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286B1 - Operating test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out electric power interruption - Google Patents

Operating test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out electric power interrup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286B1
KR101237286B1 KR1020110114938A KR20110114938A KR101237286B1 KR 101237286 B1 KR101237286 B1 KR 101237286B1 KR 1020110114938 A KR1020110114938 A KR 1020110114938A KR 20110114938 A KR20110114938 A KR 20110114938A KR 101237286 B1 KR101237286 B1 KR 101237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witch
signal
emergency pow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9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명제
Original Assignee
진명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명제 filed Critical 진명제
Priority to KR1020110114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2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2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n operating test apparatus for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transfer switch is provided to prevent a blackout occurrence even in an emergency power supply test. CONSTITUTION: An operating test apparatus for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transfer switch(100) includes an operating test starting part(110), a control interrupting part(120), a test state selecting part(130), an operating signal generating part(160), and an emergency power displaying part(170). The operating test starting part generates a starting signal of an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ng test by the virtual switching of the automatic transfer switch. The control interrupting part blocks a control signal for a switching conversion applied to the automatic transfer switch when a starting signal is generated in the operating test starting part. If a control signal for a switching conversion inputted into the automatic transfer switch by a control interrupting part is interrupted, the test state selecting part generates a virtual blackout generation signal or a common power supply state signal. If the virtual blackout generation signal is inputted by the test state selecting part, the operating signal generating part transfers an operating signal to an emergency power generating part. The emergency power displaying part displays the normal supply of emergency power by operating the emergency power generating part by the operating signal of an operation signal generating part. [Reference numerals] (110) Operating test starting part; (120) ATS control interrupting part; (130) Test state selecting part; (140) Power failure lamp; (150) Power transmission lamp; (160) Emergency power generator operating signal generating part; (170) Emergency power displaying part; (180) Power transmission displaying part; (191) Timer; (192) Warning part

Description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Operating test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out electric power interruption}Operating test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out electric power interruption}

본 발명은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용전원을 부하에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동절환스위치의 가상 스위칭 동작에 따른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변전실 관리자가 항시 실시할 수 있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he substation manager can always perform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according to the virtual switch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in the state of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loa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안전회로를 추가하여, 상기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실시한 후 선택 스위치를 테스트에서 정상(NORMAL)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설정된 시간이 경과 후 경고를 함으로써, 실제 정전 발생시 자동절환스위치가 정상 동작하여 부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고 유사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safety circuit, after performing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if the selection switch does not switch from the test to normal (NORMAL) by warning after the set time elapsed,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is normal when the actual power failure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changeover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that operates to supply emergency power to a load and to prepare for a emergency.

자동절환스위치(ATS: Automatic Transfer Switch)(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전력공급회사(예: 한국전력)(K)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아파트, 공장, 병원, 사무실 및 주요 통신설비 등과 같은 부하(L)에 공급하고, 정전시에는 발전기 등 비상전력발생기(K)로부터 공급되는 비상전원을 부하(L)에 공급하도록 스위칭 절환하는 것이다.Automatic Transfer Switch (ATS) 10, as shown in Figure 1 is usually used for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company (for example, KEPCO) (K) apartments, factories, hospitals, offices and major It is supplied to a load (L) such as a communication facility, and switching switching to supply the emergency power supplied from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K) such as a generator to the load (L) during a power failure.

이러한 자동절환스위치(10)는 정전시 관리자가 수동으로 스위칭 절환시키는 수동식과, 정전시 일정 시간 내에 자동으로 스위칭 절환되는 자동식 및 상기 수동식과 자동식을 겸비한 수동-자동식 등 다양한 타입이 있으며, 또한 스위칭 절환용 전원도 교류 전원(AC)을 위한 것과 직류 전원(DC)을 위한 것이 있다.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has a variety of types, such as the manual switch for manual switching by the administrator in the event of power failure, the automatic switch switching automatical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power outage, and the manual-auto combined with the manual and automatic, and also switching switching There is also a power supply for the AC power supply (AC) and DC power supply (DC).

자동절환스위치(10)는 도 2에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반에 시설된 제어회로(20)를 통해 제어되는데, 자동절환스위치(10)는 보통 완제품의 상태로 상용으로 공급되고, 배선반에 시설된 제어회로(20)는 현장에서 작업자가 설치부하에 맞게 시공한다.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is controlled through a control circuit 20 installed in the wiring board as shown in FIG. 2 as an example.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is usually supplied commercially in a state of a finished product, and installed in the wiring board. The control circuit 20 is constructed by the operator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load.

도 2에서 자동절환스위치(10)의 A1 단자 및 A2 단자에는 상용전원 라인측으로 스위칭 절환되게 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고, B1 단자 및 B2 단자는 정전시 비상전원 라인 측으로 스위칭 절환되게 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된다. In FIG. 2,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switching to the commercial power line side is input to the A1 terminal and the A2 terminal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and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switching switch to the emergency power line side in case of power failure is input to the B1 terminal and the B2 terminal. do.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회로(20)가 상용전원 공급 라인과 비상전원 공급 라인의 전력 공급 상태를 감시한 결과에 따라 제공되며, 보통은 상기 공급 라인에 흐르는 전력 자체를 제어신호로 사용한다.
The control signal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monitoring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line and the emergency power supply line by the control circuit 20. Usually, the power flowing through the supply line itself is used as the control signal.

또한, 자동절환스위치(10)는 도 3에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부(10a) 및 전력 단자부(10b)로 이루어지는데, 컨트롤부(10a)는 전력 단자부(10b)에 구비된 절환 스위치(S)를 스위칭시키고, 전력 단자부(10b)는 상용전원 라인(한국전력측)과 비상전원 라인(발전기측)에 직접 연결되며 스위칭 절환을 통해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부하(L)로 공급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10a and a power terminal unit 10b as shown in FIG. 3 as an example, and the control unit 10a includes a changeover switch provided in the power terminal unit 10b. S) is switched, and the power terminal unit 10b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line (Korea Electric Power side) and the emergency power line (generator side) and supplies commercial power or emergency power to the load L through switching switching.

컨트롤부(10a)는 자동절환스위치(10)의 A1 단자 및 A2 단자를 통해 제어신호가 들어오면 절환 스위치(S)가 상용전원 라인 측으로 스위칭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B1 단자 및 B2 단자를 통해 제어신호가 들어오면 절환 스위치(S)가 비상전원 라인 측으로 스위칭 절환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0a controls the switching switch S to be switched to the commercial power supply line when the control signal comes through the A1 terminal and the A2 terminal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and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B1 terminal and the B2 terminal. When the control switch so that the switching switch (S) is switched to the emergency power line side.

전력 단자부(10b)의 a1 내지 a4와, b1 내지 b4 단자는 각각 상용전원 보조 스위치와 비상전원 보조 스위치(Aux Switch)를 나타내고, 'A'-Power Source와 'B'-Power Source는 전력 단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 R, S, T 상 전력선이 연결되며, 'A'-Power Source와 'B'-Power Source는 절환 스위치에 의해 부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A1 to a4 and b1 to b4 terminals of the power terminal unit 10b represent a commercial power auxiliary switch and an emergency power auxiliary switch, respectively, and an 'A'-Power Source and a'B'-Power Source represent power terminals. As shown, the R, S, and T phase power lines are connected respectively, and the 'A'-Power Source and the'B'-Power Source ar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load by a changeover switch.

