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836B1 - Tv용 슬림형 스피커 - Google Patents

Tv용 슬림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836B1
KR101245836B1 KR1020110063636A KR20110063636A KR101245836B1 KR 101245836 B1 KR101245836 B1 KR 101245836B1 KR 1020110063636 A KR1020110063636 A KR 1020110063636A KR 20110063636 A KR20110063636 A KR 20110063636A KR 101245836 B1 KR101245836 B1 KR 101245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diaphragm
housing
magnetic circuit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152A (ko
Inventor
정병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2012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3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piezoelectric bender, e.g. bimorp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2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piezoelectric driv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원을 측방향에 배치시킨 후 아마추어의 양단을 탄성 구동하여 진동판의 진동변위를 크게 함으로써 음질을 향상시킨 TV용 슬림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피커는 장방형 하우징; 진동판; 상기 장방형 하우징의 일측 단변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자기갭을 형성하는 제1 자기회로; 상기 장방형 하우징의 타측 단변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자기갭을 형성하는 제2 자기회로; 및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1 자기회로 및 상기 제2 자기회로와 상호작용 하여 수평방향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수평방향 진동을 수직방향 진동으로 확장 변경하여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진동판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 구동부는 상기 제1 자기회로의 자기갭에 위치하는 제1 보이스코일과, 상기 제2 자기회로의 자기갭에 위치하는 제2 보이스코일과, 제1 단부에 상기 제1 보이스코일이 부착되고 제2 단부에 상기 제2 보이스코일이 부착되며 양단으로부터 중앙부분으로 가면서 소정 반경으로 굴곡되어 중앙부분이 상기 진동판과 결합되어 상기 보이스코일들의 수평방향 진동에 따라 오므라지거나 펼쳐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진동변위를 확장 변경하여 진동판을 구동하는 아마추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TV용 슬림형 스피커{SLIM TYPE SPEAKER FOR TV}
본 발명은 아마추어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원을 측방향에 배치시킨 후 아마추어의 일단 혹은 양단을 탄성 구동하여 진동판의 진동변위를 크게 함으로써 음질을 향상시킨 TV용 슬림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구동원이 진동판을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하는 것인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구동방식에 따라 다이나믹형 스피커, 정전형 스피커, 압전 스피커(필름형 스피커) 등으로 구분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다이나믹 방식은 무빙코일(moving coil) 타입이라고도 불리우며, 기본적으로 영구자석과 보이스코일, 그리고 보이스코일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이스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영구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보이스코일이 움직이게 되며, 이때 보이스코일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판이 진동하게 되어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다이나믹 방식의 스피커는 보이스 코일의 진동방향과 진동판의 진동방향이 같이 수직진동하므로 수직선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자기회로와 보이스코일, 진동판이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스피커의 두께를 얇게 만드는데 한계가 있다.
대표적인 필름형 스피커(압전 스피커)는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Polyvinylidene fluoride)이라 불리는 고분자화합물(압전체) 필름으로 만들어지는데, 전극이 형성된 필름에 소리 정보를 가진 전기 신호를 흘려 보내면 진동을 하여 소리를 발생한다. 이러한 필름방식의 스피커는 적게는 수십볼트에서 수백볼트의 전압이 공급되어야 필요한 음압레벨을 얻을 수 있고, 필름의 물성에 의해 최저 재생주파수 대역에 한계가 있어 저음 영역의 음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이나믹형 스피커는 보이스 코일이 진동판을 직접 구동하고 압전스피커는 압전필름이 직접 구동되어 소리를 발생시킴에 반해, 아마추어형 스피커는 아마추어를 구동시켜 아마추어가 진동판에 움직임을 전달하여 진동판을 구동하는 간접 구동 방식의 스피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다이나믹 스피커와 동등한 입력조건으로 동등한 성능을 구현하면서 두께가 얇은 TV용 슬림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마추어의 양단을 수평방향으로 탄성 구동시켜 중앙부분이 진동판을 수직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진동판의 진동변위를 크게 하여 음장감을 향상시키면서도 슬림화를 가능하게 하는 TV용 슬림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피커는, 