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416B1 -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ension change of strings connected to fingers - Google Patents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ension change of strings connected to fing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416B1
KR101242416B1 KR1020090128026A KR20090128026A KR101242416B1 KR 101242416 B1 KR101242416 B1 KR 101242416B1 KR 1020090128026 A KR1020090128026 A KR 1020090128026A KR 20090128026 A KR20090128026 A KR 20090128026A KR 101242416 B1 KR101242416 B1 KR 10124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row
tension
change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71449A (en
Inventor
심재철
조기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8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416B1/en
Priority to US12/965,524 priority patent/US20110148670A1/en
Publication of KR20110071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4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4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22Static coding
    • H03M11/24Static coding using analogue means, e.g. by coding the states of multiple switches into a single multi-level analogue signal or by indicating the type of a device using the voltage level at a specific tap of a resistive divi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가락에 연결된 줄의 장력 변화를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소형의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는 손가락에 삽입되거나 부착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에 부착되어 손가락 각각에 대응되는 장착부 각각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선과, 장착부가 장착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제 1 연결선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장력의 변화를 분석하여 손가락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장력 변화 분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과 관련된 장력의 변화를 통해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고, 결정된 키보드 행에 속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act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a change in tension of a line connected to a finger. A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ng line for connecting a finger to be inserted or attached to a finger, And a tension change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a change in the tens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ow of the keyboard through the change of the tension associated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and obtai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belonging to the determined keyboard row.

문자 입력, 손가락, 장력 Character input, finger, tension

Description

손가락에 연결된 줄의 장력 변화를 이용한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ension change of strings connected to finger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a change in tension of a line connected to a finger,

본 발명은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가락에 연결된 줄의 장력 변화를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소형의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act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a change in tension of a line connected to a finger.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 2006-S-058-04, 과제명 : ALL-IP 기반 통합 네트워크/서비스 제어기술 개발].[2006-S-058-04, Project Title: Development of Integrated Network / Service Control Technology based on ALL-IP]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research carried out as part of the IT Growth Driving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

정보 가전이 보편화 됨에 따라, 정보 입력 수단도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트랙볼 등으로 다양화되었다. 특히, 소형 정보 가전 장치에 있어서, 마우스의 경우, 터치 스크린이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입력 수단으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터치 스크린은 텍스트 입력 시 기존의 키보드에 비해 효율적이지 못하다. 즉, 터치 스크린은 문자와 같은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키를 그래픽으로 표현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입력 키의 영역에 대한 손의 접촉을 감지하 는 가상의 키보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 예를 들어, 휴대 전화, PDA와 같은 소형 정보 가전 장치일수록 제공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이 작아짐에 따라,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소형의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 또는 양손으로 지지한 후, 터치 스크린에서 제공되는 가상의 키보드에 문자와 같은 데이터를 입력함에 따라, 데이터 입력이 정확하기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As information appliances become more popular, information input methods have also diversified into keyboards, mice, touch screens, and trackball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mouse in a compact information home appliance, a touch screen is widely used as an intuitive and efficient input means. However, such a touch screen is not as efficient as a conventional keyboard for text input. That is, the touch screen provides a virtual keyboard that graphically expresses an input key for inputting text such as a character, and detects hand contact with the area of the output key. However, as the size of a touch screen that can be provided as a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a small information applian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becomes smaller,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in using a virtual keyboard. In addition, since a user supports a small portable terminal with one hand or both hands and then inputs data such as a character to a virtual keyboard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data input is not accurately performed.

이 같은 문제를 극복하고자, 착탈식 키보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같은 착탈식 키보드는 기존의 키보드와 동일한 크기의 입력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이 쉽고 정확하기 이루어지는 반면, 착탈식 키보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 및 장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널이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To overcome this problem, a removable keyboard has been developed and used. Such a removable keyboard provides an input space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keyboard, so that data input is easy and accurate.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se a removable keyboard, a user must always carry and install the keyboard, .

또다른 문제 극복 방안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장갑 및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가상의 키보드 기술이 개발되었다. 사용자의 손가락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장갑은 착탈식 키보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장갑의 부피도 있기에 주머니에 넣고 다니기에 용이하지 못하다.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가상의 키보드 기술은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 환경의 제약 예를 들어, 어두운 지역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정확하게 감지를 하지 못하며, 또한 그 기술을 구현하는데 많은 복잡성이 따른다. In order to overcome the other problem, a virtual keyboard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which operates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through the glove and the camera that detects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joints. Gloves that sense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joints are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with him / her all the time, like a removable keyboard, and it is not easy to put them in a pocket because of the bulky gloves. Since the virtual keyboard technology that operates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through the camera uses the camera image, it can not accurately detect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in the dark environment, for example, There is a lot of complexity.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일반 키보드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별도의 적응없이 동일한 문자 입력 효율성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 who is familiar with a general keyboard with the same character input efficiency without any adaptation.

