicle, e.g. a local storage device, digital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방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호시스템은 응급차량 정차모드 또는 주의 환기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신호발생키 신호가 인가되면 해당 모드에 따라 미리 분류된 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의 차량방호 단말기로부터 특정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주파수에 맞게 매칭된 어느 하나의 모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 차량 방호 단말기를 소지한 운전자에게 그 모드 정보를 알리는 착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고장 또는 사고로 인한 응급 정차시 후행 차량으로 해당 응급상황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삼각대 설치 등의 비상조치를 취하지 못한 경우라도 후행 차량의 추돌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스쿨존이나 경찰 통제시 매우 쉽고 신속하게 주행 차량을 서행 주행할 수 있도록 하며 주의 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rotection system. The vehicle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n the calling side that generates a pre-classified frequency according to the mode when any one of the emergency vehicle stop mode or the alert mode is selected and a signal generation key signal is applied; Receiving a specific frequency signal from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f the calling party, extracting any one mode information matched to the corresponding frequency, and calling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f the called party that informs the driver of the destination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f the mode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ccordingly, the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ollowing vehicle during an emergency stop due to a failure or an accident,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the collision of the following vehicle even when failing to take an emergency action such as a tripod installation. It can be very easy and quick to drive the vehicle slowly, and can drive the attention.

Description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 { VEHICLE GUARD SYSTEM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 Accident Prevention {VEHICLE GUARD SYSTEM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본 발명은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일정반경 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기들에게 경고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차량 사고로 인한 정차시, 경찰의 검문시, 스쿨존의 안전깃발 작동시의 주위 환기신호를 운전자에게 전송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More specifically, by using a frequency to generate a warning signal to other terminals located within a certain radius by transmitting a peripheral ventilation signal when the vehicle stops due to a car accident, the police check-up, when the safety flag of the school zone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차량은 창문을 닫고 주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특히 도심의 도로에서는 매연과 각종 공기오염물질로 인해 대부분 차량은 일반적으로 창문을 닫고 주행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외부에서의 음향이나 음성이 잘 들리지 않으므로 안전사고의 측면에서는 더 불리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차량에서 라디오나 음악을 켜둔 상태라면 더욱 불리하다고 할 수 있다.Vehicles are usually driven with closed windows, and most vehicles are normally closed with windows due to smoke and various air pollutants on urban roads. In this case, however, the external sound or voice is hard to hear, so it is mor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afety accidents. In particular, if the radio or music is turned on in the vehicle can be said to be more disadvantageous.

따라서, 각 차량과 차량 운전자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이 필요하고, 경찰과 같이 차량의 외부에 위치한 자가 차량 운전자에게 의사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도 필요하게 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an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each vehicle and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a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driver by a person located outside the vehicle, such as a police officer, is also required.

특히, 도로의 전방에 위치한 사고차량의 경우에는 뒤따르는 많은 차량들에게 경고신호를 발생하길 희망하지만 현실적으로 삼각대를 세우고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시각적인 방법 외에는 별도의 방법이 전무한 실정이나, 이 방법은 운전자가 거동 가능해야하고 비록 거동 가능하다고 하여도 여성 운전자는 신속하게 삼각대를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accident vehicle located in front of the road, it is hoped to generate a warning signal to many vehicles following, but in reality, there is no other method except the visual method of setting up a tripod and flashing an emergency light. It must be mobile and even if it is mobile, it is difficult for a female driver to set up a tripod quickly.

또한, 스쿨존에는 등하교시간에 학부형들이 횡단보도의 양측에서 교통 지도를 하고 있지만, 운전자들은 상대적으로 도로의 측방에 위치한 안전깃발을 확인하지 못하여 사고가 발생된 경우도 빈번하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school zone, parents are on the traffic maps at both sides of the crosswalk during the school day, but drivers often fail to identify safety flags located on the side of the road.

