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742B1 - Non-contact type obstacle detection device comprising prescaler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Non-contact type obstacle detection device comprising prescaler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742B1
KR101232742B1 KR1020100100204A KR20100100204A KR101232742B1 KR 101232742 B1 KR101232742 B1 KR 101232742B1 KR 1020100100204 A KR1020100100204 A KR 1020100100204A KR 20100100204 A KR20100100204 A KR 20100100204A KR 101232742 B1 KR101232742 B1 KR 101232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cillator
prescaler
obstacle
frequency
sensor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2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8646A (en
Inventor
조승원
정광석
Original Assignee
조승원
(주)펄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원, (주)펄스테크 filed Critical 조승원
Priority to KR1020100100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742B1/en
Priority to PCT/KR2011/007512 priority patent/WO2012050337A2/en
Publication of KR2012003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6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7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length of cable, band or the like, which has been paid out, e.g. from a re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스케일러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장애물 감지장치는 장애물이 접근하면 정전용량값이 변하는 센서스트립; 상기 센서스트립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스트립의 정전용량에 따라 발진주파수가 달라지는 RF발진기; 상기 RF발진기의 발진주파수를 설정비율로 분주하는 프리스케일러(prescaler);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RF발진기의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는 로컬발진기, 믹서, PLL, 루프필터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고 제품의 오작동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RF발진기가 동작하는 동안 기준주파수를 설정 주기마다 산출하여 장애물 근접여부를 판단하므로 RF발진기를 튜닝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어 제품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non-contact obstacle detection apparatus and a detection method using a prescaler. Obstacle sen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strip that changes the capacitance value when the obstacle approaches; An RF oscillator connected to the sensor strip and whose oscillation frequency varies according to the capacitance of the sensor strip; A prescaler for divid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at a set ratio; It includes a microcontroller unit (MCU)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bstacle is close by using the signal of the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Since the non-contact obstacle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local oscillator, mixer, PLL, loop filter, etc.,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us the product cost can be lowered and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of the product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reference frequency is calculated every set perio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F oscillator to determine the proximity of the obstacle, it can be used without tuning the RF oscillator can greatly increase the product productivity.

Description

프리스케일러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방법{Non-contact type obstacle detection device comprising prescaler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thereof} Non-contact type obstacle detection device using prescaler and method for detecting obstacle using same {Non-contact type obstacle detection device including prescaler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리스케일러(prescaler)를 이용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RF발진기를 정밀하게 튜닝할 필요가 없는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etecting an obstacle using a change in capacit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contact obstacle detecting apparatus having a simple structure by using a prescaler and requiring no precise tuning of an RF oscillator. will be.

일반적으로 장애물 감지장치는 크게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구분된다. 접촉식은 장애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적 부하의 변화나 공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고, 비접촉식은 정전용량의 변화, 자기장의 변화 등을 이용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다.In general, obstacle detection devices are classified into contact and non-contact type. The contact type detects the proximity of the obstacle by detecting the change of electrical load or the change of pneumatic pressure caused by the contact of the obstacle, and the non-contact type determines the proximity of the obstacle using the change of capacitance and the magnetic field. That's the way it is.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 장애물 감지장치는 도 1의 개략 구성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감지모듈(12), 정전용량 감지모듈(12)에서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모듈(18), 정전용량 감지모듈(12)의 출력신호를 제어모듈(18)로 전달하는 전송라인(20)을 포함한다.In the conventional capacitive obstacle detecting apparatus, as illustrated in the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the capacitive sensing module 12 detects capacitance by us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apacitive sensing module 12 and the capacitive sensing module 12. The control module 18 to determine whether the proximity, and the transmission line 20 for transmi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capacitance sensing module 12 to the control module 18.

정전용량 감지모듈(12)은 도어나 윈도우의 주변부를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스트립(14)과 각 센서스트립(14)의 단부에 결합되어 센서스트립(14)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감지회로(16)를 포함한다.The capacitive sensing module 12 is coupled to one or more sensor strips 14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door or window, and capacitive sensing coupled to the end of each sensor strip 14 to sense the capacitance of the sensor strip 14. Circuit 16.

센서스트립(14)은 유연성이 뛰어난 고무재질의 절연체 내부에 얇은 띠형태의 전도체가 삽입된 것으로서, 상기 전도체가 커패시터(capacitor)의 전극역할을 하기 때문에 근처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의 정전용량과 없는 경우의 정전용량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센서스트립(14)은 도시된 것처럼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동차의 도어나 윈도우 주위에는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센서스트립(14)이 직선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위치에 따라 얼마든지 굽혀서 설치될 수 있다.The sensor strip 14 is a thin band-shaped conductor inserted into an insulator made of a flexible rubber material. Since the conductor serves as an electrode of a capacitor, there is no capacitance in the case of an obstacle nearby. Of capacitances are different. The sensor strip 14 is not limited to two as shown, and may be installed anywhere around the door or window of the vehicle. In addition, although the sensor strip 14 is illustrated in a straight line shape, the sensor strip 14 may be installed by bending as much as the position.

