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878B1 -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item having annotation on electronic book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item having annotation on electronic boo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878B1
KR101242878B1 KR1020110081167A KR20110081167A KR101242878B1 KR 101242878 B1 KR101242878 B1 KR 101242878B1 KR 1020110081167 A KR1020110081167 A KR 1020110081167A KR 20110081167 A KR20110081167 A KR 20110081167A KR 101242878 B1 KR101242878 B1 KR 101242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otation
digital content
user
item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1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9176A (en
Inventor
양진홍
최준균
박효진
송석현
박상민
안나경
김현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8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878B1/en
Priority to US13/287,445 priority patent/US20130042171A1/en
Publication of KR2013001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8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9Phrasal analysis, e.g. finite state techniques or chu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책 상에서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 및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인터넷 통신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 모듈과,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annotation)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이때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별로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개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annotated items on an e-book. A server that provides an online service related to digital conten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includes a content management module that provides digit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nd recognizes an object selected by the user in the digital content, and then responds to the user's request. And an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for generating and storing annotation data applied to annotations according to the object, wherein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calculates the number information related to annotation for each digital content using the annotation data. Can be.

Figure R1020110081167
Figure R1020110081167

Description

전자책 상에서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 및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ITEM HAVING ANNOTATION ON ELECTRONIC BOOK}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ITEM HAVING ANNOTATION ON ELECTRONIC BOO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에서 다수의 애너테이션(annotation)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extract and utilize an item in which a plurality of annotations are made from content.

전자책이란 문자나 화상과 같은 정보를 전자 매체에 기록하여 서적처럼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서로서, e북(e-book)이라고도 한다. 기존의 종이책 대신 인터넷의 표준언어인 HTML과 XML을 응용해 만든 디지털화된 책을 자신의 PC나 전용 단말기에서 뷰어(Viewer)를 이용해 습득하는 것으로,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이 낳은 디지털콘텐츠 서비스의 한 형태이다. 독자 입장에서 보면 종이책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필요한 부분만 별도구입이 가능하다는 점이 편리하고, 출판사 입장에서도 제작비와 유통비를 절약할 수 있고 책 내용에 대한 업데이트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An e-book is a digital book that can be used as a book by recording information such as text and images on an electronic medium, and is also called an e-book. It is a form of digital contents service created by cutting-edg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y acquiring digitized books made by applying HTML and XML, the standard language of the Internet, using viewers on their PCs or dedicated terminals. to be. From the reader's point of view, it is more convenient than the paper book because it is cheaper and only the necessary parts can be purchased separately, and the publisher can sav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osts and update the contents of the book easily.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9638호(공개일 2011년 08월 09일)에는 전자책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책은 단순히 컨텐츠에 대한 뷰잉(viewing) 기능과 북마크(bookmark) 기능의 수준만을 제공하고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89638 (published August 09, 2011) discloses a technology that provides a link to a variety of education services based on the e-book. However, the conventional e-book merely provides a level of a viewing function and a bookmark function for the content.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책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빠르게 추출하고, 개별 챕터(chapter)와 같이 컨텐츠 구성 측면에서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안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method and system for quickly extracting annotated items by a user in an e-book environment, and providing an interface environment for easily checking the annotated items in terms of content composition, such as individual chapters, Is suggested.

전자책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자동 추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A method and system are provided that can automatically extract items with multiple annotations created by a user in an e-book environment.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에 대해 직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A method and system are provided that provid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annotation items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인터넷 통신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 모듈과,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annotation)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별로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개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A server that provides an online service related to digital conten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includes a content management module that provides digit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nd recognizes an object selected by the user in the digital content, and then responds to the user's requ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generates and stores annotation data applying annotations to an object. In this case,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may calculate the numb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annotation for each digital content using the annotation data.

일측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디지털 컨텐츠의 ID, 디지털 컨텐츠의 렌더링에 따른 객체의 위치 값, 객체에 해당되는 실제 데이터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may store the annotation data in a data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ID of the digital content, the position valu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rendering of the digital content, and the actual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object.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디지털 컨텐츠의 ID를 이용하여 각 디지털 컨텐츠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may count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in each digital content by using the ID of the digital conten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객체의 위치 값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may count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item for each item in which the content of the digital content is classified us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objec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객체에 해당되는 실제 데이터를 비교하여 공통된 객체에 대해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may compare the actual data corresponding to the object and count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or the common objec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관리 권한이 부여된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별 개수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may provide the administrator with the number information for each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 request of an administrator authorized to manage the digital conten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중 각 항목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관리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may recommend at least one item to the manager based on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item among the items in which the content of the digital content is divided.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may provide a graph indica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item for each item of digital conten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관리자로부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에 대한 범위가 지정되면 지정된 범위에 해당되는 항목에 대하여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may provide a graph indica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for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range when a range for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is designated by the administrato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그래프에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가 가장 많은 항목의 바(bar)를 다른 항목의 바와 다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may display a bar of an item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annotation data in the graph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items.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애너테이션 관리 모듈은 관리자가 그래프에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바를 선택하면 선택된 바에 대응되는 항목의 내용을 표시하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may move to a page displaying contents of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r when the administrator selects at least one bar indica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in the graph.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프로그램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코드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 코드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와,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애너테이션 카운트 코드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항목 별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제공하는 애너테이션 제공 코드를 포함한다.A user terminal providing a viewer function for digital content includes a touch-sensitive display, at least one processor, a memory, and at least one program, wherein the at least one program is stored in a memory and stor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gram is configured to be executed, the program includes: a content display code for displaying digital content on a screen of a touch-sensitive display; an object recognition code for recognizing an object selected by the user from digital content through a user's touch input to the touch-sensitive display; An annotation storage code for generating and storing annotation data with annotations applied to an objec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and an annotation count code for coun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by each item for each item of digital content With, user The request includes annotations service code for providing a number of items specific annotations data.

