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384B1 - Apparatus and method for bema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bema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384B1
KR101237384B1 KR1020060064327A KR20060064327A KR101237384B1 KR 101237384 B1 KR101237384 B1 KR 101237384B1 KR 1020060064327 A KR1020060064327 A KR 1020060064327A KR 20060064327 A KR20060064327 A KR 20060064327A KR 101237384 B1 KR101237384 B1 KR 101237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ector
main beam
power
access point
complemen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3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5685A (en
Inventor
정재학
지영근
서정원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6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384B1/en
Publication of KR2008000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6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3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04B7/043Power distribution using best eigenmode, e.g. beam forming or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형성(beam-forming)을 위해, 데이터 송신을 위해 형성한 주빔의 제 1 가중치 벡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 1 가중치 벡터와 직교성을 갖는 제 2 가중치 벡터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제 2 가중치 벡터를 임의의 신호에 적용하고, 상기 제 2 가중치 벡터가 적용된 신호를 상기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여 보완빔을 형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a first weight vector of a main beam formed for data transmission for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generates a second weight vector having orthogonality to the obtained first weight vector. After that, the generated second weight vector is applied to an arbitrary signal, and the signal to which the second weight vector is applied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data to form a complementary beam.

무선 통신 네트워크, 빔 형성, 주빔, 보완빔, 가중치 벡터 처리부, 전력 할당부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amforming, main beam, complementary beam, weight vector processing unit, power allocation unit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형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EMA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bea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BEMA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일반적인 빔 형성 기법을 적용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a general beamforming technique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형성 기법을 적용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a beamforming techniqu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형성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beam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형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4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beam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5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beam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일반적인 통신 네트워크, 일예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이하 'LAN'이라 칭하기로 한다)는 300미터(m) 이하의 통신회선으로 연결된 개인 단말기, 메인 프레임, 워크스테이션들의 집합으로써, 개인 단말기들 사이의 전류나 전파신호가 정확히 전달될 수 있는 거리, 즉 한 기관의 빌딩 내에 설치된 장비들을 직원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공동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된 고속의 통신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LAN에 적용되는 통신회선으로 초기에는 전기적 신호를 직접 전달하는 유선 네트워크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 후 무선 프로토콜들의 발달로 인해 전파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형태로 점차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일예로,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LAN을 통상적으로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이라 하며, 이는 미국 전기전자 학회(IEEE)에서 제안한 IEEE 802.11에 기초하고 있다. 상기 IEEE 802.11에 기초한 무선 LAN은 지난 몇 년간 막대한 성장을 해왔으며, 편리한 네트워크 연결이라는 장점에 힘입어 향후에도 빠른 발전이 예상되고 있다.A general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is a collection of personal terminals, mainframes, and workstation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line of 300 meters (m) or less. It is a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 that connects the distance between terminals to the point where current or radio signals can be transmitted accurately, that is, to enable employees to most effectively use equipment installed in an institution's building. As a communication line applied to such a LAN, a wired network that directly transfers electrical signals was mainly used. Since then, due to the development of wireless protocols, the situation is gradually replac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wireless network that uses radio waves to transmit signals. In one such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LAN using a wireless network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which is based on IEEE 802.11 proposed by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The wireless LAN based on IEEE 802.11 has grown enormously over the last few years, and is expected to develop rapidly in the future thanks to the advantage of convenient network connection.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고정노드 즉,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110)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노드 즉, 단말기들(111, 113, 115)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 fixed node, that is, an access point (AP) 110 and a mobile node that receives a service from the access point 110, that is, terminals 111, 113, 115).

이때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는 기존의 유선랜의 허브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는 상기 단말기들(111, 113, 115)을 포함한 다수의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서비스 영역을 가진다.In this case, the access point 110 performs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a hub of an existing wired LAN. In addition, the access point 110 has a service area for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the terminals 111, 113, and 115.

여기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는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여 각 단말기들(111, 113, 115)과 통신을 수행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는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기(111)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111) 방향으로 전력을 모두 할당하여 빔(120)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가 상기 제 1 단말기(111)와 통신하기 위해서 생성한 상기 빔(120)을 주빔(main beam)이라 하고, 상기 주빔(main beam)을 통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는 상기 제 1 단말기(111)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Here, it is assumed that the access point 110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terminals 111, 113, and 115 using an array antenna. The access point 110 generates a beam 120 by allocating power toward the terminal 111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11 to transmit data. In this case, the beam 120 generated by the access point 11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erminal 111 is called a main beam, and the access point 110 is connected to the main beam through the main beam. Data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11.

또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와 단말기들(111, 113, 115)이 통신하는 경우에 반송파 측정 다중 접속(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이하 'CSMA'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각 단말기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와 채널 액세스를 위해, 다른 단말기가 현재 공유 채널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와 통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통신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단말기(113)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와 통신을 원하는 경우에는 다른 단말기들(111, 115)이 통신하고 있는지의 확인을 위해서 반송파(carrier)의 에너지(energy)를 측정한다. 그리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가 현재 단말기와 통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단말기(113)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로 데이터 전송을 시도한다. 하지만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가 예를 들어, 상기 제 1 단말기(111)와 통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등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111)의 통신 여부를 재확인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access point 11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s 111, 113, and 115, a carrier measurement multiple access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hereinafter referred to as 'CSMA') communication is performed. Assume Therefore, each terminal attempts communication after confirming whether another terminal is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point 110 through the shared channel for channel access with the access point 110. For example, when the second terminal 113 wants to communicate with the access point 110, energy of a carrier is used to check whether other terminals 111 and 115 are communicating. Measure Thu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cess point 110 is not currently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113 attempts to transmit data to the access point 110. However, when the access point 11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erminal 111, for example, the access point 111 reconfirms whether or not the access point 111 communicates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그러나, 상기 제 2 단말기(113)가 현재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가 상기 제 1 단말기(111)와 통신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음영 지역에 존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2 단말기(113)가 상기한 바와 같이 음영 지역에 존재하여 현재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가 상기 제 1 단말기(111)와 통신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없다면, 상기 제 2 단말기(113)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와 통신을 위해 데이터 전송을 시도할 것이다.However, the second terminal 113 may exist in a shaded area wher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access point 110 is currentl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erminal 111. If the second terminal 113 exists in the shaded area as described above and cannot detect that the access point 110 is currentl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erminal 111, the second terminal 113. Will attempt to transmit data for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point 110.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단말기(113) 이외에도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의 통신 여부를 감지할 없는 음영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기들 역시 상기 제 2 단말기와 같은 데이터 전송을 시도하게 될 것이다.Similarly, in addition to the second terminal 113, terminals existing in the shadow area where the access point 110 can not detect communication will also attempt to transmit the same data as the second terminal.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음영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기들은 현재 통신 중인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로 접속을 시도할 것이고, 이러한 경우 상기 음영 지역의 단말기들은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영 지역의 단말기들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로 전송을 시도하게 됨에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에서는 충돌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발생하는 충돌은 액세스 포인트(110)의 데이터 처리율(throughput)이 감소하게 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erminals existing in the shaded area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ll attempt to connect to the access point 110 currently in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s in the shaded area consume unnecessary power. In addition, as the terminals of the shadow area attempt to transmit to the access point 110, a collision occurs in the access point 110. As a result, the collision occurring in the access point causes the data throughput of the access point 110 to decrease.

