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194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194B1
KR101233194B1 KR1020050114896A KR20050114896A KR101233194B1 KR 101233194 B1 KR101233194 B1 KR 101233194B1 KR 1020050114896 A KR1020050114896 A KR 1020050114896A KR 20050114896 A KR20050114896 A KR 20050114896A KR 101233194 B1 KR101233194 B1 KR 101233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video sig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6362A (en
Inventor
박경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4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194B1/en
Publication of KR20070056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1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1Card-type connector, e.g. PCMCIA card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분리 가능한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LCD 나 TV 등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비디오 신호 등으로 변환되어 출력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여러 멀티미디어 기기에 연결함으로서 DMB 방송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시청하거나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remot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receive the multimedia data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detachabl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ed multimedia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As data is converted into a video signal that can be displayed on an LCD, a TV, or the like, the user can view or listen to multimedia data such as DMB broadcasting by connec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various multimedia devices.

이동통신 단말기, 미디어 칩, DMB, 원격 제어 장치 Mobile terminal, media chip, DMB, remote control devic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remote contro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가 도시된 도,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DMB 수신 기능을 갖는 원격 제어 장치의 구조가 도시된 도,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having a DMB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가 도시된 도,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가 타 멀티미디어 기기에 연결된 바와 도시된 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nother multimedia devi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R : 원격 제어 장치 20 : 미디어 칩R: remote control device 20: media chip

21 : 전송단 22 : 디코더21: transmitting end 22: decoder

23 : 포맷 변환기 24 : OSD 부23: format converter 24: OSD unit

30 :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 40 : 전원부30: video signal output port 40: power supply

50 : 제어부 60 : 디스플레이부50: control unit 60: display unit

70 : 이어잭 100 : 이동통신 단말기70: ear jack 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2 : 디스플레이부 103 : 제어부102 display unit 103 control unit

104 : 신호처리부 105 : 디스플레이 제어부104: signal processing unit 105: display control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remote control device thereof,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 device for displaying data,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제 단순히 전화통화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그 사용자에게 MP3 파일 청취수단이나 전자수첩 등으로 자리잡게 되었는바, 사용자가 항상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 longer merely providing a telephone call function but has become an MP3 file listening means or an electronic notebook for the user, and thus the user always carri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CD의 크기도 커지게 되었다. In particular, as the image or video can be taken and confirm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ize of the LCD generally used as a display mea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lso increased.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TV 등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a service for allowing a user to watch a broadcast such as a TV through the display mea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provided.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1)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미디어 칩(2)과, 제2 안테나(2)를 통해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제어부(4)와, 상기 미디어 칩(2) 및 제어부(4)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의 디스플레이 제어부(6)로 전송하는 멀티플렉서(7)로 구성된다. In the case of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illustrated in FIG. 1, a media chip 2 and a second antenna 2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through the first antenna 1 and processing the multimedia data to be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The control unit 4 for receiving wireless data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cessing and the output of the media chip 2 and the control unit 4 selectively to the display control unit 6 of the display unit 5 It consists of a multiplexer 7 to transmit.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미디어 칩이 내장되어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청하려고 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edia chip is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er wants to view the multimedia data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nother display de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is displayed. The inconvenience is that you have to connect to the devic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미디어 칩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도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which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multimedia data, the media chip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multimedia data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remote control device,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multimedia data through other display devices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am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DMB 수신 기능을 갖는 원격 제어 장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미디어 칩과, 상기 미디어 칩에서 변환된 동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remote control apparatus having a DMB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a media chip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through the antenna and converting the multimedia data into a video signal, and a video signal converted from the media chip. And an output port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변환된 동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play unit, a remote control device for receiving and converting multimedia data into a video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video signal converted by the remote control device on the display unit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수신되어 동영상 신호로 변환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변환된 동영상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전송된 동영상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receiving multimedia data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and converting the multimedia data into a video signal, and transmitting the video signal converted in the first step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hird step of displaying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in the second step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수신되어 동영상 신호로 변환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변환된 동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전송된 동영상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irst step of receiving the multimedia data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verted into a vide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converted in the first step And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in the second step to the display devi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R)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안테나(10)와, 상기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미디어 칩(20)과, 상기 미디어 칩(20)을 통해 처리된 동영상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10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and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dia chip 20 is processed to display on another display device, and a video signal output port 30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processed through the media chip 20 to the outside.

만일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순전히 오디오 신호로만 구성되는 라디오 데이터인 경우 상기 미디어 칩(20)에서는 상기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다른 스피커 등의 출력수단을 통해 청취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할 것이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30)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 아웃단자로 구성될 경우 오디오 신호 아웃단자를 통해 외부로 출력 가능하다. 또는 하기에서 설명될 별도의 이어잭을 통해 출력 가능하다. If the multimedia data is radio data consisting solely of audio signals, the media chip 20 processes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0 to be audible through an output mean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other speaker. Will print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audio signal out terminal when the video signal output port 30 is configured as the audio or video signal out terminal. Or it can be output through a separate ear jack to be described below.