인터넷 통신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단계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관리 권한이 부여된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항목 별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service method of a server system that provides an online service related to digital conten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may include providing digit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recognizing an object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and storing annotation data applying annotations to an objec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coun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item for each item of digital content; And provid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for each item according to a request of an administrator authorized to manage the information.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애너테이션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항목 별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annotation providing method of a user terminal providing a viewer function for digital content may include displaying digital content on a screen of a touch-sensitive display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digital content through a user's touch input to the touch-sensitive display. Recognizing the object selected by the user, generating and storing annotation data applying annotations to the objec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generating the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item for each item in which the content of the digital content is divided. Counting the number, and provid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for each item at the request of the user.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코드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 코드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와,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애너테이션 카운트 코드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항목 별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제공하는 애너테이션 제공 코드를 포함한다.Th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providing a viewer function for digital content is recorded includes a content display code for displaying digital content on a screen of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a user-selected digital content through a user's touch input to the touch-sensitive display. Object recognition code for recognizing the object, annotation storage code for generating and storing annotation data applied to the object at the request of the user, and annotations generated from each item for each item of digital content An annotation count code for counting the number of data and an annotation providing code for provid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for each item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전자책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자동으로 추출함으로써 다양한 측면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In an e-book environment, it automatically extracts items with many annotations created by the user, and can be easily utilized in various aspects.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에 대해 직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으며 해당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that provides multiple annotations, you can intuitively learn about the annotations and easily understand the contents.

교과 과정에서 다수의 학생이 컨텐츠 상의 내용에 애너테이션을 한 경우 문제 출제자에게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자동으로 추천할 수 있어 출제자가 이를 바탕으로 보다 능동적이고 편리하게 문제 출제가 가능하다.When a large number of students have annotated the contents in the curriculum,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commend the item in which the annotation is written to the questionnaire, which enables the questionnaire to proactively and conveniently present ques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에서 애너테이션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애너테이션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애너테이션 데이터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추출된 항목에 대한 애너테이션 그래프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nnotation management method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nnotations in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notation dat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nnot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emplary diagrams of a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ing annot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tracting an item in which a plurality of annotations are c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terface screen that provides an annotation graph for an extracted i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book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an e-book service for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디지털 컨텐츠에서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Embodiments of a server system and a user terminal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a plurality of annotation items from digital conten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는 인터넷의 표준언어인 HTML과 XML을 응용해 만든 디지털화된 문서를 총칭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컨텐츠는 전자책 기반의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igital content may collectively refer to a digitized document made by applying HTML and XML, which are standard languages of the Internet. In particular, digital content may refer to e-book based content.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책 기반의 서비스 모델을 구현하고, 디지털 컨텐츠에 사용자가 요청한 애너테이션을 작성하고 디지털 컨텐츠에서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하여 이를 활용하는 애너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시스템은 인터넷 통신, 모바일 통신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의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온라인 서비스 형태로 사용자 단말에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와 아울러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애너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은 전자책 전용 단말기, PC, 태블릿, 휴대 단말기(스마트 폰 등) 등 다양한 플랫폼에 동일한 기능의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본 발명에서는 전자책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의 로컬 환경을 위해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은 물론,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애너테이션 기능 등을 포함하는 전자책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전자책 앱'이라 칭함)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책 앱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로컬 상태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고, 소비하는 등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자책 앱은 사용자 단말과 서버 시스템 간의 상호 연동을 통해 서버 시스템 상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고, 소비하고, 타인과 공유하는 등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책 앱은 디지털 컨텐츠에서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컨텐츠 별 또는 항목 별 애너테이션의 개수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애너테이션 한 항목에 대해 직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UI(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system implements an e-book based service model that provides digital contents to user terminals, creates annotations requested by users on digital contents, and extracts and utilizes items with multiple annotations from digital contents. An annotation function can be provided. For example, the server system provides digit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n online service while maintaining a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or mobile communication, and provides an annotation function for the digital content. Can provide. The server system may provide an e-book service having the same function to various platforms such as an e-book dedicated terminal, a PC, a tablet, a portable terminal (smart phone, etc.). As anothe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book-only application including a viewer function for digital content and an annotation function for digital content for a local environment of a user terminal in relation to an e-book service (hereinafter, 'e-book) App "). The e-book app may basically provide a service environment for storing, managing, and consuming digital content in the local state of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he e-book app may provide a service environment such as managing, consuming, and sharing with other users digital content stored on the server system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book app extracts items in which a plurality of annotations are made from digital content, and provides the number of annotations for each content or item based on the content, and enables users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items that the annotations have been made. UI (User Interface) environment can be provided.

사용자 단말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 애너테이션 기능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자책 전용 단말기, PC, 태블릿, 휴대 단말기(스마트 폰 등)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전자책 앱의 설치가 가능하고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접속이 가능한 모든 통신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provides a viewer function, an annotation function, or the like for digital content,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e-book dedicated terminal, a PC, a tablet, a portable terminal (smartphone, etc.), and /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user terminal may refer to all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installing the e-book app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system.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일 예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간의 접촉 포인트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에 대응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기술 또는 LPD(발광 폴리머 디스플레이) 기술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한 근접 센서 어레이들 또는 다른 소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touch sensitive display as an example of the display means.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touch-sensitive display and the user may correspond to one or more fingers or a stylus pen of the user. The touch-sensitive display may use LCD (liquid crystal display) technology, LPD (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technology, or the like, but other display technologies may be used in other embodiments. The touch sensitive display can further include proximity sensor arrays or other elements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contact point with the touch sensitive display.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포함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같은 UI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는 전자책 뷰어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디지털 컨텐츠에 적용된 애너테이션의 내용과 개수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GUI는 제스처, 아이콘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접촉 포인트에 따른 UX(User Experience)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GUI에서는 각각의 제스처 모션이나 아이콘 별로 각기 다른 기능이 사전에 정의되어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GUI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인식하고, 인식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The touch-sensitive display may display a UI screen such a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ncluding at least one window. The at least one window may be used to display digital content through the e-book viewer or display the content and number of annotations applied to the digital content. The GUI may recognize a user experience (UX) input according to a contact point of a user based on various types of input interfaces such as gestures and icons. In the GUI, different functions may be predefined and set for each gesture motion or icon. That is, the user terminal may recognize a touch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GUI of the touch sensitive display, and execu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in response to the recognized touch input.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에 표시된 디지털 컨텐츠에서 일부 객체를 선택하는 기능(이하, '객체 선택 기능'이라 칭함) 및 선택된 객체에 대해 애너테이션을 적용하는 애너테이션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객체 선택 기능에 대하여,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터치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1초 이상 정지한 상태로 유지하거나, <, >, {, }, (, ), [, ], 「, 」 등과 같이 사전에 정의된 소정의 제스처 모션이 입력되는 경우 인식될 수 있다. 애너테이션 기능에 대하여, 객체 선택 기능을 통하여 소정의 객체가 선택된 후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메뉴가 선택되거나,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메뉴가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객체에 드래그앤드랍(drag and drop)되는 경우 인식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function of selecting some objects from the digital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sensitive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bject selection function) and an annotation function of applying annotation to the selected object may be provided. . Regarding the object selection function, one or more fingers touching the touch-sensitive display can be held still for one second or longer, or in advance, such as <,>, {,}, (,), [,], ",", etc. It may be recognized when a defined predetermined gesture motion is input. The annotation function recognizes when a menu related to annotation is selected after a predetermined object is selected through the object selection function, or when the menu related to annotation is dragged and dropped onto an object to be selected by the user. Can be.

