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916B1 -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916B1
KR101228916B1 KR1020110010685A KR20110010685A KR101228916B1 KR 101228916 B1 KR101228916 B1 KR 101228916B1 KR 1020110010685 A KR1020110010685 A KR 1020110010685A KR 20110010685 A KR20110010685 A KR 20110010685A KR 101228916 B1 KR101228916 B1 KR 101228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zone
display panel
information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319A (ko
Inventor
김희정
김용태
김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아이비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아이비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아이비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0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9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멀티 비젼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에서 하나의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담당 구역 정보가 포함된 담당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외부로부터 입력된 S3D(Stereoscopic 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좌구역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S3D 영상을 구성하는 우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우구역 영상을 추출하는 구역 추출부 및 상기 좌구역 영상과 상기 우구역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하는 3차원 처리부를 포함함으로써, 적은 자원을 이용해 3차원 멀티 비젼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3 DIMENSIONAL IMAGE IN MULTI VISION}
본 발명은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적은 자원을 이용해 S3D(Stereoscopic 3D) 영상을 분할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하는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S3D(Stereoscopic 3D) 영상은 인간이 두 눈을 이용하여 물체를 인식하는 것을 모방하여 별도로 마련되는 두 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생성된 영상이다. 이러한 S3D 영상을 3D TV와 같은 특수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시하고, 이때 3D TV를 특수 안경을 착용한 상태로 보면 사용자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컴퓨터 그래픽 분야에서 3D 그래픽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S3D는 이것과 전혀 다른 개념이기 때문이 혼동을 피하기 위해 양안식 3D 영상 또는 S3D 영상으로 지칭한다.
컴퓨터 그래픽 분야의 3D 영상은 가상의 3차원 공간에 어떤 물체를 만들어 놓고 하나의 렌즈를 가진 가상의 카메라로 찍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표현한 영상으로, 원근법이나 명암 등의 단안 요인을 이용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3D 영상은 한쪽 눈으로 본다고 해도 습득하는 정보량의 손실이 없다. 즉, 3D 영상은 두 눈으로 볼 때나 한쪽 눈으로 볼때나 똑같이 보인다.
반면, S3D 영상은 좌안용과 우안용, 두개의 영상을 사용함으로써 양안 시차를 발생시켜 피사체가 스크린 안쪽으로 들어가거나 스크린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S3D 영상은 한쪽 눈으로 본다면 입체감이 사라지며, S3D 영상의 포맷에 따라 애너글리프 영상의 경우 색상의 일부를 볼 수 없고, 편광 안경 방식의 경우 해상도의 1/2을, 셔터 안경 방식의 경우 프레임의 1/2를 볼 수 없게 된다.
S3D 영상은 제작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S3D 영상의 시청을 위해서도 특수한 장비가 요청되지만,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현실과 같은 3차원적 효과를 표현할 수 강점을 내세워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된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이 각종 S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S3D TV 등의 각종 S3D 관련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연구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분야에는 작은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격자로 조합하여 대형 화면을 형성하는 멀티 비젼에 S3D를 접목시키고자 하는 연구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적은 자원을 이용해 S3D(Stereoscopic 3D) 영상을 분할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하는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멀티 비젼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에서 하나의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담당 구역 정보가 포함된 담당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외부로부터 입력된 S3D(Stereoscopic 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좌구역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S3D 영상을 구성하는 우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우구역 영상을 추출하는 구역 추출부 및 상기 좌구역 영상과 상기 우구역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하는 3차원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역 추출부는 상기 좌구역 영상과 상기 우구역 영상을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로 확대시켜 상기 3차원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역 추출부는 상기 좌구역 영상과 상기 우구역 영상 중 하나만을 출력하고, 상기 3차원 처리부는 상기 출력된 하나의 구역 영상을 2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담당 정보는 상기 좌영상과 상기 우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역 추출부는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좌구역 영상과 상기 우구역 영상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내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3차원 멀티 비젼 시스템은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가 내장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담당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는 제어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박스는 S3D 소스로부터 상기 S3D 영상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더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은 (a)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담당 구역 정보가 포함된 담당 정보와 S3D 영상(Stereoscopic 3D)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S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좌구역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S3D 영상을 구성하는 우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우구역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좌구역 영상과 상기 우구역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의 사이에, 상기 추출된 좌구역 영상과 상기 추출된 우구역 영상을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로 확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먼저 입력된 S3D 영상에서 자신이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담당 구역을 추출한 후에 추출된 구역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이미지 처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적은 자원을 이용해 3차원 멀티 비젼을 구현할 수 있다.
