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748B1 - The Log Periodic Antenna - Google Patents

The Log Periodic An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748B1
KR101235748B1 KR1020110040271A KR20110040271A KR101235748B1 KR 101235748 B1 KR101235748 B1 KR 101235748B1 KR 1020110040271 A KR1020110040271 A KR 1020110040271A KR 20110040271 A KR20110040271 A KR 20110040271A KR 101235748 B1 KR101235748 B1 KR 101235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unit
case
lead
logarith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2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2223A (en
Inventor
박승교
박동협
박근욱
김찬국
Original Assignee
박동협
주식회사 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협, 주식회사 메닉스 filed Critical 박동협
Priority to KR102011004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748B1/en
Publication of KR2012012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2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7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10Logperiodic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2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dipole a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9Combinations of different interacting antenna units for giving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18Vertical disposition of the antenna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소자와 피드소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여, 지향특성 및 효율이 향상된 대수주기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케이스 면에 고정되고, 서로 다른 길이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단위소자와 상기 단위소자를 연결하는 상부도선 및 하부도선을 각각 구비하는 상부소자와 하부소자를 구비하는 안테나; 상기 상부소자와 상기 하부소자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체; 및 상기 상부소자의 상기 단위소자와 상기 하부소자의 상기 단위소자 또는 상기 상부도선와 상기 하부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gebraic cycle antenna that provides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grounding element and a feed element, thereby improving directivity and efficiency.
Logarithmic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n antenna having an upper element and a lower element fixed to a case surface of the case and having unit wires arranged in parallel with different lengths and upper and lower wires connecting the unit devices, respectively; An insulator electrically insulating the upper element and the lower element; And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nit element of the upper element and the unit element of the lower element or the upper lead and the lower lead.

Description

대수 주기 안테나{The Log Periodic Antenna}Log Periodic Antenna

본 발명은 대수주기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지소자와 피드소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여, 지향특성 및 효율이 향상된 대수주기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arithmic antenna,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garithmic antenna with improved directivity and efficiency by provi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grounding element and the feed element.

일반적으로 대수 주기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를 일정한 비율로 유사하게 정렬한 것으로, 인접한 안테나 소자 길이의 비나 간격의 비율이 일정하며, 사용 주파수 대역 내에서 거의 일정한 주파수 특성이 있는 광대역 안테나이다.In general, a logarithmic periodic antenna is a similar arrangement of dipole antennas at a constant ratio, and is a wideband antenna having a constant ratio of ratios or intervals of adjacent antenna elements and having almost constant frequency characteristics within a frequency band used.

이러한 대수 주기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으로 인해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이동통신 기지국과 같이 하나의 이용 목적에 복수의 주파수 대역이 필요한 곳에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대수 주기 안테나는 다른 안테나들에 비해 임피던스와 방사특성이 주파수에 대수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안테나로써, 주파수 대역에 걸친 특성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 독립 안테나로 간주되며, 안테나의 형태도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Due to the wideband characteristics, such logarithmic antennas are frequently used where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re required for one purpose, such as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p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Logarithmic periodic antennas are antennas whose impedance and radiation characteristics are repeated periodically in frequency compared to other antennas, and are regarded as frequency independent antennas because they do not change much over the frequency band. It is transformed and developed.

이와 같은 대수 주기 안테나는 통상 한쌍의 소자로 구성된다. 한쌍의 소자는 각각 신호소자와 접지소자로 구성되고, 신호소자와 접지소자는 각각 복수의 다이폴 수집부로 구성된다. 복수의 다이폴 수집부는 길이가 다른 도체로써 안테나 각 주파수 대역별 안테나의 역할을 하며, 이들은 신호소자와 접지소자 각각에 구성되는 급전소자에 연결되고, 급전소자와 신호선을 연결하여 수신된 신호를 신호선에 연결된 장치에 공급하거나,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외부에 송출하게 된다. Such a logarithmic periodic antenna is usually composed of a pair of elements. The pair of elements is composed of a signal element and a ground element, respectively, and the signal element and the ground element are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pole collectors. The plurality of dipole collectors are conductors of different lengths, which act as antennas for each frequency band, which are connected to a feed element formed in each of the signal element and the ground element, and connect the feed element and the signal line to a signal line. It supplies to the connected device, or sends a signal from the device to the outside.

