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496B1 - Wireless network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 Google Patents

Wireless network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496B1
KR101231496B1 KR1020110061627A KR20110061627A KR101231496B1 KR 101231496 B1 KR101231496 B1 KR 101231496B1 KR 1020110061627 A KR1020110061627 A KR 1020110061627A KR 20110061627 A KR20110061627 A KR 20110061627A KR 101231496 B1 KR101231496 B1 KR 10123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network
network module
service area
modul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0852A (en
Inventor
조영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496B1/en
Priority to PCT/KR2012/004662 priority patent/WO2012177011A2/en
Publication of KR20130000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4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network device comprising: an antenna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in a first frequency band; A wireless network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antenna; A detector that detects whether the wireless network device has entered a network service area by using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power of the wireless network module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WIRELESS NETWORK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Wireless network device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NETWORK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되는 무선 네트워크 신호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의 동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network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its ope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network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its operation, which are capable of automatically changing an operating state of a wireless network function based on a received wireless network signal.

'와이파이(WiFi)'는 '무선-랜'의 별칭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하이파이오디오와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로 지어진 이름이다. '무선-랜'은 무선접속장치(Access Point, AP)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무선 단말기(예컨대,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노트북 컴퓨터 등)들에게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무선-랜'은 초기에는 전파 도달거리가 10m에 불과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50m ~ 수백m까지 전파 도달거리가 대폭 확장되고 있다. 또한 '무선-랜'의 전송속도는 4 ~ 11Mbps로서 무선-랜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멀티미디어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상기 '무선-랜'은 학교, 공항, 호텔 등 특정 건물 내에 위치한 가입자들에게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용된다.'WiFi' is an alias for 'wireless-LAN' and is a name that means wireless network can be used like hi-fi audio conveniently. 'Wireless LAN' is used for wireless terminal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notebook computers, etc.)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lace where the access point (AP) is installed. Provide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the Internet. In the early days of this wireless LAN, the radio wave reaching distance was only 10 meters, but in the 2000s, the radio wave reaching distance from 50m to several hundred meters was greatly expanded.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speed of 'wireless LAN' is 4 ~ 11Mbps, and it becomes possible to transmit / receive a large amount of multimedia using wireless LAN. Accordingly, the 'wireless LAN' is used to provide high-speed data services to subscribers located in specific buildings such as schools, airports, and hotels.

