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868B1 - System for training of CPR and Defibrillator with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 - Google Patents

System for training of CPR and Defibrillator with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868B1
KR101232868B1 KR1020110013842A KR20110013842A KR101232868B1 KR 101232868 B1 KR101232868 B1 KR 101232868B1 KR 1020110013842 A KR1020110013842 A KR 1020110013842A KR 20110013842 A KR20110013842 A KR 20110013842A KR 101232868 B1 KR101232868 B1 KR 101232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defibrillator
simulator
cp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02178A (en
Inventor
양승진
김대용
김남혁
정승훈
김병진
장인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
Priority to KR1020110013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868B1/en
Publication of KR20120102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1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8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rd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으로,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을 위한 인체형의 시뮬레이터와, 사용자로부터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교육 요청에 따라, 훈련 절차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따라하기 기능, 훈련 절차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식인 음성, 문자, 그림을 통하여 표시함으로써 실습자가 용이하게 훈련과정을 숙지 할 수 있는 기초학습 기능,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실습자의 훈련 절차에 따른 상태를 감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훈련 상황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해주는 단말, 훈련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데이터의 표시, 저장 및 외부 기기를 이용한 프린트가 가능한 종합평가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the humanoid simulato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according to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training request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following to output the training procedure information Functions and training procedures are displayed through voice, text, and pictures in a visual or audible manner. Basic learning function enables the learner to easily understand the training process, and through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s sensing information that detects the status, and outputs the training situation visually or acoustically,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function that can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training results to display, store and print data using external devices. It is done.

Figure R1020110013842
Figure R1020110013842

Description

교육 프로그램이 내장된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System for training of CPR and Defibrillator with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with built-in training program {System for training of CPR and Defibrillator with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

본 발명은 모의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ock training systems, and more particularly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s.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 치료법이다.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s an emergency treatment that artificially circulates blood and helps breathing when a heart attack occurs.

제세동기(Defibrillator)는 심장에 전기충격을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의료기기로서 전문 응급 구조사들이 사용하는 수동형 제세동기와 일반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형 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로 구분될 수 있다.A defibrillator is a medical device that recharges the heart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the heart,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a manual defibrillator used by professional emergency rescuers and an automatic defibrillator (AED) that can be easi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의 사용은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도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되는 것을 막고, 심장이 마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급성 심장마비 환자에게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소생율이 50% 이상으로 향상된다는 통계가 있다. 이와 같이 심장마비환자 발견 즉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의 사용이 중요하며,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증가하고 있다.CPR and the use of defibrillators help circulate blood even when the heart is paralyzed, preventing brain damage and helping the heart recover from a paralysis. According to statistics, CPR within 4 minutes improves the survival rate to 50% or more. As suc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the use of defibrillators are important, and awareness of the need is increasing.

심폐소생술은 기본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의식확인 단계, 환자가 무의식 상태일 경우, 주변 사람 또는 119에 위급 상황 신고 단계, 혀 근육 이완으로 인한 기도폐쇄를 방지하기 위해서 머리를 젖혀 턱을 들어 올리는 기도확보 단계, 경동맥의 맥박을 확인하는 맥박확인 단계, 심장이 정지한 환자의 심장을 압박하는 흉부압박 단계, 환자의 숨소리가 들리는지 숨결이 느껴지는지를 확인하면서 흉부가 오르내리는지를 관찰하여 호흡이 없으면 심장마비 환자로 판단하여 인공호흡을 시작하기 위한 호흡확인 단계, 호흡이 정지된 환자의 폐에 공기를 불어넣는 인공호흡 단계, 그리고 이후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119 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하는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 단계로 진행된다.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basically a consciousness check step that checks the patient's condition, a person who is unconscious, reports an emergency situation to a neighbor or 119, and lifts the jaw with the head raised to prevent airway obstruction due to tongue muscle relaxation. If there is no breathing, check the airway stage, the pulse stage to check the pulse of the carotid artery, the chest pressure stage to press the heart of the patient with the heart stopped, and the chest rise and fall while checking whether the patient can hear or feel the breath. Respiratory confirmation phase to start the respiration, judged as a heart attack patient, resuscitation step to blow air into the lungs of the patient who stopped breathing, and then repeated chest compressions and resuscitation until the 119 paramedics arrive on site This is followed by repeated chest compressions and resuscitation.

한편, 심폐소생술과 더불어 최근에는 전기충격 치료를 통해 심장의 불규칙한 심전도 전기신호를 제거하여 정상 심전도 신호로 회복시키는 제세동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제세동기는 급성 심장마비 환자의 심장에 전기충격을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의료기기로서 환자의 심장파형 상태가 정상인지 아니면, 심실세동, 심실빈맥의 비정상 파형인지를 판단하여 강제로 전기 충격을 가함으로써 심장이 정상파형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장치이다. 최근 다중이용시설 등에 설치를 의무화하라는 법안의 통과로 일반인이 용이한 사용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음성으로 사용법을 안내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e use of a defibrillator to remove the irregular ECG electrical signals of the heart through the electroshock treatment to restore to normal ECG signals in recent years. A defibrillator is a medical device that recharges the heart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the heart of an acute heart attack patient. The defibrillator is forced to apply an electric shock to determine whether the patient has a normal waveform or abnormal waveforms of ventricular fibrillation and ventricular tachycardia. It is a device to return to the normal waveform. Recently, the installation of automatic defibrillators, which can be easi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is increasing due to the passage of a law requiring mandatory installation in multi-use facilities, and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anyone can use it easily by guiding how to use it by voice.