종래의 대수 주기 안테나는 길이의 비가 대수주기 배열로 결정되는 복수의 다이폴 수집부에 의해 다양한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광대역 특성은 우수하지만, 비교적 편협한 지향특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logarithmic antennas have a wide band characteristic capable of receiving signals of various frequencies by a plurality of dipole collectors whose length ratios are determined by a logarithmic arrangement, but have a problem of having a relatively narrow directivity.

즉, 종래의 대수 주기 안테나의 경우 설치된 장소에서 대수주기 안테나의 위치 또는 고정된 형태가 기후 환경 등에 의해 변하게 되는 경우 원하는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종래의 대수 주기 안테나가 가지는 편협한 지향성을 개선하기 위해 복잡한 형태의 대수 주기 안테나가 개발되거나,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개발 및 제시되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대수 주기 안테나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 및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따르고, 고정수단의 무게 증가 등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실정이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lgebraic periodic antenna, when a location or a fixed shape of the algebraic periodic antenna is changed due to a climatic environment or the like, a problem of not receiving a desired signal occur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improve the narrow directivity of the conventional logarithmic antenna, a complex logarithmic antenna is developed, or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logarithmic antenna has been developed and used. However, these conventional logarithmic antennas have a complicated structure, which leads to difficulty in production and maintenance, and causes many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weight of the fixing mean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소자와 피드소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여, 지향특성 및 효율이 향상된 대수주기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gebraic antenna with improved directivity and efficiency by provi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grounding element and the feed ele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수주기안테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케이스 면에 고정되고, 서로 다른 길이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단위소자와 상기 단위소자를 연결하는 상부도선 및 하부도선을 각각 구비하는 상부소자와 하부소자를 구비하는 안테나; 상기 상부소자와 상기 하부소자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체; 및 상기 상부소자의 상기 단위소자와 상기 하부소자의 상기 단위소자 또는 상기 상부도선와 상기 하부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Log cycl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ntenna having an upper element and a lower element fixed to a case surface of the case and having unit wires arranged in parallel with different lengths and upper and lower wires connecting the unit devices, respectively; An insulator electrically insulating the upper element and the lower element; And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nit element of the upper element and the unit element of the lower element or the upper lead and the lower lead.

상기 접속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상기 단위소자는 상기 상부소자 및 상기 하부소자의 최장 단위소자이다.The unit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body are the longest unit elements of the upper element and the lower element.

상기 안테나와 외부 수신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체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말단 단위소자 사이의 상기 상부도선과 상기 하부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It further comprises a cable for connecting the antenna and the external receiving device, wherein the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s the upper conductor and the lower conductor between the cable and the terminal unit element.

상기 접속체는 상기 케이스 면에 수직으로 기립되고, 상기 상부소자의 최장 단위소자와 상기 하부소자의 최장 단위소자를 연결하는 루프형 도전체이다.The connection member stands vertically on the case surface and is a loop type conductor connecting the longest unit element of the upper element and the longest unit element of the lower element.

본 발명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는 접지소자와 피드소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여,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지향특성 및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The logarithmic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ground element and the feed element, thereby improving the directivity and efficiency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는 접지소자와 피드소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여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접지소자와 피드소자의 단위소자 수를 기존에 비해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안테나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logarithmic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unit elements of the ground element and the feed element compared to the existing by improving the efficiency by provi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ground element and the feed element, through which the overall size of the antenna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수주기안테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부소자, 하부소자, 절연체 및 접속체를 도시한 예시도.
도 3 내지 도 5는 접속체 사용에 따른 안테나의 효율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써,
도 3은 수직면에 대한 안테나의 방향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수평면에 대한 안테나의 방향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도 3과는 다른 수평면에 대한 안테나의 방향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를 도시한 예시도들로써,
도 6은 접속체를 적용하여 단위소자의 수를 감소시킨 대수주기 안테나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원형 루프 형태의 접속체를 이용한 대수주기 안테나를 도시한 예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lgebraic cycle antenn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upper element, a lower element, an insulator, and a connector of FIG. 1. FIG.
3 to 5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efficiency of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onnection body,
3 shows an example of the orientation of the antenna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orientation of an antenna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different from that of FIG.
6 and 7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logarithmic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logarithmic antenna in which the number of unit elements is reduced by applying a connector.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logarithmic cycle antenna using a connection body in a circular loop shap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수주기안테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lgebraic antenn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는 케이스(100), 안테나(200), 졀연체(300) 및 접속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logarithmic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0, an antenna 200, an interconnect 300, and a connector 400.