이와 같이 무선-랜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WiFi) 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복합된 형태의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즉, 와이파이(WiFi)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이하, '듀얼모드 단말기'라 칭함)가 개발되고 있다.As the wireless-LAN service is commercialized as described above, a terminal having a complex type of a Wi-Fi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wireless-LAN service is being developed. That is, a dual mod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ual mode terminal) that provides a Wi-Fi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has been developed.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를 위한 와이파이(WiFi) 모듈과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모듈(예컨대, CDMA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와이파이 서비스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이동통신 서비스 모드로 동작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을 벗어날 경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수동으로 전환해야 한다.The dual mode terminal includes a Wi-Fi module for a Wi-Fi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a CDM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dual-mode terminal enters a Wi-Fi service area. In the case of operating in the Wi-Fi service mode and the dual-mode terminal is out of the Wi-Fi (WiFi) service area is oper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ode. To this end, when the user enters the Wi-Fi service area or leaves the Wi-Fi service area, the user must manu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또한 이와 같이 복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경우 특정 서비스 영역에서 다른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각 동작 모드에 관련된 모든 장치에 전원을 인가해야 하므로 전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와 같이 와이파이(WiFi) 서비스와 이동통신서비스를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모듈과 와이파이(WiFi) 모듈을 모두 온(on) 상태로 유지할 경우 전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ual mode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utomatically switch from one service area to another service area and switch operation modes, power must be applied to all devices related to each operation mode. This is a wasteful problem. For example, in the dual mode terminal supporting the Wi-Fi ser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s in the above example, power is wasted when bot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Wi-Fi module are kept 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경우에 상기 진입한 서비스 영역에 대응되는 모듈에 동작 전원을 인가하고, 이후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난 경우에 상기 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네트워크 기능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면서 무의미하게 낭비되는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ntering a network service area, operating power is applied to a module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service area, and then, when it is out of the service area, the power applied to the module is cut off so that the network This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function while minimizing the wasted power loss.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prop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describ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network device comprising: an antenna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in a first frequency band; A wireless network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antenna; A detector that detects whether the wireless network device has entered a network service area by using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power of the wireless network module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부는 기설정된 배율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배율부(multiplier)와, 상기 배율부의 출력 값을 제한하는 제한부와, 상기 제한부의 출력 값을 안정화시키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detector is a multiplier for increasing the size of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 limiter for limiting an output value of the magnifier, and a stabilization of an output value of the limiter. It includes a regulator.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More preferably,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wireless network module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regulator is within a preset range, and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regulator is out of a preset range, the wireless network module. Shut off the power supply.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는 1.5V~3V의 범위를 만족한다.More preferably, the preset range satisfies the range of 1.5V to 3V.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Mor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he control unit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regulator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o control.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와 검출부 사이에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부가 더 포함된다.More preferably, a matching unit for impedance matching is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antenna and the detection uni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은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이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network service area is a Wi-Fi service area and the wireless network module includes a Wi-Fi communication modu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은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이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network service area is a Bluetooth service area, and the wireless network module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주파수는 2.4GHz이다.More preferably, the first frequency is 2.4 GHz.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현재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경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현재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wireless network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radio signal; Analyzing the received wireless signal to determine whether a current wireless network device is located within a network service area; Activating a wireless network module when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device is located within a network service area according to the checking result; And deactivating the wireless network module when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device is not located in a network service area according to the checking result.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신호의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증가된 값의 최대값을 제한하는 단계와, 상기 제한된 값을 평활화하여 안정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안정화된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dvantageously, the step of identifying comprises: increasing the value of the wireless signal, limiting a maximum value of the increased value, smoothing and stabilizing the restricted value, wherein the stabilized value is Determining whether it is within a preset rang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는 1.5V~3V 범위를 만족하며, 상기 안정화된 값이 상기 범위 내에 속하면 현재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안정화된 값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현재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More preferably, the preset range satisfies the range of 1.5V to 3V, and if the stabilized value is within the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device is located in a network service area, and the stabilized value is within the range. If deviates,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device is not located in the network service area.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은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network service area comprises a Wi-Fi service area and the wireless network module comprises a Wi-Fi modu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은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network service area includes a Bluetooth service area, and the wireless network module includes a Bluetooth modu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무선신호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는 제 1 경로로 출력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무선신호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불포함하는 제 2 경로로 출력된다.More preferably, when the wireless network module is activated, the wireless signal is output to a first path including the wireless network module, and when the wireless network module is deactivated, the wireless signal does not include the wireless network module. It is output to the second path.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응되는 모듈에 동작 전원을 인가하고, 이후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난 경우에 상기 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기능 사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기능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면서 무의미하게 낭비되는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ntering a network service area by applying the operating power to th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area, and after the departure from the service area to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module, Not only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network function, but als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network fun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was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검출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배율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배율부의 출력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etector of FIG. 2.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gnification part of FIG. 3.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value of the magnification part of FIG. 3.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an entry into a service area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는 안테나(110), 스위칭부(120),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 제 1 매칭부(140), 제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50), 제 2 매칭부(160), 검출부(170), 제 3 매칭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wireless network apparatus 100 includes an antenna 110, a switching unit 120, a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a first matching unit 140, a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 150, The second matching unit 160, the detector 170, the third matching unit 180, and the controller 190 are included.

안테나(110)는 접속 노드(AP:Access Point)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접속 노드는 제 1 접속 노드 및 제 2 접속 노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 1 접속 노드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현재 속해 있는 BSS(Basic Service Set)의 접속 노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 2 접속 노드는 단말기가 제 1 접속 노드로부터 제공받던 서비스를 이동 후에 연속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접속 노드를 의미한다. 이때, 제 2 접속 노드는 제 1 접속 노드와 동종 망, 즉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다른 BBS에 속해 있는 접속 노드를 의미한다. 특히, 제 2 접속 노드는 제 1 접속 노드와 동일한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갖는다.The antenna 110 accesses an access node (AP)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The access node may include a first access node and a second access node. The first access node refers to an access node of a basic service set (BSS) to which a terminal currently belongs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In addition, the second access node refers to an access node that the terminal wants to receive continuously after moving a service provided from the first access node. In this case, the second access node means an access node belonging to the same network as the first access node, that is, another BBS of the wireless network system. In particular, the second access node has the same service set identifier (SSID) as the first access node.