그런데, 종래에는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평가용 시뮬레이터의 모니터링 장치의 경우 단순히 훈련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LED를 점등하는 수준으로,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에서 사실감이 떨어진다. 즉,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실습 과정에서 위치, 흉부압박깊이, 흉부압박속도, 인공호흡량, 과신전표시 등의 기본적 사항에 대한 결과 표시만 가능하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in the case of the monitoring device of the CPR and the simulator for training / evaluating the defibrillator, the LED is simply turned on to indicate the training state, and the realism is poor in real time education. That is, only the results of the basic matters such as position, chest compression depth, chest compression rate, ventilation volume, and hyperextension display during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can be displayed.

또한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평가용 시뮬레이터의 프로그램의 경우 교육자의 지시에 따라서 실습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교육자가 없거나 혼자 훈련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이 불가능하고, 또한 소수의 교육자가 다수의 실습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수행하여 교육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 evaluation simulator programs are conducted as a process of carrying out exercise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educator. Therefore,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is impossible if there is no educator or if you want to perform training alone. In addition, a small number of educators perform education for a large number of practitioners,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decreases.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과정의 사실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PR and a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realism of the training process using the CPR and defibrillator simulator.

본 발명은 교육자의 지도없이 훈련 과정시 음성 지원을 통해 훈련 가능한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that can be trained through voice support during a training course without the guidance of an educator.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으로,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을 위한 인체형의 시뮬레이터와, 사용자로부터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교육 요청에 따라, 훈련 절차 정보 및 기초학습 과정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실습자의 훈련 절차에 따른 상태를 감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훈련 상황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해주는 단말, 훈련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데이터의 표시, 저장 및 외부 기기를 이용한 프린트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a humanoid simulato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and the training procedure information and basic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raining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from the user, visual or auditory And sensing data from the simulator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o detect the state according to the training procedure of the trainee. The display, storage and print function using an external device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과정을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실습자가 실제 상황과 같은 긴장감과 사실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training process using the CPR and the defibrillator simulator to be visually and audibly output,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feel the tension and realism as in a real situation.

또한,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절차를 음성을 통해 출력하고, 기초학습 기능을 통하여 시각적, 청각적으로 자가학습이 가능하여 교육자가 없이도 초보자 스스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training process using the CPR and the defibrillator simulator through the voice, and through the basic learning function can be self-learning visually and audiologically to enable beginners to learn themselves without an educator There is th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기초학습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의 출력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기초학습 메뉴에서 심폐소생술의 사용 방법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출력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기초학습 메뉴에서 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방법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출력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평가를 위한 실습자 설정과 실습 대상이 되는 시뮬레이터와 연결시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평가를 위한 실습 상태를 출력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평가 결과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PR and a defibrillator train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utput screen when a basic learning request signal is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utput screen when a signal for selecting a method of using CPR is input in a basic learning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utput screen when a method of selecting a method of using an AED is input in a basic learning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tup screen for setting up a traine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evaluation and connecting with a simulator which is a training targe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enario setting scree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ting a training st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PR and a defibrillator training evaluation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sufficiently modifi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custom, etc. of the user o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ar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PR and a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시뮬레이터(100)와, 상기 시뮬레이터(110)와 유/무선 연결되어 시뮬레이터(110)로부터의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200-1, 200-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mulator 100, a terminal 200-1 connected to the simulator 110 by wire / wireless and receiving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imulator 110. 200-2).

시뮬레이터(110)는 실제 인체의 형상과 유사한 전신형 인체 모형으로, 내부에 기도 모듈, 흉부 모듈, 인공호흡 모듈, 맥박 모듈을 포함하여 압박횟수, 압박위치, 압박깊이, 압박속도 및 인공호흡량 등의 측정이 가능하다. 각각의 모듈들은 실습자의 훈련 과정에 따른 시뮬레이터(110)의 상태를 감지한 센싱 정보를 단말(200-1, 200-2)에 전송한다. Simulator 110 is a full-body human body model similar to the shape of the actual human body, including the airway module, chest module, ventilation module, pulse module, the number of compressions, compression position, compression depth, compression speed and ventilation volume, etc. Measurement is possible. Each module transmits sensing information detecting the state of the simulator 110 according to the training process of the trainee to the terminals 200-1 and 200-2.