이상과 같이 자동절환스위치(10)는 상용전원 라인을 통한 전원의 공급 여부가 상태정보로 활용되어 상용전원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정상 상태인지(상용전원 공급) 혹은 정전 상태(상용전원 공급 중단)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ther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commercial power line is used as status information, depending on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commercial power supply line (commercial power supply) or a power failure stat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mmercial power supply is interrupted.

따라서, 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컨트롤부(10a)에서 부하에 상용전원이 공급되도록 절환 스위치(S)를 조절하고, 정전 상태인 경우에는 발전기가 작동되어 비상전원의 공급이 시작된 후 컨트롤부(10a)에서 부하에 비상전원이 공급되도록 절환 스위치(S)를 조절한다.
Therefore, in the normal state, the control unit 10a adjusts the selector switch S so that the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and in the case of a power failure state, the generator is operated to start supplying emergency power and then the control unit 10a. Adjust the selector switch (S) so that emergency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한편, 이상과 같은 자동절환스위치(10)는 대용량 부하를 위한 발전기(G)나 소용량 부하를 위한 충전 배터리(미도시)와 같은 비상전력발생기 측으로 스위칭 절환되어 조속히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비상전력발생기가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는지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switched to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side such as a generator (G) for a large load or a rechargeable battery (not shown) for a small load should be able to supply emergency power as soon as possi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whether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is prepared to supply emergency power.

이는, 정전 시 발전기(G) 등이 자동으로 가동되지 않거나, 자동절환스위치(10)가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절환되지 않거나, 혹은 정전이 복구된 후 자동절환스위치(10)가 다시 상용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절환되지 않으면 정전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generator (G) is not automatically operated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or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is not switched to supply emergency power, or after the power failure is restored,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resets the commercial power again. This is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adequately cope with the power failure unless it is switched to supply.

전기 사업법에 의하면 학교나 공장 등은 한국 전기 안정공사의 관리하에 3년을 주기로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실시하고, 업무용이나 상업용 건물 등에 대해서는 2년을 주기로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Electricity Business Act, schools and factories are to conduct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s every three years under the control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and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s every two years for commercial and commercial buildings.

그러나, 실제로 2~3년에 한 번씩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실시해 보면, 장시간 미사용, 발전기의 점검이나 유지보수 미비 및 제어회로(20)의 이상 발생 등의 이유로 대부분의 경우 시험에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when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is actually performed every two to three years, in most cases, the test fails to pass due to long periods of inactivity, insufficient inspection or maintenance of the generator, and abnormality of the control circuit 20. It is true.

따라서, 시험의 불합격에 따른 각종 행정상 불이익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정전시 비상전원을 공급하지 못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끼치게 된다. 특히, 고층 아파트의 경우는 승강기 미가동으로 인한 주민불편이 발생하고, 병원에서는 환자의 건강을 위협하며, 통신장비의 경우에는 통신장애를 발생시키는 등 위험 발생으로 직결되기도 한다.Therefore, even if the administrative disadvantages due to the failure of the test, apart from the emergency power supply in case of power failure, the user is inconvenient. In particular, in case of high-rise apartments, residents' discomfort occurs due to the inability to operate elevators, hospitals threaten the health of patients, and communication equipment may directly lead to risks such as communication failures.

이에, 등록실용신안 제454645호 '전원의 자동 절체 시스템'에서는 설정 시간이 되면 자동절환스위치가 발전기측으로 자동으로 스위칭 절환되면서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실시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자동절환스위치를 실제로 스위칭 절환시키는 방식이었다.Accordingly,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54645, '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Power', proposes a technology for conducting an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by automatically switching and switching the generator to the generator side when a set time is reached. It was a way of actually switching the switching switch.

따라서,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중에 시험을 실시하면 안정적인 주파수 및 크기의 비상전원이 공급되기까지 일시적인 정전이 필연적으로 발생함은 물론 비상전원 공급 시험을 마친 후 다시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스위칭 절환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역시 일시적인 정전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f the test is performed while commercial power is being supplied, a temporary power failure will inevitably occur until the emergency power of stable frequency and size is supplied, and the switching switching is performed to supply commercial power again after completing the emergency power supply test. Even when performing, there was a problem that a temporary power failure occurred.

또한, 비상전원 공급 시험을 위해 발전기 측으로 스위칭 절환을 시켜놓고 실수로 장시간 방치하면 계속해서 비상전원발생기가 작동하는 문제점이 있고, 비상전원발생기를 가동시키는 에너지원(석유 등 연료)이 바닥난 경우에는 비상전원 마저도 공급이 중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continues to operate if the switch is switched to the generator side for emergency power supply test and left for a long time by mistake, and when the energy source (petroleum or other fuel) that starts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runs out. There was a problem that even the emergency power supply is stopp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상용전원을 부하에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동절환스위치의 가상 스위칭 동작에 따른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변전실 관리자가 항시 실시할 수 있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manager can always perform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according to the virtual switch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in the state of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load An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안전회로를 추가하여, 상기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실시한 후 선택 스위치를 테스트에서 정상(NORMAL)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설정된 시간이 경과 후 경고를 함으로써, 실제 정전 발생시 자동절환스위치가 정상 동작하여 부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고 유사시에 대비할 수 있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safety circuit, after performing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if the selection switch does not switch from the test to normal (NORMAL) by warning after the set time elapsed,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is normal when the actual power failure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that can supply emergency power to a load and be prepared in case of emergency.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는, 자동절환스위치의 가상 스위칭에 의한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이 시작되도록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시험 개시부와; 상기 동작시험 개시부에서 시작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자동절환스위치로 인가되는 스위칭 절환용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제어 차단부와; 상기 제어 차단부에 의해 상기 자동절환스위치에 입력되는 스위칭 절환용 제어신호가 차단되면, 선택에 의해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 또는 상용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험상태 선택부와; 상기 시험 상태 선택부에 의해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가 입력되면, 비상전력발생기로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동작신호 발생부; 및 상기 동작신호 발생부의 동작신호에 의해 상기 비상전력발생기가 작동하여 비상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비상전원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test initiation unit for generating a start signal to start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by virtual switching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A control cutoff unit which cuts off a switching switching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when a start signal is generated at the operation test start unit; A test state selector configured to generate a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or a commercial power supply state signal by selection when the control switch for switching switching inputted to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is blocked by the control switch; An operation signal generator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an emergency power generator when a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is input by the test state selector; And an emergency power display unit which displays whether emergency power is normally supplied by operating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by an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이때, 상기 동작시험 개시부는,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턴-온(turn-on) 되거나 혹은 설정된 시간마다 자동으로 턴-온 되어 상기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위한 회로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테스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test initiation unit is turned on manually by the administrator (turn-on) or automatically turn on every set time test switch for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to the circuit for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상기 제어 차단부는, 상기 동작시험 개시부에 의해 작동(여자)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자동절환스위치에 스위칭 절환용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 신호 입력 단자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릴레이가 작동되면 턴-오프(turn-off) 되는 제1 릴레이용 b접점을 포함하여, 상기 자동절환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른 전원공급 동작 시험시, 상기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상기 스위칭 절환용 제어신호가 인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상용전원 공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interrup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lay operated (excited) by the operation test start unit; And a contact point b for a first relay connected in series with a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a switching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and being turned off when the first relay is operated. Thus, during the power supply operation test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rent commercial power supply state is maintained by not applying the switching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

또한, 상기 시험상태 선택부는, 누름 동작시 턴-오프 되는 b접점의 송전 스위치와; 상기 송전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며 누름 동작시 턴-온 되는 a접점의 정전 스위치; 및 상기 정전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된 제2 릴레이;를 포함하여, 상기 정전 스위치를 누르면 회로가 도통되어 상기 제2 릴레이가 작동(여자)되면서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송전 스위치를 누르면 회로가 차단되어 상기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가 중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st state selector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switch of a contact b that is turned off during a push operation; A blackout switch of a contact which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power transmission switch and is turned on during a push operation; And a second relay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electrostatic switch; and, when the electrostatic switch is pressed, a circuit is conducted so that the second relay is activated (excited) to generate a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and when the power switch is pressed Preferably, the circuit is interrupted to stop the virtual power outage occurrence signal.