나아가,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which is easy to carry.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는 손가락에 삽입되거나 부착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에 부착되어 손가락 각각에 대응되는 장착부 각각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선과, 장착부가 장착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제 1 연결선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장력의 변화를 분석하여 손가락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장력 변화 분석부를 포함한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s achieved by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A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ng line for connecting a finger to be inserted or attached to a finger, And a tension change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a change in the tens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감지부는 탄력성 소재로써, 제 1 연결선과 연결되는 제 2 연결선과, 제 2 연결선을 통해 제 1 연결선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lin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line as a resilient material, and a sensor unit detecting a change in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ng line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line and converting the detected tens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엄지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는 하나의 제 1 연결선과 연결되고,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들은 감지부 방향과 인접하는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두 개의 제 1 연결선 들이 엑스자로 엇갈려 연결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thumb is connected to one first connection line, and the mounting portions mounted on the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include mounting portions mounted on fingers adjacent to the sensing portion, 1 The connection lin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X-letter.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의 키보드 키 입력 시 발생하는 장력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별로 설정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과,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의 움직임별 제 1 연결선에 대한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이 저장되는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djusting a tension value for each row of a keyboard, which is set for each user through a change in tension generated when a keyboard key is input from a user, And a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a change information table is stored.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장력 변화 분석부는 센서부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장력의 변화 정보가 수신되면,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을 비교하여 수신된 장력의 변화 정보와 관련된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는 키보드 행 결정부와, 키보드 행 결정부로부터 결정된 키보드의 행과 관련되며,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장력의 변화 정보와 관련된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키 위치 정보 획득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on the change in tension, which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the tension change analyzer compares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by referring to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referring to the tension information table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a key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position information of an input key related to change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과 관련된 장력의 변화를 통해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고, 결정된 키보드 행에 속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ow of the keyboard through the change of the tension associated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and obtai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belonging to the determined keyboard row.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는 키보드의 각 행 별로 기설정된 표준의 임계값이 저장되며, 키보드 행 결정부는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사용자별로 설정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키보드의 각 행 별로 기설정된 표준의 임계값을 통해 키보드의 행을 결정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es a predetermined standard threshold value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and the keyboard row determination unit stores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et for each user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If not, a row of the keyboard is determined by a predetermined standard threshold value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사용자별로 측정 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표준의 임계값들을 통해 키보드의 행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measured for each user are not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row of the keyboard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standard threshold valu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의 장착부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구현되어 있기에 외부의 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착부들은 서로 줄로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는 본 발명을 이용하지 않을 시에는 휴대 전화의 장식 줄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인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 내 수납하거나 또는 휴대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상대적인 위치만을 감지하여 동작함에 따라, 입력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도 일반 키보드 사용과 동일한 손가락 움직임으로써 데이터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due to external force. Further, since the mounting por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ine, the user can use the present invention as a decoration line of a cellular phone when not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is very easy for the user to store or carry it in the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nsing only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the user can perform data input with the same finger movement as that of the normal keyboar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input space.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들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s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대한 기술적인 설명에 앞서,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는 오른손과 왼손 모두 동일하게 동작함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오른손과 관련된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technical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operates in the same manner in both the right hand and the left hand, and therefore, the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related to the right h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는 각각의 장착부들(0,1,2,3,4), 제 1 연결선(101, 102), 감지부(110), 장력 변화 분석부(120),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125)를 포함한다.1, the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includes respective mounting portions 0, 1, 2, 3 and 4, first connection lines 101 and 102, a sensing portion 110, a tension change analysis portion 120 And a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25.

각각의 장착부들(0,1,2,3,4)은 손가락에 장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반지나 혹은 골무 형태의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고무와 같은 탄력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현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에 장착 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같은 각각의 장착부들(0,1,2,3,4)은 각각의 손가락에 대응되어 구성되며, 후술할 제 1 연결선(101, 10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03)를 포함한다.Each of the mounting portions 0, 1, 2, 3, 4 is mounted on a finger and can have a ring or thimble shape, for example, and is realized as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such as rubber, It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when mounted on the finger of the user. The respective mounting portions 0, 1, 2, 3, 4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fingers and include a fixing portion 103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ng lines 101, 102 to be described later.

제 1 연결선(101, 102)은 장착부들(0,1,2,3,4)의 고정부(103)에 부착 또는 삽입되어, 장착부들(0,1,2,3,4) 각각을 연결한다. 실시예에 따라, 엄지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0)는 하나의 제 1 연결선(102)과 연결된다. 그리고,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에 장착되는 장착부(1,2,3,4)는 두 개의 제 1 연결선(101, 102)과 연결된다. 이 같이,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에 장착되는 장착부(1,2,3,4)는 후술할 감지부(110) 방향과 인접하는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1,2,3,4)와 두 개의 제 1 연결선(101, 102)이 엑스자 형태로 엇갈려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중지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2)는 감지부(110)와 인접하는 검지 손가락의 장착부(1)와 두 개의 제 1 연결선(101, 102)이 엑스자 형태로 엇갈려 연결된다. 다시 말해, 엄지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0)에 장착 또는 고정되는 제 1 연결선(102)은 장착부(1)의 고정부(103)를 통해 감지부(1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 착부(1,2,3,4)에 장착 또는 고정되는 제 1 연결선(101, 102)은 감지부(110) 방향과 인접하는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1,2,3,4)와 엑스자 형태로 엇갈려 연결되며, 최종 장착부(1)의 고정부(103)를 통해 감지부(110)와 연결된다. 이때, 장착부들(0,1,2,3,4)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선(101, 102)은 자신을 통해 연결되는 장착부들(0,1,2,3,4)이 키보드의 자판 간격과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로 재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키보드는 Qwerty 키보드와 같이 일반적인 키보드일 수 있다. 또한, 장착부들(0,1,2,3,4)에 장착 또는 고정되는 각각의 제 1 연결선들(101, 102)은 배선 유도부(105)에 삽입되어 감지부(110)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장착부들(0,1,2,3,4)의 제 1 연결선(101, 102)은 하나의 선으로 연결된 것과 같이 정리됨으로써,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끊어지거나 하는 위험에 벗어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lines 101 and 102 are attached to or inserted into the fixing portions 103 of the mounting portions 0,1,2,3,4 to connect the mounting portions 0,1,2,3,4, d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ounting part (0) mounted on the thumb is connected to one first connecting line (102). The mounting portions (1,2,3,4) mounted on the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are connected to the two first connection lines (101,102).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portions 1, 2, 3, and 4 mounted on the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include the mounting portions 1, 2, 3, and 4 mounted on the fingers adjacent to the sensing portion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first connection lines 101 and 102 are staggered in an X-shape. For example, the mounting portion 2 mounted on the stop finger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1 of the index finger adjacent to the sensing portion 110 and the two first connection lines 101 and 102 in an X-shape. In other words, the first connecting line 102, which is mounted or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0 mounted on the thumb, is connected to the sensing portion 110 through the fixing portion 103 of the mounting portion 1. The first connecting lines 101 and 102 attached to or fixed to the fitting portions 1, 2, 3 and 4 to be mounted on the fingers except for the thumb are disposed on the fingers adjacent to the sensing portion 110, 3 and 4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110 through the fixing unit 103 of the final mounting unit 1. [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lines 101 and 102 connecting the mounting portions 0, 1, 2, 3, and 4 have their mounting portions 0, 1, 2, 3, It is preferable to cut it to an appropriate length so as to be arrang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FIG. Here, the keyboard may be a general keyboard, such as a Qwerty keyboard.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lines 101 and 102 attached or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s 0, 1, 2, 3 and 4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wire guide portion 105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portion 110 .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ng lines 101 and 102 of the mounting portions 0, 1, 2, 3, and 4 are arranged as one line, so that they are free from the risk of being easily broken by an external force .