이때, 상기 안테나(10)는 원격 제어 장치(또는 리모콘 장치)에 형성되는바, 이동통신 단말기와 별개로 상기 안테나(10)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antenna 10 is formed in a remote control device (or a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receives external multimedia data through the antenna 10 separate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미디어 칩(20)은 상기 안테나(10)를 통해 수신 가능한 여러 멀티미디어 신호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칩셋으로 구성 가능한 바, 본 실시예는 상기 미디어 칩(20)을 DMB용 칩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미디어 칩(20)의 종류는 서비스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규격에 따라 변동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media chip 20 can be configured as a chipset of various standard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various multimedia signals that can be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0, this embodiment limits the media chip 20 to a chip for DMB Will be explained. However, the type of the media chip 20 may vary depending on the standard of the multimedia data to be serviced.

상기 미디어 칩(20)은 상기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원 동영상 등을 복원할 수 있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바, 상기 변환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는(이하, 동영상 신호라 칭함) 상기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3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이 때, 상기 출력포트(3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단자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단자와 연결 가능하다.The media chip 20 converts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0 into an audio or video signal capable of restoring the original video. The converted audio or video signal is referred to as a video signal. It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video signal output port 30. In this case, the output port 30 may be connected to an audio or video signal input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audio or video signal input terminal of another display device.

따라서, 상기 출력포트(30)를 본원발명의 원격 제어 장치를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Therefore, by connec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other display device, the output port 30 can watch DMB broadcas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other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경우 자체적으로 상기 미디어 칩(20)이 동작 가능하도록 전원부(40)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when connected to other display devices, the media chip 20 can operate itself. The power supply unit 40 may be provided separately.

또한, 원격 제어 장치인 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부(51)와, 상기 입력부(51)를 통해 입력된 명령을 해석하고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50)를 통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하는 원격 제어 장치신호 출력부(52)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control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unit 51,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51 And a remote controller signal output unit 52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ler 5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는 상기 입력부(51)를 통해 입력된 명령이나 그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6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30) 또는 상기 미디어 칩(20)과 연결되어 상기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30)를 통해 전송되는 동영상신호 중 오디오 신호만 외부로 출력 가능한 이어잭(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60 displaying a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51 or information regard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The output port for video signal ( 30 or an ear jack 70 connected to the media chip 20 and capable of outputting only an audio signal out of a vide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video signal output port 30 may be further provided.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미디어 칩(20)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도 디스플레이 된다. 즉, 상기 미디어 칩(2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60)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60)로 미디어 칩(20)의 동작여부, DMB 신호 수신여부, DMB 신호 외부 출력여부, OSD 화면 등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60 displays not only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but also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tate of the media chip 20. That is, the media chip 2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60 to inform the display unit 60 of the operation of the media chip 20, whether the DMB signal is received, whether the DMB signal is externally output, or the OSD screen. Outputs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51)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미디어 칩(20)의 온/오프 명령, 미디어 칩(20)을 통해 변환되어 상기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30)를 통해 출력될 방송채널에 관한 명령 등, 미디어 칩(20)의 제어에 관련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verted through the on / off command of the media chip 20, the media chip 20, as well a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input unit 51 to output the video signal Signal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media chip 20 may be input, such as a command regarding a broadcast channel to be output through the port 30.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입력부(51)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미디어 칩(20)을 제어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상기 미디어 칩(2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60)로 미디어 칩(20)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The controller 50 may control the media chip 20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51, and in this case, the media chip 20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60. 20)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status is output.

한편, 상기 미디어 칩(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10)를 통해 DMB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전송단(21)과, 상기 수신된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원 동영상으로 복원하는 디코더(22)와, 상기 복원된 동영상을 출력되는 동영상신호의 포맷에 맞게 포맷 변환하는 포맷 변환기(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media chip 20 transmits a transmission terminal 21 for receiving a DMB broadcast stream through the antenna 10 and decodes the received stream to restore an original video. A decoder 22 and a format converter 23 for converting the reconstructed moving picture into a format of an output moving picture signal.

이 때, 상기 디코더(22)는 MPEG-4 디코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압축되어 전송된 스트림의 압축을 해제한 후 디코딩하여 원 동영상신호로 복원할 것이다. 상기 복원된 영상은 메모리버스를 통해 메모리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포맷 변환기(23)를 통해 규격에 맞도록 포맷 변환되어 출력된다.In this case, the decoder 22 may use an MPEG-4 decoder, and decompresses and decompresses the compressed and transmitted stream to restore the original video signal. The reconstructed image is temporarily stored in a memory through a memory bus and then converted into a format by a format converter 23 so as to meet a standard.