단말(200-1, 200-2)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터치 패널 등의 이동 통신 단말뿐만 아니라,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단말 장치(200-1, 200-2)는 시뮬레이터(110) 내부에 포함된 다수의 모듈 각각으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해 줄 수 있는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The terminals 200-1 and 200-2 may include not on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touch panels, but also personal computers such as desktop computers and laptops. .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s 200-1 and 200-2 may be applied to all devices capabl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sensing information from each of a plurality of modules included in the simulator 110.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단말 장치(200-1, 200-2)는 일반인, 미숙련자를 포함하는 실습자를 훈련시키기 위한 훈련 정보를 제공하는 실습용 단말일 수도 있고, 의사, 간호사, 응급 구조사를 포함하는 전문적 응급 구조사들이 다수의 실습자의 훈련 결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평가용 단말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습용 단말(200-1)로 터치패널이 도시되어 있고, 평가용 단말(200-2)로 PC/노트북이 도시되어 있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 200-1, 200-2 may be a training terminal that provides training information for training a practitioner including a general person and an unskilled person, and may be a doctor, a nurse, or an emergency rescuer. Professional emergency rescue workers including a may be an evaluation terminal for monitoring the training results of a plurality of practitioners. Referring to FIG. 1, an example in which a touch panel is illustrated as a training terminal 200-1 and a PC / laptop is illustrated as an evaluation terminal 200-2 is illustrat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단말(200-1, 200-2)는 상세하게는 표시부(210), 조작부(220), 통신부(230), 음향 출력부(240), 메모리(250), 제어부(260) 및 인터페이스부(27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terminals 200-1 and 200-2 may include a display unit 210, an operation unit 220, a communication unit 230, an audio output unit 240, a memory 250, and a controller 260. ) And an interface unit 270.

표시부(2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LCD와 같이 영상 또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이는 단말에 내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외장형으로 USB 포트와 같은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별도로 접속될 수도 있다. 표시부(210)는 단말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데, 제어 동작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 표시부(210)는 조작부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10 is a means for outputting an image input from the outside and may be a panel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or text, such as an LCD. In addition,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embedded in the terminal, or may be connected externally through an interface means such as a USB port. The display unit 210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rminal, and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ontrol operation. In addition, when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ms a mutual layer structure, the display unit 210 may be used as an operation unit.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인 조작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수단으로, 일 예로 키 버튼 누름시마다 키정보를 발생하는 키입력부나, 터치 센서, 마우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220, which is a user interface unit, is a mean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For example, the manipulation unit 220 may include a key input unit, a touch sensor, a mouse, and the like that generate key information every time a key button is pressed.

통신부(230)는 시뮬레이터(100)와의 신호 송수신을 처리하는 것으로,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처리 기능을 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Fi), UWB(Ultra Wid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ANT+ 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processe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simulator 100 and performs a wired communication or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functi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infrared communication (IrDA), ZigBee (ZigBee), Bluetooth (Bluetooth), wireless LAN (WiFi), UWB (Ultra WideB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T +.

음향 출력부(240)는 제어부(260)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가청음의 형태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심폐소생술 훈련 교육을 위해 훈련 순서 및 기초학습 과정이 음향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240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260 in the form of an audible sound, and may include a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ining sequence and the basic learning process for CPR training can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40.

메모리(250)는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되는 시뮬레이터(100)를 이용한 훈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습자별 실습 결과 정보를 저장한다. The memory 250 stores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trainee that occurs in a training process using the simulator 100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제어부(26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를 위한 하드웨어 프로세서 또는 이 하드웨어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크게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기능과 평가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260 controls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may be a hardware processor for this purpose or a software module executed in the hardwar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60 performs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function and evalu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터페이스부(270)는 훈련 결과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프린트 또는 외부 저장 장치와의 연결 수단으로, 출력 포트 또는 USB가 포함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270 is a connection means with a print or an external storage device for outputting training result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n output port or a USB.

우선 제어부(260)가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controller 260 performs a CPR and a defibrillator training function.

제어부(260)는 심폐소생술 훈련 기능 요청에 따라, 통신부(230)를 통해 시뮬레이터(100)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심폐소생술 훈련용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습 화면을 표시부(210)에 출력한다.In response to the CPR training function request, the controller 260 drives the simulato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and displays a training screen using the CPR training simulator as shown in FIG. 3 on the display unit 210. Output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크게 실시간 시뮬레이터 센싱 정보, 훈련 결과 정보 및 교육 정보를 표시부(210)에 출력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260 largely outputs real-time simulator sensing information, training result information, and edu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210.

실시간 시뮬레이터 센싱 정보는 통신부(230)를 통해 심폐소생술 훈련 과정 중에 시뮬레이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정보에 따른 정보로써, 의식확인(11), 기도확보(12), 맥박확인(13) 여부 정보와, 인공호흡량(14), 압박깊이(15), 평균압박속도(16)와, 압박위치(17), 맥박촉지여부(18), 제세동 패드 부착 여부(1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real-time simulator sens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imulator 100 during the CPR training proces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and whether the consciousness confirmation (11), airway acquisition (12), pulse confirmation (13) information , At least one of the artificial respiration amount 14, the depth of compression 15, the average compression speed 16, the compression position 17, the pulse palpation 18, and whether the defibrillation pad is attached 19.