제어모듈(18)은 정전용량 감지회로(16)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허용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허용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나 윈도우를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개폐모듈(3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도어의 동작을 중단시키거나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킨다.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capacitive sensing circuit 16 is input, the control module 18 determines whether it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by comparing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o be out of the allowable range,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pening / closing module 30 which automatically turns on / off the door or window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oor or oper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한편 정전용량 감지모듈(12)에 탑재되는 정전용량 감지회로는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의 등록특허 제627922호는 센서스트립(14)과 연결된 RF발진기, RF발진기와 다른 주파수로 발진하는 로컬(local)발진기, RF발진기와 로컬발진기의 신호를 혼합하는 믹서, 저주파통과필터, 저주파통과필터의 출력을 증폭시키는 증폭기 등을 포함하는 정전용량 감지회로를 개시하고 있다.Meanwhile, the capacitive sensing circuit mounted on the capacitive sensing module 1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Delphi Technologies Incorporated Patent No. 627922 discloses an RF oscillator connected to the sensor strip 14, a local oscillator that oscillates at a different frequency than the RF oscillator, and a mixture of signals of the RF oscillator and the local oscillator. A capacitive sensing circuit including a mixer, a low pass filter,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low pass filter, and the like are disclosed.

그런데 델피 테크놀로지의 감지회로는 RF발진기, 로컬발진기, 믹서, 저주파통과필터, 증폭기 등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However, Delphi Technology's sensing circuit includes many components such as RF oscillator, local oscillator, mixer, low pass filter, amplifier, etc., which limit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기준이 되는 로컬발진기의 발진주파수는 정밀한 주파수 튜닝을 통해 결정되는데, 주파수 튜닝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자신의 경험과 시행착오에 의존하여 동박배선의 길이나 면적을 조절해야 하므로 작업 생산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local oscillator, which is the reference, is determined through precise frequency tuning.In order to tune the frequency, the operator needs to adjust the length or area of copper wire wiring based on his or her own experience and trial and error. have.

또한 주파수 튜닝을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할수록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발진주파수가 조금씩 달라지는 현상이 불가피하게 나타나므로 이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frequency tun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slightly changes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as time goes by, so it is inevitable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malfunction.

이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947559호에서 위상고정루프(PLL)를 이용함으로써 로컬발진기와 믹서 등을 생략할 수 있고 주파수 튜닝과 재설정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정전용량 감지회로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런데 등록특허 제947559호의 감지회로를 사용하더라도 위상고정루프 IC, 루프필터 등 다수의 부품을 사용해야 하므로 제품단가가 상승하고 오작동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여전히 주파수 튜닝작업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capacitive sensing circuit that can omit a local oscillator and a mixer and facilitate frequency tuning and resetting by using a phase locked loop (PLL) in Korean Patent No. 947559. However, even when using the detection circuit of Patent No. 947559, since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such as a phase locked loop IC and a loop filter, must be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the product increases and a possibility of malfunction increases. .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산성의 한계요인으로 작용하는 주파수 튜닝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을 단순화시켜 제품단가를 낮추고 오작동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contact obstacle sensing apparatus capable of eliminating the frequency tuning operation that acts as a limiting factor of productivity.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contact obstacle detection device that can simplify the configuration to lower the product cost and reduce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물이 접근하면 정전용량값이 변하는 센서스트립; 상기 센서스트립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스트립의 정전용량에 따라 발진주파수가 달라지는 RF발진기; 상기 RF발진기의 발진주파수를 설정비율로 분주하는 프리스케일러(prescaler);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RF발진기의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을 포함하는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nsor strip changes the capacitance value when the obstacle approaches; An RF oscillator connected to the sensor strip and whose oscillation frequency varies according to the capacitance of the sensor strip; A prescaler for divid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at a set ratio; Provided is a non-contact obstacle detecting apparatus including a microcontroller unit (MCU)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bstacle is close by using the signal of the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본 발명의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는, 상기 RF발진기가 서로 다른 발진주파수를 갖는 다수 개가 상기 센서스트립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프리스케일러가 상기 다수의 RF발진기의 발진신호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주하며, 상기 MCU가 상기 다수의 RF발진기를 설정된 순서대로 교번하여 발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non-contact obstacle det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F oscillators having different oscillation frequencies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sensor strip, and the prescaler separately divides the oscillation signals of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The MCU may alternately oscillate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in a set order.

또한 상기 RF발진기가 서로 다른 발진주파수를 갖는 다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RF발진기와 상기 센서스트립의 사이에 RF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프리스케일러가 상기 다수의 RF발진기의 발진신호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주하며, 상기 MCU가 상기 RF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RF발진기를 설정된 순서대로 상기 센서스트립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F oscillators having different oscillation frequencies are installed, an RF switch is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and the sensor strip, and the prescaler separately divides the oscillation signals of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The MCU may control the RF switch to connect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to the sensor strip in a set order.

또한 상기 RF발진기에는 주파수변경부가 연결되고, 상기 MCU가 상기 주파수변경부를 제어하여 상기 RF발진기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1주파수와 제2주파수로 교번하여 발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F oscillator may be connected to a frequency changer, and the MCU may control the frequency changer to oscillate alternately at a first frequency and a second frequency according to a set period of the RF oscillator.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장애물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RF발진기를 발진시키는 단계; (b)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RF발진기의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와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RF발진기의 실제 주파수를 비교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애물 감지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etecting an obstacle using the above-described obstacle det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oscillating the RF oscillator; (b) calculating a reference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at a predetermined period using a signal of the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c) comparing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dispensed by the prescaler with the actual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dispensed by the prescaler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in close proximity.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는 로컬발진기, 믹서, PLL, 루프필터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고 제품의 오작동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RF발진기가 동작하는 중에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를 설정된 주기마다 산출하여 장애물 근접여부를 판단하므로 RF발진기를 튜닝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어 제품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Since the non-contact obstacle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local oscillator, mixer, PLL, loop filter, etc.,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us the product cost can be lowered and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of the product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is calculated for each set period while the RF oscillator is operating,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obstacle is in proximity, so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uning the RF oscillator, thereby greatly improving product productivity.