이하에서는, 전자책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에서 선택한 객체에 대해 애너테이션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방법과, 디지털 컨텐츠에서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UI 화면은 디지털 컨텐츠의 서비스 형태, 시스템의 운영 체제 또는 UI 환경 등에 따라 화면의 구성이나 기능이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UI 화면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의 일반적인 뷰어 화면을 일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UI 화면의 구성이나 기능 등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and managing annotations for a selected object in an e-book based digital content, and a method of extracting and utilizing items in which a plurality of annotations are created from digital content will be described. The UI screen of the touch-sensitive display may have a different configuration or function according to a service type of digital content, an operating system of the system, or a UI environment. The UI screen described below describes a general viewer screen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as an example.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Modifications may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에서 애너테이션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애너테이션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에서 선택된 소정의 객체에 대해 애너테이션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nnotation management method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nnotations in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structure of generated annotation data. Hereinafter, a method and an embodiment of generating annotations for a predetermined object selected from digital cont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는 전자책 앱의 컨텐츠 표시 코드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가 표시된다(11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로컬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직접 전자책 앱을 실행하거나, 서버 시스템과의 접속을 통한 온라인 서비스 형태로 전자책 앱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책 앱은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 내부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거나, 서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뷰어 환경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전자책 앱은 컨텐츠 표시 코드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며, 이때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The digital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sensitive display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by the content display code of the e-book app (110).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may directly execute the e-book app as a local-based program, or execute the e-book app as an online service through a connection with a server system. Accordingly, the e-book app may be stored in a memory of the user terminal and executed by a processor inside the user terminal or may be executed through a browser of the user terminal for using a viewer environment provided by the server system. The e-book app renders the digital content by the content display code, and at this time, the content layer in which the digital content is rendered may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touch-sensitive display.

이후, 전자책 앱의 객체 인식 코드에 의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120). 본 발명에 있어서, 객체는 단어, 문장, 단락 중 적어도 하나를 단위로 하는 텍스트는 물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모든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디지털 컨텐츠에서 소정의 객체에 대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객체 선택 기능이 인식되면 객체 선택 기능이 인식된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를 객체 선택 기능에 따른 선택 대상으로 인식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reafter, the object selected by the user may be recognized in the digital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sensitive display by the object recognition code of the e-book app (1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may mean not only texts based on at least one of words, sentences, and paragraphs, but also all objects included in digital content such as images, videos, and audio. When the object selection function is recognized through a user's touch input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object in the digital content displayed through the touch-sensitive display,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object selection function is recognized is displayed as a selection target according to the object selection function. Can be.

이후, 전자책 앱의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에 의해 객체 선택 기능을 통해 선택된 객체에 사용자가 요청한 애너테이션을 적용하여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한다(130). 본 발명에 있어서, 애너테이션 기능은 디지털 컨텐츠에 사용자가 추가적인 정보를 표현하는 모든 방법을 총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책갈피 기능, 밑줄, 중요 표시, 메모 추가, 토론 기능 등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원 컨텐츠에 부가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이 모든 데이터가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될 수 있다.Subsequently, after generating the annotation data by applying the annotation requested by the user to the object selected through the object selection function by the annotation storing code of the e-book app, the generated annotation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130).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notation function may collectively refer to all methods of exp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by the user to the digital content. For example, if you apply various types of applications to the original content such as bookmarking, underlining, highlighting, adding notes, and discussing, all of the data may be annotation data.