제어부(260)는 실습 화면의 의식확인(11), 기도확보(12), 맥박확인(13) 여부를 출력하는 항목 버튼의 색 또는 명암을 변화시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60)는 의식확인, 기도확보, 맥박확인 여부를 미리 약속된 소정 음향 또는 음성으로 출력해줄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260 may change the color or contrast of an item button for outputting whether the consciousness check 11, the airway check 12, and the pulse check 13 are displayed on the training screen, so that the user may recognize it. In addi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60 may output whether the consciousness confirmation, the airway secured, the pulse confirmation as a predetermined sound or voice.

즉, 제어부(260)는 시뮬레이터(100) 내부에 설치된 충격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환자의 의식확인을 위한 행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여 의식확인 여부를 나타내며, 기도확보를 위한 행동시 기도확보 여부뿐만 아니라 목이 과도하게 꺾였을 때와 같은 과신전 여부도 함께 표시한다. 또한 맥박확인시 맥박촉지위치와 촉지시간을 측정하여 실습자가 올바른 맥박확인 절차를 수행하였는지 검사하여 나타낸다.That is, the control unit 260 detects the shock generated during the action to confirm the consciousness of the patient by using the shock sensor module installed inside the simulator 100 to indicate whether or not to confirm the consciousness, as well as whether to secure the airway during the action to secure the airway. It also indicates whether the person is overextended, such as when the neck is excessively bent. In addition, by checking the pulse location and the time of palpation during the pulse check, it shows that the practitioner performed the correct pulse checking procedure.

또한, 제어부(260)는 인공호흡/흉부압박 실습시 인공호흡량(14), 압박깊이(15), 평균압박속도(16)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막대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실습 화면의 소정 영역에 인체 모양을 출력하고, 출력된 인체 모양에 압박위치(17), 맥박촉지여부(18), 제세동 패드 부착 여부 정보(19)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습 종료시 평균호흡량, 평균압박깊이, 평균빠르기, 평균압박속도와 같은 통계 처리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실시간 표현되는 시각적인 그래프 및 이미지 정보는 실습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실습자의 잘못된 행위를 올바르게 고칠 수 있도록 도와준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60 may display the artificial respiration amount 14, the compression depth 15, and the average compression rate 16 in a real-time bar graph as shown in FIG. 3. In addition, the controller 260 may output a human body shape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raining screen, and display the compression position 17, the pulse pacing guide 18, and whether the defibrillation pad is attached 19 on the output human body shape. . It also shows statistically processed data such as average breath volume, average compression depth, average speed, and average compression rate at the end of the exercise. This visual representation of visual and image information in real time helps correct corrective behaviors that can occur during practice.

훈련 결과 정보는 실시간 시뮬레이터 센싱 정보에 따라 산출된 통계 정보로써, 실습이력 정보(20), 흉부압박/인공호흡의 사이클 횟수(21), 인공호흡에 따른 결과 정보(22), 흉부압박에 따른 결과 정보(23) 및 제세동 실시횟수(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raining result information is statistical informatio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al-time simulator sensing information, training history information (20), the number of cycles of chest compressions / artificial respiration (21), the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rtificial respiration (22), the results according to chest compressions And at least one of information 23 and defibrillation frequency 24.

제어부(260)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습 과정에 따라 시간 순으로 기록하여 실습이력 정보(20)로 실습 화면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실습이력 표시 기능은 정확한 순서에 의해 진행되는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과정 동안 실습자가 실습 순서에 맞게 실습을 수행했는지 알 수 있으며, 또한 얼마나 신속하게 실습을 수행했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60 records i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 to the training process using the CPR simulator and outputs the training history information 20 to the training screen. This practice history display function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how quickly the practice was performed in the practice sequence during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proceeding in the correct sequence, and how quickly the practice was performed. .

그리고, 제어부(260)는 시뮬레이터(100)를 통해 실행된 흉부압박/인공호흡의 사이클 횟수(21)와 정확도를 산출하여 실습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인공호흡에 따른 결과 정보(22)로 인공호흡횟수, 과도호흡횟수, 복부팽만횟수 및 정상호흡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테이블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흉부압박에 따른 결과 정보(22)로 압박횟수, 정상위치, 정상깊이, 압박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테이블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테이블을 통하여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는 실시간 흉부압박/인공호흡 사이클횟수, 호흡횟수, 과도호흡횟수, 복부팽만횟수, 압박횟수, 정상위치, 정상깊이, 압박정확도, 제세동 실시횟수 등의 통계 데이터를 표시하며, 이와 같은 통계 데이터들은 실습자나 관련 강사가 훈련 과정을 총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실습과정에서 발생되는 잘못된 행위를 체계적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60 calculates the cycle number 21 and the accuracy of the chest compressions / artificial breaths executed through the simulator 100 and outputs the accuracy to the training screen. In addition, the controller 260 may output the result information 22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in the form of a tabl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entilations, excessive breathing, abdominal distension and normal breathing.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60 may output the result information 22 according to chest compression in the form of a tabl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compressions, the normal position, the normal depth, and the compression accuracy. The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result data through the table displays statistical data such as real-time chest compression / artificial breathing cycle number, respiratory frequency, hyperventilation frequency, abdominal distension, compression frequency, normal position, normal depth, compression accuracy, defibrillation frequency, etc. These statistical data can be used by the practitioner or the related instructor to check the training process as a whole so that systematic errors can be corrected.