감지부(110)는 장착부들(0,1,2,3,4)이 장착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배선 유도부(105)에 삽입된 제 1 연결선(101, 102)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를 감지한다. 이 같은 감지부(110)는 제 2 연결선(111)과 센서부(113)를 통해 제 1 연결선(101, 102)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고무와 같이 탄성이 강한 소재로 구성되는 제 2 연결선(111)은 배선 유도부(105)에 삽입된 제 1 연결선(101, 102)와 연결된다. 즉, 장착부들(0,1,2,3,4)에 장착 또는 고정되는 제 1 연결선(101, 102)은 총 9 개의 연결선으로 이루어지며, 제 2 연결선(111) 또한 총 9개의 연결선으로 이루어져 9 개의 제 1 연결선(101, 102)들과 일대일로 대응되어 연결된다.The sensing unit 110 senses the change in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s 101 and 102 inserted in the wire guide portion 105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nger on which the mounting portions 0, 1, 2, Lt; / RTI > The sensing unit 110 may sense a change in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s 101 and 102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line 111 and the sensor unit 113. The second connecting line 111, which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lines 101 and 102 inserted in the wire guiding portion 105. That is, the first connecting lines 101 and 102 attached or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s 0, 1, 2, 3, and 4 are composed of a total of nine connecting lines,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111 is also composed of a total of nine connecting lines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nine first connection lines 101, 102.

센서부(130)는 제 2 연결선(111)을 통해 제 1 연결선(101, 102)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A/D 변환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 값으로 변환한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130)는 압전 센서와 같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압전 센서는 가해지는 힘에 따라 다른 전압을 출력하는 센서로써, 본 발명의 제 1 연결선(1010, 102)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서로 다른 전기적인 신호 값으로 변환한다. 이 같은 센서부(113)는 총 9 개로 이루어져 있음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센서부(113)들은 각각의 제 2 연결선(111)들과 일대일로 대응되어, 각각의 제 1 연결선(101, 102)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 값으로 변환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의 센서부(130)들은 각각의 제 1 연결선(101, 102)들과 직접적으로 대응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제 1 연결선(101, 102)들은 고무와 같이 탄성이 강한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ensor unit 130 senses a change in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s 101 and 102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line 111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value through A / D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nsor such as a piezoelectric sensor. Such a piezoelectric sensor is a sensor that outputs different voltages according to applied force, and detects a change in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s 1010 and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verts them into different electrical signal values. Each of the sensor units 113 may correspond to each of the second connection lines 111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and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lines 101, And converts the detected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valu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each of the sensor units 130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first connection lines 101 and 102.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lines 101 and 10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장력 변화 분석부(120)는 감지부(110)로부터 감지된 장력의 변화를 분석하여 손가락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키보드의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 같은 장력 변화 분석부(120)는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125)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키보드의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125)는 사용자로부터의 키보드 키 입력 시 발생하는 장력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별로 설정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과,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의 움직임별 제 1 연결선(101, 102)에 대한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이 저장된다. 추가로,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125)는 키보드의 각 행 별로 기설정된 표준의 임계값이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키보드는 Qwerty 키보드와 같이 일반적인 키보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정되는 조건에 따라 또다른 키보드가 이용될 수 있다. Qwerty 키보드의 경우, Qwerty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은 A 글자가 위치한 키보드의 중심행을 기준으로 A 행에서의 키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임계값과, Q 행과 Z 행에서의 키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임계값과, 숫자 및 기호 행에서의 키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 3 임계값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3 임계값이 가장 큰 값을 가지며, 제 1 임계값이 가장 작은 값을 가진다. 이와 같이,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키보드의 키 입력과 관련된 동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125)에 저장되는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은 아래와 같이[표1] 구현될 수 있다.The tension change analysis unit 120 analyzes the change in the tens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110 and obtain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of the keyboard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The tension change analyzer 120 may obtai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of the keyboard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125. [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25 stores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et for each user through a change in tension generated when a keyboard key is input from a user and a first connection line 101 for each movement of the remaining fingers , 102 are stored in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In additio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25 preferably stores a predetermined standard threshold value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Here, the keyboard may be a general keyboard, such as a Qwerty keyboar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other keyboard may be used depending on conditions to be set. In the case of the Qwerty keyboard,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Qwerty keyboard are divided into a first threshold value for detecting a key input on the A row based on the center row of the keyboard where the A character is located, And a third threshold value for sensing a key input in a numeral and a symbol row. The third threshold value has the largest value, and the first threshold value has the smallest value. By setting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n operation related to the key input of the keyboard,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25 can be implemented as shown in Table 1 below.