따라서, 본 발명은 고장 또는 사고로 인한 응급 정차시 후행 차량으로 해당 응급상황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삼각대 설치 등의 비상조치를 취하지 못한 경우라도 후행 차량의 추돌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방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protection system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possibility of the collision of the trailing vehicle even if the emergency information such as tripod installation is not carried out by transmitt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to the trailing vehicle when the emergency stop due to a failure or accident It aim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스쿨존이나 경찰 통제시 매우 쉽고 신속하게 주행 차량을 서행 주행할 수 있게 하며 주의 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방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protection system that allows the vehicle to run slowly and quickly while controlling the school zone or the police, and enables attention driving.

상기 목적은, 응급차량 정차모드 또는 주의 환기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신호발생키 신호가 인가되면 해당 모드에 따라 미리 분류된 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의 차량방호 단말기로부터 특정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주파수에 맞게 매칭된 어느 하나의 모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 차량 방호 단말기를 소지한 운전자에게 그 모드 정보를 알리는 착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protection terminal for the calling party that generates a frequency p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mode when either the emergency vehicle stop mode or the alert mode is selected and the signal generation key signal is applied; Receiving a specific frequency signal from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f the calling party, extracting any one mode information matched to the corresponding frequency, and calling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f the called party that informs the driver of the destination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f the mode information; It is achieved by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comprising a.

상기 착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는 부저 또는 스피커를 통해 운전자에게 모드 정보를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alled vehicle protection terminal notifies the driver of mode information through a buzzer or a speaker.

상기 착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는 운전자에게 모드 정보를 부저로 알리는 경우, 각 모드 별로 서로 다른 부저음향 또는 부저발생빈도로 발생되어 운전자가 해당 모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f the called party notifies the driver of the mode information, a different buzzer sound or a buzzer frequency may be generated for each mode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corresponding mode.

상기 착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는 운전자에게 모드 정보를 스피커로 알리는 경우, 해당 모드 정보와 매칭된 음성데이터를 자동으로 독취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f the called party informs the driver of the mode information through the speaker,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may automatically read the voice data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mode information and output the same to the speaker.

상기 발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는 모드와 주파수를 각각 변환하는 모드/주파수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f the calling party may include a mode / frequency converter for converting a mode and a frequency, respectively.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차량방호 단말기는 외형이 무전기 또는 경광등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vehicle protection terminal may be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walkie-talkie or a warning light.

상기 발신측의 차량방호 단말기는 외형이 안전깃발봉 또는 통제봉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f the calling side may be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safety flag rod or control ro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에 의하면 고장 또는 사고로 인한 응급 정차시 후행 차량으로 해당 응급상황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삼각대 설치 등의 비상조치를 취하지 못한 경우라도 후행 차량의 추돌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mitt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to a trailing vehicle when an emergency stop due to a failure or an accident, even if the emergency measures such as tripod installation is not taken, the possibility of a collision of a trailing vehicle is prevented. Can be effective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에 의하면 스쿨존이나 경찰 통제시 매우 쉽고 신속하게 주행 차량을 서행 주행할 수 있게 하며 주의 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vehicle accid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rive the vehicle slowly and swiftly and to drive caution when the school zone or police control.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에 구성된 차량방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방호단말기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and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protection terminal configured in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showing the shape of a vehicle protection terminal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은 주파수를 이용하여 일정반경 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기들에게 경고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차량 사고로 인한 정차시, 경찰의 검문시, 스쿨존의 안전깃발 작동시의 주위 환기신호를 운전자에게 전송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시스템이다.1 and 2, the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ps due to a vehicle accident by generating a warning signal to other terminals located within a certain radius using a frequency It is a system that prevents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by transmitting a surrounding ventilation signal to the driver when the police check the police and when the safety flag of the school zone operat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은 시스템 자체로서의 구성은 간단하다. 어느 한 차량 방호 단말기(예컨대, 2a)로부터 또 다른 차량 방호 단말기(예컨대, 2b)간의 통신 시스템이다. 이는 근거리 무선통신일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무전기와 같이 특정 주파수가 할당된 통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의 특징은 차량 방호 단말기(2a, 2b)에 있다.The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configuration as the system itself. 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on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e.g. 2a) and another vehicle protection terminal (e.g. 2b). This may b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referably a communication to which a specific frequency is assigned, such as a radio. Therefore, the characteristic of the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s 2a and 2b.