케이스(100)는 내부에 안테나(200) 및 절연체(300)를 수납하여 안테나 및 절연체(300)를 보호함과 아울러, 안테나(200) 및 절연체(3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내부에 안테나(200) 및 절연체(300)를 수납하여 감쌀 수 있도록 접합에 의해 밀봉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도 1에는 상부케이스는 생략하고 하부케이스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00)에는 안테나(200) 및 절연체(300)가 고정되는 케이스면(110)이 형성되며, 이 케이스면(110)을 마주대하여 나뉘어진 케이스(100)가 결합된다. 한편, 케이스면(110)에는 안테나(200) 및 절연체(30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안테나(200) 형상과 동상으로 음각된 고정패턴(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패턴(120)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각각에 형성되며, 각각 안테나(200)의 상부소자(210)과 하부소자(220)와 동상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패턴(120)을 이용한 안테나(200)의 고정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다른 방법 또는 구성에 의해 안테나(200)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고정패턴(120)의 형태가 달라지거나, 고정패턴(120)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케이스(100)는 외부 신호의 투과가 및 신호왜곡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외부환경으로 부터 안테나(200) 및 절연체(300)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case 100 accommodates the antenna 200 and the insulator 300 therein to protect the antenna and the insulator 300, and serves to fix the antenna 200 and the insulator 300. The case 100 is configured to seal by bonding so that the antenna 200 and the insulator 300 can be wrapped and wrapped therein. In FIG. 1, the upper case is omitted and only the lower case is illustrated. The case 100 is provided with a case surface 110 to which the antenna 200 and the insulator 300 are fixed, and the case 100 divided to face the case surface 110 is coupled. Meanwhile, a fixing pattern 120 engraved in the shape and in phase of the antenna 200 may be formed on the case surface 110 to secure the antenna 200 and the insulator 300. The fixing pattern 120 is formed in each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nd may be formed to have the shape of the in-phase with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of the antenna 200, respectively. Here, the fixing of the antenna 200 using the fixing pattern 120 is not essential, and the antenna 200 may be fixed by another method or configuration.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fixing pattern 120 is changed or fixed. The pattern 120 may be omitted, thereby not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the case 100 may be formed using a synthetic resin that can easily protect the antenna 200 and the insulator 30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without the transmission and signal distortion of the external signal, thereby It does not limit the invention.

안테나(200)는 외부에서 전파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케이블(500)을 통해 수신장치(미도시)에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안테나(200)는 방송신호, 이동통신 신호와 같이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대수주기안테나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안테나(200)는 상부소자(210) 및 하부소자(220)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소자(210) 및 하부소자(220) 각각은 복수의 단위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단위소자의 길이는 각각 다르게 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는 제1 내지 제6단위소자(211 내지 216)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단위소자들의 수 및 길이는 수신되는 주파수 및 주파수의 범위에 따른 것이며, 대수주기에 따라 결정되는 길이 및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단위소자의 길이 및 간격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각 단위소자(211a, 211b 내지 216a, 216b)는 일측 종단이 각각 상부도선(240) 또는 하부도선(250)에 연결되고, 이러한 상부도선(240)과 연결된 상부단위소자들(211a 내지 216b)과 하부도선(250)에 연결된 하부단위소자(211b 내지 216b)들에 의해 각각 하부소자(220)와 상부소자(210)가 구성된다. 이러한 안테나(200)의 상부소자(210) 및 하부소자(220)는 케이스면(110)에서 상부도선(240)과 하부도선(250)이 중첩되도록 고정되며, 상부도선(240)과 하부도선(250)의 중첩부위 사이에는 절연체(300)가 삽입된다. 또한, 안테나(200)의 최장 단위소자(단위소자 중 길이가 가장 긴 소자, 도 1에서는 제6단위소자(216)) 또는 최장 단위소자와 케이블(500)의 연결부(510) 사이에는 접속체(400)에 의해 상부소자(210)와 하부소자(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antenna 200 receives a signal propagated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a receiver (not shown) through the cable 500. In particular, the antenna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using a logarithmic cycle antenna to receive and transmit a signal of various frequency bands to a receiving device in order to provide one service such as a broadcast signal,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To this end, the antenna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element 210 and a lower element 220. In addition, each of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elements, and the lengths of these unit elements are different. In FIG. 1, an example of the first to sixth unit elements 211 to 216 is illustrated. The number and length of these unit elements depend on the frequency and range of frequencies being received and are arranged at length and interva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garithmic period. Since the length and spacing of such unit elements are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each of the unit elements 211a, 211b to 216a, and 216b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conductor 240 or the lower conductor 250, respectively, and the upper unit elements 211a to 216b connected to the upper conductor 240, respectively. ) And the lower unit elements 211b to 216b connected to the lower conductive line 250 form the lower element 220 and the upper element 210, respectively.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of the antenna 200 are fixed to overlap the upper lead 240 and the lower lead 250 on the case surface 110, and the upper lead 240 and the lower lead ( An insulator 300 is inserted between the overlapping portions of 250. The longest unit element of the antenna 200 (the longest of the unit elements, the sixth unit element 216 in FIG. 1) or the longest unit element and the connection unit 510 of the cable 500.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400.