또한, 실습 화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훈련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프린트 항목(25)이 포함되어, 제어부(260)는 조작부(2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프린트 요청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훈련 결과 정보를 출력해줄 수도 있다. 즉, 제어부(260)는 훈련 결과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프린트 출력되도록 하거나, 외부 저장 장치로 데이터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습 결과의 기록 및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ining screen includes a print item 25 to output the training resul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60, as a print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unit 220, the training result It can also output information. That is, the controller 260 may print out the training result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270 or transmit data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This allows for the recording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results of the exercis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60)는 흉부압박 실습시에 선택적으로 메트로놈 기능(26)을 활성화한다. 여기서, 메트로놈 기능(26)이란 국제 심폐소생술 협회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흉부압박속도에 맞게 훈련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260)는 시뮬레이터(100)에 설치된 음향 출력 수단인 버저를 활용하여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압박 속도에 맞춰서 실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기본적으로 분당 100회 속도의 버저음이 흉부압박 실습시에만 선택적으로 발생되며, 실습이 멈추면 2초 후 자동으로 멈추게 된다. 또한 설정 메뉴를 통해 메트로놈의 속도가 가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60 selectively activates the metronome function 26 during chest compression training. Here, the metronome function 26 is for training according to the chest compression speed proposed in the guidelines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CPR, and the controller 260 guides by using a buzzer which is an acoustic output means installed in the simulator 100. Helps you perform the exercises at the speed of the line. By default, the buzzing sound of 100 times per minute is selectively generated only during chest compression exercises, and automatically stops after 2 seconds when the exercises are stopped. The speed of the metronome can also be changed via the Settings menu.

교육 정보로는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전문적 응급 구조사나 강사의 도움없이 쉽게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따라하기(27) 및 기초학습(28)이 포함된다.The training information includes those who are new to CPR and defibrillators so that the training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the help of a professional emergency rescuer or an instructor. Referring to FIG. 3, follow-up (27) and basic learning (28) are included. do.

따라하기(27)는 실습시에 실습자가 훈련 절차를 따라하도록 훈련 절차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이고, 기초학습(28)은 실습전에 실습자가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절차를 숙지하도록 훈련 절차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이다.Follow (27) is the ability to audibly output training procedure information so that the practitioner follows the training procedure during the practice, and basic learning (28) allows the practitioner to become familiar with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procedures before the exercise. This function is to output training procedure information visually or acoustically.

사용자로부터 조작부(220)를 통해 따라하기(27)의 선택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제어부(210)는 훈련 순서 정보를 음향 출력부(240)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어부(260)는 의식확인, 흉부압박, 기도확보, 인공호흡, AED 준비를 안내하는 멘트가 순차적으로 음향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각각의 안내 멘트가 출력된 후, 상시 시뮬레이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정보에 따라 실습자가 출력된 안내 멘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였는지를 확인하여 다음 안내 멘트를 자동적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소수의 교육자가 다수의 실습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수행할 때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하게 되고, 실습자는 실습 순서 및 실습 방법을 쉽게 터득할 수 있다.As the selection signal of Follow Me 27 is input from the user via the control unit 220, the controller 210 sequentially outputs the training sequence information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40.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 unit 260 allows the consciousness confirmation, chest compressions, airway acquisition, artificial respiration, and the announcements for guiding AED preparation to be sequentially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40. Then, after each guide comment is output, the controller 210 checks whether the practitioner has performed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guide comment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imulator 100 and automatically outputs the next guide comment. . Therefore, when a small number of educators carry out education for a large number of practitioners, effective education becomes possible, and practitioners can easily learn the order of practice and how to practice.

사용자로부터 조작부(220)를 통해 기초학습(28)의 선택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제어부(2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폐소생술 사용 방법'과 '자동제세동기 사용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이 포함된 화면을 출력한다.As the selection signal of the basic learning 28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unit 220, the control unit 260 may select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ing method' and 'a method of using an automatic defibrillator' as shown in FIG. 4. Print a screen containing the menu items.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기초학습 메뉴에서 심폐소생술의 사용 방법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출력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기초학습 메뉴에서 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방법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출력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utput screen when a method of using CPR is selected in the basic learning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method of using the AED in the basic learning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utput screen when a selection signal is inpu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심폐소생술 사용 방법 또는 제세동기 사용 방법 설명을 음성, 문자, 그림을 통하여 표시부(210)에 출력한다. 그리고, 각 화면에는 자동 재생, 이전 페이지로 돌아가기, 다음 페이지로 넘김, 음소거, 나가기 요청 입력 항목이 포함되어 있어, 실습자가 용이하게 훈련 과정을 숙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사용을 처음 접하거나, 숙달되지 않은 실습자가 상기 프로그램을 통하여 훈련 과정을 실습전에 미리 숙지하고 실습에 임한다면, 교육의 효과가 증대될 것이다.5 and 6, the controller 260 outputs a description of a method of using CPR or a defibrillator to the display unit 210 through voice, text, and picture. Each screen includes auto play, return to previous page, turn to next page, mute, and exit request input items,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easily learn the training process. Therefore, if CPR is used for the first time, or an inexperienced practitioner is familiar with the training course before the practice and performs the training through the program, the effect of education will be increased.