또한, 상기 동작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2 릴레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상전력발생기를 동작시키는 비상전력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lay in paralle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mergency power supply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when the virtual power outage occurrence signal is input.

또한, 상기 비상전원 표시부는, 상기 동작신호 발생부에서 상기 비상전력발생기로 동작신호를 전달하면 턴-온되는 제2 릴레이용 제2 a접점과; 상기 제2 릴레이용 제2 a접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비상전력발생기가 작동하여 비상전원을 공급하면 턴-온되는 제3 a접점; 및 상기 제3 a접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비상전원이 공급중임을 표시하는 발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mergency power display may include: a second a contact for a second relay turned on when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to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A third a contact connected in series to the second a contact for the second relay and turned on when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operates to supply emergency power; And a power generation display connected to the third a contact in series and indicating that the emergency power is being supplied.

또한, 상기 동작시험 개시부와, 제어 차단부와, 시험상태 선택부와, 동작신호 발생부 및 비상전원 표시부는 상기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력회사의 전력라인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test start unit, the control interrupter, the test state selection unit,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and the emergency power display unit is preferably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line of the power company supplying the commercial power. .

또한, 상기 동작시험 개시부가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면 시간 측정을 시작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를 참조하여 설정된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 시간이 경과되면 시험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알리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test start unit generates a start signal,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timer for starting the time measurement and a warning unit notifying that the test time has elapsed when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time set with reference to the timer has elaps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에 의하면, 상용전원을 부하에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동절환스위치의 가상 스위칭 동작에 따른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전원 공급 시험시에도 정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according to the virtual switch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can be performed in the state of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load, the emergency power supply It shall be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ower failure during the test.

또한, 본 발명은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실시한 후 선택 스위치를 테스트에서 정상(NORMAL)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설정 시간 경과 후 경고를 함으로써, 실제 정전 상태에 대비할 수 있음은 물론, 자동절환스위치 시험 상태가 장시간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rns that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if the selection switch is not changed from the test to normal (NORMAL) after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the actual power failure state, as well as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test state Prevents it from being left for a long time.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절환스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자동절환스위치와 배선반에 시설된 제어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자동절환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와 배선반에 시설된 제어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의 자동절환스위치 측 연결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를 포함한 제어반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도 5와 도 6을 합성하여 표준화한 자동절환스위치의 제어반과 시험장치 조작반을 나타낸 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general automatic switching switch.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trol circuit installed in a general automatic switching switch and a wiring board.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general automatic switching switch.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circuit installed in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and a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diagram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side of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ontrol panel including an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panel and a test apparatus operating panel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standardized by combining FIGS. 5 and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 이하에서 상용전원은 한국전력에서 공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비상전원은 비상전력발생기의 일 예인 발전기에서 공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However, hereinafter, the commercial power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supplying from KEPCO, and the emergency power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supplying from a generator which is an example of an emergency power generator.

그러나, 상용전원은 사업자가 바뀐다면 한국전력 이외에 다른 곳에서도 제공할 수 있는 것이고, 비상전원은 소용량의 부하라면 충전 배터리에서도 공급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에 적용됨은 자명할 것이다.
However, the commercial power can be provided elsewhere in addition to KEPCO if the operator changes, since the emergency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if the load of a small capacity, it will be apparent that this case is also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는 한국전력 측으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도 자동절환스위치(ATS: Automatic Transfer Switch)의 가상의 스위칭 동작에 따른 비상전원 공급 동작을 시험할 수 있도록 한다.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ests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switch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transfer switch (ATS) while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commercial power is being supplied from KEPCO. Do it.

또한, 실제로는 상용전원이 계속해서 공급되고 있지만 상기 시험에 의한 비상전원 공급을 중단한 이후에는 상용전원으로 절환되기 위한 제반 동작들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도 시험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practice, the commercial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but after stopping the emergency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test, it is also possible to test whether all operations for switching to the commercial power are normally performed.

즉, 자동절환스위치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한국전력 측에 연결되어 상용전원이 부하에 공급되도록 하고, 정전시 비상전력발생기(이하, '발전기'라 함)가 동작하면 발전기 측에 연결되어 비상전원이 부하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정전에 따른 불편함이나 각종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Korea Electric Power side as described in FIG. 1 so that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and when an emergency power gener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enerator") operates during power failure, it is connected to the generator side. By supplying the emergency power to the load, it prevents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power failure or various safety accidents.

따라서, 정전시에는 발전기가 자동으로 가동되고, 발전기가 가동되면 비상전원이 부하로 공급되도록 스위칭 절환되며, 정전이 복구된 후에는 다시 상용전원이 공급되는데 필요한 제반 동작들이 수행되지 등의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하는데, 본 발명은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시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generator automatically operates during a power outage, when the generator is operated, the switching is switched so that the emergency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and after the power failure is restored, all the operations necessary for supplying the commercial power are again performed. The operation tes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test can be carried out in the state that the commercial power supply.

다만,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완제품의 상태로 공급되는 자동절환스위치와는 별개의 독립적인 장치로서 상기 자동절환스위치의 일측에 노출된 제어회로(도 1의 20 참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대한 제어반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8은 동작시험 컨트롤러만을 포함한 제어반을 나타낸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device independent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supplied in the state of the finished product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see 20 in FIG. 1) exposed to one side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The control panel for this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8, which shows the control panel including only the operation test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은 자동절환스위치 내부에 본 발명의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시험장치 일체형의 개선된 자동절환스위치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대한 제어반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9는 동작시험 컨트롤러 이외에 스위칭 절환 제어부도 포함한 제어반을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an improved automatic switching switch of the test apparatus integrated by being provided with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lly inside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The control panel for this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9, which shows a control panel including a switching switching control unit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test controller.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100)는 동작시험 개시부(110)와, 제어 차단부(120)와, 시험상태 선택부(130)와, 동작신호 발생부(160) 및 비상전원 표시부(170)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정전 선택 램프(140)와, 송전 선택 램프(150)와, 송전 표시부(180)와, 타이머(191) 및 경고부(19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peration test start unit 110, the control breaker 120, the test state selection unit 130 and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160 and the emergency power display unit 170 are included. If necessar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failure selection lamp 140, a power transmission selection lamp 150, a power transmission display unit 180, a timer 191, and a warning unit 192.