절연체(300)는 상부소자(210)와 하부소자(220)가 케이스 면(110)에 고정하는 경우, 최장 단위소자 이전 즉, 제 1 내지 제 5 단위소자 간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소자(210)와 하부소자(220)를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절연체(300)는 상부소자(210)와 하부소자(220)가 중첩되는 상부도선(240)과 하부도선(250) 사이에 배치된다. When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are fixed to the case surface 110, the insulator 300 has an upper element (eg, an upper element) to preven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longest unit element, that is, the first to fifth unit elements. It serves to insulate the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To this end, the insulator 3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lead 240 and the lower lead 250 in which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overlap.

접속체(400)는 상부소자(210)와 하부소자(220)의 최장 단위소자(216a, 216b)간, 또는 최장단위 소자(216)와 케이블(500)의 연결부(510) 사이에서 상부소자(210)와 하부소자(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접속체(400)는 상부소자(210)와 하부소자(220)를 최장 단위소자(216) 이후 단에서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안테나(200)의 수신 대역을 넓힘과 아울러, 지향성을 약화시켜 안테나(200)의 수신 방향의 제약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속체(400)는 상부소자(210)와 하부소자(220)의 최장 단위소자(216a, 216b) 소자 간을 연결하거나, 최장 단위소자(216a, 216b) 이후의 상부도선 및 하부도선(240, 25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된다. 접속체(400)는 상부소자(210)와 하부소자(220)를 케이블(500)과 안테나(220)의 연결지점 인근에서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수신신호의 흐름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수신대역의 증가 및 무지향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속체(400)는 최장단위소자(216) 이전에서 연결하는 경우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접속체(400)를 최장 단위소자(216a, 216b)의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 상부소자(210)와 하부소자(220) 사이에서는 신호의 흐름이 발생하지만, 접속체(400)를 최장 단위소자(216a, 216b) 이전에서 상부소자(210)와 하부소자(220)의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 신호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거나 매우 미약해져 신호의 수신 및 이용이 곤란해진다. 이러한 접속체(400)의 다양한 예는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nection member 400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ngest unit elements 216a and 216b of the lower element 220, or between the longest unit element 216 and the connection portion 510 of the cable 500.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connection member 400 connects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to each other at the end after the longest unit element 216, thereby widening the reception band of the antenna 200 and weakening the directivity. It serves to reduce the restriction of the receiving direction of 200). The connection body 400 connects the elements between the longest unit elements 216a and 216b of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or the upper and lower lead lines 240 after the longest unit elements 216a and 216b. , 25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liver. The connection body 400 connects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to each other near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able 500 and the antenna 220 so that the reception signal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crease in the reception band. It plays a role in improving the omnidirectional characteristics. When the connection unit 400 is connected before the longest unit element 216, a signal is not received. That is, when the connection body 400 is used to connect the longest unit elements 216a and 216b, a signal flow occurs between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but the connection unit 400 is longest. When used to connect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before the unit elements 216a and 216b, signal flow does not occur or becomes very weak, making it difficult to receive and use the signal. Various examples of such a connection body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케이블(500)은 안테나(200)와 수신장치(미도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케이블(500)은 안테나(2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510) 및 연결부(510)에 결합되는 도선(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able 500 serves to connect the antenna 200 and a receiver (not shown). To this end, the cable 50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510 for connecting to the antenna 200 and a conductive line 520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510.