결국, 상기 CSMA 방식을 사용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음영 지역이 존재하며, 상기 음영 지역으로 인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처리율 감소 등이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 성능이 감소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CSMA scheme, there is a shaded area where communication of the access point cannot be confirmed. Due to the shaded area,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and a reduction in data throughput of the access point, as described above, may occu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verall system performance is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전체 시스템 성능을 보장하는 빔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beam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uaranteeing overall system perform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음영 지역을 제거하는 빔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beam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shadow are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위한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하는 빔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beam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for communication with an access poi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을 시도하는 단말기들로 인한 충돌을 방지하는 빔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beam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 collision due to terminals attempting to transmit from an access poi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반송파 측정 다중접속 환경에서 배열 안테나를 구비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빔 형성 방법은, 상기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주빔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주빔으로 인해 형성되는 음영지역 내의 단말기에 의해 신호의 수신이 감지될 정도의 전력으로 상기 주빔과 직교하면서 상기 음영지역에서 균일한 방사 형태를 갖도록 보완빔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am forming method using an access point having an array antenna in a carrier measurement multiple access environment, including: forming a main beam using the array antenna; And forming a complementary beam to have a uniform radiation shape in the shaded area while being orthogonal to the main beam at a power sufficient to receive a signal by a terminal in the shaded area formed by the main beam.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반송파 측정 다중접속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구비된 빔 형성(beam-forming) 장치는, 주빔을 위한 제1가중치 벡터와, 보완빔을 위한 제2가중치 벡터를 생성하는 가중치 벡터 처리부와, 상기 주빔을 위한 전력을 할당하고, 상기 주빔으로 인해 형성되는 음영지역 내의 단말기에 의해 신호의 수신이 감지될 정도의 전력을 상기 보완빔을 위해 할당하는 전력 할당부와, 상기 배열 안테나 및 상기 주빔을 위해 생성한 제1가중치 벡터와 상기 주빔을 위해 할당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주빔을 형성하고, 상기 배열 안테나 및 상기 보완빔을 위해 생성한 제2가중치 벡터와 상기 보완빔을 위해 할당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주빔과 직교하면서 상기 음영지역에서 균일한 방사 형태를 갖도록 상기 보완빔을 형성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eam-forming apparatus provided in an access poi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a carrier measurement multiple access environment, the first weight vector for the main beam, A weight vector processor for generating a second weight vector for the complementary beam, and a power to which the signal is received by the terminal in the shadow area formed by the main beam and allocating power for the main beam; The main beam is formed by using a power allocating unit for allocating the first weight vector and the first weight vector generated for the array antenna and the main beam and the power allocated for the main beam and generating the array beam and the supplemental beam. Uniform radiation in the shadowed area orthogonal to the main beam using a second weight vector and the power allocated for the complementary beam So as to have a state and a transmission section which forms the complementary beam.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반송파 측정 다중 접속(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이하 'CSMA'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기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의 음영 지역을 제거하는 빔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hadow area of a transmitter, for example, an access point (AP) is remov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carrier measurement multiple access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scheme. A beam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are proposed.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해 형성한 주빔(main beam)의 제 1 가중치 벡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 1 가중치 벡터와 직교성을 갖는 제 2 가중치 벡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제 2 가중치 벡터를 사용하여 상기 음영지역을 제거하는 보완빔(complementary beam)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주빔은 상기 송신기 즉, 액세스 포인트에서 배열 안테나 등을 사용하여 수신기 즉, 단말기(MS: Mobile Station)와 통신하기 위해 전력을 모두 할당하여 생성한 빔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보완빔은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주빔의 전력을 측정할 수 없는 즉,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음영 지역을 제거하기 위해서 생성된 빔이다. Acquire a first weight vector of the main beam formed for the data transmission, generate a second weight vector having orthogonality to the acquired first weight vector, and then use the second weight vector to shade the shadow. A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complementary beam for removing an area is proposed. Here, the main beam refers to a beam generated by allocating power to communicate with a receiver, that is, a mobile station (MS), using an array antenna in the transmitter, that is, the access point. In addition, the complementary beam is a beam generated in order to remove the shadow area in which the power of the main beam cannot be measured, that is,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access point is communicating with another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CSMA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한다고 가정하기로 하며, 상기 CSMA 방식은 반송파 측정 다중 접속/충돌 검출(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반송파 측정 다중 접속/충돌 검출(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등과 같은 방식들을 모두 통칭한다.Meanwhil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CSMA method, and the CSMA method is carrier measurement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ion (CSMA / CD) and carrier measurement multiple access. All methods such as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CSMA / CA), etc.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고정노드 즉, 액세스 포인트(210)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21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노드 즉, 단말기들(211, 213, 215)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fixed node, that is, an access point 210, and a mobile node that receives a service from the access point 210, that is, terminals 211, 213, and 215. .

이때 상기 액세스 포인트(210)는 기존의 유선랜의 허브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210)는 단말기들(211, 213, 215)을 포함한 다수의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서비스 영역을 가진다.In this case, the access point 210 performs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a hub of an existing wired LAN. The access point 210 also has a service area for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the terminals 211, 213, 215.