하우징; 진동판; 상기 진동판을 향해 굴곡되어 상기 진동판과 결합되고, 적어도 일단이 수평방향으로 구동되면 수직방향으로 진동되면서 상기 진동판을 수직방향으로 구동하는 아마추어; 및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위치하면서 오디오신호에 따라 상기 아마추어의 일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여 자기갭을 형성하는 제1 자기회로와, 상기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 자기회로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아마추어의 일단을 구동하는 제1 보이스코일로 구성되어 상기 아마추어의 일단을 구동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하여 자기갭을 형성하는 제2 자기회로와, 상기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2 자기회로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아마추어의 타단을 구동하는 제2 보이스코일을 더 구비하여 상기 아마추어의 양단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아마추어의 일단을 구동하는 제1 압전 진동체로 구성되어 상기 아마추어의 일단을 구동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아마추어의 타단을 구동하는 제2 압전 진동체를 더 구비하여 상기 아마추어의 양단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는 일자형으로 되어 일단이 구동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측면이나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아마추어는 3개의 가지를 갖는 삼발이 형이나 4개의 가지를 갖는 십자형 혹은 5개 내지 12개의 가지를 갖는 다지형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지가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진동판은 평판형이나 오목형, 돔형 혹은 콘형이고, 상기 스피커는 장방형이나 방형, 타원형, 혹은 원형이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은 장방형이나 방형, 타원형, 혹은 원형의 프레임과 커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TV용 슬림형 스피커는 구동부를 측방향에 배치시킨 후 아마추어의 일단 혹은 양단을 탄성 구동하여 진동판의 진동변위를 크게 함으로써 음장감을 향상시키면서도 슬림화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를 장방형(rectangle)으로 만들 경우 단변의 양측에 구동부를 배치하여 아마추어의 반경을 크게 하면 수평방향의 작은 변위에 대해서도 수직방향으로 큰 변위로 진동할 수 있는 공간확보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변위의 증가로 기존의 압전 스피커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압전물질의 단점인 저역 음역대의 재생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에 사용되는 아마추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에 사용되는 아마추어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에 사용되는 진동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의 구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의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외관 형상이 정사각형인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외관 형상이 원형인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에 사용되는 아마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스피커로서 커버(110)와 프레임(150)으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하우징과, 진동판(120)과, 장방형 하우징의 양측 단변에 각각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자기갭을 형성하는 한쌍의 자기회로(130L,130R)와, 전류가 흐르면 해당 자기회로(130L,130R)와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하면서 하나의 아마추어(146)를 통해 진동판(120)을 구동하는 진동판 구동부(14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버(110)는 상방향이 개방되어 진동판의 진동에 의한 음파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프레임(150)에는 에어 홀이 형성되어 있다.
진동판(120)은 엣지(122)와 바디(124)로 이루어지고, 자기회로는 장방형 하우징의 좌측 단변에 배치되는 좌측 자기회로(130L)와, 장방형 하우징의 우측 단변에 배치되는 우측 자기회로(130R)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자기회로(130L,130R)는 커버(110)와 프레임(150)에 의해 지지되면서 "ㄷ" 자형으로 내측이 개구된 요크(132)와, 요크(132)의 중앙에 부착되고 수평방향으로 자화된 자석(134)과, 자석(134) 위에 부착된 플레이트(136)로 이루어져 플레이트(136)와 요크(132)의 개구 단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자기갭을 형성하고 있다.
진동판 구동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자기회로(130L)의 자기갭에 위치하는 좌측 보이스코일(142L)과, 우측 자기회로(130R)의 자기갭에 위치하는 우측 보이스코일(142R)과, 좌측 단부에 좌측 보이스코일(142L)이 부착되고 우측 단부에 우측 보이스코일(142R)이 부착되며 양단으로부터 중앙부분으로 가면서 소정 반경으로 굴곡되어 중앙부분이 진동판(120)과 결합되어 보이스코일(142L,142R)의 수평방향 진동에 따라 오므라지거나 펼쳐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진동변위를 확장 변경하여 진동판(120)을 구동하는 아마추어(146)로 구성된다. 여기서, 아마추어(146)와 진동판(120)과의 결합은 물리적인 밀착이나 훅킹, 접착제 등을 사용한 화학적 접착(본딩), 용접, 융착 등이 가능하다.