검지Index finger 중지stop 약지Ringer 새끼young 엄지방향Thumb direction 2/3/4 위/아래2/3/4 up / down top 2/3/4 아래2/3/4 below 2 위, 3/4 아래2nd, 3rd below 3 위, 4 아래3rd, 4th below 4 위4th place 아래bottom 2/3/4 위2/3/4 2 아래, 3/4 위2 below, 3/4 3 아래, 4 위3 below, 4 4 아래4 below 바깥쪽Outside 4 위/아래4th / down

[표 1]과 같은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은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상, 하, 좌, 우로 움직임에 따라, 해당 손가락과 관련되는 제 1 연결선(101, 102)의 거리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엄지 손가락의 경우, 키보드의 키 입력 시, 위 아래 동작은 없고, 좌, 우의 동작만 있기 때문에, 엄지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0)는 하나의 제 1 연결선(102)으로 연결되어 있어 단순하게 장력의 증가만 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검지 손가락이 엄지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중지, 약지, 새끼 손가락에 장착된 장착부들(2,3,4)에 부착 또는 고정된 두 개의 제 1 연결선(101, 102) 길이가 증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표 1]의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에 저장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장력의 변화 정보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shown in [Table 1] shows the distance change of the first connecting lines 101 and 102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finger as the remaining fingers except for the thumb move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case of the thumb, since there is no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when the key of the keyboard is input, only the left and right motions are performed,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0 mounted on the thumb is connected by one first connecting line 102, .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index finger is moved in the thumb direction, the two first connection lines 101, 102 attached or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s 2, 3, 4 mounted on the stop, ) The length increases. 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ension information chan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stored in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of Tabl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rough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 새끼 손가락이 위로 움직임에 따른 장력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hange in a tension according to movement of a right-hand little f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키보드의 키 입력을 위해 장착부(4)가 장착된 오른손의 새끼 손가락을 위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새끼 손가락을 위로 움직임에 따라, 새끼 손가락에 장착된 장착부(4)에 연결된 두 개의 제 1 연결선(201, 202)들 중 제 1 연결선(202)의 거리는 증가하게 된다. 반면, 새끼 손가락에 장착된 장착부(4)에 연결된 두 개의 제 1 연결선(201, 202)들 중 제 1 연결선(201)의 거리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즉, 새끼 손가락이 위로 움직임에 따라, [표 1]의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을 통해 새끼 손가락이 장착된 장착부(4)의 위 방향에 연결된 제 1 연결선(102)의 길이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the user can move the little finger of the right hand on which the mounting portion 4 is mounted for key input of the keyboard. In this case, as the little finger moves upward, the distance of the first connecting line 202 of the two first connecting lines 201 and 202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4 mounted on the little finger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of the first connecting line 201 among the two first connecting lines 201 and 202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4 mounted on the little finger does not greatly increase. That is, it can be seen that as the little finger moves upward, only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line 102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4 on which the little finger is mounted is increased through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of [Table 1] .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 새끼 손가락이 옆으로 움직임에 따른 장력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hange in tension due to lateral movement of a right-hand small fi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키보드의 키 입력을 위해 장착부(4)가 장착된 오른손의 새끼 손가락을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새끼 손가락을 우측으로 움직임에 따라, 새끼 손가락에 장착된 장착부(4)에 연결된 두 개의 제 1 연결선(301)과 제 1 연결선(302)의 거리는 동일하게 증가한다. 즉, 새끼 손가락이 옆으로 움직임에 따라, [표 1]의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을 통해 새끼 손가락이 장착된 장착부(4)의 위 방향에 연결된 제 1 연결선(301)과 아래 방향에 연결된 제 1 연결선(302)의 길이가 동일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user can move the little finger of the right hand equipped with the mounting portion 4 to the right for key input of the keyboard. In this case, as the little finger moves to the righ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irst connecting lines 301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4 mounted on the little finger and the first connecting line 302 increases equally. That is, as the little finger moves sideways, the first connection line 301 connec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4 on which the little finger is mounte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301 connec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of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length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302 increases equally.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 약지 손가락이 위로 움직임에 따른 장력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hange in a tension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right-hand finger of a right-hand fi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키보드의 키 입력을 위해 장착부(3)가 장착된 오른손의 약지 손가락을 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약지 손가락을 위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약지 손가락에 장착된 장착부(3)의 위 방향에 연결된 제 1 연결선(401)과, 새끼 손가락에 장착된 장착부(4)의 아래 방향에 연결된 제 1 연결선(402)의 길이가 동일하게 증가하게 된다. 반면, 약지 손가락에 장착된 장착부(3)의 아래 방향에 연결된 제 1 연결선(403)과, 새끼 손가락에 장착된 장착부(40)의 위 방향에 연결된 제 1 연결선(404)의 길이는 증가하지 않게 된다. 즉, 약지 손가락이 위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표 1]의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을 통해 약지 손가락에 장착된 장착부(3)의 위 방향의 제 1 연결선(401)과 새끼 손가락에 장착된 장착부(4)의 아래 방향의 제 1 연결선(402)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user can move the right finger of the right hand equipped with the mounting portion 3 upward in order to input a key of the keyboard.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ng line 401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3 mounted on the phantom finger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401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4 mounted on the little finger,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line 402 increases equally.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line 403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3 mounted on the phantom finger and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line 404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40 mounted on the little finger are not increased do. That is, as the ring finger moves in the upward direction, the first connecting line 401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3 mounted on the ring finger and the first connecting line 401 mounted on the little finger through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in [Table 1]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line 402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line 402 increases.