도 1은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하는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의 회로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에서 장애물을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의 회로블록도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non-contact obstacle detection device using a change in capacitance
2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non-contact obstacl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cting an obstacle in a non-contact obstacle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non-contact obstacle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는 도 2의 회로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전용량 감지모듈(100), 제어모듈(300), 정전용량 감지모듈(100)과 제어모듈(300)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전송라인(200)을 포함한다.In the non-contact obstacle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circuit block diagram of FIG. 2, the capacitive sensing module 100, the control module 300, the capacitive sensing module 100, and the control module 300 are shown. It includes a transmission line 200 for transmitting a signal between).

정전용량 감지모듈(100)은 장애물이 근접하면 정전용량값이 변하는 센서스트립(110)과 상기 센서스트립(110)의 정전용량이 달라지면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정전용량 감지회로(120)를 포함한다.The capacitive sensing module 100 includes a sensor strip 110 in which a capacitance value changes when an obstacle is close, and a capacitive sensing circuit 120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sensor strip 110. do.

센서스트립(110)은 고무재질의 절연체 내부에 얇은 띠 형태의 전도체가 삽입된 것이고, 정전용량 감지회로(120)는 소형의 PCB기판 위에 탑재되어 상기 센서스트립(110)의 일 단부에 장착된다. The sensor strip 110 is a thin band-shaped conductor is inserted into the insulator of a rubber material, the capacitive sensing circuit 120 is mounted on a small PCB substrate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sensor strip 110.

정전용량 감지회로(120)는 서로 다른 주파수로 발진하는 제1 RF발진기(121)와 제2 RF발진기(122), 제1 RF발진기(120)와 제2 RF발진기(122)를 센서스트립(110)에 교대로 연결시키는 RF스위치(123), 제1 RF발진기(121)와 제2 RF발진기(122)의 발진신호를 각각 소정비율로 분주하는 듀얼 프리스케일러(124), 듀얼 프리스케일러(124)에서 각각 분주된 제1 및 제2 RF발진기(121,122)의 신호를 입력받고 제어모듈(300)과 소정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MCU(Micro Controller Unit)(125)를 포함한다. The capacitive sensing circuit 120 uses the first RF oscillator 121 and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the first RF oscillator 120, and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to oscillate at different frequencies. ), Respectively, in the dual prescaler 124 and the dual prescaler 124 for dividing the oscillation signals of the RF switch 123, the first RF oscillator 121, and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at a predetermined ratio. It includes a first microcontroller unit (MCU) 125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divided first and second RF oscillators 121 and 122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redetermined signal with the control module 300.

RF스위치(123)는 제1 MCU(125)에 의해 제어되며, 제1 RF발진기(121)와 제2 RF발진기(122)는 RF스위치(123)의 스위칭에 의해 센서스트립(110)에 소정 주기로 교번하여 연결되고 각각 센서스트립(110)의 정전용량값이 변하면 그에 따라 발진주파수도 변한다. The RF switch 123 is controlled by the first MCU 125, the first RF oscillator 121 and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is a predetermined period to the sensor strip 110 by the switching of the RF switch 123. When alternatingly connected and the capacitance value of each sensor strip 110 changes, the oscillation frequency changes accordingly.

RF스위치(123)의 사용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RF스위치(123)를 사용하지 않고 센서스트립(110)에 제1 RF발진기(121)와 제2 RF발진기(122)를 병렬로 연결한 상태에서 제1 MCU(125)의 제어에 따라 제1 RF발진기(121)와 제2 RF발진기(122)를 소정 주기로 교대로 발진시킬 수도 있다.Since the use of the RF switch 123 is not essential, the first RF oscillator 121 and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nsor strip 110 without using the RF switch 123.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MCU 125, the first RF oscillator 121 and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may be alternately oscillated at predetermined cycles.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2개의 RF발진기를 교번하여 센서스트립(110)에 연결시킨 것은 센서스트립(110)에서 장애물을 감지하지 못하는 지점(이하 '데드포인트')이 나타나므로 발진주파수를 교번하여 데드포인트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감지불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만일 데드포인트 발생을 무시한다면 하나의 RF발진기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드포인트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947559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wo RF oscillator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are alternately connected to the sensor strip 110 so that the point at which the obstacle is not detected in the sensor strip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ad point') alternates the oscillation frequency. This is to solve the undetectable problem by changing the location of dead point periodically. It is also possible to use only one RF oscillator if it ignores the deadpoint occurrence. The dead point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applicant's Patent No. 947559, so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한편 본 발명은 제1 RF발진기(121)와 제2 RF발진기(122)의 발진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지 않아도 되는 점에 큰 특징이 있다.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RF발진기의 발진주파수가 장시간에 걸쳐서 약간씩 변하더라도 그로 인한 주파수 변화량은 센서스트립(110)에 장애물이 접근하였을 때의 주파수 변화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기 때문에 RF발진기의 주파수 변화량을 이용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충분히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위상고정루프를 사용하거나 RF발진기를 정밀하게 튜닝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제품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eat feature in that the oscillation frequencies of the first RF oscillator 121 and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do not have to be kept constant. Even if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changes slightly over a long period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ulting frequency change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frequency change when the obstacle approaches the sensor strip 110.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bstacle is close enough.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using phase locked loops or precise tuning of the RF oscillator, which can significantly improve product productivity.