여기서, 동작시험 개시부(110)는 자동절환스위치(10)의 가상 스위칭에 의한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이 시작되도록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변전실 관리자나 전기 안전 관리업체(이하, '관리자'라 함)에서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선택하면 상기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위한 회로에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따라서,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시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Here, the operation test initiation unit 110 generates a start signal to start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by the virtual switching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substation room manager or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company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nager" If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is selected, power is supplied to the circuit for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Thus,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can be started.

제어 차단부(120)는 상기 동작시험 개시부(110)에서 시작 신호가 발생되면, 자동절환스위치(10)로 인가되는 스위칭 절환용 제어신호를 차단한다. 따라서,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이 시작되더라도 자동절환스위치(10)는 이전의 동작을 계속 유지하므로 종전과 동일하게 상용전원을 부하에 계속해서 공급한다.
When the start signal is generated in the operation test initiation unit 110, the control cutoff unit 120 cuts off the switching switching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Therefore, even when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is started,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maintains the previous operation, and thus continues to supply commercial power to the load as before.

시험상태 선택부(130)는 자동절환스위치(10)에 입력되는 스위칭 절환용 제어신호가 차단된 후 관리자가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선택하면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발전기가 작동되도록 한다. The test state selecting unit 130 generates a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when the administrator selects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after the switching switching control signal input to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is cut off so that the generator is operated. .

반면,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의 중단을 선택하면 상용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발생시켜 발전기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On the other hand, if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is selected to stop, it generates a commercial power supply status signal to stop the generator operation.

이러한 시험상태 선택부(130)는 제어반(도 8 또는 도 9 참조)에 구비된 선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est state select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as a selection switch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see FIG. 8 or FIG. 9).

동작신호 발생부(160)는 시험상태 선택부(130)에 의해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가 입력되면, 발전기(도 1의 'G' 참조)에 동작신호를 전달하여 발전기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비상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160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generator (see 'G' in FIG. 1) when the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is input by the test state selector 130 to operate the generator. To be supplied.

다만, 실제로는 정전이 발생한 것이 아니어서 한국전력(도 1의 'K' 참조) 측으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과전류 등을 방지하기 위해 발전기에서 추가로 공급된 비상전원은 부하(도 1의 'L' 참조)에 공급되지 않고 접지를 통해 방출된다. However, since a power failure does not actually occur, commercial power is being supplied from KEPCO (see 'K' in FIG. 1), so that emergency power additionally supplied from the generator to prevent overcurrent, etc. It is not supplied to the 'L' in this way but is emitted through the ground.

또한, 동작신호 발생부(160)가 발전기를 가동시키는 방식도 당해 동작신호 발생부(160)에서 제공하는 동작신호로 직접 발전기를 가동시키는 방식이나, 발전기 제어부에 동작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제어부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동시키는 방식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generator by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160 is also indirectly operated by the controller by directly operating the generator with the operation signal provided by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160 or by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to the generator controller. Either way can be used.

비상전원 표시부(170)는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시 발전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발전된 비상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동작신호 발생부(160)의 동작신호에 의해 발전기가 작동하여 비상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스피커를 통한 음성 확인이나 발광 램프를 통한 확인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원격의 관리자에게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알릴 수도 있다.
The emergency power display unit 170 allows the manager to check whether the generator is normally operated and the generated emergency power is being supplied during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The generator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160 to provide an emergency. When power is normally supplied, a voice confirmation through a speaker or a confirmation method through a light emitting lamp may be used. Of course,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t can also be informed to the remote manager in a data communication method.

정전 선택 램프(140)와 송전 선택 램프(150)는 상기 시험상태 선택부(130)를 통해 관리자 선택한 시험 사항을 표시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정전을 가상하여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선택하면 정전 선택 램프(140)가 발광되고, 상용전원 공급상태를 선택하면 송전 선택 램프(150)가 발광된다.
The power failure selection lamp 140 and the power transmission selection lamp 150 display the test items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test state selection unit 13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em. When the power failure selection lamp 140 emits light, whe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state is selected, the power transmission selection lamp 150 emits light.

송전 표시부(180)는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 중에는 꺼져 있다가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마친 후에는 다시 켜지는 것으로서, 발전기로부터 비상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한국전력으로부터 상용전원만 공급되는 경우를 표시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display unit 180 is turned off during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and then turned on again after completing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and indicates that only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from KEPCO without emergency power supplied from the generator.

타이머(191) 및 경고부(192)는 비상전원 공급 시험이 시작된 후 실수 등으로 방치해 둠으로써 발전기가 장시간 가동하여 연료나 발전된 전력이 낭비되거나, 연료가 바닥나서 발전기가 고장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The timer 191 and the warning unit 192 are left inadvertently after the emergency power supply test is started, such that the generator is operated for a long time and wastes fuel or generated power, or the fuel runs out, causing the generator to fail. It is to solve.

즉, 자동절환스위치 시험을 실시한 후 방치하여 스위치를 테스트에서 노말(NORMAL)로 원위치시키기 않을 경우 경고를 발생하여 실제 정전 발생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In other words, if the switch is left unattended after the automatic transfer switch test, a warning is generated when the switch is not returned to the normal position in the test so that a problem does not occur when an actual power failure occurs.

이를 위해, 동작시험 개시부(110)가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면 타이머(191)에서 시간을 측정하고, 경고부(192)는 타이머(191)를 참조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알려 관리자가 시험을 종료시킬 수 있게 한다.
To this end, when the operation test initiation unit 110 generates a start signal, the time is measured by the timer 191, and the warning unit 192 refers to the timer 191 when an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time is elapsed. Notify that this has passed and allow the administrator to terminate the tes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를 시퀀스 회로(sequence)를 이용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using a sequence circuit.

다만, 본 발명의 시퀀스 회로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를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선택된 일 예에 해당하는 것이다.However, the sequenc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n example selected to implement a simple and efficient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따라서,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시퀀스 회로는 매우 다양하므로 이러한 시퀀스 회로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할 것이다.
Therefore, as known in the art, sequence circuits capable of performing an operation are so diverse that it will be apparent that such sequence circuits als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퀀스 회로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퀀스 회로를 포함하고, 도 5와 도 6의 시퀀스 회로는 아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로 연동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절환장치(10)에 연결하여 바로 사용된다.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quence circuit as shown in FIG. 5 and a sequence circuit as shown in FIG. 6, and the sequence circuits of FIGS. 5 and 6 are further described below.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in Figure 7 is used directly connected to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

다만, 도 5에 도시된 시퀀스 회로는 모두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시퀀스 회로이고, 도 6에 도시된 시퀀스 회로에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자동절환스위치(10) 및 상기 자동절환스위치(10)를 제어하는 공지의 제어회로(20)도 포함하고 있다. 자동절환스위치(10)와 제어회로(2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이미 설명한 바 있고, 이들은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However, all of the sequence circuits shown in FIG. 5 are sequence circui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quence circuit shown in FIG. 6 controls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and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 known control circuit 20 is also included.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and the control circuit 20 have alread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which are already known and used.