소요되는 자원의 감소로 인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용이하게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내장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 부하가 감소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통해 S3D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구역 영상에 시간 지연, 즉 랙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영상의 동기화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는 담당 정보를 이용해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멀티 비젼 구현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S3D 영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S3D 영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3차원 멀티 비젼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3차원 멀티 비젼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3차원 멀티 비젼 시스템을 통해 실제로 S3D 영상을 시연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3차원 영상은 S3D 영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멀티 비젼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에서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담당 구역 정보가 포함된 담당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10), 외부로부터 입력된 S3D(Stereoscopic 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좌구역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S3D 영상을 구성하는 우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우구역 영상을 추출하는 구역 추출부(130) 및 상기 좌구역 영상과 상기 우구역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하는 3차원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멀티 비젼은 작은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격자로 조합하여 대형 화면을 형성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멀티 비젼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90)을 포함한다. 도 1에는 2×2 멀티 비젼의 경우를 나타내었다.
3차원 영상을 멀티 비젼을 통해 표현하기 위해 한대의 컴퓨터를 이용해 모든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S3D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먼저 입력된 S3D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의 해상도를 전체 멀티 비젼의 해상도로 줌인한다. 이후 줌인된 각 좌영상과 우영상을 각 디스플레이 패널이 담당하는 구역으로 분할한 후 S3D 영상 표시 방식으로 처리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전체 멀티 비젼의 해상도를 대상으로 하여 구역 분할이 이루어지므로 처리 부하가 가중된다. 예를 들어 2×2 멀티 비젼의 경우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가 1024*768이라면 전체 멀티 비젼의 해상도는 2048*1538이 된다. 따라서 컴퓨터는 처리 과정에서 2048*1538의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처리 부하가 가중되며, 이러한 이유로 부분적인 재생 지연, 랙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영상의 동기화가 어려워진다. 2D 영상과 달리 좌영상과 우영상을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S3D 영상에서는 과중한 부하가 인가되므로 특히, 멀티 비젼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가 증가할수록 이와 같은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3차원 영상을 멀티 비젼을 통해 표현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정보 수신부(110), 구역 추출부(130) 및 3차원 처리부를 이용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110)는 외부에 위치한 제어 박스 등으로부터 담당 정보를 수신한다.
담당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가 담당/관리하는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이 전체 S3D 영상 중에서 표시해야 할 구역을 나타내는 담당 구역 정보를 포함한다. 담당 정보에는 이외에도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 정보, 2차원 표시와 3차원 표시 중 어떤 표시가 선택되었는지 나타내는 표시 정보, 2차원 표시시 S3D 영상에서 좌영상과 우영상 중 어느 영상을 선택할지 나타내는 선택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역 추출부(130)는 담당 정보에 포함된 담당 구역 정보를 이용해 입력된 S3D 영상에서 담당 구역 영상을 추출한다. S3D 영상은 좌영상과 우영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담당 구역 영상은 좌영상에서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좌구역 영상과 우영상에서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우구역 영상을 포함한다.
살펴보면, 구역 추출부는 입력된 S3D 영상에 대한 줌인 처리 없이 담당 구역 영상을 추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추출 대상인 S3D 영상의 전체가 줌인된 상태가 아니므로 담당 구역 영상의 추출시에 처리에 별다른 부하가 가해지지 않게 된다.