도 2는 도 1의 상부소자, 하부소자, 절연체 및 접속체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접속체 사용에 따른 안테나의 효율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써, 도 3은 수직면에 대한 안테나의 방향성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수평면에 대한 안테나의 방향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과는 다른 수평면에 대한 안테나의 방향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upper element, a lower element, an insulator, and a connector of FIG. 1, and FIGS. 3 to 5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changes in efficiency of an antenna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onnector, and FIG. 3 is a vertical plan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with respect to,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orientation of the antenna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different from FIG. 3.

도 2 내지 도 를 참조하면, 상부소자(210) 및 하부소자(220)는 제1 내지 제6단위소자(211 내지 216) 및 각 단위소자(211 내지 216)를 연결하는 상부도선(240) 및 하부도선(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FIG. 2,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may include first and sixth unit elements 211 to 216 and upper conductors 240 connecting the unit elements 211 to 216.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lead 250.

이러한 상부소자(210) 및 하부소자(220)로 구성되는 안테나(200)는 최장(또는 말단) 단위소자인 제6단위소자(216a, 216b)가 접속체(4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접속체(400)에 의한 상부소자(210) 및 하부소자(220)의 연결을 통해 안테나(200)는 이득은 감소하지 않고 수신 주파수 범위가 증가하며, 지향 특성이 감소하여 무지향적 특성이 증가하게 된다. In the antenna 200 including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the sixth unit elements 216a and 216b, which are longest (or terminal) unit elemen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on unit 400.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by the connector 400, the antenna 200 increases the reception frequency range without decreasing the gain, and the omnidirectional characteristic is increased by decreasing the directivity characteristic. Done.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한 대수주기 안테나(200)의 경우 단위소자의 수가 6인 6단 안테나를 이용하면 470 내지 870MHz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에, 접속체(400)에 의해 단위소자를 연결하는 경우 6단의 안테나를 이용하면 50MHz 정도 더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단위소자의 추가없이 수신 대역의 범위가 증가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경우에도 수신 신호의 이득은 변함이 없거나 약간(1dB) 상승하는 효과가 있어, 원활한 신호 수신이 가능해진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logarithmic antenna 200 for digital broadcast reception, when a six-stage antenna having 6 unit elements is used, a frequency band signal of 470 to 870 MHz may be recei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unit device is connected by the connector 400, using the six-stage antenna, it is possible to receive a frequency band signal in a wider range of about 50 MHz. That is, the range of the reception band is increased without the addition of unit elements. In particular, even in such a case, the gain of the received signal remains unchanged or rises slightly (1 dB), thereby enabling smooth signal reception.

이러한 접속체(400)는 말단 단위소자인 제 6단위소자(216a, 216b)를 연결하거나, 제6단위소자(216a, 216b) 이후와 케이블(500)의 연결부(510) 사이에서 연결해야 하는데 이는 상부소자(210)와 하부소자(220)의 피드(Feed), 접지(GND) 특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즉, 말단소자의 연결을 위해 접속체(400)를 사용하는 경우 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의 피드, 접지 특성을 유지하게 되며, 이에 의해 수신된 케이블(500)을 통해 수신장치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말단소자 이외의 단위소자(211 내지 215)에 접속체(400)를 사용하는 경우 안테나(200)의 피드, 접지 특성이 약해지며, 이로 인해 신호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The connection unit 400 should connect the sixth unit elements 216a and 216b, which are terminal unit elements, or be connected between the sixth unit elements 216a and 216b an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510 of the cable 500. This is to maintain the feed and ground (GND)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That is, when the connection unit 400 is used for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element, the antenna maintains the feed and 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signal for receiving the signal, thereby enabling transmission to the receiver through the received cable 500. . However, when the connector 400 is used for the unit elements 211 to 215 other than the terminal elements, the feed and 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200 are weakened, and thus signal reception is not performed.

이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좌측의 도면은 일반적인 대수주기 안테나의 방향성을 도시한 것이고, 우측의 도면은 접속체(400)에 의해 상부소자(210)와 하부소자(220)를 연결한 경우의 방향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테나(양산 안테나)의 경우 동그라미로 표시된 부분에서 수신 효율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접속체(400)를 사용한 대수주기 안테나(200)의 경우 우측 도면들 및 이들에 표시된 동그라미 부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 효율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속체(400)를 사용하는 경우 수신효율을 개선함과 아울러 편협한 지향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FIGS. 3 to 5. 3 to 5 illustrate the general directionality of the logarithmic antenna, and the diagram on the right illustrates the directionality in the case where the upper element 210 and the lower element 22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or 400. It is shown. As shown in FIGS. 3 to 5,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ntenna (mass production antenna), the reception efficiency may be deteriorated at a portion indicated by a circl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ogarithmic antenna 200 using the connection body 400,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ception efficiency is improved, as can be seen from the drawings on the right and the circled portions thereof. As can be seen through this, when the connection body 400 is used, the recep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narrow directivity characteristic can be improved.