도 5와 도 6에서 'KR'과 'KT'는 한국전력 측 R 상 라인과 T 상 라인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고, 'GR'과 'GT'는 발전기측 R 상 라인과 T 상 라인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시퀀스 회로는 이들 라인 사이(R상과 T상 사이)에 배치된다.5 and 6, 'KR' and 'KT' represent KEPCO side R phase line and T phase line, respectively, and 'GR' and 'GT' represent generator side R phase line and T phase line, respectively. The sequenc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se lines (between R phase and T phase).

따라서,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100)는 한국전력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시험용 동작 전원으로 사용함을 알 수 있다.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receives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KEPCO and uses it as a test operation power.

물론, 한국전력으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는 대신 별도의 시험용 소형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하고 그 배터리의 (+) 단자와 (-) 단자 사이에 본 발명의 시퀀스 회로를 설치하여 시험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instead of receiving commercial power from KEPCO, a separate test small battery (not shown) may be provided, and the test may be performed by installing the sequenc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of the battery. There will be.

또한, 도 6과 같이 자동절환스위치(10)를 제어하는 제어회로(20)는 'KR'과 'KT' 라인 사이에 구비된 것과, 'GR'과 'GT' 라인 사이에 구비된 것이 있으며, 자동절환스위치(10)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중 A1과 A2는 'KR'과 'KT' 라인에 각각 연결되고, B1과 B2는 'GR'과 'GT'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control circuit 20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is provided between the 'KR' and 'KT' line, and is provided between the 'GR' and 'GT' line, Of the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s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A1 and A2 are connected to the 'KR' and 'KT' lines, respectively, and B1 and B2 are connected to the 'GR' and 'GT' lines, respectively.

이러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본 발명은 도 6에서 일 예로 도시한 제어회로(20) 이외에 다른 제어회로에도 적용가능하고, 자동절환스위치(10) 마다 공통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A1, A2, B1, B2 단자에 각각 본 발명의 시퀀스 회로를 연결하면 되므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자동절환스위치(10)의 타입(자동/수동/자동-수동/AC/DC)에도 제한은 없다.
Such a configuration is already know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other control circuits in addition to the control circuit 20 shown as an example in FIG. 6, and includes A1, A2, B1, Since the sequenc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each of the B2 terminals,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type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auto / manual / auto-manual / AC / DC)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한편, 도 5에서 전원 램프(power lamp)는 'KR' 라인과 'KT'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있어서 한국전력 측에서 공급하는 상용전원에 의해 점등이 되는데, 전원 램프는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100) 역시 전원을 공급받고 있다는 상태를 나타낸다.
On the other hand, the power lamp (power lamp) in Figure 5 is connected between the 'KR' line and the 'KT' line is turned on by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by KEPCO, the power lamp is supplied with commercial power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so shows a state that the power is being supplied.

'KR'과 'KT' 라인 사이에 연결된 테스트 스위치(TEST)는 상기 동작시험 개시부(11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턴-온(turn-on) 되거나 혹은 설정된 시간마다 자동으로 턴-온 되어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위한 회로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The test switch TEST connected between the 'KR' and 'KT' lines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operation test initiation unit 110, and is manually turned on by an administrator or at every set time. Automatic turn-on ensures that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o the circuit for emergency power-on operation testing.

관리자가 시험 시작을 위해 테스트 스위치(TEST)를 스위칭 온 시키면 제1 릴레이(R1)의 코일에 전류가 흘러 작동(여자, excited)되고, 제1 릴레이(R1)가 작동되면 제1 릴레이용 제1 a접점(R1-a1)이 턴-온 된다.When the administrator switches on the test switch TEST to start the test,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of the first relay R1 and is excited (excited), and when the first relay R1 is activated, the first relay for the first relay is operated. contacts a to R1 to a1 are turned on.

따라서, 제1 릴레이용 제1 a접점(R1-a1)의 후단(전원 공급방향의 후방)에 연결된 시험상태 선택부(130), 정전 선택 램프(140), 송전 선택 램프(150), 비상전원 표시부(170), 송전 표시부(180), 타이머(191) 및 경고부(192)는 물론, 도 6의 제어 차단부(120)가 각각 고유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원이 공급된다.
Therefore, the test state selection unit 130, the power failure selection lamp 140, the power transmission selection lamp 150, and the emergency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rear end (the rear of the power supply direction) of the first a contact R1-a1 for the first relay. The display unit 170, the power transmission display unit 180, the timer 191, and the warning unit 192, as well as the control block 120 of FIG. 6, are supplied with power so as to perform their own operations.

도 5와 같이 제1 릴레이(R1)는 테스트 스위치(TEST)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도 6과 같이 스위칭 절환용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자동절환스위치(10)의 A1 단자 및 A2 단자(한국전력 측)는 물론, B1 단자 및 B2 단자(발전기 측)에는 각각 제1 릴레이용 b접점(R1-b)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relay R1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test switch TEST, and the A1 terminal and the A2 terminal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receiving the switching switching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Side), of course, the first contact b contact R1-b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B1 terminal and the B2 terminal (generator side).

상기 제1 릴레이(R1)와 제1 릴레이용 b접점(R1-b)은 제어 차단부(120)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릴레이(R1)는 상기 테스트 스위치(TEST)에 의해 작동(여자)되고, 제1 릴레이용 b접점(R1-b)은 제1 릴레이(R1)에 의해 턴-온 된다.The first relay R1 and the b contact R1-b for the first relay serve as the control breaker 120, and the first relay R1 is operated by the test switch TEST (excitation). The first contact b contact R1-b is turned on by the first relay R1.

따라서, 관리자가 동작시험 개시부(110)를 조작하여 시험 시작을 설정하면 제1 릴레이용 b접점(R1-b)이 턴-오프(turn-off) 되면서 자동절환스위치(10)에 스위칭 절환용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위칭 절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종전과 상태를 유지하여 부하에 상용전원을 공급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administrator sets the test start by operating the operation test start unit 110, the first contact b for contact switching R1-b is turned off (turn-off) for switching switching to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Since the control signal is prevented from being input and the control signal is prevented from being input, switching switching is not performed. Thus, the conventional power supply is maintained to the load by maintaining the state as before.

즉, 도 6의 자동절환스위치(10)에는 도 3의 'A'-Power Source나 'B'-Power Source 전력 단자를 표시하지 않았으나, 실제로는 도 6의 자동절환스위치(10)에도 각각 R, S, T 상 전력선이 연결되는 'A'-Power Source나 'B'-Power Source 전력 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 'A'-Power Source 전력단자를 통해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있다.That is, although the 'A'-Power Source or' B'-Power Source power terminals of FIG. 3 are not shown in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of FIG. 6,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of FIG. 'A'-Power Source or' B'-Power Source power terminals to which the S and T phase power lines are connected are provided, and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A'-Power Source power terminals.

다만, 상기 제1 릴레이용 b접점(R1-b)은 A1 단자와 A2 단자 중 어느 한쪽에만 구비되어도 회로를 차단할 수 있고, 또한 B1 단자와 B2 단자 중 어느 한쪽에만 구비되어도 회로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제1 릴레이용 b접점(R1-b)를 A1 단자와 A2 단자에 모두 구비하거나 B1 단자와 B2 단자 모두에 구비할 필요는 없다.
However, since the first contact b for contact R1-b may block a circuit even if it is provided only at either one of the A1 terminal and the A2 terminal, and the circuit can be interrupted even if only the one of the B1 terminal and the B2 terminal is provide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first contact b contact R1-b at both the A1 and A2 terminals, or at both the B1 and B2 terminals.