이 같이,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125)는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과,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의 움직임별 제 1 연결선(101, 102)에 대한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이 저장된다. 이에 따라, 장력 변화 분석부(120)는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125)에 저장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과, 제 1 연결선(101, 102)에 대한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키보드의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은 장력 변화 분석부(120)는 키보드 행 결정부(121)와 키 위치 정보 획득부(123)를 통해 손가락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키보드의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25 stores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and a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for the first connection lines 101 and 102 for each finger except for the thumb. Accordingly, the tension change analysis unit 120 may use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25 and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for the first connection lines 101 and 102,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can be obtained. The tension change analysis unit 120 may obtai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of the keyboard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through the keyboard row determining unit 121 and the key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3. [

키보드 행 결정부(121)는 각각의 센서부(113)들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장력의 변화 정보가 수신되면,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125)에 저장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을 비교하여 수신된 장력의 변화 정보와 관련된 키보드의 행을 결정한다. 이 같은 키보드 행 결정부(121)는 먼저,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12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키보드 키 입력 시 발생하는 장력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별로 설정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사용자별로 설정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이 저장되어 있으면, 키보드 행 결정부(121)는 장력의 변화 정보와 관련된 전기적인 신호 값과 사용자별로 설정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을 비교하여 키보드의 행을 결정한다. 한편, 체크 결과 사용자별로 설정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키보드 행 결정부(121)는 키보드의 각 행 별로 기설정된 표준의 임계값들을 이용하여 키보드의 행을 결정한다.The keyboard row determining unit 121 compares the threshold values of each row of the keyboard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125 with each other when receiving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from each of the sensor units 113 And determines the row of the keyboard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tension change information. Such a keyboard row determination unit 121 first determines whether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et for each user are stored through a tension change occurring when a keyboard key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25 . As a result of checking, if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et for each user are stored, the keyboard row determining unit 121 compares the electrical signal values related to the information on the change in tension with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et for each user Determines the row of the keyboard. On the other hand, if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et for each user are not stored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keyboard row determining unit 121 determines the row of the keyboard using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일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 행 결정부(121)는 각각의 센서부(113)들로부터 장력의 변화 정보와 관련되어 변환처리된 전기적인 신호 값이 수신되면,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125)에 저장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 값과 대응되는 키보드 행을 결정한다. 먼저, 키보드 행 결정부(121)는 수신된 신호 값이 제 3 임계값 이상인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수신된 신호 값이 제 3 임계값 이상이면, 키보드 행 결정부(121)는 키보드의 행들 중 숫자/기호 행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체크 결과, 수신된 신호 값이 제 3 임계값 미만이면, 키보드 행 결정부(121)는 수신된 신호 값이 제 2 임계값 이상인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수신된 신호 값이 제 2 임계값 이상이면, 키보드 행 결정부(121)는 키보드의 행들 중 Q 행 또는 Z 행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체크 결과, 수신된 신호 값이 제 2 임계값 미만이면, 키보드 행 결정부(121)는 수신된 신호 값이 제 1 임계값 이상인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수신된 신호 값이 제 1 임계값 이상이면, 키보드 행 결정부(121)는 키보드의 행들 중 A 행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체크 결과, 수신된 신호 값이 제 1 임계값 미만이면,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이 키보드의 키 입력과 관련된 움직임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n electrical signal value converted and related to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tension is received from each of the sensor units 113, the keyboard row determining unit 121 determines And determines the keyboard row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ignal value using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stored keyboard. First, the keyboard row determination unit 121 check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ird threshold value.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the keyboard row determining unit 121 determines that the number corresponds to the number / symbol row among the rows of the keyboard.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less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the keyboard row determination unit 121 check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the keyboard row determining unit 121 determines that it corresponds to the Q row or the Z row among the rows of the keyboard.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e keyboard row determining unit 121 check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keyboard row determination unit 121 determines that it corresponds to the A row among the rows of the keyboard.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ger movement of the user is not related to the key input of the keyboard.

이와 같이, 키보드 행 결정부(121)를 통해 키보드의 행이 결정되면, 장력 변화 분석부(120)는 키 위치 정보 획득부(123)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해당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키 위치 정보 획득부(123)는 키보드 행 결정부로부터 키보드의 행이 결정되면,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125)에 저장된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장력의 변화 정보와 관련된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 행 결정부(121)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이 키보드의 A 행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키 위치 정보 획득부(123)는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125)에 저장된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손가락과 해당 손가락이 지시하는 입력 키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키 위치 정보 획득부(123)는 키보드의 A 행에 속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row of the keyboard is determined through the keyboard row determination unit 121, the tension change analysis unit 120 obtain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nput key according to the finger movement of the user through the key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3 . When a row of the keyboard is determined from the keyboard row determining unit, the key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3 refers to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25 and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is obtained. If the finger movement of the user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row A of the keyboard through the keyboard row determining unit 121, the key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3 obtains the tension value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25, And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finger and the input key indicated by the finger with reference to the change information table. Accordingly, the key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3 can obtai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belonging to the row A of the keyboard.

이하에서는 장착부가 장착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장착부에 부착 또는 고정된 제 1 연결선의 장력 변화를 분석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an input key to be input by analyzing a tension change of a first connecting line attached or fixed to a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finger equipped with a mount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키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pu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제 1 연결선과 연결된 감지부로부터 제 1 연결선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와 관련되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한다(500). 여기서, 제 1 연결선은 반지 혹은 골무 형태의 장착부의 고정부에 부착 또는 고정되어 자신과 인접한 장착부와 연결한다. 실시예에 따라, 엄지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는 하나의 제 1 연결선으로 검지 손가락의 장착부에 연결되어 감지부로 연결된다. 그리고,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는 두 개의 제 1 연결선이 자신과 인접하며 감지부와 인접한 손가락의 장착부와 연결되어 감지부로 연결된다. 이 같은 각각의 제 1 연결선들은 배선 유도부에 삽입되어 감지부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감지부는 제 1 연결선이 부착 또는 고정되는 장착부가 장착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가지고 있으며, 제 1 연결선 각각에 대한 센서를 가지고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센서는 제 1 연결선과 연결되는 제 2 연결선을 통해 제 1 연결선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제 2 연결선은 고무와 같은 탄력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의 센서들은 각각의 제 1 연결선들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제 1 연결선들은 고무와 같은 탄력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ension change analyzing apparatus receives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from the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500). Here, the first connection line is attached or fixed to the fixing part of the ring or thimble-type mounting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 adjacent to itsel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thumb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index finger with one first connecting line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portion. In addition, the mounting part mounted on the remaining fingers except for the thumb is connected to the sensing part by connecting the two first connection lines to the sensing part and the mounting part of the adjacent finger.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lines may be inserted into the wire guid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portion. Preferably, the sensing unit has a sensor for sensing a change in tension in accordance with movement of a finger equipped with a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connecting line is attached or fixed, and has a sensor for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lines. Such a sensor senses a change in the tension of the first connection line through a second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Here, the second connecting line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such as rubb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each of the sensor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first connection line. In this case, each first connection line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such as rubber.