본 발명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210)는 빔 형성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여 각 단말기들(211, 213, 215)과 통신을 수행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210)는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기(211)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211) 방향으로 전력을 모두 할당하여 빔(230)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액세스 포인트(210)가 상기 제 1 단말기(211)와 통신하기 위해서 생성한 상기 빔(230)을 주빔(main beam)이라 하고, 상기 주빔(main beam)을 통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210)는 상기 제 1 단말기(211)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access point 210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terminals 211, 213, and 215 using at least one array antenna that forms a beam. The access point 210 generates a beam 230 by allocating power toward the terminal 211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211 to transmit data. In this case, the beam 230 generated by the access point 21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erminal 211 is called a main beam, and the access point 210 is connected to the main beam through the main beam. Data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211.

상기 제 1 단말기(211)를 제외한 제 2 단말기(213) 또는 제 3 단말기(215)는 각각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해서 현재 상기 액세스 포인트(210)가 자신 이외에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제 2 단말기(213) 또는 제 3 단말기(215)는 반송파의 전력을 측정한다. Each of the second terminal 213 or the third terminal 215 except the first terminal 211 confirms whether the access point 210 currently communicates with another terminal other than itself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access point. do. That is, the second terminal 213 or the third terminal 215 measures the power of the carrier wave.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210)도면에 도시된 보완빔(250)을 제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210)의 음영 지역을 제거하였다.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210)의 셀내에 존재하는 단말기들은 상기 보완빔(250)을 통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210)가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의 데이터 전송 또는 접속 시도를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210)의 충돌은 발생하지 않는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ementary beam 250 shown in the drawing of the access point 210 is proposed to remove the shadow area of the access point 210. Accordingly, the terminals existing in the cell of the access point 210 detect that the access point 210 communicates with another terminal through the complementary beam 250 and perform data transmission or access attempt to the access point. I never do that. Thus, a collision of 210 at the access point does not occur.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주빔에서 사용하던 송신 전력의 일부를 보완빔에 할당한다. 이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주빔(230)은 보안빔을 형성하지 않는 기존의 주빔(240)의 송신 전력의 일부를 할당함으로서 본 발명의 주빔(230)은 기존의 주빔(24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used in the main beam is allocated to the supplemental beam. The main beam 230 of the access point allocates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existing main beam 240 that does not form a security beam, so that the main beam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maller size than the existing main beam 240.

상기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예로 하나의 주빔을 생성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나 이상의 주빔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 주 빔에 직교하는 보완빔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FIG. 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example of an access point generating one main beam is described as a reference. However, even when one or more main beams are use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mplementary beam perpendicular to each main beam.

다음으로 상기한 보완빔(250)을 생성하는 액세스 포인트(210)의 구조를 하기에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tructure of the access point 210 for generating the complementary beam 2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형성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보완 빔(250)을 생성하는 액세스 포인트(21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이고 있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beam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access point 210 that generates the supplemental beam 250 in detail.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보완빔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가중치 벡터 처리부(311), 곱셈기(313, 315), 전력할당부(317), 혼합기(319), 송신부(32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access point forming the complementary beam includes a weight vector processor 311, multipliers 313 and 315, a power allocator 317, a mixer 319, and a transmitter 321.

상기 가중치 벡터 처리부(311)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주빔의 가중치 벡터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주빔의 가중치 벡터를 사용하여 상기 주빔의 가중치 벡터와 직교성을 유지하는 제 2 가중치 벡터를 생성한다.The weight vector processor 311 calculates a weight vector of the main beam for the access point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and calculates a second weight vector that maintains orthogonality with the weight vector of the main beam using the calculated weight vector of the main beam. Create

일반적으로 상기 주빔의 가중치 벡터는 배열응답벡터(array response vector) 켤레 복소수 형태이며, 이를 하기의 수학식 1에 나타내었다.In general, the weight vector of the main beam is a complex pair of array response vectors, which is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1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2
는 공액 복소수 전치(conjugate and transpose) 연산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a는 배열응답벡터이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배열응답벡터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Equation 1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2
Means conjugate conjugate and transpose operation. A is an array response vector. The array response vector will now be briefly described.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단말기와 통신을 위해 상기 송신부에 연결된 미리 설 정된 개수,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특정 단말기 k가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k의 수신 신호는 수학식 2로 표현된다.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specific terminal k in which the access point communicates with the access point via a predetermined number, N transmit antennas,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Here, the received signal of the terminal k is expressed by Equation 2.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3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3

상기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4
은 k번째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m 시간의 샘플 신호이고, 상기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5
는 N x 1의 크기를 가지며 l번째 다중경로에 의해 지연되는 단말기 k에 대한 채널값이고, 상기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6
는 상기 k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송신 신호이고, 상기 n은 독립적인 백색잡음(white noise)이다.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7
는 각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8
의 도래각(DOA: Direction of Arrival)을 가지며,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remind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4
Is a sample signal of m time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k-th terminal,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5
Is the channel value for terminal k having the size of N × 1 and delayed by the l-th multipath,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6
Is the transmission signal at the access point for k, and n is the independent white noise. Where above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7
Is each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8
It has a direction of arrival (DOA) and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3 below.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9
Figure 112006049112445-pat00009

여기서 상기 g는 채널 이득이고, 상기 a가 배열응답벡터로서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된다. Where g is the channel gain, and a is defined as Equation 4 below as an array response vector.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0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0

상기 배열응답벡터를 일예로 상기 수학식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배열응답벡터는 임의의 단말기에서 선형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전파의 전파지연에 의한 위상 천이를 각 선형 배열안테나의 원소별로 나열한 벡터이다. The array response vector is shown in Equation 4 as an example. The array response vector is a vector in which a phase shift due to propagation delay of radio waves is arranged for each element of each linear array antenna when a terminal transmits a signal to an access point using a linear array antenna.

다음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주빔 생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를 적용하여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를 하기의 수학식 5에 나타내었다.Next, the access point shows a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by applying a weight vector for generating the main beam in Equation 5 below.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1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1

상기 y(m)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가중치 벡터를 적용하여 임의의 시간 즉, m 시간에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이다. 그리고 상기 s(m)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m 시간에 송신한 신호이며, 상기 n(m)은 상기 m 시간에 송신한 신호에 대한 잡음이다. 상기 h는 채널 벡터이고, 상기 w는 주빔 형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이다.The y (m) is a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at an arbitrary time, that is, m time, by the access point applying a weight vector. And s (m) i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access point in the m time, and n (m) is noise for the signal transmitted in the m time. Where h is a channel vector and w is a weight vector for main beam formation.