'KR'과 'KT' 라인 사이에 구비된 b접점의 송전 스위치(송전SG)와, a접점의 정전 스위치(정전SG) 및 제2 릴레이(R2)는 시험상태 선택부(130)에 해당하는 것으로, b접점의 송전 스위치(송전SG)와, a접점의 정전 스위치(정전SG) 및 제2 릴레이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The transmission switch (power transmission SG) of contact b provided between the 'KR' and 'KT' lines, the electrostatic switch (electrostatic SG) of contact a, and the second relay R2 correspond to the test state selector 130. In this case, the power transmission switch (power transmission SG) of contact b, the electrostatic switch (electrostatic power SG) of contact a, and the second relay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따라서, 관리자가 시험시 정전 스위치(정전SG)를 누르면 턴-온 되어 회로가 도통되므로 제2 릴레이(R2)가 작동(여자) 되고, 그와 함께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가 발생되어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이 시작된다. Therefore, when the administrator presses the blackout switch (blackout SG) during the test, the circuit is turned on and the second relay R2 is activated (excited), and a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is generated with the emergency power supply. The operation test begins.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는 실제로는 정전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관리자의 시험 선택에 의해 발생되는 가상의 것으로 정전 스위치(정전SG)에 의해 회로가 도통되면서 발생하는 전류의 흐름 그 자체가 사용될 수 있다.The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is a virtual signal generated by the administrator's test selection even though the power failure does not actually occur, and the current flow itself generated when the circuit is conducted by the power failure switch (ESG) may be used.

반면,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마친 후에는 관리자 등이 b접점의 송전 스위치(송전SG)를 누르면 회로가 개방(즉, 차단)되므로 정전 사태 발생 신호는 중단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is completed, when the manager or the like presses the power transmission switch (power transmission SG) of contact b, the circuit is opened (that is, cut off), and thus the signal of occurrence of power failure is stopped.

제2 릴레이(R2)에는 비상전력공급 제어부(161)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데, 비상전력공급 제어부(161)는 동작신호 발생부(160)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동기하여 발전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The emergency power supply control unit 161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lay R2 in parallel, and the emergency power supply control unit 161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160, and the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is inputted. If so, the generator operates in synchronization with it.

비상전력공급 제어부(161)가 발전기를 제어하는 방식으로는 발전기에 가동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직접 구동시키는 방식이나, 발전기의 가동을 위해 종래부터 별도로 구비된 제어기에 가동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어기를 통해 간접 구동시키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emergency power supply control unit 161 controls the generator by directly driving the generator by providing an operation signal, or indirectly through the controller by providing an operation signal to a controller that is conventionally provided for operation of the generator. Driving manner may be used.

다만, 위에서는 a접점의 정전 스위치(정전SG)를 누르면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가 발생된다고 하였는데, 만약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를 직접 발전기에 제공한다면 이를 통해서도 발전기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비상전력공급 제어부(161)는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However, in the above, when the electrostatic switch (electrostatic SG) of contact a is pressed, a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is generated. If a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is directly provided to the generator, the generator can also be driven through this to supply emergency power. The controller 161 may be omitted.

일단은 송전 스위치(송전SG)와 정전 스위치(정전SG)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은 'KT' 라인에 연결된 제2 릴레이용 제1 a접점(R2-a1)은 관리자가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위해 정전 스위치(정전SG)를 누를 경우 턴-온 된다. 따라서, 제2 릴레이용 제1 a접점(R2-a1)에 직렬 연결된 정전 선택 램프(140)가 점등되고, 관리자는 자신이 선택한 시험동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a contact (R2-a1) for the second relay, which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witch (station SG) and the power failure switch (station S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KT' line, is used by the administrator to test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It is turned on by pressing the blackout switch (SG). Therefore, the blackout selection lamp 140 connected in series to the first a contact R2-a1 for the second relay is turned on, and the administrator can confirm the test operation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반면, 제2 릴레이용 제1 b접점(R2-b1)은 관리자가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위해 정전 스위치(정전SG)를 누를 경우 턴-오프 되므로, 직렬 연결된 송전 선택 램프(150)가 점등되지 않고 소등 상태를 유지한다. 송전 선택 램프(150)는 관리자가 송전 스위치(송전SG)를 눌러 제2 릴레이(R2)를 해제한 경우에 점등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b contact (R2-b1) for the second relay is turned off when the administrator presses the power failure switch (SG) for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the serially connected power transmission selection lamp 150 is not turned on. Without lights out. The power transmission selection lamp 150 lights when the administrator releases the second relay R2 by pressing the power transmission switch (power transmission SG).

도 5에서 'KR'과 'KT' 라인 사이에는 제2 릴레이용 제2 a접점(R2-a2)과, 제3 a접점(R3-a) 및 발전 표시부(예: 발전 표시램프)(GPL)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도 6에서 'GR' 라인과 'GT' 라인 사이에는 제3 릴레이(R3)가 연결되어 있다. In FIG. 5, a second a contact R2-a2 for the second relay, a third a contact R3-a, and a power generation display unit (eg, a power generation display lamp) between the 'KR' and 'KT' lines.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the third relay R3 is connected between the 'GR' line and the 'GT' line in FIG. 6.

또한, 동작 신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제3 릴레이(R3)에는 제1 릴레이용 제2 a접점(R1-a2)이 직렬 연결되기도 한다. 제1 릴레이용 제2 a접점(R1-a2)은 상술한 제1 릴레이(R1)에 의해 턴-온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operation reliability, the second relay a (R1-a2) for the first relay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relay R3 in series. The second a contact R1-a2 for the first relay is turned on by the first relay R1 described above.

제2 릴레이용 제2 a접점(R2-a2)과, 제3 a접점(R3-a)과, 발전 표시부(GPL) 및 제3 릴레이(R3)는 비상전원 표시부(170)에 해당하는 것으로, 관리자가 정전 스위치(정전SG)를 누르면 발전기가 가동을 시작하고, 발전기가 비상전원을 공급하면 제3 릴레이(R3)가 작동되며, 제3 릴레이(R3)가 작동되면 제3 a접점(R3-a)이 턴-온 된다. 제2 릴레이용 제2 a접점(R2-a2)은 관리자가 정전 스위치(정전SG)를 눌러 제2 릴레이(R2)가 작동됨에 따라 이미 턴-온 된 상태이다.The second a contact R2-a2 for the second relay, the third a contact R3-a, the power generation display unit GPL, and the third relay R3 correspond to the emergency power supply display unit 170. When the manager presses the power failure switch (SG), the generator starts to operate. When the generator supplies emergency power, the third relay R3 is operated. When the third relay R3 is operated, the third a contact R3- is activated. a) is turned on. The second a contact R2-a2 for the second relay is already turned on as the manager presses the power failure switch (blackout SG) to operate the second relay R2.

따라서, 제2 릴레이(R2)가 작동(즉, 발전기 가동 전)되면 턴-온 되는 제2 릴레이용 제2 a접점(R2-a2)과, 제3 릴레이(R3)가 작동(즉, 발전기 가동 후)되면 턴-온 되는 제3 a접점(R3-a)이 모두 턴-온 된 경우에만 발전 표시부(GPL)가 동작되어 비상전원 공급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었음을 표시한다. Accordingly, the second a contact R2-a2 for the second relay turned on when the second relay R2 is activated (that is, before the generator is started) and the third relay R3 are activated (that is, the generator is started). Afterwards), the power generation display unit GPL operates only when all of the third a contact R3-a which is turned on is turned on to indicate that emergency power supply is normally performed.