다음으로 제어부(260)가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평가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Next, an operation of performing the CPR and the defibrillator evaluation function by the controller 260 will be described.

제어부(260)는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평가 요청에 따라, 실습 대상이 되는 시뮬레이터를 연결 설정하는 기능, 실습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기능, 현재 연결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는 실습 상태를 출력하는 기능, 실습 상태에 따라 평가 통계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CPR and the defibrillator evaluation request, the controller 260 connects and sets a simulator to be a training target, sets a training scenario, outputs a training state using a currently connected simulator, and evaluates the training state. Outputs statistical results.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평가를 위한 실습자 설정과 실습 대상이 되는 시뮬레이터와 연결시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tup screen for setting up a traine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evaluation and connecting with a simulator which is a training target.

도 7을 참조하면, 실습 설정 화면에는 크게 훈련 모드 설정과 같은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평가에 필요한 시나리오 설정 항목과, 실습자 설정 항목, 실습 대상이 되는 시뮬레이터를 연결하는 설정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training setting screen includes a scenario setting item necessary for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 evaluation such as training mode setting, a trainee setting item, and a setting item for connecting a simulator to be trained. .

상기 시나리오 설정 항목은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사용과 관련된 가이드라인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나타내며, 국제심폐소생술 협회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가이드라인뿐만 아니라 국가별 권장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사용 프로토콜에 따라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The scenario setting item indicates a menu for setting guidelines related to CPR and defibrillator use, and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recommended CPR and defibrillator protocols by country as well as the basic guidelines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CPR Association. Configur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평가를 위한 가이드 라인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guideline setting scree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훈련 모드에서 1인 심폐소생술, 2인 심폐소생술, 인공호흡만 수행, 흉부압박만 수행, 1회 제세동사용, 2회 제세동사용 등의 여러 증례의 시나리오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어서 상황에 맞는 훈련 및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raining mode, you can select scenario programs for multiple cases, such as single-pulmonary resuscitation, double-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esuscitation only, chest compression only, one-time use of defibrillation, and two-time use of defibrillation. Can be performed.

실습자와 실습 대상이 되는 시뮬레이터를 연결하는 설정 항목에서 실습자의 수험번호, 이름, 성별, 생년월일, 전화번호, 실습 평가자 등의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습자 정보와 해당 PC 및 노트북에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시뮬레이터의 목록을 선택함으로써 실습자와 시뮬레이터의 자동 연결이 수행된다.You can enter and save the information such as the student's examinee's test number, name, gender, date of birth, phone number, and practice evaluator in the setting items that connect the exerciser to the simulator to be practiced. By selecting the list of simulators connected to the notebook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simulator and the simulator are automatically connected.

도 7에 도시된 설정 화면을 통해 설정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부(260)는 연결 설정된 시뮬레이터(100)를 통해 실습자의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평가를 위한 실습 상태를 출력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표시부(210)에 출력한다.When the input of the setting inform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setting screen illustrated in FIG. 7, the controller 260 outputs a training st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evaluation of a trainee through the connected simulator 100. The screen as shown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210.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평가를 위한 실습 상태를 출력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ting a training st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의사, 간호사, 응급구조사 등 전문적 응급구조사들의 평가를 위하여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항목을 세분화하였으며, 인공호흡 및 흉부압박 실습 데이터를 실시간 선그래프로 나타내어 전체적인 실습 결과를 한눈에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동공확인, 호흡확인, AED 요청 등 평가자 항목을 만들어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평가에 있어 상세한 부분까지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화면 전환 버튼을 이용하여 다수가 실습하는 환경에서 동시에 실습 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실습 과정을 이미지 파일 및 엑셀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게 만들어서 실습 결과에 대한 관리 및 분석이 용이하게 하였다.Referring to FIG. 9,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items were subdivided for evaluation of professional emergency rescue workers such as doctors, nurses, emergency rescue workers, and artificial respiration and chest compression training data by real-time line graphs. It was configured for easy identification. In addition, evaluator items such as pupil confirmation, respiration check, and AED request were made to evaluate the details of CPR and defibrillator evaluation, and the screen switching button can be used to observe the training process at the same time in a multi-practice environment. It was configured to be. In addition, the training process can be saved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and an Excel file to facilitate management and analysis of the training results.