일례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에 대해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별 ID(Annotation_id)(201)와, 해당 객체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Annotation_content_info)(202)와, 애너테이션을 생성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Annotation_owner_info)(203)와, 객체에 적용된 애너테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Annotation_application_info)(204)와, 객체에 대한 애너테이션을 생성 시 발생한 데이터 정보(Annotation_info)(20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별 ID(201)는 생성 시 부여되는 고유 값으로, 개별 애너테이션이 어떠한 컨텐츠, 그리고 컨텐츠의 어디에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202)는 객체가 선택된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ID 값(Content_id)과, 디지털 컨텐츠에서 객체의 위치 값(Content_locator)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의 위치 값은 디지털 컨텐츠의 렌더링 시 저장된 포지션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렌더링 시 컨텐츠 전체의 x축 크기(content rendering width)와 y축 크기(content rendering height)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203)는 개별 애너테이션이 어떤 유저에 의해 생성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자책 앱에 사전에 등록된 닉네임, 아이디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정보(204)는 책갈피, 밑줄, 강조 표시, 토론 기능 등과 같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사전에 부여된 고유 값(Annotation_application_i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정보(205)는 객체에 애너테이션이 생성 시 발생한 데이터 정보로, 애너테이션의 생성 시간(Annotation_date)과, 객체의 타입을 구별하는 타입 정보(Annotation_object_type)와, 객체에 해당되는 실제 데이터(Annotation_object_data)를 포함할 수 있다. 애너테이션의 생성 시간(Annotation_date)을 활용하는 경우, 동일 컨텐츠의 동일 객체에 대하여 애너테이션의 중복 생성이 가능하다. 객체의 타입 정보는 예를 들어 오디오,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객체의 실제 데이터는 <content1.xml의 23345byte부터 23450byte까지의 데이터 값>과 같은 형태로 로우 데이터(low data)의 파일 상 링크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조의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복된 정보, 예를 들어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 등을 검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notation data generated for the object selected by the user includes an individual ID (Annotation_id) 201 of annotation data, content information (Annotation_content_info) 202 associated with the object, and the annotation data as shown in FI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notation_owner_info) 203 of the user who created the annotation, application information (Annotation_application_info) 204 of the annotation applied to the object, and data information (Annotation_info) 205 generated when generating an annotation on the object. It may be generated in a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Here, the individual ID 201 of the annotation data is a unique value given at generation, and may be us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what content and where the individual annotation is connected to. In addition, the content information 202 may include an ID value Content_id of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in which the object is selected and a location value Content_locator of the object in the digital content. For example, the position value of the object means position information stored when the digital content is rendered, and may be represented by the content rendering width and the content rendering height of the entire content during rendering.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203 of the user provides information on which user the individual annotation was generated, and may utilize a nickname, ID, and the like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e-book app. In additio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204 may include a unique value (Annotation_application_id) previously assigned to each application such as a bookmark, an underline, a highlighting function, and a discussion function. In addition, the data information 205 is data information generated when an annotation is generated in an object. The data information 205 includes an annotation creation time (Annotation_date), type information (Annotation_object_type) for distinguishing an object type, and actual data corresponding to the object. Annotation_object_data). When an annotation generation date (Annotation_date) is utilized, duplicate annotations may be generated for the same object having the same content. The type information of the object can be divided into audio, video, image, text, etc., and the actual data of the object is low data in the form of <data value from 23345byte to 23450byte in content1.xml>. Link information on file may b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uplicat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or the same content may be searched based on the annotation data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표현하는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와 도 5는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에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 및 그 일실시예를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of expressing annot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exemplary views of a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ing annotation data. Hereinafter, a method and an embodiment of expressing annotation data generated in digital cont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디지털 컨텐츠에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렌더링 된 컨텐츠에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별도의 레이어를 추가하는 형태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310). 전자책 앱은 애너테이션 표시 코드에 의해 애너테이션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렌더링 된 애너테이션 레이어를 컨텐츠 레이어에 오버레이 하여 사용자 단말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In order to express annotation data in the digital content, the annotation data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dding an additional layer in the form of an overlay to the rendered content (310). The e-book app may render annotation data by the annotation display code, and in this case, the annotation layer on which the annotation data is rendered may be overlaid on the content layer and displayed on the touch-sensitiv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일례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410)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애너테이션 레이어(420)를 추가하는 형태로 컨텐츠에 대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애너테이션 레이어(420)에는 컨텐츠의 소정 객체에 대해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를 통해 생성 및 저장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바탕으로 렌더링이 수행될 수 있다.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렌더링에 있어,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Annotation_id : 1, Content_id : wikipedia.org/항성, Annotation_owner : sunupnet, Annotation_application_id : basic_02, Annotation_info : Ddf#gweD>의 애너테이션 데이터에 대해 해당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의 애너테이션 레이어(520) 상에 밑줄 표시(521)가 표현되고, <Annotation_id : 2, Content_id : wikipedia.org/항성, Annotation_owner : sunupnet, Annotation_application_id : basic_12, Annotation_info : JFH3lk$%>의 애너테이션 데이터에 대해 해당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의 애너테이션 레이어(520) 상에 중요 표시(522)가 표현되며, <Annotation_id : 3, Content_id : wikipedia.org/항성, Annotation_owner : sunupnet, Annotation_application_id : basic_05, Annotation_info : KLJE8#CK>의 애너테이션 데이터에 대해 해당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의 애너테이션 레이어(520) 상에 박스 표시(523)가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들이 선택 객체에 대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공유 설정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의 친구 등)에게 공개하거나 공유하는 경우, 서버 시스템은 외부 검색엔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등을 통하여 사용자 간에 공개가 허용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annotation data for the conten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dding the annotation layer 420 in the form of an overlay on the content layer 410 on which the content is rendered. In this case, the annotation layer 420 may be rendered based on annotation data generated and stored through annotation storage code for a predetermined object of content. In rendering annotation data, for example, annotation data of <Annotation_id: 1, Content_id: wikipedia.org/ star, Annotation_owner: sunupnet, Annotation_application_id: basic_02, Annotation_info: Ddf # gweD> For example, an underline mark 521 is expressed on the annotation layer 5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and <Annotation_id: 2, Content_id: wikipedia.org / star, Annotation_owner: sunupnet, Annotation_application_id: basic_12, Annotation_info: JFH3lk For annotation data of $%>, an important mark 522 is displayed on the annotation layer 5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Annotation_id: 3, Content_id: wikipedia.org/ star, Annotation_owner: sunupnet, Annotation_application_id: basic_05, Annotation_info: KLJE8 # CK> shows the box mark 523 on the annotation layer 520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Can. On the other hand, when users share or share annotation data on a selected object with other users (eg, a user's friend, etc.) using the sharing setting function, the server system may use an external search engine or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It is possible to collect annotation data that is allowed to be disclosed between users through the user and transmit the annotation data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애너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서버 시스템은 기존의 디지털 컨텐츠의 형태를 별도로 수정하지 않고도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애너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컨텐츠를 단순히 읽는 수준에서 벗어나 다양한 애너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읽고 있는 컨텐츠에 대하여 자신이 원하는 수준의 애너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terminal and server system providing the annot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annotation function for the digital content without modifying the existing form of the digital content, and the user can simply read the content. In addition, various annotation functions can be used to create annotations of the desired level for the content being rea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추출된 항목에 대한 애너테이션 그래프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에서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일실시예를 설명한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tracting items for which a plurality of annotations have been c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llustrates an annotation graph of extracted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ample of the interface screen provided. Hereinafter, a method and an embodiment of extracting and providing an item in which a plurality of annotations are made from digital cont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본 발명에서는 전자책의 애너테이션 카운트 코드에 의해 개별 애너테이션이 어떤 컨텐츠 및 컨텐츠의 어디에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중복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 시스템은 디지털 컨텐츠를 구독한 사용자들에 의해 작성된 모든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정보 검색에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에서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별 ID(Annotation_id)에 연결된 디지털 컨텐츠의 ID 값(Content_id)을 바탕으로 동일한 컨텐츠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별 ID(Annotation_id)에 연결된 객체의 위치 값(Content_locator)을 바탕으로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예를 들어, 단락, 챕터(chapter) 등) 별로 동일한 항목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별 ID(Annotation_id)에 연결된 객체의 실제 데이터(Annotation_object_data)를 바탕으로 공통된 객체에 대해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uplicate information may be searched based on information on which content and content of an individual annotation are connected by an annotation count code of an e-book.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or server system may extract all annotation data created by users who have subscribed to the digital content and use it for information retrieval to extract items for which a plurality of annotations have been created from the digital content. For example,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the same content may be counted based on the ID value Content_id of the digital content connected to the individual ID Annotation_id of the annotation data. As another example, the content of digital content is generated from the same item for each item (eg, paragraph, chapter, etc.) classified based on the location value (Content_locator) of the object linked to the individual ID (Annotation_id) of annotation data. The number of generated annotation data can be counted. As another example,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or the common object may be counted based on the actual data (Annotation_object_data) of the object connected to the individual ID (Annotation_id) of the annotation data.