차량 방호 단말기(2a, 2b)는 발신기능을 수행하는지 또는 착신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따라 발신측 차량 방호 단말기(2a) 또는 착신측 차량방호 단말기(2b)로 나타낼 수도 있으며, 제 1, 2 차량 방호 단말기(2a, 2b)로도 표시할 수 있으나, 그 내부 구성이 동일하므로 단순히 신호전송을 설명하기 위해 구분한 것에 불과하고 일반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발신과 착신이 모두 가능함을 밝힌다.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s 2a and 2b may be referred to as the calling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a or the called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b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a or 2b performs the calling function or the incoming call function. It can also be displayed as the protective terminal (2a, 2b), but because the internal configuration is the same, it is merely divided to explain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veals that it is possible to both make and receive calls like a normal telephone.

어느 한 발신측 차량 방호 단말기(2a)가 신호를 발생한 경우, 일정반경(R) 내 주파수 범위(4)가 형성되고, 그 주파수 범위(4) 내에 또 다른 착신측 차량 방호 단말기(2b)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발신측 차량 방호 단말기(2a)의 신호를 해당 착신측 차량 방호 단말기(2b)가 수신할 수 있게 된다.When either of the calling vehicle protection terminals 2a generates a signal, a frequency range 4 within a certain radius R is formed, and another called party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b exists within the frequency range 4. In this case, the called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b can receive the signal of the calling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a.

해당 주파수 범위(4) 내에 더 많은 착신측 차량방호 단말기(2b)가 존재하여도 모두 발신측 차량 방호 단말기(2a)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Even if there are more called party vehicle protection terminals 2b in the frequency range 4, all of the signals of the calling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a can be receiv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은 차량 응급사고로 인한 정차시 뒤따르는 다른 차량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prevent a collision of another vehicle following a vehicle emergency stop.

즉, 각 차량마다 차량 방호 단말기(2a, 2b)가 장착된 경우, 어느 한 차량방호 단말기(예컨대, 2a)를 장착한 차량(6a)이 고장 또는 응급 상황이 발생되어 노변에 정차할 때 탑재된 차량 방호 단말기(2a)를 작동시킨다.That is, when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s 2a and 2b are mounted in each vehicle, the vehicle 6a equipped with any on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for example, 2a) is mounted when the vehicle is stopped at the roadside due to a failure or an emergency situation.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a is operated.

그러면, 일정한 반경의 주파수 범위까지 그 차량 방호 단말기(2a)의 주파수가 발송되게 되므로, 뒤따르던 차량 예컨대, 반경 1킬로미터나 2킬로미터 범위 내에 포함된 차량(6b)으로 주파수 신호가 도달된다.Then, since the frequency of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a is sent out to a frequency range of a constant radius, the frequency signal reaches the following vehicle, for example, the vehicle 6b included in the radius of 1 km or 2 km.

이로 인해, 해당 차량(6b)에 탑재된 차량 방호 단말기(2b)는 전방 차량의 차량 방호 단말기(2a)로부터 발생된 응급신호를 수신하여 서행하면서 주의를 살필 수 있어 대형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b mounted on the vehicle 6b may receive an emergency signal generated from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a of the vehicl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may be cautious while slowing down,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a large accident. Will be.

특히, 도로가 커브인 경우라면 비상등을 점멸시키거나 삼각대를 설치하여도 후행 차량이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가까운 거리로 접근되어야만 가능하나, 고속도로의 경우에는 매우 위험할 것이다.In particular, if the road is curved, even if the emergency light flashes or a tripod is installed, a trailing vehicle must be approached at a close distance in order to check it, but in the case of a highway, it will be very dangerous.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은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비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도로가 커브인 경우라고 할지라도 효과적으로 전방 차량의 고장이나 응급상황을 후행 차량에게 전달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by using a radio signal, even when the road is curv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failure or emergency of the front vehicle to the trailing vehicle. I can deliver it.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에는 응급차량 정차모드 또는 주의 환기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신호발생키 신호가 인가되면 해당 모드에 따라 미리 분류된 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2a)와; 발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2a)로부터 특정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주파수에 맞게 매칭된 어느 한 모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 차량방호 단말기(2b)를 소지한 운전자에게 그 모드정보를 알리는 착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2b)로 이루어진다.Therefore, in the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y one of an emergency vehicle stop mode or an alert mode is selected and a signal generation key signal is applied, a frequency p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mode is generated. A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a on the calling side; Receiving a specific frequency signal from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a of the calling party, extracting any mode information matched to the corresponding frequency, and informing the driver of the destination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b of the called party of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of the mode information. It consists of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b.