다만, 발전 표시부(GPL)는 스피커 등을 통해 음성으로 정보를 알리는 것이나, 램프 등을 통해 발광된 빛으로 정보를 알리는 것이나,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의 관리자에게 정보를 알리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보통은 램프를 많이 사용하므로 도 6에서는 발전 표시부(GPL)의 일 예로서 발전 표시램프를 도시하였다.
However, the power generation display unit (GPL) may be used to notify information by voice through a speaker or the like, or to inform information by light emitted through a lamp or the like, or to inform the remote administrato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ince many lamps are used, the power generation display lamp is illustrated in FIG. 6 as an example of the power generation display unit GPL.

유사하게, 도 5에서 'KR'과 'KT' 라인 사이에는 제2 릴레이용 제2 b접점(R2-b2)과, 제4 a접점(R4-a) 및 송전 표시램프(KPL)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도 6에서 'KR' 라인과 'KT' 라인 사이에는 제4 릴레이(R4)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동작 신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제4 릴레이(R4)에는 제1 릴레이용 제2 a접점(R1-a2)이 직렬 연결되기도 한다.Similarly, in FIG. 5, the second b contact R2-b2 for the second relay, the fourth a contact R4-a and the power transmission display lamp KPL are serially connected between the KR and KT lines. In FIG. 6, a fourth relay R4 is connected between the 'KR' line and the 'KT' line in FIG. 6. 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operation reliability, the second relay a contact R1-a2 for the first relay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relay R4 in series.

제2 릴레이용 제2 b접점(R2-b2)과, 제4 a접점(R4-a)와, 송전 표시램프(KPL) 및 제4 릴레이(R4)는 송전 표시부(180)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상과 같이 관리자가 송전 스위치(송전SG)를 눌러서 발전기가 가동을 멈추고 제2 릴레이(R2)가 해제된 경우에는 제2 릴레이용 제2 b접점(R2-b2)이 다시 턴-온 된다. 또한, 상용전원이 'KR' 라인과 'KT' 라인을 통해 공급 중이므로 작동된 제4 릴레이(R4)에 의해 제4 a접점(R4-a)이 턴-온 되어 송전 표시램프(KPL)가 점등된다. The second b contact R2-b2 for the second relay, the fourth a contact R4-a, the power transmission display lamp KPL, and the fourth relay R4 correspond to the power transmission display unit 18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nager presses the power switch (power transmission SG) and the generator stops operation and the second relay R2 is released, the second b contact R2-b2 for the second relay is turned on again. In addition, since the commercial power is being supplied through the 'KR' line and the 'KT' line, the fourth a contact R4-a is turned on by the activated fourth relay R4 to turn on the power transmission display lamp KPL. do.

따라서, 비상전원 공급 동작이 멈춘 후에는 상용전원 공급 동작으로의 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서 제2 릴레이용 제2 a접점(R2-a2)과 제2 릴레이용 제2 b접점(R2-b2)은 모두 제2 릴레이(R2)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이들은 서로 인터록(interlock)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Therefore, after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indicate that the switchover to the commercial power supply operation was successful. In FIG. 5, both the second a-contact R2-a2 for the second relay and the second b-contact R2-b2 for the second relay are operated by the second relay R2, and they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 You can see the relationship.

한편, 위에서 설명을 생략한 도 6의 제2 릴레이용 b접점(R2-b)은 제2 릴레이(R2)가 작동되면 턴-오프 되어 'KR' 라인과 'KT' 라인을 차단하는데, 이는 자동절환스위치(10)의 A1 단자 및 A2 단자(상용전원 측)와 B1 단자 및 B2 단자(발전기 측)에 각각 연결된 제1 릴레이용 b접점(R1-b)과 함께 자동절환스위치(10)가 실제로 스위칭 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설치되고 없어도 된다.
Meanwhile, the second contact b for the second relay R2-b of FIG. 6, which has not been described above, is turned off when the second relay R2 is operated to block the 'KR' line and the 'KT' line.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10 is actually connected to the A1 terminal and the A2 terminal (commercial power supply side) of the switching switch 10 and the b contact R1-b for the first relay connected to the B1 terminal and the B2 terminal (generator side), respectively. It is more reliably prevented from switching, and it may be installed or eliminated as necessary.

또한, 도 5에서 제1 릴레이에 병렬 연결된 타이머(191)는 동작시험 개시부(110)에 해당하는 테스트 스위치(TEST)를 턴-온시 작동하여 시험 경과 시간을 측정하고, 한시 동작 스위치(M-T)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턴-온되어 경고부(192)의 일 예로 사용되는 부저를 자동시켜 관리자에게 경고 한다. 타이머(191)에 직렬 연결된 b접점의 리셋 버튼(RESET)은 타이머(191)를 초기화한다.In addition, in FIG. 5, the timer 191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relay operates the test switch TES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test initiation unit 110 at turn-on, and measures a test elapsed time, and the time limit operation switch MT.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is turned on to warn the administrator by automatically buzzer used as an example of the warning unit 192. The reset button RESET of the contact b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timer 191 initializes the timer 191.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은 실제 약 5분 정도 소요되나, 한시 동작 스위치(M-T)가 10분 후에 동작하도록 충분히 여유를 두어 설정하면, 관리자가 실수 등으로 시험 종료를 하지 않을 시, 10분 경과 후 부저가 울리게 된다.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takes about 5 minutes, but if the time limit switch (MT) is set to allow enough time to operate after 10 minutes, the buzzer after 10 minutes has elapsed if the administrator does not end the test by mistake. Will ring.

따라서, 시험이 끝나면 조속히 발전기의 가동을 멈추어 발전기 연료 낭비나 접지를 통해 대지로 버려지는 발전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Therefore, after the test is completed, the generator is stopped as soon as possible to prevent the waste of generator fuel and the waste of generated power that is thrown to the ground through grounding.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10: 동작시험 개시부 120: 제어 차단부
130: 시험상태 선택부 140: 송전 선택 램프
150: 정전 선택 램프 160: 동작신호 발생부
170: 비상전원 표시부 180: 송전 표시부
191: 타이머 192: 경고부
110: operation test start unit 120: control breaker
130: test state selection unit 140: power transmission selection lamp
150: power failure selection lamp 160: operation signal generator
170: emergency power display unit 180: power transmission display unit
191: timer 192: warning unit

Claims (8)