예를 들어, 중복된 애너테이션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시저는 도 6과 같다. 먼저, Content_id 별로 Annotation_id의 카운트를 생성할 수 있다(610). 이를 위하여, 모든 애너테이션 데이터에 대하여 차례로 Annotation_id를 선택해 가면서(611), Annotation_id에 연결된 Content_id를 확인한 후, 이에 Content_id 별로 임시로 부여된 각각의 컨텐츠 ID에 대해 카운트를 누적(+1)할 수 있다(612). 상기한 단계(611)(612)의 과정을 마지막 Annotation_id까지 반복한다(613). 또한, 동일 Content_id 중 Content_locator가 동일한 것에 대해 Content_locator 별 카운트를 생성할 수 있다(620). 이를 위하여, Content_id 별로 차례로 Content_locator를 선택해 가면서(621) 동일 Content_locator에 대해 카운트를 누적할 수 있다(622). 상기한 단계(621)(622)의 과정을 마지막 Content_id까지 반복한다(623). 그리고, 동일 Content_locator 별로 Annotation_object_data의 비교를 통해 동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630). 이를 위하여, 동일 Content_locator 별로 차례로 Annotation_object_data를 선택해 가면서(631) 동일 Annotation_object_data를 가지는 Content_locator에 대해 카운트를 누적할 수 있다(632). 상기한 단계(631)(632)의 과정을 마지막 Content_locator까지 반복한다(633). 상기한 프로시저에 의해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중복된 정보 검색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 별로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개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640).For example, a procedure for checking duplicate annotations is shown in FIG. 6. First, a count of Annotation_id may be generated for each Content_id (610). To this end, while selecting Annotation_id for all annotation data in turn (611), after checking Content_id connected to Annotation_id, a count may be accumulated (+1) for each content ID temporarily assigned to each Content_id ( 612). The process of steps 611 and 612 is repeated until the last Annotation_id (613). In addition, a count for each Content_locator may be generated for the same Content_locator among the same Content_id (620). To this end, counting may be accumulated for the same Content_locator while selecting Content_locator for each Content_id in sequence (622). The process of steps 621 and 622 is repeated until the last Content_id (623). In operation 630, the same information may be confirmed by comparing Annotation_object_data for each same Content_locator. To this end, an Annotation_object_data may be sequentially selected for the same Content_locator (631), and the count may be accumulated for the Content_locator having the same Annotation_object_data (632). The process of steps 631 and 632 is repeated until the last Content_locator (633). In operation 640, the number information related to annotations may be calculated for each digital content by searching for duplicate information based on annotation data by the above procedure.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전자책의 애너테이션 제공 코드에 의해 사용자 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관리 권한이 있는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별 애너테이션의 개수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 시스템은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개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annotations for each digital content is provided by the annotation providing code of the e-book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or an administrator who has authority to manage digital content.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or server system may provide a UI for checking the numb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annotation.

예를 들어, 개별 챕터와 같이 컨텐츠 구성 측면에서 챕터 별로 애너테이션 개수 확인이 가능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의 챕터 목록을 제공하는 페이지(710) 상에 챕터 별로 각 챕터의 내용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의 개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하, '애너테이션 그래프'라 칭함)(720)를 노출할 수 있다. 이때, 애너테이션 그래프(720)가 노출되는 UI 화면 상에 애너테이션의 개수에 대한 범위 지정이 가능한 메뉴(721)가 제공되고,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애너테이션의 개수에 대한 범위가 지정되면 해당 범위의 챕터에 대해서만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애너테이션 그래프(720)에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책의 애너테이션 제공 코드에 의해 애너테이션의 개수에 대한 검색식(721)을 통해 해당 내용만을 선별하여 애너테이션 그래프(72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애너테이션 그래프(720)는 챕터 별 애너테이션의 개수를 기준으로 애너테이션의 개수가 많은 적어도 하나의 챕터가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애너테이션 그래프(720)에서 애너테이션의 개수가 가장 많은 챕터의 바(722)를 다른 챕터의 바와 다른 형태(예를 들어, 별도 색상으로 표현하는 등)로 표현할 수 있다. 즉, 교육 과정에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문제를 출제하고자 할 경우 다수의 학생들이 애너테이션 한 항목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해당 항목을 출제자(즉, 관리자)에게 추천하는 형태의 UI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애너테이션 그래프(720)를 제공하는 UI 환경에서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적어도 하나의 애너테이션 바를 클릭 할 경우 선택된 바에 해당되는 챕터의 내용을 표시하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페이지 링크를 지원할 수 있다.For example, a UI capable of checking the number of annotations for each chapter in terms of content composition, such as an individual chapter,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7, a graph showing the number of annotations generated from the content of each chapter for each chapter on a page 710 providing a list of chapters of digital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nnotation graph) ( 720). In this case, a menu 721 for specifying a range of annotations is provided on the UI screen on which the annotation graph 720 is exposed, and if a range for the number of annotations is specified from a user or an administrator,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may be represented in the annotation graph 720 only for the chapter. In other words, the annotation graph 720 may be configured by selecting only the corresponding content through the search expression 721 for the number of annotations by the annotation providing code of the e-book. In addition, the annotation graph 720 may be expressed in a form in which at least one chapter having a large number of annotations is recommended to an administrator or a user based on the number of annotations for each chapter. For example, the bar 722 of the chapter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annotations in the annotation graph 720 may be express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chapters (eg, expressed in a separate color). That is, when a question about digital contents is to be asked in the curriculum, a plurality of students may automatically extract items that are annotated and provide a UI environment in which the items are recommended to the questionnaire (ie, the administrator). In addition, in the UI environment providing the annotation graph 720, when a user or an administrator clicks at least one annotation bar, the UI link may support a page link for moving to a page displaying a chapt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서버 시스템은 애너테이션 기능은 물론, 디지털 컨텐츠에서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컨텐츠 별로 애너테이션 개수 확인이 가능한 UI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I environment capable of confirming the number of annotations for each digital content based on the annotation function and extracting items in which a plurality of annotations are created from the digital content. .