한편, 상기 포맷 변환기(23)는 OSD부(24)와 연결될 수 있는 바, 상기 OSD부(24)는 필요에 따라 안내 메시지와 같은 OSD 화면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디스플레비부(60)로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OSD 화면이나 OSD 화면을 구성하는 신호는 상기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30)를 통해 상기 포맷 변환기(23)를 통해 포맷 변환된 동영상 신호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필요에 따라 출력 가능하다.Meanwhile, the format converter 23 may be connected to the OSD unit 24, and the OSD unit 24 may output an OSD screen such as a guide message to the display unit 6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s necessary. Can be. Of course, the OSD screen or the signal constituting the OSD screen is output as necessar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other display device together with the video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format converter 23 through the video signal output port 30. It is possible.

기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에는 이어잭(70)이 추가로 장착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이동통신 단말기나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지 않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이어잭(70)에 이어폰이나 스피커 등을 연결하여 DMB 라디오 시청이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는 별도의 전원부(40)를 구비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ear jack 70 can be additionally moun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even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not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other display device,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connect an earphone or a speaker to the ear jack 70 to watch DMB radio. In this case,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be operable even when not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providing a separate power supply unit 40.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이 타 디스플레이 장치나 스피커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연결된 바가 도시된 도이다.3 is a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mote contro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multimedia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and speakers; The diagram shows the connected ba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R)를 통해 수신되어 변환된 동영상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바디에 장착된 디시플레시부(102)에 디스플레이한다. As shown in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mounted on a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receive a converted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R ( 102).

이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R)를 통해 시청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전화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무선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별도의 안테나(101)를 구비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antenna 10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data for performing a telephone call as the multimedia data to be view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R) is received. .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03)를 구비하게 되는 바, 상기 제어부(103)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03 for controlling the first half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103 performs a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바, 상기 제어부(103)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R)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04)와, 상기 신호처리부(104)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변환된 동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2)로 바이패스 시키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05)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the control unit 103 is a signal processing unit 104 for process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R),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for bypassing the video signal converted from the multimedia data of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unit 104 to the display unit 102.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105)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R)를 통해 동영상 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에 관한 바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2)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2)를 제어하게 된다. 단, 상기 원격 제어 장치(R)를 통해 동영상 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R)에서 출력된 동영상 신호 자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2)에 바로 디스플레이 가능한 비디오 신호이므로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2)로 바이패스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display control unit 105 displays the display unit 102 such that a bar relat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2 even when a video signal is not out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R. FIG. Will be controlled. However, when the video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R, the video signal itself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R is a video signal that can be direc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2. 102).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R)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오디오 출력수단 등과 연결된 예가 도시된 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remote control apparatus 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other display device or audio output means.

즉,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R)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여 탈부착 가능하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분리되어 TV(201) 또는 모니터(202) 또는 스피커(203) 등의 다른 출력수단과 연결 가능하다. That is, since the remote control device 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3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y wire or wirelessly, the remote control device R is sepa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o as to be detach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can be connected to other output means such as the monitor 202 or the speaker 203.

만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R)이 상기 TV(201)와 연결될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R)의 동영상신호용 출력단자(30)는 상기 TV(201)의 비디오 신호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TV(201)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비디오 신호를 상기 TV(201)로 입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TV(201)에서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If the remote control device R is connected to the TV 201, the video signal output terminal 3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R is connected to the video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TV 201 so as to connect the TV. A displayable video signal at 201 will be input to the TV 201. Therefore, the DMB broadcast can be watched on the TV 201.

만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R)이 스피커(203)와 연결된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R)의 동영상신호용 출력단자(30) 또는 이어잭(70)은 상기 스피커(203)의 오디오 신호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203)에서 출력 가능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203)로 입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203)를 통해 DMB 라디오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If the remote control device R is connected to the speaker 203, the video signal output terminal 30 or the ear jack 7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R is an audio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speaker 203.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203 is connected to the speaker 203. Therefore, the speaker 203 can listen to DMB radio broadcasts.

이상,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에 따른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종류의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수단을 통해 DMB 방송을 시청 또는 청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used by the user, the user can not only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various other types of devices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MB broadcast can be viewed or listened to through a display or output mean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분리 가능한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LCD 나 TV 등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비디오 신호 등으로 변환되어 출력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여러 멀티미디어 기기에 연결함으로서 DMB 방송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시청하거나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eive multimedia data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detachabl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emote control device As the received multimedia data is converted into a video signal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LCD or TV, and output, the user can watch or listen to multimedia data such as DMB broadcasting by connec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various multimedia devices. There is.