아울러, 이러한 접속체(400)는 다향한 형태로 변형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such a connection body 400 can be used in a variety of forms of transform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를 도시한 예시도들로써, 도 6은 접속체를 적용하여 단위소자의 수를 감소시킨 대수주기 안테나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원형 루프 형태의 접속체를 이용한 대수주기 안테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logarithmic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logarithmic antenna having a reduced number of unit devices by applying a connection body. Exemplary diagram showing a logarithmic antenna using a circular loop-shaped connection body.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체(400)를 이용하는 경우 수신 대역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사용 목적의 주파수 범위 외의 주파수는 무의미 해지며, 혼선을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때문에 종래에 6단의 단위소자(211 내지 216)를 이용하는 경우 접속체(400)를 사용하면 5단의 단위소자(211 내지 215) 만으로 동일한 수신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1단의 단위소자(216)를 제거함으로써 안테나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connection body 400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reception band is increased. In this case, frequencies outside the frequency range for use become meaningless and cause crosstalk. Therefore, when the six-stage unit elements 211 to 216 are used, when the connection unit 400 is used, it is possible to receive signals of the same reception band using only the five-stage unit elements 211 to 215. By removing the unit elements 216,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antenna.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접속체(9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형태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루프형태의 접속체(9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접속체(400)에서와 마찬가지로 최장 단위소자(816 :816a, 816b)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the connecting body 900 may use a loop type as illustrated. The loop-shaped connection body 900 is used for the connection of the longest unit elements 816: 816a and 816b as in the connection body 4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러한 루프형태의 접속체(900)는 안테나(800)가 배치된 면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기립시켜도 성능이 향상되지만 안테나(800)가 배치된 면에 대해 수직인 경우에 효율이 가장 좋아진다. 안테나(800)와 루프형태의 접속체(900)가 인접하거나, 접속체(900)의 루프가 안테나(800)와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경우 수신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기립된 형태로 이용되는 경우 접속체(900)에 의한 효율 증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loop-shaped connection body 900 has improved performance even when the antenna 800 is standing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lane on which the antenna 800 is disposed, but the efficiency is best when the antenna 800 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on which the antenna 800 is disposed. When the antenna 800 and the loop-shaped connection body 900 are adjacent to each other, or when the loop of the connection body 900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antenna 800, the antenna 800 serves as an element for inhibiting reception. When used in the form of standing in the direction can maximize the efficiency increase effect by the connecting body (900).

특히, 루프형태의 접속체(9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접속체(400)에 비해 수신효율의 증대효과가 큰 장점이 있다. 즉, 말단 단위소자(816)의 연결을 위한 접속체(900)가 비교적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 무지향 특성 및 수신대역의 증가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이러한 루프형태의 접속체(900)는 코일형태로 접속체(900)를 형성하고, 이를 안테나(800) 즉, 케이스면(110)과 수직이 되게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n particular, the loop-shaped connection body 900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receiving efficiency increase effect i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nection body 4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when the connection body 900 for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unit 816 is formed with a relatively long length, the omnidirec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ception band are further improved. The loop-shaped connection body 900 may form a connection body 900 in the form of a coil, and may be used to b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antenna 800, that is, the case surface 110. It is not intended to limit.

100 : 케이스 200 : 안테나
300 : 절연체 400 : 접속체
110 : 케이스면 120 : 고정패턴
210 : 상부소자 220 : 하부소자
211 ~ 216 : 단위소자 240 : 상부도선
250 : 하부도선 500 : 케이블
510 : 연결부 520 : 도선
100: case 200: antenna
300: insulator 400: connector
110: case surface 120: fixed pattern
210: upper element 220: lower element
211 ~ 216: Unit device 240: Upper lead
250: lower conductor 500: cable
510: connecting portion 520: lead wire