이 같은 각각의 센서들로부터 제 1 연결선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와 관련되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가 수신되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수신된 장력 변화 정보와 관련된 키보드의 행을 결정한다(510). 여기서,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은 사용자로부터의 키보드 키 입력 시 발생하는 장력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별 설정된 임계값 또는 기설정된 표준의 임계값이다. 여기서, 키보드는 Qwerty 키보드와 같이 일반적인 키보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정되는 조건에 따라 또다른 키보드가 이용될 수 있다. Qwerty 키보드의 경우, Qwerty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은 A 글자가 위치한 키보드의 중심행을 기준으로 A 행에서의 키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임계값과, Q 행과 Z 행에서의 키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임계값과, 숫자 및 기호 행에서의 키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 3 임계값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3 임계값이 가장 큰 값을 가지며, 제 1 임계값이 가장 작은 값을 가진다. 이와 같이,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키보드의 키 입력과 관련된 동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센서들로부터 장력 변화와 관련되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가 수신되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수신된 전기적인 신호의 값과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을 비교하여 장력 변화 정보와 관련된 키보드의 행을 결정한다. 이 같은 장력 변화 분석 장치가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는 방법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When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s received from each of the sensors in association with the change in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the tension change analyzer compares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determines a row of the keyboard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tension change information (510). Here,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re threshold values set by a user or threshold values of a predetermined standard through a change in tension generated when a keyboard key is input from a user. Here, the keyboard may be a general keyboard, such as a Qwerty keyboar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other keyboard may be used depending on conditions to be set. In the case of the Qwerty keyboard,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Qwerty keyboard are divided into a first threshold value for detecting a key input on the A row based on the center row of the keyboard where the A character is located, And a third threshold value for sensing a key input in a numeral and a symbol row. The third threshold value has the largest value, and the first threshold value has the smallest value. By setting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n operation related to the key input of the keyboard,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That is, when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d in relation to the change in tension is received from each of the sensors, the tension change analyzer compares the value of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 with the threshold value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Thereby determining the row of the keyboard associated with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A method of determining the row of the keyboard by the tension change analyz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후, 키보드의 행이 결정되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의 움직임별 제 1 연결선에 대한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장력의 변화 정보와 관련된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520). 여기서,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에 대한 설명을 [표 1]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이 키보드의 A 행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표 1]과 같은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손가락과 해당 손가락이 지시하는 입력 키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키 위치 정보 획득부(123)는 키보드의 A 행에 속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n, when a row of the keyboard is determined, the tension change analyzing apparatus refers to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for the first connecting line for each movement of the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related to the change information is obtained (520). Here, the description of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able 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ger movement of the user corresponds to the row A of the keyboard, the tension change analysis apparatus refers to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as shown in [Table 1]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input key to which the command is directed. Accordingly, the key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3 can obtai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belonging to the row A of the keyboard.

이하에서는 전술한 장력 변화 분석 장치에서 장력 변화 정보와 관련된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determining a row of a keyboard associated with tension change information in the above-described tension change analysis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변화 정보와 관련된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etermining a row of a keyboard associated with tension chang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각각의 센서들로부터 제 1 연결선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와 관련되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가 수신되면,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사용자별로 설정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600). 한편, 체크 결과,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사용자별로 설정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사용자별로 설정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을 선택한다(610). 한편, 체크 결과,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사용자별로 설정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키보드의 각 행 별로 기설정된 표준의 임계값들을 선택한다(620). 이 같이, 사용자별로 설정된 임계값들 또는 표준의 임계값들이 선택되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선택된 임계값들 중 제 3 임계값을 이용하여 수신된 전기적인 신호의 값과 비교한다. 즉,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수신된 신호의 값이 제 3 임계값 이상인지를 체크하여, 수신된 신호의 값이 제 3 임계값 이상이면, 키보드의 행들 중 숫자/기호 행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한다(630, 640).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s received from each of the sensors in relation to the change in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threshold value (600). On the other hand, if it is checked that there are threshold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et for each user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tension change analyzer selects 610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et for each user. On the other hand, if it is checked that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et for each user are not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tension change analyzer selects preset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620). When thresholds or standard thresholds set for each user are selected, the tension variation analyzer compares the values of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s using the third threshold value among the selected threshold values. That is, the tension change analyzing apparatus checks whether the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and determines that the value corresponds to the number / symbol row among the rows of the keyboard if the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630, 640).