상기 수학식 5에 상기 수학식 1과 수학식 3을 대입하여 하기의 수학식 6으로 나타낼 수 있다. Equation 1 and Equation 3 may be substituted into Equation 5 to represent Equation 6 below.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2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2

여기서 상기 수학식 6은 주빔 형성에 의한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가 송신한 경우 단말기에서의 수신 신호들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6에 나타나 있듯이 주빔을 형성하여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는 이득 g을 얻는다.Here, Equation 6 represents received signals at the terminal when the access point transmits a signal formed by the main beam. Therefore, as shown in Equation 6, a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by forming a main beam obtains a gain g.

본 발명에서 주빔과 보완빔의 가중치 벡터를 포함한 전체적인 빔 형성 가중치 벡터는 하기의 수학식 7에 나타내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beamforming weight vector including the weight vectors of the main beam and the supplementary beam is shown in Equation 7 below.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3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3

상기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4
는 주빔 형성을 위한 가중치 행렬이며,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5
는 보완빔 형성을 위한 가중치 행렬이다. remind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4
Is a weight matrix for main beam formation,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5
Is a weighting matrix for forming the complementary beam.

상기 가중치 벡터 처리부(311)는 상기 주빔의 가중치 벡터,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6
을 사용하여 상기 주빔과 직교하는 가중치 벡터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가중치 벡터가 본 발명의 보완빔에 적용되는 가중치 벡터이다. The weight vector processor 311 may include a weight vector of the main beam,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6
To generate a weight vector orthogonal to the main beam. The generated weight vector is a weight vector applied to the complementary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가중치 벡터 처리부(311)는 상기 수학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열응답벡터를 사용하여 주빔의 가중치 벡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빔의 가중치 벡터를 연산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최소 분산 비왜곡 응답(MVDR: Minimum Variance Distrotionless Response) 기법 또는 컨벤셔널 빔포밍(CB: Conventional-Beamforming)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주빔의 가중치 벡터는 상기한 기 법들 이외에도 주빔의 가중치 벡터를 획득하는 다른 기법들을 사용하여 획득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The weight vector processor 311 may obtain a weight vector of the main beam using an array response vector as shown in Equation (1). In this case, a method of calculating the weight vector of the main beam may use, for example, a minimum variance distortion response (MVDR) technique or a conventional beamforming (CB) techniqu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techniques, the weight vector of may be obtained using other techniques for obtaining the weight vector of the main beam.

한편, 상기 가중치 벡터 처리부(311)는 보완빔의 가중치 벡터를 획득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그람-슈미츠 직교화(Gram-Schmidt orthogonalization) 기법을 사용한다. Meanwhile, the weight vector processing unit 311 uses a Gram-Schmidt orthogonalization technique in order to obtain the weight vector of the complementary beam.

본 발명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주빔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각 주빔에 따라 가중치 벡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주빔의 개수를 K라 가정하면, 상기 주빔의 가중치 벡터는 K개가 생성된다.The access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generating at least one main beam, and generates a weight vector according to each main beam. Therefore, assuming that the number of the main beams is K, K weight vectors of the main beams are generated.

따라서 상기 보완빔의 가중치 벡터의 개수는 하기의 수학식 8에 나타내었다.Therefore, the number of weight vectors of the complementary beam is shown in Equation 8 below.

L = N - KL = N-K

상기 L은 상기 보완빔의 가중치 벡터의 개수이고, 상기 N은 선형 배열 안테나의 개수이고, 상기 K는 상기 주빔의 가중치 벡터의 개수이다. 여기서 상기 K는 주빔의 개수가 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주빔마다 각각 가중치 벡터를 획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가중치 벡터 처리부(311)는 적어도 하나의 주빔에 상응하는 주빔의 가중치 벡터를 획득하고, 상기 가중치 벡터와 직교하는 보완빔의 가중치 벡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L is the number of weight vectors of the complementary beams, N is the number of linear array antennas, and K is the number of weight vectors of the main beams. Here, K may be the number of main beams, since each weight beam vector is obtained for each main beam. Accordingly, the weight vector processor 311 may obtain a weight vector of the main beam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main beam and generate a weight vector of the complementary beam orthogonal to the weight vector.

우선 상기 그람 슈미츠 직교화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N-K개의 선형 독립 벡터를 하기의 수학식 9에 나타내었다.First, N-K linear independent vectors for using the Gram Schmidt orthogonalization method are shown in Equation 9 below.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7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7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8
는 임의의 상수이다. 상기 가중치 벡터 처리부(311)는 상기 그람-슈미츠 직교화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각 주빔에 상응하는 주빔의 가중치 벡터들 중 첫 번째 주빔에 상응하는 가중치 벡터를 기준 벡터로 설정하면,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9
이 된다. 다시 말해, 상기 가중치 벡터 처리부(311)는 상기 기준 벡터를 주빔의 가중치 벡터 즉, K개의 주빔 형성을 위한 K개의 가중치 벡터중 첫 번째 가중치 벡터로 설정한다. 상기 기준 벡터에 직교하는 직교 벡터를 획득하는 수학식은 하기의 수학식 10에 나타내었다.Where above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8
Is any constant. When the weight vector processing unit 311 sets the weight vect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in beam among the weight vectors of the main beams corresponding to each main beam in order to apply the Gram-Schmids orthogonalization technique,
Figure 112006049112445-pat00019
. In other words, the weight vector processor 311 sets the reference vector as the weight vector of the main beam, that is, the first weight vector among the K weight vectors for forming the K main beams. Equation for obtaining an orthogonal vector orthogonal to the reference vector is shown in Equation 10 below.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0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0

상기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1
는 상기 수학식 10에서 생성한 N x 1 크기의 선형독립 벡터이고,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2
는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N x 1 크기의 직교 벡터이다.remind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1
Is a linear independent vector of size N × 1 generated by Equation 10,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2
Is an orthogonal vector of size N × 1 that is generated sequentially.