듀얼 프리스케일러(124)는 제1발진기(121)와 제2발진기(122)의 발진주파수를 제1 MCU(125)가 인식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개별적으로 분주하고, 분주된 신호를 제1 MCU(125)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 400MHz 와 900MHz의 제1발진기(121)와 제2발진기(122)의 발진주파수를 1/512 로 분주하였다. 듀얼 프리스케일러(124)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락한다.The dual prescaler 124 separately divides the oscillation frequencies of the first oscillator 121 and the second oscillator 122 to a leve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first MCU 125, and divides the divided signals into the first MCU 125. To se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scillation frequencies of the first oscillator 121 and the second oscillator 122 of 400 MHz and 900 MHz are divided by 1/512, respectively. The configuration of the dual prescaler 124 is well known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제1 MCU(125)는 듀얼 프리스케일러(124)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제어모듈(300)의 제2 MCU(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듀얼 프리스케일러(124)로부터 입력받은 신호 또는 그에 대응하는 소정 신호를 제어모듈(300)로 전송하면 제어모듈(300)의 제2 MCU(310)가 이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first MCU 125 may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close by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dual prescaler 124, and transmit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second MCU 310 of the control module 300. Unlike this, whe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dual prescaler 124 or a predetermined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300, the second MCU 310 of the control module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 obstacle is close by using the same. have.

제1 MCU(125)는 RF스위치(123)를 제어하여 제1 RF발진기(121)와 제2 RF발진기(122)를 교번하여 센서스트립(110)에 연결시킨다. The first MCU 125 controls the RF switch 123 to alternately connect the first RF oscillator 121 and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to the sensor strip 110.

또한 제1 MCU(125)는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제1 RF발진기(121) 또는 제2 RF발진기(122)가 센서스트립(110)에 연결되어 발진하는 동안 각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를 설정된 주기마다 산출한다. In addition, the first MCU 125 determines a reference frequency of each RF oscillator while the first RF oscillator 121 or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is connected to the sensor strip 110 and oscillat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obstacle is in proximity. Calculate at every set cycle.

산출된 기준주파수는 실제 발진주파수와 비교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기준주파수는 예를 들어 동작중인 발진기의 실제 발진주파수를 설정된 기간(예, 장애물여부 판단시점 직전의 임의 기간) 동안 평균한 주파수일 수 있다. 한편 제1 MCU(125)에서 산출되는 기준주파수와, 장애물 근접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제 발진주파수는 모두 듀얼 프리스케일러(124)에서 분주된 주파수를 의미한다.The calculated reference frequency is used to determine the proximity of the obstacle compared to the actual oscillation frequency. The reference frequency may be, for example, a frequency obtained by averaging the actual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oscillator in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eg, an arbitrary period immediately before an obstacle determination point). The reference frequency calculated by the first MCU 125 and the actual oscillation frequency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obstacle is close to each other mean a frequency divided by the dual prescaler 124.

제어모듈(300)은 제2 MCU(310), 입력부(320), 전원부(330) 등을 포함한다. 제2 MCU(310)는 자동차의 윈도우나 도어를 자동으로 여닫는 개폐모듈(400)의 동작여부를 감지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정전용량 감지회로(120)의 제1 MCU(125)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정전용량 감지회로(120)의 제1 MCU(125)에서 전송된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control module 300 includes a second MCU 310, an input unit 320, a power supply unit 330, and the like. The second MCU 310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module 400 that automatically opens or closes the window or the door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first MCU 125 of the capacitance sensing circuit 120. Do it. In addition, the proximity of the obstacle may be determined us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MCU 125 of the capacitance sensing circuit 120.

입력부(320)는 사용자가 조작신호나 리셋(reset) 신호 등을 입력하는 부분이며, 전원부(330)는 제어모듈(300) 및 정전용량 감지모듈(10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DC 5V의 직류전원을 제공한다.The input unit 320 is a part in which a user inputs an operation signal or a reset signal, and the power supply unit 330 is a part for supplying driving power for the control module 300 and the capacitive sensing module 100. For example, it provides a DC power supply of DC 5V.

정전용량 감지모듈(100)과 제어모듈(300)을 연결하는 전송라인(200)은 정전용량 감지회로(120)의 내부에서 제어신호라인(128)과 전원선(129)으로 분기된다. 제어신호라인(128)에는 DC필터(126)가 설치되고 전원선(129)에는 AC필터(12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mission line 200 connecting the capacitive sensing module 100 and the control module 300 is branched into the control signal line 128 and the power line 129 inside the capacitive sensing circuit 120. The DC filter 126 is installed in the control signal line 128 and the AC filter 127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power line 129.