3차원 처리부(150)는 구역 추출부에서 추출된 담당 구역 영상, 즉 좌구역 영상과 우구역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한다. S3D 영상 표시 방식은 좌영상과 우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일정 방식에 따라 출력함으로써 입체감을 부여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의 S3D 영상 표시 방식에는 예를 들어 편광 안경을 사용하는 편광 안경 방식과 셔터 안경을 사용하는 셔터 안경 방식 등이 있다. 3차원 처리부(150)는 편광 안경 방식이라면 좌구역 영상과 우구역 영상을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이 되도록 line by line 영상으로 구성하고, 셔터 안경 방식이라면 좌구역 영상과 우구역 영상이 번갈아가며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도 2에서와 같이 원영상을 멀티 비젼 전체의 해상도록 줌인하는 과정이 없이 바로 원영상을 이용해 각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이 담당하는 구역 영상을 추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역 영상의 추출은 각 디스플레이 패널별로 마련되는 본 발명의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 동시에 수행된다. 따라서, 첫째, 줌인된 영상인 아닌 원영상을 이용해 구역 영상을 분할/추출하는 구성, 둘째, 자신이 담당하는 구역 영상만을 추출하는 구성에 의해 랙이 없는 3차원 멀티 비젼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다만, 위 구성에 따르면 원영상을 줌인하는 기능이 누락되므로 도 2에서와 같이 원영상을 멀티 비젼으로 표시할 때 문제가 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이용해 다양한 효과를 표현할 수 있지만 멀티 비젼에서 원영상과 같은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줌인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역 추출부(130)는 추출된 좌구역 영상과 우구역 영상을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로 확대(줌인)시켜 3차원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도 3과 같이 멀티 비젼을 통해 원영상을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줌인된 좌구역 영상과 우구역 영상의 해상도는 전체 멀티 비젼의 해상도가 아니라 자신이 담당하는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이다. 따라서, 구역 추출부에 줌인 기능을 부가한다 하더라도 앞에서 설명된 방식과 같이 전체 멀티 비젼의 해상도로 처리되는 경우는 없다. 어차피 각 구역 추출부는 원영상을 받아서 처리하므로 각 구역 영상을 원영상의 해상도로 줌인하다고 해도 추가적인 부하의 가중은 없게 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표현되는 원영상은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영상을 지칭한다. 이때의 원영상의 해상도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스케일러를 통해 원영상의 표시에 문제가 없으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영상의 해상도와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한다.
이때의 구역 추출부에 따르면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우선 줌인된 영상인 아닌 원영상을 이용해 구역 영상을 분할/추출하고, 다음으로 추출된 구역 영상을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로 확대하게 되므로 원영상의 처리 정도의 부하만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해상도가 증가된 영상의 처리로 인한 부하의 증가가 없으며, 자신이 담당하는 구역 영상만을 대상으로 줌인하고 S3D 영상 표시 방식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고속의 처리가 가능하다. 그 결과 멀티 비젼을 통한 S3D 영상의 표시를 멀티 비젼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와 상관없이 랙없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입력된 S3D 영상을 2D 영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2D 영상은 하나의 렌즈(카메라 등)를 통해 촬영한 영상이므로 좌영상 또는 우영상 중 하나의 영상만을 표시하면 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구역 추출부는 좌구역 영상과 우구역 영상 중 하나만을 출력하고, 구역 추출부는 좌구역 영상과 우구역 영상 중 하나만을 출력하고, 3차원 처리부는 구역 추출부에서 출력된 하나의 구역 영상(좌구역 영상 또는 우구역 영상)을 2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좌영상을 표시할지 우영상을 표시할지는 기본 설정값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기본 설정값은 공장 출하시에 설정된 정보이거나, 담당 정보에 포함된 선택 정보일 수 있다.
앞에서 담당 정보는 표시 정보와 선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선택 정보가 이용된다는 것은 표시 정보를 통해 2차원 표시가 선택된 것이 확인된 상태임이 전제된다.
정리하면, 정보 수신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담당 정보는 좌영상과 우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정보를 포함하고, 구역 추출부는 선택 정보에 따라 좌구역 영상과 우구역 영상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내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장을 위해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소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하나의 IC 칩 또는 복수의 IC 칩으로 구성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최대 원영상의 해상도를 처리 대상으로 하고, 줌인과 S3D 영상 표시 방식의 처리와 같은 주된 처리를 자신이 담당하는 구역 영상에 대해서만 수행한다. 따라서, 적은 처리 부하로 인하여 모듈 구성이 간소해지므로 위와 같이 단일 IC 칩 등으로 구현이 용이하다.