상기 수학식 10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직교 벡터들을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획득한 직교 벡터들을 정규화하여 N-K개의 직교빔 형성을 위한 N-K개의 직교 가중치 벡터를 구한다. 상기 정규화를 수행한 후의 직교 벡터는 하기의 수학식 10 에 나타내었다.Orthogonal vectors may be obtained sequentially using Equation 10, and the obtained orthogonal vectors are normalized to obtain N-K orthogonal weight vectors for forming N-K orthogonal beams. The orthogonal vector after performing the normalization is shown in Equation 10 below.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3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3

상기 정규화를 통해서 획득한 수학식 11을 사용하여 획득한 직교 벡터들을 추가한 빔형성 행렬은 하기의 수학식 12에 나타내었다. The beamforming matrix including the orthogonal vectors obtained using Equation 11 obtained through the normalization is shown in Equation 12 below.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4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4

상기 수학식 12는 상기 획득한 직교벡터들을 N x N의 정방행렬(square matrix)로 확장한 것이다. 상기한 수학식 11의 빔 형성 행렬을 사용하여 빔을 형성하여 전방향(omnidirection) 방사 패턴을 갖도록 보완빔을 형성할 수 있다.Equation 12 is obtained by extending the acquired orthogonal vectors into a square matrix of N × N. A beam may be formed using the beamforming matrix of Equation 11 to form a complementary beam to have an omnidirection radiation pattern.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가중치 벡터 처리부(311)는 N개의 주빔의 가중치 벡터를 사용하여 N-K개의 보완빔 형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를 획득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vector processor 311 obtains a weight vector for forming N-K complementary beams using the weight vectors of the N main beams.

한편, 상기 제 1 곱셈기(313)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단말기들에게 송신할 신호,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5
를 입력받고, 상기 가중치 벡터 처리부(311)에서 출력된 주빔 형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6
을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곱셈기(313)는 상기 송신 신호에 가중치 벡터를 곱하여 상기 전력 할당부(317)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ultiplier 313 is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in the access point,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5
Receives a weight vector for forming the main beam output from the weight vector processor 311,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6
Get input. Next, the first multiplier 313 multiplies the transmission signal by a weight vector and outputs the weighted vector to the power allocator 317.

상기 제 2 곱셈기(315)는 상기 보완빔 형성을 위한 임의의 신호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7
를 입력받고, 상기 가중치 벡터 처리부(311)에서 출력된 보완빔 형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8
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9
는 상기 보완빔 형성을 위해서 임의로 송신하는 신호로서 미리 설정된 임의의 신호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곱셈기(315)는 상기 임의의 송신 신호에 보완빔 형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를 곱하여 상기 전력 할당부(317)로 출력한다.The second multiplier 315 is a random signal for forming the complementary beam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7
Is received, the weight vector for forming the complementary beam output from the weight vector processor 311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8
. Where above
Figure 112006049112445-pat00029
Is an arbitrary signal that is arbitrarily transmitted for forming the complementary beam. Next, the second multiplier 315 multiplies the arbitrary transmission signal by a weight vector for forming a complementary beam, and outputs the weighted vector to the power allocator 317.

상기 전력 할당부(317)는 상기 제 1 곱셈기(313)과 상기 제 2 곱셈기(315)의 각 출력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 1 곱셈기(313)과 상기 제 2 곱셈기(315)의 출력 신호에 전력을 할당한다. 상기 보완빔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완빔은 잡음신호의 전력 준위보다 높은 전력 준위를 필요로 하며, 상기 전력 할당부(317)는 상기 보완빔에 전력을 할당하여 잡음 신호의 전력 준위보다 높은 전력 준위를 갖도록 한다. 상기 전력 할당부(317)는 보완빔을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전력 추가 없이 기존의 주빔에 할당하던 전력의 일부를 상기 보완빔에 할당하여 보완빔을 생성한다. The power allocator 317 receives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multiplier 313 and the second multiplier 315,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multiplier 313 and the second multiplier 315. Allocate power. In order to form the complementary beam, the supplementary beam requires a power level higher than that of the noise signal, and the power allocator 317 allocates power to the supplementary beam to power level higher than that of the noise signal. To have. The power allocating unit 317 generates a supplementary beam by allocating a part of the power allocated to the existing main beam to the supplementary beam without additional power for generating the supplementary beam.

일반적으로 상기 보완빔의 전력 준위는 일반적인 송신 신호보다 낮은 빔 형성 전력 준위를 가져야하며, 주빔이 최대의 이득을 얻기 위해서 보완빔은 반송파 에너지 측정이 가능한 최소의 전력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각 빔 형성 벡터들의 전력제어가 필요하다. 상기 전력 할당부(317)는 전체 송신 전력을 각 빔에 할당하며, 이것을 하기의 수학식 13에 나타내었다.In general, the power level of the complementary beam should have a lower beam forming power level than a general transmission signal, and in order for the main beam to obtain the maximum gain, the supplemental beam should be formed with the minimum power capable of measuring carrier energy. For this purpose, power control of each beamforming vector is required. The power allocator 317 allocates the total transmission power to each beam, which is represented by Equation 13 below.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0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0

전체 전력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1
은 주빔과 보완빔에 나누어 할당하며, 보완빔의 전력 준위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2
와 주빔의 전력 준위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3
이 나타나 있다. 이에 상기 전체 빔에 할당된 전력을 1로 정규화하면, 상기 보완빔에 할당된 전력을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4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5
이고, 주빔에 할당되는 전력은 (1-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6
)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7
이 된다.Full power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1
Is divided into main beam and complementary beam, and the power level of complementary beam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2
And power levels of the main beam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3
Is shown. Accordingly, when the power allocated to the entire beam is normalized to 1, the power allocated to the supplementary beam is adjusted.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4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5
And the power allocated to the main beam is (1-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6
)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7
.

상기 전력 할당부(317)는 주빔과 보완빔의 전력 준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혼합기(319)로 출력한다.The power allocator 317 controls the power levels of the main beam and the complementary beam, respectively, and outputs the power to the mixer 319.

상기 혼합기(319)는 상기 전력 할당부에서 출력된 신호들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신호를 상기 송신부(321)로 출력한다. The mixer 319 mixe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power allocator and outputs the mixed signals to the transmitter 321.