Claims (12)

이동 단말기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a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and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ceiving function for a mobile terminal,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미디어 칩과, 상기 미디어 칩에서 변환된 동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를 포함하는 DMB 수신부;A DMB receiving unit including an antenna, a media chip receiving multimedia data through the antenna and converting the multimedia data into a video signal, and an output port for a video signal through which the converted video signal is output from the media chip;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 및A remote control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command; And 상기 원격 제어부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DMB 수신부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information on an operation state of the remote control unit and information on an operation state of the DMB receiving unit; 상기 DMB 수신부의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A/V 입력 단자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A/V 입력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The video signal output port of the DMB receiver is connected to the A / V input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A / V input terminal of another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미디어 칩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The remot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edia chi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The remote control device is a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미디어 칩은 미디어 칩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The media chip is a remote contro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media chip to the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칩 제어명령이 입력 가능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미디어 칩을 제어하는 리모콘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The remote control unit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media chip control command; And a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the media chip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로 출력되는 동영상 신호 중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이어잭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The remot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es an ear jack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f the video signal output to the video signal output port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미디어 칩은 DMB용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The media chip is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hip for DMB.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미디어 칩은 상기 안테나로부터 DMB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단과; 상기 수신된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원 동영상으로 복원하는 디코더와; 상기 복원된 동영상을 동영상 신호 출력포맷에 맞게 포맷 변환하는 포맷변환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The media chip includes a receiving end for receiving a DMB broadcast stream from the antenna; A decoder for decoding the received stream and restoring the original video; And a format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restored video into a video signal output format. 제1 디스플레이부;A first display unit; 이동 단말기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A remote control device perform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and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ception function for the mobile terminal; And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display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onverted by the remote control unit on the first display unit.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미디어 칩과, 상기 미디어 칩에서 변환된 동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를 포함하는 DMB 수신부;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 및 상기 원격 제어부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DMB 수신부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The remote control apparatus may include: a DMB receiving unit including an antenna, a media chip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through the antenna and converting the multimedia data into a video signal, and an output port for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onverted video signal; A remote control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command; And a second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on an operation state of the remote control unit and information on an operation state of the DMB receiving unit. 상기 DMB 수신부의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A/V 입력 단자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A/V 입력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nd a video signal output port of the DMB receiving unit is connected to an A / V input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or an A / V input terminal of another display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동영상 신호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 바이패스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bypass a video signal among the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signal processor to the first display unit. 삭제delete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동작 및 안테나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remotely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command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through an antenna;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단계;Converting the received multimedia data into a video signal; 상기 원격 제어 동작에 관한 상태 정보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동작에 관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제3 단계; 및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regarding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and status information regarding the multimedia data receiving operation; And 상기 변환된 동영상 신호가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And a fourth step of transmitting the converted video signal to a display device through an output port for video signal. 상기 동영상신호용 출력포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A/V 입력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The video signal output port is connected to the A / V input terminal of the display device operating method of a remote contro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50114896A 2005-11-29 2005-11-2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2331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896A KR101233194B1 (en) 2005-11-29 2005-11-2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896A KR101233194B1 (en) 2005-11-29 2005-11-2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362A KR20070056362A (en) 2007-06-04
KR101233194B1 true KR101233194B1 (en) 2013-02-15

Family

ID=3835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896A KR101233194B1 (en) 2005-11-29 2005-11-2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19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167A (en) * 2002-07-04 2004-01-1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Broadcasting receiving and reproducing system and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KR20050033304A (en) * 2003-10-06 2005-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167A (en) * 2002-07-04 2004-01-1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Broadcasting receiving and reproducing system and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KR20050033304A (en) * 2003-10-06 2005-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362A (en)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7886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TWI555371B (en) Mobile phone and news reporting system
JP200702863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ideo communication function and video communication method
JP200511763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receiver
KR20080065790A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a plurality of module devices are connecte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008629B1 (en) DMB receiver which also serves as a mobile phone
KR10123319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JP3781744B2 (en) Audio output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002158888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remote controller
JP4359246B2 (en) Output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5464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detected from digital broadcasting signal in mobile terminal equipment
KR20080045395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v monitoring function and method for tv monitoring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JP4768592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program
KR1011023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cking station&#39;s controlling mobile station on TV display
KR200366539Y1 (en) external tv receiver to be linked mobilephone
EP160792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home theater using a wireless terminal
KR101044064B1 (en) Apparatus internet TV setup box with remote control and internet telephone and service method
JP2006054613A (en) Mobile phone having tv function, and tv driving method for mobile phone
JP2007184728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JP2008148182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8060966A (en) Wireless av system
KR20070004322A (en) Car audio system having a dmb phone interface function
KR100587426B1 (en) Portable tv module
JP2002158889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remote controller
KR2006001863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battery and time during the outputting of digital_broadcasting_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