한편, 체크 결과, 수신된 신호 값이 제 3 임계값 미만이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수신된 신호 값이 제 2 임계값 이상인지를 체크한다(650). 체크 결과, 수신된 신호 값이 제 2 임계값 이상이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키보드의 행들 중 Q 행 또는 Z 행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한다(660). 한편, 체크 결과, 수신된 신호 값이 제 2 임계값 미만이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수신된 신호 값이 제 1 임계값 이상인지를 체크한다(670). 체크 결과, 수신된 신호 값이 제 1 임계값 이상이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키보드의 행들 중 A 행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체크 결과, 수신된 신호 값이 제 1 임계값 미만이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이 키보드의 키 입력과 관련된 움직임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또다른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신호에 해당하는 키보드의 행을 결정 단계를 재수행한다. 이와 같이, 키보드의 행이 결정되면,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손가락과 해당 손가락이 지시하는 입력 키의 방향을 결정하다. 이에 따라, 장력 변화 분석 장치는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고, 결정된 키보드 행에 속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less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tension change analysis device check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threshold value (650).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e tension change analysis apparatus determines 660 that it corresponds to Q row or Z row among the rows of the keyboard. On the other hand, if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tension change analysis device check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670).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tension change analysis apparatus determines that the line corresponds to row A of the keyboar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tension change analysis device determines that the finger movement of the user is not a movement related to the key input of the keyboard, Quot ;, " " Thus, when a row of the keyboard is determined, the tension change analysis apparatus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finger and the input key indicated by the finger with reference to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ccordingly, the tension change analysis apparatus can determine the row of the keyboard and acquir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belonging to the determined keyboard row.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 새끼 손가락이 위로 움직임에 따른 장력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tension due to upward movement of a right-hand little f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 새끼 손가락이 옆으로 움직임에 따른 장력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hange in tension due to lateral movement of a right-hand small fi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 약지 손가락이 위로 움직임에 따른 장력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tension due to upward movement of a right thumb fi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키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의 흐름도,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pu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변화 정보와 관련된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etermining a row of a keyboard associated with tension chang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 장착부 103 : 고정부100: mounting portion 103:

101, 102, 201, 202, 301, 302, 401, 402, 403, 404 : 제 1 연결부101, 102, 201, 202, 301, 302, 401, 402, 403, 404:

105 : 배선 유도부 110 : 감지부105: wiring induction unit 110: sensing unit

111 : 제 2 연결선 113 : 센서부111: second connecting line 113:

120 : 장력 변화 감지부 121 : 키보드 행 결정부120: tension change sensing unit 121: keyboard row determination unit

123 : 키 위치 정보 획득부 125 :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123: key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Claims (13)

손가락에 삽입되거나 부착되는 장착부와;A mounting portion to be inserted or attached to the finger; 상기 장착부에 부착되어 상기 손가락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장착부 각각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선과;A first connecting line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connecting each of the mounting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fingers; 상기 장착부가 장착된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선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와;A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a change in a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finger attached to the mounting unit;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장력의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장력 변화 분석부;A tension change analyzer for analyzing a change in the tens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an input key corresponding to movement of the fing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Wherein the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comprises: 반지나 혹은 골무 형태로써, 탄력성 소재로 구현되며,It is a ring or a thimble type, is embodied as elastic material, 상기 제 1 연결선을 고정하는 고정부;A fixing unit fixing the first connection lin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Wherein the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nsing unit comprises: 탄력성 소재로써, 상기 제 1 연결선과 연결되는 제 2 연결선과;A second connecting lin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line as a resilient material; 상기 제 2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제 1 연결선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부;A sensor unit for sensing a change in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line and converting the detected tension change into an electrical sig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Wherein the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comprise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장착부 중에서 엄지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는The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thumb of the mounting portion 하나의 제 1 연결선과 연결되고,Connected to one first connection line, 상기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들은The mounting portions mounted on the remaining fingers except for the thumb 상기 감지부 방향과 인접하는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두 개의 제 1 연결선들이 엑스자로 엇갈려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Wherein the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finger adjacent to the sensing portion direction and the two first connection lin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X-lett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apparatus comprises: 사용자로부터의 키보드 키 입력 시 발생하는 장력의 변화를 통해 상기 사용자별로 설정된 상기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과,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의 움직임별 제 1 연결선에 대한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이 저장되는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et for each user and a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for the first connecting line for each of the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are stored through a change in the tension generated when a keyboard key is input from the user A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Wherein the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further compris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변화 분석부는: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tension change analyzer comprises: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장력의 변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장력의 변화 정보와 관련된 상기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는 키보드 행 결정부와;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threshold values of each of the rows of the keyboard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comparing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 key row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key row; 상기 키보드 행 결정부로부터 결정된 키보드의 행과 관련되며, 상기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장력의 변화 정보와 관련된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키 위치 정보 획득부;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an input key related to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hat is related to the row of the keyboard determined by the keyboard row determination unit and converted into the electrical signal with reference to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 key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Wherein the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compris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는: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comprises: 상기 키보드의 각 행 별로 기설정된 표준의 임계값이 저장되며,A predetermined standard threshold value is stored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상기 키보드 행 결정부는The keyboard row determination unit 상기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상기 사용자별로 설정된 상기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키보드의 각 행 별로 기설정된 표준의 임계값을 통해 상기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And determining the row of the keyboard based on a preset threshold value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if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et for each user are not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장착부가 장착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장착부에 부착된 제 1 연결선의 장력 변화를 분석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for acquir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an input key to be input by analyzing a tension change of a first connecting line attached to a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a finger equipped with a mounting portion, 상기 제 1 연결선과 연결된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 1 연결선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와 관련되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a converted electrical signal related to a change in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from the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장력의 변화 정보가 수신되면,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장력의 변화 정보와 관련된 상기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row of the keyboard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change in tension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change information with the threshold value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Wow; 상기 키보드의 행이 결정되면, 상기 결정된 키보드의 행과 관련되며, 상기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의 움직임별 제 1 연결선에 대한 장력 변화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장력의 변화 정보와 관련된 입력 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And determining a row of the keyboard by referring to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table for the first connection line for each movement of the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cquir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an input key associated with the tension change information converted into the position informat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is obtained from the input key. 제 8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은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tored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사용자로부터의 키보드 키 입력 시 발생하는 장력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별 설정된 임계값 또는 기설정된 표준의 임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Wherein the threshold value i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or a preset threshold value for each user through a change in tension generated when a keyboard key is input from a us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는 단계는: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determining the row of the keyboard comprises: 상기 장력 측정 정보 저장부에 상기 사용자별 설정된 상기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사용자별 설정된 상기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이 없으면, 상기 키보드의 각 행 별로 기설정된 표준의 임계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And a step of checking whether or not there ar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et for each user in the tens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if there is no threshold value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set for each user, And determining the row of the keyboard using the threshold values of the input ke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는 단계는: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determining the row of the keyboard comprises: 상기 수신된 전기적인 신호의 값이 상기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 중 가장 큰 임계값 이상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Checking whether a value of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 is greater than a maximum threshold value among the threshold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전기적인 신호의 값이 가장 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키보드의 각 행들 중 숫자/기호 행으로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as a number / symbol row among the respective rows of the keyboard if the value of the electrical signal is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as a result of the check;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key is obtained from the input ke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는 단계는: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determining a row of the keyboard comprises: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전기적인 신호의 값이 가장 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 중 두 번째로 큰 임계값 이상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Checking whether the value of the electrical signal is greater than a second highest threshold among the threshold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if the value of the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a maximum threshold;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전기적인 신호의 값이 두 번째로 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키보드의 각 행들 중 Z 또는 Q 행으로 결정하는 단계;If the value of the electrical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greatest threshold, determining a Z or Q row among the rows of the keyboard;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n input key from the input ke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행을 결정하는 단계는: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determining a row of the keyboard comprises: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전기적인 신호의 값이 두 번째로 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키보드의 각 행 별 임계값들 중 가장 작은 임계값 이상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If the value of the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a second greatest threshold value, checking whether the electrical signal is smaller than a threshold value among the threshold values for each row of the keyboard;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전기적인 신호의 값이 가장 작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키보드의 각 행들 중 A 행으로 결정하되,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전기적인 신호의 값이 가장 작은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전기적인 신호의 값이 상기 키보드의 행 결정과 관련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of the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the smallest threshold value as a result of the check, Determining that a value of a signal is not associated with row determination of the keyboard;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키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n input key from the input key;
KR1020090128026A 2009-12-21 2009-12-21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ension change of strings connected to fingers KR1012424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026A KR101242416B1 (en) 2009-12-21 2009-12-21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ension change of strings connected to fingers
US12/965,524 US20110148670A1 (en) 2009-12-21 2010-12-10 Portabl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change in tension of strings connected to fing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026A KR101242416B1 (en) 2009-12-21 2009-12-21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ension change of strings connected to fing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449A KR20110071449A (en) 2011-06-29
KR101242416B1 true KR101242416B1 (en) 2013-03-18