상기 송신부(317)는 상기 혼합기의 출력 신호를 변조, 무선 신호로의 상향 변환 등과 같은 무선 처리를 수행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여 빔을 형성한다.The transmitter 317 performs a wireless process such as modulating, up-converting the radio signal into a radio signal, and then transmits it through an antenna to form a beam.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출력하는 신호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8
는 하기의 수학식 14에 나타내었다.Signal output by the access point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8
Is shown in Equation 14 below.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9
Figure 112006049112445-pat00039

임의의 시점 m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출력 신호는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신호s(m)과 보완빔 형성을 위한 신호

Figure 112006049112445-pat00040
에 가중치 벡터들(
Figure 112006049112445-pat00041
,
Figure 112006049112445-pat00042
)이 적용되 어 송신되어 상기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빔 패턴을 형성한다. The output signal of the access point at any time m is a signal for forming the complementary beam with the transmission signal s (m) of the access point.
Figure 112006049112445-pat00040
Weights vectors
Figure 112006049112445-pat00041
,
Figure 112006049112445-pat00042
) Is applied to form a beam pattern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보완빔을 생성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을 하기에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 operation of the access point for generating the complementary bea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상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형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보완 빔을 생성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을 보이고 있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eam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an access point generating a supplemental beam.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411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제 1 가중치 벡터를 획득하고 413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중치 벡터는 주빔을 형성하기 위한 가중치 벡터로서 배열응답벡터를 사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411, the access point obtains a first weight vector and proceeds to step 413. Here, the first weight vector may be obtained using an array response vector as a weight vector for forming the main beam.

상기 413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 1 가중치 벡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가중치 벡터와 직교하는 제 2 가중치 벡터를 생성하고 41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가중치 벡터는 보완빔을 생성하기 위한 가중치 벡터이며, 상기 제 2 가중치 벡터는 그람-슈미츠 직교화 기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벡터이다. 상기 그람-슈미츠 직교화 기법을 사용하여 제 2 가중치 벡터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도 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step 413, the access point generates a second weight vector orthogonal to the first weight vector using the first weight vector, and proceeds to step 415. Here, the second weight vector is a weight vector for generating a complementary beam, and the second weight vector is a vector generated by using a Gram-Schmids orthogonalization technique. Since generating the second weight vector using the Gram-Schmids orthogonalization techniqu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415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 2 가중치 벡터를 임의의 송신 신호에 적용하고 4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임의의 송신 신호는 상기 보완빔 생성을 위해 사용하는 임의의 송신 신호이다. 따라서 상기 임의의 송신 신호는 특정 신호로 한정되지 않으며, 보완빔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송신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상기 임의의 신호는 보완빔 형성을 위한 특정 정보를 포함하나 상기 정보는 보완빔 형성을 위해 송신되는 신호로서 의미가 없는 정보를 포함 한다.In step 415, the access point applies the second weight vector to an arbitrary transmission signal and proceeds to step 417. The arbitrary transmission signal is any transmission signal used for generating the complementary beam. Thus, the arbitrary transmission signal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ignal, bu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ccess point to form a complementary beam. Thus, the arbitrary signal includes specific information for forming the complementary beam, but th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that is meaningless as a signal transmitted for forming the supplementary beam.

상기 417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제 2 가중치 벡터를 적용한 상기 송신 신호에 빔 형성을 위한 전력을 할당하고 4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전력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완빔의 전력 준위가 잡음 신호의 전력 준위보다 높은 전력 준위를 갖도록 전력을 할당한다. 예를 들어, 보완빔의 전력 준위는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가 -20dB의 값을 갖는 경우 음영 지역에서도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이 사용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학식 12에서

Figure 112006049112445-pat00043
은 0.01 정도의 값을 가지며, 전체 빔의 송신 전력이 1이라고 하면 1%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다시 말해, 전체 빔의 송신 전력에서 99%는 주빔에 할당하고, 1%는 보완빔에 할당하여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발생하는 음영지역을 제거할 수 있다. In step 417, the access point allocates power for beamforming to the transmission signal to which the second weight vector is applied, and proceeds to step 419. In the case of allocating the power, power is allocated such that the power level of the complementary beam has a power level higher than that of the noise signal. For example, the power level of the complementary beam may determine that the channel of the access point is in use even in a shaded area when the signal to noise ratio (SNR) has a value of -20 dB. At this time, in Equation 12
Figure 112006049112445-pat00043
Has a value of about 0.01, and if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entire beam is 1, it has a size of about 1%. In other words, even if 99% of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entire beam is allocated to the main beam and 1% is allocated to the supplemental beam, the shadow area generated at the access point can be removed.

상기 419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 2 가중치 벡터를 할당한 신호를 전송하여 보완빔을 형성한다. 이때 생성된 보완빔은 상기 제 1 가중치 벡터와 직교하는 제 2 가중치 벡터를 사용함으로 인해서 주빔을 제외한 지역에 균일한 방사 패턴, 다시 말해 전방향 방사 패턴을 갖는 보완빔을 형성한다.In step 419, the access point transmits a signal to which the second weight vector is allocated to form a complementary beam. In this case, the generated complementary beam forms a complementary beam having a uniform radiation pattern, that is, an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n area excluding the main beam by using a second weight vector orthogonal to the first weight vector.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중치 벡터의 개수는 복수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가중치 벡터는 상기 제 1 가중치 벡터의 개수를 고려하여 생성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사용하는 선형 배열 안테나의 개수에서 상기 제 1 가중치 벡터의 개수와의 차이에 해당하는 개수로 생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the first weight vectors may be plural, and the second weight vector is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he first weight vectors. The access point generates a number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from the number of linear array antennas used in the access point and the number of the first weight vectors.

그러면 하기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빔 패턴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beam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 이다.5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beam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완빔을 형성하여 빔 패턴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보완빔 형성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다중 대역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규약(MBOA: Multi-Band OFDM Alliance) 환경의 제 1 대역인 3.1-3628GHz에서 실험하였으며,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포인트 수는 128을 사용하여 획득한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의 세로축은 전력(dB)을 나타내며, 가로축은 방위각(azimuth)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5, a beam pattern is illustrated by forming a complementary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orm the complementary beam, a multi-b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protocol (MBOA: Multi-Band OFDM Alliance) environment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3.1-3628 GHz, which is the first band, and the number of points of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is a graph obtained using 128. The vertical axis of the graph represents power (dB), and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azimuth.