결과적으로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용이하게 내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3차원 멀티 비젼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3차원 멀티 비젼 시스템은 복수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90) 및 상기 담당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는 제어 박스(270)를 포함하고 있다.
각 디스플레이 패널(290)은 도 1에서 살펴본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각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자신이 내장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S3D 영상에서 표시해야 할 구역 영상을 추출한 후 이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자신이 내장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담당하는 구역 영상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담당 정보가 이용된다.
제어 박스(270)는 담당 정보를 생성하여 각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한다. 이때의 담당 정보는 구체적으로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정보 수신부로 입력된다.
제어 박스는 멀티 비젼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열과 개수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패널이 담당하여 표시할 구역 정보, 즉 담당 구역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 박스는 이외에도 S3D 영상을 2차원으로 표시할지 3차원으로 표시할지를 선택하는 표시 정보, 2차원 표시 선택 시 표시할 영상을 S3D 영상의 좌영상으로 할지 우영상으로 할지 선택하는 선택 정보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이상의 담당 구역 정보는 담당 정보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표시 정보와 선택 정보는 경우에 따라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열과 개수는 제어 박스에서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수는 제어 박스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와 같으므로 용이하게 파악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열은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 부분에 각종 센서를 구비시켜 상하좌우로 인접하여 설비된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이 있는지 파악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추가로 구비하고,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배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열과 개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파악될 수도 있다.
3차원 멀티 비젼 시스템은 S3D 영상을 3차원으로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S3D 영상을 입력받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대용량의 S3D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블루레이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S3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블루레이 플레이어가 필요하다. 이때, 블루레이 플레이어는 제어 박스(27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어 박스(270)는 S3D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S3D 소스(280)로부터 S3D 영상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3차원 멀티 비젼 시스템의 동작을 도 5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3차원 멀티 비젼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예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 내지 디스플레이 패널4가 2×2구조로 설비된 멀티 비젼 시스템을 나타내었다.
먼저, 제어 박스는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수와 배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패널이 담당해야 할 구역 정보(담당 구역 정보)를 생성하여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송한다.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내장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담당 구역 정보를 통해 자신이 내장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표시해야 할 구역을 파악하며, 이때의 구역은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좌영상에 대해서 좌1/4, 좌2/4, 좌3/4, 좌4/4 구역과 우영상에 대해서 우1/4, 우2/4, 우3/4, 우4/4 우구역과 같다. 담당 구역 정보는 좌영상과 우영상에 대해서 별개로 나뉘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영상에 대한 정보이므로 동일한 구역 정보를 이용하는 좌구역과 우구역은 동일한 배열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이후, 제어 박스 또는 별도의 블루레이 플레이어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패널은 S3D 영상, 즉 좌영상과 우영상을 전송받는다. 이때 각 디스플레이 패널이 전송받는 좌영상과 우영상은 제어 박스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전체 영상을 표시할 경우에, 즉 멀티 비젼이 아닌 경우에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와 동일하다.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내장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입력받은 좌영상과 우영상을 담당 구역 정보에 따라 분할하고, 분할된 구역 영상 중 자신이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표시해야 할 구역 영상을 줌인한 후 S3D 영상 표시 방식으로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에 내장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이 담당하여 표시해야 할 좌구역 영상 좌1/4와 우구역 영상 우1/4 각각을 디스플레이 패널1의 해상도로 줌인시킨 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은 좌1/4 영상과 우1/4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에 내장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가 담당하여 표시해야 할 좌구역 영상 좌2/4와 우구역 영상 우2/4 각각을 디스플레이 패널2의 해상도로 줌인시킨 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는 좌2/4 영상과 우2/4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에 내장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3이 담당하여 표시해야 할 좌구역 영상 좌3/4와 우구역 영상 우3/4 각각을 디스플레이 패널3의 해상도로 줌인시킨 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3은 좌3/4 영상과 우3/4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에 내장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4가 담당하여 표시해야 할 좌구역 영상 좌4/4와 우구역 영상 우4/4 각각을 디스플레이 패널4의 해상도로 줌인시킨 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4는 좌4/4 영상과 우4/4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3차원 멀티 비젼 시스템을 통해 실제로 S3D 영상을 시연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테스트 결과 영상의 동기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시연 중 별다른 랙이 감지되지 않았으며, 외부로 드러나는 구성은 9대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제어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3가지였다. 이때의 제어 박스는 무선 방식을 사용하는 리모콘의 형태로 구성되었으며, 제어 박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도 무선 통신부를 설비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으로서 설명될 수도 있다.