Family

ID=4415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026A KR101242416B1 (en) 2009-12-21 2009-12-21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ension change of strings connected to finger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48670A1 (en)
KR (1) KR1012424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0965A (en) * 2013-10-10 2016-09-28 视力移动科技公司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ouch-free typing
WO2024014592A1 (en) * 2022-07-15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Xr device, controller apparatus for xr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xr device u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078A (en) * 1996-11-15 1998-08-05 배순훈 Hand joint sensor and glove input device using the same
KR20050001933A (en) * 2003-06-28 200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of sensing finger's motion in wearable type and method for sensing finger's motion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1861A (en) * 1990-02-02 1997-05-20 Virtual Technologies, Inc. Force feedback and texture simulating interface device
US5581484A (en) * 1994-06-27 1996-12-03 Prince; Kevin R. Finger mounted computer input device
JP3404651B2 (en) * 2000-03-30 2003-05-12 財団法人理工学振興会 3D input device
KR20020069694A (en) * 2001-02-27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Space keyboard system using force feedback and its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US6763320B2 (en) * 2002-08-15 2004-07-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input device for individuals with limited hand function
KR100537503B1 (en) * 2002-12-31 2005-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figuring 3D information input device, method for reconfiguring 3D information input device, method for recognizing wearable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the apparatus therefor
TWI304179B (en) * 2006-02-13 2008-12-11 Michael Rong Input device operated by digit
US20080129694A1 (en) * 2006-11-30 2008-06-05 Liberty Reach Inc. Keyless user interface device
US20090278818A1 (en) * 2008-05-12 2009-11-12 Dinozzi Jon Mario Thumb worn tap devices and storage holders for use with handheld electronic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078A (en) * 1996-11-15 1998-08-05 배순훈 Hand joint sensor and glove input device using the same
KR20050001933A (en) * 2003-06-28 200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of sensing finger's motion in wearable type and method for sensing finger's motion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449A (en) 2011-06-29
US20110148670A1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1945B2 (en) Inform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JP5344960B2 (en) Optical pointing device and click recognition method using optical pointing device
US8165398B2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writing detection
US8547115B2 (en) Touch sensing system, capacitance sensing circuit, and capacitance sensing method
US2012004421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liding touch control function and sliding touch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080669A1 (en) Smart watch having bio-sound source recognition function
CN101685342A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dynamic virtual keyboard
RU2010132212A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WITH TOUCH USER INTERFACE WITH ONE INDEX
KR20160110992A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information processing
JP2008525906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10120002A (en) Mouse-pad of entering data
US20150261312A1 (en) Talking multi-surface keyboard
US8125467B2 (en) Touch sensor with sliding structure
CN106161811A (en) A kind of remind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1242416B1 (en)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ension change of strings connected to fingers
CN102547511B (en) Headset control method and headset
CN105759998A (en) Touch computer keyboard system and key judgment method
KR20130115750A (en) Method for recognizing key input on a virtual keyboard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12270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system of finger keyboard
CN106371756A (en) Input system and input method
KR101521288B1 (en) Apparatus for glove-type wireless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6033700A (en) Button, earphone,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20210055766A1 (en) Secondary back surface touch sensor for handheld devices
CN2901408Y (en) Keyboard mouse device
CN107102777A (en) The operating method of mechanical key component, electronic equipment and mechanical key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