또한 아마추어(14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된 활대(146A)의 양단에 보이스코일(142L,142R)을 부착하기 위한 평판(146L,146R)이 부착되어 있고, 수평방향의 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평판(146L,146R)의 가장자리에는 서스펜션부(144L,144R)가 형성되어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아마추어(146)의 재질로는 나무나 고분자, 금속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소재는 모두 가능하다.
이러한 아마추어(146)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활대(146A)의 스프링 강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관통공(146c)이 형성된 예이고, 도 6은 활대(146A)에 홈(146d)이 형성된 예이며, 도 7은 활대(146A)에 돌기(146e)가 형성된 예이다. 그리고 도 8은 활대(146A)의 양측이 단부로 가면서 폭이 넓어지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과 같은 예에서도 스프링의 강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나 홈, 돌기 등을 형성할 수가 있다. 여기서, 관통공이나 홈, 돌기는 활대(146A)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에 사용되는 진동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진동판(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판형이나 본 발명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의 형상이 아마추어(146')를 향해 하향으로 굴곡을 가진 진동판(12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의 중앙부분이 오목한 콘형 진동판(120")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피커는 평판형이나 오목형, 돔형 혹은 콘형 등 다양한 진동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로서, (a)는 아마추어(146-1)의 반경(R)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이고, (b)는 아마추어(146-2)의 반경(R)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이다. 도 10의 (a)와 (b)를 비교하면, 각 아마추어(146-1, 146-2)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변위(d)를 인가할 경우에도 반경(R)이 작은 아마추어(146-1)의 수직방향 변위(V1)보다 반경이 큰 아마추어(146-2)의 수직방향 변위(V2)가 더욱 커(V2 > V1) 반경(R)을 크게 할 경우에 진동변위가 크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의 형상을 가로와 세로의 비가 큰 장방형으로 하면서 단변의 양측에 구동부를 각각 배치하여 아마추어의 반경을 크게 하여 진동변위를 크게 하면서도 박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장방형 하우징의 좌우 양 단변에 배치된 보이스 코일(142L,142R)에 전류가 흐르면 좌,우 보이스코일(142L,142R)에 자기장이 형성되면서 자기갭의 자기장과 상호작용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된다. 좌,우 보이스코일(142L,142R)에 의한 수평방향 진동은 보이스코일(142L,144R)이 부착된 아마추어의 좌,우 평판(146L,146R)을 진동시키고, 좌,우 평판(146L,146R)의 진동은 활대(146A)로 전달되어 활대(146A)의 좌,우 양단이 오므라지거나 펼쳐지면서 활대(146A)의 중앙부분이 수직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활대(146A)의 중앙부분과 결합된 진동판(120)이 수직방향으로 크게 진동하면서 음향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장방형 스피커(100)는 가로와 세로의 비를 크게 함으로써 아마추어(146)의 반경을 크게 하여 수평방향의 작은 변위에 대해서도 수직방향으로 큰 변위를 일으켜 진동변위를 크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음장감을 크게 하면서도 박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의 측단면도로서, 구동력을 압전 진동체를 통해 발생시키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10)와 프레임(250)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하우징과, 장방형의 진동판(220)과, 장방형 하우징의 양측 단변에 배치되어 전압이 인가되면 압전효과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는 좌,우 압전 진동체(240L,240R)와, 장방형 하우징의 양측 단변에서 좌,우 압전 진동체(240)를 각각 지지하는 좌,우 압전 진동체 지지부(230L,230R)와, 양단이 좌,우 압전 진동체(240L,240R)에 각각 고정되면서 진동판(220)을 향해 소정의 반경으로 볼록하게 굴곡되어 중앙부분이 진동판(220)과 접촉되어 좌,우 압전 진동체(240L,240R)의 수평방향 진동에 따라 오므라지거나 펼쳐지면서 상,하 방향으로 진동변위를 확장 변경하여 진동판(220)을 구동하는 아마추어(246)로 구성된다. 진동판(220)은 엣지(222)와 바디(224)로 이루어지고, 압전 진동체(240L,20R)에는 진동 완충용 쿠션(248)이 부착되어 있고, 아마추어(246)는 지지부재(246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아마추어 스피커(200)도 압전 진동체로 구동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스피커(100)와 구성 및 동작원리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300)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a)는 아마추어(346)의 일단만을 구동하고 타단은 고정 하우징(360)에 서스펜션(344F,348F)을 통해 고정한 예이고, (b)는 아마추어(346)의 일단만을 구동하고 타단은 프레임의 측벽(352)에 바로 고정한 예이며, (c)는 아마추어(346')의 일단만을 구동하고 타단은 프레임의 바닥면(354)에 고정편(370)으로 고정한 예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300)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아마추어(346)의 일측에만 요크와 자석 및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자기회로(330)와, 보이스 코일(342)과 서스펜션(344)으로 이루어진 구동부(340)를 구현하고, 아마추어(346)의 타단은 고정 하우징(360)이나 프레임의 