이때, 상기 안테나(110)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은 2.4GHz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tenna 110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and, the first frequency band may be 2.4GHz.

특히, 상기 안테나(110)는 서비스 영역(와이-파이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지역) 내로의 이동 시, 2.4GHz 대역의 무선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In particular, the antenna 110 transmits or receives a radio signal in the 2.4 GHz band when moving into a service area (area capable of Wi-Fi communication or Bluetooth communication).

스위칭부(120)는 상기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경로 또는 상기 안테나(110)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신호의 경로를 스위칭한다.The switching unit 120 switches a path of a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10 or a path of radio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110.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은 제 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제 1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서비스 영역은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일 수 있다.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is a module for performing a first wireless network function in the first service area. Preferably, the first service area includes a Wi-Fi service area, and thus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may be a Wi-Fi communication module.

제 1 매칭부(140)는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과 외부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킨다. 상기 제 1 매칭부(140)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와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atching unit 140 matches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with an external impedance. The first matching unit 140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capacitor and at least one induc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매칭부(140)는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하나의 인덕터와, 상기 인덕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 1 가변 커패시터 및 제 2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매칭은 상기 제 1 가변 커패시터와 제 2 가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각각 가변하고, 가변된 한쌍의 커패시턴스와 인덕터의 인덕턴스에 따라 입력단과 출력단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matching unit 140 may include one induct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and a first variable capacitor and a second variable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ductor. . The impedance matching may vary the capacitance of the first variable capacitor and the second variable capacitor, and perform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variable pair of capacitance and the inductance of the inductor.

제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50)은 제 2 서비스 영역 내에서 제 2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서비스 영역은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5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 150 is a module for performing a second wireless network function in the second service area. Preferably, the second service area includes a Bluetooth service area, and accordingly, the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 150 may includ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제 2 매칭부(160)는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50)과 외부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매칭부(160)는 상기 기재된 제 1 매칭부(14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matching unit 160 matches the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 150 with an external impedance. In this case, the second matching unit 16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matching unit 140 described above.

검출부(170)는 무전원 RF 전원 검출 회로로, 상기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크기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현재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The detector 170 is a non-powered RF power detection circuit, and detects the magnitude of a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10, and accordingly detects whether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device 100 is located within a service area.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는 주위에 위치한 접속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실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접속 노드의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는 현재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였음을 의미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접속 노드의 일정 반경 내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는 현재 서비스 영역 내에서 벗어났음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2, in general, such a wireless network may be executed when there is an access node located around. In other words, when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is located within a certain radius of the access node, it means that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is located in the current service area, and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access node. When the deviation is within a certain radius, it means that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is out of the current service area.

다시 말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접속 노드의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여, 높은 신호(High Signal) 또는 낮은 신호(Low signal)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현재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접속 노드의 일정 반경 내를 벗어남으로써, 무신호(No signal)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현재 서비스 영역을 벗어났음을 의미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2, when the wireless network apparatus 100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an access node and receives a high signal or a low signal wireless signal,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This means that the network device 100 is located in the current service area.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receives a no signal wireless signal by moving out of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access node, it means that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is out of the current service area. .

도 3은 도 2의 검출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etector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검출부(170)는 배율부(171), 제한부(172) 및 레귤레이터(17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etector 170 includes a magnification unit 171, a limiting unit 172, and a regulator 173.

배율부(171)는 상기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The magnification unit 171 increases the size of the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10.

도 4는 도 3의 배율부의 상세 구성도이다.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gnification part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율부(171)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D)와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magnification unit 171 includes at least one diode D and at least one capacitor C. Referring to FIG.

이때, 상기 배율부(171)의 증가 배율은 상기 구성된 다이오드(D) 및 커패시터(C)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At this time, the increase magnification of the magnification unit 171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he diode (D) and the capacitor (C) configur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한 경우에 따라 발생하는 무선신호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배율부(171)의 증가 배율을 결정하도록 한다. 즉, 상기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의 크기가 미세한 경우, 상기 검출부(170)에 의해 상기 무선신호가 미검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무선신호를 일정 배율로 증가시켜, 상기 무선신호의 검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rease magnification of the magnification unit 171 is determin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radio signal generated when entering the service area. That is, when the size of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10 is minute, the wireless signal may not b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70, thereby increasing the wireless signal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Ensure detection is efficient.