먼저,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담당 구역 정보가 포함된 담당 정보와 S3D 영상(Stereoscopic 3D)을 수신한다(S 510). 사업적 목적에 따라 담당 정보를 S3D 영상 수신 후에 수신하거나 담당 정보를 S3D 영상 수신 전에 수신했다 하더라도 일정 시간 S3D 영상을 수신한 후에 담당 정보의 담당 구역 정보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분할되지 않은 온전한 S3D 영상을 각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일정 시간 표시한 후 전체 멀티 비젼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각적 연출을 구현할 수 있다.
만약, 이와 같은 연출을 배제할 경우 담당 정보는 적어도 S3D 영상와 동시에 수신되거나, 가능한 먼저 수신되어야 할 것이다.
담당 정보는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며, S3D 영상은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거나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어느 수단을 통하여 수신되더라도 수신된 S3D 영상은 구역 추출부(130)로 전송된다.
상기 S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좌구역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S3D 영상을 구성하는 우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우구역 영상을 추출한다(S 520). 구역 추출부(130)에서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구역 추출부는 정보 수신부로부터 담당 정보를 전송받고, 정보 수신부 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로부터 S3D 영상을 전송받는다.
상기 좌구역 영상과 상기 우구역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한다(S 540). 3차원 처리부(150)에서 수행되는 동작이다.
또한, 각 구역 영상을 추출하는 과정(S 520)과 추출된 각 구역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하는 과정(S 540)의 사이에 상기 추출된 좌구역 영상과 상기 추출된 우구역 영상을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로 확대시키는 과정(S 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역 영상을 추출하는 과정(S 520)에서 추출된 각 구역 영상은 원영상의 1/4의 해상도를 갖는다. 따라서 이때의 각 구역 영상을 그대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게 되면 도 2와 같이 온전한 원영상이 표시되지 못하므로 각 구역 영상을 원영상의 해상도(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로 줌인(확대)시킨다. 이때의 줌인 기능은 구역 추출부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설명된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으로 기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3D 영상을 표현하고자 하는 멀티 비젼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멀티 비젼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가 많은 경우에 유리하다.
110...정보 수신부 130...구역 추출부
150...3차원 처리부 190, 290...디스플레이 패널
270...제어 박스 280...S3D 소스

Claims (10)

  1. 멀티 비젼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에서 하나의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담당 구역 정보가 포함된 담당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외부로부터 입력된 S3D(Stereoscopic 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좌구역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S3D 영상을 구성하는 우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우구역 영상을 추출하는 구역 추출부; 및
    상기 좌구역 영상과 상기 우구역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하는 3차원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역 추출부는 줌인된 영상이 아닌 원영상을 이용해 구역 영상을 분할/추출하고, 다음으로 추출된 구역 영상을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로 확대하게 되므로 원영상의 처리 정도의 부하만이 가해지게 되며,
    상기 S3D 영상 표시 방식은 좌구역 영상과 우구역 영상을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이 되도록 구성하는 편광 안경 방식과 좌구역 영상과 우구역 영상이 번갈아가며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셔터 안경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추출부는 상기 좌구역 영상과 상기 우구역 영상을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로 확대시켜 상기 3차원 처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추출부는 상기 좌구역 영상과 상기 우구역 영상 중 하나만을 출력하고,
    상기 3차원 처리부는 상기 출력된 하나의 구역 영상을 2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 정보는 상기 좌영상과 상기 우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역 추출부는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좌구역 영상과 상기 우구역 영상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가 내장된 디스플레이 패널.