상기 도 5의 (a)에서는 송신 안테나의 수가 4개이며, 1개의 주빔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b)에서는 송신 안테나의 수가 16개이며, 3개의 주빔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었다. 상기 주빔의 형성 방법은 컨벤셔널 빔 포밍(Conventional Beamforming)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충분한 깊이를 획득하기 위해서 해밍 윈도우(hamming window)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보완빔의 전력 준위는 -20dB 즉, 전체 송신 전력의 1%(

Figure 112006049112445-pat00044
= 0.01)로 가정하였다. In FIG. 5A,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is four and one main beam is formed. In (b), the number of transmitting antennas is 16, and three main beams are formed. The main beam forming method uses a conventional beamforming method, and a hamming window is used to obtain a sufficient depth. And the power level of the complementary beam is -20dB, that is, 1% of the total transmit power (
Figure 112006049112445-pat00044
= 0.01).

상기 (a)에서 실선은 주빔과 보완빔의 전력 준위의 합으로 전체빔의 전력 준위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점선은 보완빔의 전력 준위를, 그리고 점실선은 주빔의 전력 준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빔에서 손실된 전력 준위는 보완빔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의 주빔과 비교하였을 때, 주빔의 형성 지역인 30도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In (a),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power level of the entire beam as the sum of the power levels of the main beam and the complementary beam. The dotted line indicates the power level of the complementary beam, and the dotted line indicates the power level of the main beam.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power level lost in the main beam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30 degrees, which is the formation area of the main beam, when compared with the main beam when no complementary beam is formed.

또한, 상기 주빔이 형성되는 지역에서는 보완빔에 의한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완빔을 형성하여 음영 지역의 단말기들은 보완빔의 전력을 감지하여 채널의 사용유무를 확인하고, 이로 인해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하지 않음으로서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nterference by the complementary beam does not occur in the region where the main beam is form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complementary beam, the terminals in the shaded area detect the power of the supplementary beam to confirm the use of the channel, and thus, the terminal does not attempt to transmit data,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상기 (b)에서는 송신 안테나의 개수를 16개를 사용하였으며, 3개의 주빔을 형성한 경우이다. 주빔의 각도는 -50도, 10도 그리고 50도이다. 이때 보완빔의 전력 준위는 상기 (a)에서와 같이 -20dB이다. 따라서, 주빔의 전력 손실은 보완빔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와 거의 차이가 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보완빔은 주빔 지역에서 보완빔에 의한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b), 16 transmission antennas are used and three main beams are formed. The main beam angles are -50 degrees, 10 degrees and 50 degrees. At this time, the power level of the complementary beam is -20dB as in (a).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ower loss of the main beam is hardly different from the case of not forming the complementary beam.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complementary beam does not generate interference by the supplementary beam in the main beam region.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주빔을 형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주빔과 직교하는 보완빔을 형성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음영지역을 제거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 여부를 단말기가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main beam is formed to form a complementary beam orthogonal to the main beam at an access point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r more terminals to remove the shadow area of the access point, thereby allowing the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the access point. It is possible to judge accurately.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본 발명은 주빔과 직 교성을 가짐으로 인해 주빔 지역을 제외한 지역에 전방향 방사 패턴을 갖는 보완빔을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음영 지역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지며,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충돌 또한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보완빔을 사용함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 전체 시스템 성능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complementary beam having an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n area excluding the main beam area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has orthogonality to the main bea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shadow area. In addition, the terminal has an advantage of no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for data transmission to the access point, and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llision at the access point. Thus, by using the complementary beam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verall system performan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17)