이 때, 차량 방호 단말기(2a, 2b)에서 다른 차량 방호 단말기(2a, 2b)로 알리고자 하는 정보는 응급차량 정차 또는 주의 환기에 대한 정보이다. 따라서, 차량 방호 단말기(2a, 2b)에서 비상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모드는 응급차량정차모드 또는 주의 환기모드이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o be notified from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s (2a, 2b) to other vehicle protection terminals (2a, 2b) is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vehicle stop or alert. Therefore, the mode selectable for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in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s 2a and 2b is an emergency vehicle stop mode or an alert mode.

응급차량 정차모드는 문자 그대로 후행 차량에게 전방에 고장이나 응급상황으로 차량이 정차되어 있음을 알리기 위한 모드이며, 주의 환기모드는 경찰의 차량 정지신호 또는 스쿨존의 차량 서행신호나 정지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모드이다.Emergency vehicle stop mode is a mode to inform the following vehicle literally that the vehicle is stopped due to the failure or emergency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alert mode generates the vehicle's stop signal of the police or the vehicle slow signal or stop signal of the school zone. Mod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에 구성된 차량 방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protection terminal configured in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에 구성된 차량 방호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모드선택키, 신호발생키, 모드/주파수 변환부, 메모리, 부저, 부저구동부, 스피커, 스피커 구동부, 주파수 발생기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 configured in the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selection key, a signal generation key, a mode / frequency conversion unit, It is composed of memory, buzzer, buzzer driver, speaker, speaker driver, frequency generator and controller.

참조부호 8은 사용자가 응급차량 정차모드 또는 주의 환기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여 입력하기 위한 모드선택키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0은 사용자가 조작하여 원격의 또 다른 차량 방호 단말기(2) 측으로 비상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신호발생키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mode selection key for the user to select one of the emergency vehicle stop mode and the alert mode, and input the reference numeral 10, and the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n emergency to another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 remotely operated by the user. Signal generation key for generating a signal.

참조부호 12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정보와 매칭되는 주파수로 변환하며, 해당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라면 해당 주파수와 매칭하는 모드 정보로 변환 처리하는 모드/주파수 변환부를 나타낸다.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mode / frequency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the frequency information matching the mod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and converting the frequency information into mode information matching the frequency when receiving the frequency information.

참조부호 14는 각 모드 정보 및 모드 정보별 주파수 정보, 각 주파수 정보나 모드 정보와 매칭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6은 비상 주파수신호 수신시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8은 부저(16)를 구동하는 부저구동부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14 denotes a memory for storing each mode information, frequency information for each mode information, voice data matching each frequency information or mode information, and 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buzzer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when an emergency frequency signal is received. Reference numeral 18 denotes a buzzer driver for driving the buzzer 16.

참조부호 20은 비상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2는 스피커(20)를 구동하는 스피커 구동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4는 각 모드별로 다른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기를 나타낸다.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speak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mergency signal into voice data,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 speaker driver for driving the speaker 20, and reference numeral 24 denotes a frequency generator for generat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each mode. .

참조부호 26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의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여 그 주파수 신호를 다른 차량 방호 단말기(2)가 수신함으로써 전방의 응급상황이나 비상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26 denotes a control unit which generates a frequency signal of different mode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controls the other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 to recognize an emergency situation or an emergency situation by receiving the frequency signal.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에 구성된 착신측의 차량방호 단말기(2b)는 운전자에게 모드 정보를 알림에 있어서 부저(16) 또는 스피커(20)로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b of the called party configured in the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ify the buzzer 16 or the speaker 20 in notifying the driver of mode information. It is configured to.

즉, 응급상황에 대한 신호 발생을 부저(16)를 통한 경고음으로 행할 수도 있으며, 스피커(20)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모드별 음성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That is, a signal for an emergency may be generated as a warning sound through the buzzer 16, and more specifically, voice data for each mode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20.