  6. 복수로 마련되는 제 5 항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담당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는 제어 박스;
    를 포함하고,
    줌인된 좌구역 영상과 우구역 영상의 해상도는 전체 멀티 비젼의 해상도가 아니라 자신이 담당하는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멀티 비젼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박스는 S3D 소스로부터 상기 S3D 영상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멀티 비젼 시스템.
  8. (a)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담당 구역 정보가 포함된 담당 정보와 S3D 영상(Stereoscopic 3D)을 수신하는 단계;
    (b) 줌인된 영상이 아닌 원영상을 이용해 구역 영상을 분할/추출하고, 다음으로 추출된 구역 영상을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로 확대하게 되므로 원영상의 처리 정도의 부하만이 가해지게 되도록 상기 S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좌구역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S3D 영상을 구성하는 우영상에서 상기 담당 구역 정보에 해당하는 우구역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좌구역 영상과 상기 우구역 영상을 S3D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S3D 영상 표시 방식은 좌구역 영상과 우구역 영상을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이 되도록 구성하는 편광 안경 방식과 좌구역 영상과 우구역 영상이 번갈아가며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셔터 안경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의 사이에,
    상기 추출된 좌구역 영상과 상기 추출된 우구역 영상을 상기 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로 확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의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10010685A 2011-02-07 2011-02-07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228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685A KR101228916B1 (ko) 2011-02-07 2011-02-07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685A KR101228916B1 (ko) 2011-02-07 2011-02-07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319A KR20120090319A (ko) 2012-08-17
KR101228916B1 true KR101228916B1 (ko) 2013-03-11

Family

ID=4688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685A KR101228916B1 (ko) 2011-02-07 2011-02-07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3817A (ko) 2012-08-17 2014-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200477792Y1 (ko) * 2015-01-27 2015-07-28 주식회사 포디웰컴 3차원 촬영 시스템
KR102020563B1 (ko) * 2018-01-30 2019-09-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영상 획득 방법과, 이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1447432A (zh) * 2020-04-02 2020-07-24 上海晨驭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多路3d信号拼接同步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992Y1 (ko) * 1992-01-16 1998-05-15 구자홍 화면 4분할 기능을 갖는 영상기억장치
KR20060092447A (ko) * 2005-02-17 2006-08-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화상데이터의 입체영상변환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992Y1 (ko) * 1992-01-16 1998-05-15 구자홍 화면 4분할 기능을 갖는 영상기억장치
KR20060092447A (ko) * 2005-02-17 2006-08-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화상데이터의 입체영상변환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319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8276B1 (en) GUI provid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US9124870B2 (en) Three-dimensional video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on screen display applied thereto
JP5745822B2 (ja) 再生モード切替方法、出力モード切替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と3d映像提供システム
US8930838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EP2456217B1 (en)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90244258A1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stereoscopic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492535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N103155579B (zh) 3d图像显示设备及其显示方法
US9495795B2 (en) Image recording device, three-dimensional image reproducing device, image recording method, and three-dimensional image reproducing method
US20120120190A1 (en) Display device for use in a frame sequential 3d display system and related 3d display system
KR101228916B1 (ko)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648864B1 (ko) 3d 영상에 대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US20110134226A1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3d image thereof
JPWO2011155212A1 (ja) 立体画像表示装置、立体撮像装置、及び方法
JP2004102526A (ja) 立体画像表示装置、表示処理方法及び処理プログラム
TWI430257B (zh) 多層景深立體顯示器影像處理方法
JP5664356B2 (ja) 生成装置および生成方法
KR101638959B1 (ko) 출력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
US8289373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multi-depth-of-field 3D-display
KR101912242B1 (ko)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US9547933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6209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3d 영상 미리보기 제공 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101639310B1 (ko) 3d 영상에 대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5795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gui 제공 방법
KR201100579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3d 영상 변환 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