반송파 측정 다중접속 환경에서 배열 안테나를 구비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빔 형성 방법에 있어서,A beamforming method by an access point having an array antenna in a carrier measurement multiple access environment, 상기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주빔을 형성하는 과정과,Forming a main beam using the array antenna; 상기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주빔으로 인해 형성되는 음영지역 내의 단말기에 의해 신호의 수신이 감지될 정도의 전력으로 상기 주빔과 직교하면서 상기 음영지역에서 균일한 방사 형태를 갖도록 보완빔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빔 형성 방법.Forming a complementary beam using the array antenna so as to have a uniform radiation shape in the shaded area while being orthogonal to the main beam at a power sufficient to detect the reception of a signal by a terminal in the shaded area formed by the main beam; Beam forming method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에 의해 신호의 수신이 감지될 정도의 전력은, 상기 단말기가 수신 잡음 신호의 전력 준위보다 높은 전력 준위에 의해 상기 보완빔을 수신할 수 있을 정도의 전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성 방법.The power to the extent that the reception of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terminal is a power enough to the terminal to receive the complementary beam at a power level higher than the power level of the received noise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빔은 제 1 가중치 벡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 1 가중치 벡터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배열 안테나를 이용해 형성되며,The main beam is formed using the array antenna to obtain a first weight vector and transmit data by applying the obtained first weight vector, 상기 보완빔은 상기 제 1 가중치 벡터와 직교하도록 생성한 제 2 가중치 벡터를 적용하여 임의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배열 안테나를 이용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성 방법.The complementary beam is formed using the array antenna to transmit an arbitrary signal by applying a second weight vector generated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weight vecto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2 가중치 벡터는 그람-슈미츠 직교화 (Gram-Schmidt orthogonalization) 기법을 사용하여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성 방법.And the second weight vector is generated using a Gram-Schmidt orthogonalization technique. 제 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제 2 가중치 벡터는 하기 수학식에 의해 획득한 직교 벡터들을 사용하여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성 방법.The second weight vector is generated using the orthogonal vector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2066127470-pat00045
Figure 112012066127470-pat00045
Figure 112012066127470-pat00046
는 N x 1 크기의 선형독립벡터이고,
Figure 112012066127470-pat00047
는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N x 1 크기의 직교 벡터임.
Figure 112012066127470-pat00046
Is a linear independent vector of size N x 1,
Figure 112012066127470-pat00047
Is an orthogonal vector of size N x 1 that is generated sequential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반송파 측정 다중접속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구비된 빔 형성(beam-forming) 장치에 있어서,A beam-forming apparatus provided in an access poi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a carrier measurement multiple access environment, 주빔을 위한 제1가중치 벡터와, 보완빔을 위한 제2가중치 벡터를 생성하는 가중치 벡터 처리부와,A weight vector processor for generating a first weight vector for the main beam and a second weight vector for the complement beam; 상기 주빔을 위한 전력을 할당하고, 상기 주빔으로 인해 형성되는 음영지역 내의 단말기에 의해 신호의 수신이 감지될 정도의 전력을 상기 보완빔을 위해 할당하는 전력 할당부와,A power allocator for allocating power for the main beam and allocating power for the complementary beam to the extent that the reception of a signal is detected by a terminal in a shadow area formed by the main beam; 상기 배열 안테나 및 상기 주빔을 위해 생성한 제1가중치 벡터와 상기 주빔을 위해 할당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주빔을 형성하고, 상기 배열 안테나 및 상기 보완빔을 위해 생성한 제2가중치 벡터와 상기 보완빔을 위해 할당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주빔과 직교하면서 상기 음영지역에서 균일한 방사 형태를 갖도록 상기 보완빔을 형성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빔 형성 장치.The main beam is formed using the first weight vector generated for the array antenna and the main beam and the power allocated for the main beam, and the second weight vector and the supplementary beam generated for the array antenna and the supplemental beam. And a transmitter configured to form the complementary beam to have a uniform radiation shape in the shaded area while being orthogonal to the main beam by using the power allocated for the beamforming apparatus.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단말기에 의해 신호의 수신이 감지될 정도의 전력은, 상기 단말기가 수신 잡음 신호의 전력 준위보다 높은 전력 준위에 의해 상기 보완빔을 수신할 수 있을 정도의 전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성 장치.The power to the extent that the reception of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terminal is a power to the extent that the terminal can receive the complementary beam at a power level higher than the power level of the received noise sig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ransmitting unit, 상기 주빔은 제 1 가중치 벡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 1 가중치 벡터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배열 안테나를 이용해 형성되며,The main beam is formed using the array antenna to obtain a first weight vector and transmit data by applying the obtained first weight vector, 상기 보완빔은 상기 제 1 가중치 벡터와 직교하도록 생성한 제 2 가중치 벡터를 적용하여 임의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배열 안테나를 이용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성 방법.The complementary beam is formed using the array antenna to transmit an arbitrary signal by applying a second weight vector generated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weight vector.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가중치 벡터 처리부는 그람-슈미츠 직교화(Gram-Schmidt orthogonalization)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가중치 벡터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성 장치.And the weight vector processing unit generates the second weight vector using a Gram-Schmidt orthogonalization technique.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가중치 벡터 처리부는 하기 수학식에 의해 획득한 직교 벡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가중치 벡터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빔 형성 장치.And the weight vector processing unit generates the second weight vector using orthogonal vector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2066127470-pat00048
Figure 112012066127470-pat00048
Figure 112012066127470-pat00049
는 N x 1 크기의 선형독립벡터이고,
Figure 112012066127470-pat00050
는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N x 1 크기의 직교 벡터임.
Figure 112012066127470-pat00049
Is a linear independent vector of size N x 1,
Figure 112012066127470-pat00050
Is an orthogonal vector of size N x 1 that is generated sequential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064327A 2006-07-10 2006-07-10 Apparatus and method for bema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2373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327A KR101237384B1 (en) 2006-07-10 2006-07-10 Apparatus and method for bema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327A KR101237384B1 (en) 2006-07-10 2006-07-10 Apparatus and method for bema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685A KR20080005685A (en) 2008-01-15
KR101237384B1 true KR101237384B1 (en) 2013-02-26

Family

ID=3921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327A KR101237384B1 (en) 2006-07-10 2006-07-10 Apparatus and method for bema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38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917A2 (en) * 2009-05-29 2010-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using spatial silencing
US11791871B2 (en) * 2020-12-21 2023-10-17 Nvidia Corporation Parallel precoding for downlink transmis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965A (en) * 2000-07-04 2003-01-23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Beam forming method
KR20030075883A (en) * 2002-03-21 200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sed -Loop Signal Processing Method of Multi Input, Multi Output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98676A (en) * 2003-05-15 200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sing transmit diversity scheme with multiple antenn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965A (en) * 2000-07-04 2003-01-23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Beam forming method
KR20030075883A (en) * 2002-03-21 200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sed -Loop Signal Processing Method of Multi Input, Multi Output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98676A (en) * 2003-05-15 200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sing transmit diversity scheme with multiple antenn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ang-Seok Choi 외 2명, "Complementary Beamforming: New Approaches",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VOL. 54, NO. 1, 2006년 1월. *
Yang-Seok Choi 외 2명, "Complementary Beamforming: New Approaches",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VOL. 54, NO. 1, 2006년 1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685A (en) 200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1748B2 (en) Methods and system for LBT threshold setting for directional reception and transmission
RU2390934C2 (en) Control of radiated power for multi-antenna transmission
US10972172B2 (en) Method for fast beam sweeping and device discovery in 5G millimeter wave and upper centimeter-wave systems
US10794984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stimating direction of arrival of a signal incident on at least one antenna array
RU2662450C1 (en) Effective scanning of beam for high-frequency wireless networks
EP2559168B1 (en) Omni-directional sensing of radio spectra
US7800552B2 (en) Antenna apparatus f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
Haneda et al. Indoor short-range radio propagation measurements at 60 and 70 GHz
KR1017720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beam-link construction schem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70139583A (en) Control Channel Design for Multiple Antenna MU-MIMO Systems
US10833736B2 (en) Hybrid beamforming method for beam-based cooperative transmiss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0320461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stimating direction of arrival of a signal incident on at least one antenna array
CN112956138A (en) Wireless relay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124071A1 (en) Dual-stream beamforming method and device
WO2016129728A1 (en) Method and devices for ray-scanning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illimeter waves
KR20190101381A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radio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using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CN110692204A (en) Angle of arrival estim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Mudonhi et al. Indoor mmWave channel characterization with large virtual antenna arrays
Kim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directional CSMA/CA for IEEE 802.15. 3c under saturation environments
CN109842890A (en) Signal measurement method, relevant apparatus and system
KR1012373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ma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appaport 5G millimeter wave wireless: Trials, testimonies, and target rollouts
JP4704375B2 (en)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13748609A (en) Beam selection system and method
Al Hajj Radio frequency exposure analysis in 5G massive MIMO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