측벽(352) 혹은 프레임의 바닥면(354)에 고정편(370)으로 고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아마추어(346)의 일단만을 구동하더라도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원리로 아마추어(346)가 진동판(320)을 구동하여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아마추어 스피커의 변형 예(300')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2개의 아마추어(346-1,346-2)를 각각 일측면에서 구동하여 진동판(320)에 대해서는 양측 구동이 되도록 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아마추어(346-1)의 일단과 제2 아마추어(346-2)의 일단이 프레임(350)의 바닥면에 고정편(370)으로 고정되어 있고, 제1 아아추어의 타단은 제1 자기회로(330-1)와 제1 구동부(340-1)로 구동하고, 제2 아마추어의 타단은 제2 자기회로(330-2)와 제2 구동부(240-2)로 구동한다. 이러한 변형예(300')에서 진동판(320)은 제1 아마추어(346-1)와 제2 아마추어(346-2)에 의해 각각 구동되므로 양측이 구동되는 다점 구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외관 형상이 정사각형인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외관 형상이 원형인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스피커의 형상이 장방형인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정사각형(방형)의 스피커(400)나 원형의 스피커(500) 혹은 타원형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원형이나 정사각형의 경우에는 아마추어(546)를 일자형뿐만 아니라 십자형으로 하여 적어도 1 지점 이상 많게는 4 지점(530-1~530-4)에서 구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아마추어는 3개의 가지를 갖는 삼발이 형이나 4개의 가지를 갖는 십자형 혹은 5개 내지 12개의 가지를 갖는 다지형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지를 구동시킴으로써 다점 구동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200,300,400,500: 스피커 110,210: 커버
120,220: 진동판 130L,130R: 자기회로
132: 요크 134: 자석
136: 플레이트 140: 진동판 구동부
142L,142R: 보이스코일 144L,144R: 서스펜션부
146: 아마추어 146A: 활대
146L,146R: 평판 230L,230R: 압전 진동체 지지부
240L,240R: 압전 진동체 246: 아마추어
248: 쿠션 150: 프레임

Claims (19)

  1. 하우징;
    진동판;
    상기 진동판을 향해 굴곡되어 상기 진동판과 결합되고, 그 일단이 수평방향으로 구동되면 수직방향으로 진동되면서 상기 진동판을 수직방향으로 구동하는 아마추어; 및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위치하면서 오디오신호에 따라 상기 아마추어의 일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림형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여 자기갭을 형성하는 제1 자기회로와,
    상기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 자기회로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아마추어의 일단을 구동하는 제1 보이스코일로 구성되어 상기 아마추어의 일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하여 자기갭을 형성하는 제2 자기회로와,
    상기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2 자기회로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아마추어의 타단을 구동하는 제2 보이스코일을 더 구비하여 상기 아마추어의 양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아마추어의 일단을 구동하는 제1 압전 진동체로 구성되어 상기 아마추어의 일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아마추어의 타단을 구동하는 제2 압전 진동체를 더 구비하여 상기 아마추어의 양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는
    일자형으로 되어 일단이 구동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측면이나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는
    일단이 구동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 아마추어와, 일단이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구동되는 제2 아마추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는
    3개의 가지를 갖는 삼발이 형이나 4개의 가지를 갖는 십자형 혹은 5개 내지 12개의 가지를 갖는 다지형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지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평판형이나 오목형, 돔형 혹은 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장방형이나 방형, 타원형, 혹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장방형이나 방형, 타원형, 혹은 원형의 프레임과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12. 하우징;
    진동판;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변에 배치되어 자기갭을 형성하는 제1 자기회로; 및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1 자기회로와 상호작용 하여 수평방향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수평방향 진동을 수직방향 진동으로 확장 변경하여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진동판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림형 스피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형 스피커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 단변에 배치되어 자기갭을 형성하는 제2 자기회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진동판 구동부를 양측에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 구동부는
    상기 제1 자기회로의 자기갭에 위치하는 제1 보이스코일과,