전술한 바와 같이 장애물의 근접여부에 대한 판단은 제1 MCU(125) 또는 제2 MCU(310)에서 할 수 있으며,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든지 일단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MCU(310)는 개폐모듈(400)을 제어하여 문닫는 동작을 중단시키거나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determination of the proximity of the obstacle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MCU 125 or the second MCU 3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stacle exists by any method, the second MCU 310 may determine the presence of the obstacle.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400 to stop the door closing operation or to oper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하에서는 도 3의 흐름도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bstacle detect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3 and FIG. 2.

먼저 제1 MCU(125)에 RF스위치(123)의 스위칭 주기, 장애물판단주기 등을 설정해 두어야 한다. 이때 제어모듈(300)의 입력부(320)를 통해 작업자가 해당 내용을 입력하면, 제2 MCU(310)가 입력된 내용에 기초하여 제1 MCU(125)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제1 MCU(125)로 해당 내용을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First, the switching period, the obstacle determination period, etc. of the RF switch 123 must be set in the first MCU 125. At this time, when the operator inputs the corresponding contents through the input unit 320 of the control module 300, the second MCU 310 remotely controls the first MCU 125 based on the input contents or the first MCU 125. ) Can be sent and saved.

제1 RF발진기(121)와 제2 RF발진기(122)는 항상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나, 차량의 도어나 윈도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개폐동작시에만 작동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lthough the first RF oscillator 121 and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may be set to operate at all times, it may be preferable to set the first RF oscillator 121 and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to operate only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예를 들어 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의 문/윈도우의 닫기 버튼을 조작하면 제어모듈(300)은 개폐모듈(400)을 동작시켜 도어나 윈도우를 닫음과 동시에 장애물 감지모듈(100)을 동작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the user operates the close button of the door / window of the vehicle, the control module 300 operates the opening / closing module 400 to close the door or the window and simultaneously moves the obstacle detection module 100 to the operation mode. It is preferable to convert.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MCU(125)가 제2 MCU(310)의 제어에 의해 대기상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되면, 제1 MCU(125)의 제어에 따라 제1 RF발진기(121)와 제2 RF발진기(122)가 발진하고, RF스위치(123)가 동작하여 제1주기(T1) 동안 제1 RF발진기(121)를 센서스트립(110)에 연결시킨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MCU 125 is switched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operation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MCU 310, the first RF oscillator 121 and the second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MCU 125. The RF oscillator 122 oscillates, and the RF switch 123 operates to connect the first RF oscillator 121 to the sensor strip 110 during the first period T1.

RF스위치(123)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MCU(125)의 제어에 따라 제1RF발진기(121)만을 제1주기(T1)동안 발진시키면 된다. (ST11)When the RF switch 123 is not used, only the first RF oscillator 121 oscillates during the first period T1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MCU 125. (ST11)

제1 MCU(125)는 제1 RF발진기(121)가 센서스트립(110)에 연결된 제1주기(T1) 동안 설정된 판단주기마다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제1 MCU(125)는 실제 발진주파수와 비교할 기준주파수를 산출해야 한다. The first MCU 125 should determine whether the obstacle is close to each determination period set during the first period T1 in which the first RF oscillator 121 is connected to the sensor strip 110. For this purpose, the first MCU 125 Must calculate the reference frequency to be compared with the actual oscillation frequency.

기준주파수는 판단주기 직전의 임의시간의 발진주파수를 평균한 주파수일 수도 있고, 판단주기로부터 임의시간 전의 발진주파수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RF발진기(121)의 발진주파수를 기준주파수로 활용하여 장애물 근접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환경적 요인에 의한 주파수 변화량이 장애물 근접시의 주파수 변화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1 RF발진기(121)의 기준주파수와 실제 발진주파수는 모두 프리스케일러(124)에서 분주된 주파수임은 물론이다. (ST12)The reference frequency may be a frequency obtained by averaging an oscillation frequency at an arbitrary time immediately before the determination period, or may be an oscillation frequency before an arbitrary time from the determination perio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bstacle is close by us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first RF oscillator 121 as a reference frequency,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frequency variation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frequency variation when the obstacle is close. Because. Here, the reference frequency and the actual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first RF oscillator 121 are of course divided by the prescaler 124. (ST12)

제1 MCU(125)는 위 과정에서 산출된 기준주파수와 판단시점의 실제 발진주파수를 대비하여 실제 발진주파수가 허용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한다. (ST13)The first MCU 125 compares the reference frequency calculated in the above process with the actual oscillation frequency at the determination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obstacle is close to the basis of whether the actual oscillation frequency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ST13)

제1주기(T1)가 경과하면, 제1 MCU(125)는 RF스위치(123)를 제어하여 설정된 제2주기(T2) 동안 제2 RF발진기(122)를 센서스트립(110)에 연결시킨다. RF스위치(123)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MCU(125)가 제1 RF발진기(121)를 오프시키거나 제1 RF발진기(121)의 출력신호의 수신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제2 RF발진기(122)를 설정된 제2주기(T2)동안 발진시키면 된다. 이때 제1주기(T1)와 제2주기(T2)는 서로 다를 수도 있고 같을 수도 있으며, 수 내지 수십 msec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14)When the first period T1 elapses, the first MCU 125 controls the RF switch 123 to connect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to the sensor strip 110 during the set second period T2. When the RF switch 123 is not used, the first MCU 125 controls to turn off the first RF oscillator 121 or to block reception of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RF oscillator 121 and the second RF oscillato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oscillate 122 for the set 2nd period T2. In this case, the first period T1 and the second period T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may be the same,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msec, but is not limited thereto. (ST14)