도 1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애너테이션을 생성, 관리, 표현하는 방법은 보다 단축된 동작들 또는 추가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동작이 조합될 수 있고,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The method of generating, managing, and expressing the annota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may include shorter operations or additional operations. In addition, more than one operation may be combined, and the order of operations may be changed.

이하에서는, 상술한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 그리고 표현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장치들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즉, 서버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devices will be described in relation to a method for generating, managing, and expressing the above-described annota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book service system (ie, a server system) that provides an e-book service for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은 인증 관리 모듈(810),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811), 컨텐츠 관리 모듈(820), 컨텐츠 데이터베이스(821), 주석 관리 모듈(830), 주석 정보 데이터베이스(831), 토론 관리 모듈(840), 토론 정보 데이터베이스(841), 오디언스 측정 모듈(850), 오디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851)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관리 모듈(810), 컨텐츠 관리 모듈(820), 주석 관리 모듈(830), 토론 관리 모듈(840) 및 오디언스 측정 모듈(850)은 개별 구성으로 이루어지거나 통합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듈이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듈과 상호 간에 종속적인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811), 컨텐츠 데이터베이스(821), 주석 정보 데이터베이스(831), 토론 정보 데이터베이스(841), 오디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851)는 개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거나,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e-book service system includes an authentication management module 810, a user profile database 811, a content management module 820, a content database 821, an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830, and an annotation information database 831. , Discussion management module 840, discussion information database 841, audience measurement module 850, and audience information database 851.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module 810, the content management module 820,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830, the discussion management module 840, and the audience measurement module 850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or may be integrated modules. In addition, each module may perform an independent function or may be operated in a form that is dependent on at least one other module. The user profile database 811, the content database 821, the annotation information database 831, the discussion information database 841, and the audience information database 851 may be individual database systems or integrated into one database system.

인증 관리 모듈(authentication manager)(810)은 사용자와 관련된 개인 정보 전반을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811)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개인 정보에는 전자책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와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관리 모듈(810)은 사용자의 본인 확인이 필요할 경우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본인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 및 편집 가능하다.The authentication manager 810 may store and manage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in the user profile database 811.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profile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gistered in the system in relation to the e-book service.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module 810 may check the user's identity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the user's identity is required, and may store and edit the profi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컨텐츠 관리 모듈(content manager)(820)은 전자책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821)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모듈(820)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821)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유지하고, 업데이트 등의 지속적인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모듈(820)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821)를 통해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모듈(820)은 사용자 단말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관리 모듈(820)은 디지털 컨텐츠가 렌더링 된 컨텐츠 레이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모듈(820)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821)는 물론, 인터넷 상의 모든 정보에 대한 검색 엔진을 제공하는 검색 서버와 상호 연동하여 인터넷 상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관리 모듈(820)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한 후, 인식된 객체를 키워드로 하여 인터넷 상의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r 820 may store and manage the electronic book-based digital content in the content database 821. The content management module 820 may maintain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821, and may be in charge of continuous management of updates and the like. The content management module 820 may support a search function so that a user may search for digital content through the content database 821. The content management module 820 may provide a viewer function for digital content by providing digital content desired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content management module 820 may provide a content layer in which digital content is rendered to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management module 820 may search for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y interoperating with a content server 821 and a search server that provides a search engine for al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For example, the content management module 820 recognizes an object selected by a user in digital content through a user terminal, and then provides a search function of searching for information on the Internet using the recognized object as a keyword and providing the search result. can do.

주석 관리 모듈(annotation manager)(830)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애너테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애너테이션 기능은 디지털 컨텐츠에 사용자가 추가적인 정보를 표현하는 모든 방법을 총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책갈피 기능, 밑줄, 중요 표시, 메모 추가 등 다양한 응용 부가 기능을 원 컨텐츠에 부가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이 모든 데이터가 애너테이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주석 관리 모듈(830)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객체에 애너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주석 정보 데이터베이스(831)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주석 관리 모듈(830)은 컨텐츠 레이어 상에 오버레이 되는 애너테이션 레이어에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렌더링 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용 중인 디지털 컨텐츠에서 객체 선택 기능을 통해 소정 객체를 선택한 후, 해당 객체에 대하여 책갈피, 밑줄, 중요 표시, 메모 추가 등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Annotation manager 830 may provide annotation functions for digital content and maintain and manage annotation data related to the digital content. The annotation function may collectively refer to any way a user expresses additional information in digital content. For example, all of the data may be annotation data when a variety of application add-ons, such as a bookmark function, an underline, an important mark, and a memo are additionally applied to the original content. Accordingly,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830 recognizes the objec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nnotation data applying the annotation application to the objec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associates the annotation data with the user. 831 can be stored. Thereafter,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830 may render the annotation data on the annotation layer overlaid on the content layer and provide the annota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a predetermined object from the digital content in use through an object selection function and then apply a function such as bookmark, underline, important mark, or add a memo to the corresponding object.