또한, 착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2b)는 운전자에게 모드 정보를 알림에 있어서 부저(16)로 알리는 경우라면 각 모드 별로 서로 다른 부저음향 또는 부저발생빈도로 발생되어 운전자가 해당 모드를 인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b of the called party informs the driver of the mode information to the buzzer 16 in the notification, a different buzzer sound or a buzzer frequency is generated for each mode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corresponding mode. It is configured to be.

즉, 착신측의 차량방호 단말기(2b)는 발신측의 차량방호 단말기(2a)로부터 비상신호나 응급신호와 같은 신호를 수신받아 그 모드가 어떤 모드인지 수신받은 주파수를 통해 확인하고, 수신받은 모드에 매칭된 부저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해당 모드에 매칭된 부저의 발생주기(예컨대, 응급차량 정차모드라면 부저 1회 구동, 또는 주의 환기모드라면 부저 2회 구동)를 나타내어 운전자가 인지하게 하는 것이다.That is,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b of the called party receives a signal such as an emergency signal or an emergency signal from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a of the calling party through the received frequency to check the mode, and receives the received mode. The driver generates a buzzer sound matched to the buzzer, or indicates a generation period of the buzzer matched to the corresponding mode (for example, one buzzer driving in the emergency vehicle stop mode, or two buzzer driving in the alert mode). .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신측의 차량방호 단말기(2b)는 운전자에게 모드정보를 알림에 있어서 스피커(20)로 알리는 경우라면, 해당 모드 정보와 매칭된 음성데이터를 자동으로 독취하여 스피커(20)로 출력되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called party's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b informs the driver of the mode information to the speaker 20, the speaker 20 automatically reads the voice data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mode information. Will be output as

한편, 차량 방호 단말기(2)는 그 내부에 주파수 수신기(미도시)도 존재하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힌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 reveals in advance that there is also a frequency receiver (not shown) therein, but omitted because it is a general configuration.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방호단말기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A and 4B are views illustrating the shape of a vehicle protection terminal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방호 단말기(2)는 외형이 무전기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일반 무전기와 유사한 본체(30)와; 그 본체의 상면 소정부에 장착되어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안테나(32)와;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4a and 4b,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r can be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radio, the body 30 similar to a general radio Wow; An antenna 32 mounted on an upper surfac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frequency; And a speaker 20 for outputting voice data.

또한, 무전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차량 방호 단말기(2)는 그 전면 소정부에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키(8)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발생키(10)가 구성되는 바, 이는 앞선 구성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이므로 생략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 formed in the form of a radio has a mode selection key (8) for selecting a mode on the front predetermined portion; Signal generation key 10 for generating a signal is configured, which is omitted since it is already described in the foregoing configuration.

즉, 이와 같이 무전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차량 방호 단말기(2)는 차량에도 탑재가 매우 용이하고 휴대용으로도 용이하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 단말기(2)는 무전기 형상 뿐만 아니라 경광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차량 방호 단말기(2)의 다른 구성요소는 모두 동일하고, 음성데이터의 출력과 함께 경광등에 내장되어 있는 발광장치를 발광시킴으로써 시각적으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That is,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 formed in the shape of a radio is very easy to mount on a vehicle and is also portable. Of course,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shape such as a warning light as well as a radio. At this time, the other components of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 are all the same, and the user's attention can be visually drawn by emit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built in the warning lamp together with the output of the voice data.

한편, 차량 방호 단말기(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제봉의 형상으로도 제작이 가능한 바, 그 통제봉의 끝단에 안전깃발(38)을 부착할 수도 있으며, 안전깃발봉(미도시)의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 may be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control rod as shown in FIG. 4B, and may attach a safety flag 38 to the end of the control rod, and the safety flag rod (not shown) It can also be manufactured in the form.