제2 RF발진기(122)가 센서스트립(110)에 연결된 제2주기(T2) 동안에도 제1 MCU(125)는 설정된 판단주기마다 기준주파수를 산출하고, 이를 실제 발진주파수와 비교하여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제2 MCU(310)에서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1 MCU(125)는 듀얼 프리스케일러(124)에서 입력된 신호를 소정 방식으로 제2 MCU (310)로 전송하면 된다. (ST15, ST16)Even during the second period T2 in which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is connected to the sensor strip 110, the first MCU 125 calculates a reference frequency for each set determination period, and compares it with the actual oscillation frequency to present an obstacle. Determine whether or not. If the second MCU 310 determines whether the obstacle is close, the first MCU 125 may transmit a signal input from the dual prescaler 124 to the second MCU 310 in a predetermined manner. (ST15, ST16)

전술한 과정이 반복되는 동안 제1 RF발진기(121) 또는 제2 RF발진기(122)의 실제 발진주파수가 각각의 기준주파수와 허용범위 이상으로 차이가 나면 제1 MCU(125) 또는 제2 MCU(310)는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300)의 제2 MCU(310)는 개폐모듈(400)을 제어하여 문/윈도우의 동작을 중단시키거나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킨다. If the actual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first RF oscillator 121 or the second RF oscillator 122 is different from each reference frequency by more than the allowable range while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 the first MCU 125 or the second MCU ( 310 determines that there is an obsta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obstacle, the second MCU 310 of the control module 300 controls the opening / closing module 40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oor / window or to oper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한편 이상에서는 2개의 RF발진기를 교대로 센서스트립(110)에 연결시키거나 교대로 발진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wo RF oscillators are alternately connected to the sensor strip 110 or alternately oscillating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예를 들어 RF스위치(123)를 이용하여 3개 이상의 RF발진기를 순차적으로 센서스트립(110)에 연결시키거나, RF스위치(123)가 없는 경우에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3개 이상의 RF발진기를 순차적으로 발진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ree or more RF oscillators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sensor strip 110 using the RF switch 123, or, if there is no RF switch 123, three or more RF oscillators sequentially according to a set cycle. It can rash.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RF발진기(121)에 제1 MCU(125)에 의해 제어되는 주파수변경부(123')를 연결하여 RF발진기(121)의 발진주파수를 교번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121 may be alternately connected by connecting the frequency changing unit 123 ′ controlled by the first MCU 125 to one RF oscillator 121.

주파수변경부(123')는 그 일단이 제1 MCU(125)에 연결되는 한편 그 타단이 RF발진기(121)에 연결되며, 제1 MCU(125)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RF발진기(121)의 발진주파수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주파수변경부(123')는 예를 들어 RF발진기(121)에 연결되는 커패시터와 상기 커패시터에 직렬로 연결되는 스위칭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MCU(125)의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스위칭소자를 설정된 주기마다 도통시키면 커패시터의 정전용량값이 주기적으로 달라지므로 커패시터에 연결된 RF발진기(121)가 서로 다른 제1주파수와 제2주파수로 교번하여 발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frequency changing unit 123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MCU 125 while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F oscillator 121, and the RF oscillator 121 by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MCU 125. This function changes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frequency changing unit 123 'may be configured of, for example,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RF oscillator 121 and a switching devic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capacitor. In this case, when the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to each set period by apply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CU 125, since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capacitor is changed periodically, the RF oscillator 121 connected to the capacitor has different first and second frequencies. It will be able to oscillate alternately.

도 4의 시스템에서도 장애물을 감지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큰 차이가 없다. 즉, RF발진기(121)가 T1시간 동안 제1주파수로 발진하는 경우에는 설정된 주기마다 기준주파수를 산출한 후 실제 제1주파수와 대비하여 장애물 근접여부를 판단하고, RF발진기(121)가 T2시간 동안 제2주파수로 발진하는 경우에도 설정된 주기마다 기준주파수를 산출한 후 실제 제2주파수와 대비하여 장애물 근접여부를 판단한다.Even in the system of FIG. 4, the method for detecting an obstacle does not have much difference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at is, when the RF oscillator 121 oscillates at the first frequency for a T1 time, the reference frequency is calculated for each set period, and then the proximity of the obstacle is determined in comparison with the actual first frequency, and the RF oscillator 121 determines the T2 time. Even when oscillating at the second frequency, the reference frequency is calculated for each set period, and then the proximity of the obstacle is determined in comparison with the actual second frequency.

한편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항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or modified in various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modified or modified embodiments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technical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re described below.