    상기 제2 자기회로의 자기갭에 위치하는 제2 보이스코일과,
    제1 단부에 상기 제1 보이스코일이 부착되고 제2 단부에 상기 제2 보이스코일이 부착되며 양단으로부터 중앙부분으로 가면서 소정 반경으로 굴곡되어 중앙부분이 상기 진동판과 결합되어 상기 보이스코일들의 수평방향 진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진동변위를 확장 변경하여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아마추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는
    소정 반경으로 굴곡된 활대와, 상기 보이스코일을 부착하기 위해 상기 활대의 양단에 부착되어 있는 평판과, 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평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서스펜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활대는
    스프링 강성를 조정하기 위해 관통홀이나 홈이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활대의 양단은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18. 하우징;
    진동판;
    상기 진동판을 향해 소정의 반경으로 굴곡되어 상기 진동판과 결합되고, 양단이 수평방향으로 구동되면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상기 진동판을 수직방향으로 구동하는 아마추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변에 위치하여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아마추어의 일단을 구동하는 제1 압전 진동체;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 단변에 위치하여 상기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아마추어의 타단을 구동하는 제2 압전 진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림형 스피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는
    스프링 강성을 조정하기 위해 관통홀이나 홈이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
KR1020110063636A 2011-05-13 2011-06-29 Tv용 슬림형 스피커 KR101245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014 2011-05-13
KR20110045014 2011-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152A KR20120127152A (ko) 2012-11-21
KR101245836B1 true KR101245836B1 (ko) 2013-03-20

Family

ID=4751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636A KR101245836B1 (ko) 2011-05-13 2011-06-29 Tv용 슬림형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6206A (zh) 2014-07-29 2017-04-19 礼电子有限公司 感觉信号输出装置
CN114143658B (zh) * 2021-12-29 2024-04-05 菏泽韩升元电子股份有限公司 双振谐式耳机振片单元及具有该结构的耳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5700A (ja) 1981-12-18 1983-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電形スピ−カ
JPS5924000A (ja) 1982-07-30 1984-02-07 Nippon Gakki Seizo Kk 電気音響変換器
KR880003790Y1 (ko) * 1985-09-23 1988-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평면 스피커의 구조
JP2003032789A (ja) 2001-05-11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5700A (ja) 1981-12-18 1983-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電形スピ−カ
JPS5924000A (ja) 1982-07-30 1984-02-07 Nippon Gakki Seizo Kk 電気音響変換器
KR880003790Y1 (ko) * 1985-09-23 1988-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평면 스피커의 구조
JP2003032789A (ja) 2001-05-11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152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715B1 (ko) 코일판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KR100643765B1 (ko) 스피커장치
KR101061550B1 (ko) 장방형 서스펜션 및 이를 채용한 스피커 모듈
KR101499514B1 (ko) 장방형의 일체형 투웨이 스피커
JP2016524390A (ja) ダブルダイアフラム型スピーカーモジュール
CN111918179B (zh) 发声装置及具有其的电子设备
US9398376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EP2866467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CN112911470A (zh) 一种扬声器模组
JP5112159B2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US9641938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radiating acoustic seal and stacked magnetic circuit assembly
KR101245836B1 (ko) Tv용 슬림형 스피커
JP2016036070A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1466786B1 (ko) 스피커의 서스펜션
KR20050054644A (ko) 다수의 코일판을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US20220337955A1 (en) Flat speaker including asymmetrical magnetic bodies and base frame
JP2004120517A (ja) スピーカ
KR100533714B1 (ko) 폐루프 형상의 코일판을 구비하는 평판스피커
US7515724B2 (en) Loudspeaker driver
CN209608855U (zh) 一种微型受话器
CN109982222B (zh) 一种微型受话器
KR100488654B1 (ko) 두개의 자기회로부를 가지는 스피커
KR102115387B1 (ko) 무빙 자기회로 타입 복합 스피커
KR102564872B1 (ko) 위상반전 구조를 갖는 패시브 라디에이터 진동 스피커
KR102079624B1 (ko) 평판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