통제봉의 형상으로 차량 방호 단말기(2)가 제작되어도 손잡이(34)와 점멸봉(36)만 상이할 뿐, 모드선택키(8)나 신호발생키(10)를 포함한 내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Even when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 is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control rod, only the handle 34 and the flashing rod 36 are different, and the internal configuration including the mode selection key 8 and the signal generating key 10 is the sam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unction and action of the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차량 방호 단말기(2) 중 어느 한 차량 방호 단말기(2)가 차량 고장이나 응급상황(응급차량 정차모드) 또는 경찰 및 교통통제자(주의 환기모드)가 사용하는 경우에 모드선택키(8)를 통해 먼저 모드를 선택한다.As shown in FIG. 5, any one of a plurality of vehicle protection terminals 2 included in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hicle failure or emergency situation. In the case of (emergency vehicle stop mode) or police and traffic controller (attention mode), the mode is first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ion key (8).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26)는 메모리(14)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 매칭되는 주파수정보를 모드/주파수 변환부(12)를 통해 추출하도록 명령한다.When a mode is selected, the controller 26 instructs the mode / frequency converter 12 to extract frequency information matching the selected mode through the memory 14.

이에 따라 해당 모드는 모드/주파수 변환부(12)를 통해 특정한 주파수로 변환된다. 변환된 주파수는 무선신호로 발생된다.Accordingly, the mode is converted to a specific frequency through the mode / frequency converter 12. The converted frequency is generated as a radio signal.

따라서, 일정 반경 내에 포함된 또 다른 차량 방호 단말기(2)는 해당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nother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can receive the corresponding frequency signal.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 또 다른 차량 방호 단말기(2)는 그 주파수 신호를 모드/주파수 변환부(12)를 통해 변환하여 매칭되는 모드 정보를 추출해내고, 그 모드 정보와 매칭되는 부저 신호를 발생하거나, 매칭되어 미리 메모리(14)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음성으로 출력한다.Another vehicle protection terminal 2 receiving the frequency signal converts the frequency signal through the mode / frequency converter 12 to extract the matching mode information, and generates a buzzer signal matching the mode information, The voice data matched and stored in the memory 14 in advance are extracted and output as voice.

예컨대, 모드 정보가 “응급차량 정차모드”인 경우라면, 예컨대, 부저음향이 “삑, 삑, 삑”과 같이 1회의 부저음향이 반복되게 할 수 있고,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라면, “전방에 응급차량이 정차중입니다. 주의 서행운전하십시오.”라는 음성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ode information is the "emergency vehicle stop mode", for example, the buzzer sound can be repeated one time, such as "삑, 삑, 삑", and if it is output as audio, The emergency vehicle is stopping. Caution Run slowly. ”Audio data can be output.

반면에, 모드정보가 “주의 환기모드”인 경우라면, 예컨대, 부저음향이 “삑삑, 삑삑, 삑삑”과 같이 2회의 부저음향이 반복되게 할 수 있고,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라면, “전방은 스쿨존이나 경찰 통제가 있습니다. 주의 서행운전하십시오.”라는 음성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mode information is the "attention mode", for example, the buzzer sound can be repeated two times the buzzer sound, such as "삑삑, 삑삑, 삑삑". There is a school zone or police control. Caution Run slowly. ”Audio data can be output.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through the preferable embodimen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within a claim.

2 : 차랑 방호 단말기 8 : 모드선택키
10 : 신호발생키 12 : 모드/주파수 변환부
14 : 메모리 16 : 부저
20 : 스피커 24 : 주파수 발생기
26 : 제어부
2: car protection terminal 8: mode selection key
10: signal generating key 12: mode / frequency conversion section
14 memory 16: buzzer
20: speaker 24: frequency generator
26:

Claims (7)