시뮬레이터(100)를 통한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이 완료됨에 따라, 제어부(260)는 평가 결과를 표시부(210)에 출력해줄 수 있다.As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through the simulator 100 is completed, the controller 260 may output the evaluation result to the display unit 21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평가 결과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PR and a defibrillator training evaluation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에 대한 평가 결과의 통계 처리되어 출력됨을 알 수 있다. 결과 출력 화면은 실습자 정보를 나타내는 부분과 총실습시간, 평균호흡량, 평균압박깊이, 평균압박속도 등 통계 처리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통계 처리된 데이터는 압박깊이 분석결과, 압박위치 분석결과, 인공호흡 분석결과 등을 파이 차트 형태로 나타내어 평가자가 전체적인 데이터를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전체 결과 데이터는 이미지 저장 및 프린트 기능을 이용하여 평가 결과에 대한 배포 및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하였다.Referring to Figure 10, it can be seen that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evaluation results for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is output. The result output screen is composed of a part which shows the practitioner information and a part which shows statistically processed data such as total training time, average breathing volume, average compression depth, average compression speed,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statistically processed data shows the results of the compression depth analysis, the compression position analysis, and the ventilation analysis in the form of a pie chart so that the evaluator can easily analyze the entire data. In this way,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the evaluation results are organized systematically.

Claims (8)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을 위한 인체형의 시뮬레이터와,
사용자로부터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교육 요청에 따라, 실습시에 실습자가 훈련 절차를 따라하도록 훈련 절차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따라하기 기능을 수행하고, 실습전에 실습자가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절차를 숙지하도록 훈련 절차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기초학습 기능을 수행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실습자의 훈련 절차에 따른 상태를 감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훈련 상황 또는 훈련 결과의 평가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거나, 외부로 출력하는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조작부와,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센싱 정보를 유선 또는 근거리 무선 송수신 처리하여 출력하는 통신부와,
상기 훈련 절차 정보를 가청음의 형태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와,
사용자로부터 심폐소생술 훈련 실습 요청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시뮬레이터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심폐소생술 훈련용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습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심폐소생술 훈련 과정 중에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시뮬레이터 센싱 정보를 출력하되,
의식확인 여부, 기도확보 여부, 맥박확인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해당 버튼의 색 또는 명암을 변화시켜 출력하거나,
흉부압박/인공호흡 실습시의 인공호흡량, 압박깊이, 평균압박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실시간 막대그래프의 형태로 출력하거나,
실습 화면의 소정 영역에 인체 모양을 출력하고, 출력된 인체 모양에 압박위치, 맥박촉지여부, 제세동 패드 부착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Humanoid simulator for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according to the request from the user, perform the follow-up function to output the training procedure information acoustically so that the practitioner to follow the training procedure at the time of the practice, and before the practice the practitioner will perform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procedures Perform a basic learning function to visually or audibly output training procedure information so as to be familiar with, and receive sensing information detecting a state according to a training procedure of a trainee from the simulator through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It includes a terminal that outputs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result visually or audibly or externally,
The terminal
A display unit which outputs an image related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operation;
An operation unit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 communication unit which outputs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imulator by wired or short-rang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 audio output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training procedur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audible sou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training screen using the CPR training simulator while driving a simula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 CPR training practice request from a user,
The control unit
Outputs real-time simulator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imulator during CPR training,
Outpu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consciousness check, airway check, pulse check by changing the color or contrast of the button,
Outpu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ventilation volume, compression depth, and average compression speed during chest compression / artificial breathing practice in the form of a real-time bar grap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human body shape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raining screen, and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compression position, pulse palpation, whether the defibrillation pad is attached to the output human body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는
기도 모듈, 흉부 모듈, 인공호흡 모듈, 맥박 모듈을 포함하여, 압박횟수, 압박위치, 압박깊이, 압박속도 및 인공호흡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mulator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compressions, compression position, compression depth, compression speed, and ventilation volume, including an airway module, a chest module, a ventilation module, and a pulse modul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to detect the touch movement is a mutual layer structur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시뮬레이터 센싱 정보에 따라 산출된 통계 정보인 훈련 결과 정보를 출력하되,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습 과정을 시간 순으로 기록한 실습이력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시뮬레이터를 통해 실행된 흉부압박/인공호흡의 사이클 횟수와 정확도를 산출하여 출력하거나,
인공호흡에 따른 결과 정보로 인공호흡횟수, 과도호흡횟수, 복부팽만횟수 및 정상호흡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테이블의 형태로 출력하거나,
흉부압박에 따른 결과 정보로 압박횟수, 정상위치, 정상깊이, 압박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테이블의 형태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training result information, which is statistical informatio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al-time simulator sensing information,
Output training history information that records the training process using CPR simulator in chronological order,
Calculating and outputting the cycle number and accuracy of chest compressions / artificial breaths performed through the simulator;
As a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is output in the form of a tabl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artificial respiration, excessive breathing, abdominal distension and normal breathing, 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in the form of a table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compressions, normal position, normal depth, compression accuracy as a result of the compres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훈련 결과 외부 출력 요청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훈련 결과 정보를 프린트로 출력되도록 하거나,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training result information as a print or output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as a training result external output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a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흉부압박 실습시, 상기 시뮬레이터에 설치된 음향 출력 수단인 버저를 통해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압박속도에 맞추어 메트로놈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efibrillator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chest compression training, the metronome signal is output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speed suggested in the guideline through the buzzer which is the sound output means installed in the simulator.
KR1020110013842A 2011-02-16 2011-02-16 System for training of CPR and Defibrillator with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 KR1012328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842A KR101232868B1 (en) 2011-02-16 2011-02-16 System for training of CPR and Defibrillator with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842A KR101232868B1 (en) 2011-02-16 2011-02-16 System for training of CPR and Defibrillator with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178A KR20120102178A (en) 2012-09-18
KR101232868B1 true KR101232868B1 (en) 2013-02-15