더 나아가, 주석 관리 모듈(830)은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별로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개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주석 관리 모듈(830)은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별 ID(Annotation_id)에 연결된 디지털 컨텐츠의 ID 값(Content_id)을 바탕으로 동일한 컨텐츠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석 관리 모듈(830)은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별 ID(Annotation_id)에 연결된 객체의 위치 값(Content_locator)을 바탕으로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예를 들어, 단락, 챕터(chapter) 등) 별로 동일한 항목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주석 관리 모듈(830)은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별 ID(Annotation_id)에 연결된 객체의 실제 데이터(Annotation_object_data)를 바탕으로 공통된 객체에 대해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할 수 있다. 이에, 주석 관리 모듈(830)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를 대상으로 컨텐츠 별 애너테이션의 개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주석 관리 모듈(830)은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중 각 항목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석 관리 모듈(830)은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이,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에 대한 범위가 지정되면 지정된 범위에 해당되는 항목에 대해서만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주석 관리 모듈(830)은 애너테이션 그래프에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가 가장 많은 항목의 바를 다른 항목의 바와 다른 형태로 표시하거나,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특정 바를 선택하면 선택된 바에 해당되는 항목의 내용을 표시하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주석 관리 모듈(830)은 디지털 컨텐츠에서 다수의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컨텐츠 별로 애너테이션 개수 확인이 가능한 UI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830 may calculate the numb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annotation for each digital content by using the annotation data. For example,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830 may count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the same content based on the ID value Content_id of the digital content connected to the individual ID Annotation_id of the annotation data. As another example,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830 may divide the content of the digital content based on a location value (Content_locator) of an object linked to an individual ID (Annotation_id) of annotation data (for example, a paragraph or a chapter). Etc.),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the same item can be counted. As another example,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830 may count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or the common object based on the actual data (Annotation_object_data) of the object connected to the individual ID (Annotation_id) of the annotation data. Accordingly,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830 may provide a UI for checking the number of annotations for each content for the user or the administrator. For example,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830 may recommend at least one item to a user or an administrator based on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item among the items in which the content of the digital content is divided. As another example,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830 may provide a graph indica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by each item for each item of digital content, and further, the user or administrator may add the annotation data to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If a range is specified, a graph indica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can be provided only for the item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range. As another example,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830 may display a bar of an item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annotation data in the annotation graph in a different form from that of another item, or when a user or an administrator selects a specific bar,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r is displayed. You can provide a function that takes you to a page that displays content. Accordingly, the annotation management module 830 may provide a UI environment in which the number of annotations can be checked for each digital content based on the extracted items from which a plurality of annotations are created.

토론 관리 모듈(discussion manager)(840)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토론 기능(즉, 공유 기능)을 제공하고 토론 정보 데이터베이스(841)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토론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토론 기능은 디지털 컨텐츠를 매개로 하여 복수의 사용자 간에 상호 의견을 공유하는 모든 커뮤니티 방법을 총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토론 기능을 통하여 이용중인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나 질의를 토론 정보 데이터베이스(841)에 등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토론 관리 모듈(840)을 통하여 친구나 기타 타인과 의견을 공유하거나 질의에 대한 응답을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토론 관리 모듈(84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객체에 대한 토론 내용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토론 내용을 인증 관리 모듈(810)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The discussion manager 840 may provide a discussion function (ie, a sharing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digital content, and maintain and manage the discuss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gital content through the discussion information database 841. The discussion function may collectively refer to all community methods of sharing mutual opinions among a plurality of users via digital content. For example, the user can register his or her own opinion or query about the digital content being used through the discussion function in the discussion information database 841, and thus, the discussion management module 840 to comment with a friend or other person. You can share a message or get a response to a query. To this end, the discussion management module 840 receives discussion content about a predetermined objec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fers the discussion conten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based on user profile information of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module 810. Can provide.

오디언스 측정 모듈(audience measurement)(850)은 모든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오디언스 측정을 수행하고, 오디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851)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오디언스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언스 측정 모듈(850)은 전자책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이용 규모 내지 이용 행태 등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를 컨텐츠의 인기 순위, 이용 지수 등 각종 통계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An audience measurement module 850 may perform an audience measurement on all digital content, and maintain and manage audie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gital content through the audience information database 851. For example, the audience measurement module 850 may investigate usage scale or usage behavior of digital content provided through an e-book service, and may use it as various statistical information such as popularity ranking of the content and usage index. .

상기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직접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의 장치 구성은 미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애너테이션 기능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CDMA, Wi-Fi,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서버 시스템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신을 허가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the devic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for directly displaying the digital content provided by the e-book service system is not shown, the touch-sensitive display is basically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memory,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program. It may includ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program may be configured to be stored in a memory and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which may include a program related to an annotation function.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ermitting communication with an e-book service system that is a server system by support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CDMA, Wi-Fi, and Bluetooth.

상기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의 다양한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에 고유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functions of the e-book service system and the us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and / or software including integrated circuits unique to at least one signal processing and / or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코드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 코드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에 애너테이션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와,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애너테이션 카운트 코드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항목 별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제공하는 애너테이션 제공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피쳐폰 VM(virtual machine) 등의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uter readable media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 implemented operations.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ent display code for displaying the digital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touch-sensitive display, the object recognition code for recognizing the object selected by the user in the digital content through the user's touch input to the touch-sensitive display, An annotation storage code for generating and storing annotation data that has an annotation applied to the object upon request, and an annotation count code for coun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by each item for each item of digital content. And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 which a program including annotation providing code for provid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for each item at the user's request is recorded.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a PC-based program or a mobile terminal exclusive application (for example, a form of a smart phone application, a feature phone VM (virtual machine), etc.). This may be configured to be executed by the user terminal and / or at least one processor stored in the memory of the electronic book service system and / or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and / or the electronic book service system.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file system can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Claims (15)