선행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상황을 포함하는 비상상황을 알리기 위한 응급차량 정차모드 또는 서행운전이 요구되는 특정지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주의 환기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신호발생키 신호가 인가되면 모드와 주파수를 각각 변환하는 모드/주파수 변환부에 의해 상기 응급차량 정차모드 및 상기 주의환기모드 중 해당 모드에 따른 주파수로 주파수를 변환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발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특정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주파수에 맞게 매칭된 어느 하나의 모드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 차량 방호 단말기를 소지한 운전자에게 서로 다른 부저음향 또는 부저발생빈도에 의한 부저와 해당 모드 정보와 매칭된 음성데이터가 자동으로 독취되어 출력되는 스피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그 모드 정보를 알리는 착신측의 차량 방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
When either emergency vehicle stop mode for notifying emergency situation including accident or breakdown of preceding vehicle or alert mode for notifying to enter a specific area requiring slow operation is selected and signal generation key signal is applied A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n a calling side for generating a signal by converting a frequency into a frequency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mode among the emergency vehicle stop mode and the caution ventilation mode by a mode / frequency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a frequency and a frequency;
Receives a specific frequency signal generated from the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f the calling party, extracts any one mode information matched to the corresponding frequency, and gives a different buzzer sound or buzzer frequency to the driver possessing the destination vehicle protection terminal. And a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f the called party that informs the mode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buzzer and a speaker that automatically reads and outputs the voice data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mode information. 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차량방호 단말기는 외형이 무전기 또는 경광등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alling and receiving vehicle protection terminal is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earance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radio or a warning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의 차량방호 단말기는 외형이 안전깃발봉 또는 통제봉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방호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Vehicle protection terminal of the outgoing side is a vehicle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earance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safety flag rod or control rod.
KR1020110059952A 2011-06-21 2011-06-21 Vehicle guard system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KR101247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952A KR101247266B1 (en) 2011-06-21 2011-06-21 Vehicle guard system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952A KR101247266B1 (en) 2011-06-21 2011-06-21 Vehicle guard system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310A KR20120140310A (en) 2012-12-31
KR101247266B1 true KR101247266B1 (en) 2013-03-28

Family

ID=4790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952A KR101247266B1 (en) 2011-06-21 2011-06-21 Vehicle guard system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26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028B1 (en) * 2003-04-30 2005-07-18 윤여진 Automobile Collision Prevention System
KR100534311B1 (en) * 2003-09-18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mergency conditions warning system for car
KR100835804B1 (en) * 2006-10-04 2008-06-05 옥은호 Radio system for preventing second traffic accident
KR20100089909A (en) * 2009-02-05 2010-08-13 최광주 The on board equipment(obe) that serving of safety information using tts(text to speech) technolog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028B1 (en) * 2003-04-30 2005-07-18 윤여진 Automobile Collision Prevention System
KR100534311B1 (en) * 2003-09-18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mergency conditions warning system for car
KR100835804B1 (en) * 2006-10-04 2008-06-05 옥은호 Radio system for preventing second traffic accident
KR20100089909A (en) * 2009-02-05 2010-08-13 최광주 The on board equipment(obe) that serving of safety information using tts(text to speech)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310A (en)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1755B2 (en) Sound-directed-outside-vehicle emitting device
US20240157873A1 (en) Advanced pedestrian and/or driver alert and/or collision avoidance system
US6404351B1 (en) Emergency vehicle warning system
US20070241932A1 (en) Wireless traffic calming, cautioning, early warning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US8599039B2 (en) Wireless traffic calming, cautioning, early warning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US9792820B1 (en) Audible and visual alert warning system for approaching vehicles
US20020102961A1 (en) Emergency vehicle warning system
KR20180059663A (en) Traffic signal system for notifying approaching of emergency vehicle
US20060176190A1 (en) Emergency vehicle alert system
JP2006323666A (en) Pedestrian running-out alarm system
KR20190041600A (en)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secondary accident using IoT
KR101691751B1 (en) Accident reporting system using iot safety tripod
KR101414344B1 (en) Service to inform the approach of emergency vehicles and Concessions
KR101247266B1 (en) Vehicle guard system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CN101404109A (en) Alarm device for outburst disaster road conditions of freeway and railway
WO2015136558A1 (en) Warning system about possible emergency situations to road users
KR100835804B1 (en) Radio system for preventing second traffic accident
US6619593B1 (en) Train noise elimination system
KR102464003B1 (en) Intelligent security device using street light
US20110221610A1 (en) Smart chip radio
CN205177168U (en) Safety equipment of emergent early warning information intercommunication of car
KR101774273B1 (en) Smart boll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mart bollard
AU2021100298A4 (en) Emergency Services and Response Transmitter (ESRT).
CN2275970Y (en) Special-purpose vehicles pass through random early-warning system
US20210209944A1 (en) Street-bound emergency vehicle warning ligh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