다시 말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율부(171)는 상기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바람직하게는 RF 신호)의 입력 전압(Vin=A)을 일정 배율로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일정 배율로 증가된 전압(Vout=B)을 출력시킨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5, the magnification unit 171 increases the input voltage Vin = A of the radio signal (preferably an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10 at a constant magnification. Accordingly, the voltage Vout = B increased at the predetermined magnification.

제한부(172)는 상기 배율부(171)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값의 크기를 제한한다. 즉, 상기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전압 값은 그 신호의 세기에 따라 다르며, 그에 따라 큰 세기의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배율부(171)의 출력 값이 지나치게 커질 수 있으므로, 제한부(172)는 상기 배율부(171)의 출력 값을 제한한다.The limiting unit 172 limits the size of the output value output through the magnification unit 171. That is, the voltage value of the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10 depends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and accordingly, when a signal having a large intensity is received, the output value of the multiplier 171 may be excessively large. The limiter 172 limits the output value of the magnification unit 171.

레귤레이터(173)는 상기 제한부(172)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값을 평활화하여, 안정된 전압 값이 출력되도록 한다.The regulator 173 smoothes the output value output through the limiting unit 172 to output a stable voltage value.

제 3 매칭부(180)는 상기 검출부(170)와 외부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매칭부(180)는 상기 기재된 제 1 및 2 매칭부(140,160)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third matching unit 180 matches the detector 170 with an external impedance. In this case, the third matching unit 18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atching units 140 and 160 described above.

제어부(19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특히, 제어부(190)는 서비스 영역 내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진입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 및 제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50)의 동작을 제어한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90 controls operations of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and the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 150 according to whether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enters a service area.

즉, 제어부(19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및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1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제 1 및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150)을 오프 시킨다.That is, when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is not located in the service area, the controller 190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s 130 and 150, and thus,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s. Turn off (130,150).

이때, 제어부(190)는 상기 스위칭부(1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가 검출부(170)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120, so that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10 is output to the detection unit 170.

또한, 제어부(190)는 상기 검출부(17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 값을 확인하고, 상기 전압 값을 이용하여 현재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하였는지를 확인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checks the voltage value output through the detector 170 and checks whether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device 100 has entered the service area by using the voltage value.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90)는 상기 검출부(170)의 전압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압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면, 현재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전압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현재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을 벗어났다고 판단한다.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90 checks whether the voltage value of the detector 170 is within a preset range, and accordingly, if the voltage value is within a preset range,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device 100 is in the service are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enters the inside, and the voltage value is out of the preset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device 100 is out of the service area.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한 경우에 나타나는 전압 값은 1.5V~3V 범위(O) 내에 속하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voltage value that appears when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enters the service area is in the range of 1.5V to 3V (O).

따라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전압 값이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150)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voltage value is within the set range, the controller 190 allows the operating power to be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s 130 and 150.

즉, 상기 제 1 및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150)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전압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 1 및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150)에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서비스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That is, when the voltage value is within a preset range while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s 130 and 150 are turned off, the controller 190 wakes up to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s 130 and 150. Outputs a wake-up signal to control the service function.

이때, 제어부(190)는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에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이 정상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현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러나,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이 비정상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제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50)에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이전에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한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을 다시 오프 시킨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90 outputs a wake-up signal to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In this case, when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that receives the wake-up signal operates normally, the controller 190 maintains the current state. However, when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that receives the wake-up signal is abnormally operated, the controller 190 outputs the wake-up signal to the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 150, and accordingly,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which previously output the wake-up signal is turned off again.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및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150)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이 동작하는 경우, 상기 동작하는 모듈에 대응되는 경로로 상기 스위칭부(120)의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is located within a service area and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s 130 and 150 operates, the controller 190 may correspond to a path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module. As a control so that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unit 120 is mad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의하면,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응되는 모듈에 동작 전원을 인가하고, 이후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난 경우에 상기 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기능 사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기능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면서 무의미하게 낭비되는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ireless networ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ntering a network service area, the operation power is applied to a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area, and then when it is out of the service area, it is applied to the module.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not only can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network function can be solved, but the efficiency of the network function can be increased while reducing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안테나(110)를 통해 무선신호를 검출한다(701단계). 이때, 상기 무선신호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한 경우에 일정 크기의 전압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first, a wireless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antenna 110 (operation 701). In this case, the wireless signal may have a voltage value when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enters the service area, and may not be detected when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does not enter the service area. Can be.