인터넷 통신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부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한 후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에 애너테이션(annotation)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애너테이션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부는,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 별로 상기 애너테이션과 관련된 개수 정보를 산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 server for providing an online service related to digital content for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A content manager which provides the digit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n annotation manager for recognizing an object selected by a user in the digital content and generating and storing annotation data applying annotations to the objec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Including,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to display the digital content provided from the server on the screen of the touch-sensitive display,
The annotation management unit,
Recognize the object through the user's touch input to the touch-sensitive display,
Calculating numb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annotation for each of the digital contents using the annotation data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부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ID,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렌더링에 따른 상기 객체의 위치 값, 상기 객체에 해당되는 실제 데이터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annotation management unit,
Storing the annotation data in a data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D of the digital content, a position valu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rendering of the digital content, and an actual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objec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부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ID를 이용하여 각 디지털 컨텐츠에서 생성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2,
The annotation management unit,
Coun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digital content using the ID of the digital conten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부는,
상기 객체의 위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2,
The annotation management unit,
Coun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item for each item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digital content are classified by us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objec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부는,
상기 객체에 해당되는 실제 데이터를 비교하여 공통된 객체에 대해 생성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2,
The annotation management unit,
Coun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or a common object by comparing actual data corresponding to the objec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부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관리 권한이 부여된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 별 상기 개수 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annotation management unit,
Providing the number information for each digital content to the manager according to a request of an administrator authorized to manage the digital conten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부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중 각 항목에서 생성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상기 관리자에게 추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nnotation management unit,
Recommending at least one item to the manager based on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item among the items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digital content are divided;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부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nnotation management unit,
Providing a graph indica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item for each item of the content of the digital conten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부는,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에 대한 범위가 지정되면 상기 지정된 범위에 해당되는 상기 항목에 대하여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nnotation management unit,
Providing a graph indica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for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range when a range for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is designated by the manager;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부는,
상기 그래프에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가 가장 많은 항목의 바(bar)를 다른 항목의 바와 다른 형태로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nnotation management unit,
Displaying a bar of the item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annotation data in the graph in a different form from that of other items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테이션 관리부는,
상기 관리자가 상기 그래프에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바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바에 대응되는 상기 항목의 내용을 표시하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nnotation management unit,
When the manager selects at least one bar represen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in the graph, the user moves to a page displaying contents of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r.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코드와,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 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에 애너테이션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애너테이션 카운트 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항목 별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제공하는 애너테이션 제공 코드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In the user terminal providing a viewer function for the digital content,
With touch-sensitive display,
At least one processor,
A memory,
At least one program
Including,
The at least one program is stored in the memory and configured to be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gram includes:
A content display code for displaying the digital content on a screen of the touch sensitive display;
An object recognition code for recognizing an object selected by the user in the digital content through a user's touch input to the touch-sensitive display;
Annotation storage code for generating and storing annotation data applying annotations to the objec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 annotation count code for coun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item for each item of the content of the digital content;
An annotation providing code for provid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Lt; / RTI &gt;
인터넷 통신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에 애너테이션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관리 권한이 부여된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항목 별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방법.
A service method of a server system that provides an online service related to digital conten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the digit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Recognizing an object selected by a user in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and storing annotation data applying annotations to the objec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Coun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item for each item of the content of the digital content;
Provid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for each item in response to a request of an administrator authorized to manage the digital content.
Service method comprising a.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애너테이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에 애너테이션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항목 별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애너테이션 제공 방법.
In the annotation providing method of a user terminal providing a viewer function for digital content,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Displaying the digital content on a screen of the touch-sensitive display;
Recognizing an object selected by the user in the digital content through a user's touch input to the touch-sensitive display;
Generating and storing annotation data applying annotations to the objec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Coun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item for each item of the content of the digital content;
Provid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for each item at the request of the user
An annot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코드와,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 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에 애너테이션을 적용한 애너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애너테이션 저장 코드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이 구분된 항목 별로 각 항목에서 생성된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애너테이션 카운트 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항목 별 상기 애너테이션 데이터의 개수를 제공하는 애너테이션 제공 코드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providing a viewer function for digital content is recorded,
A content display code for displaying the digital content on a screen of a touch-sensitive display;
An object recognition code for recognizing an object selected by the user in the digital content through a user's touch input to the touch-sensitive display;
Annotation storage code for generating and storing annotation data applying annotations to the objec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 annotation count code for coun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generated from each item for each item of the content of the digital content;
An annotation providing code for providing the number of annotation data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0110081167A 2011-08-12 2011-08-16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item having annotation on electronic book KR1012428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167A KR101242878B1 (en) 2011-08-16 2011-08-16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item having annotation on electronic book
US13/287,445 US20130042171A1 (en) 2011-08-12 2011-11-02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nnotation in electronic boo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167A KR101242878B1 (en) 2011-08-16 2011-08-16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item having annotation on electronic boo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176A KR20130019176A (en) 2013-02-26
KR101242878B1 true KR101242878B1 (en) 2013-03-12

Family

ID=4789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167A KR101242878B1 (en) 2011-08-12 2011-08-16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item having annotation on electronic boo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8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12B1 (en) * 2013-07-01 2020-11-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aging bookmark list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08563480A (en) * 2018-04-02 2018-09-21 广东能龙教育股份有限公司 Book content datama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3605A (en) 1997-11-05 1999-05-28 Hitachi Ltd Portable terminal
JP2002082937A (en) 2000-06-21 2002-03-22 Microsoft Corp Classification, anchoring and transformation of ink
US20060161578A1 (en) 2005-01-19 2006-07-20 Siegel Hilliard B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notations of a digital work
JP2006285896A (en) 2005-04-05 2006-10-19 Sharp Corp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lectronic document, and computer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3605A (en) 1997-11-05 1999-05-28 Hitachi Ltd Portable terminal
JP2002082937A (en) 2000-06-21 2002-03-22 Microsoft Corp Classification, anchoring and transformation of ink
US20060161578A1 (en) 2005-01-19 2006-07-20 Siegel Hilliard B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notations of a digital work
JP2006285896A (en) 2005-04-05 2006-10-19 Sharp Corp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lectronic document, and computer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176A (en)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421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nnotation in electronic book
US10416851B2 (en) Electronic publishing mechanisms
US202103976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 User to Operate on Displayed Web Content via a Web Browser Plug-In
US9715482B1 (en) Representing consumption of digital content
US10282386B1 (en) Sampling a part of a content item
US8826169B1 (en) Hiding content of a digital content item
CN109271608B (en) Visual representation of supplemental information for digital works
US9372592B1 (en) Presen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items
US10878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RU2662632C2 (en) Presenting fixed format documents in reflowed format
US20150106723A1 (en) Tools for locating, curating, editing, and using content of an online library
CN103620588A (en) Identifying matching applications based on browsing activity
CN104346037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4357345A (en)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4995618B (en) E-book inscribes system
US9141867B1 (en) Determining word segment boundaries
KR1012617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nnotation on electronic book
CN110008292A (en) Data fus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KR101242878B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item having annotation on electronic book
CN107077473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isplay content
KR20160080386A (en) A configuration system for apps on the smart device using the memo note and stickers
KR101368610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paragraph on electronic book environments
KR20150097250A (en) Sketch retrieval system using tag information, user equipment, service equipment, ser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US10891320B1 (en) Digital content excerpt identification
JP547951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