100: 정전용량 감지모듈 110: 센서스트립
120: 정전용량 감지회로 121: 제1 RF발진기
122: 제2 RF발진기 123: RF스위치
123': 주파수변경부 124: 듀얼 프리스케일러
125: 제1 MCU 126: DC필터
127: AC필터 128: 제어신호라인
129: 전원선 200: 전송라인
300: 제어모듈 310: 제2 MCU
320: 입력부 330: 전원부
400: 개폐모듈
100: capacitive sensing module 110: sensor strip
120: capacitance detection circuit 121: first RF oscillator
122: second RF oscillator 123: RF switch
123 ': frequency changer 124: dual prescaler
125: first MCU 126: DC filter
127: AC filter 128: control signal line
129: power line 200: transmission line
300: control module 310: second MCU
320: input unit 330: power unit
400: switching module

Claims (8)

장애물이 접근하면 정전용량값이 변하는 센서스트립;
상기 센서스트립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스트립의 정전용량에 따라 발진주파수가 달라지는 RF발진기;
상기 RF발진기의 발진주파수를 설정비율로 분주하는 프리스케일러(prescaler);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RF발진기의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을 포함하는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
A sensor strip whose capacitance changes when an obstacle approaches;
An RF oscillator connected to the sensor strip and whose oscillation frequency varies according to the capacitance of the sensor strip;
A prescaler for divid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at a set ratio;
A microcontroller unit (MCU) for determining whether an obstacle is close by using the signal of the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Non-contact obstacle detection device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발진기는 서로 다른 발진주파수를 갖는 다수 개가 상기 센서스트립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프리스케일러는 상기 다수의 RF발진기의 발진신호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주하며,
상기 MCU는 상기 다수의 RF발진기를 설정된 순서대로 교번하여 발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F oscillator has a plurality of different oscillation frequency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nsor strip,
The prescaler divides the oscillation signals of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individually,
The MCU is a non-contact obstacle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scillating by alternating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 in a set or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발진기는 서로 다른 발진주파수를 갖는 다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RF발진기와 상기 센서스트립의 사이에는 RF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프리스케일러는 상기 다수의 RF발진기의 발진신호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주하며,
상기 MCU는 상기 RF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RF발진기를 설정된 순서대로 상기 센서스트립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F oscillator is installed a plurality of having a different oscillation frequency,
An RF switch is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and the sensor strip.
The prescaler divides the oscillation signals of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individually,
The MCU is a non-contact obstacle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RF switch to connect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to the sensor strip in the set or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발진기에는 주파수변경부가 연결되고, 상기 MCU는 상기 주파수변경부를 제어하여 상기 RF발진기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1주파수와 제2주파수로 교번하여 발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requency changer is connected to the RF oscillator, and the MCU controls the frequency changer to alternately oscillate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according to a set period of the RF oscillator.
제1항의 장애물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RF발진기를 발진시키는 단계;
(b)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RF발진기의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와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RF발진기의 실제 주파수를 비교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애물 감지방법
In the method for detecting an obstacle using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of claim 1,
(a) oscillating the RF oscillator;
(b) calculating a reference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at a predetermined period using a signal of the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c) comparing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dispensed by the prescaler with the actual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dispensed by the prescaler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close;
Obstacle detection method comprising a
제2항의 장애물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다수의 RF발진기 중에서 제1 RF발진기를 발진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RF발진기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1 RF발진기의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1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1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와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1 RF발진기의 실제 주파수를 비교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다수의 RF발진기 중에서 제2 RF발진기를 발진시키는 단계;
(e) 상기 제2 RF발진기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2 RF발진기의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2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
(f)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2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와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2 RF발진기의 실제 주파수를 비교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애물 감지방법
In the method for detecting an obstacle using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of claim 2,
(a) oscillating a first RF oscillator among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b) calculating a reference frequency of the first RF oscillator at a set period using a signal of the first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while the first RF oscillator is operating;
(c) comparing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first RF oscillator dispensed by the prescaler with the actual frequency of the first RF oscillator dispensed by the prescaler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close;
(d) oscillating a second RF oscillator among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e) calculating a reference frequency of the second RF oscillator at a predetermined period using a signal of the second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while the second RF oscillator is operating;
(f) comparing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second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with the actual frequency of the second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in proximity;
Obstacle detection method comprising a
제3항의 장애물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다수의 RF발진기를 발진시키는 단계;
(b) 상기 RF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RF발진기 중에서 제1 RF발진기를 상기 센서스트립에 연결시키고,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1 RF발진기의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1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1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와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1 RF발진기의 실제 주파수를 비교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RF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RF발진기 중에서 제2 RF발진기를 상기 센서스트립에 연결시키고,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2 RF발진기의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2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2 RF발진기의 기준주파수와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2 RF발진기의 실제 주파수를 비교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애물 감지방법
In the method for detecting an obstacle using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of claim 3,
(a) oscillating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b) controlling the RF switch to connect a first RF oscillator among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to the sensor strip, and the first RF oscillator at a set period using a signal of the first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Calculating a reference frequency of?
(c) comparing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first RF oscillator dispensed by the prescaler with the actual frequency of the first RF oscillator dispensed by the prescaler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close;
(d) controlling the RF switch to connect a second RF oscillator to the sensor strip among the plurality of RF oscillators, and to set the second RF oscillator at a set period using a signal of the second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Calculating a reference frequency of?
(e) comparing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second RF oscillator dispensed by the prescaler with the actual frequency of the second RF oscillator dispensed by the prescaler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close;
Obstacle detection method comprising a
제4항의 장애물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RF발진기를 설정된 제1주기(T1) 동안 제1주파수로 발진시키는 단계;
(b) 상기 RF발진기가 상기 제1주파수로 발진하는 동안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RF발진기의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1주파수에 대한 기준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1주파수에 대한 기준주파수와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RF발진기의 실제 주파수를 비교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RF발진기를 설정된 제2주기(T2) 동안 제2주파수로 발진시키는 단계;
(e) 상기 RF발진기가 상기 제2주파수로 발진하는 동안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RF발진기의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2주파수에 대한 기준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
(f)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제2주파수에 대한 상기 기준주파수와 상기 프리스케일러에서 분주된 상기 RF발진기의 실제 주파수를 비교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애물 감지방법
In the method for detecting an obstacle using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of claim 4,
(a) oscillating the RF oscillator at a first frequency during a first set period T1;
(b) calculating a reference frequency for the first frequency at a predetermined period using a signal of the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while the RF oscillator oscillates at the first frequency;
(c) comparing the reference frequency with respect to the first frequency divided by the prescaler and the actual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close;
(d) oscillating the RF oscillator at a second frequency during a set second period T2;
(e) calculating a reference frequency for the second frequency at each set period using a signal of the RF oscillator divided by the prescaler while the RF oscillator oscillates at the second frequency;
(f) comparing the reference frequency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equency dispensed by the prescaler and the actual frequency of the RF oscillator dispensed by the prescaler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close;
Obstacle detection method comprising a
KR1020100100204A 2010-10-14 2010-10-14 Non-contact type obstacle detection device comprising prescaler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thereof KR1012327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204A KR101232742B1 (en) 2010-10-14 2010-10-14 Non-contact type obstacle detection device comprising prescaler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thereof
PCT/KR2011/007512 WO2012050337A2 (en) 2010-10-14 2011-10-11 Obstacle detecting device using a prescaler and obstacle detect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204A KR101232742B1 (en) 2010-10-14 2010-10-14 Non-contact type obstacle detection device comprising prescaler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646A KR20120038646A (en) 2012-04-24
KR101232742B1 true KR101232742B1 (en) 2013-02-13