Claims (4)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케이스 면에 고정되고, 서로 다른 길이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단위소자와 상기 단위소자를 연결하는 상부도선 및 하부도선을 각각 구비하는 상부소자와 하부소자를 구비하는 안테나;
상기 상부소자와 상기 하부소자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체; 및
상기 상부소자의 상기 단위소자와 상기 하부소자의 상기 단위소자 또는 상기 상부도선와 상기 하부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
case;
An antenna having an upper element and a lower element fixed to a case surface of the case and having unit wires arranged in parallel with different lengths and upper and lower wires connecting the unit devices, respectively;
An insulator electrically insulating the upper element and the lower element; And
And a connecting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nit element of the upper element and the unit element of the lower element or the upper lead and the lower le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상기 단위소자는 상기 상부소자 및 상기 하부소자의 최장 단위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unit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body are the longest unit elements of the upper element and the lower ele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외부 수신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체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최장 단위소자 사이의 상기 상부도선과 상기 하부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2,
It further comprises a cable for connecting the antenna and the external receiver,
And the connecting body electrically connects the upper lead and the lower lead between the cable and the longest unit element.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체는
상기 케이스 면에 수직으로 기립되고,
상기 상부소자의 최장 단위소자와 상기 하부소자의 최장 단위소자를 연결하는 루프형 도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connector
Perpendicular to the case face,
And a loop type conductor connecting the longest unit element of the upper element and the longest unit element of the lower element.
KR1020110040271A 2011-04-28 2011-04-28 The Log Periodic Antenna KR1012357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271A KR101235748B1 (en) 2011-04-28 2011-04-28 The Log Periodic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271A KR101235748B1 (en) 2011-04-28 2011-04-28 The Log Periodic Antenn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223A KR20120122223A (en) 2012-11-07
KR101235748B1 true KR101235748B1 (en) 2013-02-21

Family

ID=4750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271A KR101235748B1 (en) 2011-04-28 2011-04-28 The Log Periodic Anten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7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09B1 (en) * 2016-02-11 2017-04-06 국방과학연구소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CN109101853B (en) * 2018-07-30 2021-07-27 成都九洲电子信息系统股份有限公司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writer system protection and antenna port detec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2900A1 (en) 2005-03-08 2006-09-14 Ems Technologies, Inc. Capacitively coupled log periodic dipole antenna
KR20060099308A (en) * 2005-03-11 2006-09-19 주식회사 스펙트럼통신기술 Log periodic antenna
KR20070089463A (en) * 2006-02-28 2007-08-31 주식회사 손텍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d ceramic patch antenna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US20080117115A1 (en) 2006-11-16 2008-05-22 Tdk Corporation Log-Periodic Dipole Array (LPDA)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2900A1 (en) 2005-03-08 2006-09-14 Ems Technologies, Inc. Capacitively coupled log periodic dipole antenna
KR20060099308A (en) * 2005-03-11 2006-09-19 주식회사 스펙트럼통신기술 Log periodic antenna
KR20070089463A (en) * 2006-02-28 2007-08-31 주식회사 손텍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d ceramic patch antenna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US20080117115A1 (en) 2006-11-16 2008-05-22 Tdk Corporation Log-Periodic Dipole Array (LPDA)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223A (en)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798B1 (en) Apparatus for multiple antenna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182202A1 (en) Multiband antenna
US20150340768A1 (en) Wideband and high gain omnidirectional array antenna
US9450309B2 (en) Lobe antenna
US20130050042A1 (en) Cobra antenna
US20120200469A1 (en) Stacked antenna assembly with removably engageable components
JP4980327B2 (en) Dual frequency antenna device
KR101235748B1 (en) The Log Periodic Antenna
US20110148715A1 (en) Patch antenna and miniaturizing method thereof
CN101826652A (en) Circuit board folded dipole with integrated balanced-to-unblanced transformer
KR101541376B1 (en) Log periodic antenna system of dual type
JP2011078037A (en) Wide-band plane antenna
US6853348B1 (en) Dual band linear antenna array
CN1979947B (en) Single-pole antenna
JP2011066865A (en) Planar antenna
JP6541556B2 (en) Antenna device
JP2008060764A (en) Horizontal polarization omnidirectional antenna
US8035572B2 (en) H-type monopole isolation antenna
CN207052748U (en) A kind of new-type high-gain miniaturization WLAN antennas
US20170244177A1 (en) Broadband Dual Linear Cross Polarization Antenna
JP2007324824A (en) Broadband antenna system
KR102106128B1 (en) Wireless Relay Apparatus
KR100798495B1 (en) Antenna
US7746277B2 (en) Plane super wide band coupling antenna
CN208460978U (en) A kind of ultra wide band passive monitoring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