이후, 상기 검출한 무선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702단계).Thereafter, the wireless network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network apparatus 100 enters the service area by using the detected size of the wireless signal (step 702).

즉,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한 경우, 상기 무선신호의 크기는 1.5V~3.0V 범위 내에 속하기 때문에, 상기 무선신호의 크기가 상기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That is, when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enters the service area, the size of the wireless signal is within the range of 1.5V to 3.0V, so it is checked whether the size of the wireless signal is within the range.

이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한 경우, 상기 진입한 서비스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특정 모듈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Then, when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enters into the service area, power is supplied to a specific module to execut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service area.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이 동작하도록 한다(703단계).To this end, power is first supplied to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so that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operates (step 703).

이때, 만약 상기 무선신호의 크기가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을 벗어났다고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제 1 및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 15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704단계).In this case, if the size of the wireless signal is out of the set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network device 100 is out of the service area, and accordingly, power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s 130 and 150 is supplied. Block (step 704).

이후, 상기 전원이 공급된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705단계).In operation 70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to which the power is supplied operates normally.

즉, 상기 진입한 서비스 영역이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에 대응되는 제 1 서비스 영역인지 여부를 확인한다.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ntered service area is the first service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이후,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로 공급되는 전원을 그대로 유지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한다(706단계).Thereafter, when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operates normally,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is maintained as it is, and accordingly,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is maintained. Run (step 706).

한편, 상기 전원이 공급된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1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그에 따라 제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50)을 동작시킨다(707단계).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to which the power is supplied abnormally operates,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30, and accordingly to the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 150 In operation 707, the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 150 is operated by supplying power.

이후, 상기 동작하는 제 2 무선 네트워크 모듈(150)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한다(708단계).Thereafter,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 150 is executed (step 708).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응되는 모듈에 동작 전원을 인가하고, 이후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난 경우에 상기 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기능 사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기능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면서 무의미하게 낭비되는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ntering a network service area, operating power is applied to a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area, and thereafter, the power applied to the module is cut off when it is out of the service area. By doing so, it is possible not only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network function, but also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network function, thereby reducing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that is wast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hown in detai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00: 무선 네트워크 장치
110: 안테나
120: 스위칭부
130: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
140: 제 1 매칭부
150: 제 2 무선 네트워크 모듈
160: 제 2 매칭부
170: 검출부
180: 제 3 매칭부
190: 제어부
100: wireless network device
110: antenna
120: switching unit
130: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140: first matching unit
150: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
160: the second matching unit
170: detector
180: third matching unit
190:

Claims (16)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전압 값을 출력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 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 전원 공급 시, 상기 안테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 차단 시, 상기 안테나는 상기 검출부와 연결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In a wireless network device,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and;
A wireless network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antenna;
A detector detecting a voltage value of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outputting the detected voltage valu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voltage value output through the detection unit,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wireless network module using the received voltage value, or to supply power to the wireless network modul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wireless network module, the antenna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module,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wireless network module is cut off, the antenna is connected to the det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기설정된 배율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배율부(multiplier)와,
상기 배율부의 출력 값을 제한하는 제한부와,
상기 제한부의 출력 값을 안정화시키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ion unit
A multiplier for increasing the size of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t a preset magnification;
A limiting unit for limiting an output value of the magnification unit;
And a regulator for stabilizing an output value of the limiting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supply power to the wireless network module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regulator falls within a preset range.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regulator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the wireless network device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wireless network modu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범위는 1.5V~3V의 범위를 만족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reset range is a wireless network device that satisfies the range of 1.5V ~ 3V.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regulator falls within a preset ran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검출부 사이에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부가 더 포함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matching unit f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antenna and the detec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은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및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network service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a Wi-Fi service area and a Bluetooth service area,
The wireless network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값에 따라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진입한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network module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unit,
And confirming a network service area to which the wireless network device has entered according to the voltage value, and supplying power only to a wireless network module corresponding to the checked network service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는 2.4G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first frequency is 2.4 GHz.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안테나를 통해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검출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전압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면, 무선 네트워크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여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전압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비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의 전원 공급 시,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안테나와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는 제 1 경로로 출력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 차단 시,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안테나와 검출부를 포함하는 제 2 경로로 출력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In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network device,
Receiving a radio signal in a first frequency band via an antenna;
Detecting a voltage value of the received wireless signal through a detector;
If the detected voltage value is within a preset range, supplying power to and activating a wireless network module; And
If the detected voltage value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the step of deactivating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wireless network modul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wireless network module, the wireless signal is output through a first path including the antenna and the wireless network module.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wireless network module is cut off, the wireless signal is output to the second path including the antenna and the detection unit output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network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값을 검출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배율로 상기 무선 신호의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증가된 값의 최대값을 제한하는 단계와,
상기 제한된 값을 평활화하여 안정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안정화된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Detecting the voltage value,
Increasing the value of the wireless signal at a preset magnification;
Limi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increased value;
Smoothing and stabilizing the limited valu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tabilized value is within a preset rang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범위는 1.5V~3V 범위를 만족하며,
상기 안정화된 값이 상기 범위 내에 속하면 현재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안정화된 값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현재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eset range satisfies the range of 1.5V to 3V,
If the stabilized value is within the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network service area,
And if the stabilized value is out of the range, determining that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device is not located in a network service area.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은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network service area includes a Wi-Fi service area,
The wireless network module includes a Wi-Fi modul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은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network service area includes a Bluetooth service area,
The wireless network module includes a Bluetooth modul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은
제 1 및 2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이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의 활성화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모듈의 활성화를 중지하고,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wireless network module
Including first and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s,
The activating step,
Activating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Determining whether the activated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operates normally;
Maintaining activation of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if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is normally operated;
If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abnormally operates, stopping the activation of the first wireless network module and activating the second wireless network modul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는 2.4GHz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nd wherein the first frequency comprises 2.4 GHz.
KR1020110061627A 2011-06-24 2011-06-24 Wireless network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1012314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627A KR101231496B1 (en) 2011-06-24 2011-06-24 Wireless network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PCT/KR2012/004662 WO2012177011A2 (en) 2011-06-24 2012-06-13 Wireless network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627A KR101231496B1 (en) 2011-06-24 2011-06-24 Wireless network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52A KR20130000852A (en) 2013-01-03
KR101231496B1 true KR101231496B1 (en) 2013-02-07

Family

ID=4783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627A KR101231496B1 (en) 2011-06-24 2011-06-24 Wireless network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4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5165A (en) 2018-12-14 2021-07-30 株式会社富士金 Job management device, job management method, and job managemen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884A (en) * 2004-09-21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Dual-mode phone for operating between defferent networks and operating method therein
JP2009135892A (en) * 2007-09-10 2009-06-18 Fisher Rosemount Syst Inc Location dependent control access in process control system
KR20100067922A (en) * 2008-12-12 2010-06-22 엘지노텔 주식회사 Signal amplify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10090829A1 (en) * 2009-04-21 2011-04-21 Jane Zhen Wu System and method for handsets and access points power sav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884A (en) * 2004-09-21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Dual-mode phone for operating between defferent networks and operating method therein
JP2009135892A (en) * 2007-09-10 2009-06-18 Fisher Rosemount Syst Inc Location dependent control access in process control system
KR20100067922A (en) * 2008-12-12 2010-06-22 엘지노텔 주식회사 Signal amplify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10090829A1 (en) * 2009-04-21 2011-04-21 Jane Zhen Wu System and method for handsets and access points power sav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52A (en)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886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16752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low power consumption
US10333563B2 (en) Wireless terminal and antenna switching control method for wireless terminal
US8305958B2 (en) Delegated network connection management and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device
KR101515479B1 (en) Multi-mod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ethod thereof
US20080280656A1 (en) Power management unit (PMU) sequencer
KR20090035688A (en) Synchroniz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while saving power
US20090061770A1 (en) Bluetooth device with on-demand page scan
EP2106184B1 (en) Power managing method applied to a wireles network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thereof
CN102316565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used i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ime slots
EP2925059A1 (e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for searching passively activated wifi network searching
EP3893357A1 (en)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to be charged, storage medium, and chip system
CN110167184B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8934063A (en) A kind of Lora terminal power-economizing method based on binary search slot randomization communication mechanism
KR101231496B1 (en) Wireless network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JP2006524456A (en) Power saving in the transmitter
KR1019765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in Wireless LAN
US20040127216A1 (en) Electronic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spatch electronic control method
KR10166136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and controll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231402B1 (en) Wireless network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CN105722017A (en) Method for broadcasting and scanning wireless label in low power consumption
US901464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thereby,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0368067Y1 (e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wireless home network
KR101515476B1 (en)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inside vehicle using NFC
KR20150006165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