Family

ID=4593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204A KR101232742B1 (en) 2010-10-14 2010-10-14 Non-contact type obstacle detection device comprising prescaler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32742B1 (en)
WO (1) WO2012050337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203A (en) 2019-09-16 2021-03-24 김샛별 Combined type sensor with contact sensing and contactless sen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09B1 (en) * 2012-05-31 2014-01-23 조승원 Sliding door system comprising obstacle detection device using capacit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57446B1 (en) * 2013-11-25 2014-11-04 이상열 Sensing Apparatus for Approach of Object
US9420559B2 (en) 2014-08-19 2016-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bstacl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KR20200061117A (en) * 2018-11-23 2020-06-02 황성공업 주식회사 Device for detecting approach of object, method for detecting approach of object using the device
KR102090016B1 (en) * 2018-11-23 2020-03-17 황성공업 주식회사 Device for detecting approach of object, method for detecting approach of object using th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9034A (en) 1997-10-07 1999-04-23 Nissan Motor Co Ltd Distance measuring radar
KR20090065028A (en) * 2007-12-17 2009-06-22 조승원 Obstacle detection system using phase locked loop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thereof
KR20100013386A (en) * 2008-07-31 2010-02-10 (주)코아리버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5063A (en) * 1992-05-11 1994-06-28 Caterpillar Inc. Linear position sensor with means to eliminate spurians harmonic detections
KR0170546B1 (en) * 1995-11-22 1999-05-15 Daewoo Motor Co Ltd Crash time measuring device of an automobile crash test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9034A (en) 1997-10-07 1999-04-23 Nissan Motor Co Ltd Distance measuring radar
KR20090065028A (en) * 2007-12-17 2009-06-22 조승원 Obstacle detection system using phase locked loop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thereof
KR20100013386A (en) * 2008-07-31 2010-02-10 (주)코아리버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conta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203A (en) 2019-09-16 2021-03-24 김샛별 Combined type sensor with contact sensing and contactless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0337A2 (en) 2012-04-19
KR20120038646A (en) 2012-04-24
WO2012050337A3 (en)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559B1 (en) Obstacle detection system using phase locked loop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thereof
KR101232742B1 (en) Non-contact type obstacle detection device comprising prescaler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thereof
JP5911608B2 (en) Resonant transmission power supply apparatus and resonant transmission power supply system
EP2950418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849756B (en) Communication device for establishing a data connection between intelligent appliances
KR101746122B1 (en) Sensing Apparatus for Approach of Object
US9448053B2 (en) Microwave motion sensor
US20150318900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EP1360668A4 (en) Control system with capacitive detector
KR20160130981A (en) Low power radar level gauge system with integrated microwave circuit
US7176829B2 (en) Microwave sensor
TWI605664B (en)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tter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32878B1 (en) Apparatus for transmiting power wirelessl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130080B2 (en) Transponder actuatable switching device
KR101457446B1 (en) Sensing Apparatus for Approach of Object
JP2001203565A (en) Proximity sensor
KR101660005B1 (en) Sensing Apparatus for Approach of Object
WO2006095698A1 (en) Tire inflation pressure determining system and tire inflation pressure determining apparatus
KR20150050875A (en) Sensing Apparatus for Approach of Object
CN103944280A (en)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 tuning of sending en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1058495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974423B1 (en) Obstacle detection system using phase locked loop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thereof
EP3185022B1 (en) Method and circuit for determining antenna state, antenna tuner and wireless communicator
KR20150111771A (en) Sensing Apparatus for Approach of Object
JP2003154190A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