Family

ID=4711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842A KR101232868B1 (en) 2011-02-16 2011-02-16 System for training of CPR and Defibrillator with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86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380A (en) 2015-07-22 2017-02-02 주식회사 아이엠랩 Apparatus and method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WO2018062679A3 (en) * 2016-09-29 2018-08-23 주식회사 아이엠랩 Basic emergency rescue training simulation system
US11158211B2 (en) 2017-07-04 2021-10-26 Innosonian In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pparatus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evalua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9617A1 (en) * 2012-10-10 2014-04-10 Richard D. Tallman, JR. Patient simulation system for medical services or diagnostic machines
KR101419655B1 (en) * 2013-06-07 2014-07-15 주성주 The system to evaluate training with bookmark and the method of it
WO2015008935A1 (en) * 2013-07-16 2015-01-22 주식회사 아이엠랩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cpr) training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636759B1 (en) * 2013-12-09 2016-07-20 주식회사 아이엠랩 Cpr training simula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CN107737006A (en) * 2017-11-28 2018-02-27 王本慧 A kind of Wristwatch type CPR inductors
WO2020167207A1 (en) * 2019-02-11 2020-08-20 Joelsson Thomas Arrangement and system for cardiac care training
CN110867117B (en) * 2019-11-29 2022-04-01 苏州维伟思医疗科技有限公司 AED operation train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system
WO2022010176A1 (en) * 2020-07-06 2022-01-13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Client-customiz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ystem
CN113990138A (en) * 2021-11-02 2022-01-28 山东大学齐鲁医院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guiding external chest compression depth and frequenc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0712A1 (en) 1998-11-20 2000-06-02 Medtronic Physio-Control Manufacturing Corp. Visual and aural user interface for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US6193519B1 (en) * 1996-05-08 2001-02-27 Gaumard Scientific, Inc. Computerized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JP2007130120A (en) 2005-11-09 2007-05-31 Normeca Asia:Kk Voc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irective device
KR100985078B1 (en) * 2010-04-06 2010-10-04 이은숙 Indicating apparatus and its manikin for tor training of cp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3519B1 (en) * 1996-05-08 2001-02-27 Gaumard Scientific, Inc. Computerized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WO2000030712A1 (en) 1998-11-20 2000-06-02 Medtronic Physio-Control Manufacturing Corp. Visual and aural user interface for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JP2007130120A (en) 2005-11-09 2007-05-31 Normeca Asia:Kk Voc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irective device
KR100985078B1 (en) * 2010-04-06 2010-10-04 이은숙 Indicating apparatus and its manikin for tor training of cp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380A (en) 2015-07-22 2017-02-02 주식회사 아이엠랩 Apparatus and method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WO2018062679A3 (en) * 2016-09-29 2018-08-23 주식회사 아이엠랩 Basic emergency rescue training simulation system
US11158211B2 (en) 2017-07-04 2021-10-26 Innosonian In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pparatus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evalu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178A (en)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868B1 (en) System for training of CPR and Defibrillator with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
Marsch et al. ABC versus CAB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prospective, randomized simulator-based trial
Semeraro et al. iCPR: a new application of high-qualit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Roppolo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traditional training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to self-directed CPR learning in first year medical students: The two-person CPR study
US6535714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edical device training
US9583025B2 (en) System, components and methodologies for training and testing on cardiac compressions
KR101636759B1 (en) Cpr training simula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KR101445978B1 (en) Education system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N103106830A (en) System and method of digitalized emergency skill simulated training
JPH0478997B2 (en)
EP2489027A2 (en) Physiology simulation gar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20288837A1 (en) Medical Simulation System
KR20180097343A (en) System for training of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1017401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ne-to-man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mong heterogeneous devices
KR101554429B1 (en) Education system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using AED
CN111276019A (en) Interactive teaching method and interactive teaching system
KR20140140700A (en) Gloves for cpr
KR101972865B1 (en) CPR(Cardiopulmonart Resuscitation) training device
CN204680294U (en) First aid teaching pen recorder
KR20160004836A (en) Education system and Education methods of Self-study CPR
SHIMIZU et al. The Application of CDIO Standards to Clinical Engineering Education
CN113393716A (en) Visual intelligent interactive defibrillation training device and method
CN210639789U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equipment
Cason et al. Learning CPR with the BLS anytimeTM for healthcare providers kit
Gary et al. The impact of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to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erceived competence in performing resuscitation ski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