상용전원을 부하에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동절환스위치의 가상 스위칭 동작에 따른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실시할 수 있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절환스위치의 가상 스위칭에 의한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이 시작되도록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시험 개시부와;
상기 동작시험 개시부에서 시작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자동절환스위치로 인가되는 스위칭 절환용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제어 차단부와;
상기 제어 차단부에 의해 상기 자동절환스위치에 입력되는 스위칭 절환용 제어신호가 차단되면, 선택에 의해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 또는 상용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험상태 선택부와;
상기 시험 상태 선택부에 의해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가 입력되면, 비상전력발생기로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동작신호 발생부; 및
상기 동작신호 발생부의 동작신호에 의해 상기 비상전력발생기가 작동하여 비상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비상전원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
In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operation test apparatus capable of conducting an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according to the virtual switch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while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load,
An operation test initiation unit for generating a start signal to start an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by virtual switching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A control cutoff unit which cuts off a switching switching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when a start signal is generated at the operation test start unit;
A test state selector configured to generate a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or a commercial power supply state signal by selection when the control switch for switching switching inputted to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is blocked by the control switch;
An operation signal generator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an emergency power generator when a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is input by the test state selector; And
And an emergency power display unit which displays whether emergency power is normally supplied by operating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by an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signal gener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시험 개시부는,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턴-온(turn-on) 되거나 혹은 설정된 시간마다 자동으로 턴-온 되어 상기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을 위한 회로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테스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test start unit,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omprising a test switch which is turned on manually by an administrator or automatically turned on every set time so that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o a circuit for testing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Automatic changeover switch operation te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차단부는,
상기 동작시험 개시부에 의해 작동(여자)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자동절환스위치에 스위칭 절환용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 신호 입력 단자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릴레이가 작동되면 턴-오프(turn-off) 되는 제1 릴레이용 b접점을 포함하여,
상기 자동절환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른 전원공급 동작 시험시, 상기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상기 스위칭 절환용 제어신호가 인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상용전원 공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blocking unit,
A first relay activated (excited) by the operation test initiation unit; And
It is connected in series with a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a switching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respectively, and includes a contact b for the first relay is turned off (turn-off) when the first relay is operated; ,
In the power supply operation test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automatic switching switch, by the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 is not applied to the switching switching control signal, the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ing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rent commercial power supply state is maintained Motion te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상태 선택부는,
누름 동작시 턴-오프 되는 b접점의 송전 스위치와;
상기 송전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며 누름 동작시 턴-온 되는 a접점의 정전 스위치; 및
상기 정전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된 제2 릴레이;를 포함하여,
상기 정전 스위치를 누르면 회로가 도통되어 상기 제2 릴레이가 작동(여자)되면서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송전 스위치를 누르면 회로가 차단되어 상기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가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est state selection unit,
A power transmission switch of contact b which is turned off during the pushing operation;
A blackout switch of a contact which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power transmission switch and is turned on during a push operation; And
Including a second relay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electrostatic switch;
When the electrostatic switch is pressed, the circuit is turned on to generate a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while the second relay is activated (excited), and when the power transmission switch is pressed, the circuit is cut off to stop the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Uninterruptible automatic switch operation tes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2 릴레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상의 정전 사태 발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상전력발생기를 동작시키는 비상전력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And an emergency power supply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relay in parallel and operating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when the virtual power failure occurrence signal is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원 표시부는,
상기 동작신호 발생부에서 상기 비상전력발생기로 동작신호를 전달하면 턴-온되는 제2 릴레이용 제2 a접점과;
상기 제2 릴레이용 제2 a접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비상전력발생기가 작동하여 비상전원을 공급하면 턴-온되는 제3 a접점; 및
상기 제3 a접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비상전원이 공급중임을 표시하는 발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mergency power display unit,
A second a contact point for a second relay which is turned on when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A third a contact connected in series to the second a contact for the second relay and turned on when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operates to supply emergency power; And
And a power generation display unit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third a contact and indicating that the emergency power is being su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시험 개시부와, 제어 차단부와, 시험상태 선택부와, 동작신호 발생부 및 비상전원 표시부는 상기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력회사의 전력라인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test start unit, the control breaker, the test state selection unit, the operation signal generator and the emergency power display unit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line of the power company supplying the commercial power Automatic changeover switch operation tester.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시험 개시부가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면 시간 측정을 시작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를 참조하여 설정된 비상전원 공급 동작 시험 시간이 경과되면 시험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알리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 warning unit for notifying that the test time has elapsed when the emergency power supply operation test time set with reference to the timer has elapsed when the operation test start unit generates a start signal. Changeover switch operation tester.
KR1020110114938A 2011-11-07 2011-11-07 Operating test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out electric power interruption KR1012372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938A KR101237286B1 (en) 2011-11-07 2011-11-07 Operating test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out electric power interru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938A KR101237286B1 (en) 2011-11-07 2011-11-07 Operating test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out electric power interrup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286B1 true KR101237286B1 (en) 2013-02-27

Family

ID=4790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938A KR101237286B1 (en) 2011-11-07 2011-11-07 Operating test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out electric power interrup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28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711B1 (en) 2017-01-03 2018-04-27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of multipurpose power conversion system evaluating perform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571U (en) * 1998-08-31 2000-03-25 이종수 Test Circuit for Wiring Circuit Breaker with Electronic Trip Device
KR20040092016A (en) * 2003-04-23 2004-11-03 주식회사 파워트론 Monitoring and diagnostic system for expected life of emergency power system
JP2010049988A (en) 2008-08-22 2010-03-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Uninterruptive testing device of wiring circuit breaker
JP2011154875A (en) 2010-01-27 2011-08-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Uninterruptible testing device and uninterruptible testing method for circuit brea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571U (en) * 1998-08-31 2000-03-25 이종수 Test Circuit for Wiring Circuit Breaker with Electronic Trip Device
KR20040092016A (en) * 2003-04-23 2004-11-03 주식회사 파워트론 Monitoring and diagnostic system for expected life of emergency power system
JP2010049988A (en) 2008-08-22 2010-03-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Uninterruptive testing device of wiring circuit breaker
JP2011154875A (en) 2010-01-27 2011-08-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Uninterruptible testing device and uninterruptible testing method for circuit brea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711B1 (en) 2017-01-03 2018-04-27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of multipurpose power conversion system evaluating perform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3177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electrical backfeed
JP2011083052A (en) Load control system
JP5154625B2 (en) Power supply system
JP6074705B2 (en) Power feeding system and switching device
CN203984079U (en) A kind of Intelligent remote control type emergency power supply
KR101180391B1 (e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and emergency power supply method using the same
KR101237286B1 (en) Operating test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out electric power interruption
KR200381066Y1 (en) Switch Controller of Digital Switch-Board
KR200454645Y1 (en) 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power
JP2017123705A (en) Distribution board monitoring system, distribution board, and distribution board monitoring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them
CN102751783B (en) Switching circuit for power supplies of high-power diesel engine generator and transformer
JP2009141621A (en) Tester for switch remote control apparatus
CN108933431B (en) Starting protection circuit and starting protection system for nuclear power station turning motor
JP2014007934A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with lithium polymer battery
CN104393667A (en) Portable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CN109150038B (en) System for judging excitation state of diesel generator of million-kilowatt nuclear power station
CN210724309U (en) Automatic change-over switch control device
CN209894928U (en) Device for simulating 10kV high-voltage vacuum permanent magnet circuit breaker
KR20150135640A (en) A Mobile genera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CN216356086U (en) Dual-power switching and monitoring circuit of server
CN117977783A (en) Low-voltage multi-control type dual-power conversion box
CN213517932U (en) Working mode switching device of valve control equipment of direct-current transmission converter valve
JP3164617U (en) Push button automatic operation system for power conditioner switching
KR101409028B1 (en) Method of operating inverter-charger combined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CN214409205U (en) Detection circuit of circuit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